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 (중국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高)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성씨로, 기원은 다양하다. 중국에서는 강(姜)씨에서 유래된 경우가 많으며, 고원(高元)을 시조로 하는 설도 있다. 고씨는 선비족, 북위, 북제 등 여러 민족과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고구려 왕족도 이 성을 사용했다. 한국에서는 고구려 왕족의 성씨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도 고(高)씨가 존재한다. 베트남에서도 Cao(고)씨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성씨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중국의 성씨 - 백가성
    백가성은 중국 성씨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남송 시대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송나라 초기에 항저우 지역에서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504개의 성씨로 구성되어 '조전손이'로 시작하며 한국에도 영향을 주었고 현대 중국에는 희귀한 성씨들도 존재한다.
고 (중국 성씨)
성씨 정보
고 성씨의 필순
고(高) 성씨의 필순
발음고 (표준 중국어)
언어중국어
언어 기원고대 중국어
의미높음, 키 큼
이형고, 카오 (표준 중국어)
관련 성씨까오, 고
한자 정보
간체자
정체자
병음Gāo
주음부호ㄍㄠ
웨이드-자일스Kao
객가어Kau1
광둥어Gou1
민난어Ko
베트남어카오
쯔놈

2. 기원

여씨춘추에 따르면, 고씨 성을 가진 가장 초기의 인물은 고원(高元)으로, 고대 시대에 거주지를 만들었다.[2] 전욱은 황제의 손자로, 고양(高陽)이라고도 불렸다.

고씨의 또 다른 기원은 강(姜) 성씨이다. 송나라 백과사전인 통지에 따르면, 초기 조상은 고계(高傒)였는데, 그의 할아버지인 고공자(公子高)를 기리기 위해 고씨 성을 하사받았다.[3] 고공자는 제나라 문공의 아들이며, 조상 성씨는 강(姜)이었다.[4]

많은 비한족(非漢族)들이 고씨 성을 사용했다. 선비족의 루(楼) 씨족은 북위 시대에 성을 고(高)로 바꾸었다. 원(元)씨 가문도 이 시기에 이 성을 채택했다. 북제 시대의 서(徐)씨 가문, 운남(雲南)의 백폭(百濮) 사람들도 고씨 성을 사용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 왕은 자신의 성을 "고"(한자: '''高''')라고 불렀으므로, 황제의 손자인 고양(한자: '''高'''陽)과 황제의 증손자인 고신(한자: '''高'''辛)의 후손이라고 자처하며 중국 영웅의 후손으로 여겼다.[5][6][7][8][9] 그러나, 이는 김부식이 한국의 고씨 성이 부여에서 유래했다고 언급하며 신화로 일축되었다.[10]

; 고(高)씨 이족(高夷族)


  • 여씨춘추』 물궁 편에 "고원작실(高元作室)"이라 하여, 고원이라는 인물이 황제를 위해 집을 발명하여 인류 역사상 동굴 거주 시대를 종결시킨 공헌자라고 전해진다.


; 강성 고씨(姜姓高氏)

  • 제의 문공(강적)의 아들이 고(현재의 허난성 쉬창시 위저우)에 봉해져 "공자고(公子高)"라고 칭한 것이 고씨의 시작이라고 한다. 공자고의 손자인 고계는 공족계의 태부로서, 종가인 환공이 패자로 칭해지는 것을 보좌했다.

  • * 이 후손인 고홍이 건안 12년(207년)에 발해 태수가 되어, 수현(현재의 허베이성 헝수이시 징현)에 있었으며, 당시 망족이었고, 후손이 많아 발해를 군호로 삼았다. 즉 발해 고씨의 시작이다. 발해 고씨의 자손 중에는 일본시마즈씨에 종사한 복건성 장주부 출신의 의사 고수각이 있으며, 그의 아들인 고대송은 간에이 20년(1643년)에 당통사가 되어 발해(후에 후카미로 개칭)로 개명하여 일본으로 귀화했다고 하며[14], 이후 대대로 막신이 되었다고 한다.


; 성씨 개명

  • 북제서』에 "북제 문선제는 성이 고(高)이고 이름이 양(洋)이다. 당시 원경안, 원문요는 본래 선비족이었는데, 한(漢) 성씨 원(元)으로 개명하였으나 북제에 공이 있어 고양(高洋)이 성을 고(高)로 하사하여, 그 후 고씨가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위서』에 "후연 황제 모용운은 본래 선비족으로, 스스로 고양씨의 후예라고 칭하며 성을 고(高)로 고치고, 이름은 고운으로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북위의 효문제가 낙양으로 천도한 후, 선비의 두 자 성씨인 시루씨를 고씨로 개명하였다[15]
  • 북제의 중신 고륭지는 원래 성이 서씨였으나, 고씨에게 길러졌고, 고씨와의 교류가 두터워 고씨로 개명하였으며, 후에 망성으로 개명하였다[15]

2. 1. 한국

여씨춘추에 따르면, 고씨 성을 가진 가장 초기의 인물은 고원(高元)으로, 고대 시대에 거주지를 만들었다.[2] 전욱은 황제의 손자로, 고양(高陽)이라고도 불렸다.

고씨의 또 다른 기원은 강(姜) 성씨이다. 송나라 백과사전인 통지에 따르면, 초기 조상은 고계(高傒)였는데, 그의 할아버지인 고공자(公子高)를 기리기 위해 고씨 성을 하사받았다.[3] 고공자는 제나라 문공의 아들이며, 조상 성씨는 강(姜)이었다.[4]

많은 비한족(非漢族)들이 고씨 성을 사용했다. 선비족의 루(楼) 씨족은 북위 시대에 성을 고(高)로 바꾸었다. 원(元)씨 가문도 이 시기에 이 성을 채택했다. 북제 시대의 서(徐)씨 가문, 운남(雲南)의 백폭(百濮) 사람들도 고씨 성을 사용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 왕은 자신의 성을 "고"(한자: '''高''')라고 불렀으므로, 황제의 손자인 고양(한자: '''高'''陽)과 황제의 증손자인 고신(한자: '''高'''辛)의 후손이라고 자처하며 중국 영웅의 후손으로 여겼다.[5][6][7][8][9] 그러나, 이는 김부식이 한국의 고씨 성이 부여에서 유래했다고 언급하며 신화로 일축되었다.[10]

방언 또는 형식음역 또는 발음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Go (Revised Romanization)


2. 2. 중국

중국의 고(高)씨는 강성(姜姓) 계통이 대다수(90% 이상)를 차지한다. 제나라 왕 강태공의 6세손인 제 문공의 아들 공자고의 이름으로 손자 혜(傒)가 제환공의 명을 받아 고씨 성으로 변경하였고,[3][4] 이후 제나라의 노현(盧縣)에 봉읍을 받으면서, 후손들이 봉읍의 이름에서 따서 노씨(盧氏)를 성으로 삼았다. 그래서, 고혜는 중국 고씨의 시조이자 중국, 한국 노씨의 시조이기도 하다. 여씨춘추에 따르면, 고씨 성을 가진 가장 초기의 인물은 고원(高元)으로, 고대 시대에 거주지를 만들었다.[2]

강성 고씨의 후손인 고홍은 건안 12년(207년)발해군 태수가 되어 수현(현재의 허베이성 헝수이시 징현)에 있었으며, 당시 망족이었고 후손이 많아 발해를 군호로 삼았다. 즉 발해 고씨의 시작이다. 발해 고씨 자손 중에는 일본시마즈씨에 종사한 복건성 장주부 출신의 의사 고수각이 있으며, 그의 아들인 고대송은 간에이 20년(1643년)에 당통사가 되어 발해(후에 후카미로 개칭)로 개명하여 일본으로 귀화했다고 하며,[14] 이후 대대로 막신이 되었다. 강성 고씨의 지족에는 범양노씨가 있으며, 후한노식이 그 후손이다.

황제(黃帝)의 손자인 전욱은 고양(高陽)이라고도 불렸다.[2]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 왕은 자신의 성을 "고"(한자: '''高''')라고 불렀으므로, 고양(한자: '''高'''陽)과 황제의 증손자인 고신(한자: '''高'''辛)의 후손이라고 자처하며 중국 영웅의 후손으로 여겼다.[5][6][7][8][9] 그러나, 이는 김부식이 한국의 고씨 성이 부여에서 유래했다고 언급하며 신화로 일축되었다.[10]

많은 비한족(非漢族)들도 고씨 성을 사용했다.

  • 선비족의 루(楼) 씨족은 북위 시대에 성을 고(高)로 바꾸었다. 원 (元)씨 가문도 이 시기에 이 성을 채택했다.
  • 북제 시대의 서 (徐)씨 가문
  • 운남(雲南)의 백폭 (百濮) 사람들
  • 후연 황제 모용운은 본래 선비족으로, 스스로 고양씨의 후예라고 칭하며 성을 고(高)로 고치고, 이름은 고운으로 하였다.
  • 북위의 효문제가 낙양으로 천도한 후, 선비의 두 자 성씨인 시루씨를 고씨로 개명하였다.[15]
  • 북제의 중신 고륭지는 원래 성이 서씨였으나, 고씨에게 길러졌고, 고씨와의 교류가 두터워 고씨로 개명하였으며, 후에 망성으로 개명하였다.[15]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 민족 중 십수 개 민족에서 고(高)씨 성을 찾아볼 수 있으며, 백족토가족에서는 최대 성씨이다.

중국 한족(漢族) 강성계 고씨는 한국의 고씨와는 연관이 전혀 없으며, 고씨는 2019년 현재 중국대륙에서 성씨 인구 1,600만명으로 중국 성씨 인구순위 19위에 랭크되어 있는 대성(大姓)이다. 2020년 제7차 전국 인구 조사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20번째로 흔한 성씨이며, 1,412.64만 명이 있다.[11][12] 중국 고씨는 중국은 물론 타이완,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 복건성 안계현은 고성촌으로서 동남아 고씨들의 주요 원적지이다. 대만의 2018년 통계에서는 30위로 181,471명이 있으며, 그 외에 「髙」(다카하시)는 1,050명이 있다.[13] 그 외에 강씨의 제나라가 멸망후 강씨와 고씨 등 강성(姜姓)계 성씨들이 한반도와 일본으로 대거 이동하였는데, 현재 일본의 성씨 중 다카하시(高橋), 다카(高)씨 등 '高'가 들어가는 일본성씨는 한족 강성(姜姓)계 고씨의 후손이라는 구전이 전한다.

방언 또는 형식음역 또는 발음
만다린Gāo (한어 병음); Kao1 (웨이드-자일스)
광둥어Gou1 (예일 로마자)
민난어Ko (백화자)
일본어
베트남어Cao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Go (Revised Romanization)
영어Kauh


2. 3. 일본

일본에서 고(高)씨는 Kō로 음역된다.[2]

덴무 천황의 자손인 다카시나 씨(다카시나노 마히토, 다카시나노 아손 등)나 고쿠니노 미야쓰코와 관련된 씨족, 또는 귀화인을 기원으로 존재하고 있다.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집사인 고노 모로나오는 다카시나 씨의 후손으로, 고(こう) 씨를 칭하는 혈통으로 알려져 있다.[3] 고노 모로나오, 고노 모로야스, 고노 모로후유등이 고씨이다.

왜한 씨족의 고 씨는 『사카노우에 씨 계도』에 "아치노 오미를 따라 귀화한 7성 한인의 하나로 히노무라노 주인 조상이다"라고 적혀 있다.

고려 귀화족의 고 씨는 다음과 같다.

  • 고노 무라지 - 호키 7년 정월기에 "고노 무라지 다카누시"라는 사람이 보인다.
  • 고노 후히토 - 덴표 14년의 후루이치 향 계장에 "고노 후히토 카타메"라는 사람이 보인다. 또한, 『신찬성씨록』의 좌경 제번에 "고노 후히토는 고구려국 원라나기왕 9세손 연나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다.
  • 다이호 원년 8월기에 "칙승 혜요, 신성, 동루, 모두 환속하여 본성을 회복하고 대도 각 1명, 혜요의 성은 해, 이름은 형마로, 신성의 성은 고, 이름은 금장"이라고 보이며, 『신찬성씨록』 좌우 제번에는 "고 씨는 고구려국 종5위하 고전장의 후손이다"라고 보인다.
  • 진키 원년 5월기에 "정8위상 고정승(사성) 미카사노 무라지, 종8위상 고익신, 남자 구연, 정7위하 고창무, 식츠키노 무라지, 훈12등 고록덕, 기요하라노 무라지"라고 적혀 있으며, 또한 『신찬성씨록』 좌경 제번에 "고 씨는 고구려국인 고조근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다.
  • 일본으로 귀화한 전·후부 고 씨


백제 귀화족의 고 씨는 덴표호지 5년 3월기에 "백제인 고우시 등 8인(사성) 정야노 조"라고 적혀 있다. 그 외, 일본 이외의 고 씨 성을 가진 자가 일본에 귀화했을 때 그대로 칭했다.

신찬성씨록』에 실린 무성의 고 씨는 고조근을 조상으로 하는 것과 고킨조를 조상으로 하는 2가지가 있지만, 전자는 조상인 고조근 자체가 불상인 인물이다. 후자인 고킨조는 신래[16]이다.

2. 4. 베트남

고(Cao)는 베트남의 성씨 중 하나이다.[10]

3. 역사적 인물

중국의 제나라의 황제 강태공의 9세손 고혜(高傒)를 고씨의 득성 시조로 하여 강성 중국고씨는 현재 70여대까지 이어지게 되는데, 그 중 강태공의 51세손이자 북제의 태조 황제인 고양(高洋)이 있다. 문선황제 고양의 부친인 고환은 위진남북조 시기 북제의 추존황제이며, 북제 1대 황제 고양으로 시작하여 2대 황제 고은, 3대 황제 고연, 4대 황제 고담, 5대 황제 고위, 6대 황제 고형까지 황위를 이어오다가 형제끼리 피를 부르는 황위 다툼과 주색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못하는 등 국력이 쇠퇴하여 결국 북주에 의해 멸망당했다. 고양은 어릴적부터 비범함을 갖추고 태어난 인물로서 '쾌도난마'라는 고사성어는 이때 나온 것이다.


  • 고양 북제의 창건 황제
  • 고은 북제의 두 번째 황제
  • 고연 북제의 세 번째 황제
  • 고담 북제의 네 번째 황제
  • 고위 북제의 다섯 번째 황제
  • 고형 북제의 여섯 번째 황제
  • 고운 (북연), 북연 왕조의 창건 황제
  • 고징 중국/선비족 국가 동위의 최고 관료
  • 고안공 북제의 관료
  • 고환 중국/선비족 왕조 북위와 북위의 분지 국가인 동위의 최고 장군
  • 고소의 중국 왕조 북제의 황족
  • 고연종 중국 왕조 북제의 황족
  • 고실련, 당나라 시대의 재상
  • 고순, 후한 말 군벌 여포 휘하의 무장
  • 고경, 수나라 시대의 관료
  • 고운 (북위), 북위 시대의 관료
  • 고선지, 당나라 시대의 한국계 장군
  • 고경, 북송 시대의 장군
  • 고(Gao), 기타리스트

3. 1. 한국

고(高)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다.

중국 문헌에 따르면, 고(高)씨는 춘추 시대 제(齊)나라 강소백(姜小白)의 아들 공자(公子) 고(高)의 후손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고양북제를 창건한 황제이다. 고은은 북제의 두 번째 황제였다. 고연은 북제의 세 번째 황제였다. 고담은 북제의 네 번째 황제였다. 고위는 북제의 다섯 번째 황제였다. 고형은 북제의 여섯 번째 황제였다.

고운 (북연)은 북연 왕조의 창건 황제이다. 고징은 중국/선비족 국가 동위의 최고 관료였다. 고안공은 북제의 관료였다. 고환은 중국/선비족 왕조 북위와 북위의 분지 국가인 동위의 최고 장군이었다. 고소의는 중국 왕조 북제의 황족이었다. 고연종은 중국 왕조 북제의 황족이었다.

고실련은 당나라 시대의 재상이었다. 고순은 후한 말 군벌 여포 휘하의 무장이었다. 고경은 수나라 시대의 관료였다. 고운 (북위)는 북위 시대의 관료였다. 고선지당나라 시대의 고구려 유민 출신 장군이었다. 고경은 북송 시대의 장군이었다.

3. 2. 중국

중국에서 고(高)씨는 제나라 황제 강태공의 9세손 고혜(高傒)를 시조로 한다. 강성 중국고씨는 현재 70여대까지 이어지는데, 강태공의 51세손이자 북제의 태조 황제인 고양(高洋)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고양의 부친인 고환은 북제의 추존황제이다. 북제는 고양을 시작으로 고은, 고연, 고담, 고위, 고형까지 황위를 이었으나, 형제간의 황위 다툼과 황제의 주색으로 인해 국력이 쇠퇴하여 북주에 멸망했다. 고양은 '쾌도난마'라는 고사성어를 만든 인물로 알려져있다.

그 외 주요 인물로는 북연 왕조의 창건 황제 고운 (북연), 동위의 최고 관료 고징, 북제의 관료 고안공, 동위의 최고 장군 고환, 북제의 황족 고소의와 고연종, 당나라 시대의 재상 고실련, 후한 말 군벌 여포 휘하의 무장 고순, 수나라 시대의 관료 고경, 북위 시대의 관료 고운 (북위), 당나라 시대의 한국계 장군 고선지, 북송 시대의 장군 고경 등이 있다.

3. 3. 일본

덴무 천황의 자손인 다카시나 씨(다카시나노 마히토, 다카시나노 아손 등)나 고쿠니노 미야쓰코와 관련된 씨족, 또는 귀화인을 기원으로 존재하고 있다.

  • 다카시나 씨의 후손에게 고(こう) 씨를 칭하는 혈통이 있으며,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집사인 고노 모로나오가 알려져 있다.
  • 고쿠니노 미야쓰코의 자손
  • 왜한 씨족의 고 씨 - 『사카노우에 씨 계도』에는 "아치노 오미를 따라 귀화한 7성 한인의 하나로 히노무라노 주인 조상이다"라고 적혀 있다.
  • 고려 귀화족의 고 씨
  • * 고노 무라지 - 호키 7년 정월기에 "고노 무라지 다카누시"라는 사람이 보인다.
  • * 고노 후히토 - 덴표 14년의 후루이치 향 계장에 "고노 후히토 카타메"라는 사람이 보인다. 또한, 『신찬성씨록』의 좌경 제번에 "고노 후히토는 고구려국 원라나기왕 9세손 연나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다.
  • * 다이호 원년 8월기에 "칙승 혜요, 신성, 동루, 모두 환속하여 본성을 회복하고 대도 각 1명, 혜요의 성은 해, 이름은 형마로, 신성의 성은 고, 이름은 금장"이라고 보이며, 『신찬성씨록』 좌우 제번에는 "고 씨는 고구려국 종5위하 고전장의 후손이다"라고 보인다.
  • * 진키 원년 5월기에 "정8위상 고정승(사성) 미카사노 무라지, 종8위상 고익신, 남자 구연, 정7위하 고창무, 식츠키노 무라지, 훈12등 고록덕, 기요하라노 무라지"라고 적혀 있으며, 또한 『신찬성씨록』 좌경 제번에 "고 씨는 고구려국인 고조근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다.
  • * 일본으로 귀화한 전·후부 고 씨
  • 백제 귀화족의 고 씨 - 덴표호지 5년 3월기에 "백제인 고우시 등 8인(사성) 정야노 조"라고 적혀 있다.
  • 그 외, 일본 이외의 고 씨 성을 가진 자가 일본에 귀화했을 때 그대로 칭했다.
  • 신찬성씨록』에 실린 무성의 고 씨는 고조근을 조상으로 하는 것과 고킨조를 조상으로 하는 2가지가 있지만, 전자는 조상인 고조근 자체가 불상인 인물이다. 후자인 고킨조는 신래.

3. 4. 베트남

고양은 북제의 창건 황제이다. 고은은 북제의 두 번째 황제이다. 고연은 북제의 세 번째 황제이다. 고담은 북제의 네 번째 황제이다. 고위는 북제의 다섯 번째 황제이다. 고형은 북제의 여섯 번째 황제이다. 고운 (북연)은 북연 왕조의 창건 황제이다. 고징은 중국/선비족 국가 동위의 최고 관료였다. 고안공은 북제의 관료였다. 고환은 중국/선비족 왕조 북위와 북위의 분지 국가인 동위의 최고 장군이었다. 고소의는 중국 왕조 북제의 황족이었다. 고연종은 중국 왕조 북제의 황족이었다. 고실련은 당나라 시대의 재상이었다. 고순은 후한 말 군벌 여포 휘하의 무장이었다. 고경수나라 시대의 관료였다. 고운 (북위)는 북위 시대의 관료였다. 고선지당나라 시대의 한국계 장군이었다. 고경북송 시대의 장군이었다. 고(Gao)는 기타리스트이다. 고춘육/高春育중국어(까오 쑤언 득)은 응우옌 왕조의 역사가이다. 고백적/高伯适중국어(까오 바 꽌)은 응우옌 왕조의 시인, 민족 운동가이다. 고문원/Cao Văn Viên영어(까오 반 비엔)은 베트남 공화국의 군인이다. 까오 응옥 퐁 린은 유도 선수이다. 조지프 까오(고광영)는 미국의 정치인이다.

4. 현대 인물

앨리스 롱유 가오(Alice Longyu Gao)는 중국 음악가이다. 가오청융(1964–2019)은 중국 연쇄 살인범이다. 가오 더나(Donald Knuth)는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가오강(高岗)은 중국 공산당 지도자였다. 가오 하뉘(Kido, 1989년 출생)는 중국 배우 겸 가수이다. 가오 홍(高洪)은 비파 연주자 겸 작곡가이다. 가오젠푸(高劍父)는 링난 화파(嶺南畫派)의 창시자이다. 가오젠리(高漸離)는 주 연주자이자 경가(荊軻)의 친구였다. 가오지싱(高季興)은 징난(荊南)의 왕이었다. 가오 쥔(高軍)은 중국계 미국 탁구 선수이다. 가오 레이(1992년 출생)는 중국 올림픽 트램폴린 체조 선수이다. 가오 린(高林)은 중국 프로 축구 선수이다. 가오 링(高崚)은 중국 배드민턴 선수이다. 가오 민 (사이클 선수)는 중국 사이클 선수이다. 가오 민 (다이버)는 중국 다이빙 선수이다. 가오 치펑(高奇峰)은 링난 화파(嶺南畫派)의 창시자이다. 가오 추(高俅)는 수호전의 등장인물이다. 가오 슈잉(高淑英)은 중국 장대높이뛰기 선수이다. 가오 송(高嵩)은 중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가오 웨이광(1983년 출생)은 중국 배우 겸 모델이다. 가오 시에(高燮)는 서예가, 화가, 시인, 작가, 서적 수집가였다. 가오 싱젠(高行健)은 2000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다. 가오 시우민 (배우)(1959–2005)는 중국 코미디 배우였다. 가오 시우민 (핸드볼 선수)(1963년 출생)은 전 중국 여자 핸드볼 선수였다. 가오 쉬(高旭)는 시인, 작가, 출판인, 혁명가였다. 가오 양 (동음이의)은 여러 명의 인물을 지칭한다. 가오 야오지에(1927–2023)는 중국 유전학자였다. 가오 이한(高一涵)은 지식인이었다. 가오 이성(高一聲)은 중국 내가(內家) 무술인 팔괘장(八卦掌)의 가오(高) 스타일 창시자였다. 가오 유신(高友新, 1916-1948)은 항일 전쟁/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중국 공군의 에이스 전투기 조종사였다. 고드프리 가오(1984-2019)는 대만계 캐나다 모델 겸 텔레비전 배우였다. 가오 위안위안(1979년 출생)은 중국 배우 겸 모델이다. 가오 즈항(高志航, 1906-1937)은 항일 전쟁/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중국 공군의 에이스 전투기 조종사였다. 가오 즈성(高智晟)은 활동가이다. 가오 즈뉘(1995년 출생)는 한국계 중국 축구 선수이다. 가오 자이닝(高嘉朗)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크로스진의 전 멤버이자, 프로듀스 캠프 2019의 참가자이다. 주디 가오(1994년 출생)는 뉴질랜드 패션 디자이너 겸 체스 선수이다. 컬리 가오(Curley Gao)는 싱어송라이터이자, 본본걸스 303의 센터이며, 프로듀스 캠프 2020 데뷔 걸그룹 멤버이다. 가오 칭천(高卿塵)은 태국계 중국 배우 겸 가수이자, 다국적 중국 그룹 INTO1 멤버이며, 프로듀스 캠프 2021 데뷔 보이 그룹 멤버이다. 찰스 K. 가오(1933–2018)는 광섬유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 발명가로, 2009년 노벨 물리학상의 절반을 수상했다. 잭 카오 (Jack Kao)는 대만 배우이다. 가오밍후이 (Kao Ming-huey)는 중화민국 스카우트 연맹 국제 위원이다. 가오양성 (Kao Yang-sheng)은 전 중화민국 원주민위원회 정무 부부장이었다. 민 카오 (Min Kao)가 있다. 핑쩌 가오 (Ping-Tse Kao, 1888–1970)는 대만 천문학자였다. 헨리 가오 (Henry Kao, 1913-2005)는 전 타이베이 시장, 장관 및 중화민국 (대만) 대통령 선임 고문이었으며, 일본 와세다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은 최초의 대만인이었다. 고노 모로나오가 있다. 고노 모로야스가 있다. 고노 모로후유가 있다. 조셉 카오가 있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新京报 - 好新闻,无止境 http://www.bjnews.co[...]
[2] 문서 《呂氏春秋·勿躬篇》 http://ctext.org/dic[...]
[3] 문서 Tongzhi
[4] 서적 Origins of Chinese Names https://books.google[...] Asiapac Books
[5] 서적 三國史記 卷第二十八 百濟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Database
[6] 서적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Database
[7] 서적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의자왕 義慈王 http://terms.naver.c[...] 한국인문고전연구소
[8] 서적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광개토왕 廣開土王 http://terms.naver.c[...] 한국인문고전연구소
[9]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10] 서적 Establishing a Pluralist Society in Medieval Korea, 918-1170: History, Ideology, and Identity in the Koryŏ Dynasty. Brill 2014
[11] 웹사이트 中国信息报 2022年11月11日 2版 - “百家姓”规模及其占全国总人数比重 http://www.zgxxb.com[...] 中国信息报 2023-02-11
[12] 웹사이트 “百家姓”人口占全国人口比重达84.55% http://www.zgxxb.com[...] 2023-02-11
[13] 웹사이트 全國姓名統計分析 https://www.ris.gov.[...] 中華民国内政部 2023-01-18
[14] 문서 炎黄源流史 江西教育
[15] 문서 中国姓氏起源 山東大学出版社
[16] 서적 国司任用からみた新来渡来人と古代の日本 世界人権問題研究センター 199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