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페란토 어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페란토 어원은 에스페란토 어휘의 기원과 형성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에스페란토는 유럽 언어의 공통 어휘를 차용하고, 철자와 발음을 보존하거나 에스페란토 고유의 방식으로 변형하는 규칙을 따른다. 어휘는 로망스어군, 게르만어파, 슬라브어파,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국제 어휘와 학명도 사용한다. 또한, 에스페란토는 접사를 활용하여 어휘를 명확하게 하며, 원시 에스페란토 시대의 흔적도 일부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페란토 -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에스페란토 위키백과는 2001년 척 스미스에 의해 시작되어 에스페란토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2021년 30만 개 이상의 기사를 보유하고, 초심자 참여를 지원하며 에스페란토 커뮤니티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에스페란토 - 헤르츠베르크 암 하르츠
    헤르츠베르크 암 하르츠는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하르츠 산맥 남서쪽 가장자리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자연 명소가 있고, 주조, 금속 가공 등의 산업이 발달했으며 에스페란토 운동을 장려하는 "에스페란토 도시"로 알려져 있다.
  • 어원학 - 민간어원
    민간어원은 단어의 어원에 대한 잘못된 대중적 통념으로 인해 단어의 형태, 발음, 의미가 변화하는 현상으로, 언중의 해석이 언어 변화의 원인이 되며, 한국어에서는 한자어와 관련된 사례가 많고, 언어 변화, 사회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되어 연구된다.
  • 어원학 - 번역차용
    번역차용은 특정 언어의 단어나 구, 문법 구조가 다른 언어로 번역될 때 원래 언어의 형태나 의미를 모방하는 현상으로, 새로운 어휘나 표현을 창조하는 방법이며 문화적, 정치적 요인과 관련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에스페란토 어원
어원 정보
언어에스페란토
어원에스페란토 단어의 기원
주요 출처주로 로망스어, 게르만어, 슬라브어 어휘에서 차용
차용 규칙단어의 국제적인 형태를 따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형태를 따름
어원의 예시
eks-라틴어 ex-에서 유래
ŝvebi독일어 schweben에서 유래
vualo프랑스어 voile에서 유래
teamo영어 team에서 유래
boato영어 boat에서 유래
soifo프랑스어 soif에서 유래
registaro어근 reg-에서 파생 (프랑스어 régir, 이탈리아어 reggere 등에서 유래)
kunmetita vorto영어 compound word에서 유래

2. 기본 원칙

에스페란토 어휘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른다.

2. 1. 공통성

에스페란토 어휘는 대부분의 유럽어가 공통으로 가진 어휘를 상당 부분 포함한다. 예를 들어, "vir-"(남자)는 라틴어, 프랑스어,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영어, 이탈리아어 등 여러 언어에 포함되어 있으며, "okulo"(눈)는 라틴어, 영어, 프랑스어 등에 포함되어 있다. 에스페란토는 국제어이므로 가능한 한 많은 언어와 어휘를 공유하여 더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함이다.

에스페란토영어이탈리아어프랑스어독일어러시아어스페인어한국어
bonagoodbuonobongutдобрыйbueno좋은
ĉevalohorsecavallochevalPferdконьcaballo말(馬)
donigivedaredonnergebenдатьdar주다
filtrifilterfiltrarefiltrerfiltrierenфильтрfiltrar거르다
ĝardenogardengiardinojardinGartenсадjardin정원
junayounggiovanejeunejungюныйjoven젊은, 어린
maroseamaremerMeerмореmar바다
nacionationnazionenationNationнацияnacion나라
studistudystudiareétudierstudierenучитьestudiar공부하다



몇몇 어원은 불분명하다.


  • ĝi (그것, 그/그녀)
  • -ujo (용기 접미사)
  • edzo (남편)


Ĝieo리투아니아어 jilt(그녀, 그것)와 jislt(그, 그것)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3] -ujoeo프랑스어 étui프랑스어(케이스)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4]

독일어에서 간접적으로 차용된 또 다른 단어인 fraŭloeo(미혼 남성)는 fraŭlinoeo(아가씨, 독일어 fräuleinde에서 유래)에서 여성 접미사 -in-eo을 제외한 단어이며, 에스페란토 단어 edzoeo(남편)는 edzinoeo(아내)의 역성어로 보인다. 자멘호프는 후자가 독일어 Kronprinzessinde에서 차용되어 내부적으로 kron-eo(왕관), princ-eo(왕자), edzinoeo(아내)로 분석된 kronprincedzinoeo(왕세자비)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5] 그러나 빌보르의 Etimologia Vortaroeo(어원 사전)에서는 edzinoeo이디시어 רביציןyi (랍비의 아내; 부인)에서 유래하여 로 재분석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으며, 자멘호프는 에스페란토에 대한 반유대주의적 편견을 피하기 위해 사후적으로 독일어 어원을 만들어냈다고 주장한다. 이는 edz-eo가 궁극적으로 슬라브 여성 접미사 -its(a)sla에서 유래했음을 의미한다.

상관사는 유럽 언어와 명백히 동족 관계에 있지만 (예: kieleo, tieleo프랑스어 quel프랑스어(어떤), tel프랑스어(그러한)과, ĉiueo이탈리아어 ciascunit(각각)과, -eseo독일어 소유격 -esde 등), 유사성을 통해 에스페란토의 혁신의 예로 제시될 정도로 균등화되었다. 특히 ioeo(무언가)와 같은 불확정 형태는 ki-eo 및 ti-eo 형태의 자음을 상징적으로 제거하여 만들어졌다.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어그리스어 남성 명사 및 형용사 어미 -oit를 명사에, 여성 명사 및 형용사 어미 -ait를 형용사와 관사 laeo에 한정하는 것은 기존 형태를 사용한 에스페란토의 혁신이다.[6]

일부 작은 단어는 인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수정되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 ait, adit(~로)는 이탈리아어 축약형 alit(~에게)의 영향을 받아 에스페란토의 음운 구조에 더 잘 맞도록 aleo(~로)이 되었으며, 이와 유사하게 라틴어 exla(~에서)와 슬라브어 odpl(~에 의해, ~보다)는 eleo(~에서)과 oleo(~보다)이 되었을 수 있지만, 후자는 독일어와 유사한 alsde를 가지고 있다.

라틴어그리스어 단어를 동화시킬 때 어떤 굴절을 사용할지에 대한 질문이 있다. 자멘호프는 일반적으로 주격 단수 형태보다 사격 어간을 선호했는데, 이는 라틴어 사격 형태를 따르는 'reĝo'(왕)의 경우 'reg–'(예: 영어 'regicide' 비교) 또는 'floro'(꽃)의 경우 'floral'과 같이, 주격 단수 'rex'와 'flos'가 아닌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점에서 유럽 국가별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나중에 "국제적인" 차용어의 형태, 예를 들어 소행성 팔라스가 에스페란토어로 프랑스어영어 이름 'Pallas'와 유사하게 'Palaso'가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이탈리아어 'Pallade', 러시아어 'Паллада'('Palláda') 및 영어 형용사 'Palladian'과 같이 'Palado'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발생한다. 경우에 따라 세 가지 가능성이 있는데, 영어 명사 'helix'(''x'' = [ks]), 그 복수형 'helices'(''c'' = [s]), 그리고 형용사 'helical'(''c'' = [k])에서 볼 수 있다. 갈등의 잠재성은 자주 비판을 받지만, 그렇지 않으면 문화적으로 특수하고 종종 화석화된 은유에 기반한 동음이의어를 구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Venuso'(금성)는 'Venero'(비너스 여신)와 구별될 수 있으며, 라틴어 'helix'의 세 가지 형태 모두 에스페란토어 어근으로 발견되며, 하나는 원래 의미를 가지고, 다른 두 개는 오래된 은유를 나타낸다: 'helico'(나선), 'heliko'(달팽이), 'helikso'(귀의 안쪽 가장자리).

일반적으로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굴절 어미는 에스페란토어 굴절 어미 −o로 대체된다. 그러나 원래의 굴절은 더 흔한 단어와의 구분을 위해 마치 어근의 일부인 것처럼 가끔 유지된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라틴어 ''vir-us''에서 유래)는 ''vir-o''(남자)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예상되는 ''*vir-o'' 대신 ''virus-o''가 사용되며, 라틴어 어근 ''corp-us''는 ''korp-o''(살아있는 몸)와 ''korpus-o''(군단)의 출처가 된다. 마찬가지로, 소리 ĥ가 일반적으로 k로 대체될 때(에스페란토어 음운론 참조), 단어 ĥoro(합창)는 koro(심장)와 동음이의어가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koruso로 대체된다. 중복 굴절은 에스페란토어에 상대적으로 거의 기여하지 않은 리투아니아어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 ''fokuso''(초점), ''kokoso''(코코넛), ''lotuso''(연꽃), ''patoso''(감정), ''radiuso''(반경), ''sinuso''(사인), ''viruso''(바이러스)를 리투아니아어 ''fokusas, kokosas, lotosas, patosas, radiusas, sinusas,'' 및 ''virusas''(바이러스) 대 ''vyras''(남자)와 비교해 보라.

2. 2. 철자의 보존과 발음의 보존

에스페란토에서 단어를 빌려올 때, 원어의 철자를 보존하거나 발음을 보존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boat|보트영어를 철자대로 빌리면 boato|보아토eo가 되고, 발음대로 빌리면 *boto|보토eo 또는 *boŭto|보우토eo 등이 된다. 에스페란토는 대체로 단어를 빌릴 때 철자를 따르는 방식을 취한다.

  • boat|보트영어 → boato|보아토eo
  • team|팀영어 → teamo|테아모eo
  • hier|이에르프랑스어 → hieraŭ|히에라우eo
  • soif|수아프프랑스어 → soifo|소이포eo
  • Fräulein|프로일라인de → fraŭlino|프라울리노eo


하지만 발음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반영한 예외도 존재한다.

  • voile|부알프랑스어 → vualo|부알로eo
  • exploiter|엑스플루아테프랑스어 → ekspluati|엑스플루아티eo
  • shear|시어영어 → ŝiri|시리eo
  • chain|체인영어, chaine|셴프랑스어 → ĉeno|체노eo
  • type|타이프영어 → tajpi|타이피eo
  • jeans|진즈영어 → ĝinzo|진조eo, ĵinso|진소eo

2. 3. 철자의 에스페란토화

chamois프랑스어 → ĉamoeoCHde (독일어)Ĥ, KeoChirurgde → ĥirurgo, kirurgoeoCH영어 (영어)Ĉeosandwich영어 → sandviĉoeoĜeogentil프랑스어 → ĝentilaeoKeoafflict영어 → afliktieoAJeohail영어 → hajloeo
frai프랑스어 → frajoeoeolaud영어 → laŭdieoOJeofois프랑스어 → fojoeoeofeudumla → feŭdoeo



이 밖에, 에스페란토에서는 NN, LL, SS 등 겹자음이 없으므로, N, L, S 등으로 간략화한다.



인명이나 지명 등 고유 명사는 에스페란토화가 더 드물지만, 하는 경우도 있다.[16]

라틴어 및 그리스어 단어를 동화시킬 때 어떤 굴절을 사용할지에 대한 질문이 있다. 자멘호프는 일반적으로 주격 단수 형태보다 사격 어간을 선호했는데, 이는 라틴어 사격 형태를 따르는 'reĝo'(왕)의 경우 'reg–'(예: 영어 'regicide' 비교) 또는 'floro'(꽃)의 경우 'floral'과 같이, 주격 단수 'rex'와 'flos'가 아닌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점에서 유럽 국가별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나중에 "국제적인" 차용어의 형태, 예를 들어 소행성 팔라스가 에스페란토어로 프랑스어 및 영어 이름 'Pallas'와 유사하게 'Palaso'가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이탈리아어 'Pallade', 러시아어 'Паллада'(Palláda) 및 영어 형용사 'Palladian'과 같이 'Palado'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발생한다. 경우에 따라 세 가지 가능성이 있는데, 영어 명사 'helix'('x' = [ks]), 그 복수형 'helices'('c' = [s]), 그리고 형용사 'helical'('c' = [k])에서 볼 수 있다. 갈등의 잠재성은 자주 비판을 받지만, 그렇지 않으면 문화적으로 특수하고 종종 화석화된 은유에 기반한 동음이의어를 구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Venuso'(금성)는 'Venero'(비너스 여신)와 구별될 수 있으며, 라틴어 'helix'의 세 가지 형태 모두 에스페란토어 어근으로 발견되며, 하나는 원래 의미를 가지고, 다른 두 개는 오래된 은유를 나타낸다: 'helico'(나선), 'heliko'(달팽이), 'helikso'(귀의 안쪽 가장자리).

일반적으로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굴절 어미는 에스페란토어 굴절 어미 '−o'로 대체된다. 그러나 원래의 굴절은 더 흔한 단어와의 구분을 위해 마치 어근의 일부인 것처럼 가끔 유지된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라틴어 'vir-us'에서 유래)는 'vir-o'(남자)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예상되는 '*vir-o' 대신 'virus-o'가 사용되며, 라틴어 어근 'corp-us'는 'korp-o'(살아있는 몸)와 'korpus-o'(군단)의 출처가 된다. 마찬가지로, 소리 'ĥ'가 일반적으로 'k'로 대체될 때(에스페란토어 음운론 참조), 단어 'ĥoro'(합창)는 'koro'(심장)와 동음이의어가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koruso'로 대체된다. 중복 굴절은 에스페란토어에 상대적으로 거의 기여하지 않은 리투아니아어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 'fokuso'(초점), 'kokoso'(코코넛), 'lotuso'(연꽃), 'patoso'(감정), 'radiuso'(반경), 'sinuso'(사인), 'viruso'(바이러스)를 리투아니아어 'fokusas, kokosas, lotosas, patosas, radiusas, sinusas,' 및 'virusas'(바이러스) 대 'vyras'(남자)와 비교해 보라.

2. 4. 명확성

에스페란토는 접사를 많이 쓰는 교착어다. 즉, re-eo나 -inoeo와 같은 접사를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간혹 어휘를 그냥 빌어 오면 이런 접사와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는 원어의 철자를 약간 바꾸어 혼란을 막는다. 대체로 -ul-eo → -ol-eo, -in-eo → -en-eo, -et-eo → -ed-eo 등으로 바뀐다.[17]

또한, 원어에서 같은 단어가 여러 뜻을 가진 경우에는 일부러 철자를 달리해 뜻을 구분하기도 한다.

2. 5. 국제 어휘와 학명

대부분의 언어에서 바뀌지 않고 쓰이는 국제 어휘는 그대로 쓴다. 이는 푼다멘토 문법 제15조에 따른 것이다.[1] 국제단위계의 단위는 세계 어디서나 쓰이므로, kilometroeo, gramoeo 등이 그대로 쓰인다.

동식물의 학명도 세계 공용이므로, 동식물의 이름도 대부분 그 학명에서 따온다.

에스페란토는 100개 정도의 일반적인 식물 및 동물 이름을 제외하고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국제적인 이명법을 채택하여 적절한 표기법을 사용하고, 명사와 형용사의 문법적 어미를 ''-o''와 ''-a''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뿔닭의 이명은 ''Numida meleagris''(누미다 멜레아그리스)이다. 따라서 에스페란토에서 ''numido''(누미도)는 누미다 속(Numida)에 속하는 모든 새를 의미하며, ''meleagra numido''(멜레아그라 누미도)는 구체적으로 뿔닭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numidedo''(누미데도)는 뿔닭과에 속하는 모든 새를 의미한다.[2]

ardeoeo '왜가리'와 abioeo '전나무'와 같이,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의 이름은 이명법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따라서 많은 이름이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다.[3]

3. 원어(原語)

자멘호프는 자신이 창안한 대부분의 에스페란토 어휘를 로망스어군과 게르만어족에서 가져왔다. 주로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에서 어휘를 차용했다. 1987년의 한 책에 따르면, 에스페란토 기본 어휘의 약 84%는 로망스어계에서, 14%는 게르만어계에서, 2%는 슬라브어계와 그리스어에서 왔다고 한다.[18]

3. 1. 로망스어군

로망스어군(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라틴어)에서 온 어휘는 에스페란토 어휘의 약 84%를 차지한다.[2] 이 중 상당 부분은 이탈리아어와 유사한 형태를 취했는데, 이는 에스페란토의 음운론이 이탈리아어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스페인어포르투갈어는 당시 많이 쓰이지 않았으므로, 직접적으로 포함되지는 않았다. 다만, 스페인어나 포르투갈어에서 온 것처럼 보이는 단어가 몇 개 있다. 자멘호프는 프랑스어와 라틴어에는 유창했고,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도 어느 정도 구사할 수 있었다고 한다.

전치사나 접속사(sedeo, posteo, kvankameo) 등은 대부분 라틴어에서 직접 가져온 것이다. 또한, 부사 어미 -eeo와 동사 어미 -ieo도 라틴어에서 왔다. 또, 여러 어미(-indaeo, -uloeo, -um-eo, -op-eo) 등도 라틴어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많은 라틴어 어근들은 이탈리아어를 에스페란토 발음의 모델로 사용한 것에 따라 이탈리아어풍의 모습을 갖게 되었지만, 형태는 ĉemizoeo(셔츠: 프랑스어 chemise프랑스어, 이탈리아어 camiciait)와 ĉevaloeo(말: 프랑스어 cheval프랑스어, 이탈리아어 cavalloit)와 같이 프랑스어에 더 가깝다.

에스페란토 어휘의 로망스어군 출처
언어예시
프랑스어butikoeo (boutique프랑스어), ĉeeo (chez프랑스어), ĉevaloeo (cheval프랑스어), dimanĉoeo (dimanche프랑스어), fermieo (fermer프랑스어), frapieo (frapper프랑스어), -ujoeo (étui프랑스어)[19], vualoeo (voile프랑스어)
이탈리아어ankoraŭeo (ancorait), ĉieloeo (cieloit), farieo (fareit), traeo (trait), verdaeo (verdeit), voĉoeo (voceit)
라틴어abioeo (abiēsla), ĉirkaŭeo(circala), -eeo (-ēla: benēla, clārēla 등), kvankameo (quanquamla), lacaeo(lassusla), -ieo (-īla: hortārīla, verērīla 등), intereo (interla), okuloeo (oculusla), sedeo (sedla), tameneo, (tameneo), -um-eo (-umla: 제2어형변화 중성 명사 어미, mūsēumla, bellumla 등), viroeo (virla)
스페인어boleroeo (boleroes), geriloeo(guerrillaes), kojonoeo(cojónes), irieo (ires), ronkieo (roncares), toreadoroeo (toreadores)
로망스어 동형akvala (aquala, acquait), apenaŭeo (à peine프랑스어, appenait, apenases), dirieo (dire프랑스어, diriit), facilaeo (facilisla, facile프랑스어, facileit), feroeo (ferrumla, fer프랑스어, ferroit), parolieo(parler프랑스어, parlareit)


3. 2. 게르만어파

게르만어파(영어, 독일어, 이디시어, 네덜란드어)는 에스페란토 기본 어휘의 약 14%를 차지한다. 이 가운데 일부는 두 언어의 형태를 섞은 것도 있는데, 예를 들어 ŝtono|슈토노eo는 Stein|슈타인de과 stone|스톤영어을 섞은 것이다. 자멘호프는 독일어보다 이디시어에 더 친숙했으므로, 많은 어휘는 이디시어의 영향을 받았다.[20]

strato|스트라토eo(거리)와 gisto|기스토eo(효모)와 같은 몇몇 단어는 독일어(Straße|슈트라세de , Gest|게스트de)보다 네덜란드어(straat|스트라트nl, gist|히스트nl)에 더 가깝지만, 이는 ŝtono|슈토노eo(돌)가 독일어 Stein|슈타인de영어 ''stone'' 사이의 타협인 것처럼 독일어와 영어 사이의 타협일 수 있다. (ronki|론키eo (코를 골다)와 네덜란드어 ronken|롱컨nl도 있다.) Fajro|파이로eo(불)는 영어 ''fire''의 발음과 일치하지만, 이디시어 פֿײַער|fajr|파이르yi 처럼 철자 및 발음도 동일하다.

독일어에서 ei|아이de 이중 자음을 가진 단어는 에스페란토에서는 ej|에이eo (겉으로는 철자에 해당) 또는 aj|아이eo (겉으로는 발음에 해당)를 가질 수 있다. 이 패턴은 무작위가 아니라 고대 고지 독일어의 ei|아이goh 및 ī|이goh를 반영하며, 이는 이디시어에 보존되어 있다. hejmo|헤이모eo(집: 독일어 Heim|하임de 이지만 이디시어 הײם|hejm|헤임yi ), fajfi|파이피eo(휘파람: 독일어 pfeifen|파이펜de이디시어 פֿײַפֿן|fajfn|파이픈yi 모두).[1] 자멘호프는 에스페란토에 이디시어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결코 인정하지 않았는데, 이는 반유대주의적 편견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3. 3. 그리스어

그리스어에서 온 단어는 그리 많지 않다. 다만, 복수형 접미사 -jeo목적격 접미사 -neo, 또 ek-eo, -idoeo, -ueo 등도 그리스어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kajeo (그리고, καίgrc에서 유래), prieo (~에 관하여, περίgrc에서 유래), 복수 접미사 -jeo, 대격 접미사 -neo, 사동 접두사 ek-eo (ἐκgrc에서 유래), 그리고 아마도 명령법 접미사 -ueo (만약 이것이 히브리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면).

3. 4. 발트슬라브어파

자멘호프는 러시아어폴란드어에 유창했고, 리투아니아어도 알고 있었지만, 발트슬라브어파에서 빌린 에스페란토 어휘는 그리 많지 않다.

언어에스페란토 단어 (원어)
러시아어barakti|барахтатьсяeo, caro|царьeo, gladi|гладитьeo, kartavi|кapтaвитьeo, deĵori|дежуритьeo, kolbaso|колбасаeo, krom|кромеeo, kruta|крутойeo, nepre|непременноeo, versto|верстаeo, vosto|хвостeo, -ĉjo|-чкаeo, -njo|-нькаeo, -eg-|-ягаeo
폴란드어celo|celeo, ĉu|czyeo, eĉ|jeszczeeo, krado|krataeo, luti|lutowaćeo, moŝto|mośćeo, ol|odeo, pilko|piłkaeo, ŝelko|szelkieo
러시아어·폴란드어 동형bulko|bułka|булкаeo, kaĉo|kasza|кашаeo, klopodi|kłopot|хлопотатьeo, po|po|поeo, pra-|pra-|пра-eo, prava|prawy|правыйeo, svati|swat|сватeo
리투아니아어du|dueo, ĝi|jieo[22], tuj|tuojeo, -opa|dvejopaseo[23]


3. 5. 기타 언어

에스페란토는 특정 문화나 지역에만 존재하는 어휘들을 기타 여러 언어에서 차용했다. 예를 들어, haŝio|하시오eo(젓가락)는 일본어에서 왔다.[1]

이후로도 여러 언어에서 전문적이거나 지역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추가되었는데, 예를 들어 일본어의 haŝioj|하시오이eo(젓가락), 사미어의 boaco|보아초eo(순록) 등이 있다.[1]

4. 기술 용어

현대 국제 어휘는 대부분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물론 이 또한 사용되지만, 종종 관련된 단어군에 대해서는 어근만 직접 차용하고 나머지는 에스페란토 단어 형성 방식을 사용하여 파생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용어 'bit'(비트)는 ''bito''(비토)로 직접 차용되었지만, 'byte'(바이트)는 ''bito''(비토)와 숫자 ''ok''(여덟)을 결합하여 고유한 에스페란토 단어 ''bitoko''(8개의 비트 묶음)로 파생되었다. 유럽 언어 사용자들이 익숙한 형태는 아니지만, 그 형성의 투명성은 이러한 이점이 없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또한, ''bito''(비토)조차도 ''du''(둘)와 ''-um-''(정의되지 않은 의미를 가진 접사)을 기반으로 한 동의어 ''duumo''(두움오)를 가지고 있다.

에스페란토는 100개 정도의 일반적인 식물 및 동물 이름을 제외하고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국제적인 이명법을 채택하여 적절한 표기법을 사용하고, 명사 및 형용사의 문법적 어미를 ''-o''와 ''-a''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뿔닭의 이명은 ''Numida meleagris''(누미다 멜레아그리스)이다. 따라서 에스페란토에서 ''numido''(누미도)는 ''Numida''(누미다)에 속하는 모든 새를 의미하며, ''meleagra numido''(멜레아그라 누미도)는 구체적으로 뿔닭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numidedo''(누미데도)는 뿔닭과에 속하는 모든 새를 의미한다.

5. 원시 에스페란토의 흔적

원시 에스페란토에는 유성 모음 교체가 있었는데, "pezi" ('무게가 나가다'의 뜻)와 "pesi" ('무게를 재다'의 뜻)와 같은 몇몇 단어 쌍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원시 에스페란토의 흔적이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에스페란토 어원론의 다른 어떤 측면이 이 시기에 기인하는지는 불분명하다.[15]

참조

[1] 저널 Esperanto: its origins and early history http://www2.math.uu.[...]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2008-01-01
[2] 간행물 La deveno de Esperanto 1987-01-01
[3] 문서 Vilborg
[4] 웹사이트 Etimologio: Skizo pri la deveno de la vortoj de Esperanto http://www.npoint.co[...] 2005-01-01
[5] 웹사이트 Lingvaj Respondoj de Zamenhof http://www.esperanto[...]
[6] 문서 Provençal and Romance language parallels in Esperanto noun and adjective endings.
[7] 웹사이트 Variantoj de esperanto iniciatitaj de Zamenhof http://www2.math.uu.[...] UEA 2010-01-01
[8] 문서 Faiguet and Courtonne infinitive and indicative verb forms.
[9] 문서 Volapük passive inflections.
[10] 문서 Faiguet's use of "u" and "-o".
[11] 문서 Past subjunctive tense in unspecified language.
[12] 문서 Spelling of "ä".
[13] 문서 Spelling and pronunciation of "iy".
[14] 문서 Spelling of "y" (present subjunctive).
[15] 저널 2010-01-01
[16] 저널 Rekomendo de la Akademio pri la uzo de propraj nomoj https://web.archive.[...] Akademio de Esperanto 2013-10-10
[17] 간행물 Homonimoj en Esperanto, konsiderataj nomenklature http://www.eventoj.h[...] KAVA-PECH 1996-01-01
[18] 서적 La deveno de Esperanto Fonto 1987-01-01
[19] 웹사이트 Etimologio: Skizo pri la deveno de la vortoj de Esperanto http://www.npoint.co[...] 2005-01-01
[20] 웹사이트 Kontribuaĵo al la studo pri la influoj de la jida sur Esperanton http://claudepiron.f[...]
[21] 문서 Etymology of the word "edzo" (husband) from Yiddish.
[22] 서적 Etimologia Vortaro de Esperanto 스톡홀름 2001-01-01 # 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마지막 발행 연도를 사용
[23] 문서 Etymology of the word "duopa" (double) from Lithuan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