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단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단층은 한반도 지각 내에서 지진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유라시아판과 주변 판들의 압축력에 의해 형성된 단층에서 지진이 일어난다. 중생대에 형성된 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하며, 단층 밀도와 지진 발생 빈도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2016년 경주 지진과 같은 사례를 통해 단층과 지진의 연관성이 규명되었으며, 지하에 숨겨진 단층도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 한반도 대부분의 지진은 기존 단층면을 따라 발생하며, 동-서, 서북서-동남동,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최대 주응력이 작용한다. 주요 단층으로는 양산 단층, 울산 단층, 추가령 단층, 광주 단층 등이 있으며, 경상 분지, 옥천 습곡대, 경기 지괴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한국의 지리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국의 지리 - 경산시의 지질
경산시의 지질은 경상 분지 동남부에 위치한 경산시의 지질학적 특징으로, 백악기 지층이 넓게 분포하며 대구층, 자인층, 채약산 화산암층,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주산안산암질암 등의 지층과 적제 단층, 고은 단층이 존재하고 보국 코발트 광산과 흥남광산 등의 자원이 있다.
| 한국의 단층 | |
|---|---|
| 지도 정보 | |
| 개요 | |
| 단층 종류 | 활성단층 비활성단층 |
| 단층 방향 | 주로 북북동-남남서 방향 |
| 주요 생성 시기 | 중생대 대보 조산운동 및 불국사 조산운동 |
| 특징 | 조륙 운동 지구조 운동 |
| 주요 단층 | |
| 추가령 단층대 | 중부 지역 추가령 구조곡 형성 |
| 양산 단층대 | 경상 분지 동남부 지역 발달 |
| 울산 단층 | 양산 단층대에서 분기 |
| 기타 단층 | 광주 단층 전주 단층 공주 단층 영월 단층 가음 단층 |
| 단층 연구 | |
| 지반 조사 | 지진 발생 현황 파악 내진 설계 목적 |
| 지진파 속도 측정 | 현장 전단파 속도 결정 |
| 지형학적 해석 | 한반도 지진 분포 분석 |
| 지질학적 배경 | |
| 중생대 이전 | 안정된 지각 조륙 운동만 발생 |
| 중생대 | 대보 조산운동과 불국사 조산운동 발생 북북동-남남서 방향 단층 다수 생성 |
| 신생대 | 추가령 구조곡 형성 |
| 한반도 지진 환경 | |
| 지진 발생 | 한반도의 지진 관련 연구 |
| 지진재해 | 지진 환경 이해 필요 |
2. 한국의 단층과 지진과의 연관성
한반도는 유라시아판 또는 아무르판 내부에 위치하지만, 주변 판들의 움직임으로 인해 압축력을 받고 있다. 남쪽에서는 인도판이 밀어붙이고, 동쪽에서는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이 섭입하면서 압축력이 발생한다. 이 압축력은 한반도 내부의 중생대에 형성된 한국의 단층[5]에 영향을 미쳐 지진을 발생시킨다.[1][6][7][8][9][10][11][12][13]
중생대에 형성된 단층들에서 지진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지만, 지진 밀도와 단층선의 밀도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김대영(2018)은 단층 밀도가 높지만 지진 밀도가 낮은 지역, 반대로 단층 밀도는 낮지만 지진 밀도가 높은 지역이 존재한다는 점을 들어, 한반도에서 지진 발생과 단층선의 발달은 큰 연관이 없다고 주장했다.[14]
하지만 단층 밀도가 낮은 지역이라도 안심할 수는 없다. 2016년 경주 지진은 양산 단층대에서 발생하여 지진과 단층의 연관성이 최초로 규명되었고, 2007년 오대산 지진은 단층 밀도가 높지 않은 오대산 지역에서 발생했다. 진부 단층은 연장 20km에 불과한 소규모 단층이지만 규모 4.7의 지진을 일으켰다.[15] 따라서 단층이 있는 지역에서는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반도에서 대규모 지진 발생 빈도가 낮아 특정 단층대와 지진의 연관성을 규명하기는 쉽지 않지만,[16] 과거 지진 분석과 현재 지진 현황 파악을 통해 향후 발생 가능한 지진의 위치와 규모를 유추할 수 있다.[17]
2022년 괴산 지진처럼 지표에 드러나지 않고 지하에 숨어 있는 단층도 문제가 될 수 있다.[18][19] 이는 한반도에 지진 안전지대가 없음을 시사한다.
2. 1. 제4기 단층
현재까지 국내에서 기재된 제4기 단층들 중에서 직접적으로 계기 지진과 관련된 단층의 사례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지표 단층이 나타날 수 있는 지진의 규모는 6 이상이어야 한다. 역사지진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지진규모는 이를 넘기도 하지만, 지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단층 운동은 기록되지 않았으며, 계기지진의 경우에 비교적 규모가 컸던 지리산 쌍계사 지진, 속리산 지진, 홍성 지진(1978)의 경우에도 지진에 의한 지표에서의 단층 활동과 관련된 지표의 파열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배대석 외(2009)는 단층과 지진 발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169개의 역사지진과 126개의 계기지진 자료를 이용하였다. 역사지진에서 보여주는 규모 5 이상의 지진과 단층과의 관계에서는 일부 진앙지가 양산 단층대에 위치하고 있지만 진앙지와 양산 단층대와 직접적으로 연관성을 찾기 어려웠으며, 계기지진도 양산 단층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한반도 동남부에 양산 단층대와 같은 제4기 단층들이 발견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역사 시대 이래 지진 발생에 의한 단층의 활동도를 평가할 때 지진 발생이 특정 단층과 직접적인 관계를 보여주기 보다는 오히려 배경지진의 특성으로 볼 수 있는 것처럼 분산된 양상을 보였다.[20]2. 2. 단층면해
지진은 지각에 축적된 지구조적 응력이 단층의 운동을 통해 해소될 때 발생한다. 큰 규모의 지진은 대부분 새로운 단층을 형성하기보다는 기존에 발달한 단층을 따라 다시 재활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이유로 현생 응력 조건에서 활동했던(지진을 일으킨) 단층은 다시 동일한 지구조적 응력 조건에서 재활할 가능성이 높다. 한반도는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제4기 단층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21] 및 수압파쇄(hydraulic fracturing) 결과[22][23][24], 단층면해[1][25] 연구 결과 등을 종합하면 현재 한반도는 동-서(E-W), 서북서-동남동(WNW-ESE) 내지 동북동-서남서(ENE-WSW) 방향으로 최대 주응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고응력 및 구조발달사 연구들은 신생대 후기 마이오세부터 현재까지 거의 비슷한 조건이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26][27] 그 결과로 한반도에서 발생한 대부분의 지진이 주향 이동성 및 역단층성의 단층 면해를 나타내며 이는 지진을 유발시킨 단층이 주향이동 내지 역단층성 운동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동해와 서해 연안에서 관찰되는 지진은 주로 역단층 운동에 의한 것이 우세하다.[28][1] 동해안 일대에서 발생하는 역단층성 지진들은, 대륙 연변부에 발달한 기존 정단층이 동해가 생성될 때 동해가 닫히는 과정에서 태평양판이 유라시아판으로 섭입하며 발생한 압축 응력이 다시 발생되면서 역단층의 특성을 갖는 지진이 동해 연안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29] 다만 황해 및 황해도 지역과 일부 지역에서는 국부적으로 정단층성의 단층면해를 보이는 곳이 있다.[1][30]대표적인 예로, 2016년 경주 지진은 주향이동 단층의 운동[31], 2017년 포항 지진은 역단층성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32] 또한, 2020년 5월 11일 강원도 평강군에서 발생한 규모 3.8의 지진은 주향 이동 단층의 운동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33] 그 전해 같은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3.5의 지진 역시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34] 해당 지역은 추가령 구조곡이 지나가는 지역이다. 그러나 2004년 9월 15일 서울특별시 남쪽 9km에서 발생한 지진은 면선각 -90도인 정단층 운동을 보였다.[1]
2020년에 발생한 해남 군발 지진 당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보도자료에 "해남지진은 이 지역에 발달하고 있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단층계에 속하는 단층의 좌수향 주향이동운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한반도에 작용하는 지체응력(Tectonic Stress) 환경에 부합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라고 설명하였다.[35]
3. 단층 연구의 필요성
한반도는 유라시아판 또는 아무르판 내부에 위치하지만, 주변 판들의 영향으로 압축력을 받아 중생대에 형성된 단층[5]에서 지진이 발생한다.[1][6][7][8][9][10][11][12][13]
2016년 경주 지진은 양산 단층대에서 발생하여 지진과 단층의 연관성이 한반도에서 최초로 규명되었으며,[15] 2022년 괴산 지진은 지하의 숨겨진 단층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18][19] 이처럼 지표에 드러나지 않은 단층도 지진을 유발할 수 있기에 한반도에 지진 안전지대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지진은 기존에 존재하던 단층면을 따라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7] 따라서 과거 지진을 분석하고 현재의 지진 현황을 파악하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지진의 위치와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진 발생 원인 규명과 예측, 그리고 대비를 위해서는 단층 연구가 필수적이다.
4. 한국의 주요 단층
대한민국에는 약 450개로 추정되는 수많은 단층들이 분포한다.[3] 이들 대부분은 중생대에 발생한 송림변동, 대보 조산운동, 불국사 조산운동 등 격렬한 지구조 운동으로 생성되었다.[4] 대표적인 단층으로는 양산 단층, 울산 단층, 추가령 단층, 광주 단층 등이 있다.
한반도는 유라시아판 또는 아무르판 내부에 위치하며, 남쪽에서는 인도판, 동쪽에서는 태평양판 및 필리핀판의 영향을 받아 압축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압축력은 한반도 내부의 중생대에 형성된 단층[5]에서 지진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1][6][7][8][9][10][11][12][13]
2016년 경주 지진은 양산 단층대에서 발생하여 지진과 단층의 연관성이 한반도에서 최초로 규명되었으며, 2007년 오대산 지진은 단층 밀도가 높지 않은 오대산 지역에서 발생했다. 이는 단층이 있는 지역에서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이 상존함을 시사한다.[15]
지하에 숨어 있는 단층도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 2022년 괴산 지진은 지하의 숨겨진 단층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으며,[18][19] 이는 한반도에 지진 안전 지대가 없음을 보여준다.
2016년 경주 지진은 주향이동 단층의 운동[31], 2017년 포항 지진은 역단층성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32] 2020년 5월 11일 강원도 평강군에서 발생한 규모 3.8의 지진은 주향 이동 단층의 운동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33]
아래 표는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주요 단층들의 목록이다.
| 이름[37] | 구간 | 지질 지역 | 연장(km) | 성향 | 주향[38] | 변위/절단된 지층 | 수평 변위량 | 비고 |
|---|---|---|---|---|---|---|---|---|
| 가사리 단층 | 정선군 신동읍~강릉시 강동면 | 옥천 습곡대 | 64 이상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가야동 단층 | 설악산~양양군 | 경기 지괴 | 17 | 주향 이동 | 서북서-동남동 | 고원생대 대청봉 화강암 고원생대 경기변성암복합체 쥐라기 가리봉 화강암 백악기 백담층군 백악기 설악산 화강암 | 300 m (경기변성암복합체과 가리봉 화강암) 320 m (가리봉 화강암과 백담층군) 240 m (가리봉 화강암과 설악산 화강암) 140 m (대청봉 화강암과 설악산 화강암) | |
| 검성동 단층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 영남 지괴 | 4 | 남-북 | ||||
| 각동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충청북도 단양군 | 옥천 습곡대 | 40 이상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대동 누층군 반송층 | ||
| 경강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경기도 광주시 | 경기 지괴 | 175 | 스러스트 | 북북동-남남서 | 선캄브리아기 지층 | ||
| 공주 단층 | 음성군 음성 분지~공주시 공주 분지 | 경기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110 | 주향 이동 | 북동-남서 | |||
| 고척 단층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이천시 모가면 | 경기 지괴 | 18 | - | 북서-남동 | |||
| 낙동 단층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김천시 감문면 | 경상 분지 서부 | 50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 중생대 백악기 신동층군 | 800 m (편마암과 화강암) 400 m (낙동층) 330 m (낙동층과 하산동층) | |
| 남병산 단층 | 평창군 남병산 | 옥천 습곡대 | 7.6 | 정단층 | 동-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당골 단층 | 강원도 횡성군 방림면~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 경기 지괴 | 20 | 수직 | 북서-남동 | |||
| 당진 단층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보령시 천북면 | 경기 지괴 | 50 | 수직 이동 | 북북동-남남서 | |||
| 마분동 단층 | 경상북도 북면 부구리 | 영남 지괴 | 3 | 주향 이동 | 북서-남동 | |||
| 미시령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인제군 북면 용대리 | 경기 지괴 북동부 | 19 | 좌수향 주향 이동 | 동-서 | 고원생대 경기변성암복합체 중생대 백악기 석영장석반암 등 | 160 m (석영장석반암과 속초화강암) 300 m (작은감투봉층) | |
| 밤원 단층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내서면 |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13 | - | 남-북 | |||
| 북장사 단층 | 경상북도 상주시 |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14 | - | 북동-남서 | 중생대 백악기 알칼리화강암 백악기 석영반암 | ||
| 서화 단층 | 금강산~인제군 북면 월학리 | 경기 지괴 | - | 주향 이동 | 남-북 | |||
| 영동 단층 | 충청북도 영동군 일대 |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 | 주향 이동 | 북동-남서 | |||
| 옥동 단층 | 정선군 신동읍~경상북도 함창읍 | 옥천 습곡대 | 100 | 정단층? | 북동-남서 | |||
| 의당 단층 | 공주 분지~천안시 목천읍 | 경기 지괴 | 22 | - | 북북동-남남서 | |||
| 용유리 단층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23? | - | 북서-남동 | |||
| 예산 단층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보령시 청라면 | 경기 지괴 서부 | 60 | - | 북북서-남남동 | |||
| 인제 단층 | 강원도 인제군~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 경기 지괴 | 150 이상 | 주향 이동 | 북동-남서 | |||
| 저항령 단층 | 강원도 속초시 물치항~인제군 북면 저항령 | 경기 지괴 북동부 | 18 | - | 동-서 | 중생대 백악기 반암 | ||
| 진부령 단층 | 강원도 고성군~인제군 북면 용대리 | 경기 지괴 북동부 | 40 | - | 남-북 | 진부령 통과 | ||
| 천도 단층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금강~강원도 인제군 북면 월학리 | 경기 지괴 북동부 | - | 우수향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
| 홍성 단층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보령시 주포면 | 경기 지괴 서부 | 불명 | 불명 | 북북동-남남서 | 불명 | 불명 | |
4. 1. 경상 분지 지역
경상 분지 지역에는 가음 단층, 동래 단층, 모량 단층, 신녕 단층, 안동 단층, 영덕 단층, 양산 단층, 울산 단층, 오천 단층, 수렴 단층, 읍천 단층, 일광 단층, 장대 단층, 중평 단층, 태곡 단층 등 여러 단층들이 발달해 있다. 이 단층들은 한반도에 작용하는 지구조적 응력과 관련이 있으며, 지진 발생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름[37] | 구간 | 지질 지역 | 연장(km) | 성향 | 주향[38] | 변위/절단된 지층 | 수평 변위량 | 비고 |
|---|---|---|---|---|---|---|---|---|
| 가음 단층 | 경상북도 의성군~포항시 | 경상 분지 동부 | 40 이상 | 주향 이동 | 서북서-동남동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백악기 화강암 |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
| 금천 단층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청송군 현서면 | 경상 분지 | 35 이상 | 주향 이동 | 서북서-동남동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 190 m (후평동층과 점곡층) 170/600 m (춘산층과 섬록암) | |
| 동래 단층 | 경상북도 경주시~부산광역시 동래구 해역 | 경상 분지 남동부 | - | - | 북북동-남남서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 모량 단층 | 경상북도 경주시~경상남도 김해시 북부 | 경상 분지 남동부 | 60~110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중생대 백악기 건천리층 백악기 유천층군 백악기 화강암 | 900 m (건천리층과 유천층군 안산암) 약 1 km (화강암) | |
| 신녕 단층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상주시 공성면 | 경상 분지 | 70 | 주향 이동 | 서북서-동남동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과 하양층군 | 800 m (낙동층과 하산동층) 800 m (동명층과 일직층) 450 m (일직층과 구미동층원 320 m (후평동층) | |
| 안동 단층 | 경상북도 상주시~청송군 | 경상 분지/영남 지괴 경계 | - | 역단층 | 동-서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 ||
| 영덕 단층 | 경상북도 영덕군 | 경상 분지 | 40 | 우수향 주향 이동 | 남-북 | 트라이아스기 화강암,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 | 4.7 km | |
| 양산 단층 | 경상북도 울진군~부산광역시 해역 | 경상 분지 동부 | 170 이상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백악기 화강암 | 21~35 km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 울산 단층 | 경상북도 경주시~울산광역시 태화강 하구 | 경상 분지 남동부 | 40 | 주향 이동 | 북북서-남남동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 오천 단층 | 경상북도 포항시~경주시 | 경상 분지 동남부 | 23 | 역단층 | 북동-남서 | |||
| 수렴 단층 |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수렴리 일대 | 경상 분지 동부 | 0.4 | 역단층 |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
| 읍천 단층 |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읍천리 | 경상 분지 남동부 | 1.5 | 역단층 | 북동-남서 |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
| 일광 단층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역~울산광역시 | 경상 분지 남동부 | 25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style="background-color: #ff8000;" | |
| 장대 단층 | 김해시 장유면~의령군 대의면 | 경상 분지 남부 | - | 주향 이동 | 서북서-남남동 | |||
| 중평 단층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일대 | 경상 분지 북부 | 8 | 역단층 | 북서-남동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 ||
| 태곡 단층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봉화군 재산면 | 경상 분지 북부 | 32 | 수직 단층 | 북북동-남남서 | 중생대 쥐라기~백악기 경상 누층군 | 670 m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 | |
4. 1. 1. 양산 단층대
Yangsan Fault영어은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부산광역시 해역에 이르는, 연장 170 km 이상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37] 양산 단층을 중심으로 발달한 단층대를 양산 단층대라고 부른다.| 이름 | 구간 | 지질 지역 | 연장(km) | 성향 | 주향[38] | 변위/절단된 지층 | 수평 변위량 |
|---|---|---|---|---|---|---|---|
| 양산 단층 | 경상북도 울진군~부산광역시 해역 | 경상 분지 동부 | 170 이상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백악기 화강암 | 21~35 km |
4. 1. 2. 울산 단층대
울산 단층(Ulsan Fault)은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울산광역시 태화강 하구까지, 약 40 km에 걸쳐 발달하는 단층이다. 이 단층은 북북서-남남동 방향으로 주향 이동하는 특징을 보인다.[37]4. 2. 옥천 습곡대 지역
옥천 습곡대 지역에는 광주 단층, 전주 단층, 정읍 단층 (남서부), 계룡산 단층 (서부), 십자가 단층 (북서부), 근덕 단층, 마읍천 단층 (동부) 등이 있다.| 이름 | 구간 | 연장(km) | 성향 | 주향 | 변위/절단된 지층 | 수평 변위량 | 비고 |
|---|---|---|---|---|---|---|---|
| 가사리 단층 | 정선군 신동읍~강릉시 강동면 | 64 이상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각동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충청북도 단양군 | 40 이상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대동 누층군 반송층 | ||
| 계룡산 단층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충청남도 논산시 | - | - | 북-남 | |||
| 광주 단층 | 전라남도 진안군 진안 분지~해남군 해역 | 180 | 주향 이동 | 북동-남서 | |||
| 구이 단층 |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구이면 | 5~10 | 역단층 | 북동-남서 | |||
| 근덕 단층 | 경상북도 봉화군~강원도 삼척시 | -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
| 단곡 단층 |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정선군 남면 | 30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500m/1.6km (동점 규암층) | |
| 마읍천 단층 |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근덕면 상맹방리 | 25 이상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 | ||
| 마차리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영월군 영월읍 | 30 이상 | 스러스트 단층 | 남-북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무안 단층 | 전라북도 함평군~무안군 해역 | - | - | 북북동-남남서 | |||
| 문경 단층 |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일대 | 12 | 역단층 | 북서-남서 |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부곡리층 | ||
| 민둔산 단층 | 정선군 정선읍 광하리-민둔산 | 9.5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남평 단층 | 정선군 북평면 남평리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정선 석회암층 고생대 평안 누층군 장성층 | |||
| 방림 단층 |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원주시 신림면 | 40 이상 | 스러스트 | 남-북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백전리 단층 | 영월군 상동읍~삼척시 하장면 | 36 | - | 북북동-남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산계 단층 |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왕산면 목계리 | 13 | 정단층 | 북서-남동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설론 단층 | 영월군 영월읍 흥월리-정선군 남면 광탄리 | 36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중생대 대동 누층군 | ||
| 순창 단층 | 전라북도 무주군~전라남도 해남군 해역 | 100 | - | 북북동-남남서 | |||
| 십자가 단층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석성면~탄천면 | 25 | 정단층 | 북동-남서 | |||
| 옥갑산 단층 | 정선군 정선읍 용탄리~여량면 구절리 | 22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인락원 단층 | 평창군 진부면 마평리-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 16 | 정단층 | 남-북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임곡 단층 |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 | 25 | 수직 단층 | 북북동-남남서 | 고생대 평안 누층군 만항층 | 2.9km (만항층) | |
| 장전리 단층 | 정선군 사북읍~삼척시 하장면 중봉리 | 22 | 북북동-남남서 | ||||
| 전주 단층 | 전라북도 진안군~전라남도 신안군 해역 | 170 | 주향 이동 | 북동-남서 | |||
| 정읍 단층 | 전라북도 정읍시~고창군 | 100 (추정) | - | 북북동-남남서 | |||
| 예미 단층 | 정선군 남면 문곡리~신동읍 방제리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척산 단층 |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태백시 화전동 | 22 | - | 서북서-동남동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철암 단층 | 태백시 철암동~봉화군 석포면 대현리 | 10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평창 단층 |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영월군 남면 | 20 이상 | 스러스트 단층 | 남-북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호명 단층 |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강릉시 옥계면 산계리 | 44 | 북북동-남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화암 단층 |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남면 유평리 | 6 | 스러스트 | 북북동-남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4. 3. 경기 지괴 지역
경기 지괴는 한반도 중부에 위치하며, 선캄브리아 시대에 형성된 변성암류가 기반암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에는 추가령 단층, 신갈 단층, 왕숙천 단층, 금왕 단층 등 여러 단층들이 발달해 있다.- '''추가령 단층''' : 강원도 원산시에서 서울특별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60km의 대규모 단층으로, 북-남 방향의 주향을 가진다.
- '''신갈 단층''' : 경기도 연천군에서 평택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30km의 단층으로, 북-남 방향의 주향을 가지는 주향 이동 단층이다.
- '''왕숙천 단층''' : 강원도 철원군에서 경기도 남양주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65km의 단층으로,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을 가지는 주향 이동 단층이다. 선캄브리아기 흑운모편마암과 중생대 쥐라기 흑운모화강암 사이에서 약 800m의 변위를 보인다.
- '''금왕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에서 음성 분지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70km의 대규모 단층으로, 북동-남서 방향의 주향을 가진다. 선캄브리아기 편마암과 중생대 쥐라기 및 백악기 화강암을 절단하며, 최대 2.5km의 수평 변위를 보인다.
4. 4. 기타 지역
아래는 위에 언급된 주요 단층들 외에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단층들의 목록이다. 이 단층들은 주로 경상 분지, 옥천 습곡대, 경기 지괴 등에 분포하며, 일부는 동해 해역에도 존재한다.| 이름[37] | 구간 | 지질 지역 | 연장(km) | 성향 | 주향[38] | 변위/절단된 지층 | 수평 변위량 | 비고 | |
|---|---|---|---|---|---|---|---|---|---|
| 가사리 단층 | 정선군 신동읍~강릉시 강동면 | 옥천 습곡대 | 64 이상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가야동 단층 | 설악산~양양군 | 경기 지괴 | 17 | 주향 이동 | 서북서-동남동 | 고원생대 대청봉 화강암 고원생대 경기변성암복합체 쥐라기 가리봉 화강암 백악기 백담층군 백악기 설악산 화강암 | 300 m (경기변성암복합체과 가리봉 화강암) 320 m (가리봉 화강암과 백담층군) 240 m (가리봉 화강암과 설악산 화강암) 140 m (대청봉 화강암과 설악산 화강암) | ||
| 검성동 단층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 영남 지괴 | 4 | 남-북 | |||||
| 각동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충청북도 단양군 | 옥천 습곡대 | 40 이상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 대동 누층군 반송층 | |||
| 경강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경기도 광주시 | 경기 지괴 | 175 | 스러스트 | 북북동-남남서 | 선캄브리아기 지층 | |||
| 계룡산 단층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충청남도 논산시 | 옥천 습곡대 서부 | - | - | 북-남 | ||||
| 고척 단층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이천시 모가면 | 경기 지괴 | 18 | - | 북서-남동 | ||||
| 구이 단층 |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구이면 | 옥천 습곡대 남서부 | 5~10 | 역단층 | 북동-남서 | ||||
| 근덕 단층 | 경상북도 봉화군~강원도 삼척시 | 옥천 습곡대 동부 | -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
| 금천 단층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청송군 현서면 | 경상 분지 | 35 이상 | 주향 이동 | 서북서-동남동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 190 m (후평동층과 점곡층) 170/600 m (춘산층과 섬록암) | ||
| 낙동 단층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김천시 감문면 | 경상 분지 서부 | 50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 중생대 백악기 신동층군 | 800 m (편마암과 화강암) 400 m (낙동층) 330 m (낙동층과 하산동층) | ||
| 남병산 단층 | 평창군 남병산 | 옥천 습곡대 | 7.6 | 정단층 | 동-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남평 단층 | 정선군 북평면 남평리 | 옥천 습곡대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정선 석회암층 고생대 평안 누층군 장성층 | ||||
| 당골 단층 | 강원도 횡성군 방림면~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 경기 지괴 | 20 | 수직 | 북서-남동 | ||||
| 당진 단층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보령시 천북면 | 경기 지괴 | 50 | 수직 이동 | 북북동-남남서 | ||||
| 마분동 단층 | 경상북도 북면 부구리 | 영남 지괴 | 3 | 주향 이동 | 북서-남동 | ||||
| 마읍천 단층 |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근덕면 상맹방리 | 옥천 습곡대 동부 | 25 이상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 | |||
| 마차리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영월군 영월읍 | 옥천 습곡대 | 30 이상 | 스러스트 단층 | 남-북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모량 단층 | 경상북도 경주시~경상남도 김해시 북부 | 경상 분지 남동부 | 60~110 |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중생대 백악기 건천리층 백악기 유천층군 백악기 화강암 | 900 m (건천리층과 유천층군 안산암) 약 1 km (화강암) | ||
| 무안 단층 | 전라북도 함평군~무안군 해역 | 옥천 습곡대 남서부 | - | - | 북북동-남남서 | ||||
| 문경 단층 |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일대 | 옥천 습곡대 | 12 | 역단층 | 북서-남서 |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부곡리층 | |||
| 미시령 단층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인제군 북면 용대리 | 경기 지괴 북동부 | 19 | 좌수향 주향 이동 | 동-서 | 고원생대 경기변성암복합체 중생대 백악기 석영장석반암 등 | 160 m (석영장석반암과 속초화강암) 300 m (작은감투봉층) | ||
| 민둔산 단층 | 정선군 정선읍 광하리-민둔산 | 옥천 습곡대 | 9.5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밤원 단층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내서면 |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13 | - | 남-북 | ||||
| 방림 단층 |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원주시 신림면 | 옥천 습곡대 | 40 이상 | 스러스트 | 남-북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북장사 단층 | 경상북도 상주시 |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14 | - | 북동-남서 | 중생대 백악기 알칼리화강암 백악기 석영반암 | |||
| 백전리 단층 | 영월군 상동읍~삼척시 하장면 | 옥천 습곡대 | 36 | - | 북북동-남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산계 단층 |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왕산면 목계리 | 옥천 습곡대 | 13 | 정단층 | 북서-남동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서화 단층 | 금강산~인제군 북면 월학리 | 경기 지괴 | - | 주향 이동 | 남-북 | ||||
| 설론 단층 | 영월군 영월읍 흥월리-정선군 남면 광탄리 | 옥천 습곡대 | 36 | 스러스트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중생대 대동 누층군 | |||
| 수렴 단층 |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수렴리 일대 | 경상 분지 동부 | 0.4 | 역단층 | |||||
| 순창 단층 | 전라북도 무주군~전라남도 해남군 해역 | 옥천 습곡대 남서부 | 100 | - | 북북동-남남서 | ||||
| 신녕 단층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상주시 공성면 | 경상 분지 | 70 | 주향 이동 | 서북서-동남동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과 하양층군 | 800 m (낙동층과 하산동층) 800 m (동명층과 일직층) 450 m (일직층과 구미동층원) 320 m (후평동층) | ||
| 십자가 단층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석성면~탄천면 | 옥천 습곡대 북서부 | 25 | 정단층 | 북동-남서 | ||||
| 안동 단층 | 경상북도 상주시~청송군 | 경상 분지/영남 지괴 경계 | - | 역단층 | 동-서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 |||
| 영덕 단층 | 경상북도 영덕군 | 경상 분지 | 40 | 우수향 주향 이동 | 남-북 | 트라이아스기 화강암,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 | 4.7 km | ||
| 영동 단층 | 충청북도 영동군 일대 |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 | 주향 이동 | 북동-남서 | ||||
| 인락원 단층 | 평창군 진부면 마평리-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 옥천 습곡대 | 16 | 정단층 | 남-북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인제 단층 | 강원도 인제군~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 경기 지괴 | 150 이상 | 주향 이동 | 북동-남서 | ||||
| 임곡 단층 |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 | 옥천 습곡대 | 25 | 수직 단층 | 북북동-남남서 | 고생대 평안 누층군 만항층 | 2.9 km (만항층) | ||
| 장대 단층 | 김해시 장유면~의령군 대의면 | 경상 분지 남부 | - | 주향 이동 | 서북서-남남동 | ||||
| 장전리 단층 | 정선군 사북읍~삼척시 하장면 중봉리 | 옥천 습곡대 | 22 | 북북동-남남서 | |||||
| 저항령 단층 | 강원도 속초시 물치항~인제군 북면 저항령 | 경기 지괴 북동부 | 18 | - | 동-서 | 중생대 백악기 반암 | |||
| 전주 단층 | 전라북도 진안군~전라남도 신안군 해역 | 옥천 습곡대 남서부 | 170 | 주향 이동 | 북동-남서 | ||||
| 정읍 단층 | 전라북도 정읍시~고창군 | 옥천 습곡대 남서부 | 100 (추정) | - | 북북동-남남서 | ||||
| 죽령 단층 | 경상북도 영주시~충청북도 단양군 | 영남 지괴/옥천 습곡대 경계 | 23 | 주향 이동 | 서북서-동남동 |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 고생대 조선 누층군 | 1~1.2 km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 1.5 km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 | ||
| 중평 단층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일대 | 경상 분지 북부 | 8 | 역단층 | 북서-남동 |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 |||
| 진부령 단층 | 강원도 고성군~인제군 북면 용대리 | 경기 지괴 북동부 | 40 | - | 남-북 | 진부령 통과 | |||
| 척산 단층 |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태백시 화전동 | 옥천 습곡대 | 22 | - | 서북서-동남동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천도 단층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금강~강원도 인제군 북면 월학리 | 경기 지괴 북동부 | - | 우수향 주향 이동 | 북북동-남남서 | ||||
| 철암 단층 | 태백시 철암동~봉화군 석포면 대현리 | 옥천 습곡대 | 10 | 북동-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평안 누층군 | ||||
| 태곡 단층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봉화군 재산면 | 경상 분지 북부 | 32 | 수직 단층 | 북북동-남남서 | 중생대 쥐라기~백악기 경상 누층군 | 670 m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 | ||
| 평창 단층 |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영월군 남면 | 옥천 습곡대 | 20 이상 | 스러스트 단층 | 남-북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호명 단층 |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강릉시 옥계면 산계리 | 옥천 습곡대 | 44 | 북북동-남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홍성 단층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보령시 주포면 | 경기 지괴 서부 | 불명 | 불명 | 북북동-남남서 | 불명 | 불명 | ||
| 화암 단층 |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남면 유평리 | 옥천 습곡대 | 6 | 스러스트 | 북북동-남남서 | 고생대 조선 누층군 | |||
- (■): 지진 유발 단층
동해의 해역에는 다음 단층들이 분포한다.
| 이름[37] | 구간 | 지질 지역 | 연장(km) | 성향 | 주향[38] | 변위/절단된 지층 | 수평 변위량 | 비고 |
|---|---|---|---|---|---|---|---|---|
| 울릉 단층 | 동해 일대 | 울릉 분지 | 170 이상 | 정단층 | 남-북 | |||
| 후포 단층 | 동해 해역 | 후포 분지 | - | - | 북-남 | style="background-color: #ff0000;" | | style="background-color: #ff0000;" | | style="background-color: #ff0000;" | |
5. 한반도의 지구조 환경
한반도에는 오래전에 형성된 수많은 단층들이 분포하며 그 수는 약 450개로 추정된다.[3] 대부분의 단층은 중생대에 발생한 송림변동, 대보 조산운동, 불국사 조산운동 등 격렬한 지구조 운동으로 생성되었다.[4] 한반도는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제4기 단층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21], 수압파쇄(hydraulic fracturing) 결과[22][23][24], 단층면해[1][25] 연구 결과 등을 종합하면 현재 동-서(E-W), 서북서-동남동(WNW-ESE) 내지 동북동-서남서(ENE-WSW) 방향으로 최대 주응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고응력 및 구조발달사 연구들은 신생대 후기 마이오세부터 현재까지 거의 비슷한 조건이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26][27] 그 결과로 한반도에서 발생한 대부분의 지진이 주향 이동성 및 역단층성의 단층 면해를 나타내며 이는 지진을 유발시킨 단층이 주향이동 내지 역단층성 운동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동해와 서해 연안에서 관찰되는 지진은 주로 역단층 운동에 의한 것이 우세하다.[28][1]
6. 한반도 지진 발생 현황
한반도는 유라시아판 또는 아무르판에 속해 있으며, 남쪽에서는 인도판, 동쪽에서는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판들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축력이 한반도 내부의 중생대에 형성된 한국의 단층에서 지진을 일으킨다.[1][5][6][7][8][9][10][11][12][13]
중생대에 형성된 단층들에서 지진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지만, 지진 밀도와 단층선의 밀도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김대영(2018)은 단층 밀도가 높지만 지진 밀도가 낮은 지역과 그 반대의 경우를 예로 들며, 한반도에서 지진 발생과 단층선 발달은 큰 연관이 없다고 주장했다.[14] 예를 들어, 경주시나 평양시처럼 지진 밀도가 높은 곳은 단층선 밀도도 높지만, 연천군과 한반도 북부 지역은 단층 밀도는 높지만 지진 발생 횟수는 낮다. 또한, 서산에서 포항을 잇는 선은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지만, 단층선은 공주시, 상주시, 의성군 등 일부 지역에서만 높은 밀도를 보인다.[14]
하지만 단층 밀도가 낮은 지역이라도 안심할 수는 없다. 2016년 경주 지진은 양산 단층대에서 발생하여 지진과 단층의 연관성이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밝혀졌고, 2007년 오대산 지진은 단층 밀도가 높지 않은 평창군 오대산 지역에서 발생했다. 진부 단층은 연장 20km에 불과한 작은 단층이지만 규모 4.7의 지진을 일으켰다.[15] 이처럼 단층이 있는 지역에서는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반도에서는 대규모 지진 발생 빈도가 낮아 특정 단층대와 지진의 연관성을 밝히기 어렵지만, 지진은 주로 기존에 있던 활성단층이 다시 움직이면서 발생한다.[16]
한국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넓은 지역에 걸쳐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같은 장소에서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지진이 지하에 새로운 단층을 만들기보다는 기존 단층면을 따라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거 지진을 분석하고 현재 지진 현황을 파악하면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큰 지진의 위치와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17]
지표에 드러나지 않고 지하에 숨어 있는 단층도 문제가 될 수 있다. 2022년 괴산 지진은 지표에 있는 단층과 관련이 없으며, 지하에 숨겨진 단층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18][19] 이는 한반도에 지진 안전 지대가 없음을 보여준다.
7. 단층 관련 사진







일련의 스러스트 단층들에 의해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 이하 마차리층, 와곡층과 문곡층 등이 여러 차례 반복되어 나타난다.



8. 기타
대한민국에는 오래전에 형성된 한반도에 수많은 단층들이 분포하며 그 수는 약 450개로 추정된다.[3] 대부분의 단층은 중생대에 발생한 송림변동, 대보 조산운동, 불국사 조산운동 등 격렬한 지구조 운동으로 생성되었다.[4]
참조
[1]
웹인용
우리나라 지진발생 현황과 내진설계를 위한 지반조사 - 한반도 지진환경과 지진재해도 이해 및 현장 전단파속도 결정 ->
https://www.dbpia.co[...]
한국지반공학회
2020-09-01
[2]
웹인용
한반도의 지반운동 (Ⅱ) : 한반도 지진분포의 지형학적 해석
https://www.dbpia.co[...]
한국지리학회
2007-12-01
[3]
뉴스
국내 활성단층 450개 넘어…한반도는 '단층의 나라'
https://www.news1.kr[...]
News1
2016-09-23
[4]
저널
한반도의 지진활동과 지각구조 (Comments on Seismicity and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https://scienceon.ki[...]
2010-01-01
[5]
문서
또는 지질학적 약대(弱帶)
[6]
저널
우리나라 지진발생 현황과 내진설계를 위한 지반조사 - 한반도 지진환경과 지진재해도 이해 및 현장 전단파속도 결정 -
https://www.dbpia.co[...]
2020-09-01
[7]
웹인용
최근 북한 및 서해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지진원 특성 (The 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Earthquakes Occured in North Korea and the Northern Part of the Yellow Sea)
https://www.riss.kr/[...]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01-01
[8]
저널
우리나라 지진활동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https://www.riss.kr/[...]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01-01
[9]
웹인용
지진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반도 지진 발생 확률 예측 (Forecasting probabilities of earthquake in Korea based on seismological data)
https://scienceon.ki[...]
2017-01-01
[10]
저널
국내 지진활동 및 지각구조 연구동향 (Recent Research for the Seismic Activities and Crustal Velocity Structure)
https://scienceon.ki[...]
2006-01-01
[11]
저널
한반도의 역사지진자료
https://scienceon.ki[...]
1998-01-01
[12]
웹인용
최근 한반도 중부 지방에서 발생한 지진의 단층면해 분석 (Fault plane solutions of The latest earthquakes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 peninsula)
http://www.riss.kr/s[...]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01-01
[13]
웹인용
한반도의 지진활동에 대한 연구
https://scienceon.ki[...]
1980-05-01
[14]
저널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한반도 지진발생의 공간적 연구 (Geostatistical Research for Earthquake Occurrences in the Korean Peninsula)
https://www.dbpia.co[...]
2018-09-01
[15]
웹인용
오대산 지질도폭, 수치지질도 원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5-01-01
[16]
저널
한반도 활성단층지도 제작과정 및 해결과제 (Processes and challenges for the production of Korean active faults map)
https://www.dbpia.co[...]
2020-04-01
[17]
저널
영덕 앞바다 미소지진 발생위치 재결정 (Relocation of Youngduk Offshore Micro-earthquakes)
https://scienceon.ki[...]
2011-01-01
[18]
뉴스
[충북 괴산 지진] 이번 지진 원인과 여진 가능성은?
https://www.ytn.co.k[...]
YTN
2022-10-29
[19]
뉴스
지하 숨겨진 단층에서 발생..."지진 안전지대 없다"
https://www.ytn.co.k[...]
YTN
2022-10-29
[20]
웹인용
한반도 주변 지구조 운동과 단층-지진 관계에 대한 고찰 (Tectonic Movement in Korean Peninsula and Relation between Fault and Earthquake)
https://inis.iaea.or[...]
한국원자력연구원
2009-08-01
[21]
저널
한반도 신기 지각변형과 현생 응력장 그리고 지구조적 의미: 논평 (Neotectonic Crustal Deformation and Current Stress Fiel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A Review)
http://www.koreascie[...]
2016-01-01
[22]
저널
Shallow hydraulic fracturing measurements in Korea support tectonic and seismic indicators of regional stress
https://www.scienced[...]
2003-01-01
[23]
웹인용
Characteristics of initial rock stress state in Korean tectonic provices by hydro fracturing stress measur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01-01
[24]
저널
Interaction between regional stress state and faults: Complementary analysis of borehole in situ stress and earthquake focal mechanism in southeastern Korea
https://www.scienced[...]
2010-04-01
[25]
웹인용
2001년 남한에서 발생한 지진의 단층면해 분석
https://scienceon.ki[...]
2002-01-01
[26]
저널
한반도지역의 현지응력장 분포 패턴 및 지질시대별 전이 추이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 and Geo-historical Transition of In-situ Stress Fields in the Korean Peninsula)
http://koreascience.[...]
2013-01-01
[27]
저널
Kinematic characteristics and movement timing of the Wonwonsa fault in the central Ulsan fault (울산단층 중부 원원사단층의 운동특성과 시기)
https://www.dbpia.co[...]
2021-02-01
[28]
서적
(일반인을 위한) 한반도 동남권 지진 : 경주지진 & 포항지진을 중심으로 자료유형
http://library.kiga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8-06-20
[29]
웹인용
경상분지 일대의 지진 활동과 단층과의 관계 분석
http://www.riss.kr/s[...]
한국교원대학교
2015-01-01
[30]
웹인용
한반도 지진 특성 및 연관 현상 분석 (Seismic properties of earthquak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analysis of related phenomenon)
https://scienceon.ki[...]
연세대학교
2015-02-01
[31]
웹인용
9.12 지진대응 보고서
http://www.weather.g[...]
대한민국 기상청
[32]
웹인용
포항 지진 대응 보고서
http://www.weather.g[...]
대한민국 기상청
[33]
웹인용
국내지진 목록
https://www.weather.[...]
대한민국 기상청
[34]
웹인용
국내지진 목록
https://www.weather.[...]
대한민국 기상청
[35]
웹인용
지질자원연, '해남지진 중간 분석결과' 발표
https://www.kigam.re[...]
2020-07-14
[36]
웹인용
국토 대단층계(양산단층 중부지역) 위험요소 평가연구
https://library.kiga[...]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0-01-01 #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1월 1일로 설정
[37]
문서
가나다순
[38]
문서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