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각화는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발견되는, 선사 시대 사람들이 바위나 동굴 벽면에 새긴 그림이나 조각을 의미한다. 아프리카, 스칸디나비아, 시베리아 등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신석기 시대와 후기 구석기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암각화는 문자 체계가 등장하면서 점차 감소했지만, 다양한 문화권에서 오랫동안 제작되었다. 암각화의 목적과 내용은 위치, 연대, 내용에 따라 여러 가설이 존재하며, 상징적 언어나 의사소통 방식, 지형 및 천문학적 표지, 의례 및 주술적 의미 등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진다. 암각화 연구는 고고학적, 미술적 측면에서 진행되며, 과거 사람들의 생활상, 문자의 기원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암각화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가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면미술 - 타실리나제르
알제리 남동부에 위치한 타실리나제르는 사암 암석림 지형과 다양한 암각화로 유명하며 과거 사바나 기후였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가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고원이다. - 암면미술 - 베히스툰 비문
다리우스 1세가 자신의 혈통, 통치, 반란 진압을 기록한 베히스툰 비문은 고대 페르시아어, 엘람어, 바빌로니아어로 작성되어 고대 페르시아 설형 문자를 해독하고 아케메네스 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2006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암각화 - 울산암각화박물관
울산암각화박물관은 울주군에 위치한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각석을 중심으로 국내 암각화 연구를 선도하는 전문박물관으로, 고래 형상 건물에 암각화 모형과 입체 영상 전시, 선사시대 생활상 자료, 어린이 전시관, 체험 시설,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암각화 - 알타의 암각화
노르웨이 알타 지역의 알타 암각화는 5천 년 동안 수렵 채집인들이 남긴 석기 시대와 초기 금속 시대의 암각화 유적으로, 동물과 인간 활동을 묘사하며 문화유산으로 보존되고 알타 박물관 등에서 전시된다.
암각화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암면 조각 |
설명 | 바위 표면에 새겨진 이미지 |
어원 | |
그리스어 | (페트로-) (페트라, '바위') (글리포, '새기다') |
언어별 명칭 | |
독일어 | (메어카체) |
스페인어 | (락세 도스 카르발로스) |
프랑스어 | (페트로글리프) |
로마자 표기 | petrogliph (페트로글리프) |
특징 | |
제작 방법 | 바위에 조각 |
종류 | 암면화와 함께 발견됨 |
분포 지역 | 세계 여러 지역 |
이미지 | |
![]() | |
![]() |
2. 역사
인류는 후세에 전하고 싶은 다양한 문양과 글자를 바위에 새겼는데, 이를 암각화라고 한다. 필기도구나 종이가 없던 고대인들이 남긴 기록, 글자, 문자 체계의 선구자로 주목받기도 하지만, 미국 하와이주 등에는 16세기나 17세기에 새겨진 비교적 새로운 것도 있다.[59] 근현대에도 종교적 의식이나 예술 목적으로 암각화를 새기기도 한다.
해외에서는 암각화(페트로그리프)뿐만 아니라 암석 예술(Rock art, 페트로그래프에 해당하는 동굴 벽화, 돌멘, 스톤헨지 등을 포함) 전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미국과 프랑스에서 연구가 활발하며, 유네스코에 연구 기관이 있고, 하버드 대학교 등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영어권에서는 '''바위에 새겨진 조각을 페트로그리프(Petroglyph), 바위에 그려진 그림을 페트로그래프(Petrograph)'''로 정의하여 구분한다.[60]
일본에서는 이러한 정의가 모호하여 페트로그리프와 페트로그래프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표현 모티프가 유사하고 영어 단어도 비슷하여 번역 과정에서 혼동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조각과 그림은 미술계에서도 명확하게 구분된다. 정확하게는 영어권 정의에 따라 바위에 새겨진 문양, 그림 조각만을 학문적으로 페트로그리프라고 부른다.
2. 1. 초기 암각화
암각화는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아프리카, 스칸디나비아, 시베리아 일부 지역에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발견된 많은 암각화는 신석기 시대와 후기 구석기 시대의 경계(약 1만 년에서 1만 2천 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약 7,000년에서 9,000년 전, 여러 가지 문자 체계의 전구체가 등장한 후 암각화의 존재와 제작은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그림과 표의 문자와 같은 다른 형태의 예술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암각화는 계속해서 만들어졌고 어느 정도 흔하게 남아 있었으며, 19세기와 20세기에 서구 문화와 접촉할 때까지 암각화를 계속 만들었던 문화를 포함하여 다양한 문화가 서로 다른 기간 동안 암각화를 사용했다.
가장 오래된 것은 우크라이나의 “카멘나야 모글랴”에 있는 것으로, 구석기 시대(약 1만 년에서 1만 2천 년 전)의 것으로 여겨진다. 7천 년에서 9천 년 전경에는 이모티콘이나 상형 문자와 같은 것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당시에는 전 세계적으로 암면 조각이 아직 일반적이었지만, 일부 문화권에서는 20세기에 서구 문화가 들어올 때까지 사용을 계속했다.
2. 2. 문자 체계의 등장과 암각화
약 7,000년에서 9,000년 전, 여러 가지 문자 체계의 전구체가 등장한 후 암각화의 존재와 제작은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그림과 표의 문자와 같은 다른 형태의 예술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암각화는 계속해서 만들어졌고 어느 정도 흔하게 남아 있었으며, 19세기와 20세기에 서구 문화와 접촉할 때까지 암각화를 계속 만들었던 문화를 포함하여 다양한 문화가 서로 다른 기간 동안 암각화를 사용했다.
2. 3. 한국의 암각화
이 문서는 한국의 암각화에 대한 내용이 아니므로, 주어진 원본 소스를 바탕으로 '일본의 암각화' 섹션으로 내용을 변경해야 합니다.다음은 수정된 출력입니다:
일본에서는 암각화의 존재가 확인되어 여러 단체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 선사 암면화 연구회는 홋카이도의 테누야 동굴과 후고페 유적(후고페 동굴) 연구에서 발전한 단체로, 주로 미술적인 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세계 각지에서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해외 학회에서 발표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1]
1994년 3월 28일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히코시마의 시 지정 문화재인 "히코시마 스기타 암각화"(1991년 5월 지정)에 흠집이 생긴 것이 발견되어 뉴스가 되었다. 같은 신문에 따르면, 1924년에 현지 주민이 발견하고, 1976년경부터 연구가 있었다고 한다.[1]
3. 내용 및 해석
암각화는 그 목적에 대해 위치, 연대, 내용에 따라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일부 암각화는 그것을 만든 사회에게 깊은 문화적, 종교적 의미를 지녔을 가능성이 높다.
해외에서는 암각화(Petroglyph)뿐만 아니라 암석 예술(Rock art) 전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미국과 프랑스에서 연구가 활발하며, 유네스코에 연구 기관이 있고 하버드 대학교 등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영어권에서는 바위에 새겨진 조각을 페트로그리프(Petroglyph), 바위에 그려진 그림을 페트로그래프(Petrograph)로 구분한다.[60] 반면 일본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모호하여 혼동이 보이기도 한다.
가장 오래된 암각화는 우크라이나의 “카멘나야 모글랴”에 있는 것으로, 구석기 시대(약 1만 년에서 1만 2천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7천 년에서 9천 년 전경에는 이모티콘이나 상형 문자와 같은 것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세계적으로 조사된 암각화를 분석한 결과, 기원전 3000년에서 7000년경의 암각화에는 대륙 전역에 걸쳐 공통점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흔히 볼 수 있는 무늬로는 웅크린 사람, 무한궤도(캐터필러), 사다리, 안대, 코코펠리(인디언의 신), 바퀴에 고정된 고리 등이 있다.
이러한 공통점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가설 | 내용 | 주요 인물 및 기타 |
---|---|---|
세계적 이동설 | 특정 집단이 어떤 지역에서 세계 각지로 이동했다는 설. | 존 콜링우드 브루스, 조지 테이트, 로널드 모리스 |
유전설 | 인간의 뇌에 유전적으로 계승된 구조가 있다는 설. | 카를 융, 미르체아 엘리아데 |
약물설 | 환각제를 사용하여 정신이 비정상적인 상태가 된 샤먼(무당)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설. | 데이비드 루이스-윌리엄스 |
3. 1. 상징적 언어 및 의사소통
많은 암각화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일종의 상징적 또는 의례적 언어나 의사소통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6] 일부 암각화는 원시 문자와 같은 유형의 상징적 의사소통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다.[7] 시베리아 비문은 초기 형태의 룬과 느슨하게 유사하지만 직접적인 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지형 윤곽 암각화와 같이 다른 암각화는 강과 같은 지형 또는 주변 지형을 더 명확하게 묘사하거나 나타낸다. 일부 암각화 지도는 길을 묘사하고 그 길을 따라 이동한 시간과 거리를 전달하는 기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 암각화 지도는 천문학적 표지 역할을 한다. 지리적 및 천문학적 중요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다른 암각화는 다양한 의례의 부산물이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도의 유적지에서는 일부 암각화가 악기 또는 "석고"로 확인되었다.[6]
서로 다른 대륙의 암각화는 유사점을 보인다. 사람들은 직접적인 주변 환경에서 영감을 받았겠지만, 공통된 양식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단순한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고, 특정 집단의 사람들이 어떤 초기 공통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주했음을 나타내거나 공통 기원을 나타낼 수도 있다. 1853년 조지 테이트는 버윅 자연주의자 클럽에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 자리에서 존 콜링우드 브루스는 조각이 "... 공통된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대중적인 생각을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를 나타낸다"는 데 동의했다.[8] 로널드 모리스는 스코틀랜드 암각화 목록에서 해석에 대한 104가지의 다른 이론을 요약했다.[9]
다른 이론에서는 암각화가 샤먼과 같은 영적 지도자들이 변성 의식 상태에서 새겼다고 제안한다.[10] 아마도 천연 환각제의 사용으로 유발되었을 것이다. 암각화와 동굴 벽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많은 기하학적 패턴(형태 불변량으로 알려짐)은 데이비드 루이스-윌리엄스에 의해 인간의 뇌에 내장되어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들은 종종 약물, 편두통 및 기타 자극으로 인한 시각 장애와 환각에서 발생한다.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의 암각화 연구소(RARI)는 칼라하리 사막의 산족 사이에서 종교와 암각화 사이의 현재 연결 고리를 연구한다.[11] 산족의 작품은 주로 그림이지만, 그 배후의 신념은 암각화를 포함한 다른 유형의 암각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RARI 웹사이트의 인용문을 따르면, 산족의 신념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연구원들은 예술이 화가들의 종교 생활에서 근본적인 부분을 차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예술은 바위면 뒤의 산족의 세계에서 온 것들을 포착했다. 영혼 생물이 사는 다른 세계로 춤추는 사람들은 동물의 형태로 여행할 수 있고, 황홀경에 빠진 사람들은 힘을 얻어 치유, 강우 및 사냥을 위해 가져올 수 있었다.[12]
3. 2. 지형 및 천문학적 표지
일부 암각화는 길을 묘사하고 그 길을 따라 이동한 시간과 거리를 전달하는 기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 암각화는 천문학적 표지 역할을 한다. 지리적 및 천문학적 중요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다른 암각화는 다양한 의례의 부산물이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도의 유적지에서는 일부 암각화가 악기 또는 "석고"로 확인되었다.[6]3. 3. 의례 및 주술적 의미
암각화의 목적은 위치, 연대, 내용에 따라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많은 암각화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상징적, 의례적 언어 또는 의사소통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암각화는 문화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을 가능성이 높다.[6]일부 암각화는 원시 문자와 같은 유형의 상징적 의사소통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다.[7] 예를 들어, 스칸디나비아의 북유럽 청동기 시대 글리프는 종교적 의미 외에도 부족 간의 영토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시베리아 비문은 초기 형태의 룬 문자와 유사하지만, 직접적인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 암각화 연구소(RARI)는 칼라하리 사막의 산족의 종교와 암각화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했다.[11] 산족의 신념에 따르면, 암각화는 화가들의 종교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은 바위면 뒤의 다른 세계에서 온 것들을 포착했으며, 춤추는 사람들은 동물의 형태로 여행하고, 황홀경에 빠진 사람들은 치유, 강우, 사냥을 위한 힘을 얻을 수 있었다고 믿었다.[12]
다른 이론에서는 암각화가 샤먼과 같은 영적 지도자들이 변성 의식 상태에서 새겼다고 제안한다.[10] 이들은 천연 환각제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암각화와 동굴 벽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기하학적 패턴(형태 불변량)은 인간 뇌의 작용으로 인해 약물, 편두통 등의 자극으로 인한 시각 장애와 환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4. 공통점과 지역적 특징
암각화는 제작 시기, 장소, 이미지 유형에 따라 다양한 목적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는 천문학 표식, 지도, 상징적 의사소통 형태로 여겨지며, 주변 지형을 나타내는 지형 윤곽 암각화는 길, 강, 이동 시간 및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6]인도의 암각화 중 일부는 록 곤이라는 악기로 확인되기도 한다.[6] 많은 암각화는 그것을 만든 사회에서 문화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을 것으로 추정되며, 후손에게 그 중요성이 전해지기도 한다. 스칸디나비아 북유럽 청동기 시대 이후의 기호는 종교적 의미 외에도 부족 간의 영토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 따라 방언이 존재하는 것처럼, 시베리아의 명문은 초기 룬 문자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요하네스버그의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 암각화 연구소(RARI)는 칼라하리 사막의 산족의 샤머니즘과 암각화의 관계를 연구했다.[11] RARI 웹사이트에 따르면, 산족의 신념은 화가들의 종교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림 뒤에는 다른 세계가 있다고 믿었다. 춤추는 사람은 동물의 형태로 다른 세계를 여행하고, 힘을 얻어 치료, 강우, 사냥을 이끌 수 있었다고 한다.[12]
세계적으로 조사된 암각화를 분석한 결과, 기원전 3000년에서 7000년경의 암각화에는 대륙 전역에 걸쳐 공통점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흔히 볼 수 있는 무늬로는 웅크린 사람, 무한궤도(캐터필러), 사다리, 안대, 코코펠리(인디언의 신), 바퀴에 고정된 고리 등이 있다.
이러한 공통점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가설 | 내용 | 주요 인물 및 기타 |
---|---|---|
세계적 이동설 | 특정 집단이 어떤 지역에서 세계 각지로 이동했다는 설. | 존 콜링우드 브루스, 조지 테이트, 로널드 모리스 |
유전설 | 인간의 뇌에 유전적으로 계승된 구조가 있다는 설. | 카를 융, 미르체아 엘리아데 |
약물설 | 환각제를 사용하여 정신이 비정상적인 상태가 된 샤먼(무당)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설. | 데이비드 루이스-윌리엄스 |
4. 연구의 의의 및 문제점
암각화 연구는 주로 고고학적 측면과 미술적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고고학적으로는 과거 사람들의 생활 풍습, 생활 방식, 기후 등을 추정하고 문자의 탄생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미술적인 가치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암각화 연구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 훼손 및 오인: 암석의 풍화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이나 움푹 들어간 부분이 암각화로 잘못 인식될 수 있다.
- 유적 훼손 및 위조: 유적 자체가 훼손되거나 위조되는 경우도 있어 연구에 어려움을 준다.
4. 1. 고고학적 측면
암각화의 목적은 위치, 연대, 내용에 따라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일부 암각화는 그것을 만든 사회에게 깊은 문화적, 종교적 의미를 지녔을 가능성이 높다. 많은 암각화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일종의 상징적 또는 의례적 언어, 의사소통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형 윤곽 암각화와 같이 다른 암각화는 강과 같은 지형 또는 주변 지형을 묘사하거나 나타낸다.일부 암각화 지도는 길을 묘사하고 그 길을 따라 이동한 시간과 거리를 전달하는 기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 암각화 지도는 천문학적 표지 역할을 한다. 지리적 및 천문학적 중요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다른 암각화는 다양한 의례의 부산물이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도의 유적지에서는 일부 암각화가 악기 또는 "석고"로 확인되었다.[6]
일부 암각화는 원시 문자와 같은 유형의 상징적 의사소통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다.[7] 스칸디나비아의 북유럽 청동기 시대의 후기 글리프는 가능한 종교적 의미 외에도 부족 간의 일종의 영토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암각화 양식은 비슷하거나 인접한 사람들로부터 지역 또는 지역적 "방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시베리아 비문은 초기 형태의 룬과 느슨하게 유사하지만 직접적인 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
서로 다른 대륙의 암각화는 유사점을 보인다. 사람들은 직접적인 주변 환경에서 영감을 받았겠지만, 공통된 양식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단순한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고, 특정 집단의 사람들이 어떤 초기 공통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주했음을 나타내거나 공통 기원을 나타낼 수도 있다. 1853년 조지 테이트는 버윅 자연주의자 클럽에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 자리에서 존 콜링우드 브루스는 조각이 "... 공통된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대중적인 생각을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를 나타낸다"는 데 동의했다.[8] 로널드 모리스는 스코틀랜드 암각화 목록에서 해석에 대한 104가지의 다른 이론을 요약했다.[9]
다른 이론에서는 암각화가 샤먼과 같은 영적 지도자들이 변성 의식 상태에서 새겼다고 제안한다.[10] 아마도 천연 환각제의 사용으로 유발되었을 것이다. 암각화와 동굴 벽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많은 기하학적 패턴(형태 불변량으로 알려짐)은 데이비드 루이스-윌리엄스에 의해 인간의 뇌에 내장되어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들은 종종 약물, 편두통 및 기타 자극으로 인한 시각 장애와 환각에서 발생한다.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의 암각화 연구소(RARI)는 칼라하리 사막의 산족 사이에서 종교와 암각화 사이의 현재 연결 고리를 연구한다.[11] 산족의 작품은 주로 그림이지만, 그 배후의 신념은 암각화를 포함한 다른 유형의 암각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RARI 웹사이트의 인용문을 따르면, 산족의 신념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연구원들은 예술이 화가들의 종교 생활에서 근본적인 부분을 차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예술은 바위면 뒤의 산족의 세계에서 온 것들을 포착했다. 영혼 생물이 사는 다른 세계로 춤추는 사람들은 동물의 형태로 여행할 수 있고, 황홀경에 빠진 사람들은 힘을 얻어 치유, 강우 및 사냥을 위해 가져올 수 있었다.[12]
가장 오래된 것은 우크라이나의 “카멘나야 모글랴”에 있는 것으로, 구석기 시대(약 1만 년에서 1만 2천 년 전)의 것으로 여겨진다. 7천 년에서 9천 년 전경에는 이모티콘이나 상형 문자와 같은 것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당시에는 전 세계적으로 암면 조각이 아직 일반적이었지만, 일부 문화권에서는 20세기에 서구 문화가 들어올 때까지 사용을 계속했다.
장소와 제작 시대, 이미지의 유형 등으로 추측되는 목적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이 있다. 일부 암각화는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표식, 지도 및 상징적인 의사소통의 다른 형태로 보인다. 지형 또는 주변 지역을 나타내는 암각화는 Geocontourglyph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길, 강, 시간과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그것들은 다른 의식의 부산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인도의 것은 록 곤이라는 악기로 확인되었다. 일부 암각화는 그것을 만든 당시 사회에서 문화적 또는 종교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 중요성은 후손에게 전해진다. 스칸디나비아 북유럽인의 청동기 시대 이후의 기호는 종교적 의미 외에도 부족 간의 영토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 따라 방언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시베리아의 명문”이라고 불리는 것은 거의 초기 형태의 룬 문자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요하네스버그의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 암석 예술 연구소(RARI)는 칼라하리 사막의 산족의 샤먼교와 암석 예술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했다. 산족의 미술품은 주로 그림이지만, 그 뒤에 있는 신념이 그것들을 이해하는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RARI 웹사이트에 따르면, 연구자들은 산족의 신념이 그 화가의 신앙 생활에 기본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림 뒤에는 다른 세계가 있다. 무용수가 동물의 형태로 날아오르고, 힘을 끌어들일 수 있었고, 치료, 인공 강우 및 사냥을 이끌 수 있었다고 한다.
주로 고고학적 측면과 미술적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고학적으로는 과거 사람들의 생활 풍습과 생활 방식, 때로는 기후 등을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자의 탄생을 탐구하는 데에도 귀중한 단서로 여겨진다. 또한 미술적인 가치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에서의 유효성 문제로는 암석의 풍화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이나 움푹 들어간 부분이 암각화라고 잘못 인식되는 경우나, 유적의 훼손이나 위조와 같은 문제가 제기된다.
4. 2. 미술적 측면
암각화는 그것을 만든 사회에게 깊은 문화적, 종교적 의미를 지녔을 가능성이 높다. 많은 암각화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상징적 또는 의례적 언어, 의사소통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6] 일부 암각화는 원시 문자와 같은 유형의 상징적 의사소통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다.[7]서로 다른 대륙의 암각화는 유사점을 보인다. 이는 단순한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고, 특정 집단의 사람들이 어떤 초기 공통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주했음을 나타내거나 공통 기원을 나타낼 수도 있다. 1853년 조지 테이트는 버윅 자연주의자 클럽에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 자리에서 존 콜링우드 브루스는 조각이 "... 공통된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대중적인 생각을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를 나타낸다"는 데 동의했다.[8] 로널드 모리스는 스코틀랜드 암각화 목록에서 해석에 대한 104가지의 다른 이론을 요약했다.[9]
다른 이론에서는 암각화가 샤먼과 같은 영적 지도자들이 변성 의식 상태에서 새겼다고 제안한다.[10] 아마도 천연 환각제의 사용으로 유발되었을 것이다. 암각화와 동굴 벽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많은 기하학적 패턴(형태 불변량으로 알려짐)은 데이비드 루이스-윌리엄스에 의해 인간의 뇌에 내장되어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들은 종종 약물, 편두통 및 기타 자극으로 인한 시각 장애와 환각에서 발생한다.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의 암각화 연구소(RARI)는 칼라하리 사막의 산족 사이에서 종교와 암각화 사이의 현재 연결 고리를 연구한다.[11] 산족의 작품은 주로 그림이지만, 그 배후의 신념은 암각화를 포함한 다른 유형의 암각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RARI 웹사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산족의 신념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연구원들은 예술이 화가들의 종교 생활에서 근본적인 부분을 차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예술은 바위면 뒤의 산족의 세계에서 온 것들을 포착했다. 영혼 생물이 사는 다른 세계로 춤추는 사람들은 동물의 형태로 여행할 수 있고, 황홀경에 빠진 사람들은 힘을 얻어 치유, 강우 및 사냥을 위해 가져올 수 있었다.[12]
암각화는 고대인들이 남긴 기록이나 글자, 문자 시스템의 선구자를 보여주는 것으로 주목받는 경우가 많지만, 미국하와이주 등에는 16세기나 17세기에 새겨진 비교적 새로운 것도 있다.[59] 또한 근세나 현대에도 종교적 의식의 목적이나 예술로 새겨지는 것도 많이 존재한다.
해외에서는 페트로그리프는 물론, 암석 예술(영어로 Rock art, 페트로그래프에 해당하는 동굴 벽화, 돌멘, 스톤헨지 등을 포함하는) 전반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미 프에서 연구가 활발하고, 유네스코에 연구 기관이 있는 외에도, 하버드 대학교 등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영어권에서는 '''바위에 새겨진 조각을 페트로그리프(Petroglyph), 바위에 그려진 그림을 페트로그래프(Petrograph)'''라고 정의하여 둘을 구분하고 있다.[60]
반면, 일본에서는 이러한 정의가 모호하여 페트로그리프와 페트로그래프를 혼동하는 묘사가 자주 보인다. 표현의 모티프가 유사하고, 영어 단어도 비슷하기 때문에 아마도 번역 과정에서 혼동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조각과 그림은 미술계에서도 명확하게 구분된다. 정확하게는 영어권의 정의에 따라 바위에 새겨진 문양·그림의 조각에 대해서만 학문적으로 페트로그리프라고 부른다.
암각화는 미술적인 가치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4. 3. 연구의 문제점
암각화 연구는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한다. 우선, 바위가 오랜 세월 동안 풍화 작용을 겪으면서 암각화가 훼손되거나, 풍화로 인한 균열이나 움푹 들어간 부분이 암각화로 오인될 수 있다. 또한, 유적 자체가 훼손되거나 심지어 위조되는 경우도 있어 연구에 어려움을 더한다.[60]5. 세계의 주요 암각화 유적
암각화는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특히 아프리카, 스칸디나비아, 시베리아 일부 지역에 많이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발견된 많은 암각화는 신석기 시대와 후기 구석기 시대의 경계(약 1만 년에서 1만 2천 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약 7,000년에서 9,000년 전, 여러 가지 문자 체계의 전구체가 등장한 후 암각화의 제작은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그림과 상형문자와 같은 다른 형태의 예술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암각화는 계속해서 만들어졌고, 19세기와 20세기에 서구 문화와 접촉할 때까지 암각화를 계속 만들었던 문화를 포함하여 다양한 문화가 서로 다른 기간 동안 암각화를 사용했다.
5. 1. 아시아




- 아르메니아
- 우흐타사르(Ughtasar)
- 파이타사르(Paytasar)
- 우르차조르(Urtsadzor)
- 아라가츠산(Aragats)[23]
- 게감산맥(Gegham mountains)
- Vardenis ridge)
- 아제르바이잔
- 고부스탄 주립보호구역(Gobustan State Reserve)
- 게미가야 암각화(Gamigaya Petroglyphs)
- 칼바자르 구(Kalbajar District)
- 갈라 주립 역사 민족지학 보호구역(Gala State Historical Ethnographic Reserve)
- 중국
- 헬란산(Helan Mountains) 은천시(Yinchuan)[24]
- 화안 조각(Hua'an Engravings)
- 신강(Xinjiang)의 강가 석문자(Kangjia shimenzi)[24]
- 련운강 암각화(Lianyungan Rock Engravings)
- 주하이 암각화(Petroglyphs in Zhuhai)
- 인산(Yin Mountains) 내몽골(Inner Mongolia)[24]
- 내몽골 치펑 암각화(Chifeng Petroglyphs)
- 동룡주
- 교서주
- 포대도
- 장주
- 석벽(홍콩의 란타오섬)
- 황죽갱 - 홍콩자이 근처.
- 대랑만(홍콩섬)
- 용하만(서공시)
- 음산산맥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홍콩
- 둥륭섬 (Tung Lung Island)
- 카우사이차우 (Kau Sai Chau)
- 포토이섬 (Po Toi Island)
- 청차우 (Cheung Chau)
- 란타우섬 (Lantau Island) 석픽 (Shek Pik)
- 홍콩섬 (Hong Kong Island) (황죽항 (Wong Chuk Hang), 빅웨이브베이 (Big Wave Bay, Hong Kong Island))
- 사이쿵 (Sai Kung District) 룽하완 (Lung Ha Wan)
- 인도
- 빔베트카 암석보호구역(Bhimbetka rock shelters)
- 쿠프갈 암각화(Kupgal petroglyphs)
- 쿠도피(Kudopi)
- 콘칸 암각화(Konkan Petroglyphs)
- 히왈레(Hiwale)
- 바르수(Barsu)
- 데비하솔(Devihasol)
- 에다칼 동굴(Edakkal Caves)
- 콜루르(Kollur)[25]
- 페루무칼(Perumukkal)
- 우나코티(Unakoti)
- 우스갈리말 암각화(Usgalimal rock engravings)[28]
- 라다크 암각화(Ladakhi rock art)[29]
- 콘칸(Konkan) 지역 (랏나기리(Ratnagiri), 라자푸르)[26]
- 이란
- 골파예간(Golpayegan)[33]
- 야프테 동굴(Yafteh cave)
- 티마레(Timareh)
- 이스라엘
- 기노사르 키부츠
- 하르 카르콤
- 네게브
- 일본
- 아와시마 신사 (기타큐슈시)[36]
- 후고프페 동굴, 홋카이도[24]
- 히키시마 (시모노세키시)[36]
- 미야지마[36]
- 테미야 동굴 (오타루시)[37]
- 요르단
- 와디 럼(Wadi Rum)
- 와디 파이나(Wadi Faynan)
- 카자흐스탄
- 콕수 강(Koksu River)
- 추미시 강(Chumysh (river)) 유역
- 일리 강(Ili River) 탐갈리 타스(Tamgaly Tas)
- 탐갈리(Tamgaly)
- 라오스
- 항아리 평원
- 레바논
- 루무유 암각화
- 몽골
- 몽골 알타이 산맥의 암각화군[38][39]
- 바얀오보 지역[40]
- 파키스탄
- 신드주의 고대 암각화
- 북부 지역 암각화
- 필리핀
- 앙고노 암각화(리살)
- 사우디아라비아
- "낙서 바위"
- 아르와
- 알자우프
- 낙타 조각 유적지
- 주바
- 자닌 동굴
- 야티브
- 밀리히야
- 자발 알라우즈
- 와디 담
- 와디 아부 우드
- 슈웨이미스
- 자발 알만주르 & 랫
- 하나키야
- 쉼리
- 비르 히마
- 타슬리스
- 알마가르
- 대한민국
- 반구대 암각화(울산광역시)
- 만산암각유적지
- 태국
- 파타엠 국립공원
- 라오스
- 사파 암각화
- 남단 암각화
- 예멘
- 에리오시 암각화(Eriosh Petroglyphs) (소코트라(Socotra))
- 키르기스스탄
- 촐폰아타
5. 2. 아프리카
아프리카는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암각화가 발견되는 곳 중 하나이며, 특히 아프리카 대륙에 암각화가 많이 집중되어 있다.
- 타실리나제르
- 비자르
- 남부 밤바리(랭고), 방가수; 서부 브와레
- 툴루
- 제벨 멜라
- 쿰발라
- 니올라 도아(Niola Doa)
- 니아리 계곡 (Niari Valley): 브라자빌에서 남서쪽으로 250km 떨어진 곳
- 쿠르타(Qurta): 나일 강 동쪽 제방, 상류 나일 계곡에 위치.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암각화(기원전 19,000~15,000년)들이 있는 누비아 사암(Nubian Sandstone) 지형.[13][14]
- 와디 함마마트(Wadi Hammamat): 깁트(Qift)에 있으며, 초기 이집트 왕조 이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조각과 비문이 있음. 동부 사막에서 알려진 유일한 채색 암각화와 기원전 4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집트 갈대배(reed boat) 그림도 포함.
- 남 시나이 반도(Sinai Peninsula)의 암각화 바위(Inscription Rock): 나바테아 시대부터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십자군 시대까지 다양한 조각과 글씨가 새겨진 큰 바위. 아인 후드라 오아시스에서 몇 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 주요 바위에서 약 1km 떨어진 나와미스(Nawamis)의 나바테아 무덤 근처에 두 번째 바위 유적지가 있으며, 낙타, 가젤 등 동물의 조각이 새겨져 있음. 1800년대에 이곳을 조사했던 최초의 고고학자들도 자신의 이름을 이 바위에 새겨 놓았다.
- 게벨 엘 실실라(Gebel el-Silsila) 지역: 기린 암각화가 발견. 특히 이집트 신왕국 시대(New Kingdom of Egypt) 동안 사원 건축을 위한 자재 채석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던 바위 표면에 기린 그림이 있음. 기린 그림은 아멘호테프 4세(Amenhotep IV)의 스텔라(stela) 근처에 위치. 그림의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아마도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Predynastic periods)의 것으로 추정.
- 티야
- 오고웨강 유역
- 에포나
- 엘라르메코라
- 콩고 붐바
- 린딜리
- 카야 카야
- 아카쿠스 산맥
- 우웨이나트 산
- 드라강 계곡
- 타우즈[15]
- 아카
- 스마라

- 트뷔펠폰테인(Twyfelfontein)
- 아이르 산맥 다부스 암석(Dabous Rock)에 있는 실물 크기의 기린 조각
- 드리코프스 섬 (Driekops Eiland) (킴벌리 근처)[16]
- 카루(Karoo) 지역, 북케이프 주의 ǀXam과 ǂKhomani 중심지 (ǀXam and ǂKhomani heartland)
- 킴벌리 근처의 와일드비스트 쿠일 암각화 센터 (Wildebeest Kuil Rock Art Centre)
- 북케이프 주 칼비니아(Calvinia) 근처의 케이스키(Keiskie)
- '''튀니지'''[17]
- 아인 칸푸스(Ain Kanfous)의 우에슬라티아 산(Oueslatia Mountain), 잠라(Zamla)[18] [19]
- 타메르자(Tamerza)(Tameghza)[20]
- 타타우인 주(Tataouine Governorate) 지역: 특히 곰라센(Ghomrassen)[21]과 스마르(Smar)[22]
- 북서주에 있는 냐맘웨지 폭포(Nyambwezi Falls)
- 알제리
- 타실리나제르
- 탄자니아
- 콘도아의 암각화 유적군
- 나미비아
- 투이펠스폰테인
- 보츠와나
- 초베 국립공원
- 츠오디로
- 리비아
- 타드라르트 아카쿠스
- 말라위
- 총고니 암각화 지역

5. 3. 유럽

- 보스코웬언, 세인트 버리언
- 컵과 링 표식이 있는 암석:
- * 노섬벌랜드
- * 더럼주
- * 일클리 무어, 요크셔
- * 가돔스 에지, 더비셔
- * 크레스웰 크래그스, 노팅엄
- 핀란드 한코 하우엔수올리(Hauensuoli)
- 퐁텐블로 숲의 선사시대 암각화
- 프랑스 메르깡투르 국립공원 메르베이유 계곡
- 뉴그레인지
- 노스
- 다우스
- 로크루
- 타라
- 클론핀로 석상
- 보헤 석상
- 이탈리아 세계유산 발카모니카의 암각화 (유럽 최대 규모, 35만 점 이상)
- 발카모니카 바뇨로 석비
- 이탈리아 시칠리아 제노베세 동굴
- 이탈리아 시칠리아 아다우라 동굴
- 이탈리아 발텔리나 그로시오의 암각화
- 녹매니(Knockmany)
- 세스 킬그린(Sess Kilgreen)
- 알타의 암각화 (1985년 세계유산)
- 노르웨이 중부의 암각화
- 뫼예르스투포센의 암각화
- 테네스의 암각화
- 포르투갈 코아 계곡의 선사 시대 암각화 유적지(Prehistoric Rock Art Sites in the Côa Valley)
- 노스에어셔(North Ayrshire) 에어셔 생활 및 의상 박물관 (Museum of Ayrshire Country Life and Costume)
- 버그헤드(Burghead) 버그헤드 황소상(Burghead Bull)
- 갤로웨이(Galloway) 타운헤드(Townhead)[41]
- 발로치마일 컵 앤 링 마크(Ballochmyle cup and ring marks)

- 갈리시아의 암각화
- 카나리아 제도(스페인)의 암각화[42]


- 러시아 카렐리아 공화국 백해 암각화
- 러시아 페트로자보츠크–오네가호 부근의 암각화 공원(Petroglyphs of Lake Onega and the White Sea)
- 톰스카야 피사니차 박물관(Tomskaya Pisanitsa Museum)
- 카노제로 암각화(Kanozero Petroglyphs)
- 하바롭스크 지방(Khabarovsk Krai) 시카치알얀(Sikachi-Alyan)
- 바시코르토스탄(Bashkortostan) 카포바 동굴(Kapova cave)
- 하카시아(Khakassia) 순두키 산맥 암각화(Sunduki Petroglyphs)
- 보후슬렌(타눔셰데) (1994년 세계유산)
- 외스테르예틀란드 히멜스타룬드 (노르셰핑 근처)
- 웁란드 엔셰핑
- 예탈란드 스코네 남서부
- 베스트라 예탈란드 알브헴
- 블레킹게 토르함
- 옹예르만란드 넠포르센
- 베스트만란드 헬예스타
- 쇠데르만란드 슬라그스타
- 예mtl란드 글뢰사
- 예mtl란드 예르데
- 헤르예달렌 플라트루에트
- 헤르예달렌 그란베르게트
- 키빅의 왕의 무덤
- 달라르나의 훼보드리스닝
- 움에오의 노르포르센[43]
- 쇠데르만란드 뉘셰핑의 슬레브로 암각화
- 카르스 카지즈만(Kagizman)
- 에르주룸 쿤니 동굴(Cunni Cave)
- 오르두 에사틀리(Esatli)
- 하카리 게바룩 계곡(Gevaruk Valley)
- 하카리 하카리 트리신(Hakkari Trisin)
- 베시파르막 랏모스
- 앙카라 규뒬(Güdül)
- 자포리자주 카미아나 모힐라
- 쿠르간 석비
- 펨브룩셔 가른 턴
이탈리아 발카모니카의 암각화
이탈리아 발카모니카의 암각화
이탈리아 발카모니카의 암각화
이탈리아 발카모니카의 암각화
스웨덴 타르눔의 암각화
스웨덴 브라스타드의 암각화
카나리아 제도의 암각화
스코틀랜드 에어샤이어의 암각화
스페인 갈리시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의 암각화
스페인 갈리시아 메이스의 암각화
스페인 갈리시아 무로스의 컵 모양 구멍
스페인 갈리시아 폰테카르데이라스의 사슴 그림과 컵 모양 구멍
- 아일랜드
- *뉴그레인지
- *노우스
- *도우스
- *타라 언덕
- 영국
- *노섬벌랜드
- *더럼
- 이탈리아
- *발카모니카의 암벽화
- 스웨덴
- *타르눔의 암벽화
- 스페인
- *이베리아 반도 지중해 연안의 암벽화
- 포르투갈
- *코아 계곡의 선사시대 암벽화
- 노르웨이
- *알타의 암각화
- 핀란드
- *한코
- 러시아
- *페트로자보츠크의 페트로그리프 공원
- *톰스카야 피사니차 (케메로보 근처)
5. 4. 아메리카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암각화는 "뿔 달린 작은 남자"로 알려져 있다. 과장된 음경을 가진 막대 인형을 묘사한 이 암각화는 브라질 중동부의 라파 두 산투 동굴에 새겨져 있으며, 기원전 12,000년~9,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44]아메리카 대륙의 암각화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주요 유적지 |
---|---|
아르헨티나 | |
아루바 | |
브라질 | |
칠레 | |
콜롬비아 | |
코스타리카 | 린콘 데 라 비에하 (과나카스테) |
도미니카 공화국 | |
그레나다 | 마운트 리치 암각화 |
가이아나 | 솔저 고 펫로그리프 |
니카라과 | |
파라과이 | 아맘바이 주 |
페루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카리브 암각화 (윙필드 매너 농장, 세인트키츠) |
수리남 | 코란타인 분지 |
트리니다드 토바고 | 카우리타 암각화 (트리니다드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아메리카 원주민 암각화) |
베네수엘라 | |
캐나다 | |
멕시코 | |
미국 |
5. 5. 오세아니아
- 오스트레일리아
- * 아넘랜드 / 카카두 국립공원
- * 킹스 캐니언 리조트 / 와타르카 국립공원
- * 고스퍼드 상형문자, 뉴사우스웨일스주 센트럴 코스트 (널리 고고학적 위조로 여겨짐)
- * 무루주가, 서호주 – 세계유산 등재 대상
- * 시드니 암각화, 뉴사우스웨일스주

6. 한국의 암각화
한국에는 선사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만들어진 다양한 암각화 유적들이 남아있다. 대표적인 암각화 유적으로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반구대 암각화가 있다. 반구대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고래, 거북, 물개, 사슴, 호랑이 등 다양한 동물 그림과 사냥 장면 등이 새겨져 있어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외에도 한국에는 여러 지역에서 암각화 유적이 발견되고 있다.
6. 1. 반구대 암각화
반구대 암각화6. 2. 기타 암각화 유적
반구대 암각화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있는 암각화 유적이다.7. 보존 및 활용
암각화는 오랜 세월 동안 자연과 인간의 영향을 받으며 훼손될 위험에 놓여 있다. 암각화의 보존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암각화 훼손을 막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접근 제한이다. 사람들의 손길이 닿지 않도록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관람객 수를 제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암각화 주변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낙서나 훼손 행위를 엄격히 금지해야 한다.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도 중요하다. 전문 인력을 통해 암각화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훼손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보존 처리를 해야 한다. 보존 처리에는 암석 표면 강화, 균열 보수, 이물질 제거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암각화 보존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3D 스캐닝 기술을 이용하여 암각화의 정밀한 디지털 복제본을 만들거나,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암각화는 단순한 문화유산을 넘어, 과거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암각화를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은 암각화의 가치를 높이고, 보존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암각화 박물관이나 전시관을 건립하여 일반인들에게 암각화를 소개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암각화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암각화 보존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암각화를 소중히 여기고, 훼손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Afric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45
[2]
서적
Europe Before Rome: A Site-by-Site Tour of the Stone, Bronze, and Iron 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
웹사이트
petrograph
https://www.merriam-[...]
Encyclopædia Britannica
2020-11-26
[4]
서적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Random House
2001
[5]
학술지
Ages for Australia's oldest rock paintings
https://www.nature.c[...]
2021-02-22
[6]
뉴스
Ancient Indians made 'rock music'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3-19
[7]
학술지
The Archaeology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https://www.annualre[...]
2004-10-01
[8]
서적
Northumberland's Prehistoric Rock Carvings: A Mystery Explained
Pendulum Publications
1868
[9]
서적
The Prehistoric Rock Art of Galloway and The Isle of Man
Blandford Press
1979
[10]
서적
A Cosmos in Stone: Interpreting Religion and Society through Rock Art
Altamira Press
2002
[11]
웹사이트
Rockart.wits.ac.za
http://rockart.wits.[...]
[12]
웹사이트
Rock Art Research Institute (RARI)
https://www.wits.ac.[...]
2017-09-09
[13]
학술지
First evidence of Pleistocene rock art in North Africa: securing the age of the Qurta petroglyphs (Egypt) through OSL dating
https://www.cambridg[...]
2023-05-30
[14]
학술지
Egypt: The Aurochs of Qurta
https://www.world-ar[...]
2023-05-30
[15]
서적
The Chariots of Sahara
Adoranten
2000
[16]
서적
Karoo rock engravings
Krakadouw Trust
2008
[17]
학술지
The Rock Art of Tunisia When, Why and to whom?
https://www.research[...]
2015-06
[18]
학술지
Ousselat (Jebel — ; Tunisie) : Préhistoire et art rupestre
https://journals.ope[...]
2013-06-02
[19]
학술지
Les peintures rupestres de l'abri de Zamla (Jebel Ousselat – Tunisie centrale) : la représentation d'une planimétrie agraire ?
https://www.research[...]
2021-11
[20]
학술지
Peinture Rupestre du Djebel-Bliji (Sud -Tunisien)
https://www.persee.f[...]
1911
[21]
학술지
Les peintures rupestres de Ghomrassen
https://www.ccsp.it/[...]
2009
[22]
학술지
Les gravures rupestres d'Aïn Charchara (Smar-Tataouine; Sud-Est tunisien)
https://www.scienced[...]
2020-10-01
[23]
학술지
The Rock Art of the Mt. Aragats System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07-01
[24]
백과사전
East Asia: Rock Art
Springer
[25]
뉴스
Dolmen with petroglyphs found near Villupuram
http://www.thehindu.[...]
Beta.thehindu.com
2009-09-19
[26]
웹사이트
Prehistoric art hints at lost Indian civilisation
https://www.bbc.com/[...]
2018-10-01
[27]
웹사이트
12000-year-old-petroglyphs-in-india
https://medium.com/@[...]
2018-11-08
[28]
웹사이트
Prehistoric Goan Shamanism
http://www.navhindti[...]
[29]
웹사이트
Petroglyphs of Ladakh: The Withering Monuments
http://www.tibetheri[...]
[30]
뉴스
The petroglyphs of Ratnagiri
https://www.thehindu[...]
2018-10-20
[31]
웹사이트
Iran Petroglyphs – سنگ نگاره های ایران Iran Petroglyphs
http://iranrockart.c[...]
[32]
웹사이트
Middle East Rock Art Archive – Iran Rock Art Gallery
http://www.bradshawf[...]
[33]
웹사이트
Archaeologist uncovers 'the world's oldest drawings'
https://www.independ[...]
2016-12-12
[34]
웹사이트
Iran Petroglyphs
http://iranrockart.c[...]
[35]
웹사이트
Iran Petroglyphs, Ideogram Symbols, Rock Museums Rock Arts (Iran Petroglyphs)
https://www.independ[...]
[36]
서적
The Handbook For Petrograph Fieldwork
Chou Art Publishing
[37]
서적
The Handbook For Petrograph Fieldwork
Chou Art Publishing
[38]
웹사이트
Petroglyphic Complexes of the Mongolian Altai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3-02-12
[39]
논문
Rock Art and Archaeology: Investigating Ritual Landscape in the Mongolian Altai. Field Report 2011
http://www.mnh.si.ed[...]
The Arctic Studies Center,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40]
서적
Discovery of Prehistoric Ruins in Gobi Desert
Scandinavian Society for Prehistoric Art
1998
[41]
웹사이트
British Rock Art Blog | A Forum about Prehistoric Rock Art in the British Islands
http://rockartuk.wor[...]
2013-08-18
[42]
웹사이트
Photos
https://web.archive.[...]
2013-02-12
[43]
웹사이트
Umeå, Norrfors
http://www.europrear[...]
2013-08-18
[44]
뉴스
Call this ancient rock carving 'little horny man'.
https://www.nbcnews.[...]
2012-04-09
[45]
웹사이트
Settlers at La Silla
http://www.eso.org/p[...]
2017-06-06
[46]
뉴스
Llamas at La Silla
http://www.eso.org/p[...]
2014-04-29
[47]
웹사이트
Ometepe Island Info – El Ceibo
https://ometepeislan[...]
2017-03-05
[48]
웹사이트
Petroglyph Provincial Park, Nanaimo, Vancouver Island BC
https://web.archive.[...]
2013-02-12
[49]
웹사이트
Petroglyph Park - Gabriola Museum
http://gabriolamuseu[...]
2018-04-14
[50]
웹사이트
Petroglyphs - Temagami's Rare Works of Art
https://www.northern[...]
2020-08-23
[51]
서적
Indian Rock Art of the Columbia Plateau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2-07
[52]
웹사이트
Petroglyph Canyon Tours
http://www.desertusa[...]
2013-02-12
[53]
웹사이트
Ginkgo Petrified Forest State Park
http://www.historyli[...]
[54]
웹사이트
Grimes Point National Recreation Trail, Nevada BLM Archaeological Site
https://web.archive.[...]
2013-02-12
[55]
웹사이트
Museums & Historic Sites
https://web.archive.[...]
2013-02-12
[56]
웹사이트
Paint Lick
https://web.archive.[...]
2013-08-18
[57]
웹사이트
Petroglyph National Monument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58]
웹사이트
Three Rivers Petroglyph Site
https://web.archive.[...]
2013-02-12
[59]
웹사이트
ルアヒワペトログリフとは
https://kotobank.jp/[...]
[60]
웹사이트
Petroglyph vs Petrograph - What's the difference?
https://wikidiff.com[...]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유네스코 세계유산 ‘반구대 암각화’ 완전 침수···훼손 가속화 우려
50년 전 세상 놀라게 한두 바위그림…반복된 '침수' 설움 떨칠까
어미 고래의 애틋함·활 쏘는 사람…'세계유산' 암각화 속 그림
이 대통령 ‘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에 “마음 깊이 환영”
[속보] 선사시대 담긴 ‘반구천 암각화’ 한국 17번째 세계문화 유산 등재
울산 ‘반구천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결정
[TV 하이라이트]2025년 7월 1일
옻칠 그림에 떠 옮긴 고대 선조 그림들…‘우주 떠받친 역사’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