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연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 시대 연표는 1392년 이성계의 조선 건국부터 1945년 일제강점기 종결까지의 주요 사건들을 연대기순으로 정리한 문서이다. 조선은 건국 초기 한양 천도, 조선경국전 편찬, 왕자의 난 등을 겪으며 국가 기틀을 다졌고, 세종 시대 한글 창제와 같은 문화적 발전을 이루었다. 이후 사림과 훈구 세력 간의 갈등, 붕당 정치, 탕평책 시행, 세도 정치와 민란의 시기를 거치며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1890년대에는 개항과 갑오개혁, 아관파천 등의 사건을 겪었으며, 대한제국 선포와 광무개혁을 추진했지만, 일제의 침략으로 국권을 상실하고 식민 통치를 받았다. 일제강점기에는 3.1 운동과 같은 독립운동이 일어났으며, 1945년 광복을 맞이했다.
조선은 1392년 태조 이성계에 의해 건국되어 1469년 성종 즉위까지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지는 시기를 거쳤다. 건국 직후 국호를 '조선'으로 정하고 수도를 한양(현재의 서울)으로 옮겼으며, 통치 규범인 《조선경국전》을 편찬했다.
호패법 폐지
2. 조선 건국과 초기 발전 (1392-1469)
그러나 건국 초기에는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왕자의 난과 같은 정치적 혼란이 있었다.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고 즉위한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고 국가 제도를 정비하는 데 힘썼다. 이후 세종 대에는 집현전을 중심으로 학문이 발전하고 훈민정음이 창제되는 등 문화적으로 크게 융성하였다.
세종 사후 문종과 단종의 짧은 재위 기간을 거쳐, 1455년 세조가 계유정난을 통해 집권하였다. 세조는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국가 제도를 재정비하고 국방력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세조의 뒤를 이은 예종 대에는 원상제가 도입되었으며, 1469년 성종이 즉위하면서 조선은 안정적인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성종 초기에는 호패법이 일시적으로 폐지되기도 하였다. 이 시기는 조선 왕조의 건국과 혼란, 그리고 제도 정비를 통한 안정화 과정을 보여준다.
2. 1. 건국 과정 (1392-1394)
1392년 7월,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며 조선을 건국하였다. 1393년에는 국호를 '조선'으로 공식적으로 정하였다. 1394년에는 조선의 기본 법전인 조선경국전이 편찬되었고, 새로운 수도 한양에 경복궁 건설을 시작하였으나 아직 완성되지는 않았다. 같은 해 10월, 수도를 개경에서 한양으로 옮기는 한양 천도가 이루어졌다.
2. 2. 초기 정치와 제도 정비 (1394-1469)
1394년, 조선은 수도를 한양(현재의 서울)으로 옮기고, 정도전 등이 중심이 되어 조선 통치의 기본 법전 역할을 한 《조선경국전》을 편찬하며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경복궁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완공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건국 초기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으로 1398년(제1차 왕자의 난)과 1400년(제2차 왕자의 난) 두 차례에 걸쳐 왕자의 난이 발생하였다. 이 혼란 속에서 정종이 잠시 왕위에 올랐다가, 결국 태종이 1400년 11월 조선의 제3대 임금으로 즉위하였다. 태종은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정종 때 잠시 개경으로 옮겨졌던 수도를 1404년 다시 한양으로 옮겼다. 같은 해 창덕궁과 경복궁이 완공되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1408년 5월 세상을 떠났다.
1418년 8월, 세종이 제4대 임금으로 즉위하면서 조선은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큰 발전을 이루었다. 1421년에는 학문 연구 기관인 집현전이 확대 개편되었고, 1446년에는 훈민정음(한글)이 반포되어 백성들이 쉽게 글을 익힐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1450년에는 《고려사》가 완성되어 이전 왕조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세종의 뒤를 이어 1450년 2월 문종이 즉위했으나 재위 기간이 짧았고, 1452년 5월 어린 단종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1455년 6월, 세조(수양대군)가 계유정난을 통해 단종을 몰아내고 제7대 임금으로 즉위하였다. 세조는 왕권 강화를 추구했으며, 1457년 9월에는 금성대군 등이 주도한 단종 복위 운동을 진압하였다. 또한 국가 재정 확보를 위해 1460년 호전을 복구하고, 1461년 형전 개편을 완성하는 등 법제 정비에도 힘썼다. 1462년에는 병기 제조를 지시하는 등 국방력 강화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세조의 뒤를 이어 1468년 9월 예종이 즉위하였고, 이 시기에 원상제가 처음 시행되었다. 예종 역시 재위 기간이 짧아 1469년 11월 성종이 제9대 임금으로 즉위하였다. 성종 즉위 직후인 1469년에는 호패법이 폐지되었다.
3. 사림 정치와 붕당정치 (1469-1724)
1479년 올적합(兀狄哈) 본거지 점령 1484년 ~ 1489년 동국여지승람, 삼국사절요, 동문선 등 서적 출간 1485년 조선 법전 경국대전 완성 1494년 12월 연산군 조선 제 10대 임금으로 등극 1498년 무오사화 발발 1504년 갑자사화 발발 1506년 중종반정 발발
9월 중종 조선 제 11대 임금으로 등극1512년 임신조약 체결
야인 내침1515년 조광조 등장 1516년 주자도감 설치 1519년 반정공신 위훈 삭제 사건
기묘사화 발발1536년 찬집청 설치 1544년 11월 인종 조선 제 12대 임금으로 등극 1545년 7월 명종 조선 제 13대 임금으로 등극
을사사화 발발1547년 양재역 벽서 사건 1555년 을묘왜변 발발 1559년 임꺽정 출몰 1565년 문정왕후 사망 1567년 7월 선조 조선 제 14대 임금으로 등극 1575년 사림 간의 대립 심화 (동인과 서인 분열) 1583년 이탕개의 난 1587년 왜군의 전라도 침입 (정해왜변) 1590년 조선 통신사 왜에 파견 1591년 건저의 문제로 서인 실각 1592년 4월 임진왜란 발발 1594년 훈련도감 설치
송유진의 난1596년 이몽학의 난 1597년 정유재란 발발 1608년 2월 광해군 조선 제 15대 임금으로 등극
창덕궁 준공
선혜청 설치1609년 도쿠가와 막부와 기유약조 체결 1611년 농지 조사 측량 (양전 실시)
정인홍 등 청금록에서 이름 삭제1612년 김직재의 옥 1613년 칠서의 옥 (계축옥사) 1615년 능창군 추대 사건
신경희 옥사1617년 폐모론 대두, 1618년 인목대비 폐비 1619년 강홍립 후금에 투항 (사르후 전투) 1623년 인조반정 발발
3월 인조 조선 제 16대 임금으로 등극1624년 이괄의 난 1627년 정묘호란 발발 1636년 병자호란 발발 1649년 5월 효종 조선 제 17대 임금으로 등극 1651년 김자점 역모 사건 1652년 어영청 개편 강화 1655년 국방력 증강 작업 1658년 나선정벌 (2차) 1659년 5월 현종 조선 제 18대 임금으로 등극
기해예송 발생1674년 갑인예송 발생
8월 숙종 조선 제 19대 임금으로 등극1680년 경신환국 (경신대출척) 1689년 기사환국 1694년 갑술환국 1712년 백두산정계비 건립 1720년 6월 경종 조선 제 20대 임금으로 등극 1721년 연잉군(영조) 왕세제(王世弟)에 책봉 1722년 삼급수설(三急手說) 고변
신임사화 (임인옥사)1724년 8월 영조 조선 제 21대 임금으로 등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