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 독립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독립 전쟁은 1821년부터 1829년까지 그리스인들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벌인 전쟁이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 지배하에서 차별받던 그리스인들은 18세기 계몽주의와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민족주의 의식이 성장했고, 1814년 필리키 에테리아라는 비밀 결사를 조직하여 독립을 준비했다. 1821년 3월,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시작된 혁명은 빠르게 확산되었고, 유럽 각국과 미국에서 그리스를 지지하는 여론이 형성되어 필헬레니즘 운동이 일어났다. 전쟁 초기에는 그리스 내부의 분열과 이집트의 개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나바리노 해전에서 연합국의 승리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1829년 아드리아노폴리스 조약으로 그리스는 독립을 인정받았고, 1832년 런던 회의를 통해 바이에른 왕자 오토를 국왕으로 하는 그리스 왕국이 수립되었다. 그리스 독립은 발칸 반도 여러 민족의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쳤지만, 이후 '메갈리 이데아'를 추구하며 주변국과 갈등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그리스 독립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명칭그리스 독립 전쟁
다른 명칭엘리니키 에파나스타시 (그리스어)
아고나스 (그리스어, "투쟁")
유난 이스야느 (오스만 터키어, "그리스 반란")
일부1820년대의 혁명
날짜1821년 2월 21일 – 1829년 9월 12일
장소오스만 그리스 (현재의 그리스)
영토 변경펠로폰네소스, 사로니코스 제도, 키클라데스 제도, 스포라데스 제도, 그리스 본토가 독립된 그리스 국가에 양도됨
크레타가 이집트 속주에 양도됨
결과그리스 승리
그리스 독립
그리스 제1공화국 수립 (1822년–1832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발발
런던 의정서 (1830년) 체결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 (1832년) 체결
그리스 왕국 수립 (1832년)
제1차 이집트-오스만 전쟁 발발
사모스 공국 자치권 획득 (1834년)
오스만 제국그리스 왕국을 승인
교전 세력
교전국 1 (1821년)그리스 혁명가
클레프테스
아르마톨로이
(1821년)
(1821년)
메세니아 원로원 (1821년)
펠로폰네소스 원로원 (1821년–1823년)
서부 그리스 원로원 (1821년–1823년)
동부 그리스 아레이오스 파고스 (1821년–1823년)
크레타 임시 정권
사모스 군정 체제
군사 지원 (교전국 1)필헬레네스
이탈리아 혁명가
세르비아 혁명가
루마니아 혁명가}}


외교 지원 (교전국 1)
교전국 2

알제리 섭정


다뉴브 시치
지휘관
교전국 1 지휘관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
데메트리오스 입실란티스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안드레아스 자이미스
구 파트라스의 게르마노스 3세
페트로스 마브로미할리스
요르요스 카라이스카키스
[[File:Athanasios Diakos 1821.svg|23px]]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
그리고리오스 파파플레사스
마르코스 보차리스
얀니스 마크리얀니스
니키타스 스타마텔로풀로스
엠마누엘 파파스
오디세우스 안드루초스
안드레아스 미아울리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라스카리나 부불리나
만토 마브로게누스
교전국 1 필헬레네스바이런 경
샤를 니콜라 파비에르
리처드 처치
교전국 1 유럽 지원니콜라이 1세
로데비크 판 헤이덴
앙리 드 리니
니콜라스 조제프 메종
에드워드 코드링턴
교전국 2 지휘관마흐무트 2세
나수흐자데 알리 파샤
오메르 브리오니
마흐무트 드라마리 파샤
카라 메흐메드
후르시트 파샤
코자 휘스레프 메흐메드 파샤
무스타파 파샤 부샤틀리
레시트 메흐메드 파샤
메흐메드 셀림 파샤
교전국 2 이집트 지원무함마드 알리 파샤
이브라힘 파샤
이스마엘 지브랄타르
교전국 2 알제리 지원후세인 데이
사상자 및 피해
총 사상자240,000명 이상

2. 배경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이오니아 제도를 제외한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대부분을 지배했다.[408] 그리스 정교회도는 오스만 지배하에서 어느 정도 정치적 권한을 보장받았지만, '라야스'(''rayas'')라 불리며 열등한 신민으로 취급되었다.[408] 투르크인들은 그리스 사람 대부분을 '라야스'(''rayas'')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신민 무리를 이르는 말이었다.

그러나 18세기와 19세기에 유럽 전역에 혁명적 민족주의가 일어났고, 발칸 지역도 예외가 아니었다. (상당부분은 프랑스 혁명의 영향이 컸다.[409]) 오스만 제국의 지배력은 쇠퇴하고 그리스의 민족주의가 발흥하였는데, 이들의 대의는 서유럽과 러시아이주한 상인의 지원을 끌어내었을 뿐 아니라, 서유럽의 그리스 문화 애호자(Philhellenes)의 도움도 얻게 된다.[410] 그리스의 독립 운동은 동유럽에서 첫 민족주의 성격을 띈 운동일 뿐 아니라, 오스만 제국과 같은 비 기독교 지역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민족주의 운동이기도 하다.[411]

1389년, 오스만 제국은 코소보에서 발칸 제후 연합군을 격파하였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219]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 주민들을 무리하게 이슬람교로 개종시키지는 않았지만, 무장과 정치 참여의 권리는 박탈했다.[220] 그러나 그리스인들은 서구와 끊임없이 교류하였고, 파나리오티스라 불리는 그리스계 정교도 특정 계층은 오스만 제국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다. 또한, 종교를 중심으로 통합, 공존을 모색하는 느슨한 시스템(오스만의 평화)의 혜택을 받았다.[221][222]

오스만 제국하의 정교도들을 통합한 정교도 밀레트의 수장인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자리 및 밀레트의 고위 성직자 자리도 그리스인들이 차지하였고, 밀레트의 수장은 세금 징수, 납부 및 밀레트 내 질서 유지, 분쟁 해결을 담당하였다. 이는 오스만 제국하의 모든 정교도에 대한 전권을 가지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 밀레트의 존재는 발칸 여러 민족의 정교도와 튀르크인을 대표하는 무슬림의 융합을 방해하였다.[223][222]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는 튀르크인들이 토지의 3분의 2를 소유하고, 나머지 3분의 1을 그리스계 유력 지주들이 지배했다. 그리스계 유력 지주들은 징세권과 치안 유지권을 부여받아 특권층이 되었지만, 튀르크인들의 토지 확장을 적대시했고, 중소 농민들도 오스만 제국 말기의 무질서와 부패에 불만을 품었다. 동방 정교회 상층부는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지만, 하급 성직자들은 농민들과 함께 행동하였다.[224]

16세기 말부터 18세기에 걸쳐 서구의 근대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서구의 충격"을 두려워하는 입장이 되었다.[221] 러시아 제국은 남하 정책을 채택, 러시아-튀르크 전쟁 당시 오스만 제국하의 정교도 보호자로 행세하였다.[225] 퀴추크 카이ナル지 조약 체결 이후, 러시아는 흑해 연안 거점을 확보하고 발칸 정교도들의 보호권을 확보하여 내정 간섭을 할 수 있게 되었다.[226]

오스만 제국 지배층은 군사 분야에서 서구화 개혁을 실시했지만, 사상, 문화 등은 19세기를 기다려야 했다.[227] 발칸 반도의 기독교계 여러 민족들은 민족주의에 눈뜨기 시작했다. 18세기 그리스계 정교도들 사이에서 "오스만의 평화"의 틀을 무너뜨리고, 서구의 충격에 감화된 사람들이 나타났다.[228] 면화, 옥수수 재배와 러시아, 오스트리아의 발칸 반도 진출은 상인과 선원들의 활동 범위를 확대시켰다.[229]

2. 1. 오스만 제국 지배하의 그리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이오니아 제도를 제외한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대부분을 지배했다.[408] 그리스 정교회도는 오스만 지배하에서 어느 정도 정치적 권한을 보장받았지만, '라야스'(''rayas'')라 불리며 열등한 신민으로 취급되었다.[408]

안드레아스 크리에지스가 그린 리가스 페레오스 초상화. 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범발칸 지역의 반란을 계획했으며, 그리스 혁명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오스만 제국의 밀레트 제도 덕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관구의 그리스인 성직자들은 제국의 정교도 신민들을 다스릴 수 있었다.[417][408] 그리스 정교회는 그리스인의 민족 정체성을 지키고, 그리스 사회 발전과 그리스 민족주의가 일어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418] 18세기부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유력 가문(파나리 사람)은 오스만 제국의 외교 정책과 관료 조직을 상당 부분 장악하였다.[418]

18세기, 에게해 군도에서 해운업에 종사하던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영향력 있는 상인 계급이 등장했다.[419] 이들은 유럽 계몽주의프랑스 혁명, 낭만적 민족주의의 급진적인 이상을 접하고, 근대 그리스 계몽을 통해 그리스인들의 교육 수준과 민족적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했다.[420]

테살리아 출신의 리가스 페레오스프랑스 혁명에 깊은 영향을 받아 발칸 민족 전체의 해방과 "발칸 공화국" 건국을 목표로 한 광범위한 민족주의 운동을 계획했다.[421] 그러나 1797년 오스트리아 관리에 체포되어 오스만 제국에 넘겨졌고, 1798년 처형되었다.[421]

2. 2. 클레프테스와 민병대

오스만 제국에 저항했던 산적들을 그리스어로 클레프테스(κλέφτες)라고 불렀다. 이들은 민간 설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존경받았다.[422] 중앙 정부의 군사력이 약해지자 발칸 지역 농촌에는 클레프테스를 비롯한 여러 도적 무리가 활개 쳤는데, 이들은 무슬림과 그리스도 교도를 가리지 않고 공격했다.

오스만 제국은 클레프테스의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이들 중 뛰어난 자들을 그리스도 교도 병사로 삼아 민병대(αρματολοί)를 조직하고, 산지 고갯길 등 위험 지역의 치안을 맡겼다. 이들이 통제하는 지역을 민병대 구역(armatolik)이라고 불렀다.[423] 가장 오래된 민병대 구역은 무라트 2세 시대에 아그라파에 형성되었다.[424]

클레프테스와 민병대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는데, 민병대가 더 많은 이득을 얻기 위해 클레프테스가 되기도 하고, 반대로 투르크가 다른 클레프테스 무리에게 민병대 구역을 맡기기도 했기 때문이다.[425]

클레프테스와 민병대는 공동의 목표는 없었지만, 지방 지배층을 이루었다.[426] 민병대의 지위는 점차 세습되었고, 일부 수령들은 자신의 구역을 개인 재산처럼 다루기도 했다. 이들은 막강한 권력을 쥐었고, 오스만 행정 당국의 의존 관계망에 통합되었다.[425] 어떤 이들은 자신의 민병대 구역에 독자적인 지배권을 확립하려 하였는데, 오스만 정부는 이들을 제거하려 했지만 번번이 실패하였다.[427]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루멜리 지역(오늘날 테살리아, 이피로스, 남부 마케도니아)에 강력한 민병대가 활동할 수 있었다.[428] 얀니스 마크리얀니스는 독립 전쟁 당시 그리스 편에서 유일하게 상당한 군사 조직을 이룬 클레프테스와 민병대가 그리스 혁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하며, 이들을 "자유의 누룩"이라고 칭하였다.[429]

2. 3. 그리스 계몽 운동과 민족주의 발흥

18세기 후반,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유럽 전역에 혁명적 민족주의가 확산되었다.[38] 오스만 제국의 힘이 약해지면서 그리스에서도 민족주의가 대두되기 시작했다.[39]

테살리아 출신의 리가스 페레오스에서 그리스어 신문 '에피메리스'(Εφημερίς)에 글을 기고하며 프랑스 혁명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모든 발칸 민족의 해방과 "발칸 공화국" 건국을 목표로 한 광범위한 민족주의 운동을 구상하고, 혁명 관련 소책자를 출판하며 그리스인과 범발칸 공화국을 위한 공화제 헌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1797년 트리에스테에서 오스트리아 제국 관리에 체포되어 오스만 제국에 넘겨졌고, 1798년 6월 베오그라드에서 공모자들과 함께 처형되었다.[40] 그의 죽음은 그리스 민족주의의 불씨를 당기는 계기가 되었다.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


프랑스 혁명을 직접 목격한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는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토머스 홉스, 존 로크, 장 자크 루소의 사상을 차용했다. 몽펠리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파리에서 생활하며 토머스 제퍼슨과 철학적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그는 프랑스 혁명을 통해 민주주의를 접하고, 교육의 발전을 통해 그리스 국민과 국가의 번영을 이루고자 했다. 그의 궁극적인 목표는 페리클레스 시대와 같은 민주적인 그리스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18세기 오스만 제국 내외의 경제적 발전으로 그리스 상인과 선원들은 부를 축적했고, 이들은 학교와 도서관을 설립하고 젊은 그리스인들을 서유럽 대학에 유학 보낼 수 있게 되었다.[34] 유학을 통해 그리스인들은 유럽 계몽 운동, 프랑스 혁명, 낭만적 민족주의의 급진적인 사상들을 접하게 되었다.[35]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와 안티모스 가지스 같은 그리스 이주민들은 교육 수준을 높이고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이러한 사상들을 그리스인들에게 전달하고자 했다. 이들은 근대 그리스 계몽 운동(Διαφωτισμός|디아포티스모스el)을 통해 그리스어로 된 책, 소책자 등을 퍼뜨렸다.[35]

리가스 페레오스의 "투리오스" 표지. 지식인, 혁명가이자 그리스 혁명의 선구자.


그리스 민족주의 사상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18세기의 러시아-튀르크 전쟁이었다. 표트르 1세는 오스만 제국의 붕괴와 정교회 황제가 통치하는 새로운 비잔티움 제국의 재건을 구상했다. 예카테리나 2세의 러시아-튀르크 전쟁은 그리스인들이 러시아의 도움으로 해방을 고려하게 만들었다. 1769년 러시아 첩보원에 의해 펠로폰네소스반도(모레아)에서 독립 운동이 일어났고, 람브로스 카초니스가 이끄는 그리스 소함대는 1788~1792년 전쟁에서 러시아 함대를 지원했다.[36] 18세기의 그리스 반란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이전 세기의 반란보다 훨씬 컸으며, 민족 혁명의 기반을 마련했다.[37]

style="text-align: left;"|
'리가스 페라이오스, 그의 "투리오스" 시의 대략적인 번역'''[42]



리가스 페라이오스의 민족주의 시 "투리오스"(전쟁 노래)는 여러 서유럽 언어와 발칸 반도 언어로 번역되어 오스만 지배에 맞선 그리스인들의 투쟁 구호가 되었다.[41]

그리스 문제는 서유럽과 러시아 제국의 대규모 그리스 상인 디아스포라뿐만 아니라 서유럽 필헬레네스의 지지를 얻기 시작했다.[39] 그리스 독립 운동은 동유럽 최초의 민족적 성격의 운동이자, 오스만 제국과 같은 비기독교 환경에서 최초로 일어난 운동이었다.[43]

오데사(Odessa)의 그리스 광장(Hretska Ploshcha)에 있는 필리키 에테리아 건물


페라이오스의 순교는 니콜라오스 스쿠파스, 에마누일 크산토스, 아타나시오스 차칼로프에게 영감을 주었다. 이들은 1814년 오데사에서 비밀결사 필리키 에테리아("친목회")를 창설했다.[44] 이들은 카르보나리의 영향을 받았고, 프리메이슨 조직 구성원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조직을 운영했다. 영국과 미국의 부유한 그리스 망명 공동체와 서유럽 동조자들의 도움으로 반란을 계획했다.[45]

이 단체의 기본 목표는 콘스탄티노플을 수도로 하는 비잔티움 제국의 부흥이었다.[45] 1820년 초,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에게 지도자직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알렉산더 립실란티스가 제안을 수락하고 지도자가 되었다.[46]

필리키 에테리아는 급속도로 확장되어 그리스 세계 전역과 그리스 사회의 모든 계층에서 회원을 모집했다. 1821년,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와의 전쟁, 특히 알리 파샤의 반란에 직면했다. 동시에 열강들은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봉기에 몰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리스인들은 반란을 일으키기에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했다. 원래 계획은 펠로폰네소스, 다뉴브 공국, 콘스탄티노플 세 곳에서 동시 봉기를 일으키는 것이었다.[48]

그리스 독립 전쟁 연표
1814년 9월필리키 에테리아 설립
1820년 4월알렉산드로스 이프시란티스, 필리키 에테리아 지도자 취임


2. 4. 필리키 에테리아



페레오스의 순교는 니콜라오스 스쿠파스, 에마누일 크산토스, 아타나시오스 차칼로프 세 명의 젊은 그리스 상인에게 영감을 주었다.[44] 이들은 이탈리아의 카르보나리의 영향을 받고, 프리메이슨 조직 구성원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1814년 러시아 제국 그리스 상인 디아스포라의 중심지 중 하나인 오데사에서 비밀결사 필리키 에테리아(친목회)를 창설했다.[44] 영국, 미국의 부유한 그리스 망명 공동체와 서유럽 동조자들의 지원을 얻어 이들은 반란을 계획했다.[45]

이 단체의 기본 목표는 국가의 형성이 아니라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수도로 하는 비잔티움 제국의 부흥이었다.[45] 1820년 초, 이오니아 제도 출신 관리로서 러시아 외무장관을 역임했던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에게 단체가 지도자직을 제안했으나 그는 거절했다. ''필리코이''(필리키 에테리아 회원)들은 이후 알렉산더 립실란티스에게로 눈을 돌렸고, 그는 제안을 받아들였다.[46]

필리키 에테리아는 급속도로 확장되어 곧 그리스 세계 전역과 그리스 사회의 모든 계층에서 회원을 모집할 수 있게 되었다.[47] 1821년, 오스만 제국은 주로 페르시아와의 전쟁, 특히 에피루스에서 알리 파샤의 반란에 직면했는데, 이는 모레아의 ''발리''(총독), 후르시드 파샤와 다른 지역 파샤들이 자기 지역을 떠나 반군과 싸우도록 강요했다. 동시에, 나폴레옹 1세 이후 혁명에 반대하여 "유럽 합창"에서 동맹을 맺은 열강들은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봉기에 몰두했다.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의 반란에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했다. 원래 계획은 펠로폰네소스, 다뉴브 공국 및 콘스탄티노폴리스 세 곳에서 동시 봉기를 일으키는 것이었다.[48]

2. 5. 그리스 문화 애호 (Philhellenism)

외젠 들라크루아의 작품 "이단자와 파샤의 전투". 1827년작, 캔버스에 유화, 시카고 예술원 소장. 바이런 경의 시 ''이단자''에서 영감을 얻었다.


토머스 필립스가 그린 바이런 경 초상화. 영국의 저명한 그리스 문화 애호가로 그리스 혁명 전쟁 중 사망했다.


유럽에서는 그리스의 고전 유산 덕분에 그리스 문제에 대한 동정론이 널리 퍼져 있었다. 저명한 시인 바이런 경을 비롯한 여러 부유한 미국인과 서유럽 귀족들이 그리스 혁명에 뛰어들어 무기를 들거나 자금을 지원했다. 영국의 해군 장교이자 역사가인 토머스 고든은 혁명 투쟁에 참가하여 영어로 된 그리스 혁명 관련 역사서를 최초로 저술하기도 했다.[434] 그러나 그리스 문화 애호자들은 그리스인들의 잔학 행위는 간과하고, 자신들의 자유주의적 충동을 그리스 혁명에 투영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당시 열강들은 그리스 문제에 미온적이었으나, 유럽 대중들은 그리스 반란에 널리 공감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유럽에서 오스만 제국의 잔학 행위는 과장되고 그리스도 교도의 잔학 행위는 축소되었다고 주장한다.[435] 외젠 들라크루아는 오스만 제국의 키오스 섬의 학살에서 영감을 얻어 동명의 그림을 그렸으며, 그의 다른 그리스 문화 애호적 작품들은 바이런의 시에서 영향을 받았다. 가장 저명한 그리스 문화 애호가였던 바이런은 자신의 명성과 부를 그리스 문제에 쏟아부었다.[436] 그는 알바니아와 그리스에서 자금을 모으고 여러 선박의 물자를 지원했으나, 1824년 메솔롱기에서 열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유럽에서 그리스 문제에 대한 동정심을 더욱 강화시켰다. 들라크루아의 그림과 바이런의 시는 유럽 여론을 그리스 혁명 지지로 이끌었고, 결국 서구 열강의 직접 개입을 불러왔다.[437]

그리스 문화 애호는 낭만주의 발생에 기여했다. 예술계와 문학 지성계의 젊은 세대들은 근대 그리스 역사를 고대 역사의 연장선상에서 다루며 고전 주제를 넓혔다. 고대 그리스 정신의 소생이라는 생각은 그리스 문제 지지자들의 수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근대 고전주의자와 낭만주의자들은 투르크인 축출을 황금 시대 부활의 전조로 여겼다.[438]

3. 혁명 발발

그리스 혁명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맞선 그리스인들의 오랜 투쟁의 결과였다. 17세기부터 펠로폰네소스반도 등지에서는 반오스만 투쟁이 격렬하게 일어났으며, 1770년대 오를로프 반란은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일어났으나 결국 진압되었다.[414] 그러나 마니 사람들은 계속 저항하며 자치를 누렸고, 투르크의 침입을 여러 차례 격퇴했다.[415] 제2차 러시아-터키 전쟁 당시 람브로스 카초니스가 이끄는 소함대는 투르크 해군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클레프테스와 민병대도 다시 봉기했다.[416]

한편, 많은 그리스인들이 오스만 제국의 관료 조직에서 특권적인 지위를 누렸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를 통해 정교회 업무를 담당했고, 밀레트 제도 덕분에 제국의 정교도 신민들을 다스릴 수 있었다.[417] 그리스 정교회는 그리스인의 민족 정체성을 지키고 민족주의를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18] 18세기부터 파나리 사람들이 투르크의 외교 정책과 관료 조직을 장악했다.[418]

18세기에는 에게해 군도에서 해운업이 발달하고 상인 계급이 등장하여 학교와 도서관을 세우고 젊은이들을 서유럽 대학에 유학 보낼 수 있게 되었다.[419] 이들은 계몽주의와 프랑스 혁명, 낭만적 민족주의를 접하고 그리스어와 문화를 깨닫게 되었다.[420]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나 안티모스 가지스 등 그리스 이주민들은 그리스인들의 교육 수준을 높이고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근대 그리스 계몽(Διαφωτισμός)이라 불리는 이 과정에서 부유한 상인들은 자금 지원을 통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세기 말에는 혁명 직전까지 1,300여 권의 서적이 출판되었다.[420]

리가스 페레오스테살리아 출신으로 에서 그리스어 신문에 글을 썼으며, 프랑스 혁명에 영향을 받아 모든 발칸 민족의 해방과 "발칸 공화국" 건국을 목표로 한 민족주의 운동을 고안했다. 그는 혁명 관련 소책자를 출판하고 공화제 헌법을 제안했으나, 1797년 오스트리아 관리에 체포되어 오스만 제국에 넘겨져 처형되었다.[421] 그의 죽음은 그리스 민족주의의 불씨를 당겼다.

그리스 아테네에 있는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의 기마상.


펠로폰네소스반도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저항 전통이 깊어 반란의 중심지가 되었다. 1821년 초,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마니반도로 돌아왔고, 투르크인들은 그의 인도를 요구했으나 거부당했다.[442] 1월 26일, 펠로폰네소스 전역의 수령들과 고위 성직자들이 모인 회합에서 봉기가 논의되었고, 3월 중순 무슬림에 대한 습격이 시작되면서 봉기가 시작되었다. 예르마노스가 3월 25일에 혁명을 선언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는 후대의 날조이다. 그러나 이 날은 그리스의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1821년 3월 21일, 아레오폴리에서 마니 사람들이 투르크에 전쟁을 선포했고, 칼라마타가 함락되었다.[443] 같은 날 보스티차에서 봉기가 일어났고,[444] 3월 28일 메시니아 의회가 열렸다.

가장 널리 쓰였던 초기 혁명기. 콜로코트로니스 가문과 관련이 있다.


아하이아에서는 3월 21일 칼라브리타가 포위되었고, 3월 22일 파트라에서 혁명이 선언되었다. 다음 날 혁명 지도자들은 외국 영사관에 혁명의 명분을 설명하는 문서를 보냈다.[445] 3월 23일 오스만 제국의 공격이 있었으나 혁명군이 격퇴했다.[446] 얀니스 마크리얀니스는 "파트라에서 이틀 뒤 총성이 울렸다."라고 회상했다.[447]

3월 말, 그리스인들은 농촌 지역을 장악했고, 투르크인들은 요새에 갇혔다. 콜로코트로니스는 아르카디아에서 투르크 군대와 싸워 이겼고,[443] 10월 5일 트리폴리를 함락했다.[448] 이틀 뒤 트리폴리의 투르크인과 유대인들이 학살당했다.[449]

3. 1. 도나우 공국

페터 폰 헤스(Peter von Hess)가 그린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Alexander Ypsilantis)의 프루트 강 도하''(아테네 베나키 박물관)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Alexander Ypsilantis)는 1820년 4월 필리키 에테리아(Filiki Eteria)의 수장으로 선출되어 봉기를 계획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의 목표는 발칸반도의 모든 기독교인들을 반란에 일으켜 러시아의 개입을 강요하는 것이었다. 1821년 2월 22일, 그는 추종자들과 함께 프루트 강을 건너 도나우 공국(Danubian Principalities)으로 들어갔다.[57] 현지 루마니아(Romanian) 기독교인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그는 러시아를 암시하며 "강대국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선언했다. 프루트 강을 건넌 지 이틀 후, 몰다비아(Moldavia)의 수도인 야시(Iași, Jassy)의 트레이 이에라르히 수도원(Trei Ierarhi Monastery, Three Holy Hierarchs Monastery)에서 입실란티스는 그리스인과 기독교인들에게 오스만 제국에 맞서 일어설 것을 촉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57][58][59][60]

당시 몰다비아의 통치자이자 필리키 에테리아의 일원이었던 미하일 수초스(Michael Soutzos)는 자신의 경비대를 입실란티스에게 제공했다. 한편,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그레고리우스 5세(Patriarch Gregory V of Constantinople)와 시노드는 입실란티스와 수초스를 파문하고 많은 회람을 발표하여 정교회의 정책에 따라 혁명을 명백하게 비난했다.[62]

입실란티스는 오스만 군대가 공국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을 브라일라(Brăila)로 직접 진격하는 대신, 야시에 머물면서 친오스만 몰다비아인들을 처형하도록 명령했다. 몇 주간의 지연 끝에 4월 초 부쿠레슈티(Bucharest)에 도착했을 때, 그는 왈라키아(Wallachia)의 블라디미레스쿠의 판두르(Vladimirescu's Pandurs)가 올테니아(Oltenia)를 기반으로 한 왈라키아 봉기(Wallachian uprising, 1821)를 계속하고 그리스인들을 돕는 것을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판두르의 지도자는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Tudor Vladimirescu)였는데, 그는 1821년 3월 16일 이미 부쿠레슈티 외곽에 도착했다. 부쿠레슈티에서 두 사람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블라디미레스쿠의 최우선 과제는 새로 임명된 스카를라트 칼리마키(Scarlat Callimachi) 공작에 맞서 자신의 권위를 주장하고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었다.[58]

그 시점에서 러시아의 외무장관 카포디스트리아스(Kapodistrias)는 알렉산드르 1세(Alexander I of Russia)의 명령을 받고 입실란티스에게 황제로부터 받은 권한을 남용한 것에 대해 질책하는 편지를 보냈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입실란티스에게 그의 이름이 군 명단에서 삭제되었고 무기를 내려놓으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알렸다. 입실란티스는 편지를 무시하려 했지만, 블라디미레스쿠는 이를 에테리아와의 동맹 종식으로 받아들였다. 진영 내에서 갈등이 발생했고 블라디미레스쿠는 1821년 5월 26일 에테리아에 의해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다. 루마니아 동맹의 상실에 이어 왈라키아 땅에 대한 오스만의 개입은 그리스 망명자들의 패배를 확정 지었고, 재앙적인 드라가샤니 전투(Battle of Dragashani)와 1821년 6월 7일 신성 대대(Sacred Band, 1821)의 파괴로 이어졌다.[63]

전쟁 첫해의 중요한 사건들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는 그의 형제 니콜라스(Nicholas)와 남은 추종자들과 함께 람니쿠 븜체아(Râmnicu Vâlcea)로 후퇴하여 며칠 동안 오스트리아 당국과 국경을 넘을 수 있는 허가에 대해 협상했다. 추종자들이 자신을 터키인들에게 넘길까 두려워 그는 오스트리아가 터키에 선전포고를 했다고 말하고 코지아 수도원(Cozia Monastery)에서 테 데움(Te Deum)을 부르게 한 후, 오스트리아 총사령관과 조치를 취한다는 구실로 국경을 넘었다. 그러나 신성 동맹(Holy Alliance)의 반동 정책은 프란츠 2세(Francis II, Holy Roman Emperor)에 의해 시행되었고, 이 나라는 이웃 국가의 반란 지도자들에게 망명을 허용하지 않았다. 입실란티스는 7년 동안 엄중한 감금 상태에 놓였다.[64] 몰다비아에서는 기오르가키스 올림피오스(Giorgakis Olympios)와 이안니스 파르마키스(Yiannis Pharmakis)의 지휘하에 한동안 투쟁이 계속되었지만, 연말까지 오스만 제국에 의해 평정되었다.

전쟁 발발은 오스만 제국 전역에서 대량 학살, 포그롬식 공격, 교회 파괴, 그리스 재산 약탈로 이어졌다. 가장 심각한 잔혹 행위는 콘스탄티노플에서 발생했는데, 이는 1821년 콘스탄티노플 대학살(Constantinople Massacre of 1821)로 알려지게 되었다. 반란에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술탄의 명령으로 1821년 4월 22일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그레고리우스 5세(Patriarch Gregory V of Constantinople)가 처형되었는데, 이는 유럽 전역에 분노를 일으켰고 그리스 반군에 대한 지원을 증가시켰다.[65]

프루트 강을 건너는 이프시란티스


1820년 12월, 수리 지방의 산악 주민들과 알리 파샤가 결탁하여 이피로스에서 오스만 군과 격돌했다.[282] 이 때문에 오스만 제국 술탄 마흐무트 2세는 약화되고 있는 제국의 권위를 회복하려고, 그리스 본토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던 실력자 알리 파샤의 제거를 계획하고 군대를 움직였다.[286] 1821년 1월 초, 필리키 에테리아를 적대시했던 알렉산드로스 수초스(Alexandros Soutzos)가 사망하여 왈라키아 공국에 정치적 공백이 생겼다. 한편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Theodoros Kolokotronis)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각지에서 봉기를 호소하고 있었다.[287]

이런 상황에서 필리키 에테리아는 알리 파샤와 동맹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289] 거병을 결정했다.[286][291] 지도자 알렉산드로스 이프시란티스는 동생들을 데리고 키시너우에서 서쪽으로 향했다.[282]

1821년 3월 26일(구력 2월 22일) 이프시란티스가 이끄는 부대는 루마니아 국경의 프루트 강을 건너 야시에서 봉기를 일으켰고, 여기서 그리스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282][285] 이프시란티스는 강을 건너는 동안 고대 그리스의 땅을 해방할 것을 맹세하며 에파미논다스, 트라시불루스(Thrasybulus), 밀티아데스, 테미스토클레스, 레오니다스 1세 등 고대 그리스 영웅들의 가호를 기원했고,[286] 혁명을 선포하여[292] 각지의 그리스인들에게 결의를 호소했다.[293]

4월이 되자 오데사에서 부대가 도착하여 물자를 보충했고, 러시아 거주 그리스인들도 자금 조달에 참여하여 의용병으로 지원했다. 일부 러시아 군 장교들도 필리키 에테리아에 무기를 제공하는 등 협력을 했다. 이프시란티스의 계획은 남러시아의 그리스인, 몰도바의 필리키 에테리아 회원들을 모아 왈라키아와 몰도바 양 공국을 점령하고, 도나우 강을 건너면 세르비아, 불가리아 사람들이 동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294] 이프시란티스에게 집결한 의용병은 약 7000명으로 러시아와 몰도바, 왈라키아 양 공국의 그리스인, 러시아 코사크 병사, 발칸 반도 여러 민족 사람들로 구성되었지만,[280] 당초 예상을 크게 밑도는 수였다.[295]

드라가차니 전투


이프시란티스는 전선 확대를 도모하여, 루마니아인 투도르 브라디미레스쿠가 이끄는 루마니아 명사의 1821년 1월 반란을 이용하고,[280] 러시아의 개입이 임박했다고 선전했다. 그러나 이프시란티스가 의지했던 러시아 황제는 지원은커녕 이프시란티스의 군적을 박탈하고 격렬하게 비난하며 비개입 태도를 보였을 뿐 아니라, 오스만 제국을 지원하는 태도까지 보였다.[281][298][285][291] 대부분의 루마니아인들은 대부분의 세르비아인이나 불가리아인과 마찬가지로 그리스인은 억압자였고, 파나리오티스나 사채업자처럼 오스만 제국에 동조하는 자들에게 굴복할 생각이 없었다.[286][281] 이프시란티스는 세르비아의 오브레노비치에게 밀사를 보내 그리스와의 영구적인 공수 동맹을 제안하려고 시도했지만, 이 밀사는 오스만 제국에 잡혀 살해되었다.[295] 4월이 되자 브라디미레스쿠는 러시아에 부정적인 입장이었기 때문에, 자신의 목표와 다르다는 이유로 필리키 에테리아에 대한 협력을 거부했다.[292][299][295]

한편 오스만 제국은 이프시란티스가 이끄는 의용군의 활동을 이미 파악하고 도나우 강 남안으로 군대를 보냈다. 이프시란티스가 당초 생각했던 도나우 강을 강행 돌파하여 그리스로 향하는 작전은 실행 불가능하게 되었다. 제국군은 1821년 5월 왈라키아, 몰도바로 일제히 공격을 감행하여 5월 27일 부쿠레슈티를 다시 제국 세력 하에 두었다. 부쿠레슈티를 이미 떠난 브라디미레스쿠였지만, 오스만 제국과 손을 잡고 필리키 에테리아의 배후를 공격한다는 소문이 퍼졌기 때문에, 이프시란티스는 브라디미레스쿠를 잡아 처형했다.[300]

이런 상황에서 이프시란티스는 불가리아인들이 봉기하여 오스만 제국군을 견제하기를 바랐지만, 소규모 세력이었던 불가리아인들은 움직이지 않았다.[298] 이프시란티스의 부대는 점차 피폐해졌고, 1821년 6월 드라가차니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에 패배하자 이프시란티스는 오스트리아로 망명했다.[280][286][298] 세르비아인과 불가리아인을 포함한 그리스 혼성 부대는 세크 수도원에서, 이프시란티스군과 브라디미레스쿠군은 프루트 강 연안의 스크레니에서 격파되었다.[303][291]

3. 2. 펠로폰네소스



나플리오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 동상


예부터 오스만 제국에 저항한 전통이 깊은 펠로폰네소스반도는 반란의 심장부가 되었다. 1821년 초, 모레아 지사 후르시드 파샤와 투르크 군대가 자리를 비우면서, 그리스인들이 봉기하기에 상황이 유리해졌다. 나폴레옹 전쟁 당시 이오니아 제도의 영국군에서 복무했던 유명한 그리스인 클레프테스인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는 1821년 1월 6일에 귀환하여 마니반도로 갔다. 투르크인들은 콜로코트로니스가 도착했음을 알고, 이곳 수령(bey) 페트로스 마브로미할리스에게 콜로코트로니스를 넘겨주도록 요구하였으나, 마브로미할리스는 자신은 한 노인일 뿐이라면서 요구를 거부하였다.[442]

1월 26일 보스티차(오늘날의 에이오)에서 펠로폰네소스 전역의 수령들과 고위 성직자들이 모인 중요한 회합이 열렸다. 이곳에서 민간 지도자 대부분은 의심을 드러내며 러시아가 개입한다는 보장을 요구하였지만, 클레프테스 수령들은 봉기할 태세가 되었음을 선언하였다. 그렇지만 입실란티스가 도나우 공국으로 갔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펠로폰네소스의 분위기는 긴장 상태로 접어들었다. 그해 3월 중순 산발적으로 무슬림에 대한 습격이 일어나 봉기의 시작을 알렸다. 전승에 따르면 파트라 대주교 예르마노스가 아야 라브라 수도원에서 3월 25일에 혁명을 선언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이는 후대의 날조이다. 그러나 이 날은 혁명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날로, 그리스의 국경일이다.

1821년 3월 21일 아레오폴리에서 마니 사람들이 투르크인에 대해 전쟁을 선포하였다. 페트로스 마브로미할리스가 지휘하는 2,000명의 마니 사람들의 군대 가운데는 콜로코트로니스와 그의 조카 니키타라스, 파파플레사스도 있었으며, 군대는 메시니아의 칼라마타 마을로 진군하여 23일에 그리스인 손에 함락되었다.[443] 같은 날 그리스인 수석 대주교 안드레아스 론도스가 보스티차에서 봉기하였다.[444] 3월 28일 그리스인들의 통치 평의회 가운데 처음으로 모인 메시니아 의회가 칼라마타에서 최초로 열렸다.

아하이아에서는 3월 21일 칼라브리타 마을이 포위되었다. 이미 긴박한 상황이었던 파트라에서는 2월 말에 오스만 사람들이 재산을 옮겼으며, 며칠 뒤엔 가솔들도 뒤를 따랐다. 3월 22일 혁명군은 예르마노스 대주교가 자리한 가운데 파트라의 아요스 게오르요스 광장에서 혁명을 선언하였다. 다음 날 아하이아의 혁명 지도자들은 혁명의 명분을 설명하는 문서를 외국 영사관에 보내었다.[445] 3월 23일 오스만 제국은 파트라에 산발적인 공격을 감행하였으나 파나이요티스 카라차스가 이끄는 혁명군은 이들을 다시 요새로 몰아냈다.[446] 이곳에 숨어있던 얀니스 마크리얀니스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이 일을 회상하기를 "파트라에서 이틀 뒤 총성이 울렸다. 투르크 사람들은 요새를, 로마(그리스) 사람들은 해안을 장악하였다."라고 하였다.[447]

3월 말 그리스 사람들은 사실상 농촌 지역을 장악하였으며, 투르크 사람들은 파트라, 리오, 아크로코린토스, 모넴바시아, 나플리오 그리고 펠로폰네소스의 주도 트리폴리 등 이들 요새에서 발이 묶여있었다. 트리폴리에서는 봉기가 일어나자 여러 무슬림들이 가족과 함께 이미 도주한 상황이었다. 그리스인들은 포병이 부족했기 때문에 각 수령이 이끄는 지역 비정규 군대가 이들 모든 요새를 느슨하게 포위하고 있었다. 트리폴리 외에 모든 곳은 바다와 접해있어 오스만 함대를 통해 보급과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트리폴리를 함락하기로 결심한 콜로코트로니스는 그리스 병사 300명과 함께 아르카디아로 이동하였다. 아르카디아에 진입하자 이들 군대는 1,300명의 투르크 군대와 싸워 물리쳤다.[443] 그해 10월 5일 콜로코트로니스 군대는 트리폴리를 함락하였다.[448] 이틀 뒤 30,000명이 넘는 트리폴리의 투르크 사람들이 죽임을 당하였으며, 유대인 주민 전체가 일소되었다.[449]

3. 3. 중앙그리스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의 초상화


그리스 중부(Central Greece (geographic region))에서 처음으로 봉기한 지역은 포키스(Phocis)(3월 24일)와 암피사(Salona)(3월 27일)였다. 보이오티아(Boeotia)에서는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가 3월 31일 리바데이아(Livadeia)를 점령했고, 이틀 후 테베(The베)를 점령했다. 혁명이 시작될 무렵, 아테네의 기독교인 대부분은 살라미스(Salamis)로 피신했다. 미솔롱기(Missolonghi)는 5월 25일에 봉기했고, 혁명은 곧 그리스 중부 서부의 다른 도시들로 확산되었다.[77] 루멜리(Roumeli)의 오스만 사령관은 알바니아 장군 오메르 브리오니(Omer Vrioni)였는데, 그는 아티카(Attica)에서의 "그리스인 사냥"으로 악명을 얻었다. 당시 상황은 다음과 같이 묘사되었다. "그의 가장 좋아하는 오락 중 하나는 터키인들이 '그리스인 사냥'이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그들은 50명에서 100명씩 무리를 지어 빠른 말을 타고 들판을 샅샅이 뒤져 필요에 의해서든 용감함 때문에든 평야로 내려온 그리스 농민들을 찾았다. 일부를 사로잡은 후, 그들은 불쌍한 사람들에게 도망칠 기회를 주고, 그들이 도망치는 동안 말의 속도로 그들을 따라잡고, 권총의 정확도로 그들을 쏘거나, 칼날의 날카로움으로 그들의 목을 베는 것을 시험했다." "그리스인 사냥" 중에 죽지 않은 사람들은 나중에 사로잡혀 처형당했다.[78]

초기 그리스의 성공은 알라마나(Alamana)와 엘레프테로호리 전투에서 오메르 브리오니의 군대에게 패한 후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그리스인들에게 또 다른 큰 손실은 유망한 군 지도자였던 디아코스의 죽음이었다. 그는 알라마나에서 포로로 잡혀 술탄에게 충성을 선언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터키인들에게 처형당했다. 그리스인들은 오디세아스 안드루초스의 지휘 아래 그라비아(Battle of Gravia) 전투에서 터키군의 진격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는데, 그는 소수의 병력으로 터키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안드루초스 부대의 패배와 성공적인 후퇴 후, 오메르 브리오니는 증원군을 기다리며 펠로폰네소스(Peloponnese)로의 진격을 연기했다. 대신 그는 리바데이아를 침공하여 6월 10일에 점령했고, 아테네에서는 아크로폴리스(Acropolis) 포위를 해제했다. 2,000명의 그리스군이 바실리카(Vassilika)에서 브리오니에게로 향하던 터키군 증원군을 격파한 후, 브리오니는 9월에 아티카를 버리고 이오아니나(Ioannina)로 후퇴했다. 1821년 말까지 혁명가들은 그리스 중부에서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79]

3. 4. 크리티

1821년 펠로폰네소스반도에서 봉기가 발생하자 크레타섬에서는 펠로폰네소스반도로 보낼 기부금이 모금되었고, 무장 봉기 준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에 대해 무슬림들은 키사모스의 주교 등 수십 명의 정교도, 대주교, 사제들을 살해했다.[316] 이 때문에 정교도 주민들은 스파키아를 중심으로 봉기했지만, 오스만 제국이 유리한 상황이었다. 그래서 펠로폰네소스반도에서 미하일 코므네소스-아펜두리에프가 크레타섬으로 와서 봉기를 지휘했다.[316]

1822년 봉기는 크레타섬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무슬림들도 칸디아, 레스모, 하니아 등의 요새로 후퇴할 수밖에 없게 되어 봉기 세력이 유리한 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5월, 아르메니우스에 모인 봉기군은 펠로폰네소스반도와의 통합을 결의했지만, 이는 메헤메트 알리의 개입으로 실패로 끝났다.[317]

한편 불리한 상황에 놓인 오스만 제국 측의 술탄 마흐무트 2세무함마드 알리가 통치하던 이집트에 도움을 요청했다. 알리는 모레아 주(펠로폰네소스반도), 크레타 주(크레타섬) 할양 등 상당한 이권 배분을 조건으로 1824년 7월에 참전했다.[345][337] 파견된 아들 이브라힘 파샤1825년 2월 카소스섬과 크레타섬을 점령하고 펠로폰네소스반도 남서부에 남아 있던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거점 메토니에 상륙하여 나바리노메솔롱기(1826년)를 점령했고 아테네(8월)도 점령했다.[346][325][337] 그로 인해 그리스군은 위기 상황에 놓였다.

3. 5. 마케도니아

테살로니키를 비롯한 마케도니아의 여러 도시들은 경제적으로 발전하면서 문화와 정치 면에서도 부흥기를 맞았다. 리가스 페레오스와 같은 사람들의 이상과 애국심을 담은 노래는 테살로니키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1812년에서 1813년에 '투리오스'는 이런 노래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노래였다.[452] 몇 년 뒤 그리스 남부에서 터져 나온 혁명의 열기가 북쪽까지 퍼졌으며, 필리키 에테리아 세력이 급속히 이곳에서도 뿌리를 내렸다. 마케도니아에서 혁명을 지도하고 지원하던 사람은 세레스, 도비차 마을 출신의 엠마누엘 파파스로, 그는 1819년에 필리케 헤타이리아에 가입하였다. 파파스는 오스만 제국 지역 당국과 이곳의 태수 이스마일 베이에 상당한 영향력이 있던 사람으로, 자신의 부를 그리스 독립의 대의에 쏟아부었다.[452]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의 지시로 마케도니아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파파스는 3월 23일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무기와 군수품을 배 한 척에 실어와 아토스산으로 갔는데, 이곳이 반란을 일으키기에 가장 좋은 장소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칼로풀로스가 썼듯이, "반란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았으며, 혁명의 이상은 아토스산 수도사들의 이상 세계와 화합할 수 없는 것이었다."[453]

프사라에서 온 선원들이 차예지에서 투르크 상인을 잡아 재산을 빼앗자 이에 분노한 투르크인들이 5월 8일에 세레스의 거리에 나와 저명 인사들의 집에서 무기를 수색하였으며, 프사라 사람에 대한 보복으로 도시 사람들과 150명의 상인들을 투옥하고 이들의 물건을 빼앗았다.[454]

테살로니키에서는 유수프 베이(이스마일 베이의 아들)가 자신의 관청에 400명이 넘는 인질을 투옥하였으며, 이들 가운데 100명 이상이 수도원 지역에서 온 수도사들이었다. 그는 폴리이로스의 유력 인사들을 잡아들이려고 했는데, 이들은 태수의 의도를 알아차리고 도망쳤다. 5월 17일 폴리이로스의 그리스 사람들은 무기를 들고 일어나 그곳 지사와 그의 부하 14명을 죽이고, 3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이들은 두 번이나 투르크의 분견대를 물리쳤다. 5월 18일 유수프가 폴리이로스에서 사건이 일어났으며, 할키디키반도의 여러 마을에서 반란이 퍼지고 있음을 알게되자 태수는 자신의 면전에서 인질 절반을 죽이도록 명령하였다.

19세기 말에야 이 도시의 그리스 집단이 회복하게 된다.[455] 그러나 이 반란 덕분에 아토스산과 카산드라와 타소스섬이 가담하게 되었다.[456] 그러는 사이 할키디키반도의 반란은 느리고 무질서하게 확대되었다. 1821년 7월, 반란군은 트라키아와 남부의 연락을 끊고자 하지 메흐메트 바이람 파샤가 소아시아의 군대를 남부 그리스로 진군하는 것을 막으려 하였다. 반란군은 이들을 지체시키기는 하였지만, 결국 반란군은 렌티나 고개에서 패배하고 만다.[457]

당시 할키디키반도 반란은 아토스산과 카산드라가 있는 할키디키반도에 국한되어 있었다. 1821년 10월 30일 테살로니키의 새 태수 메흐메트 에민 아불루부드가 반격을 개시하여 카산드라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파파스와 더불어 패잔병들은 프사라 함대에 구출되어 대개 스키아토스, 스코펠로스, 스키로스 섬으로 갔다. 그러나 파파스는 이드라로 혁명에 가담하러 가는 도중에 죽었다. 시토니아, 아토스산, 타소스는 당분간 투르크의 손에 넘어갔다.[458]

그러나 반란은 중앙마케도니아에서 서마케도니아로, 올림포스 산에서 비에리아와 베르미오 산으로 퍼졌다. 1821년 가을 니콜라오스 카소물리스가 그리스 남부에 "동남마케도니아의 대표자"로 파견되었으며, 디미트리오스 입실란티스(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의 형제)와 만났다. 그는 이드라에서 파파스에게 편지를 보내어 올림포스 산에 와서 수령들과 만나 "애국 열기에 불을 지피도록" 청하였다.[459] 1822년 초 아나스타시오스 카라타소스와 앙겔리스 가초스가 다른 민병대들과 모임을 열어 반란이 나우사, 카스타네아, 시아티스타 세 도시를 중심으로 반란을 전개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460]

1822년 3월 메흐메트 에민은 콜린드로스와 카스타네아에서 대승을 거두었다.[461] 더 북쪽인 나우사 근처에서 자피라키스 테오도시우, 카라타소스, 가초스는 도시의 방비를 가다듬고, 첫 접전에서 그리스 사람들이 이겼다. 도시 앞에서 메흐메트 에민은 10,000명의 정규군과 10,600명의 비정규군을 이끌고 나타났다. 반란군의 항복을 받아내지 못한 메흐메트 아민은 수없이 공격을 가하였으며 자피라키스가 방비가 없는 지점 "알로니아(Alonia)"를 드러내는 바람에 결국 4월에 나우사는 함락되었다.[462] 보복과 처형이 이어졌으며, 여자들은 정조를 잃고 노예로 팔리지 않으려고 아라피차 폭포에서 스스로 몸을 던졌다. 포위된 나우사에서 빠져나간 이들은 코자니, 시아티스타, 아스프로포타모스 강으로 물러났으며, 프사라 함대가 이들을 북에게 제도로 데려다주었다.[463]

3. 6. 해전

혁명 초기부터 해상에서의 성공은 그리스인들에게 매우 중요했다. 그리스 함대가 오스만 제국 해군에 대응하는 데 실패했다면, 오스만 해군은 고립된 오스만 수비대에 보급품을 공급하고 오스만 제국 각지에서 증원군을 상륙시켜 반란을 진압할 수 있었을 것이다. 1826년 그리스 함대가 메솔롱기의 해상 봉쇄를 뚫지 못하면서(이전에는 여러 차례 성공했음) 도시가 함락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122]

그리스 함대는 주로 에게 해의 부유한 섬 주민들, 특히 이드라, 스페체스, 프사라 출신들이 장비했다.[122] 히드라와 스페체스 섬의 알바니아어 사용 선원들은 그리스 함대의 핵심이었고, 그리스 정부 주요 인물 중에는 전시 대통령도 있었다. 이들은 때때로 서로 알바니아어를 사용하여 자기편이 서신을 읽는 것을 막았다.[123] 각 섬은 자체 제독 지휘 아래 자체 함대를 장비, 운영, 유지했다.[122] 숙련된 선원들로 구성되었지만, 그리스 함선들은 경량포로 무장한 무장 상선일 뿐 전투용으로 설계되지 않았다. 반면 오스만 함대는 여러 이점을 누렸다. 오스만 함선과 지원선은 전투용으로 건조되었고, 광대한 오스만 제국의 자원을 지원받았으며, 카푸단 파샤(Kapudan Pasha) 지휘 아래 중앙 집중식으로 훈련받았다. 오스만 함대는 총 80문 대포를 탑재한 3층 전열함 20척, 50문 대포 프리깃 7~8척, 30문 대포 코르벳선 5척, 20문 이하 대포 브리그함 약 40척으로 구성되었다.[124] 여기에 알제, 트리폴리, 튀니스, 이집트의 마그레브 속국 함대가 추가되었다.[125]

콘스탄티노스 볼라나키스 작, "디미트리오스 파파니콜리스에 의한 에레소스에서의 오스만 프리깃 함선 소각"


이런 상황에서 그리스인들은 1770년 오를로프 반란 당시 프사라인들에게 효과적이었던 화선(πυρπολικά|피르폴리카el 또는 μπουρλότα|부를로타el)을 사용하기로 했다. 1821년 5월 27일 에레소스에서 첫 시도가 이루어졌는데, 디미트리오스 파파니콜리스 지휘하의 화선이 오스만 프리깃 함선을 성공적으로 파괴했다. 그리스인들은 화선에서 오스만 함선에 대항할 효과적인 무기를 발견했다. 이후 몇 년간 그리스 화선의 성공은 명성을 높였고, 1822년 6월 히오스 섬의 학살 이후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키오스에서 오스만 기함을 파괴한 사건은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동시에 전통적인 해전도 벌어져 안드레아스 미아울리스 같은 해군 사령관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파트라, 스페체스에서 오스만과의 직접 충돌에서 그리스 함대가 초기 성공을 거두면서 승무원들의 사기를 높였고, 펠로폰네소스 반란의 생존과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그리스가 내전에 휘말리자 술탄은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내분과 함대 유지의 재정난으로 그리스는 1824년 카소스와 프사라 함락, 메토니에 이집트 군대 상륙을 막지 못했다. 사모스와 예론타스에서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1827년 나바리노 해전에서 열강이 개입할 때까지 혁명은 붕괴 위기에 처했다.

아나스타시오스 차마도스의 유명한 브리그선 아리스(Aris)의 뱃머리 조각상. 현재 아테네 국립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4. 위기에 빠진 혁명

강력한 중앙 지도부와 지침의 부재로 혁명 활동은 분열되었다. 그러나 그리스 측은 오스만 제국의 군사 작전이 주기적이었고, 물류 문제로 인해 반란 지역 내 오스만 제국의 존재가 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견뎌냈다.[126] 재정난에 시달리던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와의 관계가 항상 어려웠고, 그리 고리오스(Grigorios) 총대주교의 교수형으로 인해 더 악화되었으며, 숭고한 문(Sublime Porte)은 전쟁이 발발할 경우 러시아 국경에 상당한 병력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었다.

1820년 10월부터 1823년 7월까지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와 전쟁을 벌였고, 1823년 3월 콘스탄티노플의 토파나(Tophana) 군수창에서 발생한 대화재로 오스만 제국의 탄약과 주요 대포 주조장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인력과 자금이 부족한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인들과 싸우기 위해 알바니아 부족민들을 고용하기 시작했고, 1823년까지 그리스에 있는 오스만 제국군의 대부분은 오스만 정규군이 아닌 한 시즌 동안 고용된 알바니아 용병들이었다. 그리스인들과 전투 방식이 매우 유사한 알바니아 부족민들은 오직 돈을 위해 싸웠고, 돈을 받지 못하거나 급여 대신 약탈할 수 없을 경우 귀국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스 군 지도자들은 상대의 수적 우세를 압도할 수 있는 전장을 선호했고, 동시에 포병의 부족은 오스만 제국의 군사적 노력을 방해했다.[126]

1822년 4월 11일, 카라 알리(Kara Ali)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가 히오스 섬에 도착했다.[127] 오스만 제국 수병과 병사들은 즉시 난동을 피우며 학살과 약탈을 자행했다. 당시 목격자는 "자비는 없었고, 승자들은 길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했습니다. 비명이 하늘을 찢었고, 거리는 노인, 여성, 어린이의 시체로 가득했습니다."라고 회상했다. 카라 알리의 함대가 도착하기 전에 히오스 섬에는 10만 명에서 12만 명의 그리스인이 살고 있었는데, 그중 약 2만 5천 명이 학살당했고, 다른 4만 5천 명(대부분 여성과 어린이)이 노예로 팔려갔다.

니키포로스 리트라스(Nikiforos Lytras)가 그린 '히오스 해전에서의 오스만 기함 소각'


히오스 학살은 유럽 전체에 충격을 주었고, 그리스의 대의에 대한 대중의 동정심을 더욱 높였다.[128] 그리스인들은 1822년 6월 18일 밤, 오스만 함대가 이슬람의 성스러운 명절인 라마단 종료를 축하하느라 바쁜 사이에 복수했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와 안드레아스 피피노스 제독이 이끄는 그리스 함대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방화선 공격을 시작했다.[129] 카라 알리의 배가 환하게 밝혀졌기 때문에, 카나리스의 지휘 아래 방화선이 그의 배를 강타하여 오스만 기함이 폭발했다.[130] 기함에 탑승했던 약 2,286명 중 180명만 살아남았지만, 사망자 중 상당수는 카라 알리가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했을 때 노예 시장에 팔 계획이었던 히오스 섬 노예들이었다.[130]

1822년 7월, 페타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지휘 아래 그리스인들과 필헬레니스트들은 오메르 브리오니가 지휘하는 오스만 군대에 큰 타격을 입혔지만, 그리스 함장 중 한 명인 고고스 바콜라스의 배신으로 무너졌다.[131] 전투는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났고, 대부분의 필헬레니스트들이 사망했다.[132] 서부와 동부 그리스에서 오스만 제국의 연이은 군사 작전은 격퇴되었다. 1822년, 마흐무드 드라마리 파샤는 루멜리를 횡단하여 모레아를 침략했지만, 데르베나키아 전투에서 심각한 패배를 당했다.[133] 데르베나키아에서 드라마리 파샤의 군대를 섬멸한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는 영웅이 되었다.[134]

마르실리 필리포(Marsigli Filippo)가 그린 '카르페니시 전투에서 죽은 마르코스 보차리스'의 모습


그리스 정부는 혁명 시작 이후 돈이 절박하게 부족했고, 1823년 2월 은행가 안드레아스 루리오티스가 런던에 도착하여 대출을 받으려고 했다.[135] 1823년 9월, 영국의 필헬레니스트 에드워드 블래키어는 그리스의 경제적 번영을 과장하고 독립 후 그리스가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136]

1823년 서부 그리스 캠페인은 무스타파 레시트 파샤 지휘하의 북부 알바니아군과 오메르 브리오니 지휘하의 남부 알바니아군이 이끌었다. 여름 동안 수리오트 마르코스 보차리스는 오스만 알바니아군의 진격을 막으려다 카르페니시 전투에서 사망했다.[138] 이 캠페인은 1823년 12월 미솔롱기 제2차 포위 공격 후에 끝났다. 1824년 2월 그리스를 위한 대출이 도시에서 시작되어 약 472000GBP를 유치했는데, 이는 그리스인들에게 절실히 필요한 돈이었다.[139]

4. 1. 그리스의 내분

그리스 독립 세력은 여러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고, 각 집단은 서로 다른 목표와 이익을 추구했다. 이러한 분열은 독립 전쟁 초기부터 나타나 각 지역별로 정부가 난립하는 상황을 초래했다. 펠로폰네소스반도에서는 필리키 에테리아의 후계자를 자처한 디미트리오스 입실란티스와 지역 유지들이, 그리스 본토 서부에서는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가 이끄는 서부 루멜리 의회가, 동부에서는 테오도로스 네그리스가 이끄는 동부 루멜리 아레오파고스가 세력을 형성했다.

이들을 하나로 묶은 것은 "그리스 해방"이라는 공동의 목표뿐이었다. 그러나 각 집단은 오스만 제국에 의존하는 정도와 독립 후 권력 구도에 대한 입장이 달랐다. 명망가들은 조세권을, 선주들은 해운업을 통해 합법적인 이익을 얻고 있었지만, 클레프테스는 산적으로 오스만 지주들을 공격했고, 아르마톨리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무기 휴대를 허가받은 집단으로, 때로는 권익 유지를 위해 독립 전쟁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1821년 12월, 에피다우로스에서 제1차 국민의회가 열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를 대통령으로 선출하고 그리스 독립을 선언했지만, 지역 간, 계층 간 갈등은 해소되지 않았다. 1823년 11월, 군사령관에서 해임된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일부 명망가들과 함께 정부를 수립했고, 이에 맞서 도서부 유력자들도 펠로폰네소스 반도 명망가 대부분과 결탁하여 정부를 수립했다.

1824년, 아스트로스에서 제2차 국민의회가 개최되었지만, 콜로코트로니스파와 반(反) 콜로코트로니스파의 대립은 계속되었다. 영국 차관이 도착하면서 정부 내 지위가 낮아진 펠로폰네소스 반도 명망가들을 중심으로 봉기가 일어났고, 도서부 유력자들이 이를 진압하면서 게오르기오스 쿤투리오티스와 마브로코르다토스 등이 정권을 장악했다.

이러한 내분은 펠로폰네소스 반도 대 도서부, 내륙부라는 지역 갈등, 토착 세력 대 외래 세력 간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또한, "군벌" 대 "민주주의파", "시민파" 대 "귀족파", "근대화론자" 대 "전통적 엘리트" 간의 권력 투쟁도 벌어졌다. 전통적 엘리트들은 오스만 제국 시대의 질서를 유지하려 했고, 근대화론자들은 서구 열강을 모델로 한 시스템 도입을 추구했다.

1823년-1825년에 걸쳐 내전이 발발했다. 1823년,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와 임시 정부의 게오르기오스 쿤투리오티스 사이에 내전이 발생했고, 이듬해에는 쿤투리오티스의 입지 강화를 둘러싸고 다시 제2차 내전이 발생했다.

이오아니스 마크리야니스는 이러한 내전 상황을 보고 "내가 싸우겠다고 맹세한 것은 터키인이지, 그리스인이 아니다."라고 탄식했다.[338][339]

4. 2. 이집트의 개입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 독립 전쟁 진압에 어려움을 겪자, 술탄 마흐무트 2세는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알리는 크리티, 키프로스, 펠로폰네소스, 시리아를 대가로 아들 이브라힘 파샤에게 원정대를 맡겨 그리스에 파병했다.[466] 이브라힘은 그리스 주민 대부분을 추방하고 이집트 농민들을 이주시키는 계획을 세웠다고 알려져 있다.[466]

프랑스 기술자들의 도움을 받아 근대적인 군비를 갖춘 이집트군은 그리스군에게 매우 위협적이었다. 1825년 2월, 이브라힘 파샤는 메시니아의 메토니에 상륙했고, 곧이어 보병 10,000명과 기병 1,000명이 합류했다.[467] 이브라힘은 메시니아 해안의 스팍테리아 섬에서 그리스 수비대를 몰아냈다.[468] 당시 그리스인들은 혼란스러운 상황이었고, 이브라힘은 펠로폰네소스 서부를 약탈하며 마니아키 전투에서 파파플레사스를 죽였다. 그리스 정부는 콜로코트로니스를 석방했지만, 그 역시 이집트군을 막지 못했다. 6월 말, 이브라힘은 아르고스를 함락하고 나플리오 근처까지 진격했다. 영국 해군 해밀턴(Gawen Hamilton) 사령관이 함대를 나플리오 방어에 유리한 위치에 배치하여 나플리오를 구했다.[469]

테오도로스 브리자키스가 이끄는 메솔롱기의 돌격대.


중앙그리스에서는 투르크 군대가 세 번째로 메솔롱기를 포위했다. 포위는 1825년 4월에 시작되었고,[470] 투르크 군대는 도시를 포위하고 참호와 포열을 설치했다. 8월에 투르크 군은 성벽 밑으로 갱도를 파는 공격을 시도했지만, 그리스인들이 반격하여 몰아냈다. 그날 밤 그리스 군대는 투르크 참호와 포열을 급습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471]

그리스 함대는 미아울리스의 지휘 아래 화선 공격으로 투르크 함대를 코린토스 만에서 몰아냈다.[472] 겨울 중반, 이브라힘은 육로로 메솔롱기의 투르크 군대와 합류했지만, 메솔롱기의 방어를 뚫지 못했다.[473] 1826년 봄, 이브라힘은 도시 주변 늪지를 점령하여 그리스인들의 보급로를 차단했다.[474] 이집트와 투르크 군대는 항복을 권유했지만, 그리스인들은 거부했다. 4월 22일, 그리스인들은 밤에 3,000명을 이끌고 이집트 전열을 뚫어 탈출하려 했지만,[475] 불가리아인 탈주자가 이브라힘에게 계획을 알려 실패했다. 결국 1,800명만이 탈출에 성공했고, 3,000~4,000명의 여성과 아이들은 노예가 되었다. 메솔롱기에 남은 사람들은 자살했다.[476]

이브라힘은 마니 사람들에게 항복을 요구하며 위협했지만, 마니 사람들은 "우리는 당신과 당신네 군대를 기다리고 있겠다"라며 항복을 거부했다.[477] 1826년 6월, 이브라힘 파샤는 마니반도로 진군했으나, 베르가스 요새에서 2,000명의 마니 사람과 그리스인 탈주자 500명에게 저지당했다. 콜로코트로니스가 뒤에서 공격하자 이집트군은 퇴각했다. 이브라힘은 다시 마니반도로 진입하려 했으나, 마니 사람들은 투르크와 이집트 군대를 물리쳤다. 마니 사람들은 칼라마타까지 이집트인들을 추격했다. 이 전투로 이브라힘은 2,500명의 사상자를 냈고, 마니반도 침공 계획은 실패했다. 이브라힘은 여러 차례 마니를 공격했지만, 번번이 쫓겨났으며, 그리스인들보다 훨씬 더 많은 사상자를 냈다.[478]

5. 유럽의 개입

유럽 열강들은 처음에는 그리스 독립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당시 유럽은 나폴레옹 전쟁 이후 빈 체제 하에 있었는데, 절대왕정의 정통주의는 여러 지역에서 일어나는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적 혁명으로 인해 흔들리고 있었다. 신성 동맹, 영국, 프랑스는 스페인 혁명의 뒷수습을 위해 라이바흐에서 회담을 여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었고, 그리스의 독립은 이 회담에서 부정되었다.[350][298] 특히 오스트리아의 재상 클레멘스 메테르니히는 영국과 함께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에게 "그리스에서의 사건은 정당한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란이다"라고 정통주의를 주장했고, 발칸 반도의 안정을 원했던 알렉산드르 1세도 이에 동의했다.[353][335]

외젠 들라크루아 작, 『키오스 섬의 학살』


그러나 무함마드 알리의 등장은 유럽에서 친(親)그리스주의가 다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347][354] 1822년 4월 키오스 섬에서 오스만 제국 해군 제독 카라 알리가 이끄는 함대에 의해 기독교인 학살이 발생하자, 필리키 에테리아는 유럽 전역에서 모금 활동을 벌였다. 이러한 활동은 제한적인 성과를 거두었지만, 친그리스적인 호소는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스 독립의 영향력이 커지자, 방관하던 영국, 러시아, 프랑스도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306] 서유럽에 퍼져 있던 친그리스주의의 영향으로 많은 이상주의자, 시인, 민족주의자, 모험가들이 그리스 독립 전쟁에 참가했고, 유럽을 비롯한 세계 여론이 그리스 혁명에 동정적인 분위기가 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325][353][355][356]

메테르니히는 이 상황을 우려하여 베로나에서 회의를 열어 사태 수습을 시도했다. 영국은 초기에 영국 국왕 조지 4세, 외무장관 캐슬리와 메테르니히 사이에서 터키의 자제, 러시아의 불개입, 그리스의 승리를 바라지 않는다는 점에서 의견이 일치했지만, 캐슬리가 자살하고 조지 캐닝이 뒤를 잇자 상황이 바뀌었다. 캐닝은 내정 불간섭주의자로 유럽 각국에 불어 닥친 혁명 운동에 대해 이해와 지지를 보냈으며, 메테르니히와는 상반되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357][335] 1822년, 베로나 회의에서 "터키의 자제를 기다린다"라는 결론으로 끝났지만, 이는 터키의 압정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면 회의가 혼란에 빠질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 회의가 개최됨으로써 1815년 이후 계속되어 온 빈 체제에 먹구름이 드리우게 되었다.[355]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그레고리오스 5세를 처형하고 교회를 파괴한 것, 그리고 익시란티스가 패배한 후에도 와라키아, 몰다비아 양 공국의 비상사태 체제를 해제하지 않은 것 때문에 황제 알렉산드르 1세는 태도를 강경하게 하여 1821년 7월, G. A. 스트로가노프를 통해 오스만 제국에 최후 통첩을 한 후 국교 단절을 선언했고, 1825년 8월 그리스 문제와 관련된 사항에 대해 신성 동맹에서 탈퇴했다. 영국은 러시아의 단독 행동을 우려했고, 유럽 전체에 그리스 혁명에 대한 동정이 확산되는 것을 두려워했다.[358][297][359]

이러한 상황에서 열강 3국은 어느 한 국가가 선제적으로 행동하여 동지중해의 권익을 독점할지도 모른다는 의심에 사로잡히기 시작했다.[347][348][354] 오스트리아와 영국은 러시아가 남하하여 발칸 반도와 흑해를 장악할 것을 우려하여 이를 저지하려는 속셈을 가지고 있었다.[350] 영국은 1822년 3월 25일 그리스가 선포한 오스만 제국 항구 봉쇄를 승인하고 그리스를 전시 상태로 인정했지만, 이는 영국의 지중해 무역 보호를 목적으로 했다.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 선박의 해적 행위를 막지 못했기 때문에, 이 해적 행위를 범죄 행위로 볼 것인지, 전투 행위로 볼 것인지에 대한 정치적 판단이 작용한 측면도 있었다.[341]

반면, 프랑스는 이집트와 우호적인 관계였기에 그 영향력을 지중해로 확장하기 위해, 오를레앙 공 루이 필리프의 차남 루이 샤를 도를레앙을 그리스 왕으로 삼으려는 계획을 세웠다.[341] 러시아는 오스트리아와 회담을 가진 후 1824년 1월 19일 그리스를 모레아(펠로폰네소스 반도), 서그리스, 동그리스로 삼분하여 자치국으로 공국화하고, 영국, 프랑스,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의 열강 5개국이 이를 보장한다는 안을 제시했는데, 이는 분명 러시아의 이익을 고려한 것이었다.[341] 그러나 러시아의 안은 그리스인들의 반감을 사 1824년 8월 24일 성명을 발표했고, 러시아는 필리키 에테리아 창설 이전부터의 신뢰를 잃었다. 1824년 12월 1일, 영국 외무장관 캐닝은 러시아의 제안을 부정하고 그리스 독립 지지, 터키-그리스 간 조정 개입 의사 등을 발표했다.[356]

영국 외무장관 조지 캐닝


영국이 잠정 정부로부터 중재를 요청받은 것을 계기로 개입을 결정했고, 이어 러시아도 개입을 결정했다. 1825년 9월 30일, 영국 외무장관 캐닝은 그리스 측이 제안한 "그리스를 영국 보호령으로 한다"는 제안을 거절하고,[360] 먼저 오스만 제국 수도 콘스탄티노플에 스트래트포드 캐닝을 파견하여 오스만 제국에 타협이 가능한지 타진했고,[360] 오스만 제국이 타협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비하여, 웰링턴 경을 단장으로 하는 사절단을 러시아에 파견하여 협의했다.[348][360] 러시아는 황제 알렉산드르 1세가 사망하고, 니콜라이 1세가 계승했는데, 니콜라이 1세는 메테르니히를 싫어했고, 그리스 문제에 관해서는 캐닝과 의견이 일치했다.[361][360]

1826년 4월, 페테르부르크 의정서에 의해 오스만 제국을 종주국으로 하는 그리스 자치국을 창설하는 것을 전제로 독립 전쟁에 개입하는 것을 확인하고, 후에 프랑스도 영국, 러시아에 호응하여 이에 동의했다. 이 페테르부르크 의정서는 이듬해 런던 조약으로 변경되어 8월, 공식적으로 독립 전쟁에 개입을 시작했다.[363][348][310][297][354][364] 이 조약에 오스트리아도 권유되었지만, 메테르니히는 이를 거부하여 오스트리아는 참가하지 않았다.[365]

무함마드 알리의 군대의 맹공격으로 궁지에 몰렸던 그리스 잠정 정부는 이를 받아들였다.[366] 이 개입으로 그리스 국내에서는 "영국파", “러시아파”, “프랑스파”로 나뉘어 그리스인들은 각각에 속하게 되었다.[363][367][366]

나바리노 해전


1827년 10월 20일,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서쪽에 있는 나바리노 만에 정박해 있던 영국-프랑스-러시아 연합 함대와 오스만 제국-이집트 연합 함대 사이에 우발적인 충돌(나바리노 해전)이 발생했다. 이는 당초 열강 3국의 지중해 함대가 오스만 제국군에 휴전을 강요하도록 지시했던 것이었지만, 친그리스주의자인 영국 해군 제독 서 에드워드 코드링턴 경이 이끄는 영국-프랑스-러시아 연합 함대와 오스만 제국-이집트 연합 함대 사이에 전투가 발생한 것이었다.[363][310][364] 이 해전에서 연합 함대가 오스만 제국 함대를 궤멸시켰기 때문에 그리스 독립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러나 영국 정부는 함대 사령관 코드링턴 경을 해임했다.[368]

그 직후, 러시아군이 행동을 개시하는 것을 우려한 오스만 제국군은 루멜리의 부대를 몰다비아-왈라키아로 이동시켰기 때문에, 공백 지역이 된 곳에서 그리스군이 기세를 회복했고, 프랑스군이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상륙한다는 정보가 흘러나왔기 때문에, 이집트군은 철수를 시작했다.[363] 1827년에는 프랑스 장군이 지휘하는 1만 명의 반란군이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를 격파했다. 그리스군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근거지로 아테네, 테베 등 그리스 본토를 점령했다.

그리스 초대 대통령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1827년 5월, 그리스는 트레제네에서 제3회 국민의회를 열고[369], 제3헌법을 공포하고, 초대 대통령으로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가 선출되었다. 그러나 카포디스트리아스는 헌법과 의회를 정지시키고 소평의회 판엘리니온으로 대체하여 직접 통치했다.[370][371][337][364]

오스트리아 재상 메테르니히(Metternich)는 빈 체제 유지를 강하게 희망했다.


1828년, 러시아는 아켈만 조약(Акерманский договор)을 파기한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였고, 러시아-터키 전쟁이 발발했다. 러시아군은 아드리아노폴을 점령했다.[379][310] 영국과 오스트리아의 중재로 1829년, 아드리아노폴 조약(에디르네 조약)이 체결되었고,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의 자치국화를 받아들였다.[380][381][364][382]

하지만, 그리스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증대되는 것을 우려한 영국과 프랑스는 그리스의 완전 독립을 주장했다. 1830년 2월 런던 의정서에 의해 완전 독립이 인정되었다.[383][381][310]

페트로베이스 마브로미할리스(Petrobeis Mavromichalis)


바이에른 왕 루트비히 1세의 차남, 비텔스바흐 가문의 오토가 그리스의 왕으로 선출되었다.[384][367] 1832년 5월 7일, 바이에른 정부와 영국, 프랑스, 러시아 사이에 조약이 체결되었지만, 그리스는 '보호국'이 되었고, 차관 제공으로 정치적, 경제적으로 구속되었다.[385]

1831년 10월 9일, 게오르기오스, 콘스탄티노스 등에 의해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암살되었다.[386][390]

암살된 카포디스트리아스


1832년 6월 11일,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그리스를 군주국으로 결정하고 새로운 런던 조약을 체결했으며, 오스만 제국은 배상금을 조건으로 동의했다.[391] 같은 해 7월, 콘스탄티노플 조약에서 그리스의 독립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임시 수도 나프플리온에 도착한 오토(후일 그리스 국왕, 오토 1세)
]
오토 1세(그리스 전통 의상, 올덴부르크 궁전)
]열강은 공화제 수립에 난색을 표하며 왕정으로 이행되었고(그리스 왕국), 비텔스바흐 가의 바이에른 왕자 오토를 그리스 왕 오토 1세로 즉위시켰다.[393]

독립을 얻은 그리스였지만, 그 영토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주변이나 에게 해 주변 일부, 그리스 본토 남부에 한정되어 있었고, 그리스 경제 중심지였던 콘스탄티노플, 이즈미르, 테살로니키, 알렉산드리아는 모두 그리스 영토에 포함되지 않았다.[367] 그리스 왕국 성립 당시 인구는 약 90만 명이었지만, 테살리아, 에피루스,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이스탄불, 이즈미르 등 그리스 영토가 되지 않은 지역에 약 200만 명의 그리스인이 거주하고 있었다.[394]

5. 1. 적대적이었던 초기의 반응

유럽 열강들은 그리스에서 혁명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한결같이 적대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오스만 제국이 약화되었음을 알고 있었지만, 이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랐다. (이 문제를 "동방 문제"라고 불렀다) 영국의 외무장관 캐슬리리 경, 오스트리아 외무장관 메테르니히 공작, 그리고 러시아 황제 알렉산더 1세는 모두 오스만 제국이 분할되어 상황이 복잡해질 것을 우려하여 현상 유지와 유럽의 평화를 유지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그들은 또한 유럽 협조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79]

메테르니히는 그리스 출신인 러시아 외무장관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를 약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알렉산더에게 그리스를 해방하고 러시아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메테르니히는 알렉산더에게 카포디스트리아스가 이탈리아 혁명 단체인 카르보나리와 결탁했다고 설득했고, 알렉산더는 그를 부인하게 되었다. 알렉산드로스 이프실란티스에 대한 러시아의 반응으로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외무장관직에서 사퇴하고 스위스로 떠났다.[179]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더의 입장은 모순적이었다. 그는 자신을 동방 정교회의 수호자로 여겼고, 그의 신민들은 총대주교의 교수형에 깊은 충격을 받았다. 이러한 요인들은 그리스 혁명을 규탄한 후, 알렉산더가 1821년 7월 27일 콘스탄티노플에 최후통첩을 보낸 이유를 설명한다.[480]

그러나 메테르니히와 캐슬리리 경이 술탄에게 황제에게 일부 양보를 하도록 설득한 후, 전쟁의 위험은 일시적으로 사라졌다.[180] 1822년 12월 14일, 신성 동맹은 그리스 혁명을 대담한 것으로 간주하며 규탄했다.

5. 2. 태도의 변화

1822년 8월, 조지 캐닝이 영국의 외무 장관이 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캐닝은 오스만 제국에 반대하는 여론의 영향을 받았고, 러시아가 단독으로 오스만 제국에 개입할 것을 우려했다.[481] 1823년 3월, 캐닝은 "온 나라가 지배자에게 반란을 일으켰다면, 그 나라는 전쟁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선언했다. 같은 해 2월, 영국은 오스만 제국에 기독교 신민들을 존중할 때에만 우호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영국령 이오니아 제도 대사는 그리스인들을 전쟁 상태로 인정하고, 이들에게 투르크 인들이 보급품을 얻을 수 있는 지역을 봉쇄할 권리를 주도록 명령받았다. 이러한 조치로 영국의 영향력이 커졌고, 1824년1825년에 영국인 공채 소유자들에게서 그리스인들이 얻어내려던 두 번의 차관을 승인하면서 그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 이 차관의 자금 지원자는 사실상 런던 시였는데,[437] 이들은 그리스 혁명이 영국의 도움만으로 승리할 수 없으며, 그리스에 "친(親)영국파" 정당을 만들려고 하였다. 같은 시기 친(親)러시아파와 친(親)프랑스파 세력들도 등장하였고, 이들은 나중에 오톤의 치세 당시 권력을 놓고 경쟁하였다.[482]

1825년 12월, 니콜라이 1세가 러시아의 차르로 즉위하자 캐닝은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그는 그리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웰링턴 공작을 러시아에 급파했고, 그 결과 1826년 4월 4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의정서가 체결되었다. 이 의정서에 따라 영국과 러시아는 투르크의 주권 하에 그리스가 완전 자치권을 얻는다는 원칙을 바탕으로 오스만 제국과 그리스를 중재하는 데 동의했다. 차르는 웰링턴과 만나기 전에 이미 오스만 궁정에 최후 통첩을 보내어 즉시 공국에서 물러나고, 러시아에 전권 대사를 보내어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처리하도록 요구했다. 1826년 10월 7일, 술탄은 전권 대사를 보내는 데 동의하고 아케르만 협정을 체결하여, 세르비아와 공국에 대하여 러시아가 요구한 사항을 받아들였다.[483]

그리스 사람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의정서에 규정된 중재 조치를 요청했으나, 투르크와 이집트는 이브라힘 파샤의 군대가 승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쟁을 그만둘 의사가 없었다. 실제로 이 사이에 그리스에서의 전황은 크게 바뀌어 이집트군이 메솔롱기를 장악했고, 곧이어 아테네시 중심가(1826년 8월), 아크로폴리스(1827년 6월)까지 점령하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의정서 수락을 거부하고, 오스트리아자유주의 운동 진압을 명분으로 이에 반발하자(내심은 러시아발칸반도로의 세력 확장에 대한 경계와 견제), 영국러시아는 곤란한 지경에 빠졌다. 이 때, 프랑스가 갑자기 그리스의 독립을 지지하고 나서면서 다시 상황은 급변하였다. 프랑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을 지지하고 나섬으로써 빈 체제를 흔들고, 이를 통하여 빈 체제가 프랑스에 부과하고 있는 구속적인 상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자 캐닝은 프랑스, 러시아와 런던 조약(1827년 7월 6일)을 맺어 행동 조치를 준비했다. 이 조약에서는 연합국이 다시 협상안을 제시하며, 만약 술탄이 이를 거부할 경우 모든 수단을 써서 적대 행위를 중지시킬 수 있다고 규정했다. 또한 3국은 1개월 내에 오스만 제국이 의정서의 중재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이후 3개월 내에 3국은 그리스에 영사를 파견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리스에 영사를 파견한다는 것은 곧 독립을 승인한다는 뜻이었다. 그러는 사이 1827년 7월 말에 무함마드 알리의 새 함대가 알렉산드리아에서 완성되어, 다른 이집트-터키 함대와 합류하기 위하여 나바리노로 항해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 함대의 목적은 이드라를 공격하고, 이 섬의 함대를 무력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8월 29일 오스만 궁정은 공식적으로 런던 조약 규정에 거부하였으며, 그리하여 영국과 프랑스의 각 지중해 함대의 최고 사령관인 에드워드 커드링턴 제독과 앙리 드 리니 제독은 아르고스 만으로 항해하여, HMS 아시아 호 선상에서 그리스 대표자들과 만날 것을 요청하였다.[484]

나바리노 해전


마브로코르다토스가 이끄는 그리스 대표단이 조약 내용을 인정하자, 연합국은 정전 협정을 대비했으며, 열강 함대는 이브라힘 군대에게 전해질 보급품을 차단하도록 명령받았다. 영국-프랑스 함대는 무함마드 알리의 함대가 그리스에서 퇴거하도록 경고했으나, 알렉산드리아를 떠나 그해 9월 8일 나바리노의 오스만-이집트 함대와 합세하자, 커드링턴의 함대는 9월 12일에 나바리노 근해에 이르렀다. 10월 13일 나바리노 인근에서 드 리니의 프랑스 함대와, 헤이덴의 러시아 함대가 커드링턴 함대에 합류하였다. 나바리노에 열강 함대가 다 보이자 커드링턴과 드 리니는 이브라힘과 협상하려 하였으나, 이브라힘은 술탄의 명령에 따라 이드라를 파괴해야 한다고 고집하였다. 이에 커드링턴은 만약 이브라힘이 본국 외에 다른 곳으로 이동하려 한다면, 함대를 파괴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이브라힘은 술탄에게 어명을 번복할 것인지 묻는 서한을 보내었으며, 또 그리스 인들이 공격을 계속할 수 있다고 불만을 드러내었다. 커드링턴은 자신이 그리스인과 그리스 애호 세력이 투르크인과 이집트인을 공격하지 않도록 중단시키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런 다음 그는 자신의 함대 대부분을 해산하여 몰타로 귀환시켰으며, 프랑스 함대는 에게해로 갔다.[485]

그러나 그리스 애호가였던 프랭크 헤이스팅스(Frank Hastings)가 투르크의 어느 분함대를 격멸하자, 이브라힘은 헤이스팅스를 물리치기 위하여 나바리노 바깥으로 자신의 분함대를 파견하였다. 커드링턴은 헤이스팅스의 행동에 대해 듣지 못하였으며, 이브라힘이 협정을 어겼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이집트 분함대를 막고 퇴각하도록 하였으며, 다음 날 이브라힘이 친히 함대를 이끌고 나왔을때도 마찬가지로 대응하였다. 커드링턴은 다시 함대를 규합하여, 몰타의 영국 함대와 에게해의 프랑스 함대가 돌아왔다. 여기에 로힌 헤이덴 백작이 이끄는 함대도 합류하였다. 이제 이브라힘은 연합국이 협정을 어겼다고 판단하고 펠로폰네소스에서 그리스인들을 절멸시키는 작전에 돌입하였다.[486]

무함마드 알리의 초상화.


1827년 10월 20일, 날씨가 나빠지자 영국, 러시아, 프랑스 함대는 나바리노 만으로 진입하여 이집트-투르크 함대가 이 곳을 빠져나가 이드라 섬을 공격하지 못하게 하였다. 영국의 프리깃함 한 척이 보트를 보내어 이집트인들에게 그들의 화선을 이동시켜 줄 것을 청하러 갔으나, 이집트 사람들은 보트 위에 있던 장교를 쏘았다. 프리깃함은 머스켓으로 보복했으며, 한 이집트 군함이 프랑스 기함 시렌(Sirene) 호에 대포를 발포하고, 반대쪽에서도 발포하였다.[487]

해전은 연합국의 완벽한 승리로 끝났으며, 이집트-투르크 함대는 궤멸되었다. 전투에 투입된 이집트-투르크 함대의 군함은 89척이었으나, 알렉산드리아로 돌아간 배는 14척에 불과했으며, 사망자는 8,000명을 넘었다. 연합국은 한 척의 배도 잃지 않았으며, 사망자도 181명에 그쳤다. 오스만 궁정은 연합국이 격침한 자국 선박에 대해 보상을 요구하였으나, 연합국은 투르크가 협정을 어겼다면서 이를 거부하였다. 또 삼국 대사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철수하였다. 영국에서 이 전투는 '옛 동맹국'으로 불리던 투르크에 대해 '어려운 사건'을 일으켰다며 비판받았다. 커드링턴은 소환되어 이집트-투르크 함대가 2,000명의 그리스 노예를 싣고 퇴각하도록 둔 데에 문책당하였다. 프랑스에서 해전 소식은 열광적인 환영을 받아, 정부는 예상치못하게 대중의 큰 지지를 얻었다. 러시아는 공식적으로 투르크에 전쟁을 선언할 기회를 얻었다.[488] 1828년 4월 투르크에 선전포고를 한 러시아는 다음 해 8월에 아드리아노폴리스를 함락하여, 오스만 제국은 붕괴위기에 빠졌고 어떠한 조약이건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1828년 10월, 그리스 사람들이 다시 모여 카포디스트리아스를 세운 새 정부를 구성하였다. 이들은 서방 열강이 정전을 명령하기 전까지 아테네, 티바 등 가능한 한 많은 영토를 확보하였다. 펠로폰네소스의 문제를 놓고 영국과 러시아는 프랑스가 자국 군대를 보내어 이브라힘의 군대를 몰아내겠다는 제안을 받아들였다. 프랑스 원정대의 지휘관 니콜라 조세프 메종은 1828년 8월 30일 페탈리디에 상륙하여 그리스인들을 도와 10월 30일까지 펠로폰네소스에서 모든 적대 세력을 몰아내었다. 그리하여 메종은 모든 이집트 군대가 펠로폰네소스에서 철수한다는 협정을 커드링턴과 협상하고 무함마드 알리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였다.[489]

5. 3. 나바리노 해전



그리스인들이 내분에 빠지자 술탄은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그리스인들은 내부 싸움과 재정난으로 함대를 유지하기 어려워졌고, 메토니에 상륙한 이집트 군대가 1824년 프사라와 카소스를 파괴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그리스는 사모스와 예론타스에서 승리했지만, 1827년 유럽 열강이 개입하여 나바리노 해전에서 승리할 때까지 혁명은 위태로웠다.[464]

1822년 8월 조지 캐닝이 영국 외무 장관이 되었다. 캐닝은 오스만 제국에 반대하는 여론을 일으켰고, 러시아가 단독으로 개입하는 것을 우려했다.[481] 1823년 3월, 캐닝은 "온 나라가 지배자에게 반란을 일으켰다면, 그 나라는 전쟁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선언했다. 같은 해 2월, 영국은 오스만 제국에 기독교 신민들을 존중할 때에만 우호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통지했다. 영국령 이오니아 제도 대사는 그리스인들이 전쟁 상태에 있음을 인정하고, 이들에게 투르크인들이 보급품을 얻을 수 있는 지역을 봉쇄할 권리를 주도록 명령받았다. 1824년과 1825년에는 영국인 공채 소유자들에게서 그리스인들이 얻어내려던 두 번의 차관을 승인하면서 영국의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437]

1825년 12월 니콜라이 1세가 차르로 즉위하자 캐닝은 웰링턴 공작을 러시아에 급파하여 1826년 4월 4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의정서를 도출했다. 의정서에 따르면 두 열강은 투르크의 주권하에 그리스가 완전 자치권을 얻는다는 원칙으로 오스만 제국과 그리스를 중재하는 데 동의했다. 차르는 오스만 궁정에 최후 통첩을 보내어 공국에서 물러나고, 러시아에 전권 대사를 보내어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처리하도록 요구했다. 1826년 10월 7일 술탄은 아케르만 협정을 체결하여 세르비아와 공국에 대하여 러시아가 요구한 사항을 받아들였다.[483]

그리스는 중재 조치를 요청했으나, 투르크와 이집트는 이브라힘 파샤의 군대가 승승장구하던 상황이라 전쟁을 그만둘 마음이 없었다. 이집트군은 메솔롱기를 장악했고, 곧이어 아테네시 중심가(1826년 8월), 아크로폴리스(1827년 6월)까지 점령했다. 오스만 제국이 의정서 수락을 거부하고, 오스트리아자유주의 운동 진압을 명분으로 반발하자, 영국러시아는 곤란해졌다. 이때 프랑스그리스 독립을 지지하고 나서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프랑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을 지지함으로써 빈 체제를 흔들고, 빈 체제가 프랑스에 부과하고 있는 구속적인 상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캐닝은 프랑스, 러시아와 런던 조약(1827년 7월 6일)을 협상하여 행동 조치를 준비했다. 조약에서는 연합국이 다시 협상안을 제시하며, 만약 술탄이 거부할 경우 모든 수단을 써서 적대 행위를 중지시킬 수 있다고 규정했다. 3국은 1개월 내에 오스만 제국이 의정서 중재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3개월 내에 그리스에 영사를 파견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리스에 영사를 파견한다는 것은 곧 독립을 승인한다는 뜻이었다. 1827년 7월 말, 무함마드 알리의 새 함대가 알렉산드리아에서 완성되어 나바리노로 항해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 함대의 목적은 이드라를 공격하고, 이 섬의 함대를 무력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8월 29일 오스만 궁정은 런던 조약 규정에 거부하였으며, 영국과 프랑스의 지중해 함대 사령관인 에드워드 커드링턴 제독과 앙리 드 리니 제독은 아르고스 만으로 항해하여, HMS 아시아 호 선상에서 그리스 대표자들과 만날 것을 요청하였다.[484]

마브로코르다토스가 이끄는 그리스 대표단이 조약 내용을 인정하자, 연합국은 정전 협정을 대비하였으며, 열강 함대는 이브라힘 군대에게 전해질 보급품을 차단하도록 명령받았다. 영국-프랑스 함대는 무함마드 알리의 함대가 그리스에서 퇴거하도록 경고하였으나, 알렉산드리아를 떠나 그해 9월 8일 나바리노의 오스만-이집트 함대와 합세하자, 커드링턴의 함대는 9월 12일에 나바리노 근해에 이르렀다. 10월 13일 나바리노 인근에서 드 리니의 프랑스 함대와, 헤이덴의 러시아 함대가 커드링턴 함대에 합류하였다. 커드링턴과 드 리니는 이브라힘과 협상하려 하였으나, 이브라힘은 술탄의 명령에 따라 이드라를 파괴해야 한다고 고집하였다. 커드링턴은 이브라힘이 본국 외에 다른 곳으로 이동하려 한다면, 함대를 파괴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이브라힘은 술탄에게 어명을 번복할 것인지 묻는 서한을 보내었으며, 또 그리스인들이 공격을 계속할 수 있다고 불만을 드러내었다. 커드링턴은 자신이 그리스인과 그리스 애호 세력이 투르크인과 이집트인을 공격하지 않도록 중단시키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런 다음 그는 자신의 함대 대부분을 해산하여 몰타로 귀환시켰으며, 프랑스 함대는 에게해로 갔다.[485]

그러나 그리스 애호가였던 프랭크 헤이스팅스(Frank Hastings)가 투르크의 어느 분함대를 격멸하자, 이브라힘은 헤이스팅스를 물리치기 위하여 나바리노 바깥으로 자신의 분함대를 파견하였다. 커드링턴은 이브라힘이 협정을 어겼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이집트 분함대를 막고 퇴각하도록 하였으며, 다음 날 이브라힘이 친히 함대를 이끌고 나왔을때도 마찬가지로 대응하였다. 커드링턴은 다시 함대를 규합하여, 몰타의 영국 함대와 에게해의 프랑스 함대가 돌아왔다. 여기에 헤이덴 백작이 이끄는 함대도 합류하였다. 이브라힘은 연합국이 협정을 어겼다고 판단하고 펠로폰네소스에서 그리스인들을 절멸시키는 작전에 돌입하였다.[486]

1827년 10월 20일, 영국, 러시아, 프랑스 함대는 나바리노 만으로 진입하였다. 영국의 프리깃함 한 척이 보트를 보내어 이집트인들에게 그들의 화선을 이동시켜 줄 것을 청하러 갔으나, 이집트 사람들은 보트 위에 있던 장교를 쏘았다. 프리깃함은 머스켓으로 보복하였으며, 한 이집트 군함이 프랑스 기함 시렌(Sirene) 호에 대포를 발포하고, 반대쪽에서도 발포하였다.[487]

해전은 연합국의 완벽한 승리로 끝났으며, 이집트-투르크 함대는 궤멸되었다. 이집트-투르크 함대의 군함은 89척이었으나, 알렉산드리아로 돌아간 배는 14척에 불과하였으며, 사망자는 8,000명을 넘었다. 연합국은 한 척의 배도 잃지 않았으며, 사망자도 181명에 그쳤다. 오스만 궁정은 연합국이 격침한 자국 선박에 대해 보상을 요구하였으나, 연합국은 투르크가 협정을 어겼다면서 이를 거부하였다. 삼국 대사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철수하였다. 영국에서 이 전투는 '옛 동맹국'으로 불리던 투르크에 대해 '어려운 사건'을 일으켰다며 비판받았다. 커드링턴은 소환되어 이집트-투르크 함대가 2,000명의 그리스 노예를 싣고 퇴각하도록 둔 데에 문책당하였다. 프랑스에서 해전 소식은 열광적인 환영을 받아, 정부는 예상치못하게 대중의 큰 지지를 얻었다. 러시아는 공식적으로 투르크에 전쟁을 선언할 기회를 얻었다.[488]

5. 4. 자치에서 독립으로

1827년 런던 조약 체결 이후, 나바리노 해전에서 오스만-이집트 연합 함대가 대패하면서 그리스의 독립은 가시화되었다. 그러나 열강들은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그리스의 미래를 다르게 구상했다.

182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가 승리하고 아드리아노폴리스 조약이 체결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의 자치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는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여 그리스의 완전 독립을 추진했다. 1830년 런던 의정서를 통해 그리스는 독립 국가로 인정받았지만, 국경선은 당초 예상보다 축소되었고, 레오폴 1세는 그리스 왕위를 거절했다.[493]

오톤이 아테네에 도착하다.(페터 폰 헤스 그림, 1839년작). 1832년 런던 회의에서 오톤을 그리스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세웠다.


요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암살 이후 혼란을 겪던 그리스는, 1832년 런던 회의에서 바이에른 왕국의 왕자 오톤을 국왕으로 맞이하면서 안정을 찾기 시작했다. 같은 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이 체결되어 그리스 왕국의 국경선이 확정되었고,[495] 1832년 8월 30일 런던 의정서에서 최종 비준되었다.[496] 이로써 그리스는 완전한 독립을 이루게 되었다.

그리스 왕국의 원래 영토. 1832년 잃은 영토도 나와있다. (어두운 파랑)


1832년 조약에 명시된 그리스 왕국의 초기 영토(진한 파란색)

6. 학살

그리스 독립 전쟁 초기, 그리스 혁명군과 오스만 당국 양측은 대규모 민간인 학살을 자행했다.[497] 그리스 혁명군은 아티키펠로폰네소스 등 세력이 강한 지역에서 투르크인, 무슬림, 유대인을 오스만 제국과 한편으로 간주하여 학살했다.[497] 투르크인 역시 아나톨리아, 크리티, 콘스탄티노폴리스, 에게 해 제도 등 혁명군 세력이 약한 지역에서 그리스인을 혁명군과 동일 세력으로 보고 학살했다.[497] 히오스 학살, 프사라 파괴, 트리폴리차 함락 이후 학살, 나바리노 학살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497] 학자들은 그리스인의 학살이 투르크의 학살에 대한 대응인지, 아니면 혁명과 함께 별개로 발생한 것인지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다.[497]

전쟁 중 수만 명의 그리스 민간인이 살해되거나, 방치되어 죽거나, 노예가 되었다.[498] 그리고리오스 5세 총대주교와 같이 살해된 기독교 성직자도 많았다.[498] 펠로폰네소스에서는 유대인 주민들이 오스만 세력으로 몰려 그리스인에게 학살당하기도 했다.[499] 그러나 그리스와 유럽 전역의 많은 유대인들은 그리스 반란을 지지했고, (로스차일드 가처럼) 정치적, 대중적 영향력과 재산을 이용해 그리스를 도왔다.[499] 그리스 혁명 성공은 유대인 민족주의(시오니즘)를 고무시켰다.[499] 새로 건국된 그리스 독립국은 유대인에게 법적 평등을 보장했고, 많은 유대인이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로 이주했다.[499]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그리스인들에 대한 잔혹 행위, 1821년 4월. 그레고리오스 5세 총대주교는 오스만 당국에 의해 처형되었다.


그리스인 봉기 소식은 오스만 제국 전역에 격렬한 분노를 일으켰다.[80]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부활절에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 그레고리오스 5세가 공개 처형되었다. 그는 혁명을 비난하고 술탄에게 복종을 설교했음에도 불구하고 처형되었다.[81] 3월 혁명 시작 이후, 수블림 포르테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저명한 그리스인들을 무작위로 처형했다. 여기에는 재직 중인 포르테의 드라고만과 은퇴한 드라고만 2명, 부유한 은행가와 상인(마브로코르다토스 가문 포함), 수도사 3명과 정교회 사제 1명, 도시 상수도에 독을 넣으려 했다고 비난받은 평범한 그리스인 3명 등이 포함된다.[82] 1922년까지 대부분 그리스인 도시였던 스미르나(현재 터키 이즈미르)에서는 아나톨리아 내륙에서 온 오스만 군인들이 그리스 또는 몰다비아/왈라키아로 싸우러 가는 길에 1821년 6월 그리스인을 상대로 포그롬을 일으켰다. 고든은 "3,000명의 악당들이 그리스인 거주지를 습격하여 집을 약탈하고 사람들을 학살했으며, 스미르나는 공격받은 곳과 같았고, 나이와 성별을 불문하고 피해를 입었다"고 기록했다.[83] 한 현지 뮬라가 무슬림의 기독교인 살해를 정당화하는 파트와를 내려달라는 요청을 거부하자 즉시 살해되었다.[83]

외젠 들라크루아의 ''키오스 섬 학살'' (1824년, 캔버스에 유채, 루브르 박물관, 파리)

7. 독립 이후

그리스 독립 전쟁의 결과는 즉각적으로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스는 독립 국가로 건국되었지만, 영국, 러시아, 프랑스는 그리스 정치와 바이에른 섭정, 용병군에 대해 간섭하였다.[500] 10년간의 전쟁으로 온 나라는 황폐해졌고, 튀르크인의 토지는 텅 비었으며, 고향을 잃은 난민들만 가득하여 수십 년간 일련의 토지 개혁이 필요하였다.[433]

신생국의 인구는 800,000명으로, 오스만 제국의 그리스 주민 250만 명 가운데 3분의 1보다 적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가난하고 개발도 되지 못했던 그리스는 19세기 말에 경제 발전을 이루어, 20세기에 세계 최대의 선단을 거느린 해운국의 토대를 닦았다.[502]

7. 1. "위대한 이상" (Μεγάλη Ιδέα)

그리스 독립 직후, 모든 그리스인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려는 목표인 "위대한 이상(Μεγάλη Ιδέα)"은 그리스 국가의 주요 정책 방향이 되었다.[433] 신생 그리스 국가는 인구가 80만 명에 불과하여 오스만 제국 내 그리스인 250만 명의 3분의 1도 채 되지 않았다.[433] 따라서 그리스는 "위대한 이상"에 따라 오스만 제국의 "수복되지 않은 땅"의 그리스 주민들을 해방하고자 했다.[433]

파나르 사람들은 오스만 제국에서 고위직을 차지하며 특권을 누렸으나, 그리스 독립 이후에는 의심스러운 세력으로 여겨져 지위를 잃었다.[501]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오스만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그리스인 은행가와 상인들 대신 아르메니아 은행가들과 불가리아인 상인들이 중요하게 되었다.[501]

"감사하는 헬라스" - 테오도로스 브리자키스


그리스 혁명의 결과는 직후에는 다소 모호했다. 독립적인 그리스 국가가 수립되었지만, 영국, 러시아, 프랑스는 여전히 그리스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바이에른 출신의 왕자를 통치자로 선출했다.[213] 10년간의 전투로 국가는 황폐해졌고, 많은 난민과 버려진 터키 영지가 남아 수십 년에 걸친 일련의 토지 개혁이 필요했다.[48]

새로운 국가의 인구는 80만 명으로, 오스만 제국의 250만 명에 달하는 그리스인의 3분의 1도 채 되지 않았다. 다음 세기의 대부분 동안, 그리스 국가는 모든 그리스인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한다는 목표인 메갈리 이데아에 따라 오스만 제국의 "미해방" 그리스인들의 해방을 추구했다.[48]

그리스인들은 더 이상 다뉴브 공국에 왕자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특히 오스만 제국의 무슬림 인구에게는 배신자로 여겨졌다. 그때까지 오스만 제국 내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던 파나리오테스는 이후 의심스러운 인물로 여겨졌고, 특권 지위를 상실했다. 그리스 은행 및 상인들의 영향력이 지배적이었던 콘스탄티노플과 오스만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아르메니아인들이 주로 은행업에서 그리스인을 대체했고, 유대인 상인들의 중요성이 커졌다.[214]

"오랫동안 잃어버리고 소멸되었던 조국이 오늘 다시 태어났습니다. 오늘, 우리 왕이 하나님의 힘으로 탄생했기 때문에 정치적, 종교적, 군사적 투사들이 죽음에서 부활했습니다. 전능하시고 자비로우신 주님, 당신의 가장 고귀한 이름을 찬양합니다."
마크리야니스의 회고록 - 오토 왕의 도착에 대한 내용



새로운 그리스 국가의 규모가 작고 빈곤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전쟁은 오스만 제국 역사의 중요한 사건으로 판명되었다. 기독교 신민이 처음으로 오스만 지배에서 독립을 쟁취하고 유럽이 인정하는 완전한 독립 국가를 건설했기 때문이다. 이전에는 프로이센이나 오스트리아와 같은 대국만이 열강들에 의해 국가 자결권을 가질 자격이 있다고 여겨졌지만, 그리스 혁명은 소규모 국가의 개념을 정당화했고, 오스만 제국의 다른 신민들 사이에서 민족주의 운동을 고무시켰다.

전쟁이 끝난 직후, 러시아의 보호를 받던 폴란드 사람들은 그리스의 승리에 고무되어 독립을 되찾기를 바라며 11월 봉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 봉기는 실패했고, 폴란드의 독립은 베르사유에서 1918년까지 회복되지 않았다.

새로 설립된 그리스 국가는 더욱 확장을 추구했고, 한 세기 동안 마케도니아 일부, 크레타, 에피루스 일부, 많은 에게 해 제도, 이오니아 제도 및 기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영토가 새로운 그리스 국가와 통합되었다.

7. 2. 발칸 반도에 미친 영향

그리스 혁명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시대에 걸쳐 수없이 일어나고 실패하던 독립 운동이었다. 1603년 모레아에서는 비잔티움 제국을 재건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17세기 내내 펠로폰네소스반도와 다른 지역에서는 격렬한 反오스만 제국 투쟁이 벌어졌다.[412] 모레아 전쟁으로 펠로폰네소스반도는 30년간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 1680년대부터 1715년 터키-베네치아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이 반도를 수복할 때까지[413] 이 지역은 혼란 상태였으며, 클레프테스 도적 무리가 늘어나면서 17세기 내내 이런 상황이 이어졌다.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생하자 민족주의가 유럽을 뒤덮었고, 발칸반도에도 전해졌다.[241][242]

1804년에 시작된 세르비아 봉기는 당초 예니체리에 대한 반감에서 일어난 것이었으며,[244] 민족주의에 기반한 것은 아니었지만, 유럽 열강들이 이에 개입함으로써 민족 해방의 색채를 강하게 띠게 되었다. 2차례에 걸쳐 일어난 세르비아 봉기는 결과적으로 자치를 획득하고, 후에 세르비아 공국의 성립으로 이어졌다.[245][246] 이 봉기는 오스만 제국의 약화를 분명하게 보여주었다.[247]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그리스의 독립은 오스만 제국의 몰락을 알리는 전조였다. 처음으로 그리스도 교도 신민들이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얻고 완전한 독립 국가를 세워 유럽에 인정을 받은 것이다. 그리스의 해방은 세르비아인, 불가리아인, 루마니아인, 아랍인 등 오스만 제국의 다른 피지배 민족에게도 희망을 주어 장차 투쟁을 통해 독립을 얻게 된다. 그러나 쿠르드족아르메니아인은 독립에 실패하였다. 또 그리스 혁명으로 빈 체제의 정통주의 원칙은 흔들리게 되었다. 에스파냐 반란과 나폴리 반란 문제에서 강경하게 자유주의의 진압을 주장하던 러시아가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는 그리스의 독립을 지지하고 나섬으로써 체제의 원칙이 무엇인지 알 수 없게 되었고, 언제든지 5대 강국의 합의로 현상이 변경될 수 있다는 선례가 남게 되었다. 이는 이어지는 벨기에의 독립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스 독립 전쟁이 끝나자 러시아계 폴란드 사람들은 그리스의 승리에 고무되어 독립을 되찾고자 11월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반란은 실패하였으며, 폴란드의 해방은 1918년에야 이루어졌다.

신생 그리스 국가는 점차 영토를 확대하여, 19세기에 마케도니아 일부 지방, 크리티, 이피로스, 에게 해 제도와 여타 그리스어권 영토를 그리스로 통합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Italians Who Fought for Greek Independence https://italicsmag.c[...] 2022-09-15
[2] 웹사이트 War of Greek Independence | History, Facts, & Combatants https://www.britanni[...] 2024-04-02
[2] 서적 Yianni Cartledge & Andrekos Varnava (eds.), ''New Perspectives on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Myths, Realities, Legacies and Reflections''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Springer
[3] 서적 Osman's Dream: The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7-01-01
[4] 서적 A Story of Modern Greece Faber and Faber
[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Rus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01
[6] 간행물 Semi-autonomous Forces
[7] 서적 Religious Nationalism in Modern Europe
[8]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oughton Mifflin Company
[9] 간행물 Creating East and West
[9] 서적 Milton on himself
[10] 서적 Creating East and West: Renaissance humanists and the Ottoman Turk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4-01-01
[11] 서적 Mani's History
[12] 서적 Mani's History
[13] 간행물 History of Modern Greece
[13] 간행물 History of Macedonia
[14] 서적 Mani's History
[15] 간행물 History of Modern Greece
[16] 간행물 The Greek Church of Constantinople
[17] 간행물 The Greek Church of Constantinople
[18] 간행물 History of the Hellenic Nation
[18] 간행물 The Greek Nation
[18] 간행물 Greece and European Turkey
[1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20] 간행물 Greek Historical Writing on the Period 1453–1914
[21] 서적 Brigands with a Cause
[22] 서적 The Greek Nation, 1453–1669
[23] 서적 Irregular Armed Forces
[24] 서적 Irregular Armed Forces
[25] 서적 Irregular Armed Forces
[26] 서적 Brigands with a Cause
[27] 웹아카이브 Απομνημονεύματα Μακρυγιάννη http://el.wikisource[...]
[28] 서적 Irregular Armed Forces and their Role in Politics and State 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Subalterns and Social Protest: History from Below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Routledge
[30] 서적 Nation-States and Nationalisms: Organization, Ideology and Solidarity Polity Press
[31] 서적 Nationalism an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Politics and Statecraft in the Kingdom of Greece, 1833–1843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 서적 Balkanlarda ilk dram: unuttuğumuz Mora Türkleri ve eyaletten bağımsızlığa Yunanistan Babıali Kültür Yayıncılığı
[34] 간행물 Greece and European Turkey
[3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36] 서적 Russia and the Making of Modern Greek Identity, 1821–1844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5
[37] 서적 Histoire de la Grèce modern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72
[38] 서적 Wars and Peace Treaties
[39] 서적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39] 서적 Greece and European Turkey
[40] 서적 History of Modern Greece
[41] 서적 The Greeks: Their Struggle for Independence
[4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4]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4] 서적 The Greek struggle for independence
[45]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4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7] 서적 A Short History of Modern Greece
[48] 뉴스 Twenty-five Lectures on Modern Balkan History: The Greek Revolution and the Greek State http://www.lib.msu.e[...] Michigan State University 1999-06-14
[49]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www.fordham.e[...] 2008-09-05
[50] 서적 Letters and Journals of Samuel Gridley Howe Dana Estes & Company 1909
[51] 간행물 Greek Independence and the London Committee 1970-04
[52] 서적 State insolvency and foreign bondholders Yale University Press 1951
[53] 서적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53] 서적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Middle East
[53] 서적 Christian Maidens, Turkish Ravishers
[54] 서적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55] 서적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Middle East
[56] 서적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5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58] 서적 The Romanians
[59] 웹사이트 The Three Holy Hierarchs Monastery – A glimpse on its history http://www.manastire[...]
[60] 웹사이트 curierul-iasi.ro http://curierul-iasi[...]
[61] 서적 The Movement for Greek Independence
[62] 서적 Review
[62] 서적 Greece: the Modern Sequel
[6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64] 서적
[6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3-04
[66] 서적 First Year of Freedom
[67] 서적 The Orthodox Church and Independent Greece
[67] 서적 Recollections of the Greek Revolution
[68]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2011
[69] 간행물 Aspects of civic, economic and social life in Achaia and Moreas at the beginning of the revolutionary process of 1821. Unpublished commercial correspondence of the French consul in Patras, Hugues Pouqueville (1820–1822) 2007-2008
[70] 웹사이트 Journaux Numérisés https://www.archives[...]
[71] 서적 Journal de Savoie https://books.google[...] 1821-06-15
[72] 서적 Mani's History
[73] 서적 The Great Greek Revolution
[74]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75] 서적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76] 서적 First Year of Freedom
[77] 서적 First Year of Freedom
[78]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79] 서적 First Year of Freedom
[80]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81]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82]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83] 웹사이트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Freedom and the Birth of Modern Greece https://books.google[...] Abrams 2020-10-15
[84]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85]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86]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87]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88]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89]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90] 서적
[91]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92] 웹사이트 Greece's Bilateral Relations https://www.mfa.gr/e[...]
[93] 웹사이트 A Letter from Jean-Pierre Boyer to Greek Revolutionaries https://web.archive.[...] 2017-03-26
[94] 웹사이트 Haiti and the Greek revolution http://neoskosmos.co[...] neoskosmos.com 2015-03-25
[95]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96] 서적 Greece: the Modern Sequel
[97] 서적 Greece: the Modern Sequel
[98] 서적 Greece: the Modern Sequel
[99] 서적 Turkish rule in Crete
[100] 서적 Turkish rule in Crete
[101] 서적 Turkish rule in Crete
[102] 서적 Greek Auditors
[103] 서적 Turkish rule in Crete
[104] 서적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105] 서적 Turkish rule in Crete
[106] 서적 Turkish rule in Crete
[107] 서적 Across Crete: From Khania to Herakleion https://books.google[...] I.B. Tauris
[108]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09]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10]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11]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12] 서적 Salonica, City of Ghosts
[113]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14]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15]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16]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17]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18]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19]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20]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21] 웹사이트 Αίμα Κυπρίων στο σώμα της Μητέρας Ελλάδας http://www.synexelix[...] 2011-06-22
[122] 서적
[123] 서적 The Greek Revolution and the Making of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Penguin Press
[124] 서적
[125] 서적 La marine ottomane, de l'apogée à la chute de l'Empire (1572–1923)
[126] 서적 The Military Events
[127]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28]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29]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30]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31]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32]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33] 서적 The Greek Struggle for independence
[134]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35]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36]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37]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38] 서적 The Greek Struggle for independence
[139]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40] 서적 The Greek Struggle for independence
[141] 서적 Civil Wars
[142] 서적 Civil Wars
[143] 서적 Theodoros Kolokotronis
[143] 서적 Civil Wars
[144] 서적 Theodoros Kolokotronis
[144] 서적 Civil Wars
[145]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46] 서적 The Greek Adventure
[146] 서적 Egypt in the Reign of Muhammad Ali
[147]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48]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49]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50]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51]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52]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53]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54] 서적 The Greek Adventure
[155]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56]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57] 서적 The Greek Adventure
[158] 서적 The Greek Adventure
[159]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60]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61] 서적 The Greek Adventure
[162] 서적 The Greek Adventure
[163] 서적 The Greek Adventure
[164] 서적 The Greek Adventure
[165] 서적 The Greek Adventure
[166]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67]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68]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69] 서적 Mani's History
[170] 서적 Mani's History
[171]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72]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73]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74]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75]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76]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77]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78]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79] 서적 Alexander of Russia
[180] 서적 The Balkans since 1453
[181] 서적 The Balkans since 1453
[182] 서적 Ιστορία Νεότερη και Σύγχρονη (Newer and Modern History) Schoolbook for Triti Gymnasiou
[183]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Freedom from Ottoman Oppression Overlook Duckworth
[184]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Overlook Duckworth
[185] 서적 The Balkans since 1453
[186]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Freedom from Ottoman Oppression Overlook Duckworth
[187]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Freedom from Ottoman Oppression Overlook Duckworth
[188]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Freedom from Ottoman Oppression Overlook Duckworth
[189] 서적 The Greek Adventure
[190] 서적 The Greek Adventure
[191] 서적 The Greek Adventure
[192] 서적 The Greek Adventure
[193] 서적 The Greek Adventure
[194] 서적 History of the Greek Revolution
[195] 서적 The French Expedition to the Morea (Work of the French Scientific Expedition to the Morea) Melissa Publishing House
[196] 서적 History of the Greek Revolution
[197] 서적 The Great Powers and the Struggle of 1821
[198] 서적 The Great Powers and the European States System
[199] 웹사이트 London Protocol http://www.mfa.gr/NR[...]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8-12-26
[200] 서적 A Short History of Modern Greece
[201] 서적 A Short History of Modern Greece
[202] 서적 Internationa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203] 웹사이트 Treaty of Constantinople http://www.mfa.gr/NR[...]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4] 서적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205] 서적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https://books.google[...] Open Book Publishers
[206] 서적 A History of Modern Europe Heinemann Educational Publishers
[207] 간행물 Smyrna in 1821: A Russian View https://digitalcommo[...] University of North Florida
[208] 서적 Hellenic Independence and America's Contribution to the Cause
[209] 서적 History of the Greek Revolution
[210] 서적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211] 서적 A History of Europe Edward Arnold 1936 & 1965
[212] 웹사이트 The Jews in Greece https://web.archive.[...]
[213]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214]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215] 웹사이트 Η ιστορία και η σημασία των εμβληματικών τραγουδιών που άκουσε το βράδυ της Τρίτης ο Ομπάμα στο Προεδρικό Μέγαρο από την παιδική χορωδία https://www.nextdeal[...] 2021-03-25
[216] 웹사이트 The Italians Who Fought for Greek Independence https://italicsmag.c[...] 2021-03-25
[217] 기타
[218] 서적 バルカン史 1998
[219] 서적 バルカン 1994
[220] 서적 バルカン 1994
[221] 서적 ギリシア史 2005
[222] 서적 東欧 2001
[223] 서적 東欧 2001
[224]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1977
[225]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2000
[226] 서적 東欧 2001
[227] 서적 ギリシア史 2005
[228] 서적 ギリシア史 2005
[229]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1977
[230]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1977
[231]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1977
[232]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1977
[233] 서적 ギリシア史 2005
[234] 서적 ギリシア史 2005
[235] 서적 ギリシア史 2005
[236]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2000
[237] 서적 ギリシア史 2005
[238]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2000
[239]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1988
[240]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1977
[241] 서적 バルカン民族主義 1996
[242] 서적 図説バルカン 2001
[243] 서적 東欧 2001
[244] 서적 東欧 2001
[245] 서적 バルカン民族主義 1996
[246] 書籍 図説バルカン
[247] 書籍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248] 書籍 桜井(ギリシア史)
[249] 書籍 スボロノス(近代ギリシア史)
[250] 書籍 中津(アルバニア)
[251] 書籍 桜井(ギリシア史)
[252] 書籍 スボロノス(近代ギリシア史)
[253] 書籍 スボロノス(近代ギリシア史)
[254] 書籍 スボロノス(近代ギリシア史)
[255] 書籍 周藤・村田(ギリシアを知る辞典)
[256] 書籍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257] 書籍 木戸(バルカン現代史)
[258] 書籍 スボロノス(近代ギリシア史)
[259] 書籍 スボロノス(近代ギリシア史)
[260] 웹사이트 ベレスティンリス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8-25
[261] 웹사이트 Το Σχέδιο Συντάγματος του Ρήγα Βελεστινλή (1797) [リガス・ヴェレスティンリス著『憲法草案』(1797年)] https://www.syntagma[...] 欧州憲法センター - テミストクレス・ディミトリス・ツァッツォ財団、スタブロス・ニアルコス財団 2023-08-25
[262] 서적 History of Modern Greece Themelio
[263] 書籍 ギリシャ独立戦争
[264] 書籍 桜井(ギリシア史)
[265] 書籍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266] 書籍 柴(バルカン史)
[267] 書籍 スボロノス(近代ギリシア史)
[268] 書籍 桜井(ギリシア史)
[269] 書籍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270] 書籍 柴(バルカン史)
[271] 書籍 ジョルジェヴィチ、フィッシャー (バルカン近代史)
[272] 書籍 ジョルジェヴィチ、フィッシャー (バルカン近代史)
[273] 書籍 周藤・村田(ギリシアを知る辞典)
[274] 書籍 周藤・村田(ギリシアを知る辞典)
[275] 書籍 周藤・村田(ギリシアを知る辞典)
[276] 書籍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277] 書籍 桜井(ギリシア史)
[278] 書籍 ジョルジェヴィチ、フィッシャー (バルカン近代史)
[279] 書籍 柴(バルカン史)
[280] 書籍 百瀬他 (東欧)
[281]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282] 서적 ギリシア独立
[283]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284]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285]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286]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287] 서적 ギリシア独立
[288] 서적 図説バルカン
[289] 서적 東欧史
[290] 서적 東欧史
[291] 서적 バルカン史
[292]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293] 서적 ギリシア独立
[294] 서적 ギリシア独立
[295] 서적 ギリシア独立
[296] 서적 東欧史
[297]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298]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299]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300] 서적 ギリシア独立
[301] 서적 東欧史
[302] 서적 東欧
[303]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304] 서적 ギリシア史
[305]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306]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307] 서적 図説バルカン
[308]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309]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310] 서적 東欧
[311] 서적 ギリシア独立
[312] 서적 ギリシア史
[313] 서적 ギリシア独立
[314]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315] 서적 ギリシア独立
[316]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17]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18]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19]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0]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1]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2]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3]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4]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5]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6]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7]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8]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29]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0]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1]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2]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3]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4]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5]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6]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7]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8]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39]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0]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1]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2]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3]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4]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5]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6]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7]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8]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49]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50]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51]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52]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53]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54]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그리스를 아는 사전)
[355]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56]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57]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58]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발칸 현대사)
[359]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발칸 근대사)
[360]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61]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62] 서적 ロシア皇帝 (러시아 황제)
[363] 서적 ギリシア史 (그리스사)
[364] 서적 バルカン史 (발칸사)
[365]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66] 서적 (서적 제목 추정 필요)
[367] 서적 バルカン史 (발칸사)
[368]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근대 그리스사)
[369]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그리스를 아는 사전)
[370]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그리스의 역사)
[371]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그리스를 아는 사전)
[372]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그리스의 역사)
[373]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근대 그리스사)
[374]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그리스를 아는 사전)
[375]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그리스를 아는 사전)
[376]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근대 그리스사)
[377] 서적 ギリシア史 (그리스사)
[378]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그리스를 아는 사전)
[379]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발칸 현대사)
[380] 서적 ギリシア史 (그리스사)
[381]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근대 그리스사)
[382] 서적 ロシア皇帝 (러시아 황제)
[383] 서적 ギリシア史 (그리스사)
[384]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그리스의 역사)
[385] 서적 ギリシア史 (그리스사)
[386]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387] 서적 ギリシア史
[388] 서적 ギリシアを知る辞典
[389]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390]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391]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392] 서적 ギリシア史
[393] 서적 ギリシア史
[394] 서적 図説バルカン
[395]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396] 서적 東欧
[397] 서적 ギリシア史
[398]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399] 서적 東欧
[400] 서적 バルカン現代史
[401]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402]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403] 서적 東欧
[404] 서적 バルカン近代史
[405] 서적 図説バルカン
[406] 웹인용 Le Guide D'un Pays en Détresse https://books.google[...] 2015-02-25
[407] 웹인용 The 25 tons of coffee to Adamantios Korais http://www.enet.gr/?[...] Enet.gr Eleftherotypia 2015-02-25
[408] 서적 Religious Nationalism in Modern Europe
[409] 서적 Wars and Peace Treaties
[410] 서적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41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12] 서적 Mani's History
[413] 서적 Mani's History
[414] 서적 History of Modern Greece
[415] 서적 Mani's History
[416] 서적 History of Modern Greece
[417] 서적 The Greek Church of Constantinople
[418] 서적 History of the Hellenic Nation
[419] 서적 Greece and European Turkey
[420]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21] 서적 History of Modern Greece
[42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23] 서적 Brigands with a Cause
[424] 서적 The Greek Nation, 1453-1669
[425] 서적 Irregular Armed Forces
[426] 서적 Irregular Armed Forces
[427] 서적 Irregular Armed Forces
[428] 서적 Brigands with a Cause
[429] 웹사이트 Απομνημονεύματα Ιακωβος Μακρυγιάννης 9 http://el.wikisource[...] 2009-10-02
[430]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31]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43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33] 뉴스 Twenty-five Lectures on Modern Balkan History: The Greek Revolution and the Greek State http://www.lib.msu.e[...] 미시간 주립 대학교 1999-06-14
[434] 서적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435] 서적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435] 서적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Middle East
[435] 서적 Christian Maidens, Turkish Ravishers
[436] 서적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437] 서적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Middle East
[438] 서적 Social History of Modern Art
[43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40]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441] 서적
[442] 서적
[443] 서적 Mani's History
[444] 서적
[445] 서적 The Great Greek Revolution
[446] 서적 The Great Greek Revolution
[447] 웹사이트 Memoirs (Excerpts) http://www.myriobibl[...]
[448] 서적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449] 웹사이트 The Virtual Jewish History Tour - Greece http://www.jewishvir[...]
[450] 서적 Irregular Armed Forces and Their Role in Politics and State Formation
[451]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Modern Egypt
[452] 웹사이트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453] 웹사이트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454] 웹사이트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455] 서적 Salonica, City of Ghosts
[456] 서적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457] 서적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458] 서적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459] 서적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2011-01-18
[460] 서적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2011-01-18
[461] 서적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2011-01-18
[462] 서적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463] 서적 History of Macedonia http://www.promacedo[...]
[464] 서적
[465] 서적
[466] 서적 The Greek Adventure
[467] 서적 The Greek Adventure
[468] 서적 The Greek Adventure
[469] 서적 The Greek Adventure
[470] 서적 The Greek Adventure
[471] 서적 The Greek Adventure
[472] 서적 The Greek Adventure
[473] 서적 The Greek Adventure
[474] 서적 The Greek Adventure
[475] 서적 The Greek Adventure
[476] 서적 The Greek Adventure
[477] 서적 Mani's History
[478] 서적 Mani's History
[479] 서적 Alexander of Russia
[480] 서적 The Balkans since 1453
[481] 서적 The Balkans since 1453
[482] 서적 Newer and Modern History(Ιστορία Νεότερη και Σύγχρονη) Schoolbook for Triti Gymnasiou 1996
[483] 서적 The Balkans since 1453
[484] 서적 The Greek Adventure
[485] 서적 The Greek Adventure
[486] 서적 The Greek Adventure
[487] 서적 The Greek Adventure
[488] 서적 The Greek Adventure
[489]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Its Successors
[490] 서적 The Great Powers and the Struggle of 1821
[491] 서적 The Great Powers and the European States System
[492] 웹인용 London Protocol http://www.mfa.gr/NR[...]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7-09-30
[493] 서적 A Short History of Modern Greece
[494] 서적 A Short History of Modern Greece
[495] 서적 Internationa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496] 웹사이트 Treaty of Constantinople https://web.archive.[...]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497] 서적 Hellenic Independence and America's Contribution to the Cause
[498]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499] 서적 That Greece Might still Be Free
[500] 웹사이트 The Jews of Greece http://www.umass.edu[...]
[501]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502]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50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