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카오의 역사는 6,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처음에는 중국의 일부였다. 16세기 초 포르투갈인이 마카오에 도착하여 무역 거점을 마련했고, 이후 가톨릭 포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849년 포르투갈은 마카오를 식민지화했고, 1887년에는 영구적인 점유를 승인받았지만, 주권은 중국에 있었다. 1999년 12월 20일 마카오는 중국에 반환되어 특별 행정구가 되었고,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마카오는 본래 중국 광둥성 중산 시의 일부였으나, 16세기 초 포르투갈인이 도래하여 명나라와의 교역 거점으로 삼으면서 역사의 전면에 등장했다. 초기 포르투갈인들은 중국의 주권 하에 마카오 거류권을 얻어 활동했으며[61], 이곳은 중국과 일본, 동남아시아, 유럽을 잇는 해상 무역의 중요 중계지이자 가톨릭 교회의 아시아 포교 거점으로 번성했다.
마카오는 16세기 이후 중일 무역의 중개지로서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나, 17세기와 18세기에는 쇠퇴를 겪었다. 19세기에는 아편 전쟁 이후 홍콩에 무역 중심지 지위를 잃었고, 도박업을 합법화하여 경제를 유지했다. 2002년 카지노 경영권을 개방한 이후, 중국 본토 관광객 증가와 더불어 카지노 산업이 마카오 경제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2. 역사
17세기 일본의 쇄국과 명청 교체기의 혼란으로 잠시 쇠퇴하기도 했으나, 이후 청나라의 광동 무역 체제 하에서 제한적인 무역항이자 서양 상인들의 휴양지 역할을 수행했다. 19세기 아편 전쟁 이후 영국이 홍콩을 차지하자 포르투갈 역시 마카오에 대한 완전한 통치권을 확보하려 했고, 1887년 중포 화호 통상 조약을 통해 마카오를 영구적으로 점유할 권리를 인정받았다. 다만 이는 통치권에 한정되었고, 마카오의 주권은 여전히 중국에 남아 있었다는 평가가 있다. 무역 중심지로서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마카오는 카지노를 중심으로 한 도박 산업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포르투갈의 중립 정책으로 마카오는 전화를 피할 수 있었으나, 전후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과 1966년 12·3 사건 등은 마카오 내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62] 1974년 포르투갈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일어나 민주 정부가 들어서면서 해외 식민지 포기 정책이 추진되었고, 중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1979년)을 거쳐 마카오 반환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1987년 중국과 포르투갈은 공동 성명을 통해 1999년 12월 20일 마카오를 중국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반환 후 마카오에는 일국양제 원칙이 적용되어 마카오 특별행정구가 설립되었으며,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고도의 자치권을 누리며 기존의 사회·경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써 아시아에서 서구 열강의 식민 통치는 완전히 종식되었다.
2. 1. 초기 역사
마카오의 인류 거주 역사는 약 6,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마카오 반도와 콜로안 섬에서는 3,500년에서 4,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 및 문화 유적이 발견되었다.[2]
진나라(기원전 221–206년) 시대에 이 지역은 광둥성 난하이 현 판위 현에 속했으며[3][4][5], 한나라 시대에 처음으로 정착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서진(266–420년) 시대에는 둥관 현의 일부였고, 이후 왕조에서는 난하이와 둥관의 관할을 번갈아 받았다.[5][7] 5세기부터는 동남아시아와 광저우를 오가는 상선들이 피난, 식수 및 식량 확보를 위해 이곳에 기항했다.[8] 1152년 송나라(960–1279년) 때에는 새롭게 설치된 샹산 현에 속하게 되었다.[3][4][7] 1277년에는 몽골의 침략을 피해 약 5만 명의 남송 유민이 이 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5][7][9]
몽하 지역은 오랫동안 마카오 중국인 생활의 중심지였으며, 이곳에는 불교의 관음을 모시는 사당이 있는데, 이는 마카오에서 가장 오래된 사원일 가능성이 있다.[10] 이후 명나라(1368–1644년) 시대에는 광둥성과 푸젠성 출신 어민들이 마카오로 이주하여 바다에서의 안전을 기원하며 아마 사원을 세웠다. 호클로인 선상민들은 남부 무역 중심지로서 마카오에 처음 관심을 가졌으나, 16세기에 포르투갈인이 도착하기 전까지 마카오는 주요 정착지로 발전하지는 못했다.[9]
포르투갈인이 마카오에 처음 도래한 것은 16세기 초인 1513년이다. 이들은 동남아시아의 식민지에서 중국 근해로 와 교역을 시작했으며, 점차 마카오에 거류지를 확보하고 중국 및 일본과의 무역 거점으로 삼았다. 중국 측 사료인 廣東通志|광동통지zho에 따르면, 1553년 포르투갈인이 汪柏|왕백zho이라는 관리에게 뇌물을 주고 상륙 및 거주 허가를 받은 것이 정착의 계기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61] 1557년에는 명나라 광둥 지방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마카오 거주권을 획득했는데, 이는 유럽인이 중국 땅에 합법적으로 거주하게 된 첫 사례로 평가된다. 당시 포르투갈인들은 해양 여신 마조를 모시는 마조각(媽祖閣) 근처에 거주했는데, 현지인에게 지명을 묻자 사당 이름인 '아마각(阿媽閣)'으로 답했고, 이것이 '아마카오(Amacao)'를 거쳐 '''마카오'''라는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마카오는 일본과 중국에 대한 가톨릭 포교의 거점이기도 하였으며, 일본에서 기독교가 금지된 후에는 마테오 리치와 같은 예수회 선교사를 베이징으로 파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흔히 1557년을 포르투갈령 마카오 식민지 성립 시점으로 보기도 하지만, 이는 포르투갈 측의 주장이며[60], 실제로는 거류권만을 인정받은 것이었다. 명나라와 그 뒤를 이은 청나라 시대 동안 마카오의 영토 주권은 계속 중국에 있었고, 중국 세관이 설치되어 관리가 자유롭게 출입하는 등 중국의 행정력이 미치고 있었다. 이 시기 마카오는 금, 은, 도자기, 아편 등의 중개 무역과 가톨릭 포교 기지로서 번영했다.
포르투갈 측의 행정 책임자는 인도 부왕의 통치를 받는 포르투갈령 인도 소속의 카피탕 모르(Capitão Mor)였다. 1583년에는 시(cidadepor)로 승격되었고, 이듬해에는 의회 설치가 승인되었다. 가톨릭 포교 구역으로는 1579년에 마카오 교구가 독립했다. 마카오는 중일 중계 무역뿐만 아니라 베트남 등 인도차이나 지역에 대한 무역 및 포교의 거점이기도 했다.
17세기 명청 교체기에는 청나라가 타이완의 정씨 정권을 견제하기 위해 천계령을 내려 해상 무역을 금지했고, 일본 역시 쇄국 정책을 시행하며 포르투갈 선박의 내항을 금지하면서 마카오는 한때 몰락의 위기를 맞았다. 또한 1581년부터 1640년까지 포르투갈은 스페인과의 동군연합 상태(스페인 제국)에 있었는데, 이로 인해 네덜란드와의 마카오 전투(1622년)가 벌어지기도 했다. 1640년 포르투갈 왕정복고 전쟁 등 본국의 혼란 역시 해외 거점 경영에 영향을 미쳤다. 이후 정씨 정권이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무역은 다시 재개될 수 있었다.
1637년 6월 27일, 영국의 거상 윌리엄 커틴(William Courten)이 보낸 존 원델(John Weddell) 대령이 이끄는 4척의 중무장 선박이 마카오에 도착하여 영국과 중국 간의 무역 관계 개설을 시도했으나, 포르투갈 당국에 의해 거절당했다. 이는 영국과 중국 간의 최초의 직접적인 접촉 시도로 평가된다.
연도 | 주요 사건 |
---|---|
1513년 | 포르투갈 상인, 마카오 도래 및 교역 시작 |
1535년 | 명나라, 쌍산 현 하오징(마카오)에 시박사 설치 |
1553년 | 포르투갈인, 汪柏|왕백zho에게 뇌물을 주고 마카오 상륙 및 거주 허가 획득 (중국 측 기록) |
1557년 | 포르투갈, 명나라로부터 마카오 거류권 공식 획득 (중국 주권 하) |
1579년 | 마카오 교구 설립 |
1580년 |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 포르투갈 왕위 겸임 (동군연합 시작) |
1582년 | 마카오, 펠리페 2세에게 충성 선언. 마카오-마닐라 무역 시작 |
1583년 | 마카오 시정 의회 설치 |
1586년 | 포르투갈 국왕, 마카오의 자치 도시(cidadepor) 자격 승인 |
1603년 | 네덜란드, 마카오에서 고아로 향하던 포르투갈 상선 산타 카타리나 호 나포 |
1613년 | 최초의 마카오 총독(Governador) 임명 |
1622년 | 마카오 전투: 네덜란드 함대의 마카오 공격 실패 |
1637년 | 영국 존 원델 함대, 마카오 도착 및 무역 개설 시도 (포르투갈에 의해 거절) |
1639년 | 일본 에도 막부, 포르투갈 선박 내항 금지 (쇄국 강화) |
1640년 | 포르투갈 왕정복고 전쟁 발발, 스페인과의 동군연합 해소. 마닐라 무역 중단 |
1647년 | 포르투갈 사절, 나가사키 방문하여 무역 재개 요청했으나 거절당함 |
1650년 | 청나라 군대, 광저우 점령 |
1662년 | 청나라, 천계령 발포. 마카오 무역 일시 금지 (~1664년) |
1670년 | 포르투갈 사절, 베이징에서 강희제에게 조공 |
1685년 | 청나라, 해금 완화 및 대외 무역 재개. 포르투갈 선박, 일본인 표류민 송환차 나가사키 방문했으나 무역 재개는 거절당함 |
2. 2. 포르투갈 식민 통치

마카오에 포르투갈인이 처음 도착하여 중국의 명나라와 교역을 시작한 것은 16세기 초인 1513년이다. 초기에는 동남아시아의 식민지를 거점으로 중국 근해에 접근하던 포르투갈인들이 마카오에 거주지를 확보하며 중국 및 일본과의 무역 거점으로 삼았다. 당시 포르투갈인들은 해양 여신 마조를 모시는 마조각(媽祖閣) 근처에 머물렀는데, 현지인에게 지명을 묻자 '아마각(阿媽閣)'이라 답한 것이 와전되어 '아마카오(Amacao)', 그리고 최종적으로 '마카오'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명나라 가정제 35년(1557년)에 포르투갈인은 명나라 광동 지방 정부로부터 마카오 거주권을 공식적으로 획득했다. 종종 이 시점을 포르투갈령 마카오 식민지 성립으로 설명하기도 하지만, 이는 포르투갈 측의 주장에 가깝다.[60] 실제로는 명 왕조로부터 후기 왜구 토벌에 협력한 대가[11] 또는 왕백(汪柏)이라는 관리에게 뇌물을 제공한 대가[61]로 마카오의 영구 거류권을 인정받은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중요한 점은 이 시기 마카오의 영토 주권은 명나라에 있었으며, 이후 청나라 시대까지도 중국의 세관이 설치되고 관리가 자유롭게 출입했다는 사실이다. 포르투갈은 1863년까지 매년 토지 사용료(지료) 명목으로 은 약 20kg을 지불했다.[13][14]
초기 포르투갈 행정은 포르투갈령 인도 부왕의 지휘 아래 카피탕 모르(Capitão Mor)가 책임지는 형태였다. 1583년에는 시(cidade)로 승격되었고, 이듬해 의회 설치가 승인되었다. 마카오는 가톨릭 교회 포교의 중요 거점이기도 했다. 1576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마카오 교구가 설정되었고[26][27], 예수회(1560년대 도착)와 도미니코회(1580년대 도착) 선교사들이 활동하며 성 바울 성당, 성 도미니크 성당 등 주요 종교 건축물을 세웠다. 마테오 리치와 같은 선교사들이 마카오를 거쳐 중국 본토로 파견되기도 했다.


마카오는 포르투갈의 주요 무역 거점으로 크게 번성했다. 주요 교역로는 마카오-말라카-고아-리스본, 광저우-마카오-나가사키, 마카오-마닐라-멕시코 등 세 갈래였다. 특히 광저우-마카오-나가사키 노선은 중국의 비단과 일본의 은을 중개하며 막대한 이익을 안겨주었다. 이는 명나라가 왜구 문제로 일본과의 직접 교역을 금지하면서 포르투갈 상인들에게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부여했기 때문이다.[21] 스페인과의 이베리아 연합(1580-1640) 시기에는 마닐라와의 교역로도 열리며 마카오의 황금기를 구가했다. 1587년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는 마카오를 '신의 이름의 도시'(Cidade do Nome de Deus de Macau)로 승격시켰다.[23]
그러나 17세기에 들어서면서 마카오는 여러 도전에 직면했다. 명청 교체기에 청나라가 대만의 정씨왕국을 견제하기 위해 천계령을 내려 해상 무역을 금지했고, 일본 또한 쇄국 정책을 강화하며 1639년 포르투갈 선박의 입항을 금지하면서 주요 교역로가 막혔다. 또한 이베리아 연합으로 인해 네덜란드의 공격 대상이 되었으며, 1622년에는 네덜란드 함대의 대규모 침공 시도가 있었으나 포르투갈 수비대와 아프리카 노예들의 활약으로 격퇴되었다(마카오 전투).[24] 이후 기아 요새 건설 등 방어 시설 강화가 이루어졌다.[25] 1637년에는 영국 상인 존 웨델(John Weddell)이 무역 관계 개설을 시도했으나 포르투갈 당국에 의해 거절당했는데, 이는 영국과 중국 간의 초기 직접 접촉 사례로 평가된다.[22] 정씨 정권이 청나라에 항복한 후 무역은 일부 재개되었으나 예전의 번영을 되찾지는 못했다.
아편 전쟁 이후 영국이 홍콩을 할양받아 식민지로 경영하기 시작하자, 이에 자극받은 포르투갈은 1849년 일방적으로 마카오의 독립을 선언하고 중국 관리의 행정권을 배제하며 완전한 식민지화를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마카오 총독 페레이라 아마랄이 암살되기도 했다. 포르투갈은 1851년 타이파 섬, 1864년 콜로안 섬을 차례로 점령했다. 1862년 톈진 조약에서 청나라는 마카오에서의 포르투갈 통치권을 처음으로 인정했고, 1887년 중포 화호 통상 조약을 통해 포르투갈은 마카오를 제3국에 양도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영구 점유(통치권)를 승인받았다. 그러나 이 조약에서도 마카오의 주권은 여전히 청나라에 유보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마카오가 법적으로 포르투갈의 완전한 영토가 된 적은 없다는 해석이 존재한다.
19세기 중반 이후, 홍콩이 새로운 무역 중심지로 부상하고 마카오 항구의 수심이 얕아 대형 선박 기항에 불리해지면서 마카오의 무역 기능은 점차 쇠퇴했다.[71] 경제적 활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잠시 쿨리 무역(중국인 노동자 송출)의 거점이 되기도 했으나 국제적인 비난으로 1873년 금지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1847년 도박 산업이 합법화되었고, 이는 점차 마카오 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도박이 금지된 홍콩[71] 등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마카오를 찾으면서 카지노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포르투갈은 중립을 선언했고, 마카오는 동아시아의 중립항으로서 전쟁의 직접적인 피해는 피했다. 이 시기 일본과 중화민국 간의 전쟁을 피해 많은 중국인 난민과 자산가들이 마카오로 유입되어 일시적인 경제적 번영을 누리기도 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나자 이들 대부분이 떠나면서 마카오는 다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전후 1951년, 포르투갈의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독재 정권은 마카오를 '해외 주(Overseas province)'로 선포하며 식민 통치를 강화하려 했다.
1966년 마카오 내 중국계 주민들이 포르투갈 통치에 반발하여 대규모 시위(12·3 사건)를 일으켰다. 이 사건을 계기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향력이 마카오 내에서 급격히 커졌으며[62], 친중 성향의 실업가 허셴(何賢) 등이 막후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63][64]
1974년 포르투갈 본국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일어나 독재 정권이 무너지고 민주 정부가 들어섰다. 새로운 좌파 정부는 해외 식민지 포기 정책을 선언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측에 마카오 반환 의사를 타진했으나, 당시 홍콩 문제 등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은 즉각적인 반환을 원치 않았다.[65] 이에 포르투갈은 1976년 마카오의 지위를 해외 주에서 '특별령(Special territory)'으로 변경하고 입법회를 설치하는 등 행정적 자치권을 대폭 확대했다.[66]
1979년 중화인민공화국과 포르투갈 간의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수립되면서, 양국은 마카오의 주권이 중화인민공화국에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실제 반환은 홍콩 반환 문제와 연계되어 논의가 진행되었고, 포르투갈의 행정 관리권은 당분간 유지되었다. 이로 인해 마카오는 "아시아 최후의 유럽 식민지"로 불리기도 했다.[67][68][69][70]
1986년부터 마카오 반환에 대한 양국 간의 공식 협상이 시작되었고, 1987년 중국-포르투갈 공동선언이 발표되었다. 이 성명을 통해 1999년 12월 20일 마카오의 행정권을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양하기로 최종 합의되었다. 반환 후 마카오에는 마카오 특별행정구 기본법에 따라 일국양제 원칙이 적용되어, 기존의 사회 제도를 향후 50년간 유지하게 되었다. 1999년 12월 20일 마카오 반환이 공식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마카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가 되었고 아시아에서 서구 열강의 식민 통치는 완전히 막을 내렸다.
연도 | 주요 사건 |
---|---|
1513년 | 포르투갈인, 마카오 연안 첫 도착 및 교역 시도 |
1557년 | 포르투갈, 명나라로부터 마카오 거류권 획득 |
1576년 | 마카오 교구 설립 |
1583년 | 마카오, 시(cidade)로 승격 및 시 의회 설치 승인 (1584년) |
1622년 | 마카오 전투: 네덜란드 함대 침공 격퇴 |
1639년 | 일본, 쇄국 정책으로 포르투갈 선박 내항 금지 |
1847년 | 도박 경영 합법화 |
1849년 | 포르투갈, 마카오 독립 선언 및 행정권 장악 시도 |
1851년 | 포르투갈, 타이파 섬 점령 |
1864년 | 포르투갈, 콜로안 섬 점령 |
1887년 | 중포 화호 통상 조약 체결, 포르투갈의 마카오 영구 관리권 승인 (주권은 청나라 유보) |
1941년-1945년 | 태평양 전쟁 중 중립항 역할, 난민 유입 |
1966년 | 12·3 사건 발생, 중화인민공화국 영향력 증대 |
1974년 | 포르투갈 카네이션 혁명, 해외 식민지 포기 선언 |
1976년 | 마카오 지위, 특별령으로 변경 및 자치권 확대 |
1979년 | 중화인민공화국-포르투갈 국교 수립, 마카오 주권이 중국에 있음을 확인 |
1987년 | 중국-포르투갈 공동선언 발표 |
1999년 12월 20일 | 마카오,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 및 마카오 특별행정구 성립 |
2. 3. 중국 반환과 특별행정구
1974년 포르투갈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일어나 독재 정권이 무너진 후, 새로운 정부는 해외 식민지를 포기하는 탈식민화 정책을 추진했다.[30] 포르투갈은 중화인민공화국 측에 마카오 반환을 제안했으나, 당시 중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30]1979년 2월 8일, 포르투갈과 중화인민공화국은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양국은 비밀 협정을 통해 마카오를 "포르투갈 행정 하의 중국 영토"로 규정하고, 마카오의 주권이 중국에 있음을 확인했다.[30] 이는 마카오 문제 해결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1980년 멜루 에지디우 장군이 마카오 총독으로서는 처음으로 베이징을 공식 방문하여 마카오 지위에 대한 논의의 물꼬를 텄다.
1986년부터 영국과의 홍콩 반환 협상과 병행하여 마카오 반환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86년 5월 20일 공동 성명을 통해 협상 개시를 공식화했고, 이후 1986년 6월 30일부터 1987년 3월 26일까지 4차례의 회담이 진행되었다.
1987년 4월 13일, 양국은 베이징에서 마카오 문제에 관한 공동 선언에 서명했다. 이 선언은 1999년 12월 20일 마카오의 행정권을 중국에 반환하고, 마카오를 특별행정구로 설립하기로 합의하는 내용을 담았다. 1988년 1월 15일 공동 선언 비준서가 교환되어 효력이 발생했으며, 이때부터 1999년 반환까지 포르투갈 정부가 행정을 담당하는 과도기가 시작되었다.
1993년 3월 31일,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는 마카오의 헌법 역할을 할 중화인민공화국 마카오 특별행정구 기본법을 채택했다.
1999년 12월 20일, 마카오는 예정대로 포르투갈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반환되었고, 마카오 특별행정구가 공식 출범했다.

마카오에는 일국양제 원칙이 적용되어, 마카오 기본법에 따라 반환 후 최소 50년인 2049년까지 기존의 자본주의 사회·경제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보장되었다.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게 된다.
3. 경제
16세기 포르투갈인의 도래 이후 마카오는 동서양 무역의 중요한 중계 기지로 번성했다. 특히 명나라의 해금 정책으로 인해 일본과의 남만 무역을 독점하며 황금기를 누렸다. 그러나 17세기 일본의 쇄국 정책과 네덜란드의 부상, 명청 교체기의 혼란 등으로 중계 무역의 이점을 잃고 쇠퇴하기 시작했다.
19세기 아편 전쟁 이후 홍콩이 새로운 무역 중심지로 떠오르면서 마카오의 경제적 역할은 더욱 축소되었다.[71] 얕은 항구 수심 또한 대형 선박 기항에 불리했다.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쿨리 무역이 잠시 성행했으나 곧 금지되었고, 1847년 도박 합법화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했다. 이는 홍콩의 도박 금지와 맞물려 마카오가 독특한 카지노 중심 경제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71]
중일 전쟁 시기에는 중립을 지켜 잠시 피난처 역할을 했으나, 전쟁 후 다시 불황을 겪었다. 1961년 포르투갈 정부의 관광 진흥 정책에 따라 스탠리 호가 주도한 STDM이 40년간 카지노 사업을 독점하며 현대적인 관광 도시의 기반을 닦았다.
반환 이후 2002년 카지노 시장 개방으로 샌즈, 윈 리조트, 갤럭시 등 해외 자본이 유입되었고, 중국 본토 관광객 증가에 힘입어 세계적인 카지노 및 관광 중심지로 성장했다. 현재 마카오 경제는 카지노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GDP와 정부 재정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72][73]
3. 1. 개항 초기 ~ 19세기
1513년 포르투갈인이 처음으로 중국 근해에 도달했으며, 호르헤 알바레스가 주강 삼각주의 린틴 섬에 상륙했다. 라파엘 페레스텔로는 1513년과 1516년 광저우에서 중국 상인들과 교역을 시도했다. 1517년 토메 피레스 등이 이끈 포르투갈 사절단은 명나라 조정으로부터 거절당했다. 1521년과 1522년 타마오에서 포르투갈은 명나라 군대에게 패배했으며(툰먼 전투, 신코우완 전투), 이후에도 솽위와 둥산 반도 등지에서 충돌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명나라는 포르투갈로부터 화승총 등 신무기를 노획하여 복제, 생산하기도 했다.초기 교역 시도는 명나라의 저항에 부딪혔으나, 1540년대 포르투갈이 해적 소탕을 도우면서 관계가 개선되었다. 1554년 레오넬 데 소자가 광둥 당국과 협정을 맺어 관계는 더욱 진전되었다. 마침내 1557년 포르투갈은 명나라 광둥 지방 정부로부터 후기 왜구 토벌 협력의 대가로 마카오 영구 거주권을 얻었다.[11] 이는 포르투갈이 식민지를 건설한 것이 아니라, 중국의 주권 하에 거주를 허가받은 것이었다. 당시 포르투갈인들은 마조각(媽祖閣) 근처에 거주했는데, 현지인에게 지명을 묻자 사당의 별칭인 '아마각(阿媽閣)'이라 답한 것이 '아마카오(Amacao)'를 거쳐 '마카오'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포르투갈은 마카오에 정착하며 1573년부터 1849년 아마랄 총독이 납부를 중단하기 전까지 매년 500테일(약 20kg)의 은을 샹산현에 사용료로 지불했다.[13][14]
마카오는 금, 은, 도자기, 아편 등의 중개 무역 기지이자 로마 가톨릭교회의 아시아 포교 거점으로 번영했다.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 등이 이곳을 통해 중국으로 파견되었으며, 1579년에는 마카오 주교구가 독립했다. 포르투갈 행정 책임자로는 인도 부왕 산하의 카피탕 모르(Capitão Mor)가 파견되었다. 1583년 마카오는 시(cidade)로 승격되었고 의회 설치가 승인되었다.
1580년 포르투갈이 스페인과 이베리아 연합을 이루면서 마카오는 마닐라와의 교역로가 열리고, 특히 일본과의 중개 무역(중국 비단과 일본 은 교환)으로 황금기를 맞았다. 이는 명나라가 왜구 문제로 일본과의 직접 교역을 금지했기 때문에 포르투갈 상인들이 독점적 이익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21] 1587년 스페인 펠리페 2세는 마카오에 "신의 이름의 도시"(Cidade do Nome de Deus de Macau)라는 칭호를 부여했다.[23]
그러나 17세기 들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공격을 여러 차례 받았으며, 특히 1622년에는 150명의 마카오인, 포르투갈 수비대, 아프리카 노예들이 800명의 네덜란드 공격자를 격퇴하기도 했다(마카오 전투).[24] 이후 기아 요새 건설 등 방어 시설이 강화되었다.[25] 1637년에는 영국의 존 웨델(John Weddell)이 영국과 중국 간 무역 관계 개설을 시도했으나 포르투갈 당국에 의해 거절되었다.[22] 이는 영국과 중국 간의 최초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평가된다. 결정적으로 1637년 이후 일본이 쇄국 정책을 강화하며 1639년 포르투갈 선박을 추방하면서 가장 수익성 높은 교역로가 막혔다. 또한 명청 교체기의 혼란과 청나라의 천계령(해안 주민 소개령)으로 무역이 위축되었고, 1641년 말라카를 네덜란드에 빼앗기면서 마카오는 쇠퇴 위기를 맞았다.
1642년 포르투갈 왕정복고 소식이 전해지자 마카오는 새로운 브라간사 왕조의 주앙 4세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국왕은 "더 충성스러운 자는 없다"(Cidade do Nome de Deus, Macau, Nao Ha Outra Mais Leal)는 칭호를 하사했다.[28]

18세기 광동 무역 체제 하에서 유럽 상인들은 무역 시즌(10월~1월) 외에는 광저우 외국인 거류 구역(十三行) 밖인 마카오에 머물러야 했다. 이로 인해 마카오는 외국 상인들의 휴양지 역할을 했으며, 카지노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동양의 몬테 카를로"라고 불리게 되었다.


제1차 아편 전쟁 이후 1842년 난징 조약으로 홍콩이 영국에 할양되면서, 깊은 항구를 가진 홍콩으로 무역 중심지가 옮겨가 마카오의 역할은 더욱 축소되었다.[29] 또한 주강 하구에 위치하여 항구의 수심이 얕아 근대적인 대형 선박의 기항이 어려웠던 점도 쇠퇴의 원인이었다.[71] 1844년 미국과 청나라 사이에 왕샤 조약이 마카오의 쿤이암 사원에서 체결되었다. 이는 미중 관계의 공식적인 시작을 알렸다. 같은 해 마카오는 포르투갈령 인도에서 분리되어 동티모르와 함께 리스본 직할의 해외주로 관리되기 시작했다.

1846년 부임한 주앙 마리아 페레이라 도 아마랄 총독은 일방적으로 마카오를 포르투갈 식민지로 선언하고 중국에 지불하던 연간 임대료 납부를 중단했으며, 포르투갈 영토가 아니었던 인근 타이파 섬을 점령하고 주민들에게 새로운 세금을 부과했다.[30] 1849년 아마랄 총독이 도로 건설을 위해 중국인 묘지를 파괴하라고 명령한 것에 반발한 중국 주민들에게 암살당하는 바이샤링 사건이 발생했다.[30] 포르투갈은 이를 빌미로 인근 중국 요새를 공격하여 점령하고[30] 마카오 북서쪽의 완자이 섬(포르투갈명 라파, 1887년 포기)을 장악했으며, 1851년과 1864년 사이에 타이파와 콜로안 두 섬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포르투갈은 마카오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권을 강화했다.[30]


경제적으로 쇠퇴하던 마카오는 1848년부터 1870년대 초까지 남중국 출신 쿨리(계약 노동자)들을 쿠바, 페루 등지로 보내는 쿨리 무역의 악명 높은 중심지 역할을 했다. 1851년부터 1874년 사이에 약 21만 5천 명의 중국인이 마카오를 통해 해외로 보내졌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납치되거나 속아서 계약을 맺은 이들이었다.[30] 이 비인도적인 무역은 국제적인 비난을 받아 1873년 전면 금지되었다.
경제적 활로를 모색하던 마카오 정부는 1847년 도박업을 합법화하여 세수를 확보하고자 했다.[71] 1872년 영국령 홍콩에서 도박이 금지되자 마카오의 도박 산업은 대체지로서 더욱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71] 1891년 공인 도박 영업 면허 입찰 제도가 도입되었고, 1896년에는 본국 포르투갈의 도박 금지법 제정에도 불구하고 마카오에서는 도박을 정부 허가제로 하여 사실상 독점적 이권을 확보했다.
1871년 전통 중국 의학 병원인 강오 병원이 설립되었고, 1892년 쑨원이 이곳에서 서양 의술을 도입하기도 했다.[31] 1887년 중-포르투갈 북경 조약이 체결되어, 포르투갈은 마카오와 그 부속 영토(타이파, 콜로안 포함)에 대한 "영구 점유 및 통치권"을 청나라로부터 확인받았다. 다만, 포르투갈은 중국의 동의 없이 마카오를 타국에 양도하지 않기로 약속했으며, 중국 본토와의 경계는 명확히 획정되지 않았다. 1890년에는 일랴 베르드(青洲)가 마카오 영토에 편입되었고, 이후 간척을 통해 마카오 반도와 연결되었다.

3. 2. 19세기 후반 ~ 현재
1842년 중국이 홍콩을 영국에 할양한 후, 마카오는 주요 지역 무역 중심지로서의 지위가 더욱 쇠퇴했다. 더 큰 배들이 빅토리아 항구의 깊은 항구로 몰려들었기 때문이다.[29] 1846년 포르투갈은 주앙 마리아 페레이라 도 아마랄을 마카오 총독으로 파견했다.[30] 그는 일방적으로 마카오를 포르투갈 식민지로 선언하고, 중국에 대한 연간 임대료 지불을 중단했으며, 포르투갈 영토가 아니었던 인근 타이파 섬을 점령하고, 마카오 주민들에게 새로운 세금을 부과했다.[30] 1846년에는 선원들의 반란이 일어났지만 진압되었다.
아마랄은 도로 건설 중 중국 묘지 파괴를 명령했으며, 1849년 바이샤링 사건에서 도시 성문 밖에서 중국 마을 사람들에게 살해당했다.[30] 포르투갈은 인근 중국 요새를 공격하여 중국군을 후퇴시켰고,[30] 이는 포르투갈이 마카오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는 계기가 되었다.[30] 포르투갈은 1849년 마카오 북서쪽의 완자이 섬(라파)을 장악했으나 1887년에 포기했다. (현재는 주하이 샹저우 구 관할) 마카오 남쪽의 두 섬인 타이파와 콜로안에 대한 통제는 1851년에서 1864년 사이에 확보했다. 마카오와 동티모르는 1883년 다시 고아의 통제 하에 포르투갈의 해외 주로 통합되었다. 1887년 리스본 의정서와 베이징 조약을 통해 포르투갈의 마카오 "영구 점령 및 통치"가 확인되었다. 포르투갈은 조약에서 "중국과의 합의 없이 마카오 및 부속 영토를 결코 양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타이파와 콜로안도 포르투갈에 할양되었지만, 본토와의 경계는 확정되지 않았다. 일랴 베르데 (青洲|칭쩌우zho)는 1890년 마카오 영토에 편입되었고, 1923년 간척을 통해 마카오 반도에 연결되었다.
1871년에는 전통 중국 의학 병원인 강오 병원이 설립되었으며, 1892년 쑨원 박사가 서양 의학 서비스를 도입했다.[31]
경제적 후퇴 속에서 1847년 포르투갈 마카오 정부는 도박 경영을 합법화했고,[71] 1873년 쿨리 무역이 국제적 비난으로 금지되자 도박업은 더욱 중요해졌다. 1891년 공인 도박 영업 면허 입찰 제도가 도입되었고, 1896년에는 도박을 정부 허가제로 변경했다.[71] 홍콩에서 1872년 도박이 금지된 것도 마카오 도박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71]

1930년대에는 영국 왕립해군의 동부 함대가 해적과 밀수를 단속하면서 마카오의 전통적인 수입원이었던 아편 판매가 위축되었다. 어업, 폭죽, 향, 차, 담배 가공과 같은 전통 산업은 규모가 작았고, 정부의 '판탄' 도박 수입도 제한적이었다. 이에 포르투갈 정부는 마카오 행정관들에게 경제적 자립을 촉구했다. 그 결과 1935년 팬암이 마카오에 해상 착륙 권리를 확보하고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여, 샌프란시스코와의 태평양 횡단 항공편 환승 지점이 되었다.[32] 이는 당시 만주 사변으로 갈등 중이던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새로운 역할을 찾은 것이었다. 1935년 일본이 포르투갈로부터 마카오를 1억달러에 매입하려 한다는 확인되지 않은 제안이 있었으나, 포르투갈 정부는 이를 부인했다.[32]
중일 전쟁 당시 포르투갈의 중립 정책 덕분에 마카오는 전쟁을 피할 수 있었고, 홍콩, 상하이,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많은 난민과 자산가들이 유입되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나자 이들 대부분이 떠나면서 마카오 경제는 불황을 겪었다. 1961년 포르투갈 정부는 마카오를 관광지로 개발하기로 결정하고 도박업을 "특수 오락"으로 규정하여 경제 발전을 도모했다. 이에 따라 스탠리 호, 훠잉둥, 테디 입, 잎홍 등이 출자하여 Sociedade de Turismo e Diversões de Macau(STDM)를 설립했고, 1962년 STDM은 새로운 카지노 영업권을 획득했다. STDM은 호텔 리스보아 건설, 항구 정비, 홍콩-마카오 간 고속정(TurboJET) 운항 등을 통해 관광객 유치에 성공하며 이후 40년간 카지노 산업을 독점했다.
중국으로 반환된 후인 2002년, 마카오 정부는 도박 독점 시스템을 폐지하고 3개(이후 6개)의 카지노 운영권을 Sociedade de Jogos de Macau(SJM, STDM의 자회사), 윈 리조트, 라스베이거스 샌즈, 갤럭시 엔터테인먼트 그룹, MGM 미라지와 호 초킹의 파트너십, 그리고 Melco와 PBL의 파트너십 등에 부여했다. 이는 마카오가 아시아의 새로운 도박 중심지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도박 산업 발전을 위해 코타이 지역 매립이 완료되었고, 2004년부터 호텔 및 카지노 건설이 시작되었다. 2007년에는 베네시안 마카오가 개장했으며, 이후 코타이와 마카오 반도에 많은 리조트가 들어서면서 정부의 주요 세입원이 되었고, 2013년 실업률은 2%까지 하락했다.[46] 2004년 마카오 반도와 타이파 섬을 잇는 세 번째 다리인 사이 반 대교가 완공되었다.[47] 2005년에는 제4회 동아시아 경기 대회의 주요 경기장인 마카오 동아시아 경기장이 개장했다.[47] 같은 해 마카오 정부는 사회 주택 건설을 시작하여 2013년까지 8,000채 이상의 아파트를 공급했다.[48]
2007–08년 금융 위기는 마카오에도 영향을 미쳐 샌즈 코타이 센트럴[49]과 같은 주요 건설 프로젝트가 중단되고 실업률이 상승했다.[50] 2009년 6월, 마카오 정부는 마카오 대학교의 새로운 캠퍼스를 헝친 섬에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 국경 검문소 남쪽, 코타이 지역 맞은편에 위치하며, 주거 및 상업 개발 프로젝트도 함께 계획되었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코타이에 계획된 대규모 리조트들의 주요 건설이 시작되었다.[51]
2014년은 마카오의 도박 수입이 처음으로 전년 대비 감소한 해였다. 특히 하반기부터 월별 수입 감소세가 뚜렷해지자, 마카오 데일리 타임스는 "도박 확장의 10년이 끝났다"고 보도했다.[52] 이러한 둔화의 원인으로는 중국의 반부패 운동, 중국 경제 성장 둔화, 중국 본토 관광객들의 여행지 다변화 등이 꼽힌다.[53][54] 이에 마카오 정부는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여 도박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세계적인 비도박 관광 및 레저 센터를 구축하며,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와 중국 간의 경제 무역 협력 플랫폼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시작했다.[55]
2015년 중국 국무원은 마카오의 행정 구역 경계를 재조정하여 육상 경계를 파투스 운하 북쪽으로 이동시키고 해상 경계를 크게 확장했다. 이로 인해 마카오의 해양 영토는 85km2 증가했다.[56]
2017년 8월 태풍 하토가 중국 남부를 강타하며 마카오에 큰 피해를 입혔다. 심각한 홍수와 재산 피해가 발생했고, 도시 전체에 최소 24시간 동안 정전 및 단수 사태가 이어졌다. 총 10명이 사망하고 최소 200명이 부상했다. 태풍 대비 미흡과 늦은 경보 발령에 대한 비판이 일었고, 마카오 기상 지구 물리국 국장이 사임했다.[57] 마카오 정부의 요청으로 중국 인민해방군 마카오 주둔군 약 1,000명이 마카오 역사상 처음으로 재해 구호 및 복구 작업에 투입되었다.[58]
2019년 12월 12일, 마카오의 첫 번째 철도 시스템인 마카오 경전철이 공식 개통되었다.[59]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마카오는 비교적 적은 감염자 수를 기록하며 세계적으로 안전한 지역 중 하나로 평가받았으나, 카지노 중심의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다.[30]
참조
[1]
간행물
Treaty Ports and Other Foreign Stations in China
Hong Kong Branch
2010
[2]
웹사이트
文章内容
https://www.macaudat[...]
2023-01-27
[3]
웹사이트
Macau history in Macau Encyclopedia
http://www.macaudata[...]
Macau Foundation
2008-01-12
[4]
웹사이트
15: History
https://yearbook.gcs[...]
Government Information Bureau of the MSAR
[5]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6]
서적
Macau Histor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1
[7]
서적
Macao Electoral, Political Parties Laws and Regulations Handbook – Strategic Information, Regulations, Procedures
https://books.google[...]
IBP. Inc.
[8]
웹사이트
Macau's Early History
https://www.portugue[...]
2021-03-25
[9]
서적
Background Notes, Macau
https://books.google[...]
Bureau of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U.S. Department of State
2020-04-22
[10]
서적
The Voices of Macao Stones: The Nanjing Massacre Witnessed by American and British Nationals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2; Volume 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12]
간행물
Early Sino-Portuguese relations up to the Foundation of Macao
http://www.library.g[...]
[13]
서적
Macau: a General Introduction
Joint Publishing (H.K.) Co. Ltd.
[14]
서적
Dictionary of dates, and universal reference. [With]
https://books.google[...]
2011-11-04
[15]
서적
Fidalgos in the Far East, 1550–1770: fact and fancy in the history of Macao
https://books.google[...]
M. Nijhoff
2012-03-01
[16]
서적
Singing of the source: nature and god in the poetry of the Chinese painter Wu L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03-01
[17]
서적
Singing of the source: nature and god in the poetry of the Chinese painter Wu L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03-01
[18]
서적
Singing of the source: nature and god in the poetry of the Chinese painter Wu L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03-01
[19]
서적
Singing of the source: nature and god in the poetry of the Chinese painter Wu L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03-01
[20]
서적
Macau, the Imaginary City: Culture and Society, 1557 to the Present
Westview Press
1999
[21]
웹사이트
Macau – a unique city
http://www.macautour[...]
Macau Tourist Guide
2015-01-19
[22]
웹사이트
The British Presence in Macau, 1635–1793
https://docslib.org/[...]
[23]
서적
Fidalgos in the Far East, 1550–1770
Martinus Nijhoff (The Hague)
1948
[24]
서적
Slavery and South Asian history
Indiana University Press
2011-11-04
[25]
문서
Boxer, p. 99
[26]
문서
Archdiocese of Goa
[27]
웹사이트
The Catholic entry in Macau Encyclopedia
http://www.macaudata[...]
Macau Foundation
2008-01-06
[28]
뉴스
Step onto Senado Square and into the past: Walking tours bring Macau's Chinese, Portuguese history in focus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9]
서적
Understanding the global shift, the popularity of Donald Trump, Brexit and discontent in the West : rise of the emerging economies: 1980 to 2018
https://www.worldcat[...]
[30]
서적
Betting on Macau: Casino Capitalism and China's Consumer Revolu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23
[31]
문서
As published on IACM Macau government publication "Footprints of Painter Gao Jianhu"
[32]
뉴스
Did Japan really offer Portugal US$100 million for Macau in 1935?
https://www.scmp.com[...]
SCMP
2020-02-08
[33]
웹사이트
Q&A: "Macau was safe haven" during WWII
http://www.macaudail[...]
2012-05-02
[34]
서적
Wartime Macau: Under the Japanese Shadow
Hong Kong University Press
[35]
간행물
Review of Wartime Macau: Under the Japanese Shadow
http://www.jstor.org[...]
2017
[36]
웹사이트
Accident Hawker Ospray III 6
https://aviation-saf[...]
2023-10-04
[37]
서적
The Defences of Macau: Forts, Ships and Weapons Over 450 Years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0-02-01
[38]
서적
Macao – People and Places, Past and Present
Angsana Limited
[39]
뉴스
Macao Portuguese Fire Over Border
http://nla.gov.au/nl[...]
Perth, W. A. : A. Davidson, for the West Australian, 1879
2013-12-02
[40]
웹사이트
THE 50s: All THAT BEGINS
https://web.archive.[...]
2013-12-30
[41]
서적
The Macau Economy
Publications Centre, University of Macau
[42]
서적
Portugal, China and the Macau Negotiations, 1986–1999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43]
서적
Naked Tropics: Essays on Empire and Other Rogu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44]
웹사이트
A guerra e as respostas militar e política 5.Macau: Fim da ocupação perpétua (War and Military and Political Responses 5.Macau: Ending Perpetual Occupation)
http://media.rtp.pt/[...]
RTP
2020-01-01
[45]
웹사이트
Macau (09/08)
https://2009-2017.st[...]
2024-07-03
[46]
웹사이트
Macau: Unemployment Rates during the past 8 years
https://web.archive.[...]
2013-12-07
[47]
문서
As displayed on the official timeline of Macau at the Museum of History in Taipa
[48]
웹사이트
Social Housing
https://web.archive.[...]
2013-12-30
[49]
웹사이트
Sands Cotai Central Opens in Macau
https://web.archive.[...]
2013-12-01
[50]
웹사이트
Macau: Unemployment in Total Figures
https://web.archive.[...]
2013-12-07
[51]
웹사이트
Wynn Macau gets OK for Cotai casino development
http://www.macaudail[...]
2013-12-29
[52]
웹사이트
A DECADE OF GAMBLING EXPANSION ENDS
https://web.archive.[...]
2015-01-18
[53]
웹사이트
Macau economy undergoing great reconstruction
https://web.archive.[...]
2016-02-09
[54]
뉴스
Chinese tourists skipped Hong Kong, Taiwan and headed farther afield during Golden Week
http://www.scmp.com/[...]
2016-10-20
[55]
뉴스
Macau bridges the gap between Chinese and Portuguese markets
https://web.archive.[...]
2017-10-16
[56]
웹사이트
Macau to extend land and sea administrative area
https://www.scmp.com[...]
2019-11-10
[57]
뉴스
Macau observatory chief resigns as government slammed for response to deadly typhoon
http://www.scmp.com/[...]
2017-08-27
[58]
뉴스
Up to 10 people feared trapped in flooded underground car parks after Typhoon Hato devastates Macau
http://www.scmp.com/[...]
2017-08-27
[59]
웹사이트
Macau's long-delayed light rail or tram service begins carrying passengers
https://www.scmp.com[...]
2019-12-23
[60]
서적
黄金のゴア盛衰記
中央公論社
[61]
서적
Cultures in Conflict: Encounters Between European and Non-European Cultures, 1492-1800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マカオ紀行 ― 世界遺産と歴史を歩く
[63]
웹사이트
何贤:公认的“影子澳督”和“澳门王”
http://history.huanq[...]
环球网
2017-12-22
[64]
간행물
Far Eastern Economic Review
[65]
뉴스
New lease for an old colony
The Straits Times
1980-03-28
[66]
서적
Entrepreneurs and Enterprises in Macau: A Study of Industrial Development
Hong Kong University Press
[67]
웹사이트
【中国探訪】世界の不夜城マカオのいま 革命歌が流れ、人民解放軍も人気! いったい何が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8-05-02
[68]
웹사이트
China Regains Macau After 442 Years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9-03-04
[69]
웹사이트
Macau: Macau's Big Gamble
http://edition.cnn.c[...]
TIME
2019-03-04
[70]
웹사이트
Macau handover: Asia's last colony
http://news.bbc.co.u[...]
BBC
2019-03-04
[71]
간행물
マカオカジノとSTDM
https://www.jstage.j[...]
日本国際情報学会
2013-12-13
[72]
웹사이트
澳門特別行政區政府統計暨曁普查局>統計資料>澳門主要統計指標
http://www.dsec.gov.[...]
2018-10-08
[73]
웹사이트
マカオの17年1〜11月累計カジノ税収17.9%増の約1.2兆円…年間予算は10月終了時点で達成済み=歳入の8割占める(マカオ新聞)
https://www.macaushi[...]
大航海時代新聞出版社
2018-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