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설 원순 고모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설 원순 고모음은 혀의 뒤쪽을 사용하여 발음하며, 입술을 둥글게 하는 모음의 한 종류이다.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u]로 표기되며, 혀의 최고점이 연구개에 가깝게 위치한다. 이 모음은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며, 각 언어별로 다양한 단어에서 사용된다. 한국어의 '눈'의 'ㅜ' 소리가 이에 해당하며, 프랑스어의 'où' (어디), 독일어의 'Fuß' (발) 등 다양한 언어에서 예시를 찾아볼 수 있다. 일부 언어에서는 입술을 압축하는 형태의 변이음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 - 중설 모음
    중설 모음은 혀의 위치가 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으로, 혀의 높이, 앞뒤 위치, 입술의 둥글림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모음 - 비모음
    비음화는 모음 발음 시 비강 공명이 더해지는 음운 현상으로, 모음 높이에 영향을 주며 언어에 따라 적용 범위와 정도가 다르고, 프랑스어 비음 모음의 발달 과정은 구강 모음과 비음 자음 결합 후 비음 자음 탈락으로 설명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외국어 표기에 'ㅇ' 받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예외도 있다.
후설 원순 고모음
음성학적 정보
국제 음성 기호u
십진수117
엑스-삼파u
브라유u
발음
소리 파일Close back rounded vowel.ogg
설명후설 원순 고모음
기타
엑스-삼파u
아스키u
유니코드U+0075
HTML 엔티티u

2. 음성학적 특징

후설 원순 고모음은 혀의 최고점이 연구개(입천장 뒷부분)에 가까이 위치하는 후설 모음이며, 혀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고모음으로 입을 거의 닫은 상태에서 발음한다. 또한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발음하는 원순 모음이다.

발음을 하는 성도의 시상 단면. 이 그림에서 물결 모양의 성대는 유성음을 나타낸다.

2. 1. 조음 위치

혀의 최고점이 연구개(입천장 뒷부분)에 가까이 위치하는 후설 모음이다.

언어철자발음
고전 라틴어sussuːsla돼지
스와힐리어ubongoubongosw
소토어tumotʼumɔst명성
루마니아어unuˈun̪uro하나
포르투갈어tuˈtupt
프랑스어u프랑스어어디에
네덜란드어voetvutnl
한국어눈의 'ㅜ'nuːn한국어눈(雪, snow)


2. 2. 조음 방법

혀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고모음으로, 입을 거의 닫은 상태에서 발음된다.

2. 3. 원순성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발음하는 원순 모음이다. 원순성은 돌출(protrusion)과 압축(compression)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IPA의 [u]는 일반적으로 돌출 원순 모음으로 분류된다.

3. 언어별 예시

후설 원순 고모음([u])은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모음이다.

언어별 [u] 발음 예시
언어철자IPA
고전 라틴어sus돼지
스와힐리어ubongo
소토어tumo명성
루마니아어unu하나
포르투갈어tu
프랑스어어디에
네덜란드어voet
바이에른어und그리고
추바슈어урам거리
인도네시아어'u'nta낙타
말레이어'u'bat
말라얄람어പ്പ്ml소금
음파데어kusumumpi생쥐
노가이어сувnog
우드무르트어/urėtė나누다
타갈로그어utangtl



이 외에도, 한국어, 아프리칸스어, 아랍어, 아르메니아어, 불가리아어, 카탈루냐어, 중국어, 덴마크어, 영어, 에스토니아어, 핀란드어, 페로어, 조지아어, 독일어, 그리스어, 헝가리어, 아이슬란드어, 이탈리아어, 카자흐어, 크메르어, 쿠르드어, 라틴어, 룩셈부르크어, 몽골어, 페르시아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세르보크로아트어, 스페인어, 태국어, 튀르키예어, 우크라이나어, 상부 소르브어, 우르두어, 웨일스어, 서프리슬란트어, 요루바어, 사포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후설 원순 고모음이 사용된다. 각 언어별 구체적인 예시는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한국어

'ㅜ'는 /u/로 표기되며, '눈'(雪, snow)의 'ㅜ'가 으로 발음될 때 나타난다.[8] 한국어 음운론을 참조하라.

3. 2. 아프리칸스어

boek|북af (/bu̜k/)은 '책'을 의미하며, 약하게 둥글게 발음된다.[1] 아프리칸스어 음운론 참조.

3. 3. 아랍어

جنوب|d͡ʒaˈnuːbar는 '남쪽'을 의미한다.[1] 아랍어 음운론 참조.

3. 4. 아르메니아어

դուռ|durhy[1]는 동아르메니아어에서 '문'을 의미한다.[1] 발음은 [dur]이다.[1]

3. 5. 불가리아어

луд|ludbg[1]는 '미친'을 의미한다.[1] 불가리아어 음운론 참조.

3. 6. 카탈루냐어

s'''u'''cca [1]는 '주스'를 뜻한다. 카탈루냐어 음운론 참조.

3. 7. 중국어


  • 표준 중국어에서 / 는 '땅'을 의미하며, 로 발음된다.[1]
  • 광둥어에서 yue / 는 '남자'를 의미하며, 로 발음된다.[1]
  • 상하이 방언에서 wuu/ku는 '멜론'을 의미하며, 로 발음된다. 이때 모음의 높이는 닫힘과 반닫힘 사이에서 변동한다.[1]

3. 8. 추바슈어

урам|ur'amcv은 '거리'를 의미한다.[2]

3. 9. 덴마크어

duda는 표준 덴마크어에서 '너'를 뜻한다.[1] 이는 [tu]로 발음된다.[1] 덴마크어 음운론을 참조하라.

3. 10. 네덜란드어

표준 네덜란드어에서 'voet'(/vut/)는 '발'을 의미한다.[1] 벨기에 표준 네덜란드어에서는 약간 전설 모음으로 발음된다.[1]

단어IPA의미
voet[vut]


3. 11. 영어

영어의 여러 방언에서 후설 원순 고모음이 나타난다.

  • 호주 영어, 케이프 플랫츠 영어, 교양 있는 남아프리카 영어: 'book'(/bʊk/)와 같은 단어에서 나타난다.
  • 일반 미국 영어, 기오디 영어, 아일랜드 영어: 'boot'(/buːt/)와 같은 단어에서 나타난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호주[영어 철자법|boo'k]]book|북영어'책'다른 억양에서는 에 해당한다. 호주 영어 음운론 참조
케이프 플랫츠[영어 철자법|boo'k]]book|북영어'책'로 전진하거나 로 낮아지고 평순화될 수 있다.[1] 남아프리카 영어 음운론 참조
교양있는 남아프리카[영어 철자법|boo't]]boot|부트영어'부츠'일반적으로 더 전설 보다 기본이다. 백인 남아프리카 영어 음운론 및 미국 영어 음운론 참조.
일반 미국[영어 철자법|boo't]]boot|부트영어'부츠'일반적으로 더 전설 보다 기본이다. 백인 남아프리카 영어 음운론 및 미국 영어 음운론 참조.
기오디[영어 철자법|boo't]]boot|부트영어'부츠'대신 중설 모음일 수도 있다.
아일랜드[영어 철자법|boo't]]boot|부트영어'부츠'얼스터에서 중설 로 실현된다.
일부 다문화 런던 화자[영어 철자법|boo't]]boot|부트영어'부츠'더 흔하게 전설 이다.
보수적인 표준 발음[영어 철자법|boo't]]boot|부트영어'부츠'현대 RP에서 중설 로 실현된다.
웨일스[영어 철자법|boo't]]boot|부트영어'부츠'
파키스탄[영어 철자법|boo't]]boot|부트영어'부츠'
대 뉴욕시[4][영어 철자법|boo't]]boot|부트영어[5]'부츠'
뉴질랜드[영어 철자법|treacle']]treacle|트리클영어'당밀'강세가 없는 모음 의 가능한 실현이며, 둥글림에 따라 중앙에서 (더 자주) 후설 및 닫힌 반닫힘까지 다양하다.[6] 다른 억양에서는 에 해당한다. 뉴질랜드 영어 음운론 참조


3. 12. 에스토니아어

sule|ˈsule̞et에스토니아어로 '깃털'(소유격 단수)을 의미한다.

3. 13. 핀란드어

kukka|ˈkukːɑfi는 핀란드어로 '꽃'을 의미한다.[11] 핀란드어 음운론 참조.

3. 14. 페로어

gulur|굴루르fo[1]는 '노란색'을 의미한다.[1] 페로어 음운론 참조.

3. 15. 프랑스어

où|우프랑스어는 '어디'를 의미한다.[1]

프랑스어의 /u/ 발음 예시
단어IPA
où|우프랑스어어디


3. 16. 조지아어

გ'''უ'''და|guda|구다ka는 '가죽 가방'을 의미한다.[11]

3. 17. 독일어

Fuß|푸스de는 '발'을 의미한다.[11]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3. 18. 그리스어

π|우|pouel (/pu/)는 '어디'를 의미한다.[1] 현대 그리스어 음운론 참조.

3. 19. 헝가리어

út|uːt̪hu는 '길'을 의미한다. 헝가리어 음운론 참조.

3. 20. 아이슬란드어

þ'''ú'''|θ̠u|너is || 아이슬란드어 음운론 참조[7]

3. 21. 인도네시아어

unta|운타id는 '낙타'를 의미한다.[8]

3. 22. 이탈리아어

tutto|ˈt̪ut̪t̪oit는 '모두', '모든 것'을 의미한다.[8] 이탈리아어 음운론 참조.

3. 23. 카자흐어

카자흐어에서 'туған'(/t̪ʰuˈʁɑ̝̃n̪/)은 '원어민'을 의미한다.[8]

3. 24. 크메르어

ភូមិ|pʰuːm|km는 '마을'을 의미한다.[8] 크메르어 음운론 참조.

3. 25. 쿠르드어

쿠르드어|kurmanjiku쿠르만지어(북부 방언), 소라니어(중부 방언), 팔레와니어(남부 방언)에서 çû(/tʃʰuː/)는 '나무'를 뜻한다.[9] 쿠르드어 음운론 참조.

쿠르드어 방언별 '나무' 표기
방언표기
쿠르만지어(북부)çû
소라니어(중부)چوو|çûku
팔레와니어(남부)چوو|çûku


3. 26. 라틴어

s'''u'''s|susla고전 라틴어에서 '돼지'를 의미한다.[9] 발음은 [suːs]이다.[9]

3. 27. 룩셈부르크어

Luucht|Luuchtlb는 '공기'를 의미한다.[11] 룩셈부르크어 음운론 참조.

3. 28. 말레이어

ubat|우밧ms은 '약'을 의미한다.[8] 말레이어 음운론 참조.

3. 29. 몽골어

[1]는 '둥지'를 의미하며, [1]로 발음된다.

3. 30. 페르시아어

دور|duɾ|دورfa는 '먼'이라는 뜻이다.[9] 페르시아어 음운론 참조.

3. 31. 폴란드어

b'''u'''k|bukpl[11]는 '너도밤나무'를 뜻하며, '''ó'''|pl로도 표기된다. 폴란드어 음운론 참조[11]

3. 32. 포르투갈어

tu|투pt는 '너'를 의미한다.[1] 포르투갈어에서 '너'를 뜻하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포르투갈어 음운론에 따라 로 발음된다.[1]

포르투갈어의 [u] 발음 예시
단어발음
tu|투pt


3. 33. 루마니아어

unu|우누ro는 '하나'를 뜻한다.[1]

3. 34. 러시아어

узкий|/ˈus̪kʲɪj/ru는 '좁은'이라는 뜻이다.[11] 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단어IPA
узкийru/uzkiy/uzkij좁은


3. 35. 스코틀랜드 게일어

ùbhlangd(/ˈuːl̪ˠən/)은 '사과'를 의미한다.[10] 대부분의 방언에서 의 정상적인 실현이며, 루이스와 웨스터 로스에서는 넓은 공명과 인접한 소리로, 그 외 지역에서는 가 또는 로 전진한다.[10]

3. 36. 세르보크로아트어

/ 는 '무지개'를 뜻한다.[10] 세르보크로아트어 음운론 참조.

3. 37. 스페인어

c'''u'''rable|kuˈɾäβ̞le̞es[1]는 '치료 가능한'을 뜻한다.[1]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3. 38. 소토어

t'''u'''most는 '명성'을 의미한다. 소토어 음운론에 따르면, 닫힌, 반닫힌, 닫힌 중간 후설 원순 모음이 대조를 이룬다.[1]

3. 39. 스와힐리어

ubongo|우봉고sw는 '뇌'를 의미한다.[1]

3. 40. 타갈로그어

utang|우탕tl은 '빚'을 의미한다.[8]

3. 41. 태국어

ชลบุรี|tɕ͡ʰōn.bū.rīːth는 '촌부리'를 의미한다.[1]

3. 42. 튀르키예어

uzak|우자크tr이며, '먼'이라는 뜻을 갖는다.[11]

3. 43. 우크라이나어

р'''у'''х|rukh|루흐uk는 '운동'을 뜻한다.[1]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3. 44. 상부 소르브어

žuk|주크hsb[1]는 '딱정벌레'를 뜻한다.[1]

3. 45. 우르두어

دُور|duɾur는 '먼'이라는 뜻이다.[1] 우르두어 음운론 참조.

3. 46. 웨일스어

mwgcy는 '연기'를 의미한다.[11] 웨일스어 음운론 참조.

3. 47. 서프리슬란트어

jûn|jûnfy은 '저녁, 오늘 밤'을 의미한다.[10] 서프리슬란트어 음운론 참조.

3. 48. 요루바어

itọju|이토주yo는 '돌봄'을 의미한다.[1]

3. 49. 사포텍어

틸키아판에서 gdu(/ɡdu/)는 '모두'를 의미한다.[1]

4. 압축된 후설 모음

일본어, 스웨덴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는 '압축' 또는 '외순'이라고 불리는 뚜렷한 원순 유형을 가진 닫힌 후설 모음이 있다. 상하이 방언은 이 모음을 일반적인 '돌출'(내순) 닫힌 뒤 모음과 대조적으로 사용하는 유일한 언어이지만, 두 모음의 높이는 닫힘에서 반닫힘까지 다양하다.

IPA에는 압축을 위한 전용 분음 부호가 없다. 그러나 입술의 압축은 (동시 및 입술 압축) 또는 (입술 압축으로 수정된 )로 나타낼 수 있다. 벌어진 입술 분음 부호 는 둥근 모음 문자 와 함께 '임시' 기호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벌어짐'은 기술적으로 비원순성을 의미한다.

4. 1. 특징

압축된 후설 모음은 혀의 위치는 후설 고모음과 같지만,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는 대신 압축하여 발음한다. 일본어, 스웨덴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 나타나며, '외순'이라고 불리는 뚜렷한 원순 유형을 가진다.[1] 상하이 방언은 이 모음을 일반적인 '돌출'(내순) 후설 원순 고모음과 대조적으로 사용한다.[2]

IPA에는 압축을 위한 전용 분음 부호가 없다. 하지만 문자를 사용하여 (동시 및 입술 압축) 또는 (입술 압축으로 수정된 )로 나타낼 수 있다. 벌어진 입술 분음 부호 는 둥근 모음 문자 와 함께 임시 기호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벌어짐'은 비원순성을 의미한다.

4. 2. 언어별 예시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중국어상하이 방언都|IPA|[tɯᵝ˩]wuu'수도'폐쇄 모음과 반폐 모음 사이에서 높이가 변동하며, 폐쇄-반폐 후방 돌출 모음과 대조된다.[1]
일본어空気|쿠우키일본어'공기'근후설 모음; 젊은 화자들은 중설 모음 로 발음하기도 한다.[1]
리즈어colspan="2" align="center" |'깃털'근후설 모음이다.[1]
노르웨이어[11]mot|무트no'용기'도시 동부 노르웨이어에서 사용되며, 모음은 로 이중 모음화될 수 있다.[11]
스웨덴어표준 스웨덴어oro|오루sv'불안'종종 또는 시퀀스로 발음된다.[11]


4. 2. 1. 중국어

상하이 방언에서 都(都)는 '수도'를 의미하며, 都|IPA|[tɯᵝ˩]wuu로 소리낸다. 이 발음은 닫힌 모음과 반닫힌 모음 사이에서 높이가 변동하며, 닫힌-반닫힌 후설 원순 모음과 대조를 이룬다.[1]

4. 2. 2. 일본어

空気|쿠우키일본어는 '공기'를 의미하며, 근후설 모음이다. 젊은 화자들은 중설 모음 /ɨᵝ/일본어로 발음하기도 한다.[1] 일본어 음운론 참조.

4. 2. 3. 리즈어

[1]는 '깃털'을 의미하며, 근후설 모음이다.[1]

4. 2. 4. 노르웨이어

m'''o'''tno는 '용기'를 의미하며,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에서 사용된다.[11] 이 모음은 로 이중 모음화될 수 있다.[11]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4. 2. 5. 스웨덴어

oro|오로sv는 '불안'을 의미하며, 종종 또는 시퀀스로 실현된다.[11]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참조

[1] 문서 While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prefers the terms "close" and "open" for [[vowel height]], many linguists use "high" and "low".
[2] 문서 '{{Harvcoltxt|Traunmüller|1982}}, cited in {{Harvcoltxt|Ladefoged|Maddieson|1996|p=290}}'
[3] 서적 A Handbook of Varieties of English Volume 1: Phonology De Gruyter
[4] 서적 A Handbook of Varieties of English Volume 1: Phonology De Gruyter
[5] 서적 The Atlas of North American English 2006
[6] 웹사이트 NZE Phonology http://www.victoria.[...]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7] 문서 '{{Harvcoltxt|Einarsson|1945|p=10}}, cited in {{Harvcoltxt|Gussmann|2011|p=73}}'
[8] 웹사이트 Indonesian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mylanguages.o[...] 2021-05-17
[9] 문서 Fattah describes the sound as being ''voyelle longue centrale arrondie (p. 116)''.
[10] 웹사이트 Aspiration https://doug5181.wix[...] 2021-04-23
[11] 문서 While {{Harvcoltxt|Vanvik|1979}} does not describe the exact type of rounding of this vowel, some other sources (e.g. {{Harvcoltxt|Haugen|1974|p=40}} and {{Harvcoltxt|Kristoffersen|2000|p=16}}) state explicitly that it is compress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