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도 (예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예는 글자를 아름답게 표현하는 기술로, 동아시아, 서양, 이슬람 세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동아시아에서는 붓, 먹, 종이, 벼루를 사용하는 문방사우를 중시하며, 서예가의 숙련된 기술을 통해 획의 굵기, 속도, 방향 등을 조절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서양에서는 펜과 붓을 사용하여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등을 표현하며, 중세 시대에는 수도원에서 서예 전통을 보존하고 발전시켰다. 이슬람 서예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코란 구절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 현대에는 각 문화권의 서예가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몽골, 티베트, 필리핀, 남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에서도 독자적인 서예 형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판 - 폰트 패밀리 (HTML)
    폰트 패밀리(HTML)는 CSS 스타일 시트, 인라인 CSS, HTML `font` 태그를 통해 웹 페이지 글꼴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기기에 설치된 글꼴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며, CSS의 `font-family` 속성은 글꼴 모양을 식별하고 제네릭 폰트와 글꼴 대체 메커니즘을 통해 일관된 글꼴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 조판 - 트루타입
    트루타입은 1991년 애플이 개발한 스케일러블 글꼴 규격으로, 2차 베지어 곡선을 사용하고 힌팅 기능을 통해 가독성을 높였으며, 윈도우 운영 체제에 채택되어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지원된다.
  • 인류무형문화유산 - 마나스
    키르기스 민족의 영웅 마나스와 그의 후손들의 활약상을 담은 대서사시 《마나스》는 키르기스 민족의 용맹함과 공동체 의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버전으로 구전되어 오다가 기록되었으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키르기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인류무형문화유산 - 마조
    마조는 푸젠성 출신 무녀 임모니앙으로 여겨지는 해상 수호 여신으로, 항해 안전과 평안을 기원하는 숭배 대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여러 왕조의 옹호 속에 신앙이 확산되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최근 중국 공산당에 의해 정치적 도구로 활용될 우려가 있다.
  • 서예 - 예서
    예서는 중국 서체의 한 종류로, 전서에서 파생되어 한나라 시대에 주요 서체로 사용되었으며, 획이 가로로 길고 파책을 특징으로 하며, 서예 분야에서 꾸준히 계승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서예 - 병풍
    병풍은 동아시아에서 유래하여 장식, 칸막이, 바람막이 등으로 사용되며, 그림으로 장식되어 예술 작품으로도 여겨지고, 한국, 일본 등 각국에서 고유한 형태로 발전하여 현재까지도 다양한 문화 행사에 활용된다.
서도 (예술)
개요
오우양 슈의 편지
다양한 언어와 필기 시스템을 사용한 서예의 예
도공 페피의 비석
도공 페피의 비석
잠언 제목 페이지
잠언 제목 페이지
알렉산드레 마카슈빌리에 대한 기오르기 12세의 자비의 책
알렉산드레 마카슈빌리에 대한 기오르기 12세의 자비의 책
어원그리스어 "καλλιγραφία" (아름다운 글쓰기)
정의시각 예술의 한 형태로, 글자를 표현하고 배열하여 의미, 조화, 리듬, 창의적인 표현을 담아내는 예술
특징
표현 방식붓, 펜, 기타 필기 도구를 사용하여 잉크나 페인트 등으로 표현함
주요 요소글자의 형태, 획의 굵기, 간격, 전체적인 구도 등
도구

잉크
종이
기법획의 강약 조절
글자 간 간격 조절
전체적인 균형 유지
역사
기원문자의 발명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각 문화권에서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함
동양 서예서도라고도 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중요한 예술 분야로 발전함
서양 서예캘리그래피라고 하며, 중세 시대의 필경사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로 응용됨
분야
응용 분야책 표지 디자인
포스터 디자인
초대장 디자인
로고 디자인
영화 타이틀 디자인
광고 디자인
주요 인물
동양왕희지
안진경
추사 김정희
서양에드워드 존스턴
헤르만 자프
로버트 팔라디노
참고 서적
서적헤르만 자프, "The World of Alphabets: A kaleidoscope of drawings and letterforms" (2006년)
요제프 프로프, "SchreibKunstRaume: Kalligraphie im Raum Verlag" (2005년)
앤 게디스, 세린 디온, "Miracle: a celebration of new life" (2004년)
클로드 메디아빌, "Calligraphy: From Calligraphy to Abstract Painting" (1996년)
기젤라 포트, "Kalligrafie: Intensiv Training" (2006년)
기젤라 포트, "Kalligrafie: Erste Hilfe und Schrift-Training mit Muster-Alphabeten" (2005년)

2. 도구

서예가의 주요 도구는 경필()과 모필이다. 필기 펜의 펜촉은 평평하거나 둥글거나 뾰족한 경우가 있으며,[69][70][71] 펠트펜이나 볼펜이 사용되기도 한다. 고딕체 등을 쓰는 데 필요한 펜촉(stub nib)[72]도 있다. 동양(특히 동아시아)에서는 모필로 쓰는 서예가 중시되는 경향이 있다.

필기 잉크는 일반적으로 수성이며, 인쇄에 사용되는 유성 잉크보다 훨씬 점성이 낮다. 잉크 흡수성이 높고 질감이 일정한 특수 용지는 깨끗한 묘선을 가능하게 한다.[73] 서양에서는 양피지나 벨럼 등을 사용하고, 오자 등을 지울 때 칼을 사용하기도 했다.

2. 1. 동아시아

동아시아에서는 , , 종이, 벼루문방사우라 하여 중요하게 여겼다. 이 외에도 붓받침, 문진, 연적 등 다양한 보조 도구들이 사용되었다. 동양에서는 주로 을 사용하며, 화지 등 식물 섬유로 만든 종이를 사용하여 서예 작품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2. 2. 서양

서양에서는 을 주요 도구로 사용한다. 서예용 펜은 펜촉이 평평하거나 둥글거나 뾰족할 수 있으며,[6][7][8] 장식용으로는 여러 개의 펜촉이 있는 펜(강철 붓)을 사용하기도 한다. 펠트 펜이나 볼펜으로도 작품을 만들 수 있지만, 고딕 서체와 같은 특정 스타일은 스텁 펜촉 펜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서예 펜과 붓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필기구에 사용되는 잉크는 보통 수성이며, 인쇄용 유성 잉크보다 점도가 훨씬 낮다.[9] 잉크 흡수력이 좋고 질감이 일정한 특수 종이를 사용하면 더 깨끗한 선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양피지나 벨럼도 자주 사용되는데, 칼로 결함을 지울 수 있고 라이트 박스 없이도 선이 비쳐 보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라이트 박스와 템플릿은 연필 자국 없이 곧은 선을 얻는 데 사용된다. 라이트 박스나 직접 사용을 위한 눈금 종이는 대부분 1/4인치 또는 1/2인치 간격으로 눈금이 매겨져 있으며, 때로는 1인치 간격도 사용된다. 이는 litterea uncialesla(그래서 이름이 붙었다)와 대학 눈금 종이가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10]

3. 동아시아

동아시아 서예는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 일본, 베트남 등지로 전파되었다. 중국에서는 서예를 '서법(書法, shūfǎ)' 또는 '법서(法書, fǎshū)'라고 부르며, 이는 글씨 쓰는 방법이나 법칙을 의미한다.[11] 일본에서는 '서도(書道, shodō)'라고 하며, 이는 글씨 쓰는 길 또는 원리를 뜻한다.[75] 한국에서는 '서예(書藝, seoye)'라고 하며, 글씨 쓰는 예술을 의미한다.[12] 베트남에서는 '서법(書法, thư pháp)'이라고 불린다.[76]

이처럼 동아시아 각국은 한자를 기반으로 한 서예 전통을 공유하면서도 각자의 독특한 명칭과 특징을 발전시켰다. 동아시아 문자의 서예는 오늘날에도 동아시아 전통 문화의 중요하고 높이 평가받는 구성 요소로 남아 있다.

3. 1. 중국

중국 서예는 한자의 기원과 함께 발전해 왔다. 중국 서예는 수묵화 등 다른 동아시아 예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고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중국 문자는 소의 견갑골과 거북이 배딱지에 새겨진 갑골문(甲骨文|갑골문중국어)이다. 상나라의 통치자들은 점을 치기 위해 동물의 뼈에 구멍을 내고 불에 구웠다. 점술 의식 동안, 금이 간 후 문자를 붓으로 껍질이나 뼈에 쓰고 나중에 조각했다.[13] 금문(金文|금문중국어)과 대전(大篆|대전중국어)이 발전하면서 "필기체" 부호가 계속되었다.[14] 모공정은 중국 서예사에서 가장 유명하고 전형적인 금문체 중 하나로,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많은 수의 청동 비문으로, 청동기에 500개의 문자가 새겨져 있다.[15] 또한, 당시 중국의 각 고대 왕국은 자체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중국 제국 시대에는 기원전 200년경의 오래된 비석의 글자들이 소전(小篆|소전중국어) 스타일로 보존되어 오늘날에도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기원전 220년경, 중국 전체를 정복한 최초의 황제인 진시황은 이사의 문자 통일을 포함한 여러 개혁을 시행했는데, 3,300개의 표준화된 소전 문자를 만들었다.[16] 당시 주요 필기구는 이미 붓이었지만, 이 시대의 종이는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이 스타일의 주요 예는 비석에 있다.

더욱 정형화된 예서(/隸书|예서중국어)(lì shū|예서중국어)도 진시황의 치세 하에 승인되었다.[17]

예서와 전통적인 해서 사이에는 위비라고 불리는 또 다른 과도기적 서예 작품이 있다. 이는 남북조 시대(420~589년)에 시작되어 당나라(618–907) 이전에 끝났다.[18]

오늘날에도 사용되는 전통적인 해서(楷書|해서중국어)는 종요(鐘繇|종요중국어, 151–230)와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크게 완성되었으며, 더욱 정형화되었다. 그 보급은 후당 명종 (926–933) 황제가 목판 인쇄를 명령하여 해서로 새로운 목판을 사용하여 고전을 인쇄하도록 함으로써 장려되었다. 1000년 전의 해서 글자 모양은 대부분 중국 제국 말기의 글자 모양과 유사했다. 그러나 글자에 작은 변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广|광중국어의 모양은 1716년의 ''강희자전''에 있는 버전에서 현대 서적에서 발견되는 버전으로 변경되었다. ''강희''와 현재 모양은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획순은 옛 스타일에 따라 동일하게 유지된다.[19]

살아남지 못한 스타일에는 80%의 소전과 20%의 예서를 혼합한 bāfēnshū|팔분서중국어가 있다. 일부 중국어 이체자는 수세기 동안 비정통적이거나 지역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이해되었지만 공식 텍스트에서는 항상 거부되었다. 이러한 비정통적인 변형 중 일부는 새로 만들어진 문자들과 함께 중국어 간체자 세트를 구성한다.

전통적인 동아시아 서예는 문방사우[20] (/毛笔|모필중국어), , 종이, 벼루 — 를 사용하여 한자를 쓴다. 이러한 서예 도구는 한국에서는 ''문방사우''라고도 한다. 전통적인 네 가지 도구 외에도 붓 받침과 문진도 사용된다.

다양한 매개변수가 서예가의 작품의 최종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물리적 매개변수에는 붓의 모양, 크기, 탄력성 및 털 종류, 먹의 색상, 색 농도 및 물 농도뿐만 아니라 종이의 물 흡수 속도와 표면 질감이 포함된다. 서예가의 기술 또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완성된 글자의 모습은 서예가가 붓에 흡수시키는 먹과 물의 양, 붓의 압력, 기울기,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변수를 변경하면 더 가늘거나 굵은 획과 매끄럽거나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가 생성된다. 결국 숙련된 서예가의 움직임의 속도, 가속 및 감속은 글자에 "혼"을 불어넣어 최종 모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글씨 쓰기 실천은 중국에서는 "서법(書法, shūfǎ)" 또는 "법서(法書, fǎshū)"라고 불린다.

고대 중국의 은나라 때, 거북 껍질이나 짐승의 뼈에 점복 결과를 새긴 갑골문이 현재 한자의 기원으로 여겨진다.[77] 이어서 서주 시대에 청동기에 주조된 금문이 형성되었다. 춘추 전국 시대에는 나라와 지방에 따라 문자가 달랐지만, 중화 통일을 이룬 진나라가 문자를 통일하여 정식 전서체(소전)를 제정[78]했다. 그 후 실용성을 추구하여 전서체를 간략화한 예서가 생겨났고, 한나라 시대에 들어서자 예서를 빨리 쓰는 형태로 초서행서가 형성되었다.[78]

현재 일반적인 해서왕희지(303-361)와 그의 제자들에 의해 체계가 정칙화되었다.[79] 단, 해서가 완성된 것은 당나라 시대(618-907)이다.[78] 이로써 10세기까지 "전·예·초·행·해"의 한자 5서체가 형성되었다. 살아남지 못한 양식은 80%가 소전, 20%가 예서에 속하는 것이었다.[79] 몇몇 이체자는 비정통적이면서도 수 세기에 걸쳐 국지적으로 사용되었다(일반적으로 이해되었지만, 공식 문서에서는 항상 거부되었다). 이러한 비정통적인 변종의 일부가 새로 만들어진 문자와 함께 중국 간체자를 구성하고 있다.

필기구는 앞서 언급한 먹, 붓, 종이 외에 벼루가 중시되며, 이 4가지를 통칭하여 문방사우라고 한다.[80][81] 이 외에 모전과 문진도 사용된다.

3. 2. 한국

한국 서예는 동아시아 문자의 글씨를 중요하게 여기는 전통적인 동아시아 문화의 특징을 반영한다.[76] 수묵화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주요 예술 양식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한국은 중국 서도의 영향을 받아들이면서도 독자적인 감성과 서풍을 만들어내고 있다.

현대 한국어의 한글 문자 사용은 전통적인 중국 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새로운 기법의 서작(書作)이 필요하게 되었다.

3. 3. 일본

일본은 중국 서예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히라가나가타카나와 같은 고유 문자를 창안하면서 독자적인 감성과 서풍을 발전시켰다.[75] 특히 히라가나의 곡선은 한자의 영자팔법에서 벗어난 기술을 필요로 한다.[82] 사용하는 종이에 관해서는 고유의 화지를 중시한다.

몇몇 이체자는 사용이 인명용 한자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역사적 가나 표기법의 "ゐ", "ゑ", "ヰ", "ヱ"는 쇼와 초기까지 공교육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서예에서도 (이로하 노래[83] 외 고전 작품에서) 종종 보인다.

3. 4. 베트남

베트남 서예는 thư phápvi(쯔놈: 書法, 문자 그대로 "글자 또는 단어의 방식")라고 불리며, 중국 한자의 영향을 받았다. 베트남은 역사적으로 쯔놈과 쯔한을 사용했으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영향으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꾸옥응으로 대체되었다.[30] 그러나 한자를 활용하는 서예 전통은 현대 베트남 서예에서 계속 보존되고 있으며,[30][84] 현대에는 꾸옥응으를 사용한 서예도 나타나고 있다.

4. 이슬람 세계

이슬람 서예는 이슬람교아랍어와 함께 발전해 왔다.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아랍 서예"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슬람 서예"라는 용어가 더 적절한데, 중세 스페인의 알 안달루스부터 중국에 이르기까지 페르시아 서예나 오스만 제국 서예 등 다양한 국가 문화권의 모든 이슬람 서예 작품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이슬람 서예는 모스크의 벽과 천장의 기하학적 이슬람 미술(아라베스크)뿐만 아니라 페이지나 다른 재료와도 관련이 있다. 이슬람 세계의 현대 미술가들은 서예의 유산을 활용하여 로고나 추상화와 같은 현대 서예 작품을 만들기도 한다.

무슬림들에게 서예는 구어와 관련된 무언가를 떠올리게 하는 대신, 모든 예술 중 가장 높은 예술인 영적인 세계의 예술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서예는 무슬림들의 언어와 이슬람교를 연결해 주기 때문에, 이슬람 예술의 가장 존경받는 형태로 자리 잡았다. 코란은 아랍어의 발전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아랍 문자의 서예에도 영향을 미쳤다. 코란의 격언과 구절은 이슬람 서예의 주요 원천이 되고 있다.[44]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이슬람 서예가 특히 두각을 나타냈다. 이스탄불은 모스크의 비문에서 분수, 학교, 주택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와 다양한 서예 작품을 전시하는 열린 전시관과 같다.

5. 서양

서양의 캘리그래피는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라틴 문자는 기원전 600년경 고대 로마에서 등장했으며, 서기 1세기에는 돌에 새겨진 로마 제국 대문자, 벽에 칠해진 러스트 대문자, 그리고 일상 사용을 위한 로마 필기체로 발전했다. 2세기와 3세기에는 운셜체 서체가 개발되었다. 필사가 수도원으로 축소되면서 운셜체는 성경과 기타 종교 텍스트를 필사하는 데 더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4세기와 5세기, 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유럽이 중세 초에 접어들었을 때, 서예 전통을 보존한 것은 바로 수도원들이었다.[33]

로마 제국의 절정기에 그 세력은 그레이트 브리튼까지 뻗어 있었다. 제국이 멸망했을 때, 그 문학적 영향력은 남아 있었다. 반운셜체는 아일랜드 반운셜체, 소규모 앵글로색슨체를 만들어냈다.[34] 각 지역은 해당 지역의 주요 수도원(예: 메로빙거체, 랭체, 룩세유체, 서고트체, 베네벤토체)을 따라 자체 표준을 개발했는데, 이는 대부분 필기체이며 거의 읽을 수 없다.

기독교 교회는 성무일도서, 성경 및 기타 성서 텍스트를 대량 복사하여 필사의 발전을 장려했다. 로마의 다양한 필사체에서 비롯된 언셜체와 하프-언셜체(라틴어 unciala, 또는 "인치"에서 유래)로 알려진 두 가지 뚜렷한 필기체가 개발되었다.[35] 북유럽에서 7-9세기는 더럼서, 린디스판 복음서, 켈스서와 같은 켈트 필사본의 전성기였다.[36]

샤를마뉴는 학문 발전에 헌신하여 요크의 수도원장 알쿠인에 따르면 "많은 필경사"를 모집하는 결과를 낳았다.[37] 알쿠인은 캐롤링체 또는 캐롤링 소문자로 알려진 스타일을 개발했다. 이 필기체의 첫 번째 필사본은 고데스칼크 복음서(783년 완성)로, 필경사 고데스칼크가 쓴 복음서였다.[38] 캐롤링체는 현대 서체의 유일한 조상 필체로 남아 있다.[39]

11세기에 캐롤링체는 더 압축적이고 한 페이지에 더 많은 텍스트를 담을 수 있게 해주는 고딕체로 진화했다.[40] 고딕 서체는 유럽 전역에서 지배적이 되었고, 1454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독일 마인츠에서 최초의 인쇄기를 개발했을 때 고딕체가 사용되어 최초의 활자체가 되었다.[40]

15세기에 오래된 캐롤링체 텍스트를 재발견하면서 인문주의 소문자 또는 littera antiquala가 만들어졌다. 17세기는 프랑스의 바스타르다체를, 18세기는 영국체가 책을 통해 유럽과 전 세계로 퍼져나가는 것을 보았다.

1600년대 중반에 다양한 필체와 다양한 기술 수준으로 쓰여진 문서가 넘쳐나자 프랑스 관리들은 그러한 많은 문서를 해독할 수 없다고 불평했다. 이에 재무국은 모든 법적 문서를 쿨리, 론드(영어로 라운드 핸드) 및 때때로 바스타르다체라고 불리는 스피드 핸드, 이렇게 세 가지 필체로 제한했다.[41]

당시 많은 훌륭한 프랑스 장인들이 있었지만, 이러한 필체를 제안하는 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은 ''Les Ecritures Financière Et Italienne Bastarde Dans Leur Naturel''을 출판한 루이 바르베도르였다.[41]

로마 약탈 (1527년) 동안 Camera Apostolicala가 파괴되면서 서예 장인들의 수도는 남부 프랑스로 옮겨갔다. 1600년경 이탈릭 쿠르시바는 기술적 정교함인 이탈릭 챈서리 서컴플렉사로 대체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다시 론드와 후기 영국 라운드 핸드의 기원이 되었다.[41]

영국에서는 에이레스와 밴슨이 라운드 핸드를 대중화했고, 스넬은 그들에 대한 반발과 절제 및 비례에 대한 경고로 유명하다. 하지만 에드워드 크로커는 위에 언급된 사람들보다 40년 전에 카피북을 출판하기 시작했다.[41]

다른 유럽 스타일도 동일한 도구와 방식을 사용하지만, 문자 집합과 스타일 선호도에서 차이가 있다. 슬라브 문자의 경우, 슬라브 민족의 역사와 그에 따른 러시아의 문자 체계는 10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라틴어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6. 현대 서예

현대 서예의 부흥은 19세기 말 윌리엄 모리스와 미술 공예 운동의 미학과 철학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다. 에드워드 존스턴은 현대 서예의 아버지로 여겨진다.[47][48][49] 그는 센트럴 예술 공예 학교 교장 윌리엄 레서비의 소개로 대영 박물관에서 필사본을 연구하면서 넓은 펜촉을 사용한 서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899년 런던 사우스햄튼 로의 센트럴 학교에서 서예 강좌를 시작하여 에릭 길에게 영향을 주었고, 프랭크 픽의 의뢰로 런던 지하철을 위한 새로운 서체를 디자인했다.[50]

에드워드 존스턴은 저서 《글쓰기 & 채색 & 문자》 (1906)를 통해 그레일리 휴잇, 스탠리 모리슨, 에릭 길 등 영국 세대의 타이포그래퍼와 서예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또한 넓은 펜으로 쓰는 둥근 서예적 필체인 "파운데이션 핸드" 스타일을 고안했다.[51][52]

그레이리 휴이트는 서예가 및 삽화가 협회(SSI)를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석고와 금박을 사용하여 양피지에 금박을 부활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첸니노 체니니의 중세 석고 레시피를 해석하는 것에 대해 비판과 지지를 동시에 받았다.[53][54] 영국의 서예가인 도널드 잭슨은 이전 시대의 석고 레시피를 가져왔다.[56] 그레이리 휴이트는 1947년 에든버러 공작에게 작위를 수여하는 특허를 만들었다.[57]

에드워드 존스턴의 제자인 안나 시몬스는 독일에서 서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7] 오스트리아의 루돌프 라리쉬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서예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6권의 글자 쓰기 책을 출판했다. 루돌프 코흐는 헤르만 자프를 포함한 많은 유럽 서예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58]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나 애플 페이지와 같은 워드 프로세서에서 어도비 인디자인과 같은 전문 디자인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현대적인 글꼴은 과거의 서예뿐만 아니라 여러 전문 글꼴 디자이너에도 뿌리를 두고 있다.[59]

7. 기타 지역

몽골 서예는 도구와 양식 면에서 중국 서예의 영향을 받았으며, 몽골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1] 티베트 서예는 티베트 문화의 중심이며, 인도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라마들과 포탈라 궁전 거주민들은 서예에 능숙했으며, 불교의 영향으로 기록된 단어가 중요하게 여겨졌다. 서예는 마니차에 특히 두드러지며, 갈대 외에 끌 모양 펜촉의 펜과 마커도 사용된다.

필리핀에는 수얏 문자라고 통칭되는 고유 문자가 많다. 16세기부터 21세기까지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이 여러 매체를 통해 문자를 사용해 왔다. 식민지 시대 이후에는 하누누족의 망얀 사람들, 부히드/빌드족, 타그바누아 문자의 타그바누아족, 팔라완/팔라완족의 팔라완족 문자가 살아남아 사용되고 있다. 이 네 문자는 199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86][87][88] 식민주의에 대한 반발로 사라졌던 수얏 문자의 사용이 부활하기도 했다. 수얏 문자로 쓰인 서예는 필리핀 수얏 서예로 통칭된다.

인도에서 서예는 종교 텍스트 보존에 주로 사용되었다. 수도원 불교 공동체는 서예 훈련을 받은 구성원을 두었고, 자이나교 상인들은 삽화 원고를 제작했다.[31][32] 네팔 서예는 주로 란자나 문자를 사용하며, 네팔, 티베트, 부탄 등지에서 성스러운 불교 경전을 작성하는 데 사용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이집트 상형 문자를 사용한 서예가 발전했다. 에티오피아 서예는 게에즈 문자로 시작되었으며, 암하라어티그리냐어 등에서 사용된다.[4]

마야 서예는 마야 상형 문자로 표현되었으며, 현대에는 주로 인장과 기념물에 사용된다.[1] 멕시코 남부의 일부 회사나 단체는 마야 상형 문자를 상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1]

7. 1. 몽골

몽골 서예는 도구와 양식 면에서 중국 서예의 영향을 받았다.[1] 몽골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

7. 2. 티베트

티베트 서예는 티베트 문화의 중심이다. 이 문자는 인도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높은 라마들과 포탈라 궁전의 거주민들과 같은 티베트의 귀족들은 종종 유능한 서예가였다. 티베트는 수세기 동안 불교의 중심지였으며, 불교는 기록된 단어에 높은 중요성을 부여했다. 달라이 라마와 다른 종교 및 세속 당국이 보낸 편지를 포함하여 거의 모든 고위 종교 저술에는 서예가 포함되었다. 서예는 아랍 및 로마 서예가 종종 건물에서 발견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 서예가 새겨진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그들의 마니차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원래 갈대를 사용했지만 티베트 서예가들은 이제 끌 모양 펜촉의 펜과 마커도 사용한다.

7. 3. 필리핀

필리핀에는 고유 문자인 수얏 문자가 많이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수얏 문자라고 부른다. 16세기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21세기 독립 시대까지 필리핀의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문자를 사용해 왔다. 식민지 시대가 끝날 무렵, 수얏 문자 중 단 네 개만이 살아남아 특정 지역 사회에서 일상생활에 계속 사용되었다. 이 네 문자는 하누노오/하누누족의 망얀 사람들, 부히드 망얀족의 부히드/빌드, 타그바누아 문자의 타그바누아족, 그리고 팔라완/팔라완족의 팔라완족 문자이다. 네 문자는 모두 199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필리핀 고문자(하누노오, 빌드, 타그바누아 및 팔라완)'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었다.[86][87][88]

식민주의에 대한 반발로 인해, 많은 예술가와 문화 전문가들은 스페인에서 도입된 라틴 알파벳으로 대체되어 사라진 수얏 문자의 사용을 부활시켰다. 이러한 부활된 문자에는 캄팡팡안족의 쿨리탄 문자, 다양한 비사야 민족 집단의 바들릿 문자, 에스카야족의 이니스카야 문자, 타갈로그족의 바이바인 문자, 그리고 일로카노족의 쿠르-이탄 문자가 포함된다.[89][90] 수얏 문자의 다양성으로 인해, 수얏 문자로 쓰인 모든 서예는 비록 서로 다르지만, 필리핀 수얏 서예라고 통칭된다. 서양 알파벳과 아랍어 알파벳을 사용한 서예 역시 식민지 시대의 영향으로 필리핀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서양 알파벳과 아랍어 알파벳은 수얏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따라서 서양 알파벳과 아랍 서예는 수얏 서예로 간주되지 않는다.[91][92]

7. 4. 남아시아

구르무키 문자로 된 시크교 서예


시드 모하메드 안웨르 박사의 삼루프 라치나 서예로 된 부처


인도에서 종교 텍스트 보존은 서예의 가장 일반적인 목적이었다. 수도원 불교 공동체는 서예 훈련을 받은 구성원을 두었으며 성서 복제에 대한 책임을 공유했다.[31] 자이나교 상인들은 자이나교 성인을 기념하는 삽화 원고를 포함시켰다. 이 원고들은 야자 잎과 자작나무와 같은 저렴한 재료를 사용하여 섬세한 서예로 제작되었다.[32]

네팔 서예는 주로 란자나 문자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 문자 자체와 그 파생 문자(예: 란차, Phagpa, 쿠틸라 문자)는 네팔, 티베트, 부탄, , 몽골, 일본 해안 지역, 대한민국에서 "옴 마니 파드메 훔" 및 기타 성스러운 불교 경전, 주로 산스크리트어팔리어에서 파생된 경전을 작성하는 데 사용된다.

7. 5. 아프리카

고대 이집트에서는 이집트 상형 문자를 사용한 서예가 발전했다. 상형 문자는 약 1,000개의 고유한 문자를 가지고, 표어 문자, 음절 문자 및 알파벳 요소를 결합했다.[1]

수스네이오스 1세의 그림과 게에즈 문자의 주문이 있는 두루마리(영국 런던). 악령 퇴치를 목적으로 한다.


에티오피아 (아비시니아) 서예는 악숨 왕국에서 에티오피아 셈어를 위해 특별히 개발되어 고대 남부 아라비아 문자를 대체한 게에즈 문자로 시작되었다. 암하라어티그리냐어와 같이 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에서 이 문자는 스크립트 또는 알파벳을 의미하는 Fidäl|피덜sem이라고 불린다. 고대 남부 아라비아 문자는 Dʿmt 이후 남부 아라비아 언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8세기까지 몇몇 비문에 사용되었다.[4] 게에즈 및 게에즈 문자의 초기 비문은 기원전 5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기원전 9세기부터 ESA로 작성된 일종의 초기 게에즈가 존재한다. 게에즈 문학은 4세기 악숨의 에자나 치세 동안 에티오피아(및 악숨 문명)의 기독교화와 함께 시작되었다.[4]

게에즈 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으며, 일반적으로 셈어 계열의 다른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곳은 에티오피아암하라어에리트레아 및 에티오피아의 티그리냐어이다.[4]

7. 6. 아메리카

마야 서예는 마야 상형 문자를 통해 표현되었으며, 현대 마야 서예는 주로 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인장과 기념물에 사용된다.[1] 마야 상형 문자는 정부 기관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캄페체, 유카탄 및 킨타나로오에서는 마야어 서예가 마야 상형 문자 대신 라틴 문자로 쓰인다.[1] 멕시코 남부의 일부 상업 회사들은 마야 상형 문자를 사업의 상징으로 사용하며,[1] 일부 지역 사회 협회와 현대 마야 형제단은 마야 상형 문자를 단체의 상징으로 사용한다.[1]

치첸 이차, 라브나, 우슈말, 에스나, 칼라크물 등 멕시코의 대부분의 고고학 유적지에는 구조물에 상형 문자가 있다.[1] 스텔레라고 알려진 조각된 석조 기념물은 고대 마야 서예의 일반적인 자료이다.[1]

참조

[1] 서적 Kalligrafie: Intensiv Training Verlag Hermann Schmidt
[2] 서적 Kalligrafie: Erste Hilfe und Schrift-Training mit Muster-Alphabeten Verlag Hermann Schmidt
[3] 서적 The World of Alphabets: A kaleidoscope of drawings and letterforms
[4] 서적 SchreibKunstRaume: Kalligraphie im Raum Verlag Callwey Verlag
[5] 서적 Miracle: a celebration of new life Photogenique Publishers
[6] 서적 Brush Lettering: An instructional manual in Western brush calligraphy Design Books
[7] 서적 The Calligrapher's Handbook Taplinger Publishing Co.
[8] 서적 Calligrapher's Handbook Pentalic
[9] 웹사이트 Paper Properties in Arabic calligraphy https://www.calligra[...] calligraphyfonts.info 2007-06-01
[10] 웹사이트 Calligraphy Islamic website http://calligraphyis[...] Calligraphyislamic.com 2012-06-18
[11] 서적 Shodo: The Quiet Art of Japanese Zen Calligraphy, Learn the Wisdom of Zen Through Traditional Brush Painting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4-03-11
[12] 서적 Brushed in Light: Calligraphy in East Asian Cinem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1-02-22
[13] 문서 Keightley, 1978
[14] 웹사이트 Categories of Calligraphy – Seal Script http://www.cityu.edu[...] 2018-05-30
[15] 웹사이트 The Bell and Cauldron Inscriptions-A Feast of Chinese Characters: The Origin and Development_Mao Gong Ding https://www.npm.gov.[...] 2018-05-30
[16] 서적 Chinese Calligraphy: From Pictograph to Ideogram: The History Of 214 Essential Chinese/Japanese Characters Abbeville Press
[17] 서적 Chinese writing. http://worldcat.org/[...]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China 2000
[18] 웹사이트 Chinese Calligraphy http://www.ebeijing.[...] 2018-05-30
[19] 서적 http://ctext.org/lib[...]
[20] 뉴스 "Four treasures of Study" tour http://www.chinadail[...] 2018-05-30
[21] 서적 An introduction to Japanese calligraphy Search
[22] 웹사이트 Philippine Paleographs (Hanunoo, Buid, Tagbanua and Pala'wan)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23] 웹사이트 'Educate first': Filipinos react to Baybayin as national writing system https://www.rappler.[...] 2018-04-27
[24] 웹사이트 House panel approves Baybayin as national writing system http://www.sunstar.c[...] 2018-04-24
[25] 웹사이트 5 things to know about PH's pre-Hispanic writing system http://news.abs-cbn.[...] 2018-04-25
[26] 웹사이트 A primer on Baybayin http://www.gmanetwor[...] 2016-08-15
[27] 웹사이트 The Baybayin bill and the never ending search for 'Filipino-ness' http://cnnphilippine[...] 2018-04-26
[28] 웹사이트 10 Perfectly Awesome Calligraphers You Need To Check Out https://brideandbrea[...] 2015-08-12
[29] 웹사이트 How to ace in script lettering https://www.philstar[...] 2018-06-01
[30] 웹사이트 Vietnamese Traditional Calligraphy During Tet ! Festival ! Vietnam+ (VietnamPlus) https://en.vietnampl[...] 2022-05-14
[31] 서적 Indian Epigraphy: A Guide to the Study of Inscriptions in Sanskrit, Prakrit, and the Other Indo-Ary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Indian Art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Calligraphie latine: Initiation Fleurus
[34] 웹사이트 Insular Manuscripts: Paleography, Section 6: Language on the Page in Insular Manuscripts, Layout and Legibility https://www.vhmml.or[...] 2018-05-30
[35] 서적 Historical scripts: from Classical Times to the Renaissance Oak Knoll Press
[36] 서적 Trinity College Library Dublin 2006; Walther & Wolf 2005; Brown & Lovett 1999: 40; Backhouse 1981
[37] 서적 Jackson 1981: 641
[38] 서적 Walther & Wolf 2005; de Hamel 1994: 46–481
[39] 서적 de Hamel 1994: 461
[40] 서적 Calligraphy and Illumination: A History and Practical Guide Harry N. Abrams
[41] 서적 The Art of Calligraphy, Western Europe & America 1980
[42] 서적 Painted Labyrinth: The World of the Lindisfarne Gospel British Library
[43] 서적 The Bible: New Living Translation Tyndale House Publishers
[44] 웹사이트 CALLIGRAPHY IN ISTANBUL {{!}} History of Istanbul https://istanbultari[...] 2024-01-25
[45] 서적 de Hamel 1986
[46] 서적 Gilderdale 1999; Gray 1971
[47] 웹사이트 The Legacy of Edward Johnston http://www.ejf.org.u[...] The Edward Johnston Foundation
[48] 서적 Cockerell 1945; Morris 1882
[49] 웹사이트 Font Designer — Edward Johnston http://www.linotype.[...] Linotype GmbH 2007-11-05
[50] 웹사이트 The Eric Gill Society: Associates of the Guild: Edward Johnston http://www.ericgill.[...]
[51] 서적 Gilderdale 1999
[52] 서적 Baines & Dixon 2003: 81
[53] 서적 Tresser 2006
[54] 서적 Whitley 2000: 90
[55] 서적 Herringham 1899
[56] 서적 Jackson 1981: 81
[57] 서적 Hewitt 1944–1953
[58] 서적 Cinamon 2001; Kapr 1991
[59] 서적 Calligraphy: From Calligraphy to Abstract Painting Scirpus-Publications
[60] 서적 An Elegant Hand: The Golden Age of American Penmanship and Calligraphy Oak Knoll Press
[61] 간행물 自分の書を創造する! ~創作~ https://www.nhk.or.j[...] NHK高校講座
[62] 서적 Calligraphy: From Calligraphy to Abstract Painting Scirpus-Publications
[63] 문서 揮毫(きごう) の意味 https://dictionary.g[...]
[64] 서적 Kalligrafie: Intensiv Training Verlag Hermann Schmidt
[65] 서적 Kalligrafie: Erste Hilfe und Schrift-Training mit Muster-Alphabeten Verlag Hermann Schmidt
[66] 서적 The World of Alphabets: A kaleidoscope of drawings and letterforms
[67] 서적 SchreibKunstRaume: Kalligraphie im Raum Verlag Callwey Verlag
[68] 서적 Miracle: a celebration of new life Photogenique Publishers
[69] 서적 Brush Lettering: An instructional manual in Western brush calligraphy Design Books
[70] 서적 The Calligrapher's Handbook Taplinger Publishing Co.
[71] 서적 Calligrapher's Handbook Pentalic
[72] 블로그 スタブのペン先 https://ameblo.jp/pe[...] 2022-01-22
[73] 웹사이트 Paper Properties in Arabic calligraphy https://www.calligra[...] calligraphyfonts.info 2007-06-01
[74] 웹사이트 写経で文字を書き間違えた時の修正方法まとめ https://www.engakuji[...] 2020-11-19
[75] 서적 Shodo: The Quiet Art of Japanese Zen Calligraphy, Learn the Wisdom of Zen Through Traditional Brush Painting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4-03-11
[76] 서적 Brushed in Light: Calligraphy in East Asian Cinem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1-02-22
[77] 웹사이트 甲骨文字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78] 간행물 それは甲骨文から始まった ~書の歴史~ https://www.nhk.or.j[...] NHK
[79] 서적 A Course in the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https://books.google[...] Lulu.com
[80] 간행물 書はアートだ! ~書写から書道へ~ https://www.nhk.or.j[...] NHK
[81] 뉴스 "Four treasures of Study" tour http://www.chinadail[...] 2018-05-30
[82] 서적 An introduction to Japanese calligraphy Search
[83] 간행물 ひらがなの誕生 ~いろは歌~ https://www.nhk.or.j[...] NHK
[84] 웹사이트 Vietnamese Traditional Calligraphy During Tet {{!}} Festival {{!}} Vietnam+ (VietnamPlus) https://en.vietnampl[...] 2022-05-14
[85] 웹사이트 How To Do Hand Lettering With Chisel Tip Marker https://ximenaletter[...] 2022-11-12
[86] 웹사이트 'Educate first': Filipinos react to Baybayin as national writing system https://www.rappler.[...] 2022-11-13
[87] 웹사이트 House panel approves Baybayin as national writing system http://www.sunstar.c[...] 2022-11-13
[88] 웹사이트 5 things to know about PH's pre-Hispanic writing system http://news.abs-cbn.[...] 2022-11-13
[89] 웹사이트 A primer on Baybayin http://www.gmanetwor[...] 2022-11-13
[90] 웹사이트 The Baybayin bill and the never ending search for 'Filipino-ness' http://cnnphilippine[...] 2022-11-13
[91] 웹사이트 10 Perfectly Awesome Calligraphers You Need To Check Out https://brideandbrea[...] 2022-11-13
[92] 웹사이트 How to ace in script lettering https://www.philstar[...] 2022-11-13
[93] 서적 Indian Epigraphy: A Guide to the Study of Inscriptions in Sanskrit, Prakrit, and the Other Indo-Ary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94] 서적 Indian Art Oxford University Press
[95] 서적 Painted Labyrinth: The World of the Lindisfarne Gospel British Library
[96] 서적 Calligraphie latine: Initiation
[97] 문서
[98] 문서
[99] 서적 Calligraphy and Illumination: A History and Practical Guide Harry N. Abrams
[100] 블로그 フランスの書体はこの3つ! https://ameblo.jp/hi[...] 2017-02-21
[101] 서적 The Art of Calligraphy, Western Europe & America c. 1980
[102] 웹사이트 アラビア書道の世界へようこそ Home https://www.jaca2006[...] 2022-11-12
[103] 웹사이트 アラビア書道の歴史 https://www.jaca2006[...] 2022-11-12
[104] 웹사이트 書の花嫁・ペルシャ書道の魅力 https://sophia-net.c[...] 2022-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