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통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통 의학은 특정 문화권에서 오랜 기간 전승되어 온 의학적 지식과 치료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고대 수메르에서 시작되어 고대 이집트, 인도, 중국, 그리스, 로마 등 다양한 문명에서 발전해 왔으며, 각 지역의 특색을 담은 다양한 종류의 전통 의학이 존재한다. 전통 의학은 약초, 광물, 동물성 물질 등을 활용하며, 현대 의학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안전성 문제와 멸종 위기 종 사용 등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하며, 과학적 근거 부족, 사이비적인 믿음, 부작용 위험성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료인류학 - 관장
    관장은 액체를 항문을 통해 직장에 주입하여 배변, 대장 세척, 약제 투여, 수분·영양 보급 등에 사용되는 의료 행위로, 변비 치료, 대장 내시경 검사 전 처치 등에 활용되며 다양한 종류와 방법이 있지만 부작용에 주의해야 하고, 그 역사는 고대부터 이어져 왔다.
  • 전통의학 - 피마자유
    피마자유는 피마자 씨앗에서 추출한 리시놀레산이 주성분인 담황색의 점성 액체로, 완하제 및 윤활유, 코팅제,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 등 다양한 공업적 용도로 사용되지만, 독성 물질인 리신을 함유하여 식용으로는 부적합하며 과거 체벌이나 고문에도 악용되었다.
  • 전통의학 - 용연향
    용연향은 향유고래의 장에서 생성되어 바다를 표류하며 독특한 향을 갖게 되는 물질로, 향수의 고급 정착제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거래가 금지된 국가도 있는 희귀하고 고가인 물질이다.
전통의학
개요
정의전통 의학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질병 예방, 진단,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지식, 기술 및 관행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특징문화적 맥락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세대를 거쳐 구전 또는 실천을 통해 전달된다.
특정 문화권의 고유한 철학, 신념, 경험을 반영한다.
식물, 동물, 광물 등 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침술, 마사지, 명상 등 다양한 수기 및 정신적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범위전통 의학은 모든 의학 체계 및 관행을 포함한다.
특정 문화권에서 주류 의학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보완적인 역할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의학, 아유르베다, 중국의학, 몽골의학 등을 포함한다.
역사
기원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각 문화권의 고유한 환경과 필요에 따라 발전해왔다.
발전 과정고대 문명 (이집트, 그리스, 로마, 중국, 인도 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전통 의학이 발전했다.
중세 시대에는 수도원과 약초학자들을 중심으로 전통 의학 지식이 보존되고 발전했다.
근대 이후 서양 의학의 발달로 인해 전통 의학은 주변적인 위치로 밀려났으나, 여전히 많은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대적 재조명세계적으로 전통 의학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전통 의학의 효과와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 보건 기구 (WHO)는 전통 의학의 보존, 발전, 활용을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종류
주요 전통 의학 체계아유르베다: 인도에서 유래한 전통 의학으로, 균형과 조화를 중시한다.
한의학: 한국의 전통 의학으로, 음양오행 이론에 기반한다.
중국의학: 중국의 전통 의학으로, 기 (에너지)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몽골의학: 몽골의 전통 의학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며, 약초와 수기 요법을 활용한다.
침술: 중국의학에서 유래한 치료법으로, 특정 경혈을 자극하여 질병을 치료한다.
약초학: 식물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된다.
활용
질병 예방 및 관리전통 의학은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생활 습관 개선, 식이 요법, 운동 등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만성 질환 관리, 통증 완화, 스트레스 해소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보완 및 통합 의학전통 의학은 현대 의학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현대 의학의 치료 효과를 높이거나 부작용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암, 심혈관 질환, 정신 질환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논란 및 과제
과학적 근거 부족일부 전통 의학 요법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전통 의학의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안전성 문제일부 전통 의학 약재는 유해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전통 의학 치료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전문가의 감독 없이 자가 치료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지식 재산권 문제전통 의학 지식은 지역 사회의 공유 자산으로, 상업적 이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전통 의학 지식의 보호와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

2. 역사

전통 의학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오랜 시간 동안 발전해 왔다. 각 지역의 고유한 환경문화 속에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이는 고대 문명의 기록에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고대 수메르, 이집트, 인도, 중국, 그리스, 로마 등지에서는 식물의 약효를 연구하고 기록했으며, 주술적 요소와 결합된 치료법도 나타났다.

중세근대를 거치면서 이러한 지식은 더욱 체계화되었다. 특히 이슬람 황금 시대의 의학자들은 고대 그리스·로마의 의학 지식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유럽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유럽에서는 약초학이 발달하고 새로운 약물들이 발견되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 의학 지식이 유럽에 전해지기도 했다.

한국 역시 고유한 한의학을 포함한 전통 의학 체계를 발전시켜 왔으며, 이는 민간에서 전승된 다양한 민간요법과 함께 이어져 내려왔다. 이러한 전통 의학의 역사는 현대 의학 발전의 토대가 되기도 했으며, 오늘날에도 다양한 형태로 연구되고 활용되고 있다.

2. 1. 고대

문헌 기록에 따르면, 약초 연구는 기원전 5,000년 전 수메르인들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들은 식물의 약효와 사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했다. 고대 이집트 의학에서는 기원전 1552년경의 에버스 파피루스에 민간 요법과 주술적 치료법이 기록되어 있다.[3] 구약 성경에서도 카슈루트(유대교 음식 규정)와 관련하여 약초 사용과 재배를 언급한다.

아유르베다 의학에서 사용된 많은 약초와 광물은 기원전 1천년기 동안 차라카와 수슈루타 같은 고대 인도 약초학자들이 기술했다.[4] 최초의 중국 약초학 서적인 신농본초경은 한나라 시대에 편찬되었지만 그 기원은 훨씬 더 오래되었으며, 이후 당나라 시대에 ''약성론''(藥性論, 약초의 특성에 관한 논문)으로 보강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약초 지식을 편집한 주요 인물로는 피타고라스와 그의 추종자들, 히포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테오프라스토스, 디오스코리데스, 갈레노스 등이 있다.

로마 시대의 자료에는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와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켈수스의 ''의학에 관하여''(''De Medicina'')가 포함된다.[5] 페다니우스 디오스코리데스는 그의 저서 ''약물지''(''De Materia Medica'')를 집필하면서 이전 학자들의 자료를 참고하고 수정하며 새로운 내용을 많이 추가했다. 이 책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수 세기 동안 터키어, 아랍어, 히브리어 이름이 추가되었다.[6] ''약물지''의 라틴어 필사본은 아풀레이우스 플라토니쿠스의 라틴 약초집 ''Herbarium Apuleii Platonici|헤르바리움 아풀레이 플라토니키la''와 결합되어 앵글로색슨 코덱스 ''Cotton Vitellius C.III''에 통합되었다. 이러한 초기 그리스 및 로마의 편집물들은 유럽 의학 이론의 중추가 되었으며, 페르시아의 아비센나(이븐 시나, 980–1037), 페르시아의 라제스(알라지, 865–925) 및 유대인 마이모니데스에 의해 번역되었다.[2]

일부 화석 또한 고대부터 전통 의학에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7]

2. 2. 중세 및 근대

아랍 토착 의학은 베두인의 마법 기반 의학과 헬레니즘 및 아유르베다 의학 전통의 아랍어 번역 간의 갈등 속에서 발전했다.[8] 711년부터 1492년까지 스페인 의학은 아랍의 영향을 받았다.[9] 알-디나와리[10]와 이븐 알-바이타르[11]와 같은 이슬람 의사이자 무슬림 식물학자들은 이전의 물질 약제 지식을 크게 확장했다. 가장 유명한 페르시아 의학 논문 중 하나는 아비센나의 ''의학 정전''(القانون في الطب|알카눈 피 알팁ar)으로, 이는 초기 약전의 역할을 했으며 임상 시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2][13][14] 이 ''정전''은 12세기에 라틴어로 번역되어 17세기까지 유럽에서 중요한 의학적 권위를 유지했으며, 우나니 전통 의학 시스템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15]

초기 로마-그리스 의학 편집물은 히에로니무스 복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되었고, 1546년에 출판된 그의 약초집 ''크로이터 부흐''(Kreutterbuchde)는 이후 다른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은 렘베르트 도도엔스(1517–1585)에 의해 네덜란드어로 ''펨타데스''(Pemptadesnl)로 번역되었고, 카롤루스 클루시우스(1526–1609)와 헨리 라이트를 거쳐 1578년 영어로 ''A Nievve Herball''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는 다시 존 제라드(1545–1612)의 ''Herball or General Historie of Plantes''의 기초가 되었다.[2] 각각의 새로운 저작은 기존 텍스트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이러한 공식적인 기록과 별개로, 여성들이 가진 민간 약초 지식은 기록되지 않은 채 전승되었다.[2] 고대 그리스 의사인 디오스코리데스가 언급했던 약물 중 일부는 여전히 유럽의 공식 약전에 등재되어 있다.[2] 청교도들은 제라드의 약초집을 미국으로 가져갔고, 이는 아메리카 원주민 의학에도 영향을 미쳤다.[2]

프란시스코 에르난데스, 스페인펠리페 2세 국왕의 의사는 1571년부터 1577년까지 멕시코에서 현지 정보를 수집하여 ''Rerum Medicarum Novae Hispaniae Thesaurus''를 저술했다. 이 책의 여러 버전이 프란시스코 히메네스에 의해 출판되었다. 에르난데스와 히메네스 모두 아즈텍 민족 의학 정보를 "따뜻함", "차가움", "습함"과 같은 유럽의 질병 개념에 맞추어 분류하려 했으나, 아즈텍인들이 실제로 이러한 범주를 사용했는지는 불분명하다.[16] 후안 데 에스테이네퍼의 ''Florilegio medicinal de todas las enfermedas''는 유럽 텍스트를 편집하면서 35가지의 멕시코 식물을 추가했다.

마르틴 데 라 크루스는 나와틀어로 약초집을 썼으며, 이는 후안 바디아노에 의해 ''Libellus de Medicinalibus Indorum Herbis'' 또는 ''Codex Barberini, Latin 241''이라는 제목으로 라틴어로 번역되어 1552년 스페인의 카를로스 5세 왕에게 헌정되었다.[17] 이 책은 다소 급하게 작성된 것으로 보이며[18] 당시 진행 중이던 유럽의 점령 상황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프라이 베르나르디노 데 사아군은 민족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코덱스를 편집했으며, 이는 1793년에 출판된 ''Historia General de las Cosas de Nueva España''가 되었다.[2] 카스토레 듀란테는 1585년에 그의 ''Herbario Nuovo''를 출판하여 유럽, 동인도, 서인도 제도의 약용 식물을 묘사했다. 이 책은 1609년에 독일어로 번역되었고, 이후 이탈리아어판이 여러 차례 출판되었다.

17세기와 18세기 미국의 전통 민간 치료사들은 주로 여성들이었으며, 약초 치료법, 부항 요법, 거머리 치료 등을 사용했다.[19]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 약초 의학은 말라리아, 이질, 괴혈병, 비매독성 매독갑상선종 문제에 대한 치료법을 유럽인들에게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20] 이러한 약초 및 민간 요법 중 다수는 19세기와 20세기까지 지속되었으며,[21] 일부 식물 기반 의약품은 현대 약리학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2]

2. 3. 한국의 전통 의학

민간요법은 전통의학 중에서도 민중 사이에서 구전되거나 경험적으로 전승되어 온 고유의 치료법을 가리킨다. 하지만 이러한 요법 중에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거나 사이비적인 믿음에 기반한 경우가 많아, 맹신할 경우 건강을 해치거나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56] 실제로 세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는 보고도 있다.

한국의 민간요법을 집대성한 예로 '한국민간요법대전'과 같은 서적이 있지만, 이 책 역시 황당하거나 현대 의학적 관점에서 검증되지 않은 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비판적 시각이 존재한다. 물론 저자의 수집 노력 덕분에 흩어져 있던 민간의 지식들을 한데 모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는 평가도 있으나, 그 내용을 받아들일 때는 반드시 비판적인 검토와 주의가 필요하다.

3. 종류

전통 의학은 각 지역과 문화권의 역사, 환경 속에서 고유한 이론과 치료법을 발전시키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세계의 주요 전통 의학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유나니 의학''': 고대 그리스 의학에 뿌리를 두고 이슬람 문화권에서 발전한 의학 체계이다.
  • '''아유르베다''': 인도 아대륙에서 발생하여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온 전통 의학이다.
  • '''중국 의학''': 중국 고유의 전통 의학으로, 한의학과 한방 의학 등 주변 지역 의학에 영향을 주었다.
  • '''티베트 의학''': 아유르베다, 중의학, 그리스 의학 등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한 티베트의 전통 의학이다.
  • '''몽골 의학''': 티베트 의학의 영향을 받았으나, 고유한 식이 요법과 외과적 치료법을 포함한다.
  • '''한방 의학''': 중국 의학을 받아들여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전통 의학이다.
  • '''싯다 의학''': 인도 남부 타밀 지방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전통 의학이다.
  • '''남아프리카 전통 의학''': 식물이나 동물성 약재를 사용하는 치료사(이냑가)와 영적 치유를 행하는 치료사(상고마) 등이 존재한다.[54][55]
  • '''주술 의사''': 샤머니즘 문화권에서 의료 역할을 담당하며, 이들이 사용하는 약초 등은 현대 약리학의 연구 대상이 되기도 한다.

3. 1. 세계의 전통 의학

많은 국가에서는 공식화되고 과학 기반이며 제도화된 의학 시스템과 공존하는 민간 의학, 즉 전통 의학으로 묘사되는 관행을 가지고 있다.[30] 세계 각지의 다양한 전통 의학 체계는 각 문화권의 역사와 자연환경 속에서 발전해왔다.

  • '''유나니 의학''': 그리스 의학에 기원을 두고 아랍-이슬람 문화권에서 발전한 전통 의학이다. 아랍 토착 의학은 베두인의 전통과 헬레니즘 및 아유르베다 의학 번역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했다.[8] 특히 페르시아의 의사 아비센나가 저술한 ''의학 정전''은 초기 약전의 성격을 가지며 임상 시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2][13][14] 이 책은 12세기에 라틴어로 번역되어 17세기까지 유럽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유나니 의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15] 알-디나와리[10]와 이븐 알-바이타르[11] 같은 이슬람 의사이자 식물학자들은 약물 지식을 크게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 '''아유르베다''': 인도 북부를 중심으로 발전한 전통 의학으로, 티베트와 동남아시아 의학에 영향을 주었다. 인도에는 서양 의학 도입 이전부터 다양한 토착 의학(Nattuvaidyam)이 존재했으며[38], 아유르베다는 그중 하나로 남인도에서도 행해졌다.[40] 인도의 토착 의학에는 말라얄람어, 타밀어, 텔루구어 등으로 기록된 문헌을 가진 경우도 있고, 구전으로 전승된 경우도 있다.[39] 20세기 인도의 의료 시스템 개편 과정에서 칼라리 치킷사(뼈 맞추기 및 근육 치료),[41] 마르마 치킷사(중요 부위 마사지), 오타물리바이디얌(단일 약 처방)[42] 등 다양한 토착 의학의 기술들이 아유르베다에 통합되기도 했다.[43]

  • '''중국 의학''': 중국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통 의학이다. 한국한의학(동의학)과 일본의 한방 의학 등에 영향을 주었다.

  • '''티베트 의학''': 아유르베다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그리스 의학과 중의학의 이론과 기술도 받아들여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 '''몽골 의학''': 약물 요법 이론은 주로 티베트 의학에 기반하지만, 독자적인 식이 요법과 외과적 치료법을 포함하고 있다.

  • '''한방 의학''': 중국 의학의 영향을 받아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전통 의학이다.

  • '''싯다 의학''': 인도 남부 타밀 지방의 전통 의학이다.


쿠란데라가 에콰도르 쿠엥카에서 ''림피에사''를 수행하는 모습

  • '''남아프리카 전통 의학''': 전통적인 치료자로는 식물이나 동물성 약재(무티)를 사용하는 '이냑가'와 기도나 주술을 통해 치료하는 '상고마'가 있다.[54][55]


이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부시 의학(식물, 동물 재료 사용),[33][34] 아메리카 원주민알래스카 원주민의 전통 의학(수천 년 역사, 민족식물학적 지식 활용),[35][36][37] 이란 전통 의학, 위구르 전통 의학, 하와이 원주민의 라아우 라파아우, 북부 쿠란데리스모,[31] 조지아 민간 의학[32] 등 세계 각지에는 다양한 형태의 전통 의학이 존재한다. 소수 민족 사회의 주술 의사들이 사용하는 약초 등은 민속학, 문화 인류학뿐 아니라 약리학적으로도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3. 2. 한국의 전통 의학

민간 요법은 전통의학 중에서도 민중이 창안하여 전승해 온 전통적인 치료법을 말한다. 하지만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사이비적인 믿음에 기반한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며, 때로는 위험할 수 있다.[56] 한국의 민간 요법을 집대성한 서적으로 한국민간요법대전 등이 있으나, 여기에도 의학적으로 검증되지 않거나 황당한 내용이 포함된 경우가 있다.

세계적으로도 검증되지 않은 민간 요법에 대한 맹신은 심각한 건강 문제나 심지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 이러한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도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새로운 형태의 민간 요법이 나타나기도 한다.

4. 약초 의학

약초의학은 전통의학의 한 분야로,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 특정 부분을 모아 , 찜질약, 가루 등의 형태로 만들어 질병 치료에 활용한다.[3] 수 세기 동안 많은 효과적인 치료법이 의사들에 의해 개발되고 도입되었으며, 버드나무 껍질에서 유래한 살리실산(아스피린의 원료), 디기탈리스, 퀴닌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식물학은 약물약초학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20세기 이전까지 의학 교육의 주요 과목 중 하나였다. 지난 세기 동안 현대 의학은 효과적인 식물 기반 치료법을 찾기 위해 여러 지역을 탐색했지만, 서양의 전통적인 약초의학에 대해서는 비교적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의 대조 연구들은 일부 약초의학적 치료법이 실제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새로운 약제를 찾으려는 희망 속에서 외딴 지역 토착민들의 약초의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열대우림 파괴 등으로 인해 많은 약용 식물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한 것은 심각한 문제로, 현대 의학에 기여할 수 있었을지도 모르는 식물들이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전통 지식의 수집과 식물 종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면서, 식물, 토지, 지식의 소유권을 둘러싼 논쟁이 세계 여러 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현대 의학의 주목을 받으면서 발생하는 문제점 중 하나는 연구 자금이 주로 해당 연구를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집단에 의해 제공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꿀은 여러 전통의학에서 치료제로 사용되지만, 흔하고 약초에 비해 저렴하다는 이유로 연구 자금이 잘 모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약초 연구는 기원전 5,000년 전 수메르인들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이들은 식물의 약용 용도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고대 이집트 의학에서는 기원전 1552년경 작성된 에버스 파피루스에 민간 요법과 마법적 의료 행위가 기록되어 있다.[3] 구약 성경에서도 카슈루트(유대교의 음식 규정)와 관련하여 약초 사용 및 재배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인도아유르베다에서는 기원전 1천년기 동안 차라카와 수슈루타 같은 고대 약초학자들이 다양한 약초와 광물의 사용법을 기술했다.[4] 최초의 중국 약초학 서적인 신농본초경은 한나라 시대에 편찬되었으나 그 기원은 훨씬 더 오래되었으며, 이후 당나라 시대에 ''약성론''(''약초의 특성에 관한 논문'')으로 내용이 보강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피타고라스와 그의 추종자들, 히포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테오프라스토스, 디오스코리데스, 갈레노스 등이 기존의 약초 지식을 집대성했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와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켈수스의 ''의학에 관하여'' 같은 중요한 저작들이 남겨졌다.[5] 특히 페다니우스 디오스코리데스는 이전 학자들의 자료를 참고하고 수정하며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약물지''를 저술했다. 이 책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수 세기 동안 터키어, 아랍어, 히브리어 명칭이 추가되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6] ''약물지''의 라틴어 필사본은 아풀레이우스 플라토니쿠스의 라틴 약초집과 결합되어 앵글로색슨 코덱스 ''Cotton Vitellius C.III''에 통합되기도 했다. 이러한 초기 그리스 및 로마의 연구 결과들은 유럽 의학 이론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페르시아의 아비센나(이븐 시나, 980–1037), 페르시아의 라제스(라지, 865–925), 유대인 마이모니데스 등에 의해 번역되고 발전되었다.[2] 일부 화석 또한 고대부터 전통 의학에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7]

아랍 토착 의학은 베두인의 전통적인 마법 기반 의학과, 헬레니즘아유르베다 의학 전통을 아랍어로 번역한 지식 사이의 교류 속에서 발전했다.[8] 711년부터 1492년까지 스페인 의학은 아랍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9] 알-디나와리[10]와 이븐 알-바이타르[11]와 같은 이슬람 의사이자 무슬림 식물학자들은 기존의 약물학 지식을 크게 확장했다. 가장 유명한 페르시아 의학 논문 중 하나는 아비센나의 ''의학 정전''으로, 이는 초기 약전의 형태를 갖추고 임상 시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2][13][14] 이 ''정전''은 12세기에 라틴어로 번역되어 17세기까지 유럽 의학계에서 권위를 인정받았으며, 우나니 전통 의학 시스템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15]

초기 로마-그리스 의학 서적들은 히에로니무스 복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되어 1546년 ''크로이터 부흐''라는 약초집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은 다시 렘베르트 도도엔스(1517–1585)에 의해 네덜란드어로, 카롤루스 클루시우스(1526–1609)를 거쳐 헨리 라이트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어 1578년 ''A Nievve Herball''로 출판되었다. 이는 이후 존 제라드(1545–1612)의 유명한 저서 ''Herball or General Historie of Plantes''의 기초가 되었다.[2][2] 이러한 과정에서 각 저작들은 기존 텍스트를 편집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여성들의 민간 약초 지식은 이러한 공식적인 기록과는 별개로 구전 등을 통해 이어져 왔다.[2] 디오스코리데스가 언급했던 약물 중 일부는 여전히 유럽의 공식 약전에 등재되어 있다.[2] 청교도들은 제라드의 저서를 미국으로 가져갔고, 이는 아메리카 원주민 의학에도 영향을 미쳤다.[2]

스페인펠리페 2세의 의사였던 프란시스코 에르난데스는 1571년부터 1577년까지 멕시코에서 약초 정보를 수집하여 ''Rerum Medicarum Novae Hispaniae Thesaurus''를 저술했다. 이 책의 여러 버전이 프란시스코 히메네스에 의해 출판되었는데, 이들은 아즈텍 민족의 약초 지식을 "따뜻함", "차가움", "습함"과 같은 유럽의 질병 개념에 맞춰 분류하려 했으나, 실제로 아즈텍인들이 이러한 범주를 사용했는지는 불분명하다.[16] 후안 데 에스테이네퍼의 ''Florilegio medicinal de todas las enfermedas''는 유럽의 의학 서적들을 편집하고 35종의 멕시코 식물을 추가한 저작이다.

마르틴 데 라 크루스는 나와틀어로 약초집을 썼고, 이는 후안 바디아노에 의해 ''Libellus de Medicinalibus Indorum Herbis'' 또는 ''Codex Barberini, Latin 241''이라는 제목으로 라틴어로 번역되어 1552년 스페인의 카를로스 5세에게 헌정되었다.[17] 이 책은 다소 급하게 쓰여진 것으로 보이며,[18] 당시 유럽의 점령 상황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프라이 베르나르디노 데 사아군은 민족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코덱스를 편집했으며, 이는 1793년에 ''Historia General de las Cosas de Nueva España''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2] 카스토레 듀란테는 1585년에 ''Herbario Nuovo''를 출판하여 유럽, 동인도, 서인도 제도의 약용 식물을 묘사했다. 이 책은 독일어로 번역되었고 이후 이탈리아어판도 여러 차례 출판되었다.

아메리카 원주민알래스카 원주민의 의학은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온 전통적인 치유 방식이다. 이들의 전통 의학에는 다양한 민족식물학적 지식이 활용되었으며, 일부는 오늘날에도 사용된다. 원주민 문화에서 건강과 질병에 대한 관념은 종교 및 영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35] 각 부족의 치유자들은 의사나 여성, 약초학자, 샤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영적 또는 종교적 지도자로 여겨진다.[35] 이들은 식물의 모양, 냄새, 색깔, 맛과 같은 특성을 관찰하여 질병 치료에 적합한지 판단한다.[36] 예를 들어, 메스콰키 부족은 뱀에 물린 상처에 ''Arum maculatum''의 즙을 사용했는데, 이는 식물의 즙이 우유빛을 띠어 뱀독과 비슷하고 식물의 모양이 뱀 머리를 닮았다는 관찰에 근거한 것으로 추정된다.[36]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디기탈리스 허브를 수종(부종), 즉 심부전 등으로 인해 다리에 체액이 쌓이는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했다.[36] 현대 의학에서도 디기탈리스 추출물은 여전히 심박수 조절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36]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열, 위장 질환, 피부 발진, 골절 치료, 출산 보조 등 다양한 의료 행위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왔다.[36] IHS 병원에서 나바호족 치유자가 환자를 방문하도록 허용한 한 연구에서는, 혼수상태 환자를 의식 상태로 되돌리는 데 80%의 성공률을 보여 현대 생물의학 관리 병원보다 높은 성공률을 기록하기도 했다.[35] 식물 과 중에서는 국화과 식물, 특히 ''서양톱풀''과 '''' 종류가 정형외과 및 폐 관련 질환에 흔히 사용되었다.[37] 북아메리카 14개 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국화과가 약효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식물 과임이 밝혀졌다.[37]

5. 비판 및 문제점

전통의학, 특히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요법 중에는 사이비적인 믿음에 기반하거나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여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56] 이를 맹신할 경우, 현대의학적 치료 시기를 놓쳐 건강을 해칠 위험이 있다.

약초를 이용한 치료법은 전통의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실제로 살리실산, 디기탈리스, 퀴닌처럼 현대의학에 도입된 사례도 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약을 찾으려는 목적으로 오지 토착민의 약초 지식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열대우림 파괴로 인해 수많은 식물 종이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이 과정에서 현대의학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던 식물들이 사라지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또한, 이러한 전통 지식과 식물 자원의 소유권을 둘러싼 분쟁도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전통의학 연구가 현대의학의 주목을 받으면서도, 연구 자금이 특정 이익 집단에 의해 편중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예를 들어, 여러 문화권에서 꿀이 전통적인 치료제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흔하고 저렴하다는 이유로 약초에 비해 연구 자금이 잘 모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일부 전통 의학에서는 멸종위기종 동식물을 약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심각한 생태계 파괴 및 윤리적 문제를 야기한다.[48][49]

5. 1. 안전성 문제

민중이 스스로 만들어낸 전통적인 치료법, 즉 민간요법은 검증되지 않은 믿음에 기반한 경우가 많아 위험할 수 있다.[56] 세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을 따르다가 심각한 건강 문제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 문제가 두드러진다. 하지만 의료 시스템이 발달한 국가에서도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민간요법이 여전히 존재하거나 새로 생겨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꿀벌의 침이나 독을 이용해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한다는 소위 '꿀벌 치료'가 있었으나, 의학계에서는 그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또한 1950년대 미국에서는 '버몬트 전통의학'을 표방하며 사과즙 식초 등을 주요 처방으로 내세운 사례도 있었다. 하지만 이는 당시 의학계에서 근거 없는 주장으로 비판받았으며, 해당 주장을 펼친 인물은 관련 제품 판촉 문제로 법적 처벌을 받기도 했다. 그의 주장 중에는 과학적으로 틀린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전 세계 약 130개국에서 민간 의약품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 의약품 사용에는 여전히 위험이 따른다. 특히 일부 전통 의학에서는 동물성 물질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인수공통감염병 전파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48][49] 흔히 '천연'이라는 이유로 안전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한약재를 포함한 많은 전통 의약품은 잘못 사용하거나 오남용할 경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50]

5. 2. 멸종 위기 종 사용 문제

전통 의약품 재료로 사용되는 늘보로리스.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이다.


일부 전통 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늘보로리스와 같은 멸종위기종 동물이 희생되기도 한다.[51]

상어지느러미 역시 전통 의학 재료로 사용되어 왔으나, 그 의학적 효과는 입증되지 않은 반면 상어 개체수 감소와 해양 생태계 파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52]

불법적인 상아 거래의 일부는 전통 중국 의학의 수요와 연관되어 있다. 상아에 대한 수요는 코뿔소코끼리와 같은 멸종 위기 동물의 밀렵을 부추기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53]

천산갑은 고기와 비늘이 전통 의학에 사용된다는 이유로 밀렵의 위협을 받고 있다. 천산갑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불법 거래되는 포유류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raditional Medicine: Definition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12-01
[2] 웹사이트 WHO traditional medicine strategy: 2014-2023 https://www.who.int/[...] 2013-12
[3] 웹사이트 Ebers' Papyrus http://www.whonamedi[...] 2014-12-28
[4] 서적 History of Medicine: Sushruta – the Clinician – Teacher par Excellence http://medind.nic.in[...] National Informatics Centre 2008-10-08
[5] 서적 Healing with plants in the American and Mexican We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rizona Press
[6] 서적 The Illustrated herbal Frances Lincoln
[7] 간행물 Fossils in pharmacy: from "snake eggs" to "Saint's bones"; an overview http://www.hellenjge[...] 2010
[8] 서적 Plural medical systems in the Horn of Africa: the legacy of "Sheikh" Hippocrates https://archive.org/[...] Kegan Paul International
[9] 서적 Ciencias de la naturaleza en Al-Andalus : textos y estudios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10] 백과사전 Botany and agriculture Routledge 1996
[11] 문서 Diane Boulanger (2002), "The Islamic Contribution to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OISE Papers'', in ''STSE Education'', Vol. 3.
[12] 간행물 Arab Roots of European Medicine
[13] 간행물 Th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design: unrecognized opportunities for health sciences librarianship
[14] 간행물 Evaluation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15] 서적 Traditional medicine in Asia http://origin.sear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04-24
[16] 간행물 Empirical Aztec medicine
[17]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18] 웹사이트 Libellus de Medicinalibus Indorum Herbis (Librito de las yerbas medicinales de los indios) o Códice Badiano https://arqueologiam[...] 2016
[19] 문서 Rosalyn Fraad Baxandall, Linda Gordon, Susan Reverb, America's Working Women: A Documentary History, 1600 to the Present, W. W. Norton & Company, 1995, p. 50
[20] 문서 Madsen, Deborah L. The Routledge Companion to Native American Literature, Routledge, 2015
[21] 문서 Swerdlow JL. Medicine Changes: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Nature's Medicine: Plants that Heal. Washington, D.C.: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0. pp. 158–91.
[22] 문서 Eugenia M. Fulcher, Robert M. Fulcher, Cathy Dubeansky, ''[https://books.google.com/books?id=qs_sAwAAQBAJ Pharmac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Soto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p. 5 ''
[23] 간행물 The 'eclipse' of folk medicine in western society.
[24] 문서 Gilani, A.H., (2005) Role of Medicinal Plants in Modern Medicine. Malaysian Journal of Science, 24 (1). pp. 1-5. http://myais.fsktm.u[...]
[25] 뉴스 Alternative Medicine: Think yourself better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1-05-21
[26] 서적 Indigenous Herbal Medicines: Tribal Formulations and Traditional Herbal Practices Aavishkar Publishers
[27] 웹사이트 ALTERNATIVE MEDICINE: NIGERIA The role of traditional medicine https://www.thelance[...] 2000-12
[28] 서적 Afro-Caribbean folk medicine https://archive.org/[...] Bergin & Garvey
[29] 문서 Acharya, Deepak and Shrivastava Anshu (2008): Indigenous Herbal Medicines: Tribal Formulations and Traditional Herbal Practices, Aavishkar Publishers Distributor, Jaipur- India.
[30] 웹사이트 Traditional,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medicin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31] 웹사이트 Declaran Patrimonio Cultural de la Nación a los conocimientos, saberes y usos del cactus San Pedro https://elperuano.pe[...] 2024-09-20
[32] 웹사이트 WHO Traditional Medicine Strategy 2014-2023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33] 웹사이트 Traditional Aboriginal Bush Medicine http://www.aborigina[...] Aboriginal Art Online 2013-06-26
[34] 웹사이트 Select Your Library - Credo Reference http://search.credor[...] 2015-04-17
[35] 간행물 Native American Traditional and Alternative Medicine http://journals.sage[...] 2002
[36] 서적 Alternative healing in American history : an encyclopedia from acupuncture to yoga https://www.worldcat[...] 2019
[37] 간행물 An ethnobotanical meta-analysis of North American medicinal Asteraceae1 2021-08-27
[38] 웹사이트 Sites of knowledge situating select indigenous knowledge systems and modern education http://hdl.handle.ne[...] 2021-04-07
[39] 서적 Modern and Global Ayurveda: Pluralism and Paradigm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3-09-09
[40] 간행물 Refiguring of Ayurveda as Classical Tradition 2016
[41] 뉴스 Those availing kalari marma chikitsa on the rise https://timesofindia[...] 2021-04-09
[42] 웹사이트 Ottamooli (single ingredient) cure for lifestyle diseases... https://www.onmanora[...] 2021-04-09
[43] 서적 Mapping the History of Ayurveda: Culture, Hegemony and the Rhetoric of Diversity Taylor & Francis Group
[44] 뉴스 Placebo Effect: A Cure in the Mind http://www.scientifi[...] 2009-02
[45] 문서 Catherine Esther Beecher https://archive.org/[...] Catherine Beecher 2007-11-05
[46] 간행물 A comprehensive evidence-based review on the role of topicals and dressings in the management of skin scarring
[47] 문서 Prince Wen Hui's Cook Bob Flaws and Honora Wolf 1985
[48] 문서 Africa's growing risk of diseases that spread from animals to people https://www.ifpri.or[...]
[49] 간행물 Use of animal product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nvironmental impact and health hazards https://pubmed.ncbi.[...]
[50] 웹사이트 National Policy on Traditional Medicine and Regulation of Herbal Medicines - Report of a WHO Global Survey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04
[51] 간행물 Field surveys of the Vulnerable pygmy slow loris Nycticebus pygmaeus using local knowledge in Mondulkiri Province, Cambodia
[52] 웹사이트 Traditional medicines continue to thrive globally http://www.cnn.com/2[...] CNN 2016-04-25
[53] 간행물 Elephant ivory trade in China: Trends and drivers https://www.scienced[...] 2014-12-01
[54] 웹사이트 伝統療法師 政府も活用 暮らしの知恵―下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11-09
[55] 웹사이트 予言タコも顔負け 南アフリカ式W杯の占い方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11-09
[56] 웹사이트 https://m.mbn.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