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1386년 설립된 독일의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로, 신성 로마 제국 시대에 세 번째로 설립되었다. 루프레히트 1세가 교황 우르바누스 6세의 칙서를 받아 파리 대학교를 모델로 설립했으며, 철학, 신학, 법학, 의학의 4개 학부로 시작했다. 19세기에는 낭만주의와 자유주의, 독일 통일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20세기 초에는 여성의 입학을 허용하는 등 진보적인 면모를 보였다. 현재는 13개 학부, 3만 명 이상의 학생, 4,000명 이상의 교직원을 보유한 독일의 명문 대학교로, 여러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구 시가지, 노이엔하이머 펠트, 하이델베르크-베르크하임 캠퍼스 등 세 곳의 캠퍼스와 도서관을 운영하며, 다양한 국제 협력을 통해 학술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델베르크의 건축물 - 하이델베르크 천문대
하이델베르크 천문대는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위치한 국립 천문대로, 1774년 설립되어 성운 조사와 소행성 탐색을 주로 연구했으며, 800개 이상의 소행성을 발견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루프레히트-카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로마자 표기 |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
라틴어 명칭 | Universitas Ruperto Carola Heidelbergensis |
모토 | Semper apertus (언제나 열려 있음) |
설립일 | 1386년 10월 18일 |
학교 유형 | 공립 |
예산 | 7억 6490만 유로 (2018년) |
총장 | 홀거 슈로이터 |
총장 | 프라우케 멜히오르 |
학생 수 | 28,959명 (2024년 여름학기) |
학부생 | 10,458명 |
대학원생 | 13,410명 |
박사 과정생 | 4,114명 |
소재지 | 하이델베르크 |
주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국가 | 독일 |
캠퍼스 | 도시/대학가 및 교외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교직원 | 8,397명 |
행정 직원 | 8,397명 |
제휴 | 독일 대학 우수성 이니셔티브 LERU 코임브라 그룹 U15 EUA |
상징색 | 사암 적색 금색 |
이미지 정보 | |
![]() | |
![]() | |
![]() | |
연혁 | |
설립일 | 1386년 10월 18일 |
교육 | |
제공 학과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제공 학과 목록 |
제공 과정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제공 과정 목록 |
연구 | |
노벨상 수상자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관련 노벨상 수상자 |
물리학과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물리학과 |
기타 | |
졸업생 아카데미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졸업생 아카데미 |
2. 역사
1378년 서방 교회의 분열로 독일 내 대학교 설립 필요성이 커져, 1386년 팔츠 선제후 루프레히트 1세가 교황 우르바누스 6세의 허가를 받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를 설립했다. 초기에는 유명론을 가르쳤으나 1454년경부터 현실주의도 수용했다. 1414년~1418년 콘스탄츠 공의회에 교수진이 참여하여 명성을 얻었다.
15세기 후반 요한 폰 달베르크 총장 시기 스콜라 철학에서 인본주의로 변화를 꾀했고, 루돌프 아그리콜라 등 여러 인문학자들이 활동했다. 1482년 식스투스 4세 (교황)는 평신도와 기혼 남성의 의학 교수직 임용을 허가했고, 1553년 율리우스 3세 (교황)는 비종교인의 교수직을 허용했다.
1518년 마르틴 루터의 하이델베르크에서의 논쟁 이후, 개혁가를 배출했다. 팔츠 선제후령이 개신교로 개종하면서, 오토 하인리히 선제후는 대학을 칼뱅주의 기관으로 바꾸었고, 1563년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이 만들어졌다. 16세기 후반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칼뱅주의가 공존하며 학문적 중심지로 발전했지만, 1618년 30년 전쟁으로 쇠퇴하고 팔라티나 도서관을 약탈당했다.
1803년 바덴의 카를 프리드리히가 국립 기관으로 재건하고, 1805년 '루프레히트 카를 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했다. 19세기 낭만주의, 자유주의, 독일 통일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미국의 연구 중심 대학 모델에 영향을 주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민주적 사고'의 중심지로 알려졌지만, 나치 물리학자 필리프 레나르트를 배출하기도 했다. 1900년 여학생 입학을 허용했고, 1934년 게르투르드 폰 우비스크가 첫 여성 교수가 되었다.
1933년 제3제국 시기 나치를 지지하며 많은 교직원과 학생들이 해고되었고, 책 사르기 행사에 참여했다. 나치의 우생학에도 관여하여 강제 불임 수술과 T4 작전 안락사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어 독일 최초의 학생 자치 기숙사를 설립하고, "진리, 정의, 인류애의 살아있는 정신"을 지향했다. 1960~1970년대 학생 운동의 주요 무대가 되었고, 현재 약 2만 9천 명의 학생과 4,196명의 교수진이 있으며, 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 1. 설립
1378년 서방 교회의 분열로 독일 내 대학교 설립 필요성이 커졌다.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사후 아비뇽과 로마에 각각 교황이 선출되면서(각각 클레멘스 7세, 우르바누스 6세) 분열이 시작되었는데, 독일은 로마 교황을 지지하여 파리에서 공부하던 독일인들이 귀국해야 했다.[129]이에 루프레히트 1세는 1385년 교황 우르바누스 6세에게 대학교 설립 허가를 받아냈다. 1386년 6월 26일, 루프레히트 1세의 명령으로 설립이 확정되었고, 파리 대학교를 본따 철학, 신학, 법학, 의학 4개 학부를 두었다. 초기에는 신학부와 철학부만 운영되다가 1386년 말 법학부, 1388년 의학부가 추가되었다.[131][132]
1386년 10월 18일, 하이델베르크 성령교회에서 설립 기념 미사가 열렸고, 10월 19일 첫 강의가 시작되어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133] 신성 로마 제국 내 세 번째 대학교가 되었다.[134] 1386년 11월, 마르실리우스가 초대 총장으로 선출되었고, 교수진은 파리와 프라하 출신이었다.[135] 대학 직인에는 사도 베드로가, 총장 직인에는 팔츠 사자와 '셈페르 아페르투스'[136](항상 열려있다)는 문구가 새겨졌다.[137] 1390년 3월, 185명이 등록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했다.

2. 2. 초기 발전
1386년 팔츠 선제후 루프레히트 1세에 의해 설립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초기에는 유명론을 가르쳤다. 1412년에는 현실주의와 존 위클리프의 가르침이 금지되었지만, 1454년경부터는 현실주의도 가르치기 시작하여 두 가지 입장을 모두 수용하게 되었다.[139]1414년부터 1418년까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신학 및 법학 교수들은 콘스탄츠 공의회에 참여하여 황제의 대표이자 지역 최고 치안판사였던 루이 3세의 고문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대학교와 소속 교수들에게 좋은 명성을 가져다주었다.[138]
15세기 후반, 총장이자 주교였던 요한 폰 달베르크는 스콜라 철학에서 인본주의적 문화로의 변화를 이끌었다. 루돌프 아그리콜라, 콘라트 첼테스, 야코프 윔펠링, 요한 라이흘린 등이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인본주의를 주도했다. 특히, 윔펠링은 슈트라스부르크와 함께 김나지움을 인본주의 정신에 따라 개편하는 작업을 하였고, 아그리콜라는 스콜라 철학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학문을 연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140] 아이네아스 실비우스 피콜로미니는 보름스의 주임 신부 자격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학장이 되었고, 이후 교황이 된 뒤에도 그의 친분과 호의로 인본주의를 항상 지지했다. 1482년 식스투스 4세 (교황)는 교황의 특별 허가를 통해 일반 의학에 평신도와 기혼 남성이 교수직에 임명되는 것을 허락했다. 1553년 율리우스 3세 (교황)는 기독교 교회의 수익을 종교인이 아닌 교수들에게 할당해 주는 것을 허용했다.[29]
2. 3. 종교개혁과 30년 전쟁
마르틴 루터의 1518년 4월 하이델베르크에서의 논쟁은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의 추종자들은 교수와 학자들 사이에서 곧 남서 독일의 주요 개혁가가 되었다.[29] 팔츠 선제후령이 개신교로 개종하면서, 오토 하인리히 선제후는 대학을 칼뱅주의적 기관으로 바꾸었다. 1563년,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이 대학 신학부 구성원들의 협력 하에 만들어졌다.16세기가 지나면서 후기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칼뱅주의와 함께 지배적인 사상으로 자리 잡았고, 파울 셰데, 얀 그루터, 마르틴 오피츠, 마테우스 메리안과 같은 인물들이 대학에서 강의를 했다. 이는 대륙 전역의 학자들을 끌어들였고 문화적 및 학문적 중심지로 발전했다.[30] 그러나 1618년 30년 전쟁이 시작되면서 대학의 지적 및 재정적 풍요는 쇠퇴했다. 1622년 당시 세계적으로 유명했던 팔라티나 도서관(대학 도서관)이 대학 성당에서 도난당해 로마로 옮겨졌다. 그 후 재건 노력은 1693년 하이델베르크를 거의 완전히 파괴한 루이 14세 왕의 군대에 의해 무산되었다.[31][32]
2. 4. 19세기와 20세기 초반
1803년, 바덴의 통치자 카를 프리드리히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를 국립 기관으로 재건하면서 하락세가 멈추게 되었다. 카를 프리드리히는 라인 강 오른쪽 기슭에 있던 팔츠의 일부를 배정받았고, 1805년 학교를 최초의 주립대학으로 개편하면서 교명을 '루프레히트 카를 대학'으로 고쳤다.[146] 이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루프레히트 1세와 그의 이름을 함께 간직하게 되었다. 카를 프리드리히는 대학을 다섯 개의 학부로 나누고 스스로를 총장으로 임명하였는데, 이는 그의 후계자들에게도 이어졌다. 또한 이때부터 교수 언어가 라틴어에서 독일어로 바뀌었다.[147]이 시기 클레멘스 브렌타노, 아힘 폰 아르님, 루트비히 티크, 요제프 괴레스,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등의 주도로 하이델베르크에서 낭만주의가 차츰 모습을 드러냈으며, 연설, 시, 예술 부문에서 독일 중세 시대의 부활이 일어났다.
독일 학생 협회는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는데, 처음에는 애국적이었다가 나중에는 정치적으로 바뀌었다. 낭만주의가 끝난 이후 하이델베르크는 자유주의와 더불어 독일 통일 찬성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역사학자 프리드리히 크리스토프 슐로서와 게오르크 고트프리트 게르비누스는 정치사 분야에서 국가의 안내자였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건축 장비 측면에서 의학과 자연 과학, 특히 천문학의 현대적 과학 학교들이 본보기가 되었으며, 영향력이 큰 법률 학교로도 주목을 받았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전반적으로 미국 인문 대학들이 연구 중심 대학으로 변화하는 데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그 당시 새롭게 설립되었던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롤모델이 되었다. 하이델베르크의 교수들은 포어메르츠기(Vormärz) 혁명의 중요 지지자였고, 그들 중 상당수가 첫 자유 선거에 기반한 독일 의회인 1848년 프랑크푸르트 의회의 구성원이었다. 19세기 후반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막스 베버, 에른스트 트뢸치 등이 의도적으로 조성한 상당히 진보적이고 열린 정신을 수용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카를 야스퍼스, 구스타프 라드브루흐, 마르틴 디벨리우스, 알프레드 베버 등이 만든 신조어인 '민주적인 사고'의 중심지로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나치 물리학자 필리프 레나르트[148]를 배출하는 등 역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진보적인 독일계 유대인 외무부 장관 발터 라테나우가 암살된 이후 필리프 레나르트는 연구소에 국기의 조기 게양을 거부했고, 이는 공산주의를 지지하는 학생들에게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한편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1900년 4월 28일부터 여학생에게도 교육의 문을 개방하였고,[149] 1928년 이 학교 출신의 미국대사 셔먼이 미국과 독일에서 모금 운동을 통해 모은 50만달러를 들여 뉴 유니버시티[150] 건물을 지었다.[151] 1934년 게르투르드 폰 우비스크가 이 대학에서 교수직을 받은 첫 여성이 되었다.[152]
2. 5. 나치 시기
1933년 제3제국[153]이 들어서면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다른 독일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나치를 지지했다. 이로 인해 정치적, 인종적 이유로 많은 교직원과 학생들이 해고되었다. 많은 반체제 인사들이 해외로 망명해야 했고, 독일을 떠나지 않은 대부분의 유대인과 공산주의자 교수들은 강제 추방되었다. 최소 두 명의 교수는 나치 테러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다.[35]1933년 5월 17일, 대학교 교수진과 학생들은 '대학 광장'(Universitätsplatz)에서 책 사르기 행사에 참여했다.[36] 결국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악명 높은 NSDAP 대학교가 되었다. 신대학교 정문 위의 비문은 "살아있는 정신"에서 "독일 정신"으로 바뀌었고,[37] 많은 교수들이 새로운 모토에 경의를 표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나치의 우생학에도 관여했다. 여성 클리닉에서는 강제 불임 수술이 시행되었고, 당시 카를 슈나이더가 이끌던 정신과 클리닉은 T4 작전 안락사 프로그램에 관여했다.[38][39]
2. 6. 연방 공화국 시기
하이델베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피해를 보지 않아 대학교의 재건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콜레기움 아카데미쿰(Collegium Academicum) 설립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독일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자치 학생 기숙사를 갖춘 곳이 되었다. 새롭게 제정된 규정에 따라 대학은 "진리, 정의, 인류애의 살아있는 정신"을 지향해야 했다.[31]1960년대와 1970년대에 대학은 규모가 급격히 커졌다. 이 시기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독일 좌파 학생 운동의 주요 무대 중 하나로 발전했다.[40] 1975년, 대규모 경찰 병력이 학생회(AStA) 전체를 체포했다. 그 직후, 대학 본부와 가까운 진보적인 대학인 콜레기움 아카데미쿰 건물이 700명이 넘는 경찰에 의해 급습당해 영구 폐쇄되었다. 도시 외곽 노이어하이머 펠트(Neuenheimer Feld) 지역에는 의학 및 자연 과학을 위한 대규모 캠퍼스가 건설되었다.[31]
오늘날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는 약 2만 9천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41] 정교수 476명을 포함하여 4,196명의 전임 교수진이 있다.[17] 2007년과 2012년에 대학은 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는데, 이는 독일 연방 교육연구부와 독일 연구진흥협회가 시작한 사업의 일환이었다. 이는 예외적으로 잘 지원되는 소규모 대학 네트워크를 설립하여 독일 대학 시스템을 강화했으며, 강력한 국제적 매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었다.[42]
3. 캠퍼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크게 세 곳의 캠퍼스로 나뉜다. 인문·사회과학 학부와 연구소는 하이델베르크 구시가지 캠퍼스에, 자연과학·의학 학부와 대학병원은 노이엔하이머 펠트 캠퍼스에 있다. 2009년에는 구시가지 캠퍼스에 있던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연구소가 하이델베르크-베르크하임 캠퍼스로 이전했다.[46]
캠퍼스명 | 위치 | 주요 학과 및 시설 |
---|---|---|
구시가지 캠퍼스 | 하이델베르크 구시가지 | 인문·사회과학 계열 학부 및 연구소 |
노이엔하이머 펠트 캠퍼스 | 하이델베르크 외곽 노이엔하이머 펠트 | 자연과학·의학 계열 학부 및 연구소, 대학병원 |
베르크하임 캠퍼스 | 하이델베르크-베르크하임 |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연구소 |
3. 1. 하이델베르크 구 시가지 캠퍼스
소위 신대학교(Neue Universität)는 구 시가지 캠퍼스의 핵심적인 건물로, 캠퍼스 내 도서관과 본부 쪽에 위치해 있다. 1931년에 공식적으로 개방되었으며, 당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졸업생이자 주독 미국 대사였던 제이콥 골드 슈어먼의 모금 캠페인을 통해 상당한 금액의 기부금으로 설립되었다.[47] 이곳에는 새로운 강당, 다수의 크고 작은 교실과 세미나실이 있으며, 대부분 인문학과 사회과학 학부생들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46] 인문학 및 사회과학 교육은 구시가지에 흩어져 있는 여러 건물에서 이루어지지만, 대부분 대학 광장에서 도보로 10분 이내 거리에 있다. 각 학부는 학생들을 위한 자체적인 광범위한 도서관과 작업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세미나와 튜토리얼은 일반적으로 학부 건물에서 진행된다.[46]
3. 2. 노이엔하이머 펠트 캠퍼스
1960년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노이엔하임 시가지 근처에 노이엔하이머 펠트(Neuenheimer Feld)라고 불리는 신캠퍼스 건설을 시작했다.[17] 현재 이곳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가장 큰 부분이며, 독일에서 가장 큰 자연과학 및 생명과학 캠퍼스이다.[17] 거의 모든 과학 학부와 연구소, 의과대학,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병원, 그리고 대학 도서관의 과학 분관이 신캠퍼스에 있다. 대부분의 기숙사와 대학 체육 시설 또한 이곳에 있다.독일 암 연구 센터와 두 곳의 막스 플랑크 연구소 같은 여러 독립 연구소들이 이곳에 자리 잡고 있다. 신캠퍼스는 또한 여러 생명공학 분사 기업들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구시가지는 트램과 버스로 약 10분 거리에 있다. 노이엔하이머 펠트 캠퍼스에는 교수진과 학생 차량을 위한 장기 및 단기 주차장과 여러 대학 병원의 방문객 및 환자를 위한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물리학 및 천문학부는 구캠퍼스나 신캠퍼스 어디에도 위치하지 않고, 네카르 강을 사이에 두고 구시가지와 분리된 철학자의 길에 있으며, 신캠퍼스에서 약 2km 떨어져 있다. 또한 쾨니히슈툴 산에 천문대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46]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노이엔하이머 펠트에 식물원을 운영하고 있다.[48]
3. 3. 하이델베르크-베르크하임 캠퍼스
베르크하임 캠퍼스는 하이델베르크-베르크하임에 있는 루돌프 크렐 클리닉(전 Ludolf von Krehl의 이름을 딴) 건물에 위치해 있다. 2009년 구 시가지 캠퍼스에 있던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연구소가 이곳으로 이전했으며, 대부분의 현대 자료가 이 곳의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46] 베르크하임 캠퍼스는 강의실 하나, 세미나실 여러 개, 대학 도서관 중 가장 현대적인 시설, 그리고 카페를 갖추고 있다. 2019년부터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아시아 및 초국가 문화 연구 센터도 베르크하임 캠퍼스에 위치하게 되었다.
3. 4. 도서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도서관은 대학교 중앙 도서관과 여러 학부 및 연구소에 분산된 83개의 분관 도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도서관과 분관 도서관을 모두 합치면 320만 권의 책, 50만 점의 마이크로필름 및 비디오테이프 등의 미디어 자료, 1만 권의 과학 학술지, 6,600권의 필사본, 1,800권의 인큐나불라(15세기 서양 활자 인쇄본), 11만 점의 자필 서명 등 방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연간 140만 권의 책이 대여될 정도로 독일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도서관 중 하나이다.[49]
오늘날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도서관은 1386년 대학교 설립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1388년 초대 총장 마르실리우스 폰 잉헨이 성령교회에 보관되어 있던 기록 상자를 확보하면서 도서관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16세기 오토 하인리히는 대학 설립 이후 축적된 다양한 서적 컬렉션을 하이델베르크 성에 소장된 공작 도서관과 결합하여 팔라티나 도서관을 설립하고 성령교회 회랑에서 일반에 공개했다. 삼십년 전쟁 중 팔라티나 도서관의 소장 자료 대부분이 약탈당해 로마로 옮겨졌으나, 1804년 세속화 이후 살렘과 페터스하우젠 수도원의 소장 자료를 바탕으로 도서관 재건이 시작되었다. 1816년에는 팔라티나 도서관의 독일어 사본 847점이 하이델베르크로 돌아왔고, 1888년에는 마네세 사본이 파리 왕립 도서관에서 반환되었다.
1901년부터 1905년까지 건축가 조셉 두룸의 설계로 붉은 사암 건물인 도서관 본관이 건립되었다. 1978년에는 자연 과학 및 의학 연구소를 담당하는 노이엔하이머 펠트에 분관이 문을 열었다.
2021년부터 팔라티나 도서관의 모든 사본(독일어 팔라티나 사본 848점, 라틴어 2030점, 그리스어 423점, 히브리어 267점 및 기타 언어 20점)을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50] 이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도서관과 바티칸 도서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도서관은 출판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문서 서버 heiDOK는 대학교 구성원을 위한 오픈 액세스 플랫폼이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서지 heiBIB는 대학교 구성원의 모든 학술 출판물을 목록으로 제공한다. 2015년에는 대학교 도서관 소속 출판사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출판부 – heiUP가 설립되어 오픈 액세스로 양질의 과학 출판물을 출판하고 있다.
4. 조직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총장, 대학 평의회, 대학 심의회, 그리고 여러 학부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나치 독일 시대에는 독일 대학 중 처음으로 모든 유대인 교수와 학생들을 배제했고, 도서관 앞 광장에서는 책 사르기가 행해졌다.[35][36][37]
1803년, 바덴 대공 카를 프리드리히에 의해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독일 연방 정부의 엑셀렌스 이니셔티브(Exzellenzinitiative) 계획에서 11개 엘리트 대학 중 하나로 지정되었고,[120] 유럽 연구 대학 연맹(LERU) 및 코임브라 그룹의 창립 회원이다.
처음에는 법학, 의학, 신학, 철학의 4개 학부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13개 학부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 학과, 연구소를 포함하고 있다.
4. 1. 운영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현 총장인 베른하르트 아이텔(Bernhard Eitel)을 중심으로 운영된다.[159] 총장실은 총장 1명, 부총장 4명, 교무과장으로 구성된다.[159]직책 | 이름 |
---|---|
총장 | 베른하르트 아이텔(Bernhard Eitel) |
연구, 조직 부총장 | A. Stephen K. Hashmi |
국제협력 부총장 | Dieter W. Heermann |
품질개발 부총장 | Óscar Loureda Lamas |
학생사무 및 교수 부총장 | Beatrix Busse |
교무과장 | Angela Kalous |
4. 2. 대학 평의회
대학 평의회는 대학의 자치 입법 기구이다. 총장, 부총장, 교무과장 등이 직권으로 평의회를 구성하며, 각 학과의 학과장, 대학병원 CEO, 균등 기회 담당관 등이 참여하고, 20명의 기타 의원은 4년 임기로 선출된다.[160]4. 3. 대학 심의회
대학심의회는 대학 운영의 고문 역할을 수행한다. 대학에 관한 독일 주법에 따르면 심의회는 대학의 전략 수립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문활동을 한다. 2006년부터 현 심의회는 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61]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161]- 대학총장과 교무과장의 지명
- 대학의 조직구성과 발전계획 수립
- 대학과 병원의 예산승인
1년에 최소 4회 개회를 원칙으로 한다.[161]
4. 4. 학부
2003년 조직 개편 이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12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162] 볼로냐 프로세스(유럽 국가들의 교육제도 단일화)의 결과로, 대부분의 학부들이 현재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법학, 의학, 치의학, 약학 학부는 볼로냐 프로세스와 별도로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서 주관하는 국가시험을 통과해야 한다.[162]학부 |
---|
생명과학부 |
화학•지구과학부 |
수리•컴퓨터과학부 |
물리•천문학부 |
철학부 |
의학부(Mannheim) |
현대언어학부 |
신학부 |
법학부 |
경제•사회과학부 |
행동•문화학부 |
의학부(Heidelberg) |
5. 학사 자료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국내외 여러 기관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하이델베르크와 그 주변에 위치한 독립 연구 기관들과 오랜 기간 연구 및 교육 분야에서 협력해 왔다.
- 하이델베르크 유대 연구 센터
- 유럽 분자생물학 연구소
- 독일 암 연구 센터 (헬름홀츠 협회)
- 중이온 연구소 다름슈타트 (헬름홀츠 협회)
- 하이델베르크 교육대학교
- 하이델베르크 과학 아카데미
- 카를스루에 연구소 (헬름홀츠 협회)
- 막스 플랑크 천문학 연구소 (막스 플랑크 협회)
- 막스 플랑크 비교공법 및 국제법 연구소 (막스 플랑크 협회)
- 막스 플랑크 의학 연구소 (막스 플랑크 협회)
- 막스 플랑크 핵물리학 연구소 (막스 플랑크 협회)
유럽연구대학연맹, 코임브라 그룹, 유럽대학협회의 창립 회원이며, 독일-일본 대학 컨소시엄 HeKKSaGOn의 일원이다.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을 포함한 7개의 유럽 연구자 및 학생 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101] 부다페스트 안드라시 율라 독일어 대학교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크라쿠프 야기엘론 대학교의 독일법 학교를 공동 운영한다.[101] 케임브리지, 몽펠리에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몽펠리에 대학교와 긴밀한 학술적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
유럽 외에도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의 58개 파트너 대학교와 교류하고 있다. 전 세계 236개 대학과 교직원 및 학생 교류 협정, 연구 협력을 맺고 있으며,[102] 현재 200개 넘는 전세계의 대학과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19개의 학교와 파트너쉽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66] 코넬 대학교, 듀크 대학교, 조지타운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파리정치대학교, 팡테옹-소르본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칭화대학교, 예일 대학교 등과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다.[102]
2001년 칠레 산티아고에 라틴 아메리카 센터를 설립했다.[51] 이 센터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가 독자적으로 또는 칠레 가톨릭 대학교, 칠레 대학교와 협력하여 운영하는 교육 과정을 구성, 관리하며,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활동을 조정한다.[51]
남아시아 연구소는 뉴델리(인도), 이슬라마바드(파키스탄), 카트만두(네팔), 콜롬보(스리랑카)에 지사를 두고 있다.[52] 뉴욕에 연락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미국 대학과의 학술적 접촉을 유지 및 확대하고 있다.[53]
하이델베르크 대학은 유학생의 현지 적응을 돕기 위해 매 학기 초 유학생을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고, 버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매 학기 국제관계처의 주관 하에 워크샵과 튜토리얼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학생들의 독일어 학습과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 대한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5. 1. 학생 통계
대부분의 교수진은 하이델베르크 대학병원에 종사하는 의사들이다.[58]
5. 2. 학교 순위
2025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세계 84위, 독일 3위를 기록했다.[59] 2024년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47위, 독일 3위를 차지했다.[60] 2023년 ARWU에서는 세계 55위, 독일 1위에 올랐다.[61]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여러 분야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다음은 주요 순위표이다.
독일 연구 재단(DFG)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연구비 지원 현황에서 독일 대학 전체 2위를 기록했다. 세부 분야별로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7위, 생명과학 및 자연과학 분야에서 4위를 차지했다.[65]
세계 대학 과학 논문 성과 순위(NTU 순위) 2019년 결과에서는 독일 1위, 유럽 대륙 5위를 기록했다.[66] CWTS 라이덴 순위 2019년 결과에서는 과학적 영향력 기준 독일 1위, 유럽 대륙 13위를 기록했다.[67]
노벨상 수상자 수를 기준으로 한 순위에서는 2013년 기준 독일 1위, 유럽 4위, 세계 13위를 차지했다.[68]
5. 3. 학사 구성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학사년도는 여름과 겨울 두 학기로 구성된다. 겨울학기는 10월에 시작해 3월에 끝나고 여름학기는 4월에 시작해 9월에 끝난다.[73]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겨울학기나 여름학기를 자유롭게 선택해 학사년도를 시작할 수 있지만, 몇몇 과는 겨울학기에만 시작할 수 있다.[73]표준적으로 학사과정은 6학기, 연속 석사과정은 4학기, 박사과정은 6학기가 소요된다.[73] 학부 과정은 최소 4학기의 기초 학습 기간과 최소 2학기의 심화 학습 기간으로 나뉜다. 기초 학습 기간 말에는 공식 시험을 치러야 하며, 심화 학습 기간 후에는 최종 시험을 치른다.[73]
5. 4. 입학
2006/2007 겨울 학기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3,926개의 학부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학부 총 합격률은 16.3%였다.[74] 가장 경쟁률이 높은 학부 과정은 임상의학, 분자생명공학, 정치학, 법학으로, 각각 3.6%[74], 3.8%[75], 7.6%[76], 9.1%[77]의 합격률을 기록하였다.입학 과정은 대학입학시험인 Abitur 점수를 반영하며, Abitur와 동등한 시험 성적도 인정한다. Abitur와 동등한 수준의 입학시험 성적을 보유하지 않은 학생은 대학에서 실시하는 시험을 치러야 한다. 외국인 학생들에게는 입학 요건으로 DSH와 같은 독일어 시험 성적을 요구하며, 석사 및 박사 과정 학생들도 어학 시험을 통과해야 입학할 수 있다.
EU와 EEA(European Economic AREA) 회원국 학생들은 독일 학생들과 동일한 입학 규정을 적용받는다. 비회원국 학생이라도 대학 입학 종합 자격(Abitur) 시험을 통해 입학 자격을 갖추면 동일한 조건으로 입학할 수 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겨울 학기 지원 기간은 6월 1일에서 7월 15일까지이며, 여름 학기 지원 기간은 12월 1일에서 1월 15일까지이다.[164]
석사 과정 입학에는 독일 성적 "우수"(미국 기준 B+ 또는 영국 기준 2:1)에 해당하는 학부 학위가 필요하며, 영어로 진행되는 석사 과정을 제외하고는 독일어 시험에도 합격해야 한다. 박사 과정 입학에는 일반적으로 우수한 석사 학위가 필요하지만, 구체적인 입학 절차는 다양하다.[78] 국제 지원자는 일반적으로 지원자의 20% 이상을 차지한다.[79]
5. 5. 비용
독일은 사회 경제적 배경에 관계없이 많은 장학금을 제공하며, 2012년부터 독일의 모든 주는 대학교 등록금을 철폐하였다.[165] 캠퍼스 내 기숙사 사용료는 2200EUR에서 3000EUR 사이이다.[165] 2013년 영국의 다국적 은행 HSBC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독일의 유학 비용은 1년에 5650USD 수준으로, 조사 대상 13개 국가 중 가장 저렴했다.[165] 이는 1위인 호주의 38000USD의 1/6 수준에 해당한다.[165]독일 정부는 고등교육의 경제적 접근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학 학업에 대한 지원금을 상당히 많이 지급한다.[80] 2007년부터 2012년까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EU 시민과 비EU 시민 모두에게 연간 약 1200EUR의 수업료를 부과했으나, 2012년 봄 학기부터 수업료가 폐지되었다.[81]
5. 6. 국제 협력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유럽연구대학연맹, 코임브라 그룹, 유럽대학협회의 창립 회원이다. 독일-일본 대학 컨소시엄 HeKKSaGOn의 일원이며,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을 포함한 7개의 유럽 연구자 및 학생 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101] 또한, 부다페스트 안드라시 율라 독일어 대학교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크라쿠프 야기엘론 대학교의 독일법 학교를 공동 운영하고 있다.[101] 하이델베르크시는 영국의 케임브리지, 프랑스의 몽펠리에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몽펠리에 대학교와 긴밀한 학술적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유럽 외에도 본교와 각 학부는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의 58개 파트너 대학교와 특정 협정을 체결하여 교류하고 있다. 독일 총장 회의의 고등 교육 콤파스에 따르면, 전 세계 236개 대학과 교직원 및 학생 교류 협정뿐만 아니라 연구 협력을 맺고 있다.[102] 하이델베르크 대학은 현재 200개 넘는 전세계의 대학과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19개의 학교와 파트너쉽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66]
가장 주목할 만한 파트너 대학으로는 코넬 대학교, 듀크 대학교, 조지타운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파리정치대학교, 팡테옹-소르본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칭화대학교, 예일 대학교 등이 있다.[102]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2001년 칠레 산티아고에 라틴 아메리카 센터를 설립했다.[51] 이 센터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가 독자적으로 또는 칠레 가톨릭 대학교 및 칠레 대학교와 협력하여 운영하는 교육 과정을 구성, 관리 및 마케팅하는 역할을 한다. 이 센터는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며, 라틴 아메리카에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활동을 조정하고 과학 협력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51]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남아시아 연구소는 뉴델리(인도), 이슬라마바드(파키스탄), 카트만두(네팔), 콜롬보(스리랑카)에 지사를 두고 있다.[52] 또한, 뉴욕에 연락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기존 협력 증진, 새로운 네트워크 구축, 공동 학습 프로그램 개발, 미국 대학과의 학술적 접촉 유지 및 확대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53]
하이델베르크 대학은 유학생의 현지 적응을 돕기 위해 매 학기 초 유학생을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지 학교생활의 빠른 적응을 돕기 위해 버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매 학기 국제관계처의 주관 하에 워크샵과 튜토리얼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학생들의 독일어 학습 뿐만 아니라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 대한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6. 저명한 동문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 학문 및 연구:
- 노벨상 수상자: 55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2명의 미국 아카데미상 수상자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를 거쳐갔거나 재직했다. 이 중 8명은 재직 중 노벨상을 수상했다.[68]
- 과학: 분광법[85]과 분젠 버너[86] 발명, 세슘과 루비듐[85] 발견, 비등점(절대 비등점)[87] 확인, 니코틴의 약리학적 활성 성분 확인 및 분리[88] 등 과학적 업적을 남겼다.
- 기타 학문 분야: 현대 과학적 정신의학, 정신약리학, 정신과 유전학[13], 환경 물리학[14], 현대 사회학[15] 등이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교수진에 의해 과학 분야로 도입되었다.
- 주요 인물:
- 빌헬름 분트(심리학의 아버지)
- 조사이어 윌러드 기브스(물리화학의 아버지)
-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주기율표 창시)
- 알프레트 베게너(대륙이동설 주장)
- 볼프강 케터레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테오도어 헨슈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필립 레나르트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로베르트 분젠 : 화학자
-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 물리학자
- 프리츠 하버 : 노벨 화학상 수상자
- 요하네스 한스 옌센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카를 야스퍼스 : 철학자, 의학자
- 오토 바르부르크 :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발터 보테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게오르크 비티히 : 노벨 화학상 수상자
- 알브레히트 코셀 :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리하르트 쿤 : 노벨 화학상 수상자
- 슈테판 헬 : 노벨 화학상 수상자
- 알프레트 프링스하임 : 수학자
- 정치 및 사회:
- 정치인: 헬무트 콜 전 독일 총리(독일의 통일을 이끈 '통일 총리')를 포함한 다수의 독일 수상 및 고위 공직자들이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벨기에, 불가리아, 그리스, 니카라과, 세르비아, 태국의 전·현직 수상, 영국의 왕태자, NATO 사무총장, 국제 평화국 사무총장도 배출했다.[68]
- 노벨 평화상 수상자: 샤를 알베르 고바, 오귀스트 베르네르[68]
- 사회학자: 막스 베버, 알프레트 베버, 유르겐 하버마스
- 정치철학자/사상가: 한나 아렌트
- 기타: 히라타 토스케 : 정치가
- 법조:
- 국제사법재판소장
- 유럽인권재판소장
- 국제해양법재판소장
- 국제범죄재판소 부소장
- 기업인:
- ABB 그룹, BASF, BDA, 다임러 벤츠, 도이체방크 등 세계적인 기업들의 창업자 및 주요 인물
- 하시모토 세츠코 : 셀시드(セルシード) 사장
- 고 세이노스케 : 일본 실업가, 귀족원 의원
- 예술 및 문학:
- 로베르트 알렉산더 슈만 : 고전주의 작곡가
- 루트비히 파이어바흐 : 철학자
- 장 폴 : 작가
- 카를 프리드리히 게오르크 슈피텔러 : 노벨 문학상 수상자
-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 소설가, 시인
-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 철학자
- 교수: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철학자
- 막스 베버 : 사회학자
- 베르트 자크만 :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1991)
- 하랄트 추어 하우젠 :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2008)
- 오우치 히요에 : 마르크스 경제학자, 법정대학 총장
- 우시바 노부히코 : 후쿠다 내각 대외경제 담당 대신, 주미 일본 대사
- 기타:
- 요제프 괴벨스 : 나치당(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지도자
7. 대중문화 속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마크 트웨인은 1880년 그의 유머 작품인 『해외 유랑기』에서 하이델베르크 학생 생활에 대한 인상을 상세히 묘사했는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를 귀족들을 위한 학교로, 학생들은 화려한 생활을 추구하고 학생 조합이 하이델베르크 학생 생활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묘사했다.[110]
윌리엄 서머싯 몸의 1915년 소설 『인간의 굴레』에서는 주인공 필립 케어리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1년간 머물렀던 경험을 대부분 자전적인 방식으로 묘사했다. 하이델베르크는 이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1934년 영화(레스리 하워드, 베티 데이비스 주연), 1946년 영화(폴 헨리드와 엘레너 파커 주연), 1964년 영화(로런스 하비와 킴 노박 주연)에도 등장한다.[111]
로버트 하인라인의 1964년 소설 『영광의 길』의 주인공인 E. C. 고든은 하이델베르크에서 학위를 받고, 결투 흉터를 갖고 싶어한다고 언급한다.
베르나르트 슐링크의 1995년 반자전 소설 『책 읽는 사람』에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2부의 주요 배경 중 하나이다. 대학교 법학과 학생인 미하엘 베르크는 전 연인이 전쟁 범죄 재판에서 자신을 변호하는 모습을 세미나의 일환으로 지켜보면서 다시 만나게 된다. 이 대학교는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2008년 영화 『책 읽는 사람』(케이트 윈슬렛, 데이비드 크로스, 랄프 파인즈 주연)에도 등장한다.[112][113]
1927년 무성 영화인 《하이델베르크의 학생왕자》는 빌헬름 마이어-외르스터의 희곡 《알트 하이델베르크》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라몬 노바로와 노르마 시어러가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는 마크 트웨인이 그린 하이델베르크의 이미지를 이어받아, 하이델베르크에서 공부하기 위해 온 독일 왕자가 여관 주인의 딸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보여준다. 20세기 전반에 큰 인기를 얻었던 이 영화는 19세기와 20세기 초의 전형적인 학생 생활을 보여주며, 오늘날 후기 무성 영화 시대의 걸작으로 여겨진다.[114] 1954년에 제작된 컬러 리메이크 작품인 《하이델베르크의 학생왕자》는 마리오 란자의 목소리를 특징으로 하며, 지그문트 롬베르크의 오페레타 버전을 바탕으로 한다.[115]
2000년에는 프랑카 포텐테가 출연한 《해부학》이라는 영화가 하이델베르크를 배경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영화에는 반히포크라테스 협회라는 비밀 결사가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Record of the Jubilee Celebrations of the University of Sydney
William Brooks and Co.
1903
[2]
서적
Records of The Tercentenary Festival of Dublin University
Hodges, Figgis & Co.
1894
[3]
서적
Actes du Jubilé de 1909
Georg Keck & Cie
1910
[4]
웹사이트
Mission Statement
https://www.uni-heid[...]
2017-04-13
[5]
웹사이트
Daten und Fakten – Finanzen
http://www.uni-heide[...]
Universität Heidelberg
2020-03-26
[6]
웹사이트
Studierendenstatistik der Universität Heidelberg
https://backend.uni-[...]
Universität Heidelberg
2024-10-21
[7]
웹사이트
Daten und Fakten – Personal
http://www.uni-heide[...]
Universität Heidelberg
2020-03-26
[8]
뉴스
Elite-Uni Heidelberg: Der Stolz der alten Dame
https://www.spiegel.[...]
2007-10-20
[9]
웹사이트
Subjects offered at Heidelberg University
http://www.uni-heide[...]
2010-10-02
[10]
웹사이트
List of courses on offer at Heidelberg University
http://www.uni-heide[...]
2016-07-21
[11]
웹사이트
Über uns – HEIPAR e. V
https://www.heipar.e[...]
2019-12-17
[12]
웹사이트
Nobel Laureates affiliated with Heidelberg University – Heidelberg University
https://www.uni-heid[...]
2018-03-17
[13]
서적
Emil Kraepelin. 7 vols.
Belleville
[14]
웹사이트
Department of Physics and Astronomy
http://www.physik.un[...]
Heidelberg University
2010-09-26
[15]
서적
Against the Stream: Reflections of an Unconventional Demographer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6]
웹사이트
Graduate Academy of the University of Heidelberg
http://graduateacade[...]
2008-05-16
[1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Rector Bernhard Eitel – Vorstoss in die internationale Dimension
http://www.rnz.de/zu[...]
2008-05-16
[18]
웹사이트
Heidelberg Research Magazine Ruperto Carola 1/2004
http://www.uni-heide[...]
2008-05-16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서적
Charters of Foundation and Early Documents of the Universities of the Coimbra Group
Leuven University Press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웹사이트
Heidelberg University –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catholic.[...]
2008-05-16
[30]
논문
[3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versity
http://www.uni-heide[...]
2008-05-16
[32]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Church of St. Peter
http://www.sino.uni-[...]
2008-05-16
[33]
백과사전
[34]
웹사이트
When German Universities were Models for American Universities
http://atlanticrevie[...]
2010-01-10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2010-10-27
[40]
웹사이트
Student protests at Heidelberg
https://web.archive.[...]
2008-05-16
[41]
웹사이트
QS – Heidelberg University statistics
https://web.archive.[...]
2010-10-02
[42]
웹사이트
Press Releases – Rector Prof. Eitel: "An invaluable opportunity to aim at goals that would otherwise have been unattainable."
http://www.uni-heide[...]
2008-05-16
[43]
웹사이트
Mutmaßlicher Amoklauf auf Uni-Gelände in Heidelberg: Was wir wissen – und was nicht
https://www.swr.de/s[...]
2022-01-24
[44]
웹사이트
Goethe citation, Unispiegel 3/99
http://www.rzuser.un[...]
2008-05-20
[45]
웹사이트
Heidelberg City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08-05-16
[46]
웹사이트
Maps of Heidelberg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08-05-16
[47]
웹사이트
7. Jacob Gould Schurman Public Lecture at Heidelberg University: "The Idea of the American Century"
https://web.archive.[...]
2008-05-16
[48]
웹사이트
Botanischer Garten der Universität Heidelberg
http://www.bgci.org/[...]
2019-05-09
[49]
웹사이트
The library system of the University of Heidelberg in numbers
https://www.ub.uni-h[...]
2023-03-10
[50]
웹사이트
Bibliotheca Palatina – digital
https://digi.ub.uni-[...]
2023-03-10
[51]
웹사이트
The Center
https://web.archive.[...]
2008-05-16
[52]
웹사이트
Heidelberg South Asia Institute
http://www.sai.uni-h[...]
2012-05-28
[53]
웹사이트
Heidelberg University in New York
https://archive.toda[...]
2008-05-16
[54]
웹사이트
About the University Museum
https://www.uni-heid[...]
Heidelberg University
2019-07-25
[55]
웹사이트
Universitätsorgane und Funktionsträger
https://web.archive.[...]
2008-05-16
[56]
웹사이트
Universität Heidelberg gründet Fakultät für Ingenieurwissenschaften
https://www.ziti.uni[...]
2023-02-18
[57]
웹사이트
ZAH, Landessternwarte Königstuhl
http://www.lsw.uni-h[...]
2023-02-11
[58]
웹사이트
Facts
https://web.archive.[...]
2010-09-18
[59]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topunive[...]
2024-06-06
[60]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
https://www.timeshig[...]
2022-10-12
[61]
웹사이트
2023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3-08-15
[62]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4
https://www.topunive[...]
2024-04-10
[63]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https://www.timeshig[...]
2023-10-27
[64]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2023
https://www.shanghai[...]
2023-10-27
[65]
간행물
Förderatlas 2018
Wiley-VCH
2018-07-18
[66]
웹사이트
NTU ranking 2019
https://web.archive.[...]
2020-03-04
[67]
웹사이트
CWTS Leiden Ranking 2019
https://www.leidenra[...]
2020-03-04
[68]
웹사이트
Nobel Prizes and Universities
http://nobelprize.or[...]
2008-05-16
[69]
웹사이트
CORDIS: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Snapshots
http://archive.wikiw[...]
2008-05-16
[70]
웹사이트
CORDIS: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full version
http://cordis.europa[...]
2008-05-16
[71]
웹사이트
CHE ExcellenceRanking 2010
https://web.archive.[...]
2010-06-11
[72]
웹사이트
An diesen Unis haben die DAX-Vorstände studiert
https://www.charly.e[...]
2019-10-19
[73]
웹사이트
Application and Matricul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https://web.archive.[...]
Heidelberg University
2010-09-26
[74]
웹사이트
Universität Heidelberg – Pressemitteilungen 1
https://web.archive.[...]
2008-05-16
[75]
웹사이트
Angebot- und Nachfrage nach Studienplätzen in bundesweit zulassungsbeschränkten Studiengängen zum Wintersemester 2006/2007 – Studiengang Medizin
http://www.zvs.de/Se[...]
2008-05-16
[76]
웹사이트
Universität Heidelberg – Pressemitteilungen 2
http://www.rzuser.un[...]
2008-05-16
[77]
웹사이트
Universität Heidelberg – Pressemitteilungen 3
https://web.archive.[...]
2008-05-16
[78]
웹사이트
Graduiertenakademie – Universität Heidelberg
https://www.graduate[...]
2023-02-11
[79]
웹사이트
Heidelberg University – Press Releases
https://web.archive.[...]
2008-05-16
[80]
웹사이트
Testergebnisse versus Schulnoten als Auswahlkriterien: Paternoster-Effekt, Filter-Effekt, Kosten-Nutzen-Effekte und Auswirkungen auf die Fairneß der Zulassung
https://web.archive.[...]
2008-05-16
[81]
웹사이트
Studiengebühren (Tuition)
http://www.mwk.baden[...]
2008-05-16
[82]
웹사이트
Information for incoming Erasmus Students
http://www.zuv.uni-h[...]
2008-05-16
[83]
웹사이트
Desastis – Statistiken und Kennzahlen zur Hochschulfinanzierung
https://archive.toda[...]
2008-05-16
[84]
웹사이트
Fachbereiche horten Millionen
http://www.suedwest-[...]
2008-05-16
[85]
웹사이트
History of Chemistry at Heidelberg
http://www.chemgeo.u[...]
Heidelberg University Homepage
2008-05-28
[86]
학술지
The Origin of the Bunsen Burner
http://jchemed.chem.[...]
2008-05-28
[87]
웹사이트
Scientific achievements of Mendeleyev
https://www.britanni[...]
Britannica online
2008-05-28
[88]
웹사이트
Rituals of smoking
http://www.uni-heide[...]
Heidelberg University Homepage
2008-05-28
[8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enter of Astronomy
http://www.lsw.uni-h[...]
Heidelberg University Homepage
2008-05-28
[90]
웹사이트
Die Idee der Plastination
https://web.archive.[...]
Bodyworlds
2008-05-28
[91]
웹사이트
200 years medical history at Heidelberg University
https://web.archive.[...]
Heidelberg University Homepage
2008-06-05
[92]
웹사이트
News
http://idw-online.de[...]
Informationsdienst Wissenschaften
2008-05-28
[93]
웹사이트
Marsilius Kolleg
https://web.archive.[...]
2008-05-16
[94]
웹사이트
Center for Astronomy – Publications
https://web.archive.[...]
Heidelberg University Homepage
2008-05-16
[95]
웹사이트
Conflict Barometer
https://web.archive.[...]
Heidelberg Institute for International Conflict Research
2008-05-17
[96]
웹사이트
Publications of the Institute
https://web.archive.[...]
Max Planck Institute for Comparative Public Law and International Law Homepage
2008-05-17
[97]
웹사이트
DFG – Lists of Collaborative Research Centers
https://www.dfg.de/e[...]
German Research Foundation Homepage
2008-05-16
[98]
웹사이트
DFG: Funded projects
https://www.dfg.de/e[...]
German Research Foundation Homepage
2008-05-16
[99]
웹사이트
Exzellenzcluster 81 Cellular Networks: From Analysis of Molecular Mechanisms to a Quantitative Understanding of Complex Functions
https://www.dfg.de/f[...]
DFG –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2010-10-02
[100]
웹사이트
Cluster of Excellence – Asia and Europe
http://www.vjc.uni-h[...]
Heidelberg University
2008-05-16
[101]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operations
http://www.uni-heide[...]
2008-05-16
[102]
웹사이트
The Higher Education Compass – International Cooperations
https://web.archive.[...]
2008-05-16
[103]
웹사이트
Hochschulsport der Universität Heidelberg
http://www.issw.uni-[...]
2008-05-16
[104]
웹사이트
USC Heidelberg
https://web.archive.[...]
2008-05-16
[105]
웹사이트
Erasmus – Incoming students – Student Life
https://web.archive.[...]
2010-10-02
[106]
웹사이트
Der "ruprecht" ist Deutschlands beste Studentenzeitung
http://www.ruprecht.[...]
2008-05-16
[107]
웹사이트
UniMUT – Der Kampf geht weiter!
http://texte.ruprech[...]
2008-05-16
[108]
웹사이트
StudZR – About us
http://www.studzr.de[...]
2008-05-16
[109]
웹사이트
Heidelberg night life
http://www.rhein-nec[...]
2008-05-16
[110]
웹사이트
A Tramp Abroad, By Mark Twain, Complete
http://www.gutenberg[...]
2008-05-16
[111]
서적
Of Human Bondage, By William Somerset Maugham, Complete
https://www.gutenber[...]
2009-02-10
[112]
서적
The Reader
Vintage International
1997
[113]
웹사이트
The Reader 2008
https://www.imdb.com[...]
2009-02-22
[114]
웹사이트
The Student Prince in Old Heidelberg (1927)
https://www.imdb.com[...]
IMDb
2008-05-16
[115]
웹사이트
The Student Prince
http://musicaltheatr[...]
2008-05-16
[116]
웹사이트
Daten und Fakten > Finanze
http://www.uni-heide[...]
2017-07-29
[117]
웹사이트
http://www.uni-heide[...]
[118]
웹사이트
Daten und Fakten - Personal - Universität Heidelberg
http://www.uni-heide[...]
2013-12-02
[119]
서적
世界史新書 ヨーロッパの大学
至文堂
1964
[120]
웹사이트
ドイツの大学システムの概要
http://tokyo.daad.de[...]
[121]
웹사이트
https://backend-484.[...]
[122]
웹사이트
https://www.uni-heid[...]
[123]
웹사이트
Heidelberg University
https://www.timeshig[...]
2021-08-10
[124]
웹사이트
ShanghaiRanking-Univiersities
https://www.shanghai[...]
[125]
웹사이트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https://www.topunive[...]
[126]
웹사이트
Heidelberg University
https://www.usnews.c[...]
[127]
웹사이트
https://www.hochschu[...]
[128]
웹사이트
http://www.uni-heide[...]
[129]
서적
낭만과 전설이 숨쉬는 독일 기행
예담
2002
[130]
기타
[131]
서적
정신의 공화국 하이델베르크
신인문사
2010
[132]
기타
[133]
기타
[134]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35]
웹사이트
http://www.uni-heide[...]
[136]
기타
[137]
서적
정신의 공화국 하이델베르크
신인문사
2010
[138]
기타
[139]
기타
[140]
서적
인본주의 교육사상
학지사
2007
[141]
설명
[142]
서적
낭만과 전설이 숨쉬는 독일 기행
예담
2002
[143]
설명
[144]
설명
[145]
설명
[146]
서적
지상의 아름다운 도서관
한길사
2006
[147]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48]
설명
[149]
서적
지상의 아름다운 도서관
한길사
2006
[150]
설명
[151]
서적
지상의 아름다운 도서관
한길사
2006
[152]
웹사이트
http://www.uni-heide[...]
[153]
설명
[154]
설명
[155]
설명
[156]
서적
정신의 공화국 하이델베르크
신인문사
2010
[157]
설명
[158]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59]
웹사이트
http://www.uni-heide[...]
[160]
웹사이트
http://www.uni-heide[...]
[161]
웹사이트
http://www.uni-heide[...]
[162]
웹사이트
http://www.uni-heide[...]
[163]
웹사이트
http://www.uni-heide[...]
[16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uni-heide[...]
2014-05-10
[165]
웹사이트
http://www.yonhapnew[...]
[166]
웹사이트
http://www.uniheid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