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나라의 이슬람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나라의 이슬람교는 몽골 제국이 중국을 지배하던 원나라 시기에 이슬람교가 중국 내에서 성장하고 정착한 역사를 다룬다. 몽골 제국은 색목인으로 불린 무슬림들을 등용하여 행정, 재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며 이슬람 문화를 장려했으나, 원나라는 이슬람교로 개종하지 않았다. 원나라 말기에는 반무슬림 정책으로 이슬람교도들의 반발을 샀으며, 이스파 병란과 같은 사건이 발생했다. 이슬람교는 과학, 기술,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이슬람 과학자들은 달력 제작과 천문학 연구에 기여했고, 이슬람 건축가들은 원나라 수도 건설에 참여했다. 원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이슬람 공동체는 중국 내에서 존속하며 명나라 시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나라의 이슬람교 - 이스파 반란
    이스파 반란은 14세기 원나라 시대 푸젠성 취안저우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수니파와 시아파 무슬림 간의 갈등으로 인해 발생하여 취안저우의 국제 무역항 지위를 쇠퇴시켰다.
  • 중국의 이슬람교 - 우출
    중국 하이난성에 거주하는 우출은 참파에서 이주한 난민의 후손으로 추정되며, 토착 흘라이족과 유전적으로 가깝고, 제2차 중일 전쟁 중 피해를 입었으며, 말레이시아 총리의 외조부 혈통으로도 알려져 있다.
원나라의 이슬람교
개요
종교이슬람교
시기원나라
인구 비율소수
역사적 배경
정치적 상황몽골 제국의 확장과 원나라 건립
종교적 관용 정책다양한 종교 허용, 이슬람교 역시 예외 아님
주요 인물
사이드 아잘 샤 샴스 알딘 오마르윈난성 통치, 이슬람 공동체 지원
야흐야 오마르사이드 아잘의 아들, 아버지의 정책 계승
문화적 영향
건축중국 내 모스크 건축 양식에 영향
과학 및 기술이슬람 과학 지식의 중국 전파
음식 문화회족 음식 문화 형성에 기여
원나라의 이슬람교 현황
이슬람 공동체주로 페르시아, 중앙아시아 출신 무슬림으로 구성
경제적 역할무역 및 상업 활동 주도
사회적 지위일부는 고위 관료로 등용
종교 활동
모스크주요 도시 중심으로 모스크 건설
종교 의례이슬람식 예배 및 축제 거행
교육이슬람 교육 기관 설립
쇠퇴 및 영향
원나라 멸망이슬람 공동체 위축
명나라이슬람교에 대한 정책 변화
회족 문화중국 내 이슬람교의 지속적인 영향

2. 역사

원나라 시대 이슬람교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에는 몽골 제국의 일부였던 원나라가 이슬람교로 직접 개종하지는 않았으나, 제국 통치를 위해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 출신 무슬림들을 색목인으로 우대하며 적극 등용했다.[3][4] 이들은 행정, 과학,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5] 원 왕조의 이주 장려 정책으로 수십만 명의 무슬림이 중국으로 이주하여 중국 동북부와 윈난성 등지에 이슬람 공동체를 형성했다.[8][28] 이 시기 이슬람 문화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15][16][17][6]

그러나 원나라 중·후기로 접어들면서 무슬림에 대한 정책이 변화하여, 기존의 특권을 축소하고 할랄 도축이나 할례 같은 고유 관습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반(反)무슬림 법령이 시행되었다.[29][30][9][10][11] 이러한 정책 변화는 무슬림 공동체의 불만을 야기했고, 결국 1357년부터 1367년까지 푸젠성 천주(泉州)에서 이스파 병란과 같은 몽골 지배에 대한 저항으로 이어졌다.[29][30]

원나라 말기 이스파 병란 진압 과정과 명나라 교체기에는 천주 지역에서 무슬림에 대한 대규모 학살이 발생했다.[31][40] 이 사건으로 천주의 무슬림 공동체는 큰 타격을 입었고 국제 무역항으로서의 지위도 잃었다. 생존자 중 일부는 중국 내 다른 지역으로 피신하거나 동남아시아 등지로 이주하여 이슬람교 전파에 영향을 미쳤다.[43][45] 명나라 건국 초기에는 홍무제영락제이슬람교에 대해 일부 관용 정책을 폈으나,[42] 해금령 시행과 지속적인 사회적 차별 속에서 중국 내 이슬람 공동체는 변화와 적응의 시기를 맞이했다.[40][42]

2. 1. 중국 내 이슬람의 성장과 정착 (원나라 초기)

중국 산동 지역에 세워진 제남청진남대사(济南清真南大寺). 테무르 칸(원 성종) 시절에 완공되었다.


원나라는 서쪽의 다른 칸국들과 달리 이슬람교로 개종하지는 않았지만, 제국 통치를 위해 다양한 배경의 외국인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특히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 출신의 무슬림들은 몽골인 다음가는 높은 지위를 누렸는데, 이들은 '여러 종류의 눈 색깔을 가진 사람들'이라는 의미의 색목인(色目人)으로 불리며 원나라 사회의 중요 구성원이 되었다.[3] 원 왕조는 중국 본토의 유교 학자 대신 이들 색목인을 비롯한 외국인들을 제국의 요직에 배치하여 활용했다. 이는 한족과 거란족 출신 관료를 중앙아시아 부하라와 같은 지역의 행정관으로 보내 현지 무슬림을 관리하게 한 것처럼, 외국인을 이용하여 각 지역 토착민의 힘을 견제하려는 정책의 일환이기도 했다.[4]

원 왕조는 페르시아인, 아랍인, 투르크계 주민 등 무슬림들의 중국 이주를 적극적으로 장려했으며, 이 과정에서 수십만 명의 무슬림이 중국으로 이주하여 엘리트 계층으로 자리 잡았다. 쿠빌라이 칸(원 세조) 시대에는 제국을 12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누어 관리했는데, 이란의 역사가 라시드 웃딘 하마디니에 따르면 12명의 총독 중 8명이 무슬림이었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도 무슬림들이 부총독을 맡는 등 행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6][5]

당시 원나라의 역사 기록에는 1만 명이 넘는 무슬림의 이름이 확인될 정도로 이들의 활동이 활발했다. 원나라 후기 한문 자료에서는 이슬람 신자를 가리키는 표준 용어로 '회회(回回)'가 사용되었는데, 이 단어는 고려에도 전해져 무슬림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건축 분야에서도 무슬림의 영향력을 엿볼 수 있는데, 베이징 중심부 베이하이 공원 호수에 있는 인공섬 경화도(琼华岛)는 예헤이디얼딩(아미르 알딘)이라는 회회인의 지휘 아래 설계되었다.[27][6]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슬림들은 주로 중국 동북부(만주 헤이룽장성 지역)와 윈난성 일대에 이슬람 공동체를 형성하며 정착했다. 이들 공동체의 후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현지 한족과 융화되면서도 독자적인 이슬람 문화와 정체성을 보존하려는 노력을 이어갔다.[28][8] 14세기 원나라 말기에는 중국 내 무슬림 인구가 400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25][7]

2. 1. 1. 몽골 제국의 이슬람 문화 수용



몽골 제국의 일부였던 원나라는 서쪽의 다른 칸국들과 달리 이슬람교로 개종하지 않았다. 그러나 원 왕조의 통치자들은 무슬림뿐만 아니라 유대인, 기독교인(주로 네스토리우스파), 한족, 거란족, 여진족 등 다양한 종교와 민족 배경을 가진 외국인들의 지위를 높여주었다. 특히 페르시아인, 아랍인, 유대인,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도, 티베트 불교 신자 등 많은 외국인들이 제국의 중요한 자리에 임명되었다. 중국 본토의 유교 학자들 대신, 중앙아시아 및 서아시아 출신의 외국인들이 고위직에 오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색목인(色目人)이라고 불렀다.[3] 몽골인들은 중국 통치를 위해 서아시아 출신 무슬림을 활용하는 동시에, 중앙아시아 부하라와 같은 지역에는 중국의 한족과 거란족을 행정관으로 파견하여 양쪽 지역 모두에서 토착 세력의 힘을 견제하고자 했다.[4]

원나라 시기에는 아랍계, 페르시아계, 투르크계 주민들의 중국 이주가 활발했으며, 원 왕조는 무슬림의 이주를 장려하기도 했다. 쿠빌라이 칸(원 세조) 재위 기간 동안 원 제국은 12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관리되었는데, 이란의 역사가 라시드 웃딘 하마디니에 따르면 12명의 총독 중 8명이 무슬림이었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도 무슬림들이 부총독을 맡고 있었다고 한다.[26][5] 당시 원나라의 역사 기록에는 1만 명이 넘는 무슬림의 이름이 등장하며, 원나라 말기 한문 자료에서는 이슬람 신자를 가리키는 표준 용어로 '회회'(回回)가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고려에도 전해져 무슬림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건축 분야에서도 무슬림의 활약이 두드러졌는데, 베이징 중심부 베이하이 공원 호수에 있는 인공섬 경화도(琼华岛)는 예헤이디 에르딩(也黑迭兒丁, 아미르 알-딘)이라는 회회인의 지휘 아래 설계되었다.[27][6] 14세기 원나라 말기에는 중국 내 무슬림 인구가 400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25][7]

무슬림 과학자들은 특히 천문학과 달력 제작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쿠빌라이 칸이란 출신 학자들을 베이징으로 초빙하여 천문대와 천문 연구 기관을 건설하게 했다.[15] 페르시아 천문학자 자말 앗 딘은 쿠빌라이 칸에게 7개의 페르시아 천문 기구를 선물하기도 했다.[16] 또한 이슬람 지리학 지식도 원나라 시기에 중국에 전파되어, 이후 명나라 시대에 제작된 현존 동아시아 최고(最古)의 세계 지도대명혼일도에서 서쪽 지역을 묘사하는 데 활용되었다.

무슬림 의사들과 아랍어 의학 서적, 특히 해부학, 약리학, 안과학 관련 지식도 활발히 소개되었다.[17] 알코올 중독과 통풍을 앓았던 쿠빌라이 칸은 의사들에게 높은 지위를 부여했으며, 이슬람 세계에서 전래된 새로운 약재와 처방은 기존의 중의학 연구에도 영향을 주었다.[15] 이 시기 중국에 소개된 대표적인 이슬람 의학 서적으로는 아비센나의 『의학 정전』(Canon of Medicine)이 있으며, 이 책의 상당 부분이 중국어로 번역되어 쿠빌라이 칸이 임명한 시리아 출신 네스토리우스파 통역사이자 과학자 이사 타르자만(Isa Tarjaman)의 주도로 『회회약방』(回回藥方, 회회 민족의 처방)이라는 책에 통합되었다.[18][19]

2. 1. 2. 색목인의 역할과 영향

원나라중국 대륙을 통치하면서도 서부의 다른 칸국들과 달리 이슬람교로 개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원 왕조의 통치자들은 서아시아 출신의 외국인들의 지위를 높였는데, 특히 이슬람교를 믿는 페르시아인아랍인 등을 적극적으로 등용했다. 이들은 몽골인 다음가는 지위를 누렸으며, '여러 종류의 눈 색깔을 가진 사람들'이라는 의미의 색목인(色目人)으로 불렸다.[3] 원나라는 이들 색목인을 중국 본토의 유교 학자들 대신 제국의 고위직에 배치하여 활용했다. 이는 한족과 거란족 출신 관료를 중앙아시아 부하라와 같은 지역의 행정관으로 보내 현지 무슬림을 관리하게 한 것처럼, 외국인을 이용하여 각 지역 토착민의 힘을 견제하려는 정책의 일환이기도 했다.[4]

색목인은 원나라의 행정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쿠빌라이 칸(원 세조) 시대에 원 제국은 12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관리되었는데, 이란의 유명한 역사가 라시드 웃딘 하마디니의 기록에 따르면 12명의 총독 중 8명이 무슬림이었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도 무슬림들이 부총독을 맡고 있었다고 한다.[5][26] 당시 원나라의 역사 기록에는 1만 명이 넘는 무슬림의 이름이 등장하며, 원나라 후기 한문 자료에서는 이들을 지칭하는 표준 용어로 '회회(回回)'가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고려에도 전해져 무슬림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행정 분야 외에도 색목인들은 기술과 문화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대표적인 인물로 건축가 예헤이디얼딩(아미르 알딘)을 들 수 있다. 그는 한족의 건축 양식을 배우고 이를 활용하여 원나라의 수도 대도(大都, 튀르크인들에게는 Khanbaliq|칸발리크trk으로 알려짐) 건설을 설계하고 총괄했다.[21][51] 대도 건설은 1264년 성곽 축조를 시작으로 1274년부터는 황궁 건설이 이어졌으며, 도시 설계는 중국 고전인 《주례》(周禮)의 원칙을 따라 '구경구위'(九經九緯), '전조후시'(前朝後市), '좌묘우사'(左廟右社) 등의 격식을 갖추었다.[22][52] 아미르 알딘은 또한 베이징 중심부 베이하이 공원 호수에 있는 인공섬 경화도(琼华岛)의 설계와 건설을 지휘하기도 했다.[6][27] 대도는 1270년대에 공식적으로 원나라의 수도가 되었으나, 일부 구역은 1293년까지 공사가 계속되었다.[22][52]

이처럼 색목인들은 원나라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며 중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이주는 원나라 시기 동안 가속화되었으며, 14세기에는 중국 내 무슬림 인구가 400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7][25] 특히 중국 동북부(만주)와 윈난 성 지역을 중심으로 이슬람 공동체가 형성되었고, 이들 후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현지 한족과 융화되면서도 독자적인 이슬람 문화와 정체성을 보존하려는 노력을 이어갔다.[8][28] 색목인은 단순한 이주민을 넘어 원나라의 통치 구조와 문화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집단이었다.

2. 2. 원나라의 무슬림 정책 변화와 반발 (원나라 중기)

원나라 중기를 지나 말기에 접어들면서 초기와는 달리 무슬림에 대한 정책 기조가 점차 변화하기 시작했다. 원 왕조는 반(反)무슬림 및 반색목인 법령을 통과시키며, 기존에 무슬림 색목인들이 누리던 각종 특권을 축소하고 이슬람 고유의 관습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29][30][9][10][11]

이러한 일련의 정책 변화는 원나라무슬림 공동체의 불만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14세기 중반에 이르러 이러한 불만은 몽골 지배에 대한 직접적인 저항으로 표출되었으며, 복건성 천주(泉州) 지역에서 발생한 이스파 병란(1357년~1367년)과 같이 무슬림들이 반란 세력에 가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29][30] 이 시기 무슬림 사회 내부의 종파 갈등[31]과 해상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한 무슬림 상인들에 대한 한족의 반감[30] 역시 이러한 반발과 갈등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2. 2. 1. 무슬림 특권 제한

원 왕조는 말기에 이르러 반무슬림, 반색목인 법령을 통과시키고 기존에 무슬림 색목인에게 부여했던 특권을 폐지하기 시작했다. 1340년에는 결혼 시 이슬람 전통 대신 유교 예법을 따르도록 강요했으며,[29][30] 1329년에는 무슬림을 포함한 모든 외국 성직자들에게 주어졌던 세금 면제 혜택이 폐지되었다.[29][30] 또한 1328년에는 중국 내 무슬림 공동체의 지도자인 카디(قاضي|카디ara) 제도가 폐지되었는데, 이는 이미 1311년부터 그 권한이 제한되고 있었다.[29][30]

칭기즈 칸과 그를 계승한 원나라 황제들은 이슬람의 전통 관습인 할랄 방식의 도축과 할례를 금지하기도 했다.[9] 칭기즈 칸무슬림유대인을 직접 "노예"라고 칭하며, 그들이 할랄이나 코셔 방식 대신 몽골 방식으로 도축된 고기를 먹도록 강요했다.[10] 다음은 칭기즈 칸의 관련 발언과 쿠빌라이 칸 시대의 법령 내용이다.[11]

모든 [피지배] 이민족 중에서 오직 회회인만이 "우리는 몽골 음식을 먹지 않는다"고 말한다. [칭기스 칸은 대답했다:] "하늘의 도움으로 우리가 너희를 평정했으니, 너희는 우리의 노예이다. 그런데도 너희는 우리의 음식을 먹거나 마시지 않는다니, 어찌 정당하다 하겠는가?" 그는 즉시 그들에게 음식을 먹게 했다. "만약 양을 도살한다면, 너는 죄를 지은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그는 그러한 내용의 법규를 발포했다 ... [쿠빌라이 칸 치세인 1279/1280년에] 모든 무슬림은 말한다: "만약 다른 사람이 [동물을] 도살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먹지 않을 것이다." 가난한 사람들이 이 때문에 화가 났으므로, 이제부터 무슬림 회회인과 주후[유대인] 회회인은 누구가 [동물을] 죽이든 [그것을] 먹을 것이며, 스스로 양을 도살하는 것을 중단하고, 할례 의식도 중단해야 한다.[11]


이러한 일련의 억압 정책은 무슬림들의 불만을 야기했고, 14세기 중반 이스파 병란과 같이 무슬림들이 원나라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반란에 가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29][30]

2. 2. 2. 이스파 병란과 무슬림 학살

원 왕조 말기에 이르러, 몽골 조정은 반(反)무슬림 및 반색목인 정책을 강화하며 기존에 무슬림 색목인에게 부여했던 특권을 축소하기 시작했다. 1340년에는 혼례 시 유교 예법을 따르도록 강요했고, 1329년에는 무슬림을 포함한 모든 외국 성직자에게 주어졌던 면세 혜택을 폐지했다. 1328년에는 이미 1311년부터 권한이 제한되던 이슬람 율법관 카디 제도를 완전히 폐지했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 변화는 14세기 중반 무슬림들이 몽골 지배에 대한 반감을 키우고 반란 세력에 가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29][30]

1357년부터 1367년까지 복건성 천주(泉州)를 중심으로 '이스파 병란'이라 불리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은 이시박시(Ispah) 출신 페르시아계 무슬림 수비대가 주도했으며, 초기 지도자는 페르시아 상인 아미르 앗딘(阿迷里丁)과 사이프 앗딘(賽甫丁)이었다. 이들은 천주와 복건성 남부 지역을 장악하고 5년간 원 왕조에 대항하며 복주(福州)흥화(興化)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하려 시도했다.[29][30] 그러나 1362년, 같은 페르시아계 관료였던 야우나(나오우나, Nawuna)가 아미르 앗딘과 사이프 앗딘을 암살하고 반란군의 지도권을 장악했다.[29][30] 중국의 역사학자 천다성(陳達生)은 이스파 병란의 배경에 수니파(야우나)와 시아파(아미르 앗딘, 사이프 앗딘 및 그 휘하 병력) 간의 종파 갈등도 작용했다고 주장한다.[31]

1367년, 원 왕조의 장군 진우정(陳友定)이 이끄는 친원파 중앙군 세력은 반군 장교 진지(陳同, 천다성에 따르면 시아파)의 투항을 계기로 이슬람 반군을 최종적으로 진압했다.[29][31] 반란 진압 이후, 천주 지역에서는 무슬림과 외국인에 대한 무자비한 학살이 자행되었다. 페르시아계 수비대의 반란과 약탈 행위 등에 대한 한족의 반발이 극심하여, 모든 무슬림이 학살 대상으로 여겨졌다. 사흘간 도시 문을 걸어 잠그고 벌어진 학살 과정에서, 단지 코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많은 서방계 외국인들이 무고하게 희생되었다.[31][40] 학살된 시신들은 벌거벗겨진 채 서쪽(메카 방향)을 향하게 눕혀졌고, 고대 중국의 형벌인 오형(五刑)으로 능욕당한 뒤 이슬람에서 부정하게 여기는 돼지 구유에 던져지는 등 극도의 모욕을 당했다. 이는 과거 남송 멸망 당시 일부 무슬림 세력이 저질렀던 행위에 대한 보복적 성격도 있었다고 해석된다.[31][32][33][34][35][36][37][38][39]

이 학살로 인해 천주에 거주하던 많은 페르시아인과 아랍 상인들은 배를 타고 해외로 도피했으며, 일부는 중국 내 다른 해안 지역(백기, 진강, 녹부, 장포 등)이나 산악 지대(영춘, 덕화 등)로 피신했다. 천주의 청진사(모스크)로 피신한 이들도 있었다.[31] 살아남은 무슬림 가문들의 족보는 당시의 참상을 증언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예를 들어, 진강 정씨(晋江丁氏)는 세이드 아잘 샴스 알딘 오마르의 후손으로, 병란을 피해 천주 연안의 진장으로 이주했다. 영산 이씨(荣山李氏) 가문은 병란 당시 상인이었던 조상이 재산을 풀어 굶주린 이들을 돕고 인맥을 동원하여 살아남았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당시 천주를 "군인들이 가옥을 불태우고, 뿔뿔이 흩어진 대가족들은 거의 살아남지 못했다", "펄펄 끓는 가마솥" 같았다고 묘사했다.[42]

이스파 병란과 뒤이은 학살은 국제 무역항으로서 천주의 명성을 종식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해상 무역을 주도하던 무슬림 상인 공동체가 와해되거나 해외로 이주하면서 천주는 급격히 쇠퇴했다.[40] 살아남아 해외로 도피한 무슬림들은 자바, 수마트라, 마닐라, 브루나이, 참파 등 동남아시아 각지로 흩어져 교역 활동을 이어갔고, 이는 해당 지역의 이슬람 확산에도 영향을 미쳤다.[43][44][45] 정화의 원정에 동행했던 마환은 수마트라, 말레이 반도, 브루나이, 자바 등지에서 중국 출신 무슬림 상인 공동체의 존재를 기록했다.[40][45] 인도네시아의 전설적인 이슬람 성인 왈리 상가(Wali Sanga) 중 일부는 중국식 이름을 가졌으며, 이스파 병란 이후 천주에서 이주한 이들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43][44][45]

1368년 명나라가 들어서면서 무슬림에 대한 대대적인 학살은 멈추었지만, 천주의 무슬림 공동체는 이미 큰 타격을 입은 상태였다. 명나라 초기 홍무제영락제는 이슬람 사원에 대한 보호 조치를 내리고 일부 관용 정책을 폈으나[42], 동시에 해금령을 통해 해상 무역을 엄격히 통제했다. 천주의 공식적인 해상 무역은 류큐와의 교역으로 제한되었고, 남해 무역은 광저우 등 다른 항구로 집중되었다.[40][42] 이로 인해 천주는 과거의 번영을 되찾지 못했고, 남은 무슬림들은 위축된 환경 속에서 명맥을 유지해야 했다.

2. 3. 이슬람 공동체의 존속과 변화 (원나라 말기 ~ 명나라 초기)

원나라 말기, 이슬람교도에 대한 차별 정책과 이스파 병란(1357년-1367년)의 혼란 속에서 명나라가 건국되었다.[29][30] 특히 복건성 천주(泉州) 지역에서 발생한 이스파 병란은 페르시아계 무슬림을 중심으로 일어났으나, 원나라 군대와 지역 세력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되었다.[31][40] 이 과정에서 수많은 무슬림 상인과 주민들이 학살당했으며, 이는 천주의 국제 무역항으로서의 지위를 크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40][43]

박해를 피해 살아남은 무슬림 중 일부는 중국 내 다른 지역으로 피신하거나, 동남아시아 등지로 이주하여 새로운 이슬람교 공동체를 형성하기도 했다.[43][45] 이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이슬람화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원나라를 축출하는 과정에서 란위, 목영 등 무슬림 출신 장군들의 도움을 받았기에,[12][13][14] 초기에는 이슬람교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정책을 펼쳤다. 일부 이슬람 사원에 대한 보호 조치가 이루어지기도 했으며,[40][42] 강제로 중국식 성씨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법령이 내려지기도 했다.[42]

그러나 명나라의 정책이 항상 우호적이지만은 않았다. 홍무제가 시행한 해금령(海禁令)은 해상 무역을 엄격히 통제하여, 무역에 종사하던 많은 무슬림들에게 경제적인 어려움을 안겨주었다.[40][42] 또한 중앙 정부의 관용 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이슬람교도에 대한 차별과 박해가 존재하여 공동체의 위축을 가져왔다.[40] 이러한 격동의 시기를 거치면서 중국 내 이슬람 공동체는 유교 문화를 수용하거나 이슬람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내부적 고민 속에서[42] 명맥을 유지하며 변화와 적응의 과정을 겪게 되었다.

2. 3. 1. 명나라의 이슬람 정책

원나라 말기 이슬람교도에 대한 차별 정책과 이스파 병란의 여파 속에서 명나라가 건국되었다. 원나라 말기 복건성 천주(泉州) 지역에서는 페르시아인 용병대를 중심으로 이슬람교도들이 반란을 일으켰으나(1357년-1367년), 이는 원나라 군대와 지역 세력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되었다.[29][30] 이 과정에서 많은 무슬림 상인과 주민들이 학살당했으며, 이는 천주의 국제 무역항으로서의 지위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31][40] 일부 생존자들은 동남아시아 등지로 피난하여 새로운 이슬람 공동체를 형성하기도 했다.[43][45]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원나라를 무너뜨리는 과정에서 란위, 목영 등 이슬람교도 장군들의 도움을 크게 받았다.[12][13][14] 이러한 배경에서 명나라 초기에는 이슬람교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정책을 펼쳤다. 홍무제는 이슬람 장군들에게 관용을 베풀었으며, 이슬람교도들이 중국식 성씨를 강제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법령을 내리기도 했다.[42] 또한, 영락제를 포함한 명나라 황제들은 천주의 청진사(모스크)와 같은 이슬람 사원에 보호령을 내리는 등[40][42] 이슬람 공동체를 보호하려는 노력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명나라의 정책이 항상 우호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홍무제는 해금령(海禁令)을 시행하여 해상 무역을 엄격히 통제했다.[42] 천주 지역의 경우, 류큐 왕국과의 제한적인 공식 무역만 허용되었고, 한때 번성했던 남해 무역은 금지되었다. 이는 해상 무역에 종사하던 많은 이슬람교도 상인들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40][42] 또한, 중앙 정부의 보호 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이슬람교도에 대한 박해가 계속되어, 이들은 숨어 지내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야만 했다.[40]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국 내 이슬람 공동체 내부에서는 유교 문화를 수용할 것인지, 아니면 이슬람 고유의 가르침을 지킬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42]

2. 3. 2. 이슬람 공동체의 변화

원나라 시대에 이슬람교 공동체는 주로 중국 동북부(만주 헤이룽장성 일대)와 윈난 성 지역에 형성되었다.[8][28] 이들 공동체의 후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현지 한족과 상당 부분 융합되었으나, 자신들의 무슬림 정체성과 이슬람 문화를 보존하려는 노력을 지속하며 뚜렷한 자치 경향을 보였다.[28][8]

원나라 말기인 1357년부터 1366년까지 이어진 이스파 병란은 중국 내 이슬람 공동체에 큰 변화를 가져온 사건이었다. 천주(泉州)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페르시아 출신 무슬림 상인 아미르 앗딘과 사이프 앗딘이 페르시아인 수병을 이끌고 일으킨 이 반란은[40][43], 일부 학자들에 의해 수니파시아파 간의 종파 갈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31] 반란군은 천주를 점령하고 해상 무역과 약탈을 통해 약 10년간 세력을 유지했으나,[40] 1366년 원나라 군대와 지방군에 의해 진압되었다.[40][45]

이스파 병란의 진압 과정과 이후 명나라 교체기에는 천주 지역에서 무슬림에 대한 대규모 학살이 자행되었다. 먼저 원나라 장군 진우정이 반란군을 격파하며 외국인 혈통의 무슬림들을 학살했고,[43] 병란이 완전히 진압된 후에는 한족들이 보복성으로 이슬람교도들을 학살했다.[31] 당시 기록에 따르면, 사흘 동안 도시 문을 닫고 학살이 벌어졌으며, 코가 큰 외모 때문에 서방 계통 민족들이 오인받아 희생되는 경우도 많았다. 학살된 시신들은 옷이 벗겨진 채 서쪽을 향하게 놓였고, 고대 중국의 형벌인 오형(五刑)으로 처형된 뒤 이슬람교에서 부정하게 여기는 돼지 구유에 던져지는 모욕을 당했다. 이는 과거 남송 멸망 당시 무슬림들이 저질렀던 학살에 대한 복수라는 성격도 있었다.[31][32][33][34][35][36][37][38][39] 이 사건으로 천주의 무슬림 공동체는 큰 타격을 입었고, 국제 무역항으로서의 지위도 상실하게 되었다.[40]

학살을 피해 살아남은 무슬림들은 각지로 흩어졌다. 일부는 중국 내 해안 지역(백기, 진지, 녹부, 장포)이나 산악 지대(영춘, 덕화)로 피신했으며,[31] 다른 이들은 자바, 수마트라, 브루나이, 참파 등 동남아시아 각지로 이주하여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고 이슬람교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43][45] 인도네시아의 전설적인 이슬람 성인인 왈리 상가(Wali Sanga) 중 일부가 중국식 이름을 가졌다는 점은 천주에서 탈출한 중국계 무슬림들과의 연관성을 시사한다.[43][44][45] 정화의 원정에 동행했던 마환 역시 동남아시아 여러 항구에서 중국 출신 무슬림 상인들의 존재를 기록했다.[43][45]

1368년 명나라가 건국되면서 무슬림에 대한 정책에도 변화가 생겼다. 명 태조 홍무제는 남옥 등 무슬림 출신 장군들의 도움으로 원나라를 몰아냈기 때문에 이슬람교도들에게 비교적 관용적인 정책을 폈고,[42] 명 성조 영락제 역시 천주의 청진사(모스크) 등에 보호령을 내렸다.[42] 명나라 시기에는 무슬림들이 중국식 성씨를 강제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법률이 제정되기도 했다.[42]

그러나 홍무제가 시행한 해금령(海禁令)은 해상 무역을 엄격히 통제하여 천주 무슬림들의 경제 기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천주에서는 류큐와의 무역만 허용되었고, 다른 지역과의 남해 무역은 금지되거나 광저우 등 특정 항구로 제한되었다.[40][42] 사회적인 차별과 핍박도 여전히 존재하여, 일부 무슬림들은 계속해서 숨어 지내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야 했다.[40] 이 시기 무슬림 공동체 내부에서는 유교 문화를 수용하고 중국 고전을 가르칠 것인지, 아니면 이슬람의 가르침을 고수할 것인지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42]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중국 내 이슬람 공동체는 중국 사회에 동화되거나, 혹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키며 독자적인 공동체를 유지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해 나갔다.

3. 이슬람이 남긴 영향

원나라 시대 이슬람교중국 사회의 여러 방면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무슬림 학자와 기술자들은 천문학, 지리학, 의학 등 과학 기술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경제적으로는 세무와 재정 운영에 참여하고 취안저우와 같은 무역항의 번성에 영향을 주었다. 문화적으로는 대도 건설과 같은 건축 사업에 참여하고 《천일야화》와 같은 문학 작품을 통해 동서 문화 교류의 흔적을 남겼다. 군사 분야에서는 회회포와 같은 선진 공성 병기 기술을 전파하여 원나라의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다. 사회적으로 무슬림들은 색목인으로 분류되어 초기에는 우대를 받았으나, 원나라 후기에는 점차 차별 정책이 강화되면서 이스파 병란과 같은 갈등을 겪기도 했다. 이러한 교류와 갈등의 역사는 마르코 폴로의 기록 등을 통해 서양에도 알려졌다.

3. 1. 과학 기술 분야

이슬람 과학자들은 원 제국에서 달력 제작과 천문학 연구에 참여했다.[15] 쿠빌라이 칸천문대와 천문 연구 기관 건설을 위해 이란 출신 기술자들을 대도(현재의 베이징)로 초빙했다.[46][15] 페르시아의 천문학자 자말 알딘 جمال الدينar은 쿠빌라이 칸에게 7가지의 페르시아 천문 관측 기구를 선물하기도 했다.[47][16]

이슬람 지리학 연구 성과 역시 원나라 시기 중국에 전파되었다. 이는 훗날 명나라 시대에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 지도 중 하나인 대명혼일도를 제작할 때, 서역 지역을 묘사하는 데 활용되었다. 또한 대명혼일도는 조선에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만드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의학 분야에서도 이슬람의 영향이 컸다. 무슬림 의사들과 아랍어로 된 의학 서적, 특히 해부학, 약리학, 안과학 관련 서적들이 중국 내에 유통되었다.[17] 당시 알코올 중독과 통풍으로 고생하던 쿠빌라이 칸은 이슬람 의사들에게 높은 지위를 부여했다.[46] 중동 지역에서 전래된 새로운 약초 종자와 화학 공식은 기존의 의료 기술 발전에 자극을 주었으며,[46][15] 중국 전통 의학의 약재 및 처방에 대한 연구와 출판이 활발해지는 계기가 되었다.[15] 대표적으로 이븐 시나 Avicenna|아비켄나la의 저명한 의학서적인 《의학전범》 القانون في الطب|알카눈 피 알팁ar이 중국에 소개되었는데, 이 책의 상당 부분은 쿠빌라이 칸에게 기용된 시리아 출신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도 통역관이자 과학자였던 이사 타르자만 ܐܝܣܐ ܬܪܓܡܢܐsyc에 의해 중국어로 번역되어 《회회약방》(回回藥方, 회회족의 처방전)이라는 이름으로 편입되었다.[48][18][49][19]

3. 2. 경제 분야

몽골인들은 페르시아인, 아랍인, 불교도 위구르인 행정관을 세무와 재정을 담당하는 관리로 삼았다.[46] 이슬람교도들은 원나라 초기에 중국 내 많은 법인을 주도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한족들이 주식을 사들임에 따라 대부분의 법인은 다양한 구성원을 갖게 되거나 중국인의 소유가 되었다.[46][15]

원나라 시대에 취안저우 항구는 크게 번성했는데, 이는 약탈당했던 광저우 항구와는 대조적이었다. 취안저우는 유명한 여행가 이븐 바투타마르코 폴로가 방문하여 기록을 남긴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오늘날 취안저우에서는 당시 이슬람교도들의 활동을 보여주는 묘비, 무덤, 모스크 등 300여 점에 달하는 석비가 발견된다.

3. 3. 문화 분야



원나라 시대에는 다양한 문화적 교류와 융합이 이루어졌으며, 이슬람 문화 역시 건축, 문학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건축 분야에서는 이슬람 건축가 예헤이디얼딩(아미르 알딘)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그는 한족의 건축 양식을 학습하여 이를 원나라의 수도 대도(칸발리크) 건설 설계 및 지도에 반영했다.[51][21] 대도 건설은 1264년 성곽 축조를 시작으로 1274년부터 황궁이 건설되었으며,[51][21] 중국 고전인 『주례』(周禮)의 도시 계획 원칙(구경구위九經九緯, 전조후시前朝後市, 좌묘우사左廟右社)을 따라[52][22] 웅장하고 계획적으로 건설되었다.[52][22] 아미르 알딘은 베이징 북해 공원의 경화도 설계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또한 지난 대남 청진사와 같이 테무르 칸(원 성종) 통치 시기에 완공된 이슬람 사원 건축물도 남아있다.
문학 분야에서는 13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몽골 제국과 원나라에서 널리 알려진 설화집 《천일야화》(아라비안 나이트)를 통해 문화적 영향을 엿볼 수 있다. 이 설화집에는 '카마르 알 자만 왕자와 브두르 공주', '사이프 엘 물루크 왕자 이야기'처럼 중국을 배경으로 하거나 중국인 캐릭터가 등장하는 이야기들이 포함되어 있어,[54] 당시 활발했던 동서 문화 교류의 흔적을 보여준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원나라는 이슬람교로 개종하지는 않았지만, 페르시아인, 아랍인 등 서아시아 출신 무슬림들을 색목인으로 분류하며 우대하고 고위 관직에 등용했다.[3] 이는 다양한 배경의 인재를 활용하는 동시에 기존 한족 유교 지식인들의 세력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있었다.[3][4] 쿠빌라이 칸 시대에는 12개 행정 구역 중 8명의 지사가 무슬림이었고, 다른 지역에서도 무슬림 부지사가 임명될 정도였다.[5] 원나라 후기 기록에는 무슬림을 지칭하는 용어로 '회회'(回回)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으며,[6] 14세기 중국 내 무슬림 인구는 약 400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7] 베네치아 출신의 마르코 폴로는 그의 저서 《동방견문록》에서 부하라 출신으로 윈난 지역의 다루가치(행정관)였던 나스루딘(Nasaruddin)을 만났다고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 교류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14세기 중엽, 푸젠성(복건성)에서는 페르시아계 무슬림 병사들이 주축이 된 이스파 병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이 진압된 후, 천주 지역의 한족들이 색목인에게 적대적으로 돌아서면서 무슬림에 대한 대규모 학살이 자행되었고, 이로 인해 천주는 국제적인 교역항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3. 4. 군사 분야

이슬람식 트레뷰셋 투석기의 얼개. 트레뷰셋 투석기는 원나라에서 회회포라 불리며, 남송의 번성(樊城)과 양양(襄陽)의 성벽을 부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몽골 제국은 정복 과정에서 확보한 선진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며, 특히 이슬람 세계에서 발달한 공성 무기 기술을 도입하여 군사력을 강화했다.[50][20] 쿠빌라이 칸남송과의 전쟁을 위해 이슬람 출신 공성 무기 기술자인 이스마일(亦思馬因)과 알 알딘(阿老瓦丁)을 등용했다.[50][20] 이들이 제작한 강력한 트레뷰셋 투석기는 '회회포(回回砲)'라고 불렸는데, 이는 '회회인(무슬림)이 만든 포'라는 의미를 가진다.[50][20] 회회포는 남송 정복의 결정적인 전투였던 양양성 공방전에서 남송 군대가 방어하던 판청(樊城)과 양양(襄陽)의 견고한 성벽을 파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몽골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50][20]

3. 5. 기타

원나라 말기에 이르러 조정은 반무슬림, 반색목인 정책을 강화하며 이들에 대한 특권을 축소하기 시작했다. 1340년에는 혼례 시 유교 예법을 따르도록 강제했고, 1329년에는 무슬림을 포함한 모든 외국 성직자의 비과세 혜택을 폐지했으며, 1328년에는 이미 1311년부터 권한이 제한되던 무슬림 지도자 카디 직책을 완전히 폐지했다. 이러한 차별 정책은 무슬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일부는 14세기 중엽 반몽골(반원) 세력에 가담하게 되었다.[29][30]

1357년부터 1367년까지 페르시아 출신 무슬림 병사들이 주도한 이스파 병란이 복건성 남부의 천주를 중심으로 발생했다. 아미르 앗딘(阿迷里丁)과 사이프 앗딘(賽甫丁)이 이끌던 반란군은 한때 세력을 확장했으나, 내부 분열과 원나라 군대의 진압으로 결국 실패했다.[29][30] 중국 역사학자 천다성은 이 병란의 원인 중 하나로 수니파시아파 간의 종파 갈등을 지목하기도 했다.[31]

반란 진압 이후 천주에서는 한족들에 의한 무슬림 및 외국인에 대한 대규모 학살이 자행되었다. 특히 외모가 다르다는 이유로 서방 계통의 사람들이 무차별적으로 살해되었으며, 시신은 오형(五刑)으로 처벌받고 돼지 구유에 버려지는 등 극도로 모욕적인 방식으로 처리되었다.[31][32][33][34][35][36][37][38][39] 이 사건으로 인해 국제 무역항으로서 천주의 명성은 크게 실추되었고, 도시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40]

학살을 피해 살아남은 많은 무슬림들은 자바, 수마트라, 브루나이동남아시아 각지로 이주했다.[43][44][45] 이들은 새로운 정착지에서 이슬람교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인도네시아의 전설적인 이슬람 성인인 왈리 상가(Wali Sanga) 중 일부는 천주에서 이주한 중국계 무슬림 후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43][44][45]

한편, 원나라 시대의 이슬람 문화와 무슬림 공동체는 서양에도 알려졌다. 베네치아 출신의 상인 마르코 폴로는 그의 여행기 《동방견문록》에서 원나라 치하 무슬림들의 활동과 세이드 아잘 샴스 알딘 오마르의 아들 나스루딘(Nasaruddin)과 같은 인물들을 기록했다. 또한, 13세기14세기에 걸쳐 형성된 유명한 설화집 《천일야화》(아라비안 나이트)에는 '카마르 알 자만 왕자와 브두르 공주', '사이프 엘 물루크 왕자 이야기'처럼 중국을 배경으로 하거나 중국인이 등장하는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어, 당시 이슬람 세계와 중국 간의 문화적 교류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54][24]

참조

[1] 서적 Eurasian Influences on Yuan China https://www.cambridg[...] ISEAS Publishing 2013-05-23
[2] 간행물 The Ming Empire: Patron of Islam in China and Southeast and West Asia 1988
[3]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www.worldcat[...] Crown 2004
[4] 간행물 Sino-Khitan administration in Mongol Bukhara 1979
[5] Google Book Search Islam the Straight Path: Islam ... - Google Book Search https://books.google[...]
[6] 문서 Yang Huaizhong, "Yeheidie'erding" (Amir al-Din) in Bai Shouyi, Zhongguo Huihui minzu shi, op. cit., pp.813-818.
[7] 문서 Israeli (2002), p. 285
[8]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9]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Curzon Press 2010-06-28
[10] 서적 Buddhism and Islam on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0-06-28
[11] 웹사이트 The Integration of Religious Minorities in China: The Case of Chinese Muslims http://www.islamicpo[...] The Fifty-ninth George Ernest Morrison Lecture in Ethnology 2010-11-30
[12] 서적 Muslim Chinese: ethnic nationalism in the People's Republic https://books.google[...] Council on East As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2010-06-28
[13] 서적 Cheng Ho and Islam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0-06-28
[14]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Curzon Press 2010-06-28
[15]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Houghton Mifflin Company 2005
[16] 문서 Zhu (1946)
[17] 서적 Muslims i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ndianapolis Press
[18]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n Cultures Springer
[19] 서적 Oriental Medicine Serindia Publications
[20] 문서 C. P. Atwood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p.354
[21] 웹사이트 People's Daily Online The Hui ethnic minority http://en.people.cn/[...] 2022-09-19
[22] 문서 《明史纪事本末》、《纲鉴易知录》卷八
[23]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4] 서적 The Arabian Nights Encyclopedia ABC-CLIO
[25] 문서 Israeli (2002), p. 285
[26] Google Book Search Islam the Straight Path: Islam ... - Google Book Search https://books.google[...]
[27] 문서 Yang Huaizhong, "Yeheidie'erding" (Amir al-Din) in Bai Shouyi, Zhongguo Huihui minzu shi, op. cit., pp.813-818.
[28]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9] 서적 The East Asian Mediterranean: Maritime Crossroads of Culture, Commerce and Human Migration Otto Harrassowitz Verlag 2008
[30] 서적 The Muslim Merchants of Premodern China: The History of a Maritime Asian Trade Diaspora, 750–14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31] 서적 The East Asian Mediterranean: Maritime Crossroads of Culture, Commerce and Human Migration Otto Harrassowitz Verlag 2008
[32] 뉴스 朱元璋为什么要将蒲寿庚家族中男的世世为奴,女的代代为娼? https://www.sohu.com[...] 2019-08-24
[33] 뉴스 蒲寿庚背叛宋朝投降元朝,为何蒲家后人却遭到元廷残酷打压! https://www.360kuai.[...] 2020-02-07
[34] 뉴스 南宋胡商蒲寿庚背叛南宋,他的子孙在明朝遭到怎样的对待? https://share.wukong[...] 2020-12-07
[35] 뉴스 朱元璋最恨的一个姓,男的世世为奴,女的世世代代为娼! https://xw.qq.com/cm[...] 2019-08-20
[36] 뉴스 朱元璋为什么要将蒲寿庚家族中男的世世为奴,女的代代为娼? https://new.qq.com/o[...] 2019-08-24
[37] 뉴스 此人屠殺三千宋朝皇族,死後被人挖墳鞭屍,朱元璋:家族永世為娼 原文網址:https://kknews.cc/history/xqx8g3q.html https://kknews.cc/hi[...] 2020-12-07
[38] 뉴스 蒲寿庚背叛宋朝投降元朝,为何蒲家后人却遭到元廷残酷打压 https://k.sina.cn/ar[...] 2019-06-12
[39] 뉴스 此人屠杀三千宋朝皇族,死后被人挖坟鞭尸,朱元璋:家族永世为娼 http://www.bajieyou.[...] 2019-11-26
[40] 서적 Secondary Cities and Urban Networking in the Indian Ocean Realm, C. 1400-1800 Lexington Books 2008
[41] 서적 Mapping the Chinese and Islamic Worlds: Cross-Cultural Exchange in Pre-Modern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42] 서적 The East Asian Mediterranean: Maritime Crossroads of Culture, Commerce and Human Migration Otto Harrassowitz Verlag 2008
[43] 서적 Islamisation: Comparative Perspectives from Histo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
[44] 서적 Islamisation: Comparative Perspectives from Histo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
[45] 서적 A History of Southeast Asia: Critical Crossroad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
[46]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Houghton Mifflin Company 2005
[47] 문서 Zhu (1946)
[48]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n Cultures Springer 1997
[49] 서적 Oriental Medicine https://archive.org/[...] Serindia Publications 1995
[50] 문서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51] 웹사이트 People's Daily Online: The Hui ethnic minority http://english.peopl[...]
[52] 문서 《明史纪事本末》、《纲鉴易知录》卷八
[53]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54] 서적 The Arabian Nights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ABC-CLIO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