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 어휘를 한국어로 표기하기 위한 규칙으로, 외국어 발음 교육이 아닌 한국어 사용을 위한 것이다. 현지 발음을 존중하며, 영어권 국가의 표기를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외래어 표기법은 국어의 자모만 사용하고, 1 음운을 1 기호로 표기하며, 받침은 7개 자음만 사용한다. 외래어 표기법은 표기의 기본 원칙, 표기 일람표, 표기 세칙, 인명·지명 표기의 원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21개 언어의 세부 규정을 포함한다. 또한, 외래어 용례의 표기 원칙은 외래어 표기법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며, 고전어인 그리스어와 라틴어에 대한 규정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래어 - 일본어의 한글 표기
일본어의 한글 표기는 일본어 음운 체계와 한글 자모 체계의 차이로 다양한 표기 방식이 존재하며, 근대 이전부터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화를 거듭해 왔고,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각각 외래어 표기법과 외국말적기법을 제정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 사회에서는 다양한 표기가 통용되어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 외래어 - 역차용
역차용은 언어 간 상호작용, 문화 교류, 국제적 소통 증가로 인해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차용된 단어가 다시 원래 언어로 돌아오는 현상으로, 언어의 역동성을 보여주지만 언어와 문화 정체성 약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은 한국어 표기 규칙을 정한 규정으로,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반으로 1988년 개정되어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남북한 맞춤법 차이 및 띄어쓰기 규정 개선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한국어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외래어 표기법 |
---|
2. 목적
언어마다 음운 체계나 문자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언어의 어휘를 다른 언어로 흡수하여 표기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칙이 필요하다.
언어별 표기법이 공유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외래어 표기의 목적은, 외국어에서 비롯되었으나 한국어 속에 들어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말들을 통일된 방식으로 적기 위한 것이지, 외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것이 아니다.[10] 이것은 한국어로 일상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가운데 표준 표기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지, 외국어를 말할 때에도 그대로 발음하라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 화자의 외국어 발음에 문제가 있다면 외국어의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식과 관련한 논의를 해야지, 외래어 표기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1]
3. 특징
4. 현행 외래어 표기법의 구성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총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에서는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따라야 하는 5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한다.
- 제2장 표기 일람표는 국제 음성 기호 및 주요 외국어의 자모와 한글 표기를 대조한 표를 제공하여 실제 표기의 기준으로 삼도록 한다.
- 제3장 표기 세칙에서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 중국어 등 주요 개별 언어별로 상세한 표기 규칙을 정하고 있다.
-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은 외국 인명과 지명을 표기할 때 적용되는 일반 원칙과 함께, 특히 동양의 인명/지명 및 지리적 명칭 표기에 대한 세부 규칙을 다룬다.
4. 1.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 제4항. 파열음 표기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3]
-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 표기를 존중하지만,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4. 2. 제2장. 표기 일람표
다른 언어들의 음운을 한국어의 음운(문자 표기는 한글)에 대응시켜 정리한 표이다. '표 1.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는 다른 표(개별 언어와 한글을 대조한 표)의 기초가 되며, 아직 외래어 표기법에서 규정되지 않은 외국어를 표기하는 기본 원칙이 된다.표 2부터는 주요 개별 언어의 자모와 한글을 각각 대조한 것이다. 현재 다음 18개 언어가 규정되어 있다. 제3장에서 별도 규정이 있는 영어·프랑스어·독일어는 제2장에서 따로 표가 없이 표 1의 규정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 번호 | 내용 |
---|---|
1 |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
2 | 스페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3 | 이탈리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4 |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
5 | 중국어의 주음 부호와 한글 대조표 |
6 | 폴란드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7 | 체코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8 |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9 | 루마니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0 | 헝가리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1 | 스웨덴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2 | 노르웨이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3 | 덴마크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4 | 말레이인도네시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5 | 태국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6 | 베트남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7 | 포르투갈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8 | 네덜란드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19 | 러시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4. 3. 제3장. 표기 세칙
개별 언어에서 들어온 외래어를 한국어로 표기할 때 각 언어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세부적인 규정을 정한 장이다. 현재 총 21개 언어에 대한 표기 세칙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절(節)에서 개별 언어를 다루고 있다.- 제1절: 영어의 표기
- 제2절: 독일어의 표기
- 제3절: 프랑스어의 표기
- 제4절: 스페인어의 표기
- 제5절: 이탈리아어의 표기
- 제6절: 일본어의 표기
- 제7절: 중국어의 표기
- 제8절: 폴란드어의 표기
- 제9절: 체코어의 표기
- 제10절: 세르보크로아트어의 표기
- 제11절: 루마니아어의 표기
- 제12절: 헝가리어의 표기
- 제13절: 스웨덴어의 표기
- 제14절: 노르웨이어의 표기
- 제15절: 덴마크어의 표기
- 제16절: 말레이인도네시아어의 표기
- 제17절: 태국어의 표기
- 제18절: 베트남어의 표기
- 제19절: 포르투갈어의 표기
- 제20절: 네덜란드어의 표기
- 제21절: 러시아어의 표기
4. 4.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외국 인명과 지명을 표기할 때의 상세 규칙을 정한 장이다. 현행 규정은 다음 세 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절 표기 원칙: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을 인명과 지명에 적용하는 일반적인 규칙과 관용 표기에 대해 설명한다.
-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특히 중국과 일본의 인명 및 지명 표기에 대한 세부 지침을 다룬다. 과거와 현대 인물/지명 구분, 한국식 한자음 독법 허용 여부 등을 규정한다.
-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지리적 명칭(해, 섬, 강, 산 등) 표기에 대한 구체적인 규칙을 정한다.
4. 4. 1. 표기 원칙
외국 인명, 지명의 표기는 제1장(표기의 기본 원칙), 제2장(표기 일람표), 제3장(표기 세칙)의 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제3장에 포함되지 않은 언어권의 인명, 지명은 원지음(현지음)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원지음(현지음)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용을 존중하여 그대로 사용한다.
고유 명사의 번역명이 통용되는 경우 관용을 따른다.
4. 4. 2.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 중국의 역사 지명 중 현재 사용되지 않는 것은 한국식 한자음으로 표기한다. 현재에도 통용되는 지명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에 따라 한자를 병기할 수 있다.
- * 예: 臨渝关 → 임유관 ('''린위관'''이 아님)
- * 예: 山海关 → '''산하이관''' (산해관이 아님)
-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한자를 병기할 수 있다.
- * 예: 豊臣秀吉 → '''도요토미 히데요시''' (풍신수길이 아님)
- * 예: 大阪市 → '''오사카 시''' (대판시가 아님)
-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 * 예: 도쿄 → '''도쿄'''와 동경
- * 예: 교토 → '''교토'''와 경도
- * 예: 상하이 → '''상하이'''와 상해
- * 예: 타이완 → '''타이완'''과 대만
- * 예: 황허 → '''황허'''와 황하
- * 예: 쓰시마 → '''쓰시마'''와 대마도
4. 4. 3.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 제1항: '해', '섬' 등이 외래어에 이어질 때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이어질 때는 붙여 쓴다.
- * 예시: 카리브 해, 북해, 발리 섬, 남이섬
- 제2항: 바다 이름에 쓰이는 '해(海)'는 모두 '해'로 통일하여 적는다.
- 제3항: 해외 섬 이름은 모두 '섬'으로 통일하여 적는다. 우리나라 섬은 '도(島)' 등 원래 명칭을 따른다.
- * 예시: 타이완 섬, 코르시카 섬, 제주도, 울릉도
- 제4항: 한자 사용 지역(중국, 일본 등)의 지명 중, 이름에 이미 바다, 섬, 강, 산 등을 뜻하는 글자(예: 岳, 江, 島, 川, 山)가 포함된 경우에도, 우리말로 '강', '산', '호', '섬' 등을 덧붙여 적는다.
- * 예시: 御岳(온타케) → 온타케 산, 珠江(주장) → 주장 강, 利島(도시마) → 도시마 섬, 早川(하야카와) → 하야카와 강, 玉山(위산) → 위산 산
- 제5항: 지명 자체에 '산맥', '산', '강' 등의 뜻이 이미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우리말로 '산맥', '산', '강' 등을 덧붙여 적는다.
- * 예시: 리오 그란데(Rio Grande) → 리오그란데 강, 몬테 로사(Monte Rosa) → 몬테로사 산, 몽블랑(Mont Blanc) → 몽블랑 산, 알프스(Alps) → 알프스 산맥
5. 외래어 용례의 표기 원칙
이 원칙은 1986년 현행 외래어 표기법이 제정된 후 발간된 《외래어 표기 용례집(지명 · 인명)》의 '일러두기'란에 세칙 형태로 덧붙여진 규칙이다.[13][4] 이 중 제6장부터 제9장까지는 실제 국립국어원에서 외래어 낱말을 심사할 때 적용되므로, 사실상 외래어 표기법에 준하는 지위를 갖는다.[14][5] 과거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는 이 규정들을 외래어 표기법과 함께 소개했으며, 이 규정이 마련된 이후 개정된 외래어 표기법과 어긋나는 경우에는 '※' 표시를 하여 혼동을 피하도록 했다. 현재 국립국어원 페이지에는 해당 규칙이 공개되어 있지 않지만, [http://kornorms.korean.go.kr/m/m_exampleList.do 용례집]에서는 여전히 이 규칙에 따라 표기하고 있다.
제6장부터 제9장까지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특히 제8장과 제9장은 유럽에서 고전어의 지위를 지닌 라틴어와 그리스어에 대한 규정이다. 이 언어들은 현대어[17][8]로도 사용되지만, 고전어로서의 지위 때문에 고대어 음운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제8장과 제9장은 고대어 음운, 현대어 음운, 그리고 한국 내 표기 관례 사이의 절충을 통해 정해진 임시 규정의 성격을 지닌다.[18][9]
한편, 제10장 '러시아어의 표기 원칙'은 러시아어 외래어 표기법(외래어 표기법 제2장의 표 19와 제3장의 제21절)이 제정되기 이전에 마련된 것으로, 해당 표기법 제정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아 현재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도 삭제되었다.
참조
[1]
뉴스
新しい国語ニュース2002年3月号:外来語表記法の理解-英語の発音"ハンマー"は外来語表記法か?
http://www.korean.go[...]
[2]
웹사이트
「ㅈ、ㅊ」のあとに二重母音を使わないでください
http://www.korean.go[...]
[3]
문서
摩擦音
[4]
웹사이트
外来語用例の表記原則 第6章「表記の原則」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外来語用例の表記原則 第7章「その他言語表記の一般原則」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外来語用例の表記原則 第8章「ラテン語の表記原則」
http://korean.go.kr/[...]
2020-04-10
[7]
웹사이트
外来語用例の表記原則 第9章「ギリシャ語の表記原則」
http://korean.go.kr/[...]
2020-04-10
[8]
문서
ここでいうラテン語の「現代語」とは、現在バチカンなどで使用する音韻体系を基準とする。 この「現代ラテン語」は、現代イタリア語の音韻体系と、字母の音韻対応方式に準じて発音される。
[9]
문서
臨時と言われるのは、この規定に基いてギリシャ語やラテン語をハングルで表記した場合、古代語と現代語のどちらの発音も正確に転写できない場合が発生するという問題があるためである.
[10]
뉴스
새국어소식 2002년 3월호: 외래어 표기법의 이해 – 영어 발음 망치는 외래어 표기법?
http://www.korean.go[...]
[11]
문서
태국어와 베트남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들이 여기에 들어간다.
[12]
웹사이트
‘ㅈ, ㅊ’ 다음에 이중모음을 쓰지 말아야
http://www.korean.go[...]
[13]
웹인용
외래어 용례의 표기 원칙 제6장 표기의 원칙
http://korean.go.kr/[...]
2015-08-09
[14]
웹인용
외래어 용례의 표기 원칙 제7장 기타 언어 표기의 일반 원칙
http://korean.go.kr/[...]
2015-08-09
[15]
웹사이트
외래어 용례의 표기 원칙 제8장 라틴어의 표기 원칙
http://korean.go.kr/[...]
[16]
웹사이트
외래어 용례의 표기 원칙 제9장 그리스어의 표기 원칙
http://korean.go.kr/[...]
[17]
문서
여기서 라틴어의 '현대어'는 현재 [[바티칸]] 등에서 사용하는 음운 체계를 기준으로 한다. 이 ‘현대 라틴어’는 현대 [[이탈리아어]]의 음운 체계와, 자모 대 음운 대응 방식에 준하여 발음된다.
[18]
문서
그래서 이 규정에 의거해 그리스어나 라틴어를 한글로 적을 경우, 고대어나 현대어 어느 쪽에도 정확히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