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핀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핀천은 1937년 미국에서 태어난 소설가로, 복잡한 구성, 다양한 등장인물, 해박한 지식, 풍자적인 유머를 특징으로 하는 작품을 썼다. 핀천은 1963년 소설 《V.》로 데뷔하여 윌리엄 포크너 재단상을 수상했고, 이후 《제49호 품목의 경매》(1966), 《중력의 무지개》(1973), 《바인랜드》(1990), 《메이슨 & 딕슨》(1997) 등 여러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은 예정설, 편집증, 음모론,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핀천은 언론 노출을 극도로 꺼리는 것으로 유명하며, 2004년에는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에 본인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스트모더니즘 작가 - 필립 K. 딕
필립 K. 딕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 정체성 혼란, 기술 발달과 인간 소외 등 철학적 주제를 다룬 미국의 유명한 과학 소설 작가로, 그의 작품은 영화로도 제작되어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사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포스트모더니즘 작가 - 지그문트 바우만
폴란드 출신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반유대주의를 피해 폴란드를 떠난 후 영국 리즈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유동하는 근대' 이론을 발전시키고 근대성, 홀로코스트, 포스트모더니티, 소비주의 등 현대 사회의 주요 쟁점들을 다룬 저명한 학자이다. - 미국의 수필가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수필가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코넬 대학교 동문 - 후스
후스는 중국의 철학자, 문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여 중국 문학 혁명에 기여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중화민국 주미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코넬 대학교 동문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토머스 핀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토머스 러글스 핀천 주니어 |
| 출생일 | 1937년 5월 8일 |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글렌 코브 |
| 배우자 | 멜라니 잭슨 (1990년 결혼) |
| 자녀 | 1명 |
![]() | |
| 직업 | |
| 직업 | 소설가 |
| 학력 | |
| 학력 | 코넬 대학교 (문학사) |
| 작품 활동 | |
| 활동 기간 | –현재 |
| 대표 작품 | V. (1963년) 제49호 품목의 경매 (1966년) 중력의 무지개 (1973년) 메이슨 & 딕슨 (1997년) LA 바이스 (2009년) 참고 문헌 |
| 수상 | |
| 수상 | 전미 도서상 (1974년, 중력의 무지개) |
2. 생애
1937년 5월 8일 뉴욕주 롱아일랜드 글렌코브에서 태어났다. 1953년 코넬 대학교에 입학하여 물리공학을 전공하다가 2학년을 마치고 미 해군에 입대했다. 1957년 대학으로 돌아와 영문학으로 전공을 바꾸었고, 1959년 3월 첫 단편소설 〈이슬비''The Small Rain''〉를 학내 문예지 《Cornell Writer》에 발표했으며, 같은 해 6월 우등 졸업으로 영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후 시애틀에 위치한 보잉사에서 기술자료 작성자로 일하면서 1960년 2월부터 첫 장편소설 《V.》를 쓰기 시작했다. 보잉에서 지대공 미사일 등 무기에 관한 기술문서를 작성한 경험은 《V.》, 《제49호 품목의 경매》, 《중력의 무지개》 등의 창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 《V.》는 1962년 9월에 탈고하여 1963년 출간되었고, 1964년 포크너 재단 상을 수상했다.[156]
보잉을 퇴사한 뒤, 뉴욕과 멕시코 등지를 옮겨다니다가 캘리포니아에 정착하여 1970년대 초까지 거주했다. 196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대학원에 수학 전공으로 지원했지만 탈락했다. 1966년에는 직접 경험한 '와츠 폭동'(Watts Riots)에 대한 기고문 〈A Journey Into the Mind of Watts〉을 《뉴욕 타임즈 매거진》에 기고했다.
1966년 두 번째 장편소설 《제49호 품목의 경매》를 발표했고, 출간 직후 'Richard and Hilda Rosenthal Foundation Award'를 수상했다.[156] 1973년에는 대표작 《중력의 무지개》를 발표하여 1974년 전미도서상을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와 공동 수상했다. 같은 해 퓰리처상 선정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지만, 이사회가 "읽기 힘들고", "너무 복잡하여 따분하고", "군더더기가 많고",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거부하여 1974년 퓰리처상 픽션 부문은 수상작 없이 넘어갔다.[156]
1984년 단편집 《슬로우 러너》를 발표했다. 이후 《바인랜드》(1990), 《Mason & Dixon》(1997), 《Against the Day》(2006)을 차례로 발표했다. 2009년 출간한 《Inherent Vice》는 폴 토머스 앤더슨 감독의 《인히어런트 바이스》로 영화화되었다.
1990년대 초반, 자신의 저작권 대리인인 맬러니 잭슨과 결혼했고, 슬하에는 아들 잭슨 핀천이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37년 5월 8일, 뉴욕주 롱아일랜드 글렌코브에서 토머스 러글스 핀천 시니어(1907-1995)와 캐서린 프랜시스 베넷(1909-1996)의 세 자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핀천은 오이스터 베이 고등학교를 다니며 "올해의 학생(student of the year)"상을 받았고, 학교 신문에 단편 소설 여러 편을 기고했다.1953년 코넬 대학교에 입학하여 물리공학(engineering physics)을 전공하다가, 2학년을 마치고 미 해군에 입대했다. 1957년 대학으로 돌아와서 영문학으로 전공을 바꿨고, 1959년 3월 첫 단편소설 〈이슬비''The Small Rain''〉를 학내 문예지 《Cornell Writer》에 발표했다. 핀천은 성적우수자 모임인 파이베타카파 클럽의 회원이였고, 1959년 6월 우등 졸업으로 영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핀천은 당시 코넬에서 문학을 가르치던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강의를 들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보코프는 나중에 핀천에 대한 기억이 없다고 말했지만, 나보코프의 아내 베라 나보코프는 남편의 수업 과제를 채점하면서 그의 독특한 필체를 인쇄체와 필기체 글자가 혼합된 것으로 기억했으며, "반은 인쇄체, 반은 필기체"라고 언급했다.[18][19]

2. 2. 초기 경력 및 작품 활동
코넬 대학교를 졸업한 후, 핀천은 첫 소설 ''V.''를 쓰기 시작했다. 1960년 2월부터 1962년 9월까지 보잉사(Boeing)에서 기술 작가로 일하면서 미국 공군(U.S. Air Force)이 배치한 보마크 미사일 프로그램(BOMARC surface-to-air missile) 지원 뉴스레터인 ''Bomarc Service News''에 안전 관련 기사를 작성했다.[21] 보잉에서의 경험은 ''V.''와 ''경매 49번의 외침''에서 "요요다인(Yoyodyne)" 기업에 대한 묘사에 영감을 주었으며, 물리학에 대한 그의 배경과 보잉에서 수행한 기술 저널리즘은 ''중력의 무지개''의 많은 내용에 영향을 주었다.[21] 1963년에 출간된 ''V.''는 윌리엄 포크너 재단상(William Faulkner Foundation Award)을 수상했고, 전미 도서상(National Book Award) 최종 후보에 올랐다.[22]조지 플림턴(George Plimpton)은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에 ''V.''에 대한 긍정적인 서평을 실었다. 그는 이 책을 피카레스크 소설이라고 묘사하며, "작가는 자신이 좋아하는 농담을 하고, 노래를 부르고, 환상에 빠지고, 자신의 시를 포함시키고, 물리학, 천문학, 예술, 재즈, 코 성형 수술 방법, 뉴욕 하수 시스템의 야생 동물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친밀한 지식을 보여줄 수 있다."라고 썼다.[23] 플림턴은 핀천을 "놀라운 잠재력을 가진 작가"라고 불렀다.[23]
보잉을 그만둔 후, 핀천은 뉴욕과 멕시코에서 잠시 시간을 보낸 후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에 대부분 캘리포니아(California)에 거주하면서, 특히 맨해튼 비치, 캘리포니아(Manhattan Beach, California)의 아파트에서 ''중력의 무지개''를 집필했다.[24]
196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대학원생으로 수학을 공부하려는 지원이 거절당했다.[25] 1966년, 핀천은 왓츠 폭동(Watts Riots)의 여파와 유산을 다룬 "왓츠의 정신으로의 여행"이라는 제목의 일인칭 보고서를 작성하여 ''뉴욕 타임스 매거진(The New York Times Magazine)''에 게재했다.[26]
1960년대 중반부터 핀천은 다양한 소설과 논픽션 작품에 대한 블러브(blurbs)와 서문을 정기적으로 제공해왔다. 1965년 12월호 ''홀리데이(Holiday (magazine))''에 실린 "책 선물"이라는 특집 기사에서 오클리 홀(Oakley Hall)의 ''워록(Warlock (Hall novel))''에 대한 감사를 기고했다.[27]
1968년, 핀천은 "작가 및 편집자 전쟁 세금 시위(Writers and Editors War Tax Protest)"에 서명한 447명 중 한 명이었다.[28]
1966년에는 두 번째 소설인 『경매 49번의 외침』을 발표했다. 이 소설은 출판 직후 리처드 앤 힌다 로젠탈 재단 상을 수상했다.[32][33]
2. 3. 《중력의 무지개》와 전성기
1973년, 핀천은 대표작 《중력의 무지개》를 발표했다. 이 소설은 예정설, 편집증, 인종차별, 식민주의, 음모론, 공시성, 엔트로피 등 핀천 초기 작품의 여러 주제를 결합하고 발전시킨 복잡하고 암시적인 소설이다.[35][36] 이 소설은 독자 안내서,[37][38] 책과 학술 논문, 온라인 일치표 및 토론, 예술 작품 등 풍부한 해설과 비평 자료를 낳았다. 그 예술적 가치는 종종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에 비견된다.[39] 일부 학자들은 《중력의 무지개》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고의 미국 소설로 칭찬하며,[40] "문자 그대로 포스트모더니즘적 주제와 기법의 선집"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41]《중력의 무지개》는 1974년 전미 도서상을 아이작 아시모프의 ''깃털 왕관과 기타 이야기''와 함께 공동 수상했다.[4] 같은 해, 퓰리처상 소설 부문 심사위원단은 만장일치로 《중력의 무지개》를 수상작으로 추천했지만, 퓰리처상 위원회는 이 소설을 "읽을 수 없는", "지루한", "지나치게 쓴", 그리고 부분적으로 "외설적인" 것으로 묘사하며 심사위원단의 추천을 거부했다.[32] 그 해에는 퓰리처상 소설 부문 수상작이 없었다.[44] 1984년에는 초기 단편들을 모은 단편집 《슬로우 러너》를 발표했다.
2. 4. 후기 작품 활동
1990년 출간된 핀천의 네 번째 소설 《바인랜드》는 일부 팬과 비평가들에게 실망을 안겨주었지만, 살만 루슈디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루슈디는 이 소설을 "자유롭게 흐르고 가볍고 재미있으며, 어쩌면 보이지 않는 남자가 지금까지 쓴 글 중에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평하며, "엔트로피는 여전히 흐르고 있지만, 보고할 만한 새로운 것이 있고, 구원의 희미한 가능성, 행복과 은총의 덧없는 암시가 있다."라고 덧붙였다.[51] 이 소설은 1980년대와 1960년대 캘리포니아를 배경으로 FBI의 COINTELPRO 요원과 여성 급진 영화 제작자의 관계를 다룬다. 사회 정치적 흐름은 권위주의와 공동체주의 사이의 끊임없는 싸움, 그리고 저항 운동과 공모 사이의 관계를 다루지만, 핀천 특유의 유머 감각은 잃지 않는다.[52]1988년 맥아더 펠로우십을 받은 핀천은 1990년대 초반부터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 자주 거론되었다.[53][54][55]
1997년 출간된 《메이슨 앤 딕슨》은 미국 독립 혁명의 탄생기에 영국 천문학자 찰스 메이슨과 그의 파트너인 측량 기사 제레마이아 딕슨의 삶과 경력을 다룬 방대한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서사시이다. 조지 워싱턴, 벤자민 프랭클린, 사무엘 존슨과 말하는 개의 등장이 언급된다. T. C. 보일은 이 작품을 "옛 핀천, 진정한 핀천, 최고의 핀천"이며 "마음과 불꽃과 천재성의 책"이라고 불렀고,[57] 미치코 카쿠타니는 메이슨과 딕슨을 핀천의 가장 인간적인 인물이라고 칭하며, 그들이 "완전히 살을 갖춘 인간이 되어 그들의 감정, 희망, 갈망이 터무니없이 코믹한 장난만큼이나 실감나게 현실화되었다"고 썼다.[58] 해럴드 블룸은 이 소설을 핀천의 "현재까지의 걸작"이라고 칭찬했다.[59]
2006년 출간된 《Against the Day》는 1893년 시카고 만국 박람회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직후까지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콜로라도 노동 전쟁에서 시작하여 20세기 초 뉴욕, 런던과 괴팅겐, 베네치아와 비엔나, 발칸 반도, 중앙 아시아, 퉁구스카 대폭발 시기의 시베리아, 혁명 시기의 멕시코, 전후 파리, 무성 영화 시대의 할리우드를 거쳐 지도에 정확히 나타나지 않는 한두 곳으로 이동한다. 핀천은 니콜라 테슬라, 벨라 루고시, 그루초 마르크스의 카메오 출연과 "바보 같은 노래"와 "이상한 성적 행위"를 약속했다.[64][65] 이 소설은 1,085쪽 분량으로,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
2009년 8월 출판된 《인히어런트 바이스》는 느와르와 사이키델릭 코미디가 섞인 작품으로, 사립 탐정 독 스포텔로가 자유 연애가 사라지고 편집증이 만연한 로스앤젤레스에서 한 시대의 종말을 지켜보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핀천은 이 소설의 홍보 영상에서 직접 캐릭터의 내레이션을 맡았다.[72] 2014년에는 폴 토마스 앤더슨 감독에 의해 동명의 영화로 각색되었다.
2013년 9월 17일 출판된 《블리딩 엣지》는 "닷컴 붐 붕괴와 9.11 테러의 끔찍한 사건 사이의 휴지기" 동안 실리콘 앨리의 맨해튼을 배경으로 한다.
2. 5. 사생활
토머스 핀천은 언론과 접촉하거나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수십 년 동안 작가로 활동하면서 공식적으로 사진 촬영을 한 적이 없으며, 공개된 사진은 대부분 고등학교와 대학교 시절 사진이다.[5] 1990년대 초 문학 에이전트인 멜라니 잭슨과 결혼하여 1991년에 아들 잭슨 핀천을 낳았다.[128]언론 노출을 극도로 꺼리는 신비주의 작가로, 사생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963년 뉴욕 타임스 북 리뷰는 핀천을 멕시코에 거주하는 "은둔자"로 묘사하기도 했다.[119]
1977년 플레이보이 잡지에 실린 전 코넬 대학교 친구 줄스 시겔의 글에 따르면, 핀천은 치아 콤플렉스가 있어 재건 수술을 받았고, 코넬 대학교에서 "톰"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미사에 성실하게 참석했고, 시겔의 결혼식에서 신랑 들러리를 섰다고 한다.[124]
1997년 CNN 촬영팀이 맨해튼에서 핀천을 촬영했을 때, 그는 사생활 침해에 분노하며 자신을 식별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 CNN이 그를 은둔자로 묘사하자, 핀천은 "'은둔자'라는 단어는 기자들이 만들어낸 암호이며, '기자들과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말했다.[129]

핀천은 2004년 미국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심슨 가족''에 두 차례 카메오로 출연하여 목소리 연기를 하기도 했다. 첫 번째는 "Diatribe of a Mad Housewife" 에피소드에서 머리에 종이 봉투를 쓴 채로 등장하여 마지 심슨의 책에 대한 추천사를 제공했다.[139][140] 두 번째는 "All's Fair in Oven War" 에피소드에서 자신의 소설 제목을 이용한 말장난 대사를 선보였다.
3. 작품 세계
토머스 핀천의 작품 세계는 다양한 주제와 스타일을 아우르며,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으로 분류된다.[76][77][78] 모더니스트, 비트 세대, 재즈, 로큰롤 등 다양한 작가와 장르의 영향을 받아 풍자적인 노래 가사와 가짜 뮤지컬 넘버를 작품에 활용하기도 한다.[79]
그의 소설은 철학적, 신학적, 사회학적 아이디어를 기발하고 접근하기 쉬운 방식으로 탐구하며, 저급 문화와의 강한 친밀감을 보인다.[80][81] 인간의 성, 심리학, 사회학, 수학, 과학,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초기 단편에서는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나 개념을 다루기도 했다.
핀천은 음악적 암시를 자주 사용하는데, V.에는 재즈 음악가들이, 49번 로트의 울부짖음에는 비틀즈 헤어스타일을 한 가수가 등장한다. 빈랜드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음악가로 활동하며, 메이슨 앤 딕슨에서는 The Star-Spangled Banner가 될 대학 응원가가 연주되기도 한다.[82]
3. 1. 주요 주제 및 특징
L. E. 시스먼은 ''뉴요커''에서 핀천을 "산문의 수학자" 같다고 평하며, 그의 정교하고 계산적인 글쓰기를 칭찬했다.[74] 핀천은 종종 다른 스타일을 패러디하거나 파스티쉬하는데, ''메이슨 & 딕슨''은 18세기 문체로 쓰였다. 앤서니 레인은 이를 "흠 잡을 데 없는 파스티쉬"라고 평하면서도, 핀천 특유의 특징이 드러난다고 보았다.[75] 핀천의 다양한 스타일과 주제를 아우르는 산문은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분류된다.[76][77][78]핀천은 모더니스트, 비트 세대, 재즈, 로큰롤 등 다양한 작가와 장르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풍자적인 노래 가사와 가짜 뮤지컬 넘버를 작품에 활용하기도 한다.[79] 미치코 카쿠타니는 핀천 소설의 가장 큰 주제로 "세상은 음모에 지배당하는가, 아니면 혼돈에 지배당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58]
핀천의 작품은 철학적, 신학적, 사회학적 아이디어를 기발하고 접근하기 쉬운 방식으로 탐구하며, 저급 문화와의 강한 친밀감을 보인다. "고급" 문화와 "저급" 문화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것이 그의 글의 특징 중 하나이다.[80][81]
핀천은 음악적 암시를 자주 사용하는데, V.에는 재즈 음악가들이, 49번 로트의 울부짖음에는 비틀즈 헤어스타일을 한 가수가 등장한다. 중력의 무지개 마지막 페이지에는 주인공이 카주와 하모니카를 연주했다는 일화가 나온다. 빈랜드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음악가로 활동한다. 메이슨 앤 딕슨에서는 The Star-Spangled Banner가 될 대학 응원가가 연주되고, "가끔은 여자가 되기가 어렵죠."라는 대사가 등장한다. 슬로우 러너에서 핀천은 스파이크 존스에게 빚을 지고 있음을 인정하고, ''Spiked!'' 앨범의 라이너 노트를 쓰기도 했다.[82] 그는 인디 록 밴드 Lotion의 앨범 ''Nobody's Cool''의 라이너 노트도 썼다.[83]
핀천의 작품은 인간의 성, 심리학, 사회학, 수학, 과학,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초기 단편 "Low-lands"(1960)에서는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를, "엔트로피"(1960)에서는 개념을 다루었다. "Under the Rose"(1961)에는 사이보그가 등장하며, "The Secret Integration"(1964)은 인종 통합 정책을 다룬 성장 소설이다.
''49번 로트의 울부짖음''은 엔트로피와 정보 이론을 암시하며, 미적분, 제논의 역설, 맥스웰의 도깨비 등을 패러디한다. 동성애, 독신, 향정신성 약물 사용도 다룬다. ''중력의 무지개''는 성적 도착증, 약물 사용, 대마초, 환각제, 버섯 ''Amanita muscaria'' 등을 묘사하며, 수학적 특이점과 같은 수학적 개념도 활용한다. ''메이슨 앤 딕슨''은 이성의 시대의 과학적, 신학적, 사회 문화적 기초를 탐구하며, 역사적 메타픽션 장르의 전형적인 예이다.
3. 2. 문학적 영향
핀천은 모더니즘, 비트 세대, 재즈, 로큰롤 등 다양한 예술 사조의 영향을 받았다. 초기 단편 소설 모음집 ''느린 학습자'' 서문에서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잭 케루악의 ''길 위에서''에 영향을 받았음을 인정했다.[79] 재즈와 로큰롤의 영향도 언급했는데, 그의 소설에는 풍자적인 노래 가사와 가짜 뮤지컬 넘버가 자주 등장한다.[79] 앤드류 고든은 "케루악의 영웅들은 낭만적인 불안과 채워지지 않은 갈망으로 가득 차 있었지만, 핀천의 영웅들은 광대, 멍청이, 인간 요요였고, 희극과 편집증 사이를 오갔다. 케루악은 멋진 50년대 사람이었고, 그는 재즈 소설을 썼다. 그러나 핀천은 종말론적인 60년대 사람이었고, 그는 로큰롤을 썼다."라고 평가했다.[79]그의 작품은 헨리 애덤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T. S. 엘리엇, 제임스 조이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등 다양한 작가들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종교 및 철학적 원천들을 혼합하여 사용한다.[86][87][88][89] 특히, 첫 소설 ''V.''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세바스찬 나이트의 진실한 삶''에 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줄거리, 등장인물, 서술, 스타일 면에서 유사성을 보이며, 제목은 나보코프 소설의 화자 "V."를 암시한다.[18]
비평가들은 핀천의 작품을 라블레,[90][91] 세르반테스,[90][92] 로렌스 스턴,[93][94] 허먼 멜빌,[90][99] 윌리엄 포크너 등 고전 작가들과 비교하기도 한다.[88][111]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와 같이 광범위한 형이상학 또는 정치적 문제를 다룬 모더니스트 작가들과의 유사성도 보인다.[36][112][113][122][114]
4. 작품 목록
- ''V.'' (1963)
- * 미야케 타쿠오·이토 사다키·나카가와 유키코·히로세 에이이치·나카무라 코이치 역, 국서간행회, 1979년
- * 고야마 타이치·사토 요시아키 역, 신초샤 「토마스 핀천 전 소설」, 2011년
- ''49번 로트의 경매'' (1966)
- * 시무라 마사오 역, 산리오 문고, 1985년 / 치쿠마쇼보, 1992년 / 치쿠마 문고, 2010년
- * 사토 요시아키 역, 신초샤 「토마스 핀천 전 소설」, 2011년
- ''중력의 무지개'' (1973)
- * 코시카와 요시아키·사에키 야스키·우에노 타츠로·하타야마 히데아키 역, 국서간행회, 1993년
- * 사토 요시아키 역, 신초샤 「토마스 핀천 전 소설」, 2014년
- ''느린 학습자'' (1984), 이전에 출판된 단편 소설 모음집
- ''비닐랜드'' (1990)
- * 사토 요시아키 역, 신초샤, 1998년
- * 사토 요시아키 역(개역), 카와이데쇼보신샤 「이케자와 나츠키=개인 편집 세계 문학 전집」, 2009년
- * 사토 요시아키 역(개역), 신초샤 「토마스 핀천 전 소설」, 2011년
- ''메이슨 & 딕슨'' (1997)
- * 시바타 모토유키 역, 신초샤 「토마스 핀천 전 소설」, 2010년
- ''데이'' (2006)
- * 키하라 요시히코 역, 신초샤 「토마스 핀천 전 소설」, 2010년
- ''내재적 부조리'' (2009)
- * 토키기 레이코·사토 요시아키 역, 신초샤 「토마스 핀천 전 소설」, 2012년
- ''블리딩 엣지'' (2013)
- * 사토 요시아키·토키기 레이코 역, 신초샤 「토마스 핀천 전 소설」, 2021년
- 「엔트로피」(Entropy, 1960년) - 단편집 『슬로우 러너』에 수록. 그 외에 「현대 미국 단편선집 제3」(이노우에 켄지 역, 하쿠스이샤, 1970년 / 신장판 「미국 환상 소설 걸작선」 하쿠스이 U 북스, 1985년)에도 수록
신초샤에서 2010년 6월부터 전집을 간행, 2021년 5월에 최신작 『브리딩 엣지』를 간행하여 핀천의 기 발표작 전부를 망라했다.[155]
4. 1. 소설
- 브이 (1963)
- 제49호 품목의 경매 (1966)
- 중력의 무지개 (1973)
- 바인랜드 (1990)
- ''Mason & Dixon'' (1997)
- ''Against the Day'' (2006)
- ''Inherent Vice'' (2009)
- 블리딩 엣지 (2013)
4. 2. 단편집
5. 비평 및 연구
토머스 핀천의 작품은 방대하고 난해하여 다양한 비평적 해석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메타픽션, 과학 소설, 역사 소설 등 다양한 장르적 관점에서 그의 작품이 분석되며, 작품에 나타난 사회, 정치, 문화적 의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신초샤에서는 2010년 6월부터 핀천의 전집을 간행하기 시작하여 2021년 5월 최신작 브리딩 엣지를 발표, 현재까지 발표된 그의 모든 작품을 망라했다.[155]
6. 수상 및 영예
- 1964년: 데뷔작 《브이(V.)》로 윌리엄 포크너 재단 상을 받았다.[1]
- 1967년: 《제49호 품목의 경매》로 '리처드 앤 힐다 로젠탈 재단 상'을 받았다.[1]
- 1974년: 《중력의 무지개》로 전미도서상을 받았다.[1]
- 1988년: 맥아더 펠로우십에 선정되었다.[1]
7. 한국어판 출간 정보
| 제목 | 번역가 | 출판사 | 출간 연도 |
|---|---|---|---|
| V. | 설순봉 | 민음사 | 1991년 |
| 제49호 품목의 경매 | 김성곤 | 민음사 | 2016년 |
| 중력의 무지개 | 이상국 | 새물결 | 2012년 |
| 바인랜드 | 박인찬 | 창비 | 2016년 |
| 슬로우 러너 | 박인찬 | 창비 | 2014년 |
| 블리딩 엣지 | 박인찬 | 창비 | 2020년 |
참조
[1]
에피소드
Diatribe of a Mad Housewife
[2]
잡지
On the Thomas Pynchon Trail: From the Long Island of His Boyhood to the 'Yupper West Side' of His New Novel
http://www.vulture.c[...]
2022-12-14
[3]
웹사이트
Pynchon
https://www.dictiona[...]
[4]
웹사이트
1974 National Book Award winners
https://www.national[...]
2012-03-29
[5]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omas Pynch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6]
웹사이트
On the Thomas Pynchon Trail: From the Long Island of His Boyhood to the 'Yupper West Side' of His New Novel
https://www.vulture.[...]
2013-08-25
[7]
서적
Thomas Pynchon: A Bibliography of Primary and Secondary Materials
Dalkey Archive Press
1989
[8]
웹사이트
Voice of the Hamster
http://themodernword[...]
[9]
웹사이트
The Boys
http://themodernword[...]
[10]
웹사이트
Ye Legend of Sir Stupid and the Purple Knight
http://themodernword[...]
[11]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National Personnel Records Center (NPRC) VIP list, 2009
https://www.governme[...]
National Personnel Records Center
2008-03
[12]
서적
Thomas Pynchon and the Dark Passages of History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omas Pynch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4]
서적
Slow Learner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1984
[15]
간행물
Thomas Pychon: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Missing Person
1981
[1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omas Pynch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7]
서적
Been Down So Long It Looks Like Up to Me
[18]
저널
The V-Shaped Paradigm: Nabokov and Pynchon
http://revel.unice.f[...]
2008-06-25
[19]
뉴스
Thomas Pynchon on 9/11: American literature's greatest conspiracy
http://www.independe[...]
2013-09-20
[20]
저널
A Portrait of the Luddite as a Young Man
http://www.themodern[...]
2004
[21]
저널
A Trove of New Works by Thomas Pynchon? Bomarc Service News Rediscovered
2000
[22]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64
https://www.national[...]
National Book Foundation
2012-03-29
[23]
뉴스
The Whole Sick Crew
https://archive.nyti[...]
1963-04-23
[24]
웹사이트
Thomas Pynchon and the South Bay
http://www.theaesthe[...]
[25]
저널
Thomas Pynchon: A Brief Chronology
2005-06-23
[26]
뉴스
A Journey into the Mind of Watts
http://www.themodern[...]
1966-06-12
[27]
뉴스
"A Gift of Books" by Edward Albee, Joseph Heller, Alfred Kazin, Thomas Pynchon, Isaac Bashevis Singer, and others
https://holidaymag.w[...]
1965-12
[28]
웹사이트
Writers and Editors War Tax Protest Names
http://www.nwtrcc.or[...]
[29]
잡지
Books: A Myth of Alligators
https://content.time[...]
1963-03-15
[30]
뉴스
A Tour De Force: From LAX Tower to 'Pulp Fiction' Diner to Stars' Hangouts, Pop Culture Landmarks Dot Landscape Here – Page 2
https://www.latimes.[...]
1995-04-20
[31]
웹사이트
You Hide, They Seek
https://www.insidehi[...]
[32]
뉴스
Pulitzer Jurors Dismayed on Pynchon
https://www.nytimes.[...]
1974-05-08
[33]
웹사이트
Awards: Literature
https://artsandlette[...]
[34]
잡지
All-TIME 100 Novels
https://entertainmen[...]
[35]
서적
Grim Phoenix: Reconstructing Thomas Pynchon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978
[36]
서적
Thomas Pynchon
Twayne Publishers
1992
[37]
서적
A Reader's Guide to Gravity's Rainbow
Ardis Press
1980
[38]
서적
A Gravity's Rainbow Companion: Sources and Contexts for Pynchon's Novel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88
[3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GR
http://www.themodern[...]
2014-09-26
[40]
서적
L'estetica dell'osceno
Piccola Biblioteca Einaudi
1994
[41]
서적
Postmodernist Fiction
Methuen
1987
[42]
뉴스
One of the Longest, Most Difficult, Most Ambitious Novels in Years
https://archive.nyti[...]
2023-04-16
[43]
서적
Postmodernism: The Key Figures
Blackwell Publishers
2002
[44]
웹아카이브
Fiction
https://web.archive.[...]
2016-01-03
[45]
학술지
Thomas Pynchon, Postindustrial Humanist
1982-01
[46]
잡지
All-TIME 100 Best Novels
https://entertainmen[...]
[47]
웹사이트
Is It O.K. To Be A Luddite?
https://www.nytimes.[...]
1984-10-28
[48]
웹사이트
The Heart's Eternal Vow
https://www.nytimes.[...]
1988-04-10
[49]
웹사이트
The Deadly Sins/Sloth; Nearer, My Couch, to Thee
https://www.nytimes.[...]
1993-06-06
[50]
뉴스
Words for Salman Rushdie
https://archive.nyti[...]
1989-03-12
[51]
뉴스
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s
https://archive.nyti[...]
1990-01-14
[52]
서적
Pynchon's Poetics: Interfacing Theory and Text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2
[53]
뉴스
Rooms of Their Own
http://content.time.[...]
1993-10-18
[54]
서적
Productive Postmodernism: Consuming Histories and Cultural Stud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55]
뉴스
Nobel literature: Will an American win after all?
http://usatoday30.us[...]
2008-10-09
[56]
웹사이트
Blurbs From Thomas Pynchon
http://www.pynchon.p[...]
[57]
뉴스
The Great Divide
https://archive.nyti[...]
1997-05-18
[58]
뉴스
Pynchon Hits the Road With Mason and Dixon
https://archive.nyti[...]
1997-04-29
[59]
서적
Thomas Pynchon
Chelsea House
2003
[60]
뉴스
Harold Bloom on ''Blood Meridian''
http://www.avclub.co[...]
2009-06-15
[61]
웹사이트
Dumbing down American readers
http://www.boston.co[...]
2003-09-24
[62]
뉴스
Book Of A Lifetime: Mason & Dixon, By Thomas Pynchon
https://www.independ[...]
2010-06-04
[63]
학술지
Modernism, Fiction and Mathematics
2020
[64]
웹사이트
The Pynchon Post
http://www.slate.com[...]
2006-07-19
[65]
뉴스
New Thomas Pynchon Novel is on the way
2006-07-20
[66]
뉴스
Pinning down Pynchon
https://www.theguard[...]
2006-12-01
[67]
뉴스
Humming along
http://www.lrb.co.uk[...]
2007-01-04
[68]
뉴스
Inside the Time Machine
http://www.nybooks.c[...]
2007-01-11
[69]
뉴스
Pynchon: He Who Lives By the List, Dies by It
http://www.nysun.com[...]
2006-11-15
[70]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house of Pynchon
http://www.salon.com[...]
2006-11-21
[71]
뉴스
Recluse speaks out to defend McEwan
https://www.telegrap[...]
2018-04-04
[72]
뉴스
Yup, It's Him: A Pynchon Mystery Solved
https://blogs.wsj.co[...]
2009-08-11
[73]
웹사이트
Pynchon Takes On Silicon Alley
https://dealbook.nyt[...]
The New York Times
2013-02-25
[74]
잡지
Hieronymus and Robert Bosch: The Art of Thomas Pynchon
1973-05-19
[75]
잡지
Then, Voyager
https://www.newyorke[...]
1997-05-12
[76]
웹사이트
Postmodernism
http://postmodernblo[...]
postmodernblog.tumblr.com
[77]
서적
Pynchon's postmodernism
http://universitypub[...]
University Publishing Online
[78]
저널
'Gravity's Rainbow' and the postmodern picaro
1989-11
[79]
서적
The Vineland Papers
[80]
서적
The Style of Connectedness: Gravity's Rainbow and Thomas Pynchon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987
[81]
저널
Attenuated Postmodernism: Pynchon's Vineland
https://www.tandfonl[...]
1990
[82]
웹사이트
CD Album – Spike Jones – Spiked!
http://www.45worlds.[...]
[83]
잡지
Meet Your Neighbor, Thomas Pynchon
http://nymag.com/art[...]
1996-11-11
[84]
저널
On Deleuze and Guattari's ''Italian Wedding Fake Book'': Pynchon, Improvisation, Social Organisation, and Assemblage
https://orbit.openli[...]
2014
[85]
저널
Pynchon in the Poetic
https://www.jstor.or[...]
1998
[86]
저널
Thomas Pynchon's ''V.'' and Mythology
https://www.tandfonl[...]
1977
[87]
저널
John O. Stark, ''Pynchon's Fictions: Thomas Pynchon and the Literature of Information'' (Book Review)
https://www.proquest[...]
1983
[88]
서적
Partial Faiths: Postsecular Fiction in the Age of Pynchon and Morrison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7
[89]
저널
All Maps Were Useless – Resisting Genre and Recovering Spirituality in Pynchon's ''Against the Day''
https://orbit.openli[...]
2014
[90]
저널
Encyclopedic Narrative: From Dante to Pynchon
https://www.jstor.or[...]
1976
[91]
서적
Mannerist Fiction: Pathologies of Space from Rabelais to Pynchon
https://utorontopr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4
[92]
저널
Cervantine Echoes in Early Pynchon
https://www.h-net.or[...]
1988
[93]
저널
Review: Pynchon, North and South
https://www.jstor.or[...]
1997
[94]
서적
The Self-Conscious Novel: Artifice in Fiction from Joyce to Pynchon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8
[95]
저널
Poe's ''Arthur Gordon Pym'' and the Narrative Techniques of Antarctic Gothic
https://www.jstor.or[...]
1991
[96]
저널
The Mittelwerke: Site–Para-site–Non-site
https://pynchonnotes[...]
2008
[97]
저널
The Pyncheons of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Questing after Thomas Pynchon
2003
[98]
서적
Approaches to Teaching Thomas Pynchon's ''The Crying of Lot 49'' and Other Works
https://www.mla.org/[...]
Modern Language Association, New York
2008
[99]
서적
Satire in Narrative: Petronius, Swift, Gibbon, Melville, & Pyncho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2
[100]
저널
The Importance of Thomas Pynchon
https://www.jstor.or[...]
1975
[101]
서적
Our Savage Art: Poetry and the Civil Tongue
http://cup.columb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102]
저널
''The Crying of Lot 49'': Pynchon's Heart of Darkness
https://pynchonnotes[...]
1982
[103]
저널
The Hothouse or the Street: Imperialism and Narrative in Pynchon's ''V.''
https://www.jstor.or[...]
1993
[104]
저널
The Arthurian Underworld of Modernism: Thomas Mann, Thomas Pynchon, Robertson Davies
https://www.jstor.or[...]
1990
[105]
저널
Holy Sinners: Narrative Betrayal and Thematic Machination in Thomas Mann's and Thomas Pynchon's novels
https://link.springe[...]
2013
[106]
논문
Books of the Dead: Postmortem Politics in Novels by Mailer, Burroughs, Acker, and Pynchon
https://www.journals[...]
2021-06-20
[107]
서적
Signs and Symptoms: Thomas Pynchon and the Contemporary Worl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108]
서적
Everybody's America: Thomas Pynchon, Race, and the Cultures of Postmodernism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1-06-20
[109]
서적
Collected Stories: 1970 To 1995
1995
[110]
논문
Synthetics Surveillance and Sarsaparilla: Patrick White and the New Gossip Economy
https://openjournals[...]
2021-06-20
[111]
논문
Engaging Foundational Narratives in Morrison's ''Paradise'' and Pynchon's ''Mason & Dixon''
https://www.jstor.or[...]
2021-06-20
[112]
논문
Pynchon's ''V.'' and Durrell's ''Alexandria Quartet'': A Seminar in the Modern Tradition
1982
[113]
논문
"The Hacker We Call God": Transcendent Writing Machines in Kafka and Pynchon
1994
[114]
논문
What's the Point? On Comparing Joyce and Pynchon
1983
[115]
뉴스
The Lush Life of William T. Vollmann
https://www.believer[...]
2003-06-01
[116]
서적
The Question of Literature: The Place on the Literary in Contemporary Theor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2
[117]
뉴스
Reader Beware...
https://www.theguard[...]
2006-11-26
[118]
뉴스
Asteroids named after Thomas Pynchon & Stabia
http://remanzacco.bl[...]
[119]
뉴스
Mata Hari with a Clockwork Eye, Alligators in the Sewer
http://graphics8.nyt[...]
1963-04-21
[120]
웹사이트
Transcript of Remarks Given at the National Book Awards, Thursday, April 18, 1974
http://www.irwincore[...]
[121]
뉴스
Thomas Pynchon is not Thomas Pynchon, or, This is End of the Plot Which Has No Name
1976-04-22
[122]
서적
Thomas Pynchon
https://archive.org/[...]
Methuen
1982
[123]
웹사이트
A SoHo Weekly News Who's Who
https://sohomemory.o[...]
[124]
뉴스
Who is Thomas Pynchon, and why did he take off with my wife?
1977-03
[125]
뉴스
A Screaming Comes Across the Sky (but Not a Photo)
2004-02-08
[126]
뉴스
Words for Salman Rushdie
1989-03-12
[127]
웹사이트
Salman Rushdie's Dinner with Thomas Pynchon – GalleyCat
http://www.mediabist[...]
Mediabistro.com
2009-07-17
[128]
간행물
[Review] First Family, Second Life, by Joshua Cohen
https://harpers.org/[...]
2013-10-01
[129]
웹사이트
Where's Thomas Pynchon?
http://cgi.cnn.com/U[...]
[130]
뉴스
Who the hell is he?
1998-06-07
[131]
뉴스
Pynchon and Homer
http://www.boston.co[...]
2003-10-19
[132]
웹사이트
Purple Drank, Britney, and The Rachel: The Weird But Logical Pop Culture Obsessions of Thomas Pynchon's Bleeding Edge
https://grantland.co[...]
2013-09-25
[133]
뉴스
Brevity's Raincheck
https://www.latimes.[...]
1994-05-08
[134]
간행물
The Pynchon Hoax
http://www.newyorker[...]
2009-08-10
[135]
웹사이트
A king, a queen and two knaves?: An Interview with David Hadju (sic)
http://www.popmatter[...]
2001-08-02
[136]
웹사이트
The Wanda Tinasky Affair
https://thinkinthemo[...]
thinkinthemorning.com
2016-10-08
[137]
서적
Author Unknown: On the Trail of Anonymous
https://archive.org/[...]
2000
[138]
뉴스
Pynchon's Letters Nudge His Mask
https://www.nytimes.[...]
1998-03-04
[139]
웹사이트
Pynchon References on TV
http://themodernword[...]
themodernword.com
[140]
웹사이트
Literary Titan Thomas Pynchon Breaks 40-Year Silence – on ''The Simpsons''!
http://themodernword[...]
themodernword.com
[141]
웹사이트
Thomas Pynchon Draws the Line at Making Fun of Homer Simpson's Big Butt
https://tv.yahoo.com[...]
Yahoo TV
2014-09-04
[142]
웹사이트
Matt Selman
https://twitter.com/[...]
Twitter
[143]
서적
Nineteen Eighty-Four
https://archive.org/[...]
Plume, Harcourt & Brace
2003
[144]
웹사이트
Pynchon References on TV
http://www.themodern[...]
themodernword.com
[145]
뉴스
Recluse speaks out to defend McEwan
https://www.telegrap[...]
2006-12-06
[146]
웹사이트
Inherent Vice, Thomas Pynchon
https://www.youtube.[...]
Penguin Books USA
2009-08-04
[147]
뉴스
After Long Resistance, Pynchon Allows Novels to Be Sold as E-Books
http://mediadecoder.[...]
2012-06-12
[148]
웹사이트
The Not-So-Secret Society
http://columbiaspect[...]
2013-02-28
[149]
웹사이트
Thomas Pynchon Returns to New York, Where He's Always Been
https://www.theatlan[...]
2013-06-17
[150]
웹사이트
We're Still Trying to Find the Thomas Pynchon Inherent Vice Cameo
http://www.esquire.c[...]
2015-01-22
[151]
웹사이트
Maybe Thomas Pynchon wasn't in Inherent Vice after all
http://www.avclub.co[...]
2015-06-04
[152]
웹사이트
Cazar a Pynchon
https://elpais.com/c[...]
2019-01-18
[153]
웹사이트
The Huntington Acquires Thomas Pynchon Archive
https://huntington.o[...]
2022-12-14
[154]
문서
[155]
문서
[156]
뉴스
https://www.nyti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