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보물 (2020년대 전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대한민국의 보물 (2020년대 전반)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지정된 다양한 문화재를 포괄한다. 불교 문화재, 유교 문화재, 왕실 관련 유물, 고분 출토 유물, 서적, 그림, 조각, 공예품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0년에는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2, 지리전서동림조담, 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 등이 지정되었고, 2021년에는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 ‘미륵원’명 청동북,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등이 지정되었다. 2022년에는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 달마대사관심론,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등이, 2023년에는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4년에는 협주석가여래성도기, 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 천수원명 청동북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1년부터 문화재 일련번호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는 대한민국 정부가 지정한 보물 중 1호부터 100호까지의 문화재 목록으로, 석탑, 불상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정보를 담고 있으며, 문화유산 보존 및 관리에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국보 (2020년대)
    2020년대 대한민국의 국보는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이순신 장검,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등 과학, 불교, 회화,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재를 포함하며, 2021년 문화재 일련번호 폐지로 국보 제336호가 마지막 일련번호 국보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보물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보물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대한민국의 보물 (2020년대 전반)

2. 불교 문화재

대한민국의 불교 문화재는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유산이다.

2020년에는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2(

150px
), 육조대사법보단경,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150px
),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227x227픽셀
),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
225x225픽셀
), 영양 현리 오층모전석탑,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150x150픽셀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150x150픽셀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
150x150픽셀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150x150픽셀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제다라니(
150x150픽셀
),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150x150픽셀
),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복장전적(
150x150픽셀
) 등 다수의 불교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1년에는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 ‘미륵원’명 청동북,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선원제전집도서 목판, 원돈성불론ㆍ간화결의론 합각 목판,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 구미 대둔사 경장,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
150px
), 공주 갑사 대웅전(
150px
), 의성 대곡사 범종루,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울진 불영사 불연,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150px
), 칠곡 송림사 대웅전(
150px
), 대구 동화사 극락전(
150px
), 대구 동화사 수마제전(
150px
),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
150px
), 김해 은하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구례 화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150px
) 강진 무위사 감역교지,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울산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2년에는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 달마대사관심론,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건칠보살좌상,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법화현론 권3~4,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 속초 신흥사 영산회상도, 영주 부석사 안양루, 영주 부석사 범종각,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66, 순천 선암사 일주문, 문경 봉암사 봉황문, 구례 천은사 일주문, 대구 동화사 봉황문, 고성 옥천사 자방루, 성남 봉국사 대광명전,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3년에는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수능엄경의해 권9~15, 아미타여래구존도,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파주 보광사 동종, 구례 화엄사 소조사천왕상, 여수 흥국사 소조사천왕상, 보은 법주사 소조사천왕상, 김천 직지사 소조사천왕상, 고흥 능가사 목조사천왕상, 영광 불갑사 목조사천왕상 및 복장전적, 홍천 수타사 소조사천왕상,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 합천 해인사 홍하문, 함양 용추사 일주문, 곡성 태안사 일주문, 하동 쌍계사 일주문, 달성 용연사 자운문, 순천 송광사 조계문,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4년에는 협주석가여래성도기, 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 천수원명 청동북,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2024),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2024),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완주 송광사 금강문, 보은 법주사 천왕문, 양산 통도사 천왕문, 순천 송광사 사천왕문, 구례 화엄사 천왕문, 영광 불갑사 천왕문, 포항 보경사 천왕문, 김천 직지사 천왕문, 서산 문수사 극락보전, 남원 대복사 동종, 영덕 장륙사 영산회상도, 영덕 장륙사 지장시왕도,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고창 문수사 대웅전, 의성 고운사 가운루,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 1. 불상

2. 1. 1. 삼국시대

삼국시대의 불상은 한국의 초기 불교 수용과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2. 1. 2. 통일신라

통일신라 시대의 불상은 삼국시대의 불상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더욱 세련되고 발전된 형태를 보여준다.

2. 1. 3. 고려

고려시대 불상은 신라 불교 조각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독자적인 양식을 발전시켰다. 철불, 석불, 동불, 목불 등 다양한 재료와 주조, 조각 등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2. 1. 4. 조선

조선시대 불상은 고려시대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민중적인 요소가 더해져 소박하고 친근한 느낌을 준다.

2. 2. 불화

2. 2. 1. 고려 불화

고려 불화는 섬세하고 화려한 색채와 정교한 표현이 특징이다.

2. 2. 2. 조선 불화

조선 불화는 고려 불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민화적인 요소가 더해져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표현을 보여준다.

2. 3. 탑

2. 3. 1. 석탑

석탑은 돌을 쌓아 만든 탑으로, 한국 불교 건축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2. 3. 2. 모전석탑

모전석탑은 벽돌 모양으로 돌을 다듬어 쌓아 만든 탑으로, 독특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2. 4. 승탑

2. 5. 석등

2. 6. 불교 공예품

2. 6. 1. 금고(반자)

금고는 절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금속 타악기이다. 금고는 소리를 내어 대중을 모으거나, 불교 의식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데 사용되었다.

2. 6. 2. 불단(경장)

불단은 불상을 모시는 단으로, '''수미단'''이라고도 한다. 불단은 대개 불화를 배경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종교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2. 6. 3. 의식구(공양구)

의식구는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도구로, 정교한 기술과 섬세한 장식이 특징이다.

2. 7. 사찰 건물

2. 7. 1. 대웅전

대웅전은 사찰의 중심 법당으로, 석가모니불을 주존불로 모시는 곳이다.

2. 7. 2. 극락전(극락보전)

극락전은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으로, 서방 극락정토를 상징한다.

2. 7. 3. 명부전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모시는 법당으로, 죽은 이의 명복을 빌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곳이다.

2. 7. 4. 응진전(나한전)

응진전은 부처의 제자인 나한을 모시는 법당이다. 나한은 아라한의 줄임말로, 깨달음을 얻은 수행자를 뜻한다.

2. 7. 5. 조사전

조사전은 사찰을 창건하거나 중창한 고승, 역대 주지 스님들의 영정을 모시는 곳이다.

2. 7. 6. 기타 전각

팔상전, 원통전, 약사전, 비로전 등 다양한 전각들이 사찰에 존재하며, 각각 다른 불보살을 모시고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2. 7. 7. 누각

누각은 사찰 경내에 높이 지어진 건물로, 법회나 강설, 휴식 등의 공간으로 사용된다.

2. 7. 8. 문

사찰의 문은 속세와 불교 세계를 구분하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다.

2. 8. 불교 전적

불교 전적은 불교 경전, 고승의 저술, 불교 관련 서적 등 불교 사상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목판 ===

목판은 불교 경전이나 서적을 인쇄하기 위해 나무에 글자를 새긴 것이다. 목판 인쇄술은 대량 인쇄를 가능하게 하여 불교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 사경 ===

사경은 불교 경전을 베껴 쓴 것으로, 수행의 한 방법이자 공덕을 쌓는 행위로 여겨졌다.

=== 기타 불교 전적 ===

불교 경전, 주석서, 고승의 저술, 의례 관련 서적 등 다양한 종류의 불교 전적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육조대사법보단경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1의2는 2020년 12월 22일에 보물 제1219-4호로 지정되었다.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2는 2020년 1월 6일에 보물 제2056호로 지정되었다.

육조대사법보단경은 2020년 4월 23일에 보물 제2063호로 지정되었다.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은 2020년 8월 27일에 보물 제2073호로 지정되었다.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은 2020년 8월 27일에 보물 제2074호로 지정되었다.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제다라니는 2020년 8월 27일에 보물 제2075호로 지정되었다.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복장전적은 2020년 8월 27일에 보물 제2077호로 지정되었다.

간이벽온방(언해)는 2020년 10월 21일에 보물 제2079호로 지정되었다.

선원제전집도서 목판은 2021년 2월 17일에 보물 제2111호로 지정되었다.

원돈성불론ㆍ간화결의론 합각 목판은 2021년 2월 17일에 보물 제2112호로 지정되었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은 2021년 2월 17일에 보물 제2113호로 지정되었다.

예념미타도량참법 권1∼5는 2021년 8월 24일에 보물 제1165-2호로 지정되었다.

달마대사관심론은 2022년 2월 22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법화현론 권3~4는 2022년 10월 26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방광불화엄경소 권88은 2022년 12월 27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불조역대통재는 2022년 12월 27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66은 2022년 12월 27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수능엄경의해 권9~15는 2023년 4월 28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2024)은 2024년 2월 21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은 2024년 2월 21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2024)은 2024년 2월 21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협주석가여래성도기는 2024년 2월 21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1년부터 문화재 일련번호가 폐지됨에 따라[2], 보물 제2142호가 마지막 일련번호가 되었다.

2. 8. 1. 목판

목판은 불교 경전이나 서적을 인쇄하기 위해 나무에 글자를 새긴 것이다. 목판 인쇄술은 대량 인쇄를 가능하게 하여 불교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2. 8. 2. 사경

사경은 불교 경전을 베껴 쓴 것으로, 수행의 한 방법이자 공덕을 쌓는 행위로 여겨졌다.

2. 8. 3. 기타 불교 전적

불교 경전, 주석서, 고승의 저술, 의례 관련 서적 등 다양한 종류의 불교 전적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3. 유교 문화재

조선시대의 유교 문화는 한국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였다. 이러한 유교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이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2020년 1월 6일에는 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보물 제2058호)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항아리는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매화, 조류, 대나무 문양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같은 날 지리전서동림조담(보물 제2057호)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0년 4월 23일에는 최광지 홍패(보물 제2062호)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홍패는 전주최씨 송애공파 종중에서 소장하고 있다.

2020년 12월 22일에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1의2(보물 제1219-4호)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경전은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2020년 12월 28일에는 여러 향교와 서원의 건물들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강릉향교 명륜당(보물 제2088호),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보물 제2089호), 수원향교 대성전(보물 제2090호), 안성향교 대성전(보물 제2091호), 안성향교 풍화루(보물 제2092호), 산청 단성향교 명륜당(보물 제2093호), 밀양향교 대성전(보물 제2094호), 밀양향교 명륜당(보물 제2095호), 상주향교 대성전‧동무‧서무(보물 제2096호), 경주향교 명륜당(보물 제2097호), 경주향교 동무‧서무‧신삼문(보물 제2098호),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보물 제2099호), 담양 창평향교 명륜당(보물 제2100호), 순천향교 대성전(보물 제2101호), 구미 금오서원 정학당(보물 제2102호), 구미 금오서원 상현묘(보물 제2103호),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보물 제2104호), 안동 도산서원 도산서당(보물 제2105호), 안동 도산서원 농운정사(보물 제2106호) 등이 보물로 지정되어 그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2021년 2월 17일 고려사(보물 제2114호, 제2115호) 가 지정되었다.

2021년 10월 25일 김구 서명문 태극기(보물 제2141호)가 지정되었다.

2022년 4월 26일 경국대전 권1~3, 권4~6 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같은 날 춘추경좌씨전구해 권1∼9, 20∼29, 40∼70 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3년 6월 20일 근묵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4년 2월 21일 여지도서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4년 8월 22일 유설경학대장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3. 1. 서원

3. 1. 1. 강당

강당은 서원에서 학문을 강론하고 토론하던 공간으로, 서원의 중심 건물이다.

3. 1. 2. 사당

사당은 서원에서 모시는 선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3. 1. 3. 누각

요약과 원본 소스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내용이 추가되면 다시 시도해주세요.

3. 2. 향교

3. 2. 1. 대성전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3. 2. 2. 명륜당

명륜당은 향교에서 유학을 가르치고 배우던 강학 공간이다.

3. 2. 3. 동무, 서무, 전랑

동무와 서무는 대성전에 딸린 건물로, 주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거나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전랑은 향교의 정문과 명륜당 사이에 있는 건물로, 주로 학생들의 기숙사나 학습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3. 3. 관아 건물

3. 3. 1. 객사

객사는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나 외국의 사신이 머물던 숙소이자,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의례를 행하던 공간이다.

3. 3. 2. 동헌

동헌은 지방관이 정무를 보던 곳으로, 행정 업무와 재판 등이 이루어졌다.

3. 3. 3. 누각

관아의 누각은 경치를 감상하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3. 4. 기타 유교 건축

3. 5. 유교 전적

2020년 12월 22일에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1의2(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諺解) 卷上一之二)가 보물 제1219-4호로 지정되었다. 이 책은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2020년 1월 6일에는 지리전서동림조담(地理全書洞林照膽)이 보물 제2057호로 지정되었다.

2020년 4월 23일에는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이 보물 제2063호로 지정되었으며, 경남 사천시 백천길 331 백천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2021년 2월 17일에는 선원제전집도서 목판(禪源諸詮集都序 木板), 원돈성불론ㆍ간화결의론 합각 목판(圓頓成佛論ㆍ看話決疑論 合刻 木板),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木板)이 각각 보물 제2111호, 제2112호, 제2113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8월 24일에는 수운잡방(需雲雜方)이 보물 제2134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12월 22일에는 대승기신론소 권하(大乘起信論疏 卷下)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2년 2월 22일에는 달마대사관심론(達摩大師觀心論)이, 4월 26일에는 청구영언(靑丘永言)과 경국대전 권1~3, 경국대전 권4~6, 춘추경좌씨전구해(春秋經左氏傳句解) 권1∼9, 20∼29, 40∼70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4년 2월 21일에는 협주석가여래성도기(夾注釋迦如來成道記),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2024),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2024), 여지도서(輿地圖書)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4년 8월 22일에는 유설경학대장(類說經學隊仗)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3. 5. 1. 경전

3. 5. 2. 성리학 서적

3. 5. 3. 의례 서적

4. 왕실 관련 유물

조선 왕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왕실 관련 유물로는 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보물 제2058호)가 있다. 이 항아리는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20년 1월 6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또한, 최광지 홍패(보물 제2062호)는 전주 최씨송애공파 종중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2020년 4월 23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ㆍ곽자의전(보물 제2087호)은 2020년 12월 22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0년 8월 27일에는 장용영 본영도형 일괄(보물 제2070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0년 10월 21일에는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보물 제2080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0년 12월 22일에는 경진년 연행도첩(보물 제2084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1년 10월 25일에는 데니 태극기(보물 제2140호), 김구 서명문 태극기(보물 제2141호), 서울 진관사 태극기(보물 제2142호)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4. 1. 어보, 어책, 교명

4. 2. 태실, 태봉도

4. 3. 어필

4. 4. 궁궐 건물

4. 4. 1. 정전

정전은 궁궐의 중심 건물로, 왕의 즉위식, 조회, 외국 사신 접견 등 중요한 의례가 행해지던 곳이다.

4. 4. 2. 편전

편전은 왕이 평상시에 정무를 보던 곳으로, 왕의 집무실 역할을 했다.

4. 4. 3. 침전

침전은 왕과 왕비의 생활 공간으로, 내밀하고 사적인 공간이다.

4. 4. 4. 기타 전각

왕실 가족의 생활 공간, 왕실 도서관, 연회 장소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각들이 궁궐 내에 존재했다.

4. 4. 5. 문

궁궐의 문은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고 궁궐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5. 고분 출토 유물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부산 복천동 11호분에서 출토된 가야시대 토기이다. 이 유물은 받침 부분인 원통형 기대와 목 짧은 항아리인 단경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북 모양 장식이 특징적이다. 2020년 2월 2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059호로 지정되었다.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는 가야의 장신구로, 2020년 10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081호로 지정되었다.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와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는 각각 2020년 10월 21일 보물 제2082호와 제2083호로 지정되었다. 이 목걸이들은 가야의 화려한 장신구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백제의 금속공예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로, 2021년 4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124호로 지정되었다.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백제의 금동신발로, 2021년 4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125호로 지정되었다.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은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서 발견된 아라가야의 독특한 상형토기들로, 2022년 10월 26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와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신라의 금속공예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로 2023년 12월 26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

5. 1. 장신구

5. 2. 무기류

5. 3. 마구류

5. 4. 토기류

5. 5. 기타 고분 출토 유물

6. 서적

2020년 12월 22일에 지정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1의2(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諺解) 卷上一之二)는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소장하고 있다. 2020년 1월 6일에는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2(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卷一~二)가, 2020년 1월 6일에는 지리전서동림조담(地理全書洞林照膽)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0년 4월 23일에는 최광지 홍패(崔匡之 紅牌)와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이, 2020년 10월 21일에는 간이벽온방(언해)(簡易辟瘟方(諺解))가 지정되었다.

2020년 12월 22일 경진년 연행도첩(庚辰年 燕行圖帖)이 지정되었고, 2020년 12월 22일 말모이 원고(말모이 原稿)와 조선말 큰사전(朝鮮말 큰사전 原稿)이 지정되었다. 2020년 12월 22일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ㆍ곽자의전(孝懿王后 御筆 및 函-萬石君傳ㆍ郭子儀傳)이 지정되었다.

2021년 2월 17일 지정된 선원제전집도서 목판(禪源諸詮集都序 木板), 원돈성불론ㆍ간화결의론 합각 목판(圓頓成佛論ㆍ看話決疑論 合刻 木板),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木板)은 모두 경상남도 하동군에 소재하고 있다.

2021년 2월 17일에는 고려사(高麗史) 2건, 지정조격(至正條格)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1년 8월 24일 예념미타도량참법 권1∼5(禮念彌陀道場懺法 卷一∼五)가 보물 제1165-2호로 추가 지정되었다. 2021년 8월 24일 수운잡방(需雲雜方)이 지정되었다.

2021년 12월 22일에는 무예제보(武藝諸譜), 대승기신론소 권하(大乘起信論疏 卷下), 초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175(初雕本 阿毗達磨大毗婆沙論 卷一百七十五), 강진 무위사 감역교지(康津 無爲寺 減役敎旨)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달마대사관심론청구영언, 경국대전 권1~3 및 권4~6, 춘추경좌씨전구해 권1∼9, 20∼29, 40∼70은 2022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3년에는 수능엄경의해 권9~15, 이항복 해서 천자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1년부터 문화재 일련번호가 폐지됨에 따라[2], 보물 제2142호가 마지막 일련번호가 되었다.

6. 1. 전적

6. 1. 1. 금속활자본

금속활자본은 금속으로 만든 활자로 인쇄한 책을 말한다. 이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며, 한국의 뛰어난 인쇄 기술력을 증명한다.

6. 1. 2. 목판본

목판본은 나무판에 글자를 새겨 인쇄한 책이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널리 사용된 인쇄 방법이다.

6. 1. 3. 필사본

필사본은 손으로 직접 쓴 책을 말한다. 희귀하거나 내용이 중요한 자료들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6. 2. 고문서

6. 2. 1. 교지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품계, 토지 등을 내릴 때 발급하는 문서이다.

6. 2. 2. 홍패, 백패

홍패와 백패는 조선시대 과거 시험 합격자에게 발급하는 합격 증서이다. 조선시대에는 문과, 무과의 과거 최종 합격자에게는 홍패를, 생원시와 진사시 합격자에게는 백패를 발급하였다.

6. 2. 3. 호적

호적은 조선시대 호구 조사를 위해 작성된 문서로, 당시의 인구 구조, 가족 제도, 신분 제도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6. 2. 4. 기타 고문서

왕실 문서, 개인 문서, 서원 관련 문서 등 다양한 종류의 고문서가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7. 그림

그림은 예술적 가치를 지닐 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실, 풍속, 인물 등을 담고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2020년대에 보물로 지정된 그림으로는 2020년 1월 6일에 지정된 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 2020년 2월 27일에 지정된 관북여지도, 2020년 8월 27일에 지정된 장용영 본영도형 일괄, 2020년 10월 21일에 지정된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2020년 12월 22일에 지정된 경진년 연행도첩 등이 있다.

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


관북여지도


장용영 본영도형 일괄


경진년 연행도첩

7. 1. 회화

7. 1. 1. 산수화

산수화는 자연 경관을 그린 그림으로, 한국 회화의 대표적인 장르 중 하나이다.

7. 1. 2. 인물화

인물화는 사람의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초상화, 풍속화, 도석인물화 등이 있다.

7. 1. 3. 영모화

영모화는 동물이나 새를 그린 그림이다. 한국인은 전통적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정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정서가 영모화에 잘 나타나 있다.

7. 1. 4. 화조화

화조화는 꽃과 새를 그린 그림으로,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표현한다.

7. 1. 5. 기타 회화

7. 2. 지도

7. 2. 1. 필사본 지도

필사본 지도는 손으로 직접 그린 지도로, 제작 당시의 지리 인식과 제작 기술을 보여준다.

7. 2. 2. 목판본 지도

목판본 지도는 나무판에 새겨 인쇄한 지도로, 대량 제작이 가능하여 지리 정보의 보급에 기여했다.

8. 조각

조각(彫刻)은 돌, 나무,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만든 예술 작품이다. 2020년대 전반에는 다음과 같은 조각 작품들이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


  •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2020년 2월 27일 지정): 복천동 11호분에서 출토된 가야 시대의 도기이다. 거북 모양 장식이 있는 원통형 그릇 받침(기대)과 목이 짧은 항아리(단경호)로 구성되어 있다.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2020년 2월 27일 지정):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안에서 발견된 고려 시대의 금동 불상들이다.
  •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20년 6월 23일 지정): 장성 백양사에 모셔져 있는 조선 시대의 목조 불상이다.
  •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2020년 6월 23일 지정):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에 있는 조선 시대의 목조 불상이다.
  •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2020년 8월 27일 지정): 경주 남산 장창골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석조 불상이다.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2020년 8월 27일 지정): 합천 해인사 원당암에 있는 조선 시대의 목조 불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유물들이다.
  •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2020년 8월 27일 지정): 공주 갑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소조 불상과 보살상, 그리고 그 안에서 발견된 유물들이다.
  •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2020년 10월 21일 지정): 대성동 76호분에서 출토된 가야 시대의 목걸이이다.
  •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2020년 10월 21일 지정): 양동리 270호분에서 출토된 가야 시대의 수정 목걸이이다.
  •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2020년 10월 21일 지정): 양동리 322호분에서 출토된 가야 시대의 목걸이이다.
  •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2021년 1월 5일 지정): 문경 봉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불 좌상이다.
  • ‘미륵원’명 청동북(2021년 1월 5일 지정) : 고려시대에 제작된 청동북으로, '미륵원'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2021년 1월 5일 지정) : 고성 옥천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괘불도와 보관함이다.
  •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 (2021년 2월 17일 지정) : 상주 남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괘불도와 복장유물이다.
  • 구미 대둔사 경장(2021년 2월 17일 지정): 구미 대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경장(불경을 보관하는 장)이다.
  •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2021년 6월 23일 지정): 완주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과 나한상들이다.
  • 울진 불영사 불연(2021년 6월 23일 지정): 울진 불영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연(부처를 모시는 가마)이다.
  •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 (2021년 8월 24일 지정): 서울 영국사지에서 출토된 고려시대의 의식공양구들이다.
  •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2021년 10월 25일 지정): 광주 덕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과 시왕상들이다.
  •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 (2021년 10월 25일): 고흥 능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과 나한상들이다.
  • 김해 은하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2021년 10월 25일): 김해 은하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과 시왕상들이다.
  • 구례 화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2021년 10월 25일 지정): 구례 화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과 보살상들이다.
  •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2021년 11월 26일 지정) : 경주 분황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당간지주이다.
  •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2021년 12월 22일 지정) : 강릉 보현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조 불상이다.
  • 울산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2021년 12월 22일 지정) : 울산 신흥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 불상이다.
  •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 (2022년 2월 22일 지정) : 경주 분황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금동 불상이다.
  •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2022년 4월 26일 지정) : 고려시대 청자 향로이다.
  •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2022년 4월 26일 지정) : 서울 조계사에 있는 조선 초기의 목조 불상이다.
  • 건칠보살좌상 (2022년 8월 26일 지정) :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건칠 불상이다.
  •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2022년 8월 26일 지정) :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금동 불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유물이다.
  •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 (2022년 10월 26일 지정) : 함안 말이산 45호분에서 출토된 가야 시대의 상형토기들이다.
  • 속초 신흥사 영산회상도 (2022년 10월 26일 지정) : 속초 신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2023년 3월 9일 지정) : 창녕 관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과 시왕상들이다.
  •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2023년 3월 9일 지정) : 서울 청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괘불도이다.
  •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2023년 4월 28일 지정) : 안성 청룡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금동 불상이다.
  • 아미타여래구존도 (2023년 6월 20일 지정) : 아미타불과 여덟 보살을 그린 고려시대의 불화이다.
  •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2023년 6월 20일 지정) : 순천 동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이다.
  •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2023년 8월 24일 지정) : 기장 고불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 파주 보광사 동종 (2023년 8월 24일 지정) : 파주 보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범종이다.
  • 구례 화엄사 소조사천왕상 (2023년 10월 26일 지정) : 구례 화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소조 사천왕상이다.
  • 여수 흥국사 소조사천왕상 (2023년 10월 26일 지정) : 여수 흥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소조 사천왕상이다.
  • 보은 법주사 소조사천왕상 (2023년 10월 26일 지정) : 보은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소조 사천왕상이다.
  • 김천 직지사 소조사천왕상 (2023년 10월 26일 지정) : 김천 직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소조 사천왕상이다.
  • 고흥 능가사 목조사천왕상 (2023년 10월 26일 지정) : 고흥 능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사천왕상이다.
  • 영광 불갑사 목조사천왕상 및 복장전적 (2023년 10월 26일 지정) : 영광 불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사천왕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전적이다.
  • 홍천 수타사 소조사천왕상 (2023년 10월 26일 지정) : 홍천 수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소조 사천왕상이다.
  •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 (2023년 10월 26일 지정) : 공주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소조 사천왕상이다.
  •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2023년 12월 26일 지정) : 고려시대 청자 정병(물병)이다.
  •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2023년 12월 26일 지정) :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신라 시대의 금제 허리띠이다.
  •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2023년 12월 26일 지정) : 경주 서봉총에서 출토된 신라 시대의 금제 허리띠이다.
  •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2023년 12월 26일 지정) : 안동 선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유물이다.
  • 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 (2024년 2월 21일 지정) : 칠곡 송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조 불상과 목조 시왕상들이다.
  • 천수원명 청동북 (2024년 2월 21일 지정) : 고려시대에 제작된 청동북으로, '천수원'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2024년 8월 22일 지정) : 영광 불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 시왕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유물들이다.
  •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2024년 8월 22일 지정) : 해남 은적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철조 불상이다.
  •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 (2024년 10월 16일 지정) : 포항 보경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 석탑이다.

8. 1. 석조 조각

8. 2. 금동 조각

8. 3. 목조 조각

8. 4. 기타 조각

9. 공예품

공예품은 일상생활이나 의례에 사용하기 위해 만든 물건으로, 실용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갖춘 작품들이 많다. 2020년대에는 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2020년 1월 6일 지정),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2020년 2월 27일 지정),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2020년 10월 21일 지정),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2020년 10월 21일 지정),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2020년 10월 21일 지정), ‘미륵원’명 청동북(2021년 1월 5일 지정),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2021년 4월 21일 지정),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2021년 4월 21일 지정)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9. 1. 금속 공예품

9. 1. 1. 불교 공예품

(원본 소스가 비어 있으므로, 요약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합니다.)

금고, 향로, 불감 등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다양한 금속 공예품들이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9. 1. 2. 왕실 공예품

왕실에서 사용하던 금속 장신구, 식기, 의례 용품 등 화려하고 정교한 금속 공예품들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9. 1. 3. 생활 공예품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던 다양한 금속 공예품들이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여기에는 촛대, 화로, 문방구 등이 포함된다.

9. 2. 도자기

9. 2. 1. 청자

청자는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푸른 빛깔의 도자기이다. 특히 비색 청자는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을 대표한다.

9. 2. 2. 백자

백자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흰색 도자기이다. 순백자, 청화백자, 철화백자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9. 2. 3. 분청사기

분청사기는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도자기로, 회색 또는 회흑색 바탕에 백토로 표면을 분장하였다. 자유분방하고 활달한 표현이 특징이다.

10. 기타

2020년대 전반 대한민국에서는 불교 문화재(경전, 불상, 괘불도, 목판, 건물), 유교 문화재(향교, 서원, 건물), 왕실 관련 유물, 지도, 서적, 금속 공예품, 회화 작품, 고고학 유물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재들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0년에는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2(2020년 1월 6일 지정), 지리전서동림조담(2020년 1월 6일 지정), 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2020년 1월 6일 지정),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2020년 2월 27일 지정),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2020년 2월 27일 지정), 관북여지도(2020년 2월 27일 지정), 최광지 홍패(2020년 4월 23일 지정), 육조대사법보단경(2020년 4월 23일 지정), 백자 항아리(2020년 4월 23일 지정), 고창 선운사 만세루(2020년 6월 1일 지정),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20년 6월 23일 지정),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2020년 6월 23일 지정), 안동 봉황사 대웅전(2020년 6월 25일 지정), 영양 현리 오층모전석탑(2020년 7월 27일 지정), 장용영 본영도형 일괄(2020년 8월 27일 지정),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2020년 8월 27일 지정),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2020년 8월 27일 지정),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2020년 8월 27일 지정),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2020년 8월 27일 지정),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제다라니(2020년 8월 27일 지정),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2020년 8월 27일 지정),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복장전적(2020년 8월 27일 지정), 의성 고운사 연수전(2020년 8월 31일 지정), 간이벽온방(언해)(2020년 10월 21일 지정),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2020년 10월 21일 지정),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2020년 10월 21일 지정),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2020년 10월 21일 지정),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2020년 10월 21일 지정), 경진년 연행도첩(2020년 12월 22일 지정), 말모이 원고(2020년 12월 22일 지정), 조선말 큰사전(2020년 12월 22일 지정),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ㆍ곽자의전(2020년 12월 22일 지정), 강릉향교 명륜당(2020년 12월 28일 지정),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2020년 12월 28일 지정), 수원향교 대성전(2020년 12월 28일 지정), 안성향교 대성전(2020년 12월 28일 지정), 안성향교 풍화루(2020년 12월 28일 지정), 산청 단성향교 명륜당(2020년 12월 28일 지정), 밀양향교 대성전(2020년 12월 28일 지정), 밀양향교 명륜당(2020년 12월 28일 지정), 상주향교 대성전‧동무‧서무(2020년 12월 28일 지정), 경주향교 명륜당(2020년 12월 28일 지정), 경주향교 동무‧서무‧신삼문(2020년 12월 28일 지정),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2020년 12월 28일 지정), 담양 창평향교 명륜당(2020년 12월 28일 지정), 순천향교 대성전(2020년 12월 28일 지정), 구미 금오서원 정학당(2020년 12월 28일 지정), 구미 금오서원 상현묘(2020년 12월 28일 지정),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2020년 12월 28일 지정), 안동 도산서원 도산서당(2020년 12월 28일 지정), 안동 도산서원 농운정사(2020년 12월 28일 지정), 옥천 이지당(2020년 12월 28일 지정)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1년에는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2021년 1월 5일 지정), '미륵원’명 청동북(2021년 1월 5일 지정),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2021년 1월 5일 지정), 선원제전집도서 목판(2021년 2월 17일 지정), 원돈성불론ㆍ간화결의론 합각 목판(2021년 2월 17일 지정),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2021년 2월 17일 지정), 고려사(2021년 2월 17일 지정), 고려사(2021년 2월 17일 지정),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2021년 2월 17일 지정), 구미 대둔사 경장(2021년 2월 17일 지정), 지정조격(2021년 2월 17일 지정),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2021년 2월 23일 지정), 공주 갑사 대웅전(2021년 3월 25일 지정), 의성 대곡사 범종루(2021년 3월 25일 지정), 순천 팔마비(2021년 3월 25일 지정),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2021년 4월 21일 지정),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2021년 4월 21일 지정),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2021년 4월 21일 지정),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2021년 6월 23일 지정), 울진 불영사 불연(2021년 6월 23일 지정), 송시열 초상(2021년 6월 23일 지정), 무주 한풍루(2021년 6월 24일 지정),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2021년 6월 24일 지정), 칠곡 송림사 대웅전(2021년 7월 21일 지정), 대구 동화사 극락전(2021년 7월 21일 지정), 대구 동화사 수마제전(2021년 7월 21일 지정), 수운잡방(2021년 8월 24일 지정),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2021년 8월 24일 지정),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021년 10월 25일 지정),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2021년 10월 25일 지정), 김해 은하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021년 10월 25일 지정), 구례 화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2021년 10월 25일 지정), 데니 태극기(2021년 10월 25일 지정), 김구 서명문 태극기(2021년 10월 25일 지정), 서울 진관사 태극기(2021년 10월 25일 지정),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2021년 11월 26일 지정), 무예제보(2021년 12월 22일 지정), 대승기신론소 권하(2021년 12월 22일 지정), 초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175(2021년 12월 22일 지정), 강진 무위사 감역교지(2021년 12월 22일 지정),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2021년 12월 22일 지정), 울산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2021년 12월 22일 지정),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2021년 12월 22일 지정),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2021년 12월 28일 지정),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2021년 12월 28일 지정), 남한산성 수어장대(2021년 12월 28일 지정), 남한산성 연무관(2021년 12월 28일 지정), 안성 객사 정청(2021년 12월 28일 지정), 강릉 칠사당(2021년 12월 28일 지정),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2021년 12월 28일 지정), 거제 기성관(2021년 12월 28일 지정)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2년에는 앙부일구(2022-1), 앙부일구(2022-2), 앙부일구(2022-3) (2022년 2월 22일 지정),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2022년 2월 22일 지정), 달마대사관심론(2022년 2월 22일 지정), 청구영언(2022년 4월 26일 지정),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2022년 4월 26일 지정),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2022년 4월 26일 지정), 경국대전 권1~3 (2022년 4월 26일 지정), 경국대전 권4~6 (2022년 4월 26일 지정), 춘추경좌씨전구해 권1∼9, 20∼29, 40∼70 (2022년 4월 26일 지정), 신ㆍ구법천문도 병풍(2022년 6월 23일 지정), 정조 한글어찰첩(2022년 6월 23일 지정),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2022년 7월 29일 지정), 장조 태봉도(2022년 8월 26일 지정), 순조 태봉도(2022년 8월 26일 지정), 헌종 태봉도(2022년 8월 26일 지정), 건칠보살좌상(2022년 8월 26일 지정),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2022년 8월 26일 지정), 영천 인종대왕 태실(2022년 8월 26일 지정), 법화현론(2022년 10월 26일 지정),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2022년 10월 26일 지정), 속초 신흥사 영산회상도(2022년 10월 26일 지정), 봉화 청암정(2022년 10월 31일 지정), 영주 부석사 안양루(2022년 10월 31일 지정), 영주 부석사 범종각(2022년 10월 31일 지정), 남한산성 숭렬전(2022년 11월 25일 지정), 영월 창절사(2022년 11월 25일 지정), 영동 세천재(2022년 11월 25일 지정), 고흥 여산송씨 쌍충 정려각(2022년 11월 25일 지정), 강진 해남윤씨 추원당(2022년 11월 25일 지정), 강진 해남윤씨 영모당(2022년 11월 25일 지정), 전주 조경묘 정묘(2022년 11월 25일 지정), 포항 상달암(2022년 11월 25일 지정), 김제 내아(2022년 11월 25일 지정), 경주 (전)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2022년 11월 25일 지정), 손소 적개공신교서(2022년 12월 27일 지정), 사시찬요(2022년 12월 27일 지정), 대방광불화엄경소(2022년 12월 27일 지정), 불조역대통재(2022년 12월 27일 지정), 초조본 유가사지론(2022년 12월 27일 지정), 이봉창 의사 선서문(2022년 12월 27일 지정), 순천 선암사 일주문(2022년 12월 28일 지정), 문경 봉암사 봉황문(2022년 12월 28일 지정), 구례 천은사 일주문(2022년 12월 28일 지정), 대구 동화사 봉황문(2022년 12월 28일 지정), 고성 옥천사 자방루(2022년 12월 28일 지정), 상주 대산루(2022년 12월 28일 지정), 성남 봉국사 대광명전(2022년 12월 28일 지정),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2022년 12월 28일 지정)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3년에는 나신걸 한글편지(2023-03-09),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023-03-09),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2023-03-09), 독서당계회도(2023)(2023-04-28),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2023-04-28), 수능엄경의해(2023-04-28), 이항복 해서 천자문(2023-04-28),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1)(2023-06-20),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2)(2023-06-20),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2023-3)(2023-06-20), 근묵(2023-06-20), 아미타여래구존도(2023-06-20),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2023-06-20),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2023-06-26),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2023-08-24),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2023-08-24), 파주 보광사 동종(2023-08-24), 구례 화엄사 소조사천왕상(2023-10-26), 여수 흥국사 소조사천왕상(2023-10-26), 보은 법주사 소조사천왕상(2023-10-26), 김천 직지사 소조사천왕상(2023-10-26), 고흥 능가사 목조사천왕상(2023-10-26), 영광 불갑사 목조사천왕상 및 복장전적(2023-10-26), 홍천 수타사 소조사천왕상(2023-10-26),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2023-10-26), 합천 해인사 홍하문(2023-11-02), 함양 용추사 일주문(2023-11-02), 곡성 태안사 일주문(2023-11-02), 하동 쌍계사 일주문(2023-11-02), 달성 용연사 자운문(2023-11-02), 순천 송광사 조계문(2023-11-02),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2023-12-26),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2023-12-26),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2023-12-26), 복재선생집(2023-12-26),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2023-12-26)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4년에는 협주석가여래성도기(2024-02-21), 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2024-02-21), 천수원명 청동북(2024-02-21),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2024)(2024-02-21), 예념미타도량참법(2024-02-21), 예념미타도량참법(2024)(2024-02-21), 여지도서(2024-02-21),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2024-02-28), 완주 송광사 금강문(2024-04-02), 보은 법주사 천왕문(2024-04-02), 양산 통도사 천왕문(2024-04-02), 순천 송광사 사천왕문(2024-04-02), 구례 화엄사 천왕문(2024-04-02), 영광 불갑사 천왕문(2024-04-02), 포항 보경사 천왕문(2024-04-02), 김천 직지사 천왕문(2024-04-02), 서산 문수사 극락보전(2024-04-02),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2024-04-25), 남원 대복사 동종(2024-04-25), 정선 필 북원수회도첩(2024-06-28), 영덕 장륙사 영산회상도(2024-06-28), 영덕 장륙사 지장시왕도(2024-06-28),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2024-06-28), 고창 문수사 대웅전(2024-07-17), 의성 고운사 가운루(2024-07-17), 유설경학대장(2024-08-22), 권상하 초상(2024-08-22),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2024-08-22),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2024-08-22), 포항 용계정(2024-08-29), 포항 분옥정(2024-08-29),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2024-10-16)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1년부터 문화재 일련번호가 폐지됨에 따라[2], 보물 제2142호(서울 진관사 태극기)가 마지막 일련번호가 되었다.

10. 1. 과학기술 유물

10. 2. 민속 유물

10. 3. 역사적 사건 관련 유물

10. 4. 복합 유물

참조

[1] 간행물 초등학교 문화재 교육 지침서 문화재청 2003
[2] 뉴스 문화재 지정번호 없앤다…천연기념물·명승 지정 기준도 구체화 https://news.kbs.co.[...] 2021-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