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은 1955년 시작되어, 정부의 지원과 해외 기술 제휴를 통해 조립 생산을 시작하며 성장했다.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으로 수요가 증가했고, 현대 포니 등 자체 개발 모델이 등장하며 수출을 시작했다. 1980년대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미국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나, 1990년대 품질 문제와 외환 위기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기술 개발과 고급 브랜드 런칭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현재 현대차, 기아, 한국GM, KG 모빌리티, 르노코리아 등이 주요 제조사로 활동하고 있다. 친환경차 및 미래 모빌리티 기술 개발, 노사 관계 개선,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 등이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 -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196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 기업으로, 포니 출시, 기아자동차 인수, 친환경차 개발 등을 통해 성장했으며, 여러 논란과 사건 사고에 휩싸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 - 대우자동차
대우자동차는 국산자동차로 시작하여 대우그룹에 인수된 후 세계 경영을 표방하며 성장했으나 외환위기로 부도 처리되어 GM에 인수되고 상용차 부문은 이관되었으며, 한국 자동차 산업에 기여했으나 사회적 문제도 야기한 회사이다. - 대한민국의 경제 - 코스닥
코스닥은 대한민국의 중소·벤처기업 주식 시장으로, 기술 중심 기업의 자금 조달과 투자 기회 제공을 목표로 1996년 설립되어 성장과 침체를 거듭하며 제약, 바이오, IT 등 성장 산업군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경제 - 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 1월 16일 설립된 해양수산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으로, 항만 시설 관리 운영 및 부산항 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컨테이너 부두 등을 관리한다. - 나라별 자동차 산업 - 세아트
세아트는 스페인 정부와 은행, 피아트의 합작으로 1950년 설립되어 피아트 기술 지원으로 성장하다 폭스바겐 그룹 자회사가 되었으며, 현재 스페인 마토렐에 본사를 두고 고성능 브랜드 쿠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 나라별 자동차 산업 - 마쓰다
마쓰다는 1920년 동양코르크공업으로 설립되어 3륜 트럭 생산을 시작, 로터리 엔진 기술을 통해 독자적인 입지를 구축했으며, 스카이액티브 기술과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는 일본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 | |
---|---|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산업 개요 | |
산업 규모 | 글로벌 3위 |
주요 생산 국가 | 대한민국 |
통계 | |
2021년 1월 - 9월 판매량 | 세계 3위 |
2021년 판매량 | 세계 4위 |
주요 기업 | |
현대자동차 그룹 | 현대자동차 기아 제네시스 |
르노코리아자동차 | 르노코리아자동차 |
KG모빌리티 | KG모빌리티 |
GM 한국사업장 | GM 한국사업장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대한민국의 경제 자동차 수송 국토교통부 |
2. 역사
일본에서는 2005년부터 대우버스가 "BX212/H"를, 2008년부터 현대자동차가 유니버스를 각각 수입 판매하고 있다. 일본 버스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중국인 관광객 증가로 일본 내 버스 생산량이 부족해지면서 수주가 늘었다. 유니버스는 2009년 판매 이후 2016년에는 연간 163대를 판매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8년에는 12대로 급감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연간 10대 안팎으로 저조한 상태이다.[41]
오키나와현에서는 2006년까지 4년 연속 수입차 판매 1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OTS 렌터카가 소유 차량의 3분의 1을 현대차로 한 덕분이다. 그러나 2018년 일본 내 한국차 판매량은 5대로 매우 적다.[44]
2022년 현대자동차는 아이오닉 5와 넥쏘를 출시하며 13년 만에 일본 시장에 재진출했다. 같은 해 르노코리아의 XM3가 르노 아르카나로 일본 시장에 판매되고 있다.
일본에서 한국 자동차 판매가 부진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성능: 일본차에 비해 여러 면에서 떨어진다.[43]
- 인식: 한국 제품에 대한 낮은 신뢰도
- 애프터 서비스: 딜러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
- 경쟁력: 유럽차 등에 비해 브랜드 경쟁력이 낮음
- 광고: "현대를 모르는 건 일본뿐"이라는 식의 공격적인 광고는 오히려 반감을 샀다.
2. 1. 기원 (1955년 ~ 1970년)
1955년 8월, 최무성과 그의 두 동생은 드럼통과 폐기된 지프의 부품을 활용하여 미군 지프 스타일의 차체에 지역화된 지프 엔진을 탑재한 시발 자동차를 출시하면서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이 시작되었다.[14]1962년, 박정희 정부는 자동차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자동차 진흥 정책"을 발표하고 자동차공업보호법을 시행하였다. 외국 자동차 제조 업체는 지역 업체와의 조인트 벤처 형태를 제외하고는 대한민국 국내에서 사업을 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이러한 정부 정책은 다른 산업 분야에서 창립된 기업이 자동차 산업에 진출하고, 신생 업체를 창립하는 것을 야기하였다.
1962년 마쓰다와의 기술 제휴를 맺은 경성정공(기아자동차로 명칭 변경)이 자동차 조립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닛산 자동차와의 기술 제휴로 새나라자동차가 설립되었다가 1965년 폐업 후 신진자동차공업으로 인수되었다. 1962년 설립된 동방자동차공업은 1963년 하동환자동차공업(이후 쌍용자동차로 명칭 변경)으로 합병되었다. 1965년에는 아시아자동차공업이, 1968년에는 포드 모터 컴퍼니와의 기술 제휴로 현대자동차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들 자동차 회사들은 해외에서 부품을 수입해 조립하는 업체에 불과했다.
자동차 회사 | 제휴 기업 | 원래 차종 | 라이선싱 생산 차종 |
---|---|---|---|
새나라자동차 | 닛산 자동차 | 닛산 블루버드 | 새나라 |
신진자동차공업 | 토요타 자동차 | 토요타 코로나 | 신진 코로나 |
토요타 크라운 | 신진 크라운 | ||
토요타 퍼블리카 | 신진 퍼블리카 | ||
기아산업 (현 기아) | 마쓰다 | 마쓰다 K360 | 기아 K-360 |
마쓰다 T600 | 기아 T-600 | ||
마쓰다 패밀리아 | 기아 브리사 | ||
피아트 | 피아트 132 | 피아트 132 | |
현대자동차 | 포드 모터 컴퍼니 | 포드 코티나 | 현대 코티나 |
2. 2. 성장과 발전 (1970년 ~ 1990년)
1970년대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은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발전을 거듭했다. 1970년 토요타가 신진자동차와의 관계를 주저하면서, 1972년 신진자동차는 제너럴 모터스(GM)와 합작하여 GM 코리아를 설립하고, 1976년에는 새한자동차로 이름을 바꾸었다. 기아는 1973년 광명시에 소하리 공장을 설립했다.1975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자체 개발 자동차인 현대 포니가 생산되었다. 현대는 이를 위해 조지 턴불을 부사장으로 영입했다. 포니는 이탈디자인의 차체 디자인, 미쓰비시의 변속기와 엔진 등 여러 회사의 협력으로 탄생했다. 현대는 1976년부터 남미 국가에 포니를 수출하며 대한민국 최초로 자체 개발 자동차를 수출했다.
1982년 대우 그룹은 새한자동차를 인수하여 1983년 대우자동차로 이름을 변경했다. 그러나 2차 오일 쇼크와 경기 침체로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은 타격을 입었다. 정부는 1982년 "자동차 산업 합리화 조치"를 시행하여 현대, 기아산업, GM 코리아, 아시아자동차 4사 체제로 과도한 경쟁을 막으려 했다.
1970년대 자동차 부품 국산화가 주요 과제였다면, 1980년대에는 대량 생산 체제 구축과 수출 주도형 산업으로의 전환이 중요 과제가 되었다. 현대는 1986년 엑셀로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첫 해에 126,000대를 판매하는 성공을 거두었다. 포춘은 엑셀을 저렴한 가격으로 "베스트 제품 10" 후보에 올렸다.
2. 3. 시련과 극복 (1990년 ~ 현재)
1990년대 현대자동차는 미국 시장에서 누적 수출 100만 대를 돌파했다. 1992년 스쿠프 터보는 파이크스 피크 힐클라임 랠리에서 우승했고, 1993년 엘란트라는 호주에서 "1993년 베스트 카"로 선정되었다. 엑센트는 캐나다 베스트 바이 어워드를, 아반떼는 아시아 태평양 랠리에서 우승하는 등 국제적인 성과를 올렸다. 그러나 엑셀의 품질 문제와 비용 절감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는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의 평판을 떨어뜨려 판매 부진으로 이어졌다.이에 현대자동차는 1998년부터 품질, 디자인, 제조, 장기 연구에 과감히 투자하고 미국에서 10년/10만 마일 보증을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이러한 노력은 2004년 JD 파워 초기 품질 조사에서 혼다와 함께 공동 2위를 기록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 기아자동차는 부도를 맞았고, 1999년 현대자동차에 인수되었다. 삼성그룹은 1995년 삼성자동차를 설립하여 자동차 산업에 진출했으나, 금융 위기로 인해 2000년 르노에 자동차 사업 부문을 매각하고 르노삼성자동차로 출범하였다. 삼성상용차는 1996년 설립되었으나 2000년에 파산하였다.
2002년 제너럴 모터스가 대우자동차의 승용차 부문을 인수하여 GM대우(현 한국지엠)가 출범, 쉐보레, 뷰익 등으로 수출을 시작했다.[54][55] 2005년 현대자동차는 앨라배마주에 공장을 설립하여 북미 시장 공략을 강화했다.
최근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제네시스와 같은 고급 브랜드를 런칭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3. 주요 자동차 제조사 및 브랜드
현대자동차 그룹은 대한민국 최대의 자동차 제조사이며, 기아는 대한민국의 2위 자동차 제조사이다. 현대자동차의 고급 브랜드로 제네시스가 있다.
구 대우그룹 계열로는 한국GM, 타타대우상용차, 대우버스가 있다. 한국GM은 제너럴 모터스 산하로, 구 대우자동차의 승용차 부문을 GM이 인수하였다. 타타대우상용차는 타타 모터스 산하로, 구 대우자동차의 트럭 부문을 타타가 인수하였다.
르노코리아는 르노 산하이며, 르노삼성자동차에서 르노코리아자동차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이 외에도 우진산전, 에디슨모터스, KG 모빌리티(구 쌍용자동차), 프로토자동차(해산), CT&T, S&T 모터스(구 효성 모터스), 대림자동차 등이 있다.
3. 1. 현대자동차 그룹
현대자동차는 대한민국 최대의 자동차 제조사로, 엑셀, 쏘나타, 그랜저, 싼타페, 투싼 등 다양한 차종을 생산한다. 기아는 대한민국의 2위 자동차 제조사로, 모닝, K3, K5, K8, 스포티지, 쏘렌토, 카니발 등을 생산한다.제조사 | 소형 | 준중형 | 중형 | 준대형 | 대형 | SUV/RV | 상용차 |
---|---|---|---|---|---|---|---|
현대자동차 | 액센트/베르나(단종), i10(미판매), i20(미판매), 베뉴 | 엘란트라/아반떼, i30/엘란트라 투어링(단종), 벨로스터 N(단종) | 쏘나타, i40(단종) | 그랜저/아제라 | G90 | 투싼, 싼타페, 팰리세이드, 넥쏘, 코나, 캐스퍼(GGM 생산), ix20(단종), GV80, GV70, GV60,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 포터, 스타렉스/그랜드 스타렉스(단종), 스타리아, 리베로(단종), 엔투라지(미국 판매 전용, 단종), 마이티 II, e-마이티, 카운티, 현대 트럭 (8/25톤 트럭), 현대 슈퍼 트럭 5톤/4.5톤 (HD 시리즈), 현대 슈퍼 트럭 (HD 시리즈), 에어로 타운, 슈퍼 에어로시티, 유니버스, HD120, HD160, HD170, HD260, 엑시언트,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 타운, 파비스, 현대 HD50S (현대 지프니; 필리핀 전용), 현대 홍투 (중국 전용) |
기아 | 모닝/피칸토, 리오, 비스토, 레이 | K3/포르테/세라토, 씨드, 스펙트라/세라토 | K5, 스팅어(단종) | 카덴자/K7, K8 | K9, 아만티/오피러스 | 쏘울, 스포티지, 쏘렌토, 카니발/세도나, 모하비, 니로, 텔루라이드(한국 미판매), 셀토스, 카렌스/Rondo(단종), EV3, EV5, EV6, EV9 | 세레스, 토픽, 타우너, 봉고/K시리즈, KB, 라이노/와이드 복서, 트레이드, 복서, AM 트럭, AM 버스, 그랜버드, 타이탄, 슈퍼 타이탄, 점보 타이탄, 그란토, 콤비, 코스모스, 파맥스, 프론티어 |
3. 2. 한국GM (GM Korea)
한국GM은 GM 산하의 구 대우자동차 승용차 부문을 GM이 인수하여 설립되었다. 현재 쉐보레 브랜드 차량을 생산 및 수입하고 있다.다음은 한국GM에서 생산 및 수입하는 차종이다.
구분 | 차종 | 비고 |
---|---|---|
경차 | 스파크 | 5도어 해치백, 대한민국 생산 |
중형차 | 말리부 | 4도어 세단, 대한민국 생산 |
준중형 크로스오버 | 트레일블레이저 | 대한민국 생산 |
소형 SUV | 트랙스 | 5도어 왜건, 대한민국 생산 |
중형 픽업트럭 | 콜로라도 | 수입 |
중형 크로스오버 | 트래버스 | 수입 |
대형 SUV | 타호 | 수입, 온라인 판매 전용 |
소형 전기차 | 볼트 | 수입 |
스포츠카 | 카마로 SS | 수입 |
준중형 크로스오버 | 이쿼녹스 | 수입 |
대형 픽업트럭 | GMC 시에라 데날리 | 수입 |
다음은 단종된 차종이다.
차종 | 비고 |
---|---|
뷰익 앙코르/오펠 모카 | 소형 SUV, 5도어 왜건, 수출 전용 |
아베오/소닉 | 슈퍼미니, 5도어 해치백, 4도어 세단 |
캡티바 | 중형 SUV, 5도어 왜건 |
크루즈 | 준중형차, 4도어 세단, 5도어 해치백 및 왜건 |
올란도 | 준중형 MPV, 5도어 왜건 |
다마스/라보 | 마이크로밴, 픽업 |
알페온 |
3. 3. KG 모빌리티 (KG Mobility)
KG 모빌리티(구 쌍용자동차)는 KG 그룹 산하의 대한민국 자동차 제조사이다. SUV 및 픽업트럭을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다. 주요 모델은 다음과 같다.'''SUV'''
- 렉스턴
- 코란도
- 티볼리
- XLV/티볼리 에어
- 토레스
- 코란도 투리스모/로디우스/스타빅 (단종)
'''픽업트럭'''
- 무쏘/무쏘 그랜드/렉스턴 스포츠/렉스턴 스포츠 칸
- 액티언 스포츠 (단종)
3. 4. 르노코리아 (Renault Korea)
르노 산하의 르노코리아는 과거 르노삼성자동차에서 르노코리아자동차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주요 생산 차종으로는 QM6, SM6 등이 있다.차종 | 비고 |
---|---|
르노 아르카나 | |
QM6 | |
SM6 | |
XM3 | 단종 |
SM3 | 단종 |
르노 코리아 SM3 Z.E. | 단종 |
SM5 | 단종 |
SM7 | 단종 |
르노 코리아 QM3 | 수입; 단종 |
르노 캡처 | 수입; 단종 |
르노 클리오 | 수입; 단종 |
르노 마스터 | 수입; 단종 |
르노 트위지 | 수입; 단종 |
르노 조에 | 수입; 단종 |
3. 5. 타타대우상용차 (Tata Daewoo)
타타 모터스 산하의 상용차 전문 제조사로, 구 대우자동차의 트럭 부문을 타타가 인수하였다. 타타대우 노부스, 타타대우 프리마, 타타대우 덱센, 타타대우 맥센, 타타대우 쿡센 등을 생산한다.3. 6. KGM 커머셜 (KGM Commercial)
KG 모빌리티 산하 상용차 제조사는 구 에디슨모터스이다.[2] 2017년 EES는 한국 화이버의 버스 제조 부문이었던 TGM을 인수하여 에디슨모터스를 설립했다.[2]3. 7. 수입 자동차
대한민국 시장에서 수입 자동차를 수입하고 유통하는 대부분의 업체는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의 회원사이다. 2024년 현재 KAIDA 회원사들이 취급하는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아우디 | 벤틀리 | BMW | 캐딜락 |
쉐보레 (일부 모델 수입) | DS (서비스만 제공) | 포드 | GMC |
혼다 | 재규어 (서비스만 제공) | 지프 | 람보르기니 |
랜드로버 | 렉서스 | 링컨 | 마세라티 |
메르세데스-벤츠 | MINI | 푸조 | 폴스타 |
포르쉐 | 롤스로이스 | 토요타 | 폭스바겐 |
볼보 |
다음 상용차 브랜드도 한국수입자동차협회 회원사들이 취급한다.
또한, 한국수입자동차협회 회원이 아닌 공식 유통업체를 통해 수입되는 차량도 있다. 2024년 현재, 해당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애스턴 마틴 | 중화(상용차) | BYD (상용차) | 체리 (리배지되어 MASADA 모델로 판매) |
DFSK (소형 상용차) | 둥풍 (여러 수입업체에서 리배지) | 페라리 | 지리 (상용차) |
이네오스 | 이스즈 (상용차) | 코닉세그 | 로터스 |
맥라렌 | 르노 (일부 모델 수입) | 테슬라(Tesla, Inc.) |
4. 차량 등급
차량 등급 | 배기량 | 주요 차종 |
---|---|---|
경차 | 1000cc 이하 | 쉐보레 스파크, 기아 모닝, 기아 레이, 현대 캐스퍼 |
소형차 | 1000cc ~ 1600cc | 현대 코나, 기아 쏘울, 쌍용 티볼리 등 |
준중형차 | 1500cc ~ 2000cc | 현대 아반떼, 현대 투싼, 기아 K3, 기아 스포티지 등 |
중형차 | 1500cc ~ 2500cc | 현대 쏘나타, 현대 싼타페, 기아 K5, 기아 쏘렌토 등 |
준대형차 | 2400cc ~ 3500cc | 현대 그랜저,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K8, 제네시스 G80 등 |
대형차 | 2500cc 이상 | 기아 K9, 제네시스 G90, 쌍용 체어맨 W 등 |
5. 미래 전망 및 과제
일본에서는 2005년부터 대우버스가 대형 관광버스 "BX212/H"를, 2008년부터 현대자동차가 유니버스를 각각 수입 판매하고 있다. 일본 버스보다 저렴한 가격과 중국인 관광객 증가로 인한 일본 내 버스 부족으로 수주가 확대되었다. 유니버스는 2016년 연간 163대를 판매하며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판매량이 감소했다.[41] 2014년에는 에디슨모터스의 대형 전기 버스 "파이버드"가 수입되었지만, 잦은 고장으로 5년 만에 운행이 중단되었다.[42]
르노삼성자동차의 QM5(콜레오스), 한국GM의 캡티바와 소닉이 쉐보레 브랜드로 수입·판매되었지만 판매는 저조하다. 과거 현대자동차, GM대우, 쌍용자동차, 기아도 일본에 진출했으나, 애프터 서비스 문제, 브랜드 경쟁력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오키나와현에서는 2006년까지 4년 연속 수입차 판매 1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현지 렌터카 회사인 OTS 렌터카가 소유 차량의 3분의 1을 현대자동차로 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2018년 일본 내 한국 브랜드 자동차 판매 대수는 5대로 침체되었다.[44]
최근 각 제조사들은 유럽 디자이너 초빙, 직분사 엔진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 도입 등으로 과거의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제네시스와 같이 자체적인 대형 고급차를 제작하거나, 르노삼성자동차나 한국GM처럼 그룹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기술력을 발전시키고 있다.
세계적인 추세인 배기량 다운사이징과 승용차용 클린 디젤 채용에는 소극적이었지만, 쉐보레 트랙스, 아반떼, K3, QM3 등에 소형 터보 엔진 및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탑재하며 변화를 보이고 있다. 또한, EU의 "EURO 6" 배기가스 배출 기준을 충족시키는 등 환경 규제에도 대응하고 있다. 르노-닛산 얼라이언스가 르노삼성자동차를 아시아 주요 허브로 인정하고 닛산 로그 전량을 부산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할 정도로 제조 품질도 향상되었다.
하지만 기술력 향상에 따른 자만심과 타사 비방 발언, 한국 내 국산차 기술력에 대한 불신은 여전하다. 2015년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4.2%가 "국산차보다 우수한 성능"을 이유로 수입차 구매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중국 자동차 회사들의 성장으로 한국 자동차 산업은 고급화 전략을 추진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13]
5. 1. 친환경차 및 미래 모빌리티 기술 개발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와 자율 주행 분야에서 기술적인 평가도 많아졌다.[32]현대자동차의 아반떼와 제네시스가 미국의 북미 올해의 차를, i30이 호주의 호주 올해의 차를 수상[32], 기아의 씨드가 스웨덴의 올해의 차로 선정되었으며, 유럽 올해의 차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33][34] 일본에서도 현대자동차의 투싼(일본 모델명: 현대 JM), 쏘나타, i30이 굿 디자인 상을 수상했다.[35]
2022년에 현대자동차는 일본에 아이오닉 5와 넥쏘 2개 차종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2009년에 철수한 이후 13년 만의 일본 재진출이며, 7월에는 인도를 시작했다.
5. 2. 글로벌 경쟁 심화 및 대응
중국 등 신흥 자동차 제조사들의 성장으로 경쟁이 심화되면서,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은 품질, 디자인, 브랜드 가치 향상 등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게 되었다.[13] 해외 시장 다변화 및 현지화 전략 강화도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현대자동차는 2022년, 아이오닉 5와 넥쏘를 일본 시장에 투입하며 2009년 철수 이후 13년 만에 재진출했다. 같은 해, 르노코리아자동차는 XM3(르노 아르카나)를 일본 시장에 출시했다. 이러한 노력은 디자인과 품질 면에서 과거 일본차를 위협할 정도로 향상되었고, 직분사 엔진,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 도입으로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는 데 기여했다.[41]
제네시스와 같은 고급차 개발, 르노삼성자동차 및 한국GM의 글로벌 협력 강화는 기술력 발전을 보여준다. 소형 터보 엔진, 커먼레일 디젤 엔진 탑재 등 배기량 다운사이징 추세에 대응하고 있으며, EU의 "EURO 6" 배기가스 배출 기준을 충족하는 등 환경 규제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는 르노삼성자동차를 아시아의 주요 허브로 인정하고 닛산 로그 전량을 부산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하는 등, 제조 품질 또한 일본 제조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기술력 향상에 따른 자만심, 타사 비방 발언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한국 내에서는 여전히 국산차 기술력에 대한 불신이 존재하며, 2015년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4.2%가 "국산차보다 우수한 성능"을 이유로 수입차 구매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는 미국의 자동차 잡지 "모터 트렌드"로부터 "현대자동차를 고급차 메이커로 발전시키는 놀라운 차"라는 호평을 받았지만, 토요타 캠리와의 디자인 유사성 지적은 여전히 아이덴티티 확립의 과제를 보여준다.[50]
"파업의 현대"라는 별명처럼, 노동조합의 강세와 높은 인건비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고질적인 문제이다.[51] 2007년 현대자동차 노사가 파업 없이 임금 및 단체 협상에 타결했지만, "해외 공장 신설·증설은 물론, 국내 생산 차종의 해외 이전이나 해외 생산 제품의 제3국 수출까지도 노조의 동의를 받는다"는 합의 내용은 경영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52]
최근 원화 강세, 현대자동차의 불상사 등으로 선진국 시장에서 한국차 점유율은 하락세이지만, 신흥국 시장 마케팅 강화로 판매량을 늘리고 있다.
5. 3. 노사 관계 개선
현대자동차는 "파업의 현대"라고 불릴 정도로 노동조합이 강하고 인건비가 높아, 매년 파업이 발생하는 노사 문제를 안고 있었다.[50] 그러나 2007년에는 현대자동차 노사가 파업 없이 임금 및 단체 협상에 타결하는 전례 없는 일이 일어났다.[51] 1987년 노조 결성 이후, 1994년을 제외하고 20년간 매년 파업을 반복해 온 현대자동차 노조의 이러한 변화는 파업에 대한 조합원 내부의 반발 때문으로 알려졌다.[51]하지만, 합의 사항에는 "신차의 생산 공장과 생산량을 노사 공동 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다", "해외 공장의 신설·증설은 물론, 국내 생산 차종의 해외 이전이나 해외 생산 제품의 제3국 수출까지도 노조의 동의를 받는다"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52]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는 앞으로 공장 건설, 국내 차종의 해외 이전, 해외 생산품 수출 등 조합원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에 대해 노조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52]
5. 4.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
최근 각 메이커들은 유럽에서 디자이너를 초빙하여 디자인과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고, 직분사 엔진,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과거의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고 있다.현대자동차는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를 런칭하여 고급차 시장에 진출했다. 미국의 자동차 잡지 "모터 트렌드"는 제네시스를 "현대자동차를 고급차 메이커로 발전시키는 놀라운 차"라고 평가하며, GM, 토요타, BMW, 메르세데스-벤츠까지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제네시스의 디자인이 토요타 캠리와 유사하다는 지적도 있었으며[50], 이는 현대자동차가 아직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완전히 확립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amsung.c[...]
Samsung
2013-03-19
[2]
웹사이트
ko:삼성상용차 24일 파산 신청
http://article.joins[...]
JoongAng Ilbo
2013-08-24
[3]
서적
Going Multinational: The Korean Experience of Direct Investment
Routledge
[4]
웹사이트
ko:<기업구조조정> 삼성상용차, 자산은 매각·인력은 계열사 수용
http://labortoday.co[...]
Labortoday.com
2013-03-20
[5]
웹사이트
ko:대구 옛 삼성상용차터에 간판 기업들 잇단 입주
http://economy.hanko[...]
2013-08-24
[6]
웹사이트
Samsung Commercial Vehicle Applies for Bankruptcy
http://english.chosu[...]
2013-03-19
[7]
서적
Samsung Electronics and the Struggle For Leadership of the Electronics Industry
John Wiley & Sons
[8]
뉴스
South Korea’s global battery dominance raises supply chain risks
https://www.ft.com/c[...]
2021-10-17
[9]
Webarchive
회사소개 > 기업연혁 > 신진자동차
http://www.daewoobus[...]
2013-11-10
[10]
Webarchive
회사소개 > 기업연혁 > G.M코리아
http://www.daewoobus[...]
2016-11-05
[11]
Webarchive
회사소개 > 기업연혁 > 새한자동차
http://www.daewoobus[...]
2016-08-09
[12]
Webarchive
회사소개 > 기업연혁 > 대우자동차
http://www.daewoobus[...]
2013-11-10
[13]
웹사이트
"
[14]
간행물
特集 韓国自動車市場と産業・経済 韓国自動車産業の現状と今後の課題
http://www.jama.or.j[...]
社団法人日本自動車工業会
2004-11-04
[15]
문서
1962年設立、セナラの日本語訳は「新しい国」(“{{lang|ko|새}}”が「新しい」の意味で、“{{lang|ko|나라}}”が「国」を意味している)を意味。
[16]
문서
セナラ自動車を買収して1965年設立
[17]
문서
これ以外にも[[トヨエース]]などの車種をノックダウン生産したが、[[反共]][[国家]]やその国の会社と取引関係をしている企業とは貿易をしない「[[周四原則]]」により、当時、中国への参入を模索していたトヨタ自動車は1972年に韓国から撤退した。
[18]
문서
新進自動車と[[GM]]{{要曖昧さ回避|date=2023年12月}}(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が50:50の出資による合資会社
[19]
문서
後に起亞産業に吸収
[20]
문서
[[起亜自動車]]の前身
[21]
문서
セハンの日本語訳は「新しい韓国」の意味。
[22]
문서
1976年にGMコリアから社名変更
[23]
간행물
韓国の自動車産業及び市場動向とその将来展望
http://www.jama.or.j[...]
2001-03
[24]
문서
海外生産車は対象外のため、アメリカ製の[[トヨタ・アバロン]]が少量輸入されていたことがあった。
[25]
웹사이트
asahi.com:現代自動車、日本の「壁」に挑む - 経済を読む - ビジネス
https://web.archive.[...]
2007-06-22
[26]
뉴스
Hyundai bets new sedan is a luxury it can afford
http://online.wsj.co[...]
2008-01-08
[27]
웹사이트
NIKKEI NET:米新車品質調査で「トヨタ」6位に後退
https://web.archive.[...]
2007-06-07
[28]
웹사이트
【韓国車の品質】新車満足度は上々、耐久性はイマイチ | Chosun Online | 朝鮮日報
http://japanese.chos[...]
2005-11-30
[29]
웹사이트
米国における新車の初期品質が過去最高になったことが明らかに
http://japan.jdpower[...]
[30]
뉴스
現代自、デザインと品質向上努力が実り躍進
https://www.nikkei.c[...]
2012-05-08
[31]
문서
実際に発売されたものでは、2代目[[ロータス・エラン]]を起亜自動車が[[ライセンス生産]]した[[キア・ビガート]]、イギリスの[[パンサー・ウェストウインズ]]を[[雙龍自動車]]が買収し、同社の「リマ」を改良したオープンカー「カリスタ」等があるが、いずれも生産台数は少数にとどまっている。他にもオウリムモータースによる韓国初のスーパーカー「スピーラ」が2010年に発表され、翌2011年から生産を開始したが2012年には生産中止となっており、会社自体の消息も明らかになっていない。
[32]
웹사이트
http://www.chosunonl[...]
[33]
웹사이트
http://www.chosunonl[...]
[34]
웹사이트
http://www.chosunonl[...]
[35]
웹사이트
http://www.chosunonl[...]
[36]
웹사이트
グッドデザインファインダー:2005年度受賞「ヒュンダイ ソナタ」
http://www.g-mark.or[...]
[37]
문서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문서
[42]
뉴스
全国に先駆け導入した大型EVバス、5年でひっそり運行終了 故障が多発 車体価格は8700万円
https://373news.com/[...]
南日本新聞
2022-09-26
[43]
문서
[44]
웹사이트
https://www.recordch[...]
[45]
중앙일보
「ユーロ6」を契機に韓国市場奪還を狙う日本車(1)
https://japanese.joi[...]
2015-02-27
[46]
조선일보
起亜自とルノーサムスン、新車めぐり舌戦
http://www.chosunonl[...]
2013-06-21
[47]
문서
[48]
중앙일보
双竜車社長「QM3をスペインで生産するルノーサムスンは輸入商」
https://japanese.joi[...]
2014-03-06
[49]
뉴스
20~30代会社員の64%が「輸入車を買いたい」
http://japanese.dong[...]
2015-02-07
[50]
조선일보JNS
現代自「ジェネシス」はトヨタ「カムリ」とそっくり!?
http://www.chosunonl[...]
2007-03-16
[51]
조선일보JNS
現代自労組「ストはもういやだ」
http://www.chosunonl[...]
2007-09-05
[52]
중앙일보
【社説】経営権を放棄した現代車の労使合意
https://japanese.joi[...]
2007-09-06
[53]
웹사이트
OICA 2015 statistic
http://www.oica.net/[...]
[54]
KBS 뉴스
GM 대우차 출범, 자동차 신3강시대
https://news.kbs.co.[...]
2002-10-28
[55]
MBC 뉴스데스크
GM대우차 공식 출범 선언, 12월 첫 신차
https://imnews.imbc.[...]
2002-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