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8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8세기는 고대 로마의 건국, 고대 올림픽의 시작, 그리스의 폴리스(도시 국가) 탄생 등 고대 세계의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이다. 이 시기 그리스는 지중해와 흑해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가 성립되었다. 서아시아에서는 아시리아가 강력한 국가로 부상하여 주변 지역을 정복했으며, 이집트는 누비아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동아시아에서는 주나라가 쇠퇴하고 춘추 시대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8세기 - 서산 휴암리 선사유적지
서산 휴암리 선사유적지는 충청남도 서산시 휴암리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 유적으로, 11개의 움집 터와 볍씨가 붙어 있는 민무늬토기를 통해 당시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는 '휴암리형 집터'가 특징이다. - 기원전 8세기 - 사비니 여인들의 강간
로마 건국 초기 로물루스가 인구 부족을 해결하고자 사비니 여인들을 납치한 사건은 로마와 사비니 간의 전쟁을 일으켰으나, 여인들의 중재로 종결되어 동맹을 맺었으며, 이후 예술 작품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 - 기원전 제1천년기 - 기원전 3세기
기원전 3세기는 로마의 지중해 패권 확장과 진나라의 중국 통일을 중심으로 동서양에 걸쳐 격변이 일어났으며, 웅장한 건축물의 완공, 플레브스 권익 신장 법률 제정, 아르키메데스, 에라토스테네스, 유클리드 등 학자들의 활동으로 정치, 군사, 사회, 문화, 과학, 철학 전반에 급격한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 기원전 제1천년기 - 고대 카르타고
고대 카르타고는 기원전 814년경 페니키아에서 건설된 식민 도시 국가로 시작하여 지중해 무역을 통해 번성하며 서지중해의 패권을 장악, 푸니크 문화를 형성하고 로마와 갈등을 겪었으나 포에니 전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한 도시이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기원전 8세기 | |
---|---|
개요 | |
기간 | 기원전 800년 ~ 기원전 701년 |
주요 사건 | |
기원전 800년경 | 이탈리아 반도에서 빌라노바 문화가 시작되다. |
기원전 800년 ~ 기원전 600년 | 그리스에서 폴리스가 발달하다. |
기원전 776년 | 최초의 올림픽이 열리다. |
기원전 771년 | 견융의 침입으로 주나라가 수도를 호경에서 낙읍으로 옮기다. 춘추 시대가 시작되다. |
기원전 753년 | 로마가 건국되다. (전통적인 건국일) |
기원전 747년 | 바빌로니아에서 나보나사르가 즉위하다. |
기원전 734년 | 시칠리아에 나크소스가 건설되다. |
기원전 722년 | 북이스라엘 왕국이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하다. |
기원전 718년 | 기게스가 리디아의 왕이 되다. |
기원전 710년 | 우라르투 왕국이 사르곤 2세에 의해 멸망하다. |
기원전 706년 | 이탈리아에 타라스가 건설되다. |
기원전 701년 | 히스기야 왕의 통치 하에 예루살렘이 산헤립에 의해 포위되다. |
문화 | |
기원전 8세기 | 디필론 암포라가 만들어지다. 카피톨리노 늑대가 만들어지다. |
인물 | |
기원전 8세기 | 호메로스, 그리스의 시인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헤시오도스, 그리스의 시인 (신통기) |
기타 | |
기원전 8세기 | 중국에서 제감도설이 쓰여지다. 밀워키 미술관이 설립되다. |
2. 역사
기원전 8세기에는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사건이 일어났다.
- 기원전 788년: 고대 케다 왕국(케다의 역사)의 수아이 바투는 역동적인 도시 항구와 산업을 구축하고 철 제련을 대규모로 운영했다. 이들의 앙트르포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으며, 철은 주요 수출품이었다.
- 기원전 783년: 살마네세르 4세가 아시리아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82년: 우라르투의 왕 아르기쉬티 1세의 명령으로 에레부니가 건립되었다. 같은 해 주나라의 왕 주 선왕이 사망하고, 주 유왕이 왕위에 올랐다.
- 기원전 780년: 중국에서 최초의 역사적인 일식이 기록되었다.
- 기원전 774년: 티레 왕 피그말리온의 통치가 끝났다.
- 기원전 773년: 이집트 왕 쇼셴크 3세가 사망하고, 아슈르단 3세가 아시리아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71년: 서방 야만 부족의 침입으로 중국의 서주가 멸망하고, 주 평왕이 청저우로 수도를 옮기면서 동주 시대가 시작되었다.
- 기원전 763년 6월 15일: 일식 발생. 이 기록은 고대 근동의 연대기를 확정하는 데 사용된다.
- 기원전 756년: 키지쿠스 건국.
- 기원전 755년: 아슈르-니라리 5세가 아시리아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47년: 리디아 왕 멜레스 즉위. 같은 해 비스쿠핀에 루사티아 문화 도시가 세워졌고, 나보나사르가 바빌론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45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가 아시리아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43년: 중국 정나라의 장공이 집권하였다.
- 기원전 740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가 아르파트를 정복하고, 유다 왕국의 아하스가 통치를 시작했다.
- 기원전 739년: 히람 2세가 티레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38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가 이스라엘을 침공하여 조공을 강요했다.
- 기원전 734년: 시라쿠사와 낙소스가 각각 코린토스와 칼키스에 의해 시칠리아에 건설되었다.
- 기원전 732년: 호세아가 마지막 이스라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30년: 오소르콘 4세가 이집트 제22왕조의 왕위를 계승하고, 피예가 누비아 왕국 나파타의 왕이 되었으며, 맛탄 2세가 티레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28년: 피예가 이집트를 침공하여 멤피스를 정복하고 이집트 제25왕조를 세웠다.
- 기원전 727년: 바빌로니아가 아시리아로부터 독립했다.
- 기원전 724년: 아시리아인들이 티레를 포위 공격했고(4년 동안), 올림픽에서 ''디아울로스'' 경주가 도입되었다.
- 기원전 722년: 주 평왕의 통치와 함께 중국 역사상 춘추 시대가 시작되었고, 이스라엘이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에게 정복당했다.
- 기원전 720년: 아시리아의 티레 포위 공격이 종료되었다.
- 기원전 719년: 주 환왕이 주나라의 통치자가 되었다.
- 기원전 718년: 기게스가 리디아의 통치자가 되었다.
- 기원전 717년: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가 히타이트의 요새인 카르케미쉬를 정복하고, 아시리아의 새로운 수도를 두르-샤루킨에 건설했다.
- 기원전 716년: 로마 제국 전설에 따르면 로물루스가 통치를 끝냈다.
- 기원전 715년: 로마 제국 왕 누마 폼필리우스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 기원전 713년: 누마 폼필리우스가 로마 달력을 개혁했다.
- 기원전 712년: 누마 폼필리우스가 최고 제사장 직을 창설했다.
- 기원전 706년: 스파르타 이주민들이 이탈리아 남부에 타라스 식민지를 건설했다.
- 기원전 705년: 산헤립이 사르곤 2세의 뒤를 이어 아시리아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04년: 산헤립이 아시리아의 수도를 니네베로 옮겼다.
- 기원전 701년: 유다 왕국의 왕 히스기야가 고대 이집트의 지원을 받아 아시리아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 기원전 700년: 스키타이인들이 킴메르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고, 이탈리아 북부에서 빌라노반 문화가 끝나고 에트루리아 문명이 부상했으며, 힌두교의 성전인 우파니샤드가 쓰여졌다.
- 그리스인들이 지중해와 흑해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 트라코-키메르 문화가 중앙 유럽에 영향을 미쳤다.
- 아시리아가 다마스쿠스와 사마리아를 정복했다.
- 중국의 중리국이 건국되었다.
2. 1. 고대 그리스와 로마
기원전 776년에 처음으로 고대 올림픽이 개최되었다.[1] 기원전 753년에는 로마가 세워졌다.기원전 8세기경, 그리스 각지에서 폴리스(도시 국가)가 탄생했다. 인구가 대폭 증가하고, 영웅 제사와 성역이 성립되었으며, 도시로의 집주(시노이키스모스) 등이 수반되어 나타났다. 그리스 도기는 기하학 양식에서 동방화 양식으로 이행했다. 그리스인들은 지중해 및 흑해 연안에서 식민 도시(아포이키아) 건설을 시작했다. 에우보이아인들이 시리아 연안에 건설한 식민 도시 알미나와 나폴리만 이스키아섬의 식민 도시 피테쿠사이가 이 시기의 것이다.
기원전 753년 4월 21일, 전승에 따르면 로물루스가 라틴인에 의해 로마를 건국했다(로마 왕정). 이 해는 로마 건국 기원 원년이 되었으며, 테베레 강에 면한 로마의 일곱 언덕이 정비되었다.
기원전 8세기 중반,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가 성립되었다. 그리스 도기가 기하학 양식 후기로 접어들면서 인물 표현이 부활했다. 익명의 화가 "디필론 마스터"의 "디필론 앙포라"(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가 유명하다.
기원전 706년에는 스파르타 이주민들이 타라스(현재의 타란토) 식민지를 이탈리아 남부에 건설했다.
'''왕 목록'''
국가 | 왕 | 재위 기간 | 비고 |
---|---|---|---|
아테네 | 테스피에우스 | 기원전 824년 - 기원전 797년 | |
아가메스토르 | 기원전 795년 - 기원전 778년 | ||
아이스킬로스 | 기원전 778년 - 기원전 755년 | ||
알크마이온 | 기원전 755년 - 기원전 753년 | ||
로마 | 로물루스 | 기원전 753년 - 기원전 716년 | |
누마 폼필리우스 | 기원전 715년 - 기원전 672년 |
2. 2. 서아시아와 이집트
기원전 8세기 서아시아와 이집트 지역은 여러 중요한 변화와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였다.- 아시리아 제국의 확장:
- 기원전 745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가 아시리아 왕위에 올라 강력한 군사력으로 주변 지역을 정복하기 시작했다.
- 기원전 740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2년간 포위 끝에 시리아 아르파트를 정복했다.
- 기원전 738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이스라엘을 침공하여 조공을 받았다.
- 기원전 732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다마스쿠스와 사마리아를 정복했다.
- 기원전 729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바빌로니아를 점령하고 스스로 바빌론 왕을 겸했다.
- 기원전 722년, 사르곤 2세는 이스라엘 왕국을 완전히 정복하고, 주민들을 아시리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10지파)
- 기원전 717년, 사르곤 2세는 카르케미쉬 왕국을 정복했다.
- 기원전 714년, 사르곤 2세는 우라르투를 격파하고 영토를 빼앗았다.
- 기원전 709년, 사르곤 2세는 바빌론을 함락시키고 "바빌로니아 왕"을 칭했다.
- 기원전 705년, 사르곤 2세 사망 후, 산헤립이 왕위를 계승하여 니네베로 수도를 옮겼다.
- 기원전 701년, 유다 왕국 왕 히스기야가 이집트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으나, 산헤립에게 진압당했다.
- 이집트의 분열과 누비아의 지배:
- 기원전 730년, 오소르콘 4세가 이집트 제22왕조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28년, 누비아 왕 피예가 이집트를 침공하여 멤피스를 점령하고 이집트 제25왕조를 세웠다.
- 기타:
- 기원전 747년, 나보나사르가 바빌론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27년, 바빌로니아는 아시리아로부터 독립했다.
- 기원전 8세기 후반, 유다 왕국에서 예루살렘은 작은 마을에서 주요 도시로 발전하며 인구와 규모가 확장되기 시작한다.
- 기원전 788년, 고대 케다 왕국(케다의 역사) 수아이 바투의 말레이 사회는 역동적인 도시 항구와 산업을 구축했으며, 철 제련이 대규모로 운영되었고, 그들의 앙트르포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철은 과거 카타하, 찰라, 치-차 등으로 알려진 말레이 반도 수아이 바투에서 수출된 주요 상품이었다. 고대 도시 발굴 작업은 아직 진행 중이다.
2. 3. 동아시아
- 기원전 782년: 주나라의 왕 주 선왕이 사망하였다.
- 기원전 781년: 주 유왕이 주나라의 왕이 되었다.
- 기원전 780년: 중국에서 최초로 역사적인 일식이 기록되었다.
- 기원전 771년: 서방 야만 부족이 수도 하오를 약탈하면서 중국의 서주가 멸망하였다. 주 유왕이 죽고, 태자 희의구는 탈출하여 주 평왕으로 즉위하였다.
- 기원전 770년: 주 평왕이 새로운 수도 청저우(오늘날의 뤄양)에서 통치하는 최초의 주 왕이 되면서 중국의 동주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부터 춘추 시대가 시작되었다.
- 기원전 722년: 노나라의 은공 원년. 이 해부터 『춘추』의 기록이 시작되었다.
- 기원전 719년: 주 환왕이 주나라의 통치자가 되었다.
- 기원전 704년: 초나라의 웅철이 심록 회맹을 거행하고, 왕호를 칭했다(초 무왕).
- 이 무렵 일본에서 야요이 시대가 시작되었다(확정되지 않음).
2. 4. 남아시아
기원전 800년부터 500년경까지 고산문 우파니샤드 문헌이 성립되었다. 이 시기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는 『브리하드 아라니야카 우파니샤드』와 『찬도기야 우파니샤드』가 대표적이다.[1] 웃달라카 아루니(생몰년 미상)는 고대 인도의 우파니샤드 철학자로, 야지냐발키야의 스승이었다.[1]2. 5. 중앙아메리카
올메카 문명은 라벤타기( - 기원전 400년경)였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연옥제 군상 조각 "멕시코 국립 인류학 박물관 소장의 Ofrenda 4 de La Venta|회의를 하는 사람들es"이 만들어진다.2. 6. 유럽
- 기원전 776년 - 처음으로 고대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 기원전 753년 - 로마가 세워졌다.
- 기원전 800년경
- * 그리스 각지에서 폴리스(도시 국가)가 탄생했다.
- ** 인구가 크게 늘고, 영웅 제사와 성역이 성립되었으며, 도시로 사람들이 모여 살기 시작했다(시노이키스모스).
- ** 그리스의 도기는 「기하학 양식」에서 「Orientalizing period|동방화 양식영어」으로 바뀌었다.
- * 그리스인들이 지중해 및 흑해 연안에서 식민 도시(아포이키아) 건설을 시작했다.
- ** 에우보이아인들이 시리아 연안에 세운 식민 도시 Al-Mina|알미나영어와 나폴리만 이스키아섬의 식민 도시 피테쿠사이가 이 시기의 것이다.
- * 중앙 유럽은 철기 시대 초기로 할슈타트 문화 (할슈타트 C기)가 퍼졌다.
- ** 할슈타트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금광이 있으며, 알프스 이북과 지중해를 잇는 '소금의 길'의 요충지가 되었다.
- ** 할슈타트 동쪽에는 루사치아 문화(라우지츠 문화)가 있으며, 그 대표는 현재 폴란드의 Biskupin|비스쿠핀영어 유적이다.
- * 이베리아 반도의 과달키비르강 하류 유역의 타르테소스 왕국이 번영했다.
- ** '주석의 나라'라고 불린 현재 영국의 콘월 지방에서 주석을 독점하고, 페니키아인과의 교역도 이루어졌다.
- ** 세비야 근교에서 발굴된 「Treasure of El Carambolo|카람볼로의 보물영어」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 기원전 753년 - Charops (Archon)|칼롭스(집정관)de가 아테나이의 집정관으로 취임하며, 이 이후 집정관의 임기는 10년이 되었다.
- 기원전 753년 4월 21일
- *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로물루스가 라틴인에 의해 로마를 건국 (로마 왕정).
- ** 이 해가 로마 건국 기원 원년이 되며, 테베레 강에 면한 로마의 일곱 언덕이 정비되었다.
- 기원전 8세기 중반
- *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오디세이아』가 성립.
- * 그리스 도기가 기하학 양식 후기로 접어들면서 인물 표현이 부활했다.
- ** 익명의 화가 "Dipylon Master|디필론 마스터영어"의 "디필론 앙포라"(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가 유명하다.
- * 크레타 섬 Dreros|드레로스es의 아폴론 신전에서 출토된 아폴론·아르테미스·레토의 청동 삼신상(Apollonian Triad AMH)이 제작된다(이라클리온 고고학 박물관 소장).
- 기원전 743년 - 제1차 메세니아 전쟁 시작(- 기원전 724년).
- 기원전 743년경
- 그리스계 칼키스인이 메시나 해협을 바라보는 이탈리아 반도 최첨단에 식민 도시 레기온(현재 레조 디 칼라브리아)을 건설.
- 기원전 740년경
- 그리스 문자의 가장 오래된 명문인 "Dipylon inscription|디피론의 명문영어"이 새겨진 술 주전자(오이노코에)가 만들어진다(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
- 기원전 734년경 - 그리스의 코린토스인에 의해 시칠리아 섬에 식민 도시 시라쿠사가 건설되었다.
- 기원전 724년 - 이토메 산 전투에서 메세니아 왕 아리스토데모스가 자살. 스파르타가 승리하여 메세니아를 점령.
- 기원전 716년 - 초대 로마 왕 로물루스가 사망한다.
- 기원전 715년 - 사비니족 누마 폼필리우스가 제2대 로마 왕으로 선출된다.
- * 누마의 42년간의 치세에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로마 포룸의 야누스 신전이 건립되었다고 전해진다.
- 기원전 712년경 - 그리스계 메가라인의 식민 도시로서 니코메디아( Astacus (Bithynia)|아스타코스영어)가 건설된다.
- 기원전 710년경 - 렐란토스 전쟁으로 칼키스와 에레트리아가 에우보이아의 패권을 두고 격돌(- 기원전 650년경)
- 기원전 706년 - 스파르타의 파르테니아인 등에 의한 타라스(이탈리아 반도 남단의 현 타란토) 식민 도시 건설.
- 기원전 700년경 -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일과 날』이 성립.
3. 주요 인물
- 로물루스 (재위 기원전 771년 - 기원전 716년) - 왕정 로마의 건국자
- 레무스
- 테스피에우스 - 아테네 왕, 기원전 824–797년 재위
- 아가메스토르 - 아테네 왕, 기원전 795–778년 재위
- 아이스킬로스 - 아테네 왕, 기원전 778–755년 재위
- 알크마이온 - 아테네 왕, 기원전 755–753년 재위
- 누마 폼필리우스 (재위 기원전 716년 - 기원전 673년) - 왕정 로마의 제2대 왕
- 쇼셴크 3세(Shoshenq III) - 이집트 제22왕조의 왕, 기원전 837~798년 재위
- 피그말리온(Pygmalion of Tyre) - 티레 왕, 기원전 842년 출생, 기원전 831~785/774년 재위
- 아다드-니라리 3세(Adad-nirari III) - 아시리아 왕, 기원전 811~783년 재위
- 메누아(Menua) - 우라르투 왕, 기원전 850년경 출생, 기원전 810~786년 재위
- 쇼셴크 4세(Shoshenq IV) - 이집트 제22왕조의 왕, 기원전 798~785년 재위
- 아르기쉬티스 1세(Argishtis I) - 우라르투 왕, 기원전 827년 출생, 기원전 786~764년 재위
- 파미(Pami) - 이집트 제22왕조의 왕, 기원전 785~778년 재위
- 살마네세르 4세(Shalmaneser IV) - 아시리아 왕, 기원전 783~773년 재위
- 아슈르-단 3세(Ashur-dan III) - 아시리아 왕, 기원전 773~755년 재위
- 쇼셴크 5세(Shoshenq V) - 이집트 제22왕조의 왕, 기원전 767~730년 재위
- 이토바알 2세(Ithobaal II) - 티레 왕, 기원전 760~739년 재위
- 아슈르-니라리 5세(Ashur-nirari V) - 아시리아 왕, 기원전 755~745년 재위
- 나보나사르(Nabonassar) - 바빌론 왕, 기원전 747~734년 재위
-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Tiglath-Pileser III) (? - 기원전 727년) - 아시리아의 왕 (재위 기원전 744년 - 기원전 727년)
- 피예(Piye) - 나파타 및 이집트 왕(제25왕조), 기원전 744~714년 재위
- 아하스(Jehoahaz II) - 유다 왕, 기원전 760년 출생, 기원전 740~724년 재위
- 히람 2세(Hiram II) - 티레 왕, 기원전 739~729년 재위
- 호세아(Hoshea) - 이스라엘 왕, 기원전 732~722년 재위
- 오소르콘 4세(Osorkon IV) - 이집트 제22왕조의 왕, 기원전 730~716년 재위
- 마탄 2세(Mattan II) - 티레 왕, 기원전 729년~미상
- 살마네세르 5세(Shalmaneser V) - 아시리아 왕, 기원전 727~722년 재위
- 히스기야(Hezekiah) (? - 기원전 687년) - 유다 왕국의 왕 (재위 기원전 715년 - 기원전 687년)
- 사르곤 2세(Sargon II) (? - 기원전 705년) - 아시리아의 왕 (재위 기원전 722년 - 기원전 705년)
- 세비트쿠(Shebitku) - 이집트 제25왕조의 왕, 기원전 714~705년 재위
- 센나케립(Sennacherib) - 아시리아 왕, 기원전 745년 출생, 기원전 705~681년 재위
- 샤바카(Shabaka) - 이집트 제25왕조의 왕, 기원전 705~690년 재위
- 선왕(周宣王) - 주나라 왕, 기원전 827–782년 재위
- 유왕(? - 기원전 771년) - 서주의 제12대 왕(재위 기원전 781년 - 기원전 771년)
- 평왕(? - 기원전 720년) - 동주의 초대 왕(주의 제13대) (재위 기원전 771년 - 기원전 720년)
- 환왕(周桓王) - 동주의 왕, 기원전 719–697년 재위
- 포사(기원전 8세기 전반) - 주나라 유왕의 후궁
- 괵석보(? - 기원전 771년) - 주나라 왕족
- 신후(기원전 8세기 전반) - 주나라 제후
- 양공(? - 기원전 766년) - 서주에서 동주로 이어진 진나라의 초대 군주 (재위 기원전 777년 - 기원전 766년)
- 문후 (기원전 807년 - 기원전 746년) - 서주에서 동주로 이어진 진의 군주(재위 기원전 780년 - 기원전 746년)
- 무공(? - 기원전 744년) - 춘추 시대 초기 정의 군주(재위 기원전 770년 - 기원전 744년)
- 장공(? - 기원전 701년) - 춘추 시대 초기의 정의 군주(재위 기원전 743년 - 기원전 701년)
- 리쿠르고스(기원전 820년경 - 기원전 730년경?) - 스파르타의 전설적인 입법자
- 아리스토데모스(재위 기원전 744년? - 기원전 724년?) - 메세니아의 마지막 왕
- 테오폼포스(재위 기원전 720년 - 기원전 675년) - 스파르타 왕
- 호메로스(기원전 8세기) - 이오니아 출신의 시인
- 엘리스의 이피토스(기원전 8세기) - 엘리스의 왕
- 엘리스의 코로이보스(기원전 8세기) - 그리스 육상 선수
- 헤시오도스(기원전 8세기경 - 기원전 7세기경) - 시인
- 미다스 (기원전 8세기 후기) - 아나톨리아의 프리게아 왕
- 이사야 (기원전 8세기) - 구약성서 『이사야서』에 등장하는 유다 왕국의 예언자
- 요나 (기원전 8세기) - 구약성서 『요나서』에 등장하는 이스라엘 왕국의 예언자
- 루사 1세 (? - 기원전 714년) - 우라르투의 왕 (재위 기원전 735년경 - 기원전 714년)
- 피안키 (? - 기원전 716년) - 누비아의 왕, 이집트 제25왕조의 파라오 (재위 기원전 747년 - 기원전 716년)
- 웃달라카 아루니 (생몰년 미상) - 고대 인도의 우파니샤드 철학자
4. 발명, 발견, 도입
- 데모틱 문자가 고대 이집트에서 등장했다.
- 그리스인들이 알파벳을 채택했다.
- 기원전 800년경
- * 그리스 각지에서 폴리스(도시 국가)가 탄생했다.
- * 그리스인들이 지중해 및 흑해 연안에서 식민 도시 건설을 시작했다.
- * 중앙 유럽은 철기 시대 초기로 할슈타트 문화가 퍼졌다.
- * 이베리아 반도의 과달키비르강 하류 유역의 타르테소스 왕국이 번영했다.
- * 중앙 아메리카의 올메카 문명은 라벤타기( - 기원전 400년경)였다.
- * 남 아라비아에 사바 왕국이 성립했다.
- 기원전 800-500년경 - 고산문 우파니샤드 문헌이 성립했다.
- 기원전 8세기 중반
- *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오디세이아』가 성립되었다.
- * 그리스 도기가 기하학 양식 후기로 접어들면서 인물 표현이 부활했다.
- 기원전 740년경 - 그리스 문자의 가장 오래된 명문이 새겨진 술 주전자(오이노코에)가 만들어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