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람쥐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람쥐과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설치류 과로,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 다람쥐라는 이름은 '그림자 꼬리'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단어 'squirrel'의 어원과도 관련이 있다. 다람쥐는 일반적으로 1년에 한두 번 번식하며, 새끼는 미숙한 상태로 태어난다. 대부분 초식성이며, 씨앗, 견과류, 과일 등을 먹지만, 일부는 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먹기도 한다. 다람쥐는 종에 따라 나무 위, 땅 위, 또는 땅속에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으며, 인간의 환경에 적응하여 도시에서도 발견된다. 다람쥐과는 5개의 아과로 분류되며, 멸종된 종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다람쥐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Sciuridae |
명명자 | Fischer de Waldheim, 1817 |
모식속 | Sciurus |
모식속 명명자 | Linnaeus, 1758 |
영어 이름 | Squirrel |
한국어 이름 | 다람쥐과 |
하위 분류 | |
아과 및 족 | Ratufinae Sciurillinae Sciurinae Sciurini Pteromyini Callosciurinae Callosciurini Funambulini Xerinae Xerini Protoxerini Marmotini |
2. 어원
영어 단어 'squirrel'은 1327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앵글로-노르만어 esquirelxno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 escurelfro을 거쳐 라틴어 sciurusla에서 왔는데, 라틴어 단어는 다시 고대 그리스어 σκίουρος|skiourosgrc에서 비롯되었다. 고대 그리스어 σκίουροςgrc는 '그림자 꼬리'라는 뜻으로, 많은 다람쥐가 가진 크고 북슬북슬한 꼬리를 보고 붙여진 이름이다.[3][87][88] 라틴어 Sciurusla는 오늘날 다람쥐속의 학명으로도 사용된다.
원래 다람쥐를 뜻하던 고대 영어 단어 ācweornaang는 중세 영어 시기까지 aquerneenm 형태로 쓰였으나 이후 사라졌다.[4] 이 고대 영어 단어는 게르만 조어에서 유래했으며, 관련된 단어들이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에 남아 있다. 예를 들어 독일어에서는 Eichhörnchende(Eichhornde의 애칭 형태), 노르웨이어에서는 ikornno/ekornno, 네덜란드어에서는 eekhoornnl, 스웨덴어에서는 ekorresv, 덴마크어에서는 egernda 등이 있다.
다람쥐 무리를 가리키는 영어 단어로는 "dray"[5] 또는 "scurry"[6]가 있다.
한국어 단어 '다람쥐'는 한자어 '栗鼠'(밤 율, 쥐 서)의 한국식 발음인 '율서' 또는 '률서'가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59]
3. 특징
다람쥐는 일반적으로 작은 동물이지만, 크기는 매우 다양하다. 가장 작은 종인 아프리카피그미다람쥐는 몸길이가 7cm에서 10cm 정도이고 몸무게는 약 10g에서 26g에 불과한 반면,[7][8] 부탄대왕날다람쥐는 몸길이가 1.27m에 달하기도 하며,[9] 알프스마멋과 같은 일부 마멋 종류는 몸무게가 5kg에서 8kg 이상 나가기도 한다.[10][11]
다람쥐는 보통 가늘고 긴 몸에 길고 털이 많은 꼬리, 그리고 큰 눈을 가지고 있다. 털은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윤기가 나지만, 종에 따라 두께는 상당히 다르다.[12] 털 색깔 또한 종에 따라, 심지어 같은 종 내에서도 매우 다양하다.[55] 예를 들어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핀레이슨다람쥐는 다양한 털 색깔을 가진 개체들이 야생에 존재하며, 꽃의 꿀을 먹기 위해 길게 늘어나는 혀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다람쥐 종은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길며, 모든 종의 발에는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다. 발에는 부드러운 발바닥 패드[13]와 물체를 잡거나 나무를 오르는 데 유용한 튼튼한 발톱이 있다.[14] 특히 나무다람쥐는 발목을 180도 회전시켜 뒷발이 뒤쪽을 향하게 할 수 있어, 나무껍질을 거꾸로 잡고 머리부터 나무를 내려올 수 있다.[15] 땅에 사는 땅다람쥐는 주로 땅에 굴을 파기 위한 발톱을 가지고 있다.[57]
다람쥐는 큰 눈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각이 뛰어나며, 이는 특히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종에게 중요하다. 또한 머리와 몸통, 다리 등에 나 있는 수염(vibrissae)을 이용한 촉각(체성감각)도 발달해 있어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 너비를 감지하는 등에 활용한다.[13][59]
다람쥐과의 치아는 전형적인 설치류의 패턴을 따른다. 평생 자라며 갉아먹는 데 사용하는 큰 앞니는 서로 맞닿아 닳으면서 적절한 길이를 유지한다.[59] 송곳니는 없으며, 앞니와 어금니 사이에는 이빨이 없는 넓은 틈(이틈, diastema)이 있다.[53] 안쪽에는 음식을 가는 데 사용하는 어금니가 있다. 일반적인 치식은 위턱과 아래턱에 각각 앞니 1쌍, 송곳니 0개, 작은어금니 1쌍, 큰어금니 3쌍으로 총 20개의 이빨을 가진다.[16] 줄무늬다람쥐나 땅다람쥐 중 일부는 볼 안쪽에 음식을 저장하여 운반할 수 있는 볼주머니를 가지고 있다.[53]
다람쥐의 꼬리는 여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17]
다람쥐 꼬리털은 매우 가늘어서 플라이 낚시용 인공 미끼를 만드는 데 귀하게 쓰인다.[18][19]
모몽가나 하늘다람쥐와 같은 날다람쥐류는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 비막이라는 피부막을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해 나무 사이를 활공하며 이동할 수 있다.[53]
다람쥐는 주로 초식성으로 견과류, 씨앗, 과일, 버섯, 풀 등 다양한 식물을 먹는다. 하지만 많은 종이 곤충, 새의 알이나 새끼, 작은 파충류나 설치류도 먹는 잡식성을 띤다.[53][62] 일부 열대 지역의 다람쥐는 거의 곤충만 먹는 것으로 식성이 바뀌기도 했다.[62] 땅다람쥐는 주로 풀과 같은 키 작은 식물을 먹지만, 곤충이나 작은 척추동물을 먹기도 한다. 특히 십삼줄땅다람쥐[63], 흰꼬리영양다람쥐[67], 캘리포니아땅다람쥐[69] 등 일부 땅다람쥐 종에게서는 다른 작은 동물을 사냥하는 포식 행동이 관찰되기도 했다.
3. 1. 행동
다람쥐는 1년에 한두 번 번식하며, 3주에서 6주간의 포유 기간을 거쳐 새끼를 낳는다. 새끼 수는 종에 따라 다르다. 새끼는 미숙아 상태로 태어나 털과 이빨이 없고 눈도 뜨지 못한다. 대부분의 다람쥐 종에서는 암컷 혼자 새끼를 돌보며, 새끼는 태어난 지 6주에서 10주가 지나면 이유를 하고 첫해가 끝날 무렵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일반적으로 땅에 사는 다람쥐 종은 사회성이 발달하여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경우가 많지만, 나무에 사는 종은 비교적 혼자 지내는 편이다.[13]
땅다람쥐와 나무다람쥐는 보통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이거나 해 질 녘과 새벽에 활동하는 박명성이지만,[23] 날다람쥐는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경향이 있다. 다만, 젖을 먹이는 날다람쥐와 그 새끼들은 여름 동안 낮에 활동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24]
더운 날씨에는 다람쥐가 시원한 표면에 배를 대고 누워 체온을 식히는 행동을 하는데, 이를 스플루팅(splooting)이라고 한다.[25]
다른 설치류와 마찬가지로 다람쥐는 먹이가 부족한 시기를 대비하여 종마다 특유의 방식으로 먹이를 저장한다.[26] 온대 지역에 사는 다람쥐는 주로 낙엽 아래, 속이 빈 나무 안, 또는 땅속에 견과류를 저장한다.[27] 하지만 아열대나 습한 환경에서는 이런 방식이 곰팡이가 생기거나 먹이가 썩고, 너무 일찍 싹이 트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28]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특히 아열대 지역의 일부 다람쥐는 견과류나 버섯을 나뭇가지에 매달아 두기도 한다.[29] 이 행동은 곰팡이 감염을 줄이고 먹이 손실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다람쥐가 저장했다가 잊거나 떨어뜨린 견과류가 새로운 장소에서 싹을 틔우면서 참나무속과 같은 특정 나무의 서식 범위 확장에 의도치 않게 도움을 주어 숲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30] 얼룩날다람쥐와 하이난날다람쥐 두 종류의 날다람쥐는 견과류에 홈을 파서 작은 나뭇가지들이 교차하는 사이에 단단히 고정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먹이를 저장하는데, 이는 목수가 나무를 이을 때 쓰는 촉과 홈(장부맞춤) 방식과 비슷하다.[31]
고대 로마의 박물학자인 플리니우스는 다람쥐가 폭풍이 올 것을 예측하는 능력이 있다고 기록했다. 그의 기록에 따르면, 다람쥐는 폭풍이 불어올 방향에 굴 입구가 있으면 미리 막고 바람이 불어 나가는 쪽에 새로운 입구를 만든다고 한다. 참고로 플리니우스는 고슴도치에 대해서도 "이 동물은 자신의 굴로 들어가는 것으로 북풍이 남풍으로 바뀌는 것을 예언한다"고 언급했다.
4. 분포
다람쥐는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 남극 대륙, 폴리네시아, 마다가스카르, 남아메리카 남부, 그리고 사하라 사막, 이집트, 아라비아 반도와 같은 일부 건조한 사막 지역에는 서식하지 않는다.[53]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는 원래 서식하지 않았으나, 19세기에 인위적으로 도입되었다.[54]
=== 일본 내 분포 ===
일본에는 총 5속 7종 11아종의 다람쥐류가 서식하며, 이 중 도입종을 제외하면 4속 6종 8아종이 토착종이다. 일본 고유종은 일본산 다람쥐, 무사사비, 일본모몽가 3종이다.
구분 | 종/아종 | 주요 서식지 | 비고 |
---|---|---|---|
토착 다람쥐아과 (수상성/지상성) | 에조다람쥐 | 홋카이도 | 북방다람쥐 아종 |
에조시마다람쥐 | 홋카이도 | 시베리아다람쥐 아종 | |
일본산 다람쥐 (혼도다람쥐) | 혼슈, 시코쿠, 큐슈 | 일본 고유종. 큐슈 서식은 최근 확인되지 않음. | |
토착 활공성 다람쥐 | 무사사비 (호오지로무사사비) | 혼슈, 시코쿠, 큐슈 | 일본 고유종. 3아종(규슈무사사비, 와카야마무사사비, 닛코무사사비)으로 세분 가능. |
일본모몽가 (니혼모몽가) | 혼슈, 시코쿠, 큐슈 | 일본 고유종. | |
에조모몽가 | 홋카이도 | 대륙모몽가 아종. | |
주요 도입종 (외래종) | 타이완다람쥐 | 일본 각지 | 잣나무다람쥐 아종. 토착종 압박 및 피해 유발. |
조선시마다람쥐 | 일본 각지 | 시베리아다람쥐 아종. 토착종 압박 우려. | |
북방다람쥐 | 일본 각지 | 토착종 압박 우려. |
일본 내 도입된 외래종 다람쥐(타이완다람쥐, 조선시마다람쥐, 북방다람쥐)는 일본산 다람쥐나 일본나무잠쥐와 같은 토착종의 생존을 위협하며 생태계 교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이즈오시마에서는 타이완다람쥐에 의한 농작물 피해 등이 심각한 수준이다.
5. 생태
다람쥐는 열대 열대우림부터 반건조 사막, 북극권까지 고위도 극지방과 가장 건조한 사막을 제외한 거의 모든 환경에 서식한다. 주로 초식성으로 씨앗과 견과류를 먹고 살지만, 많은 종이 곤충이나 작은 척추동물도 먹는다.[20]
땅다람쥐와 나무다람쥐는 보통 주행성 또는 박명성이지만,[23][60] 날다람쥐는 야행성 경향이 있다. 단, 젖을 먹이는 날다람쥐와 그 새끼는 여름 동안 주행성을 보이기도 한다.[24][61]
땅에 사는 다람쥐 종은 사회성이 발달하여 잘 조직된 집단(콜로니)을 이루어 생활하는 경우가 많지만, 나무에 사는 종은 비교적 혼자 지내는 경향이 있다.[13][56][55] 나무 위에서 주로 생활하는 수상성 다람쥐는 나무타기와 점프에 능하며, 나뭇가지 위나 나무 구멍에 둥지를 튼다. 명확한 세력권을 가진 종은 드물며, 추운 지역에 사는 종이라도 동면하지 않는다. 반면 땅다람쥐는 초원이나 사막 등에 굴을 파고 생활하며, 수목한계선을 넘는 고산 지대에 사는 종도 있다. 많은 땅다람쥐는 동면하며, 세력권을 갖는 경우가 많다. 줄무늬다람쥐류는 수상성 다람쥐와 땅다람쥐의 중간적 특징을 보여 주로 땅에서 생활하지만 나무타기에도 능숙하며, 나무 구멍과 땅속 모두에 둥지를 튼다.
다람쥐는 1년에 한두 번 번식하며, 종에 따라 3주에서 6주간의 임신 기간을 거쳐 여러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털과 이빨이 없고 눈도 뜨지 못한 미숙아 상태로 태어난다. 대부분의 종에서는 암컷 혼자 새끼를 돌보며, 새끼는 생후 6주에서 10주 사이에 이유를 하고 첫 해가 끝날 무렵 성적 성숙에 이른다.[13]
많은 어린 다람쥐가 태어난 첫 해에 죽는다. 야생에서 성체 다람쥐의 수명은 5년에서 10년 정도이며, 일부는 사육 상태에서 10년에서 20년까지 살기도 한다.[21] 둥지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등의 사고로 일찍 죽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어미는 새끼의 체온이 정상이 아니면 새끼를 버릴 수도 있다. 이렇게 버려진 어린 다람쥐 중 상당수는 전문 야생동물 재활 담당자에 의해 구조되어 야생으로 돌아갈 수 있을 때까지 보호받는다.[22] 하지만 많은 지역에서 다람쥐 개체 수가 많고 어린 다람쥐는 지속적인 보살핌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된 모든 다람쥐가 재활의 기회를 얻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안락사되기도 한다.
다람쥐는 셀룰로오스를 소화할 수 없기 때문에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이 풍부한 먹이에 의존해야 한다. 다양한 식물과 견과류, 씨앗, 구과, 과일, 균류, 녹색 식물을 먹는다.[20] 온대 지역에서는 이른 봄이 다람쥐에게 가장 힘든 시기이다. 땅에 묻어두었던 견과류가 싹을 틔우기 시작하여 더 이상 먹을 수 없게 되고, 일반적인 먹이원의 상당수가 아직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기에 다람쥐는 나무의 싹에 크게 의존한다. 수상성 다람쥐는 강한 초식성 잡식성으로 씨앗, 과일, 버섯, 작은 동물을 먹으며, 날다람쥐는 먹이가 부족한 계절에는 나뭇잎을 먹기도 한다.[53] 땅다람쥐는 주로 풀과 같은 키 작은 식물을 먹지만, 곤충이나 작은 척추동물을 먹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다람쥐는 특히 배가 고플 때 고기를 먹기도 한다.[20][33] 작은 새, 어린 뱀, 작은 설치류뿐만 아니라 새알과 곤충을 먹는 것이 관찰되었다. 일부 열대성 다람쥐 종은 거의 전적으로 곤충을 먹는 식단으로 적응하기도 했다.[34][62] 포식 행동은 땅다람쥐의 다양한 종, 특히 열세줄땅다람쥐에서 관찰된다.[36][63] 1920년대의 과학자 버나드 베일리는 열세줄땅다람쥐가 어린 닭을 사냥하는 것을 관찰했고,[37][64] 위스트란드는 같은 종이 갓 죽은 뱀을 먹는 것을 보았다고 보고했다.[38][65] 휘태커는 139마리의 열세줄땅다람쥐의 위를 조사하여 네 마리의 표본에서 새의 살점을, 한 마리에서 짧은꼬리 땃쥐의 잔해를 발견했다.[42][66] 브래들리는 흰꼬리영양다람쥐의 위를 조사하여 609마리 표본 중 적어도 10%의 위에서 척추동물, 주로 도마뱀과 설치류의 일종을 발견했다.[43][67] 모가트는 흰꼬리영양다람쥐가 실키주머니쥐를 잡아먹는 것을 관찰했다.[44][68] 캘리포니아땅다람쥐가 캘리포니아밭쥐를 포식하는 것도 확인되었다.[69][70] 2005년 러시아 라조에서는 검은 다람쥐 무리가 큰 길잃은 개를 죽여 먹었다는 보고도 있었다.[39]
다람쥐는 다른 설치류처럼 먹이가 부족한 시기를 대비해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26] 온대 지역에서는 주로 낙엽 아래, 속이 빈 나무 안, 또는 땅속에 견과류를 저장한다.[27][53] 하지만 아열대나 습한 환경에서는 이런 방식이 곰팡이 성장, 부패, 또는 너무 이른 발아로 이어질 수 있다.[28] 이런 문제를 피하기 위해, 특히 아열대 지역의 일부 다람쥐는 나무 가지에 견과류나 버섯을 매달아 말리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한다.[29] 이 행동은 곰팡이 감염을 줄이고 먹이 손실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보이며, 다람쥐가 잊거나 떨어뜨린 견과류가 새로운 장소에서 싹을 틔워 참나무속과 같은 특정 나무의 서식 범위 확장에 의도치 않게 기여하기도 한다.[30] 얼룩날다람쥐와 하이난날다람쥐 두 종은 견과류에 홈을 파서 작은 나뭇가지 사이에 단단히 고정하는 방식으로 저장을 돕는데, 이는 목수의 촉과 홈 이음새와 유사하다.[31]
더운 날씨에는 다람쥐가 배를 시원한 표면에 대고 누워 체온을 낮추는 행동인 스플루팅(splooting)을 하기도 한다.[25]
다람쥐의 주요 포식자로는 뱀, 곰, 까마귀, 매, 올빼미 등이 있다. 일부 캘리포니아땅다람쥐는 천적인 방울뱀의 독에 대한 면역력을 가지고 있다.
다람쥐는 비둘기처럼 인간 환경에 잘 적응하여 이익을 얻고 번성하는 인축동물이다. 이러한 과정을 신도시화(synurbanization)라고 하며, 이 과정에서 다람쥐는 도시 지역에서 인간에 대한 본능적인 두려움을 점차 잃게 된다.[35] 산업혁명 시기 뉴욕에서 거의 사라졌던 다람쥐는 이후 사람들에게 자연을 "즐겁게 하고 상기시키기 위해" 다시 도입되기도 했다. 도시 환경에 매우 효율적으로 적응했지만, 먹이를 구하기 어려워지면(예: 추운 겨울에 사람들이 쓰레기를 내놓지 않을 때) 공격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다람쥐가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하기도 한다.[40][41]
6. 분류
현존하는 다람쥐과는 약 58개의 속과 285종으로 이루어진 5개의 아과로 분류된다.[45][73]
=== 계통 발생 ===
쥐목 내에서 다람쥐과는 산비버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97]
다람쥐과 내부의 계통은 2003년 머서(Mercer)와 로스(Roth), 2004년 스테판(Steppan) 등의 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나뉜다.[98] 가장 먼저 큰다람쥐아과(Ratufinae)와 피그미다람쥐아과(Sciurillinae)가 분기하고, 나머지 다람쥐들이 하나의 큰 그룹을 형성한다. 이 그룹은 다시 청서아과(Sciurinae)와, 칼로스키우루스아과(Callosciurinae) 및 땅다람쥐아과(Xerinae)가 자매군을 이루는 그룹으로 나뉜다. 청서아과 내에서는 날다람쥐족(Pteromyini)이 먼저 분기하고, 청서족(Sciurini)이 나머지 그룹을 형성하며, 청서족 내에서는 미국붉은다람쥐속(''Tamiasciurus'')과 청서속(''Sciurus'') 등이 포함된다.[99]
=== 화석 기록과 기원 ===
가장 오래된 다람쥐 화석인 ''헤스페로페테스''(''Hesperopetes'')는 에오세 후기(약 4천만~3천5백만 년 전)의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생 날다람쥐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46][74] 에오세 후기부터 마이오세까지 다양한 다람쥐 화석들이 발견되지만, 현생 분류군과의 정확한 관계는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47] 이들 초기 화석의 분포와 다양성을 고려할 때, 다람쥐과는 북아메리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47][76] 현생 다람쥐의 주요 세 계통(큰다람쥐아과, 피그미다람쥐아과, 나머지 아과 그룹)이 모두 북미에서 분기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점도 이 가설을 뒷받침한다.[2]
=== 현생 분류 ===
현생 다람쥐과는 5개 아과로 나뉜다.[73][72]
아과 | 족 | 속 수 | 종 수 | 주요 특징 및 분포 | 대표 속/종 |
---|---|---|---|---|---|
큰다람쥐아과 (Ratufinae) | - | 1 | 4 | 아시아 열대 지방의 대형 수상성 다람쥐 | 큰다람쥐속 (Ratufa) - 인도대왕다람쥐 |
피그미다람쥐아과 (Sciurillinae) | - | 1 | 1 | 남아메리카 열대 지방의 소형 수상성 다람쥐 | 피그미다람쥐속 (Sciurillus) - 피그미다람쥐 |
청서아과 (Sciurinae) | 청서족 (Sciurini) | 5 | 약 38[77] | 주로 남북아메리카, 유라시아의 수상성 다람쥐 | 청서속 (Sciurus) - 청설모, 동부회색다람쥐 미국붉은다람쥐속 (Tamiasciurus) - 미국붉은다람쥐 술털다람쥐속 (Rheithrosciurus) 작은다람쥐속 (Microsciurus) 파나마다람쥐속 (Syntheosciurus) |
날다람쥐족 (Pteromyini) | 15 | 약 45[77] | 활공 능력을 가진 다람쥐, 구대륙과 신대륙 분포 | 하늘다람쥐, 날다람쥐 | |
칼로스키우루스아과 (Callosciurinae) | 칼로스키우루스족 (Callosciurini) | 13 | 약 60 | 아시아 열대 지방의 다채로운 수상성 다람쥐 | 칼로스키우루스속 (Callosciurus) - 프레보스트다람쥐, 핀레이슨다람쥐 긴코다람쥐속 (Dremomys) 꼬마다람쥐속 (Exilisciurus) 긴꼬리다람쥐속 (Glyphotes) 술치다람쥐속 (Hyosciurus) 줄무늬다람쥐속 (Lariscus) 인도차이나줄무늬다람쥐속 (Menetes) 검은귀꼬마다람쥐속 (Nannosciurus) 꼬마다람쥐속 (Prosciurillus) 코뿔소다람쥐속 (Rhinosciurus) 붉은배다람쥐속 (Rubrisciurus) 순다다람쥐속 (Sundasciurus) 흰뺨줄무늬다람쥐속 (Tamiops) |
푸남불루스족 (Funambulini) | 1 | 5 | 남아시아의 야자 다람쥐 | 줄무늬야자다람쥐속 (Funambulus) - 인도줄무늬야자다람쥐 | |
땅다람쥐아과 (Xerinae) | 땅다람쥐족 (Xerini) | 3 | 6 | 아프리카, 일부 유라시아의 지상성 가시 다람쥐 | 땅다람쥐속 (Xerus) - 케이프땅다람쥐 |
아프리카큰다람쥐족 (Protoxerini) | 6 | 약 30~50 | 아프리카의 수상성 및 지상성 다람쥐 | 아프리카큰다람쥐속 (Protoxerus) | |
마멋족 (Marmotini) | 6~13 | 약 90~96 | 북반구의 지상성 다람쥐 (마멋, 프레리도그, 땅다람쥐, 다람쥐 등) | 마멋속 (Marmota) - 알프스마멋 프레리도그속 (Cynomys) 다람쥐속 (Tamias) - 동부다람쥐 땅다람쥐속 (Spermophilus) - 리처드슨땅다람쥐 |
=== 멸종(화석) 속 ===
다음은 다람쥐과에 속하는 멸종된 속 중 일부이다.
- ''헤스페로페테스'' (''Hesperopetes'')[78]
- ''케렘'' (''Kherem'')
- ''라그리베아'' (''Lagrivea'')[76]
- ''올리고스키우루스'' (''Oligosciurus'')[79]
- ''플레시오스키우루스'' (''Plesiosciurus'')[80]
- ''프로스페르모필루스'' (''Prospermophilus'')[81]
- ''스키우리온'' (''Sciurion'')[82]
- ''시밀리스키우루스'' (''Similisciurus'')[83]
- ''시노타미아스'' (''Sinotamias'')[84]
- ''불카니스키우루스'' (''Vulcanisciurus'')[85]
- 아과 세드로무리나에 (Cedromurinae) (멸종)
- * ''세드로무스'' (''Cedromus'') (멸종)[86]
7. 계통 분류
다음은 쥐목 내에서 다람쥐과의 계통 분류이다.[97] 쥐목은 크게 다람쥐아목과 그 외 아목들로 나뉘며, 다람쥐아목 내에서 다람쥐과는 산비버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
2003년 머서(Mercer)와 로스(Roth), 2004년 스테판(Steppan) 등의 연구에 기초한 다람쥐과 내부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98], 다람쥐과는 크게 큰다람쥐속(''Ratufa'')과 피그미다람쥐속(''Sciurillus'') 그룹, 그리고 나머지 아과 그룹으로 나뉜다. 나머지 그룹은 다시 다람쥐아과(Sciurinae)와 타이완다람쥐아과(Callosciurinae)-땅다람쥐아과(Xerinae) 그룹으로 분기된다. 다람쥐아과 내에서는 날다람쥐족(Pteromyini)과 청서족(Sciurini)으로 나뉘며, 청서족은 미국붉은다람쥐속(Tamiasciurus)과 청서속(Sciurus)을 포함한다.[99]
현존하는 다람쥐는 약 58속 285종으로 분류되며, 5개의 아과로 나뉜다.[45][73] 화석 기록에 따르면, 다람쥐의 기원은 약 3600만 년 전 북반구, 특히 북아메리카로 여겨진다. 가장 오래된 다람쥐 화석인 ''Hesperopetes''는 신생대 에오세 후기 차드로니안절(약 4000만~350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현대의 날다람쥐와 유사한 형태를 지녔다.[46][74] 에오세 후기부터 마이오세까지 발견된 다양한 다람쥐 화석들은 현존하는 어떤 계통에도 명확하게 분류하기 어렵다. 이들 중 일부는 현존하는 다람쥐의 모든 특징(공유파생형질[75])을 갖추지 못한 초기 형태의 "원시 다람쥐"일 가능성이 높으며, 현존 계통이 분기하기 이전의 오래된 기저 계통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고대 조상 형태의 분포와 다양성은 다람쥐 그룹이 북아메리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47][76]
현존하는 다람쥐의 계통은 크게 3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뉘며, 이는 북아메리카 기원설과 부합한다.
1. 긴꼬리다람쥐아과 (''Ratufinae''): 아시아 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대형 수상성 다람쥐. 대다람쥐속 1속 4종 포함.[72]
2. 작은다람쥐아과 (''Sciurillinae''): 남아메리카 열대 지방의 작은 수상성 다람쥐. 현생종은 남미꼬마다람쥐 1종뿐.[72]
3. 나머지 3개 아과 그룹: 다람쥐아과, 타이완다람쥐아과, 땅다람쥐아과로 구성되며, 다람쥐과 대부분을 차지하고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이 그룹의 존재는 다람쥐의 공통 조상이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다는 가설을 더욱 뒷받침한다.[2]
다람쥐의 주요 그룹인 5개 아과는 다음과 같다.
아과 | 설명 | 대표 속/종 및 하위 분류 |
---|---|---|
긴꼬리다람쥐아과 (Ratufinae) |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대형 수상성 다람쥐 (1속 4종) | 대다람쥐속 (Ratufa) (인도대다람쥐 등) |
작은다람쥐아과 (Sciurillinae) | 남아메리카의 작은 수상성 다람쥐 (1속 1종) | 남미꼬마다람쥐속 (Sciurillus) (남미꼬마다람쥐) |
다람쥐아과 (Sciurinae) | 전 세계 분포, 나무 다람쥐 및 날다람쥐 포함 (2족, 약 20속 83종)[48] | * 다람쥐족 (Sciurini): 다람쥐속(Sciurus), 미국붉은다람쥐속(Tamiasciurus) 등 5속 38종 * 날다람쥐족 (Pteromyini): 하늘다람쥐, 일본산하늘다람쥐 등 15속 45종 |
타이완다람쥐아과 (Callosciurinae) | 주로 동남아시아의 다채로운 수상성 다람쥐 (2족, 14속 65종)[72] | * 칼로스키우리니족 (Callosciurini): 타이완다람쥐속(Callosciurus) 등 13속 * 푸남불리니족 (Funambulini): 줄무늬야자다람쥐속(Funambulus) 1속 |
땅다람쥐아과 (Xerinae) | 주로 지상성 다람쥐, 일부 아프리카 수상성 포함 (3족, 22속 132종)[72] | * 땅다람쥐족 (Xerini): 케이프땅다람쥐 등 3속 6종 * 아프리카나무다람쥐족 (Protoxerini): 아프리카 수상성 다람쥐 6속 31종 * 마멋족 (Marmotini): 마멋, 프레리도그, 줄무늬다람쥐, 땅다람쥐 등 13속 95종 |
다음은 멸종된 다람쥐 속의 일부 목록이다.
속명 | 발견 지역 및 시기 | 비고 |
---|---|---|
†Hesperopetes | 신생대 에오세 후기, 미국[78] | 현대 날다람쥐와 유사 |
†Kherem | ||
†Lagrivea | 마이오세 중기, 프랑스 | 대형 수상성 다람쥐 |
†Oligosciurus | 중국[79] | |
†Plesiosciurus | 중국[80] | |
†Prospermophilus | 중국[81] | |
†Sciurion | 캐나다[82] | |
†Similisciurus | 미국[83] | |
†Sinotamias | 중국[84] | |
†Vulcanisciurus | 나미비아, 케냐[85] | |
†Cedromus | 미국[86] | †세드로무리나이아과(Cedromurinae) 소속 |
8. 인간과의 관계
다람쥐의 모피는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러시아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는 오늘날에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중세 유럽에서는 다람쥐 모피가 의류의 안감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시베리아산 다람쥐 모피가 귀하게 여겨졌으며, 배 부분의 흰 털을 사용한 베르(vair)는 최고급품으로 취급되어 14세기에 그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 예를 들어, 한 벌의 망토를 만드는 데 수백 마리의 다람쥐 모피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는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으며,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모피의 질이나 흰색과 회색의 밀도 등이 정해지기도 했다. 베르의 무늬를 본뜬 베르 문장도 생겨났다. 베르보다 가치는 약간 낮지만, 다람쥐 등의 회색 모피를 사용한 "그리(gris)"도 있었으며, 이들은 흰족제비나 검은담비 모피와 함께 최고급 모피로 여겨졌다.[89]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최근까지 다람쥐 고기가 식용으로 선호되었다. 많은 요리법 책에 다람쥐 고기 요리가 기록되어 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주부 일마 S. 롬바우어가 1930년대에 쓴 요리책 『더 조이 오브 쿠킹』 초판에도 다람쥐 고기 요리법이 실려 있었다. 이 책에 따르면 다람쥐 고기는 토끼 고기나 닭고기보다 부드러우며,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람쥐 고기에는 야생동물 고기 특유의 냄새가 거의 없다. 미국의 많은 지역, 특히 미국 남부에서는 현재도 다람쥐를 식용 목적으로 사냥한다.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영국에서도 다람쥐 고기를 먹는다. 특히 북미 원산인 동부회색다람쥐는 영국 토종인 붉은다람쥐의 서식지를 위협하고 있어, 생태계 보호라는 명분 아래 사냥 고기 전문점이나 일부 레스토랑에서 취급되고 있다.[90]
현재는 금지되었지만, 일본에서도 아이누 민족이 청설모를 식용으로 사냥한 역사가 있다.
고대 로마의 박물학자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다람쥐는 폭풍이 다가오는 것을 예측하는 능력이 있다고 한다. 폭풍이 불어올 방향에 굴 입구가 있으면 미리 막고, 바람이 불어 나가는 쪽에 새로운 입구를 만든다는 것이다. 플리니우스는 고슴도치에 대해서도 "자신의 굴로 들어가는 것으로 북풍이 남풍으로 바뀔 것을 예언한다"고 기록했다.
일본에서는 1965년경부터 다람쥐를 애완동물로 기르는 것이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59] 한국산 다람쥐나 북방다람쥐 등 일본 자생 다람쥐는 야생동식물보호법에 따라 포획이 금지되어 있어, 외국에서 수입된 다람쥐가 판매되고 있다. 2005년부터는 감염병의 예방 및 감염병 환자에 대한 의료에 관한 법률 제56조의 2에 따라 「동물 수입 신고 제도」가 시행되면서[91] 프레리도그 수입이 금지되는 등 설치류 수입 규제가 시작되었다. 현재 일본에서 업자가 수입하여 판매할 수 있는 다람쥐과 동물은 시베리아다람쥐와 지리스뿐이다. 2010년 원산지별 수입 신고 마릿수는 중국 12,908마리, 미국 1,602마리, 네덜란드 930마리였다.[92] 또한, 가마쿠라 근처에 서식하는 타이완다람쥐는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구제 대상이며 애완동물로 기르는 것도 금지되었다. 사육 환경에서의 수명은 시베리아다람쥐가 6~7년[59], 지리스가 10~12년, 프레리도그가 8~10년 정도이다.[93]
중국에서는 16세기경부터 포도와 함께 다람쥐가 다산과 행복을 상징하는 길한 동물로 여겨져 도자기나 칠기의 문양 소재로 유행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일본에서도 포도와 다람쥐를 조합한 디자인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더 나아가 일본어에서 포도(葡萄, 부도)와 다람쥐(栗鼠, 리스)의 발음이 '무도(武道)에 율(律)하다'는 말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일본도의 츠바(칼자루와 칼날 사이의 둥근 판) 장식에도 사용되었다.[94][95]
참조
[1]
웹사이트
Sciuridae
https://web.archive.[...]
2013-11-24
[2]
논문
Rodents
https://doi.org/10.1[...]
2008-05-20
[3]
백과사전
squirrel, ''n''.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11-08
[4]
웹사이트
Squirrel
http://www.etymonlin[...]
2008-02-07
[5]
서적
An Exaltation of Larks
https://books.google[...]
Viking
1991
[6]
서적
Universe in Your Pocket
Barnes & Noble, Inc.
[7]
서적
The Kingdon Guide to African Mammal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8]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Borneo
The Sabah Society
[9]
논문
Petaurista nobilis singhei: First record in India and a note on its taxonomy
[10]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Palaearctic rodents (Rodentia). Part 2. Sciuridae: Urocitellus, Marmota and Sciurotamias
[11]
서적
Holarctic Marmots as a Factor of Biodiversity
ABF Publishing House
[12]
웹사이트
Tree Squirrels
http://www.wildlifeo[...]
2010-11-23
[13]
서적
[14]
웹사이트
Rodents
http://animals.howst[...]
How Stuff Works
2016-12-30
[15]
서적
Squirre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Beginning of the Age of Mammals
[17]
웹사이트
Why do squirrels have bushy tails? | Nuts About Squirrels
http://www.nutsabout[...]
[18]
웹사이트
How to Preserve a Squirrel Pelt For Fly Tying
https://www.fieldand[...]
2024-06-01
[19]
서적
Tying and Fishing Bucktails and Other Hair Wings: Atlantic Salmon Flies to Steelhead Fli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09-05
[20]
웹사이트
Squirrel Place
https://web.archive.[...]
2010-12-14
[21]
서적
Squirre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Squirrel Rehab
http://www.squirrel-[...]
2017-08-19
[23]
웹사이트
Red & Gray Squirrels in Massachusetts
https://web.archive.[...]
Massachusetts Division of Fisheries and Wildlife
2012-04-03
[24]
논문
Timing of circadian activity in the flying squirrel in central Finland
[25]
뉴스
The heat is making squirrels 'sploot' — a goofy act that signals something serious
https://www.npr.org/[...]
NPR
2023-06-29
[26]
논문
On the evolution of hoarding behaviour
[27]
논문
Caching decisions by grey squirrels: a test of the handling time and perishability hypotheses
[28]
논문
The combined effects of seed perishability and seed size on hoarding decisions by Pére David's rock squirrels
2013-04-05
[29]
논문
The combined effects of seed perishability and seed size on hoarding decisions by Pére David's rock squirrels
2013-04-05
[30]
논문
Flying squirrels use a mortise-tenon structure to fix nuts on understory twigs
2023-06-13
[31]
논문
Flying squirrels use a mortise-tenon structure to fix nuts on understory twigs
2023-06-13
[32]
간행물
Eläinten elintasosairaudet näkyvät Seurasaaressa. Vartti Etelä-Helsinki
Sanoma Kaupunkilehdet
[33]
뉴스
Russian squirrel pack 'kills dog'
http://news.bbc.co.u[...]
2018-07-13
[34]
서적
Squirrels: the animal answer guide
https://books.google[...]
JHU Press
[35]
논문
Sublethal consequences of urban life for wild vertebrates
2016-06
[36]
논문
Carnivory on Desert Cottontails by Texas Antelope Ground Squirrels
[37]
논문
Meat-eating propensities of some rodents of Minnesota
[38]
논문
Predation on a Snake by ''Spermophilus tridecemlineatus''
[39]
뉴스
Russian Squirrel Pack Kills Dog
http://news.bbc.co.u[...]
2005-12-00
[40]
뉴스
Cornwall squirrel 'pack' attacks boy, three
https://www.bbc.com/[...]
2016-07-14
[41]
웹사이트
When Squirrels Attack – A cautionary tale
https://www.theatlan[...]
2017-06-21
[42]
논문
Food and external parasites of ''Spermophilus tridecemlineatus'' in Vigo County, Indiana
[43]
논문
Food habits of the antelope ground squirrel in southern Nevada
[44]
논문
Carnivorous behavior by a white-tailed antelope ground squirrel ''Ammospermophilus leucurus''
1985-05-00
[45]
논문
Class Mammalia Linnaeus, 1758. In: Zhang, Z.-Q. (Ed.)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http://mapress.com/z[...]
[46]
논문
A new genus of squirrel (Rodentia, Sciuridae) from the mid-Cenozoic of North America
[47]
논문
[48]
논문
Nuclear DNA phylogeny of the squirrels (Mammalia: Rodentia) and the evolution of arboreality from c-myc and RAG1
http://www.bio.fsu.e[...]
[49]
뉴스
Kentucky Doctors Warn Against a Regional Dish: Squirrels' Brains
https://www.nytimes.[...]
1997-08-29
[50]
웹사이트
Man Dies from Extremely Rare Disease After Eating Squirrel Brains
https://www.livescie[...]
LiveScience
2018-10-15
[51]
서적
Family Sciuridae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2]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53]
서적
小型草食獣 動物大百科 5
平凡社
[54]
웹사이트
Sciuridae
http://www.scarysqui[...]
[55]
웹사이트
Tree Squirrels
http://www.wildlifeo[...]
2010-11-23
[56]
논문
[57]
웹사이트
Squirrel
http://animals.howst[...]
[58]
서적
Primate Locomotion
Academic Press
[59]
서적
ザ・リス―最新の飼育(エサ・住まい・接し方・医学)が全てわかる
誠文堂新光社
[60]
웹사이트
Red & Gray Squirrels in Massachusetts
http://www.mass.gov/[...]
Massachusetts Division of Fisheries and Wildlife
[61]
논문
Timing of circadian activity in the flying squirrel in central Finland
http://acta.zbs.bial[...]
[62]
서적
Squirrels: the animal answer guide
https://books.google[...]
JHU Press
[63]
논문
Carnivory on Desert Cottontails by Texas Antelope Ground Squirrels
[64]
논문
Meat-eating propensities of some rodents of Minnesota
[65]
논문
Predation on a Snake by ''Spermophilus tridecemlineatus''
[66]
논문
Food and external parasites of ''Spermophilus tridecemlineatus'' in Vigo County, Indiana
[67]
논문
Food habits of the antelope ground squirrel in southern Nevada
[68]
논문
Carnivorous behavior by a white-tailed antelope ground squirrel ''Ammospermophilus leucurus''
1985-05-00
[69]
논문
Vole hunting: novel predatory and carnivorous behavior by California ground squirrels
Springer Nature
[70]
뉴스
時事通信ニュース
https://sp.m.jiji.co[...]
2024-12-22
[71]
웹사이트
Sciuridae (Squirrels) Version of 13 May 2006.
http://tolweb.org/Sc[...]
Tree of Life Web Project
2006-05-13
[72]
서적
Squirre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3]
논문
Class Mammalia Linnaeus, 1758. In: Zhang, Z.-Q. (Ed.)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http://mapress.com/z[...]
[74]
논문
A new genus of squirrel (Rodentia, Sciuridae) from the mid-Cenozoic of North America
http://www.tandfonli[...]
[75]
문서
그 생물종 또는 분류군에서만 얻을 수 있는 식별 가능한 고유의 해부학적 특징. (Autapomorphy)
[76]
웹사이트
[77]
웹사이트
[78]
웹사이트
Hesperopetes Emry & Korth, 2007
http://www.gbif.org/[...]
2013-07-01
[79]
웹사이트
Oligosciurus Wang & Qiu, 2004
http://www.gbif.org/[...]
2013-07-01
[80]
웹사이트
Plesiosciurus Qiu Zhuding & Liu Yipu, 1986
http://www.gbif.org/[...]
2013-07-01
[81]
웹사이트
Prospermophilus Qiu & Storch, 2000
http://www.gbif.org/[...]
2013-07-01
[82]
웹사이트
Sciurion Skwara, 1986
http://www.gbif.org/[...]
2013-07-01
[83]
웹사이트
Similisciurus Stevens, 1977
http://www.gbif.org/[...]
2013-07-01
[84]
웹사이트
Sinotamias Qiu, 1991
http://www.gbif.org/[...]
2013-07-01
[85]
웹사이트
Vulcanisciurus Lavocat, 1973
http://www.gbif.org/[...]
2013-07-01
[86]
웹사이트
Cedromus Wilson, 1949
http://www.gbif.org/[...]
2013-07-01
[87]
백과사전
squirrel, n.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88]
서적
[89]
서적
カラー版 世界服飾史
美術出版社
[90]
웹사이트
イギリスで、リス料理がじわじわ人気
https://allabout.co.[...]
All About
2008-12-17
[91]
웹사이트
動物の輸入届出制度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92]
웹사이트
我が国の動物の輸入状況について(平成22年)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93]
서적
ザ・プレーリードッグ&ジリス―食事・住まい・接し方・医学がわかる
誠文堂新光社
2010
[94]
웹사이트
Spring has come!
http://www.toguri-mu[...]
戸栗美術館
2004-03
[95]
웹사이트
葡萄栗鼠 松林桂月
https://web.archive.[...]
豊橋市美術博物館
[96]
데이터베이스
[97]
논문
Ancient phylogenetic divergence of the enigmatic African rodent Zenkerella and the origin of anomalurid gliding.
[98]
웹사이트
[99]
문서
Syntheosciurus, Rheithrosciurus, Microsciurus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