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1992년 수교 이후 정치, 외교,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1980년대 후반부터 학술, 언론, 이산가족 교류가 자유로워졌고, 1992년 대한민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수용하며 중화민국과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했다. 양국은 경제 교류를 확대하여 2004년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주요 교역 상대국으로 삼았으며, 2015년에는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하지만, 탈북자 문제, 동북공정, 사드 배치 문제 등으로 갈등을 겪기도 했다. 최근에는 한반도 문제, 경제 협력, 국민 간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한국 관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중국-한국 관계 - 민생단 사건
    민생단 사건은 1930년대 만주에서 일본 제국의 이간책으로 만들어진 친일 조직을 구실로 중국 공산당이 항일 무장 투쟁을 하던 조선인들을 숙청한 사건으로, 무고한 희생과 조선인-중국인 간 불신 심화, 항일 연대 약화를 초래했으며 김일성이 이 사건 수습 과정에서 지도력을 강화했다.
  • 항공 정보 - 한미 관계
    한미 관계는 1882년 수교 이후 정치, 경제, 안보 등 다방면에서 협력과 경쟁을 거듭하며 발전해왔으나, 불평등 조약, 무력 충돌, 주한미군 문제, 경제적 이권 다툼, 북핵 문제 등으로 갈등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 항공 정보 - 버진 사모아
    버진 사모아는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홀딩스와 사모아 정부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피지, 사모아 등 섬들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으나, 사모아 정부의 투자 철수로 2017년 운항을 중단했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나고야시
    아이치현에 위치한 나고야시는 아쓰타 신궁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의 거점이었으며, 도요타 자동차 중심의 자동차 산업과 MICE 산업 발달, 엑스포 2005 개최, 나고야 의정서 채택 등으로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한 16개 구로 구성된 약 2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복합적인 도시이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한중 관계)
국가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외교 관계
대사관 (대한민국)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관 (중화인민공화국)주한 중국 대사관
사절 계급 (대한민국)대사
사절 계급 (중화인민공화국)대사
사절 (대한민국)정재호
사절 (중화인민공화국)다이빙 (내정)
역사적 맥락
역사적 관계양국은 역사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어왔음.
고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한국 고대 국가들은 중국과 교류하며 문화를 교환하고 정치적 영향을 주고받았음.
특히 고려 시대에는 중국 송나라와의 관계가 긴밀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명나라청나라의 영향을 받음.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의 지원군 파병은 조선을 돕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
양반 문화는 중국의 유교 문화에 기원을 두고 있음.
경제 관계
주요 교역 품목 (대한민국 대 중국 수출)반도체
석유화학 제품
자동차 부품
정밀 화학 제품
무선 통신 장비
주요 교역 품목 (대한민국 대 중국 수입)전기 기기
기계류
의류
철강 제품
플라스틱 제품
자유 무역 협정 (FTA)2015년 6월 한중 자유 무역 협정 체결 The Diplomat 기사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RCEP) 참여 BBC 기사
한중일 자유 무역 협정 (논의 중) South China Morning Post 기사
현대 관계
사드 (THAAD) 배치 갈등대한민국 내 사드 배치로 인해 양국 관계가 일시적으로 악화되었음.
중국은 사드가 자국의 안보 이익을 침해할 수 있다고 우려하며 경제 보복 조치를 취함. South China Morning Post 기사
이후 양국은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Channel NewsAsia 기사, Reuters 기사, CNN 기사, Voice of America 기사
북한 문제 협력양국은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있음. United Press International 기사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이 중국을 방문하여 북한 문제 논의 The Diplomat 기사, Nikkei Asian Review 기사
기타 정보
재외 동포2020년 기준 중국 거주 대한민국 국민: 238,705명 대한민국 외교부 자료

2. 역사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이하 중국)은 1992년 공식 수교 이전까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을 승인하고, 대한민국은 중화민국과 수교 상태를 유지하면서 양국 관계는 냉전의 영향을 받았다.

한국 전쟁 당시 중국은 중국인민지원군을 파병하여 북한을 지원하였고, 이는 대한민국과 적대적 관계를 형성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1953년 휴전 이후에도 중국군은 북한에 주둔하다 1958년에 철수하였다.

1980년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과 함께 중국은 경제 발전을 추구하며 대한민국과의 관계 개선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1983년 중국 민항기 불시착 사건을 계기로 양국은 비정치적 분야에서 교류를 시작했고, 1989년에는 학술, 언론, 이산가족 교류가 가능해졌다.

덩샤오핑


1992년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에 따라 대한민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수용하고 중국과 수교하면서 타이베이와 단교하였다. 이후 양국 관계는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했지만, 사드 배치, 동북공정, 탈북자 문제 등 여러 갈등 요소를 안고 있다.

2008년 4월 27일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 행사에서 재중국인 및 중국인 유학생들의 폭력 사태로 인해 한국인외국인이 부상을 당한 2008년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시위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각국 사이에 반한, 반중 감정이 강하게 생겨나는 등 위화감이 조성되었다.

탈북자 문제도 한중 관계의 갈등 요소이다. 중국은 탈북자들을 강제 북송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탈북자 대거 북송 사건이 발생했다. 2012년 3월 제네바에서 열린 회의에서 탈북자 북송 문제로 남북 대표 간 충돌이 발생했고, 중국은 탈북자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라고 주장했다.[104][105][106]

중화인민공화국을 공식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오른쪽)이 시진핑(왼쪽)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주석과 악수를 나누고 있는 모습(2015년)


시진핑 정부 출범 이후 한중 FTA 추진, 시진핑 주석 방한 등 관계 개선 노력이 있었으나,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으로 양국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중국은 사드 배치가 자국 안보를 위협한다고 주장하며 경제 보복 조치를 취했고, 이는 한국 내 반중 감정을 심화시켰다.

THAAD


최근에는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 역사 왜곡 문제 등이 갈등을 더하고 있다. 2016년에는 불법 조업 중이던 중국 어선에서 해양경찰이 던진 섬광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여 선원 3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43][44]

2. 1. 수교 이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은 1992년 8월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에 따라 수교하였다.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주장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받아들여 타이베이와 단교하였다.

카이로 선언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일본 식민 통치로부터 자유롭고 독립된 한국을 만드는 것이었다.[23] 대한민국 제1공화국 수립 직후인 1948년, 대한민국 정부와 중화민국 간의 양자 외교 관계가 재개되었으며, 이로써 중국은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2. 1. 1. 냉전 시대

1949년 10월 1일 중국 공산당은 중국 대륙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선포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이 아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승인하였고, 대한민국은 중화민국과 수교 상태를 유지하였다. 1950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유엔군에 대항하여 한국 전쟁에 중국인민지원군을 파견하였다.[19] 이들은 38도선 이북 지역에서 유엔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으나, 이남 지역에서의 공세는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중국인민지원군은 1953년 휴전 이후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잔존하다가 1958년에 완전히 철수하였다. 이는 냉전 시대에 공산주의 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과 자본주의 국가인 대한민국이 적대적 관계가 되는 원인이 되었다. 대한민국은 한국의 독점적 통치권을 침해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승인하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할 수 없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역시 적국인 중화민국과 긴밀한 관계에 있는 대한민국과 수교할 수 없었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은 중화민국과 각각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한중 간 공식적인 관계 부재는 양국 교역 증대에 걸림돌이 되었다. 대한민국은 합법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내 자국 국민과 기업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9]

1973년, 박정희 대통령은 "평화 통일 외교 정책"을 발표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한 공산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 수립에 관심을 표명했다.[24] 박정희는 중화인민공화국 및 소련과의 관계 수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관계 개선 정책을 시작했고, 전두환 대통령이 이를 발전시켰다.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은 한반도의 미래를 결정하는 데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옛 동맹국들과의 좋은 관계는 북방 외교 정책에 필수적이었다.

서울과 베이징의 공식적인 접촉은 1983년 5월, 납치된 중국민항 296편의 착륙으로 시작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반환 협상을 위해 33명의 대표단을 서울에 파견했다. 이는 일련의 비공식적인 인적 교류의 시작을 알렸다. 예를 들어, 1984년 3월에는 대한민국 테니스팀이 중국팀과의 데이비스 컵 경기를 위해 쿤밍을 방문했다. 1984년 4월에는 34명의 중국 농구팀이 제8회 아시아 주니어 농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서울에 도착했다. 일부 중국 관리들은 한국 산업 시찰을 위해 비공식적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했고, 대한민국 관리들은 다양한 국제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했다.[24]

2. 1. 2. 관계 개선 노력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의 억압적인 조치를 지지했다. 반면, 대한민국은 1989년 톈안먼 사건에 대해 비난하지 않았다. 양국의 교역은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101]

중국민용항공총국의 항공기 (현 중국국제항공)


1983년 5월, 중국 민항기 불시착 사건을 계기로 양국은 체육·문화·관광 등 비정치적인 영역에서 교류를 시작하였다. 1983년 8월, 중화인민공화국 민항기가 한국의 비행정보구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합의가 이루어졌다.

노태우 정부북방 정책에도 불구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정치적으로 더 가까웠기 때문에 양국 간의 무역량 증대에도 불구하고 정치 관계 향상은 더디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국, 일본 간 관계의 중재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국 3자 간의 대화를 시작하도록 노력하였다.

1989년 12월 냉전 종식 선언과 1989년 5월 소련 고르바초프의 중화인민공화국 방문으로 중-소 관계가 정상화되면서 한-중 수교의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 노태우 정부의 한-소 수교 성공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영향을 미쳐 한중 수교를 앞당겼다.

1980년대 덩샤오핑의 연설은 주변 정세 안정과 경제 발전을 국가 최대 목표로 설정했음을 의미한다.[101] 대한민국과의 교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대(對) 대한민국 인식을 변화시켰고, 제3국을 통한 교역은 1980년 말 1900만달러에 이르렀다. 1980년 1월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장 황화는 "관문불상쇄(關門不上鎖, 문은 잠겨 있으나 빗장은 걸지 않았다)"라는 말로 대한민국과의 교류 확대 의사를 밝혔다.[101]

양국은 1989년에 제한적 상호 방문을 허락하여 학술, 언론, 특히 이산가족 교류가 가능해졌다. 200만명에 가까운 조선족들이 대한민국과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대한민국 남자들의 국제결혼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의 아내가 가장 많다.

연도건수전체 결혼 대비 비율
2000년3,566건51%
2008년13,203건46.8%

[102] 2001년부터 한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유학 붐이 일어났다.[103]

2. 2. 1992년 수교와 관계 발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은 1989년 말부터 자유로운 상호 방문을 허락하여 학술, 언론, 특히 이산가족 교류가 가능해졌다. 1992년 8월부터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에 따라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주장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받아들여 타이베이와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였다.

1983년 5월 중국 민항기 불시착 사건을 해결한 이후, 외교 관계가 없던 양국은 1983년 8월, 중화인민공화국 민항기가 한국의 비행정보구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합의하였다. 또한 이 사건은 체육·문화·관광 등의 비정치적인 영역에서 양국 교류를 시작한 계기가 되었다.

1989년 12월 냉전 종식 선언과 1989년 5월 소련의 고르바초프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중-소 관계가 정상화된 것은 한-중 수교의 중요한 계기였다. 노태우 정부의 한-소 수교 성공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영향을 미쳐 한중 수교를 앞당겼다.

1995년 중국 국가 주석 장쩌민대한민국 국회에서 연설하는 모습


중국은 북한미국 사이, 북한과 일본 사이에서 중재를 시도했으며, 평양, 서울, 워싱턴 간의 3자 회담을 시작하고 추진했다.[27]

2. 2. 1. 관계 격상

1983년, 중화인민공화국대한민국은 관계를 정상화하며 경제적, 정치적 유대 관계를 심화시켰다. 이후 양국 관계는 5단계로 격상되었다.

단계연도관계
11983년우호 협력 관계
21998년21세기 협력 동반자 관계
32003년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
42008년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52014년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심화[19][20]


2. 3. 갈등과 도전

1992년 수교 이후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하 중국)은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를 확대해 왔지만, 여러 요인으로 인해 갈등과 도전을 겪고 있다.

2016년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은 양국 관계를 급격히 악화시킨 주요 사건이다.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대한민국은 주한 미군을 통해 사드를 배치하려 했으나, 중국은 자국의 국익을 해친다며 반발했다. 중국은 대한민국에 '''"소국(小國)이 대국(大國)에 대항해서 되겠냐"'''며 내정간섭성 발언을 하고,[109] 사드 보복 조치를 통해 경제적 피해를 입혔다.[110]

이후 양국 국민 간 감정도 악화되어, 2017년 조사에서 한국인의 61%가 중국에 비호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111] 중국에서도 2018년 조사에서 77.4%의 중국인이 한국인을 신뢰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111]

문재인 정부는 '3불(不) 약속' 논란[112]에도 불구하고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했으나, 중국 발 미세먼지, 중국 어선의 불법 어업, 중국의 중화중심주의적 태도[113], 홍콩 시위 탄압, 코로나19 초기 대응 부실 등으로 인해 한국 내 반중 감정은 여전히 높다.

최근에는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 문제가 심각하다. 2016년에는 불법 조업 중이던 중국 어선에서 해양경찰이 던진 섬광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여 선원 3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43][44] 2023년 양국은 관련 협정을 체결했지만, 불법 조업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현재 양국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을 통해 다양한 항공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한-중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
서울/김포GMPRKSS김포
부산/김해PUSRKPK김해
제주CJURKPC제주
무안MWXRKJB무안
베이징PEKZBAA수도
톈진TSNZBTJ빈하이
항저우HGHZCHC샤오산
샤먼XMNZSAM가오치
칭다오TAOZSQD류팅
웨이하이WEHZSWH웨이하이
청두CTUZUUU솽류
옌지YNJZYYJ차오양촨
홍콩HKGVHHH홍콩


2. 3. 1. 역사 갈등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 집권 이후 한중 FTA 추진과 시진핑 주석의 대한민국 방한 등으로 미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중관계를 매우 의식하고 있다.[107] 2013년 6월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근혜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를 방문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2015년 9월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행사의 열병식에 참석하였는데, 이 행사에는 서방 국가들 중 대한민국, 체코, 폴란드 세 나라 정상들만이 참여하여 대한민국의 박근혜 대통령의 모습이 더더욱 눈에 띄었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참석은 실효성 논란을 야기했다. 옹호 측은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나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반대 측은 한미 동맹을 맺고 있는 한국이 미국의 가상 적국인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승절에 국가 최고원수를 직접 보내는 것이 국제 정서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박근혜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 이후에도 중화인민공화국이 여전히 남북갈등 문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하고 대한 행보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대한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으로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2016년 1월 6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4차 핵실험을 벌여 한반도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였고, 이에 대한민국은 국가 안보를 위하여 주한미군을 통하여 사드를 경상북도 성주군에 배치하여 북측의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 하였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측에서는 사드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익을 해치고 동북아의 균형을 깬다고 주장하며 크게 반발하며 내정간섭을 하였다.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이미 대한민국 전역을 감시할 수 있는 초대형 레이더를 설치, 운용하고 있었으며, 대한민국 전역을 이미 속속들이 들여다보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대한민국 내에서는 당연히 이에 대한 반발이 커졌다. 또한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에게 함께 대북제재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자, 명백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편을 들며 대한민국의 요청은 거부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2017년 1월 4일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소국(小國)이 대국(大國)에 대항해서 되겠냐, 너희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단교 수준으로 엄청난 고통을 주겠다"'''고 중국의 입장을 표명하면서 상대국의 명예를 완전히 대놓고 무시하며 내정간섭을 하였다.[109]

게다가 중화인민공화국 측에서 비공공연하게 사드 보복을 통하여 중국인 관광객들의 한국 유입 차단, 한국 기업들의 중화인민공화국 진출 억압, 한한령(限韓令)과 같이 한국 문화의 중화인민공화국 진출을 강제로 통제하면서 대한민국에는 상당한 경제 피해를 입혔다.[110]

2020년 10월 13일, 대한민국 보이 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이자 리더인 RM은 한국 전쟁에 대한 연설에서 대한민국이 미국과 고통의 역사를 공유한다고 말하였다. 이 발언은 중국에서 격분을 일으켰고, 중국 관영 언론은 BTS가 분쟁의 다른 측면에 대한 중국의 역할을 편향적이고 무감각하게 여기는 것에 대해 맹비난했으며, 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한국 대중 문화를 보이콧할 것을 촉구했다.[65][66] 이는 일부 한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중국이 상황을 과장했다는 비난을 받는 반발을 낳았다.[67]

고구려를 둘러싼 중국의 역사적 주장은 한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약간의 긴장을 조성했다.[68]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최근 동북공정을 시작했는데, 이는 고구려를 중국의 조공 국가로 주장하는 논란이 많은 연구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가 2004년에 널리 알려지면서 대한민국에서 대규모 반발이 일어났다.[69]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고구려연구재단을 설립했고,[72] 2007년에는 역사 교과서에서 한국 청동기 시대의 시작을 기원전 1000년이 아닌 기원전 2000년으로 수정했다.[73]

백두산과 관련하여 한국 활동가와 학자들은 이 산이 한국 영토라고 주장했다.[74] 2014년, 연예인 김수현과 전지현은 중국의 생수 회사 헝다 빙취안 광고에 출연한 후 헝다가 물의 근원을 한국식 이름 대신 "장백산" (장백산)으로 표기하면서 비난을 받았다.[75]

2020년, 한국 언론사 JTBC는 여러 미국 대학 입시 교재에서 한국을 당나라, 명나라, 청나라 시대에 중국의 일부로 묘사했다고 보도했다.[77] 또한 중국 웹사이트 바이두가 한국 활동가 안중근, 김구, 윤봉길, 윤동주조선족으로, 문재인 대통령을 "조선"과 "한국인"으로 표기했다가 "조선"을 삭제했다고 보도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77]

2. 3. 2. 북핵 문제와 대북 제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의 핵 문제와 미국대한민국에 제공하는 군사적 지원은 최근 수년간 양국 관계에 주요 위협이 되어 왔다.[2] 2010년 11월 29일, 미국 외교 전문 누설에 따르면 익명의 중국 관리 2명이 당시 천영우 외교통상부 차관에게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에 적대적이지 않다면 한국 정부 하에 통일된 한국을 선호할 것이라고 말했다.[28]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 집권 이후 한중 FTA 추진과 시진핑 주석의 대한민국 방한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 미국일본, 북한은 한중관계를 매우 의식하고 있다.

2013년 6월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근혜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를 방문하여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박근혜 대통령이 2017년 국정농단 사태로 탄핵당한 이후, 더불어민주당 소속 문재인 대통령이 새롭게 선출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해찬 의원, 김태년 의원 등을 특사로 방중시켜 사드 문제를 논의하도록 하였고, 양국 간 통화 스와프를 연장하였으며 악화일로를 걷던 한중 관계를 개선시키는 전환점을 만드는 데에 성공하였다.

베트남에서 열린 APEC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정상회담을 통해 관계 회복의 급물살을 타기 시작하였다. 정상회담에서 양국의 최대 공통 현안인 북핵 해결을 위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점은 의미있게 평가할 수 있다. 두 정상은 현 한반도 안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북핵 문제를 궁극적으로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뜻을 모았다. 2017년 7월 독일 함부르크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이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하고 북한이 조속히 대화의 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공동의 노력을 펴나가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양국은 이를 위해 각급 차원에서 북핵과 한반도 문제에 대한 '전략대화'를 강화해 나간다는 데 합의했다. 특히 양국 간에 새로운 고위급 협의체가 구성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2. 3. 3. 사드 배치 갈등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 집권 이후 한중 FTA 추진과 시진핑 주석의 대한민국 방한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 미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중관계를 매우 의식하고 있다.

2016년 말, 미국과 대한민국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THAAD, 사드) 배치를 공동으로 발표했는데, 이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이었다.[49] 이 조치는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을 샀다.[50][51] 미국은 THAAD 배치가 "순전히 방어적인 조치이며... 오직 북한만을 겨냥"하며 중국의 안보 이익을 위협할 의도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국은 THAAD 배치가 미국의 중국 견제 조치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대한민국과 미국의 결정에 지속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해 왔다.[52][53]

추궈훙 주한 중국 대사는 THAAD가 중국의 자체적인 핵 억지력을 훼손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THAAD 배치가 중-한 관계를 "순식간에 파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한민국 대통령 대변인은 THAAD 배치는 "우리의 안보와 국익에 따라 우리가 결정할 문제"라고 경고했다.[54]

데탕트 (긴장 완화)를 목표로 2016년 9월 5일 중국 동부 항저우에서 양국 정상,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박근혜 대표가 만나 THAAD 문제를 논의했다. 정상 회담에서 박근혜는 THAAD 배치가 오직 북한을 겨냥한 것이며 중국의 안보 이익을 침해할 이유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나 시진핑은 THAAD 배치가 "분쟁을 격화"시킬 수 있다고 말하며 중국의 확고한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관계의 오랜 역사를 강조하며 안정적이고 건전한 양자 관계가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동의했다.[55]

대한민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 수 및 전년 대비 증감률. 2017년 3월부터 THAAD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관광객 수가 급감했다.


중국 내 현대자동차 판매량 및 전년 대비 증가율. 2017년 3월부터 THAAD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판매량이 급감했다.


2017년 대한민국이 자국 내 THAAD 배치를 수용하기로 결정하자, 중국 정부는 공식 제재나 조치를 자제했지만, 공식 언론을 통해 자국민들에게 이 조치에 대한 불쾌감과 악의를 표출하도록 촉구했다.[56] 중국 시민들은 항의 시위를 할 수 있었다. 언론은 현대차 등 한국 제품에 대한 시민들의 불매 운동, 한국 상품의 슈퍼마켓 진열대 철거, 관광객 및 여행사의 한국 여행 취소 등을 보도했다.[59]

대한민국 재벌 롯데 그룹이 특히 표적이 되었다. 롯데는 THAAD 배치를 위해 사용될 성주군의 골프장을 한국 정부와 토지 교환에 합의했다. 중국 내 롯데 매장에 대한 소비자 불매 운동 외에도, 시 당국은 갑자기 롯데 매장과 공장이 화재 안전 규정 및 기타 지역 조례를 위반한 것을 발견했으며, 이로 인해 99개 롯데 슈퍼마켓 중 75개가 폐쇄되었다.[59][57][58]

2017년 3월 현대자동차와 계열사인 기아자동차의 중국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52% 급감한 72,000대로, 2014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59] 같은 기간 중국 관광객 수도 39.4% 감소했다.[60] 대한민국에서 실시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 대한 호감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61]

중국의 비공식 제재로 인해 한국 경제가 받는 부담을 덜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은 "3불" 정책을 약속하며, 미국 미사일 방어 시스템에 참여하지 않고, THAAD 추가 배치를 고려하지 않으며, 한·미·일 안보 협력을 군사 동맹으로 발전시키지 않겠다고 밝혔다.[62]

사드 배치 논란 이후, "한한령"(限韩令|한한령중국어)이 한류에 가해졌다. 중국에서 한류 문화 행사가 취소되고, 한국 배우들이 출연하던 작품에서 하차했으며, 제한적으로 한국 미디어가 중국으로 수출될 수 있었다. 이 금지령은 곧 해제되었고, 관계는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64]

2. 3. 4. 기타 갈등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 집권 이후 한중 FTA 추진과 시진핑 주석의 대한민국 방한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 미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중관계를 매우 의식하고 있다.

2012년 8월 수교 20주년을 맞았다.[107] 2013년 6월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근혜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를 방문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2013년 중한 양국은 한국에서 발굴한 중국인민지원군 열사의 유해를 중국으로 송환하기로 합의하여 2014년부터 중공군 유해를 인도한다.[108] 2015년 9월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행사의 열병식에 참석하였는데, 이 행사에는 서방 국가들 중 대한민국, 체코, 폴란드 오직 세 나라들의 정상들만이 참여하였기에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의 모습이 더더욱 눈에 띄었다.

양국 사이에는 대한항공이 중화인민공화국 내 20개 도시에서 26개 노선을, 아시아나 항공은 22개 도시 30개 노선을 각각 운항 중이다. 2010년 8월, 대한항공은 83%, 아시아나항공은 83.6%의 탑승율을 기록했다. 8월 한달 동안, 각각 35만2천명과 29만4천명의 탑승객을 운송하였다.[115]

한-중간 항공노선
거점 도시공항
IATA
공항
ICAO
거점 공항
이름
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ICNRKSI인천
서울/김포GMPRKSS김포
부산/김해PUSRKPK김해
제주CJURKPC제주
무안MWXRKJB무안
베이징PEKZBAA수도
톈진TSNZBTJ빈하이
항저우HGHZCHC샤오산
샤먼XMNZSAM가오치
칭다오TAOZSQD류팅
웨이하이WEHZSWH웨이하이
청두CTUZUUU솽류
옌지YNJZYYJ차오양촨
홍콩HKGVHHH홍콩



2016년 이후, 적절한 허가를 받은 중국 어선은 대한민국 해역에서 어업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지만, 불법 조업은 최근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43] 2016년까지 4년 동안 약 2,200척의 중국 어선이 불법 조업으로 대한민국 당국에 의해 단속되고 벌금을 부과받았다.[44] 2010년 12월에는 중국 어선 선원과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이 충돌하여 어부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되었으며, 해경 4명이 부상을 입었다.[45]

2016년 9월, 불법 조업 혐의를 받던 중국 어선 3척의 선원이 대한민국 해양경찰이 배에 탑승하여 바리케이드로 막힌 선원들을 몰아내기 위해 섬광탄을 조타실에 던졌지만, 결국 어선에 불이 나면서 사망했다.[43][44]

2016년 10월, 대한민국은 베이징에 2척의 중국 어선이 대한민국 해경 고속정을 들이받아 침몰시킨 사건에 대해 공식 항의했다. 이 사건은 해경이 약 40척의 불법 어업 의심 중국 어선을 단속하려던 10월 7일에 발생했다.[46] 2016년 11월 1일에는 인천 서쪽에서 또 다른 충돌이 발생하여 중국 어선 2척이 나포되었다. 대한민국 해경은 두 차례 모두 경고 사격을 가했지만,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47]

2023년 6월, 양국은 대한민국이 북한 해역에서 불법 조업이 의심되는 경우 중국에 통보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중국은 대북 제재 이후 자국 어선들의 해당 해역 조업을 금지했다. 중국은 이에 대한 후속 조사 결과를 대한민국에 통보할 것이다. 양국은 또한 현재 양국 어선이 어업 활동을 할 수 있는 잠정 조치 구역 일부에 국한된 합동 순찰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48]

3. 정치·외교 관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이하 중국)은 1980년대 후반부터 교류를 시작했다. 1989년 말 상호 방문을 자유롭게 허용하여 학술, 언론, 이산가족 교류가 가능해졌다. 1992년 8월,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에 따라 대한민국은 중국이 주장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받아들여 타이베이와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하였다.[101]

1980년대 덩샤오핑은 "4개 현대화"를 추진하며 주변 정세 안정과 경제 발전을 국가 목표로 설정했다. 특히 한반도 분쟁 억제를 위해 현상 유지가 필수적이며,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 모델에 관심을 갖는 중국 지도자들이 많았다. 새로운 경제 파트너로서 대한민국과의 교역은 기존의 대(對) 대한민국 인식을 변화시켰다. 중국의 개방 외교는 한국과의 제3국을 통한 교역을 1980년 말 1,900만 달러에 이르게 했다. 1980년 1월 중국 외교부장 황화는 "관문불상쇄(關門不上鎖, 문은 잠겨 있으나 빗장은 걸지 않았다)"라며 대한민국과의 교류 확대 의사를 부인하지 않았다.[101]

1983년 5월 중국 민항기 불시착 사건을 해결한 후, 양국은 1983년 8월 중국 민항기가 한국 비행정보구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 이 사건은 체육·문화·관광 등 비정치적 영역에서 양국 교류의 계기가 되었다. 노태우 정부북방 정책에 대해 중국은 소비에트 연방에 비해 매력을 느끼지 못했고, 1980년대에 대한민국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았다. 그러나 양국은 상호 보완적인 경제적 필요성과 지리적 접근성으로 인해 교역을 시작했다. 중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정치적으로 더 가까웠기 때문에 양국 간 무역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정치 관계 향상은 더뎠다. 중국은 북한과 미국, 일본 간 관계 중재와 대한민국, 북한, 미국 3자 간 대화를 시작하도록 노력했다. 1989년 제한적 상호 방문을 허용하여 학술, 언론, 이산가족 교류가 가능해졌다.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조선족을 포함한 약 200만 명의 한민족들이 대한민국과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북한은 중국의 억압적 조치를 도왔지만, 대한민국은 침묵하며 사건을 부추기거나 비난하지 않았다. 양국 교역은 계속 증가했다.[102][103]

1989년 12월 냉전 종식 선언과 1989년 5월 소련 고르바초프의 중국 방문으로 중-소 관계가 정상화된 것은 한-중 수교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노태우 정부의 한-소 수교 성공은 중국에게도 영향을 미쳐 한중 수교를 앞당겼다.

2008년 4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 행사에서 재한중국인 및 중국인 유학생들의 폭력 사태로 인해 한국인 및 외국인이 부상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008년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시위 사건) 이로 인해 양국 간 반한, 반중 감정이 강하게 생겨나 위화감이 조성되었다.

한중 관계에서 탈북자 문제도 갈등 요소이다. 중국은 탈북자들을 강제 북송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2012년 2월 탈북자 대거 북송 사건이 벌어졌고, 3월에는 탈북자 북송 반대 집회가 열렸다.[104] 3월 12일 제네바 회의에서 탈북자 북송 문제로 남북 대표 간 충돌이 일어났고, 중국은 탈북자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라고 주장했다.[105][106] 중국은 대한민국과 북한을 별개 국가로 인식하고 수교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 측 요청인 탈북자 북송을 시행하는 중이다.

한국과 중국 사이의 마찰 사항으로는 중국의 유엔 대북 제재 반대, 동북공정 추진으로 인한 고대사 왜곡, 이어도 주변 해역을 자국 배타적 경제수역(EEZ)으로 주장하는 것 등이 있다.

반면 중국은 북한의 핵개발에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대한민국을 중요 경제 파트너로 인식하여 교류를 늘리고 있다. 근현대사에서 일본 제국으로 인해 피해를 겪었다는 공통점 때문에 일본의 우경화에 대한민국과 협력하여 압박을 가하고 있다. 중국은 731 부대 생체실험 사건을, 대한민국은 위안부 문제를 제기하며, 대한민국이 하얼빈에 안중근 의사 기념비를 요청하자 중국은 기념관을 건립하여 일본을 압박하고 있다.

시진핑 집권 이후 한중 FTA 추진과 시진핑 주석의 대한민국 방한 등으로 미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중 관계를 의식하고 있다.

2012년 8월 수교 20주년을 맞았다.[107] 2013년 6월 박근혜 대통령이 베이징시를 방문하여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2013년 양국은 한국에서 발굴한 중국인민지원군 열사의 유해를 중국으로 송환하기로 합의하여 2014년부터 중공군 유해를 인도한다.[108] 2015년 9월 박근혜 대통령은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전승절 행사의 열병식에 참석했다. 서방 국가들 중 대한민국, 체코, 폴란드 정상들만이 참여하여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의 모습이 더더욱 눈에 띄었다. 이때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참석이 실리가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옹호 측에서는 대한민국이 중국과 관계를 개선하여 나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다만 반대 측에서는 한미 동맹을 맺고 있는 한국이 미국의 가상 적국인 중국의 전승절에 국가 최고원수를 직접 보내는 것이 국제 정서에 부합할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으며, 박근혜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 이후에도 중국이 남북갈등 문제에서 북한을 계속 지원하고, 대한 행보에 변화가 없는 것에 대해 방문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사드 배치 논란으로 2016년 한중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대한민국은 주한 미군을 통해 사드경상북도 성주군에 배치하려 했으나, 중국은 사드가 중국의 국익을 해치고 동북아 균형을 깬다고 반발하며 내정간섭을 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이미 대한민국 전역을 감시할 수 있는 초대형 레이더를 운용하고 있었으며, 대한민국 전역을 이미 속속들이 들여다보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대한민국 내에서 이에 대한 반발이 커졌다. 또한 대한민국이 중국에게 함께 대북제재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자, 명백한 북한의 편을 들며 대한민국의 요청은 거부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2017년 1월 4일에는 사드 배치 문제를 둘러싼 한·중간 마찰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소국(小國)이 대국(大國)에 대항해서 되겠냐, 너희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단교 수준으로 엄청난 고통을 주겠다"'''고 중국의 입장을 표명하면서 상대국의 명예를 완전히 대놓고 무시하며 내정간섭을 하였고,[109] 이에 따라 한국 대중들의 반중 정서는 급속도로 강화되었다. 게다가 중국 측에서 비공공연하게 사드 보복을 통하여 중국인 관광객들의 한국 유입 차단, 한국 기업들의 중국 진출 억압, 한한령(限韓令)과 같이 한국 문화의 중국 진출을 강제로 통제하면서 대한민국에는 상당한 경제 피해를 입혔고, 이에 따라 대한민국의 대중 감정은 오히려 일본이나 북한보다도 크게 나빠졌다. 이후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대거 동남아로 수입, 수출 판로를 다변화하는 등 지나치게 중국에 집중되어 있는 산업 구조를 바꾸기 위한 노력을 하였고, 탈중국화를 통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110]

잇따른 갈등에 2017년 이후 양국 국민 간의 감정도 크게 악화되었다. 2017년 퓨 리서치 센터의 조사에서 한국인의 61%가 중국에 대해 비호감이라 응답했는데, 이는 베트남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중국에서도 2018년 통일연구원에서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77.4%의 중국인이 한국인을 신뢰할 수 없다고 응답했으며, 한국에 대한 호감도 역시 3.4점으로 일본보다도 낮았다.[111] 그리고 한국의 반중감정이 심해지면서 특히 20대의 혐중이 60대보다 심해져서 중국 측에서도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017년 국정농단 사태로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된 후, 더불어민주당 소속 문재인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해찬 의원, 김태년 의원 등을 특사로 방중시켜 사드 문제를 논의하도록 하였고, 양국 간 통화 스와프를 연장하였으며 악화일로를 걷던 한중 관계를 개선시키는 전환점을 만드는 데에 성공하였다. 다만 중국 화춘잉(華春瑩) 대변인이 대한민국이 사드 추가 배치와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제 참여, 한미일 안보협력의 군사동맹으로 발전 등을 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3불(不) 약속'을 해주고 갔다고 일방적으로 밝혀 논란이 되었다.[112]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이에 공식적으로 항의하였으며, 이후 인민일보 등 관영매체에서도 '약속'이라는 단어 대신 '입장 표명'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문재인 정부 들어 한중 관계는 점차 회복세를 띠기 시작하였으며 베트남에서 열린 APEC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정상회담을 가지며 관계 회복의 급물살을 타기 시작하였다. 정상회담에서 보다 의미있게 평가할 수 있는 성과물은 양국의 최대 공통현안인 북핵 해결을 위한 소통과 협력을 가일층 강화하기로 한 점이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현 한반도 안보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북핵 문제를 궁극적으로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뜻을 모았다. 2017년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한 지 4일 만에 시진핑 주석을 만난 것으로, 북핵 문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G2(주요 2개국)와 정상 차원의 협의를 진행한 것이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잇달아 북·미 대화를 시사하였는데 이는 미국의 제재와 압박이 북한에서 가시적 효과를 내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다음 단계인 대화 국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포석으로 풀이되었다.

한중관계가 개선되고 있지만, 일반 대중들의 중국에 대한 인식은 2016년 사드 사태 이후로 여전히 나아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2010년대 들어 사회 주요 이슈로 떠오른 중국발 미세먼지, 중국 불법 조업 어선의 한국 EEZ 침범, 북한을 암묵적으로 지원하고 뒤에서 밀어주는 중국의 행태, ''''한국은 역사적으로 중국의 일부였다''''라는 등 시진핑 주석 및 고위 관료들의 망언[113] 및 중화중심주의, 중국인 관광객들의 몰상식한 행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중 인식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2018년 들어 문재인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비핵화 문제가 교착상태에 빠지고, 북한이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등 국제 외교의 신뢰 자체를 무시하는 행동을 저지르자 일반 시민들의 대중 인식은 이와 함께 더 악화되고 있다. 또한 2019년 일어난 홍콩 시위에 대한 중국의 탄압, 2020년 본격적으로 발생한 코로나19 사태에서 중국의 초기 대응 부실 등의 이유로 대한민국의 대중 인식은 나아질 기미가 도저히 보이지 않고 있다.

3. 1. 정상 외교

1983년, 중화인민공화국대한민국은 관계를 정상화하며 경제적, 정치적 유대 관계를 심화시켰다. 이후 양국은 관계를 5단계로 격상했는데, 1998년에는 "21세기 협력 동반자 관계", 2003년에는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 2008년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고, 2014년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심화"로 격상되었다.[19][20]

2004년 이후, 중국은 대한민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은 대한민국을 동북아시아에서 미국의 동맹 네트워크의 가장 취약한 고리로 인식하고 있다. 북한의 핵 문제와 미국이 대한민국에 제공하는 군사적 지원은 최근 수년간 양자 관계에 주요 위협이 되어 왔다.[2]

박근혜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2] "균형 외교"가 복원되었으며, 문재인 대통령 또한 이 기조를 이어갔다.[21]

2013년 박근혜-시진핑 정상회담은 관계 개선의 조짐을 보였으나, 중국이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을 한국 영토까지 확대하면서 급격히 냉각되었다.[31] 2014년 7월, 시진핑은 전통적 동맹국인 북한보다 먼저 한국을 방문했으며, 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비핵화된 한반도와 진행 중인 자유 무역 협정(한중 FTA)에 대한 지지를 확인했다.[32] 양국 정상은 또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일본 헌법 제9조 재해석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2016년 말, 미국과 대한민국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THAAD, 사드) 배치를 공동으로 발표했는데, 이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이었다.[49] 그러나 중국은 THAAD 배치가 미국의 중국 견제 조치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대한민국과 미국의 결정에 지속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해 왔다.[52][53]

데탕트 (긴장 완화)를 목표로 2016년 9월 5일 중국 동부 항저우에서 양국 정상,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박근혜 대표가 만나 THAAD 문제를 논의했다. 박근혜는 THAAD 배치가 오직 북한을 겨냥한 것이며 중국의 안보 이익을 침해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시진핑은 THAAD 배치가 "분쟁을 격화"시킬 수 있다고 말하며 중국의 확고한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관계의 오랜 역사를 강조하며 안정적이고 건전한 양자 관계가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동의했다.[55]

2021년 3월 23일, 최고 지도자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은 양국 간 대화를 증진하고, 작년에 팬데믹으로 연기된 시진핑의 방한 일정을 다시 잡고, 향후 30년간 양자 관계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33]

3. 1. 1. 주요 정상회담

한중 정상회담 일람 (1992~현재)
날짜정상장소비고각주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1992년 9월 28일노태우양상쿤중국양국 수교 후 첫 회담
1993년 11월 19일김영삼장쩌민미국
1994년 3월 28일김영삼장쩌민중국김영삼 대통령 방중
1994년 11월 14일김영삼장쩌민인도네시아자카르타 APEC 정상회의 계기
1995년 11월 13일김영삼장쩌민대한민국장쩌민 주석 방한
1996년 11월 24일김영삼장쩌민필리핀마닐라 APEC 정상회의 계기
1997년 11월 24일김영삼장쩌민캐나다
1998년 11월 12일김대중장쩌민중국
2000년 9월 6일김대중장쩌민미국유엔 새천년 정상회담 계기[117]
2001년 10월 18일김대중장쩌민중국
2002년 10월 27일김대중장쩌민멕시코
2003년 7월 7일노무현후진타오중국[118]
2003년 10월 19일노무현후진타오태국
2004년 11월 19일노무현후진타오칠레산티아고 APEC 정상회의 계기
2005년 5월 8일노무현후진타오러시아모스크바 전승 60주년 기념식 참석 계기
2005년 11월 16일노무현후진타오대한민국후진타오 주석 방한
2006년 11월 17일노무현후진타오베트남하노이 APEC 정상회의 계기
2007년 9월 7일노무현후진타오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 APEC 정상회의 계기
2007년 11월 20일노무현후진타오싱가포르
2008년 5월 27일이명박후진타오중국
2008년 8월 9일이명박후진타오중국2008년 베이징 올림픽 참석차 이명박 대통령 방중
2008년 8월 25일이명박후진타오대한민국후진타오 주석 국빈방한
2009년 4월 3일이명박후진타오영국런던 G20 금융정상회의 계기
2009년 9월 23일이명박후진타오미국뉴욕 유엔 총회 계기
2010년 4월 30일이명박후진타오중국이명박 대통령 상하이엑스포 방문 계기
2010년 6월 27일이명박후진타오캐나다토론토 G20 정상회의 계기
2010년 11월 11일이명박후진타오대한민국서울 G20 정상회의 계기
2012년 1월 9일이명박후진타오중국
2012년 3월 26일이명박후진타오대한민국서울 핵안보정상회의 계기
2012년 5월 14일이명박후진타오중국
2013년 6월 27일박근혜시진핑중국
2013년 10월 7일박근혜시진핑인도네시아발리 APEC 정상회의 계기
2014년 3월 23일박근혜시진핑네덜란드헤이그 핵안보정상회의 계기
2014년 7월 3일박근혜시진핑대한민국시진핑 주석 국빈방한
2014년 11월 10일박근혜시진핑중국
2015년 9월 2일박근혜시진핑중국전승절 기념행사 참석차 박근혜 대통령 방중
2016년 3월 31일박근혜시진핑미국워싱턴 핵안보정상회의 계기
2016년 9월 5일박근혜시진핑중국
2017년 7월 6일문재인시진핑독일
2017년 11월 11일문재인시진핑베트남
2017년 12월 14일문재인시진핑중국문재인 대통령 국빈방중
2018년 11월 17일문재인시진핑파푸아뉴기니파푸아뉴기니 G20 정상회의 계기
2019년 6월 27일문재인시진핑일본오사카 G20 정상회의 계기
2019년 12월 23일문재인시진핑중국
2022년 11월 15일윤석열시진핑인도네시아[119]
2024년 11월 15일윤석열시진핑칠레리마 APEC 정상회의 계기[120]


3. 2. 외교 공관

베이징에 주중 대한민국 대사관이, 광저우, 상하이, 선양, 시안, 청두, 칭다오, 홍콩에 총영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서울에 주한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이, 부산광주에는 총영사관이 개설되어 있다.[1]

3. 3. 한반도 문제와 6자 회담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의 억압적인 조치를 지지했다. 반면, 대한민국은 1989년 톈안먼 사건을 비난하지도, 옹호하지도 않으며 침묵했다. 그럼에도 양국의 교역은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근혜는 2013년 6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를 방문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2015년 9월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행사의 열병식에 참석하였다. 이 행사에는 서방 국가들 중 대한민국, 체코, 폴란드 세 나라 정상들만이 참여하여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의 모습이 더더욱 눈에 띄었다. 이때 박근혜 대통령의 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참석이 실리가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박근혜 대통령을 옹호하는 측에서는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관계를 개선하여 나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다만 반대하는 측에서는 한미 동맹을 맺고 있는 한국이 미국의 가상 적국인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승절에 국가 최고원수를 직접 보내는 것이 국제 정서에 부합할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으며, 박근혜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 이후에도 중화인민공화국이 남북갈등 문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계속 지원하고, 대한 행보에 변화가 없는 것에 대해 방문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문재인 대통령은 이해찬 의원, 김태년 의원 등을 특사로 방중시켜 악화일로를 걷던 한중 관계를 개선시키는 전환점을 만드는 데에 성공하였다. 베트남에서 열린 APEC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정상회담을 가지며 관계 회복의 급물살을 타기 시작하였다.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최대 공통 현안인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두 정상은 한반도 안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북핵 문제를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뜻을 모았다. 양국은 이를 위해 각급 차원에서 북핵과 한반도 문제에 대한 '전략대화'를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3. 4. 국제 협력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개발에 반대하며 대한민국을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여겨 교류를 늘리고 있다. 일본 제국으로 인해 피해를 겪었다는 공통점 때문에, 대한민국의 위안부 문제 제기와 중화인민공화국의 731 부대 생체실험 사건을 통해 일본의 우경화에 공동 대응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이 하얼빈에 안중근 의사 기념비를 요청하자 기념관을 건립하여 일본을 압박하기도 했다.[102][103]

베이징에는 대한민국 대사관이, 광저우, 상하이, 선양, 시안, 청두, 칭다오, 홍콩에는 총영사관이 있다. 서울에는 주한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이, 부산광주에는 총영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1983년 양국은 관계를 정상화한 후, 1998년 "21세기 협력 동반자 관계", 2003년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 2008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2014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심화" 등 5단계로 관계를 발전시켰다.[19][20]

2004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이 되었고, 남북 관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을 동북아시아에서 미국의 동맹 네트워크 중 가장 취약한 고리로 보기도 한다. 북한 핵 문제와 미국의 대한민국 군사 지원은 양국 관계의 주요 위협이었다.[2]

박근혜 대통령은 "균형 외교"를 복원했고, 문재인 대통령도 이 기조를 이어갔다.[2][21] 대한민국은 갈등을 피하고자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미국의 비판을 지지하는 것을 자제해왔다.[22]

중화인민공화국은 북한과 미국, 북한과 일본 사이에서 중재를 시도했고, 평양, 서울, 워싱턴 간의 3자 회담을 추진하기도 했다.[27] 2010년 미국 외교 전문 누설에 따르면, 익명의 중화인민공화국 관리들은 대한민국 정부 주도의 통일을 선호한다고 밝혔다.[28]

2011년 대한민국 외교부는 중국 관련 업무 부서에 분석팀과 모니터링팀을 신설하고, 국립외교원(IFANS)에 중국 문제 전담 센터를 개소했다.[29][30]

2013년 박근혜-시진핑 정상회담으로 관계 개선 조짐이 있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확대로 냉각되었다.[31] 2014년 시진핑은 북한보다 먼저 대한민국을 방문, 양국 정상은 비핵화된 한반도와 자유 무역 협정 지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일본 헌법 제9조 재해석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32]

일대일로와 관련된 협력 문서에 서명한 국가들


2021년 시진핑 주석과 문재인 대통령은 양국 간 대화 증진, 시진핑 방한 일정 재조정, 향후 30년간 양자 관계 발전 청사진 마련에 합의했다.[33] 같은 해 대한민국이 대만 안정을 위해 미국과 협력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하자, 중화인민공화국은 경고했다.[34][35] 2021년 12월,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외교관들이 온라인 회담을 가졌다.[36]

4. 경제 관계

1992년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에 따라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였으며, 이후 양국 간 경제 관계는 급속도로 발전했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개방 이후 양국 간 교역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양국은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며,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을 추진했다. 한미 FTA가 타결된 후, 중국 정부는 즉시 대한민국과의 FTA 협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38] 한중 FTA는 2015년 12월 20일에 최종 타결되었으며, 이로 인해 양국 간 교역 품목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었다.[40] 또한, 2015년에는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개설되었다.[24]

2017년 대한민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 배치 결정으로 인해 중국의 비공식적 제재가 있었지만, 양국은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의 회원국으로서 경제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24]

최근에는 경제 관련 분쟁도 발생하고 있다. 2022년에는 중국 경찰 해외 서비스 센터 관련 보고에 따라 대한민국 당국이 조사를 시작했고,[78] 2023년에는 전 삼성전자 임원 등이 중국에 반도체 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삼성의 영업 비밀을 훔친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79] 같은 해, 서울경찰청은 중국인 연구원을 의료 로봇 기술 유출 혐의로 체포했다.[80] 2023년 11월, 국가정보원은 중국 기업들이 한국 뉴스 매체를 모방한 가짜 웹사이트를 설립하여 친중 및 반미 선전을 퍼뜨렸다고 보고했다.[81] 2024년 8월에는 국군방첩사령부 직원이 중국에 군사 기밀을 판매한 혐의로 기소되었다.[84][85]

4. 1. 교역

1978년부터 1991년 사이, 대한민국과 중국 간의 무역은 3만 7천 달러에서 44억 달러로 증가했다.[24] 특히 중화인민공화국개혁개방 이후 양국 간의 무역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에도 양국의 교역은 더욱 증가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덩샤오핑의 개방정책으로 대한민국과의 제3국을 통한 교역이 증가하여 1980년 말에는 1,900만 달러에 이르렀다.[101]

노태우 정부북방 정책 추진과 소련과의 수교 성공은 중화인민공화국에게도 영향을 미쳐 양국간 교역이 확대되었다. 상호 보완적인 경제적 필요성과 지리적 접근성으로 인해 교역이 시작되었으며, 1989년에는 제한적 상호 방문을 허락하여 학술, 언론, 이산가족 교류가 가능해졌다.[24]

2004년까지 중국은 대한민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이 되었다.[37] 한미 FTA가 2007년 6월 30일에 최종 타결된 후, 중국 정부는 즉시 대한민국과의 FTA 협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38] 중·한 자유 무역 협정은 2015년 12월 20일에 최종 타결되었다. 의료 장비, 변압기 등 958개 품목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었다. 2016년 1월 1일, 5,779개 품목에 대한 관세가 2년간 철폐되었다.[40] 또한 2015년에는 대한민국과 중국이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개설했다.[24]

대한민국은 중국과의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09년에 325억달러의 최고치를 기록했고, 2014년에는 양국 간의 총 무역액이 3000억달러를 넘어섰다.[39][37] 2018년까지 양국 간의 무역은 1991년 이후 60배 증가했다.[24] 적어도 2021년 기준으로, 중국은 대한민국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목적지이다.[24]

2017년 대한민국이 THAAD 배치를 결정하면서 중국의 비공식적 제재로 인해 양국 간 교역에 어려움이 있었다. 중국 시민들은 한국 제품 불매 운동을 벌였고, 롯데 매장 폐쇄,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판매량 급감, 중국 관광객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59][60]

대한민국과 중국은 모두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의 회원국이다.[24]

4. 2. 투자

2017년 대한민국이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 배치를 수용하기로 결정하자, 중국 정부는 공식적인 제재나 조치는 자제했지만, 공식 언론을 통해 자국민들에게 이 조치에 대한 불쾌감과 반감을 표현하도록 촉구했다.[56] 이에 따라 중국 시민들은 항의 시위를 벌였고, 언론은 현대차 등 한국 제품에 대한 시민들의 불매 운동과 한국 상품의 슈퍼마켓 진열대 철수, 관광객 및 여행사의 한국 여행 취소 등을 보도했다.[59]

롯데 그룹은 THAAD 배치를 위해 사용될 성주군의 골프장을 한국 정부와 토지 교환에 합의하면서 특히 표적이 되었다. 중국 내 롯데 매장에 대한 소비자 불매 운동 외에도, 시 당국은 롯데 매장과 공장이 화재 안전 규정 및 기타 지역 조례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99개 롯데 슈퍼마켓 중 75개를 폐쇄했다.[59][57][58]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2017년 3월 현대자동차와 계열사인 기아자동차의 중국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52% 급감한 72,000대로, 2014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59] 또한, 2016년 3월 대비 중국 관광객 수도 39.4% 감소했다.[60]

중국의 비공식 제재로 인해 한국 경제가 받는 부담을 덜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은 "3불" 정책을 약속하며, 미국 미사일 방어 시스템에 참여하지 않고, THAAD 추가 배치를 고려하지 않으며, 한·미·일 안보 협력을 군사 동맹으로 발전시키지 않겠다고 밝혔다.[62]

4. 3. 한중 FTA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의 관계 개선 노력의 일환으로, 양국은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을 추진하였다. 한미 FTA가 2007년 6월 30일에 타결된 후, 중국 정부는 대한민국과의 FTA 협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38] 2014년 양국 간의 총 무역액이 3천억 달러를 넘어섰고,[39][37] 2015년 12월 20일, 한중 FTA가 최종 타결되었다. 이 협정으로 의료 장비, 변압기 등 958개 품목에 대한 관세가 즉시 철폐되었고, 2016년 1월 1일부터 2년간 5,779개 품목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었다.[40] 또한 2015년에는 대한민국과 중국이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개설했다.[24]

2018년까지 양국 간의 무역은 1991년 이후 60배 증가했으며,[24] 2021년 기준으로 중국은 대한민국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주요 교역 상대국이다.[24] 대한민국과 중국은 모두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의 회원국이다.[24]

4. 4. 통화 스와프

货币互换중국어이라고도 불리는 통화 스와프는 금융 용어로, 서로 다른 통화를 교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통화 스와프 협정에 대한 내용은 주어진 원본 문서에 나타나 있지 않다.

5. 사회·문화 관계

1989년 말부터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학술, 언론, 이산가족 교류를 위해 상호 방문을 허용했다. 1992년 8월,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에 따라 대한민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수용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했다.

인터넷 발달과 한국 문화 콘텐츠 수출로 인해 한국 문화, 가수, 배우 및 댄서는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한류)[63] 그러나 사드 배치 논란 이후, "한한령"(限韓令|한한령중국어)으로 인해 한류 문화 행사가 취소되고 한국 배우들이 출연 작품에서 하차하는 등 제한이 있었다.[64] 이 금지령은 곧 해제되었고, 관계는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2020년 10월, 방탄소년단의 멤버 RM이 한국 전쟁에 대해 대한민국이 미국과 고통의 역사를 공유한다고 발언하자, 중국 관영 언론은 BTS가 중국의 역할을 무시했다고 비난하며 중국 네티즌들이 한국 대중 문화를 보이콧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5][66]

동북공정과 관련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고구려를 중국의 조공 국가로 주장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2004년 대한민국에서 대규모 반발이 일어났다.[69] 백두산을 두고도 한국 활동가와 학자들은 한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긴장이 발생하기도 했다.[74]

2014년, 연예인 김수현과 전지현이 중국 생수 회사 광고에 출연하면서, 물의 근원을 한국식 이름 대신 "장백산" (장백산)으로 표기하여 논란이 되었다.[75]

2020년, 한국 언론사 JTBC는 여러 미국 대학 입시 교재에서 한국을 당나라, 명나라, 청나라 시대에 중국의 일부로 묘사했다고 보도했다.[77] 또한 중국 웹사이트 바이두가 한국 독립운동가들을 조선족으로 표기한 것에 대해 대한민국 정부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5. 1. 인적 교류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학자, 언론인, 특히 이산가족들이 자유롭게 상호 방문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41] 양국 국민들은 상당수가 상대국에 거주하고 있다. 2009년을 기준으로, 60만 명 이상의 중화인민공화국 국민이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중 70%는 옌볜 조선족 자치주를 비롯한 중국 각지의 조선족이다.[41] 한편, 약 56만 명의 대한민국 국민이 중국에 거주하고 있다.[42] 최소 2019년을 기준으로, 한국은 중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 수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24]

2000년에는 대한민국 남성과 중화인민공화국 여성 간의 국제결혼이 3,566건(전체의 51%)이었으나, 2008년에는 13,203건(전체의 46.8%)으로 증가하였다.[102] 2001년경부터 한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유학 붐이 일기도 했다.[103]

2008년 4월 27일, 서울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 성화 봉송 행사에서 재한 중국인 및 중국인 유학생들이 폭력 시위를 일으켜 한국인 및 외국인이 부상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008년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시위 사건) 이로 인해 양국 간에 반한, 반중 감정이 고조되는 등 갈등이 심화되었다.

탈북자 문제 또한 양국 관계의 갈등 요소로 남아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탈북자들을 강제 북송하는 정책을 유지해왔다. 2012년 2월에는 탈북자들이 대거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에 체포되어 강제 북송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3월에는 탈북자 북송 반대 집회가 열리기도 했다.[104] 같은 해 3월 12일, 제네바에서 열린 회의에서 탈북자 북송 문제로 남북 대표 간 충돌이 발생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은 탈북자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105][106]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별개의 국가로 인식하고 수교하고 있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요청에 따라 탈북자 북송을 시행하고 있다.

5. 2. 문화 교류

1983년 5월, 중국 민항기 불시착 사건을 계기로 양국은 비정치적인 영역에서 교류를 시작했다. 스포츠, 문화, 관광 등에서 교류가 이루어졌으며, 1983년 8월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민항기가 한국의 비행정보구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101] 1989년에는 양국 간 제한적 상호 방문이 허용되어 학술, 언론, 이산가족 교류가 가능해졌다. 특히 옌볜 조선족 자치주를 중심으로 200만 명에 가까운 조선족들이 대한민국과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한국 문화, 가수, 배우, 댄서들은 인터넷 발달과 한국 문화 콘텐츠 수출에 힘입어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이를 한류라고 부른다.[63] 2001년경부터 한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유학 붐이 일기도 했다.[103] 대한민국 남자들의 국제결혼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아내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2000년에는 51%, 2008년에는 46.8%를 기록했다.[102]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이 서울에서 열렸을 때, 재한 중국인 및 중국인 유학생들의 폭력 시위로 인해 한국인외국인이 부상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008년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시위 사건) 이로 인해 양국 간 반한, 반중 감정이 고조되기도 했다.

THAAD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2017년에는 "한한령"(限韓令)이 내려져 한류 문화 행사가 취소되고, 한국 배우들이 출연하던 작품에서 하차했으며, 한국 미디어 수출이 제한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금지령은 곧 해제되었고, 관계는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64]

방탄소년단의 멤버 RM이 한국 전쟁에 대해 대한민국이 미국과 고통의 역사를 공유한다고 발언한 것을 두고, 2020년 중국 관영 언론은 BTS가 중국의 역할을 무시했다고 비난하며 중국 네티즌들이 한국 대중 문화를 보이콧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5][66]

동북공정과 관련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고구려를 중국의 조공 국가로 주장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2004년 대한민국에서 대규모 반발이 일어났다.[69] 백두산을 두고도 한국 활동가와 학자들은 한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긴장이 발생하기도 했다.[74]

5. 3. 교육 교류

2000년대 후반,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 과정에서의 폭력 시위로 인해 양국 간 갈등이 발생했다.(→2008년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시위 사건) 이 사건으로 양국 국민 간 반감과 위화감이 조성되었다.

탈북자 문제 또한 양국 간 갈등 요소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탈북자들을 강제 북송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탈북자 대거 북송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반대하는 집회가 대한민국에서 열렸고, 제네바에서 열린 회의에서는 탈북자 북송 문제로 남북 대표 간 충돌이 발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탈북자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 것을 주장했다.[104][105][106]

1980년대 후반부터 양국 간 개인적 교류가 활발해져 학자, 언론인, 이산가족 등이 상호 방문했다. 2009년 기준으로 60만 명 이상의 중화인민공화국 시민이 대한민국에, 56만 명의 대한민국 시민이 중화인민공화국에 거주하고 있다.[41][42] 특히 대한민국은 2019년 기준 중화인민공화국 내 외국인 유학생 수 1위를 차지했다.[24]

인터넷 발달과 한국 문화 콘텐츠 수출에 힘입어 한국의 가수, 배우, 댄서 등이 중화인민공화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63] 그러나 사드 배치 논란 이후, "한한령"(限韩令|한한령중국어)으로 인해 한류 문화 행사가 취소되고 한국 배우들이 출연 작품에서 하차하는 등 제약이 있었다. 이후 금지령이 해제되고 관계는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64]

5. 4. 스포츠 교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이 대한민국 서울에서 2008년 4월 27일에 열렸을 때, 재한중국인 및 중국인 유학생들이 폭력 시위를 일으켜 한국인외국인이 부상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양국 간에 반한, 반중 감정이 강하게 일어나는 등 갈등이 커졌다.[104]

6. 양자 조약

체결 연도조약명
1980년투자에 관한 독려와 상호보호 협정, 무역협정, 과학기술협력협정, 경제, 무역과 기술협력연합위원회 창립에 관한 협정, 중국대한민국의 부산과 상해시 영사관 개설에 관한 교류문건
1993년해운협정, 환경교류협정
1994년소득세의 회피와 탈세방지에 관한 협정, 문화교류협력협정, 세관협력과 공조에 관한 협정
1995년경제발전협력기금 차관에 관한 협정, 민간항공협력개발에 관한 양해의정서
1997년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한국 총영사관 유보에 관한 교류문건
1998년형사사법공조조약
2000년어업협정
2003년민상사사법공조에 관한 협정
2005년문화유산개발의 교류협력에 관한 협정, 중한경제무역협력 장기발전계획 연합연구보고 수정 및 조정
2008년범죄인 인도, 극지관학기술 협력양해각서, 학위학력상호인정양해각서, 투자보호협정 수정


7. 미래 전망과 과제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중국) 관계는 1992년 수교 이후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해 왔지만, 사드 배치 논란, 역사 왜곡 문제 등 여러 과제를 안고 있다.


  • 주요 과제:
  • 사드 배치 문제: 2016년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 이후, 중국은 사드가 자국의 안보 이익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경제적 보복 조치를 취했다. 이로 인해 양국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었고,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인해 한국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다.[56]
  • 역사 왜곡 문제: 동북공정 등 중국의 역사 왜곡 시도는 한국의 역사 인식을 침해하고 양국 간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이다.[68]
  • 탈북자 문제: 중국은 탈북자를 강제 북송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주의적 문제이자 양국 간 외교적 갈등 요소이다.[104]
  • 국민 간 감정 악화: 2008년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시위 사건과 사드 배치 이후 중국의 경제 보복, 한한령 등으로 인해 양국 국민 간 감정이 악화되었다.[102]
  • 미중 관계의 영향: 미국중국의 갈등 심화는 한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이자 중국의 주요 교역국으로서, 미중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유지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2]

  • 미래 전망:
  • 양국은 경제, 문화 교류를 지속하고, 상호 신뢰 회복과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 미중 관계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과 함께, 양국 간 갈등 요소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국민 간 교류 확대와 상호 이해 증진을 통해 양국 관계의 미래 지향적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7. 1. 상호 신뢰 회복과 관계 개선 노력

2008년 4월 27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 행사에서 재한중국인 및 중국인 유학생들의 폭력 사태로 인해 한국인외국인이 부상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2008년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시위 사건) 이 때문에 양국 간에 반한, 반중 감정이 강하게 생겨나는 등 위화감이 조성되었다.[102]

탈북자 문제도 한중 관계의 갈등 요소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탈북자들을 강제로 북송하는 정책을 유지해왔다. 2012년 2월에는 탈북자들이 대거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에 체포되어 강제 북송되었고, 3월에는 탈북자 북송 반대 집회가 열렸다.[104] 같은 해 3월 12일 제네바에서 열린 회의에서 탈북자 북송 문제로 남북 대표 간 충돌이 발생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은 탈북자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라고 주장했다.[105][106]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 집권 이후 한중 FTA 추진과 시진핑 주석의 대한민국 방한 등의 움직임은 미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큰 주목을 받았다. 2012년 8월 양국은 수교 20주년을 맞았다.[107] 2013년 6월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근혜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를 방문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2013년 양국은 한국에서 발굴된 중국인민지원군 유해를 중국으로 송환하기로 합의하여 2014년부터 중공군 유해를 인도하고 있다.[108] 2015년 9월 박근혜 대통령은 베이징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행사의 열병식에 참석했다. 이 행사에는 서방 국가들 중 대한민국, 체코, 폴란드 정상들만이 참여하여 박근혜 대통령의 모습이 더욱 주목받았다.

박근혜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2] "균형 외교"가 복원되었으며, 문재인 대통령 또한 이 기조를 이어갔다.[21] 2014년 7월, 시진핑은 전통적 동맹국인 북한보다 먼저 한국을 방문했으며, 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비핵화된 한반도와 진행 중인 자유 무역 협정에 대한 지지를 확인했다.[32] 양국 정상은 또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일본 헌법 제9조 재해석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2021년 3월 23일, 최고 지도자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은 양국 간 대화를 증진하고, 작년에 팬데믹으로 연기된 시진핑의 방한 일정을 다시 잡고, 향후 30년간 양자 관계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33]

2021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이 대만 안정을 위해 미국과 협력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고,[34] 이에 중국은 경고를 보냈다.[35]

2021년 12월 23일, 최종건 외교부 차관을 비롯한 한국 고위 외교관들이 중국 외교관들과 온라인 회담을 가질 것이라고 보도되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 회담이 "소통과 상호 신뢰를 증진하고 양자 관계를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36]

7. 2.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협력 강화

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개발에 반대하며, 대한민국을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다. 양국은 근현대사에서 일본 제국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일본의 우경화 외교에 공동 대응하고 있다. 731 부대 생체실험 사건(중국)과 위안부 문제(한국)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하얼빈에 안중근 의사 기념관을 건립하는 등 일본을 압박하고 있다.[102][103]

시진핑 주석 집권 이후 한중 FTA 추진, 시진핑 주석의 방한 등으로 양국 관계가 발전하면서 미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중 관계를 주목하고 있다. 2012년 수교 20주년을 맞았고,[107]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이 베이징을 방문,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양국은 한국에서 발굴된 중국인민지원군 유해를 중국에 송환하기로 합의, 2014년부터 시행하고 있다.[108] 2015년 박근혜 대통령은 베이징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했는데, 이는 서방 국가 중 대한민국, 체코, 폴란드 정상만이 참석한 것이라 더욱 주목받았다.

그러나 2016년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으로 양국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4차 핵실험 이후, 대한민국은 사드를 배치하려 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사드가 자국의 국익을 해친다며 반발, 내정간섭을 하였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은 이미 대한민국 전역을 감시 가능한 레이더를 운용 중이었고, 대북 제재 요청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편을 드는 이중적 태도를 보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소국(小國)이 대국(大國)에 대항해서 되겠냐, 너희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단교 수준으로 엄청난 고통을 주겠다"'''고 발언, 내정간섭을 하며[109] 한국 내 반중 정서를 강화시켰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한국은 경제적 피해를 입었고, 대중 감정은 일본이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보다 나빠졌다. 한국 기업들은 탈중국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110]

2017년 이후 양국 국민 간 감정도 악화되었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61%가 중화인민공화국에 비호감을, 중화인민공화국인의 77.4%가 한국인을 불신하며, 한국에 대한 호감도도 일본보다 낮았다.[111]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더불어민주당 소속 문재인 대통령은 이해찬, 김태년 의원 등을 특사로 파견, 사드 문제를 논의하고 양국 통화 스와프를 연장하는 등 관계 개선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화춘잉 대변인이 한국의 '3불 약속'(사드 추가 배치, 미국 미사일방어 체제 참여, 한미일 안보협력의 군사동맹 발전 등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일방적으로 밝혀 논란이 되었다.[112] 한국 정부는 항의했고, 인민일보 등은 '약속' 대신 '입장 표명'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한중 관계는 회복세를 보였고, APEC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정상회담을 통해 관계 회복이 가속화되었다. 양 정상은 한반도 안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북핵 문제를 대화로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북핵, 한반도 문제에 대한 '전략대화'를 강화하기로 했고, 새로운 고위급 협의체 구성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지 4일 만에 시진핑 주석을 만난 것은 북핵 문제에 영향력을 가진 G2(주요 2개국)와 정상 차원의 협의를 진행한 것이다.

하지만 일반 대중들의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인식은 2016년 사드 사태 이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중국발 미세먼지, 중국 불법 조업 어선의 한국 EEZ 침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행태, 시진핑 주석 등의 망언[113], 중화중심주의, 중국인 관광객들의 몰상식한 행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중 인식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2019년 2019–2020년 홍콩 시위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의 탄압, 2020년 코로나19 사태 초기 대응 부실 등으로 대한민국의 대중 인식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7. 3. 경제 협력 심화와 다변화

1983년, 중국과 대한민국은 관계를 정상화하며 경제적, 정치적 유대 관계를 심화시켰다. 이후 중국과 대한민국은 1983년 "우호 협력 관계", 1998년 "21세기 협력 동반자 관계", 2003년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 2008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2014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심화"로 관계를 5단계로 격상시켰다.[19][20]

2004년 이후, 중국은 대한민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 시진핑 집권 이후 한중 FTA 추진과 시진핑 주석의 대한민국 방문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2년 8월, 수교 20주년을 맞았다.[107] 2013년 6월, 박근혜 대통령이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를 방문하여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2013년 중한 양국은 한국에서 발굴한 중국인민지원군 열사의 유해를 중국으로 송환하기로 합의하여 2014년부터 중공군 유해를 인도한다.[108] 2015년 9월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행사의 열병식에 참석하였다.

2021년 3월 23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은 양국 간 대화를 증진하고, 작년에 팬데믹으로 연기된 시진핑의 방한 일정을 다시 잡고, 향후 30년간 양자 관계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33]

7. 4. 국민 간 교류 확대와 상호 이해 증진

대한민국 남성들의 국제결혼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여성과의 혼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2000년에는 3,566건(전체의 51%)이었고, 2008년에는 13,203건(전체의 46.8%)으로 증가하였다.[102] 2001년경부터 대한민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유학 붐이 일기도 했다.[103]

2008년 4월 27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 행사에서 재한 중국인 및 중국인 유학생들이 폭력 시위를 일으켜 한국인외국인이 부상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008년 중국인 성화봉송 폭력시위 사건) 이 사건으로 인해 양국 국민 간에 반한, 반중 감정이 고조되는 등 갈등이 심화되었다.

탈북자 문제 또한 양국 간 갈등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탈북자들을 강제 북송하는 정책을 유지해 왔으며, 2012년 2월에는 탈북자들이 대거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에 체포되어 강제 북송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3월에는 탈북자 북송에 반대하는 집회가 열렸고,[104] 같은 달 12일 제네바에서 열린 회의에서 탈북자 북송 문제로 남북 대표 간 충돌이 발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탈북자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 것을 주장했다.[105][106]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별개의 국가로 인식하고 수교하고 있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요청인 탈북자 북송을 시행하는 중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한국 문화 콘텐츠 수출로 인해 한국 문화, 가수, 배우 및 댄서는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63] 사드 배치 논란 이후, "한한령"이 한류에 가해졌다. 중국에서 한류 문화 행사가 취소되고, 한국 배우들이 출연하던 작품에서 하차했으며, 제한적으로 한국 미디어가 중국으로 수출될 수 있었다. 이 금지령은 곧 해제되었고, 관계는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64]

2020년 10월 13일, 대한민국 보이 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이자 리더인 RM은 한국 전쟁에 대한 연설에서 대한민국이 미국과 고통의 역사를 공유한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중국에서 격분을 일으켰고, 중국 관영 언론은 BTS가 분쟁의 다른 측면에 대한 중국의 역할을 편향적이고 무감각하게 여기는 것에 대해 맹비난했으며, 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한국 대중 문화를 보이콧할 것을 촉구했다.[65][66] 이는 일부 한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중국이 상황을 과장했다는 비난을 받는 반발을 낳았다.[67]

고구려를 둘러싼 중국의 역사적 주장은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약간의 긴장을 조성했다.[68]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최근 동북공정을 시작했는데, 이는 고구려를 중국의 조공 국가로 주장하는 논란이 많은 연구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가 2004년에 널리 알려지면서 대한민국에서 대규모 반발이 일어났다.[69] 중국의 이 프로젝트는 중국의 동북 3성에 대한 일부 한국인들의 미래주의와 북한이 고구려 고분 벽화를 최초의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유네스코에 신청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70][71]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고구려연구재단을 설립했고,[72] 2007년에는 역사 교과서에서 한국 청동기 시대의 시작을 기원전 1000년이 아닌 기원전 2000년으로 수정했다.[73]

백두산과 관련하여 한국 활동가와 학자들은 이 산이 한국 영토라고 주장하면서 긴장이 발생하기도 했다.[74] 2009년에는 많은 한국인 관광객들이 백두산 중국 쪽에서 표현한 미래주의가 현지 호스트들을 짜증나게 한 것으로 알려졌다.[71] 2014년, 연예인 김수현과 전지현은 중국의 생수 회사 헝다 빙취안 광고에 출연한 후 헝다가 물의 근원을 한국식 이름 대신 "장백산" (장백산)으로 표기하면서 비난을 받았다. 두 배우는 광고 계약을 해지하려고 했으나[75] 김수현은 이후 광고를 계속하기로 결정하여 많은 팬들을 실망시켰다.[76]

2020년, 한국 언론사 JTBC는 여러 미국 대학 입시 교재에서 한국을 당나라, 명나라, 청나라 시대에 중국의 일부로 묘사했다고 보도했다.[77] 또한 중국 웹사이트 바이두가 한국 활동가 안중근, 김구, 윤봉길, 윤동주조선족으로, 문재인 대통령을 "조선"과 "한국인"으로 표기했다가 "조선"을 삭제했다고 보도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77]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korea.net[...]
[2] 간행물 Trying to loosen the linchpin: China's approach to South Korea https://www.brooking[...] 2020-07
[3] 서적 Korea and East Asia: The Story of a Phoenix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5-03-26
[4] 웹사이트 Yangban: The Cultural Life of the Joseon Literati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2-02-05
[5]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South Korea (KOR) Exports, Imports and Trade Partners https://oec.world/en[...] 2021-01-24
[7] 뉴스 "It's Official: China, South Korea Sign Free Trade Agreement" https://thediplomat.[...] 2021-01-25
[8] 뉴스 RCEP: Asia-Pacific countries form world's largest trading bloc https://www.bbc.com/[...] 2021-01-25
[9] 뉴스 Ca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follow RCEP with their own free-trade deal? https://www.scmp.com[...] 2021-01-25
[10] 웹사이트 Why China's economic jabs at South Korea are self-defeating https://www.scmp.com[...] 2019-07-29
[11] 뉴스 South Korea, China say to mend ties after THAAD standoff http://www.channelne[...]
[12] 뉴스 China, South Korea agree to mend ties after THAAD standoff https://www.reuters.[...] 2017-12-28
[13] 뉴스 China, South Korea end year-long diplomatic feud over missile system http://edition.cnn.c[...] 2017-10-31
[14] 뉴스 China, South Korea Ease Tensions Over U.S. Missile Defense http://time.com/5003[...]
[15] 뉴스 South Korea Vying with China as New Benefactor for Philippines https://www.voanews.[...] 2017-11-21
[16] 뉴스 South Korean Foreign Minister to Visit Beijing After China Envoy's North Korea Visit https://thediplomat.[...] 2017-11-21
[17] 뉴스 South Korean foreign minister to visit China to arrange presidential trip- Nikkei Asian Review https://asia.nikkei.[...] 2017-11-21
[18] 뉴스 Seoul to closely cooperate with China, Japan to tackle North Korea issue https://www.upi.com/[...] 2018-03-15
[19] 서적 China-South Korea relations in the new era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www.worldcat[...] 2022-04-29
[20] 간행물 The ROK's China Policy under Park Geun-hye: A New Model of ROK-PRC Relations https://www.brooking[...] 2022-04-29
[21] 웹사이트 Moon's balanced diplomacy http://www.koreahera[...] 2021-06-14
[22] 웹사이트 South Korea Is Caught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https://carnegieendo[...] 2021-06-14
[23] 웹사이트 The Avalon Project : CAIRO CONFERENCE 1943 http://avalon.law.ya[...] 2016-04-03
[24] 서적 The Taiwan Question in Xi Jinping's Era: Beijing's Evolving Taiwan Policy and Taiwan's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Routledge
[25] 뉴스 Chinese and South Koreans Formally Establish Relations https://www.nytimes.[...] 2023-07-17
[26] 뉴스 China, Backing North Korea, Quits Armistice Commission https://www.nytimes.[...] 2022-04-29
[27] 간행물 China and the Korean Peace Process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2-04-29
[28] 웹사이트 Wikileaks cables reveal China 'ready to abandon North Korea' http://www.theguardi[...] 2022-04-29
[29] 서적 China's International Relations: The Economic Dimension https://books.google[...]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22-05-17
[30] 웹사이트 Korea strengthens China analyst team http://www.junotane.[...] 2011-01-12
[31] 웹사이트 Is the China-South Korea Honeymoon Over?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3-11-30
[32] 뉴스 China and South Korea Affirm Antinuclear Goals https://www.nytimes.[...] 2017-03-01
[33] 웹사이트 Xi charms Moon as China and US compete for an ally in South Korea https://www.scmp.com[...] 2021-03-29
[34] 웹사이트 Biden and Moon align on North Korea but walk fine line on China https://asia.nikkei.[...] 2021-06-14
[35] 웹사이트 Don't 'play with fire', China tells US, South Korea over Taiwan concerns https://www.scmp.com[...] 2021-06-14
[36] 뉴스 S.Korea holds talks with China amid spat with Taiwan https://www.reuters.[...] 2021-12-23
[37] 논문 Comrades in Broken Arms: Shifting Chinese Policies Toward North Korea: Comrades in Broken Arms 2016-10-01
[38] 간행물 "ROK’s Yonhap: Exports have been Remarkable, but can S. Korea Sustain Momentum?" Yonhap 2004-10-21
[39] 웹사이트 S Korea posts record-high trade surplus in 2009 http://en.ce.cn/Worl[...] 2010-03-19
[40] 웹사이트 China-Korea FTA http://fta.mofcom.go[...] Ministry of Commer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2-04-29
[41] 간행물 South Koreans Quit China as Yuan's Gain Raises Cost of Living https://www.bloomber[...] 2009-05-04
[42] 간행물 More Than 1 Million Foreigners Live in Korea http://english.chosu[...] 2009-10-18
[43] 뉴스 Chinese fishermen killed in S Korea coastguard clash https://www.bbc.com/[...] 2021-05-14
[44] 웹사이트 Seoul probes deaths of 3 Chinese fishermen https://www.straitst[...] 2021-05-14
[45] 뉴스 China fisherman dies in clash with S Korea coast guard https://www.bbc.com/[...] 2021-05-14
[46] 뉴스 Seoul protests to Beijing over sinking of coast guard vessel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2016-10-10
[47] 웹사이트 South Korea fired on Chinese boats illegally in its waters http://www.businessi[...] 2016-11-02
[48] 웹사이트 S. Korea, China to toughen crackdown on illegal fishing in East Sea https://www.koreaher[...] 2023-12-20
[49] 웹사이트 The Real Answer to China's THAAD Dilemma https://thediplomat.[...] 2022-04-29
[50] 웹사이트 THAAD missile defense system http://fingfx.thomso[...] 2022-03-08
[51] 웹사이트 Why China and Russia Continue to Oppose THAAD https://thediplomat.[...] 2022-03-08
[52] 웹사이트 Why I'm Here: The Importance of the U.S. — China Relationship https://obamawhiteho[...] 2022-04-29
[53] 뉴스 'No Nukes, No THAAD': South Korean town calls for missile defense... https://www.reuters.[...] 2019-05-28
[54] 웹사이트 China Warns THAAD Deployment Could Destroy South Korea Ties 'in an Instant' https://thediplomat.[...] 2022-04-29
[55] 웹사이트 (6th LD) Park, Xi reconfirm differences over THAAD, agree to strengthen communication https://en.yna.co.kr[...] 2022-04-29
[56] 뉴스 China fuels anger over Seoul's missile move https://www.bbc.com/[...] 2018-06-21
[57] 뉴스 One company is bearing the brunt of China's anger over U.S. missile system https://money.cnn.co[...] 2017-03-14
[58] 뉴스 South Korean Stores Feel China's Wrath as U.S. Missile System Is Deployed https://www.nytimes.[...] 2017-03-14
[59] 웹사이트 South Korea's Hyundai, Kia sales halve in China amid diplomatic spat over THAAD http://www.scmp.com/[...] 2017-04-05
[60] 웹사이트 3월 중국인 관광객 39% 줄어… '사드 보복' 영향 http://www.yonhapnew[...] 2017-04-05
[61] 웹사이트 Changing Tides: THAAD and Shifting Korean Public Opinion toward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ttp://en.asaninst.o[...]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21-04-26
[62] 웹사이트 Did South Korea's Three Noes Matter? Not So Much. https://thediplomat.[...] 2021-03-11
[63] 논문 Analog Hallyu: Historicizing K-pop formations in China 2019-12-01
[64] 웹사이트 China Poised to Give Korean Content a Boost After Three Year Boycott https://variety.com/[...] 2021-11-02
[65] 웹사이트 Chinese fans upset by BTS' Korean War remark: Report https://www.thejakar[...] 2020-10-25
[66] 웹사이트 'Nation before idols': Chinese netizens boycott BTS for hurting their feelings over Korean War comment https://mothership.s[...] 2020-10-25
[67] 웹사이트 China Backs off from Fight with K-Pop Fans https://foreignpolic[...] 2020-10-25
[68] 웹사이트 The Koguryo Controversy, National Identity, and Sino-Korean Relations Today http://www.ou.edu/us[...] 2005
[69] 웹사이트 호감→비호감, 서로를 보는 눈이 변했다 https://n.news.naver[...] 2022-04-29
[70] 서적 U.S. Leadership, History, and Bilater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3-08
[71] 서적 South Korea's Evolving Relations with a Rising China: Symbiosis or Mere Cohabit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22-03-08
[72] 웹사이트 The Korea-China Textbook War--What's It All About? https://hnn.us/artic[...] 2006-02-09
[73] 웹사이트 Ancient Kingdom of Gojoseon Turned from Myth into History https://www.donga.co[...] 2007-02-24
[74] 웹사이트 Will Mount Paektu Erupt Again? https://thediplomat.[...] 2022-03-08
[75] 웹사이트 Kim, Jun seek to revoke contracts for Chinese ad https://www.straitst[...] 2022-03-08
[76] 웹사이트 Kim Soo-hyun's controversial Chinese ad revealed http://www.koreahera[...] 2022-03-08
[77] 웹사이트 "[단독] “한반도는 대대로 중국 땅”?…미 교재 '엉터리 세계사'" http://mnews.jtbc.jo[...] 2020-10-25
[78] 뉴스 South Korea investigates secret Chinese 'police stations' after claims of 2 more being uncovered on Jeju Island https://www.scmp.com[...] 2023-06-24
[79] 웹사이트 Ex-Samsung exec charged with stealing trade secrets to create copycat chip factory in China https://apnews.com/a[...] 2023-06-13
[80] 웹사이트 한국 6000억 의료로봇 기술, 1만여건 중국 빼돌린 中연구원 https://www.chosun.c[...] 2023-06-08
[81] 웹사이트 Chinese firms running fake S Korean news sites https://www.rfa.org/[...] 2023-12-04
[82] 웹사이트 China-made phony news sites spreading pro-Beijing propaganda in South Korea: NIS https://www.koreaher[...] 2023-12-19
[83] 뉴스 Phony news sites spreading pro-Beijing propaganda in S. Korea, says country's spy service https://www.straitst[...] 2023-12-19
[84] 웹사이트 S. Korean defense intel official sold secrets to China for 7 years https://www.chosun.c[...] 2024-08-29
[85] 뉴스 South Korea Says an Official Leaked a Classified Spy Roster to China https://www.nytimes.[...] 2024-08-31
[86] 웹사이트 Research accuses suspected China accounts of manipulating online opinion on Korean industries https://www.koreatim[...] 2024-09-29
[87] 웹사이트 Suspicions Grow in South Korea Over China’s Online Influence Operations https://thediplomat.[...] 2024-09-29
[88] 웹사이트 Unfavorable Views of China Reach Historic Highs in Many Countries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20-10-06
[89] 웹사이트 Views of China and India Slide While UK's Ratings Climb https://globescan.co[...] 2013-05
[90] 웹사이트 중국인 '일본 싫고 한국 좋아' 일본인 '중국 한국 다 싫어' https://www.hani.co.[...] 2021-05-14
[91] 웹사이트 What Do Chinese People Think of Developed Countries? 2021 Edition https://thediplomat.[...] 2021-03-13
[92] 웹사이트 South Korean Caution and Concern About China http://en.asaninst.o[...] 2021-05-14
[93] 뉴스 People around the globe are divided in their opinions of China https://www.pewresea[...] 2019-11-03
[94] 웹사이트 VOICE OF THE PEOPLE Annual Global End of Year Surveys (page 124) https://www.gallup-i[...] 2022-03-08
[95] 서적 Perspectives on Digital Humanism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2-03-08
[96] 웹사이트 Hate Speech against Immigrants in Korea: A Text Mining Analysis of Comments on News about Foreign Migrant Workers and Korean Chinese Residents* (page 281) http://snuac.snu.ac.[...] 2018-01
[97] 웹사이트 "'반중 넘어 혐중'‥ 중국인 혐오, 도 넘은 수준까지?" https://www.fnnews.c[...] 2019-06-13
[98] 뉴스 South Koreans call in petition for Chinese to be barred over virus https://www.reuters.[...] 2020-02-03
[99] 웹사이트 Coronavirus brings out anti-Chinese sentiment in South Korea https://www.aljazeer[...] 2023-11-15
[100] 웹인용 2021 재외동포현황(2020년 말 기준) https://www.mofa.go.[...] 대한민국 외교부
[101] 문서 "Peking's Relations with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1980's" 1986-11
[102] 웹인용 한국인 남편의 혼인종류/외국인 아내의 국적별 혼인 http://www.kosis.kr 2009-07-11
[103] 뉴스 “내 능력 키운 8할은 중국 유학” http://weekly.donga.[...] 동아일보사 2011-02-28
[104] 뉴스 탈북자 북송 반대집회 서울·부산 동시 개최 https://news.naver.c[...]
[105] 뉴스 "'탈북자 북송 반대' 국회대표단, 제네바서 北 대표부와 충돌" https://news.naver.c[...]
[106] 뉴스 中 “탈북자문제 정치화 말라” https://news.naver.c[...]
[107] 문서
[108] 웹인용 싱하이밍 대사 재한 중국인민지원군 열사 유해 인수인계식 관련 인터뷰 가져 https://www.mfa.gov.[...] 중화인민공화국 주대한민국 대사관 2020-10-09
[109] 웹인용 한국을 '소국' 중국을 '대국'으로 표현한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발언 https://www.huffingt[...]
[110] 웹인용 “사드 사태 후 탈중국한 韓기업들, 전화위복” https://www.newspim.[...]
[111] 웹인용 中, ‘한국 호감도 3.4’ 인도보다 낮아…한국민 신뢰 22.6% https://n.news.naver[...]
[112] 웹인용 정부, 中 '3불약속' 표현에 공식항의…中,'약속→입장표명' 수정 https://news.naver.c[...]
[113] 웹인용 트럼프 "한국은 역사적으로 중국의 일부였다더라"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14] 웹인용 국가별 수출입 https://web.archive.[...] 한국무역협회 2011-09-11
[115] 뉴스 중화인민공화국 노선 탑승률 사상 첫 80% 돌파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0-09-06
[116] 뉴스 대한항공, 인천~황산 노선 신규 취항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1-07-28
[117] 뉴스 한.중 정상 `한반도 평화협력' 합의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00-09-07
[118] 뉴스 노대통령 방중 정상외교 결산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03-07-10
[119] 뉴스 한중 정상회담, 북핵·관계 개선 두고 '동상이몽' https://www.fnnews.c[...] 파이낸셜뉴스 2022-11-15
[120] 뉴스 윤 대통령·시진핑, 2년 만에 정상회담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