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22년 6월 1일에 치러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첫 번째 지방선거로, 민선 7기 시도지사 및 시군구청장, 광역 및 기초의회의원 등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광역단체장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12곳, 더불어민주당이 5곳에서 승리했으며,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145곳, 더불어민주당이 63곳에서 승리했다. 광역의원은 국민의힘 540석, 더불어민주당 322석, 기초의원은 국민의힘 1435석, 더불어민주당 1384석을 차지했다. 교육감 선거에서는 보수 성향 8명, 진보 성향 9명이 당선되었으며,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도 함께 실시되었다. 이번 선거는 낮은 투표율과 무투표 당선자 증가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으며, 정치 지형 변화와 윤석열 정부에 대한 영향, 낮은 투표율의 문제점, 무투표 당선 문제점 등의 평가를 받았다.

2. 선거 개요

2022년 5월 10일에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첫 시험대이자 민선 7기의 후임자를 뽑는 선거였다. 이번 선거에서는 광역자치단체장 17명, 기초자치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872명, 기초의원 2988명, 교육감 17명,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의원 5명 등 총 4125명을 선출하였다.[64]

2004년 6월 2일 이전 출생한 대한민국 국민은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있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후보가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던 전국 7개 광역 지역에서의 승리를 목표로, 국민의힘은 지난 지방선거 참패를 극복하고 지방정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59][60] 정의당을 비롯한 다른 야당들은 최소한의 당선자 배출을 목표로 했다.[61]

한편, 국회의원 7명을 뽑는 6월 1일 재보궐선거도 동시에 치러졌다.[57] 재보궐선거가 실시된 선거구와 각 당의 후보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무소속
대구광역시 수성구 을김용락이인선
인천광역시 계양구 을이재명윤형선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갑김병관안철수
강원도 원주시 갑원창묵박정하
충청남도 보령시·서천군나소열장동혁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김지수김영선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을김한규부상일김우남
출처: [http://info.nec.go.kr/ 선거통계시스템 - 후보자 - 후보자 명부] (2022년 6월 3일 확인)


2. 1. 선거구 획정 문제

헌법재판소는 지방의회 의원 선거구 인구 편차 기준을 3:1(선거구 평균 상하 50%)로 변경하라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국회는 이를 무시하고 기존 선거구를 유지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126][127] 이로 인해 전국 18개 광역의회 선거구가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어긋나게 되었다.

2022년 4월 14일, 여야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선거구를 획정하고, 4월 15일 관련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 개정안에 따라 전국 11개 지역에 기초의회 중대선거구가 도입되었고, 세종제주를 제외한 지역의 시·도의원 정수가 39명, 기초의원 정수가 51명 증원되었다.[128]

기초의회 중대선거구가 도입된 지역은 국회의원 지역구를 기준으로 서울 서초구 갑, 동대문구 을, 성북구 갑, 강서구 을, 경기 용인시 정, 남양주시 병, 구리시, 인천 동구·미추홀구 갑, 대구 수성구 을, 광주 광산구 을, 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이며, 이 지역에서는 기초의회 지역구당 의원 정수가 3~5인으로 조정되었다.

2022년 8월 30일, 정치개혁공동행동 소속 유권자들은 국회가 의결한 17개 선거구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하였다.(2022헌마1247)

3. 참여 정당

기호정당비고
1더불어민주당5명 이상의 지역구 국회의원이 있거나 직전 선거(대통령, 비례대표 국회의원 또는 비례대표 광역의회 선거)에서 전국 유효투표 총수의 3% 이상을 득표한 정당은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먼저 가지며, 그 기호는 후보를 공천하지 않아도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쓸 수 없는 고정 기호이다.
2국민의힘
3정의당
변동기호기본소득당기본소득당시대전환은 국회의원을 1명씩 보유하고 있으므로 원외정당보다 우선하며 원외정당은 가나다 순서로 채워진다. 무소속은 정당 후순으로 배정되며, 복수의 무소속 후보는 추첨에 따라 배정된다.
시대전환
가나코리아
국민대통합당
기독당
깨어있는시민연대당
남북통일당
노동당
녹색당
대한당
독도한국당
미래당
민생당
신한반도평화체제당
우리공화당
자유통일당
진보당
충청의미래당
통일한국당
한류연합당
혁명21



이번 지방 선거에서 기호 배정은 여야 구분이 아닌, 원내 정당의 경우 직전 선거에서 일정 득표율을 얻은 정당은 국회 의석 순서대로 배정한다. 선거 실시일 현재 각 정당별 국회 의석 순서는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순으로, 이 3개 정당은 고정 기호 1~3번을 얻는다. 고정 기호이므로, 후보자를 내지 않는 선거구에서는 해당 정당의 기호는 공란이 된다. 기본소득당시대전환은 1인 정당으로 원내 정당이기에 기호 4번과 5번을 차지하며, 원외 정당은 6번부터 한글의 “가나다” 순으로 기호가 배분된다.[72] 무소속 후보자는 정당 후보자 기호 배정 후 마지막 순서로 기호가 배정되며, 무소속 후보자가 여러 명일 경우 추첨으로 결정된다.

4. 선거 과정

2004년 6월 2일 이전에 태어난 대한민국 국민은 투표권과 피선거권을 가졌다.[6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은 2022년 5월 19일부터 5월 31일까지였다. 사전투표는 5월 27일과 28일에 실시되었으며, 코로나19 확진자는 대한민국 공직선거법 제155조 6항 단서에 따라 별도의 시간(오후 6시 30분부터 8시까지)에 투표할 수 있었다.


  • 2월 1일: 시도지사 및 교육감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 시작
  • 2월 18일: 시도의회 의원, 구청장 및 구의회 의원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 시작
  • 3월 20일: 군의회 의원 및 군수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 시작
  • 5월 12일~5월 13일: 최종 후보자 등록 신청
  • 5월 19일: 선거운동 공식 시작
  • 5월 27일~5월 28일: 사전투표 (오전 6시~오후 6시, 코로나19 확진자는 오후 6시 30분부터 8시까지)
  • 6월 1일: 본투표 (오전 6시~오후 6시, 코로나19 확진자는 오후 6시 30분부터 7시 30분까지) 및 개표


광역자치단체장 및 광역의회 의원 정수
시도명광역자치단체장 (명)광역의회 (명)
합계지역구비례대표
전국 합계1787277993
서울특별시111210111
부산광역시147425
대구광역시132293
인천광역시140364
광주광역시123203
대전광역시122193
울산광역시122193
세종특별자치시120182
경기도115614115
강원도149445
충청북도135314
충청남도148435
전라북도140364
전라남도161556
경상북도161556
경상남도164586
제주특별자치도140328
출처: [http://info.nec.go.kr/ 선거통계시스템 - 기본현황 - 선거수 및 정수현황](2022년 6월 3일 확인)


4. 1. 투표율

(사전+거소)44,303,449
(9,218,252)투표자 수
(사전+거소)22,564,394
(9,204,005)전체 투표율50.9%



총 투표율은 50.9%로, 역대 지방선거 중 두 번째로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사전투표율은 20.62%였다. 지역별 투표율은 전라남도(58.5%), 강원도(57.8%) 순으로 높았고, 광주광역시(37.7%)가 가장 낮았다.

시간대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율
구분일자7시8시9시10시11시12시13시14시15시16시17시18시19시20시
사전 투표5월 27일0.48%0.93%1.59%2.56%3.59%4.49%5.32%6.26%7.25%8.22%9.20%10.18%미실시
5월 28일10.66%11.16%11.81%12.67%13.65%14.61%15.44%16.37%17.38%18.39%19.44%20.52%20.61%20.62%
본 투표6월 1일1.7%3.8%6.0%8.7%12.0%15.0%38.3%40.7%43.1%45.4%47.6%50.0%50.9%미실시



지역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 투표율
구분전국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특별자치도
사전 투표20.62%21.20%18.59%14.80%20.08%17.28%19.74%19.65%22.39%19.06%25.20%21.29%20.25%24.41%31.04%23.19%21.59%21.38%



역대 지방 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역별 투표율 비교
구분전국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특별자치도
제8회50.9%53.2%49.1%43.2%48.9%37.7%49.7%52.3%51.2%50.6%57.8%50.6%49.8%48.7%58.5%52.7%53.4%53.1%
제7회60.2%59.9%58.8%57.3%55.3%59.2%58.0%64.8%61.7%57.8%63.2%59.3%58.1%65.3%69.3%64.7%65.8%65.9%
제6회56.8%58.6%55.6%52.3%53.7%57.1%54.0%56.1%62.7%53.3%62.2%58.8%55.7%59.9%65.6%59.5%59.8%62.8%
제5회54.5%53.9%49.5%45.9%50.9%49.8%52.9%55.1%미실시51.8%62.3%58.8%56.5%59.3%64.3%59.4%61.8%65.1%
제4회51.6%49.8%48.5%48.5%44.3%46.3%49.4%52.8%미실시46.7%58.7%54.7%55.8%57.9%64.3%61.5%57.8%67.3%
제3회48.9%45.8%41.8%41.4%39.3%42.3%42.3%52.3%미실시44.6%59.4%55.8%56.2%55.0%65.6%60.4%56.5%68.9%
제2회52.7%47.1%46.7%46.8%43.2%45.1%44.4%57.6%미실시50.0%64.3%60.9%59.5%57.8%68.2%64.9%61.1%73.7%
제1회68.4%66.2%66.2%64.0%62.0%64.8%66.9%미실시미실시63.2%74.8%72.7%73.8%73.7%76.1%76.7%73.1%80.5%


4. 2. 출구조사

지상파 3사(KBS, MBC, SBS)의 출구조사 결과, 광역단체장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10곳, 더불어민주당이 4곳에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지사 선거는 김은혜, 김동연 후보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교육감 선거는 진보, 보수, 중도 성향 후보들이 각축을 벌였다.

지역예측 1위예측 2위
서울특별시장국민의힘오세훈더불어민주당송영길
예측 득표율58.7%40.2%
부산광역시장국민의힘박형준더불어민주당변성완
예측 득표율66.9%32.2%
대구광역시장국민의힘홍준표더불어민주당서재헌
예측 득표율79.4%18.4%
인천광역시장국민의힘유정복더불어민주당박남춘
예측 득표율51.2%45.7%
광주광역시장더불어민주당강기정국민의힘주기환
예측 득표율77.4%15.4%
대전광역시장국민의힘이장우더불어민주당허태정
예측 득표율50.4%49.6%
울산광역시장국민의힘김두겸더불어민주당송철호
예측 득표율60.8%39.2%
세종특별자치시장국민의힘최민호더불어민주당이춘희
예측 득표율50.6%49.4%
경기도지사국민의힘김은혜더불어민주당김동연
예측 득표율49.4%48.8%
강원도지사국민의힘김진태더불어민주당이광재
예측 득표율54.9%45.1%
충청북도지사국민의힘김영환더불어민주당노영민
예측 득표율56.5%43.5%
충청남도지사국민의힘김태흠더불어민주당양승조
예측 득표율54.1%45.9%
전라북도지사더불어민주당김관영국민의힘조배숙
예측 득표율82.4%17.6%
전라남도지사더불어민주당김영록국민의힘이정현
예측 득표율79.1%16.3%
경상북도지사국민의힘이철우더불어민주당임미애
예측 득표율79.0%21.0%
경상남도지사국민의힘박완수더불어민주당양문석
예측 득표율65.3%30.2%
제주특별자치도지사더불어민주당오영훈국민의힘허향진
예측 득표율56.5%39.1%



지역예측 1위예측 2위
서울특별시교육감진보조희연보수조전혁
예측 득표율38.6%26.3%
부산광역시교육감중도보수하윤수진보김석준
예측 득표율52.3%47.7%
대구광역시교육감보수강은희진보엄창옥
예측 득표율63.1%36.9%
인천광역시교육감진보도성훈보수최계운
예측 득표율41.2%40.9%
광주광역시교육감중도이정선진보박혜자
예측 득표율35.9%22.8%
대전광역시교육감중도설동호진보성광진
예측 득표율43.0%29.9%
울산광역시교육감진보노옥희보수김주홍
예측 득표율52.8%47.2%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진보최교진보수강미애
예측 득표율33.5%19.9%
경기도교육감보수임태희진보성기선
예측 득표율54.3%45.7%
강원도교육감보수신경호보수유대균
예측 득표율28.9%22.7%
충청북도교육감보수윤건영진보김병우
예측 득표율57.0%43.0%
충청남도교육감진보김지철보수이병학
예측 득표율34.6%27.9%
전라북도교육감중도서거석진보천호성
예측 득표율42.8%40.3%
전라남도교육감진보김대중진보장석웅
예측 득표율43.5%39.9%
경상북도교육감보수임종식보수마숙자
예측 득표율51.6%27.3%
경상남도교육감진보박종훈중도보수김상권
예측 득표율50.8%49.2%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보수김광수진보이석문
예측 득표율57.0%43.0%


5. 선거 결과

이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여당인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을 상대로 전국적으로 압승을 거두며 대성공을 거두었다.[73] 반면, 국회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완패했다.

국민의힘은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기존의 강세 지역이었던 경상도 지역을 지켜냈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열세 지역이었던 전라도 지역에서도 모든 후보가 기탁금 전액 반환 기준인 15% 이상의 득표율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이명박 정부 이후 당선자를 내지 못했던 충청도 지역을 모두 석권하고,[74] 수도권 광역의회 선거에서는 12년 만에 과반수를 넘어 3분의 2에 가까운 의석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도 전라도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전체 정수의 60%가 넘는 145명의 당선자를 배출하여 여당의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5명의 당선자를 배출했지만, 대부분 전통적인 강세 지역이었던 전라도 3곳과 제주특별자치도, 그리고 근소한 차이로 승리한 경기도뿐이었다. 특히 대선 후보였던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의 영향력이 미치는 경기도인천광역시에서 패배하거나 근소한 차이로 승리한 점, 그리고 이재명이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하여 자당 후보의 득표 상승을 노렸던 점을 고려하면, 더불어민주당에 큰 타격이 되었다는 평가가 있다.[75] 수도권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와 광역의회 선거에서도 2010년 제5회 지방선거 이후 처음으로 소수당으로 전락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충청도 지역에서 최근 10년간 승리했던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전패했고, 특히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국민의힘에 승리를 내주었다.[76][77] 경상도 동남부(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도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전패하며 지역주의 타파라는 슬로건이 무색해졌다.[78][79][80] 그나마 정치적 기반인 전라도 지역에서 많은 당선자를 배출했지만, 국민의힘 후보들이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모두 15% 이상 득표율을 기록하고,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는 등,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81] 결국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총사퇴했고, 새로운 지도부 구성을 앞두고 있다.[82]

정의당을 비롯한 원내 야당들은 이번 선거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특히 정의당은 지난 지방선거 대비 당선자 수가 3분의 1로 줄어들며 '정의당 위기'라는 평가를 받았고, 지도부가 총사퇴했다.[83]

원내 정당은 아니지만 진보당은 이번 선거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201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정당 해산 결정으로 붕괴 직전에 놓였던 과거를 딛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 1명의 당선자를 배출하고, 광역의회 지역구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꺾고 당선되는 등, 통합진보당 사태로 분열된 정의당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며 약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84]

전라도 지역은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패배와 공천 과정에서의 내분 등으로 인해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고,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는 결과를 낳았다.[85]

교육감 선거에서는 진보 성향 교육감 9명, 보수 성향 교육감 8명이 당선되어 균형을 이루었다. 박근혜 정부 이후 진보 성향 교육감들이 대거 당선되었던 흐름이 깨졌는데, 이는 보수 성향 교육감 후보들이 지역별로 단일화를 시도한 결과로 분석된다. 그러나 서울특별시교육감 선거에서는 보수 후보 단일화 실패로 진보 성향의 조희연 현 교육감이 3선에 성공했다.[68][86]

국회의원 보궐선거는 지방선거와 동시에 실시되었으며, 국민의힘 5명, 더불어민주당 2명이 당선되었다. 특히 강원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의 낙선과 원주시갑 선거구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낙선으로 보수 세력이 강화되는 결과가 나타났다.[8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당별 당선자 수 (명)
당파당선자 합계 (당파별)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89]국회의원 보궐
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
style="background-color:#E61E2B" |국민의힘2,13712145491491,2162195
style="background-color:#0075C2" |더불어민주당1,776563280421,2181662
style="background-color:#D6001C" |진보당2101301700
style="background-color:#FFCC00" |정의당90002610
style="background-color:#848484" |무소속1660175-144-0
출처: [http://info.nec.go.kr/ 선거통계시스템 - 당선자 - 당선인 통계] (2022년 6월 3일 확인)


5. 1. 광역자치단체장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승리한 정당


지역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서울특별시오세훈국민의힘2,608,277표59.05%4선
부산광역시박형준국민의힘938,601표66.36%재선
대구광역시홍준표국민의힘685,159표78.75%
인천광역시유정복국민의힘634,250표51.76%재선
광주광역시강기정더불어민주당334,699표74.91%
대전광역시이장우국민의힘310,035표51.19%
울산광역시김두겸국민의힘290,563표59.78%
세종특별자치시최민호국민의힘78,415표52.83%
경기도김동연더불어민주당2,827,593표49.06%
강원도김진태국민의힘409,461표54.07%
충청북도김영환국민의힘395,517표58.19%
충청남도김태흠국민의힘468,658표53.87%
전라북도김관영더불어민주당591,510표82.11%
전라남도김영록더불어민주당672,433표75.74%재선
경상북도이철우국민의힘904,675표77.95%재선
경상남도박완수국민의힘963,473표65.70%
제주특별자치도오영훈더불어민주당163,116표55.14%



이번 선거에서 국민의힘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의 12곳에서 승리했고, 더불어민주당광주광역시, 경기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의 5곳에서 승리했다. 특히, 오세훈 후보는 서울특별시장 4선에 성공하며, 민선 지방자치단체장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6]

5. 2. 기초자치단체장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145곳, 더불어민주당이 63곳, 진보당이 1곳, 무소속이 17곳에서 승리했다.

지역시장/군수/구청장 수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진보당무소속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
서울25178
부산1616
대구88
인천10721
광주55
대전541
울산541
경기31229
강원18144
충북1174
충남15123
전북14113
전남22157
경북23203
경남181413
합계22614563117
출처: [https://www.yna.co.kr/local-election2022/results-tab02 연합뉴스]



세종특별자치시제주특별자치도는 특별법에 따라 하위 기초자치단체가 없다.[69]

기초단체장과 기초의회 의원 정수
시도명기초자치단체장 (명)기초의회
지역구 수 (곳)의원 정수
합계지역구비례대표
전국 합계2261,0302,9882,602386
서울특별시2515442737354
부산광역시166518215725
대구광역시84012110516
인천광역시104012310815
광주광역시52069609
대전광역시51963558
울산광역시51950446
경기도3116246340657
강원도185217415123
충청북도114813611917
충청남도155917715126
전라북도147019817325
전라남도228124721532
경상북도2310628825137
경상남도189527023436
출처: [http://info.nec.go.kr/ 선거통계시스템 - 기본현황 - 선거수 및 정수현황] (2022년 6월 3일 확인)


5. 3. 광역의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광역의원 선거 결과 국민의힘이 540석, 더불어민주당이 322석, 정의당이 2석, 진보당이 3석, 무소속이 5석을 차지하였다.

정당지역구비례대표총 당선자 수
더불어민주당28042322
국민의힘49149540
정의당022
진보당303
무소속505
합계77993872



지역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정의당진보당무소속합계
서울3676---112
부산245---47
대구131---32
인천1426---40
광주221---23
대전418---22
울산121---22
세종137---20
경기7878---156
강원643---49
충북728---35
충남1236---48
전북37111-40
전남56112161
경북256--361
경남460---64
제주2712--140
전국322540235872


5. 4. 기초의원

이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기초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1435석, 더불어민주당이 1384석을 차지했다. 정의당은 7석, 진보당은 17석을 얻었으며, 무소속 후보는 144석을 차지했다.[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정당별 당선자 수
정당총 당선자 수지역구비례대표
더불어민주당13841218166
국민의힘14351216219
정의당761
진보당17170
무소속1441440
합계29872601386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역별 기초의원 당선자 수
지역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정의당진보당무소속합계
서울212213-11427
부산77104--1182
대구2892--1121
인천62591-1123
광주57-16569
대전3132---63
울산1830-2-50
경기232229-11463
강원661011-6174
충북5579-11136
충남8095--2177
전북16831124198
전남19313545247
경북25225--38288
경남80172--18270
전국1,3841,4357171442,988


5. 5. 교육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보수 성향 교육감이 8명, 진보 성향 교육감이 9명 당선되었다.

지역후보성향득표수득표율(%)
서울특별시교육감조희연진보1,614,56438.10
부산광역시교육감하윤수중도보수706,15250.82
대구광역시교육감강은희보수530,23561.61
인천광역시교육감도성훈진보494,36641.46
광주광역시교육감이정선중도154,06834.91
대전광역시교육감설동호중도247,07741.50
울산광역시교육감노옥희진보266,64755.03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최교진진보44,90530.83
경기도교육감임태희보수3,081,10054.79
강원도교육감신경호보수210,52329.51
충청북도교육감윤건영보수375,29555.95
충청남도교육감김지철진보287,63933.79
전라북도교육감서거석중도310,24743.52
전라남도교육감김대중진보393,46245.08
경상북도교육감임종식보수561,38949.77
경상남도교육감박종훈진보388,07850.23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김광수보수168,01957.47


6. 정당별 결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당별 결과[89]
정당광역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비고
도지사시장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
더불어민주당10152280421,218166
국민의힘457491491,216219
정의당000261
진보당0030170
민생당00----
깨어있는 시민연대당000010
무소속005-144-
공석30----
출처: [http://info.nec.go.kr/ 선거통계시스템 - 당선자 - 당선인 통계] (2022년 6월 3일 확인)



국민의힘은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12곳, 더불어민주당은 5곳에서 승리하여 국민의힘이 더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이번 지방 선거는 지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비해 투표율이 9.3% 하락한 50.9%를 기록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지지 기반인 전라도 지역의 투표율 하락이 두드러졌다. 광주광역시의 투표율은 37.7%로 전국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정권 교체 등의 영향으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이 투표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117]

이번 선거에서는 한국 지방 선거 제도 부활 이후 가장 많은 508명의 무투표 당선자가 나왔으며, 이는 전체 선출 정수의 12.3%에 해당한다.

6. 1. 국민의힘

국민의힘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에서 광역자치단체장을 당선시키면서 대승을 거두었다. 지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광역단체장을 빼앗기며 큰 어려움을 겪었으나, 정권 유지론에 힘입어 과거의 오명을 씻어내고 압승에 성공했다.[129] 특히,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치러진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며 정권 초기 국정 운영의 동력을 확보했고,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등 수도권에서 승리하며 12년 만에 수도권 광역자치단체장을 탈환했다.

정당도지사시장도의원시의원
국민의힘457149105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참패를 만회하고 더불어민주당을 상대로 전국적인 압승을 거두었다.[73]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경상도 지역을 사수하고, 전라도 지역 모든 공천 후보가 공직선거법상 기탁금 전액 반환 기준인 15% 이상 득표율을 달성했다. 이명박 정부 이후 당선되지 못했던 충청도 지역을 모두 석권했고,[74] 수도권 광역의회 선거에서 12년간 소수당이었던 국민의힘은 과반수를 넘어 3분의 2에 가까운 의석을 확보했다.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도 전라도 지역을 제외하고 전국 정수의 60%가 넘는 145명의 당선자를 배출하여 보수 여당의 힘을 더했다.

당파별 당선자 수 (명)
당파당선자 합계 (당파별)광역단체장 선거기초단체장 선거광역의원 선거기초의원 선거[89]국회의원 보궐선거
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
국민의힘2,13712145491491,2162195


6. 2.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초기에 대통령을 견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힘을 확보하기 위해 이번 지방선거에서 선전해야 했다.[60] 이재명 후보가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던 전국 7개 광역 지역에서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그 이하의 결과는 당의 힘을 잃는 것으로 간주하며 지지자들에게 호소했다.[60]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호남과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광역단체장을 잃으면서 참패했다.[130] 경기도에서는 신승했지만, 수도권충청권 등 주요 지역에서 패배했다.[130]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선거에서도 의석수가 크게 줄었다.[130]

정당도지사시장도의원시의원
더불어민주당101526361615
국민의힘4571491052



결국 6월 2일 새벽,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비공개 회의를 열고 총사퇴를 결정했다.[130]

대선 패배 후 지도부가 구성되지 않은 채 과도기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이번 지방 선거를 치렀던 더불어민주당은, 국회에서는 제1당의 다수 야당이었다.[70] 정치적 입장은 사회자유주의의 중도좌파이며, 김대중, 노무현 정부 10년과 문재인 정부 5년 동안 집권한 경력이 있고, 전라도 지역에 강력한 지지 기반을 가지고 있다.[70]

6. 3. 정의당

정의당은 광역단체장 뿐만 아니라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단 한 명의 당선자도 얻지 못했다. 광역의원은 9석, 기초의원은 19석이나 줄어드는 등 낮은 지지율을 보이며, 원외정당인 진보당에도 밀리는 참패를 겪었다.[132] 6월 2일, 정의당 지도부는 회의를 열고 선거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여영국 당대표를 포함한 대표단 전원이 사퇴하기로 결정하였다.[133][134]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의당 당선자 수
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원 (지역구)광역의원 (비례대표)기초의원 (지역구)기초의원 (비례대표)
000261


6. 4. 진보당

진보당은 원외정당 중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울산 동구청장 선거에서 김종훈 후보를 구청장으로 당선시키는데 성공해 기초단체장 1석을 획득했다.[131] 이 외에도 광역의원을 배출해내고 기초의원도 6석이나 끌어올리는 등 진보 4당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진보당) 중에서 가장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보당 당선자 현황
총 당선자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국회의원 보궐선거
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
21명0명1명3명0명17명0명0명


7. 평가 및 영향

박병석 등은 20대 대통령 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2개월 정도의 짧은 간격으로 실시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으로 인해 선거 비용 및 선거 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두 선거 일정을 통합하여 동시 선거를 하자는 의견을 제기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115]

김대중 정부 이후 여당이 처음으로 기호 2번을 부여받아 치르는 지방선거였다.[116]

이번 지방 선거는 지난 지방 선거에 비해 투표율이 9.3% 하락한 50.9%를 기록했는데,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인 전라도의 투표율 급락이 두드러졌다. 광주광역시의 이번 지방 선거 투표율은 37.7%를 기록하며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많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이 정권 교체 등의 영향으로 이번 지방 선거에 참여하지 않아 투표율이 저조했다는 분석이 나왔다.[117]

한국 지방 선거 제도 부활 이후 가장 많은 무투표 당선자가 나왔다. 무투표 당선자는 총 508명으로, 전체 선출 정수의 12.3%에 해당한다. 특히 거대 양당에 대한 절대적 지지를 보내는 전라도 지역과 대구광역시·경상북도(TK 지역)에서 무투표 당선자가 많이 나왔는데, 대구광역시의회 선거에서는 정수 29명의 지역구 의원 중 20곳(전체의 69.0%)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고, 전라북도의회 선거에서는 정수 36명의 지역구 의원 중 22곳(61.1%)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이번 지방 선거를 통해 거대 양당의 독점과 정치적 무관심을 보여주는 지표라는 분석이 있다.[118]

서울특별시장에 재선에 성공한 국민의힘 오세훈은 한국 지방자치단체장 민선 제도 부활 이후 처음으로 민선 4선 기록을 세운 자치단체장이 되었다.[119]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여당인 국민의힘이 승리했지만, 지방 교육 정책의 실권을 쥐는 교육감 선거에서는 당선자가 보수 진영 8명, 진보 진영 9명으로 팽팽한 결과를 보였다. 많은 지역에서 단체장과 교육감의 이념이 다른 현상이 이번 지방 선거를 통해 나타났는데, 향후 갈등이 발생할지 여부는 향후 정계의 주목 대상이 되었다.[120]

거대 양당의 정치적 지지도가 높다고 평가받는 경상도 지역과 전라도 지역에서 선거 운동 기간 중 각 지역 내 소수 정당에서 출마한 후보자의 선거 포스터가 훼손되는 사건이 다수 발생하여 수사 기관의 수사가 진행되었다.[123][124]

7. 1. 정치 지형 변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국민의힘의 압승과 더불어민주당의 참패로 인해 대한민국의 정치 지형을 크게 변화시켰다.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후,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보수 정당의 세력이 강화되고 진보 정당의 입지가 약화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17곳 중 12곳에서 승리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특히, 이명박 정부 이후 국민의힘 소속 후보가 당선되지 못했던 충청도 지역을 모두 석권하고, 수도권 광역의회 선거에서 12년 만에 과반수를 넘는 의석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74]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도 전국적으로 전체 정수의 60%가 넘는 145명의 당선자를 배출하여 보수 여당의 힘을 더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5곳에서만 승리하며 참패했다. 강세 지역으로 평가받던 전라도 3곳과 제주특별자치도, 그리고 경기도에서만 승리했을 뿐, 수도권과 충청도 지역에서 크게 패배했다. 특히,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가 출마했던 경기도와 인천 지역에서 패배하거나 근소한 차이로 승리한 점은 더불어민주당에 큰 타격이 되었다.[75] 또한, 충청도 지역에서 최근 10년간 승리했던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전패하고, 세종시에서 사상 처음으로 국민의힘에 승리를 내주었다.[76][77] 경상도 동남부(부산, 울산, 경남)에서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전패하고 광역의회에서 거의 당선자를 배출하지 못했다.[78][79][80]

정의당을 비롯한 다른 야당들은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특히, 정의당은 지난 지방선거 대비 당선자 수가 3분의 1로 줄어들면서 위기를 맞게 되었다.[83] 반면, 진보당은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 1명의 당선자를 얻고, 광역의회 지역구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꺾고 당선되는 등 약진했다.[84]

전라도 지역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공천 내분과 낮은 투표율로 인해 무소속 후보들이 다수 당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85]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도 국민의힘이 5석, 더불어민주당이 2석을 차지하며 여당의 강세가 이어졌다. 특히, 강원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의 낙선과 원주시갑 선거구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낙선으로 보수 세력이 강화되었다는 평가가 나왔다.[88]

당파별 당선자 수 (명)
당파당선자 합계 (당파별)광역단체장 선거기초단체장 선거광역의원 선거기초의원 선거[89]국회의원 보궐선거
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
style="background-color:#E61E2B" |국민의힘2,13712145491491,2162195
style="background-color:#0075C2" |더불어민주당1,776563280421,2181662
style="background-color:#D6001C" |진보당2101301700
style="background-color:#FFCC00" |정의당90002610
style="background-color:#848484" |무소속1660175-144-0
출처: [http://info.nec.go.kr/ 선거통계시스템 - 당선자 - 당선인 통계] (2022년 6월 3일 확인)


7. 2. 윤석열 정부에 대한 영향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이번 선거 결과로 국정 운영의 동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하지만, 낮은 투표율과 경기도에서의 신승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가 확고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58][59]

7. 3. 낮은 투표율의 문제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낮은 투표율은 여러 문제점을 시사한다. 우선, 50.9%라는 저조한 투표율은 국민들의 정치적 무관심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인 국민 주권주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며, 정치권 전반에 대한 불신과 냉소가 만연해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전통적인 텃밭으로 여겨지는 호남 지역의 투표율이 급락한 것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는 민주당에 대한 핵심 지지층의 이탈을 의미하는 것으로, 민주당의 정책 실패와 거듭된 논란에 대한 실망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지지층 이탈은 민주당의 정치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향후 선거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진다.

또한, 낮은 투표율은 거대 양당 체제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을 반영하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양당 중심의 정치 구도에 대한 염증과 제3의 대안을 찾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좌절감이 투표 포기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양당 정치의 폐해를 극복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정치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7. 4. 무투표 당선 문제

이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한국 지방 선거 제도 부활 이후 가장 많은 무투표 당선자가 나왔다. 무투표 당선자는 총 508명으로, 전체 선출 정수의 12.3%에 해당한다.[118] 특히 거대 양당에 대한 지지세가 강한 전라도 지역과 대구광역시·경상북도(TK 지역)에서 무투표 당선자가 많이 나왔다.[118] 대구광역시의회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29명 중 20명(69.0%)이 국민의힘 후보로 무투표 당선되었고, 전라북도의회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36명 중 22명(61.1%)이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무투표 당선되었다.[118]

이는 거대 양당의 독점과 유권자의 정치적 무관심을 보여주는 지표라는 분석이 있다.[118]

전라북도 군산시 기초의원 선거에서는 무투표 당선된 후보자가 선거 운동 기간 중 음주운전으로 적발되어 더불어민주당에서 제명, 후보 등록이 무효화되면서 무투표 당선이 취소되는 사례도 있었다.[121][122]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elects conservative Yoon Suk-yeol to be country's next president https://www.independ[...] 2022-03-16
[2] 웹사이트 South Korea's New President Gets Boost in Big Election Win https://www.bloomber[...] 2022-06-02
[3] 웹사이트 Conservative Party Wins Big in South Korean Local Elections https://www.nytimes.[...] 2022-06-02
[4] 웹사이트 South Korea's ruling party cements presidential win with local vote success https://www.reuters.[...] 2022-06-02
[5] 웹사이트 South Korea's ruling party wins majority of key local elections https://english.kyod[...] 2022-06-02
[6]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7]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8]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9]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0]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1]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2]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3]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4]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5]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6]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7]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8]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19]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20]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21]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22] 웹사이트 2022 지방선거 https://news.kbs.co.[...]
[23]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서울 https://www.yna.co.k[...] 2022-06-02
[24]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부산 https://www.yna.co.k[...] 2022-06-02
[25]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대구 https://www.yna.co.k[...] 2022-06-02
[26]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인천 https://www.yna.co.k[...] 2022-06-02
[27]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광주 https://www.yna.co.k[...] 2022-06-02
[28]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대전 https://www.yna.co.k[...] 2022-06-02
[29]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울산 https://www.yna.co.k[...] 2022-06-02
[30]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경기 https://www.yna.co.k[...] 2022-06-02
[31]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강원 https://www.yna.co.k[...] 2022-06-02
[32]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충북 https://www.yna.co.k[...] 2022-06-02
[33]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충남 https://www.yna.co.k[...] 2022-06-02
[34]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전북 https://www.yna.co.k[...] 2022-06-02
[35]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전남 https://www.yna.co.k[...] 2022-06-02
[36]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경북 https://www.yna.co.k[...] 2022-06-02
[37]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경남 https://www.yna.co.k[...] 2022-06-02
[38] 웹사이트 [광역의원 당선인 명단] 제주 https://www.yna.co.k[...] 2022-06-02
[39]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서울 https://www.yna.co.k[...] 2022-06-02
[40]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부산 https://www.yna.co.k[...] 2022-06-02
[41]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대구 https://www.yna.co.k[...] 2022-06-02
[42]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인천 https://www.yna.co.k[...] 2022-06-02
[43]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광주 https://www.yna.co.k[...] 2022-06-02
[44]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대전 https://www.yna.co.k[...] 2022-06-02
[45]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울산 https://www.yna.co.k[...] 2022-06-02
[46]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세종 https://www.yna.co.k[...] 2022-06-02
[47]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경기 https://www.yna.co.k[...] 2022-06-02
[48]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강원 https://www.yna.co.k[...] 2022-06-02
[49]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충북 https://www.yna.co.k[...] 2022-06-02
[50]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충남 https://www.yna.co.k[...] 2022-06-02
[51]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전북 https://www.yna.co.k[...] 2022-06-02
[52]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전남 https://www.yna.co.k[...] 2022-06-02
[53]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경북 https://www.yna.co.k[...] 2022-06-02
[54]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경남 https://www.yna.co.k[...] 2022-06-02
[55] 웹사이트 [광역비례 당선인 명단] 제주 https://www.yna.co.k[...] 2022-06-02
[56] 일반
[57] 웹사이트 6.1 지방선거 국회의원 보궐 선거 주요 후보 https://www.yna.co.k[...] 2022-06-03
[58] 웹사이트 지방선거 D-9, 전국 판세는…국민의힘 12곳·민주당 5곳 '우세' https://www.asiae.co[...] 2022-06-02
[59] 뉴스 6月1日に韓国統一地方選 尹政権の国政運営・党内権力闘争左右へ https://m-jp.yna.co.[...] 2022-06-02
[60] 뉴스 公報物だけでもしっかり読んで、税金泥棒・破廉恥犯は振り落とさなければ https://www.donga.co[...] 2022-06-02
[61] 웹사이트 정의당 “기득권 양당 내로남불 정치에 회초리 들어달라” 호소 https://www.hani.co.[...] 2022-06-02
[62] 웹사이트 광주전남 6·1 지방선거 무소속 돌풍 불까 https://news.kmib.co[...] 2022-06-02
[63]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2022-06-03
[64] 웹사이트 무투표 당선자 508명… 4년 전보다 5배 껑충 https://www.seoul.co[...] 2022-06-03
[65] 일반
[66] 뉴스 양대 정당, 풀뿌리까지 말릴 셈인가? https://news.v.daum.[...] 2005-12-25
[67] 일반
[68] 뉴스 教育監選で保守系が躍進、左派一色から左派系「9」VS保守系「8」に https://www.donga.co[...] 2022-06-03
[69] 일반
[70] 웹사이트 지방선거 후보자 기호는 어떻게 정해질까? [사실은 이렇습니다] https://www.ktv.go.k[...] 2022-05-31
[71] 일반
[72] 일반
[73] 뉴스 韓国統一地方選で与党圧勝 尹政権に追い風 https://jp.yna.co.kr[...] 2022-06-02
[74] 일반
[75] 뉴스 韓国 けさのニュース(6月2日) https://jp.yna.co.kr[...] 2022-06-02
[76] 일반
[77] 웹사이트 "세종이 달라졌다"...민주당에 몰표 주던 '공무원' 도시에 무슨 일이 https://www.hankooki[...] 2022-06-03
[78] 일반
[79] 웹사이트 "민주당의 낙동강 벨트가 무너졌다"…3선 의원의 반성(종합) https://www.yna.co.k[...] 2022-06-02
[80] 웹사이트 ‘빨간 물결’ 선택한 부산, 쇄신 외면 민주당 심판 http://www.busan.com[...] 2022-06-02
[81] 웹사이트 호남서 국민의힘·무소속 후보들 약진… 민주당 텃밭 변화 조짐 https://www.chosun.c[...] 2022-06-02
[82] 뉴스 統一地方選惨敗の最大野党 執行部が総退陣=韓国 https://jp.yna.co.kr[...] 2022-06-02
[83] 웹사이트 보도자료 지방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 여영국 당 대표(공동상임선대위원장) 모두발언 https://www.justice2[...] 2022-06-02
[84] 웹사이트 정의당, 지방의원 37명→8명…‘20명 당선’ 진보당에도 밀려 https://www.hani.co.[...] 2022-06-03
[85] 웹사이트 野, 전남북 기초단체장 10곳 무소속에 져 https://www.donga.co[...] 2022-06-03
[86] 뉴스 ソウル教育監選スタート、中道・保守派3人候補が一本化せず見切り発車 https://www.donga.co[...] 2022-05-20
[87] 일반
[88] 웹사이트 정치생명 타격입은 이광재 "출마 결심 때 이미 낙선 각오했다" https://www.joongang[...] 2022-06-02
[89] 일반
[90] 일반
[91] 일반
[92] 일반
[93] 웹사이트 0.95%로 국힘·김은혜 울린 강용석...신당 창당 질문에 묘한 답 https://www.joongang[...] 2022-06-04
[94] 일반
[95] 일반
[96] 일반
[97] 웹사이트 박형준·홍준표·김영록 '텃밭'서 무난히 당선…지역구도 여전 https://www.mk.co.kr[...] 2022-06-02
[98] 일반
[99] 웹사이트 '8대 9' 절반 안되는 보수교육감…관할학생은 진보보다 많다 https://newsis.com/v[...] 2022-06-04
[100] 일반
[101] 일반
[102] 웹사이트 [초점]경기도민은 13년 만에 보수교육감을 왜 선택했을까 https://mobile.newsi[...] 2022-06-04
[103] 일반
[104] 웹사이트 ‘진보교육 벨트’ 축소됐으나 과반 유지… 尹교육 견제 예고 https://news.kmib.co[...] 2022-06-02
[105] 일반
[106] 웹사이트 지방선거마다 보수정당 선전···6번 선거 중 5번 이겼다 https://www.hani.co.[...] 2022-06-19
[107] 웹사이트 기초단체장도 64.1% 국민의힘…4년 만에 뒤집힌 지방권력 https://www.khan.co.[...] 2022-06-19
[108] 기타
[109] 기타
[110] 웹사이트 국민의힘 인천 강화군수 무공천 결정…유천호 '무소속 출마' 선언(종합) http://www.news1.kr/[...] 2022-06-19
[111] 기타
[112] 웹사이트 '여야동수' 경기도의회 의장에 민주 염종현 선출…국힘서 반란표 https://www.yna.co.k[...] 2023-06-29
[113] 기타
[114] 웹사이트 교육의원 20년만에 폐지...이번 선거가 '마지막' http://www.jibs.co.k[...] 2023-06-29
[115] 웹사이트 박병석 국회의장 "대선·지선 동시실시 여부 검토해야" https://news.mt.co.k[...] 2022-06-04
[116] 기타
[117] 웹사이트 81.5%→37.7%…충격의 광주, 민주에 '침묵의 회초리' 들었다 https://www.joongang[...] 2022-06-04
[118] 웹사이트 무투표 당선 10명 중 3명 '광주·전남, 대구·경북'서 나왔다···'독점 정치' 심화 https://www.khan.co.[...] 2022-06-04
[119] 뉴스 6ソウル市長選 現職の呉氏が当選確実 https://jp.yna.co.kr[...] 2022-06-02
[120] 웹사이트 교육감, 보수계 8명 대약진 친 전교조 진보우위 여전 http://www.economyta[...] 2022-06-04
[121] 기타
[122] 웹사이트 민주당, 윤요섭 군산시의원 후보 제명 의결..내년 재선거 https://www.jmbc.co.[...] 2022-06-04
[123] 웹사이트 이틀 연속 광주行 이준석 "선거현수막 훼손될 때마다 오겠다" https://newsis.com/v[...] 2022-06-04
[124] 웹사이트 선거운동원 폭행에 벽보훼손..후진하는 시민의식 http://ch1.skbroadba[...] 2022-06-04
[125] 정당 자유한국당
[126] 웹사이트 현재 17개 시도의회 선거구는 위헌! https://news.v.daum.[...]
[127] 웹사이트 상한선은 31석, 하한선은 32석 기준 제주도의회 선거구 획정 논란 http://www.shinmoong[...]
[128] 웹사이트 '중대선거구 시범 실시' 선거법 국회 통과…찬성 166명·반대 19명·기권 16명 https://www.mbn.co.k[...]
[129] 웹인용 [6·1 지방선거] '안정론'에 쏠린 민심…붉은물결 속 경기 野 차지(종합2보) https://www.yna.co.k[...] 2022-06-04
[130] 웹인용 [속보] 윤호중·박지현 민주 지도부 ‘총사퇴’ https://www.seoul.co[...] 2022-06-02
[131] 웹인용 김종훈 울산 동구청장, 진보 3당 중 유일하게 기초단체장 당선 https://www.chosun.c[...] 2022-06-02
[132] 웹인용 더 쪼그라든 정의당, 지도부 총사퇴 https://www.seoul.co[...] 2022-06-02
[133] 뉴스인용 정의당, 선거참패에 대표단 총사퇴…"국민의 엄중경고 받아들여" https://www.yna.co.k[...] 2022-06-06
[134] 뉴스인용 저조한 지선 성적표에 정의당 대표단 총사퇴…"바닥부터 시작할 것" https://www.news1.kr[...] 2022-06-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