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굴절어는 단어의 형태가 문법적 기능(예: 격, 수, 시제)을 나타내기 위해 변화하는 언어 유형을 말한다. 굴절어는 명사, 형용사의 곡용과 동사의 활용이 특징이며, 격, 수, 성, 인칭, 시제, 상 등에 따라 단어 형태가 다양하게 변한다. 인도유럽어족, 셈어, 우랄어족,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굴절의 정도는 언어에 따라 다르다. 굴절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굴절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다른 언어와의 접촉, 음운 변화 등이 이러한 변화의 원인이 된다. 일부 언어는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합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프랑코프로방스어는 프랑스 중동부, 스위스 서부, 이탈리아 북서부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프랑스어, 오크어,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받아 여러 방언으로 분화되었으며, 아르피탄어라고도 불린다. - 종합어 - 바스크어
바스크어(에우스카라)는 서유럽의 유일한 비인도유럽어족 언어로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로마 시대 아키타니아어와의 연관성이 제기되며, 스페인과 프랑스에 걸쳐 사용되고 부활 운동을 거쳤으나, 능격-대격 체계와 복잡한 동사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고립어이다. - 굴절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굴절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굴절어 | |
---|---|
설명 | |
굴절어 | 어형 변화를 통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언어 |
특징 | 하나의 형태소가 여러 문법적 의미를 동시에 나타냄 |
유형 | |
대표적인 굴절어 | 인도유럽어족 셈어족 우랄어족 드라비다어족 |
굴절의 정도에 따른 분류 | 완전 굴절어 부분 굴절어 |
굴절 방식에 따른 분류 | 곡용 활용 |
예시 | |
라틴어 | 'bonus (좋은, 남성, 단수, 주격), bonī (좋은, 남성, 복수, 속격/여성, 단수, 주격/호격), bonō (좋은, 남성/중성, 단수, 여격/남성/중성, 단수, 탈격), bonum (좋은, 남성/중성, 단수, 대격), bonōs (좋은, 남성, 복수, 대격), bona (좋은, 여성, 단수, 주격/탈격/중성, 복수, 주격/대격/호격), bonae (좋은, 여성, 단수, 속격/복수, 여격), bonam (좋은, 여성, 단수, 대격), bonārum (좋은, 여성, 복수, 속격), bonās (좋은, 여성, 복수, 대격), bonis (좋은, 남성/여성/중성, 복수, 여격/탈격)' |
에스페란토 | 'domo (집), domoj (집들), domon (집을)' |
굴절어의 장단점 | |
장점 |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움 |
단점 | 문법 형태가 복잡하고 불규칙적임 |
2. 어형 변화
굴절어에서 어형 변화는 크게 곡용과 활용 두 가지로 나뉜다.
- 곡용: 명사와 형용사가 격, 수, 성 등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이다. 격에 따른 변화가 대표적이어서 "격 변화"라고도 한다.
- 활용: 동사가 주어의 인칭, 수, 시제, 서법 등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이다.
어형 변화는 변화 양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약변화: 어간 모음은 변하지 않고 어미만 변한다.
- 강변화: 어간 모음이 변한다.
라틴어, 그리스어, 러시아어, 독일어, 아랍어 등과 대부분의 유럽 언어가 굴절어에 속한다. 그러나 현대 유럽 언어, 특히 영어에서는 굴절어적 특징이 사라지고 고립어나 교착어적 성격이 강해지고 있다.
2. 1. 곡용
굴절어에서 명사 및 형용사의 변화를 '곡용'이라고 한다. 격에 따른 변화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므로, "격 변화"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2. 1. 1. 격변화
대부분의 굴절어는 명사와 형용사의 곡용을 특징으로 한다. 인도유럽어에서는 보통 격, 수, 성에 따라 명사 및 이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뒷부분을 중심으로 곡용이 일어나며 대명사의 경우 단어 전체가 변화하기도 한다.많은 굴절어의 특징 중 하나는 명사와 형용사가 문법적 격 (절에서의 용법), 수 및 문법적 성을 지정하는 접사를 부착하는 활용 체계이다. 대명사도 이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형태를 완전히 변경할 수 있다.
굴절어 내에는 대개 여러 개의 활용이 있다. 라틴어와 그리스어는 다섯 개를 가지고 있으며, 슬라브어는 세 개에서 일곱 개 사이를 가지고 있다. 독일어는 단어의 모음 또는 자음 종결에 따라 여러 활용이 있지만 예측 불가능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굴절어의 많은 후손들은 격 표시를 잃는 경향이 있다. 현대 영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로망스어와 게르만어에서는 (독일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는 예외), 격에 대한 표현이 명사와 형용사가 아닌 대명사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단순히 흔적만 남아있다.
이탈리아어의 ''egli'' (남성 단수 주격), ''gli'' (남성 단수 여격 또는 간접 목적어), ''lo'' (남성 단수 대격) 및 ''lui'' (또한 남성 단수 대격이지만 강조적이며 전치사와 함께 사용되는 간접 목적격)는 영어의 단일 흔적 트리오 ''he, him, his''에 해당한다.
2. 2. 활용
동사는 서법, 태, 시제, 상 등에 맞추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굴절어에서 활용은 동사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으로, 문법적 법, 문법적 태, 문법적 시제, 문법적 상, 문법적 인칭, 문법적 성 및 문법적 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 중 둘 이상이 단일 형태소, 일반적으로 접미사로 전달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는 동사 접미사가 동사의 법, 시제 및 상뿐만 아니라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달라진다(성별 제외).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45개의 서로 다른 단일 단어 형태의 동사가 발생한다.
프랑스어 동사 활용 정보
정보 | 내용 |
---|---|
법 | 직설법, 접속법, 조건법 또는 명령법 |
시제 |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또는 미래 시제 |
상 | 완료상 또는 미완료상 |
인칭 | 1인칭, 2인칭 또는 3인칭 |
수 | 단수 또는 복수 |
다른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이러한 정보 중 하나라도 변경하려면 다른 접미사를 사용해야 한다.
영어에는 활용적 융합의 두 가지 예가 있다. 동사 접미사 ''-s''는 현재 시제와 관련된 주어의 3인칭 단수형의 조합을 나타내며, 보조 동사 없이 동사에 사용되는 동사 접미사 ''-ed''는 진행상이 아닌 상과 과거 시제를 모두 전달한다.
굴절어에서의 어형 변화는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분류된다.
- 곡용: 명사 및 형용사의 변화. 격에 따른 변화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므로, "격 변화"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 활용: 주어의 인칭이나 수, 문법적 기능(시제, 법)에 맞춘 동사의 변화. "활용" 또는 "굴절"로 번역된다.
또한 어형 변화에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
2. 3. 강변화와 약변화
어형 변화에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 '''약변화''': 어간 모음이 변하지 않고, 어미만 변화하는 것
- '''강변화''': 어간 모음이 변화하는 것
3. 굴절어의 예시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많은 언어들은 굴절 형태를 띤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발트슬라브어족: 폴란드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남슬라브어군(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는 부분적으로 분석적 언어임)
- 인도이란어족: 산스크리트어, 벵골어, 힌디어, 파슈토어, 페르시아어, 카슈미르어, 우르두어, 펀자브어
- 라틴어와 로망스어군: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 켈트어족: 아일랜드어와 웨일스어
- 일부 게르만어파: 독일어, 페로어, 아이슬란드어
- 그리스어(고대 및 현대)와 알바니아어
셈어도 융합어에 속하며, 히브리어, 아랍어, 암하라어 등이 포함된다. 이 언어들은 비연쇄적 형태론을 보이기도 하는데, 단어의 어근이 문장에서의 기능을 나타내는 템플릿에 삽입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아랍어는 어근 'k-t-b''(쓰다)가 여러 패턴에 배치되는 예시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다.
북동캅카스어족은 굴절성이 약하다.
우랄어족의 헝가리어, 에스토니아어, 핀란드어, 사미어 (예: 스콜트 사미어)에서도 제한적인 굴절이 발견되지만, 이 언어들은 주로 교착어이다.
나바호어는 북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중 드물게 동사 형태가 복잡하고 분리할 수 없어 굴절어로 묘사되기도 한다.[1][2]
아마존 언어 중 일부(예: 아이오레어)에도 굴절 형태가 나타난다.[3]
푸에고 언어의 오나어인 셀크남어는 굴절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증거성과 성 일치가 동사의 단일 접미사로 부호화된다.[4]
Ya k-tįmi x-įnn nį-y ya.|나는 내 땅으로 간다.ona
일부 나일사하라어족 언어(예: 루그바라어)는 굴절어로 간주되기도 한다.[5]
굴절어에는 고대, 중세의 라틴어, 그리스어, 현대의 러시아어, 독일어, 셈어족의 아랍어 등이 있으며, 유럽 언어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굴절어의 대부분이 교착어, 고립어 등의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현대 유럽 언어에서는 굴절어적 특징이 사라지고, 고립어적, 교착어적 성격이 강해지고 있으며, 특히 영어에서 두드러진다.
굴절어에서의 어형 변화는 크게 곡용(명사 및 형용사의 변화)과 활용(주어의 인칭이나 수, 문법적 기능(시제, 법)에 맞춘 동사의 변화) 두 가지로 분류된다. 또한 어형 변화에는 어간 모음이 변하지 않고 어미만 변화하는 약변화와 어간 모음이 변화하는 강변화가 있다.
언어 | "(그녀가) 말한다" |
---|---|
영어 | says영어 : say영어 ("말하다") -s영어 (그, 그녀, 그것이) |
아랍어 | : ("그녀가" 또는 "남성의 당신이") - (말하다: 의 미완료 어간) |
4. 인도유럽어족
대부분의 굴절어는 명사와 형용사의 곡용을 특징으로 한다. 인도유럽어에서는 보통 격, 수, 성에 따라 명사 및 이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뒷부분을 중심으로 곡용이 일어나며 대명사의 경우 단어 전체가 변화하기도 한다.
인도유럽어족의 많은 언어들은 굴절 형태론적 특징을 보이며, 다음을 포함한다.
5. 셈어
융합어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그룹은 셈어로, 히브리어, 아랍어, 암하라어 등을 포함한다. 이 언어들은 또한 종종 비연쇄적 형태론을 보이는데, 단어의 어근이 문장에서의 기능을 나타내는 템플릿에 삽입되는 경우가 많다. 아랍어는 특히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지는데, 일반적인 예로 어근 ''k-t-b''(쓰다)가 여러 다른 패턴에 배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6. 캅카스 제어
북동캅카스어족은 굴절성이 약하다.
7. 우랄어족
우랄어족에 속하는 헝가리어, 에스토니아어, 핀란드어, 사미어(예: 스콜트 사미어)와 같은 언어들은 주로 교착어이지만, 제한적인 굴절 현상도 나타난다.
8. 그 외 지역
아메리카 대륙의 나바호어는 북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서는 드물게 동사 형태가 복잡하고 분리할 수 없어 굴절어로 묘사되기도 한다.[1][2] 아마존 언어 중 일부(예: 아이오레어)에도 굴절 형태가 나타난다.[3] 푸에고 언어의 오나어인 셀크남어는 굴절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증거성과 성 일치가 동사의 단일 접미사로 부호화된다.[4] 아프리카의 나일사하라어족에 속하는 루그바라어도 굴절어로 간주되기도 한다.[5]
8. 1. 아메리카
나바호어는 북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서는 드물게 동사 형태가 복잡하고 분리할 수 없어 굴절어로 묘사되기도 한다.[1][2]아마존 언어 중 일부, 예를 들어 아이오레어에는 굴절 형태가 나타난다.[3]
푸에고 언어의 오나어인 셀크남어는 굴절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증거성과 성 일치가 동사의 단일 접미사로 부호화된다.[4]
8. 2. 아프리카
나일사하라어족에 속하는 루그바라어는 굴절어로 간주되기도 한다.[5]9. 굴절성의 감소
원시 인도유럽어는 굴절어였지만, 그 후손 중 일부는 현대 영어, 덴마크어, 아프리칸스어와 같이 분석어 구조로 바뀌거나, 페르시아어, 아르메니아어처럼 교착어로 바뀌었다.[6] 반면, 산스크리트어, 고대 그리스어,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슬라브어, 라틴어와 로망스어, 그리고 특정 게르만어는 굴절어의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굴절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굴절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현대 유럽 언어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영어는 인도유럽어족의 특징인 동사 굴절 어미가 거의 사라지고, 명사에서는 격 구별이 어형에서 사라지는 등 굴절성이 크게 약화되었다.
이러한 굴절성 감소의 원인으로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
- 타 언어와의 접촉: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의 접촉이 늘어나면, 복잡한 변화가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영어의 경우, 바이킹의 침략으로 인한 북유럽어와의 접촉, 노르만 정복으로 인한 노르만 프랑스어와의 접촉이 굴절성 감소를 가속화했다.
- 음운 변화: 모음 융합이나 자음 탈락 등으로 인해 원래 있던 차이가 사라져 어형이 감소한다.
굴절성이 감소하면서, 많은 언어에서는 전치사 등으로 격을 표현하거나, 어순을 고정하거나, 조동사를 사용하여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분석적 요소를 도입하여 이를 보충하고 있다.
10. 굴절성의 획득
일부 언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우랄어족은 주로 교착어이지만, 에스토니아어는 굴절어의 방향으로 뚜렷하게 진화하고 있다. 반면에, 에스토니아어의 가까운 친척인 핀란드어는 굴절적인 특징을 덜 보여주고 따라서 주류 우랄어족 유형에 더 가깝게 남아있다. 그러나 사미어는 우랄어족의 일부이면서도 자음 변화뿐만 아니라 모음 음운 변화를 포함하기 때문에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보다 더 많은 굴절성을 얻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Rhetor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
서적
The Languages of Native North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
간행물
Ayoreo (Zamuco). A grammatical sketch
http://linguistica.s[...]
Quaderni del Laboratorio di Linguistica della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
2009
[4]
서적
A Heritage Reference Grammar of Selk'nam
Radboud University
[5]
웹사이트
WALS Online - Chapter Fusion of Selected Inflectional Formatives
https://wals.info/ch[...]
[6]
서적
The unfolding of language: an evolutionary tour of mankind's greatest invention
Holt Paperbacks
[7]
문서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