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문화는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관에 도전하는 문화 현상을 의미한다. 1960년대 미국에서 처음 사용된 이 용어는, 주류 문화, 중산층 문화, 기성세대의 가치관에 반대하며, 정치적 권위주의를 거부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문화는 문화 발전에 영향을 미쳐, 기존 문화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1960년대 히피 운동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언더그라운드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다양한 형태의 예술 작품을 창출했다. 1960년대는 전 세계적으로 반문화가 확산된 시기였으며, 베트남 전쟁, 인종 차별, 냉전 등에 대한 반대 운동과 함께 시민권, 여성 권리, LGBT 권리 등을 지지하는 사회 운동으로 이어졌다. 한국에서는 1960~70년대 산업화와 권위주의 정치에 대한 저항으로 포크 음악, 문학, 학생 운동 등이 나타났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2000년대 이후 페미니즘, 성소수자 운동, 환경 운동 등 새로운 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문화 - 트리나 로빈스
    트리나 로빈스는 미국의 만화가, 작가, 저술가, 페미니스트 운동가로서 언더그라운드 코믹스에서 여성 만화가로 활동하며 여성 만화 제작 및 홍보에 기여했고, 여성 만화가의 역사를 다룬 논픽션 서적을 저술하는 등 업적을 인정받았다.
  • 반문화 - 러브 퍼레이드
    러브 퍼레이드는 '평화, 기쁨, 팬케이크'를 모토로 사랑과 음악을 통해 평화와 국제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기획된 독일 베를린에서 시작된 대규모 테크노 음악 축제이자 정치 시위였으나, 2010년 압사 사고로 중단되었고, 그 정신은 스핀오프 축제와 레이브 더 플래닛 퍼레이드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사회화
    사회화는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학습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며, 콜버그, 에릭슨, 미드 등의 이론과 사회적 사전 프로그래밍 가설로 설명되고, 초기 사회화, 이차 사회화, 성별 사회화, 정치 사회화 등 다양한 유형과 계획된 사회화, 자연적 사회화, 긍정적 사회화, 부정적 사회화 등으로 구분되며, 한국 사회는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함께 학교 문화, 젠더 사회화 등 새로운 과제를 맞이하고 있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민족
    민족은 언어, 종교, 문화, 역사적 경험 등 특정 문화적 특징을 공유하며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사회 집단으로, 본질주의적, 구성주의적 관점으로 설명될 수 있고, 민족주의, 민족자결 등 다양한 사회 현상과 관련되며, 모어, 생활 양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신조어 - 조중동
    조중동은 대한민국 3대 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통칭하는 말로, 보수적 성향과 보도 행태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사용되며, 과거 친일 행적 논란, 정치적 편향성, 오보 및 왜곡 보도 등으로 비판받는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있는 신문들이다.
  • 신조어 - 갑질
    갑질은 한국 사회의 수직적 문화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되어 상하 관계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열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가하는 부당한 행위를 뜻하며,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는 여러 사례와 불매운동, 정부의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사회 문제로 남아있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기업 문화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반문화
개요
1960년대 샌프란시스코 헤이트 애시베리에서 찍은 사진
1960년대 샌프란시스코 헤이트 애시베리에서 찍은 사진
정의주류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서 벗어나는 하위 문화
특징기성 질서에 대한 비판 및 저항
대안적인 가치관 추구 (예: 평화, 자유, 공동체, 환경 보호)
독특한 문화적 표현 (예: 음악, 예술, 패션, 생활 방식)
배경 및 역사
기원19세기 낭만주의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마르크스주의
주요 시대1960년대 서구 사회
영향 요인냉전 시대의 불안감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저항
새로운 사상과 문화의 유입
사상 및 철학
주요 사상실존주의
비판 이론
마르크스주의
환경주의
페미니즘
핵심 가치개인의 자유와 개성 존중
평등과 사회 정의 추구
반권위주의 및 직접 민주주의
비폭력 저항
환경 보호 및 지속 가능한 삶
문화적 표현
음악록 음악 (특히 사이키델릭 록, 포크 록)
반전 음악
프로테스트 송
예술팝 아트
옵 아트
개념 미술
행위 예술
문학비트 세대 문학
실험 소설
반체제 문학
영화뉴 아메리칸 시네마
독립 영화
실험 영화
패션히피 스타일
펑크 스타일
에스닉 스타일
성 해방적인 스타일
생활 방식공동체 생활
자유 연애
채식주의
환경 운동
주요 인물
작가앨런 긴즈버그
잭 케루악
윌리엄 S. 버로스
음악가밥 딜런
존 레논
지미 헨드릭스
재니스 조플린
예술가앤디 워홀
로이 리히텐슈타인
활동가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말콤 X
베티 프리댄
영향 및 평가
사회적 영향성 해방 및 여성 해방 운동
환경 운동의 확산
반전 운동의 고양
소비 문화에 대한 비판
다문화주의의 확산
긍정적 평가사회의 다양성 증진
개인의 자유 확대
창의적인 문화 발전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
부정적 평가사회 질서 혼란
기존 가치관 붕괴
극단적인 개인주의 심화
상업주의에 대한 오염
관련 용어
관련 용어하위문화
대안 문화
언더그라운드
기성세대
주류 문화
반체제

2. 정의 및 특징

반문화는 기존 사회의 제도, 규범, 문화에 반발하는 가치를 내세우는 집단에 의해 형성되는 문화이다.[81] 주류 문화, 대중주의, 상업주의, 권위주의, 전통, 낡은 기성세대의 가치관 등에 대항하는 경우가 많으며, 새로운 사회가 더 나은 삶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희망을 품는다.[82] 주류 문화가 무엇인지는 모호하지만, 반문화를 통해 기존 체제나 문화의 문제점과 이점이 부각된다.

존 밀턴 잉거는 1960년 미국 사회학 리뷰(American Sociological Review)에 기고한 논문에서 "반문화"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잉거는 "어떤 집단의 규범 체계가 주요 요소로서 전체 사회의 가치관과 갈등하는 주제를 포함하고, 개인 변수가 집단의 가치관 발달과 유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며, 집단의 규범을 지배적인 주변 문화와의 관계를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는 경우" 반문화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3]

일부 학자들은 ''반문화의 형성(The Making of a Counter Culture)''의 저자인 테오도르 로작(Theodore Roszak)에게 ''반문화''의 기원을 돌리기도 한다.[7][4][8] 1960년대 미국, 서유럽,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를 휩쓴 사회 혁명 속에서 이 용어는 언론 매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6][7][8]

학자들은 "반문화"에 부여하는 특성과 구체성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인다. "주류" 문화 또한 정의하기 어렵고, 어떤 면에서는 반문화와의 대조를 통해 식별되고 이해된다. 반문화는 대중문화(또는 "미디어 문화")[9], 또는 중산층 문화와 가치관에 반대할 수 있다.[10] 반문화는 때때로 세대 갈등과 기성세대 또는 성인의 가치관 거부의 관점에서 개념화된다.[11]

반문화는 명시적으로 정치적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 권력 기관에 대한 비판이나 거부를 수반하며, 더 나은 삶이나 새로운 사회에 대한 희망을 동반한다.[12] 정당 정치나 권위주의에 호의적이지 않다.[13]

문화 발전 또한 반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조앤 마틴과 캐런 시엘과 같은 학자들은 반문화를 문화 발전의 "균형 잡기 행위"로 간주하며, "반문화의 몇몇 핵심 가치는 지배적인 문화의 핵심 가치에 직접적인 도전을 제기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지배적인 문화와 반문화는 불안정한 공생 관계 속에서 공존하며, 각자에게 본질적으로 중요한 가치 있는 문제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취해야 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반문화는 지배적인 문화에 "적절하고 부적절한 행동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 개발을 위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14]

반문화는 음악에서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장르가 주류와 현상 유지를 따르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뉘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많은 소수 집단이 이미 반문화로 여겨지기 때문에, 그들이 창작하고 생산하는 음악은 그들의 사회 정치적 현실을 반영할 수 있으며, 그들의 음악 문화는 반문화의 사회적 표현으로 채택될 수 있다.

온라인 탈육체화의 기반은 오프라인 상호 작용의 육체적 본질과는 달리, 사용자의 물리적 존재가 온라인 상호 작용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외된 또는 반문화에 의해 형성된 사용자(예: 이분법 밖의 성 정체성, 소수 민족, 펑크 문화/패션)의 경우, 그들의 삶의 경험은 온라인 상호 작용으로 이어지는 주관성을 구축한다.

2. 1. 언더그라운드 문화와의 관계

반문화 운동에 힘입어 여러 언더그라운드 문화가 개척되었다. 반문화와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차이점은 둘 다 주류 문화나 체제에 대항하지만, 반문화는 실제로 대항 세력이나 새로운 체제가 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사회 전체를 끌어들이는 수준인 반면, 언더그라운드는 항상 주류가 될 수 없고 일부 핵심 계층의 지지를 받는 서브컬처 수준에 머무른다는 것이다.[84] 주류가 되는 순간 새로운 체제의 일부가 되어 더 이상 언더그라운드가 아니게 된다. 언더그라운드는 사회 대다수가 가치를 찾지 못하거나 불쾌하게 느끼게 하는 성질이 있다.

3. 1960년대의 세계적 반문화

애비 호프만, 반문화 시위 단체 입피스의 지도자


1960년대는 전 세계적으로 반문화가 확산된 시기였다. 미국에서는 히피 문화를 중심으로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시민권 운동, 여성 운동, 성 혁명 등이 일어났으며, 유럽과 일본에서도 학생 운동, 신좌파 운동 등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60년대 미국과 유럽에서는 자본주의 체제, 기존의 기독교 문화, 권위주의, 보수주의 등에 대한 저항이 히피 등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한 반문화로 발전했다.[85] 이들은 가치관, 문화 다원주의, 뉴에이지 종교, 사회주의적 평등, 자유 연애, 소수자 존중, 페미니즘, LGBT (성소수자) 수용, 마약 합법화, 자연과의 조화, 생태주의 등을 주장했다.

인종 차별, 여성 차별, 성소수자 차별은 1960년대 반문화 운동으로 인해 사회 주류에서 밀려났다. 기존 기독교(특히 가톨릭)의 엄격한 성 규범은 사라지고 자유 연애가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마약은 중독 위험성 때문에 반사회적으로 간주된다. 언론의 자유는 주류이지만, 혐오 발언이나 외설적인 발언(금기)은 여전히 공공연하게 말하기 어렵다.

이러한 반문화 운동은 대중 음악, 영화, 현대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당시 미국에서 반문화의 기수로는 티모시 리어리, 랄프 네이더, 존 레논, 닐 영, 그레이트풀 데드[86], 프랭크 자파, 벨벳 언더그라운드 등이 있다.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에는 30개 이상의 록 뮤지션 등이 출연했고, 40만 명 이상이 모여 당시 반문화를 반영했다. 1997년에는 반문화의 전당이 설립되어 앨런 긴즈버그, 밥 말리, 피터 토시, 치치 앤 총 등이 헌액되었다.[87]

그러나 반문화 세대는 점차 사회의 중추가 되었고, 가상적이었던 하이 컬처도 몰락했다. 21세기 젊은이들에게 "반문화"는 권위로 여겨져 그 의미를 상실해 갔다.[88][89]

3. 1. 관련 사회 운동

1960년대의 반문화 운동은 다음과 같은 여러 사회 운동과 관련되어 있었다.

  • 우드스톡
  • 흑인 해방 운동 (영문 위키백과 연결)
  • 베트남 반전 운동
  • 여성 해방 운동
  • 게이 해방 운동
  • 아메리카 원주민 운동
  • 자유 학교 운동
  • 학생 운동

3. 1. 1. 미국

1967년 10월 21일,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에서 시위자가 군사 경찰에게 꽃을 건네고 있다.


미국에서 1960년대 반문화는 1950년대의 전통적인 사회 규범 거부와 동일시되었다. 반문화 청년들은 특히 미국의 인종 차별과 베트남 전쟁에 대한 부모 세대의 지지, 그리고 냉전에 대한 간접적인 반대를 표명했다.[1][60] 많은 젊은이들은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경쟁이 베트남 참전과 결합되어 핵 참사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1960년대 미국 사회는 베트남 전쟁, 인종 관계, 성적 풍습, 여성 권리, 전통적인 권위 방식, 경제적 물질주의와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해석 등 세대 간 갈등으로 인해 광범위한 긴장을 겪었다. 백인, 중산층 청년들은 경제적 번영 덕분에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질 여유가 있었으며,[69] 시민권, 여성 권리, LGBT 권리 운동, 베트남 전쟁 반대 등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사회 정의를 위한 시위는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왔고, 히피는 미국에서 가장 큰 반문화 집단이 되었다.[15]

주류 문화에 대한 거부는 사이키델릭 록 음악, 팝 아트, 영성에 대한 새로운 탐구에서 두드러졌다. 비틀즈, 존 레논, 닐 영, 밥 딜런, 그레이트풀 데드, 제퍼슨 에어플레인, 지미 헨드릭스, 도어스, 프랭크 자파, 롤링 스톤스, 벨벳 언더그라운드, 재니스 조플린, 더 후, 조니 미첼, 더 킹크스,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62], 초기 시카고 등이 이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였다. 대규모 야외 록 페스티벌은 반문화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969년 8월 뉴욕주 베텔에서 열린 우드스톡 음악 축제가 그 절정이었다. 32개 록 음악 및 사이키델릭 록 공연이 50만 명의 관객 앞에서 펼쳐졌으며, (마이클 랭은 40만 명 참석, 그중 절반은 티켓 미소지자라고 밝혔다.)[63] 이 축제는 대중음악 역사상 중요한 순간으로, 롤링 스톤은 "록앤롤 역사를 바꾼 50가지 순간" 중 하나로 선정했다.[64]

1960년대에는 사회 의식을 담은 노래, 영화, TV 쇼 등이 인기를 얻었다.

미국의 반문화는 대략 1964년부터 1972년까지 지속되었으며,[66] 이지 라이더(1969)로 대표된다.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사이키델릭 드레스, 정치적 활동, 공개 시위, 캠퍼스 봉기, 평화주의적이고 반항적인 음악, 향정신성 약물, 공동체주의 실험, 성적 해방 등이 1960년대 반문화의 특징이었으며, 구성원 대부분은 젊고 백인이며 중산층이었다.[67]

이 운동은 미국 국민을 분열시켰다.

1970년대 초 반문화는 쇠퇴했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시민권, 시민 자유, 성 평등, 환경 보호, 베트남 전쟁 종식 등 정치적 목표의 달성과, 개인 생활 방식에서의 "살고 살게 놔두어라"는 정신(성 혁명 포함)이 주류 사회에 흡수된 점,[69][68] 그리고 주요 반문화 인물들의 사망, 주류 사회 정착,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인한 이상주의와 쾌락주의 쇠퇴[69] 등이 꼽힌다. 그러나 반문화는 사회 운동, 예술, 음악 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1973년 이후 주류 사회는 1960년대 기성 세력과 반문화의 혼합체였다.[68]

; 관련 사회 운동

  • 우드스톡
  • 흑인 해방 운동 (영문 위키백과 연결)
  • 베트남 반전 운동
  • 여성 해방 운동
  • 게이 해방 운동
  • 아메리카 원주민 운동
  • 자유 학교 운동
  • 학생 운동

3. 1. 2. 유럽 및 일본

1960년대 서방 사회에서, 특히 자본주의 체제와 기존의 기독교 문화, 권위주의, 보수주의 등에 대한 저항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한 반문화로 발전했다.[85] 이러한 반문화 운동은 대중 음악, 영화, 현대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86]

일본에서는 노래방이나 노래 운동 등, 기존의 보수적인 좌파에 대한 반발이 신좌파, 히피 등의 반문화와 결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재즈 찻집은 1960년대 반문화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일본의 반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는 테라야마 슈지의 텐조 사지키(연극)를 중심으로 한 앵글라 연극이나,[91] 반전 포크, 록, 70년 안보 반대 데모 등이 있었다.

;관련 사회 운동

4. 한국의 반문화

한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학생 운동, 민주화 운동, 노동 운동, 문화 운동 등 다양한 형태로 반문화가 나타났다. 1970년대의 청년 문화, 1980년대의 민중 문화, 1990년대의 신세대 문화 등은 한국 사회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형성된 반문화 현상이었다.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반문화에 대한 내용은 각각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에도 다양한 형태의 반문화 운동이 이어지고 있다.

4. 1. 1960-70년대: 저항과 청년 문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에 걸쳐, 한국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권위주의적인 정치 체제에 대한 저항 의식이 맞물리면서 독특한 청년 문화를 형성했다. 이 시기 청년 문화는 기성세대의 가치관과 권위에 도전하며, 자유와 개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 음악: 통기타청바지로 대표되는 포크 음악은 젊은이들의 정서를 대변하며,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노래들이 인기를 끌었다.
  • 문학: 저항 시인들은 억압적인 현실을 비판하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시를 발표하여 청년 세대의 공감을 얻었다.
  • 사회 운동: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학생 운동은 민주화와 사회 정의를 요구하며, 권위주의적인 정부에 맞섰다.

4. 2. 1980년대: 민주화 운동과 민중 문화

1980년대 한국 사회는 광주 민주화 운동을 비롯한 격렬한 민주화 투쟁의 시기였다. 이 시기 반문화는 민주화 운동과 결합하여 더욱 강력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했다.

  • '''민중 문화''': 민중 문화는 민중의 삶과 투쟁을 반영하고, 민족 정체성과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문화 운동이었다. 민중가요, 마당극, 탈춤 등 전통적인 예술 형식을 활용하여 민중의 목소리를 대변했다.
  • '''노동 운동''':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 조건과 저임금에 맞서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파업 등 집단 행동을 통해 권익을 옹호했다.
  • '''사회 운동''': 민주화 운동은 학생, 노동자, 종교인, 지식인 등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이끌어내며, 군부 독재 종식과 민주 정부 수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4. 3. 1990년대 이후: 다양성과 개인주의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는 민주화와 세계화의 영향으로 더욱 다양하고 개방적인 사회로 변화하면서, 반문화는 특정한 이념이나 정치적 목표보다는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X세대로 대표되는 신세대는 기성세대와는 다른 가치관과 소비 문화를 추구하며, 개성과 자유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디 음악, 독립 영화, 대안 예술 등 주류 문화에 편입되지 않은 다양한 문화 현상들이 등장하여 젊은 세대의 관심을 끌었다. 인터넷과 PC 통신의 발달은 다양한 관심사와 취향을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형성을 촉진하고, 새로운 형태의 반문화 형성에 기여했다.

온라인 탈육체화는 사용자의 물리적 존재가 온라인 상호 작용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소외된 또는 반문화에 의해 형성된 사용자(예: 이분법 밖의 성 정체성, 소수 민족, 펑크 문화/패션)의 경우, 그들의 삶의 경험은 온라인 상호 작용으로 이어진다.[27]

주류 미디어에서는 소외된 공동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애넌버그 커뮤니케이션 스쿨의 제사 링겔은 디지털 반문화의 사례에 대한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그녀는 저서에서 브루클린 드래그 커뮤니티와 이들이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특정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퀴어한 페이스북을 만들려는 싸움에 초점을 맞췄다. 드래그 문화에는 할로윈, 새해 전야, 부쉬위그와 같은 많은 휴일과 축제가 있으며, 이들은 활기찬 퀴어 밤문화를 통해 축하한다. 드래그 커뮤니티는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문화 행사를 게시하고 기록했지만, 페이스북이 주장하는 글로벌 커뮤니티 사이의 큰 분열을 감지했다. 이러한 간극은 2015년 수백 개의 드래그 퀸 계정이 법적 이름으로 등록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정지 및 폐쇄되면서 페이스북의 정책이 "실명"에서 "진정한 이름"으로 변경되면서 더욱 현실화되었다. "더 퀴어한 문화"와 "소외된 요구"를 가진 커뮤니티는 오늘날 인터넷이 여러 대형 기술 기업에 의해 대규모로 독점되는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반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소셜 미디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계속 고군분투하고 있다.

4. 4. 2000년대 이후: 새로운 사회 운동과 대안적 삶의 방식

2000년대 이후 한국 사회는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의 심화, 사회 양극화, 환경 문제 등 새로운 사회 문제에 직면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모색하는 다양한 반문화 운동이 등장하고 있다.

  • 페미니즘 운동: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에 맞서고, 성 평등 사회를 만들기 위한 페미니즘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 성소수자 운동: 성소수자의 권리와 인정을 요구하는 성소수자 운동은 사회적 편견과 차별에 맞서 싸우며,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환경 운동: 기후 변화, 미세 먼지, 핵 발전 등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삶을 추구하는 환경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 대안 교육 운동: 획일적인 공교육 시스템에서 벗어나, 학생 중심의 창의적인 교육을 추구하는 대안 교육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 귀농·귀촌 운동: 도시 생활의 스트레스와 경쟁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자급자족하며, 공동체적인 삶을 추구하는 귀농·귀촌 운동이 새로운 대안적인 삶의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5. 주요 반문화 인물 및 그룹

1950년대 "비트 세대"는 실존주의 철학을 재즈, , 문학, 동양 종교의 신비주의, 그리고 약물과 융합했는데, 이 모든 주제는 1960년대 반문화에서 지속되었다.[59]

1960년대 미국과 유럽을 기점으로, 서방 사회의 여러 문제들에 대한 저항은 히피 등을 중심으로 한 젊은이들 사이에서 반문화로 발전했다.[85]

1960년대 주요 반문화 인물 및 그룹
국가인물/그룹설명
미국무하마드 알리권투 선수, 양심적 병역 거부자
미국사울 알린스키작가, 활동가
미국조안 바에즈뮤지션, 활동가
미국스튜어트 브랜드환경 운동가, 저술가
미국레니 브루스코미디언, 사회 평론가
미국윌리엄 S. 버로스작가
미국조지 칼린코미디언, 사회 평론가
미국레이첼 카슨작가, 환경 운동가
미국닐 캐서디메리 프랭크스터즈, 문학적 영감
미국피터 코요테배우
미국데이비드 크로스비뮤지션
미국로버트 크럼지하 만화가
미국앤젤라 데이비스공산주의자, 활동가
미국밥 딜런뮤지션
미국제인 폰다여배우, 활동가
미국피터 폰다배우, 활동가
미국제리 가르시아뮤지션
미국앨런 긴즈버그비트 시인, 활동가
쿠바체 게바라혁명가
미국휴 헤프너출판인, 플레이보이 발행인
미국지미 헨드릭스뮤지션
미국애비 호프만이피, 작가
미국데니스 호퍼배우, 감독
미국잭 케루악작가, 초기 반문화 평론가
미국켄 키지작가, 메리 프랭크스터즈
미국윌리엄 쿤슬러변호사, 활동가
미국티모시 리어리교수, LSD 옹호자
미국, 일본존 레논오노 요코뮤지션, 아티스트, 활동가
미국유진 매카시반전 정치인
미국짐 모리슨가수, 작사가, 시인
미국그레이엄 내시뮤지션, 활동가
미국잭 니콜슨각본가, 배우
미국리처드 프라이어코미디언, 사회 평론가
미국제리 루빈Yippie, 활동가
미국에드 샌더스뮤지션, 활동가
미국마리오 사비오자유 언론/학생 권리 활동가
미국피트 시거뮤지션, 활동가
미국존 싱클레어시인, 활동가
미국게리 스나이더시인, 작가, 환경 운동가
미국헌터 S. 톰슨저널리스트, 작가
미국앤디 워홀아티스트
미국닐 영뮤지션, 활동가
일본테라야마 슈지극작가, 가인
일본와카마츠 코지영화 감독
일본오시마 나기사영화 감독
일본요코오 타다노리그래픽 디자이너, 화가
호주프랭크 무어하우스작가, Futility and Other Animals 저자
호주헬렌 가너작가, 몽키 그립 저자



이들은 가치·문화 다원주의, 동서양 종교를 융합한 뉴에이지 종교, 사회주의적 평등, 자유 연애, 소수자 존중, 페미니즘, LGBT(성소수자) 수용, 마약 합법화, 자연과의 조화·생태주의 등을 옹호했다.

호주의 반문화 흐름은 미국과 영국보다는 덜 발전했다. 해럴드 홀트 실종 사건과 1975년 헌법 위기, 호주의 베트남 전쟁 참전과 같은 국내 정치 스캔들은 정치인과 정부에 대한 환멸이나 무관심으로 이어졌다. 시드니멜버른 등 호주 주요 도시에서 대규모 시위가 열렸으며, 1971년 시드니 조지 스트리트에서 주목할 만한 시위가 있었다.

정치적 격변은 호주 예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The Master's Apprentices, The Pink Finks와 Normie Rowe & The Playboys, 시드니의 The Easybeats, Billy Thorpe & The Aztecs, The Missing Links와 같은 밴드들이 1960년대에 등장했다.

5. 1. 미국

미국에서 1960년대 반문화는 1950년대의 전통적인 사회 규범 거부와 동일시되었다. 반문화 청년들은 특히 미국의 인종 차별 문제와, 초기에는 베트남 전쟁을 광범위하게 지지했던 부모들의 문화적 기준을 거부했으며,[1][60] 보다 간접적으로는 냉전도 거부했다. 많은 젊은이들은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경쟁이 베트남 참전과 결합되어 핵 참사로 이어질 것이라고 두려워했다.

1960년대 미국 사회에서는 베트남 전쟁, 인종 관계, 성적 풍습, 여성 권리, 전통적인 권위 방식, 그리고 경제적 물질주의가 아메리칸 드림을 해석하는 방식 등 세대 간 갈등으로 인해 광범위한 긴장이 발생했다. 백인, 중산층 청년들은—서방 세계에서 반문화의 대부분을 차지했는데—광범위한 경제적 번영 덕분에 사회 문제에 관심을 돌릴 충분한 여가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69] 이러한 사회 문제에는 시민권, 여성 권리, LGBT 권리 운동에 대한 지지, 그리고 베트남 전쟁 반대 등이 포함되었다. 반문화는 또한 자신들의 우려를 더 넓은 대중에게 알리고자 하는 미디어를 접할 수 있었다. 사회 정의를 위한 시위는 사회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변화를 만들어냈다. 히피들은 미국에서 가장 큰 반문화 집단이 되었다.[15]

주류 문화의 거부는 사이키델릭 록 음악, 팝 아트, 그리고 영성에 대한 새로운 탐구에서 가장 잘 구현되었다. 영국과 미국에서 이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는 비틀즈, 존 레논, 닐 영, 밥 딜런, 그레이트풀 데드, 제퍼슨 에어플레인, 지미 헨드릭스, 도어스, 프랭크 자파, 롤링 스톤스, 벨벳 언더그라운드, 재니스 조플린, 더 후, 조니 미첼, 더 킹크스,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62], 그리고 초창기의 시카고 등이 있었다. 새로운 형태의 음악 발표도 반문화를 확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대규모 야외 록 페스티벌이 가장 주목할 만했다. 1969년 8월 15일부터 18일까지 뉴욕주 베텔에서 열린 ''우드스톡 음악 축제''는 이러한 록 페스티벌의 절정이었다. 록 음악사이키델릭 록의 가장 인기 있는 32개 공연이 때로는 비가 오는 주말 동안 50만 명의 관객 앞에서 야외에서 라이브 공연을 펼쳤다. (마이클 랭은 40만 명이 참석했으며, 그중 절반은 티켓이 없었다고 밝혔다.)[63] 이 축제는 대중음악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으로 널리 여겨지며, ''롤링 스톤''은 이를 "록앤롤 역사를 바꾼 50가지 순간" 중 하나로 꼽았다.[64] 빌 맹킨에 따르면, "전 세대를 아우르는 가장 지속적인 꼬리표가 록 페스티벌에서 파생되었다는 것은 적절해 보인다: '우드스톡 세대'."[65]

사회 의식이 담긴 노래, 영화, TV 쇼 및 기타 엔터테인먼트 매체는 1960년대에 매우 많아지고 인기를 얻었다. 노래 가사와 당시 유행했던 말에 표현된 반문화 특유의 정서에는 "네 방식대로 해", "켜고, 몰입하고, 그만둬", "네가 좋아하는 대로 해", "8마일 하이", "섹스, 마약, 록앤롤", 그리고 "내 불을 붙여줘" 등이 있었다. 영적으로 반문화는 점성술, "물병자리 시대"라는 용어, 그리고 사람들의 황도대 별자리에 대한 관심을 포함했다. 시어도어 로자크는 "신비주의, 오컬트, 마법 현상에 대한 절충적인 취향은 비트족 시대 이후 우리의 전후 청년 문화의 두드러진 특징이었다"라고 말했다.[8] 미국에서는 배우 찰턴 헤스턴조차도 1968년 영화 ''혹성탈출''에서 "30세 이상은 누구도 믿지 마라"(1965년 활동가 잭 와인버그가 만든 말)라는 말로 이 운동에 기여했다. 같은 해, 여배우이자 사회 운동가인 제인 폰다는 성적 주제를 다룬 ''바바렐라''에 출연했다. 두 배우 모두 베트남 전쟁 반대에 나섰으며, 폰다는 결국 논란 속에 평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미국의 반문화는 대략 1964년부터 1972년까지 지속된 것으로 해석되며[66]—미국의 베트남 참전과 일치하며—1969년 8월 뉴욕 우드스톡 페스티벌에서 정점에 달했으며, 영화 ''이지 라이더''(1969)로 특징지어진다.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또는 사이키델릭 드레스; 정치적 활동; 공개 시위; 캠퍼스 봉기; 평화주의적이고 시끄러우며 반항적인 음악; 향정신성 약물; 공동체주의 실험, 그리고 성적 해방은 1960년대 반문화의 특징이었으며, 그 구성원 대부분은 젊고 백인이며 중산층이었다.[67]

이 운동은 미국 국민을 분열시켰다. 일부 미국인에게 이러한 속성은 언론의 자유, 사회적 평등, 세계 평화, 그리고 행복 추구라는 미국의 이상을 반영했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자기 도취적이고 무의미하게 반항적이며 비애국적이고 파괴적인, 미국의 전통적인 도덕적 판단에 대한 공격을 반영했다. 당국은 향정신성 약물 LSD를 금지하고, 정치적 집회를 제한했으며, 책, 음악, 연극 및 기타 미디어에서 외설로 간주되는 것을 금지하려고 시도했다.

1960년대 후반부터 반문화 운동이 미국에서 빠르게 확산되었다.[74]

반문화 운동은 1960년대 반문화와 유사점을 유지하면서도 차이점을 보이는 방식으로 부활했다고 한다. 사진작가 스티브 샤피로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이러한 현대 히피 공동체를 조사하고 기록했다. 그는 아들과 함께 전국을 여행하며 축제에 참석했다. 이러한 내용은 샤피로의 저서 ''블리스: 변혁 축제와 네오 히피''에 담겨 있다. 그의 가장 가치 있는 발견 중 하나는 이러한 "네오 히피"들이 공동체에 대한 이러한 영적인 헌신을 경험하고 장려한다는 것이다.

5. 2. 일본

일본에서 반문화는 1960년대의 미국과 유럽을 기점으로, 서방 사회 (주로 자본주의) 시스템, 기존의 기독교, 권위주의보수주의, 기득권, 정치인, 자본가·대기업 등에 대한 저항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저항은 히피를 중심으로 한 젊은이들 사이에서 나타났다.[85]

이들이 추구한 가치관은 가치·문화 다원주의, 동서양의 종교를 융합한 뉴에이지 종교, 사회주의적 평등, 자유 연애(와 성행위), 소수자 존중, 페미니즘, LGBT(성소수자) 수용, 마약 합법화, 자연과의 조화·생태주의 등이었다.

인종 차별이나 여성 차별, 성소수자 차별은 1960년대 반문화 운동으로 인해 사회 주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또한, 기존 기독교(특히 가톨릭)에 의한 엄격한 성 규범은 사라지고, 자유 연애가 사회의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마약 권장 등은 중독 위험성 때문에 주류가 되지 못하고, 현재도 반사회적으로 간주된다. 언론의 자유는 현재 주류이지만, 혐오 발언이나 외설적인 발언(금기) 등은 여전히 공개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반문화 운동은 대중 음악이나 영화, 현대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당시 미국 사회에서 반문화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티모시 리어리, 랄프 네이더, 존 레논, 닐 영, 그레이트풀 데드[86], 프랭크 자파벨벳 언더그라운드 등이 있었다.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에는 30개 이상의 록 뮤지션 등이 출연, 40만 명 이상이 모여 프리 러브 & 피스 그리고 마약 등 당시 반문화를 반영했다. 1997년에는 반문화의 전당이 설립되어 앨런 긴즈버그, 밥 말리, 피터 토시, 치치 앤 총 등이 헌액되었다.[87]

그러나 반문화 세대는 점차 어른이 되어 사회의 중추가 되었다. 가상 적이었던 하이 컬처도 몰락했다. 21세기 젊은이들에게 그들의 "반문화"는 권위로 여겨져 그 의미를 상실해 갔다.[88][89]

;관련 사회 운동

  • 우드스톡
  • 흑인 해방 운동
  • 베트남 반전 운동
  • 여성 해방 운동
  • 게이 해방 운동
  • 아메리카 원주민 운동
  • 자유 학교 운동
  • 학생 운동
  • 노래방이나 노래 운동 등, 기존의 건전하고 보수적인 좌파에 대한 반발은 신좌익, 히피 등의 카운터컬처와 결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재즈 찻집은 1960년대 카운터컬처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일본의 카운터컬처를 상징하는 것으로는 테라야마 슈지의 텐조 사지키(연극)를 중심으로 한 앵글라 연극[91]이나, 반전 포크, 록, 70년 안보 반대 데모 등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The Dictionary of Cultural Literacy Houghton Mifflin 1993
[2]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Modern Social Thought https://www.wiley.co[...] Wiley (publisher)|John Wiley & Sons 2008
[3] 논문 Contraculture and Subculture https://www.jstor.or[...] 1960
[4] 웹사이트 Social critic Theodore Roszak *58 explores intolerance in new novel about gay Jewish writer http://www.princeton[...] PAW Online 2003-04-23
[5] 문서
[6] 웹사이트 counterculture http://www.merriam-w[...] 2008
[7] 논문 Reason and the Religion of the Counter-Culture https://www.jstor.or[...] 1973
[8] 서적 The Making of a Counter Culture: Reflections on the Technocratic Society and Its Youthful Opposition Doubleday, New York 1968/1969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간행물 Gangs and Youth Subcultures https://content.tayl[...] 1998
[14] 문서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unterculture: An Uneasy Symbiosis 1983
[15] 서적 The Hippie Trip New York: Western Publishing, Inc. 1968
[16] 문서
[17] 문서
[18] 웹사이트 London a Map of the Underground http://www.sunrise-p[...]
[19] 웹사이트 The Sparrows' Nest Library and Archive - The Sparrows' Nest Library and Archive
[20] 웹사이트 Keith Leonard, who co-founded Mushroom Bookshop, has died | This is Nottingham
[21] 웹사이트 Making Sense of Marcel Duchamp http://www.understan[...]
[22] 웹사이트 Many are finding this shocking piece hidden inside Banksy's 'Dismaland' gut-wrenching http://www.techinsid[...] 2015-08-20
[23] 논문 Sonic diaspora, vibrations, and rhythm: thinking through the sounding of the Jamaican dancehall session https://www.tandfonl[...] 2008-07-01
[24] 웹사이트 Stop Fooling Yourself: Coachella Style Is Trash—"Counterculture" and "subculture" have been assimilated into a commercialized "pop culture" product http://ca.complex.co[...]
[25] 서적 Sociology in a Changing World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1-01-31
[26] 서적 Digital countercultures and the struggle for community https://www.worldcat[...] MIT Press 2017
[27] 서적 Virtual intimacies : media, affect, and queer sociality https://www.worldca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3
[28] 서적 Digital countercultures and the struggle for community https://www.worldcat[...] The MIT Press 2017
[29] 논문 Geography/Internet: Ethereal Alternate Dimensions of Cyberspace or Grounded Augmented Realities? https://papers.ssrn.[...] 2012-10-25
[30] 서적 An Army of Ex-Lovers: My life at the Gay Community New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07
[31] 웹사이트 Gay Liberation Front: Manifesto. London http://www.fordham.e[...]
[32] 문서
[33] 문서
[34] 서적 The Gay Metropolis https://archive.org/[...] New York: Harcourt Brace
[35] 서적 The 1970s https://www.worldcat[...] Greenwood Press 2007
[36] 웹사이트 Disco Double Take https://www.villagev[...] 2001-07-10
[37] 웹사이트 What's That Sound? https://digital.wwno[...] 2022-11-05
[38] 웹사이트 Discomusic.com http://www.discomusi[...] 2022-11-05
[39] 서적 "Traces of the Spirit: The Religious Dimensions of Popular Music" 2002
[40] 간행물 Stereo Review University of Michigan 1976
[41] 서적 "Turn the Beat Around: The Rise and Fall of Disco"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6
[4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merican music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3] 웹사이트 Disco Music Genre Overview https://www.allmusic[...]
[44] 웹사이트 The Village People Songs, Albums, Reviews, Bio & More https://www.allmusic[...] 2022-11-05
[45] 웹사이트 Sylvester | Biography, Albums, Streaming Links https://www.allmusic[...]
[46] 논문 "Nestled Into Niches: Prefigurative Communities on Lesbian Land." https://www.tandfonl[...] 2009
[47] 논문 "The history of the contemporary grassroots women's movement in northwest Arkansas, 1970–2000." Fayetteville, AR
[48] 논문 "Free Spaces in Collective Action" 1999-02
[49] 논문 "Nestled Into Niches: Prefigurative Communities on Lesbian Land." 2009
[50] 논문 "Nestled Into Niches: Prefigurative Communities on Lesbian Land." 2009
[51] 논문 "Nestled Into Niches: Prefigurative Communities on Lesbian Land" 2009
[52] 논문 "Nestled Into Niches: Prefigurative Communities on Lesbian Land." 2009
[53] 논문 "Nestled Into Niches: Prefigurative Communities on Lesbian Land" 2009
[54] 논문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ncorporated, for the year 1974: Minute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Council of Representatives." 1975
[55] 웹사이트 Triumph of the New https://news.google.[...] 2022-11-05
[56] 서적 Rip it Up and Start Again Post Punk 1978-1984 United States Edition
[57] 서적 Are We Not New Wave Modern Pop at the Turn of the 1980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1
[58] 웹사이트 LAWRENCE ET AL. v. TEXAS http://www.supremeco[...] 2003-06-26
[59] 서적 "Youth Culture" 2005
[60] 서적 Rockin' At the Red Dog: The Dawn of Psychedelic Rock 2005
[61] 뉴스 Carlos Santana: I'm Immortal http://puntodigital.[...] Punto Digital 2010-10-13
[62] 간행물 "Sly and the Family Stone." https://www.britanni[...] 2018-12-22
[63] 뉴스 State Investigating Handling of Tickets At Woodstock Fair https://www.nytimes.[...] 1969-08-27
[64] 간행물 Woodstock in 1969 https://www.rollings[...] 2004-06-24
[65] 웹사이트 We Can All Join In: How Rock Festivals Helped Change America' http://likethedew.co[...] 2012
[66] 서적 Reason: Why Liberals Will Win the Battle for America Alfred A. Knopf
[67] 문서 "Counterculture of the 1960s," CFM Research 2012-07
[68] 서적 The Beatles Longmeadow Press
[69] 서적 The Conscience of a Liberal W. W. Norton & Company, Inc.
[70] 웹사이트 Vietnam march George street https://www.artgalle[...] 2007
[71] 서적 Australia: A Cultural History Monash University Publishing
[72] 서적 Monkey grip / Helen Garner https://catalogue.nl[...] Penguin Random House Australia 2018-04-02
[73] 서적 Encyclopedia of Post-Colonial Literatures in English Routledge
[74] 서적 The British Counter-Culture, 1966-73: A Study of the Underground Press https://books.google[...]
[75] 서적 Meet the Beatles: a cultural history of the band that shook youth, gender, and the world
[76] 서적 British rock modernism, 1967-1977: the story of music hall in rock
[77] 서적 Youth in Britain since 1945
[78] 논문 Promoting solidarity at home and abroad: the goals and tactics of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in Britain https://www.tandfonl[...]
[79] 문서 counterculture Merriam-Webster's Online Dictionary
[80] 서적 The Dictionary of Cultural Literacy Houghton Mifflin
[81] 간행물 "Contraculture and Subculture" https://www.jstor.or[...] 1960-10
[82] 서적 Resistance Through Rituals
[83] 서적 クロンカイトの世界 TBSブリタニカ
[84] 웹사이트 Contre-cultures : théorie & scènes Introduction https://journals.ope[...]
[85] 서적 The Making of a Counter Culture: Reflections on the Technocratic Society and Its Youthful Opposition Doubleday, New York
[86] 웹사이트 The Grateful Dead - Live/Dead http://www.rollingst[...] 2020-04-03
[87] 웹사이트 Cannabis News http://sensiseeds.co[...]
[88] 웹사이트 佐々木俊尚 テクノロジー時代のエンタテインメント(第45回)ジーンズに象徴されるかつての“カウンターカルチャー”の消滅(2/2) | ぴあエンタメ情報 https://lp.p.pia.jp/[...]
[89] 웹사이트 カウンター・カルチャー | 現代美術用語辞典ver.2.0 https://artscape.jp/[...]
[90] 웹사이트 アメリカにおける大学英文科の凋落に思うこと:オピニオン:Chuo Online : YOMIURI ONLINE(読売新聞) https://yab.yomiuri.[...]
[91] 웹사이트 tenjō-sajiki http://www.subcult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