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축국 부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축국 부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에 협력한 행위를 의미하며, 이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나치는 인종 정책에 따라 협력에 차등을 두었으며, 유대인은 최악으로 간주되어 강제 수용소에서 감시를 받거나 게토 및 학살 수용소로 추방되었다. 서유럽에서는 벨기에, 채널 제도, 덴마크, 프랑스 등에서 정치적, 군사적 협력이 이루어졌다. 동유럽에서는 알바니아, 발트 3국, 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 그리스,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협력이 나타났다. 특히, 소련 점령 지역에서는 소련 시민들이 독일군에 협력하여 히위(Hiwi)로 활동하거나 동방 군단에 참여했다. 전쟁 후, 부역자들은 처벌을 받았으며, 기업들의 나치 독일과의 협력도 논란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축국부역 - 독일의 알바니아 점령
    독일의 알바니아 점령은 1943년 이탈리아 항복 후 독일이 알바니아를 점령하고 괴뢰 정권을 수립하여 자원 수탈과 저항 세력 탄압을 자행한 사건이다.
  • 추축국부역 - 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
    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는 아제르바이잔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으로서, 반군주제와 민족 자치를 옹호하며 "무슬림 청년 조직 무사바트"를 결성하고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수립을 주도했으나, 소비에트 러시아 침공 후 망명 생활 중에도 독립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았다.
  • 홀로코스트 - 테레진
    테레진은 체코 우스티 주에 위치한, 오스트리아-프로이센 경쟁 시대에 건설된 요새 도시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에 의해 게토 및 강제 수용소로 사용되며 비극적인 역사를 겪었고, 현재는 테레진 기념관을 통해 역사적 교훈을 되새기는 장소이자 관광 명소이다.
  • 홀로코스트 - 연합국 공동 선언
    연합국 공동 선언은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에 대항하던 26개국이 서명한 선언으로, 대서양 헌장의 원칙 지지, 추축국에 대한 완전한 승리, 서명국 간 결속 다짐을 내용으로 하며 국제 연합의 기초가 되었다.
추축국 부역
개요
주요 연루자나치 독일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
일본 제국 (유럽 전선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음)
관련 개념반공주의
파시즘
나치즘
홀로코스트
전쟁 범죄
인종 청소
대량 학살
괴뢰 정권
레지스탕스
국가 반역
반유대주의
반슬라브주의
상세 내용
정의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에 협력한 개인, 단체, 정부, 국가의 행위
협력의 형태군사적 협력
경제적 협력
정치적 협력
이념적 협력
행정적 협력
문화적 협력
정보 제공
동기정치적 이념 동조
경제적 이익 추구
개인적 복수
강압 및 협박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
협력의 결과나치 독일의 전쟁 수행 능력 강화
점령 지역에서의 나치 독일의 지배력 강화
홀로코스트 및 기타 전쟁 범죄 용이
레지스탕스 운동 탄압
전후 처벌 및 사회적 낙인
주요 협력 사례
프랑스비시 프랑스
프랑스인 게슈타포 요원
프랑스인 무장친위대원
노르웨이비드쿤 크비슬링 정권
노르웨이 무장친위대원
벨기에벨기에 무장친위대원
플람스 국가 연합
네덜란드네덜란드 무장친위대원
NSB
우크라이나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우크라이나 무장친위대원
우크라이나 국민군
라트비아라트비아 무장친위대원
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 무장친위대원
기타 국가크로아티아 독립국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호르티 헝가리
루마니아 왕국
불가리아 왕국
처벌 및 평가
전후 재판뉘른베르크 재판
각국에서의 국내 재판
처벌사형
징역형
재산 몰수
공민권 박탈
사회적 낙인"부역자"라는 오명
사회적 배척
역사적 비판
참고 자료
관련 서적(다양한 참고 서적 목록 - 원본 문서 참조)
관련 문서
같이 보기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저항 운동
추축국
반역
기타
관련 주제냉전
탈나치화
전후 독일

2. 용어

나치는 모두가 동등한 부역을 고려하지 않았다. 밀접하게 관련된 국가도 인종 정책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유대인은 모든 인종 중 최악으로 간주하고 협력에 부당하다고 생각하고, 일부는 강제 수용소에서 카포를 통해 수용자를 감시 및 질서 유지를 시행했다. 또 다른 정책으로는 게토나 유대인 몰살 수용소로 추방하였다.

1968년 스탠리 호프만은 이념적 이유로 협력한 사람들을 묘사하기 위해 "협력자"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현대사 교수인 버트람 고든 역시 이념적 및 비이념적 협력에 대해 "협력자"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협력"은 때로는 소극적인, 승리한 세력과의 협력을 설명했다.

스탠리 호프만은 협력을 불가피한 필요성을 억지로 인정한 것이거나 자발적인, 기회주의적이거나 탐욕스러운 것으로 보았다. 그는 또한 협력주의를 유용해지려고 시도하는 "노예적" 협력과 점령자의 이념을 전적으로 지지하는 "이념적" 협력으로 분류했다.

3. 서유럽

3. 1. 벨기에

벨기에는 1940년 5월 나치 독일의 침공을 받았고[4] 1944년 말까지 점령당했다. 정치적 협력은 벨기에 언어 분할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플란데런에서는 플람스 내셔널 본드(VNV)가[5] 전쟁 전 플랑드르 운동의 일환으로 독일 점령 전략에서 주요 역할을 했다. VNV 정치인들은 벨기에 행정부에서 요직으로 승진했다.[6]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왈로니아에서는 레옹 데그렐의 렉시스트당이[8] VNV의 왈론 지역에 해당하는 당이 되었다.

1941년 겐트에서 열린 플람스 내셔널 본드 (VNV) 회의


1940년 벨기에 망명 정부가 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벨기에 행정부는 점령 기간 대부분 동안 그 자리에 남았다. 사무총장 위원회는 독일 점령 정책을 실행하는 데 기여했다는 비난을 받았다.[9] 위원회는 유대인 박해 및 독일로의 노동자 강제 징용과 같은 독일 정책을 완화하지 못했다.[9] 전쟁 중 벨기에 망명 정부는 위원회가 독일을 돕는다고 비판했다.[10][11]

전쟁 후, 여러 사무총장들은 협력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전 내무부 사무총장인 제라르 롬세는 프랑스에서 20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3][14] 벨기에 경찰 역시 홀로코스트에서 협력한 혐의를 받았다.[7]

전쟁 말기에 협력주의 정당의 민병대는 저항군의 공격에 대한 보복을 수행했다. 쿠르셀 학살에서 20명의 민간인이 시장 암살로 인해 렉시스트 준군사조직에 의해 살해되었고, 메엔셀-키제겜에서 67명이 살해되었다.[17]

3. 2. 영국 채널 제도

채널 제도나치 독일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유일하게 점령했던 대영제국의 영토이다. 섬 정부는 점령 전 영국 정부의 지시를 받기 전에 섬의 유대인을 모두 쫓아내는 "부역 작업" 중 하나를 하여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조치는 법정 관리원과 외국인 사무소에 의해 실행되었다. "영국에서 유대인 추방에 도움을 주었던 채널 제도의 경찰과 관리원들은 점령 후에도 그들 자리에 계속 있었고, 심지어 그들 중 일부는 전쟁 기간에 받았던 대영 제국 훈장을 보여주기도 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점령 행정부와 협력한 사람들을 조사했다. 1946년 11월 영국 내무 장관은 영국 협력자들의 조사를 지휘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증거가 부족하여 오직 12명만 검찰이 기소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잉글랜드 기소국장(Director of Public Prosecutions)은 증거 부족을 이유로 기소를 포기했다. 특히, 그들의 시민에 대해 점령 행정부가 통치했다는 법적인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

저지섬건지섬의 법률에 전쟁의 부당 이득 및 암시장을 압수하기 위해 소급법을 제정하고 이러한 조치는 군사 점령기동안 합법적인 이익을 얻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다.

점령 기간 동안, 독일 군인과 친하게 지낸 일부 여성들은 다른 시민에게 분노를 얻었다. 해방 이후, 영국 해방군의 구성원들은 복수를 방지하기 위해 개입해야만 했다.

3. 3. 덴마크

1940년 4월 9일, 독일군은 중립국 덴마크를 침공하여 전년도에 체결된 불가침 조약을 위반했지만, "덴마크의 주권, 영토 보전, 중립성을 존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덴마크 정부는 신속하게 항복했고, 의회는 국내 정책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했다. 덴마크 여론은 일반적으로 새 정부를 지지했으며, 특히 1940년 6월 프랑스 함락 이후 더욱 그러했다.

덴마크 정부는 1943년까지 독일 점령자들과 협력했고,[19] 독일로의 산업 및 농업 제품 판매를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3] 덴마크 정부는 독일을 만족시키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시행했다. "독일-덴마크 관계를 위협할 수 있는" 신문 기사 및 뉴스 보도는 금지되었고, 1941년 11월 25일, 덴마크는 방공 협정에 가입했다. 덴마크 정부와 국왕 크리스티안 10세는 반복적으로 사보타주를 자제하고 저항 운동에 대한 제보를 장려했다. 저항군은 투옥되거나 처형되었으며, 전쟁 후에는 정보 제공자들이 사형 선고를 받았다.[20][21][22]

1945년 5월, 덴마크 점령 후 덴마크인들은 게슈타포를 도왔다. 벤들은 게슈타포.


전쟁 전, 중, 후 덴마크는 난민에 대한 제한적인 정책을 시행했으며, 국경을 넘어온 유대인 난민 21명 이상을 독일 당국에 넘겨주었다.[23] 그들 중 18명은 수용소에서 사망했는데, 여기에는 여성과 세 자녀가 포함되었다.[24] 2005년 안데르스 포그 라스무센 총리는 이러한 정책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25]

1941년 6월 22일,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독일 당국은 덴마크 공산주의자들을 체포할 것을 요구했다. 덴마크 정부는 이에 응하여 비밀 등록부에 등재된 공산주의자 339명을 체포하도록 경찰에 지시했다. 이 중 덴마크 의회의 공산주의자 의원 3명을 포함한 246명이 덴마크 헌법을 위반하여 호르세뢰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1941년 8월 22일, 덴마크 의회는 공산당 금지법을 통과시켜 덴마크 공산당과 공산주의 활동을 금지했으며, 이는 또 다른 덴마크 헌법 위반이었다. 1943년, 수감된 공산주의자의 약 절반이 슈투트호프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었고, 그중 22명이 사망했다.

자유 군단 덴마크 단원들이 코펜하겐의 헬러루프 역에서 동부 전선으로 떠나고 있다.


1941년 6월 29일, 바르바로사 작전 후 덴마크에서는 소련군에 맞서 싸울 자원군인 덴마크 자유군단(Frikorps Danmarkda)을 소집했다. 덴마크 자유군단은 나치 친위대와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DNSAP)의 계획에 의해 세워졌으며, 소련 공격 후 대령 크리스티안 페데르 크뤼싱이 지휘했다. 나치는 1941년 6월 29일에 자유군단의 창설을 선포한다. 덴마크 법률에 따르면, 외국군에 소속된 것은 불법이 아니었으나 덴마크 시민을 모집한 것은 불법이었다. 나치 친위대는 이 법을 어기고 모집을 노력했으며, 주로 덴마크 나치 추종자와 독일어 구사자를 주로 모집했다.

산업 생산과 무역은 지정학적 현실과 경제적 필요에 의해 부분적으로 독일로 방향을 전환했다. 많은 정부 관계자들은 독일과의 무역 확대를 덴마크의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여겼고, 더 높은 실업과 빈곤이 시민 불안으로 이어져 독일의 탄압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독일에서 일자리가 제공될 경우 실업 수당 지급이 거부될 수 있었기 때문에, 전쟁 5년 동안 평균 2만 명의 덴마크인이 독일 공장에서 일했다.[26]

그러나 덴마크 내각은 덴마크 유대인 소수 집단을 차별하는 법률 제정에 대한 독일의 요구를 거부했다. 사형에 대한 요구도 거부되었고, 덴마크 시민에 대한 관할권을 독일 군사 법원에 부여하고 덴마크 육군 부대를 독일 군대로 이관하라는 요구도 거부되었다.

3. 4. 프랑스

비시 프랑스의 지도자 필리프 페탱 원수가 1940년 10월 24일 몽투아르에서 히틀러를 만나는 모습


1941년 11월 러시아의 프랑스 군인.


제1차 세계 대전의 영웅인 필리프 페탱 원수는 프랑스가 프랑스 공방전 이후 붕괴된 후 파리가 아닌 비시에서 통치된, 민주주의 이후의 프랑스 국가 ''(État Français)''의 수장이 되었다.[27] 폴 레노 총리는 결과적으로 체결된 휴전 협정에 서명하는 대신 사임했다. 이후 국민의회는 페탱에게 새로운 헌법을 작성하기 위한 제헌 의회 (헌법 제정 회의)를 소집할 절대적인 권력을 부여했다. 대신 페탱은 그의 전권을 사용하여 권위주의적인 프랑스 국가를 수립했다.[28]

피에르 라발과 다른 비시 정부 각료들은 처음에는 프랑스인의 생명을 구하고 프랑군 전쟁 포로를 송환하는 것을 우선시했다.[29] 자치의 환상은 독일군 점령지 정부의 직접적인 통치를 피하려는 비시 정부에게 중요했다.

필리프 페탱과 피에르 라발의 비시 프랑스 정부는 유대인 멸망에 협력했다. 또한, 포라이모스에 참여하여 롬 족의 멸망과 기타 "바람직하지 못한 사람들"의 멸망에 협력했다. 비시 프랑스는 일련의 강제 수용소에서 유대인, 롬 족, 동성애자, 정치적 반대파를 수용했다. 수용소 감독인 르네 부스쿠트는 프랑스 경찰로서 유대인 76,000명의 추방에 협력했다. 1995년,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라크는 공식적으로 전쟁 중 유대인 추방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책임을 인정했으며, 특히 1942년 7월의 벨로드롬 경기장의 희생자 13,000명과 라발이 결정한 자발적 결정으로 부모와 자녀 모두 추방된 사람들에게 책임을 인정했다. 전쟁 후 추방 유대인 중 13,000명만 살아 남았다. 1943년 마르세유 전투에서 게슈타포를 지원한 프랑스 경찰의 대규모 습격과 구시가지의 파괴 작전이 일어났다.

독일 당국은 마르셀 데아, 조제프 다르낭, 자크 도리오와 같이 나치에 전적으로 우호적인 지도자들이 비시 행정부를 대체할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위협했다. 이들은 나치 독일에 대한 불충분한 협력에 대해 비시 정부를 비판하고, 활동하고, 출판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일부 협력자나 인도에 반한 죄 자(폴 투비에 등)는 1980년대 처벌되었고, 모리스 파퐁은 파리 경찰국장 (1961년 파리 대학살도 일으킴)은 부역자로 밝혀져 1998년 처벌되었다. 그는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정부 시기에 경제부 장관이었다. 또 다른 부역자들인 에밀 드부아틴 같은 경우에는 전후 중요 직을 가지고 있었다(결국 드부아틴도 콩코드 비행기를 만든 아에로스파시알 회사의 회장이 된다). 주들의 부역에 관해서는 2008년까지도 강한 논쟁으로 남아 있다.

프랑스 부역자들은 반볼셰베키의 프랑스 자원 군단과 임페리얼 군단을 창설하고, 1945년에는 샤를마뉴 친위대로 구성되어 베를린 공방전에도 참가했다.

3. 4. 1. 비시 프랑스



제1차 세계 대전의 영웅인 필리프 페탱 원수는 프랑스가 프랑스 공방전 이후 붕괴된 후 파리가 아닌 비시에서 통치된, 민주주의 이후의 프랑스 국가 ''(État Français)''의 수장이 되었다.[27] 폴 레노 총리는 결과적으로 체결된 휴전 협정에 서명하는 대신 사임했다. 이후 국민의회는 페탱에게 새로운 헌법을 작성하기 위한 제헌 의회 (헌법 제정 회의)를 소집할 절대적인 권력을 부여했다. 대신 페탱은 그의 전권을 사용하여 권위주의적인 프랑스 국가를 수립했다.[28]

피에르 라발과 다른 비시 정부 각료들은 처음에는 프랑스인의 생명을 구하고 프랑군 전쟁 포로를 송환하는 것을 우선시했다.[29] 자치의 환상은 독일군 점령지 정부의 직접적인 통치를 피하려는 비시 정부에게 중요했다.

필리프 페탱과 피에르 라발의 비시 프랑스 정부는 유대인 멸망에 협력했다. 또한, 포라이모스에 참여하여 롬 족의 멸망과 기타 "바람직하지 못한 사람들"의 멸망에 협력했다. 비시 프랑스는 일련의 강제 수용소에서 유대인, 롬 족, 동성애자, 정치적 반대파를 수용했다. 수용소 감독인 르네 부스쿠트는 프랑스 경찰로서 유대인 76,000명의 추방에 협력했다. 1995년,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라크는 공식적으로 전쟁 중 유대인 추방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책임을 인정했으며, 특히 1942년 7월의 벨로드롬 경기장의 희생자 13,000명과 라발이 결정한 자발적 결정으로 부모와 자녀 모두 추방된 사람들에게 책임을 인정했다. 전쟁 후 추방 유대인 중 13,000명만 살아 남았다. 1943년 마르세유 전투에서 게슈타포를 지원한 프랑스 경찰의 대규모 습격과 구시가지의 파괴 작전이 일어났다.

독일 당국은 마르셀 데아, 조제프 다르낭, 자크 도리오와 같이 나치에 전적으로 우호적인 지도자들이 비시 행정부를 대체할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위협했다. 이들은 나치 독일에 대한 불충분한 협력에 대해 비시 정부를 비판하고, 활동하고, 출판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일부 협력자나 인도에 반한 죄 자(폴 투비에 등)는 1980년대 처벌되었고, 모리스 파퐁은 파리 경찰국장 (1961년 파리 대학살도 일으킴)은 부역자로 밝혀져 1998년 처벌되었다. 그는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정부 시기에 경제부 장관이었다. 또 다른 부역자들인 에밀 드부아틴 같은 경우에는 전후 중요 직을 가지고 있었다(결국 드부아틴도 콩코드 비행기를 만든 아에로스파시알 회사의 회장이 된다). 주들의 부역에 관해서는 2008년까지도 강한 논쟁으로 남아 있다.

프랑스 부역자들은 반볼셰베키의 프랑스 자원 군단과 임페리얼 군단을 창설하고, 1945년에는 샤를마뉴 친위대로 구성되어 베를린 공방전에도 참가했다.

3. 4. 2. 협력주의 운동

주요 부역 정당 지도자들. 왼쪽부터: 피에르 코스탄티니(프랑스 연맹), 마르셀 데아(국민 대중 연합), 외젠 들롱클(MSR) 및 자크 도리오(PPF), 1941년 10월 10일자 ''르 마탱'' 1면 발췌.


프랑스에서 급진적인 부역주의를 주창하는 주요 정치 세력으로 부상한 4개의 주요 정당은 마르셀 데아의 국민 대중 연합(Rassemblement National Populaire프랑스어, RNP), 자크 도리오의 프랑스 인민당(Parti Populaire Français프랑스어, PPF), 외젠 들롱클의 사회 혁명 운동(Mouvement Social Révolutionnaire프랑스어, MSR) 그리고 피에르 코스탄티니의 프랑스 연맹(Ligue Française프랑스어)이었다.[30][31] 이들 단체의 규모는 작았으며, 1940년부터 1944년 사이에 22만 명 미만의 프랑스인(북아프리카 포함)이 부역 운동에 참여했다. 점령의 마지막 6개월 동안 데아, 다르낭, 도리오는 정부의 구성원이 되었다.[51]

3. 4. 3. 군사적 협력

프랑스 경찰의 협력은 점령된 프랑스에서 홀로코스트를 실행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독일은 프랑스 경찰을 사용하여 질서를 유지하고 레지스탕스를 탄압했다. 프랑스 경찰은 유대인 인구 조사, 체포, 수용소 집결을 담당했으며, 이 수용소에서 그들은 국외로 보내져 학살 수용소에서 처형되었다. 이를 위해 경찰은 버스를 징발하고 프랑스 국철(SNCF) 열차의 철도망을 사용했다.[32] 1943년 1월, 라발은 요제프 다르낭이 이끄는 준군사조직 경찰 부대인 밀리시를 설립하여 게슈타포를 도와 레지스탕스와 싸우고 유대인을 박해했으며, 남녀 3만 명의 대원을 보유했다.[51]

1941년 7월, 협력주의 정당들은 동부 전선에서 독일군과 함께 싸울 반볼셰비즘 프랑스 의용군(LVF)을 조직하고 모집하는 데 협력했다. 1941년 7월부터 1944년 11월 해산될 때까지 총 5,800명의 프랑스 의용병이 LVF에서 복무했다. 1945년 2월, LVF 또는 밀리시 출신 프랑스 의용병은 무장 친위대 제33 샤를마뉴 기갑척탄병 사단에 편입되었으며, 이 부대는 동유럽과 베를린에 배치될 당시 7,340명의 병력을 보유했다.[33] 프랑스 역사가 피에르 지올리토에 따르면, 전쟁 기간 동안 약 3만 명의 프랑스인이 독일 군부대(비전투병 포함)에서 복무했다.[51]

3. 4. 4. 프랑스 공산당

1941년 6월 21일 독일의 러시아 침공 전까지 프랑스 공산당(PCF)의 전국 지도부는 코민테른소련이 정의한 노선에 밀접하게 따랐으며, "유일한 정당한 투쟁은 혁명 투쟁이며, 영국 자본주의의 꼭두각시인 골주의사들의 가짜 저항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34][35] 이러한 논리에 따라 점령국과의 관계는 모호했다. 로널드 티에르스키(Ronald Tiersky)는 그 기간 동안 프랑스 공산주의자들의 행동을 "특정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협력"이라고 묘사했다.[36]

독일 점령 초기에 신문 인간성의 비밀 간행물은 프랑스 노동자들에게 독일 군인들과 형제애를 가질 것을 촉구하며, 그들을 국가의 적으로가 아닌 "계급 형제"로 제시했다.[37] 1940년 6월, 당 지도부의 지시에 따라 프랑스 공산당 지도자들은 독일 당국에 연락했으며,[38] 오토 아베츠(Otto Abetz) 파리 주재 독일 대사로부터 접견을 받았다.[39] 그들은 독-소 불가침 조약에 대한 지지로 인해 1939년 8월 에두아르 달라디에(Édouard Daladier) 정부에 의해 발행이 중단되었던 뤼마니테의 재발행 허가를 요청했다;[40] 또한 1939년 9월 해산된 프랑스 공산당의 합법화를 요구했다.[41] 협상은 독일 군사 사령부의 적대감과 필리프 페탱(Pétain) 정부의 뿌리 깊은 반공주의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38] 그 여름 내내 뤼마니테와 모든 공산주의 지하 언론은 "프랑코-독일 형제애"를 설파하고, "영국 제국주의"를 비난하며, 샤를 드 골(Charles de Gaulle)을 반동적이고 호전적인 군인으로 묘사하는 기사를 계속 게재했다.[38]

1년 후, 베르마흐트가 러시아를 침공한 후, PCF는 입장을 완전히 바꾸어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주요 주체 중 하나가 되었다.[42][43]

3. 4. 5. 독일로의 프랑스 노동자

1943년 파리 북역에서 독일로 출발하는 STO 노동자들


비시 정부는 처음에, 송환되는 모든 프랑스 전쟁 포로에 대해 세 명의 프랑스 자원자를 독일 공장에서 일하도록 보내기로 합의했다. 이 프로그램(일명 라 렐레브)이 독일 제국을 만족시킬 만큼 충분한 노동자를 유치하지 못하자, 비시 정부는 1943년 2월부터 18세에서 20세 사이의 젊은 프랑스인들을 강제 노동 봉사(STO, 영어: compulsory labour service)에 징집하기 시작했다. 이 강제적인 2년 노동 징집으로 80만 명의 프랑스인들이 독일 노동 수용소로 강제 이송되었다.[44]

매우 인기가 없었던 STO는 협력 정책에 대한 적대감을 키웠고, 많은 젊은이들이 징집에 응하기보다는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합류하게 만들었다. 사람들은 마키 (시골 레지스탕스)에 합류하기 위해 숲과 산의 황무지로 사라지기 시작했다.[45][46]

3. 4. 6. 홀로코스트 협력

프랑스는 점령 이전에도 드레퓌스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자생적인 반유대주의와 친유대주의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역사학자들은 비시 정권의 반유대주의 캠페인이 프랑스 자생적인 뿌리에서 얼마나 기인했는지, 독일 점령군과의 자발적인 협력에서 얼마나 기인했는지, 그리고 나치 지시에 대한 단순한 (그리고 때로는 마지못한) 협력에서 얼마나 기인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점령된 파리에서 의무적으로 노란색 다윗의 별 배지를 착용한 유대인 여성 두 명


피에르 라발은 유대인, 롬족 학살 및 기타 "원치 않는 자들"의 학살에 있어서 중요한 의사 결정자였다. 유대인 지위에 관한 두 번째 법과 같은 일련의 점점 더 제한적인 반유대주의 및 반프리메이슨주의 조치에 따라, 비시 정권은 드랑시 수용소와 같은 일련의 프랑스의 수용소를 열어 유대인, 집시, 동성애자 및 정치적 반대자들을 수용했다.[47] 르네 부스케가 지휘하는 프랑스 경찰은 독일의 압력이 거세짐에 따라 76,000명의 유대인을 나치 강제 수용소와 학살 수용소로 이송하는 것을 도왔다(프랑스 수용소를 통해서도 직접 이송).[48]

1995년 자크 시라크 대통령은 전쟁 중 유대인 추방에 대한 프랑스 국가의 책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는데, 특히 라발이 자발적으로 아이들을 부모와 함께 추방하기로 결정한 1942년 7월 벨 디브 검거로 인해 13,000명 이상의 희생자가 발생했고, 이 중 2,500명만이 생존했다.[49] 부스케는 또한 게슈타포와 함께 프랑스 경찰을 조직하여 마르세유 검거 (''라플'')를 벌여 마르세유 구 항구의 전체 지역을 초토화시켰다.

프랑스 유대인(점령 시작 시 약 30만 명) 중 홀로코스트로 사망한 사람의 추정치는 약 6만 명(≅ 20%)에서 약 13만 명(≅ 43%)에 이른다.[50] 세르주 클라르스펠트가 드랑시 수용소에 보관된 기록을 연구한 결과, 프랑스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폴란드 점령 하 독일 수용소로 75,721명의 유대인이 추방되었고, 이 중 2,567명만이 생존했다.[51]

3. 4. 7. 전후 처리

1944년 7월 레지스탕스 포로를 호송하는 프랑스 민병대 (총기를 든 군복 차림)


thumb을 한 대가로 머리카락을 깎이는 여성. 몽텔리마르 지역, 1944년 8월]]

1944~45년 프랑스에서 해방이 확산되면서, 이른바 야생 숙청(''Épuration sauvage'')도 함께 일어났다. 레지스탕스 그룹은 특히 첩자로 의심되는 자들과 비시 정권의 반-게릴라 무장 조직인 민병대 구성원을 대상으로 즉결 처벌을 가했다. 비공식 법원은 적과 협력하고 교류한 혐의(때로는 부당하게)를 받는 수천 명의 사람들을 재판하고 처벌했다. 희생자 수에 대한 추정치는 다르지만, 역사가들은 그 수가 결코 완전히 알려지지 않을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52]

프랑스에 공식적인 법적 질서가 회복되면서, 비공식적인 숙청은 ''l'Épuration légale''(합법적 숙청)으로 대체되었다. 가장 주목할 만하고 가장 요구되었던 유죄 판결은 1945년 10월에 재판을 받고 처형된 피에르 라발과 1945년 사형이 이외에서 종신형으로 감형되어 1951년에 사망한 필리프 페탱 원수였다.

수십 년 후, 폴 투비에와 같은 생존한 몇몇 전 협력자들은 반인륜적 범죄로 재판을 받았다. 르네 부스케는 복권되어 프랑스 정치, 금융, 언론계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되찾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1년에 유대인 추방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 그는 재판이 시작되기 직전인 1993년에 암살당했다. 모리스 파퐁은 샤를 드 골 대통령 시절 파리 경찰의 장관으로 근무했고(따라서 1961년 파리 학살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을 졌음), 20년 후에는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 시절 예산부 장관으로 근무했으며, 1998년 보르도 지역에서 1,560명의 유대인을 드랑시의 프랑스 강제 수용소로 추방하는 것을 조직한 반인륜적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투옥되었다.

에밀 드부아틴과 같은 다른 협력자들도 전쟁 이후 중요한 역할을 해냈다. 드부아틴은 결국 콩코드 비행기를 만든 아에로스파시알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

3. 5.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는 1940년 5월 나치 독일의 침공을 받아 1945년 초까지 독일의 점령 하에 있었다.[53] 처음에는 독일이 룩셈부르크인게르만족을 독일 본토로 동화시키려 준비하면서, 룩셈부르크는 별도의 지역으로 통치되었다. 1941년에는 아테네 드 룩셈부르크의 독일어 교사인 다미안 크라첸베르크가 이끄는 ''Volksdeutsche Bewegung''(VdB, 국민독일 운동)이 창설되었다.[53] 이 단체는 "Heim ins Reich"(고향으로)이라는 슬로건을 사용해 룩셈부르크인들을 친독일적 입장을 취하도록 장려했다. 1942년 8월, 룩셈부르크는 나치 독일에 병합되었고, 룩셈부르크 남성들은 독일군에 징집되었다.

3. 6. 모나코

나치 점령 기간 동안 모나코 경찰은 중부 유럽 출신 유대인 난민 42명을 체포하여 나치에 넘겼다.[54] 그러나 모나코의 유대인들은 보호했다.[54]

3. 7. 네덜란드

네덜란드SS 모집 포스터. 네덜란드인의 공산주의와의 전쟁을 촉구한다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독일군은 전쟁 전 네덜란드 경찰을 재편하고 새로운 지방 경찰을 설립하여 독일군이 국가의 저항 세력과 유대인 추방에 맞서 싸울 수 있도록 지원했다.[55]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NSB)은 민병대 부대를 가지고 있었고, 그 구성원들은 네덜란드 란트스톰 또는 통제 사령부와 같은 다른 준군사 조직으로 이관되었다. 소수의 사람들이 유대인 사냥에 독일군을 크게 도왔는데, 여기에는 일부 경찰관과 헤네케 열이 포함되었다. 그들 중 많은 수가 NSB의 구성원이었다.[55] 이 열은 약 900명의 유대인을 체포하는 데 단독으로 책임이 있었다.[56][57]

수천명의 네덜란드인들이 모인 의용대로 11 SS 의용기갑척탄병사단 노르트란트가 1943년 2월 창설되었다. 이 사단은 소련군에 대항해 전투하면서 1945년 4-5월의 베를린 공방전까지 참가했다. 또한 네덜란드인의 SS 사단으로 5 SS기갑척탄병사단 비킹도 있었으며, 이 사단은 독소 전쟁에서 몇몇 큰 전투에 참가했다.

SS 의용기갑척탄병사단 네덜란드는 네덜란드 자원자와 독일 경찰로 구성되었으며 1941년 동부 전선에 참가했다. 1943년 12월, 레닌그라드 주변부 전투 후 여단 자격을 받았다.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참가한 이 사단은 최초로 유럽 의용대인 비독일인 제라듀스 무이맨은 기사철십자훈장을 받았다. 1944년 12월, 이 사단은 23 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네데르란트으로 바뀌고 쿠를란드와 포메라니아 전투에 참가했다. 결국 독일 국경까지 물러나며 해체되었다. 49 SS기갑척탄병연대 드 루터는 오데르에서 전투했고 1945년 5월 3일 미국에게 항복했다. 48 SS기갑척탄병연대 제너럴 세이판루트는 2개 군단으로 분단되었다. 이 중 하나인 "캄프프루그페 비에볼거"(Kampfgruppe Vieweger)는 엘베 근처의 전투에서 패배했다. 몇 명 남은 생존자는 소련군에게 항복했다. 다른 절반 사단인 "제네럴 세이판루트"는 한스 폰 테타우 장군 하에서 서방 연합군에게 항복했다.

전쟁 중 유명한 가수이자 감독인 요하네스 히스터스는 나치 독일의 점령 기간 동안 요제프 괴벨스와 부유한 유대인 집을 도난한 사람들과 친밀했다는 기록이 있다.

3. 8. 노르웨이

나치 독일의 노르웨이 점령 기간 동안 호콘 7세 왕이 망명한 후 비드쿤 크비슬링의 크비슬링 정부가 세워졌다. 크비슬링은 노르웨이인으로 구성된 5 SS기갑척탄병사단 비킹 SS 의용대를 구성했고, 유대인 추방에 협력했으며 노르웨이 저항 운동 참여인에 대한 사형을 이끌었다.[58]

45,000명의 노르웨이 협력자들이 친나치 정당인 노르웨이 국가사회주의정당(Nasjonal Samling)에 가입했고, 일부 헌병은 유대인 추방에 협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저항에서 소규모 저항 국가가 1942년-43년 전환기 때 이루어졌다. 전쟁 후, 협력자들에 대한 처벌을 내렸다. 크비슬링이라는 이름은 반역죄의 동의어가 되었다.[62]

비드쿤 크비슬링과 요나스 리에가 노르웨이 군단을 사찰하고 있다.


크비슬링은 노르웨이인들에게 무장 친위대에 자원하도록 권장했으며, 노르웨이 레지스탕스 운동 구성원의 처형에 책임이 있었다.[58] 약 45,000명의 노르웨이 협력자들이 파시스트 정당인 ''나쇼날 삼링''(국민 연합)에 가입했고, 그중 약 8,500명이 협력자 준군사 조직인 ''히르덴''에 입대했다. 약 15,000명의 노르웨이인이 나치 측에 자원했으며, 6,000명이 게르만 SS에 가입했다. 또한, 스타트폴리치트와 같은 노르웨이 경찰 부대는 노르웨이의 많은 유대인 체포를 도왔다. 강제 수용소와 죽음의 수용소로 추방된 742명의 유대인 중 23명을 제외한 모두가 전쟁이 끝나기 전에 살해당하거나 사망했다. 크누트 뢰드는 오슬로 항구에서 SS 부대에 유대인 남녀와 어린이를 체포, 구금 및 이송하는 데 가장 책임이 있는 노르웨이 경찰관인데,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노르웨이의 법적 숙청 동안 두 번의 대대적인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는데,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59]

''나쇼날 삼링''은 일반 대중으로부터 거의 지지를 받지 못했으며,[60] 노르웨이는 1942~43년 전쟁의 전환점 이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중 저항이 광범위했던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다.

전쟁 후, 크비슬링은 사격으로 처형되었다.[61]

4. 동유럽

4. 1. 알바니아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이후, 알바니아 왕립군, 경찰 및 헌병대는 새롭게 창설된 이탈리아 보호령 알바니아에서 이탈리아군에 통합되었다.[63][64] 알바니아 파시스트 민병대는 1939년 4월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이후 결성되었다.

1943년 4월, 하인리히 힘러의 명령으로 알바니아인과 코소보 알바니아인 자원병으로 구성된 21 SS무장산악사단 스칸더벡 (1 알바니아)을 창설했다. 1944년 6월, 이 군은 파르타잔 병력보다 더욱 약화되었고 1944년 11월 해체되었다. 나머지 간부들은 스칸더벡 분견군(Kampfgruppe Skanderbeg)으로 소속되어 1944년 12월 제7 SS 자원 산악병 사단으로 옮겨져 티토 파르타잔과의 전투에 참가했다. 사단 엠블렘은 검은 알바니아 독수리였다.

알바니아 민족주의자, 반공산주의자들의 발리 콤페타르(Balli Kombëtar)는 추축국의 자원군으로 모집되어 그리스와 유고슬라비아에서 활동했다. 이들은 대알바니아를 목표로 활동했다. 유고슬라비아 코소보 지역에서는 Vulnetari (또는 코소보인)라는 코소보 알바니아인 자원 민병대가 창설되었다. 이들은 민족적 세르비아인을 공격하고 민간 목표물을 상대로 습격을 감행했으며, 수백 개의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마을을 불태우고, 많은 사람들을 살해하고, 코소보와 인접 지역을 약탈했다.[65]

4. 2. 발트 3국

제2차 세계 대전 중 발트 3국의 독일 점령

소련에 의해 처음 침공당했던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발트 3국은 이후 독일에게 점령당하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소련)의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벨라루스)과 함께 국가판무관부 오스틀란트에 병합되었다.[66]

'''에스토니아'''

나치 에스토니아 군단 SS 모집 센터.


에스토니아 자치정부는 완전한 자유는 없었으나, 독일 정책의 틀 내에서 정치, 인종, 경제에 대한 자율성을 확보했다. 독일 군사 명령에 따라 폐지되거나 개정되지 않는 범위에서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법률과 규정에 따라 권력을 행사했다. 자치 정부는 독일과의 협력을 위해 롬인(집시)과 에스토니아계 유대인을 살해하고, 외부 거주 중인 에스토니아인을 적대 세력으로 간주하고 살해했다. 에스토니아 방위 경찰 및 SD에 포함되었고, 독일 명령에 따라 불법으로 에스토니아인들에게 징병이나 강제 노동을 행했다.

에스토니아 방위 경찰 및 헌병, 제 286, 제287와 제288 에스토니아 방위군 연대와 2.5%-3%의 에스토니아인으로 이루어진 오마가스테 민병대가 천명에서 1200명 단위로 이루어져 직접적인 범죄 행위에 관련되었다. 위에 나열된 사건들로 인해, 15,000명의 소련 포로가 에스토니아에서 사망하고 일부는 학대당했다.

독일 계획에 따르면 에스토니아는 미래 독일 정착촌이 될 지역이었으며, 에스토니아인 자신도 나치 인종 등급에서 높게 평가되어 독일화 가능성이 있었다. 1941년 7월 7일부터 12월 2일까지 소련은 에스토니아인에 대한 일련의 탄압을 가했다. 내무인민위원회의 예하 파괴 대대가 약 2,000명의 에스토니아 민간인을 살해했으며, 5만에서 6만 명의 사람들이 소련 깊숙한 곳으로 추방된 것으로 추산된다. 그 중 1만 명이 1년 안에 굴락 시스템에서 사망했다. 많은 에스토니아인들은 조국을 해방하기를 바라며 독일 측에서 소련군과 싸웠다. 약 12,000명의 에스토니아 빨치산이 전투에 참여했다. 핀란드 훈련을 받은 에르나 그룹의 57명의 중요성은 매우 컸다.

1941년 8월 독일은 저항 단체를 오마카이체(자위대/Omakaitseet)로 조직했으며, 이 단체는 소련에 의해 해체된 카이첼리트를 기반으로 34,000명에서 40,000명의 회원을 보유했다. 오마카이체는 붉은 군대 병사, NKVD 요원 및 공산주의 활동가로부터 독일군의 후방을 정리하는 임무를 맡았다. 1년 안에 그 구성원들은 5,500명의 에스토니아 주민을 살해했다. 이후 그들은 경비 임무를 수행하고 에스토니아로 날아온 소련 빨치산과 싸웠다. 오마카이체 회원 중 에스토니아 경찰, 에스토니아 보조 경찰 회원 및 제20 무장 친위대 사단 장교가 모집되었다.

독일은 얄마르 매에가 이끄는 괴뢰 정부인 에스토니아 자치 정부를 구성했다. 이 정부는 경찰 직책 채용과 같은 내부 문제에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다. 에스토니아 보안 경찰(SiPo)은 혼합된 에스토니아-독일 구조(독일인 139명과 에스토니아인 873명)를 가지고 있었고 형식적으로 에스토니아 자치 정부에 속해 있었다. 에스토니아 경찰은 독일과 협력하여 유대인, 로마인, 공산주의자 및 기존 질서의 적 또는 반사회적 요소를 체포했다. 또한 경찰은 독일의 지휘 아래 징병을 통해 에스토니아인을 강제 노동 및 군 복무에 동원하는 것을 도왔다. 에스토니아 유대인 소수의 대부분은 독일군이 도착하기 전에 도망쳤고, 약 1,000명만 남았다. 그들 모두는 에스토니아 경찰에 체포되어 오마카이체에 의해 처형되었다. 에스토니아 보조 경찰 및 제20 무장 친위대 사단의 구성원들도 에스토니아 영토에 독일이 설치한 강제 수용소로 보내진 유대인 죄수를 처형했다.

독일은 에스토니아에 진입하자마자 대대 규모의 에스토니아 의용군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1942년 1월까지 6개의 보안 그룹(제181-186 대대, 약 4,000명)이 형성되어 국방군 제18군에 소속되었다. 1년 계약이 만료된 후 일부 자원봉사자들은 무장 친위대로 전속하거나 민간 생활로 돌아갔고, 남아있는 사람들을 통해 3개의 동부 대대(제658-660)가 구성되었다. 그들은 1944년 초까지 싸웠고, 이후 그 구성원들은 제20 무장 친위대 사단으로 전속되었다.

1941년 9월부터 SS와 경찰 사령부는 4개의 보병 방위 대대(제37-40)와 예비 및 공병 대대(제41-42)를 만들었으며 작전적으로 국방군에 소속되었다. 1943년부터 그들은 경찰 대대로 불렸으며, 3,000명이 복무했다. 1944년에는 2개의 보병 대대로 개편되어 1944년 가을 독일로 후송되어 제20 무장 친위대 사단에 편입되었다.

1941년 가을, 독일은 또한 8개의 경찰 대대(제29-36)를 조직했는데, 그 중 제36대대만이 전형적인 군사적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부족으로 인해 그들 대부분은 레닌그라드 근처의 전선으로 보내졌고, 1943년에 대부분 해산되었다. 그해 SS와 경찰 사령부는 5개의 새로운 보안 및 방위 대대를 만들었다(제29-33을 계승하고 2,600명 이상의 병력이 있었다). 1943년 봄에는 5개의 방위 대대(제286-290)가 의무 군 복무 부대로 설립되었다. 제290대대는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으로 구성되었다. 제286, 288, 289대대는 벨라루스에서 빨치산과 싸우는 데 사용되었다.

1942년 8월 28일, 독일은 자원봉사 에스토니아 무장 친위대 군단을 결성했다. 약 1,000명의 자원봉사자 중 800명이 제나르바 대대에 편입되어 1943년 봄 우크라이나로 보내졌다. 자원봉사자의 수가 줄어들면서 1943년 2월 독일은 에스토니아에서 의무 징병을 도입했다. 1919년에서 1924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은 독일에서 일하거나 무장 친위대 또는 에스토니아 보조 대대에 합류하는 선택에 직면했다. 5,000명이 에스토니아 무장 친위대 군단에 합류했으며, 이 군단은 제3 에스토니아 무장 친위대 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적군이 진격하면서, 일반 동원령이 발표되었으며 에스토니아의 마지막 총리 위리 울로츠가 공식적으로 지원했다. 1944년 4월까지 38,000명의 에스토니아인이 징집되었다. 일부는 제3 무장 친위대 여단에 투입되었으며, 여단은 사단 규모로 확대되었고(제20 무장 친위대 사단: 10개 대대, 1944년 여름 15,000명 이상의 병력) 이미 존재하던 대부분의 에스토니아 부대(주로 동부 대대)도 편입되었다. 젊은 남성들은 다른 무장 친위대 부대에 징집되었다. 나머지 병력에서 6개의 국경 방위 연대와 4개의 경찰 소총 대대(제286, 288, 291, 292)가 나왔다.

에스토니아 보안 경찰 및 SD, 에스토니아 보조 경찰의 제286, 287, 288대대, 그리고 에스토니아 오마카이체(자위대/Omakaitseet) 민병대 부대(1,000명에서 1,200명 사이)의 2.5~3%가 러시아의 프스코프주와 에스토니아의 야갈라, 바이바라, 클로가 및 라게디 강제 수용소에서 400명에서 1,000명의 로마인과 6,000명의 유대인을 체포, 경비 또는 살해하는 데 참여했다.

이 부대의 경비를 받으면서 15,000명의 소련 전쟁 포로가 에스토니아에서 사망했다. 일부는 방치와 학대로, 일부는 처형으로 사망했다.

'''라트비아'''

1941년 7월 리예파야에서 라트비아 헌병이 유대인 그룹을 끌고 가는 모습.


독일군이 1941년 라트비아를 점령할 당시, 독일은 라트비아인의 반소련 감정을 이용하여 지역 자원군(''Schutzmannschaft'' 또는 ''Schuma'')을 모집해 소비에트 파르타잔과 전투하거나 소련군 포로, 유대인의 강제수용소 경비를 맡겼다. 아랴스 코만도(Arajs Commando)는 1941년 11월 - 12월 동안 유대인 26,000명을 사살했다.

소련 NKVD에 의한 라트비아인들의 추방과 살해는 독일군이 소련 점령 리가를 점령하기 전 며칠 동안 절정에 달했다. 독일군이 도착하기 전에 NKVD가 추방할 수 없었던 사람들은 중앙 감옥에서 총살되었다. RSHA가 요원들에게 포그롬을 시작하라는 지시는 비옥한 토양에 떨어졌다. Einsatzkommando 1a와 Einsatzkommando 2의 일부가 라트비아 수도에 진입한 후, Einsatzgruppe A의 사령관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는 7월 1일 빅토르스 아라즈와 접촉하여 사령부 부대를 설립하도록 지시했다. 그 부대는 나중에 라트비아 보조 경찰 또는 ''아라즈 코만도''로 명명되었다. 구성원들은 극우 학생들과 전직 장교들로 모두 자원자였으며 언제든지 떠날 수 있었다.

다음 날인 7월 2일, 슈탈레커는 아라즈에게 독일 점령 당국이 제대로 설립되기 전에 포그롬을 시작하여 마치 자발적으로 보이도록 지시했다. Pērkonkrusts의 전 구성원과 다른 극우 단체의 Einsatzkommando의 영향을 받은 폭도들은 약탈을 시작하고 대량 체포를 실시했으며, 300~400명의 리가 유대인을 살해했다. 살해는 SS ''여단지도자'' 발터 슈탈레커의 감독하에 계속되었고, 2,700명 이상의 유대인이 사망했다.

Einsatzkommando의 활동은 독일 점령 당국이 완전히 설립된 후 제약을 받았으며, 이후 SS는 선별된 현지 징집 부대를 사용했다. 독일군 빌헬름 울러스페르거 장군과 볼데마르스 베이스, 유명한 라트비아 민족주의자는 라디오 연설에서 "내부의 적"을 공격하라고 대중에게 호소했다. 다음 몇 달 동안 라트비아 보조 보안 경찰은 주로 라트비아와 인접한 벨로루시에서 유대인, 공산주의자, 붉은 군대 낙오병을 살해하는 데 집중했다.

1943년 2월~3월, 8개의 라트비아 대대가 벨라루스-라트비아 국경 근처에서 징벌적 대유격 겨울 마법 작전에 참여하여 439개의 마을이 불타고 10,000~12,000명이 사망했으며, 7,000명 이상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통치하의 강제 노동 또는 살라스필스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67] 이 부대만으로도 라트비아 유대인 인구의 거의 절반인 약 26,000명의 유대인을 살해했으며, 주로 1941년 11월과 12월에 살해했다.

아라즈 코만도의 창설은 "초기 홀로코스트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였으며,[68] 독일이 조직한 ''포그롬''에서 현지 자원자(전직 군 장교, 경찰, 학생 및 Aizsargi)에 의한 유대인의 조직적인 살해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냈다. 이는 독일의 만성적인 인력 부족을 돕고 민간인을 일상적으로 살해하는 심리적 스트레스로부터 독일을 해방시켰다. 1941년 가을까지, SS는 라트비아 보조 경찰 대대를 레닌그라드로 배치했으며, 그곳에서 제2 라트비아 SS 보병 여단으로 통합되었다.[69] 1943년에 이 여단은 나중에 제19 무장 친위대 척탄병 사단 (제2 라트비아)이 되었으며, 제15 무장 친위대 척탄병 사단 (제1 라트비아)과 통합되어 라트비아 군단이 되었다.[69] 라트비아 군단은 형식적으로 자원 무장 친위대 부대였지만, 이름뿐인 자원 부대였으며, 병력의 약 80~85%가 징집병이었다.[70]

'''리투아니아'''

독일의 침공에 앞서, 리투아니아의 일부 지도자들은 슬로바키아 공화국처럼 자치권을 부여받을 것이라고 믿었다. 독일 정보 기관인 Abwehr는 베를린 주재 리투아니아 대사관에 기반을 둔 친독일 단체인 리투아니아 활동 전선을 통제한다고 믿었다.[71] 리투아니아인들은 자체적으로 리투아니아 임시 정부를 구성했지만, 독일은 이를 외교적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리투아니아 대사 카지스 슈키르파가 총리가 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오히려 그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방해했다. 임시 정부는 해산되었는데, 이는 권력이 없었고 독일이 처음 생각했던 것처럼 소련 점령으로부터의 해방자가 아니라 점령자로서 왔다는 것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알기르다스 클리마이티스 휘하의 부대는 SS ''여단지도자'' 발터 슈탈레커의 감독 하에 1941년 6월 25일 카우나스와 그 주변에서 포그롬을 시작했다. 리투아니아 협력자들은 수십만 명의 유대인, 폴란드인, 그리고 집시를 살해했다.[73]

1941년, 나치 독일의 보안 경찰 및 형사 경찰에 종속된 리투아니아 보안 경찰이 창설되었다. 26개 리투아니아 보조 경찰대대 중 10개 대대가 홀로코스트에 연루되었다. 빌뉴스의 특수 SD 및 독일 보안 경찰 분대는 포나리 학살에서 70,000명의 유대인을 살해했다. 민스크에서 제2대대는 약 9,000명의 소련 전쟁 포로를 사살했고, 슬루츠크에서는 5,000명의 유대인을 학살했다.

1942년 3월, 폴란드에서 제2 리투아니아 대대는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를 경비했다. 1942년 7월, 제2대대는 바르샤바 게토에서 트레블링카 절멸 수용소로 유대인을 이송하는 데 참여했다. 1942년 8월~10월, 일부 리투아니아 경찰 대대는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에 있었다: 제3대대는 몰로데치노, 제4대대는 도네츠크, 제7대대는 빈니차, 제11대대는 코로스텐, 제16대대는 드네프로페트로우스크, 제254대대는 폴타바, 제255대대는 모길레프 (벨라루스)에 있었다.[77] 한 대대는 1943년 바르샤바 게토 봉기를 진압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현지 주민들의 참여는 나치 점령 리투아니아의 홀로코스트의 핵심 요인이었으며[78], 그 결과 나치 점령 리투아니아 영토에 거주하는 리투아니아 유대인이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4. 2. 1.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 자치정부는 완전한 자유는 없었으나, 독일 정책의 틀 내에서 정치, 인종, 경제에 대한 자율성을 확보했다. 독일 군사 명령에 따라 폐지되거나 개정되지 않는 범위에서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법률과 규정에 따라 권력을 행사했다. 자치 정부는 독일과의 협력을 위해 롬인(집시)과 에스토니아계 유대인을 살해하고, 외부 거주 중인 에스토니아인을 적대 세력으로 간주하고 살해했다. 에스토니아 방위 경찰 및 SD에 포함되었고, 독일 명령에 따라 불법으로 에스토니아인들에게 징병이나 강제 노동을 행했다.

에스토니아 방위 경찰 및 헌병, 제 286, 제287와 제288 에스토니아 방위군 연대와 2.5%-3%의 에스토니아인으로 이루어진 오마가스테 민병대가 천명에서 1200명 단위로 이루어져 직접적인 범죄 행위에 관련되었다. 위에 나열된 사건들로 인해, 15,000명의 소련 포로가 에스토니아에서 사망하고 일부는 학대당했다.

독일 계획에 따르면 에스토니아는 미래 독일 정착촌이 될 지역이었으며, 에스토니아인 자신도 나치 인종 등급에서 높게 평가되어 독일화 가능성이 있었다. 1941년 7월 7일부터 12월 2일까지 소련은 에스토니아인에 대한 일련의 탄압을 가했다. 내무인민위원회의 예하 파괴 대대가 약 2,000명의 에스토니아 민간인을 살해했으며, 5만에서 6만 명의 사람들이 소련 깊숙한 곳으로 추방된 것으로 추산된다. 그 중 1만 명이 1년 안에 굴락 시스템에서 사망했다. 많은 에스토니아인들은 조국을 해방하기를 바라며 독일 측에서 소련군과 싸웠다. 약 12,000명의 에스토니아 빨치산이 전투에 참여했다. 핀란드 훈련을 받은 에르나 그룹의 57명의 중요성은 매우 컸다.

1941년 8월 독일은 저항 단체를 오마카이체()로 조직했으며, 이 단체는 소련에 의해 해체된 카이첼리트를 기반으로 34,000명에서 40,000명의 회원을 보유했다. 오마카이체는 붉은 군대 병사, NKVD 요원 및 공산주의 활동가로부터 독일군의 후방을 정리하는 임무를 맡았다. 1년 안에 그 구성원들은 5,500명의 에스토니아 주민을 살해했다. 이후 그들은 경비 임무를 수행하고 에스토니아로 날아온 소련 빨치산과 싸웠다. 오마카이체 회원 중 에스토니아 경찰, 에스토니아 보조 경찰 회원 및 제20 무장 친위대 사단 장교가 모집되었다.

독일은 얄마르 매에가 이끄는 괴뢰 정부인 에스토니아 자치 정부를 구성했다. 이 정부는 경찰 직책 채용과 같은 내부 문제에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다. 에스토니아 보안 경찰(SiPo)은 혼합된 에스토니아-독일 구조(독일인 139명과 에스토니아인 873명)를 가지고 있었고 형식적으로 에스토니아 자치 정부에 속해 있었다. 에스토니아 경찰은 독일과 협력하여 유대인, 로마인, 공산주의자 및 기존 질서의 적 또는 반사회적 요소를 체포했다. 또한 경찰은 독일의 지휘 아래 징병을 통해 에스토니아인을 강제 노동 및 군 복무에 동원하는 것을 도왔다. 에스토니아 유대인 소수의 대부분은 독일군이 도착하기 전에 도망쳤고, 약 1,000명만 남았다. 그들 모두는 에스토니아 경찰에 체포되어 오마카이체에 의해 처형되었다. 에스토니아 보조 경찰 및 제20 무장 친위대 사단의 구성원들도 에스토니아 영토에 독일이 설치한 강제 수용소로 보내진 유대인 죄수를 처형했다.

독일은 에스토니아에 진입하자마자 대대 규모의 에스토니아 의용군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1942년 1월까지 6개의 보안 그룹(제181-186 대대, 약 4,000명)이 형성되어 국방군 제18군에 소속되었다. 1년 계약이 만료된 후 일부 자원봉사자들은 무장 친위대로 전속하거나 민간 생활로 돌아갔고, 남아있는 사람들을 통해 3개의 동부 대대(제658-660)가 구성되었다. 그들은 1944년 초까지 싸웠고, 이후 그 구성원들은 제20 무장 친위대 사단으로 전속되었다.

1941년 9월부터 SS와 경찰 사령부는 4개의 보병 방위 대대(제37-40)와 예비 및 공병 대대(제41-42)를 만들었으며 작전적으로 국방군에 소속되었다. 1943년부터 그들은 경찰 대대로 불렸으며, 3,000명이 복무했다. 1944년에는 2개의 보병 대대로 개편되어 1944년 가을 독일로 후송되어 제20 무장 친위대 사단에 편입되었다.

1941년 가을, 독일은 또한 8개의 경찰 대대(제29-36)를 조직했는데, 그 중 제36대대만이 전형적인 군사적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부족으로 인해 그들 대부분은 레닌그라드 근처의 전선으로 보내졌고, 1943년에 대부분 해산되었다. 그해 SS와 경찰 사령부는 5개의 새로운 보안 및 방위 대대를 만들었다(제29-33을 계승하고 2,600명 이상의 병력이 있었다). 1943년 봄에는 5개의 방위 대대(제286-290)가 의무 군 복무 부대로 설립되었다. 제290대대는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으로 구성되었다. 제286, 288, 289대대는 벨라루스에서 빨치산과 싸우는 데 사용되었다.

1942년 8월 28일, 독일은 자원봉사 에스토니아 무장 친위대 군단을 결성했다. 약 1,000명의 자원봉사자 중 800명이 제나르바 대대에 편입되어 1943년 봄 우크라이나로 보내졌다. 자원봉사자의 수가 줄어들면서 1943년 2월 독일은 에스토니아에서 의무 징병을 도입했다. 1919년에서 1924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은 독일에서 일하거나 무장 친위대 또는 에스토니아 보조 대대에 합류하는 선택에 직면했다. 5,000명이 에스토니아 무장 친위대 군단에 합류했으며, 이 군단은 제3 에스토니아 무장 친위대 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적군이 진격하면서, 일반 동원령이 발표되었으며 에스토니아의 마지막 총리 위리 울로츠가 공식적으로 지원했다. 1944년 4월까지 38,000명의 에스토니아인이 징집되었다. 일부는 제3 무장 친위대 여단에 투입되었으며, 여단은 사단 규모로 확대되었고(제20 무장 친위대 사단: 10개 대대, 1944년 여름 15,000명 이상의 병력) 이미 존재하던 대부분의 에스토니아 부대(주로 동부 대대)도 편입되었다. 젊은 남성들은 다른 무장 친위대 부대에 징집되었다. 나머지 병력에서 6개의 국경 방위 연대와 4개의 경찰 소총 대대(제286, 288, 291, 292)가 나왔다.

에스토니아 보안 경찰 및 SD, 에스토니아 보조 경찰의 제286, 287, 288대대, 그리고 에스토니아 오마카이체() 민병대 부대(1,000명에서 1,200명 사이)의 2.5~3%가 러시아의 프스코프주와 에스토니아의 야갈라, 바이바라, 클로가 및 라게디 강제 수용소에서 400명에서 1,000명의 로마인과 6,000명의 유대인을 체포, 경비 또는 살해하는 데 참여했다.

이 부대의 경비를 받으면서 15,000명의 소련 전쟁 포로가 에스토니아에서 사망했다. 일부는 방치와 학대로, 일부는 처형으로 사망했다.

4. 2. 2. 라트비아



독일군이 1941년 라트비아를 점령할 당시, 독일은 라트비아인의 반소련 감정을 이용하여 지역 자원군(''Schutzmannschaft'' 또는 ''Schuma'')을 모집해 소비에트 파르타잔과 전투하거나 소련군 포로, 유대인의 강제수용소 경비를 맡겼다. 아랴스 코만도(Arajs Commando)는 1941년 11월 - 12월 동안 유대인 26,000명을 사살했다.

소련 NKVD에 의한 라트비아인들의 추방과 살해는 독일군이 소련 점령 리가를 점령하기 전 며칠 동안 절정에 달했다. 독일군이 도착하기 전에 NKVD가 추방할 수 없었던 사람들은 중앙 감옥에서 총살되었다. RSHA가 요원들에게 포그롬을 시작하라는 지시는 비옥한 토양에 떨어졌다. Einsatzkommando 1a와 Einsatzkommando 2의 일부가 라트비아 수도에 진입한 후, Einsatzgruppe A의 사령관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는 7월 1일 빅토르스 아라즈와 접촉하여 사령부 부대를 설립하도록 지시했다. 그 부대는 나중에 라트비아 보조 경찰 또는 ''아라즈 코만도''로 명명되었다. 구성원들은 극우 학생들과 전직 장교들로 모두 자원자였으며 언제든지 떠날 수 있었다.

다음 날인 7월 2일, 슈탈레커는 아라즈에게 독일 점령 당국이 제대로 설립되기 전에 포그롬을 시작하여 마치 자발적으로 보이도록 지시했다. Pērkonkrusts의 전 구성원과 다른 극우 단체의 Einsatzkommando의 영향을 받은 폭도들은 약탈을 시작하고 대량 체포를 실시했으며, 300~400명의 리가 유대인을 살해했다. 살해는 SS ''여단지도자'' 발터 슈탈레커의 감독하에 계속되었고, 2,700명 이상의 유대인이 사망했다.

Einsatzkommando의 활동은 독일 점령 당국이 완전히 설립된 후 제약을 받았으며, 이후 SS는 선별된 현지 징집 부대를 사용했다. 독일군 빌헬름 울러스페르거 장군과 볼데마르스 베이스, 유명한 라트비아 민족주의자는 라디오 연설에서 "내부의 적"을 공격하라고 대중에게 호소했다. 다음 몇 달 동안 라트비아 보조 보안 경찰은 주로 라트비아와 인접한 벨로루시에서 유대인, 공산주의자, 붉은 군대 낙오병을 살해하는 데 집중했다.

1943년 2월~3월, 8개의 라트비아 대대가 벨라루스-라트비아 국경 근처에서 징벌적 대유격 겨울 마법 작전에 참여하여 439개의 마을이 불타고 10,000~12,000명이 사망했으며, 7,000명 이상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통치하의 강제 노동 또는 살라스필스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67] 이 부대만으로도 라트비아 유대인 인구의 거의 절반인 약 26,000명의 유대인을 살해했으며, 주로 1941년 11월과 12월에 살해했다.

아라즈 코만도의 창설은 "초기 홀로코스트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였으며,[68] 독일이 조직한 ''포그롬''에서 현지 자원자(전직 군 장교, 경찰, 학생 및 Aizsargi)에 의한 유대인의 조직적인 살해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냈다. 이는 독일의 만성적인 인력 부족을 돕고 민간인을 일상적으로 살해하는 심리적 스트레스로부터 독일을 해방시켰다. 1941년 가을까지, SS는 라트비아 보조 경찰 대대를 레닌그라드로 배치했으며, 그곳에서 제2 라트비아 SS 보병 여단으로 통합되었다.[69] 1943년에 이 여단은 나중에 제19 무장 친위대 척탄병 사단 (제2 라트비아)이 되었으며, 제15 무장 친위대 척탄병 사단 (제1 라트비아)과 통합되어 라트비아 군단이 되었다.[69] 라트비아 군단은 형식적으로 자원 무장 친위대 부대였지만, 이름뿐인 자원 부대였으며, 병력의 약 80~85%가 징집병이었다.[70]

4. 2. 3. 리투아니아

독일의 침공에 앞서, 리투아니아의 일부 지도자들은 슬로바키아 공화국처럼 자치권을 부여받을 것이라고 믿었다. 독일 정보 기관인 Abwehr는 베를린 주재 리투아니아 대사관에 기반을 둔 친독일 단체인 리투아니아 활동 전선을 통제한다고 믿었다.[71] 리투아니아인들은 자체적으로 리투아니아 임시 정부를 구성했지만, 독일은 이를 외교적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리투아니아 대사 카지스 슈키르파가 총리가 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오히려 그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방해했다. 임시 정부는 해산되었는데, 이는 권력이 없었고 독일이 처음 생각했던 것처럼 소련 점령으로부터의 해방자가 아니라 점령자로서 왔다는 것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알기르다스 클리마이티스 휘하의 부대는 SS ''여단지도자'' 발터 슈탈레커의 감독 하에 1941년 6월 25일 카우나스와 그 주변에서 포그롬을 시작했다. 리투아니아 협력자들은 수십만 명의 유대인, 폴란드인, 그리고 집시를 살해했다.[73]

1941년, 나치 독일의 보안 경찰 및 형사 경찰에 종속된 리투아니아 보안 경찰이 창설되었다. 26개 리투아니아 보조 경찰대대 중 10개 대대가 홀로코스트에 연루되었다. 빌뉴스의 특수 SD 및 독일 보안 경찰 분대는 포나리 학살에서 70,000명의 유대인을 살해했다. 민스크에서 제2대대는 약 9,000명의 소련 전쟁 포로를 사살했고, 슬루츠크에서는 5,000명의 유대인을 학살했다.

1942년 3월, 폴란드에서 제2 리투아니아 대대는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를 경비했다. 1942년 7월, 제2대대는 바르샤바 게토에서 트레블링카 절멸 수용소로 유대인을 이송하는 데 참여했다. 1942년 8월~10월, 일부 리투아니아 경찰 대대는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에 있었다: 제3대대는 몰로데치노, 제4대대는 도네츠크, 제7대대는 빈니차, 제11대대는 코로스텐, 제16대대는 드네프로페트로우스크, 제254대대는 폴타바, 제255대대는 모길레프 (벨라루스)에 있었다.[77] 한 대대는 1943년 바르샤바 게토 봉기를 진압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현지 주민들의 참여는 나치 점령 리투아니아의 홀로코스트의 핵심 요인이었으며[78], 그 결과 나치 점령 리투아니아 영토에 거주하는 리투아니아 유대인이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4. 3. 불가리아

불가리아는 테살로니키와 서부 마케도니아를 얻는 데 관심을 보였으며, 당시 그곳에 거주하던 8만 명의 슬라브족의 충성을 얻기를 희망했다.[79] 그리스 파르티잔의 출현은 추축국 군대가 오라나 협력 부대의 형성을 허용하도록 설득했다.[79] 이 조직은 처음에는 그리스 마케도니아 서부의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에서 1,000명에서 3,000명의 무장 병력을 모집했다.[80]

4. 4. 체코슬로바키아

콘라트 헨라인민족주의 강경파로, 수데텐란트 국경 지역의 상당한 독일 소수 민족을 대표하며, 나치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적극적으로 모색했다.[81] 그의 노력은 뮌헨 협정을 촉발했다고 볼 수 있다.[82] 침공 이후 그는 유대인들을 테레지엔슈타트 게토로 보낸 나치의 추방을 관리했으며, 생존자는 거의 없었다. 예를 들어 1942년 테레지엔슈타트에서 42,000명, 대부분 체코 유대인이 추방되었는데, 생존자는 356명으로 알려져 있다. 헨라인은 또한 모든 체코인을 수데텐란트에서 추방하려 했지만, 인접한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은 그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그는 해당 지역 공장의 노동력 수요가 이러한 민족 정책보다 더 중요하다고 통보받았다.

1938년과 1939년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를 병합했을 때, 그들은 전쟁 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체코 지역에서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을 만들었다.[83] 이 보호령은 12개 대대 규모의 '보헤미아-모라비아 정부군', 경찰 및 헌병을 포함한 자체 군대를 보유했다. '정부군'의 대부분은 1944년 노동자 및 경비병으로 이탈리아 북부로 보내졌다.[84] 정부군이 협력 세력이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었다. 이 군대의 사령관인 야로슬라프 에밍거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협력 혐의로 재판을 받았지만 무죄 판결을 받았다.[85] 이 군대의 일부 구성원들은 군대에 복무하는 동안 적극적인 저항 작전에 참여했으며, 전쟁 말기에는 군대 일부가 프라하 봉기에 참여했다.[86]

슬로바키아 공화국(Slovenská republika)은 1939년 3월 14일부터 1945년 5월 8일까지 슬로바키아인으로 이루어진 나치 독일종속국이었다. 슬로바키아 공화국은 현재의 슬로바키아와 비슷한 영토였다(현재 슬로바키아 남부와 동부 제외). 독일의 경계로 하여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과 폴란드, 헝가리로 이루어졌다. 폴란드 침공 당시 독일과 같이 침공에 참가했다.

슬로바키아 공화국(Slovenská Republika)은 1939년 3월 14일부터 1945년 5월 8일까지 존재했던, 슬로바키아인을 중심으로 한 준독립 국가로, 나치 독일의 동맹국이자 괴뢰 국가였다. 슬로바키아 공화국은 현재의 슬로바키아와 거의 동일한 영토(남부와 동부 제외)에 존재했다. 독일,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독일 점령 폴란드, 그리고 헝가리와 국경을 접했다.

4. 4. 1. 주데텐란트

콘라트 헨라인민족주의 강경파로, 수데텐란트 국경 지역의 상당한 독일 소수 민족을 대표하며, 나치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적극적으로 모색했다.[81] 그의 노력은 뮌헨 협정을 촉발했다고 볼 수 있다.[82] 침공 이후 그는 유대인들을 테레지엔슈타트 게토로 보낸 나치의 추방을 관리했으며, 생존자는 거의 없었다. 예를 들어 1942년 테레지엔슈타트에서 42,000명, 대부분 체코 유대인이 추방되었는데, 생존자는 356명으로 알려져 있다. 헨라인은 또한 모든 체코인을 수데텐란트에서 추방하려 했지만, 인접한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은 그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그는 해당 지역 공장의 노동력 수요가 이러한 민족 정책보다 더 중요하다고 통보받았다.

4. 4. 2.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1938년과 1939년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를 병합했을 때, 그들은 전쟁 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체코 지역에서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을 만들었다.[83] 이 보호령은 12개 대대 규모의 '보헤미아-모라비아 정부군', 경찰 및 헌병을 포함한 자체 군대를 보유했다. '정부군'의 대부분은 1944년 노동자 및 경비병으로 이탈리아 북부로 보내졌다.[84] 정부군이 협력 세력이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었다. 이 군대의 사령관인 야로슬라프 에밍거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협력 혐의로 재판을 받았지만 무죄 판결을 받았다.[85] 이 군대의 일부 구성원들은 군대에 복무하는 동안 적극적인 저항 작전에 참여했으며, 전쟁 말기에는 군대 일부가 프라하 봉기에 참여했다.[86]

4. 4. 3. 슬로바키아 공화국

슬로바키아 공화국(Slovenská republika)은 1939년 3월 14일부터 1945년 5월 8일까지 슬로바키아인으로 이루어진 나치 독일종속국이었다. 슬로바키아 공화국은 현재의 슬로바키아와 비슷한 영토였다(현재 슬로바키아 남부와 동부 제외). 독일의 경계로 하여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과 폴란드, 헝가리로 이루어졌다. 폴란드 침공 당시 독일과 같이 침공에 참가했다.

슬로바키아 공화국(Slovenská Republika)은 1939년 3월 14일부터 1945년 5월 8일까지 존재했던, 슬로바키아인을 중심으로 한 준독립 국가로, 나치 독일의 동맹국이자 괴뢰 국가였다. 슬로바키아 공화국은 현재의 슬로바키아와 거의 동일한 영토(남부와 동부 제외)에 존재했다. 독일,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독일 점령 폴란드, 그리고 헝가리와 국경을 접했다.

4. 5. 그리스

독일의 그리스 침공 이후, 나치 정부는 그리스를 통치했다. 요르요스 촐라코글루, 콘스탄티노스 로고테토풀로스, 요안니스 랄리스는 나치 정부와 협력한 대표적인 부역자들이었다.[87] 이들은 행정 정부에서 군대 유지가 허가되지 않았으나, 독일군 동의 하에 보안 전투군이라는 반공산주의 및 반범죄를 표방한 준군사조직을 만들어 국내 진압에 활용했다. 그리스는 독일로 담배 등의 농산물을 수출했고, 그리스 "지원병"들은 독일 공장에서 일했다.[88]

게오르기오스 바코스 소장은 동부 전선에서 싸울 그리스 의용군을 모집하려 했으나 실패했다.[89] 반면, 이오안니스 랄리스의 협력 정부는 EAM/ELAS 저항군에 맞서기 위해 치안대대와 같은 무장 준군사조직을 창설했다. 전 독재자 테오도로스 판갈로스 장군은 치안대대를 정치적 재기를 위한 수단으로 여겼으며, 1943년 4월에 모집된 대부분의 헬레닉 육군 장교들은 판갈로스와 연관된 공화주의자들이었다.

그리스 국가사회주의당과 같은 그리스 국가 사회주의 정당, ESPO 조직, 그리스 국민 연합과 같은 노골적인 반유대주의 조직은 독일 당국이 그리스 저항군과 싸우고, 그리스 유대인들을 식별하여 추방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91] BUND 조직과 그 지도자 아기노르 지안노풀로스는 SS와 브란덴부르크 부대에서 싸운 그리스 의용병 대대를 훈련시켰다.

천 명 정도의 그리스인들은 표면상 소련 정부의 그리스인 박해를 이유로 들면서, 대부분 우크라이나에서 활동하는 SS 사단에 합류했다. 악명 높은 우크라이나계 그리스인 제바스티노스 포우리디스나 1938년 독일 첩보국에 의해 모인 광신적 반공주의자들은 독일 국방군에 합류하여 동부 전선에서 첩보 및 생산 방해 운동을 벌였다.

추축국 점령 기간 동안, 그리스 테스프로티아 현에 거주하던 다수의 참 알바니아인들은 발리 콤베타르 조직 아래 자체 행정부와 민병대를 설치하고, 이탈리아, 그리고 이후 독일 점령군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수많은 잔학 행위를 저질렀다. 1943년 9월 29일, 알바니아 준군사 지도자 누리 디노와 마자르 디노는 파라미티아에서 모든 파라미티아 그리스 관리와 유력인사들을 대량 학살하도록 선동했다.[92]

아로마니아인 정치 및 준군사 조직인 로마 군단은 아로마니아 민족주의자 알키비아데스 디아만디와 니콜라오스 마투시스가 이끌었으며, 이탈리아군과도 협력했다.

4. 6. 헝가리

헝가리는 1941년 유고슬라비아 침공 당시 자국 영토를 통해 독일 국방군의 통과를 허용했다. 텔레키 팔 총리는 친동맹국 중립 노선을 유지하려 했으나, 앤서니 이든 영국 외무장관은 헝가리가 독일군의 통과를 막지 않으면 외교 관계를 단절하겠다고 위협했다.[93] 헨리크 베르트 헝가리 참모총장은 정부 승인 없이 독일 국방군 최고사령부와 비밀 협정을 맺어 독일군 수송을 허용했고, 텔레키는 이를 막지 못하고 1941년 4월 3일 자살했다.[93] 헝가리는 크로아티아 독립국 선포 이후 4월 11일에 전쟁에 참전했다.

1941년 헝가리에서 추방된 유대인 16,000명을 포함해 총 23,600명의 유대인이 살해되었고, 이들 중 대다수는 카미아네츠-포돌스키 학살에서 학살되었다.[96] 1942년 1월에는 노비 사드와 인근 마을에서 헝가리군과 헌병에 의해 세르비아인 2,550~2,850명, 유대인 700~1,250명 등이 학살되었다.[96]

전쟁 기간 동안 유대인들은 비무장 "노동 봉사" 부대에 소집되어 가혹한 환경에서 강제 노동을 했다. 약 42,000명의 유대인 노동 봉사 병력이 소련 전선에서 사망했고, 또 다른 4,000명은 세르비아 보르의 구리 광산에서 사망했다. 미클로시 칼로이 총리와 섭정 미클로시 호르티는 독일의 절멸 수용소로 헝가리 유대인을 추방하는 것을 거부했지만, 1944년 3월 19일 독일의 헝가리 점령 이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로 추방이 시작되어 5월부터 7월까지 437,000명의 유대인이 보내졌고, 대부분 도착 즉시 가스실에서 학살되었다.

4. 7. 폴란드

독일의 유럽 점령기 시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폴란드 점령기 시에는 공식적으로 정치적이나 경제적 부역이 없었다. 폴란드는 공식적으로 독일에게 항복하지 않았다.[195] 독일 점령 하에, 폴란드군은 폴란드 국내군 같이 지하 저항을 계속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의 폴란드의 저항 운동은 독일 점령 지역에서 가장 대규모의 저항 운동이다.[196]

독일에서 일할 폴란드인을 모집하는 포스터, "독일에서 일을 하자! 폴란드 총독부에 신고하라"라고 적혀 있다.


다른 독일 점령 하의 국가들과 달리, 역사학자들은 폴란드 점령 시기 중 나치와의 공동 협력이 있었다는 합의가 있다. 협력의 정의에 따라(폴란드 민족과 그 소수민족의 대우에 따라), 학자들은 최대 "폴란드인 부역자"들은 350만명까지 추측한다(이스라엘 전범위원회 추측). 이는 폴란드 지하정부 특별 법원의 반역죄 시민 추정치로 계산한 것이었다.

전쟁 전 시민의 대부분은 나치에게 협력했고, 독일계 폴란드인들은 독일 시민의 등급과 비슷한 등급을 부여받았다. 1939년, 폴란드 침공 전 폴란드의 포메라니아와 실레지아 서부의 거주민 80만명은 독일 소수 민족 중 하나로 선언했다. 전쟁 중 약 3백만명의 폴란드인이 게르만계 외국인(Volksdeutsche)으로 되었다. 폴란드에서 국외 독일 사람은 매우 멸시되었고, 그 중 하나로는 폴란드 지하 정부(Polskie Państwo Podziemne)는 이들의 반역죄로 판단했다.

1939년 10월, 나치는 전쟁 중 점령 지역 행정 정부에게 경찰(Policja)를 동원했다. 이 경찰들은 사형 또는 체포 보고의 의무가 있었다. 이 때 청색 경찰도 형성되었다. 1943년에는 급성장하여 16만명이 청색 경찰에 속하게 되었다. 이 경찰의 주요 임무는 일반 경찰처럼 범죄자를 체포하고 처리할 뿐 아니라 독일과의 저항을 위한 밀수 및 저항(특히 폴란드계 유대인)을 억제하기 위한 임무를 받았다.

반유대 계열의 스즈말코우니크(szmalcownik)는 폴란드계 유대인 뿐 아니라 그들을 돕는 폴란드인을 적대했다. 폴란드의 반유대계 부역인들은 광범위한 시골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적극적인 협력의 결과로 숨어있던 유대인 20만명 종도가 죽은 것으로 추측된다. 자그레유(Żagiew) 등에 속한 폴란드계 유대인의 협력은 폴란드 지하운동의 유대인과 폴란드인 모두에게 피해를 끼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폴란드 저항 운동 포스터, 1943년 9월 폴란드 및 우크라이나 협력자 및 협박범(''슈말초브니크'')의 처형을 알림


1941년 6월 나치 독일의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될 때, 독일군은 재빨리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당시 소련이 점령한 폴란드 영역을 점령했다.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소련과 협력한 현지인들이 많이 사망했다. 반유대주의적인 표현과 나치의 격려로 쟈도코무나(Żydokomuna영어) 사상이 생겨나 1941년 여름 웜자 유대인 대학살이나 제드왑네 대학살(Jedwabne pogrom영어)이 발생한 원인이 된다.

1944년 독일은 비밀리에 폴란드 국내군(AK)을 빌뉴스 지역에서 무장시켜 폴란드의 소비에트 파르타잔과의 전투를 유도시켰고, 나바후르다크 지역과 빌뉴스 지역에서 작은 손실을 보았다(AK는 나치 독일에 대해 오스트라 브라마 작전(Operation Ostra Brama) 등에서 무기를 교환하곤 했다). 이러한 준비는 순전히 전술적인 이유였고 비시 프랑스나 크비슬링 정부 등 이데올로기적 협력은 거의 없었던 것이 대부분이다. 폴란드의 주요 동기는 독일군의 사기와 주요 정보를 알아내고 필요한 무기를 얻는 등이었다. 알려진 폴란드-독일 협력 행동은 없었으며, 독일은 소련 게릴라에 집중하여 폴란드의 총구를 돌릴려는 목적은 실패했다. 또한, 독일인들과 현지 지휘관들의 이러한 협력 대부분은 AK 본부에 의해 비난받았다. 폴란드계 미국인 사회학자 테데우즈 피오트로위스키(Tadeusz Piotrowski)는 이오시프 로스차일드(Joseph Rothschild)의 말을 빌려 "폴란드 국내군은 대형 협력 처리장"이며 "AK의 명예는 없다"라고 말했다.

폴란드 우익 집단 중 하나인 폴란드 국가군(National Armed Forces)의 당파 중 하나인 성 크로스 산맥 여단(Holy Cross Mountains Brigade)의 한 파르타잔 병사는 1944년 이후 독일과 무언으로 돕기로 하였다. 몇 달 동안 독일와의 적대 행위를 중단했으며, 전쟁 후반 소련군에게 포로가 되지 않고 명령을 유지하기 위해 병참 도움을 받아 독일의 승인으로 체코슬로바키아로 철수했다(독일과의 적대 행위를 재개했다).

4. 8. 루마니아

1941년 약탈 및 방화 이후 부쿠레슈티에 있는 세파르딤 사원


2004년 루마니아 정부가 발표한 국제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28만 명에서 38만 명 사이의 유대인이 루마니아 영토, 즉 베사라비아, 부코비나, 그리고 루마니아의 통제를 받게 된 소련 점령지(트란스니스트리아 주)의 전쟁 지역에서 사망했다.[115] 트란스니스트리아 강제 수용소로 추방된 25,000명의 로마니족 중 11,000명이 사망했다.[115]

살해의 대부분은 루마니아군과 독일군이 전쟁 지역에서 저질렀지만, 1941년 6월의 야시 포그롬에서는 13,000명 이상의 유대인이 시골을 오가는 기차 안에서 사망했다.[116] 베사라비아, 부코비나, 도로호이 주에 거주하던 추산 27만 명에서 32만 명의 유대인 중 절반이 1941년 6월부터 1944년 봄 사이에 살해당하거나 사망했다. 이 중 45,000명에서 60,000명의 유대인이 1941년 루마니아의 참전 몇 달 안에 루마니아군과 독일군에 의해 베사라비아와 부코비나에서 살해당했다.[117][118]

루마니아 군인과 헌병은 아인자츠코만도, 현지 우크라이나 민병대, 그리고 현지 우크라이나계 독일인(존데르코만도 러시아)과 셀프슈츠의 SS 부대와 협력했다. 루마니아군은 1941년 10월 18일부터 1942년 3월 중순까지 루마니아 군인, 헌병, 경찰이 최대 25,000명의 유대인을 살해하고 35,000명 이상을 추방한 1941년 오데사 학살에 상당한 책임이 있다.[115]

바르바로사 작전 이전 국경 내에 거주하던 유대인의 절반은 생존했지만, 강제 노동, 금전적 처벌, 차별적인 법률을 포함한 광범위한 가혹한 조건에 시달렸다. 모든 유대인 재산은 국유화되었다.

2004년 루마니아 정부가 의뢰하고 수용한 홀로코스트에 대한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 내렸다.[115]

나치 독일의 모든 동맹국 중, 루마니아는 독일 자체를 제외하고 다른 어떤 국가보다 더 많은 유대인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진다. 야시 포그롬, 1941년 오데사 학살, 보그다노프카 강제 수용소, 도마니우카, 페초라 강제 수용소에서 저질러진 살인은 홀로코스트 기간 중 유대인을 상대로 저질러진 가장 끔찍한 살인 중 하나였다. 루마니아는 유대인에 대한 집단 학살을 저질렀다. 루마니아 일부 지역에서 유대인의 생존은 이러한 현실을 바꾸지 않는다.

4. 9.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 1941년 침공 이후, 유고슬라비아 영토는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 추축국의 통치를 받았다.

유고슬라비아의 추축국 점령 지도
유고슬라비아의 추축국 점령 지도


=== 세르비아 ===

세르비아 의용군


세르비아 군정 지역은 나치 독일의 직접 통치를 받다가, 이후 밀란 네디치 장군이 이끄는 괴뢰 정부가 수립되었다.[122] 이 정부는 현지 준군사 조직을 통해 내부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맡았다.[123] 세르비아국 헌병대와 세르비아 자원 군단 등은 우익 성향의 단체와 함께 수용소 경비를 맡았다. 1943년 중반까지 세르비아의 협력 부대는 25,000명에서 30,000명 사이였다.[124]

=== 몬테네그로 ===

몬테네그로 이탈리아 총독부는 녹색당으로 알려진 몬테네그로 분리주의자들의 지원을 받아 이탈리아 보호령으로 설립되었다. 녹색당의 민병대인 로브첸 여단은 이탈리아와 협력했다. 이 외에도 현지 체트니크, 경찰, 헌병대, 산자크 무슬림 민병대 등이 협력 부대로 활동했다.

=== 코소보 ===

1943년 4월, 하인리히 힘러의 명령으로 알바니아인과 코소보 알바니아인(Kosovar Albanian) 자원병으로 구성된 21 SS무장산악사단 스칸더벡 (1 알바니아)이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1944년 11월 해체되었고, 잔존 병력은 1944년 12월 프랑슈와 외젠 사단으로 옮겨져 티토 파르티잔과 전투를 벌였다. 사단 엠블렘은 검은 알바니아 독수리였다. 발리 콤페타르(Balli Kombëtar)는 추축국의 자원군으로 모집되어 대알바니아를 목표로 활동했다.

코소보 대부분과 남부 세르비아 서부 지역(Juzna Srbijasr, 제타 바노비나에 포함)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 독일에 의해 알바니아에 합병되었다.[143]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불네타리라는 준군사 단체에 모집되어 이탈리아 파시스트의 질서 유지를 도왔고,[144] 많은 세르비아인과 유대인들이 코소보에서 추방되어 알바니아의 수용소로 보내졌다.[145]

발리 콤베타르 민병대는 대 알바니아 건설을 위해 추축국과 협력한 알바니아 민족주의자 자원 단체였다.[146] 코소보 연대를 포함한 군사 부대가 민병대 내에서 결성되었고, 이 연대는 이탈리아 항복 이후 나치 보조 군사 부대로 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에서 창설되었다.[147] 독일 보고서에 따르면, 1944년 초 자페르 데바가 이끄는 약 20,000명의 알바니아 게릴라가 알바니아와 코소보에서 베르마흐트와 함께 파르티잔과 싸웠다.

=== 마케도니아 ===

바르다르 마케도니아가 불가리아에 합병된 후, 점령 당국은 오흐라나를 보조 치안 부대로 조직했다. 1943년 3월 11일, 스코페의 모든 유대인들은 트레블링카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었다.[148]

=== 슬로베니아 ===

이탈리아가 후원하는 슬로베니아 반공 자원 민병대


추축국은 슬로베니아 영토를 세 구역으로 분할했다. 독일은 북부, 이탈리아는 남부, 헝가리는 프레크무르예 지역을 병합했다. 나치는 슬로베니아 독일계 주민을 이용하여 슬로베니아 국가 방위군 등의 단체를 조직했다.

슬로베니아 자국 방위군(Domobrancisl)은 1943년 9월 류블랴나 주에서 결성된 협력 부대였다. 레온 루프니크가 이끌었지만, 처음에는 독일군을 지원하는 보조 경찰력으로 기능했다.[149] 이후 더 많은 자율성을 얻어 류블랴나에서 대부분의 반유격대 작전을 수행했다. 청색 방위대는 카를 노바크와 이반 프레젤이 이끄는 반공 민병대였다.[150]

반공 자원 민병대(MVAC)는 이탈리아의 지휘를 받았다. MVAC의 가장 큰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시민 방위대(sl/Vaške Stražesl)였고,[149] 죽음의 군단(Legija Smrtisl)은 청색 방위대가 MVAC에 합류한 후 결성된 슬로베니아 반유격대 무장 부대였다.

=== 크로아티아 독립국 ===

안테 파벨리치나치 독일의 괴뢰국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지도자였다. 우스타샤야세노바츠 강제 수용소에서 세르비아인 등을 학살했다.[152][153][154]

1941년 4월 10일, 안테 파벨리치크로아티아 독립국(NDH)이 추축국과 연합하여 자그레브를 수도로 설립되었다.[151] 1941년과 1945년 사이, 파시스트 우스타샤 정권은 나치 독일과 협력하여 독자적인 박해를 가했다.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 박물관에 따르면, 이로 인해 야세노바츠 강제 수용소 등에서 약 3만 명의 유대인, 2만 5천 명에서 3만 명 사이의 로마인, 그리고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출신의 32만 명에서 34만 명 사이의 민족 세르비아인이 사망했다.[152][153][154]

1943년 2월에 창설된 제13 무장 산악 사단 "한자르" (제1 크로아티아)[207][208]와 1944년 1월에 창설된 제23 무장 산악 사단 "카마" (제2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뿐만 아니라 지역 독일인으로 구성되었다. 파벨리치는 동부 전선을 위해 크로아티아 군단을 창설하여 베르마흐트에 배속시켰다.

아민 알 후세이니는 1943년 보스니아 SS 자원병 부대를 사열하면서 나치식 경례를 하고 있으며, 옆에는 카를-구스타프 자우버츠바이크 무장 친위대 장군이 있다.


파벨리치는 크로아티아인이 고트족의 후손이라고 선언하여 지도부의 열등감을 없애고 독일인에게 더 좋은 평가를 받으려 했다. 포글라브니크는 "크로아티아인은 슬라브족이 아니라 혈통과 인종 면에서 게르만 민족이다"라고 말했다.

=== 보스니아 ===

1941년, 보스니아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일부가 되었다. 보스니아 무슬림들은 이슬람 신앙을 가진 크로아티아인으로 간주되었다.[155] 독일 장교 명령으로 구성된 보스니아인의 13 SS 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1 크로아티아)는[207] 1943년 2월 만들어져 1944년 12월까지 운영되었다.[208] 이 사단은 반유고슬라비아 파르타잔 전선에 투입되었다.

4. 9. 1. 세르비아



세르비아 부역자들은 세르비아국 헌병대와 세르비아 자원 군단은 우익 성향의 유고슬라비아 국가사회주의 운동 단체와 함께 수용소 경비를 도왔다.

독일 군정 아래에서 세르비아는 처음에는 나치에 의해 직접 통치되었고, 그 다음에는 괴뢰 정부가 밀란 네디치 장군에 의해 이끌렸다.[122] 정부의 주요 기능은 독일 사령부의 권한 하에 현지 준군사 조직을 사용하여 내부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었다.[123] 국방군 작전 참모부는 독일군에 복무할 부대를 창설하는 것을 결코 고려하지 않았다. 1943년 중반까지 세르비아의 협력 부대(세르비아 및 러시아계 부대)는 25,000명에서 30,000명 사이였다.[124]

4. 9. 2.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 이탈리아 총독부는 녹색당으로 알려진 몬테네그로 분리주의자들의 지원을 받아 이탈리아 보호령으로 설립되었다. 녹색당의 민병대인 로브첸 여단은 이탈리아인들과 협력했다. 다른 협력 부대에는 현지 체트니크, 경찰, 헌병대 및 산자크 무슬림 민병대가 포함되었다.

4. 9. 3. 코소보

1943년 4월, 하인리히 힘러의 명령으로 알바니아인과 코소보 알바니아인(Kosovar Albanian) 자원병으로 구성된 21 SS무장산악사단 스칸더벡 (1 알바니아)을 창설했다. 1944년 6월, 이 군은 파르타잔 병력보다 더욱 약화되었고 1944년 11월 해체되었다. 나머지 간부들은 스칸더벡 분견군(Kampfgruppe Skanderbeg)으로 소속되어 1944년 12월 성공적으로 프랑슈와 외젠 사단으로 옮겨져 티토 파르티잔과의 전투에 참가했다. 사단 엠블렘은 검은 알바니아 독수리였다. 알바니아 민족주의자, 반공산주의자들의 발리 콤페타르(Balli Kombëtar)는 추축국의 자원군으로 모집되어 그리스와 유고슬라비아에서 활동했다. 이들은 대알바니아를 의제로 활동했다.

코소보 대부분과 남부 세르비아 서부 지역(Juzna Srbijasr, 제타 바노비나에 포함)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 독일에 의해 알바니아에 합병되었다.[143]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이탈리아 파시스트가 질서를 유지하도록 돕기 위해 설치된 불네타리로 알려진 알바니아 준군사 단체에 모집되었고,[144] 많은 세르비아인과 유대인들이 코소보에서 추방되어 알바니아의 수용소로 보내졌다.[145]

발리 콤베타르 민병대, 즉 발리스타는 저항 운동으로 시작하여 대 알바니아의 창설을 기대하며 추축국과 협력한 알바니아 민족주의자 자원 단체였다.[146] 코소보 연대를 포함한 군사 부대가 민병대 내에서 결성되었는데, 이 연대는 이탈리아 항복 이후 나치 보조 군사 부대로 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에서 창설되었다.[147]

독일 보고서에 따르면, 1944년 초 자페르 데바가 이끄는 약 20,000명의 알바니아 게릴라가 알바니아와 코소보에서 베르마흐트와 함께 파르티잔과 싸웠다.

4. 9. 4. 마케도니아

바르다르 마케도니아가 불가리아에 합병된 후, 점령 당국은 오흐라나를 보조 치안 부대로 조직했다. 1943년 3월 11일, 스코페의 모든 유대인들은 트레블링카 강제 수용소의 가스실로 이송되었다.[148]

4. 9. 5. 슬로베니아

|섬네일|이탈리아가 후원하는 슬로베니아 반공 자원 민병대

추축국은 슬로베니아 영토를 세 구역으로 분할했다. 독일은 가장 넓은 북부 지역을 점령했고, 이탈리아는 남부 지역을 병합했으며, 헝가리는 북동부 지역인 프레크무르예를 병합했다. 유고슬라비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나치는 슬로베니아 독일계 주민을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이용했는데, 그 예로 독일 청년단(Deutsche Jugend)과 같은 단체는 경비 및 유격대와의 전투를 위한 보조 군사력으로 사용되었으며, 슬로베니아 국가 방위군도 이에 해당한다.

슬로베니아 자국 방위군(Domobrancisl)은 1943년 9월 류블랴나 주 (당시 이탈리아의 일부)에서 결성된 협력 부대였다. 전직 장군인 레온 루프니크가 이끌었지만 자율성은 제한적이었으며, 처음에는 반유격대 활동에서 독일군을 지원하는 보조 경찰력으로 기능했다.[149] 이후 더 많은 자율성을 얻어 류블랴나에서 대부분의 반유격대 작전을 수행했다. 방위군의 장비는 대부분 이탈리아에서 가져온 것이었지만(1943년 이탈리아가 전쟁에서 탈락하면서 몰수됨), 독일 무기와 장비도 사용되었으며, 특히 전쟁 후반에 더욱 그러했다. 이와 유사하지만 훨씬 작은 부대가 슬로베니아 연안 (''프리모르스카'')과 상 카르니올라 (''고렌스카'')에서도 결성되었다. 청색 방위대는 슬로베니아 체트니크라고도 불리며 카를 노바크와 이반 프레젤이 이끄는 반공 민병대였다.[150]

반공 자원 민병대(MVAC)는 이탈리아의 지휘를 받았다. MVAC의 가장 큰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시민 방위대(sl/Vaške Stražesl)였는데,[149] 이는 이탈리아 파시스트 당국이 유격대와 일부 협력 체트니크 부대와 싸우기 위해 결성한 슬로베니아 자원 군사 조직이었다. 죽음의 군단(Legija Smrtisl)은 청색 방위대가 MVAC에 합류한 후 결성된 또 다른 슬로베니아 반유격대 무장 부대였다.

4. 9. 6. 크로아티아 독립국

안테 파벨리치나치 독일의 괴뢰국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지도자였다. 크로아티아 극민족주의자 우스타샤야세노바츠 강제 수용소에서 주로 세르비아인 수백-수천명을 학살했다.[152][153][154]

1941년 4월 10일, 유고슬라비아가 항복하기 며칠 전, 안테 파벨리치크로아티아 독립국(NDH)이 추축국과 연합하여 수도 자그레브를 두고 설립되었다.[151] 1941년과 1945년 사이, 파시스트 우스타샤 정권은 나치 독일과 협력하여 독자적인 박해를 가했다.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 박물관에 따르면, 이로 인해 악명 높은 야세노바츠 강제 수용소와 같은 수용소에서 약 3만 명의 유대인, 2만 5천 명에서 3만 명 사이의 로마인, 그리고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출신의 32만 명에서 34만 명 사이의 민족 세르비아인이 사망했다.[152][153][154]

1943년 2월에 창설된 제13 무장 산악 사단 "한자르" (제1 크로아티아)와[207][208] 1944년 1월에 창설된 제23 무장 산악 사단 "카마" (제2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뿐만 아니라 지역 독일인으로 구성되었다. 전쟁 초기, 파벨리치는 동부 전선을 위해 크로아티아 군단을 창설하여 베르마흐트에 배속시켰다. 파벨리치는 선전상의 이유(도모브란/국토 방위군은 "크로아티아의 가치를 대표하며, 절대 공격하지 않고 오직 방어만 한다")와 소련과의 정치적 유연성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자신의 군대가 직접 관여하는 것을 원치 않아 자원 조종사들이 루프트바페에 합류했다.

파벨리치는 크로아티아인이 고트족의 후손이라고 선언하여 지도부의 열등감을 없애고 독일인에게 더 좋은 평가를 받으려 했다. 포글라브니크는 "크로아티아인은 슬라브족이 아니라 혈통과 인종 면에서 게르만 민족이다"라고 말했다.

4. 9. 7. 보스니아

1941년, 보스니아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일부가 되었다. 보스니아 무슬림들은 이슬람 신앙을 가진 크로아티아인으로 간주되었다.[155] 독일 장교 명령으로 구성된 보스니아인의 13 SS 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1 크로아티아)는[207] 1943년 2월 만들어져 1944년 12월까지 운영되었다.[208] 이 사단은 반유고슬라비아 파르타잔 전선에 투입되었다.

5. 소련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독일은 소련의 많은 유럽 부분을 점령했고, 그 중 일부는 1945년 종전 직전까지 독일 통제하에 있었다. 소련의 협력자들은 수많은 러시아와 그 외 소수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독일군은 OST-아르바이터 프로그램에 소련 시민들을 자발적으로 동원하고자 했으나, 끔찍한 조건의 소식이 전해지자 기피하였고 결국 강제 체제로 돌아섰다.

폴란드 침공 말기에 브레스트에서 열린 Wehrmacht와 붉은 군대의 합동 열병식. ''중앙:'' 하인츠 구데리안 소장. ''오른쪽:'' 준장 세묜 크리보셰인.


바르바로사 작전은 1941년 6월 22일에 시작되었고, 1942년 11월까지 나치 독일은 소련의 약 1,930,503 km²를 점령했다.[156] 1944년 11월까지 독일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소련 영토에서 쫓겨났다.[156]

미국 역사가 제프리 버즈에 따르면, 유럽에서 나치 독일에 협력한 300만 명의 무장 협력자 중 최대 250만 명이 소련 출신이었고, 1945년까지 독일 군인 8명 중 1명은 이전 소련 시민이었다고 한다.[157] 앤서니 비버는 소련 영토 출신 100만에서 150만 명이 독일군에서 복무했다고 썼다.[158] 어쨌든, 정확한 숫자는 결코 알려지지 않을 것이다.[159] 소련 출신들은 다양한 부대에서 베르마흐트에서 복무했다: 히위, 보안 부대, 러시아 해방군 (ROA), KONR, 우크라이나 해방군, 다양한 독립 러시아 부대 (, RNNA, RONA, 제1 러시아 국민군) 및 동방 군단.[156]

전쟁 말기에 SS 본부와 동부 국무성은 동방 군단과 코사크 부대를 두고 갈등을 시작했다.[160] 전자는 베르마흐트에서 싸우는 모든 비독일군을 통제하려 했고, 후자는 군 부대에 대한 자체 정책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그들의 후원을 받는 국가 위원회에 의해 지원되었다.[160] 대부분의 국가 위원회는 자신과 관련 군 부대를 안드레이 블라소프의 러시아 민족 해방 위원회 (KONR)와 그 군대 (ROA)에 종속시키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코카서스 해방군과 투르케스탄 국민군과 같은 국가 군대를 선포하기로 결정했다.[160] 그러나 SS 본부의 후원자들의 도움을 받아 블라소프는 1945년 4월에 그들의 표면적인 지도자가 되었고 모든 국가 위원회와 관련 병력은 명목상 그에게 종속되었다.[160]

독일군 장교와 함께 안드레이 블라소프 장군(중앙)이 러시아 해방군 부대를 사열하고 있다.


앤서니 비버에 따르면, 독일군에서 복무한 사람들은 "종종 매우 순진하고 무지했다."[158] 많은 사람들이 독일군에서 복무하는 것을 다른 군대에서 복무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했고, 이는 포로 수용소에서 학대와 기아에 시달리는 것보다 더 나은 방식으로 자신에게 식량을 보장하는 방법이라고 여겼다.[158]

무장친위대는 소련에 거주하는 많은 국적에서 징집했고, 독일 정부는 소련 시민들을 자발적으로 ''Ostarbeiter'' 프로그램에 등록하려고 시도했다. 원래 이 노력은 잘 진행되었지만 노동자들이 직면한 끔찍한 조건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새로운 자원병의 흐름이 끊겼고 프로그램은 강제적으로 변경되었다.

5. 1. 히위(Hiwi)

붉은 군대에서 탈영하거나 포로가 된 개개인들은 초창기부터 요리, 운전, 의료 지원과 같은 보조 임무에서 독일군에게 도움을 제공했다.[159] 보급 부대와 건설 대대에 합류한 소련 민간인들도 있었다.[156] 군인 및 민간인 보조원 모두 히비 (독일어로 보조 자원병의 약어)라고 불렸으며, 전직 소련 군인들은 종종 소련군 표식 없이 붉은 군대 군복을 입었다.[156] 2개월 복무 후에는 계급 표식과 함께 독일군 군복을 착용할 수 있었는데, 이로 인해 베테랑 히비는 정규 독일군 병사와 거의 구별할 수 없게 되었지만, 계급 승진은 매우 제한적이었다.[156]

아돌프 히틀러는 1941년 9월에 소련 출신 사람들을 비무장 자원 보조원으로 모집하는 것을 마지못해 허가했지만, 실제로 이는 자주 무시되었고 그들 중 다수는 최전선 부대에서 복무했다.[156] 때로는 독일군 부대의 많은 남자가 히비로 구성되었는데, 예를 들어 제134 보병 사단의 절반과 제6 군의 1/4이 1942년 말에 히비로 구성되었다.[156] 붉은 군대 당국은 100만 명 이상이 히비로 독일 국방군에서 복무했다고 추정했다.[158]

1943년 프랑스에서 투르케스탄 군단의 자원병 ''freiwillige'' 부대

5. 2. 동방 군단(Ostlegionen)

1941년 말, 추축국이 소련을 빠르게 점령하지 못하면서 독일 국방군은 장기전에 필요한 인력 자원을 확보해야 했다.[160] 1941년 11월에서 12월 사이, 히틀러는 투르케스탄 군단, 그루지야 군단, 아르메니아 군단, 코카서스 무슬림 군단 등 4개의 동방 군단(Ostlegionen) 창설을 명령했다.[160]

1942년 8월, "동부 지역 보조 부대 규정"은 튀르크 민족과 코사크를 "볼셰비즘에 맞서 독일 군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동등한 동맹"으로 규정했다.[160] 그러나 동부 대대가 서유럽의 대서양 방벽 방어에 투입되면서 서방 연합군과의 전투에는 적합하지 않았고, 오히려 독일 사단을 약화시키는 짐이 되었다.[161]

독일 국방군에는 275,000명에서 350,000명 사이의 "무슬림 및 코카서스" 출신 자원병 및 징집병이 복무했다.[162]

소련 출신 민족별 독일 국방군 복무 인원[160]
민족인원
카자흐족, 우즈베크족, 투르크멘족 및 기타 중앙아시아 민족~70,000
아제르바이잔인<40,000
북 코카서스인<30,000
그루지야인25,000
아르메니아인20,000
볼가 타타르인12,500
크림 타타르인10,000
칼미크족7,000
코사크70,000
총계280,000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은 1920년 볼셰비키에 의해 아르메니아 공화국이 합병된 이후 러시아에 정복되기를 원치 않았던 아르메니아인들이 만든 단체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연맹의 일부는 아르메니아의 독립을 위해 독일과 협력하고자 했다. 드라스타마트 카나얀이 지휘하는 아르메니아 군단은 크림반도 점령과 코카서스 진격에 참여했다. 1942년 12월 15일,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는 아르메니아 국가위원회를 제국 동부 영토 점령 지역의 하나로 공인했다. 위원회의 대통령은 아르드샤르 아베이안, 부통령은 아브라함 구리칸다니안이었으며, 가레긴 느주데흐와 바한 파파지안도 위원회 일원이었다.

1942년 초부터 1943년 말까지 Kommando der Ostlegionen in Polende(폴란드 동방 군단 사령부)에서만 총 54개의 대대가 편성되었다.[163]

Kommando der Ostlegionen in Polende에 의해 편성된 동방 군단 대대[163]
군단편성된 대대 수
투르케스탄 군단15
아르메니아 군단9
그루지야 군단8
아제르바이잔 군단8
이델-우랄 군단 (볼가 핀족 및 타타르족)7
북 코카서스 및 산악 코카서스 군단7
총계54



미국의 역사학자 알렉산더 댈린은 아르메니아 군단과 조지아 군단이 히틀러의 불신으로 인해 네덜란드로 보내졌고, 이후 텍설 반란이 일어나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군사역사가 크리스토퍼 엘리스비는 독일인에 의해 형성된 투르크와 코커서스인군은 "무장 훈련 및 사기가 매주 낮았고", "제대로 신뢰할 수 없었다"라고 말했다.

5. 3. 러시아

러시아에서는 나치 독일이 점령한 러시아 영토에서 러시아인의 로코트 공화국이 세워지면서 자치가 시작되었다. 나치의 명령에 따라 벨라루스, 폴란드 등지의 학살에 참여한 것으로 악명이 높은 카민스키 연대와 30 SS무장척탄병사단 (2 러시아)이 만들어졌다.

1943년 프랑스의 투르키스탄 군단.


또한 러시아인 다수가 독일 준군사나 경찰에 입대했다. 그 지역 주민과 러시아 포로 뿐 아니라 붉은 군대의 탈영병도 히위 자원대에 가입하도록 부추겼다. 이들 중 일부는 소위 오스트 대대 자원대에 입대하여 연합군의 침공이 예상되는 프랑스 해안선 방어를 맡았다. 몽골의 칼미크인 약 5천명으로 구성된 칼미크 자원 기병 군단은 독일 국방군에 편입되었으며 1942년에는 칼미크에 남아 있고 독일군은 소련군의 공세를 피해 후퇴했다.

1943년 5월, 독일 장군 헬무트 반 판비츠는 카자크인들에게 돈 카자크와 쿠반 카자크 2개 연대로 구성된 사단을 생성하고 전 백군 지휘관인 표트로 크라노프와 안드레이 사쿠로에게 지휘를 맡겼다. 그러나, 이 사단은 붉은 군대와 전투하지 않고 1943년 9월 유고슬라비아 지역의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타잔 소탕전에 참가했다. 1944년 여름, 두 연대는 1 카자크 사단과 2 카자크 사단으로 격상되었다. 1945년 초에는 두 사단이 15 SS 카자크 기병 군단으로 편입되었다.

친독일 러시아군은 러시아 해방군(ROA)을 형성하며 독일 국방군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945년 5월 1일 ROA는 SS의 반대편에서 프라하 봉기 기간 동안 무장 투쟁을 이끌었다.

1944년 안드레이 블라소프 장군의 러시아 해방군("РОА") 견장을 착용한 병사들


민족적 러시아인들이 나치 점령하의 러시아에 위치한 반자치 지역인 로코트 자치구를 통치했다.[164] 1943년 6월 22일, 독일 국방군과 러시아 협력자들의 퍼레이드가 프스코프에서 환영을 받았고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독일군의 프스코프 진입은 점령 당국에 의해 "해방의 날"로 명명되었고, 옛 러시아 삼색기가 퍼레이드에 포함되었다.[165]

5. 4. 칼미크인

칼미크 기병대는 1942년 독일군붉은 군대에 밀려 후퇴할 때 칼미크 공화국에 남는 대신 독일군과 함께 후퇴하기로 선택한 약 5,000명의 칼미크인으로 구성되었다.[166] 이후 이오시프 스탈린은 1943년에 칼미크인 전체를 독일 협력자로 규정하고 대규모 강제 이주를 시베리아로 명령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다.[167]

5. 5. 벨라루스

벨라루스인 부역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벨라루스인 마을을 억압했다. 이러한 부역의 대부분은 붉은 군대의 공세와 독일군의 후퇴로 약해졌다. 독일 점령 하의 벨라루스에서, 지역 친독립 정치인들은 1919년 볼셰비키에게 정복당한 독립 벨라루스 국가를 재건하기 위해 나치를 이용하려 했다. 1943년 독일의 통제하에 벨라루스 중앙 위원회가 설립되었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없었고 주로 사회 문제와 교육을 관리하는 데 집중했다. 독일 점령이 끝나기 몇 달 전에는 벨라루스 민족 군사 부대인 벨라루스 국토 방위군이 창설되었다.

많은 벨라루스 협력자들은 붉은 군대의 진격에 따라 독일군과 함께 후퇴했다. 1945년 1월, 벨라루스 군사 부대의 잔여 병력으로 무장 친위대 제30무장척탄병사단 (제1벨라루스)이 창설되었다. 이 사단은 프랑스에서 소수의 전투에 참여했지만, 나치에 대한 적극적인 불충성을 보였고 대규모 탈영이 발생했다.

5. 6. 트란스캅카스

아르메니아, 조지아, 튀르크 및 코카서스 세력은 주로 소련군 포로로 구성된 나치 독일의 훈련군이었다. 이 대대에는 아르메니아인 18,000명, 아제르바이잔인 13,000명, 조지아인 14,000명, "북코카서스인" 10,0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군사역사가 크리스토퍼 엘리스비(Christopher Ailsby)에 따르면, 독일인에 의해 형성된 투르크와 코커서스인군은 "무장 훈련 및 사기가 매주 낮았고", "제대로 신뢰할 수 없었다"라고 말했다. 미국의 역사학자인 알렉산더 댈린 노트(Alexander Dallin notes)는 아르메니아 군단과 조지아 군단은 히틀러의 불신으로 인해 네덜란드로 보내졌고, 이후 텍설 반란이 일어나게 된다.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은 아르메니아 공화국이 1920년 볼셰비키에게 합병된 이후 러시아에 의해 정복되길 원치 않았던 아르메니아인이 모여 만든 단체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연맹의 일부는 아르메니아의 독립을 위해 독일과 협력하고자 했다. 드라스타마트 카나얀의 아르메니아 군단은 크림반도 점령과 코카서스 진격에 참여했다. 1942년 12월 15일, 아르메니아 국가위원회(Armenian National Council)는 알프레트 로젠베르크에 의해 제국 동부 영토 점령 지역의 하나로 공인받았다. 이 위원회의 대통령은 아르드샤르 아베이안이고 부통령은 아브라함 구리칸다니안이었으며 가레긴 느주데흐와 바한 파파지안도 이 위원회의 일원이었다. 1944년 말까지 파울 로흐배치 박사의 지원으로 베를린에서 Viken Shantn 라디오 방송을 내보냈으며 아르메니아 주간 저널도 출판되었다.

아르메니아 병사들, 라거 슈바르츠제(Lager Schwarzsee)


아제르바이잔 군단의 전투 장비. 이 부대는 1944년 8월 바르샤바 봉기 진압을 도왔다

5. 7. 우크라이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우크라이나는 소비에트 연방의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폴란드 제2공화국으로 분열되어 점령되었다. 루마니아체코슬로바키아도 작은 지역을 점령했다. 1930년대 소련 정책의 부정적인 영향, 특히 1933년의 홀로도모르, 1937년-38년의 대숙청, 1939년 폴란드의 서부 우크라이나 합병 후 우크라이나 지식인 대량 학살, 집산화(Collectivisation) 등으로 인해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은 독일 점령군을 해방자로 인식했다. 심지어, 독일 국방군이 침공하기 전 우크라이나인들이 독일 국방군 하의 나흐티갈 대대(Nachtigall Battalion)와 롤란드 대대(Roland Battalion)를 세우며 초기 침공군에 참여했다.

통치 정권이 변화하면서 우크라이나인들은 자치 및 점령을 허가받고 준경찰, 우체국, 기타 정부 구조를 구성하며 폴란드인, 러시아인, 유대인들을 잡아들였다. 소련 시민들은 내부 여권(internal passport)의 민족 정보를 통해 당 상태, 군사 서열 등의 정보를 제공했고, 이는 쿨라크, 콤소몰 회원 등의 시민의 사회 위치나 신뢰도를 나타냈다. 소련 포로 중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이나 콤소몰에 가입하지 않은 포로들은 포로 수용소에서 즉시 해방되어 행정 사무직이나 지역 경찰에 참여하기도 했다. 일부는 수용소 경비로 훈련받거나 반소련 사단에 참여하여 전투했다.

점령 기간 동안, 나치 하의 우크라이나 신문 '뵐른'(Volhyn)은 유대인을 도시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해야 한다는 기사를 올리기도 했다. 일부 우크라이나인들은 홀로코스트에 참여했다는 증거가 남아있다. 키예프의 경찰들이 바비 야르(Babi Yar) 학살 등 여러 차례 유대인 학살에 개입한 증거가 나타났다. 1941년 9월 18일 지토미르에서 우크라이나 민병대가 유대인 3,145명을 죽였으며, 같은 날 코로스텐(Korosten)에서는 유대인 238명이 사망했다. 1941년 9월 6일에는 우크라이나 민병대가 유대인 1,107명의 성인과 561명의 어린이를 사살했다.

우크라이나인들은 1943년 바르샤바 게토 봉기와 1944년 바르샤바 봉기 동안 독일 SS 군단에서 러시아인, 코사크인, 아제르인들과 함께 봉기 진압에 참가하여 약 4만명 이상의 민간인을 죽였다.

1943년 4월 28일, 독일 지휘부의 명령으로 14 SS무장척탄병사단 (1 우크라니아) SS사단이 창설되었으며, 이 사단에는 우크라이나인 83,000명이 자원했다. 이 사단은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등지에서 반파르타잔 작전(Anti-partisan operations)에 참여했고, 리비우-산도미에시 공세(Lvov–Sandomierz Offensive)와 빈 공세(Vienna Offensive)에서는 소련군과 대항하여 전투하기도 했다. 이들은 영국, 호주, 캐나다군 등 연합군에게 대규모로 항복했다.

6. 유럽 외 지역의 추축국 협력

1936년부터 1939년까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에서 벌어진 아랍-유대인 충돌과 나치 독일의 부상은 이집트 사회와 유대인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168] 젊은 이집트당과 무슬림 형제회와 같은 지역의 과격 단체 및 민족주의 단체들은 유대인과 영국이 예루살렘의 성지를 파괴하고 있으며, 수백 명의 아랍 여성과 어린이들이 살해되고 있다는 허위 보고서를 퍼뜨렸다.[169] 이러한 반유대주의의 일부는 히틀러 정권과 반제국주의 아랍 활동가들 간의 연관성에 의해 부추겨졌다. 하즈 아민 알-후세이니는 무슬림 형제단이 수천 장의 반유대주의 선전 팜플렛을 인쇄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나치로부터 자금을 받았다.[169]

팔레스타인인 아랍 민족주의자이자 무슬림 지도자인 예루살렘의 그랜드 무프티 무함마드 아민 알후사이니(Mohammad Amin al-Husayni)는 나치 독일을 선전하며 SS 등의 의용대 자원자 모집 등의 활동을 했다. 1941년 11월 28일, 히틀러는 베를린에서 공식적으로 알후사이니를 받았다. 히틀러는 "유럽 헤게모니의 유대인-공산주의의 마지막 자취는 사라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독일 군대는 코카서스의 남쪽 출구를 얻고 있으며 총통은 아랍 세계 해방의 시간이 다가왔다고 보증한다"고 선언했다. 또한 "이 지역의 남은 목표는 파괴일 것이다... 유대교의 생활은 아랍에서 영국 보호 하에 있다"고 말했다.

1943년 11월, 보스니아인 SS 대원들을 만나는 예루살렘의 그랜드 무프티 알후사이니.


알후사이니는 무슬림 SS 사단 창설을 지원하고 발칸반도의 전쟁 지원에 나섰고, 이맘과 물라의 학교와 교육 센터를 세우고 무슬림 SS 사단과 독일 국방군은 같이 전투했다. 1943년 초, 알후사이니는 보스니아인들의 군대 조직과 모집에 참여했다. 이 중 21,065명의 13 SS 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크로아티아 인)은 가장 큰 사단이었다. 1944년, 알후사이니는 팔레스타인에 유대인들의 화학 무기 공격을 지원했다. 5명의 낙하부대원들은 무프티에게 텔아비브의 지도, 독일군이 제조한 "고급 흰 가루"를 가지고 우물에 화학 무기를 넣는 명령을 받았다. 지방 경찰관의 프랴즈 베이 이드리시는 "실험실 보고서에는 각 용기에 25,000명을 죽일 수 있는 독이 있으며, 적어도 10개가 있었다"고 말했다.

독일 시오니즘주의자들은 1933년 나치와 강제 계약을 하며 하바라 조약(Haavara agreement)이라는 조직을 창설했다. 1941년까지 이 조약이 유지되었다. PBS에 따르면, "하바라는 유대인기구와 나치 정부 사이 조약의 결과로 1935년 설립한 조직이다. 이 조약은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주를 촉진하도록 되어있다. 나치 독일은 유대인 이민자들은 떠나기 전 재산의 대부분을 넘겨주는 대신, 하바라 조약으로 독일 수출품이 팔레스타인으로 넘겨저 재산의 일부가 보존되도록 하였다. 약 5만명 이상의 유대인들이 합의로 팔레스타인에 이주했다."라고 설명했다. 나치 독일의 공식적인 인사인 베론 본 밀덴스타인은 1933년 유대인 이민자였고, 나치 독일의 선전물 "데르 안제프"에서 기념 메달을 받는 소식을 전했다. 이 메달은 한쪽은 나치의 갈고리 문장, 다른 쪽은 유대인의 별이 그려져 있는 특이한 모양이었다.

1940년, 아브라함 스테른(Avraham Stern)이 창설한 무장 시온주의자들의 그룹인 이하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함께 개입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는 팔레스타인에서 영국 정부가 추방한 유대인을 독일이 도와주는 것에 대한 보답으로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이주를 도와주는 것이었다. 1940년 말, 이하이 대표 나프타리 루벤치크(Naftali Lubenchik)는 베이루트에서 독일 임원 웨너 오토 폰 헤르그(Werner Otto von Hentig)와 만나 독일을 충족시키려 했다. 루벤치크는 이하이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모든 전력을 공개하고 폰 헤르그에게 반영 작전을 구상하자고 제안했다. 나치 독일이 이하이보다 많은 비용을 제공하는 조건의 동맹도 제안되었다.

프랑스는 식민 제국을 유지했고, 휴전 협정 조건에 따라 프랑스의 축소된 군사력의 세력 균형이 본국 프랑스에서 해외 영토, 특히 프랑스령 북아프리카로 이동했다.[170] 1940년에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를 제외한 대부분의 프랑스 식민지가 비시 프랑스에 합류했지만, 이는 전쟁 중에 바뀌었다. 1943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제외한 모든 프랑스 식민지는 자유 프랑스의 통제하에 있었다.

영국 왕립 해군은 프랑스 함대가 독일의 손에 넘어갈 것을 우려하여 1940년 7월 알제리 해군 기지 메르스엘케비르 공격에서 대부분의 프랑스 함대를 격침시키거나 무력화시켰고, 이로 인해 영국-프랑스 관계가 악화되었으며 비시 정권의 보복으로 이어졌다.[170] 1942년 11월 8일 연합군의 프랑스 북아프리카 침공인 횃불 작전이 모로코와 알제리 상륙으로 시작되었을 때, 비시 프랑스군은 초기에 저항하여 479명이 사망하고 720명이 부상을 입었다. 프랑수아 다르랑 제독은 북아프리카 및 서아프리카의 프랑스 최고 위원(민간 정부 수반)으로 자임한 후, 그곳의 비시 프랑스군에게 저항을 중단하고 연합군과 협력하도록 명령했고, 그들은 그렇게 했다.[171]

프랑수아 다르랑 제독 (1881–1942)


다르랑과 북아프리카 주둔군 사령관인 알퐁스 쥐앵 장군을 포함한 대부분의 비시 정권 인물들이 체포되었다.[172] 두 사람 모두 석방되었고, 미국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은 다르랑의 자임을 받아들였다. 이는 드골을 격분하게 했고, 드골은 다르랑을 인정하는 것을 거부했다. 다르랑은 1942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프랑스 왕당파에 의해 암살되었다. 북아프리카의 독일 국방군은 튀니지 출신의 아랍 의용병 2개 대대, 알제리 대대, 모로코 대대로 구성된 ''독일-아랍 군대 사령부''(Kommando Deutsch-Arabische Truppen)를 창설했다.[173] 이 4개 부대는 독일 간부를 포함하여 총 3,000명으로 구성되었다.[174]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frique-Équatoriale française, AEF) 식민지 연방은 1940년 8월 차드의 펠릭스 에부에가 샤를 드 골에 합류한 후 그의 대의에 동참했다. 예외는 1940년 11월 12일까지 비시 프랑스를 지지했던 가봉이었으며, 이때 침공해온 자유 프랑스군에 항복했다. 이 연방은 아프리카에서 자유 프랑스 활동의 전략적 중심지가 되었다.

영국 공군은 1941년 5월 14일, 정찰 임무를 통해 독일 및 이탈리아 항공기를 발견한 후 시리아 중부 팔미라의 비행장을 공격했다. 시리아를 경유하는 독일 및 이탈리아 항공기에 대한 공격이 계속되었다. 비시 프랑스군은 5월 28일 블레넘 폭격기를 격추하여 승무원을 사망하게 하고, 6월 2일 다른 항공기를 강제로 착륙시켰다.[178] 프랑스 모란-소르니에 M.S.406 전투기는 5월 28일 독일 융커스 Ju 52 항공기를 이라크까지 호위하기도 했다.[178] 독일은 프랑스 항공기가 알제리에서 시리아로 가는 도중에 추축국이 통제하는 영공을 비행하고 독일이 통제하는 그리스 엘레우시나 공군 기지에서 연료를 보급하도록 허용했다.[179]

1941년 7월 14일 생장 다르크 휴전 이후, 37,736명의 비시 프랑스군 포로가 살아남았으며, 이들은 자유 프랑스군에 합류하기보다는 송환을 선택했다.

1941년 알레포에서 노획된 프랑스 마틴 167F

6. 1. 이집트 및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1936년부터 1939년까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에서 벌어진 아랍-유대인 충돌과 나치 독일의 부상은 이집트 사회와 유대인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168] 젊은 이집트당과 무슬림 형제회와 같은 지역의 과격 단체 및 민족주의 단체들은 유대인과 영국이 예루살렘의 성지를 파괴하고 있으며, 수백 명의 아랍 여성과 어린이들이 살해되고 있다는 허위 보고서를 퍼뜨렸다.[169] 이러한 반유대주의의 일부는 히틀러 정권과 반제국주의 아랍 활동가들 간의 연관성에 의해 부추겨졌다. 하즈 아민 알-후세이니는 무슬림 형제단이 수천 장의 반유대주의 선전 팜플렛을 인쇄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나치로부터 자금을 받았다.[169]

팔레스타인인 아랍 민족주의자이자 무슬림 지도자인 예루살렘의 그랜드 무프티 무함마드 아민 알후사이니(Mohammad Amin al-Husayni)는 나치 독일을 선전하며 SS 등의 의용대 자원자 모집 등의 활동을 했다. 1941년 11월 28일, 히틀러는 베를린에서 공식적으로 알후사이니를 받았다. 히틀러는 "유럽 헤게모니의 유대인-공산주의의 마지막 자취는 사라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독일 군대는 코카서스의 남쪽 출구를 얻고 있으며 총통은 아랍 세계 해방의 시간이 다가왔다고 보증한다"고 선언했다. 또한 "이 지역의 남은 목표는 파괴일 것이다... 유대교의 생활은 아랍에서 영국 보호 하에 있다"고 말했다.

알후사이니는 무슬림 SS 사단 창설을 지원하고 발칸반도의 전쟁 지원에 나섰고, 이맘과 물라의 학교와 교육 센터를 세우고 무슬림 SS 사단과 독일 국방군은 같이 전투했다. 1943년 초, 알후사이니는 보스니아인들의 군대 조직과 모집에 참여했다. 이 중 21,065명의 13 SS 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크로아티아 인)은 가장 큰 사단이었다. 1944년, 알후사이니는 팔레스타인에 유대인들의 화학 무기 공격을 지원했다. 5명의 낙하부대원들은 무프티에게 텔아비브의 지도, 독일군이 제조한 "고급 흰 가루"를 가지고 우물에 화학 무기를 넣는 명령을 받았다. 지방 경찰관의 프랴즈 베이 이드리시는 "실험실 보고서에는 각 용기에 25,000명을 죽일 수 있는 독이 있으며, 적어도 10개가 있었다"고 말했다.

독일 시오니즘주의자들은 1933년 나치와 강제 계약을 하며 하바라 조약(Haavara agreement)이라는 조직을 창설했다. 1941년까지 이 조약이 유지되었다. PBS에 따르면, "하바라는 유대인기구와 나치 정부 사이 조약의 결과로 1935년 설립한 조직이다. 이 조약은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주를 촉진하도록 되어있다. 나치 독일은 유대인 이민자들은 떠나기 전 재산의 대부분을 넘겨주는 대신, 하바라 조약으로 독일 수출품이 팔레스타인으로 넘겨저 재산의 일부가 보존되도록 하였다. 약 5만명 이상의 유대인들이 합의로 팔레스타인에 이주했다."라고 설명했다. 나치 독일의 공식적인 인사인 베론 본 밀덴스타인은 1933년 유대인 이민자였고, 나치 독일의 선전물 "데르 안제프"에서 기념 메달을 받는 소식을 전했다. 이 메달은 한쪽은 나치의 갈고리 문장, 다른 쪽은 유대인의 별이 그려져 있는 특이한 모양이었다.

1940년, 아브라함 스테른(Avraham Stern)이 창설한 무장 시온주의자들의 그룹인 이하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함께 개입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는 팔레스타인에서 영국 정부가 추방한 유대인을 독일이 도와주는 것에 대한 보답으로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이주를 도와주는 것이었다. 1940년 말, 이하이 대표 나프타리 루벤치크(Naftali Lubenchik)는 베이루트에서 독일 임원 웨너 오토 폰 헤르그(Werner Otto von Hentig)와 만나 독일을 충족시키려 했다. 루벤치크는 이하이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모든 전력을 공개하고 폰 헤르그에게 반영 작전을 구상하자고 제안했다. 나치 독일이 이하이보다 많은 비용을 제공하는 조건의 동맹도 제안되었다.

6. 2. 프랑스 식민 제국

프랑스는 식민 제국을 유지했고, 휴전 협정 조건에 따라 프랑스의 축소된 군사력의 세력 균형이 본국 프랑스에서 해외 영토, 특히 프랑스령 북아프리카로 이동했다.[170] 1940년에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를 제외한 대부분의 프랑스 식민지가 비시 프랑스에 합류했지만, 이는 전쟁 중에 바뀌었다. 1943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제외한 모든 프랑스 식민지는 자유 프랑스의 통제하에 있었다.

영국 왕립 해군은 프랑스 함대가 독일의 손에 넘어갈 것을 우려하여 1940년 7월 알제리 해군 기지 메르스엘케비르 공격에서 대부분의 프랑스 함대를 격침시키거나 무력화시켰고, 이로 인해 영국-프랑스 관계가 악화되었으며 비시 정권의 보복으로 이어졌다.[170] 1942년 11월 8일 연합군의 프랑스 북아프리카 침공인 횃불 작전이 모로코와 알제리 상륙으로 시작되었을 때, 비시 프랑스군은 초기에 저항하여 479명이 사망하고 720명이 부상을 입었다. 프랑수아 다르랑 제독은 북아프리카 및 서아프리카의 프랑스 최고 위원(민간 정부 수반)으로 자임한 후, 그곳의 비시 프랑스군에게 저항을 중단하고 연합군과 협력하도록 명령했고, 그들은 그렇게 했다.[171]

다르랑과 북아프리카 주둔군 사령관인 알퐁스 쥐앵 장군을 포함한 대부분의 비시 정권 인물들이 체포되었다.[172] 두 사람 모두 석방되었고, 미국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은 다르랑의 자임을 받아들였다. 이는 드골을 격분하게 했고, 드골은 다르랑을 인정하는 것을 거부했다. 다르랑은 1942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프랑스 왕당파에 의해 암살되었다. 북아프리카의 독일 국방군은 튀니지 출신의 아랍 의용병 2개 대대, 알제리 대대, 모로코 대대로 구성된 ''독일-아랍 군대 사령부''(Kommando Deutsch-Arabische Truppen)를 창설했다.[173] 이 4개 부대는 독일 간부를 포함하여 총 3,000명으로 구성되었다.[174]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frique-Équatoriale française, AEF) 식민지 연방은 1940년 8월 차드의 펠릭스 에부에가 샤를 드 골에 합류한 후 그의 대의에 동참했다. 예외는 1940년 11월 12일까지 비시 프랑스를 지지했던 가봉이었으며, 이때 침공해온 자유 프랑스군에 항복했다. 이 연방은 아프리카에서 자유 프랑스 활동의 전략적 중심지가 되었다.

영국 공군은 1941년 5월 14일, 정찰 임무를 통해 독일 및 이탈리아 항공기를 발견한 후 시리아 중부 팔미라의 비행장을 공격했다. 시리아를 경유하는 독일 및 이탈리아 항공기에 대한 공격이 계속되었다. 비시 프랑스군은 5월 28일 블레넘 폭격기를 격추하여 승무원을 사망하게 하고, 6월 2일 다른 항공기를 강제로 착륙시켰다.[178] 프랑스 모란-소르니에 M.S.406 전투기는 5월 28일 독일 융커스 Ju 52 항공기를 이라크까지 호위하기도 했다.[178] 독일은 프랑스 항공기가 알제리에서 시리아로 가는 도중에 추축국이 통제하는 영공을 비행하고 독일이 통제하는 그리스 엘레우시나 공군 기지에서 연료를 보급하도록 허용했다.[179]

1941년 7월 14일 생장 다르크 휴전 이후, 37,736명의 비시 프랑스군 포로가 살아남았으며, 이들은 자유 프랑스군에 합류하기보다는 송환을 선택했다.

7. 외국인 의용군

자원군은 독일 국방군에 합류하여 대부분의 국가, 심지어는 영국 연방의 일부 소규모 도시(자유 영국 군단)에서 무장 친위대나 보조 헌병(Schutzmannschaft)으로 활동했다. 전반적으로, 무장 친위대의 구성원 60만명 중 대부분은 벨기에와 네덜란드계 등 비독일계 사람이었다. 예를 들어, 비시 프랑스 정부의 다양한 협력자들은 33 SS 무장 척탄병 사단 사를마뉴 (1 프랑스) 구축을 도왔다. 이 자원군은 처음에는 1만명으로 계산되었지만 나중에 33 SS 사단으로 바뀌면서 외국인을 포함한 첫 번째 친위대 사단이 되었다.

주로 또는 전적으로 외국인이 차지한 자원 무장 친위대 18개 사단은 다음과 같다(대부분 외국 무장 친위대 본부에서 강제 징병으로 차출되었다).


  • 비킹
  • 노르트란트
  • 한트샤르
  • 1 우크라니아
  • 스칸더벡
  • 카마
  • 네데르란트
  • 훈야디
  • 훙가리아
  • 랑에마르크
  • 발로니엔
  • 1 러시아
  • 1 이탈리아
  • 2 러시아
  • 1 백루테니아
  • 3 헝가리
  • 사를마뉴
  • 란트슈투름 네데르란트

독일 아랍 군단(아랍 자원군) 병사. 1943년.


또, 동유럽 지역의 독일이 점령한 지역에서 일선의 자원군인 독일 경찰대(Schutzmannschaft)도 협력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하인리히 힘러의 명령으로 인해 징집이 시작되었다. 이 병력은 정규군의 일원이 아니라서 전선에 배치되진 않았고 후방의 점령군이나 파르타잔과 교전하는 역할을 하는 등 경찰의 역할에 더 가까웠다. 전쟁 이후에는 20만명까지 많아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무장 친위대의 60% 이상은 비독일계 자원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로 11 SS 의용기갑척탄병사단 노르트란트의 스칸디나비아인과 함께 프랑스인, 이탈리아인, 에스파냐인, 네덜란드인 등의 자원군이 베를린 공방전 당시 독일 국회의사당의 방어를 맡았다.[182][183]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장 친위대는 범죄 조직으로 선포되었고, 명시적인 징병을 제외한 전쟁 범죄는 없었다고 선포되었다. 1950년대, 연합군 고등판무관(Allied High Commission)과 미국 난민위원회(U.S. Displaced Persons Commission)는 발트 지역의 무장 친위대에 대해 목적, 이념, 활동 및 회원 자격에 따른 분류로 구별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7. 1. 프랑스군 의용군



프랑스 의용군은 볼셰비즘에 대항하는 프랑스 의용군(LVF), 제국 군단, SS-돌격여단 프랑스, 그리고 1945년 제33 무장척탄병 사단 샤를마뉴(제1 프랑스)를 결성했는데, 이들은 베를린 전투의 마지막 방어군 중 하나였다.

무장 친위대 징병 센터가 연합군에 의해 해방된 직후 촬영된 프랑스 북부 칼레.

7. 2. 영국령 인도 출신 의용군

1944년 2월, 프랑스의 "무장친위대 인도의용여단".


무장친위대 인도의용여단 또는 "자유 인도 950연대"는 1942년 8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추축국의 포로가 된 영국령 인도군 병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180][181] 이들은 대부분 망명한 인도 민족주의자이자 인도 국민 회의의 전 의장이었던 수바스 찬드라 보스의 지지자들이었다. 일본 제국은 주권국 및 자주권을 가진 자유 인도 임시 정부와 함께 인도 국민군을 지원했다.[180][181] 이탈리아 왕립군도 인도인 전쟁 포로들로 유사한 부대인 바타글리오네 아자드 힌두스탄을 창설했다.

7. 3. 무장 친위대의 비독일계 부대

영국 자유 군단(British Free Corps)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온 비독일계 사람들이 무장 친위대나 보조 헌병(Schutzmannschaft)으로 활동했다. 무장 친위대 구성원 60만 명 중 대부분은 벨기에와 네덜란드계 등 비독일계였다. 비시 프랑스 정부 협력자들은 33 SS 무장 척탄병 사단 사를마뉴 구축을 도왔는데, 이들은 외국인을 포함한 첫 친위대 사단이었다.

주로 또는 전적으로 외국인으로 구성된 무장 친위대 사단은 다음과 같다.

  • 비킹
  • 노르트란트
  • 한트샤르
  • 1 우크라니아
  • 스칸더벡
  • 카마
  • 네데르란트
  • 훈야디
  • 훙가리아
  • 랑에마르크
  • 발로니엔
  • 1 러시아
  • 1 이탈리아
  • 2 러시아
  • 1 백루테니아
  • 3 헝가리
  • 사를마뉴
  • 란트슈투름 네데르란트


동유럽 점령 지역에서는 독일 경찰대(Schutzmannschaft)가 협력군 역할을 했다. 이들은 하인리히 힘러의 명령으로 징집되었으며, 정규군이 아닌 경찰 역할로 후방 점령군이나 파르타잔과 교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무장 친위대의 60% 이상은 비독일계 자원군으로 구성되었다. 베를린 공방전 당시 독일 국회의사당 방어는 주로 11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노르트란트의 스칸디나비아인과 프랑스인, 이탈리아인, 에스파냐인, 네덜란드인 등의 자원군이 맡았다.[182][183]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장 친위대는 범죄 조직으로 선포되었으나, 징병된 이들은 제외되었다. 1950년, 독일 주재 미국 고등 판무관과 미국 난민 위원회는 발트 무장 친위대 부대를 독일 친위대와 구별된다고 발표했다.

8. 기업 협력

데호마그(독일 IBM 자회사) D11 계산기, 독일이 유대인 대학살을 시행하는 데 사용


[[File:Affiche_antitrust_du_PCF_-1945.jpg|thumb|1945년 프랑스 공산당의 포스터로, "트러스트의 사람들이 히틀러에게 나라를 팔았다"고 주장하며,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고 사업을 국유화할 것을 촉구했지만, 르노만이 국유화되었다.

여러 국제 기업들이 자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에 나치 독일과 협력한 혐의를 받고 있지만, 노골적인 전쟁의 맥락 밖에서 사업 거래에 "협력"이라는 용어를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어왔다.[192]

나치 독일과 거래를 했던 미국 기업에는 포드 자동차 회사(Ford Motor Company),[184] 코카콜라(The Coca-Cola Company),[185][186]IBM이 포함되었다.[187][188][189] 브라운 브라더스 해리먼 & 코(Brown Brothers Harriman & Co.)는 히틀러의 권력 장악을 도운 독일 거물 프리츠 티센(Fritz Thyssen)을 위해 활동했다.[190] AP 통신(Associated Press, AP)은 ''미국 내 유대인''과 ''저급 인간''이라는 제목의 선전 책자에 이미지를 제공했다.[191]

미국이 독일과의 전쟁에 참전한 1941년 12월, 250개의 미국 기업이 4억 5천만 달러 이상의 독일 자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독일에 투자한 주요 미국 기업으로는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스탠다드 오일(Standard Oil), ITT(ITT Inc.), 싱어(Singer Corporation), 국제 수확기(International Harvester), 코닥(Eastman Kodak), 질레트(Gillette), 코카콜라, 크래프트 푸드(Kraft), 웨스팅하우스 전기 회사(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United Fruit Company) 등이 있다. 많은 주요 할리우드 스튜디오 역시 미국이 전쟁에 참전하기 전에 나치의 취향에 맞춰 영화를 제작하거나 조정하는 과정에서 협력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192]

독일의 전 세계 금융 활동은 국제 결제 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JP모건 체이스(JPMorgan Chase), 유니온 뱅킹 코퍼레이션(Union Banking Corporation)과 같은 은행에 의해 촉진되었다.

로버트 A. 로젠바움(Robert A. Rosenbaum)은 "미국 기업들은 나치 정권이 I.G. 파르벤(IG Farben) 및 기타 카르텔을 경제 전쟁의 무기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만한 이유가 충분했다."라고 지적하며, 미국이 전쟁에 참전했을 때, 미국 기업들이 독일 파트너와의 사업 거래의 일환으로 포기했기 때문에 일부 기술이나 자원을 조달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썼다.[193]

전쟁 후, 일부 기업들은 일시적으로 분리되었던 독일 자회사를 재흡수했으며, 심지어 연합 정부로부터 전쟁 피해에 대한 보상을 받기도 했다.

참조

[1] 논문 Collaborationism in France during World War II
[2] 서적 Collaborationism in France during the Second World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3] 논문 Collaborationism in World War II: The Integral Nationalist Variant in Eastern Europe
[4] 웹사이트 German Invasion of Western Europe, May 1940 https://encyclopedia[...]
[5] 웹사이트 Vlaams Nationaal Verbond (VNV) https://www.belgiumw[...] Belgium-WWII
[6] 서적 "Hitler's Foreign Executioners: Europe's Dirty Secret"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fascism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Scripta Politica: Politieke Geschiedenis van België in Documenten (1918–2008) Acco
[9] 서적 Dictionnaire de la Seconde Guerre Mondiale en Belgique André Versaille ed.
[10] 서적 Dictionnaire de la Seconde Guerre Mondiale en Belgique https://books.google[...] André Versaille éd.
[11] 서적 Pierlot, 1930–1950 Racine
[12] 서적 La Belgique sous l'Occupation Allemande: 1940–1944 Éd. Complexe
[13] 웹사이트 Ministerie van Justitie. Commissariaat-generaal van de gerechtelijke politie / Ministère de la Justice. Commissariat-général de la police judiciaire https://portal.ehri-[...]
[14] 서적 Dictionnaire de la Seconde Guerre Mondiale en Belgique https://books.google[...] André Versaille éd.
[15] 서적 De Ziel van eel Zuil: de Christelijke Volkspartij 1945–1968 Catholic University of Leuven
[16] 서적 The Sorrows of Belgium: Liberation and Political Reconstruction, 1944–1947 Oxford University Press
[17] 뉴스 Un Oradour flamand à Meensel-Kiezegen http://archives.leso[...] 2013-06-22
[18] 서적 The Model Occupation: The Channel Islands under German Rule, 1940–1945 Harper Collins Publisher
[19] 서적 Geopolitics, Northern Europe, and Nordic Noir: What Television Series Tell Us About World Politics Routledge
[20] 웹사이트 Statsminister Vilhelm Buhls Antisabotagetale 2 September 1942 http://danmarkshisto[...] Aarhus University 2015-09-12
[21] 웹사이트 Samarbejdspolitikken under besættelsen 1940–45 https://danmarkshist[...] Aarhus University 2020-10-05
[22] 서적 Danmark besat og befriet – Bind II https://www.bogtorve[...] Forlaget Fremad
[23] 웹사이트 Rescue, Expulsion, and Collaboration: Denmark's Difficulties with It's World War II Past https://www.jstor.or[...] 2023-02-14
[24] 웹사이트 Danmark og de jødiske flygtninge 1938–1945: Flygtningestop http://folkedrab.dk/[...] Dansk Institut for Internationale Studier 2015-09-12
[25] 웹사이트 Anders Fogh siger undskyld https://www.berlings[...] 2005-05-05
[26] 서적 Mennesker for kul Forlaget Fremad
[27] 뉴스 Why did France lose to Germany in 1940? https://www.france24[...] France24 2020-05-16
[28] 서적 Dark Continent Penguin books
[29] 서적 Defeat and Division: France at War, 1939–1942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France: The Dark Years, 1940–1944 https://books.google[...] OUP Oxford
[31] 서적 A History of Fascism in France: From the First World War to the National Fron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32] 웹사이트 L'impossible pérennité de la police républicaine sous l'Occupation https://documentatio[...] 2007-04-27
[33] 서적 Foreign Legions of the Third Reich: Norway, Denmark, France https://books.google[...] R.J. Bender
[34] 서적 La Résistance Pour les Nuls https://books.google[...] edi8
[35] 서적 Histoire de la Résistance en France https://books.google[...] Humensis
[36] 서적 French Communism, 1920–1972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37] 서적 La France libérée (1944–1947) https://books.google[...] Place des éditeurs
[38] 서적 Histoire de la Collaboration https://www.cairn.in[...] Tallandier 2017
[39] 간행물 Between the Junes: The French Communists from the Collapse of France to the Invasion of Russia http://www.jstor.org[...] Sage Publications, Ltd.
[40] 서적 Workers and Communists in France: From Popular Front to Eurocommun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웹사이트 Juin 1940 : les négociations entre le PCF et les Allemands https://www.radiofra[...] 2021-04-04
[42] 서적 Contemporary France: Politics and Society Since 1945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3] 서적 The Resistance: The French Fight Against the Nazis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UK
[44] 서적 Père Jacques: Resplendent in Victory https://books.google[...] ICS Publications
[45] 서적 The Cruel Victory William Collins 2014
[46] 웹사이트 STO https://www.larousse[...] Larousse
[47] 웹사이트 Chronology of Repression and Persecution in Occupied France, 1940–44 https://www.sciences[...] Fontaine Thomas Mass Violence and Resistance – Research Network, Sciences Po 2007-11-19
[48] 웹사이트 France Confronts the Holocaust https://www.brooking[...] Jean-Marc Dreyfus, Brookings Institution 2001-12-01
[49] 뉴스 Was Vichy France a Puppet Government or a Willing Nazi Collaborator?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17-11-09
[50] 서적 Nazism: a history in documents and eyewitness accounts Schocken Books
[51] 서적 Collaboration and Resistance in Occupied France: Representing Treason and Sacrific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52] 서적 A History of Modern France: Volume 3: 1871–1962 Penguin Books
[53] 웹사이트 Heim ins Reich: La 2e guerre mondiale au Luxembourg – quelques points de repère http://www.cna.publi[...]
[54] 서적 Verdict on Vichy: Power and Prejudice in the Vichy France Regime https://boos.google.[...] Arcade Publishing 2016-01-16
[55] 웹사이트 Dutch Jew-hunters who massively helped the Nazis http://www.israelnat[...] Arutz Sheva 2018-02-03
[56] 웹사이트 Archive to reveal new details on WWII Jews' arrests http://www.nbcnews.c[...] 2011-04-12
[57] 뉴스 Dutch to Make Public the Files on Accused Nazi Collaborators https://www.nytimes.[...] 2023-04-25
[58] 뉴스 Norway profile – Leaders https://www.bbc.com/[...] BBC 2012-04-17
[59] 웹사이트 "He didn't mean to harm any good Norwegian" – the acquittal of Knut Rød, one of the organisers of the Norwegian Jew's deportation to Auschwitz, Seventh European Social Science History conference 26 February – 1 March 2008 http://www2.iisg.nl/[...]
[60] 서적 Front cover image for They came as friends They came as friends Doubleday, Doran & Co. 1943
[61] 뉴스 Justice – I http://www.time.com/[...] 1945-11-05
[62] 뉴스 The Norwegian TV series that's enraged the Kremlin: And why you should watch it https://www.politico[...] Politico 2016-03-20
[63] 서적 Kosovo and Metohija: living in the enclave https://books.google[...] Serb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Institute for Balkan Studies 2012-08-21
[64] 서적 Between Serb and Albanian: a history of Kosovo https://books.google[...] Hurst & Co. 2012-08-21
[65] 문서 Božović
[66] 서적 Hitler's Empire: How the Nazis Ruled Europe Penguin Books
[67] 서적 «Зимнее волшебство»: нацистская кара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 в белорусско-латвийском приграничье, февраль — март 1943 г. Фонд «Историческая память»/ Historical Memory Foundation, Russia
[68] 서적 The Holocaust in Latvia, 1941–1944: the missing center Historical Institute of Latvia
[69] 문서 Book Review: Symposium of the Commission of the Historians of Latvia, The Hidden and Forbidden History of Latvia under Soviet and Nazi Occupations, 1940–1991: Selected Research of the Commission of the Historians of Latvia, Vol. 14, Institute of the History of Latvia Publications:European History Quarterly 2009 39: 184
[70] 서적 Latviešu leģionāri / Latvian legionnaires Daugavas vanagi 2005
[71] 서적 Poland's Holocaust https://archive.org/[...] McFarland & Company
[72]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Clarendon Press
[73] 서적 Ponary: miejsce ludzkiej rzeźni http://www.msz.gov.p[...] Instytut Pamięci Narodowej, Komisja Ścigania Zbrodni przeciwko Narodowi Polskiemu; Ministerstwo Spraw Zagranicznych Rzeczpospolitej Polskiej, Departament Współpracy z Polonią
[74] 간행물 The Burden of 1941 http://www.lituanus.[...] 2012-10-21
[75] 간행물 Book Reviews http://www.lituanus.[...] 2012-10-21
[76] 뉴스 'Saulius Sužiedėlis: „Holokaustas – centrinis moderniosios Lietuvos istorijos įvykis"' https://www.bernardi[...] bernardinai 2010-12-28
[77] 웹사이트 ru:Хлокост на юге Украины (1941–1944): (Запорожская область) http://www.holocaust[...]
[78] 서적 The World Reacts to the Holocaus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6-01-16
[79] 서적 Bulgar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Stanford University Press
[8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G – Referenc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81] 간행물 Konrad Henlein, the Sudeten Question and British Foreign Policy
[82] 간행물 Armistice at Munich 1939
[83] 서적 "[[Hitler: Volume I: Ascent 1889–1939]]"
[84] 웹사이트 Vladimír Měřínský (1934–2022) https://www.memoryof[...] 2023-04-14
[85] 뉴스 Ecce Homo – Jaroslav Eminger https://brno.rozhlas[...] Český rozhlas 2004-07-14
[86] 웹사이트 The Tragic Destiny of Romeo Reisinger: Death a Few Hours before Liberation http://www.vhu.cz/tr[...] Army Museum 2023-02-21
[87] 서적 Inside Hitler's Greece. The Experience of Occupation, 1941–44 https://books.google[...] Αλεξάνδρεια
[88] 뉴스 Juan Carmona Zabala sheds light on tobacco trade in modern Greece and Germany https://www.ascsa.ed[...] American School of Classical Studies at Athens 2017-06-29
[89] 서적 Εθνικιστική «αντίδραση» και Τάγματα Ασφαλείας Patakis
[90] 간행물 Greek Resistance 1941–45 : Organization,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to Allied War Efforts Against the Axis Powers http://www.ingentaco[...] Brill
[91] 문서 Markos Vallianatos, The untold history of Greek collaboration with Nazi Germany (1941–1944)
[92]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2016-01-16
[93] 서적 'Clinging to Neutrality' https://academic.oup[...] Fordham Scholarship Online 2023-02-18
[94] 서적 The Hungarian Army and Its Military Leadership in World War II. Axis Europa & Magazines
[95] 서적 The Politics of Genocide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96] 웹사이트 degob.org http://degob.org/ind[...] degob.org 2013-02-13
[97] 서적 "[[Bloodlands: Europe Between Hitler and Stalin]]" Basic Books
[98] 웹사이트 Kamyanets-Podilskyy http://www.blankgene[...]
[99] 웹사이트 A few thousand of the deportees ... http://www.betekinto[...] Betekinto.hu 2013-02-13
[100] 서적 Rethinking Poles and Jews: Troubled Past, Brighter Futu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7
[101] 서적 National Resilience during War: Refining the Decision-Making Model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2
[102] 서적 Victims of Stalin and Hitler: The Exodus of Poles and Balts to Britai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
[103] 서적 No Greater Ally: The Untold Story of Poland's Forces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1
[104] 서적 Warsaw Pact Ground Forc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2
[105] 서적 Germans to Poles: Communism, Nationalism and Ethnic Cleansing After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6] 간행물 Aufruf/Odezwa (Appeal) https://polona.pl/it[...] Higher SS- and Police Leader (HSSPF) for the Generalgouvernement [[Friedrich-Wilhelm Krüger]] 1939-10-30
[107] 서적 Hunt for the Jews:Betrayal and Murder in German-Occupied Poland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08] 서적 The Holocaust: Critical Concepts in Historical Studies Routledge
[109] 서적 Pogrobowcy klęski: rzecz o policji "granatowej" w Generalnym Gubernatorstwie 1939–1945 https://books.google[...]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110] 웹사이트 Gunnar S. Paulsson Secret City: The Hidden Jews of Warsaw 1940–1945 http://www.aapjstudi[...]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Polish-Jewish Studies 2014-02-17
[111]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112] 서적 Notes From The Warsaw Ghetto: The Journal Of Emmanuel Ringelblum https://books.google[...] Pickle Partners Publishing 2018-03-18
[113] 논문 Collaboration in a 'Land without a Quisling': Patterns of Cooperation with the Nazi German Occupation Regime in Poland during World War II 2005-01-01
[114] 논문 Why the Poles Collaborated so Little: And Why That Is No Reason for Nationalist Hubris
[115] 웹사이트 Executive Summary: Historical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https://www.yadvashe[...] Yad Vashem (The Holocaust Martyrs' and Heroes' Remembrance Authority) 2004-11-11
[116] 뉴스 "Revisited: Romania's Iași pogrom, one of the worst massacres of Jews during World War II" https://www.france24[...] France24 2022-03-23
[117] 서적 Nazi Policy on the Eastern Front, 1941: Total War, Genocide, and Radicaliz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Rochester Press
[118] 웹사이트 The JUST Act Report: Moldova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119] 서적 Tito: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Constable
[120] 서적 Yugoslavia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Books on Demand
[121] 서적 Mussolini and Hitler: The Forging of the Fascist Allianc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22] 서적 Axis Rule in Occupied Europe: Laws of Occupation, Analysis of Government, Proposals for Redress https://books.google[...] Lawbook Exchange, Limited
[123] 서적 Area Handbook for Yugoslavia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24] 서적 Serbia's Secret War: Propaganda and the Deceit of History https://books.google[...] Texas A & M University Press
[125] 서적 Lessons and Legacies X: Back to the Sources: Reexamining Perpetrators, Victims, and Bystanders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26] 서적 Jasenovac and the Holocaust in Yugoslavia: analyses and survivor testimonies https://books.google[...] Jasenovac Research Institute
[127] 서적 'Face au bolchevisme: petit dictionnaire des résistances nationales à l''Est de l''Europe (1917–1989)' https://books.google[...] Arctic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Serbia's Secret War: Propaganda and the Deceit of History https://books.google[...] Texas A & M University Press
[139] 서적 Ethnic Germans and National Socialism in Yugoslavia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0] 서적 Alleged Nazi Collaborators in the United States after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141] 웹사이트 '"TEROR" I "ZLOČINI" NACISTIČKE NEMAČKE U SRBIJI 1941–1945' https://znaci.org/00[...] 1970
[142]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https://books.google[...] 2016-01-15
[143] 서적 Foreign Legions of the Third Reich https://books.google[...] R. James Bender Publishing
[144] 서적 SS Hitler's Foreign Divisions: Foreign Volunteers in the Waffen-SS 1940–45 https://books.google[...] Amber Books Ltd
[145] 서적 The Israel Journal of Foreign Affairs https://books.google[...] Israel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146] 서적 Hitler's Foreign Divisions: Foreign Volunteers in the Waffen-SS, 1940–1945 https://books.google[...] Amber Books
[147] 서적 Kosovo: In the Heart of the Powder Keg https://books.google[...] East European Monographs
[148] 서적 The Expulsion of the Jews: Five Hundred Years of Exodus SP Books
[149] 서적 Slovenia and the Slovenes: A Small State and the New Europe https://books.google[...] Hurst
[150] 서적 To Walk with the Devil: Slovene Collaboration and Axis Occupation, 1941–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51] 서적 Visions of Annihilation: The Ustasha Regime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Fascism, 1941–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52] 웹사이트 Axis Invasion of Yugoslavia https://encyclopedia[...] 1943-03-11
[153] 웹사이트 Jasenovac https://encyclopedia[...] 1941-04-10
[154] 웹사이트 List of Individual Victims of Jasenovac Concentration Camp http://www.jusp-jase[...] 2016-05-10
[155] 서적 The Muslims of Bosnia-Herzegovina: Their Historic Development from the Middle Ages to the Dissolution of Yugoslavia https://books.google[...] Center for Middle Eastern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
[156] 서적 Hitler's Russian & Cossack Allies 1941–45 Osprey Publishing
[157] 간행물 The Soviet War against 'Fifth Columnists': The Case of Chechnya, 1942-4 https://www.jstor.or[...] 2007
[158] 서적 The Fall of Berlin 1945
[159] 서적 Foreign Volunteers of the Wehrmacht 1941-1945 Osprey Publishing
[160] 서적 Восточные легионы и казачьи части в Вермахте
[161]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62] 서적 The Azerbaijani Turks: Power and Identity under Russian Rule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2013
[163] 서적 Foreign Volunteers of the Wehrmacht 1941–1945 Osprey Publishing
[164] 서적 Fighting Hunger, Dealing with Shortage (2 vols): Everyday Life under Occupation in World War II Europe: A Source Edition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165] 서적 Soviet Russians under Nazi Occup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6] 서적 Ethnic Cleansing in the USSR, 1937–1949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67] 간행물 Stalin's genocide against the "Repressed Peoples https://www.tandfonl[...] 2010-08-03
[168] 문서 Joel Beinin, Introduction
[169] 간행물 National Socialism and Anti-Semitism in the Arab World https://www.jstor.or[...] 2005
[170] 문서 See, for example, Winston S. Churchill, ''The Second World War'', Volume 2: ''Their Finest Hour'', London & New York, 1949, Book One, chapter 11, "Admiral Darlan and the French Fleet: Oran"
[171] 간행물 Negotiating the 'Deal with Darlan' 1973-04
[172] 웹사이트 Alphonse Juin (1888–1967) https://www.cheminsd[...] Ministère des Armées (Ministry of Armies), Republic of France
[173] 서적 Hitler's Brandenburgers: The Third Reich Elite Special Forces https://books.google[...] Greenhill Books 2018
[174] 서적 La palmera y la esvástica: La odisea del Afrika Korps https://books.google[...] EDAF 2012
[175] 웹사이트 Le Petit Marocain https://gallica.bnf.[...] 2020-03-22
[176] 논문 Moroccan Jews and the Vichy regime, 1940–42 https://www.tandfonl[...] 2014-08-08
[177] 뉴스 Moroccan Jews pay homage to 'protector' – Haaretz Daily Newspaper | Israel News http://www.haaretz.c[...] Haaretz.com 2011-07-04
[178] 간행물 2011
[179] 간행물 1987
[180] 서적 Unsung Heroes of the Dachau Trials: The Investigative Work of the U.S. Army 7708 War Crimes Group, 1945–1947 https://books.google[...]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181] 서적 The Forgotten Army: India's Armed Struggle for Independence, 1942–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82] 서적 For Europe : the French volunteers of the Waffen-SS Stackpole Books 2010
[183] 서적 The fall of Berlin, 1945 Viking-Penguin Books 2002
[184] 뉴스 Ford 'used slave labour' in Nazi German plants https://www.telegrap[...] 2003-11-03
[185] 웹사이트 Mark Thomas discovers Coca-Cola's Nazi links https://www.newstate[...] 2018-03-20
[186] 뉴스 Coca-Cola collaborated with the Nazis in the 1930s, and Fanta is the proof https://timeline.com[...] 2017-08-02
[187] 웹사이트 IBM's Role in the Holocaust – What the New Documents Reveal https://www.huffingt[...] 2012-02-27
[188] 뉴스 How IBM Technology Jump Started the Holocaust https://gizmodo.com/[...] 2018-03-21
[189] 뉴스 The business of making the trains to Auschwitz run on time https://www.sfgate.c[...] 2002-05-19
[190] 웹사이트 How Bush's grandfather helped Hitler's rise to power https://www.theguard[...] 2004-09-25
[191] 뉴스 What the AP's Collaboration With the Nazis Should Teach Us About Reporting the News http://www.tabletmag[...]
[192] 뉴스 Scholar Asserts That Hollywood Avidly Aided Nazis https://www.nytimes.[...] 2013-06-25
[193] 서적 Waking to Danger: Americans and Nazi Germany, 1933–1941 https://books.google[...] ABC-CLIO
[194] 서적 Ponary : miejsce ludzkiej rzeźni http://www.msz.gov.p[...] Instytut Pamięci Narodowej, Komisja Ścigania Zbrodni przeciwko Narodowi Polskiemu; Ministerstwo Spraw Zagranicznych Rzeczpospolitej Polskiej, Departament Współpracy z Polonią null
[195] 서적 Great Britain and the Holocaust: Poland’s Role in Revealing the News http://books.google.[...] GRIN Verlag 2011-05-21
[196] 서적 God's Playground: 1795 to the present http://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02-28
[197] 간행물
[198] 간행물
[199] 간행물
[200] 간행물
[201] 간행물
[202] 간행물
[203] 간행물
[204] 간행물
[205] 간행물
[206] 간행물
[207] 간행물
[208]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