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대표 33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민족대표 33인 명단
- 2.1. 천도교
- 2.1.1. 손병희 (孫秉熙, 1861~1922)
- 2.1.2. 권동진 (權東鎭, 1861~1947)
- 2.1.3. 오세창 (吳世昌, 1864~1953)
- 2.1.4. 임예환 (林禮煥, 1865~1949)
- 2.1.5. 나인협 (羅仁協, 1872~1951)
- 2.1.6. 홍기조 (洪基兆, 1865~1938)
- 2.1.7. 박준승 (朴準承, 1866~1927)
- 2.1.8. 양한묵 (梁漢默, 1862~1919)
- 2.1.9. 권병덕 (權秉悳, 1867~1944)
- 2.1.10. 김완규 (金完圭, 1876~1949)
- 2.1.11. 나용환 (羅龍煥, 1864~1936)
- 2.1.12. 이종훈 (李鍾勳, 1856~1931)
- 2.1.13. 홍병기 (洪秉夔, 1869~1949)
- 2.1.14. 이종일 (李鍾一, 1858~1925)
- 2.1.15. 최린 (崔麟, 1878~1958)
- 2.2. 개신교
- 2.2.1. 이승훈 (李昇薰, 1864~1930)
- 2.2.2. 박희도 (朴熙道, 1889~1952)
- 2.2.3. 이갑성 (李甲成, 1889~1981)
- 2.2.4. 오화영 (吳華英, 1880~1960)
- 2.2.5. 최성모 (崔聖模, 1874~1937)
- 2.2.6. 이필주 (李弼柱, 1869~1942)
- 2.2.7. 김창준 (金昌俊, 1890~1959)
- 2.2.8. 신석구 (申錫九, 1875~1950)
- 2.2.9. 박동완 (朴東完, 1885~1941)
- 2.2.10. 신홍식 (申洪植, 1872~1939)
- 2.2.11. 양전백 (梁甸伯, 1869~1933)
- 2.2.12. 이명룡 (李明龍, 1872~1956)
- 2.2.13. 길선주 (吉善宙, 1869~1935)
- 2.2.14. 유여대 (劉如大, 1878~1937)
- 2.2.15. 김병조 (金秉祚, 1877~1948)
- 2.2.16. 정춘수 (鄭春洙, 1873~1953)
- 2.3. 불교
- 2.1. 천도교
- 3. 민족대표 33인의 한계와 의의
- 참조
1. 개요
민족대표 33인은 1919년 3·1 운동 당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독립운동을 주도한 종교계 인사 33인을 지칭한다. 이들은 천도교, 기독교, 불교 등 각 종교를 대표하며 독립선언서를 통해 대한민국의 독립 의지를 표명했다. 3·1 운동은 일제 강점기에 맞선 거족적인 독립운동이었으나, 민족대표가 종교계 인사로 제한되어 사회 각계각층의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부 민족대표의 친일 행위는 역사적 오점으로 남았다. 그럼에도 3·1 운동과 독립선언서는 대한민국의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리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근거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사람 목록 -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은 1895년 갑오개혁으로 신설된 내각의 수장 직책으로 김홍집이 초대 총리대신을 역임했으며, 대한제국 병합과 함께 폐지되었으나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에 부활 후 현재 남북한 국무총리로 기능이 계승되었다. - 1919년 - 인종적 차별 철폐 제안
인종적 차별 철폐 제안은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일본이 국제 연맹 규약에 인종 차별 금지 조항 삽입을 제안했으나, 식민지 보유국과 백호주의 국가들의 반대와 미국 대통령의 거부로 부결되었으며, 이는 일본의 반미 감정과 군국주의화를 심화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명수 33 - 33인의 동부인
1825년 브라질 제국으로부터 우루과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후안 안토니오 라바예하가 이끄는 파르티잔 군 지도자들을 주축으로 결성된 33인의 동부인은 아그라시아다 해변 상륙 후 독립을 선포하고 시스플라틴 전쟁을 촉발, 1828년 몬테비데오 조약으로 우루과이 독립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역사적 사건이다.
민족대표 33인 | |
---|---|
민족대표 33인 | |
![]() | |
주요 활동 | 3·1 운동의 주도 및 독립선언서 서명 |
결성 시기 | 1919년 3월 |
주요 장소 | 태화관 |
구성 | |
종교별 구성 | 천도교: 15인 기독교: 16인 불교: 2인 |
서명자 수 | 33인 |
배경 및 목적 | |
목적 | 대한민국의 독립 의지를 국내외에 표명 |
조직 |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참여하여 민족적인 통합을 도모 |
주요 인물 | |
천도교 |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박준승 최린 이종훈 홍기조 나인협 양한묵 김완규 권병덕 이갑성 임예환 김창준 신홍식 |
기독교 | 이승훈 박희도 김병조 정춘수 양전백 길선주 유여대 김성수 오화영 최성모 이필주 신석구 박동완 나용환 이명룡 함태영 |
불교 | 한용운 백용성 |
역사적 의미 | |
3·1 운동의 촉매 | 민족 독립 의지를 고취하고 전국적인 항일 운동으로 확산 |
현대사 영향 | 대한민국 건국 이념 형성에 기여 |
기타 | |
관련 서적 | 신복룡의 《한국사 새로 보기》 199-210쪽 참고 |
2. 민족대표 33인 명단
다음은 민족대표 33인의 명단이다.
종교 | 이름 | 사진 | 생몰 | 출신 지역 | 신분 | 형량 | 이후 행적 | 건국훈장 등급 | 서훈 연도 |
---|---|---|---|---|---|---|---|---|---|
천도교 | 손병희 | ![]() | 1861~1922 | 충북 청주 | 천도교 3세 교주 | 징역 3년 | 병보석 출감 후 사망 | 대한민국(1) | 1962 |
권동진 | ![]() | 1861~1947 | 충북 괴산 | 천도교 도사 | 징역 3년 | 신간회, 광주학생운동 관련 1년 복역 | 대통령(2) | ||
오세창 | ![]() | 1864~1953 | 한성 | 서예가, 전각가 및 금석학 역사가로 활동 | |||||
임예환 | 1865~1949 | 평남 평양 | 징역 2년 | - | |||||
나인협 | 1872~1951 | 평남 성천 | - | ||||||
홍기조 | ![]() | 1865~1938 | 평남 남포 | - | |||||
박준승 | ![]() | 1866~1927 | 전북 임실 | - | |||||
양한묵 | ![]() | 1862~1919 | 전남 해남 | 재판 중 사망 | |||||
권병덕 | 1867~1944 | 충북 청주 | 징역 2년 | - | |||||
김완규 | 1876~1949 | 한성 | 천도교 전제관장 | - | |||||
나용환 | ![]() | 1864~1936 | 평남 성천 | 천도교 도사 | 천도교 교역 | ||||
이종훈[6] | 1856~1931 | 경기 광주 | 천도교 장로 | 천도교 교역 | |||||
홍병기 | 1869~1949 | 경기 여주 | 고려혁명당 관련 징역 2년형 | ||||||
이종일 | 1858~1925 | 충남 태안 | 천도교 월보과장 (보성사 사장) | 징역 3년 | 제2의 독립선언문 작성 | ||||
최린 | -- | 1878~1958 | 함남 함흥 | 보성고보 교장 | 징역 3년 | 변절 | - | - | |
불교 | 한용운 | 1879~1944 | 충남 홍성 | 승려 | 징역 3년 | 신간회, 사회계몽 | 대한민국(1) | 1962 | |
백용성 | 1864~1940 | 전북 장수 | 승려 | 징역 1년 6월 | 임정 지원 | 대통령(2) | |||
개신교 | 이승훈 | ![]() | 1864~1930 | 평북 정주 | 장로교 장로 | 징역 3년 | 오산학교 운영 | 대한민국(1) | 1962 |
박희도[7] | 1889~1952 | 황해 해주 | 중앙기독교청년회 간사 (북감리교) | 징역 2년 | 변절 | - | - | ||
이갑성[7] | 1889~1981 | 경북 대구 | 세브란스의전부설병원 사무원 (장로교) | 징역 2년 6월 | 임정, 흥업구락부 사건 연루 7개월 복역 | 대통령(2) | 1962 | ||
오화영 | 1880~1960 | 황해 평산 | 남감리교 목사 | 징역 2년 6월 | 광주학생운동, 흥업구락부 사건 연루 옥고, 해방 후 재북 | 대통령(2) | 1989 | ||
최성모 | 1874~1937 | 황해 해주 | 북감리교 목사 | 징역 2년 | 목회활동 | 대통령(2) | 1962 | ||
이필주 | 1869~1942 | 한성 | 정동교회 목사 (북감리교) | 목회활동 | |||||
김창준[7] | 1889~1959 | 평남 강서 | 북감리교 전도사 | 징역 2년 6월 | 목회, 신학 공부, 한국전쟁 중 월북 | - | - | ||
신석구 | 1875~1950 | 충북 청주 | 남감리교 목사 | 징역 2년 | 목회활동 | 대통령(2) | 1963 | ||
박동완 | 1885~1941 | 경기 포천 | 기독교신보사 서기 (북감리교) | 신간회, 목회활동 | 대통령(2) | 1962 | |||
신홍식 | 1872~1939 | 충북 청주 | 북감리교 목사 | 목회활동 | |||||
양전백 | 1869~1933 | 평북 선천 | 장로교 목사 | - | |||||
이명룡 | 1872~1956 | 평북 철산 | 장로교 장로 | - | |||||
길선주[8] | ![]() | 1869~1935 | 평남 안주 | 장로교 목사 | 무죄 (구금 1년7월) | 목회활동 | 독립(3) | 2009 | |
유여대[8] | 1878~1937 | 평북 의주 | 징역 2년 | 목회활동 | 대통령(2) | 1962 | |||
김병조[8] | 1877~1948 | 평북 정주 | - | 상해로 망명, 임정 활동 | 대통령(2) | 1990 | |||
정춘수[8] | 1873~1953 | 충북 청주 | 남감리교 목사 | 징역 1년 6월 | 변절 | - | - |
민족문제연구소는 최린, 박희도, 정춘수를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시켰다.
2. 1. 천도교
1919년 당시 천도교는 국내 최대 종교 중 하나였으며, 3.1 운동을 주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천도교 측 민족대표로는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박준승, 양한묵, 권병덕, 김완규, 나용환, 이종훈, 홍병기, 이종일, 최린 등 15인이 참여하였다.이들 중 손병희, 이종일, 최린은 징역 3년형을,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박준승, 권병덕은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 양한묵은 재판 중 사망하였다. 최린은 3.1 운동 이후 변절하여 친일 행위를 하였다.
성명 | 사진 | 출신 지역 | 신분 | 재판 결과 | 건국훈장 등급 | 서훈 연도 |
---|---|---|---|---|---|---|
손병희 | 충청북도 청주 | 천도교 3세 교주 | 징역 3년 | 대한민국(1) | 1962 | |
권동진 | 충북 괴산 | 천도교 도사 | 대통령(2) | |||
오세창 | 한성 | |||||
임예환 | 평남 평양 | 징역 2년 | ||||
나인협 | 평남 성천 | |||||
홍기조 | 평남 남포 | |||||
박준승 | 전북 임실 | |||||
양한묵 | 전남 해남 | |||||
권병덕 | 충북 청주 | 징역 2년 | ||||
김완규 | 한성 | 천도교 전제관장 | ||||
나용환 | 평남 성천 | 천도교 도사 | ||||
이종훈[6] | 경기 광주 | 천도교 장로 | ||||
홍병기 | 경기 여주 | |||||
이종일 | 충남 태안 | 천도교 월보과장 (보성사 사장) | 징역 3년 | |||
최린 | -- | 함남 함흥 | 보성고보 교장 | - | - |
2. 1. 1. 손병희 (孫秉熙, 1861~1922)
손병희는 충청북도 청주 출생으로, 천도교 3세 교주였다. 1919년 3.1 운동을 총지휘하였으며,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6] 병보석으로 출감 후 사망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등급)이 추서되었다.
2. 1. 2. 권동진 (權東鎭, 1861~1947)
권동진(權東鎭, 1861년~1947년)은 충북 괴산 출생의 천도교 도사이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였다.[6] 3·1 운동 이후, 신간회, 광주학생운동 등에 참여하며 민족 운동을 이어갔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
2. 1. 3. 오세창 (吳世昌, 1864~1953)
서울 출생으로, 천도교 도사였다.[6] 서예가, 전각가, 금석학자 및 역사학자로 활동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
2. 1. 4. 임예환 (林禮煥, 1865~1949)
임예환(林禮煥, 1865~1949)은 평안남도 평양 출신의 천도교 도사였다.[6]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6]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6]
2. 1. 5. 나인협 (羅仁協, 1872~1951)
나인협(羅仁協, 1872년 ~ 1951년)은 평안남도 성천 출생의 천도교 도사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6]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2. 1. 6. 홍기조 (洪基兆, 1865~1938)
홍기조(洪基兆, 1865~1938)는 평안남도 남포 출생의 천도교 도사였다.[6]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6]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6]
2. 1. 7. 박준승 (朴準承, 1866~1927)
박준승(朴準承, 1866년~1927년)은 전라북도 임실 출신의 천도교 도사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6]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
2. 1. 8. 양한묵 (梁漢默, 1862~1919)
1862년 전라남도 해남에서 출생한 천도교 도사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였다. 재판 중 사망하였다.[6]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
2. 1. 9. 권병덕 (權秉悳, 1867~1944)
권병덕(權秉悳, 1867년 ~ 1944년)은 충북 청주 출신의 천도교 도사였다.[1]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1]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1]
2. 1. 10. 김완규 (金完圭, 1876~1949)
서울 출생으로, 천도교 전제관장을 지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6]2. 1. 11. 나용환 (羅龍煥, 1864~1936)
나용환(羅龍煥, 1864년 ~ 1936년)은 평안남도성천 출신의 천도교 도사이다. 1919년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천도교 교역자로 활동했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6]
2. 1. 12. 이종훈 (李鍾勳, 1856~1931)
이종훈(李鍾勳, 1856년 ~ 1931년)은 경기도 광주 출신의 천도교 장로였다.[6] 천도교 교역자로 활동했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2. 1. 13. 홍병기 (洪秉夔, 1869~1949)
홍병기(洪秉夔, 1869~1949)는 여주시 출신 천도교 장로였다.[6] 3.1 운동 이후 고려혁명당 사건으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6]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2. 1. 14. 이종일 (李鍾一, 1858~1925)
이종일(李鍾一, 1858년 ~ 1925년)은 충청남도 태안 출신으로, 천도교 월보과장이자 보성사 사장이었다. 3.1 운동 당시 제2의 독립선언문 작성에 참여했으며, 이로 인해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6] 1962년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2. 1. 15. 최린 (崔麟, 1878~1958)
함경남도 함흥 출생으로, 보성고등보통학교 교장을 지냈다. 3.1 운동 이후 변절하여 친일 행위를 하였다.[7]2. 2. 개신교
3·1 운동 당시 개신교는 서구 문물의 유입 통로이자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개신교계에서는 이승훈 장로를 비롯한 16명이 민족대표 33인에 참여했다.성명 | 출신 지역 | 신분 | 재판 결과 | 건국훈장 등급(서훈 년도) |
---|---|---|---|---|
이승훈 | 평안북도 정주 | 장로교회 장로 | 징역 3년 | 대한민국장(1등급) (1962) |
박희도 | 황해도해주 | 중앙YMCA 간사(북부감리교) | 징역 2년 | - |
이갑성 | 경상북도대구 | 세브란스병원 사무원(장로교) | 징역 2년 6개월 | 대통령장(2등급) (1962) |
오화영 | 황해도평산 | 남부 감리교 목사 | 징역 2년 6개월 | 대통령장(2등급) (1989) |
최성모 | 황해도해주 | 북부 감리교 목사 | 징역 2년 | 대통령장(2등급) (1962) |
이필주 | 서울특별시(京城府) | |||
김창준 | 평안남도강서 | 북부 감리교 전도사 | 징역 2년 6개월 | - |
신석구 | 충청북도청원 | 남부 감리교 목사 | 징역 2년 | 대통령장(2등급) (1963) |
박동완 | 경기도포천 | 기독교 보좌서기(북부 감리교) | 대통령장(2등급) (1962) | |
신홍식 | 충청북도청주 | 북부 감리교 목사 | ||
양전백 | 평안북도선천 | 장로교 목사 | - | 대통령장(2등급) (1962) |
이명룡 | 평안북도철산 | 장로교 장로 | - | 대통령장(2등급) (1962) |
길선주 | 평안남도안주 | 장로교 목사 | 무죄 | 독립장(3등급) (2009) |
유여대 | 평안북도의주 | 징역 2년 | 대통령장(2등급) (1962) | |
김병조 | 평안북도정주 | - | 대통령장(2등급) (1990) | |
정춘수 | 충청북도청원 | 남부 감리교 목사 | 징역 1년 6개월 | - |
이 중 이승훈은 오산학교를 설립해 민족 교육에 힘썼고, 이갑성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오화영은 광주학생운동과 흥업구락부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길선주는 재판에서 무죄를 받았지만 1년 7개월간 구금되었다. 김병조는 상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박희도와 정춘수는 이후 변절하여 친일 행위를 하였다.
2. 2. 1. 이승훈 (李昇薰, 1864~1930)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장로교회 장로였다.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민족 교육에 힘썼다. 3·1 운동으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등급)이 추서되었다.[7]
2. 2. 2. 박희도 (朴熙道, 1889~1952)
박희도[7]는 1889년 황해도 해주에서 출생했다. 중앙기독교청년회 간사(북감리교)였으며,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변절하여 친일 행위를 하였으며,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2. 2. 3. 이갑성 (李甲成, 1889~1981)
이갑성(李甲成, 1889년 ~ 1981년)은 경상북도대구 출신으로, 세브란스의전 부설병원 사무원이었다. 장로교 신자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였다.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7개월간 복역했다.[7]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출생 지역 | 경상북도 대구 |
---|---|
신분 | 세브란스병원 사무원 (장로교) |
재판 결과 | 징역 2년 6개월 |
주요 행적 | 임정 활동, 흥업구락부 사건 연루 7개월 복역 |
건국훈장 등급 | 대통령장 (2등급) |
서훈 년도 | 1962 |
2. 2. 4. 오화영 (吳華英, 1880~1960)
황해도 평산 출생으로, 남감리교 목사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 6개월형을 선고받았다.[7] 광주학생운동, 흥업구락부 사건 등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해방 후에는 북한에 남았다.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2. 2. 5. 최성모 (崔聖模, 1874~1937)
최성모(崔聖模, 1874~1937)는 황해도 해주 출신 북감리교 목사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7] 출소 후 목회 활동을 이어갔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7]2. 2. 6. 이필주 (李弼柱, 1869~1942)
이필주(李弼柱, 1869년 ~ 1942년)는 서울 출신으로, 정동교회 목사 (북감리교)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7] 출소 후에는 목회 활동을 이어갔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
2. 2. 7. 김창준 (金昌俊, 1890~1959)
김창준(金昌俊, 1890년 ~ 1959년)은 평안남도강서 출신의 북감리교 전도사였다.[7]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다.[7] 출소 후에는 목회 및 신학 공부에 전념하였으며, 한국 전쟁 중 월북하였다.[7]
2. 2. 8. 신석구 (申錫九, 1875~1950)
신석구(申錫九, 1875년 ~ 1950년)는 충청북도 청주 출생으로 남감리교 목사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7] 출소 후 목회 활동을 이어갔다. 1963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2. 2. 9. 박동완 (朴東完, 1885~1941)
경기도 포천 출생으로, 기독교신보사 서기(북감리교)였다.[7] 3·1 운동 이후 신간회에서 활동하고 목회 활동을 이어갔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7]2. 2. 10. 신홍식 (申洪植, 1872~1939)
신홍식(申洪植, 1872년 ~ 1939년)은 충청북도 청주 출신의 북감리교 목사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7] 출소 후에는 목회 활동을 이어갔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2. 2. 11. 양전백 (梁甸伯, 1869~1933)
평안북도 선천 출신의 장로교 목사이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8]2. 2. 12. 이명룡 (李明龍, 1872~1956)
이명룡(李明龍, 1872년 ~ 1956년)은 평안북도 철산 출신의 장로교 장로이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8]2. 2. 13. 길선주 (吉善宙, 1869~1935)
평안남도 안주 출신의 장로교 목사이다.[8]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였다.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1년 7개월간 구금되었다.[8] 이후 목회 활동을 이어갔다. 2009년 건국훈장 독립장(3등급)이 추서되었다.[8]2. 2. 14. 유여대 (劉如大, 1878~1937)
평안북도 의주 출신이다. 장로교회 목사[8]로,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8] 출소 후 목회 활동을 이어갔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8]2. 2. 15. 김병조 (金秉祚, 1877~1948)
평안북도 정주 출생으로, 장로교회 목사였다.[8] 3·1 운동 직후 상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1990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2. 2. 16. 정춘수 (鄭春洙, 1873~1953)
정춘수(鄭春洙, 1873년 ~ 1953년)는 충북 청주 출신의 남감리교 목사였다. 1919년 3.1 운동에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징역 1년 6개월형을 선고받았다.[8] 그러나 3.1 운동 이후 변절하여 친일 행위를 하였으며,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2. 3. 불교
불교계에서는 한용운과 백용성이 민족대표 33인에 포함되었다. 한용운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 승려로 신흥사에서 수행하였으며, 신간회 활동과 사회계몽 운동에 참여하였다. 백용성은 전라북도 장수 출신으로 해인사에서 수행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였다. 두 사람 모두 3·1 운동에 참여하여, 한용운은 징역 3년, 백용성은 징역 1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다.[6]이름 | 출생 지역 | 주요 활동 | 형량 | 건국훈장 등급 (서훈 년도) |
---|---|---|---|---|
한용운 | 충청남도 홍성 | 신흥사 수행, 신간회 활동, 사회계몽 운동 | 징역 3년 | 대한민국장(1) (1962) |
백용성 | 전라북도 장수 | 해인사 수행,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 | 징역 1년 6개월 | 대통령장(2) (1962) |
2. 3. 1. 한용운 (韓龍雲, 1879~1944)
충청남도 홍성 출생으로, 불교 승려였다. 신흥사에서 수행하였다. 신간회 활동 및 사회계몽 운동에 참여했으며, 3.1 운동으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6]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등급)이 추서되었다.2. 3. 2. 백용성 (白龍城, 1864~1940)
白龍城|백용성중국어(1864년 ~ 1940년)은 전라북도 장수 출신의 승려이다. 해인사에서 수행하였다.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했으며, 이로 인해 징역 1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이 추서되었다.
3. 민족대표 33인의 한계와 의의
대한독립선언서(독립선언문)는 3.1운동 정신의 근간이자 대한민국의 주권을 기록한 주요 문헌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의 근거가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을 계승하고 있다.[1]
일제 침탈로 정치, 사회, 경제 분야가 친일로 변질된 상황에서, 유일하게 남은 민족 지도자인 종교계를 중심으로 3.1운동이 전개되었다.[2] 그러나 민족대표 33인이 모두 종교계 인사였고, 이들 중 3명은 후에 친일반민족행위로 변절하였다는 한계가 있다.[3][4]
3. 1. 한계
대한독립선언서(독립선언문)는 3.1운동 정신의 근간이자 대한민국의 주권을 기록한 주요 문헌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의 근거가 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을 계승하고 있다.[1]일제 침탈로 정치, 사회, 경제 분야가 친일로 변질된 상황에서, 유일하게 남은 민족 지도자인 종교계를 중심으로 3.1운동이 전개되었다.[2] 사회 전반이 친일화된 상황에서 독립선언서 작성 및 배포 등 3.1운동 전반에 종교계가 앞장섰으나, 이는 민족대표 33인이 모두 종교계 인사라는 한계로 이어졌다.[3] 이들 33인 중 3명은 후에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변절하였다.[4]
3. 2. 의의
대한독립선언서(독립선언문)는 3.1운동 정신의 근간이 되었고 대한민국의 주권을 기록한 주요 문헌이 되었다.[1] 3.1 독립선언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의 근거가 되었고, 현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을 잇는 대한민국 정부에 그 정신이 계승된다.[2]일제의 침탈로 정치, 사회, 경제 분야가 친일로 변질된 상황에서 유일하게 남은 민족 지도자로서 종교계를 중심으로 3.1운동을 전개하였다.[3] 사회 전반이 친일 변질된 상황에서 독립선언서 작성 및 배포 등 3.1운동 전반에 종교계가 앞장섰으나, 민족대표 33인 모두 종교계 인사들이라는 한계가 있다.[4] 이들 33인 중 3명은 후에 친일반민족행위로 변절하였다.[5]
참조
[1]
서적
한국사 새로 보기 (초 2쇄판)
도서출판 풀빛
2001-12-20
[2]
서적
한국사 새로 보기
도서출판 풀빛
2001-12-20
[3]
본문
[4]
서적
한국독립운동지혈사(상)
서문당
[5]
본문
[6]
본문
[7]
본문
[8]
본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