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아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 요리는 소말리아의 역사, 지역, 주식, 부식, 디저트, 음료, 식사 예절, 현대 요리의 변화 등을 포괄하는 다양한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다. 주식으로는 빵, 죽, 쌀, 파스타 등이 있으며, 지역별로 북부, 남부, 해안 지역의 특색 있는 요리가 발달했다. 전통적인 식사 예절과 함께 현대 소말리아 요리는 변화를 겪고 있으며, 다양한 간식과 음료도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 요리 - 폴렌타
폴렌타는 옥수수 가루를 끓여 만든 이탈리아 요리로, 고대 로마 시대 곡물 죽에서 유래하여 옥수수가 주재료가 되었으며, 이탈리아 북부에서 주식으로 여겨지다 이탈리아 전역과 브라질로 퍼져 다양한 조리법으로 사랑받고 있다. - 소말리아 요리 - 바클라바
바클라바는 얇은 페이스트리 반죽 필로에 버터와 견과류를 넣어 구운 후 시럽을 뿌려 만드는 달콤한 후식으로, 플라센타 케이크, 라우지나즈, 중앙 아시아 튀르크족의 빵 등 다양한 기원설이 있으며, 지역별로 고유한 변형이 존재하고 튀르키예의 가지안테프 바클라바는 유럽 연합의 지리적 표시 보호를 받았다.
소말리아 요리 | |
---|---|
지도 | |
요리 종류 | |
주요 요리 | 아니에라, 바리스 이스쿠카, 삼부사, 할와 |
종류 | 아프리카 요리, 아랍 요리, 지중해 요리 |
주식 | 쌀, 파스타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소말리 요리 |
국가 | 소말리아 |
지역 | 아프리카의 뿔 |
기원 | 소말리아 요리 유산 |
특징 | |
풍미 | 복합적, 이국적, 풍부 |
재료 | 향신료, 고기, 곡물, 채소 |
조리 방법 | 구이, 튀김, 끓이기, 볶음 |
식사 예절 | 오른손 사용, 공동 식사 |
영향 | |
문화적 영향 | 아랍 문화, 페르시아 문화, 인도 문화, 이탈리아 문화 |
종교적 영향 | 이슬람 (할랄 음식) |
주요 식사 | |
아침 식사 | 카무니, 간요-밥, 무포, 라호흐 |
점심 식사 | 바리스, 소고기 또는 염소고기, 생선 |
저녁 식사 | 안제로, 콩, 스튜 |
음료 | |
주요 음료 | 샤하 하와시, 차이, 과일 주스, 낙타유 |
디저트 | |
주요 디저트 | 할와, 구무바, 바스부사 |
특별한 경우 | |
행사 음식 | 결혼식, 라마단, 이드 알피트르, 이드 알아드하 |
지역별 차이 | |
해안 지역 | 해산물, 향신료 |
내륙 지역 | 고기, 유제품 |
2. 역사
2. 1. 식민지 이전
2. 2. 이탈리아 식민지 시대
2. 3. 독립 이후
3. 지역별 요리
3. 1. 북부
3. 2. 남부
3. 3. 해안 지역
4. 주식
소말리아에서 빵은 주식으로 자주 먹는 음식이다.[16] 밀가루나 옥수수 가루로 만든 빵을 자주 먹는다.[16] 크레페 모양의 빵은 안제러(Canjeero) 또는 라호흐(laxoox)라고 부르며,[22] 난 모양은 무포(muufo, muffo), 프랑스 빵 모양은 코리스 안제어로(kooris canjeero) 또는 로티 (Rooti)라고 불리지만,[22] 지방에 따라 다르고 엄격한 구분은 없다.
아침 식사(quraac)는 소말리아인들에게 중요한 식사이며, 안제러를 먹는 여러 방법이 있다. 소말리아식 버터를 꺼내서 홍차에 설탕을 넣고 먹는 수바그(subag)식이 있고, 이집트식으로 계란을 양파나 토마토를 넣어 구워서 같이 먹는 샤크슈카(shakshuka)식도 있다. 소말리아 기(subag)와 설탕을 넣고 작은 조각으로 부수어 먹을 수도 있고, 아이들의 경우 차와 참기름 또는 올리브 오일(macsaro)과 섞어 묽게 먹는다.
안제어로는 에티오피아의 인제라와 어원이 같지만, 옥수수 가루나 수수 가루로 만들어 인제라보다 얇고 작다.[22] 작게 찢어 버터나 참기름, 설탕을 찍어 홍차를 뿌려 먹는 경우가 많으며, 이 방법은 말라와흐(malawax)라고도 불린다.[22] 말라와흐(malawax)는 ''canjeero''의 더 달콤하고 기름진 버전으로, 대부분 가정식의 주식이며, ''canjeero''를 먹는 방식과 유사하게 아침 식사에 차와 함께 먹는다.
데시 파라타와 유사한 플랫 브레드인 사바야드(sabaayad)는 빵 반죽에 버터를 겹겹이 넣어 만든다.[22] 점심 식사 중에는 ''kibis'' / ''사바야드''를 소말리아 카레, 수프 또는 스튜와 함께 먹기도 한다.
무푸[7]는 소말리아 남부에서 인기 있는 또 다른 종류의 소말리아 플랫 브레드로, 일반적으로 스튜와 수프와 함께 먹지만, 때로는 아침 식사에 꿀이나 설탕, ''subag'' 및 홍차와 함께 먹기도 한다.
설탕이나 꿀을 조린 할바 (xalwo)[15]를 로티에 발라 로티 이요 할워(Rooti iyo xalwo)로 먹는 경우도 많다.[22] 저녁 식사(''casho'')는 늦으면 밤 9시에 제공된다. 라마단 기간에는 저녁 식사 시간이 타라위 기도 후에 이어져 때로는 밤 11시까지 늦어지기도 한다. 흔한 저녁 식사 요리인 ''cambuulo''는 잘 익힌 팥에 버터와 설탕을 섞어 만든다. ''Rooti iyo xalwo''는 젤라틴 같은 과자와 함께 제공되는 빵 조각으로, 또 다른 저녁 식사 요리이다.
소말리아에서 죽은 곡물 가루를 물이나 우유로 끓여서 만들며, 버터와 설탕을 듬뿍 넣어 간을 한다.[13] 라호(Laxoo)[13], 보리쉬(Boorish), 미샤리(mishaari), 소르(Soor) 등으로 불린다. 소말리아 남부에서는 귀리, 수수, 옥수수 등을 재배하여 빵이나 죽으로 만들어 먹는다.[16]
소말리아에서 점심 식사인 까더(qado)는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로, 쌀이나 세이지를 주재료로 하고, 큐민, 생강, 시나몬 등의 향신료를 많이 사용한다.[8] 남부 지방에서는 쌀과 채소, 고기를 함께 요리한 이스쿠데흐카리스가 흔하며, 스튜의 일종인 마라끄(maraq)도 고기와 밥을 함께 곁들여 먹는다.[24] 수도 모가디슈에서는 스테이크인 부스테키(busteeki)나 생선 요리가 일반적이다.
파스타는 바스터(Baasto)라고 불리며 남부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이탈리아인에게서 전래되었지만 파스타 소스 대신 향신료를 사용하고 바나나잎을 곁들이는 소말리아식으로 변형되었다.[8] 쌀과 함께 제공되기도 하는데, 이 새로운 요리는 "연방"이라고 불린다. 이는 쌀과 스파게티를 함께 큰 접시에 담고, 다양한 스튜로 만든 고기와 채소, 샐러드, 바나나를 곁들여 제공하는 방식이다.
소말리아에서는 쌀을 양파와 고기와 함께 조리하고 볶은 다음, 커민, 고수, 강황, 카다멈, 후추, 정향, 육두구로 구성된 ''xawaash''라는 소말리아 향신료 혼합물과 섞은 요리인 이스쿠데흐카리스(Iskudhexkaris)도 인기 있다.[24] 쌀은 바리스(bariis)라고 불리며, 종류는 바스마티가 많다. 리조토로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으며, 향신료로 맛과 향을 낸다. 점심으로 먹는 경우가 많다.
파스타를 바스터(Baasto)라고 부르는데 남쪽 지방에서는 아주 흔하며 유럽식 형태인 파스타를 소말리아식으로 옮긴 것이다.[8] 파스타 소스 대신 향신료를 쓰고 바나나잎을 곁들이면 소말리아식 파스타가 된다.[8]
스파게티와 같은 파스타 (''baasto'')[8]의 사용은 이탈리아인에게서 유래되었지만, 파스타 소스보다 더 묵직한 스튜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쌀과 마찬가지로 바나나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스파게티는 쌀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연방"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요리를 형성한다. 이 요리는 보통 큼지막한 타원형 접시의 양쪽에 동일한(통째로) 쌀과 스파게티가 담겨져 제공된다. 그런 다음 다양한 스튜로 만든 고기와 채소를 얹고 샐러드와 선택적으로 바나나를 곁들인다. 이 요리의 이름은 소말리아의 두 요리의 결합과 음식의 크기와 양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쌀과 스파게티를 항상 쉽게 구할 수 있는 전통 소말리아 식당에서 이 요리를 주문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며, 소말리아 가정에서 같은 식사에 쌀과 파스타를 모두 준비하는 것은 드물이다.
남부에서는 이탈리아에서 전해진 파스타를 바스토(Baasto)라고 부르며 인기가 있다. 재료는 고기가 많다.[16] 수프에 넣거나 재료에 바나나를 사용하기도 한다.
4. 1. 빵
소말리아에서 빵은 주식으로 자주 먹는 음식이다.[16] 밀가루나 옥수수 가루로 만든 빵을 자주 먹는다.[16] 크레페 모양의 빵은 안제러(Canjeero) 또는 라호흐(laxoox)라고 부르며,[22] 난 모양은 무포(muufo, muffo), 프랑스 빵 모양은 코리스 안제어로(kooris canjeero) 또는 로티 (Rooti)라고 불리지만,[22] 지방에 따라 다르고 엄격한 구분은 없다.아침 식사(quraac)는 소말리아인들에게 중요한 식사이며, 안제러를 먹는 여러 방법이 있다. 소말리아식 버터를 꺼내서 홍차에 설탕을 넣고 먹는 수바그(subag)식이 있고, 이집트식으로 계란을 양파나 토마토를 넣어 구워서 같이 먹는 샤크슈카(shakshuka)식도 있다. 소말리아 기(subag)와 설탕을 넣고 작은 조각으로 부수어 먹을 수도 있고, 아이들의 경우 차와 참기름 또는 올리브 오일(macsaro)과 섞어 묽게 먹는다.
안제어로는 에티오피아의 인제라와 어원이 같지만, 옥수수 가루나 수수 가루로 만들어 인제라보다 얇고 작다.[22] 작게 찢어 버터나 참기름, 설탕을 찍어 홍차를 뿌려 먹는 경우가 많으며, 이 방법은 말라와흐(malawax)라고도 불린다.[22] 말라와흐(malawax)는 ''canjeero''의 더 달콤하고 기름진 버전으로, 대부분 가정식의 주식이며, ''canjeero''를 먹는 방식과 유사하게 아침 식사에 차와 함께 먹는다.
데시 파라타와 유사한 플랫 브레드인 사바야드(sabaayad)는 빵 반죽에 버터를 겹겹이 넣어 만든다.[22] 점심 식사 중에는 ''kibis'' / ''사바야드''를 소말리아 카레, 수프 또는 스튜와 함께 먹기도 한다.
무푸[7]는 소말리아 남부에서 인기 있는 또 다른 종류의 소말리아 플랫 브레드로, 일반적으로 스튜와 수프와 함께 먹지만, 때로는 아침 식사에 꿀이나 설탕, ''subag'' 및 홍차와 함께 먹기도 한다.
설탕이나 꿀을 조린 할바 (xalwo)[15]를 로티에 발라 로티 이요 할워(Rooti iyo xalwo)로 먹는 경우도 많다.[22] 저녁 식사(''casho'')는 늦으면 밤 9시에 제공된다. 라마단 기간에는 저녁 식사 시간이 타라위 기도 후에 이어져 때로는 밤 11시까지 늦어지기도 한다. 흔한 저녁 식사 요리인 ''cambuulo''는 잘 익힌 팥에 버터와 설탕을 섞어 만든다. ''Rooti iyo xalwo''는 젤라틴 같은 과자와 함께 제공되는 빵 조각으로, 또 다른 저녁 식사 요리이다.
4. 2. 죽
소말리아에서 죽은 곡물 가루를 물이나 우유로 끓여서 만들며, 버터와 설탕을 듬뿍 넣어 간을 한다.[13] 라호(Laxoo)[13], 보리쉬(Boorish), 미샤리(mishaari), 소르(Soor) 등으로 불린다. 소말리아 남부에서는 귀리, 수수, 옥수수 등을 재배하여 빵이나 죽으로 만들어 먹는다.[16]4. 3. 쌀
소말리아에서 점심 식사인 까더(qado)는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로, 쌀이나 세이지를 주재료로 하고, 큐민, 생강, 시나몬 등의 향신료를 많이 사용한다.[8] 남부 지방에서는 쌀과 채소, 고기를 함께 요리한 이스쿠데흐카리스가 흔하며, 스튜의 일종인 마라끄(maraq)도 고기와 밥을 함께 곁들여 먹는다.[24] 수도 모가디슈에서는 스테이크인 부스테키(busteeki)나 생선 요리가 일반적이다.파스타는 바스터(Baasto)라고 불리며 남부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이탈리아인에게서 전래되었지만 파스타 소스 대신 향신료를 사용하고 바나나잎을 곁들이는 소말리아식으로 변형되었다.[8] 쌀과 함께 제공되기도 하는데, 이 새로운 요리는 "연방"이라고 불린다. 이는 쌀과 스파게티를 함께 큰 접시에 담고, 다양한 스튜로 만든 고기와 채소, 샐러드, 바나나를 곁들여 제공하는 방식이다.
소말리아에서는 쌀을 양파와 고기와 함께 조리하고 볶은 다음, 커민, 고수, 강황, 카다멈, 후추, 정향, 육두구로 구성된 ''xawaash''라는 소말리아 향신료 혼합물과 섞은 요리인 이스쿠데흐카리스(Iskudhexkaris)도 인기 있다.[24] 쌀은 바리스(bariis)라고 불리며, 종류는 바스마티가 많다. 리조토로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으며, 향신료로 맛과 향을 낸다. 점심으로 먹는 경우가 많다.
4. 4. 파스타
파스타를 바스터(Baasto)라고 부르는데 남쪽 지방에서는 아주 흔하며 유럽식 형태인 파스타를 소말리아식으로 옮긴 것이다.[8] 파스타 소스 대신 향신료를 쓰고 바나나잎을 곁들이면 소말리아식 파스타가 된다.[8]스파게티와 같은 파스타 (''baasto'')[8]의 사용은 이탈리아인에게서 유래되었지만, 파스타 소스보다 더 묵직한 스튜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쌀과 마찬가지로 바나나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스파게티는 쌀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연방"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요리를 형성한다. 이 요리는 보통 큼지막한 타원형 접시의 양쪽에 동일한(통째로) 쌀과 스파게티가 담겨져 제공된다. 그런 다음 다양한 스튜로 만든 고기와 채소를 얹고 샐러드와 선택적으로 바나나를 곁들인다. 이 요리의 이름은 소말리아의 두 요리의 결합과 음식의 크기와 양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쌀과 스파게티를 항상 쉽게 구할 수 있는 전통 소말리아 식당에서 이 요리를 주문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며, 소말리아 가정에서 같은 식사에 쌀과 파스타를 모두 준비하는 것은 드물다.
남부에서는 이탈리아에서 전해진 파스타를 바스토(Baasto)라고 부르며 인기가 있다. 재료는 고기가 많다.[16] 수프에 넣거나 재료에 바나나를 사용하기도 한다.
5. 부식 (반찬)
까더(qado)라고 부르는 점심 식사는 가장 중요하다. 가장 정찬에 가까우며 쌀이나 세이지를 많이 쓰며 기타 허브도 많이 사용하여 요리한다. 큐민이나 생강, 시나몬 드를 많이 쓴다.
남쪽 지방에서는 쌀과 야채, 고기 등을 함께 요리해서 내놓는 이스쿠데흐카리스라는 음식이 꽤 흔하다. 스튜는 마라끄(maraq)라고 부르는데 마찬가지로 고기와 밥을 함께 내놓는다. 수도인 모가디슈에서는 스테이크라고 할 수 있는 부스테키(busteeki)나 생선 요리가 흔하다.
옥수수로 해먹는 요리도 흔한데 소말리아의 옥수수죽인 우갈리(ugali)는 케냐와는 달라서 좀 더 부드럽고 대개는 우유나 버터, 설탕을 넣는다. 인도식 차파티를 소말리아에서는 자국화시켜 사바야드(sabaayad)라고 하는데 조금 달고 기름을 꼭 두르고 요리한다.
파스타를 바스터(Baasto)라고 부르는데 남쪽 지방에서는 아주 흔하며 유럽식 형태인 파스타를 소말리아식으로 옮긴 것이다. 파스타 소스 대신 향신료를 쓰고 바나나잎을 곁들이면 소말리아식 파스타가 된다.[8]
점심 시간에 가장 많이 먹는 음료는 발벨머(balbeelmo)라고 해서 포도주스이며 레모네이드나 망고, 구아바 주스도 많이 먹는다.
점심 (''qado'')은 종종 laxoox, 파스타 (''baasto'') 또는 쌀 (''Bariis iskukaris'')에 커민 (''kamuun''), 카다멈 (''heyl''), 정향 (''dhagayare''), 그리고 세이지 (''Salvia somalensis'')를 곁들인 복잡한 메인 요리이다. 스파게티와 같은 파스타 (''baasto'')의 사용은 이탈리아인에게서 유래되었지만, 파스타 소스보다 더 묵직한 스튜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쌀과 마찬가지로 바나나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스파게티는 쌀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연방"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요리를 형성한다. 이 요리는 보통 큼지막한 타원형 접시의 양쪽에 동일한(통째로) 쌀과 스파게티가 담겨져 제공된다. 그런 다음 다양한 스튜로 만든 고기와 채소를 얹고 샐러드와 선택적으로 바나나를 곁들인다. 이 요리의 이름은 소말리아의 두 요리의 결합과 음식의 크기와 양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쌀과 스파게티를 항상 쉽게 구할 수 있는 전통 소말리아 식당에서 이 요리를 주문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며, 소말리아 가정에서 같은 식사에 쌀과 파스타를 모두 준비하는 것은 드물다.
소말리아에서 많은 사람들은 ''ful''(잠두)을 ''kimis'' 또는 canjeero와 함께, 또한 후무스와 함께 먹는 것과 같은 아랍 요리를 먹는다. 다른 요리로는 팔라펠을 후무스와 함께 먹거나 피타빵, 샐러드, 후무스(샌드위치처럼)와 함께 먹는 것이 있다.
남부 지역에서 또 다른 인기 있는 요리는 쌀, 채소, 고기로 만든 핫 팟 (''maraq'')인 ''iskukaris''로, 이는 국가의 주요 음식이다. 다양한 종류의 핫 팟 외에도 쌀은 보통 옆에 바나나와 함께 제공된다. 모가디슈에서는 스테이크 (''busteeki'')와 생선 (''kalluun''/''mallaay'')을 널리 먹는다.
남부 소말리아인들은 일반적으로 ''"soor"'', 즉 스튜나 수프와 함께 먹는 뻣뻣한 옥수수 가루를 소비한다.
또 다른 흔히 먹는 옥수수 가루는 ''asida''라고 불린다. 신선한 우유, 버터, 설탕을 넣고 으깨거나, 가운데 구멍을 내고 ''maraq'' 또는 올리브 오일을 채워 제공한다.
납작빵의 변형은 ''sabaayad''/''kimis''/''cesh''이다. 쌀과 마찬가지로 ''maraq''과 고기를 곁들여 제공된다. 소말리아의 ''sabaayad''은 종종 다소 달콤하며, 약간의 기름에 조리된다.
점심 시간에 인기 있는 음료는 ''balbeelmo'' (자몽), ''raqey'' (타마린드), ''isbarmuunto'' (레모네이드)이다. 모가디슈에서는 ''fiimto'' (Vimto)와 ''laas'' (라시)도 흔하다. 북서부에서는 선호하는 음료는 ''cambe'' (망고), 구아바, ''tufaax'' (사과)이다.
''Bariis iskukaris''도 인기 있는데, 쌀을 양파와 고기와 함께 조리하고 볶은 다음, 커민, 고수, 강황, 카다멈, 후추, 정향, 육두구로 구성된 ''xawaash''라는 소말리아 향신료 혼합물과 섞은 요리이다. 전통적으로 소말리아 결혼식에서 제공된다.
고기는 염소와 양이 많지만, 소와 낙타도 먹을 수 있다. 닭도 드물게 먹지만[18], 시장에서는 산 닭을 팔고 있어서 닭 요리는 손이 많이 가는 데다가, 소말리아의 유목민 사회에서는 낙타 등의 가축이 더 높게 여겨지고, 닭고기는 가난한 사람들의 음식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소말리인들은 그다지 먹지 않는다[17]. 렌즈콩, 잠두, 녹두, 팥, 강낭콩을 사용한 콩 요리도 즐겨 먹는다[18]. 생선은 도시 지역을 제외하고는 별로 먹지 않는다[18]. 양이 많은 든든한 식사는 점심에 먹는 경우가 많다.
가늘게 썰어 말린 후 소금과 스바그를 비벼 만든 고기는 오드카아(oodkac)라고 불리며, 캔에 넣어 보관하고 향신료를 첨가해 버터나 기(ghee)로 볶아 먹는 경우가 많다. 다른 고기도 볶아 먹거나 구워 먹는다. 소말리아 요리의 카바브(kabaab)는 케밥이 아니라 미트볼을 말한다[19]. 고기는 채소와 함께 끓여 먹는 경우도 많다[18].
감자, 당근, 피망, 시금치, 케일, 양배추, 마늘 등의 채소도 먹는다. 고기와 함께 끓여 먹는 경우가 많다[18]. 생채소 샐러드는 안살라토(ansalaato)라고 부른다. 시트니(shitni)라는 토마토 차트니는 밥이나 파스타 및 다른 요리에 곁들여 먹는다[20].
쇠고기 요리는 수카르(Suqaar)라고 불리며[24], 썬 고기를 끓인 것, 소 다진 고기를 감자와 볶은 것[22] 등이 있다.
이집트 요리의 샥슈카 (shakshuka)를 먹는 경우도 많다. 양파・마늘・토마토를 볶아 끓인 후 달걀을 풀어 만든 것이다. 간 (baar)이나 염소고기를 넣는 경우도 많으며, 빵으로 떠 먹는다.
암부로(cambuulo, ambola)는 콩(주로 팥, 현지명: digir)을 버터와 설탕과 함께 약한 불로 5시간 정도 끓인 것이다. 참기름이 사용되기도 한다[24]. 콩을 끓인 것뿐이지만, 1988년 소말리아의 신문 히디그타 옥토베르(Xiddigta Oktoober)의 조사에 따르면,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 주민의 8할이 저녁 식사의 주 요리를 암부로로 먹었다고 할 정도로 자주 먹는 요리이다. 팥 대신 밀 (현지명: qamadi), 보리, 옥수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수프는 마락(maraq)이라고 불리며, 양파, 쇠고기, 토마토를 넣은 건더기가 많은 것도 있지만[21], 단순히 고기 육수인 경우도 있다[22]. 기름이나 설탕으로 간을 하는 경우도 많다. 마락은 홍해를 사이에 둔 맞은편의 예멘의 요리이며, 예멘에서는 조림 요리를 의미한다[13]. 같은 요리가 풀(fool)이라고 불리기도 한다[24].
수도 모가디슈에서는 부스테키(busteeki, 비프 스테이크)나 칼룬(kaluun, 생선 요리)을 먹는 경우도 많다.
5. 1. 고기 요리
소말리아에서 고기 요리는 염소와 양이 많지만, 소와 낙타고기도 먹을 수 있다. 닭도 드물게 먹지만[18], 시장에서 산 닭을 팔고 있어서 닭 요리는 손이 많이 가는 데다가, 소말리아의 유목민 사회에서는 낙타 등의 가축이 더 높게 여겨지고, 닭고기는 가난한 사람들의 음식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소말리인들은 그다지 먹지 않는다[17]. 가늘게 썰어 말린 후 소금과 스바그를 비벼 만든 고기는 오드카아(oodkac)라고 불리며, 캔에 넣어 보관하고 향신료를 첨가해 버터나 기(ghee)로 볶아 먹는 경우가 많다. 다른 고기도 볶아 먹거나 구워 먹는다. 소말리아 요리의 카바브(kabaab)는 케밥이 아니라 미트볼을 말한다[19]. 고기는 채소와 함께 끓여 먹는 경우도 많다[18].쇠고기 요리는 수카르(Suqaar)라고 불리며[24], 썬 고기를 끓인 것, 소 다진 고기를 감자와 볶은 것[22] 등이 있다. 이집트 요리의 샥슈카 (shakshuka)를 먹는 경우도 많다. 양파・마늘・토마토를 볶아 끓인 후 달걀을 풀어 만든 것이다. 간 (baar)이나 염소고기를 넣는 경우도 많으며, 빵으로 떠 먹는다.
수도 모가디슈에서는 스테이크 (''busteeki'')와 생선 (''kalluun''/''mallaay'')을 널리 먹는다. 남부 지역에서는 쌀과 야채, 고기를 함께 요리해서 내놓는 이스쿠데흐카리스라는 음식이 꽤 흔하다. 스튜는 마라끄(maraq)라고 부르는데 마찬가지로 고기와 밥을 함께 내놓는다.[13]
5. 2. 채소 요리
소말리아에서 채소는 이스쿠데흐카리스나 마라끄(maraq)와 같은 요리에 사용된다.[18] 이스쿠데흐카리스는 쌀, 채소, 고기를 함께 조리한 음식이며, 마라끄는 고기와 밥을 함께 끓인 스튜이다. 모가디슈에서는 스테이크의 일종인 부스테키(busteeki)나 생선 요리도 흔하다.[18]옥수수로 만든 우갈리(ugali)는 케냐와 달리 부드럽게 만들어 우유, 버터, 설탕을 곁들여 먹는다.[18] 인도식 차파티를 변형한 사바야드(sabaayad)는 달콤하며 기름에 조리한다. 파스타는 바스터(Baasto)라고 불리며, 향신료와 바나나잎을 곁들여 소말리아식으로 먹는다.
소말리아에서는 렌즈콩, 잠두, 녹두, 팥, 강낭콩을 사용한 콩 요리도 즐겨 먹는다.[18] 감자, 당근, 피망, 시금치, 케일, 양배추, 마늘 등의 채소도 고기와 함께 끓여 먹는 경우가 많다.[18] 생채소 샐러드는 안살라토(ansalaato)라고 부르며, 시트니(shitni)라는 토마토 차트니는 밥이나 파스타에 곁들여 먹는다.[20]
5. 3. 수프
수프는 마락(maraq)이라고 불리며, 홍해 건너편 예멘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13] 양파, 쇠고기, 토마토를 넣은 건더기가 많은 수프도 있지만,[21] 단순히 고기 육수인 경우도 있다.[22] 기름이나 설탕으로 간을 하기도 한다. 마락은 예멘에서 조림 요리를 의미한다.[13] 같은 요리가 풀(fool)이라고 불리기도 한다.[24]6. 간식
스낵은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으로서 항상 즐긴다. 남아시아의 사모사와 비슷한 형태인 소말리아의 삼부사(Sambuusa)는 가장 흔한 형태이고 가장 유명하다.[18] 라마단 기간에 특히 많이 소비하며 이 음식을 따로 아푸르(afur)라고 부르기도 한다. 청고추를 넣거나 하기도 한다.[18]
바지예(Bajiye)는 인도식 파코라로서 남쪽 지역에서 인기가 있으며 옥수수와 야채, 고기, 향신료를 반죽해 넣은다음에 한꺼번에 튀겨내는 것이다. 비스바스(bisbaas)라고 불리는 핫 소스에 찍어 먹는 경우가 많다. 케밥도 소비되지만 흔하지는 않다. 다진 고기에 계란과 밀가루를 섞어 튀긴, 코프타 케밥과 유사한 종류도 남부에서 인기있다. 과일이 많이 나기 때문에 하루 내내 과일 먹는 사람들 모습을 보기 쉽다. 망고 (''캄보''), 구아바 (''세이툰''), 바나나 (''모스''), 오렌지 (''린반벨모'')와 같은 과일을 하루 종일 먹는다.
7. 디저트
할워(할바)는 소말리아의 젤리 과자로 결혼식과 같은 특별한 날에 즐겨 먹는다.[9] 설탕, 옥수수 전분, 카다멈 가루, 육두구 가루, 기(버터)로 만들며, 땅콩을 넣어 맛을 더하기도 한다.[10] 소말리아어로 "Xalwadii waad qarsatey!" (할워를 숨기고 있겠죠!)라고 하면, "비밀 결혼식을 올렸을 거에요"라는 뜻이 된다.
가샤토(Gashaato) 또는 쿰베(qumbe)는 코코넛, 설탕, 기름으로 만들고 카다몸으로 양념을 한 과자이다. 설탕을 끓인 물에 카다몸과 잘게 썬 코코넛을 넣어 만든다.
로스 이요 시신(Loos iyo sisin)은 남부 지역에서 인기 있는 과자로, 땅콩(loos)과 참깨(sisin)를 캐러멜로 굳혀 만든다.
잘라토(Jallaato)는 이탈리아어 젤라토에서 유래한 단어로, 과일을 막대기에 꽂아 얼려 만든다. 모가디슈에서는 우유와 설탕을 첨가한 ''caano jallaato''도 판매된다.
비스킷(Buskut)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부드러운 식감의 것은 다르다르(daardaar)라고 불린다. 돌쇼(Doolshe)는 케이크를 칭하며, 카르다몸 풍미의 스펀지 케이크인 돌쇼 소말리(doolsho soomaali)와 버터 케이크인 돌쇼 수바그(doolsho subag)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설탕과 밀가루를 기름과 섞어 만든 이쿤(Icun), 튀긴 소말리아 페이스트리인 슈슈모(Shushumow), 세몰리나를 시럽에 담가 만든 바스부사(바스부사)[11], 달콤한 튀김 반죽인 로크마(로크마) 등이 있으며, 바클라바를 먹는 소말리아인도 있다.
결혼식, 파티, 이드와 같은 축제 행사에서는 ''baalbaaloow'', ''shuushuumoow'', ''bur hindi'', ''bur tuug'', ''qumbe''(코코넛) 등 다양한 과자가 제공된다.
8. 음료
홍차는 샤(shaah)라고 불리며, 카다멈, 시나몬, 생강, 육두구와 함께 끓여 향을 내고, 우유를 넣어 마시는 경우가 많으며[22], 우유를 넣고 끓이기도 한다. '샤(차)'라는 명칭은 광둥어 계열이며, 아라비아 반도에서 전해졌음을 나타낸다[23]。 소말리아의 커피는 카흐웨(qaxwe)라고 불리며, 예멘의 키실처럼 커피콩을 꺼낸 후의 껍질과 과육을 볶아 생강, 카다멈, 시나몬과 함께 갈아, 달콤한 할와(halwo)나 대추를 먹으면서 블랙으로 마신다.
그 외에 발베르모(balbeelmo, 자몽), 라케이(raqey, 타마린드), 암베(cambe, 망고), 제이툰(zeytuun, 구아바), 투파흐(tufaax, 사과), 카레(qare, 수박) 등의 주스, 이스바르문토(isbarmuunto, 레모네이드), 라스(laas, 라씨) 등이 자주 마셔진다. 소말릴란드의 수도 하르게이서에서는 피임토(fiimto, Vimto)도 즐겨 마신다. 과일 주스는 인도나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경우가 많다[24]。
9. 식사 예절
소말리아인들은 전통적으로 식사 후에 집안에 향수를 뿌린다.[12] 유향(''luubaan'') 또는 준비된 향(''uunsi'')을 뜨거운 숯 위에 향로(''dabqaad'') 또는 ''idin'' 안에 넣고 약 10분 동안 태운다.[12] 이렇게 하면 집안에 몇 시간 동안 향기가 유지된다.[12] 이 향로는 소말리아 특정 지역에서 발견되는 활석으로 만들어진다.[12]
10. 현대 소말리아 요리의 변화
참조
[1]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뉴스
Shaah (Somali Spiced Tea)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24-05-25
[3]
뉴스
Shaah, a sweet and spiced Somali chai, is just the thing for your afternoon tea break
https://www.washingt[...]
2021-10-29
[4]
문서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Greenwood Press
[5]
웹사이트
Little Business Women
https://archive.toda[...]
[6]
문서
[7]
웹사이트
Somali Polenta Flat Bread (Muufo)
http://www.somalikit[...]
2015-03-08
[8]
웹사이트
Somali recipes (in Italian)
http://www.liutprand[...]
[9]
웹사이트
Somali Halwa
http://www.mysomalif[...]
2011-07
[10]
문서
[11]
웹사이트
The Recipes of Africa
https://books.google[...]
2014-07-18
[12]
문서
[13]
웹사이트
ソマリア料理
http://e-food.jp/map[...]
e-food
[14]
서적
Somali Cuisine
Authorhouse
[15]
웹사이트
Somali cuisine
http://www.allceeldh[...]
Allceeldheer.com
[16]
웹사이트
Eating the somali way
http://www.cp-pc.ca/[...]
[17]
문서
Somali Cuisine
[18]
웹사이트
Food and Fasting in Somali Culture
http://ethnomed.org/[...]
ethnomed.org
2009-07-01
[19]
문서
Somali Cuisine
[20]
문서
Somali Cuisine
[21]
웹사이트
Somali Stew - Maraq (pronounced MAH-ruhk)
http://originalrecip[...]
originalrecipes.com
[22]
웹사이트
ソマリア:その土地の食
http://tabisite.com/[...]
[23]
서적
一杯の紅茶の世界史
文藝春秋
[24]
웹사이트
The Food of Somalia
http://www.somalicu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