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유럽어족 어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유럽어족 어휘는 인도유럽조어에서 파생된 어휘들을 각 언어별로 비교하여 제시한다. 이 문서에서는 역사, 사회와 문화, 경제와 생계, 종교와 신화, 자연 환경, 수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등 다양한 어휘들을 다룬다. 각 어휘는 친족 관계, 사회 구조, 농사, 작물, 색깔, 행동, 이동, 신체 작용 등을 나타내며, 영어, 고트어,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 여러 언어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유럽조어 - 인도유럽조어 명사
    인도유럽조어 명사는 어근, 접사, 어미 조합의 형태론적 구조를 가지며 격, 수, 성의 문법 정보를 어미로 전달하고, 아블라우트, 테마/비테마 명사 구분, 어근 명사, 복합 명사 등의 특징과 다양한 형성 방식을 가지며, 형용사는 명사와 유사하나 성별에 따른 격변화가 나타난다.
  • 인도유럽조어 - 인도유럽조어 음운론
    인도유럽조어 음운론은 인도유럽조어의 음소와 음운 규칙을 연구하는 분야로, 파열음, 설배음, 마찰음, 후두음, 공명음, 모음 등의 음소 체계와 세메레니의 법칙, 바르톨로메의 법칙과 같은 음운 규칙을 포함한다.
  • 인도유럽어족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발칸 제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추정되지만 기원은 불분명하고,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으로 나뉘며 토스크 방언 기반의 표준어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등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리리아어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
  • 인도유럽어족 -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조어는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 여러 유럽 및 인도 언어의 공통 조상어로 추정되는 재구된 언어이며, 문자 기록이 없어 후대 언어 비교를 통해 재구성되었고, 18세기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다양한 가설과 음운 변화 법칙을 통해 발전해왔다.
인도유럽어족 어휘

2. 역사

인도유럽어족 어휘의 재구성과 연구는 다양한 언어학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어떤 형태를 소개하는가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른다.


  • 동계어를 나타낼 때는 일반적으로 각 어파에서 잘 기록된 언어 중 가장 오래된 언어의 형태를 가져온다. 단, 오래된 시기의 언어가 잘 알려지지 않았거나 현대 언어와 큰 차이가 없는 어파들의 경우에는 현대 언어의 형태를 가져온다. 비교를 위해 현대 영어 동계어도 함께 나타낸다.
  • 명사는 주격 형태를 나타내고, 속격 어간이 주격 어간과 다른 경우 괄호 안에 병기한다. (산스크리트어 따위는 주격 대신 기본 어간을 나타내었다.)
  • 동사는 ‘사전에 등재된 형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인가는 언어마다 다르다.
  • 게르만어파웨일스어부정사 형태이다.
  • 라틴어, 발트어파, 슬라브어파는 1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를 나타내고, 괄호 안에 부정사 형태를 병기한다.
  • 고대 그리스어, 고대 아일랜드어, 아르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1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만 나타낸다.
  • 산스크리트어, 아베스타어, 고대 페르시아어, 파르티아어는 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를 나타낸다.
  • 토하라어는 어간을 나타낸다.
  • 히타이트어는 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 또는 어간을 나타낸다.
  • 라틴어 동계어가 없는 경우 오스크어움브리아어 동계어를 대신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히타이트어 대신 또는 히타이트어와 함께 또다른 아나톨리아어파 언어(루위어, 리키아어 등)의 동계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 토하라어의 경우, 될 수 있으면 토하라어 A와 토하라어 B 동계어를 모두 나타낸다.
  • 켈트어파의 경우, 될 수 있으면 고대 아일랜드어웨일스어 동계어를 모두 나타낸다. 웨일스어는 대체로 현대 웨일스어 형태를 사용했지만, 고대 웨일스어 형태가 알려져 있고 현대어에서 사라진 중요한 특징을 지닌 경우에는 그쪽을 사용한다. 고대 아일랜드어 형태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 중세 아일랜드어 형태를 나타낸다. 웨일스어 대신 또는 웨일스어와 함께 갈리아어, 콘월어, 브르타뉴어 동계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 발트어파의 경우, 될 수 있으면 현대 리투아니아어고대 프로이센어 동계어를 모두 나타낸다. (리투아니아어는 고대 프로이센어 자료에 나타나지 않는 주요한 정보를 포함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함께 나타낸다.) 어떤 경우 현대 리투아니아어 대신 고대 리투아니아어 형태를 나타내기도 했고, 현대 라트비아어 동계어를 나타내기도 했다.
  • 슬라브어파의 경우, 될 수 있으면 고대 교회 슬라브어 동계어를 나타낸다. 그 대신 현대 슬라브 언어나 다른 교회 슬라브어 방언의 형태를 나타내기도 했다.
  • 영어의 경우, 현대 영어 동계어가 존재한다면 그에 대응하는 고대 영어 형태와 함께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고대 영어 형태만 나타낸다.
  • 고트어의 경우, 고트어 동계어에 드러나지 않는 중요한 특징이 다른 게르만 언어(고대 노르드어, 고대 고지 독일어, 중세 고지 독일어)에 드러날 경우 대신 또는 함께 나타낸다.


인도유럽어족 어휘 연구는 다양한 주제에 걸쳐 진행되며, 주요 연구 분야 및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연구 분야관련 자료
수사(數詞)
자연과 시간
동물
친족
농사와 작물
색깔Shields, Kenneth (1979). “Indo-European Basic Colour Terms.” Canadian Journal of Linguistics/Revue Canadienne De Linguistique 24 (2): 142–46. doi:10.1017/S0008413100023409.[19]
행동 및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Verkerk, Annemarie (2015). "Where do all the motion verbs come from? The speed of development of manner verbs and path verbs in Indo-European". Diachronica 32(1): 69-104. doi:10.1075/dia.32.1.03ver.[20]
신체 작용Kocharov, Petr (2016). "Proto-Indo-European lexical aspect and stem patterns". Faits de Langues 47 (1): 75-88. doi: https://doi.org/10.1163/19589514-047-01-900000005 [on PIE roots for sleep and dream][21]


2. 1. 재구성과 연구

인도유럽어족 어휘의 재구성과 연구는 다양한 언어학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어떤 형태를 소개하는가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른다.

  • 동계어를 나타낼 때는 일반적으로 각 어파에서 잘 기록된 언어 중 가장 오래된 언어의 형태를 가져온다. 단, 오래된 시기의 언어가 잘 알려지지 않았거나 현대 언어와 큰 차이가 없는 어파들의 경우에는 현대 언어의 형태를 가져온다. 비교를 위해 현대 영어 동계어도 함께 나타낸다.
  • 명사는 주격 형태를 나타내고, 속격 어간이 주격 어간과 다른 경우 괄호 안에 병기한다. (산스크리트어 따위는 주격 대신 기본 어간을 나타내었다.)
  • 동사는 ‘사전에 등재된 형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인가는 언어마다 다르다.
  • 게르만어파웨일스어부정사 형태이다.
  • 라틴어, 발트어파, 슬라브어파는 1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를 나타내고, 괄호 안에 부정사 형태를 병기한다.
  • 고대 그리스어, 고대 아일랜드어, 아르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1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만 나타낸다.
  • 산스크리트어, 아베스타어, 고대 페르시아어, 파르티아어는 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를 나타낸다.
  • 토하라어는 어간을 나타낸다.
  • 히타이트어는 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 또는 어간을 나타낸다.
  • 라틴어 동계어가 없는 경우 오스크어움브리아어 동계어를 대신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히타이트어 대신 또는 히타이트어와 함께 또다른 아나톨리아어파 언어(루위어, 리키아어 등)의 동계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 토하라어의 경우, 될 수 있으면 토하라어 A와 토하라어 B 동계어를 모두 나타낸다.
  • 켈트어파의 경우, 될 수 있으면 고대 아일랜드어웨일스어 동계어를 모두 나타낸다. 웨일스어는 대체로 현대 웨일스어 형태를 사용했지만, 고대 웨일스어 형태가 알려져 있고 현대어에서 사라진 중요한 특징을 지닌 경우에는 그쪽을 사용한다. 고대 아일랜드어 형태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 중세 아일랜드어 형태를 나타낸다. 웨일스어 대신 또는 웨일스어와 함께 갈리아어, 콘월어, 브르타뉴어 동계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 발트어파의 경우, 될 수 있으면 현대 리투아니아어고대 프로이센어 동계어를 모두 나타낸다. (리투아니아어는 고대 프로이센어 자료에 나타나지 않는 주요한 정보를 포함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함께 나타낸다.) 어떤 경우 현대 리투아니아어 대신 고대 리투아니아어 형태를 나타내기도 했고, 현대 라트비아어 동계어를 나타내기도 했다.
  • 슬라브어파의 경우, 될 수 있으면 고대 교회 슬라브어 동계어를 나타낸다. 그 대신 현대 슬라브 언어나 다른 교회 슬라브어 방언의 형태를 나타내기도 했다.
  • 영어의 경우, 현대 영어 동계어가 존재한다면 그에 대응하는 고대 영어 형태와 함께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고대 영어 형태만 나타낸다.
  • 고트어의 경우, 고트어 동계어에 드러나지 않는 중요한 특징이 다른 게르만 언어(고대 노르드어, 고대 고지 독일어, 중세 고지 독일어)에 드러날 경우 대신 또는 함께 나타낸다.

연구 자료인도유럽어족 어휘 연구는 다양한 주제에 걸쳐 진행되며, 다음은 주요 연구 분야 및 관련 자료의 예시이다.

  • 수사(數詞):
  • Bjørn, Rasmus. "Nouns and Foreign Numerals: Anatolian ‘Four’ and the Development of the PIE Decimal System". In: ''Dispersals and Diversification''. Leiden, The Netherlands: Brill, 2019. pp. 54–76. doi: https://doi.org/10.1163/9789004416192_004
  • de Vaan, Michiel. "Proto-Indo-European *sm and *si ‘one’". In: ''The Precursors of Proto-Indo-European''. Leiden, The Netherlands: Brill|Rodopi, 2019. pp. 203–218. doi: https://doi.org/10.1163/9789004409354_015[1]
  • 자연과 시간:
  • Huld, Martin E. "Proto- and Post-Indo-European Designations for ‘sun’." Zeitschrift Für Vergleichende Sprachforschung 99, no. 2 (1986): 194-202. http://www.jstor.org/stable/40848835.[2]
  • Maciuszak, Kinga (2002). “The Names of Seasons of the Year in Iranian Languages”. In: ''Studia Etymologica Cracoviensia'' 7: 67-78.[3]
  • 동물:
  • Gąsiorowski, Piotr. "Gruit grus: The Indo-European names of the crane". In: ''Studia Etymologica Cracoviensia'' Vol. 18. Issue 1. 2013. pp. 51-68. DOI: 10.4467/20843836SE.13.003.0940[4]
  • Hammer, Niels. "Eurasian Cranes, Demoiselle Cranes, PIE '''*ger-''' and Onomatopoetics". In: ''The Journal of Indo-European Studies'' (JIES), Vol. 43, nº. 1-2, 2015. pp. 81-99. [5]
  • Huld, Martin E. (2014). "Armenian ''agṙaw'' and an Indo-European Word for 'Crow, Raven'. In: JIES 42 (3-4): 294-301.[6]
  • 친족:
  • Blažek, Václav. "Indo-European ''*suHnu-'' 'son' and his relatives". In: ''Indogermanistik und Linguistik im Dialog''. Akten der XIII. Fachtagung der Indogermanischen Gesellschaft von 21. bis 27. September 2008 in Salzburg, hrg. Thomas Krisch & Thomas Lindner. Wiesbaden: Reichert, 2011. pp. 79-89. [7]
  • Cooper, Brian. "The Lexicology and Etymology of Russian Family Relationships". In: ''Studia Etymologica Cracoviensia'' Vol. 14. Issue 1. Kraków: 2009. pp. 153-176. [8]
  • Friedrich, Paul. "Proto-Indo-European Kinship." ''Ethnology'' 5, no. 1 (1966): 1-36. Accessed November 15, 2020. doi:10.2307/3772899.[9]
  • Galton, Herbert. "The Indo-European Kinship Terminology." ''Zeitschrift Für Ethnologie'' 82, no. 1 (1957): 121-38. Accessed November 15, 2020. http://www.jstor.org/stable/25840433.[10]
  • Hettrich, Heinrich. "Indo-European Kinship Terminology in Linguistics and Anthropology." ''Anthropological Linguistics'' 27, no. 4 (1985): 453-80. Accessed November 15, 2020. http://www.jstor.org/stable/30028080.[11]
  • Humphreys, S. C. "Proto-Indo-European Kinship and Society: Kin Terms". In: ''Journal of Indo-European Studies''. Washington Vol. 45, Ed. 3/4, (2017): 373-425. [12]
  • Kullanda, Sergey. "Indo‐European “Kinship Terms” Revisited." ''Current Anthropology'' 43, no. 1 (2002): 89-111. Accessed November 15, 2020. doi:10.1086/324127.[13]
  • Milanova, Veronika. "Brothers and Many Others: The Concept ‘Offspring’ and its Semantic Extensions in Indo-European Languages". In: ''Journal of Indo-European Studies (JIES)''. Vol. 48/Numbers 1 & 2 (Spring/Summer 2020): 189-217.[14]
  • Rau, Jeremy. "Indo-European Kinship Terminology: *ph₂tr-ou̯-/ph₂tr̥-u̯- and Its Derivatives." Historische Sprachforschung / Historical Linguistics 124 (2011): 1-25. http://www.jstor.org/stable/41553560.[15]
  • 농사와 작물:
  • Mikić, Aleksandar. "A note on some Proto-Indo-European roots related to grain legumes", Indogermanische Forschungen 116, 2011 (2011): 60-71, doi: https://doi.org/10.1515/9783110239485.60[16]
  • Mikić, Aleksandar. "Palaeolinguistics and Ancient Eurasian Pulse Crops." Current Science 108, no. 1 (2015): 45-50. http://www.jstor.org/stable/24216173.[17]
  • Romain Garnier, Laurent Sagart, Benoît Sagot. "Milk and the Indo-Europeans". In: Martine Robeets; Alexander Savalyev. ''Language Dispersal Beyond Farmin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7. pp. 291-311. ff10.1075/z.215.13garff. ffhal-01667476f[18]
  • 색깔:
  • Shields, Kenneth. “Indo-European Basic Colour Terms.” Canadian Journal of Linguistics/Revue Canadienne De Linguistique 24, no. 2 (1979): 142–46. doi:10.1017/S0008413100023409.[19]
  • 행동 및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
  • Verkerk, Annemarie (2015). "Where do all the motion verbs come from? The speed of development of manner verbs and path verbs in Indo-European". In: ''Diachronica'', 32(1): 69-104. doi:10.1075/dia.32.1.03ver.[20]
  • 신체 작용:
  • Kocharov, Petr. "Proto-Indo-European lexical aspect and stem patterns". ''Faits de Langues'' 47, 1 (2016): 75-88, doi: https://doi.org/10.1163/19589514-047-01-900000005 [on PIE roots for ''sleep'' and ''dream''][21]

3. 사회와 문화

PIE영어고트어라틴어고대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이란어군슬라브어파발트어파켈트어파아르메니아어알바니아어토하라어히타이트어
*h₂nḗr고대 노르드어 Njǫrðr (신의 이름)Ner-ō (개인 이름), neriōsus "강한"anḗr (andros) "남자"nár- (주격 ) "남자, 사람"아베스타어 nar- (주격 ) "남자, 사람", 파슈토어 nar "남성", 현대 페르시아어 nar-, 쿠르드어 nêr "수컷 동물, 남성"고대 교회 슬라브어 naravŭ "성격, 관습"리투아니아어 nóras "소망, 욕구", narsùs "용감한", 고대 프로이센어 nàrs "용기"웨일스어 nêr "주, 왕자, 지도자, 영웅", 켈트어 narto "힘"ayr (aṙn) "남자, 사람"njer "남자, 사람"|
*dʰǵʰemṓn고대 영어 guma "사람, 남자", brȳdguma "신랑"guma "사람"homō "사람"khthōn "지구", khamai "지상에"kṣám, 속격 gmás/jmás "지상, 지구"고대 교회 슬라브어 zem(l)janinъ "지구인"고대 리투아니아어 žmuõ "사람", 리투아니아어 žmoná "아내", 고대 프로이센어 zmunents "사람"고대 아일랜드어 duine, 웨일스어 dyn "사람"| A śom "소년", B śaumo "사람"
*gʷḗnqueen (< 고대 영어 cwēn "여왕, 여자, 아내")qēns (qēnáis), qinō "여자, 아내"gunḗ (gunaikos) "여자, 아내", 보에오티아 그리스어 baná "여자"gnā (gnā́s-) "신의 아내", jánis, jánī "여자, 아내"아베스타어 gǝnā, γnā, ǰaini-, 파슈토어 jinə́i, njlə́i "소녀", 현대 페르시아어 zan "여자, 아내", 쿠르드어 jin "여자, 아내"고대 교회 슬라브어 žena "여자, 아내"고대 프로이센어 gena "여자, 아내"골어 bnanom "여자의", 고대 아일랜드어 ben (mná) "여자, 아내", (중성) "아내", 웨일스어 benyw "여자"kin (knoǰ) "여자"zonjë "여인, 아내, 여자", Gheg grue, Tosk grua "아내"A śäṁ (pl. śnu), B śana "여자, 아내"히타이트어 ku(w)an(a) "여자", 루위아어 wanatti "여자, 아내", 리디아어 kãna- "아내"
*pótis-faþs "주, 지도자"potis "할 수 있는, 가능한"pósis "남편"páti "주인, 남편, 통치자"아베스타어 paiti, 파르티아어 pet, 고대 페르시아어 fáti "주인, 주, 남편, 지휘관"고대 교회 슬라브어 gospodĭ "주, 주인"리투아니아어 pats "남편"hay "남편, 가족의 우두머리"pata "무언가를 소유한"|
*déms pótis| | despótēs "주, 주인, 소유자", despoina "여인"dámpati "집의 주인, (이중) 남편과 아내", patír dán[52]də̃ṇg paitiś "주"[53]| | | | |
*gʰóstisguest (< 고대 영어 giest), hostgasts "손님"hostis "이방인, 손님", hostīlis "적대적인", hospes, hospit- "주인, 손님, 방문객"| | 고대 교회 슬라브어 gostĭ "손님", gospodĭ "주, 주인"| | | |
*weyḱ--wick, -wichweihs "마을, 시골"vīcus "마을, 정착"oîkos "집, 거주지", oiko·nomía "가정 관리"viś "정착, 거주 공간"고대 교회 슬라브어 vĭsĭ "작은 마을, 마을"고대 리투아니아어 viešė "정착"| vis "땅, 나라, 장소"B īke "장소, 위치"
*wiḱpótis| | | viśpáti "부족 또는 정착지의 수장, 주"| 리투아니아어 viēšpats "주"| | |
*h₃rḗǵsbishopric, rich (< 고대 영어 rīċe "왕, 지배")reiks, -ric (개인 이름에서) "왕"rēx, rēg- "왕"rāj-, rājan "왕"| | 골어 *rīx "왕" (개인 이름에서)| |
*tewtéh₂고대 영어 þeod "사람, 국가"고트어 thiuda "민족", 독일어 Deutsch오스크어 touto "공동체", 움브리아어 totam "부족"| | | 리투아니아어 tautà "사람들", 고대 프로이센어 tauto "나라"고대 아일랜드어 tuath "부족, 사람들", 켈트어 Toutatis (Teutates) "신의 이름"| |?히타이트어 tuzzi- "군대", ?루위아어 tuta "군대"
*h₁lewdʰ-고대 영어 leode, lēod "사람, 그룹, 국가"고대 고지 독일어 liut "사람들, 인구"라틴어 līber "자유, 신의 이름"eleútheros "자유로운", Eleutherios "해방자(디오니소스의 별칭)"| 고대 교회 슬라브어 ljudinŭ "자유인", 폴란드어 lud "사람들, 민족"리투아니아어 liaudis "사람들"| | |



=== 경제와 생계 ===

PIE영어고트어라틴어고대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이란어군슬라브어파발트어파켈트어파아르메니아어알바니아어토하라어히타이트어
"곡물"corn (< OE corn "곡물")kaúrn "곡물"grānum "곡물"dhānya "곡물"OCS zrŭno "곡물"OPrus zirni "곡물", Lith žirnis "콩", girna "맷돌"OIr grān, W grawn "곡물"cʿorean "밀, 곡물"grurë 토스크 grun, gruni 게그 "곡물"
"들판"acre (< OE æcer "들판")akrs "들판"ager (agrī) "들판"agrós "들판"ájraḥ "풀밭"art "흙"arë "들판"
"쟁기질하다"OE erian "쟁기질하다"arjan "쟁기질하다"arō (arāre) "쟁기질하다", arātrum "쟁기"aróō "내가 쟁기질한다", árotron "쟁기"hala "쟁기"OCS orjǫ (orati) "쟁기질하다", ralo "쟁기"OPrus artun "쟁기질하다", Lith arti "쟁기질하다"MIr airim "내가 쟁기질한다", W arddu "쟁기질하다"; MIr arathar, W aradr "쟁기"ara-wr "쟁기"arë "농토"AB āre "쟁기"
"젖짜다"milk "젖" (< OE meolc, mioluc)miluks (miluks) "젖"mulgeō (mulgēre) "젖짜다"amélgō "내가 젖짠다"mā́ršti, mā́rjati, mr̥játi "(그가) 닦는다"Av marǝzaiti, mǝrǝzaiti "(그가) 스친다"Russ. CS mŭlzu (mlěsti) "젖짜다", Pol mleko "젖"OPrus milztun "젖짜다", Lith melžti "젖짜다"W blith "젖, 유제품", MIr bligim "내가 젖짠다", melg "젖"miel, mil "내가 젖짠다"A malke B malk-wer "젖"
"갈다"meal "으깬 곡물; 식사" (< OE melu)malan "갈다"molō (molere) "갈다"múllō "내가 간다"mr̥ṇāti, mr̥nati "(그가) 간다"Av mrāta- "부드럽게 무두질된"OCS meljǫ (mlětĭ) "갈다"OPrus maltun "갈다", Lith malti "갈다"OIr melim "내가 간다"; W malu "갈다"mał "체" mał-em "내가 간다, 깬다"mjell "밀가루"A malywët "네가 누른다"; B melye "그들이 짓밟는다"mallai "그가 간다"
"꿀"mildew "흰 곰팡이" (< OE mele-dēaw "단물")miliþ "꿀"mel (mellis) "꿀"méli (mélit-) "꿀"; Att mélitta "벌"milinda "꿀벌"OIr mil, W mêl "꿀"mełr "꿀"mjal, mjaltë "꿀"milit "꿀"; 팔라어 malit- "꿀"
"꿀", "꿀술"mead "꿀술" (< OE medu)midus "꿀술"mēdus "술"[553]métʰu "포도주"mádʰu "단 음료, 꿀"이란조어 mádu "꿀, 술"OCS medŭ "꿀"; Bulg med "꿀"OPrus meddu "꿀", Lith medus "꿀", Ltg mads "꿀"OIr mid "꿀술"; W medd "꿀술"B mit "꿀"[554]CLuw maddu- "술" (본디 "단 음료")
"소금"salt "소금" (< OE sealt)salt "소금"sāl (salis) "소금"háls (halós) "소금"sal-ilá- "짠"OCS solǐ "소금"OPrus sals "소금", saldus "달콤한"OIr salann, W halen "소금" "소금"ngjel-bëtë, ngjel-mëtë "짠", njel-m "짜다"A sāle, B salyiye "소금"
"심다", "씨"sow "심다" (< OE sāwan), seed "씨" (< OE sēd)saian "심다"; OHG sāmo "씨"serō (serere) "심다", sēmen "씨"sī́ra- "쟁기"OCS sějǫ (sějati) "심다", sěmę "씨들"OPrus situn "심다", simen "씨", Lith sėti "심다", sekla "씨", semenis "아마씨"OIr sīl, W hil "씨"sermn "씨"isḫūwāi "(그가) 심는다"
"멍에"yoke "멍에" (< OE ġeoc)juk "멍에"iugum "멍에"zugón "멍에"yugám "멍에"Av yaoj-, yuj- "(멍에를) 씌우다"OCS igo "멍에"OPrus jugtun "멍에", Lith jungas "멍에"W iau "멍에"luc "멍에"A yokäm "문"yugan "멍에"



인도유럽어족의 사회 구조와 경제, 생계를 반영하는 어휘는 위의 표와 같다.

3. 1. 친족 관계

PIE영어고트어라틴어고대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이란어군슬라브어파발트어파켈트어파아르메니아어알바니아어토하라어히타이트어
"어머니"mother (< OE mōdor)ON móðirmātermḗtērmā́tṛ, mātṛ́Av mātar-, NPers mādarOCS mati, mater-Lith móteris "여자", motina; OPrus mutiGaul. mātīr, OIr māthir; W modryb "이모, 고모"mayrmotër "여자 형제"A mācar, B mācer
"아버지"father (< OE fæder)fadarpaterpatḗrpitṛ́Av pitar- (주격, 또한 pta, ta), OPers pita, NPers padarOIr athir; 웨일스어 edrydd "친가"hayrA pācar, B pācer
"남자 형제"brother (< OE brōþor)brōþarfrāterpʰrā́tēr "씨족의 일원"bʰrā́tṛ Av brātar-, OPers brātar-, 오세트어 ärvád "남자 형제, 친척", NPers barādar, 쿠르드어 biraOCS bratrŭLith brõlis, OPrus brati갈리아어 Bratronos (인명);[500] OIr brāth(a)ir, W brawd (복수 brodyr)ełbayr (속격 ełbawr)A pracar, B procerLyd brafr(-sis)[501]
"여자 형제"sister (< OE sweostor, ON systir의 영향을 받음)swistarsororéorsvásṛAv x̌aŋhar-; NPers ḫwāharOCS sestraLith sesuõ (seser̃s), OPrus sestra갈리아어 suiorebe "두 여자 형제와 함께" (쌍수)[502]kʿoyr (kʿeṙ), 주격 복수 kʿor-kʿvashë, vajzë "여자아이" (< *varjë < *vëharë < PAlb *swesarā)A ṣar, B er
"딸"[503]daughter (< OE dohtor)daúhtar오스크어 futírtʰugátērdúhitṛAv dugədar-, duɣδar-, NPers doḫtar, 쿠르드어 dotOCS dŭšti, dŭšter-Lith dukteris, OPrus dukti갈리아어 duxtir; Celtib TuaTer (duater)[504][505]dustrA ckācar, B tkācerHLuw túwatara;[506] ?Lyd datro; CLuw/Hitt duttarii̯ata-
"아들"son (< OE sunu)sunushuióssūnú-Av hunušOCS synŭLith sūnùs, OPrus suns? Celtib EBURSUNOS "에부로스의 아들(?)", Celt/Lus EQUEUNUBO (< *ekwei-sūnu-bʰos) "말 위의 아들들에게"ustrçun "남자아이"A se, B soyä
"남자 조카, 손자"고어 neve (< OE nefa)OHG nevonepōs (nepōtis)népodesnápāt-Av napāt-, naptar-, OPers napāt-OLith nepotis, OPrus neputsOIr nïæ "여자 형제의 아들", W nainip
"남편의 남자 형제, 배우자의 남자 형제"OE tācorOHG zeihhorlevirdāērdevṛ́, devaráOCS děverĭLith dieverisW daw(f)taygr
"며느리"OE snoruOHG snurnurusnuossnuṣā-OIr. *(s)nušáh, 박트리아어 ασνωυο (asnōuo), NPers. sunoh / sunhārOCS snŭxaW gwauddnuse "신부"nu
"장모, 시모"OE swegerswaihrsocrusekurāśvaśrū́-OCS svekryLith šešuras "장인, 시부", OPrus swasriW chwegrskesurvjehërr "장인, 시부"
"외할아버지, 외삼촌"awō "할머니"avus "할아버지"; avunculus "외삼촌"러시아어 uj, vuj "삼촌" (고어);Lith avynas "외삼촌", OPrus awisMW ewythr, MBre eontr, MCo eviter (< PCelt awon-tīr "삼촌")OArm hawB āwehuhha-


3. 2. 사회 구조

인도유럽어족의 사회 구조를 반영하는 어휘는 다음과 같다.

PIE영어고트어라틴어고대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이란어군슬라브어파발트어파켈트어파아르메니아어알바니아어토하라어히타이트어
*h₂nḗr고대 노르드어 Njǫrðr (신의 이름)Ner-ō (개인 이름), neriōsus "강한"anḗr (andros) "남자"nár- (주격 ) "남자, 사람"아베스타어 nar- (주격 ) "남자, 사람", 파슈토어 nar "남성", 현대 페르시아어 nar-, 쿠르드어 nêr "수컷 동물, 남성"고대 교회 슬라브어 naravŭ "성격, 관습"리투아니아어 nóras "소망, 욕구", narsùs "용감한", 고대 프로이센어 nàrs "용기"웨일스어 nêr "주, 왕자, 지도자, 영웅", 켈트어 narto "힘"ayr (aṙn) "남자, 사람"njer "남자, 사람"|
*dʰǵʰemṓn고대 영어 guma "사람, 남자", brȳdguma "신랑"guma "사람"homō "사람"khthōn "지구", khamai "지상에"kṣám, 속격 gmás/jmás "지상, 지구"고대 교회 슬라브어 zem(l)janinъ "지구인"고대 리투아니아어 žmuõ "사람", 리투아니아어 žmoná "아내", 고대 프로이센어 zmunents "사람"고대 아일랜드어 duine, 웨일스어 dyn "사람"| A śom "소년", B śaumo "사람"
*gʷḗnqueen (< 고대 영어 cwēn "여왕, 여자, 아내")qēns (qēnáis), qinō "여자, 아내"gunḗ (gunaikos) "여자, 아내", 보에오티아 그리스어 baná "여자"gnā (gnā́s-) "신의 아내", jánis, jánī "여자, 아내"아베스타어 gǝnā, γnā, ǰaini-, 파슈토어 jinə́i, njlə́i "소녀", 현대 페르시아어 zan "여자, 아내", 쿠르드어 jin "여자, 아내"고대 교회 슬라브어 žena "여자, 아내"고대 프로이센어 gena "여자, 아내"골어 bnanom "여자의", 고대 아일랜드어 ben (mná) "여자, 아내", (중성) "아내", 웨일스어 benyw "여자"kin (knoǰ) "여자"zonjë "여인, 아내, 여자", Gheg grue, Tosk grua "아내"A śäṁ (pl. śnu), B śana "여자, 아내"히타이트어 ku(w)an(a) "여자", 루위아어 wanatti "여자, 아내", 리디아어 kãna- "아내"
*pótis-faþs "주, 지도자"potis "할 수 있는, 가능한"pósis "남편"páti "주인, 남편, 통치자"아베스타어 paiti, 파르티아어 pet, 고대 페르시아어 fáti "주인, 주, 남편, 지휘관"고대 교회 슬라브어 gospodĭ "주, 주인"리투아니아어 pats "남편"hay "남편, 가족의 우두머리"pata "무언가를 소유한"|
*déms pótis| | despótēs "주, 주인, 소유자", despoina "여인"dámpati "집의 주인, (이중) 남편과 아내", patír dán[52]də̃ṇg paitiś "주"[53]| | | | |
*gʰóstisguest (< 고대 영어 giest), hostgasts "손님"hostis "이방인, 손님", hostīlis "적대적인", hospes, hospit- "주인, 손님, 방문객"| | 고대 교회 슬라브어 gostĭ "손님", gospodĭ "주, 주인"| | | |
*weyḱ--wick, -wichweihs "마을, 시골"vīcus "마을, 정착"oîkos "집, 거주지", oiko·nomía "가정 관리"viś "정착, 거주 공간"고대 교회 슬라브어 vĭsĭ "작은 마을, 마을"고대 리투아니아어 viešė "정착"| vis "땅, 나라, 장소"B īke "장소, 위치"
*wiḱpótis| | | viśpáti "부족 또는 정착지의 수장, 주"| 리투아니아어 viēšpats "주"| | |
*h₃rḗǵsbishopric, rich (< 고대 영어 rīċe "왕, 지배")reiks, -ric (개인 이름에서) "왕"rēx, rēg- "왕"rāj-, rājan "왕"| | 골어 *rīx "왕" (개인 이름에서)| |
*tewtéh₂고대 영어 þeod "사람, 국가"고트어 thiuda "민족", 독일어 Deutsch오스크어 touto "공동체", 움브리아어 totam "부족"| | | 리투아니아어 tautà "사람들", 고대 프로이센어 tauto "나라"고대 아일랜드어 tuath "부족, 사람들", 켈트어 Toutatis (Teutates) "신의 이름"| |?히타이트어 tuzzi- "군대", ?루위아어 tuta "군대"
*h₁lewdʰ-고대 영어 leode, lēod "사람, 그룹, 국가"고대 고지 독일어 liut "사람들, 인구"라틴어 līber "자유, 신의 이름"eleútheros "자유로운", Eleutherios "해방자(디오니소스의 별칭)"| 고대 교회 슬라브어 ljudinŭ "자유인", 폴란드어 lud "사람들, 민족"리투아니아어 liaudis "사람들"| | |


3. 3. 경제와 생계

PIE영어고트어라틴어고대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이란어군슬라브어파발트어파켈트어파아르메니아어알바니아어토하라어히타이트어
"곡물"corn (< OE corn "곡물")kaúrn "곡물"grānum "곡물"dhānya "곡물"OCS zrŭno "곡물"OPrus zirni "곡물", Lith žirnis "콩", girna "맷돌"OIr grān, W grawn "곡물"cʿorean "밀, 곡물"grurë 토스크 grun, gruni 게그 "곡물"
"들판"acre (< OE æcer "들판")akrs "들판"ager (agrī) "들판"agrós "들판"ájraḥ "풀밭"art "흙"arë "들판"
"쟁기질하다"OE erian "쟁기질하다"arjan "쟁기질하다"arō (arāre) "쟁기질하다", arātrum "쟁기"aróō "내가 쟁기질한다", árotron "쟁기"hala "쟁기"OCS orjǫ (orati) "쟁기질하다", ralo "쟁기"OPrus artun "쟁기질하다", Lith arti "쟁기질하다"MIr airim "내가 쟁기질한다", W arddu "쟁기질하다"; MIr arathar, W aradr "쟁기"ara-wr "쟁기"arë "농토"AB āre "쟁기"
"젖짜다"milk "젖" (< OE meolc, mioluc)miluks (miluks) "젖"mulgeō (mulgēre) "젖짜다"amélgō "내가 젖짠다"mā́ršti, mā́rjati, mr̥játi "(그가) 닦는다"Av marǝzaiti, mǝrǝzaiti "(그가) 스친다"Russ. CS mŭlzu (mlěsti) "젖짜다", Pol mleko "젖"OPrus milztun "젖짜다", Lith melžti "젖짜다"W blith "젖, 유제품", MIr bligim "내가 젖짠다", melg "젖"miel, mil "내가 젖짠다"A malke B malk-wer "젖"
"갈다"meal "으깬 곡물; 식사" (< OE melu)malan "갈다"molō (molere) "갈다"múllō "내가 간다"mr̥ṇāti, mr̥nati "(그가) 간다"Av mrāta- "부드럽게 무두질된"OCS meljǫ (mlětĭ) "갈다"OPrus maltun "갈다", Lith malti "갈다"OIr melim "내가 간다"; W malu "갈다"mał "체" mał-em "내가 간다, 깬다"mjell "밀가루"A malywët "네가 누른다"; B melye "그들이 짓밟는다"mallai "그가 간다"
"꿀"mildew "흰 곰팡이" (< OE mele-dēaw "단물")miliþ "꿀"mel (mellis) "꿀"méli (mélit-) "꿀"; Att mélitta "벌"milinda "꿀벌"OIr mil, W mêl "꿀"mełr "꿀"mjal, mjaltë "꿀"milit "꿀"; 팔라어 malit- "꿀"
"꿀", "꿀술"mead "꿀술" (< OE medu)midus "꿀술"mēdus "술"[553]métʰu "포도주"mádʰu "단 음료, 꿀"이란조어 mádu "꿀, 술"OCS medŭ "꿀"; Bulg med "꿀"OPrus meddu "꿀", Lith medus "꿀", Ltg mads "꿀"OIr mid "꿀술"; W medd "꿀술"B mit "꿀"[554]CLuw maddu- "술" (본디 "단 음료")
"소금"salt "소금" (< OE sealt)salt "소금"sāl (salis) "소금"háls (halós) "소금"sal-ilá- "짠"OCS solǐ "소금"OPrus sals "소금", saldus "달콤한"OIr salann, W halen "소금" "소금"ngjel-bëtë, ngjel-mëtë "짠", njel-m "짜다"A sāle, B salyiye "소금"
"심다", "씨"sow "심다" (< OE sāwan), seed "씨" (< OE sēd)saian "심다"; OHG sāmo "씨"serō (serere) "심다", sēmen "씨"sī́ra- "쟁기"OCS sějǫ (sějati) "심다", sěmę "씨들"OPrus situn "심다", simen "씨", Lith sėti "심다", sekla "씨", semenis "아마씨"OIr sīl, W hil "씨"sermn "씨"isḫūwāi "(그가) 심는다"
"멍에"yoke "멍에" (< OE ġeoc)juk "멍에"iugum "멍에"zugón "멍에"yugám "멍에"Av yaoj-, yuj- "(멍에를) 씌우다"OCS igo "멍에"OPrus jugtun "멍에", Lith jungas "멍에"W iau "멍에"luc "멍에"A yokäm "문"yugan "멍에"


4. 종교와 신화

인도유럽조어(PIE) ''*ḱlew(s)-'' "듣다"에서 파생된 단어들은 여러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듣다', '유명한' 등의 의미로 나타난다. 영어의 'listen', 'loud', 고트어의 'hliuma', 라틴어의 'clueō', 'inclitus', 고대 그리스어의 'ékluon', 산스크리트어의 'śṛṇóti', 'śrúti' 등이 그 예시이다.[229]

PIE ''*h₂ew-'' 또는 ''*h₃ew-'' "보다, 인지하다, 인식하다"는 라틴어 'audiō', 고대 그리스어 'aḯō', 'aisthánomai' 등에서 나타난다.[230][231][245][232]

PIE ''*weyd-'' "보다, 찾다; 알다"는 영어의 'wit', 고트어의 'witan', 라틴어의 'videō', 고대 그리스어의 'é(w)ide', 'oĩda', 산스크리트어의 'vindáti', 'vetti', 'véda' 등에서 나타난다.

PIE ''*woyd-'' "알다"는 아베스타어의 'vaēδa', 'vīdarǝ',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věmĭ (věděti)', 고대 프로이센어의 'waistun', 리투아니아어의 'vaistas', 'vaidila', 고대 아일랜드어의 'find', 웨일스어의 'gwn', 아르메니아어의 'gitem' 등에서 나타난다.

PIE ''*ǵénH₃-, *ǵnéH₃-sḱ-, *ǵn̥-né-h₃-'' "인식하다, 알다"는 영어의 'can', 'know', 스코틀랜드 영어의 'ken', 고트어의 'kunnan', 'kann', 라틴어의 '(g)nōscō', 'nōvī', 고대 그리스어의 'gignṓskō', 'égnōn', 산스크리트어의 'jānā́mi' 등에서 나타난다.[233][234]

PIE ''*n̥- + *ǵneh₃-tos'' "아니다" + "알다"는 영어의 'uncouth', 고트어의 'unkunþs', 라틴어의 'ignōtus', 'ignōrāntem', 고대 그리스어의 'agnṓs (agnõtos)', 산스크리트어의 'ajñāta-' 등에서 나타난다.

PIE ''*lewbʰ-'' "사랑하다; 바라다, 탐내다, 원하다; 존경하다, 칭찬하다"는 영어의 'love', 'lief', 'lofe', 고트어의 'lubō', 라틴어의 'libet', 산스크리트어의 'lúbhyati', 'lobháyati', 'lobhá', 'lobhin',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ljubiti', 'ljubŭ', 'ljuby', 러시아어의 'ljubímyj', 아르메니아어의 'lyp' 등에서 나타난다.[235][236]

PIE ''*men-'' "생각하다"는 영어의 'mind', 'munan', 'minion', 고트어의 'munan', 'muns', 'gamunds', 라틴어의 'meminī', 'reminīscor', 'mēns', 'memor', 'commentus', 'moneō', 'mōnstrum', 'Minerva', 고대 그리스어의 'mémona', 'maínomai', 'mimnḗskō', 'mnáomai', 'autómatos', 'ménos', 'Méntōr', 'manthánō', 'máthēma', 'Promētheús', 산스크리트어의 'mányate', 'mántra-',[239] 'mánas', 'máti', 'mantṛ́', 'medhā́', 'mantrín', 아베스타어의 'mainyeite', 'mazdā', 고대 페르시아어의 'mainyāhay', 현대 페르시아어의 'Došman-', 쿠르드어의 'mejî',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mĭněti', 'pamętĭ', 'myslĭ', 고대 프로이센어의 'mintun', 'minisna', 'mints', 'mentitun', 리투아니아어의 'mintis', 'minti', 'minėti', 고대 아일랜드어의 'do-moiniur', 알바니아어의 'mendoj', 토하라어 A의 'mnu', B의 'mañu', 히타이트어의 'memmāi' 등에서 나타난다.[237][238]

PIE ''*(s)mer-'' "기억하다, 신경 쓰다, 관련되다, 생각에 잠기다"는 영어의 'mammer', 'mimmer', 'mourn', 고대 영어의 'mimor', 라틴어의 'memor', 'mora', 고대 그리스어의 'mérmeros', 'mérimna', 'mártus, márturos', 산스크리트어의 'smárati', 세르비아어의 'mariti' 등에서 나타난다.[240][241][245][242]

PIE ''*teng-'' "생각하다"는 영어의 'think', 'thank', 라틴어의 'tongeō', 토하라어 A의 'tuṅk', B의 'taṅkw' 등에서 나타난다.[243][244][245]

PIE ''*mers-'' "괴롭히다, 짜증나게 하다, 소홀히 하다, 방해하다, 잊다, 무시하다"는 영어의 'mar', 산스크리트어의 'mṛ́ṣyate', 리투아니아어의 'miršti', 알바니아어의 'mërzi', 'mërzit' 등에서 나타난다.[246][247][245][248]

PIE ''*sekʷ-'' "보다, 말하다"는 영어의 'see', 'say', 고트어의 'saíƕan|사이환got', 고대 고지 독일어의 'sagen', 라틴어의 'īnseque', 고대 그리스어의 'énnepe', 산스크리트어의 'śacate',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sočiti', 리투아니아어의 'sakyti', 'sekti', 고대 아일랜드어의 'insce', 'rosc', 고대 웨일스어의 'hepp', 알바니아어의 'sheh', 토하라어 A의 'ṣotre', B의 'ṣotri', 히타이트어의 'sakuwāi-' 등에서 나타난다.

PIE ''*derḱ-'' "보다"는 중세 영어의 'torhte', 고대 그리스어의 'dérkomai', 'dérgma', 산스크리트어의 'dṛś-', 'darśayati', 'dṛṣṭá-', 고대 아일랜드어의 'dearc', 알바니아어의 'ndrri', 'ndrritje' 등에서 나타난다.[249][250][251][252]

PIE ''*(s)péḱ-'' "주시하다, 보고 있다, 계속 보고 있다"는 영어의 'spy', 라틴어의 '-spex', 'speciō', 'speciēs', 'specimen', 'spectus', 'spectrum', 'speculum', 고대 그리스어의 'skopéō', 'skopós', 'sképtomai', 'sképsis', 산스크리트어의 'spáś', 'páśyati', 'spaṣṭá-', 리투아니아어의 'spoksoti', 알바니아어의 'shpik', 'shpikje' 등에서 나타난다.[253][254][251][255]

PIE ''*kʷeḱ-'' "보다; 보여주다; ~인 것 같다"는 고대 그리스어의 'tékmar', 산스크리트어의 'kā́śate', '√caks-, caṣṭe', 'cákṣu', 'cákṣman', 아베스타어의 'cašman',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kazati', 리투아니아어의 'kušlas' 등에서 나타난다.[256][257][251][258]

PIE ''*wekʷ-'' "말하다"는 고대 영어의 'wōma', 고대 고지 독일어의 'giwahanen', 라틴어의 'vocō', 'vōx', 고대 그리스어의 'eĩpon', '(w)épos', 산스크리트어의 'vákti', 'vāk', 'vácas-', 아베스타어의 'vač-', 'vāxš', 'vačah', 현대 페르시아어의 'vāk-', 쿠르드어의 'vaj', 'bivaj-',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vikǫti', 고대 프로이센어의 'enwackēmai', 고대 아일랜드어의 'foccul', 웨일스어의 'gwaethl', 아르메니아어의 'gočem', 토하라어 A의 'wak', B의 'wek', 히타이트어의 'ḫuek-, ḫuk-' 등에서 나타난다.

PIE '''*bʰeh₂-''' "말하다, 이야기하다"는 영어의 'ban', 라틴어의 'fāma', 'fās', 'for', 'fātus', 'fateor', 'fābula', 스페인어의 'hablar', 포르투갈어의 'falar', 고대 그리스어의 'phōnḗ', 'phḗmē', 'phēmí', 'prophḗtēs', 'phásis', 산스크리트어의 'bhā́ṣā', 'bhā́ṣati', 슬라브어의 'bajka',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balii' 등에서 나타난다.[259]

PIE ''*preḱ-, *pr̥-sḱ- < *pr̥ḱ-sḱ-'' "묻다"는 스코틀랜드 영어의 'frain', 고트어의 'fraíhnan', 고대 고지 독일어의 'forscōn', 라틴어의 'precor', 'poscō', 산스크리트어의 'pṛccháti', 아베스타어의 'pǝrǝsaiti', 고대 페르시아어의 'aparsam', 쿠르드어의 'pirs', 파슈토어의 'pox̌tə́l',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prositi', 고대 프로이센어의 'prasitun', 리투아니아어의 'prašyti', 고대 아일랜드어의 'imm-chom-arc', 현대 아일랜드어의 'arco', 웨일스어의 'archaf', 아르메니아어의 'harcʿanem', 알바니아어의 'pyet', 'porosit', 토하라어 A의 'prak-', B의 'prek-' 등에서 나타난다.

PIE ''*kelh₁-, (s)kel-dʰ-'' "부르다, 울다, 소환하다"는 영어의 'haul', 'scold' 등에서 나타난다.[260][261]

PIE '''*ǵʰew-''' "붓다, 헌주하다, 부르다"는 영어의 'god', 라틴어의 'fundō', 산스크리트어의 'hotrá', 'hotṛ', 'juhóti', 'hóma', 알바니아어의 'gumoj' 등에서 나타난다.[328]

PIE '''*h₁yaǵ-''' "희생하다, 숭배하다"는 라틴어의 'ieientō', 고대 그리스어의 'hágios', 산스크리트어의 'yájati', 'yajña', 'yájus' 등에서 나타난다.[328]

PIE '''*ḱréddʰh₁eti''' "믿다"는 라틴어의 'crēdō', 산스크리트어의 'śraddhā́ ', 'śrad-dadʰāti', 아베스타어의 'zrazdā-', 고대 아일랜드어의 'cretim', 웨일스어의 'credaf' 등에서 나타난다.[328]

PIE ''*gʷerH-'' "칭찬하다, 승인하다; 고양하다"는 라틴어의 'grātus', 'grātia', 'grātuītus', 산스크리트어의 'járate', 'gṛṇā́ti', 'gūrtá-', 'gūrtí',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žrĭti', 'žrĭtva', 'žrĭcĭ', 고대 아일랜드어의 'bard', 웨일스어의 'bardd', 알바니아어의 'grah' 등에서 나타난다.[470][471][472]

PIE ''*h₁wegʷʰ-'' "약속하다, 맹세하다; 칭찬하다"는 라틴어의 'voveō, vōtum', 고대 그리스어의 'eúkhomai', 'eûkhos', 산스크리트어의 'óhate', 'ukthá', 아베스타어의 'uxδa' 등에서 나타난다.[473][474]

PIE ''*ḱwen-, *ḱwen-tos'' "거룩한"은 아베스타어의 'spəṇta',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svętŭ', 리투아니아어의 'šveñtas' 등에서 나타난다.[328][317]

PIE ''*seh₂k-'' "거룩한"은 라틴어의 'sanciō', 'sānctus', 'sacer' 등에서 나타난다.[476][477]

5. 자연 환경

는 '눈물'을 뜻하며, 영어의 'tear'(OE ''tēar, tæhher''), 고트어의 'tagr', 라틴어의 'lacrima', 고대 그리스어의 'dákru', 산스크리트어의 'áśru', Av의 'asrū-'와 연관된다.[531] 이 외에도 OPrus의 'assara', Lith의 'ašara', OIr의 'dēr', W의 'deigr', 콘월어의 'dagr', 아르메니아어의 'artawsr', 토하라어 A의 'ākär', B의 복수형 'akrūna', 히타이트어의 'isḫaḫru'도 '눈물'을 의미한다.

는 '혀'를 뜻하며, 영어의 'tongue'(OE ''tunge''), 고트어의 'tuggō', 라틴어의 'lingua'(고어 'dingua')와 연관된다.[531] 산스크리트어의 'jihvā́', Av의 'hizvā', OPers의 'hizān', Parth의 'ezβān',[531] OCS의 'języ-kŭ', OPrus의 'inzuws', Lith의 'liežuvis', 켈트어파의 'teng', W의 'tafod', 아르메니아어의 'lezu', 토하라어 A의 'käntu', B의 'kantwo'도 '혀'를 의미한다.

는 '피'를 뜻하며, 고어 라틴어의 'aser', 'sanguis', 고대 그리스어의 'éar', 산스크리트어의 'ásṛj, ásr̥k, asnáḥ'와 연관된다.[531] Lat의 'asins', Ltg의 'asnis', 아르메니아어의 'ariwn', 토하라어 A의 'ysār', 히타이트어의 'ēsḫar (esḫanas)'도 '피'를 의미한다.

는 '턱, 뺨'을 뜻하며, 영어의 'chin'(OE ''c̣inn''), 고트어의 'kinnus', 라틴어의 'gena', 고대 그리스어의 'génus (génuos)', 'gnátʰos, gnatʰmós'와 연관된다.[531] 산스크리트어의 'hánu-ṣ', 'gaṇḍa', Av의 'zānu-', OPers의 'danūg', Parth의 'zanax', NPers의 'gune', 'chune', OPrus의 'żauna', Lith의 'žándas', OIr의 'gi(u)n', W의 'gên', 복수형 'geneu', 고대 콘월어 복수형 'genau', 아르메니아어의 'cn-awt', 토하라어 A의 'śanwe-m'도 '턱, 뺨'을 의미한다.

, 는 '무릎'을 뜻하며, 영어의 'knee'(OE ''cnēo''), 고트어의 'kniu', 라틴어의 'genū', 고대 그리스어의 'gónu', 'pró-kʰnu'와 연관된다.[531] 산스크리트어의 'jā́nu', 'pra-jñuḥ', Av 대격 'žnūm', 여격/탈격 복수 'žnubyō', 'fra-šnu-', Parth의 'zānūk', NPers의 'zānū', 아르메니아어의 'cunr', 주격 복수 'cungkʿ', 알바니아어의 'gjuni', 토하라어 A의 'kanweṃ', B의 'keni', 히타이트어의 'genu'도 '무릎'을 의미한다.

는 '이'를 뜻하며, 영어의 'comb'(OE ''camb''), OHG의 'kamb', 고대 그리스어의 'gómphos', 'gómphíos'와 연관된다.[531] 산스크리트어의 'jámbha-', 'jámbhya-', 파슈토어의 'žâma', 호탄어의 'ysīmä',[532] OCS의 'zǫbŭ', Ukr의 'zub', Pol의 'ząb', Latv의 'zùobs', Lith의 'žam̃bas', 알바니아어의 'dhëmb', 토하라어 A의 'kam', B의 'keme'도 '이'를 의미한다.

, 는 '이'를 뜻하며, 영어의 'tooth'(OE ''tōþ''), 고트어의 'tunþus', 라틴어의 'dēns (dentis)', 고대 그리스어의 'odṓn (odóntos)'와 연관된다.[531] 산스크리트어의 'dán, dántaḥ', Av의 'dantan-, dātā', NPers의 'dandân', Russ.의 'desná', OPrus의 'dants', Lith의 'dantis', OIr의 'dēt', W의 'dant', 아르메니아어의 'atamn'도 '이'를 의미한다.

는 '뼈'를 뜻하며, 라틴어의 'os (ossis)', 고대 그리스어의 'ostéon', 산스크리트어의 'ásthi (asthnáḥ)'와 연관된다.[531] Av의 'ast-, asti-', NPers의 'ostoxan', OCS의 'kostĭ', OIr의 'asil', MIr의 'asna', MW의 'ass-en, asseu', W의 'asgwrn', 아르메니아어의 'os-kr', 알바니아어의 'asht, ahstë', 토하라어 B의 'āy', 복수형 'āsta', 히타이트어의 'ḫastāi-'도 '뼈'를 의미한다.

는 '귀'를 뜻하며, 영어의 'ear'(OE ''ēare''), 고트어의 'áusō', 라틴어의 'auris', 고대 그리스어의 'oũs', 산스크리트어의 'ūṣa'와 연관된다.[531] Av의 'uši', NPers의 'hoš', OCS의 'ucho (ušese)', OPrus의 'auss', Lith의 'ausis', OIr의 'āu, ō', 아르메니아어의 'unkn', 주격 복수 'akanǰkʿ', 알바니아어의 'vesh'도 '귀'를 의미한다.

는 '눈'을 뜻하며, 영어의 'eye'(OE ''ēage''), 고트어의 'áugō', 라틴어의 'oculus', 고대 그리스어의 'ósse', 'ómma', 'ökkon'[533]와 연관된다.[531] 산스크리트어의 'ákṣi (akṣṇáḥ)', Av의 'aši', OCS의 'oko', OPrus의 'aks', Lith의 'akis', OIr의 'enech', W의 'enep', 아르메니아어의 'akn', 주격 복수 'ačʿkʿ', 알바니아어의 'sy', 토하라어 A의 'ak', B의 'ek'도 '눈'을 의미한다.

는 '심장', 는 '믿다'를 뜻하며, 영어의 'heart'(OE ''heorte''), 고트어의 'haírtō', 라틴어의 'cor (cordis)', 'crēdō', 고대 그리스어의 'kardíā', 'kradíē', 'korízdā', 시적 표현 'kẽr (kẽros)'와 연관된다.[531] 산스크리트어의 'hṛd', 'hṛdaya, hārdi', 'śrad-dadʰāti', Av의 'zǝrǝd', 'zrazdā-', OCS의 'sŭrdĭce', 'serda', OPrus의 'siran', 'serds', Lith의 'širdis', 'šerdis', OIr의 'cride', W의 'craidd', OIr의 'cretim', W의 'credaf', 아르메니아어의 'sirt', 토하라어 A의 'kri', B 복수형 'käryāñ', Hitt의 'karz (kardias)', Luw의 'zarza'[534]도 '심장'을 의미한다.

는 '(몸 밖으로 나온) 피'[535]를 뜻하며, 영어의 'raw'(OE ''hræw'' "시체"), ON의 'hrár', 라틴어의 'cruor', 'crūdus', 고대 그리스어의 'kréas', 'kréa', 산스크리트어의 'krávis-', 'kravyá', 'krūrá'와 연관된다.[535] Av의 'xrūra', 'xrūma', 'vi-xrūmant-', 'xrvi.dru', YAv의 'xrvišyant',[536] OCS의 'kry', Rus의 'krovǐ', OPrus의 'crauyo', 'krawian', Lith의 'kraũjas', Latv의 'kreve',[537] OIr의 'crúaid', MIr의 'crū'도 '피'를 의미한다.

는 '코'를 뜻하며, 영어의 'nose'(OE ''nosu''), ON의 'nǫs', 라틴어의 'nāsus, nāris', 산스크리트어의 'nas-'와 연관된다.[535] Av의 'nāh-, nā̊ŋhan-', OPers 대격 단수 'nāham', OCS의 'nosŭ', OPrus의 'nasi', Lith의 'nosis'도 '코'를 의미한다.

, 는 '발'을 뜻하며, 영어의 'foot'(OE ''fōt''), 고트어의 'fōtus', 라틴어의 'pēs (pedis)', 고대 그리스어의 'poús (podós)', 산스크리트어의 'pāt (padáḥ)'와 연관된다.[535] Av의 'pad-', OPers의 'pād', Parth의 'pāδ', NPers의 'pa', OCS의 'pěšǐ', OPrus의 'pida', Lith의 'pėda', OIr의 'īs', W의 'is(od)', 아르메니아어의 'otn', 'otkʿ', 알바니아어의 'poshtë', 토하라어 A의 'pe', B의 'paiyye', 히타이트어의 'pata-', 루위어의 'pata-'도 '발'을 의미한다.

, 는 '간'을 뜻하며, 라틴어의 'jecur (jecinoris)', 고대 그리스어의 'hẽpar (hḗpatos)', 산스크리트어의 'yákr̥t (yaknáḥ)'와 연관된다.[535] Av의 'yākarǝ', NPers의 'ǰigar', 파슈토어의 'yī̆na', 세르비아어의 'jetra', 세르비아어Mcd의 'ikra', OPrus의 'jakna', Lat의 'aknas', Lith의 'jeknos', W의 '(i)afu', MIr의 'i(u)chair (i(u)chrach)', 아르메니아어의 'leard', 루위어의 'ikkuwar/n-'도 '간'을 의미한다.

~ 는 '손'을 뜻하며, 라틴어의 'hir', 고대 그리스어의 'kheír', 산스크리트어의 'hás-ta'와 연관된다.[535] Av의 'zas-ta', 아르메니아어의 'jeṙ', 알바니아어의 'dorë', 토하라어 A의 'tsar', B의 'ṣar', 히타이트어의 'keššar',[539] 루위어의 'īssaris'도 '손'을 의미한다.

6. 수사

인도유럽조어영어고트어라틴어고대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이란어군슬라브어파발트어파켈트어파아르메니아어알바니아어토하라어히타이트어
, "하나"one (< OE ān)ainsūnus (고어 oinos)oĩnos "(주사위의) 하나", oĩ(w)os "혼자"(ēka- < *oi-ko-; 미탄니 아리아어 aika-vartana "한 바퀴")[519]Av aēva-, OPers aiva- "하나, 오직, 혼자"OCS inŭ "하나, 또 하나"Lith víenas, OPrus ainsOIr ōen, W unandr-ēn "바로 저기", ast-ēn "바로 여기"? 게그 tânë, 토스크 tërë "모두" < PIE ', ??? një "하나" < *ňân < PIE B -aiwenta "group" < "*unit"
, 중성 "둘"two (< OE twā)twái (여성 twōs, 중성 twa)duodúōdvā́(u)Av dva, 여성 중성 baē, NPers doOCS dŭvaLith dù, OPrus dwaiOIr da, W dau (여성 dwy)erkudyA wu, B widā-, 리키아어 cbi-/tbi-
(여성 , 중성 ) "셋"three (< OE þrīe)þreistrēstreĩstráyaḥ (여성 tisráḥ)Av ϑrayō, ϑrayas (여성 tisrō, 중성 ϑri), OPers çi-, Parth hrēOCS trĭjeLith trỹs, OPrus tris, Latg treisOIr trí (여성 téoir), W tri (여성 tair, teir)erekʿtre 남성, tri 여성A tre, B traitri- "셋"; teriyas- (속격 복수)
(여성 , 중성 ) "넷"four (< OE fēower)fidworquattuortéssares남성 catvā́raḥ (대격 catúraḥ), 중성 catvā́ri, 여성 cátasraḥAv 남성 čaϑwārō (대격 čaturąm), 여성 čataŋrō; NPers čahārOCS četyreLith keturì, OPrus kettureiGaul petuar[ios][521], OIr ceth(a)ir (여성 cethēoir, 여성 tēoir "셋"의 영향), W pedwar (여성 pedair)čʿorkʿ, kʿaṙ (드묾)katërA śtwar, B śtwer
"다섯"five (< OE fīf)fimfquīnquepéntepáñca; 미탄니 아리아어 panza-[522]Av pančaOCS pętĭLith penkì, OPrus penkeiGaul pinpe-, pompe[524], OIr cóic, W pum(p)hingpesëA päñ, B piś
"여섯"six (< OE siex)sáihssexhéx, dial. wéxṣáṣAv xšvašOCS šestĭLith šešì, OPrus uššaiCeltib sues[525], Gaul suexos, OIr sé, W chwe(ch)vecʿgjashtëA ṣäk, B ṣkas
"일곱"seven (< OE seofon)sibunseptemheptásaptá; 미탄니 아리아어 šatta-[526]Av haptaOCS sedmĭLith septynì, OPrus septinneiOIr secht, W saitheawtʿnshtatëA ṣpät, B ṣuktsipta-
"여덟"eight (< OE eahta)ahtáuoctōoktṓaṣṭā́(u)Av aštaOCS osmĭLith aštuonì, OPrus astonei, Latg ostoniGaul oxtu-[527], OIr ocht n-, W wythutʿtetë < ''A okät, B okt
"아홉"nine (< OE nigon)niunnovemennéanávaAv navaOCS devętĭ < *newn̥-ti- ('' "열"의 영향)Lith devynì ('' "열"의 영향), OPrus newineiOIr noí n-, W nawinnnëntë < *newn̥-ti-AB ñuLyc nuñtãta[528]
"열"ten (< OE tien)taíhundecemdékadáśaAv dasaOCS desętĭLith dẽšimt, OPrus desimtanGaul decam-[529], Celtib tekam-[530], OIr deich, W deg, dengtasndhjetë < ''A śäk, B śak
"스물" < "두 열"(재구성됨)(재구성됨)vīgintīeíkosiviṁśatí, dviṁśatíAv vīsaiti, 오세트어 insäi(재구성됨)Lith dvidešimtOIr fiche (fichet), OW uceintkʿsanzetA wiki, B ikäṃ
"백" < hundred (< OE hund, hund-red)hunda (복수)centumhe-katónśatámAv satǝmOCS sŭtoLith šim̃tas, OPrus simtanOIr cét, W can(t)A känt, B kante


7. 형용사

PIE영어고트어라틴어고대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이란어군슬라브어파발트어파켈트어파아르메니아어알바니아어토하라어히타이트어
"가운데"mid, middle "가운데" (< OE mid, middel)midjis "가운데"medius "가운데"més(s)os "가운데"mádʰya- "가운데"Av maiδya- "가운데"OCS meždu "사이", Russ. meža "테두리"OPrus meddin (마을 사이의) "숲", Lith medis "나무"OIr mid- "가운데" < ; MW mei- "가운데" <mēǰ "가운데"mes, mjet "사이, 가운데"  
"큰"much "많은" (< OE myc̣el "큰, 많은")mikils "큰"magnus "큰"mégas "큰"máhaḥ, mahā́nt- "큰"Av mazant- "큰" OPrus mazs "더 작은", Lith mažas "작은"OIr mochtae, MIr mag-, maige "큰"mec "큰"madh "큰"A mak, B makā "많은"mekkis "큰"
"무거운" kaúrus "무거운"grāvis "무거운"barús "무거운"gurúḥ "무거운"Av gouru- "무거운-", NPers girān "무거운" < ( "가득한"의 영향)OCS gromada "큰, 거대한", gruz "짐, 무거운 것"OPrus garrin "나무", Lith geras "좋은"MIr bair "무거운(?)", W bryw "강한" zor "힘"A kra-marts "무거운(?)", B krā-mär "짐" < 
, , "가벼운"light "가벼운" (< OE lēoht)leihts "가벼운" < ; OHG lungar "빠른" <levis "가벼운" <elakʷʰús "작은" < , elapʰrós "가벼운, 빠른" <lagʰú-, ragʰú- "빠른, 가벼운, 작은"Av ragu-, 여성 rǝvī "빠른", 최상급 rǝnjišta- "가장 빠른"OCS lŭgŭkŭ "가벼운"OPrus langus "가벼운", langsta "창문", lankewingis "유연한", linktwei "구부리다", Lith lengvas "가벼운", lankstus "유연한", langas "창문", lenkti "구부리다"OIr laigiu, laugu, MW llei "더 작은" lehtë "가벼운"B lankutse "가벼운" 
, , "붉은"red "붉은" (< OE rēad < )rauþs (raudis) "붉은" <ruber "붉은" < ; Umb rufru "붉은"Myc e-ru-ta-ra, e-ru-to-ro;[560] erutʰrós "붉은" <rudʰirá- "붉은" < 과 의 혼합; rṓhita- "붉은"; lōhá- "불그스름한" <Av raoiδita- "붉은"OCS rudŭ "붉은"; 체코어 rudá "붉은"; Pol rudy "털이 붉은"[562]Lith raũdonas "붉은", rudas "갈색의"OIr rúad, W rhudd "붉은", rhwd "rust"; Gaul Roud- (인명에 쓰임)[563]  A rtär, B ratre "붉은" < 
"녹색의, 노란"[564]gold "금"; yellow "노란" (< OE geolu); yolk "노른자" (< OE ġeoloca)gulþ "금"helvus "꿀처럼 노란"; gilvus "(말이) 옅은 노란색의"[565]kʰlōrós "연녹색의"Skt híraņyam "금"; hári- "노란"Av zaranyam "금"; zári "노란"OCS zelenĭ "green"; Rus zóloto "금";Latv zèlts "금"; Lith geltas "노란"; žel̃vas "금빛의"; žalias "녹색의"MWel gell "노란"    
"빛나는, 밝은" "흰 금속(은)"[569]  argentum "은"; Fal arcentelom "은 동전"Myc a-ku-ro,[570] árguros "은"; argós "흰, 밝은"Skt rajatá "은, 은빛의"Av ərəzatəm "은"  Celtib arkato[bezom] "은 [광산]"; Ir Airget[lám] "은[으로 된 손](누아다의 칭호)"; OIr argat, OW argant "은"arcat‘ "은" A ārkyant "은"; A ārki-, B ārkwi "흰"ḫarkiš "흰, 밝은"
, "다른"; "두번째"else "다른, 나머지" (< OE elles); other "다른" (< OE ōþer)aljis, anþar "다른"alius "다른"állos "다른"anyá-, ántara- "다른"Av anya-, ainya-, OPers aniya- "다른"; 오세트어 ändär "다른"; 동이란어군 hal-ci "누구든"고대 소르브어 wutory "다른" < PSlavOPrus antars "두번째", Lith antras "두번째"OIr aile, W ail "다른"ayl "다른" A ālya-kə, B alye-kə "또다른"리디아어 aλa- "다른"
"새"new "새" (< OE nīwe)niujis "새"novus "새"né(w)os "새"náva- "새"Av nava- "새"OCS novŭ "새"OPrus nawas "새", Lith naujas "새"OIr nūë, W newydd "새"nor "새" < A ñu, B ñune "새"newa- "새"
"젊은"young (< OE ġeong < )juggs "젊은"juvenis "젊은" yúvan- (yū́naḥ) "젊은"Av yvan-, yavan- (yūnō) "젊음, 젊은이"OCS junŭ "젊은"Lith Jaunas "젊은"OIr ōac "젊은", W ieuanc "젊은" <    
"늙은" sineigs "늙은"senex "늙은"hénos "예전의"sánaḥ "늙은"Av hana- "늙은"OCS sedyi "머리가 회색인"OPrus sentwei "늙다", Lith senas "늙은"OIr sen "늙은", 고대 웨일스어 hen "늙은"hin "늙은"   
"발가벗은"naked (< OE nacod "발가벗은")naqaþs "발가벗은"nudus "발가벗은"gumnós "발가벗은"nagnáḥ "발가벗은"NPers loxt "발가벗은"OCS nagŭ "발가벗은"OPrus nags "발가벗은", Lith nuogas "발가벗은"OIr nocht "발가벗은"; W noeth "발가벗은, 맨"   nekumant- "발가벗은, 맨"


8. 대명사

인도유럽조어의 대명사는 재구성이 특히 어렵다. 인도유럽조어는 굴절어였으며, 명사는 주격, 대격, 속격, 여격, 호격, 탈격, 처격, 도구격의 8가지 격으로 굴절되었다. 대명사도 명사와 마찬가지로 굴절되었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첫째, 대명사는 주격과 다른 격의 어간이 다른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1인칭 단수 대명사의 주격은 *éǵh₂ (*나)였지만, 대격은 *h₁mé (*나를)이었다.

둘째, 대명사는 단수, 복수 외에 쌍수(두 명/개를 가리키는 형태)를 가졌다.

셋째, 대명사는 성(性) 구분이 없었다.

넷째, 3인칭 대명사가 따로 없었고, 지시대명사를 3인칭 대명사로 사용했다.

다섯째, 대명사에는 전접어(proclitic)와 접어(enclitic) 형태가 있었다. 전접어는 다른 단어 앞에 붙는 형태이고, 접어는 다른 단어 뒤에 붙는 형태이다.

다음은 인도유럽조어의 대명사를 재구성한 표이다.

PIE영어고트어라틴어고대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이란어군슬라브어파발트어파켈트어파아르메니아어알바니아어토하라어히타이트어
*éǵh₂I (< OE ic̣)ikegō (< *egoH₂)egṓ, egṓnahám (< *egH₂-om)Av azǝm, OPers adam, Parth. az (< *egH₂-om); 쿠르드어 (직격)OCS azŭLith àš, OLith , OPrus as, Latv esesesu, unëñukūk (ammuk의 영향을 받음)
*h₁méme (< OE , mec < *H₁me-ge)mikmē(d)emé, memām (< *H₁mē-m), (대격 전접어)Av mąmOCS (< *H₁mē-m)Lith manèOIr me-sse, mé, W miismua, mue (< *H₁mē-m)ammuk (대격, 여격) (< *H₁me-ge), -mu (대격 전접어)
*H₁meǵʰi, *(H₁)moime (< OE )mis (여격)mihi (여격)moi (여격, 속격 전접어)máhya(m) (여격), mḗ, me (여격 전접어)Av maibya (여격), me (고아베스타어 moi) (여격 전접어)OCS mi (여격 전접어) (< *(H₁)moi)Lith man, OPrus maiy (여격 전접어)OIr 접요사 -m-; W ''-m''' (1인칭 단수 대격 접요사)inj (여격)mejeammuk (대격, 여격) (< *H₁me-ge), -mi (여격 전접어)
*H₁meme-, *H₁mene-, *H₁mo-yo-, *H₁me-yo-my, mine (< OE mīn < *H₁mei-no-)meins; meinameī; meus (< *H₁me-yo-)emeĩo; emósmáma; ma/mā (< *H₁mo-)Av mana, OPers manā; Av ma (m/n), (f)OCS mene, moj/a/e (남/여/중성)Lith mana(s), OPrus mais/maiaW fyn; 브르타뉴어 maimim (관사 i + em)AB ñi (< 토하라조어 *mäñi)miš (< *H₁me-yo-)
*tuthou (< OE þū)þu도리스 (표준어 )t(u)vám;Av , NPers toOCS tyLith , OPr tuOIr tū, tu-ssu, tu-sso, W tidutiA tu, B t(u)wezik, zikka (< *tega < *te + *egō)
*wei, *n̥s-mé, *noswe (< OE ), us (< OE ūs < PGerm *uns < *n̥s)weis, unsnōshēm-; Aeol ámme (< *asme < *n̥sme)vay-ám (< *wei-óm), asmān (< *n̥sme + 대격 -ān), 전접어 naḥ (< *nos)Av vaēm, ahma, 전접어 nǝ̄, nā̊, nōBulg nìe, OCS 속격 nasŭ (< *nōs-sōm)Lith mès; OPr 속격 nōuson (< *nōs-sōm)OIr ni (ar n- (< *n̥s-rō-m); W ni (< *nēs)na (< *nŏs), ne (< *nōs)A was, B weswēs (< *wei-es), anzāš, 전접어 naš
*yū, *us-wé, *us-mé, *wosye (< OE ), you (< OE ēow)jūs, izwisvōshum-; Aeol úmme (< *usme)yūyám, yuṣmā́n (< y- + *usme + 대격 -ān), 전접어 vaḥ (사격)Av yūžǝm, yūš, yūšmat̃ (탈격), 전접어 vā̊ (사격)OCS vy (주격, 대격), vasŭLith jũs, jũsų; OPr iousonOIr sī, sissi (< *sw-), uai-b (< *ō-swī), NIr far n-; W chwi (< *sw-)ju (< *u < *vos)A yas, B yessumes (< *usme)
*s(w)e-self (< OE self, seolf)swes (속격 재귀대명사), OHG sih (재귀대명사) (재귀대명사) (재귀대명사)sva- (재귀대명사)아베스타어 hva- (재귀대명사)Bulg sèbe, OCS svoji (속격 재귀대명사)Lith sava(s), OPrus swajsOIr fein; W hun(an)iwrvetëA ṣn-i, B ṣañ리디아어 ''sfa- (재귀대명사), 카리아어 sfes''' (재귀대명사)
*kʷid, *kʷodwhat (< OE hwæt)ƕaquid, quod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kímNPers či, čeBulg kakvò, OCS čь-toLith kàd (보문소); OPrus kawidsOIr cid*i (ēr) (< *hi), inčʿ (< *hi-nč’')çfarëkuit (?), kuit-ki; 루위어 kuit
*kʷis, *kʷos, *kʷei/*kʷoiwho (< OE hwā < *kʷoi)ƕasquis, quītís, Thess kís, CyprArc sís, tìskáḥ, kíḥAv kō (ka-hyā, ča-hyā), čišBulg kòj, OCS kъ-to (česo)Lith kàs; OPrus kasOIr cia, W pwyо (oyr)"A" "B" kush 대격A kus, B kusekuiš
*-kʷe-(u)h, ƕaz-uh-que, quis-que; 베네티어 -ke; 남피케눔어 -p-te, tís te, hós-te-ca, káś-caAv ča, OPers čā; Av čiš-ca, OPers čiš-čiyBulg če; 고대 체코어 a-če, OIr na-ch, MW nac (< *그리고 ~가 아니라)o-kʿ리디아어 -k; Hitt kuis-ki, 리키아어 ti-ke
*n̥-un- (< OE un-)un-in- (고어 en-)a-, an-a-, an-, na-Av, OPers a-, an-OCS ne- (< *ne-)Lith ne- (< *ne-), OPrus ni-OIr in-, ē-, an-, W an-an-nukAB a(n)-, am-, e(n)-, em-, on-



이 표는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에서 나타나는 대명사 형태를 비교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모든 언어에서 모든 형태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형태는 재구성이 불확실하다.

9. 동사

인도유럽어족의 동사는 인도유럽조어에서 재구되며, 여러 파생 언어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10. 각주

[360][361][362][363][364][365][366][367][368][369][370][371][372][373]

참조

[1] 문서 Dnghu
[2] 문서 Pokorny
[3] 문서 Dnghu
[4] 문서 Pokorny
[5] 문서 Mallory & Adams 2006
[6] 문서 Dnghu
[7] 문서 Pokorny
[8] 문서 Mallory & Adams 2006
[9] 서적 New Express Romani (Gypsy) 2018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Gypsies Scarecrow Press 2007
[11] 서적 The Reflexes of the Proto-Indo-European Laryngeals in Celtic Brill 2012
[12]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Routledge 2013
[13] 문서 Dnghu
[14] 문서 Pokorny
[15] 간행물 Gaulish SUIOREBE 'with two sisters' 2015-12-01
[16] 서적 The accentuation of the PIE word for 'daughter'
[17] 문서 Dnghu
[18] 문서 Pokorny
[19] 문서 Mallory & Adams 2006
[20] 문서 "De synonymia Mycenaea': términos griegos equivalentes de distintos reinos micénicos" 2017
[21] 문서 "De synonymia Mycenaea': términos griegos equivalentes de distintos reinos micénicos" 2017
[22] 간행물 Celtic 'son', 'daughter', other descendants, and *sunus in Early Celtic 2013-01
[23] 간행물 Contributions to Celtiberian Etymology II https://ifc.dpz.es/o[...] 2006
[24] 간행물 A synchronic and diachronic reappraisal of Indo-European *dʱug̑ʱh2ter- 'daughter' and *suhxnú- 'son' in Celtic dialects, Insular and Continental 2023
[25] 간행물 On Kinship Terms in Hieroglyphic Luwian 1990
[26] 서적 MUNUS/Fduttarii̯ata/I- and Some Other Indo-European Maidens
[27] 문서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Hittite Inherited Lexicon https://hdl.handle.n[...] Leiden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Series 5. Leiden, The Netherlands; Boston 2008
[28] 문서 “Indo-European kinship terms in *-ə̯2TER.” http://hdl.handle.ne[...] 2001
[29] 간행물 Selected Pisidian problems and the position of Pisidian within the Anatolian languages 2017
[30] 문서 The meaning of Celtic *eburos 2015
[31] 간행물 El Tercer Bronce de Botorrita, veinte años después https://ifc.dpz.es/o[...] 2013
[32] 간행물 Deis Equeunubo: The Divine Twins in Asturia 2010
[33] 간행물 Tocharian B soy, A se and Related Forms 1985-04
[34] 문서 Monier Williams
[35] 문서 Fortson
[36] 간행물 Dnghu
[37] 간행물 Pokorny
[38] 논문 Tocharian B santse 'daughter-in-law' https://scholarlypub[...] 2021-11-08
[39] 간행물 Beekes
[40] 뉴스 вуйко - Словник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 значення слова, це http://ukrlit.org/sl[...] 2021-02-07
[41] 논문 Old Irish aue 'descendant' and its descendants http://mural.maynoot[...] 2019-09-18
[42] 논문 Syllable Weight Gradation in the Luwic Languages 2020-07
[43] 간행물 Dnghu
[44] 간행물 Pokorny
[45]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Une approche linguistique du vieux-celtique continental" Errance
[46] 간행물 Derksen
[47] 논문 Podstawowe składniki białoruskiej narracji sakralnej w perspektywie porównawczej 2012
[48] 서적 Thracian Language and Greek and Thracian Epigraphy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49] 서적 'Hittite Etymological Dictionary - Volume 4: Words beginning with Κ' Mouton de Gruyter
[50] 서적 Anatolian Historical Phonology Rodopi
[51] 논문 Two Notes on Lydian https://www.talanta.[...]
[52] 서적
[53] 서적
[54] 간행물 Mallory
[55] 간행물 Dnghu
[56] 간행물 Pokorny
[57] 간행물 Beekes
[58] 논문 Teutomatos 1939
[59] 논문 Le nom des Vénètes et leur expansion https://www.persee.f[...] 2009
[60] 논문 The origin of Lat. Aqua, and of *teuta 'people' 1998
[61] 논문 'Cimbri' et 'Teutoni' https://journals.lki[...] 2020
[62] 논문 Some remarks on the etymology of *teutā, πλῆθος, plēbs https://www.studiesa[...] 2012-01-16
[63] 논문 Indo-European Warfare 2006-10
[64] 서적 Prolegomena
[65] 문서 '*us-we' is the original form, modified to '*us-me' in many languages under the influence of 1st. pl. '*n̥s-mé'. Very often when '*us-we' remained, the initial u- was lost; this happened at least in Germanic, Avestan and Celtic.
[66] 문서 OE ēow (acc., dat.) and ēow-ic̣ (acc., with the same -c̣ ending visible in 1st. sg. acc. mēc̣ "me", also modern German mich "me"), likewise Old High German iuwih "you (acc./dat. pl.)" (modern euch'), appear to have the same origin as izw- in Gothic izwis "you (acc./dat. pl)", with unexplained loss of -z-.\
[67] 논문 About the Mitanni Aryan gods
[68] 문서 All suggested etymologies of '''një''' "one" are highly speculative, at best. This etymology is one of two given by E. Hamp in ''Indo-European Numerals'' (Jadranka Gvozdanović, ed., 1992), pp. 903-904; the other is simply from PIE ''*eni-'' (or ''*H₂en-)'', a PIE [[deictic]] particle visible in Sanskrit ''anyá-'' "the other", OCS ''onŭ'' "that one", Lithuanian ''anàs'' "that one". Michiel de Vaan, in a review of Demiraj's ''Sistemi i numerimit'', suggests PIE ''*H₂en-io-no-'' > pre-Proto-Albanian ''*ëńán'' > Proto-Albanian ''*ńâ'' > ''një''. M. Huld (''Basic Albanian Etymologies'', p. 101) attempts to derive '''një''' from PIE ''*sm-iH₂''
[69] 서적 "Anatolian laryngeals in Milyan" Museum Tusculanum Press
[70] 논문 "Anatolian *meyu- ‘4, four’ and its cognates"
[71] 문서 Accent location unknown
[72] 서적 Die Sprache der Thraker Hieronymus Verlag
[73] 간행물 Gaulish language 2008
[74] 문서 "The semantics of numerals" 1990
[75] 간행물 Phrygian & Greek https://talanta.nl/w[...]
[76] 간행물 New Luvo-Lycian Isoglosses 1989
[77] 서적 Anatolian Mouton de Gruyter
[78] 서적 Pueblos, lengua y escrituras en la Hispania Prerromana Ediciones Universidad Salamanca
[79]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80] 문서 Dnghu
[81] 문서 Pokorny
[82] 문서 Dnghu
[83] 문서 Pokorny
[84] 웹사이트 Raham Asha, Phonology of Pārsīg http://www.parsig.or[...] 2010-11-16
[85] 서적 The Gums of the Teeth in the Iranian Languages Peeters
[86]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ὄκκον https://www.perseus.[...]
[87] 문서 Delamarre 2003
[88] 서적 A Luwian Heart Elite
[89] 문서 Dnghu
[90] 문서 Pokorny
[91] 간행물 Indo-European *'kreuH' 1977-01-01
[92] 간행물 Old east Iranian dialects https://link.springe[...] 1976-11-01
[93]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Routledge
[94]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95] 간행물 "[http://journals.lki.lt/actalinguisticalithuanica/article/view/1066 Le denominazioni del sangue in area baltica]" 2007
[96] 문서 Dnghu
[97] 문서 Pokorny
[98] 문서 Mallory & Adams 2006
[99] 문서 Dnghu
[100] 문서 Pokorny
[101] 문서 Mallory & Adams 2006
[102] 문서 Monier Williams
[103] 문서 Dnghu
[104] 문서 Pokorny
[105] 문서 Mallory & Adams 2006
[106] 논문 Vieux pruss. lagno, lit. jẽknos: apophonie radicale et formation hétéroclitique https://resbalticae.[...]
[107] 논문 On Tocharian A cognates of the Tocharian B words meaning 'spleen' and 'liver' https://www.degruyte[...] 2023
[108] 서적 Anatolian Verbal Stem Formation
[109] 논문 Shaft-shedding Artemis and mind-voiding Ate: Hittite determinants of Greek etyma 1992
[110] 문서 Dnghu, p. 2124
[111] 문서 Pokorny, pp. 740-741
[112] 문서 Mallory & Adams (2006), p. 179
[113] 문서 Dnghu, p. 322
[114] 문서 Dnghu, p. 514
[115] 문서 Dnghu, pp. 2373-2376
[116] 문서 Pokorny, pp. 825-826
[117] 문서 Monier Williams, p. 581.
[118] 논문 Minos. Revista de Filologia Egea https://www.persee.f[...] 1991
[119] 문서 Complex ablauting stem
[120] 논문 Stang's Law and the Indo-European word for 'cow' https://biblio.ugent[...] 2011-12-14
[121] 문서 Delamarre (2003), p. 80.
[122] 논문 Studies in Hittite-Luwian Names 1978-09-01
[123] 논문 Palaic Words for Domestic Animals and their Enclosures 2018-12-07
[124] 문서 Mallory, p. 25f.
[125] 문서 Beekes, p. 35.
[126] 문서 Dnghu, pp. 219-220.
[127] 문서 Pokorny, p. 86.
[128] 문서 Mallory & Adams (2006), §9.3.
[129] 문서 Monier Williams, p. 949.
[130] 논문 Indo-European 'bear' 2017
[131] 논문 The word for 'dog' and the sequence *wH + consonant in Indo-european 1973
[132] 논문 The etymology of Myc. ku-na-ke-ta-i, Ion.-Att. κυνηγέτης, and Myc. ra-wa-ke-ta, Dor. γᾱγέτᾱς 2015
[133] 서적 Proto-Indo-European: Comparison and Reconstruction Routledge
[134] 간행물 Palaic Words for Domestic Animals and their Enclosures https://www.academia[...] 2018
[135] 문서 Pokorny, p. 1118.
[136] 문서 Beekes, p. 37.
[137] 서적 Albanian Etymological Dictionary Brill
[138] 논문 Baltic and Slavic 'fox' 1998
[139]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140] 서적 A Dictionary of Tocharian B.: Revised and Greatly Enlarged https://books.google[...] Rodopi
[141] 서적 Tocharian and Indo-European Studies vol.12 Museum Tusculanum Press 2011
[142] 간행물 Place-names of the Ebro Valley: their linguistic origins https://ifc.dpz.es/o[...] 2008
[143] 서적 Dictionary and Thesaurus of Tocharian A Harrassowitz Verlag 2009
[144] 서적 Language and Meter
[145] 서적 On the Trail of the Dee: Hittite kurāla- Eisenbrauns 2003
[146] 서적 Documents in Mycenaean Greek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1956
[147] 웹사이트 БОБЕР - тлумачення, орфографія, новий правопис онлайн https://slovnyk.ua/i[...] 2021-02-07
[148] 간행물 On Specific Zoological Isoglosses between Celtic and (Balto-)Slavic 2012
[149] 간행물 St Paraskeve in the Balkan Context 2010
[150] 문서 Russian and Bulgarian folk-lore stories https://archive.org/[...] G. Standring 1907
[151] 서적 Supernatural beings from Slovenian myth and folktales Institute of Slovenian Ethnology at ZRC SAZU 2012
[152] 서적 Turkish Language Contacts in Southeastern Europe
[153] 문서 Dnghu
[154] 문서 Dnghu
[155] 문서 Pokorny
[156] 문서 Monier Williams
[157] 문서 Dnghu
[158] 문서 Pokorny
[159] 문서 Mallory & Adams (2006)
[160] 문서 Dnghu
[161] 문서 Pokorny
[162] 문서 Dnghu
[163] 문서 Pokorny
[164] 문서 Mallory & Adams (2006)
[165] 문서 Monier Williams
[166] 문서 Dnghu
[167] 문서 Pokorny
[168] 문서 Dnghu
[169] 문서 Pokorny
[170] 문서 Mallory & Adams (2006)
[171] 문서 Monier Williams
[172] 문서 Dnghu
[173] 문서 Pokorny
[174] 문서 Mallory & Adams (2006)
[175] 문서 Monier Williams
[176] 문서 Dnghu
[177] 문서 Pokorny
[178] 웹사이트 Buran https://sh.wiktionar[...] 2016-05-08
[179] 문서 Pokorny
[180] 논문 Two Notes on Armenian Linguistics 1995
[181] 간행물 The word for ‘honey’ and connected terms in Mycenaean Greek https://www.academia[...] Fabrizio Serra editore 2012
[182] 논문 Eine luwische orthographisch-phonetische Regel 1970-01-01
[183] 서적 Dictionnaire Illustré Latin-Français Hachette 1934
[184] 서적 Search for Gods Springer, Dordrecht 1972
[185] 논문 The Word for 'Honey' in Chinese, Tocharian and Sino-Vietnamese 2017
[186] 문서 Beekes
[187] 문서 Dnghu
[188] 문서 Pokorny
[189] 논문 Doméga 1994
[190] 간행물 Etymology and the European Lexicon 2016
[191]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lavic Myth and Legend ABC-CLIO 1998
[192] 문서 Pokorny
[193] 문서 A synchronic rule in PIE deleted laryngeals in the sequence VRHy or R̥Hy
[194]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Routledge 1997
[195] 논문 Proto-Indo-European lexical aspect and stem patterns 2016
[196] 문서 Dnghu
[197] 문서 Pokorny
[198] 문서 Monier Williams
[199] 문서 Dnghu
[200] 문서 Dnghu
[201] 문서 Pokorny
[202] 문서 Monier Williams
[203] 문서 Bucknell
[204] 문서 Dnghu
[205] 문서 Pokorny
[206] 문서 Mallory & Adams 2006
[207] 문서 Monier Williams
[208] 문서 Rix 2001
[209] 문서 Dnghu
[210] 문서 Monier Williams
[211] 문서 Dnghu
[212] 서적 Delamarre (2003)
[213] 웹사이트 Hethitisches Wörterbuch kurzgefasste kritische Sammlung der Deutung hethitischer Wörter [und] Ergänzungshefte https://digital.soas[...] Carl Winter, Heidelberg 1952
[214] 간행물 Tocharisch ñkät/ñakte 'Gott' 1980
[215] 서적 Zum Modus Injunktiv und zum Drei-Genus-System im Ur-Indogermanischen (Ca. 3000-2500 v. CHR.)
[216] 간행물 Ein hethitisches ghost word entgeistert 1996-01
[217] 문서 Dnghu
[218] 서적 Mallory & Adams (2006)
[219] 서적 Monier Williams
[220] 문서 Trubačov
[221] 문서 Dnghu
[222] 문서 Pokorny
[223] 서적 Mallory & Adams (2006)
[224] 서적 Monier Williams
[225] 문서 Dnghu
[226] 문서 Pokorny
[227] 문서 Rix
[228] 서적 Derksen
[229] 서적 Delamarre (2003)
[230] 문서 Dnghu
[231] 문서 Pokorny
[232] 서적 Monier Williams
[233] 간행물 Lithuanian žinóti "to know" 2011-12-16
[234] 간행물 Lithuanian žinóti 'to know' 2011-12-14
[235] 문서 Dnghu
[236] 문서 Pokorny
[237] 문서 Dnghu
[238] 문서 Pokorny
[239] 서적 Monier Williams
[240] 문서 Dnghu
[241] 문서 Pokorny
[242] 서적 Monier Williams
[243] 문서 Dnghu
[244] 문서 Pokorny
[245] 서적 Mallory & Adams (2006)
[246] 문서 Dnghu
[247] 문서 Pokorny
[248] 문서 Monier Williams
[249] 문서 Dnghu
[250] 문서 Pokorny
[251] 문서 Mallory & Adams (2006)
[252] 문서 Monier Williams
[253] 문서 Dnghu
[254] 문서 Pokorny
[255] 문서 Monier Williams
[256] 문서 Dnghu
[257] 문서 Pokorny
[258] 문서 Monier Williams
[259] 문서 Dnghu
[260] 문서 Dnghu
[261] 문서 Pokorny
[262] 문서 Pokorny
[263] 문서 Delamarre (2003)
[264] 문서 Dnghu
[265] 문서 Pokorny
[266] 문서 Monier Williams
[267] 문서 Dnghu
[268] 문서 Pokorny
[269] 문서 Complex ablauting stem
[270] 문서 Complex ablauting stem
[271] 서적 A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Devils and Demons Routledge 2004
[272] 간행물 Phonological Reconstruction: Problems and Methods https://books.google[...] Ed. de l'Univ. de Bruxelles 1988
[273] 문서 Dnghu
[274] 문서 Pokorny
[275] 문서 Monier Williams
[276] 문서 Dnghu
[277] 문서 Pokorny
[278] 문서 Still scanned as three syllables in some passages of the Rigveda 2006
[279] 문서 Monier Williams
[280] 문서 Ringe (2006) p. 77, sourced to Melchert (1994) p. 54
[281] 서적 Mallory
[282] 기타
[283] 논문 PIE *peh2ur 'fire'. Two Slavic etymologies 2021-10-12
[284] 서적 Mallory
[285] 서적 Dnghu
[286] 서적 Pokorny
[287] 서적 Mallory & Adams 2006
[288] 서적 Dnghu
[289] 서적 Pokorny
[290] 서적 Dnghu
[291] 서적 Pokorny
[292] 서적 Monier Williams
[293] 서적 Dnghu
[294] 서적 Pokorny
[295]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Indo-European syllabic resonants in Balto-Slavic 2011-12-12
[296] 서적 A Walk through the Iranian Heavens
[297] 서적 Dnghu
[298] 서적 Pokorny
[299] 서적 Mallory & Adams 2006
[300] 서적 Problems of Typological and Genetic Linguistics Viewed in a Generative Framework Mouton 1970
[301] 논문 Rimske prometnice i komunikacije u kasnoantičkoj južnoj Panoniji https://hrcak.srce.h[...] 2010-09-29
[302] 논문 The place of Armenian in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the relationship with Greek and Indo-Iranian 2013
[303] 서적 Dnghu
[304] 서적 MMW
[305] 서적 Mallory
[306] 서적 Dnghu
[307] 서적 Pokorny
[308] 서적 Mallory & Adams 2006
[309] 서적 Dnghu
[310] 서적 Pokorny
[311] 서적 Monier Williams
[312] 서적 Dnghu
[313] 서적 Delamarre 2003
[314] 서적 Dnghu
[315] 서적 Pokorny
[316] 서적 Monier Williams
[317] 논문 A Note on the Balto-Slavic and Indo-European Background of the Proto-Slavic Adjective *svętъ 'Holy' 2017-12-30
[318] 서적 Mallory & Adams 2006
[319] 서적 Monier Williams
[320] 서적 Burrow
[321] 서적 Dnghu
[322] 서적 Pokorny
[323] 서적 Mallory & Adams 2006
[324] 서적 Dnghu
[325] 문서 '''{{PIE|*H₁le(n)gʷʰ-}}''' and '''{{PIE|*h₁rewdʰ-}}''' are both roots that form ''Caland-type'' adjectives. These roots are notable in that they form zero-stem adjectives with certain characteristic suffixes, especially ''-ro-'' and ''-u-'', along with ''-i-'' in compounds. Other examples are ''*h₂erǵ-'' "white" (cf. Greek ''argós'' < ''*argrós'' "white", Sanskrit ''ṛjrá-'' "brilliant", Tocharian B ''ārkwi'' "white", Greek ''argi-kéraunos'' "with bright lightning") and ''*dʰewb-'' "deep" (cf. Lithuanian ''dubùs'' "hollow" < ''*dʰub-u-'', Tocharian B ''tapre'' "high" < ''*dʰub-ro-'').
[326] 서적 Delamarre 2003
[327] 서적 Dnghu
[328] 서적 Beekes
[329] 서적 Dnghu
[330] 서적 Dnghu
[331] 서적 Dnghu
[332] 논문 Proto-Indo-European 'Silver' 1984
[333] 서적 Documents in Mycenaean Greek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1956
[334] 서적 Die Sprache der Thraker Hieronymus Verlag
[335] 서적 Monier Williams
[336] 서적 Dnghu
[337] 서적 Pokorny
[338] 서적 Monier Williams
[339] 서적 Dnghu
[340] 서적 Pokorny
[341] 서적 Mallory & Adams 2006
[342] 서적 Monier Williams
[343] 간행물 Mycenaean onomastics Peeters: Louvain-la-Neuve – Walpole, MA 2011
[344] 논문 The basic colour terms of Czech 2008
[345] 간행물 The Indo-European heritage in Modern Polish – introductory remarks Wydawnictwo UWM, Olsztyn 2019
[346] 논문 Study in red https://mural.maynoo[...] 1998
[347] 논문 Celtiberian https://dc.uwm.edu/e[...] 2007-03-16
[348] 논문 Indo-European "Gold" in Time and Space 2017
[349] 논문 Proto-Italic laryngeals in the context CLHC- and new Italic and Celtic etymological connections 2017
[350] 논문 Semantic processes in derivatives of the etymological root *ghel- (*ghel-) / *glend(ʰ)- ''to shine, to sparkle'' https://cyberleninka[...] 2014
[351]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Blackwell Publishing 2010
[352] 서적 Studia Etymologica Cracoviensia Wydawnictwo Uniwersytetu Jagiellońskiego 2007
[353] 간행물 Dnghu
[354] 간행물 Pokorny
[355] 간행물 Monier Williams
[356] Encyclopedia KAYĀNIĀN vi. Siiāuuaršan, Siyāwaxš, Siāvaš https://iranicaonlin[...] Encyclopedia Iranica
[357] 간행물 Dnghu
[358] 간행물 Pokorny
[359] 간행물 Monier Williams
[360] 간행물 Dnghu
[361] 간행물 Pokorny
[362] 서적 Mallory & Adams 2006
[363] 간행물 Monier Williams
[364] 논문 On the Origin and Congeners of Hittite aššu-'good' 1980
[365] 간행물 Dnghu
[366] 간행물 Pokorny
[367] 간행물 Monier Williams
[368] 간행물 Dnghu
[369] 간행물 Pokorny
[370] 간행물 Monier Williams
[371] 간행물 Pokorny
[372] 서적 Mallory & Adams 2006
[373] 간행물 Monier Williams
[374] 간행물 Beekes
[375] 간행물 Dnghu
[376] 간행물 Pokorny
[377] 간행물 Mallory & Adams 2006
[378] 논문 Hititçe-Kugulla Sözcüğü http://dergiler.anka[...] 2006-10-01
[379] 논문 The Mycenaean Greek Vocabulary 1963
[380] 간행물 Lewis & Short
[381] 간행물 Monier Williams
[382] 논문 Spinne am Morgen bringt Kummer und Sorgen http://www.denkstroe[...]
[383] 서적 Das Partizipium Präteriti im Tocharischen Harrassowitz Verlag 2006
[384] 논문 Old English Cyme and the Proto-Indo-European Aorist Optative in Germanic 2019-03
[385] 간행물 Delamarre 2003
[386] 서적 Dnghu
[387] 서적 Pokorny
[388] 서적 Mallory & Adams (2006)
[389] 서적 Monier Williams
[390] 서적 Rix (2001)
[391] 서적 Dnghu
[392] 서적 Pokorny
[393] 서적 Mallory & Adams (2006)
[394] 서적 Monier Williams
[395] 서적 Rix (2001)
[396] 논문 Balto-anatolica I: Luvian zammantiš “”new born child””: Old Prussian gemmons “born” http://resbalticae.f[...]
[397] 서적 Dnghu
[398] 서적 Pokorny
[399] 서적 Mallory & Adams (2006)
[400] 서적 Monier Williams
[401] 서적 Dnghu
[402] 서적 Pokorny
[403] 서적 Monier Williams
[404] 서적 Dnghu
[405] 서적 Pokorny
[406] 서적 Monier Williams
[407] 서적 Dnghu
[408] 서적 Pokorny
[409] 서적 Monier Williams
[410] 서적 Dnghu
[411] 서적 Dnghu
[412] 서적 Dnghu
[413] 서적 Pokorny
[414] 서적 Monier Williams
[415] 서적 Pokorny
[416] 서적 Dnghu
[417] 서적 Pokorny
[418] 서적 Mallory & Adams (2006)
[419] 서적 Monier Williams
[420] 서적 Dnghu
[421] 문헌
[422] 문헌
[423] 문헌
[424] 문헌
[425] 문헌
[426] 문헌
[427] 문헌
[428] 문헌
[429] 문헌
[430] 문헌
[431] 문헌
[432] 문헌
[433] 문헌
[434] 문헌
[435] 문헌
[436] 문헌
[437] 문헌
[438] 문헌
[439] 문헌
[440] 문헌
[441] 문헌
[442] 문헌
[443] 문헌
[444] 문헌
[445] 문헌
[446] 문헌
[447] 문헌
[448] 문헌
[449] 문헌
[450] 문헌
[451] 문헌
[452] 웹사이트 ЛИШИТИ — ЕТИМОЛОГІЯ {{!}} Горох — українські словники https://goroh.pp.ua/[...] 2021-02-07
[453] 문헌
[454] 문헌
[455] 문헌
[456] 문서 Dnghu
[457] 문서 Pokorny
[458] 서적
[459] 문서 Monier Williams
[460] 문서 Dnghu
[461] 문서 Pokorny
[462] 서적
[463] 문서 Monier Williams
[464] 간행물 Observations sur le Calendrier de Coligny, IV 1964-01-01
[465] 서적 A Dictionary of Tocharian B: Revised and Greatly Enlarged Amsterdam - New York, NY: Rodopi
[466] 간행물 The Tocharian B word for 'solstice'? Museum Tusculanum Press, University of Copenhagen
[467] 서적 Great Journeys across the Pamir Mountains
[468] 문서 Dnghu
[469] 문서 Delamarre
[470] 문서 Dnghu
[471] 문서 Pokorny
[472] 문서 Monier Williams
[473] 문서 Dnghu
[474] 문서 Pokorny
[475] 간행물 Origin and Meaning of Avestan spEnta- 1949-12-31
[476] 문서 Dnghu
[477] 문서 Pokorny
[478] 문서 Dnghu
[479] 문서 Dnghu
[480] 문서 Dnghu
[481] 문서 Dnghu
[482] 문서 Pokorny
[483] 문서 Dnghu
[484] 문서 Dnghu
[485] 문서 Pokorny
[486] 문서 Dnghu
[487] 문서 Pokorny
[488] 문서 Dnghu
[489] 문서 Dnghu
[490] 문서 Dnghu
[491] 문서
[492] 문서
[493] 문서
[494] 문서
[495] 문서
[496] 문서
[497] 문서
[498] 문서
[499] 간행물 Problèmes phonématiques du slave commun http://www.persee.fr[...] 1965
[500] 서적 The Reflexes of the Proto-Indo-European Laryngeals in Celtic Brill
[501]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Routledge
[502] 논문 Gaulish SUIOREBE ‘with two sisters’ 2015
[503] 논문 The accentuation of the PIE word for ‘daughter’ Brill|Rodopi 2011
[504] 논문 Celtic ‘son’, ‘daughter’, other descendants, and *sunus in Early Celtic 2013
[505] 간행물 Contributions to Celtiberian Etymology II 2006
[506] 간행물 On Kinship Terms in Hieroglyphic Luwian 1990
[507] 논문 Chapter 13: MUNUS/fduttarii̯ata/i- and Some Other Indo-European Maidens Brill 2019
[508] 논문 “Indo-European kinship terms in *-ə̯2TER.” (2001) http://hdl.handle.ne[...] Masarykova univerzita 2001
[509] 논문 The meaning of Celtic *eburos 2015
[510] 논문 Celtic ‘son’, ‘daughter’, other descendants, and *sunus in Early Celtic 2013
[511] 간행물 «El Tercer Bronce De Botorrita, Veinte Años Después» https://ifc.dpz.es/o[...] 2013-07
[512] 논문 Deis Equeunubo – The Divine Twins in Asturia Łódź University Press 2010
[513] 서적 Thracian Language and Greek and Thracian Epigraphy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514] 간행물 Phrygian & Greek 2008-2009
[515] 간행물 Gaulish Language 2008
[516] 서적 Hittite Etymological Dictionary - Volume 4: Words beginning with Κ Mouton de Gruyter
[517] 서적 Anatolian Historical Phonology Rodopi
[518] 간행물 Two Notes on Lydian 2010-2011
[519] 간행물 About the Mitanni Aryan gods 2010
[520] 서적 Die Sprache der Thraker Hieronymus Verlag
[521] 간행물 Gaulish Language 2008
[522] 간행물 About the Mitanni Aryan gods 2010
[523] 간행물 Phrygian & Greek 2008-2009
[524] 간행물 Gaulish Language 2008
[525] 간행물 Gaulish Language 2008
[526] 논문 "About the Mitanni Aryan gods" 2010
[527] 간행물 Gaulish Language 2008
[528] 서적 Anatolian Mouton de Gruyter
[529] 간행물 Gaulish Language 2008
[530] 서적 Remarks on Celtiberian Etymology Ediciones Universidad Salamanca
[531] 웹인용 Raham Asha, Phonology of Pārsīg http://www.parsig.or[...] 2021-02-06
[532] 서적 The Gums of the Teeth in the Iranian Languages Peeters
[533]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534] 서적 A Luwian Heart Elite
[535] 논문 Indo-European *kreuH-
[536] 논문 Old East Iranian Dialects http://www.jstor.org[...]
[537]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Routledge
[538] 서적 Anatolian Verbal Stem Formation: Luwian, Lycian and Lydian Brill
[539] 웹사이트 Shaft-shedding Artemis and Mind-voiding Ate: Hittite Determinants of Greek Etyma. www.jstor.org/stable[...] 2020-07-13
[540] 간행물 Minos. Revista de Filologia Egea [compte-rendu] www.persee.fr/doc/an[...]
[541] 문서
[542] 논문 Stang’s Law and the Indo-European word for “cow”
[543] 논문 Indo-European “bear” https://www.jstor.or[...]
[544] 논문 The Word for ‘dog’ and the Sequence *wH + Gonsonant in Indo-European
[545] 서적 Albanian Etymological Dictionary Brill
[546] 간행물 Baltic and Slavic "fox" TAiWPN Universitas
[547] 간행물 Baltic and Slavic "fox" TAiWPN Universitas
[548] 간행물 Place-names of the Ebro Valley: their linguistic origins
[549] 서적 Dictionary and Thesaurus of Tocharian A Harrassowitz Verlag
[550] 서적 Chapter 12: A Comparison of the Tocharian A and B Metrical Traditions* Brill
[551] 서적 On the Trail of the Dee: Hittite kurāla- Eisenbrauns
[552] 서적 Documents in Mycenaean Greek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553] 서적 Dictionnaire Illustré Latin-Français Hachette
[554] 논문 The Word for ‘Honey’ in Chinese, Tocharian and Sino-Vietnamese
[555]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Routledge
[556] 논문 Proto-Indo-European lexical aspect and stem patterns
[557] 논문 Proto-Indo-European lexical aspect and stem patterns
[558] 문서
[559] 문서
[560] 서적 Mycenaean onomastics Peeters
[561] 논문 "The Basic Color Terms of Czech" TRAMES 2008
[562] 서적 "The Indo-European heritage in Modern Polish – introductory remarks" Wydawnictwo UWM 2019
[563] 간행물 "Celtiberian" https://dc.uwm.edu/e[...] 2007
[564] 논문 "Indo-European ‘Gold’ in Time and Space" 2017
[565] 논문 "Proto-Italic laryngeals in the context CLHC- and new Italic and Celtic etymological connections" http://digital.casal[...] Fabrizio Serra 2017
[566] 논문 "Semantic processes in derivatives of the etymological root *ghel- (*ghel-) / *glEnd(h)- ''to shine, to sparkle''" https://cyberleninka[...] 2014
[567]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Blackwell Publishing 2010
[568] 논문 "A Note to "Phrygian" words in Greek" 2007
[569] 논문 "Proto-Indo-European ‘Silver’." http://www.jstor.org[...] 1984
[570] 서적 Documents in Mycenaean Greek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1956
[571] 서적 Die Sprache der Thraker Hieronymus Verlag
[572] 논문 "Hititçe Kugulla Sözcüğü" https://dergipark.or[...] 2006
[573] 논문 "Gaulish Language" 2008
[574] 논문 "Observations sur le Calendrier de Coligny", IV www.persee.fr/doc/ec[...] 1964
[575] 서적 A Dictionary of Tocharian B: Revised and Greatly Enlarged Rodopi 2013
[576] 논문 "The Tocharian B word for 'solstice'?" Museum Tusculanum Press, University of Copenha 2011
[577] 논문 "On the Word ''ṣau'' Found in the Kuchean Secular Documents" Brill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