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장 (장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장은 재화와 서비스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다. 선사시대부터 고대,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각 시대와 지역의 사회, 문화, 경제적 특징을 반영한다. 시장은 장소, 개장 주기, 규모, 형태, 취급 품목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도매와 소매 기능을 수행한다.

한국 시장은 전통적인 재래시장에서 대형 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최근에는 사회적 경제와 지역화폐를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시장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아시아 시장은 대형 슈퍼마켓의 등장과 중산층의 증가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생존을 위해 즉석 식품 및 테이크 아웃 식품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시장은 경제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가격 형성, 상품 유통, 사회적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장 - 바자르
    바자르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열리는 정기적인 시장이나 상업 지구를 가리키며, 상품 거래뿐 아니라 사회, 문화, 종교적 중심지 역할도 수행해 온 역사적인 장소로서, 오늘날에는 문화유산으로 인정받고 있다.
  • 시장 - 암시장
    암시장은 제도적 규칙을 회피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하며, 불법 상품 및 서비스 거래, 탈세, 소비자 피해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지만, 규제 완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시장 (장소)
지도
기본 정보
유형조직
경제학
관련된 주제수요와 공급
경제
마케팅
가격
시장 구조
산업
상업
자본주의
계획 경제
혼합 경제
기타
관련시장 (장소)
거래소
가게
쇼핑
시장 (마케팅)

2. 역사

시장은 학문의 대상으로 다루어질 때, 일상적인 의미의 구체적인 시장(concrete market)은 범위가 너무 좁아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148] 판로(outlet)를 의미하는 시장 역시 정책적인 조사 연구 외에는 연구 대상이 되기 어렵다.[148] 시장 현상은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장소, 즉 추상적인 시장(abstract market)을 대상으로 연구된다.[148] 이러한 추상적 시장은 가격 형성 기능과 상품 유통 기능을 가지며, 경제학에서는 가격 형성 기능에, 상업학에서는 상품 유통 기능에 초점을 맞춘다.[148]

시장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으며,[171] 인류가 처음 무역을 시작했을 때부터 시장의 한 형태가 존재해 왔다는 주장이 있다.[4][5]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페니키아, 이스라엘, 그리스, 이집트, 아라비아 반도 등지에서는 야외 공설 시장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모든 사회가 시장 시스템을 발전시킨 것은 아니었으며,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시장이 발달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6][7]

지중해에게해 전역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시장 네트워크가 등장했다. 소금, 라피스 라줄리, 염료, 천, 금속, 냄비, 도자기, 조각상, 창 등 다양한 상품이 거래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청동기 시대 무역상들은 지리적 순환에 따라 무역로를 분할했으며,[8] 상품과 아이디어 모두 이러한 무역로를 따라 이동했다.[9]

일본에서는 7세기아스카의 쓰바이치, 가루이치 등에서 일종의 통제 시장이 있었다는 것을 『일본서기』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150] 또한, 『풍토기』를 통해 히타치국 다카하마이즈모국 소토도와 같이 어민이나 농민이 왕래하는 장소나 교통의 요충지에서 화폐 발행 이전부터 시장이 성립했음을 알 수 있다.

고대 국가에서는 중국의 제도를 참고하여 다이호 율령의 칸시령에 의해 시제를 정비했다. 수도에는 동서시가 설치되어 시사라는 감독 관청이 설치되었으며, 후지와라쿄, 헤이조쿄 등에 관영의 동서시가 운영되었다. 이 통제 시장은 정오에 열리고 해 질 녘에 닫혔으며, 물품의 가격은 시사가 결정했다. 또한 상업 시설뿐만 아니라, 공이 있는 자를 표창하거나 죄를 범한 자를 공개적으로 벌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2. 1. 선사시대

시장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다.[171] 일부 역사가들은 인류가 처음으로 무역을 시작했을 때부터 시장의 한 형태가 존재해 왔다고 주장한다.[4][5] 고대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페니키아, 이스라엘, 그리스, 이집트,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야외 공설 시장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모든 사회가 시장 시스템을 발전시킨 것은 아니었다.[6]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시장이 발달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7]

에드워드 도드웰의 ''아테네의 바자르'', 1821


지중해와 에게해 전역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시장 네트워크가 등장했다. 소금, 라피스 라줄리, 염료, 천, 금속, 냄비, 도자기, 조각상, 창 등 다양한 상품이 거래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청동기 시대 무역상들은 지리적 순환에 따라 무역로를 분할했다.[8] 상품과 아이디어 모두 이러한 무역로를 따라 이동했다.[9]

2. 2. 고대

시장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다.[3] 일부 역사가들은 인류가 처음으로 무역을 시작했을 때부터 시장의 한 형태가 존재해 왔다고 주장한다.[4][5] 고대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페니키아, 이스라엘, 그리스, 이집트,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야외 공설 시장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모든 사회가 시장 시스템을 발전시킨 것은 아니었다.[6]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시장이 발달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7]

지중해에게해 전역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시장 네트워크가 등장했다. 소금, 라피스 라줄리, 염료, 천, 금속, 냄비, 도자기, 조각상, 창 등 다양한 상품이 거래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청동기 시대 무역상들은 지리적 순환에 따라 무역로를 분할했다.[8] 상품과 아이디어 모두 이러한 무역로를 따라 이동했다.[9]

고대 시대의 시장은 일반적으로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했다. 시장은 금속 세공, 가죽 세공, 목수와 같은 숙련된 장인들이 거주하는 골목길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러한 장인들은 작업장에서 직접 상품을 판매했을 뿐만 아니라, 시장 날에 판매할 상품을 준비하기도 했다.[3]

폼페이에서는 약 12,000명의 인구를 위해 여러 시장이 운영되었다. 농산물 시장은 포럼 근처에 위치했으며, 가축 시장은 원형 극장 근처의 도시 외곽에 위치했다. 포럼 북서쪽 모퉁이에 있는 길고 좁은 건물은 일종의 시장, 아마도 곡물 시장이었을 것이다. 반대편 모퉁이에는 육류 및 생선 시장으로 추정되는 마켈룸이 있었다. 시장 노점상들은 시장 날에 거래할 권리에 대한 시장세를 지불했다. 일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시장과 노상 상인들은 지방 정부에 의해 통제되었다. 대형 상점 외부에 있는 낙서는 7일의 시장 주기를 기록한다. "토요일은 폼페이와 누체리아에서, 일요일은 아텔라와 놀라에서, 월요일은 쿠마에에서" 등. 공식적인 상업 달력의 존재는 시장이 지역 사회 생활과 무역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한다.[21] 시장은 또한 사회 생활의 중요한 중심지였다.[22]

레프티스 마그나의 마켈룸(시장) 폐허, 카르타고
]

2. 2. 1. 고대 메소포타미아 및 서아시아

수메르바빌로니아에서는 식량을 비롯한 필수품을 저장하고, 궁전이나 도시의 문에서 분배했다. 페르시아어 바자르에 해당하는 시장에서는 수공업품을 판매했다.[156]

2. 2. 2. 고대 그리스 및 로마

고대 그리스 전역의 시장은 대부분의 도시 국가에서 발견되었으며, (광장) 내에서 운영되었다.[15] 기원전 550년에서 350년 사이 그리스 상인들은 취급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모여 있었다. 생선 판매상은 한 곳에, 의류는 다른 곳에, 향수, 병, 항아리와 같은 더 비싼 상품 판매상은 별도의 건물에 위치했다.[16] 그리스인들은 무역을 도시 중심 근처에 로 알려진 별도의 구역으로 조직했다. 덮인 통로가 있는 독립된 열주인 스토아는 아고라 내 또는 인접한 상업 및 공공 산책로였다.[17] 아테네의 아고라에서 정부는 시장 거래에서 사람들이 속지 않도록 무게, 측정 및 화폐를 감독하기 위해 공무원을 고용했다. 그리스의 바위가 많고 산이 많은 지형은 생산자가 상품이나 잉여 생산물을 지역 시장으로 운송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고, 농부로부터 농산물을 구매하여 짧은 거리를 도시 시장으로 운송하는 중개인 역할을 하는 전문 소매상인 가 등장했다.[18][15]

고대 로마에서 무역은 포룸에서 이루어졌다. 로마에는 포룸 로마눔과 트라야누스 포룸 두 개의 포럼이 있었다. 서기 100-110년경에 건설된 트라야누스 시장은 4층에 상점이 있는 여러 건물로 구성된 광대한 공간이었다. 로마 포럼은 영구적인 소매 상점의 가장 초기의 예라고 할 수 있다.[19] 고대 시대에는 상인 또는 행상인을 통한 직접 판매가 이루어졌으며, 물물 교환 시스템이 일반적이었다.

트라야누스 시장, 로마, 이탈리아

2. 3. 중세

로마 제국 이래 여러 도시와 성, 수도원에서 시장이 열렸고, 북유럽에는 비크라고 불리는 교역지가 있었다. 잉글랜드를 시작으로 북유럽에서는 마켓 타운이 건설되어 지역 시장이 열렸다. 정기 시장으로는 생 드니 수도원의 시장이나 스타브리지 시장 등의 국제적인 연시(年市)와 십인조 민회에 따른 주시(週市) 등이 있었다. 십자군 이후에는 남북 교류가 활발해졌으며, 그중에서도 샹파뉴 대시장은 대규모였다.[157]

서유럽에서는 초기에 시장이 수도원, 성, 왕궁 근처에서 발전했다. 수도원과 귀족은 사치품과 필수품을 포함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상당한 수요를 창출했으며, 상인과 중개인에게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했다. 이러한 교역 중심지는 판매자를 끌어들였다. 1086년 둠즈데이 북에는 잉글랜드의 50개 시장이 기재되어 있지만, 많은 역사가들은 이 숫자가 당시 실제 시장 수보다 적다고 생각한다. 1200년부터 1349년 사이에 잉글랜드에 약 2,000개의 새로운 시장이 설립되었다.[158] 1516년, 잉글랜드에는 약 2,464개의 시장과 2,767개의 박람회가 있었고, 웨일스에는 138개의 시장과 166개의 박람회가 있었다.[159]

12세기부터 잉글랜드 왕은 마을이나 촌락에 시장과 박람회를 설립하기 위해 지역 영주에게 특허장을 부여했다. 특허장은 연공(年貢)과 교환하여 마을의 거래 특권을 인정했다. 특허받은 시장이 특정 개최일을 가지면, 인근 경쟁 시장은 같은 날에 개최할 수 없었다.[160]

박람회(페어)는 보통 연례 개최였으며, 대체로 지역 축제와 관련되었다.[161] 박람회는 고가 상품을 취급했고, 매주 또는 격주로 개최되는 시장은 생선물이나 필수품을 주로 취급했다.[162] 박람회의 주요 목적은 교역이었지만, 통상 춤, 음악, 시합(토너먼트)과 같은 오락 요소도 포함되어 있었다. 시장 수가 늘어나면서 개최되는 마을끼리는 경쟁을 했지만, 지역 생산자가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는 정도의 거리(약 10km)를 유지했다.[163]

일부 영국의 야외 시장은 12세기부터 지속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2. 3. 1. 이슬람 왕조

아랍어로는 سوق|수크ar, 페르시아어로는 بازار|바자르fa라고 불리는 시장이 열렸다. 10세기 이전 소아시아에서는 시장이 도시 외곽에 위치해 있었다. 주요 무역로를 따라 시장은 일반적으로 도시 성벽 바로 바깥에 위치한 카라반사라이와 연관되어 있었다. 하지만 시장이 도시 구조에 통합되기 시작하면서, 상인들이 날씨의 영향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를 받으며 상품을 사고 팔 수 있는 지붕이 있는 공간으로 바뀌었다. 3세기(서기)에 메카메디나의 시장은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알려졌으며, 유목 공동체는 무역과 사회적 교류를 위해 이 시장에 크게 의존했다.[41] 이스탄불의 이스탄불 대 바자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상설 시장으로 종종 언급되며, 건설은 1455년에 시작되었다.

이스탄불 대 바자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상업 시설 중 하나로, 약 3600개의 소매점을 갖추고 있다.


기원전 3000년경부터, ''바자르''는 중동 지역을 지배해 왔으며, 북아프리카까지 확장되어 소매업에서 자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상인들 간의 무역과 참여자들 간의 물물교환이 일반화되었다. 이들은 종종 이슬람 세계 도시의 경제적, 문화적 중심지로 묘사되며,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에서 가장 번화한 지역이다. 이러한 밀집된 활동으로 인해, ''바자르''는 향신료, 섬유, 노동 등과 같은 자원을 교환하는 외국인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아랍인, 투르크인, 그리스인, 페르시아인, 유대인뿐만 아니라 인도인들의 주목을 받았으며,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부터는 서구인들의 관심도 받았다.[57] 현대 시대에도, ''바자르''는 여러 아랍 국가에서 중요한 경제적 중심지로 남아있다.[57]

2. 3. 2. 유럽

로마 제국 이래 여러 도시와 성, 수도원에서 시장이 열렸고, 북유럽에는 비크라고 불리는 교역지가 있었다. 잉글랜드를 시작으로 북유럽에서는 마켓 타운이 건설되어 지역 시장이 열렸다. 정기 시장으로는 생 드니 수도원의 시장이나 스타브리지 시장 등의 국제적인 연시(年市)와 십인조 민회에 따른 주시(週市) 등이 있었다. 십자군 이후에는 남북 교류가 활발해졌으며, 그중에서도 샹파뉴 대시장은 대규모였다.[157]

근세 시장의 정경. 요아힘 뵈켈라르 作, 1566년


서유럽에서는 초기에 시장이 수도원, 성, 왕궁 근처에서 발전했다. 수도원과 귀족은 사치품과 필수품을 포함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상당한 수요를 창출했으며, 상인과 중개인에게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했다. 이러한 교역 중심지는 판매자를 끌어들였다. 1086년 둠즈데이 북에는 잉글랜드의 50개 시장이 기재되어 있지만, 많은 역사가들은 이 숫자가 당시 실제 시장 수보다 적다고 생각한다. 잉글랜드에서는 1200년부터 1349년 사이에 약 2,000개의 새로운 시장이 설립되었다.[158] 1516년, 잉글랜드에는 약 2,464개의 시장과 2,767개의 박람회가 있었고, 웨일스에는 138개의 시장과 166개의 박람회가 있었다.[159]

12세기부터 잉글랜드 왕은 마을이나 촌락에 시장과 박람회를 설립하기 위해 지역 영주에게 특허장을 부여했다. 특허장은 연공(年貢)과 교환하여 마을의 거래 특권을 인정했다. 특허받은 시장이 특정 개최일을 가지면, 인근 경쟁 시장은 같은 날에 개최할 수 없었다.[160]

박람회(페어)는 보통 연례 개최였으며, 대체로 지역 축제와 관련되었다.[161] 박람회는 고가 상품을 취급했고, 매주 또는 격주로 개최되는 시장은 생선물이나 필수품을 주로 취급했다.[162] 박람회의 주요 목적은 교역이었지만, 통상 춤, 음악, 시합(토너먼트)과 같은 오락 요소도 포함되어 있었다. 시장 수가 늘어나면서 개최되는 마을끼리는 경쟁을 했지만, 지역 생산자가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는 정도의 거리(약 10킬로미터)를 유지했다.[163]

일부 영국의 야외 시장은 12세기부터 지속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2. 4. 동아시아

일본에서는 7세기아스카의 쓰바이치, 가루이치 등에서 일종의 통제 시장이 있었다는 것을 『일본서기』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150] 또한, 『풍토기』를 통해 히타치국 다카하마이즈모국 소토도와 같이 어민이나 농민이 왕래하는 장소나 교통의 요충지에서 화폐 발행 이전부터 시장이 성립했음을 알 수 있다.

고대 국가에서는 중국의 제도를 참고하여 다이호 율령의 칸시령에 의해 시제를 정비했다. 수도에는 동서시가 설치되어 시사라는 감독 관청이 설치되었으며, 후지와라쿄, 헤이조쿄 등에 관영의 동서시가 운영되었다. 이 통제 시장은 정오에 열리고 해 질 녘에 닫혔으며, 물품의 가격은 시사가 결정했다. 또한 상업 시설뿐만 아니라, 공이 있는 자를 표창하거나 죄를 범한 자를 공개적으로 벌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3. 시장의 종류

시장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장소에 따른 분류
  • * 성읍시: 에서 서는 시장인 성시와 행정관아가 있는 고을에서 서는 시장인 읍시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상설시장인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 * 향시: 성읍이 아닌 시골에서 서는 시장으로, 주로 5일장이나 7일장이다.
  • * 가로시: 성읍과 성읍, 마을과 마을 사이의 중간 지점에 있는 도로를 따라 서는 시장이다.
  • * 경계시: 행정구역의 경계나 국경에서 서는 시장이다. 한국사에서는 국경에서 서는 시장을 개시라고 불렀다.
  • * 항포시: 항구나 포구에 서는 시장이다. 한국의 재래시장 가운데 강경장이 유명하다.
  • * 제전시: 절을 비롯한 종교사원 경내 또는 그 주변에서 서는 시장이다. 한국사에서는 고려시대에 불교 사찰 주변에서 시장이 서기도 했다.


이 외에도 거래 주체 및 방식, 개장 주기, 규모 및 형태, 취급 품목 등에 따라 시장을 분류할 수 있다.

소르타발라 카렐리야의 시장

3. 1. 거래 주체 및 방식에 따른 분류

거래 주체 및 방식에 따라 시장은 크게 도매시장과 소매시장으로 나뉜다.

  • 도매시장: 주로 최종 소비자 외의 사람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상설시장이다. 소매 시장 또는 도매 시장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매시장은 시장법에 의해 건물 면적 5000m2 이상, 매장 면적은 건물 면적의 60% 이상 확보해야 한다. 또한 전기, 급배수 등 유용물 시설, 상담실, 소비자 휴게소, 자유계량대, 공중전화 등 소비자 보호시설, 셔터, 점포 내장, 표시물, 홍보판 등 기본 시설, 오물 수거장 등 각종 위생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 소매시장: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시장이다. 일본에서는 1918년(다이쇼 7년) 4월 15일오사카부에 개설된 "오사카 시립 소매 시장"이 최초로 여겨진다.[167] 현재 소매 시장은 소매상업조정특별조치법[168]에 의해 규정되어 있으며, 동 시행령[169]에 의해 소매 시장의 규제를 실시하는 도시와 품목이 지정되어 있다.

3. 2. 장소에 따른 분류

성읍시는 성이나 행정관아가 있는 고을에서 열리는 시장으로, 성시와 읍시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상설시장인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향시는 성읍이 아닌 시골에서 열리는 시장으로, 주로 문경중앙시장과 같이 5일장이나 7일장이다. 가로시는 성읍과 성읍, 마을과 마을 사이의 도로를 따라 열리는 시장이다. 경계시는 행정구역의 경계나 국경에서 열리는 시장으로, 한국사에서는 국경에서 열리는 시장을 개시라고 불렀다. 항포시는 항구나 포구에 열리는 시장으로, 한국의 재래시장 가운데 강경장이 유명하다. 제전시는 절을 비롯한 종교사원 경내 또는 그 주변에서 열리는 시장이다. 한국사에서는 고려시대에 불교 사찰 주변에서 시장이 서기도 했다.[62][63]

3. 3. 개장 주기에 따른 분류


  • 상설시장: 날마다 장이 서는 시장이다.
  • 5일장: 5일마다 한 번 장이 서는 시장이다. 동양의 재래시장은 5일장이 많았다.
  • 7일장: 7일마다 한 번 장이 서는 시장이다. 유럽이나 중동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7일마다 장이 섰다.
  • 계절시장: 특정 계절에만 서는 시장이다. 약령시는 주로 봄과 가을에 열리던 계절시장으로 시작하였다.

3. 4. 규모 및 형태에 따른 분류


  • '''재래시장''': 오래전부터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시장으로 남대문시장, 경동시장과 같이 지역 이름이 붙는다.
  • '''상가''': 복합 건물에 여러 종류의 상점이 모여 있는 곳을 말한다. 용산전자상가처럼 전문적인 품목을 취급하는 곳도 있고 청계천상가처럼 다양한 물품을 취급하는 곳도 있다.
  • '''할인매장''': 이마트, 롯데마트와 같이 대규모 유통회사가 운영하는 시장으로 고유의 브랜드명이 있다.

3. 5. 취급 품목에 따른 분류

취급하는 품목에 따라 전문 시장으로 분류되며, 주로 도매로 거래한다.

  • 농산물 시장: 농산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 수산물 시장: 수산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 약령시: 한약재를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 전자상가: 전기제품이나 전자부품 등을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4. 세계의 시장

시장은 수요와 공급이 만나 가격이 형성되고 상품이 유통되는 장소이다. 그리슨은 시장의 성립 유형을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교역, 모습을 드러내는 교역, 손님 초청, 중개인과의 교역, 집적소, 중립적인 교역, 무장 시장, 정기 시장으로 분류하고, 시장을 평화로운 교류가 가능한 중립적인 장소로 정의했다.[154][155] 칼 폴라니는 시장 제도의 기원을 대외 시장과 지역 시장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대외 시장은 무역 등 공동체 외부로부터의 재화 획득과 관련되며, 지역 시장은 공동체 내에서의 식량 분배와 관련된다.[156]

수메르바빌로니아에서는 식량을 비롯한 필수품을 저장하고 궁전이나 도시의 문에서 분배했으며, 바자르에서는 수공업품을 판매했다. 고대 그리스폴리스에서는 아고라가 시장으로 사용되었고, 지역 시장과 대외 시장(엠포리움)이 존재했다.[156] 고대 로마는 그리스의 아고라 제도를 포룸으로 계승했다.

유럽에서는 로마 제국 시대부터 여러 도시와 성, 수도원에서 시장이 열렸고, 북유럽에는 비크라고 불리는 교역지가 있었다. 잉글랜드를 시작으로 마켓 타운이 건설되어 지역 시장이 열렸으며, 샹파뉴 대시장과 같은 대규모 정기 시장도 존재했다.[157] 서유럽에서는 수도원, 성, 왕궁 근처에서 시장이 발전했으며, 12세기부터 잉글랜드 왕은 지역 영주에게 시장 설립 특허장을 부여했다.[158][159][160]

아메리카 대륙의 시장은 원주민 문화와 유럽 식민지 시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멕시코에는 멕시코시티 자마이카 시장, 소노라 시장 등 전통 시장과 메르카도 로마와 같은 고급 푸드 홀이 있다.

아프리카의 시장은 수세기 동안 존재해 왔으며, 서아프리카에서는 다양한 시장이 발달했다. 베닌 왕국에서는 시장에서 다양한 상품과 노예가 거래되었으며, 시장 규제가 엄격하게 시행되었다.[75][76] 에티오피아에는 아디스 메르카토와 같은 대규모 소매 시장이 있으며, 가나에서는 시장 상인들이 정부 정책 실패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다.[79][80] 모로코의 시장은 수크로 불리며, 마라케시의 제마 엘프나 광장에서는 매일 다채로운 시장이 열린다.[86]

4. 1. 아시아

아시아의 생산물 시장은 대형 슈퍼마켓의 등장과 중산층의 증가에 따른 브랜드 상품 선호로 인해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많은 슈퍼마켓이 생산자로부터 직접 구매하여 도매 및 소매 시장의 전통적인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 이에 생산물 시장은 생존을 위해 가치 부가 기회를 고려해야 했으며, 많은 소매 시장이 즉석 식품 및 테이크 아웃 식품에 집중하고 있다.[92]

남아시아네팔, 인도, 방글라데시에서는 ''하트'' (''hat''라고도 함)가 정기적인 농산물 시장을 의미하며, 일주일에 한두 번 열린다.[103]

4. 1. 1. 한국

한국의 시장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전통적인 재래시장은 지역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현대에는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형태의 시장이 등장했다. 최근에는 사회적 경제지역화폐 등 새로운 형태의 시장 모델도 주목받고 있다.

4. 1. 2. 동아시아

대어기가 늘어선 섣달의 우오노타나(효고현아카시시)


일본에서도 가장 남쪽에 위치한 이시가키시 공설 시장


일본에서는 7세기아스카의 쓰바이치, 가루이치, 가와치의 에가노이치 및 아토노쿠와노이치 등에서 일종의 통제 시장이 있었다는 것이 『일본서기』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풍토기』에는 히타치국다카하마이즈모국소토도(促戶渡)와 같이 어민이나 농민이 왕래하는 장소나 교통의 요충지에서 화폐 발행 이전부터 시장이 성립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고대 국가에서는 중국의 제도를 참고하여 다이호 율령의 칸시령에 의해 시제를 정비하였다. 수도에는 동서시가 설치되고 시사라는 감독 관청이 설치되었으며, 후지와라쿄, 헤이조쿄, 나니와쿄, 나가오카쿄, 헤이안쿄 등에서 관영 동서시가 운영되었다. 이 통제 시장은 정오에 열리고 해 질 녘에 닫혔으며, 물품 가격은 시사가 결정하였다. 또한 상업 시설뿐만 아니라, 공이 있는 자를 표창하거나 죄를 범한 자를 공개적으로 벌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특정 구역 외에서의 상업은 금지되었지만, 율령제가 완화되면서 교통의 요충지 등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 정기시가 형성되었다. 긴키 지방을 중심으로 장원에서는 지방 시장이 생겨났고, 행상인이 활동했다. 정기시가 열리는 날(시장일)로는 "8일"이 많았고, "산사이이치"(三斎市)가 많았다. 시장일이 "8일"이면 8·18·28일에 시장이 열렸다. 시장을 여는 시간에 따라 아침 시장, 밤 시장, 저녁 시장 등으로 불렸다. 15-16세기에는 월 6회의 "로쿠사이이치"(六斎市)가 생겨났다.

오래된 시장으로는 고조메(아키타현 미나미아키타군), 요코테 (아키타현 요코테시), 아쓰미(야마가타현 니시타가와군), 리쿠젠타카타(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 오타키(지바현 이즈미시), 가쓰우라(지바현 가쓰우라시), 다카야마(기후현 다카야마시), 와지마(이시카와현 와지마시), 스즈(이시카와현 스즈시), 에치젠오노(후쿠이현 오노시) 등이 에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또한, 미에현욧'''카'''이치시 및 구 시가현요'''카'''이치시(현 히가시오미시), 히로시마현하쓰'''카'''이치시, 구 지바현요'''카'''이치바시(현 소사시) 등의 지명에서 옛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4. 1. 3.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는 야시장, 수상 시장, 그리고 해적 시장(디자이너 브랜드의 "짝퉁"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시장)으로 유명하다.[108] 일부 아시아 국가들은 독특한 유통 시스템과 고도로 전문화된 유형의 시장을 개발했다. 아시아 전역에서, ''수산 시장''은 과일, 채소, 생선, 해산물 및 육류 제품을 판매하는 곳을 의미한다.[108] 아시아 대부분 지역에서 농산물 시장은 운영 시간 때문에 ''아침 시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야시장''은 의류, 액세서리, 지역 공예품, 기념품 및 다양한 개인 용품 등 비소모품 판매를 전문으로 한다.

4. 1. 4. 서아시아

서아시아에서 시장은 바자 또는 수크로 알려져 있다. 초기 바자는 페르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며, 그곳에서부터 중동과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기록된 자료에 따르면, 도시의 특정 지역에서만 상업 활동을 하도록 하는 구역 설정 정책이 기원전 3,000년경부터 시행되었고, 이는 바자가 출현하는 데 필요한 조건을 만들었다고 한다.[117]

고대 이란 도시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바자가 확인되었다. 정기 바자, 도시 바자, 지역 바자이다. ''정기 바자''는 어디에서든 조직될 수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야외 공간에서 열렸고 수공예품, 의류, 가축, 식료품 등과 같은 특산품을 거래했다. 이러한 바자는 매월 또는 매년과 같은 정기적인 간격으로 열렸다. ''도시 바자''는 양쪽에 상점이나 매장이 있는 덮인 공공 통로에서 열렸다. 그 건축물은 기후, 문화, 그리고 그것이 위치한 도시의 경제력과 같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다양했다. 도시 바자는 상업적, 사회적, 문화적 상호 작용의 장소였다. ''지역 바자''는 대도시의 특정 구역에서 열렸으며, 도시 바자와 유사했지만 더 적은 상점으로 규모가 작았다.[118]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에서 시장은 두 가지 형태를 취했다. 영구적인 도시 시장과 임시 계절 시장인데, 이는 종종 지역 구역에 위치해 있었다. 점차 시장 또는 바자는 도시의 중심적인 특징이 되었고, 도시 중심부로 이전되었다. 영구 시장은 고대 문헌에서 자주 언급된다.[119]

4. 2. 유럽

로마 제국 시대부터 여러 도시와 성, 수도원에서 시장이 열렸고, 북유럽에는 비크라고 불리는 교역지가 있었다. 잉글랜드를 시작으로 북유럽에서는 마켓 타운이 건설되어 지역 시장이 열렸다. 정기 시장으로는 생 드니 수도원의 시장이나 스타브리지 시장 등의 국제적인 연시(年市)와 십인조 민회에 따른 주시(週市) 등이 존재했다. 십자군 이후에는 남북 교류가 활발해졌으며, 그중에서도 샹파뉴 대시장은 대규모였다.[157]

서유럽에서는 초기의 시장이 수도원, 성, 왕궁 근처에서 발전했다. 수도원과 귀족은 사치품과 필수품을 포함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상당한 수요를 창출했으며, 상인과 중개인에게도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했다. 이러한 교역의 중심지는 판매자를 끌어들였다. 1086년의 둠즈데이 북에는 잉글랜드의 50개 시장이 기재되어 있지만, 많은 역사가들은 이 숫자가 당시 실제 시장 수보다 과소하다고 생각한다. 잉글랜드에서는 1200년부터 1349년 사이에 약 2,000개의 새로운 시장이 설립되었다.[158] 1516년, 잉글랜드에는 약 2,464개의 시장과 2,767개의 박람회가 있었고, 웨일스에는 138개의 시장과 166개의 박람회가 있었다.[159]

12세기부터 잉글랜드 왕은 마을이나 촌락의 시장과 박람회를 설립하기 위해 지역 영주에게 특허장을 부여했다. 특허장은 연공(年貢)과 교환으로 마을의 거래 특권을 인정했다. 특정 개최일을 특허받은 시장이 있으면, 인근 경쟁 시장은 같은 날에는 개최할 수 없었다.[160]

박람회(페어)는 보통 연례 개최였으며, 대체로 지역 축제와 관련되었다.[161] 박람회는 고가 상품을 취급했고, 한편, 매주 또는 격주로 개최되는 시장은 생선물이나 필수품을 주로 취급했다.[162] 박람회의 주요 목적은 교역이었지만, 통상 춤, 음악, 시합(토너먼트)과 같은 오락 요소도 포함되어 있었다. 시장 수가 늘어나, 개최되는 마을끼리는 경쟁을 하기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두었지만, 그래도 지역 생산자가 대체로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는 정도의 거리(약 10km)였다.[163]

일부 영국의 야외 시장은 12세기부터 지속적으로 개최되고 있는 곳도 있다.

4. 3. 아메리카

아메리카 대륙의 시장은 원주민 문화와 유럽 식민지 시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2014년 이후, 멕시코시티에서는 메르카도 로마를 시작으로 고급 푸드 홀이 생겨났다. 멕시코의 전통 시장으로는 멕시코시티 자마이카 시장, 소노라 시장, 과달라하라의 산 후안 데 디오스 시장 등이 있다.

멕시코 과달라하라의 산 후안 데 디오스 시장의 식료품 판매대


과나후아토 이달고 시장 입구

4. 3. 1. 북아메리카

미국에서 '''공설 시장'''은 판매인이나 상인들이 정기적으로 같은 장소에서 만나는 장소를 지칭한다. 공설 시장은 운영을 감독하고 때로는 시장 활동을 위한 시설을 제공하는 법적, 재정적 책임을 지는 후원 기관을 갖는다.[142] 공설 시장은 전통적인 시장 활동(개방된 가판대에서 신선한 식품 판매)을 통합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공설 시장은 파머스 마켓, 수공예품 시장, 골동품 시장과 같은 전문 시장의 요소를 통합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의 공설 시장은 시 정부가 소유하고 운영했지만, 더 이상 그렇지 않다.[142]

포드 재단(Ford Foundation)에 따르면, 공설 시장을 다른 유형의 관련 소매 활동과 구별하는 세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142]

# 공공의 목표, 즉 정의된 시민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표에는 쇼핑객을 중앙 상업 지구로 유치하고, 소규모 사업체에 저렴한 소매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의 농업을 보존하고, 공공 공간을 활성화하거나 재활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 지역 사회의 공공 공간에 위치하거나 공공 공간을 만들며, 광범위한 사람들이 섞이며, 지역 사회의 중심이거나 중심이 되려고 한다.

# 가맹점이 아닌 소유주가 운영하는 지역 소유의 독립 사업체로 구성된다. 이것은 공설 시장에 지역적 풍미와 독특한 경험을 부여한다.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Pike Place Market)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퍼스트 애비뉴에서 파이크 스트리트 서쪽을 바라본 모습

4. 3. 2.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시장은 각국의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4. 4. 아프리카

시장은 수세기 동안 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알려져 왔다. 18세기 평론가는 서아프리카에서 방문했던 많은 시장에 주목했다. 그는 와이다 (현재 베냉 공화국의 일부)의 사비에서 시장 활동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다음과 같이 제공했다.[75]

그들의 박람회와 시장은 매우 신중하고 사려 깊게 규제되어 법에 위배되는 행위는 결코 저질러지지 않습니다. 모든 종류의 상품이 여기에 모이며, 물품을 가져온 사람들은 그것을 처분할 시간을 자유롭게 가질 수 있지만, 사기나 소란은 없습니다. 4명의 무장한 장교가 참석한 판사는 상품 검사를 위해 왕에 의해 임명되어 모든 고충, 불만 및 분쟁을 듣고 결정합니다... 시장은 집사, 부스, 사람들의 편의를 위한 휴게소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그들은 특정 종류의 고기, 돼지고기, 염소, 소고기, 개고기만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다른 부스들은 옥수수, 조, 쌀, 옥수수 빵을 판매하는 여성들이 운영합니다. 다른 상점에서는 '피토'라는 종류의 쾌적하고 건강하며 매우 상쾌한 맥주를 판매합니다. 팜 와인, 아쿠아 비타, 유럽인으로부터 얻은 증류주는 다른 상점에서 보관하며, 판매 제한을 통해 음주 및 폭동을 예방합니다. 여기에서는 남녀 노예가 사고 팔리며, 또한 황소, 양, 개, 돼지, 시쉬, 모든 종류의 새도 거래됩니다. 유럽과 인도에서 생산된 모직 천, 린넨, 실크, 캘리코는 매우 풍부하며, 마찬가지로 모든 종류의 철물, 도자기, 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금은 먼지와 잉곳 형태로, 철은 막대 형태로, 납은 시트 형태로, 유럽, 아시아 또는 아프리카에서 생산된 모든 것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여기에 있습니다.영어

베닌 왕국 (현대 베닌 시티)에서 시장에서 판매되는 이국적인 음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76]

베닌 시장에 풍부한 건조 상품 외에도, 그들은 또한 먹을 것으로 잘 갖춰져 있으며, 종류가 약간 특이합니다. 여기에서는 흑인들이 매우 좋아하는 개를 먹기 위해 판매합니다. 구운 원숭이, 유인원, 비비가 어디에서나 보입니다. 햇볕에 말린 박쥐, 쥐, 도마뱀, 팜 와인, 과일은 가장 호화로운 오락을 형성하며, 거리에서 끊임없이 판매됩니다.영어

보츠와나에서 농산물의 공식 시장 판매는 대기업이 주로 통제한다. 대부분의 소규모 지역 농민들은 비공식 시장, 지역 사회 및 노점상에게 농산물을 판매한다.[77] 주요 도매 시장은 가보로네의 원예 시장이다. 정부는 북부 지역에 시장을 건설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대부분 실패했고, 대부분의 상업 구매자는 물품 공급을 위해 요하네스버그 또는 츠와네로 이동한다.[78]

에티오피아는 주요 곡물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며, 여러 도매 시장이 이러한 제품의 유통 및 수출을 지원한다. 주요 도매 시장은 다음과 같다. 동웰레가 존의 네켐테, 짐마 존의 짐마, 아르시 존의 아셀라와 사구레, 고잠 존의 바히르 다르와 부레, 웰로 존의 데시와 콤볼차, 티그레이 지역의 메켈레, 오로미아 지역의 디레 다와와 하라르, 그리고 아디스아바바.[79] 에티오피아의 주요 소매 시장은 다음과 같다. 아디스아바바의 아디스 메르카토(이 나라에서 가장 큰 노천 시장), 아디스아바바의 굴랄레와 갈란, 아와사의 아와사 호수 어시장, 하라르의 토요일 시장, 악숨의 토요일 시장.

가나 시장은 때로는 가혹한 시장 철폐 조치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았다. 1970년대 후반, 가나 정부는 식량 부족과 높은 인플레이션을 포함한 자체 정책 실패의 희생양으로 시장 상인들을 이용했다. 정부는 상인들이 가격 지침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비난하고 "여성 상인"을 비난했다. 1979년, 마코라 시장은 다이너마이트로 폭파되고 불도저로 밀렸지만, 일주일 만에 상인들은 머리 위 지붕도 없이 과일, 채소, 생선을 다시 팔기 시작했다.[80]

케냐의 수도인 나이로비에는 여러 주요 시장이 있다. 와쿨리마 시장은 나이로비의 하일레 셀라시에 애비뉴에 위치한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시장 중 하나이다. 나이로비의 다른 시장으로는 카리아코르 시장, 기콤바 시장, 무투르와 시장 등이 있다.[81] 몸바사에서는 콩고웨아 시장도 1,500개 이상의 노점이 있고 4.5ha의 면적을 차지하는 대규모 시장이다.[82]

몸바사 시장


모로코에서 시장은 수크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시의 메디나(구시가지 또는 옛 구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농산물 시장에서 쇼핑하는 것은 모로코 일상생활의 표준적인 특징이다.[83] 대도시의 경우, 메디나는 일반적으로 좁은 거리와 골목의 미로 속에 지어진 수크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독립 상인과 장인들이 특정 유형의 상품으로 특화된 구역에 모여 있다. 예를 들어 은세공 거리나 섬유 지구 등이 있다. 탕헤르에서는 광대한 시장이 메디나의 많은 거리를 채우고 있으며, 이 지역은 그랑 소코와 프티 소코로 알려진 두 구역으로 나뉜다. '소코'라는 용어는 아랍어 '수크'를 스페인어로 변형한 것으로, 시장을 의미한다.[84] 이 시장들은 신선한 농산물, 요리 기구, 도자기, 은제품, 러그와 카펫, 가죽 제품, 의류, 액세서리, 전자 제품 등 다양한 상품과 함께 카페, 레스토랑, 테이크 아웃 음식 노점 등을 판매한다. 페스의 메디나는 9세기에 설립되어 가장 오래되었다.[85] 페스의 메디나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오늘날 이곳은 주요 농산물 시장이며, 좁은 골목과 차량 통행 금지로 유명하다. 모든 상품은 당나귀나 손수레로 시장 안팎으로 운송된다. 마라케시에서는 주요 농산물 시장도 메디나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방랑하는 공연자와 음악가들이 모여드는 대규모 군중을 즐겁게 하는 다채로운 시장이 제마 엘프나 광장(메인 광장)에서 매일 열린다.[86] 마라케시는 모로코에서 가장 큰 전통 베르베르 시장을 가지고 있다.

나미비아는 신선 농산물 공급의 거의 전적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의존해 왔다. 완만한 평원과 긴 사구, 예측 불가능한 강우량이 특징인 나미비아의 많은 지역은 과일과 채소를 재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정부 주도 사업은 생산자들이 신선한 과일, 채소, 콩류, 곡물을 재배하도록 장려했다.[87] 나미비아 농업부는 최근 생산자들이 농산물을 판매하고 유통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할 신선 농산물 허브 시스템을 출범시켰다. 이 허브가 생산자들이 농산물을 냉장 보관을 위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가져간 후 나중에 다시 수입하는 판매자 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88]

5. 경제학적 관점

시장은 경제학적으로 판매자와 구매자, 그리고 거래 대상이 되는 상품을 3가지 기본 요소로 한다[148]。 시장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거래가 이루어지는 장소로서의 시간과 공간, 그리고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화폐 등의 기술적·제도적 거래 수단이 필요하다[148]

시장은 학술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러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148]


  • 구체적 시장(concrete market): 일정 구획에 있는 기술적인 거래 시설과 거기에 모이는 거래자 집단을 합한 것이다. 채소 시장, 어시장, 상품 거래소 등이 있다[148]
  • 추상적 시장(abstract market): 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협상하는 추상적인 의미에서의 시장으로, 수요와 공급이 만나 가격이 형성되고 상품이 이동하는 곳을 의미한다[148]
  • 판로(outlet): 상품의 수요 측면을 강조하여 시장을 판로와 동의어로 사용하기도 한다[148]


시장 현상 연구는 일반적으로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장으로서의 시장(추상적 시장)을 대상으로 한다[148]。 자유 시장 경제란 시장으로부터의 정보(시장 정보)를 반영하여 기업가가 독자적으로 생산 계획, 판매 계획, 구매 계획 등 생산 활동을 하는 한편, 소비자도 독자적으로 소비 계획이나 구매 계획 등 소비 활동 결정을 하는 경제 모델을 말한다[149]

아랍어로는 수크, 페르시아어로는 바자르라고 불리는 시장이 열렸다. 처음에는 카라반의 도착 등에 맞춰 시장이 열릴 때마다 점포를 설치했지만, 상설 점포가 나타나기도 했다. 아바스 왕조의 도시에서는 초승달이 뜨는 날에 정기 시장이 열렸고, 제례 때마다 시장이 더해져 다양한 시장으로 상업이 번성했다. 대도시에서는 각지의 상인이 모이는 대시장과 거리의 소시장으로 나뉘어, 소매상들은 직종별로 같은 지역에서 가게를 열었다. 시장의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무흐타시브라고 불리는 감독관이 부정행위를 단속했다.

6. 사회학적 관점

시장은 학술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러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148] 시장은 단순한 경제적 교환의 장소를 넘어,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 교류가 일어나는 공간이라는 사회학적 관점으로도 볼 수 있다.

7. 한국 시장의 미래

한국 시장은 전통적인 재래시장의 침체와 대형 유통업체의 성장, 온라인 쇼핑의 확산 등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고, 경쟁을 통해 가격을 낮추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지역 경제의 붕괴와 소상공인의 어려움, 대기업의 독과점 심화 등 부정적인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한국 시장의 미래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균형 잡힌 대응을 통해 결정될 것이다. 전통적인 재래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기업의 독과점을 규제하고,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

최근에는 사회적 경제와 지역화폐 등 새로운 형태의 시장 모델이 등장하면서, 시장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 시장은 더욱 발전하고, 모든 경제 주체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market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5-26
[2] 웹사이트 "LaFleur Legal Marketing" – An Etymological History https://lafleur.mark[...] 2019-12-28
[3] 논문 "Going to Market in Antiquity" Franz Steiner
[4] 논문 "Commercial amphoras: The earliest consumer packages?"
[5] 논문 "Prehistories of Commodity Branding"
[6] 서적 The Urge to Splurge: A Social History of Shopping ECW Press
[7] 웹사이트 Herodotus: On The Customs of the Persians https://www.worldhis[...] 2019-12-28
[8] 논문 "Trade and Weighing Systems in the Southern Aegean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Iron Age: How Changing Circuits Influenced Glocal Measures" Oxbow
[9] 논문 "An Elite Infested Sea: Interaction and Change in Mediterranean Paradigms" Oxbow
[10] 간행물 "Persian Bazaar and Its Impact on Evolution of Historic Urban Cores: The Case of Isfahan"
[11] 간행물 "Persian Bazaar and Its Impact on Evolution of Historic Urban Cores: The Case of Isfahan"
[12] 문서 "Bazaar and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Iranian Traditional Cities" Tabriz Azad University
[13] 뉴스 "Herodotus on the Egyptians" Ancient History Encyclopedia 2012-01-18
[14] 서적 'Herodotus: The History of Herodotus'
[15] 웹사이트 The Economy of Ancient Greece http://eh.net/encycl[...] Economic History Association 2019-12-28
[16] 서적 Reinventing the Bazaar: A Natural History of Markets Norton
[17] 논문 "The Culture and Politics of Commerce"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8] LSJ κάπηλος
[19] 서적 Shopping Environments Elsevier
[20] 논문 "Going to Market in Antiquity" Franz Steiner
[21] 서적 The Fires of Vesuvius: Pompeii Lost and Found Harvard University Press
[22] 논문 "The World of the Golden Ass"
[23] 웹사이트 Shops and Shopping in Britain: from market stalls to chain stores https://www1.umassd.[...] University of Dartmouth 2019-12-28
[24] 웹사이트 Gazetteer of Markets and Fairs in England and Wales to 1516 https://archives.his[...] Institute for Historical Research 2019-12-28
[25] 서적 Everyday Life in Medieval England Hambledon and London
[26] 웹사이트 Gazetteer of Markets and Fairs in England and Wales to 1516 https://archives.his[...] Institute for Historical Research 2019-12-28
[27] 논문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arkets: A Business History Perspective"
[28] 서적 The Growth of the Medieval City: From Late Antiquity to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Routledge
[29] 서적 A History of Building Typ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서적 Shaping Medieval Markets: The Organisation of Commodity Markets in Holland, C. 1200 – C. 1450 Brill
[31] 서적 British Towns in Their European Setting A&C Black
[32] 서적 The Wheels of Commerce: Civilization and Capitalism, 15th to 18th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 서적 Provincial Towns in Early Modern England and Ireland: Chan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The British Academy, Oxford University Press
[34] 논문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arkets: A Business History Perspective"
[35] 논문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arkets: A Business History Perspective"
[36] 서적 Cultures of Commodity Branding Routledge 2016
[37] 웹사이트 Charter of Worcester http://www.buildingh[...] 2019-12-28
[38] 간행물 Market Regulation in 15th Century England Boydell Press
[39] 논문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arkets: A Business History Perspective 2011-03
[40] 서적 Ultimate Collection: 50+ Adventure Classics, Pirate Tales & Historical Novels – including Biographies, Historical Sketches, Poems and Essays 2016
[41] 간행물 The Culture and Politics of Commerce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12
[42] 서적 An Urban History of China Springer 2019
[43] 서적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ixth Century B.C.E. to Seventeenth Centu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44] 간행물 Shang Archa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5] 서적 An Urban History of China Springer 2019
[46]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Early Chinese History Routledge 2018
[47] 서적 An Urban History of China Springer 2019
[48] 서적 A History of Chinese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er 2014
[49] 서적 An Urban History of China Springer 2019
[50] 서적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ixth Century B.C.E. to Seventeenth Centu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51]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52] 서적 Did Marco Polo Go To China? Routledge 2018
[53] 서적 The Book of Sir Marco Polo the Venetian: Concerning the Kingdoms and Marvels of the East J. Murray 1875
[54] 서적 Ancient India and China: Trade Routes and Religious Exchanges, AD 1–600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55] 서적 Development of Accounting and Auditing Systems in China Routledge 2017
[56] 서적 City of Marvel and Transformation: Changan and Narratives of Experience in Tang Dynasty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5
[57] 웹사이트 How Bazaars Shaped Trade in Islamic Cities Before 1900 https://www.curation[...] 2024-07-30
[58] 논문 Circulation of Feathers in Mesoamerica http://journals.open[...] 2006-01-21
[59] 논문 Pochteca and mindalá: a comparison of long-distance traders in Ecuador and Mesoamerica 1978
[60] 논문 An argument for Classic Era Maya Market Exchange 2012
[61] 서적 Conflict in the Early Americas: An Encyclopedia of the Spanish Empire's Aztec, Incan and Mayan Conquest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8-27
[62] 서적 Principles of Economics Macmillan 1890
[63] 서적 Principles of Economics Macmillan 1920
[64] 웹사이트 marketplace https://www.merriam-[...] 2019-12-28
[65] 문서 Wholesale Markets: Planning and Design Manual (Fao Agricultural Services Bulletin) (No 90)
[66] 웹사이트 wet, adj. https://www.oed.com/[...] Oxford English Dictionary 2020-03-29
[67] 논문 Counting Farmers Markets
[68] 웹사이트 Definitions https://farmersmarke[...] 2019-12-28
[69] 뉴스 The 5 Best Food Halls in America http://www.bonappeti[...] Bon Appétit magazine
[70] 서적 Painting & the Market in Early Modern Antwerp Yale University Press 1998
[71] 서적 Painting & the Market in Early Modern Antwerp Yale University Press 1998
[72]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Cengage Learning 2010
[73]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Cengage Learning 2010
[74] 웹사이트 Les Halles de Paris à travers l'histoire https://www.histoire[...] 2019-12-28
[75] 서적 The Modern Part of an Universal History: From the Earliest Account of Time Richardson, London 1760
[76] 서적 The Modern Part of an Universal History: From the Earliest Account of Time Richardson, London 1760
[77] 논문 Analysis of Horticultural Production Trends in Botswana 2012
[78] 간행물 SADC markets? Farmer's Weekly 2016-05-26
[79] 웹사이트 Of Markets and Middlemen: The Role of Brokers in Ethiopia http://ageconsearch.[...] 2019-12-28
[80] 서적 Reinventing the Bazaar: A Natural History of Markets Norton, New York City 2002
[81] 웹사이트 Wakulima Market https://fortuneofafr[...] 2019-12-28
[82] 웹사이트 Kongowea market traders benefit from new stalls https://barakafm.org[...] 2024-01-20
[83] 웹사이트 Morocco's Mysterious Souks Lure Visitors Into History – and Danger https://www.chicagot[...] 2019-12-28
[84] 서적 Lost on the Way: Adventures in 40,000 Miles of Hitchhiking Bloomington 2011
[85] 웹사이트 Medina of Fez https://whc.unesco.o[...] 2019-12-28
[86] 뉴스 A Walk in Marrakesh: A Spider Web of Passageways https://www.nytimes.[...] 2024-01-20
[87] 서적 Food Security Among Small-Scale Agricultural Producers in Southern Africa Springer 2014
[88] 뉴스 Ongwediva fresh produce market opens for trade Namibian Sun 2013-12-01
[89] 간행물 Mapping the Competitive Food Chain in Tsambe, South Africa 2009-08-16/22
[90]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ourism and the Environment Ixon, Routledge 2013
[91] 서적 The Rough Guide to the Gambia Rough Guides 2004
[92] 간행물 Urban Wholesale Marketplaces for Fresh Produce in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Lessons Learned and Potential Applications for Asia Agribusiness Project 1993
[93] 서적 International Agri-food Chains and Networks: Management and Organization Wageningen Academics, Netherlands 2006
[94] 서적 China's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95] 웹사이트 Beijing renovates largest produce wholesale market http://www.china.org[...] 2019-12-28
[96] 웹사이트 Farewell, Beijing http://www.bjreview.[...] 2019-12-28
[97] 웹사이트 Wholesale Market https://www.producer[...] 2019-12-28
[98] 웹사이트 Beijing renovates largest produce wholesale market http://news.xinhuane[...] 2019-12-28
[99] 간행물 Urban Wholesale Marketplaces for Fresh Produce in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Lessons Learned and Potential Applications for Asia Agribusiness Project 1993
[100] 웹사이트 Gwangjang Market (광장시장) http://english.visit[...] Offici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9-12-28
[101] 간행물 Urban Wholesale Marketplaces for Fresh Produce in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Lessons Learned and Potential Applications for Asia Agribusiness Project 1993
[102] 뉴스 Taiwan, home to the best street food markets in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19-12-28
[103] 서적 Markets, Class and Social Change: Trading Networks and Poverty in Rural South Asia Palgrave 2001
[104] 간행물 History of Marketing in India Routledge, Oxford 2016
[105] 뉴스 At Camel Bazaar, Tourists Are The Oddities https://www.washingt[...] 2019-12-28
[106] 서적 Bazaar India: Markets, Society, and the Colonial State in Bih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7] 웹사이트 Agriculture Marketing {{!}} Types of Agri Markets in India https://www.indiaagr[...] 2019-12-28
[108] 웹사이트 wet market https://www.lexico.c[...] 2019-12-28
[109] 뉴스 Weekly 5: Traditional markets around the clock http://www.thejakart[...] 2014-12-19
[110] 웹사이트 Authentic Markets to Buy Handicrafts in Central Java - Indonesia Travel https://www.indonesi[...] 2024-01-20
[111] 서적 Proceedings of the 1st Annual Management, Business and Economic Conference (AMBEC 2019) Atlantis Press 2020
[112] 웹사이트 Markets in Kuala Lumpur http://www.malaysias[...] 2019-12-28
[113] 논문 The Nutritional Value of Indigenous Fruits and Vegetables in Sarawak 1998
[114] 웹사이트 Pudu Market {{!}} Kuala Lumpur, Malaysia Shopping https://www.lonelypl[...] 2019-12-28
[115] 웹사이트 Fifteenth Congress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enate.gov.ph[...] 2019-12-28
[116] 뉴스 In winter, farmers markets turn into value (added) villages The Washington Post 2011-01-12
[117] 간행물 Bazaar and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Iranian Traditional Cities
[118] 간행물 Bazaar and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Iranian Traditional Cities
[119] 서적 The Bazaar in the Islamic City: Design, Culture, and History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12
[120] 웹사이트 Iran: Iranian Architecture and Monuments: Bazaar of Isfahan http://www.iranchamb[...] 2019-12-28
[121] 뉴스 Strolling through Iran's Tabriz bazaar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2019-12-28
[122] 웹사이트 Israel's Amazing Open-Air Markets https://www.giltrave[...] 2019-11-28
[123] 웹사이트 A Guide to Israeli Food Markets https://www.myjewish[...] 2024-01-20
[124] 서적 Painting & the Market in Early Modern Antwerp Yale University Press 1998
[125] 서적 Les Passages Couverts Délégation à l'action artistique de la ville de Paris [AAVP] 1990
[126] 논문 Redressing Reform Narratives: Victorian London's Street Markets and the Informal Supply Lines of Urban Modernity 2006
[127] 웹사이트 A Policy & Research Review of UK Retail and Wholesale Markets in the 21st Century https://www.nabma.co[...] 2019-12-28
[128] 간행물 Markets Matter: Reviewing the evidence & detecting the market effect
[129] 간행물 Traditional Markets Under Threat: Why It's Happening and What Traders Can Do
[130] 논문 Traditional Retail Markets: The New Gentrification Frontier? 2016
[131] 서적 Everyday Life in Medieval England Hambledon and London 1994
[132] 서적 Provincial Towns in Early Modern England and Ireland: Chan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33] 논문 Redressing Reform Narratives: Victorian London's Street Markets and the Informal Supply Lines of Urban Modernity 2006
[134] 서적 Pictorial Half-hours of London Topography Knight 1851
[135] 서적 Firenze e provincia: Fiesole, le colline il Mugello, il Valdarno e il Chianti Touring Editore 2003
[136] 서적 Florence: A Complete Guide to the Renaissance City Touring Editore 1999
[137] 서적 Florence: A Complete Guide to the Renaissance City Touring Editore 1999
[138] 서적 Florence: A Complete Guide to the Renaissance City Touring Editore 1999
[139] 웹사이트 Mercats de Barcelona http://www.mercatsbc[...] 2019-12-28
[140] 간행물 Markets: The Barcelona Experience https://www.bcn.cat/[...]
[141] 간행물 "Basic Typology of the Public Buildings Presented on the Examples Built in Belgrade in the Period Between 1830 -1900"
[142] 웹사이트 Public Markets as a Vehicle for Social Integration and Upward Mobility http://www.pps.org/p[...] Ford Foundation
[143] 웹사이트 Alemany Farmers' Market – Real Estate Division http://sfgsa.org/ind[...] 2016-12-25
[144] 웹사이트 New Arcade Front Page https://arcade.dayto[...] 2020-05-10
[145] 간행물 Queen Victoria Market: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QVM
[146] 웹사이트 140 Years of Market History https://qvm.com.au/h[...] 2019-12-28
[147] 서적 Harvesting Development: The Construction of Fresh Food Markets in Papua New Guinea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48] 논문 市場についての覚書 https://agriknowledg[...] 農林省農業綜合研究所 2022-12-19
[149] 논문 "分析と経済政策" https://hdl.handle.n[...] 明治大学政治経済研究所 2022-12-19
[150] 문서 訳「(神農は)昼に市場を開き、民衆を呼びよせた。市場ではあらゆる商品が集まり、人々が交易して帰ると、それぞれは望む物を手に入れていた。(これは易経の卦を参考に行ったのだろう。)」全文『[[s:zh:周易/繫辭下|周易・繋辞伝下]]』第二章 - Wikisource
[151] 뉴스 ウノウ創業者の新会社コウゾウ、フリマアプリ「メルカリ」のiPhone版を公開 https://japan.cnet.c[...] CNET Japan 2013-07-23
[152] 논문 準市場経済(quasi-market economy)と市場経済:「準市場経済(quasi-market economy)の経済学」の定立と関連して https://hdl.handle.n[...] 立命館大学経済学会 2022-12-19
[153] 웹사이트 学会HP http://jsmd.jp/ 日本商業学会 2022-01-23
[154] 문서 中村勝 「市場史研究の人類学的方向-H・グリァスンに学ぶ-」(『沈黙交易』収録)
[155] 문서 『沈黙交易』第40項
[156] 문서 『人間の経済2』
[157] 문서 『市場と流通の社会史』1巻
[158] 웹사이트 Shops and Shopping in Britain: from market stalls to chain stores https://www1.umassd.[...] University of Dartmouth 2019-12-28
[159] 웹사이트 Gazetteer of Markets and Fairs in England and Wales to 1516 https://archives.his[...] 2019-12-28
[160] 서적 Everyday Life in Medieval England Hambledon and London
[161] 웹사이트 Gazetteer of Markets and Fairs in England and Wales to 1516 https://archives.his[...] 2019-12-28
[162] 논문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arkets: A Business History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3] 서적 The growth of the medieval city: from late antiquity to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4] 웹사이트 卸売市場法(昭和四十六年法律第三十五号)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12-28
[165] PDF 中央卸売市場と地方卸売市場の主な相違点及びメリット・デメリット http://www.shijou.me[...] 東京都中央卸売市場
[166] 웹사이트 卸売市場情報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167] 웹사이트 創世期から戦後の回復期 http://www.honjo-osa[...] 大阪市中央卸売市場本場
[168] 웹사이트 小売商業調整特別措置法(昭和三十四年法律第百五十五号)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12-28
[169] 웹사이트 小売商業調整特別措置法施行令(昭和三十四年政令第二百四十二号)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12-28
[170] 웹사이트 連合会会員名簿 http://mic.e-osaka.n[...] 大阪府小売市場総連合会
[171] 간행물 "Going to Market in Antiquity" Franz Stein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