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냐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냐지는 슬라브어로 군주, 공작 등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게르만어에서 유래되었다. 이 단어는 슬라브족의 족장, 초기 봉건 국가의 군주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의미와 형태로 나타났다. 크냐지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 동슬라브 국가에서 공국을 다스리는 군주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류리크 왕조, 게디미나스 왕조 등 여러 왕조에서 사용되었다. 또한, 크냐지는 세르비아, 불가리아 등 발칸 반도 국가에서도 통치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폐지되었다.
이 단어는 궁극적으로 영어의 "King", 독일어의 "König", 스웨덴어의 "Konung"과 어원이 같다. 원시 슬라브어 형태는 *kъnędzь, ''kŭnędzĭ''이다.[7] [8], ''kŭnędzĭ''; , ''knyaz''; , ''knyazĭ''; ; / ; ; ; 등이다. 일반적으로 체르냐호프 문화로부터 원시 게르만어 ''kuningaz''에서 유래한 초기 차용어로 간주되며, 이 형태는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에서도 차용되었다(''kuningas'').[3][9]
'크냐지'라는 용어는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변화해 왔다. 초기에는 슬라브 부족의 족장을 의미했지만, 봉건 국가가 발전하면서 국가 통치자를 지칭하게 되었다. 동슬라브족 사이에서는 공작령 또는 공국으로 번역되는 княжество|크냐제스트보ru, князівство|크냐지우스트보uk 등으로 불렸다. 키예프 루스가 대표적인 예이다.
크냐지(Князь)는 여러 슬라브어파 언어에서 사용되는 칭호로, 그 어원과 의미는 언어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1]
서적
Royal and Republican Sovereignty in Early Modern Europe: Essays in Memory of Ragnhild Hatt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 어원
크냐지(고대 슬라브어: kъnęzьcu)는 게르만조어의 어근 *kuning에서 유래된 단어로, 독일어 Königde(쾨니히), 영어 king, 러시아어 корольru(korol') 등과 어원이 같다는 설이 있다.[29][30][31] 또한, 일부 슬라브어파 언어에서는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가 파생되었다. 불가리아어의 кнезbg(연장자),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knez, ksiązpl(사제) 등이 있다.
각 언어에서의 크냐지 표기는 다음과 같다.언어군 언어 표기 슬라브어파 러시아어 князьru 우크라이나어 князьuk 벨라루스어 князьbe 폴란드어 książępl[32] 체코어 kníže, knězcs 슬로바키아어 kňazsk 세르비아어 кнезsr 크로아티아어 knezhr 슬로베니아어 knezsl 불가리아어 князbg 슬라브어파 이외 루마니아어 cneazro 헝가리어 kenézhu 추바슈어 князьcv 오세트어 князьos 타타르어 kenäztt 사미어 gonagasse 또는 konagasse(스칸디나비아 언어를 거쳐 온 것으로 추정) 리투아니아어 kunigaikštislt(독일어 또는 폴란드어를 거쳐 온 것으로 추정)
3. 역사적 변천
러시아 차르국이 키예프 루스의 상당 지역을 지배하면서, 1547년 벨리키 크냐지(대공)였던 이반 4세는 차르로 즉위했다. 18세기 중반부터 벨리키 크냐지 칭호는 러시아 황제의 아들과 손자(남자 혈통)를 가리키는 데 다시 사용되었다.
류리크 왕조나 게디미나스 왕조 출신들은 중세 시대 작은 공국들을 통치하며 공작으로 불렸다. 이들의 영지가 모스크바 대공국에 흡수된 후에도, 모스크바 궁정에서 공작 칭호를 계속 사용할 수 있었다.
18세기부터는 차르가 이 칭호를 수여하기도 했다. 표트르 대제는 측근 알렉산드르 멘시코프에게, 예카테리나 대제는 연인 그리고리 포템킨에게 이 칭호를 수여했다. 1801년 조지아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면서, 현지 귀족들의 다양한 칭호가 러시아어로 "크냐지"로 번역되기도 했다.
1809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제국 내 핀란드는 ''핀란드 대공국'' (Suomen suuriruhtinaskunta|수오멘 수루루흐티나스쿤타fi, Storfurstendömet Finland|스토르푸르스텐되메트 핀란드sv, Великое Княжество Финляндское|벨리코예 크냐제스트보 핀랸츠코예ru)으로 불렸다.
19세기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에서는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불가리아의 알렉산더와 같이 반독립 국가 통치자를 지칭하기 위해 '크네즈'(knez)와 '크냐즈'(knyaz)라는 용어가 다시 사용되었다.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서부 지역에서는 19세기까지 마을이나 자드루가 촌장, 읍장을 '크네즈'라고 부르기도 했다.
3. 1. 초기 슬라브 사회
이 용어는 처음에는 슬라브 부족의 족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봉건 국가가 발전하면서 국가의 통치자 칭호가 되었으며, 동슬라브족 사이에서는 княжество|크냐제스트보ru, князівство|크냐지우스트보uk로 표기하며, 전통적으로 공작령 또는 공국으로 번역된다. 키예프 루스가 그 예이다.
3. 2. 중세 시대
크냐지라는 용어는 처음에는 슬라브 부족의 족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봉건 국가가 발전하면서 국가 통치자의 칭호가 되었다. 동슬라브족 사이에서는 '크냐제스트보'(), '크냐지우스트보'() 등으로 불렸으며, 전통적으로 공작령 또는 공국으로 번역된다. 키예프 루스가 이에 해당한다.
제1차 불가리아 제국에서는 보리스 1세가 864년 기독교로 개종한 후, 이전의 이교도적 칭호인 '칸'에서 크냐즈로 칭호를 변경했다. 이 칭호는 그의 아들들인 블라디미르 라사테와 시메온 1세에게 이어졌지만, 시메온 1세는 곧 더 높은 칭호인 차르를 사용했다.
플로린 쿠르타에 따르면, 1차 자료들은 기독교화 이전 불가르족의 통치자들을 'rex', 'basileus', 'khagan' 등 다양한 이름으로 언급하고 있다. 오무르타그와 그의 아들 말라미르는 비문에 '카나수비기'로 언급되어 있지만, 2차 자료에서는 거의 항상 '칸'으로 불린다.
키예프 루스에서는 중앙 집권화가 심화되면서 통치자는 ''벨리키 크냐지''(Великий Князь) (대공)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그는 또는 (대공국)을 통치했고, 그 봉신 구성국(''우델'', ''우델노예 크냐지브스트보'' 또는 ''볼로스트'')의 통치자는 ''우델니 크냐지'' 또는 단순히 ''크냐지''라고 불렸다.
13세기에 키예프 루스가 분열되었을 때, 크냐지라는 칭호는 동슬라브족 국가들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키예프 공국, 체르니히우 공국, 노브고로드 공화국 및 그 공, 페레야슬라블 공국, 블라디미르-수зда리, 모스크바, 트베리 공국,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이 그 예이다.[20]
원래 크냐지는 군사 민주주의(ru) 부족의 장을 가리키는 단어였으며, 일족의 연장자를 의미하기도 했다.[27] 이후 크냐지는 루스 등 초기 봉건 국가의 군주를 지칭하게 되었다. 노브고로드 공국의 노브고로드 공이나 폴로츠크 공국의 폴로츠크 공이 이 예에 해당한다. 초기의 크냐지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
크냐지의 권력은 초기에는 종종 선거로 이양되었지만, 점차 혈족 내에서 상속되었다. 대표적인 크냐지 가문으로는 루스(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류리크 왕조, 리투아니아의 게디미나스 왕조・야기에우워 왕조, 폴란드의 피아스트 왕조, 체코(보헤미아)의 프르셰미슬 왕조 등이 있다.
중세 루스와 리투아니아에서는 지역의 여러 공국 중에서 가장 권력을 가진 크냐지가 벨리키 크냐지(대공)의 칭호를 사용했다. 키예프 대공국의 키예프 대공,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리투아니아 대공이 그 예이다. 각 공국 내부의 분할 공국의 군주도 크냐지의 칭호를 사용했지만, 중앙 집권 국가의 발전과 함께 점차 모스크바 대공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병합되었다.
한편, 크냐지 계열에서 킹 계열의 칭호를 사용하게 된 가문도 등장했다. 크로아티아 왕(925년 - ), 폴란드 왕(1025년 - ), 보헤미아 왕(1198년 - ), 세르비아 왕(1217년 - ), 루스 왕[28](1254년 - )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3. 남슬라브 국가
제1차 불가리아 제국에서 보리스 1세는 864년 기독교로 개종한 후 자신의 칭호를 '칸'에서 크냐즈로 변경했다. 19세기, 세르비아어 용어인 ''크네즈''(knez, кнез)와 불가리아어 용어인 ''크냐즈''(knyaz, княз)는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와 불가리아의 알렉산더와 같이 반독립적인 국가의 통치자를 지칭하기 위해 부활했다.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서부 지역에서 ''크네즈''는 19세기까지 마을이나 자드루가의 촌장 또는 읍장의 비공식적인 칭호였다.[26]
바텐베르크 이전에는, ''크냐즈''라는 칭호는 시메온 1세가 제1차 불가리아 제국 (9세기~10세기) 시대에 사용했다. 권력의 절정에 달한 시메온은 "황제"라는 의미의 ''차르'' 칭호를 채택했으며, 1908년 불가리아가 공식적으로 독립한 후에도 불가리아의 통치자들은 이 칭호를 사용했다. 1908년 불가리아 독립 이후, 크냐즈 페르디난트는 차르 페르디난트가 되었고, ''크냐즈''와 ''크냐기냐''라는 단어는 차르의 자녀들에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중세 초기 보스니아에서, ''크냐즈''(''크냐즈, књаз'')는 주판 및 공작(''보이보다'')과 함께 보스니아 통치자에게 사용된 칭호였다. 이후에는 이 시대의 가장 강력한 영주(보스니아에서는 ''브라스텔린'') 여러 명이 이 칭호를 사용했으며, 때로는 군주의 섬김을 통해 개인에게 부여된 직함과 함께 사용되었다. ''크냐즈'' 칭호는 왕자와 동등하다.
''크냐즈(knez)''는 7세기부터 10세기까지 판노니아 크로아티아 공국과 해안 크로아티아 공국의 중세 통치자들이 사용한 군주 칭호였으며, 대부분 라틴어 자료에서 ''두크스(dux)''[21][22]로 불렸으며 드물게는 ''프린켑스(princeps)''[23][24]로 불렸고, 영어 자료에서는 '공작(Dukes)'으로 번역되었다. ''크냐즈(knez)''[25]는 중세 후기에 크로아티아의 봉건 귀족 가문이 사용한 세습 칭호였다.
마케도니아 역사학에서 중세 시대 지역 지도자에게 사용된 칭호이다.
'''크냐즈'''(књаз)는 1852년부터 1905년 몬테네그로 공국에서 페트로비치-네고스 왕조가 사용한 통치자 칭호로, "공"으로 번역된다.
''크네즈''(knez, кнез) 또는 ''크냐즈''(knjaz, књаз)는 세르비아 역사에서 중세 초기의 세르비아 통치자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며, 이들은 그리스어로 ''아르콘''으로 불렸다. ''크네즈''(knez, кнез) 또는 ''크냐즈''(knjaz, књаз)는 세르비아 공국, 두클랴의 중세 통치자들이 사용한 귀족 칭호였다. ''크네즈''(knez, кнез)는 오스만 제국 아래의 세르비아 지역 지도자들이 사용한 칭호였다.[26]
''오보르-크네즈''(obor-knez, обор-кнез)는 오스만 제국의 스메데레보 산자크의 ''나히야''에서 선출된 세르비아 지역 지도자들이 사용한 칭호였다. ''크네즈''(knez, кнез) 또는 ''크냐즈''(knjaz, књаз)는 밀로시 오브레노비치가 세르비아 공국에서 사용한 군주 칭호였으며, "공작"으로 번역된다. ''크네제비나 스르비야''(Kneževina Srbija, Кнежевина Србија)로 알려진 세르비아는 1817년부터 사실상 독립했으며, 1869년 헌법으로 법적으로 독립했다. 밀로시의 후계자들은 1882년 세르비아가 왕국으로 승격될 때까지 이 칭호를 사용했다.
근세·근대의 발칸 반도에서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에 걸쳐 원수가 크냐지의 칭호를 사용한 국가가 여러 개 등장했다. 구체적으로는 세르비아 공국(1817년 - 1882년), 몬테네그로 공국(1852년 - 1910년), 불가리아 공국(1878년 - 1908년)이다.
3. 4. 근대 이후
러시아 차르국이 옛 키예프 루스의 상당 부분을 지배하게 되면서, 1547년 벨리키 크냐지(대공) 이반 4세가 차르로 즉위했다. 18세기 중반부터 벨리키 크냐지라는 칭호는 러시아 황제의 (남자 혈통) 아들과 손자를 지칭하는 데 부활했다. 자세한 내용은 차르 가문의 칭호를 참조하면 된다.
18세기부터 이 칭호는 차르에 의해 가끔 수여되었는데, 처음에는 표트르 대제가 그의 측근 알렉산드르 멘시코프에게, 그 다음에는 예카테리나 대제가 그녀의 연인 그리고리 포템킨에게 수여했다. 1801년 조지아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면서, 수많은 현지 귀족들의 다양한 칭호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방식으로 러시아어 "크냐지"로 번역되었다.
1809~1917년 러시아 제국 내에서 핀란드는 공식적으로 ''핀란드 대공국''(Suomen suuriruhtinaskunta|수오멘 수루루흐티나스쿤타fi, Storfurstendömet Finland|스토르푸르스텐되메트 핀란드sv, Великое Княжество Финляндское|벨리코예 크냐제스트보 핀랸츠코예ru)으로 불렸다.러시아어 영어 유사어 (대략) 18세기 이후의 영어 유사어 크냐지 (князь) 왕, 공작 공작 크냐기냐 (княгиня) 여왕, 공작부인 공주 크냐지치 (княжич) 왕자 (왕의 아들), 공작의 아들 공작 (공작의 아들) 크냐즈나 (княжна) 공주 (왕의 딸), 공작의 딸 공주 (공작의 딸)
근세·근대 러시아에서는 18세기까지 크냐지의 칭호는 부계 조상으로부터 상속받아야만 가질 수 있었지만, 18세기 초부터 황제가 고위 귀족에게 하사하게 되었다. 처음으로 하사받은 인물은 알렉산드르 멘시코프이다. 원래 독립 국가의 군주 칭호였던 크냐지가 왕보다 하위의 공작으로 번역되는 것은 이러한 사정 때문이다. 그 후, 크냐지의 칭호는 1917년의 정령(ru)에 의해 폐지되었다.
근세·근대 발칸 반도에서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에 걸쳐 국가 원수가 크냐지의 칭호를 사용한 국가가 여러 개 등장했다. 구체적으로는 세르비아 공국(1817년~1882년), 사모스 공국(1834년~1912년), 몬테네그로 공국(1852년~1910년), 불가리아 공국(1878년~1908년), 알바니아 공국(1914년~1925년), 핀도스 공국・마케도니아 공국(1941년~1944년)이다.
4. 각 언어별 표기
언어군 언어 표기 비고 슬라브어파 러시아어 князь|크냐지ru 우크라이나어 князь|크냐지uk 벨라루스어 князь|크냐지be 폴란드어 książę|크시엥제pl[32] 체코어 kníže, kněz|크네스cs 슬로바키아어 kňaz|크냐스sk 세르비아어 кнез|크네즈sr 크로아티아어 knez|크네즈hr 슬로베니아어 knez|크네즈sl 불가리아어 княз|크냐즈bg 슬라브어파 이외 루마니아어 cneaz|크네아즈ro 헝가리어 kenéz|케네즈hu 추바슈어 князь|크냐지cv 오세트어 князь|크냐지os 타타르어 kenäz|케냐즈tt 사미어 gonagas|고나가스se 또는 konagas|코나가스se 스칸디나비아 언어를 거쳐 온 것으로 추정 리투아니아어 kunigaikštis|쿠니가이크슈티스lt 독일어 또는 폴란드어를 거쳐 온 것으로 추정 라트비아어 kungs|쿵스lv 씨, 전하 등의 경칭의 의미. 독일어 또는 폴란드어를 거쳐 온 것으로 추정
이 단어는 원시 슬라브어 '*kъnędzь*'에서 유래했으며, 영어의 "King", 독일어의 "König", 스웨덴어의 "Konung"과 어원이 같다.[7] 일반적으로 원시 게르만어 ''kuningaz''에서 유래한 초기 차용어로 간주되며,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에서도 차용되었다(''kuningas'').[3][9]
체르냐호프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설과, 게르만조어의 어근 *kuning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독일어 König|쾨니히de, 영어 king, 러시아어 король|코롤ru 등과 어원이 같다는 설이 있다.[29][30][31]
일부 슬라브어파 언어에서는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가 파생되었다. 불가리아어의 кнез|크네즈bg(연장자),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knez, ksiąz|크시엥즈pl(사제) 등이 있다.
참조
[2]
문서
Даль В.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живого велико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4-х т. М., 1956. Т. 2, с. 126; Рабинович М. Г. Очерки этнографии феодального города. М., 1978, с. 228.
[3]
웹사이트
князь". "Vasmer's Etymological Dictionary" online
http://starling.rine[...]
[4]
문서
Фроянов И. Я. Киевская Русь. Л., 1980. С. 17
[5]
학술지
Najstariji hrvatski glagoljski natpisi
https://hrcak.srce.h[...]
Old Church Slavonic Institute
2024-10-21
[6]
학술지
Milan Moguš i Bašćanska ploča
https://hrcak.srce.h[...]
2024-10-21
[7]
문서
Etimologijski Rje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1972
[8]
문서
Slovnik Jazyka Staroslověnskeho: Lexicon Linguae Palaeoslavonicae
1958
[9]
웹사이트
knez
http://dictionary.oe[...]
1989
[10]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Poland-Lithuania: Volume 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11]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5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ithu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
[13]
서적
Types on Russian Coins of the XIV and XV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1978
[14]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1
[15]
학술지
СЪРБИЯ В ПОЛИТИКАТА НА КНЯЗ КНЯЗ БОРИС-МИХАИЛ (852 – 889) И ЦАР СИМЕОН ВЕЛИКИ (893 – 927)
https://liternet.bg/[...]
2009-05-24
[16]
문서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Chapter 32.
[17]
서적
Николов, Г., Централизъм и регионализъм в ранносредновековна България (края на VII – началото на XI в.), Академично издателство „Марин Дринов“, София 2005
[18]
서적
Гюзелев, В., Кавханите и ичиргу-боилите на българското ханство-царство (VII – XI в.), Фондация Българско историческо наследство; Пловдив 2007
[19]
서적
The medieval networks in East Central Europe : commerce, contacts, communication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19
[20]
웹사이트
Великий князь // Слова давно минувших дней. Энциклопедия русской старины (speakrus.ru)
http://www.speakrus.[...]
[21]
웹사이트
Borna
http://hbl.lzmk.hr/c[...]
Croatian Biographical Lexicon by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online edition)
2017-10-17
[22]
웹사이트
Trpimir I
http://hbl.lzmk.hr/c[...]
Croatian Biographical Lexicon by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online edition)
2017-10-17
[23]
웹사이트
Domagoj
http://hbl.lzmk.hr/c[...]
Croatian Biographical Lexicon by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online edition)
2017-10-17
[24]
웹사이트
Branimir
http://hbl.lzmk.hr/c[...]
Croatian Biographical Lexicon by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online edition)
2017-10-17
[25]
웹사이트
knez
http://enciklopedija[...]
Croatian Encyclopedia by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online edition)
2017-10-17
[26]
서적
The Balkans Since 1453
C. Hurst & Co. Publishers
[27]
문서
Даль В.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живого велико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4-х т. М., 1956. Т. 2, с. 126; Рабинович М. Г. Очерки этнографии феодального города. М., 1978, с. 228.
[28]
서적
物語ウクライナの歴史
中央公論新社
2002
[29]
문서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1959
[30]
문서
Russ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Winter, Heidelberg
1953—1958
[31]
문서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славянских языков
[32]
웹사이트
князь
https://en.pons.com/[...]
PONS
2021-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