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잠비크 독립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잠비크 독립 전쟁은 1964년부터 1974년까지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에 대항하여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이 주도한 무장 투쟁이다. 15세기 말부터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던 모잠비크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아프리카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독립 요구가 거세졌고, FRELIMO가 결성되어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 FRELIMO는 소련, 중국, 쿠바 등 공산권 국가와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원을 받으며, 지뢰 매설과 게릴라 전술을 통해 포르투갈군에 맞섰다. 포르투갈은 카호라바사 댐 건설 등 개발 계획을 추진하며 FRELIMO의 세력 확장에 대응하려 했지만, 1969년 FRELIMO 지도자 에두아르두 몬들라네가 암살되고, 1974년 카네이션 혁명으로 포르투갈 정부가 붕괴되면서 루사카 협정을 통해 FRELIMO에 권력이 이양되었고, 1975년 모잠비크는 독립을 달성했다. 독립 후 사모라 마셸이 초대 대통령이 되었지만, 사회주의 정책 추진과 모잠비크 민족저항운동(RENAMO)과의 내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잠비크의 분리주의 - 카부델가두주 반란
    카부델가두주 반란은 2017년부터 모잠비크 북부에서 발생한 무장 반란으로, 사회경제적 불만, 종교적 요인, 정부 부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 안사르 알-수나가 주도하며 민간인 대상 전쟁 범죄를 일으켜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고 있다.
  • 모잠비크의 분리주의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은 1962년 여러 민족주의 단체가 통합되어 결성된 정당으로,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맞선 무장 투쟁을 통해 모잠비크 독립을 쟁취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하에 일당제 국가를 수립했으나, 이후 민주 사회주의로 이행하여 다당제 민주주의 체제를 수립, 현재까지 모잠비크 주요 정당으로 집권하며 레나모와의 평화협정으로 내전을 종식시켰다.
모잠비크 독립 전쟁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모잠비크 독립 전쟁
전체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
냉전
장소포르투갈령 모잠비크
날짜1964년 9월 25일 – 1974년 9월 8일 (9년 11개월 2주)
독립1975년 6월 25일
결과군사적 교착 상태
FRELIMO의 정치적 승리
카네이션 혁명 이후 휴전 및 포르투갈군의 모잠비크 철수
루사카 협정 체결 후 모잠비크 인민공화국 독립
모잠비크 내전 시작
원인주변 식민지의 독립 운동 증가
포르투갈의 식민지 학대
교전 세력
교전국 1모잠비크 해방전선
지원국 1


















지원국 2


지휘관
지휘관 1사모라 마셸
조아킹 시사누
에두아르두 몬들라느
필리페 사무엘 마가이아
지휘관 2안토니우 아우구스투 도스 산토스
카울자 데 아리아가
병력 규모
병력 115,000–20,000명
병력 250,000명 (1970년 5월 17일 기준)
사상자 및 피해
사상자 1불확실, 큰 피해
사상자 2약 10,000명 (사망 및 부상)
민간인 사망자약 50,000명
관련 전투
전투 목록1960년대
무에다
무탕가
이글 작전
베네
마르스 작전
제타 작전
1970년대
고르디안 매듭 작전
프론티어 작전
아바나델라 작전
알코라 훈련
페나다 작전
마로스카
루사카 협정
결과
24/20 명령

2. 배경

포르투갈의 아프리카 식민지에서의 분쟁은 1961년 앙골라 독립 전쟁으로 시작되었으며, 3년 뒤인 1964년에는 모잠비크에서도 독립을 위한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이러한 분쟁의 근본 원인은 모잠비크 내부의 정치적 불안정과 400년 이상 지속된 외세 지배 하에서의 경제적 착취, 주민에 대한 학대, 그리고 포르투갈의 원주민 정책에 따른 사회경제적 차별에 대한 모잠비크 원주민들의 깊은 불만이었다. 특히, 원주민들은 서구식 교육과 사회 참여의 기회에서 소외되어 숙련 노동자가 될 기회를 박탈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프리카 대륙 전역으로 확산된 민족 자결 운동의 영향으로 모잠비크 내에서도 민족주의적 정서가 고조되었다. 그러나 포르투갈 식민 당국은 이러한 움직임에 군사적 주둔을 강화하고, 독립을 주장하는 이들을 인근 국가로 추방하는 강경책으로 대응했다. 이러한 탄압은 오히려 국외에서 모잠비크 독립 운동 세력이 조직화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추방된 모잠비크 지식인들과 활동가들은 이웃 나라 탄자니아에서 FRELIMO를 결성[116]하고, 이를 거점으로 모잠비크 북부에 침투하여 게릴라전을 시작했다. FRELIMO는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 쿠바 등으로부터 무기와 군사 고문단을 지원받아[117] 10년 이상 무장 투쟁을 지속했다. 비록 포르투갈군이 전쟁 기간 내내 군사적 우위를 유지했지만, 전쟁은 장기화되었다.

결정적인 전환점은 1974년 4월 25일 포르투갈 본국에서 발생한 쿠데타카네이션 혁명이었다. 이 혁명으로 들어선 새로운 포르투갈 정부는 7월 24일 해외 식민지의 독립을 승인했으며, 이후 루사카 협정을 통해 모잠비크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마침내 모잠비크는 1975년 6월 25일 독립을 선포하며 470년에 걸친 포르투갈의 동아프리카 지배에 종지부를 찍었다. 카네이션 혁명의 배경으로는 장기간의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에 대한 국제 사회의 압력 증대와 포르투갈 군부 내의 불만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118][119][120]

2. 1. 포르투갈의 식민 통치

현재의 모잠비크 지역에 처음 거주한 이들은 코이산족의 조상인 산족(San) 사냥꾼과 수렵 채집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1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잠베지 강을 건너 이주해 왔다.[51] 1498년,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모잠비크 해안에 처음 상륙하면서[51][121] 유럽과의 접촉이 시작되었다. 16세기 동안 포르투갈은 동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꾸준히 확대하며, 여러 항구를 거점으로 삼아 포르투갈령 동아프리카로 알려진 식민지를 건설했다. 이 시기 포르투갈은 노예와 무역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으며, 중앙 집중적인 통치보다는 개별 정착민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다.[52][122]

1961년 당시 아프리카의 포르투갈 식민지 현황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럽 열강들의 아프리카 분할 경쟁이 치열해졌다. 포르투갈은 광대한 브라질 식민지를 잃은 후 아프리카 식민지 확장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는데, 이는 영국과의 직접적인 충돌로 이어졌다.[51][121] 특히 데이비드 리빙스턴이 1858년 무역로 개척을 위해 이 지역을 탐험한 이후 영국의 관심이 커지자 포르투갈은 불안감을 느꼈다.[53][117] 결국 포르투갈은 우세한 영국 해군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영국의 요구를 수용하여 식민지 경계를 조정했고, 현재 모잠비크의 국경은 1881년 5월에 확정되었다.[51][121]

이후 모잠비크 통치는 영국 자본의 지원을 받는 모잠비크 회사, 잠베지아 회사, 니아사 회사와 같은 특허 회사들에게 상당 부분 위임되었다. 이 회사들은 광산 개발과 철도 건설을 위해 값싼 노동력을 동원했으며[51][121], 해안에서 내륙으로 진출하며 플랜테이션 농장을 세우고 원주민들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이익을 추구했다.[121] 이러한 식민 통치 강화 과정에서 원주민들의 저항도 있었으나, 현재의 짐바브웨와 모잠비크 지역에 걸쳐 있던 부족 연합체인 가자 제국은 1895년 포르투갈에 의해 정복되었고,[53][117] 나머지 내륙 지역의 부족들도 1902년까지 모두 포르투갈에 복속되었다. 같은 해 포르투갈은 로렌수 마르케스(현 마푸토)를 식민지의 새로운 수도로 정했다.[54][123]

1926년, 포르투갈 내에서 발생한 정치적, 경제적 위기는 5월 28일 쿠데타로 이어져 제2공화국, 즉 에스타두 노부 독재 정권이 수립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새로운 정권은 아프리카 식민지에 대한 관심을 다시 높이며 통제를 강화했다.[54][113] 이러한 포르투갈의 오랜 식민 통치는 경제적 착취와 차별적인 원주민 정책으로 이어져 모잠비크인들의 불만을 키웠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탈식민지화의 물결 속에서 모잠비크 내에서도 민족 자결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게 되었다.[45][52][122]

2. 2. FRELIMO의 등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서 민족 자결 운동이 확산되면서 모잠비크에서도 포르투갈의 식민 통치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51][121] 이에 포르투갈은 1951년 모잠비크를 '해외 행정 영토'로 지정하고 '모잠비크 해외주'(Província Ultramarina de Moçambiquept)로 명칭을 변경하여 식민지에 더 큰 자치권을 부여하는 것처럼 보이려 했지만[124], 실제로는 여전히 강력한 통제력을 유지했다.

포르투갈이 항공기에서 배포한 선전 전단: "FRELIMO는 거짓말을 했다! 당신은 고통받고 있다"


남부 아프리카에서의 모잠비크 위치


포르투갈 식민 통치 하의 모잠비크 사회는 극심한 불평등과 차별에 시달렸다. 소수의 부유한 포르투갈 정착민과 대다수의 농촌 원주민 아프리카 인구 사이에는 큰 격차가 존재했다.[55] 포르투갈 정부는 모잠비크 농민들에게 생계 유지에 필요한 식량 대신 수출용 쌀이나 목화를 재배하도록 강요했으며[45][51][52][58][113][121][122][125], 1960년까지 25만 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인근 지역의 광산에서 저임금 노동에 시달렸다.[45][51][52][58] 정치적 권리 또한 심각하게 제한되어, 1950년 기준으로 약 5,733,000명의 모잠비크 인구 중 투표권을 가진 사람은 4,353명에 불과했다.[52][122] 대부분의 원주민은 문맹 상태였고, 기술직이나 행정직과 같은 양질의 일자리에서 배제되었으며, 도시의 현대적인 생활을 접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52][122] 교육받은 소수의 아프리카인들조차 상당한 차별에 직면했다.[57] 원주민들은 자신들의 문화와 전통이 포르투갈의 이질적인 문화에 의해 억압당한다고 느꼈다.[52][122] 포르투갈의 지배에 반대하거나 독립을 주장하는 정치적 목소리는 권위주의적인 에스타두 노부 정권에 의해 가혹하게 탄압받았고, 많은 반체제 인사들은 강제로 망명을 떠나야 했다.[57] 이러한 억압적인 식민 통치와 경제적 착취, 사회적 차별은 모잠비크인들의 불만을 고조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1962년 6월 25일, 이웃 나라 탄자니아의 수도 다르에스살람에서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 Frente de Libertação de Moçambiquept)이 결성되었다.[126] FRELIMO는 포르투갈의 탄압을 피해 망명 중이던 여러 민족주의 단체들 – 모잠비크 아프리카 민족 연합(MANU), 독립 모잠비크 아프리카 민족 연합(UNAMI), 모잠비크 민족 민주 연합(UDENAMO) – 을 통합하여 결성되었다.[60][127] 초대 지도자는 미국에서 교육받은 사회학자 에두아르두 몬들라네였다.[60] FRELIMO는 처음에는 포르투갈과의 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독립을 달성하고자 했으나, 포르투갈 정부가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자 결국 무장 투쟁 노선으로 방향을 전환했다.[128] FRELIMO는 1960년대 후반부터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을 보였으며, 1977년에 이를 공식 이념으로 채택했다.[59]

한편, 국제 사회에서도 모잠비크의 상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유엔(UN)은 포르투갈에 탈식민지화를 요구하는 압력을 가했다.[123] 그러나 포르투갈은 나토(NATO) 동맹국으로서의 지위를 이용하여 서방 국가들의 압력을 무마시키려 했고, 심지어 NATO 탈퇴 가능성까지 시사하며 압박했다.[45][113] 이러한 상황 때문에 FRELIMO는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쿠바공산주의 국가들로부터 지원을 받게 되었다.[45] 특히 소련과 중국은 냉전 시대의 전략적 이해관계 속에서 서구 열강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아프리카 민족 해방 운동을 적극 지원했으며[129][130], FRELIMO에게 무기, 훈련, 군사 고문단 등을 제공했다.[117][130][131][133] 쿠바 역시 반제국주의 이념을 확산하고 동맹 세력을 확보하기 위해 FRELIMO를 지원했다.[134][135]

2. 3. 국제적 지원

모잠비크 독립 운동 지도자들은 해외에서 교육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독립 운동에서 국제적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운동의 비공식 외교관이었던 마르셀리누 두스 산투스(Marcelino dos Santos)는 FRELIMO와 외부 지원 세력 간의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을 주도했다.[61] FRELIMO 지도부는 마오쩌둥의 저서를 접하며 초기부터 마오이즘과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을 받아들였고, 이는 1977년 공식 노선 채택 이전에 이미 나타났다.[59] 따라서 이들의 독립 전쟁 방식은 중국, 남베트남, 알제리 등 다른 국가들의 반식민 투쟁과 게릴라 운동 경험에 영향을 받았다.[62]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는 FRELIMO를 일찍부터 인정하고 독립 투쟁을 위한 자금을 지원했다. OAU는 크와메 응크루마 등 아프리카 지도자들이 아프리카 대륙의 식민주의와 신식민주의 청산을 목표로 설립한 기구였다.[63] 아프리카 내 독립 국가들의 지원은 전쟁 수행에 결정적이었다. 특히 탄자니아는 FRELIMO에게 중요한 거점을 제공했다. 포르투갈의 이스타두 노부(Estado Novo) 체제 하의 억압적인 식민 통치 때문에 모잠비크 내에서는 저항 운동이 성장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62] 1961년 탄자니아가 독립하자 줄리어스 니에레레 대통령은 FRELIMO를 포함한 망명 해방 운동 단체들이 자국 영토를 활동 기지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했다.[64] 이 외에도 알제리, 이집트 등 다른 아프리카 독립 국가들이 FRELIMO를 지원했다.

냉전 시기, 특히 1950년대 후반부터 소련중화인민공화국은 서방 열강의 아프리카 식민지 지배력을 약화시키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독립 운동을 지원했다.[65] 니키타 흐루시초프는 아프리카를 포함한 '제3세계'를 서방 세력을 약화시키는 중요한 축으로 보았다. 소련에게 아프리카는 서방과 식민지 간의 연결 고리를 끊고, 미래에 친소련적인 국가를 건설할 기회였다.[66] FRELIMO 결성 이전에는 여러 민족주의 운동이 존재하여 소련의 지원은 분산되었으나,[131] FRELIMO 결성 이후 소련과 동구권의 지원은 FRELIMO에 집중되었다. FRELIMO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은 이러한 동맹을 자연스럽게 만들었다.[67]

에두아르두 몬들라네의 후계자이자 훗날 모잠비크의 대통령이 되는 사모라 마셸은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높이 평가하며 "우리를 진정으로 도울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이라며 "그들이 무장 투쟁 경험이 있으며, 모잠비크가 하려는 것에 도움이 되는 것을 가르쳐 줄 것"이라고 말했다.[69][132] FRELIMO 게릴라들은 소련, 쿠바, 동독에서 파견된 1,600명의 군사 고문단으로부터 파괴 공작과 정치 선전에 대한 훈련을 받았으며,[70][133] 1972년에는 소련으로부터 122mm 로켓포와 같은 무기를 지원받았다.[66][130] 중국 군사 교관들은 탄자니아에서 FRELIMO 병사들을 훈련시키기도 했다.[71] 소련은 1975년 FRELIMO가 정권을 장악한 이후에도 반혁명 세력에 대항한다는 명분으로 군사 지원을 지속했으며, 1981년까지도 소련 군사 고문단 230명과 쿠바 군사 고문단 800명이 모잠비크에 주둔했다.[130]

쿠바쿠바 혁명 이념을 전파하고 새로운 동맹을 구축하기 위해 모잠비크 독립 전쟁에 개입했다. 쿠바는 모잠비크 해방 전쟁을 당시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투쟁 중 하나로 인식했다.[72] 초기에는 1965년 에두아르두 몬들라네와 체 게바라의 만남에서 FRELIMO의 역량에 대한 이견으로 관계 설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나,[72] 이후 쿠바는 FRELIMO 게릴라들에게 자국 내 훈련 기회를 제공하고 무기, 식량, 군복 등을 지원했다.[72] 또한 쿠바는 모잠비크와 앙골라 등 포르투갈의 다른 식민지 해방 운동, 그리고 페루,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등 라틴 아메리카의 혁명 운동 간의 소통 창구 역할도 수행했다.[73][134][135]

동유럽 국가 중에서는 루마니아의 지원이 두드러졌다. 1972년 봄, 루마니아는 FRELIMO가 부쿠레슈티에 동유럽 최초의 외교 사절단을 개설하도록 허용했다. 1973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FRELIMO를 "모잠비크 인민의 유일한 합법 대표"로 인정하며 중요한 외교적 선례를 만들었다. 사모라 마셸은 소련 방문 당시 루마니아의 이러한 인정 덕분에 대표단이 합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루마니아는 트럭, 트랙터, 의약품, 학용품, 농기구 등 물질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FRELIMO는 1973년 루마니아 공산당에 보낸 각서에서 루마니아제 무기와 군복이 군사적 진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13]

반면, 미국은 FRELIMO에 대해 초기에는 제한적인 지원을 제공했다. 1963년 에두아르두 몬들라네는 케네디 행정부 관리들과 만나 CIA로부터 6만달러의 보조금을 받았으나, 군사 원조 요청은 거절당했다. 1968년 존슨 행정부 시기에는 모든 재정적 지원이 중단되었다.[68] 이후 미국은 이 분쟁에 직접 개입하지 않았다.[75]

유럽에서는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네덜란드가 FRELIMO에 군사적 또는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다.[68] 또한 이탈리아 레조 에밀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 지원 네트워크도 존재했다.[74]

3. 전개 과정

프렐리모(FRELIMO)는 1964년 9월 25일, 탄자니아를 거점으로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대항하는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 초기 프렐리모는 에두아르두 몬들라네의 지도 아래 소규모 게릴라 부대를 운용하며 모잠비크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이들은 매복, 기습 공격, 지뢰 설치 등 전형적인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며 포르투갈군을 괴롭혔고, 점차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확보하며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이에 맞서 포르투갈은 군 병력을 대폭 증강하고 반란 진압 작전을 펼쳤다. 또한, 카호라바사 댐 건설과 같은 대규모 개발 계획을 추진하여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주민들의 지지를 얻으려 했으나, 이는 강제 이주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며 오히려 반감을 사기도 했다.

1969년 2월 3일, 프렐리모의 지도자 에두아르두 몬들라네가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에서 폭탄 테러로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프렐리모 내부에 혼란과 권력 투쟁을 야기했으며, 결과적으로 사모라 마셸과 마르셀리누 두스 산투스 등 강경파가 지도부를 장악하고 조직은 더욱 좌경화되었다.

몬들라네 암살 이후 전쟁은 더욱 격화되었다. 포르투갈군은 카울자 드 아리아가 장군의 지휘 아래 1970년 고르디우스의 매듭 작전과 같은 대규모 군사 작전을 감행했으나, 프렐리모의 저항을 완전히 분쇄하지는 못했다. 오히려 1972년 위리아무 학살과 같은 포르투갈군의 잔혹 행위가 국제 사회에 알려지면서 포르투갈은 큰 비난에 직면했다. 프렐리모는 지뢰 사용을 확대하고 공세를 강화하며 포르투갈군과 정착민 사회에 큰 피해와 불안감을 안겨주었다.

포르투갈 내부에서는 10년 이상 지속된 식민지 전쟁으로 인한 막대한 비용 부담과 인명 피해, 그리고 국제적 고립에 대한 염증과 반감이 극에 달했다. 결국 1974년 4월 25일, 리스본에서 발생한 평화적인 군사 쿠데타인 카네이션 혁명으로 이스타두 노부 정권이 무너졌다. 혁명으로 들어선 포르투갈의 새 정부는 즉각적인 휴전을 선언하고 프렐리모와 협상에 나섰다. 1974년 9월 7일, 양측은 잠비아 루사카에서 루사카 협정을 체결하여 모잠비크의 독립을 공식화했다. 이 협정에 따라 과도 정부가 수립되었고, 마침내 1975년 6월 25일 모잠비크는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3. 1. 몬들라네의 반란 (1964-1969)

모잠비크 독립 전쟁 지도


에어로스파시알 알루엣 III 헬리콥터. 아프리카에서 흔했지만 모잠비크 전쟁에서는 보기 드물었다.


전쟁 초기, 프렐리모(FRELIMO)는 훨씬 더 많은 포르투갈군에 맞서 겨우 7,000명의 전투원만을 보유하고 있어 전통적인 군사적 승리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들의 희망은 리스본으로부터 협상을 통한 독립을 강요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의 반란 지원을 촉구하는 데 달려 있었다.[45][113] 포르투갈은 장기전을 수행하며 소요를 진압하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파견했고, 1964년부터 1967년 사이에 주둔 병력 수는 8,000명에서 24,000명으로 증가했다.[76][136] 포르투갈군은 새로운 반란 진압(counter-insurgency) 이론에 강한 신념을 가진 안토니오 아우구스토 도스 산토스 장군의 지휘 아래 작전을 수행했다. 아우구스토 도스 산토스는 아프리카 스카우트 부대와 기타 특수 부대 팀을 창설하기 위해 로디지아와의 협력을 지원했으며, 로디지아군은 전쟁 중 자체 독립 작전을 수행하기도 했다.

프렐리모의 군사 부문은 알제리로부터 훈련을 받은 필리페 사무엘 마가이아가 지휘했다.[93][153] 프렐리모 게릴라는 소련중국으로부터 제공받은 모신나강 볼트액션 소총, SKSAK-47 자동소총, PPSh-41, 데그차료프 경기관총, DShK, SG-43 고루노프, 박격포, 무반동총, RPG-2, RPG-7, ZPU-4와 같은 대공 무기 등 다양한 무기를 사용했다.[77][142] 전쟁 말기에는 소량의 SA-7 견착식 미사일 발사기도 확보했지만, 포르투갈 항공기 격추에는 사용되지 않았다.[93] 반면, 포르투갈군은 전쟁 초기에 제2차 세계 대전 시대의 무전기와 구형 마우저 소총 등 구식 장비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전투가 진행됨에 따라 HK G3와 FN FAL 소총이 표준 전투 무기로, AR-10이 공수부대용으로 채택되었다. MG42와 1968년부터는 HK21이 일반 목적 기관총으로 사용되었고, 60mm, 81mm, 120mm 박격포, 곡사포, 그리고 AML-60, 파나르 EBR, 폭스, 카이미테 장갑차가 화력 지원에 투입되었다.[77]

1960년대 에두아르두 몬들라네


1964년 평화 협상 시도가 실패하자, 9월 25일 에두아르두 몬들라네는 탄자니아의 거점에서 모잠비크 북부 카보델가두주 지역을 목표로 게릴라 공격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내렸다.[58][125] 프렐리모 군인들은 현지 주민들의 지원을 받아 차이 행정관구를 공격했다. 이들은 매복, 통신 및 철도 파괴, 식민지 기지에 대한 기습 공격 후 외딴 지역으로 신속히 이동하는 전형적인 게릴라 전술을 사용했다. 특히 추격을 피하기 위해 몬순 우기를 적극 활용했는데, 폭우는 포르투갈의 공중 우세를 무력화하고 지상군의 기동을 어렵게 만든 반면, 가벼운 장비의 프렐리모 부대는 마토(mato) 관목 지대로 도망쳐 주민들 사이에 섞여들 수 있었다.[45][113] 또한 주변 환경과 마을에서 식량을 조달하여 긴 보급선 문제에서도 비교적 자유로웠다.[78][137]

차이에서의 초기 공격과 함께 전투는 모잠비크 중부의 니아사테테로 확산되었다. 초기 프렐리모의 활동은 10~15명 규모의 소규모 분대 단위 교전과 습격에 국한되었는데, 이는 포르투갈군을 분산시키려는 의도였다.[113] 포르투갈군은 1964년 11월 북부 칠라마(Xilama)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처음으로 손실을 입기 시작했다. 주민들의 지지 증가와 포르투갈 정규군 규모의 한계 덕분에 프렐리모는 남쪽의 메폰다(Meponda)와 만딤바(Mandimba)로 진격하며, 인접한 말라위와의 연결을 시도했다.[45][113] 그러나 작전 범위가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루부마 강과 말라위 호수를 따라 카누를 이용한 보급선의 한계로 인해 공격은 여전히 초소 등 경비가 허술한 시설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타격에 국한되었다.[45][113]



1965년 이후 전투원 모집과 민중의 지지가 늘면서 프렐리모 부대의 규모는 커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지지 증가는 부분적으로 탄자니아로 피신한 모잠비크인들에 대한 프렐리모의 지원 활동 덕분이었다.[45][113] 프렐리모는 베트남 전쟁 등에서처럼 지뢰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포르투갈군에게 피해를 주고 군의 인프라에 부담을 주며 사기를 떨어뜨렸다.[80][45][138][113] 공격 부대의 규모도 때로는 100명 이상으로 늘어났고, 여성 전투원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81][141]

1966년 10월 10일 또는 11일, 프렐리모 군사 부문 지도자 필리페 사무엘 마가이아가 최전선 시찰 후 탄자니아로 돌아가던 중 동료 게릴라 로렌소 마톨라(Lourenço Matola)에게 총격으로 사망했다. 마톨라는 포르투갈 측에 고용된 인물로 알려졌다.[82][139]

1967년까지 프렐리모는 모잠비크 인구의 7분의 1과 영토의 5분의 1을 통제하고 있었으며,[83][140] 전투 병력은 약 8,000명에 달했다.[45][113] 이 시기 몬들라네는 전쟁 노력을 더욱 확장하면서도 소규모 타격 부대를 유지하려 했다. 해방 지역 확대와 주민 지원에 필요한 비용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몬들라네는 소련, 중국 등으로부터 해외 지원을 적극적으로 모색했고, 이를 통해 대구경 기관총, 대공포, 75mm 무반동포, 122mm 로켓포 등 중화기를 확보했다.[84][142] 1967년 동독은 프렐리모에 대한 군사 원조를 시작하기로 합의했으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거의 매년 다양한 무기(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무기)를 제공했다.

포르투갈군에 의한 국기 게양


1968년 프렐리모 제2차 당대회는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독립 세력에게 중요한 선전적 승리를 안겨주었다. 비록 포르투갈군이 공중 우세를 이용해 회의 장소를 폭격하려 했으나 시도가 늦어지면서 실패했다.[45][113] 이 성공은 프렐리모가 유엔에서 더 큰 영향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85][143]

3. 2. 포르투갈의 개발 계획

카호라바사 댐(우주에서 본 모습). 포르투갈 식민 정부는 전쟁 중 대규모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이 댐을 건설하여 주민들의 지지를 얻고자 했으나, FRELIMO의 잦은 공격 목표가 되었다. 직접적인 게릴라 공격은 성공하지 못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 FRELIMO의 저항이 거세지자 포르투갈 정부는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에 대한 통제력을 과시하고 국내외 여론을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개발 계획을 추진했다. 이는 포르투갈이 아프리카 식민지 개발을 주도해왔다는 오랜 식민주의적 관점의 연장이기도 했다. 포르투갈 정부는 도로, 철도, 교량, , 관개 시설, 학교, 병원 등 다양한 인프라를 건설하여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주민들의 지지를 얻으려 했다.[53][86][117][144]

이 개발 계획의 핵심은 1969년에 착공된 카호라바사 댐 건설이었다. 포르투갈 정부는 이 댐 건설을 자국의 civilizing mission|문명의 사명eng[145]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여겼으며,[87][146] 이를 통해 포르투갈 식민 통치의 정당성과 안정성을 선전하고자 했다. 댐 건설 현장을 보호하기 위해 3,000명의 군인과 100만 개 이상의 지뢰를 투입하는 등 막대한 노력을 기울였다.[113]

FRELIMO는 댐이 갖는 상징성을 파악하고 7년 동안 건설을 방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댐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건설 현장으로 향하는 수송대를 공격하는 데는 일부 성과를 거두었다.[45][113] 또한 FRELIMO는 UN에 포르투갈의 개발 계획 문제를 제기하며 국제적인 압박을 가했고, 이로 인해 일부 외국 자금 지원이 철회되기도 했다.

여러 방해에도 불구하고 댐은 1974년 12월 완공되었다. 그러나 포르투갈 정부가 기대했던 선전 효과는 크지 않았다. 댐 건설 과정에서 수많은 원주민이 강제로 이주당하면서 큰 불만을 샀고,[88] 댐으로 인해 이전에는 농경지를 비옥하게 해주던 연례적인 홍수가 사라지면서 하류 지역 농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47]

3. 3. 에두아르두 몬들라네 암살 (1969)

몬들라네의 장례식


1969년 2월 3일, FRELIMO의 지도자 에두아르두 몬들라네는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에 위치한 자신의 사무실에서 폭발물에 의해 암살되었다. 암살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존재한다. 다수의 자료는 포르투갈비밀경찰인 PIDE가 폭발 장치가 설치된 책을 소포로 보내 몬들라네가 소포를 열었을 때 폭발했다고 설명한다.[89][148] 다른 자료들은 폭발 장치가 몬들라네의 의자 밑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정확히 누가 설치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주장한다.[89][148]

초기 FRELIMO 자체 조사에서는 실베리오 누응고(나중에 처형됨)와 카보델가도 지역 FRELIMO 지도자였던 라자로 카반다메를 용의자로 지목했다. 카반다메는 평소 몬들라네를 지나치게 보수적인 지도자로 여기며 불신을 드러냈으며, 탄자니아 경찰 역시 카반다메가 PIDE와 공모하여 암살을 저질렀다고 비난했다. 카반다메는 1969년 4월 포르투갈 측에 투항했다.[45][113]

암살의 배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지만, 대부분의 역사가와 전기 작가들은 포르투갈 정부, 특히 PIDE의 연루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또한, 포르투갈의 후방 잔류 부대이자 글라디오 작전과 유사한 성격의 조직인 '아긴터 프레스'(Aginter Press)가 1990년에 자신들의 개입을 시사하기도 했다.[60][90][149]

암살 책임 소재가 불분명했던 초기 상황은 FRELIMO 내부에 큰 혼란과 의심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곧 권력 투쟁으로 이어졌다.[60][90][127][150] 이 과정에서 몬들라네의 잠재적 후계자로 여겨지던 온건파 부대표 우리아 시망고 목사가 강경파인 사모라 마셸과 마르셀리누 두스 산투스에 의해 밀려나 축출되고 구금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FRELIMO는 급격하게 좌경화되었다.[127][150] 시망고 목사는 모잠비크 독립 후인 1975년, 재판 없이 처형되었다.

3. 4. 전쟁의 지속 (1969-1974)

포르투갈 장군 카울자 드 아리아가


1969년, 포르투갈군 사령관이 안토니우 아우구스투 두스 산투스(António Augusto dos Santos) 장군에서 카울자 드 아리아가(Kaúlza de Arriaga) 장군으로 사실상 교체되었고(공식 인계는 1970년 3월), 이는 전쟁 양상에 변화를 가져왔다. 아리아가 장군은 반군과의 싸움에서 더 직접적이고 강경한 방법을 선호했으며, 기존의 아프리카 현지 군인을 활용하는 정책 대신 소수의 아프리카 전투원을 동반한 정규 포르투갈군 중심의 배치를 선호했다. 이러한 그의 전술은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 사령관이었던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William Westmoreland) 장군과의 회담에서 일부 영향을 받았다.[45][80][113][138]

그러나 1972년경, 아리아가의 2인자였던 프란시스쿠 다 코스타 고메스(Francisco da Costa Gomes) 장군을 포함한 다른 지휘관들 사이에서는 플레샤스(Flechas|플레샤스pt, "화살"이라는 뜻)와 같은 아프리카 현지인 부대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었다. 플레샤스는 앙골라에서도 운용되었으며, 국가정보감시국(PIDE, 이후 DGS로 변경)의 지휘를 받는 부대였다. 주로 현지 부족민 출신으로 구성된 이 부대는 추적, 정찰, 대테러 작전에 특화되어 있었다.[91][151] 코스타 고메스는 아프리카 군인이 포르투갈 정규군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현지 주민들과 더 나은 관계를 형성하여 정보 수집 및 민사 작전에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당시 미군이 베트남에서 사용하던 '마음 얻기(Hearts and Minds)' 전략과 유사한 접근 방식이었다. 플레샤스 부대는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직전 아리아가 장군이 해임된 후 전쟁 마지막 단계까지 활동했으며, 포르투갈 철수 후 모잠비크 내전 발발 시에도 FRELIMO에게 지속적인 위협이 되었다.[92][152]

모잠비크 분쟁 및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전체에서 활동한 주요 특수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명포르투갈어 명칭설명
특수 부대Grupos Especiaispt지역 부족민 자원병으로 구성된 준군사 조직. 포르투갈군의 지원을 받음. 앙골라에서도 유사한 부대 운용.
공수 특수 부대Grupos Especiais Pára-Quedistaspt공수부대 훈련을 받은 흑인 자원병 부대.
전투 추적 특수 부대Grupos Especiais de Pisteiros de Combatept추적 전문 훈련을 받은 특수 부대.
플레샤스Flechaspt지역 부족민이나 탈영병으로 구성. 추적·정찰·테러 활동 전문. PIDE/DGS 지휘 하에 활동. 상황에 따라 적 복장을 하거나 노획물에 따라 현금 보상을 받음.



전사한 포르투갈 군인들을 위한 추모식


1970년부터 1974년까지 FRELIMO는 게릴라 작전을 강화하며 도시 지역에서의 테러 활동에 집중했다.[45][113] 특히 지뢰 사용이 급증했는데, 자료에 따르면 이 시기 포르투갈군 사상자의 3분의 2가 지뢰 때문이었다고 한다.[80][138] FRELIMO는 대전차 지뢰인 TM-46과 대인 지뢰인 PMN (블랙 위도우), POMZ, 그리고 PDM과 같은 수륙양용 지뢰 등 다양한 종류의 지뢰를 사용했다.[77] 이로 인해 포르투갈군 사이에서는 지뢰에 대한 극심한 공포, 즉 Mine psychosis|지뢰 심리 장애영어가 만연했다. 보이지 않는 적으로부터 계속 사상자가 발생하는 상황은 군의 사기를 크게 저하시켰고 작전 수행을 방해했다.[45][80][113][138]

험준한 지형에서 작전 중인 포르투갈 병사들


이에 맞서 포르투갈군은 1970년 6월 10일, 대규모 반격 작전인 고르디우스의 매듭 작전(Operação Nó Górdiopt)을 개시했다. 7개월간 진행된 이 작전은 모잠비크 북부의 FRELIMO 기지와 탄자니아 국경을 통한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약 35,000명의 포르투갈군 병력이 동원되었으며,[45][113] 특히 공수부대, 특수부대, 해병대, 해군 저격수 등 정예 부대가 주축을 이루었다.[93][153] 포르투갈군은 포르투갈 공군(Força Aérea Portuguesapt, FAP)의 폭격과 헬리콥터를 이용한 헬리본 강습 작전(공중강습)을 통해 FRELIMO 게릴라를 포위 섬멸하는 전술을 구사했으며, 육상 부대의 포격 지원과 기병 부대를 활용한 정찰 및 수색 작전도 병행했다.

그러나 작전은 시작부터 어려움에 직면했다. 우기가 시작되면서 물류 보급에 차질이 생겼고, 병사들의 장비는 열악했으며, 공군과 육군 간의 협조 부족으로 효과적인 근접 항공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포르투갈군 사상자가 FRELIMO 사상자보다 많아지는 상황이 발생하자, 리스본의 포르투갈 정부로부터 정치적 개입이 심화되었다.[113]

포르투갈군은 공식적으로 FRELIMO 게릴라 651명 사살(실제로는 약 440명으로 추정)과 1,840명 생포, 기지 61곳과 캠프 165곳 파괴, 40톤의 탄약 압수라는 전과를 보고했다. 포르투갈군 사망자는 132명이었다. 아리아가 장군은 이 작전으로 FRELIMO가 심각한 위협이 되지 못할 정도로 약화되었다고 주장했지만, 포르투갈 정부와 군 내부 일부에서는 작전이 사실상 실패했으며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했다.[113]

모심보아다프라이아에 상륙하는 포르투갈군


1972년, 포르투갈군은 전략을 수정하여 영국군미군이 사용했던 소규모 타격 부대를 이용한 수색 섬멸 작전(Search and Destroy)을 채택했다. 동시에 '알데아멘투스'(Aldeamentospt)라 불리는 강제 이주 계획을 통해 민간인들을 특정 거주 구역으로 이주시켜 FRELIMO와 민간인 기반을 분리하려는 마음 얻기(Hearts and Minds) 작전도 지속했다.[98][155] 그러나 1972년 11월 9일, FRELIMO는 8,000명 미만의 병력으로 테트주(Tete Province)에서 대규모 공세를 감행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72년 12월 16일, 테트 지구의 위리아무(Wiriyamu) 마을에서 포르투갈군 제6 특수부대에 의한 끔찍한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45][113] '위리아무 학살'로 알려진 이 사건은, 마을 주민들이 FRELIMO 게릴라를 숨겨주었다는 혐의로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민간인들이 무참히 살해된 사건이다. 희생자 수는 적십자 추산 150명에서 포르투갈 신문 ''Expresso''의 후속 조사(가담 병사 증언 기반)에 따른 300명 이상까지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이 작전은 PIDE 요원 치코 카차비(Chico Kachavi, 이후 암살됨)의 사주로 계획되었으며, 그는 병사들에게 "모두 죽이라는 것이 명령이다"라고 지시했다고 전해진다.[94] 이 학살은 1973년 7월, 영국의 가톨릭 사제 에이드리언 헤이스팅스(Adrian Hastings) 신부와 두 명의 스페인 선교사에 의해 국제 사회에 폭로되었다. 이후 다르에스살람 대주교 라우레안 루감브와(Laurean Rugambwa)는 학살이 FRELIMO 전투원에 의해 자행되었다는 반박 보고서를 내기도 했으며,[95][154] 포르투갈의 국제적 평판을 훼손하기 위해 조작된 사건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96] 포르투갈 언론인 펠리시아 카브리타(Felícia Cabrita)는 생존자 및 가담 부대원 인터뷰를 통해 학살을 상세히 재구성하여 포르투갈 주간지 ''Expresso''에 보도했고, 이는 책으로도 출판되었다.[97] 1973년 7월 16일, 잠비아는 포르투갈군의 학살 행위를 공식적으로 규탄했다.

1973년까지 FRELIMO는 포르투갈군에 대한 민간인의 신뢰를 떨어뜨리기 위해 민간 도시와 마을에 지뢰를 매설하는 전술을 사용했다.[45][113] 한편, FRELIMO의 새로운 지도자가 된 사모라 마셸(Samora Machel)은 전임자 에두아르두 몬들라느(Eduardo Mondlane)의 포르투갈 정착민에 대한 관용 정책을 폐기했다.[99][156] 이러한 FRELIMO의 공세 강화와 전술 변화는 모잠비크 내 포르투갈 정착민들 사이에 공포와 불안감을 확산시켰다. 전쟁사학자 T.H. 헨릭센(T.H. Henricksen)은 당시 백인들의 반응을 "공황, 사기 저하, 버려짐, 무력감"으로 요약했다.[80][138] 정착민들의 불만은 리스본 정부에 대한 항의로 이어졌고,[45][113] 이는 포르투갈 내에서도 전쟁에 대한 염증과 회의론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였다. 위리아무 학살의 충격과 1973-1974년 FRELIMO의 공세 강화로 인한 모잠비크 상황 악화는 결국 1974년 포르투갈에서 발생한 카네이션 혁명과 정권 붕괴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당시 한 포르투갈 언론인은 모잠비크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모잠비크에서는 세 가지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군대와 FRELIMO 간의 전쟁, 군대와 비밀경찰 간의 전쟁, 그리고 군대와 중앙 정부 간의 전쟁입니다.[100][157]

3. 5. 정치적 불안과 휴전 (1974-1975)

10년 넘게 이어진 식민지 전쟁은 포르투갈 사회에 큰 부담을 안겼다. 전쟁 비용은 포르투갈 전체 예산의 44%를 차지할 정도로 막대했고,[45][48][49][113][119][120] 이는 국가의 사회 기반 시설 투자를 저해하며 사회적 불만을 키웠다. 위리아무 학살과 같은 참혹한 사건들과 FRELIMO의 계속되는 공세 소식은 포르투갈 내 여론을 악화시켰고, 전쟁에 대한 회의론을 확산시켰다.[45][80][113]

포르투갈 내부에서는 식민지 전쟁에 대한 반대 움직임이 거세졌다. 1960년대 후반부터 포르투갈 공산당(PCP)의 '무장 혁명 행동' 부서와 좌익 단체인 혁명 여단(BR) 등이 군사 목표물에 대한 파괴 공작과 폭탄 테러를 감행하며 전쟁 반대 활동을 벌였다.[100] 1971년 탕쿠스 공군 기지 공격과 오이라스의 NATO 사령부 공격 등이 대표적 사례다. 병력 수송선 '니아사'호에 대한 공격 시도 역시 전쟁에 대한 저항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카네이션 혁명 당시에는 징병을 기피한 사람이 10만 명에 달할 정도로 전쟁에 대한 염증과 반감이 극에 달했다.[101][158]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Cadernos Circunstância'', ''Cadernos Necessários'', ''Tempo e Modo'', ''Polémica''와 같은 잡지들이 발행되어 식민지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마르셀루 카에타누 총리


결국 이러한 정치적, 사회적 불안은 1974년4월 25일, 리스본에서 발생한 평화적인 좌익 군사 쿠데타인 카네이션 혁명으로 이어졌다. 이 혁명으로 마르셀루 카에타누 총리가 이끌던 이스타두 노부 정권은 무너졌다. 새로 집권한 구국 군사 평의회의 안토니우 드 스피놀라 장군은 즉각적인 휴전을 선언하고 식민지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에 나섰다. 처음에는 연방제를 통한 식민지 유지 방안도 고려되었으나, 결국 7월 24일 포르투갈 정부는 해외 영토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정권 교체 소식이 전해지자 모잠비크에 주둔 중이던 많은 포르투갈 병사들은 더 이상 싸우기를 거부하고 병영에 머무르는 등 사실상 전쟁 수행 능력을 상실했다.[101][158] 포르투갈 새 정부와 FRELIMO 간의 협상은 빠르게 진행되어 1974년9월 7일 잠비아의 수도 루사카에서 루사카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은 별도의 선거 없이 FRELIMO에게 모잠비크의 통치권을 완전히 이양하고, 독립 전까지 과도 정부를 구성하는 내용을 담았다.[45] 과도 정부는 FRELIMO가 임명하는 총리와 각료 회의, 그리고 포르투갈 정부와 FRELIMO가 동수로 참여하는 휴전 감시 위원회로 구성되었다.

루사카 협정 체결 직후, 수도 로렌수마르케스(현 마푸투)에서는 일부 포르투갈계 백인 정착민들이 협정에 반발하여 폭동을 일으키고 방송국을 점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백인 주도의 독립을 선언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개입을 기대했지만, 남아공이 호응하지 않으면서 폭동은 곧 진압되었다.

루사카 협정에 따라 모잠비크의 완전한 독립일은 1975년6월 25일로 결정되었다. 이날은 FRELIMO 창설 13주년이 되는 날이기도 했다.[113] 이 과정에서 수만 명의 포르투갈계 주민들이 모잠비크를 떠났다.

4. 여파

모잠비크가 독립하자 사모라 마셸은 모잠비크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새 정부는 '콤프로메티도스'(comprometidos|콤프로메티두스pt, 타협한 자들)라 불리는 모잠비크인들, 특히 포르투갈 식민 행정부, 그중에서도 보안 기관에서 일했던 사람들의 문제에 직면했다. 몇 년의 지연 끝에, 1978년 정부는 이들을 투옥하는 대신 과거 행적을 설명하는 글과 함께 직장에 사진을 게시하도록 결정했다. 약 4년 후 사진은 제거되었고, 1982년 마셸은 이들이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전국 회의를 주최했다. 한편, FRELIMO 당 내에서 마셸에 반대하는 중도주의자로 여겨졌던 우리아 시망구 목사와 그의 아내 등 반대 세력은 1975년 체포되어 재판 없이 처형되었다.

사모라 마셸 대통령(오른쪽). 1983년 동독의 마르고트 호네커 국민교육상과 회담 중.


독립 직후, 과거 지배층에 대한 보복을 우려한 약 30만 명의 포르투갈계 백인 민간인들이 모잠비크를 떠났다. 이들은 유럽에서 '레토르나도스(retornados)'라고 불렸다.[102][103] 이들 중 상당수는 단순히 최근에 정착한 이주민이 아니라, 수 세대에 걸쳐 모잠비크에 뿌리내리고 사회 기반 시설을 구축해 온 이들이었다.[159][160] 포르투갈 출신 전문직 종사자와 상인 등 숙련 노동력이 대거 유출되면서, 신생 독립국 모잠비크는 국가 기반 시설을 유지하고 관리할 인력이 심각하게 부족해졌고 경제는 붕괴 위기에 직면했다.

1983년에 제정된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의 당기


결성 당시 모잠비크 민족저항운동(RENAMO)의 당기


FRELIMO 정권은 사회주의 노선을 채택하고 공산주의 국가들과 관계를 맺었다. 소련쿠바동구권 국가들은 FRELIMO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군사 및 민간 고문단을 파견했다.[68] 1981년까지 모잠비크에는 소련 군사 고문 230명, 쿠바 군사 고문 약 200명, 쿠바 민간 고문 600명 이상이 활동했다.[66][104] 쿠바의 개입은 반제국주의 이념을 확산하고 새로운 동맹을 확보하려는 쿠바의 아프리카 정책의 일환이었다.[105] 반면, 미국제럴드 포드 행정부는 마셸 대통령의 관계 개선 제안을 거부하여 모잠비크가 동구권에 더욱 의존하게 만들었다.[68]

독립 약 2년 후, 로디지아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군사 지원을 받은 RENAMO 반군과의 모잠비크 내전이 발발했다.[161][116] RENAMO는 FRELIMO의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책과 현대화 노선에 불만을 품은 내부 세력 및 원주민들을 규합했다.[116] 이 내전은 FRELIMO를 지원하는 동구권과 RENAMO를 지원하는 서방 및 주변 백인 정권 간의 냉전 대리 전쟁 양상을 띠었다.[116]

내전이 장기화되면서 산업 및 사회적 불경기, 부패, 빈곤, 불평등, 실패한 중앙 계획 경제 등으로 인해 초기 혁명의 열정은 점차 퇴색했다.[107][162][163] 또한, FRELIMO의 일당 통치는 점차 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108][209]

모잠비크의 독립은 아파르트헤이트 체제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주변의 독립 흑인 국가들과 분리시키던 백인 지배 국가들의 완충 지대를 무너뜨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09][210] 독립한 모잠비크는 앙골라, 콩고 민주 공화국 등과 함께 냉전 시대 강대국들의 이념 경쟁과 대리 전쟁의 무대가 되었다.[110][211] 또한, 모잠비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에 맞서 싸우는 아프리카 국민회의(ANC) 대원들의 중요한 임시 활동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111][212]

독립 이후 모잠비크 정부는 포르투갈 식민 통치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노력했다. 수도 로렌수 마르케스(Lourenço Marques)는 마푸투(Maputo)로, 빌라 페리(Vila Pery)는 시모이오(Chimoio)로, 빌라 카브랄(Vila Cabral)은 리싱가(Lichinga)로 변경되는 등 포르투갈식 도시와 마을 이름이 아프리카식 이름으로 바뀌었다. 도시 중심부에 세워져 있던 포르투갈 영웅들의 동상들도 철거되었다.

길고 참혹했던 모잠비크 내전1992년 10월, 모잠비크 포괄 평화 협정 체결로 마침내 종식되었다.

5. 사용 장비

thumb이나 H&K G3를 휴대했다.]]

FRELIMO는 주로 소련, 중국, 쿠바 등 공산권 국가들로부터 지원받은 장비를 사용했다. 지역 부족민 출신으로 구성된 포르투갈 특수부대 플레샤스(Flechas) 등은 적에게서 노획한 장비를 이용하기도 했다.

FRELIMO의 주요 보병 화기로는 모신나강 M1891/30 볼트액션 소총, SKS 반자동 소총, AK-47 돌격소총, PPSh-41 기관단총 등이 있었다. 기관총으로는 DP-28 경기관총이 널리 사용되었고, DShK 1938년형 중기관총과 SG-43 고류노프 중기관총도 운용했다. 지원 화기로는 박격포, 무반동총, RPG-2 및 RPG-7 대전차 로켓 발사기, ZPU-4와 같은 대공포를 사용했다.[164] 분쟁 말기인 1974년에는 중국으로부터 소수의 9K32 스트렐라-2(Strela-2) 지대공 미사일을 지원받았으나, 실제 포르투갈군 항공기를 격추하지는 못했다.[153] FRELIMO는 지뢰를 이용한 작전을 자주 펼쳤으며, "블랙 위도우"라고 불리는 PMN 지뢰(PMN-1, PMN-2), TM-46 지뢰, POMZ 등 다양한 대인지뢰와 대전차지뢰를 사용했다. 해안 방어용으로 PDM 수중지뢰와 같은 기뢰도 사용했다.[164]

포르투갈 정부는 본국 부대에는 최신 장비를 우선 배치하고, 식민지 부대에는 비교적 구식 장비를 배치하는 정책을 유지했다. 전쟁 초기 포르투갈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무전기와 구식 모젤 소총을 사용했다. 전쟁이 길어지면서 신식 장비의 필요성이 커지자 FN FAL과 H&K G3가 표준 소총으로 채택되었고, 공수부대에는 AR-10이 지급되었다. 기관총으로는 MG42와 1968년부터 HK21이 사용되었다. 지원 화기로는 60mm, 81mm, 120mm 박격포곡사포가 있었고, 프랑스제 파나르 AML 및 파나르 EBR 장갑차, 영국제 FV721 폭스 장갑차, 포르투갈에서 V-150 코만도를 기반으로 개발한 브라비아 샤이미테(Bravia Chaimite) 등의 장갑차량 지원을 받았다.[164]

헬리콥터베트남 전쟁만큼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알루에트 III이 가장 많이 쓰였고 후기에는 퓨마도 투입되었다. 지상 부대 항공 지원에는 T-6, F-84, 후기에는 피아트 G.91이 사용되었고[153], 정찰기로는 Do 27, 수송기로는 포르투갈 공군의 노르 아틀라스와 C-47이 운용되었다. 포르투갈 해군은 수송을 포함한 다양한 임무에 초계정, 상륙용 주정, 복합정 등을 사용했다.

H&K HK21 기관총


AML 장갑차

5. 1. 웹사이트

5. 2. 인쇄 자료


  • Bowen, Merle. ''식민지 및 포스트 식민지 모잠비크의 농촌 투쟁: 농민에 대항하는 국가''. 버지니아 대학교 출판부: 샬러츠빌, 2000
  • Calvert, Michael Brig. ''모잠비크의 반란 진압'' 출처: ''왕립 합동 군사 기관지'', 118호, 1973년 3월
  • Cann, John P. ''아프리카의 반란 진압: 포르투갈식 전쟁, 1961–1974'', Hailer Publishing, 2005, ISBN 0-313-30189-1
  • Grundy, Kenneth W. ''아프리카의 게릴라 투쟁: 분석과 전망'', 뉴욕: 그로스만 출판사, 1971, ISBN 0-670-35649-2
  • Henriksen, Thomas H. ''모잠비크에 대한 논평'', 1975
  • Legvold, Robert. ''서아프리카의 소련 정책'',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70, ISBN 0-674-82775-9
  • Mailer, Phil. ''포르투갈 – 불가능한 혁명?'' 1977, ISBN 0-900688-24-6
  • Munslow, Barry (편집). ''사모라 마셸, 아프리카 혁명가: 선정된 연설과 저서'', 런던: 제드 북스, 1985.
  • Newitt, Malyn. ''모잠비크 역사'', 1995, ISBN 0-253-34007-1
  • Penvenne, J.M. "주앙 두스 산투스 알바시니 (1876–1922): 식민지 모잠비크에서 정치와 정체성의 모순", ''아프리카 역사 저널'', 37호.
  • Wright, George. ''국가의 파괴'', 1996, ISBN 0-7453-1029-X
  • Belfiglio, Valentine J. (1983년 7-8월) [http://www.airpower.maxwell.af.mil/airchronicles/aureview/1983/jul-aug/belfiglio.html ''모잠비크 남부의 소비에트 공세''], ''미 공군대학교 Review''. 2011년 4월 10일 확인.
  • Cooper, Tom. [http://www.acig.org/artman/publish/article_185.shtml ''중앙, 동부 및 남아프리카 데이터베이스, 모잠비크 1962–1992''], ACIG, 2003년 9월 2일. 2011년 4월 10일 확인.
  • [https://web.archive.org/web/20060912164910/http://www.oberlin.edu/archive/holdings/finding/RG30/SG307/biography2.html ''에두아르두 시밤보 몬들라네 (1920–1969)''], 오베를린 대학교, 2005년 9월 Melissa Gottwald에 의해 개정. 2011년 4월 10일 확인.
  • [http://www.britannica.com/eb/article-9035330/Frelimo ''프렐리모''], Britannica.com. 2011년 4월 10일 확인.
  • Kennedy, Thomas. "모잠비크". ''가톨릭 백과사전''. Vol. 10. 뉴욕: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http://www.newadvent.org/cathen/10610a.htm 온라인 버전]. 2011년 4월 10일 확인.
  • Newitt, Malyn. [http://encarta.msn.com/encyclopedia_761571212_8/Mozambique.html ''모잠비크''] ([https://webcitation.org/5kx6YXYat 보관됨] 2009년 11월 1일), 엔카르타. 2011년 4월 10일 확인.
  • Thom, William G. (1974년 7-8월). [http://www.airpower.maxwell.af.mil/airchronicles/aureview/1974/jul-aug/thom.html ''아프리카 해방을 위한 소련 지원 동향''], ''미 공군대학교 Review''. 2011년 4월 10일 확인.
  • Westfall, William C., Jr. (1984년 4월 1일).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library/report/1984/WCW.htm ''모잠비크-포르투갈 반란, 1963–1975'']. 2011년 4월 10일 확인.
  • Wright, Robin (1975년 5월 12일). [https://web.archive.org/web/20070202142852/http://www.aliciapatterson.org/APF001975/Wright/Wright03/Wright03.html 몬들라네, 모잠비크 연구소의 자넷: 아프리카 혁명의 미국 "대모"]. 2011년 4월 10일 확인.

참조

[1] 서적 U.S. Security Cooperation with Africa: Political and Policy Challen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서적 Namibia &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간행물 The U.S. Involvement in Angola https://dh.howard.ed[...]
[4] 서적 Superpower Detente https://books.google[...] SAGE
[5] 서적 Frontiersmen: Warfare In Africa Since 1950
[6] 서적 Southern Africa The Escalation of a Conflict : a Politico-military Study
[7] 서적 My Life: A Spoken Autobiography
[8] 서적 The Cuban Military Under Castro
[9] 서적 Translations on Sub-Saharan Africa
[10] 서적 Underdevelopment and the Transition to Socialism: Mozambique and Tanzania
[11] 서적 The Portuguese Colonial War and the African Liberation Struggles: Memory, Politics and Uses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2] 서적 Sweden and National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Vol 2, Solidarity and assistance 1970–1994 https://urn.kb.se/re[...] Nordiska Afrikainstitutet
[13] 서적 Between East and South: Spaces of Interaction in the Globalizing Economy of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9-10-21
[14] 서적 Contemporary Romania: Her Place in World Affairs https://books.google[...] Foreign Affairs Publishing Company
[15] 서적 Liberalism, Black Power, and the Making of American Politics, 1965–1980
[16] 서적 United Front against imperialism: China's foreign policy in Africa
[17] 서적 Portuguese Africa: a handbook
[18] 서적 China Into Africa: Trade, Aid, and Influence
[19] 서적 Tito in the world press on the occasion of the 80th birthday
[20] 서적 Mozambique, Resistance and Freedom: A Case for Reassessment
[21] 뉴스 Frelimo candidate Filipe Nyusi leading Mozambique presidential election http://www.sardc.net[...]
[22] 백과사전 Encyclopedia Americana: Sumatra to Trampoline
[23] 서적 Nyerere and Africa: End of an Era
[24] 웹사이트 Moscow's Next Target in Africa http://www.rhodesia.[...]
[25] 문서 Mozambique revolution
[26]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Mozambique
[27] 서적 Mozambique in the twentieth century: from colonialism to independence
[28] 서적 A History of FRELIMO
[29] 간행물 Intercontinental Press
[30] 서적 The Last Bunker: A Report on White South Africa Today
[31] 서적 Vectors of Foreign Policy of the Mozambique Front (1962–1975):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People's Republic of Mozambique
[32] 서적 Africa's Armies: From Honor to Infamy
[33] 서적 Maghreb Noir: The Militant-Artists of North Africa and the Struggle for a Pan-African, Postcolonial Futur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Imagery and Ideology in U.S. Policy Toward Libya 1969–1982
[35] 서적 Qaddafi: his ideology in theory and practice
[36] 학술지 Brazilian Relations with Portuguese Africa in the Context of the Elusive "Luso-Brazilian Community"
[37] 서적 South Africa in Africa: A Study in Ideology and Foreign Policy
[38] 서적 The dictionary of contemporary politics of Southern Africa
[39] 서적 Terror on the Tracks: A Rhodesian Story
[40] 서적 Dictionary of Wars https://books.google[...] Infobase
[41] 학술지 'Operation Bwezani': The Army, Political Change, and Dr. Banda's Hegemony in Malawi https://web.archive.[...] 2004-05-12
[42] 서적 Salazar: A Political Biography
[43] 서적 Prominent African Leaders Since Independence
[44] 서적 The Israeli Connection: Who Israel Arms and why. p. 64. "Though Israel was busy establishing ties with newly independent African nations in the 1960s, it did not support all forms of decolonization. When it came to Portugal's colonies, Israel was on the side of continuing European rule." https://books.google[...] Pantheon Books 1987
[45] 보고서 Mozambique-Insurgency Against Portugal, 1963–1975 United States Marine Corps 2007-03-10
[46] 학술지
[47] 문서 Guerra da Independência de Moçambique (War of Independence of Mozambique)
[48] 서적 The Destruction of a Nation
[49] 서적 Portugal – The Impossible Revolution?
[50] 웹사이트 Portugal's history since 1974 http://www1.ci.uc.pt[...] Centro de Documentação 25 de Abril, University of Coimbra
[51] 웹사이트 Mozambiqu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aedia 2007-03-10
[52] 서적 Remarks on Mozambique
[53] 웹사이트 Mozambique https://web.archive.[...] Encarta 2007-03-10
[54] 서적 A History of Mozambique
[55] 서적 Mozambique – From Colonialism to Revolution Zimbabwe Publishing House
[56] 서적 The State Against the Peasantry: Rural Struggles in Colonial and Postcolonial Mozambique University Press of Virginia
[57] 학술지 Joao Dos Santos Albasini (1876–1922): The Contradictions of Politics and Identity in Colonial Mozambique
[58] 서적 A History of Mozambique
[59] 서적 Samora Machel, an African Revolutionary: Selected Speeches and Writings Zed Books
[60] 서적 A History of Mozambique
[61] 학술지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ism in the Liberation Struggle in Mozambique: The Role of the FRELIMO's Solidarity Network in Italy https://www.tandfonl[...] 2018-01-02
[62] 학술지 'Makers of Bonds and Ties': Transnational Socialisation and National Liberation in Mozambique https://www.tandfonl[...] 2017-01-02
[63] 서적 Wars in the Third World since 1945 Bloomsbury Academic
[64] 학술지 The assassination of Eduardo Mondlane: FRELIMO, Tanzania, and the politics of exile in Dar es Salaam https://www.tandfonl[...] 2017-01-02
[65] 서적 Soviet Policy in West Africa Harvard University Press
[66] 웹사이트 The Soviet Offensive in South Africa http://www.airpower.[...] airpower.maxwell, af.mil 2007-03-10
[67] 서적 Guerrilla Struggle in Africa: An Analysis and Preview Grossman Publishers
[68] 서적 Foreign Intervention in Africa: from the Cold War to the War on Ter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학술지 Counter-Insurgency in Mozambique
[70] 보고서 U.S. Department of Defense, Annual Report to the Congress
[71] 서적 Conflicting Missions: Havana, Washington, and Africa, 1959–1976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72] 서적 Conflicting Missions: Havana, Washington, and Africa, 1959–1976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73] 학술지 The Cuban fulcrum and the search for a transatlantic revolutionary culture in Angola, Mozambique and Chile, 1965–2008 http://www.tandfonli[...] 2009-09-00
[74] 학술지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ism in the Liberation Struggle in Mozambique: The Role of the FRELIMO's Solidarity Network in Italy https://www.tandfonl[...] 2018-01-02
[75] 학술지 The U.S. Culture Wars Abroad: Liberal-Evangelical Rivalry and Decolonization in Southern Africa, 1968–1994 http://dx.doi.org/10[...] 2023-00-00
[76] 간행물 African Troops in the Portuguese Colonial Army, 1961–1974: Angola, Guinea-Bissau and Mozambique http://www.trentu.ca[...] 2007-03-10
[77] 서적 Counterinsurgency in Africa: The Portuguese Way of War, 1961–1974 Hailer Publishing
[78] 간행물
[79] 서적 The Airplanes of the Cross of Christ Dinalivro
[80] 서적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Greenwood Press
[81] 서적 The Mozambique Liberation Front Library of Congress: Institute Universitaire De Hautes Etupes Internacionales
[82] 문서 A Document for the History of African Nationalism
[83] 서적 The Mozambique Liberation Front Library of Congress: Institut Universitaire De Hautes Etupes Internacionales
[84] 서적 Revolution and Terrorism in Mozambique American Affairs Association, Inc.
[85] 서적 Revolution and Terrorism in Mozambique American Affairs Association, Inc.
[86] 웹사이트 O Desenvolvimento de Moçaqmbique e a Promoção das Suas Populaçōes – Situaçāo em 1974, Kaúlza de Arriaga's published works and texts http://www.cidadevir[...] 2015-09-23
[87] 웹사이트 Portuguese Colonial Intervention, Regional Conflict and Post-Colonial Amnesia: Cahora Bassa Dam, Mozambique 1965–2002 http://www.kyle.aem.[...] 2007-03-10
[88] 웹사이트 International Rivers Network http://www.irn.org/p[...] 2007-03-10
[89] 웹사이트 Eduardo Chivambo Mondlane Biography http://www.oberlin.e[...] Oberlin College 2000-02-16
[90] 학술지 Pluralism and Elite Conflict in an Independence Movement: FRELIMO in the 1960s
[91] 웹사이트 Border Crossings : Life in the Mozambique / South Africa Borderland since 1975 http://upetd.up.ac.z[...] University of Pretoria 2007-03-13
[92] 학술지 Counter-Insurgency in Mozambique
[93] 웹사이트 Central, Eastern and South African Database, Mozambique 1962–1992 http://www.acig.org/[...] ACIG.org 2007-03-07
[94] 서적 Oa anos da Guerra Colonial – Wiriyamu, De Moçambique para o mundo Lisboa
[95] 서적 Portugal's African Wars N.Y.
[96] 뉴스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1-06-26
[97] 서적 Massacres em África A Esfera dos Livros, Lisbon
[98] 문서 Resettlement Programs: Counterinsurgency in Mozambique
[99] 서적 The Making of Portuguese Democracy
[100] 서적 Revolution and Terrorism in Mozambique American Affairs Association Inc.
[101] 간행물
[102] 뉴스 White Faces In A Black Crowd: Will They Stay? http://www.aliciapat[...]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1975-05-27
[103] 웹사이트 Emigração Portuguesa https://imigrantes.n[...] Memórias da Emigração Portuguesa 2012-05-16
[104] 웹사이트 CSIS Africa Notes: Cuba and Mozambique https://csis-website[...] 1987-12-28
[105] 서적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 regional and Swedish voices : interviews from Angola, Mozambique, Namibia, South Africa, Zimbabwe, the Frontline and Sweden http://urn.kb.se/res[...] Nordiska Afrikainstitutet
[106] 서적 Visions of Freedom : Havana, Washington, Pretoria, and the Struggle for Southern Africa, 1976–1991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07] 웹사이트 Africa–Portugal: Three Decades After Last Colonial Empire Came to an End http://ipsnews.net/n[...]
[108] 학술지 Politics and Contemporary History in Mozambique: A Set of Epistemological Notes https://www.jstor.or[...] 2013
[109] 서적 Wars in the Third World Since 1945 http://dx.doi.org/10[...] Bloomsbury Academic 1991
[110] 서적 Africa in the Colonial Ages of Empire : Slavery, Capitalism, Racism, Colonialism, Decolonization Langaa RPCIG
[111] 서적 Visions of Freedom : Havana, Washington, Pretoria, and the Struggle for Southern Africa, 1976–1991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12] 간행물 Issue: A Journal of Opinion, Vol. 4, No. 2
[113] 문서 Mozambique-Insurgency Against Portugal, 1963–1975 2007-03-10
[114] 간행물 Issue: A Journal of Opinion, Vol. 4, No. 2
[115] 웹사이트 Mid-Range Wars and Atroci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users.erols.c[...] 2011-01-09
[116] 웹사이트 モザンビークにおける人間の安全保障-ポスト・コンフリクト国の事例研究- http://www.jica.go.j[...] 2011-05-28
[117] 웹사이트 Mozambique http://encarta.msn.c[...] 2007-03-10
[118] 웹사이트 Portugal's history since 1974 http://www1.ci.uc.pt[...]
[119] 서적 The Destruction of a Nation
[120] 서적 Portugal - The Impossible Revolution?
[121] 웹사이트 Mozambique http://www.newadvent[...] 2011-01-09
[122] 서적 Remarks on Mozambique
[123] 서적 A History of Mozambique
[124] 서적 ポルトガルを知るための50章 明石書店 2001-02-28
[125] 서적 A History of Mozambique
[126] 서적 国際情報ベーシックシリーズ4 アフリカ 自由国民社 1996-09-15
[127] 서적 A History of Mozambique
[128] 서적 The State Against the Peasantry: Rural Struggles in Colonial and Postcolonial Mozambique University Press Of Virginia
[129] 서적 Soviet Policy in West Africa Harvard University Press
[130] 웹사이트 The Soviet Offensive in South Africa http://www.airpower.[...] 2011-05-28
[131] 서적 Guerrilla Struggle in Africa: An Analysis and Preview New York: Grossman Publishers
[132] 학술지 Counter-Insurgency in Mozambique
[133] 보고서 U.S. Department of Defense, Annual Report to the Congress
[134] 서적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2007-03-10
[135] 서적 エチオピアの知られざる革命 恒文社
[136] 웹사이트 African Troops in the Portuguese Colonial Army, 1961–1974: Angola, Guinea-Bissau and Mozambique http://www.trentu.ca[...] 2007-03-10
[137] 간행물 Issue: A Journal of Opinion, Vol. 4, No. 2
[138] 서적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London: Greenwood Press
[139] 서적 A Document for the History of African Nationalism
[140] 서적 The Mozambique Liberation Front Library of Congress: Institut Universitaire De Hautes Etupes
[141] 서적 The Mozambique Liberation Front Library of Congress: Institute Universitaire De Hautes Etupes Internacionales 1970
[142] 서적 Revolution and Terrorism in Mozambique American Affairs Association, Inc. 1974
[143] 서적 Revolution and Terrorism in Mozambique American Affairs Association, Inc. 1974
[144] 웹사이트 O DESENVOLVIMENTO DE MOÇAMBIQUE E A PROMOÇÃO DAS SUAS POPULAÇÕES - SITUAÇÃO EM 1974 http://www.cidadevir[...]
[145] 서적 アフリカの植民地化と抵抗運動 山川出版社 2010
[146] 웹사이트 Portuguese Colonial Intervention, Regional Conflict and Post-Colonial Amnesia: Cahora Bassa Dam, Mozambique 1965–2002 http://www.kyle.aem.[...] 2007-03-10
[147] 웹사이트 International Rivers Network http://www.irn.org/p[...] 2007-03-10
[148] 웹사이트 Eduardo Chivambo Mondlane Biography http://www.oberlin.e[...] 2011-05-30
[149] 웹사이트 Italy's Black Prince:Terror War Against the Nation-State http://www.larouchep[...] 2011-05-26
[150] 간행물 Pluralism and Elite Conflict in an Independence Movement: FRELIMO in the 1960s 1975
[151] 서적 Border Crossings : Life in the Mozambique / South Africa Borderland since 1975 http://upetd.up.ac.z[...] University of Pretoria 2007-03-13
[152] 간행물 Counter-Insurgency in Mozambique 1973-03
[153] 웹사이트 Central, Eastern and South African Database, Mozambique 1962–1992 http://www.acig.org/[...] 2011-05-26
[154] 서적 Portugal's African Wars N.Y. 1974
[155] 서적 Resettlement Programs: Counterinsurgency in Mozambique 1974
[156] 서적 The Making of Portuguese Democracy 1995
[157] 서적 Revolution and Terrorism in Mozambique American Affairs Association Inc. 1974
[158] 간행물 Issue: A Journal of Opinion 1974
[159] 웹사이트 White Faces In A Black Crowd: Will They Stay? http://www.aliciapat[...] 1975-05-27
[160] 웹사이트 Emigração Portuguesa http://imigrantes.no[...]
[161] 서적 紛争後モザンビーク社会の課題──村に戻らない人々 朝倉書店 2008-04
[162] 웹사이트 Praying for Marxism in Africa http://www.frontpage[...] 2009-03-13
[163] 웹사이트 AFRICA-PORTUGAL: Three Decades After Last Colonial Empire Came to an End http://ipsnews.net/n[...]
[164] 서적 Counterinsurgency in Africa: The Portuguese Way of War, 1961–1974 Hailer Publishing 2005
[165] 서적 Between East and South: Spaces of Interaction in the Globalizing Economy of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9-10-21
[166] 서적 Contemporary Romania: Her Place in World Affairs https://books.google[...] Foreign Affairs Publishing Company 1975
[167] 서적 Frontiersmen: Warfare In Africa Since 1950 2002
[168] 서적 China Into Africa: Trade, Aid, and Influence 2009
[169] 서적 Fidel Castro: My Life: A Spoken Autobiography 2008
[170] 서적 The Cuban Military Under Castro 1989
[171] 서적 Translations on Sub-Saharan Africa 607–623 1967
[172] 서적 Underdevelopment and the Transition to Socialism: Mozambique and Tanzania 2013
[173] 서적 Southern Africa The Escalation of a Conflict : a Politico-military Study 1976
[174] 서적 Tito in the world press on the occasion of the 80th birthday 1973
[175] 서적 Mozambique, Resistance and Freedom: A Case for Reassessment 1994
[176] 웹사이트 Moscow's Next Target in Africa http://www.rhodesia.[...]
[177] 간행물 Mozambique revolution FRELIMO. Departamento de Informação e Propaganda
[178] 서적 Liberalism, Black Power, and the Making of American Politics, 1965–1980
[179] 서적 United Front against imperialism: China's foreign policy in Africa
[180] 서적 Portuguese Africa: a handbook
[181] 웹사이트 Frelimo candidate Filipe Nyusi leading Mozambique presidential election http://www.sardc.net[...]
[182] 서적 Mozambique in the twentieth century: from colonialism to independence
[183] 서적 A History of FRELIMO
[184]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Sumatra to Trampoline
[185] 서적 Nyerere and Africa: End of an Era
[186]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Mozambique
[187] 간행물 Intercontinental Press
[188] 서적 The Last Bunker: A Report on White South Africa Today
[189] 서적 Vectors of Foreign Policy of the Mozambique Front (1962–1975):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People's Republic of Mozambique
[190] 서적 Africa's Armies: From Honor to Infamy
[191] 서적 Imagery and Ideology in U.S. Policy Toward Libya 1969–1982
[192] 서적 Qaddafi: his ideology in theory and practice
[193] 저널 Brazilian Relations with Portuguese Africa in the Context of the Elusive "Luso-Brazilian Community"
[194] 서적 South Africa in Africa: A Study in Ideology and Foreign Policy
[195] 서적 The dictionary of contemporary politics of Southern Africa
[196] 서적 Terror on the Tracks: A Rhodesian Story
[197] 저널 'Operation Bwezani': The Army, Political Change, and Dr. Banda's Hegemony in Malawi http://www.njas.hels[...] 2004-05-12
[198] 서적 Salazar: A Political Biography
[199] 서적 Prominent African Leaders Since Independence
[200] 서적 The Israeli connection: Whom Israel arms and why IB Tauris
[201] 뉴스 White Faces In A Black Crowd: Will They Stay? http://www.aliciapat[...]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1975-05-27
[202] 웹사이트 Emigração Portuguesa https://imigrantes.n[...] Memórias da Emigração Portuguesa
[203] 서적 Foreign Intervention in Africa: from the Cold War to the War on Terror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4] 웹사이트 The Soviet Offensive in South Africa http://www.airpower.[...] airpower.maxwell.af.mil 2007-03-10
[205] 웹사이트 CSIS Africa Notes: Cuba and Mozambique https://csis-website[...] 1987-12-28
[206] 서적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 regional and Swedish voices : interviews from Angola, Mozambique, Namibia, South Africa, Zimbabwe, the Frontline and Sweden http://urn.kb.se/res[...] Nordiska Afrikainstitutet
[207] 서적 Visions of Freedom : Havana, Washington, Pretoria, and the Struggle for Southern Africa, 1976-1991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8] 뉴스 Africa–Portugal: Three Decades After Last Colonial Empire Came to an End http://ipsnews.net/n[...] IPS News
[209] 저널 Politics and Contemporary History in Mozambique: A Set of Epistemological Notes https://www.jstor.or[...] 2013
[210] 서적 Wars in the Third World Since 1945 http://dx.doi.org/10[...] Bloomsbury Academic
[211] 서적 Africa in the Colonial Ages of Empire : Slavery, Capitalism, Racism, Colonialism, Decolonization Langaa RPCIG
[212] 서적 Visions of Freedom : Havana, Washington, Pretoria, and the Struggle for Southern Africa, 1976-1991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