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무장 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반도 비무장 지대(DMZ)는 한국 전쟁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각각 2km씩 떨어진 폭 4km의 완충 지대이다. DMZ는 비무장 지대라는 이름과 달리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지역 중 하나이며,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과 충돌이 끊이지 않았다. DMZ 내에는 대성동과 기정동 두 마을이 있으며,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2000년대 이후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서 철도 연결, 경제 협력 등이 시도되었으나, 2024년 북한의 대결 자세 강화로 인해 남북 관계가 다시 악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환경 - 한국의 포유동물
한국의 포유동물은 다양한 목에 속하는 100여 종 이상을 포함하며, 한반도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멸종 위기에 놓인 종도 존재하며 한국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한국의 환경 - 한국의 갯벌
한국의 갯벌은 서천, 고창, 신안, 보성-순천 갯벌로 구성된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서남해안의 갯벌 지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철새 이동 경로의 중간 기착지로서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지만 개발과 오염 위협에 직면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비무장 지대 - 올란드 제도
올란드 제도는 발트해 보트니아만 입구에 있는 핀란드의 스웨덴어 사용 자치령이자 비무장 지대로, 국제 연맹 결정에 따라 핀란드에 속하게 되었으며 독자적인 의회와 정부를 구성하고 해운, 관광, 무역, 면세 판매 등의 산업을 통해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 비무장 지대 -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는 1963년 종교 간 폭력 사태로 설정된 "녹색 선"을 기반으로 1974년 튀르키예의 침공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키프로스 섬을 남북으로 분단하여 설립되었으며, 유엔 키프로스군이 관리하고 긴장이 지속되는 지역이다. - 국경 장벽 - 크루거 국립공원
크루거 국립공원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동부에 위치한 대규모 국립공원으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지만 밀렵, 도시 개발, 기후변화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국경 장벽 - 마지노선
마지노선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가 독일의 공격을 막기 위해 건설한 요새 방어선으로, 다양한 구조물로 구성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군의 우회 공격으로 인해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한반도 비무장 지대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한반도 비무장 지대 |
로마자 표기 | Hanbando Bimujang jidae |
한자 표기 | 韓半島非武裝地帶 |
위치 | 한반도 |
유형 | 비무장 지대 |
길이 | 238km |
개방 시점 | 1953년 7월 27일 |
접근 | 북한 또는 유엔군 사령부 승인 필요 |
관련 사건 | 한국 전쟁, 한반도 분단 |
건설 정보 | |
건설 주체 | 중화인민공화국 미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유엔군 사령부 |
관리 및 상태 | |
상태 | 양측 군사 주둔 중 |
관리 주체 | 유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군사 분계선 (MDL) 관련 정보 | |
관련 정보 | 군사분계선 북위 38도 부근 휴전선 |
위치 | 한반도 중부 |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의 식민 통치가 끝나면서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 이는 이후 한반도 분단의 시발점이 되었다. 1948년 남북에 각각 남한과 북한 정부가 수립되면서 38선은 사실상의 국경선이 되었고, 냉전의 최전선으로 긴장이 고조되었다. 결국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3년 넘게 지속되었다.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전쟁은 일단 멈추었다. 이 협정에 따라 당시의 전선인 군사분계선(MDL)이 확정되었고, MDL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각각 2km씩 후퇴하여 총 너비 4km의 한반도 비무장 지대(DMZ)가 설정되었다.[134] 이 군사분계선은 기존의 38선과 달라, 서쪽에서는 북한이 38선 이남의 개성 등 황해도 일부를, 동쪽에서는 남한이 38선 이북의 강원도 일부(속초시 등)를 확보하게 되었다.
DMZ의 북쪽 경계는 북방한계선(NLL), 남쪽 경계는 남방한계선(SLL)이라 불리며, 양측 경계선에는 철책이 설치되어 있다. '비무장 지대'라는 이름과 달리, 1963년부터 북측이 요새와 철책 등을 구축하기 시작하면서[153] 남북 양측 모두 전방 감시 초소(GP)를 설치하고 무장 군인(북측 '민경대', 남측 '민정경찰')을 상시 주둔시키는 등 실제로는 중무장 지대가 되었다. DMZ 내에는 남측의 대성동과 북측의 기정동이라는 두 개의 민간인 마을만이 존재한다.[5]
정전 협정 이후에도 DMZ 일대에서는 남북 간의 군사적 충돌과 긴장이 끊이지 않았으며, 1953년부터 1999년까지 발생한 충돌로 남한군 500명 이상, 미군 50명, 북한군 250명이 사망하기도 했다.[4] 2000년대 들어 남북 관계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DMZ를 가로지르는 교류와 협력이 시도되기도 했으나, 이후 북한의 핵 개발과 남북 관계 경색으로 인해 다시 긴장이 높아지는 등, DMZ는 한반도의 불안정한 정전 상태를 상징하는 공간으로 남아 있다. 2024년에는 북한이 DMZ 내에서 지뢰 매설, 전술 도로 보강 등 군사 활동을 강화하면서 긴장이 다시 고조되기도 했다.[136]
2. 1. 38선과 분단
북위 38도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기 위해 설정한 임시 경계선이었다. 이는 태평양 전쟁에서 패배한 일본이 식민지배하던 한반도에서 물러나면서 이루어진 조치였으나, 정작 한민족의 의사는 반영되지 않은 채 강대국들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었다.1948년, 38선 이남에는 대한민국이, 이북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수립되면서 38선은 단순한 분할 점령선을 넘어 사실상의 국경선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한반도는 냉전 시대의 첨예한 대립 최전선 중 하나가 되었다.
분단 이후 남북 간의 긴장은 계속되었고,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38선을 넘어 남침하면서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약 3년간의 전쟁 끝에 1953년 7월 27일, 유엔군과 북한군 및 중국인민지원군 사이에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에 따라 양측은 전투가 벌어지던 전선, 즉 군사분계선(MDL)을 기준으로 각각 2km씩 후퇴하여 총 너비 4km의 비무장지대(DMZ)를 설정하기로 합의했다.[134]
새롭게 설정된 군사분계선은 기존의 38선과 일치하지 않았다. 서해안에서는 북한이 38선 이남의 개성과 황해도 일부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고, 동해안에서는 대한민국이 38선 이북의 강원도 속초시 등을 포함한 지역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처럼 정전 협정은 38선이라는 임시 경계선을 군사분계선이라는 새로운 분단선으로 대체하며 한반도의 분단을 더욱 고착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2. 2. 한국전쟁과 정전협정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남한)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각각 수립되면서 38선은 사실상의 국경선이 되었고, 냉전 시대의 긴장이 고조되는 최전선 중 하나가 되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38도선을 넘어 전면적으로 남침하면서 한국 전쟁이 발발하였다. 3년 넘게 이어진 전쟁은 한반도를 이념적 갈등의 장으로 만들었으며, 300만 명 이상의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다. 국제 사회의 개입 이후 전선은 38도선 부근에서 교착 상태에 빠졌다.
1953년 7월 27일, 유엔군사령부 대표(미국 윌리엄 해리슨)와 조선인민군 대표(남일) 등이 정전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전쟁은 일단 멈추게 되었다.[134] 이 협정은 전쟁의 완전한 종결이 아닌, 임시적인 휴전 상태를 의미하며, 한반도의 평화는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다.
정전 협정에 따라 양측은 전투가 중단된 지점, 즉 현재의 군사분계선(MDL)을 기준으로 각자 2km씩 후퇴하여 총 너비 4km의 비무장 지대(DMZ)를 설정하였다. 군사분계선은 이 비무장 지대의 중앙을 가로지른다. 정전 협정 결과, 전쟁 이전의 38도선과 비교하여 군사분계선이 새롭게 설정되면서 일부 영토의 귀속이 변경되었다. 서해안의 개성과 황해도 일부 지역은 북한 측에 속하게 되었고, 동해안의 강원도 중부 지역(속초시 등)은 대한민국 측에 속하게 되었다.
2. 3. 남북 간 충돌과 긴장
정전 협정 체결 이후 비무장지대(DMZ)가 설정되었지만, 군사분계선(MDL) 일대에서는 남북 간의 크고 작은 군사적 충돌과 긴장이 끊이지 않았다. 양측은 상대방의 잠재적 공격에 대비하여 많은 병력을 배치하고 있으며, 이는 설립 이후 수십 년간 지속된 실질적인 적대 관계를 반영한다.[4] 정전 협정은 DMZ 내 군사 인원과 무기 종류를 규정하고 있으며, 양측 병사들은 DMZ 내에서 순찰 활동을 하지만 MDL을 넘어서는 안 된다.그러나 이러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1953년부터 1999년까지 DMZ 및 그 주변에서는 산발적인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여 다수의 인명 피해를 낳았다.
특히 1966년-1969년 DMZ 갈등 기간 동안에는 DMZ에서의 교전이 격화되어 81명의 미군, 299명의 대한민국 군인, 397명의 북한군이 사망하는 등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20] 이 시기에는 1968년 북한 무장공비들이 청와대를 습격하여 당시 대통령 박정희를 암살하려 했던 청와대 습격 사건도 포함된다.[21] 북한 정부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도발 행위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경향을 보여왔다(단,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과 같은 예외도 존재한다).[19]
한편, 1976년에 공개된 미국 정부의 회의록에 따르면, 당시 미국 국방부 차관 윌리엄 클레먼츠는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에게 미군이 아닌 남한 측에서 북한으로 약 200건의 습격 또는 침입이 있었다고 보고했다.[22] 이러한 남한 측의 활동 중 구체적으로 알려진 사례로는 1967년 대한민국 군대가 북한 내 시설 약 50곳을 파괴한 습격 작전 등이 있다.[23]
최근에도 DMZ 일대의 긴장은 계속되고 있다. 2024년 들어 북한은 남한과의 대결 자세를 더욱 강화했으며,[135] 4월부터 DMZ 북측 지역에서 새로운 지뢰 매설, 전술 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추정되는 구조물 설치 등 군사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지뢰 매설 작업 중 잦은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다수의 북한군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일부 부상자는 한국군에 의해 후송되는 모습이 관측되기도 했다. 또한, 작업을 하던 북한군 병사들이 실수로 군사분계선을 넘어와 한국군의 경고 사격을 받고 돌아가는 사례도 발생했다.[136]
2. 4. 남북 화해와 협력의 시도
분단 이후 오랫동안 단절되었던 남북 간 교류는 일부 분야에서 재개되기도 했다.1948년 5월, 북측의 수풍댐 등 발전 시설로부터 남측으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된 이후 남북 간 전력 융통은 불가능했다. 그러나 2003년 6월부터 조성이 시작된 개성공업지구 운영을 위해 남측에서 10만kW 규모의 송전선을 새로 설치하여 북측으로 전력을 보내는 것이 재개되었다. 이는 제한적이지만 남북 간 협력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통신 분야에서도 교류가 이루어졌다. 개성공업지구와 한국을 연결하는 전화 회선이 설치되었으며, 남북 간 특별 행사가 있을 때는 평양과 서울을 잇는 직통 전화가 임시로 개설되기도 한다. 2005년에는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지원하기 위해 대한적십자사(서울)와 조선적십자회(평양) 간 광케이블이 설치되어 통신 환경 개선에 기여했다.[148]
군사적 긴장 상태를 반영하는 선전 방송 분야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1962년부터 군사분계선 인근에서 고출력 확성기를 이용한 상호 선전 방송이 이루어졌으나, 2004년 남북 합의에 따라 중단되었다. 하지만 이후 남북 관계가 악화되면서 2016년 1월, 11년 만에 확성기 방송이 재개되기도 했다.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계기로 방송은 다시 중단되었고, 같은 해 5월까지 양측의 확성기 시설이 철거되어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조치가 이루어졌다.
3. 군사분계선의 현황
군사분계선(MDL)은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한반도를 남북으로 나누는 경계선이다. 이 협정에 따라 남북 양측은 군사분계선에서 각각 2km씩 후퇴하여 총 너비 4km의 비무장지대(DMZ)를 설정했다.[134][137] DMZ는 이론적으로 군대 주둔, 무기 배치, 군사 시설 설치가 금지된 완충 지대이지만, 실제로는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2]
군사분계선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설정된 잠정적 경계선인 북위 38도선과 일치하지 않는다. 한국 전쟁 당시의 최종 전선을 기준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서쪽 끝은 38선 남쪽에, 동쪽 끝은 38선 북쪽에 위치하며 전체 길이는 약 250km에 달한다.[1]
DMZ 내부에는 남북 양측의 군사적 긴장이 상존하며, 전방 감시 초소(GP)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남북 양측은 휴전협정 위반을 이유로 군사분계선 쪽으로 전진하여 실제 DMZ의 폭이 상당히 좁아진 구간도 많다. 또한 DMZ 내부 대부분 지역에는 총 200만 개 이상으로 추정되는 지뢰가 매설되어 있어 통행이 극히 제한적이다.[140] 이러한 특성 때문에 DMZ는 역설적으로 반세기 이상 인간의 간섭이 배제되어 풍부한 자연 생태계가 보존된 지역이기도 하다.[139]
DMZ 내에는 민간인이 거주하는 특수한 마을로 남측의 대성동과 북측의 기정동이 있으며, 남북 간 회담 및 접촉이 이루어지는 공동경비구역(JSA)이 위치하고 있다. DMZ 남쪽으로는 민간인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민간인출입통제구역(CCZ)이 설정되어 있다.[137]
육상과 달리 해상에는 정전 협정에 따른 명확한 경계선이 설정되지 않았다. 황해 상에서는 1953년 유엔군사령부가 설정한 북방한계선(NLL)이 사실상의 해상 경계선 역할을 하고 있으나, 북한은 이를 인정하지 않아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기도 한다.
2018년 남북 관계 개선 시기에는 GP 시범 철수, 공동 지뢰 제거 등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들이 이루어졌으나, 이후 남북 관계가 경색되면서 이러한 노력은 퇴색되었다. 특히 2024년 들어 북한은 남북 연결 도로 및 철도를 폭파하고[146], DMZ 내에 지뢰를 추가 매설하고 방벽으로 추정되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등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136]
3. 1. 비무장지대 (DMZ)
군사분계선(MDL)을 기준으로 북쪽으로 2km, 남쪽으로 2km 떨어진 지역을 비무장지대(DMZ)로 설정하였다. 이 DMZ의 북쪽 경계선을 "북방한계선", 남쪽 경계선을 "남방한계선"이라 부르며, 이 경계선들에는 철책이 설치되어 남북의 군대가 대치하고 있다. 비무장지대는 본래 군사적 충돌을 막기 위한 완충지대로 의도되었으나, 실제로는 삼엄한 경계 태세가 유지되는 지역이다.1963년부터 북측이 요새와 진지, 철책을 구축하기 시작하면서, 비무장지대라는 이름과 달리 남북 양측의 무장 군인들이 상주하는 전방 감시 초소(GP)가 곳곳에 설치되었다. 일부 GP 사이에는 '추진철책'이라는 추가 철책이 존재한다.[153] 북측은 이 병력을 '민경대'(民警隊), 남측은 '민정경찰'(DMZ Police)이라 부르지만, 양측 모두 실질적으로는 무장한 군인이다. 휴전협정 제1조 제10항에 따라 "민정과 구제를 위한 경비요원"을 남북 각 1,000명까지 DMZ 내에 투입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양측은 감시초소를 운영하고 정찰 활동을 벌인다.[135] 비무장지대 내 병력은 원칙적으로 권총이나 자동소총만 휴대할 수 있지만, DMZ를 사이에 둔 양측 지역에는 백만 명 이상의 병력과 약 2만 대의 장갑차 등 대규모 군사력이 배치되어 있다.[134][137]


한반도 비무장지대(DMZ)는 총 길이가 약 250km이고,[1] 폭은 약 4km이다. DMZ는 한국 전쟁 이전 경계선인 북위 38도선과 교차하지만 일치하지는 않으며, 서쪽 끝은 38선 남쪽에, 동쪽 끝은 38선 북쪽에 위치한다. DMZ 자체는 비무장 지대여야 하지만, 실제로는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경계 중 하나이다.[2] 황해상의 북방한계선(NLL)은 정전협정에서 합의되지 않은 해상 경계선으로, 이 일대 역시 군사적 긴장이 높다.[3]
DMZ 내에는 민간인 거주 마을로 남측의 대성동과 북측의 기정동이 있다. 대성동 주민들은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세금 납부와 병역 의무가 면제된다. 북측의 기정동은 1950년대 기준으로 매우 현대적인 다층 건물과 전기 시설을 갖춘 모습으로 조성되었으나, 실제로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선전용 마을로 알려져 있다. 건물 내부는 비어있고, 정해진 시간에만 조명이 켜지며 소수의 관리 인원만 활동하는 모습이 관측되었다.[14][15][16]
DMZ 설정 이후 남북 간 여러 충돌과 침투 사건이 발생했다. 특히 1966년-1969년 DMZ 갈등 시기에는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으며,[20] 1968년에는 북한 무장공비들이 청와대를 습격하여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려던 사건(1·21 사태)도 있었다.[21] 북한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다(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등 예외는 있음).[19] 한편, 1976년 미국 국방부 차관 윌리엄 클레먼츠는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에게 미군이 아닌 남한 측에서 북한으로 200건의 습격 또는 침투가 있었다고 보고했으며,[22] 1967년에는 한국군이 북한 시설 약 50곳을 파괴한 습격 사례도 있다.[23]

1974년 11월 15일 이후 대한민국은 북한이 남쪽으로 침투하기 위해 판 남침 땅굴 4개를 발견했다. 땅굴 내부 폭파선의 방향 등으로 보아 북한이 건설한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은 석탄 채굴용이라고 주장했으나, 화강암 지대에서 석탄은 발견되지 않았고 일부 터널 벽은 석탄처럼 보이도록 검게 칠해져 있었다.[24] 이 터널들은 군사 침투 경로로 계획된 것으로 보이며, 점차 더 발전된 공학 기술이 적용되었다. 현재 제2, 3, 4 땅굴은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첫 번째 터널은 1974년 11월 15일 대한민국 육군 순찰대가 발견했으며, 탐사 과정에서 미 해군 사령관 로버트 M. 발린저와 대한민국 해병대 김하철 소령이 북한군이 설치한 폭발물에 의해 사망했다.[25] 이 터널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남쪽으로 1km 이상 이어졌으며, 약 0.9m × 1.2m 크기였다. 내부에는 전력, 조명, 무기 보관 공간, 숙소, 협궤 철도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25]
DMZ 북측 지역은 남한으로부터의 침략 방어와 북한 주민의 탈북 방지를 주 목적으로 한다.[36][37] 정전협정 이후 1972년까지 약 7,700명의 남한 군인 및 요원이 북한에 침투했으며, 이 중 약 5,300명이 돌아오지 못했다.[38] 북한은 DMZ 인근에 수천 문의 포를 배치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북한 포병 전력의 60%가 DMZ 근처에 집중되어 있다고 분석한다. 이들 포는 유사시 서울을 직접 타격할 수 있는 위협으로 간주된다.[39]

비무장지대의 총 면적은 903km2이며, 이 중 북한 측이 478km2, 대한민국 측이 425km2를 차지한다.[138] 휴전협정 위반을 이유로 남북 양측이 군사분계선 쪽으로 전진하면서 실제 DMZ 폭은 300m까지 좁아진 곳도 있으며, 4km 폭을 유지하는 곳은 드물다. DMZ 내부 대부분 지역에는 총 200만 개 이상으로 추정되는 지뢰가 매설되어 있어 사실상 통행이 불가능하다.[140] 이로 인해 반세기 이상 인간의 간섭이 배제되면서 풍부한 자연 생태계가 보존되어 멸종위기종 등이 서식하는 공간이 되었다.[139] DMZ는 매년 약 65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안보 관광지이기도 하다.[139]
2018년 남북 관계 개선 국면에서 DMZ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조치가 합의되고 이행되었다.
- GP 철수: 2018년 10월 26일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DMZ 내 GP 22개(남북 각 11개)를 시범 철수하기로 합의했다.[92][93] 공동경비구역(JSA) 내 초소는 10월 25일에 먼저 파괴되었고,[92][94][95] 이후 남북은 각각 11개 중 역사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1개씩을 보존하고 나머지 10개 GP를 11월 말까지 파괴했다.[99][104][101][102][103][73][124] 보존된 북측 GP는 2013년 김정은이 방문했던 곳이다.[109]
- 완충 구역 설정: 2018년 11월 1일부터 9.19 군사합의에 따라 DMZ 일대에 육상, 해상, 공중 완충 구역이 설정되었다.[110][111] 군사분계선(MDL) 기준 5km 내에서는 포병 사격 훈련과 연대급 이상 야외 기동 훈련이 금지되었고,[110] MDL 상공에는 비행금지구역이 설정되어 기종별로 일정 거리 이내의 비행이 제한되었다.[110][54][111] 황해 분쟁 수역 인근에도 "평화 수역"이 설정되었다.[110]
- 지뢰 제거: 2018년 10월 1일부터 공동경비구역(JSA)과 강원도 철원 화살머리고지(Arrowhead Hill) 일대에서 남북 공동 지뢰 제거 작업이 시작되었다.[35][117][118] JSA 지뢰 제거는 10월 25일에 완료되었고,[35][119][120][121] 화살머리고지 작업은 11월 30일에 완료되었다.[124][125] 이 과정에서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가 발굴되기도 했다.[122][123]

과거 DMZ를 통과했던 경의선, 경원선, 금강산전기철도, 동해북부선 등 4개 철도는 분단과 한국 전쟁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후 남북 관계 변화에 따라 2000년 김대중-김정일 남북 정상회담 이후 경의선과 동해선 연결 복원 사업이 추진되었다. 경의선은 2003년 남북 연결 공사가 시작되어 2007년 5월 17일 시범 운행이 이루어졌고, 동해선도 같은 날 시범 운행을 했다. 경원선은 남측 구간이 2012년 백마고지역까지 연장되었고 추가 연장 공사가 추진되었으나 중단된 상태다.
그러나 2024년 1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남북 연계 차단 조치를 지시한 이후 동해북부선 등의 북측 구간 선로가 철거되기 시작했으며,[145] 같은 해 10월 15일에는 북한이 대한민국을 "적대국가"로 헌법에 명시하면서 경의선, 동해선 등 남북 연결 도로 및 철도의 북측 구간을 폭파했다.[146] 이로써 어렵게 이어진 남북 간 통로가 다시 차단되었다. 도로 역시 과거에는 판문점을 통해서만 왕래가 가능했으나, 남북 교류 활성화 시기 도라산-개성, 고성-금강산을 잇는 도로가 개설되어 제한적으로나마 통행이 이루어졌었다. 하지만 이 도로들도 2024년 10월 북한에 의해 일부 구간이 폭파되었다.
3. 2. 공동경비구역 (JSA)

한반도 서해안 근처 비무장지대(DMZ) 내 판문점에는 '''공동경비구역'''(JSA: Joint Security Area)이 있다. 이곳은 군사분계선(MDL)을 사이에 두고 남북이 공동으로 경비하는 예외 구역으로, 군사분계선 바로 위에 건물이 세워진 유일한 장소이다. 원래 남북한을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였으나,[9] 2007년 5월 17일 동해선 동해북부선 개통으로 변화가 있었지만, 이 노선은 2008년 7월 남한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이후 다시 폐쇄되었다.
JSA는 한국 전쟁 포로 교환 장소였던 '돌아오지 않는 다리'로도 알려져 있다. MDL 남북 양측에는 여러 건물이 있으며, 일부는 MDL 위에 걸쳐 있다. JSA 내에는 남북 공동 회의를 위한 여러 회담장 건물이 있다. MDL은 이 회담장들을 통과하며, 북한과 유엔군사령부(주로 한국군과 미국군)가 마주 앉는 회담 테이블 중앙을 가른다. 1953년 이후 대부분의 남북 회담이 JSA에서 열렸고, 때때로 남북 간 긴장 완화를 위한 합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회담장 건물 맞은편에는 북한의 판문각과 남한의 자유의 집이 있다. 1994년 북한은 판문각을 3층으로 증축했고, 1998년 남한은 적십자 직원 숙소 및 이산가족 상봉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자유의 집을 건설했다.
1953년 정전협정 이후 JSA에서는 여러 충돌 사건이 발생했다.
- 1976년 도끼 만행 사건: 1976년 8월, 미루나무 가지치기 작업을 하던 미군 장교 2명(아서 보니파스 대위, 마크 배럿 중위)이 북한군의 공격으로 사망했다. 이 사건 이후 공동경비구역 내에서도 군사분계선이 더욱 엄격하게 구분되었다.
- 소련인 망명 사건: 1984년 11월 23일, 북한 측을 방문 중이던 소련 관광객 바실리 마투조크가 MDL을 넘어 남한으로 망명을 시도했다. 그를 추격하던 북한군과 남한 경비병 간의 총격전이 벌어져 남한 군인 1명과 북한 군인 3명이 사망했다. 마투조크는 망명에 성공하여 미국에 정착했다.[10][11]
2009년 말, 남한군과 유엔군사령부는 JSA 내 노후한 초소와 검문소 건물을 현대적으로 개보수했다.[12]
문재인 정부 시기 남북 관계 개선 노력에 따라 JSA에도 변화가 있었다. 2018년 10월 15일 판문점 고위급 회담에서 남북 군 당국과 유엔군사령부는 육상 및 해상 완충 구역 설정, 비행 금지 구역 설정 등 군사적 긴장 완화 조치에 합의했다.[13] 같은 해 10월 25일에는 JSA 내 초소가 파괴되었고,[92][94][95] 11월에는 JSA 내 군사 인원과 무기 철수가 완료되었다.[101][102] 12월 12일에는 남북 군인들이 MDL을 넘어 상대측 초소 철거 현장을 상호 검증하는 역사적인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126][127]

2019년 6월 30일,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JSA에서 만나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이는 현직 미국 대통령의 첫 방북 사례였다.[128][129] 이후 남한의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3자 회동을 가졌다.[130][131]
판문점에서는 1960년대부터 안보관광이 이루어졌으나, 1964년 한국인 관광객의 월북 사건 이후[137] 내국인 관광은 절차가 복잡해졌다. 외국인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관광이 가능하다.[137]
3. 3. 민간인출입통제구역 (CCZ)
민간인출입통제구역(CCZ) 또는 민간인 통제선(CCL)은 비무장 지대(DMZ)의 남방한계선(SLL)으로부터 남쪽으로 5km 에서 20km 떨어진 곳에 설정된 추가적인 완충지대를 가리킨다.[137] 군사분계선 인근에서 일반 민간인의 출입을 허용할 경우 군사 작전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134], 비무장지대 인근 군사 시설 및 작전의 안전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민간인의 출입을 제한하고 통제할 목적으로 설정되었다.[55] 민통선(민간인통제선)이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민간인 통제선은 한국 전쟁 휴전 협정 조인 이후인 1954년 2월, 당시 작전권을 가지고 있던 주한미군 제8군 사령관에 의해 처음 설정되었다.[55][137] DMZ 남방한계선 남쪽에 위치한 이 완충지대는 가시철조망과 유인 군 초소로 표시되어 있다. 군은 북한이 만든 침투용 땅굴이나 관광객을 위한 전망대와 같이 DMZ 남방한계선 근처의 특정 장소로 민간인이 이동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이 구역을 활용한다. 민간인이 통제구역 내를 이동할 때는 일반적으로 한국군 병사들이 무장 경호원으로 동행하며 민간인을 감시하고 북한의 잠재적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
정전 직후 민간인출입통제구역 내에는 약 100개의 비어있는 마을이 있었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이 지역으로 정착민을 유치하기 위한 이주 대책을 시행했다. 그 결과, 민간인 통제선으로 구분된 지역이 가장 넓었던 1983년에는 통제구역 내 81개 마을에 8,799가구, 39,725명의 주민이 거주하기도 했다.[56] 1958년부터는 한국군이 경비를 담당하고 있으며[137], 군사적 및 보안상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농민들의 "출입 영농"(통제선 밖에서 거주하며 구역 내 농지로 출퇴근하는 방식)과 "입주 영농"(구역 내에 거주하며 농사를 짓는 방식)이 허용되고 있다.[137] 따라서 한국 전쟁 휴전 이전부터 토지를 소유했던 주민이나, 1980년대부터 주로 예비역 군인들이 개간을 시작하며 이주한 경우 등 특별한 사유로 거주하는 주민들이 있다.[135]
민간인 통제선은 일반인이 합법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장 북쪽 한계선이며, 이 선을 넘어가려면 군 검문소에서 신원 확인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142] 민간인 통제선은 군사분계선에 가까운 섬 지역에도 설정되어 있으며, 강화군의 우도처럼 섬 전체가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지정된 경우도 있다.
흔히 언론이나 관광객들이 촬영하는 "DMZ 철책" 사진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민간인 통제선의 철책이다. 남방한계선에 설치된 실제 DMZ 철책은 군인을 제외한 모든 인원의 접근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촬영하는 것 또한 불법이다. 민간인 통제선의 철책은 민간인이 위험한 DMZ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막는 1차적인 역할을 하며, 만약 북한 침투자가 DMZ 남방한계선 철책을 통과했을 경우 이들을 막는 최종 방어선의 역할도 수행한다.[57]
3. 4. 북방한계선 (NLL)
한국전쟁 휴전협정에 따라 육상에는 군사분계선(MDL)이 설정되었지만, 해상 경계선은 명확히 합의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1953년 8월, 황해 상에서 북위 38도선 이북의 일부 도서를 확보하고 있던 유엔군 측은 북방한계선(Northern Limit Line, NLL)을 설정하여 사실상의 해상 경계선으로 삼았다.북방한계선(NLL)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황해 상 해상 경계선으로 기능해왔으나, 정전 협정 자체에 명시된 것은 아니다.[3] 북한은 초기에는 이를 문제 삼지 않았으나, 1999년 9월 일방적으로 NLL 무효를 주장하며 그 남쪽에 자체적인 '해상군사분계선'을 선포하였다. 그러나 북한의 주장은 국제적으로나 남한에 의해 인정받지 못하고 실효성이 없으며, 대한민국은 여전히 NLL을 준수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 차이로 인해 NLL 인근 해역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높은 분쟁 지역이 되었으며, NLL 양측의 해안선과 섬들은 심하게 군사화되어 있다.[3] 실제로 이 해역에서는 NLL을 침범한 북한 함선과의 총격전 등 군사적 충돌이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4. 자연 환경
정전협정 이후 지난 70여 년간 일반인의 활동이 엄격히 통제되면서, 비무장 지대(DMZ)는 의도치 않게 독특하고 풍부한 자연 생태계를 보존하게 된 지역이다.[78][79] 이 지역은 인간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아시아 최대 규모의 자연보호지역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154][155] 세계적으로도 잘 보존된 온대 서식지로 인정받는다.[84]
DMZ 일대는 한반도 내에서도 포유류와 조류의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은 곳 중 하나로, 다양한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의 중요한 서식지가 되고 있다. 또한 하천과 습지가 잘 발달하여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며, 산, 초원, 습지, 호수, 갯벌 등 다양한 지형이 공존하여 높은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다.[84] 자세한 생태계 현황과 보전 노력은 하위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서 도로 및 철도 연결 등 개발 계획이 논의되면서, DMZ의 생태계 단절과 자연 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가 환경단체 등을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156] 또한 군사적 대치 상황과 관련 시설물들은 여전히 DMZ의 독특한 생태계를 위협하는 잠재적 요인으로 남아 있다.
한편, 북한은 1977년부터 1979년 사이에 대한민국과 미국이 DMZ를 따라 콘크리트 장벽을 건설했다고 주장해왔다.[33] 대한민국과 미국은 전면적인 장벽의 존재는 부인하지만, 비무장지대 일부 구역에 대전차 장벽이 있다는 사실은 인정한다.[32][34]
과거 한반도를 잇던 경의선, 경원선, 동해북부선 등의 철도 노선이 DMZ로 인해 단절되었으나,[143][144] 2000년대 이후 남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일부 구간의 복원 및 연결 시도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2007년에는 경의선과 동해선에서 군사분계선을 넘는 열차 시운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2024년 북한이 남북 연계 단절 조치를 취하면서 연결되었던 도로 및 철도 선로를 다시 철거하는 등[145][146], 남북 관계의 변화는 DMZ 일대의 물리적 환경과 생태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1. 생태계 보전 노력

한반도 비무장 지대(DMZ)는 일반인의 활동이 엄격히 금지되어 자연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아시아 최대의 자연보호지역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154][155] 지난 70년간 사람의 간섭이 거의 없었던 DMZ의 자연적인 고립은 세계적으로 잘 보존된 온대 서식지 중 하나인 자연보호구역을 만들어냈다.[84] 1966년에는 처음으로 DMZ를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자는 제안도 있었다.[80]
DMZ 일대는 포유류와 조류의 분포 면에서 한국 내 최고의 종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반달가슴곰, 여우, 사향노루, 산양, 수달 등 가장 많은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또한 DMZ 주변은 하천과 습지가 잘 발달하여 다양한 어종과 풍부한 개체수를 보유하고 있다. 생태학자들은 이 좁은 완충 지역 내에서 약 2,900종의 식물, 70종의 포유류, 320종의 조류를 포함하여 총 6,000종이 넘는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했다.[84] 한국의 멸종위기종 267종 중 100종 이상이 DMZ 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1] 여기에는 멸종위기에 처한 두루미, 검은목두루미,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붉은여우[82]와 아시아흑곰[83] 등이 포함되며, 극히 드문 시베리아호랑이[84], 아무르표범, 그리고 서부 회색고래와 같은 해양 멸종위기종의 서식 가능성도 제기된다.[85][86] DMZ의 다양한 생물다양성은 산, 초원, 습지, 호수, 갯벌 등 다양한 지형 덕분이다. 현재 이 지역 전체에 대한 추가적인 생태 조사가 진행 중이다.[87]
2000년대 전후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비무장지대를 관통하는 도로 건설 등 개발 계획이 논의되자,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DMZ의 생태계 단절과 자연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156] 환경운동가들은 DMZ가 체계적인 관리 계획을 통해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보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2005년에는 CNN 설립자인 테드 터너가 북한 방문 중 DMZ를 평화 공원이자 유네스코 보호 세계유산으로 지정하는 계획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88]
2011년 9월, 대한민국 정부는 군사분계선 이남 DMZ 남쪽 지역 435km2와 인접 사유지 2979km2를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계획(MAB)에 따른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신청했다.[89] 대한민국 MAB 국가위원회는 북한에 공동 추진을 제안했으나 응답이 없어 남측 지역만 단독으로 신청했다. 북한은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결정하는 유네스코 MAB 국제조정위원회 회원국이다.[90] 그러나 2012년 7월 파리에서 열린 위원회 회의에서 북한은 해당 지정이 정전협정 위반이라며 반대했고,[91] 결국 남한의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시도는 무산되었다. 북한은 회의 한 달 전, 남한을 제외한 32개 위원회 회원국과 유네스코 본부에 서한을 보내 반대 의사를 미리 표명하기도 했다.[91] 이러한 상황은 비무장지대의 생태계 보전을 위한 남북 간 협력과 국제적인 공조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4. 2. DMZ 일원 생태계 조사
비무장 지대(DMZ)는 일반인의 활동이 엄격히 금지되어 자연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아시아의 중요한 자연보호지역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154][155] DMZ 일대는 포유류와 조류의 분포 면에서 한국 내에서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며, 반달가슴곰, 여우, 사향노루, 산양, 수달 등 다수의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또한, DMZ 주변은 하천과 습지가 잘 발달하여 다양한 어종과 풍부한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다. 1966년에는 DMZ를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자는 제안이 처음 나오기도 했다.[80]
2000년대 전후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서 비무장지대를 관통하는 도로 건설과 개발 계획이 논의되자, 환경단체들은 생태계 단절과 자연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156]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07년 11월 9일, 한국내셔널트러스트는 경기도 연천군 중면 적거리의 민간인출입통제선 내부 야산 일부(39372m2)를 기증받아 보전 지역으로 지정했다. 이 지역은 북한에서 발원하여 비무장지대를 거쳐 남한으로 흐르는 임진강 유역에 위치한다.
국립생태원 기초생태연구본부 자연환경조사부는 DMZ 일원의 생태계 현황을 파악하고 그 가치를 발굴하기 위한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조사는 DMZ를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자연 분야의 남북 협력을 촉진하고 국제 교류에 기여하며, 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조사 분야는 지형, 식생, 식물,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육상곤충, 어류, 저서무척추동물 등 9개 분야이다.[157] 무인센서카메라 설치 등을 통한 관찰 결과, 참매, 재두루미, 맹꽁이, 남생이, 물장군, 애기뿔소똥구리, 흰수마자, 다묵장어, 느리미고사리 등 다양한 멸종위기 동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약 250km에 달하는 DMZ의 자연적인 고립은 세계적으로 잘 보존된 온대 서식지 중 하나인 자연보호구역을 만들었다.[84] DMZ에는 6,000종 이상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의 멸종위기종 267종 중 100종 이상이 지뢰와 감시초소 사이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1] 여기에는 멸종위기에 처한 두루미, 검은목두루미,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붉은여우[82]와 아시아흑곰[83] 등이 포함되며, 극히 드물게 시베리아호랑이[84], 아무르표범, 그리고 서부 회색고래와 같은 해양 멸종위기종의 서식 가능성도 제기된다.[85][86] 생태학자들은 이 완충 지역 내에서 약 2,900종의 식물, 70종의 포유류, 320종의 조류를 확인했다.[84] DMZ의 풍부한 생물다양성은 산, 초원, 습지, 호수, 갯벌 등 다양한 지리적 환경 덕분이다.
환경운동가들은 DMZ가 체계적인 관리 계획을 통해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보존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2005년 CNN 설립자 테드 터너는 북한 방문 중 DMZ를 평화 공원이자 유엔 보호 세계유산으로 지정하는 계획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88] 2011년 9월, 대한민국 정부는 유네스코의 인간과 생물권 계획(MAB)에 군사분계선 이남 DMZ 남쪽 지역(435km2)과 인근 사유지(2979km2)를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신청했다.[89] 대한민국 MAB 국가위원회는 북한 측에 공동 추진을 제안했으나 응답이 없어 남측 지역만 단독으로 신청했다. 그러나 2012년 7월 유네스코 MAB 위원회 회의에서 북한 측이 정전협정 위반을 주장하며 반대하여 지정이 거부되었다.[90][91]
향후 DMZ 지역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고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생물 다양성을 보전 및 보호하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할 계획이다.
5. 남북 관계와 군사분계선
군사분계선(MDL)은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되었다. 이 선을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으로 각각 2km씩 병력을 뒤로 물려 너비 4km의 비무장지대(DMZ)가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잠정 분할되었던 한반도는 한국 전쟁을 거치며 현재의 군사분계선으로 분단선이 고착되었다.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는 단순한 지리적 경계선을 넘어, 남북 관계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남북 간의 정치적, 군사적 긴장 상태가 완화될 때는 군사분계선을 넘는 대화와 교류, 협력이 모색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남북 정상이 만나거나 GP(감시초소) 시범 철수와 같은 군사적 신뢰 구축 조치가 합의되는 등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다.[92][93][128]
반대로 남북 관계가 악화될 경우, 군사분계선 일대는 군사적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는 최전선이 된다. 과거부터 크고 작은 군사적 충돌이 끊이지 않았으며,[4][20] 최근에도 북한이 군사분계선 인근에서 지뢰 매설, 방벽 설치 등 군사 활동을 강화하면서 긴장이 다시 높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136] 이러한 군사적 대치 상황은 정전 협정 이후 년이 넘도록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첨예한 대립 속에서도 비무장지대 안에는 민간인이 거주하는 특별한 마을이 존재한다. 남측의 대성동과 북측의 기정동은 정전 협정에 의해 유일하게 거주가 허용된 마을이다.[5] 대성동 주민들은 유엔군사령부의 통제 하에 있으며, 한국 전쟁 이전부터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의 후손들이다.[1][6]
5. 1. 대북 정책과 군사분계선
군사분계선(MDL)은 1953년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경계선으로, 이 선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각각 2km씩 후퇴하여 총 너비 4km의 비무장지대(DMZ)가 만들어졌다. 이론적으로는 완충지대이지만, 실제로는 냉전 시대 가장 긴장된 최전선 중 하나였으며, 현재까지도 남북 간 군사적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DMZ의 북쪽 경계는 "북방한계선", 남쪽 경계는 "남방한계선"이라 불리며, 양측 모두 철책을 설치하고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다. 1963년부터 북측이 요새와 진지, 철책을 구축하기 시작하면서 DMZ는 이름과 달리 중무장 지대가 되었다. 남북 양측은 전방 감시 초소(GP)를 곳곳에 설치하고 무장한 군인들을 상시 배치하고 있다. 북측은 이들을 '민경대'(民警隊), 남측은 '민정경찰'(DMZ Police)이라 부르지만, 실질은 모두 군인이다.[153]
정전 협정은 DMZ 내 군사 인원과 무기 종류를 규정하고 있지만, 협정 이후에도 DMZ 및 그 주변에서는 산발적인 군사적 충돌이 끊이지 않았다. 1953년부터 1999년까지 이러한 충돌로 남한군 500명 이상, 미군 50명, 북한군 250명이 사망했다.[4] 특히 1966년-1969년 DMZ 갈등 시기에는 81명의 미국 군인, 299명의 대한민국 군인, 397명의 북한군이 사망하는 등 격렬한 교전이 발생했으며,[20] 1968년에는 북한 무장공비들이 청와대를 습격하여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려 한 사건도 있었다.[21] 1976년에는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9] 한편, 1967년에는 대한민국군이 북한 시설 약 50곳을 파괴하는 등 남측의 비공식적인 대북 군사 활동도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22][23] 북한은 DMZ 인근에 대규모 포병 전력을 배치하고 있으며, 유사시 서울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39] 이는 남한에 대한 군사적 억제 목적과 함께, 북한 주민의 탈북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도 기능한다.[36][37]
남북 관계의 변화는 DMZ에서의 선전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1953년부터 2004년까지 양측은 대형 확성기를 통해 서로를 비방하거나 체제를 선전하는 방송을 실시했다.[40] 2004년 남북 합의로 방송이 중단되었으나, 2015년 8월 DMZ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 사건[41][42] 이후 양측 모두 방송을 재개했다.[43] 이후 다시 중단되었으나, 2016년 1월 북한의 핵 실험에 대한 대응으로 남한이 방송을 재개했다.[45] 풍선을 이용한 선전물 살포 역시 오랫동안 이루어졌으며, 주로 남한의 민간 단체들이 주도했다. 이러한 활동은 남북 관계 악화의 요인이 되기도 했다.[48]
2018년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은 긴장 완화를 위한 조치들을 이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8년 4월 23일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고 5월 1일까지 시설을 철거했으며,[50][51] 풍선 살포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52] 또한, DMZ 내 GP 일부를 시범적으로 철거했다. 2018년 11월 말까지 남북은 각각 11개의 GP 중 10개를 파괴하고, 역사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1개씩을 보존하기로 합의하여 이를 이행했다.[92][93][96][97][99][104][101][102][103][105][106][107][73][124] 2018년 11월 1일부터는 MDL 상공에 비행금지구역이 설정되었다.[54] 2019년 6월 30일에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현직 미국 대통령 최초로 DMZ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 군사분계선을 넘는 역사적인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128][129][130][131]
그러나 2024년 들어 북한이 남한과의 대결 자세를 강화하면서[135] DMZ 내부에 새로운 지뢰를 매설하고 전술 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 추정 구조물 설치 등 군사 활동을 재개했다. 이 과정에서 지뢰 폭발로 인한 사상자가 발생하고 북한군이 MDL을 넘어와 남측의 경고 사격을 받는 등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136] 또한 북한은 남한 민간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대응하여 오물 풍선을 대량으로 남쪽으로 날려 보냈고, 이에 남한 정부는 9.19 군사합의 전체 효력 정지를 선언하고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를 검토하는 등[2] 군사분계선 일대의 긴장은 다시 높아지고 있다.
5. 2. 남북 교류와 협력
한반도 분단 이후 오랫동안 단절되었던 남북 간의 교류와 협력은 군사분계선의 장벽을 넘어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경제 협력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가 시도되었다. 개성공단 운영과 금강산 관광 사업은 남북 간 상호 이해를 높이고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철도 연결'''
한국 전쟁으로 끊어졌던 남북 철도 연결은 교류 협력의 상징적인 사업으로 여겨졌다. 경의선은 서울과 평양을 잇는 주요 노선으로, 2000년 남북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복원 공사가 시작되었다. 남측 구간은 2001년 임진강역, 2002년 도라산역까지 연장되었고, 2003년부터는 개성까지 연결하는 공사가 진행되어 2007년 5월 17일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다.[143][144] 이 노선은 주로 개성공업지구로 자재와 남측 인력을 수송하는 데 이용되었으나, 남북 관계 변화에 따라 2008년 11월 폐쇄되었다가 2009년 9월 통행이 재개되기도 했다.[66][67]
동해안의 동해북부선 역시 금강산 관광을 위해 복원되어 2007년 5월 17일 경의선과 함께 시험 운행을 했다. 그러나 2008년 7월 남측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이후 운행이 중단되었다.[68][69][70] 경원선은 남측 구간이 2012년 백마고지역까지 연장되었고, 추가 연장 공사가 시도되었으나 2016년 중단된 상태이다.
2018년 남북 정상 간 합의에 따라 경의선과 동해선의 현대화를 위한 공동 조사가 진행되었고,[72][74][75][76] 철도 연결을 위한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2024년 북한이 남북 관계를 적대적으로 규정하면서 상황이 급격히 변했다. 북한은 2024년 1월부터 경의선, 동해선 등의 선로를 철거하기 시작했고,[145] 같은 해 10월에는 일부 구간을 폭파했다.[146]

'''도로 연결'''
한국 전쟁 이후 남북 간 도로는 오랫동안 판문점을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이용 가능했다. 남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개성공업지구와 금강산 관광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가 철도와 함께 건설되었다. 이 도로들은 남북출입사무소를 통해 정해진 시간에 군용 차량의 경호 아래 통행이 이루어졌다. 2018년에는 비무장 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한국 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남북 간 도로가 약 3km 길이로 임시 연결되기도 했다.[112][113][114][115][116] 그러나 2024년 10월, 북한은 철도 선로와 함께 도로 일부 구간도 폭파했다.[146]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은 남측의 자본과 기술, 북측의 노동력을 결합한 대표적인 남북 경협 사업이었다. 공단 운영을 위해 남측에서 전력을 공급했으며,[147] 통신망도 연결되었다. 금강산 관광은 동해북부선 철도와 도로를 통해 많은 남측 관광객들이 방문했으나, 2008년 발생한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68] 이후 북한의 일방적인 조치로 재개는 불투명해졌다.[69][70]
'''전력 및 통신'''
1948년 북한의 일방적인 조치로 남한으로의 송전이 중단된 이후,[147] 전력 교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개성공업지구 운영을 위해 남측에서 북측으로 10만kW 규모의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선이 설치되어 제한적으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졌다. 통신 분야에서는 1945년 8월 26일 소련군에 의해 남북 간 시외전화 회선이 차단되었으나, 이후 개성공업지구 운영 및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 등을 위해 전화 회선과 광케이블이 설치되었다. 2005년에는 대한적십자사(서울)와 조선적십자회(평양)를 잇는 광케이블이 설치되어 북한 일부 지역에서의 고속 인터넷 사용도 가능해졌다.[148]
5. 3. 군사분계선의 미래
군사분계선은 남북 분단의 상징이지만, 동시에 미래의 평화와 연결을 향한 노력이 진행된 공간이기도 하다. 특히 분단으로 끊어졌던 철도 노선들의 연결 시도는 남북 관계 변화의 중요한 지표였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북 분단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경의선, 경원선, 금강산전기철도, 동해북부선 등 군사분계선을 넘나들던 4개의 철도는 모두 운행이 중단되었다. 금강산선과 동해북부선은 사실상 폐선되었고, 경의선과 경원선은 남북으로 끊어진 채 남게 되었다.[143][144] 오랫동안 방치된 노반 흔적은 위성사진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분단 이후 한국 측에서는 경의선 문산역과 경원선 신탄리역 등 분단 지점에 남북 철도 재개통을 염원하는 간판을 설치하기도 했다. 본격적인 변화는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시작되었다. 이 회담을 계기로 경의선 연결 복원 구상이 제기되었고, 후속 회담을 통해 공식적으로 합의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 측 경의선은 2001년 임진강역까지, 2002년에는 민통선을 넘어 군사분계선 인근의 도라산역까지 연장되었다. 2003년부터는 북측 개성까지 연결하는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분단 당시 사용된 선로와 태블릿 폐색기가 발굴되어 역사 자료로 전시되기도 했다.
2000년대 들어 동해안에서도 동해선(동해북부선·령동선·동해남부선) 연결 공사가 진행되었고, 북측 금강산 지역에서는 현대아산의 관광 개발 사업으로 한국인의 육로 및 해로 방북이 가능해지는 등 군사분계선을 넘는 교류가 점차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개성공업지구에서는 한국 기업 공장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게 되었다. 마침내 2007년 5월 17일, 경의선은 56년 만에, 동해선은 57년 만에 군사분계선을 넘는 열차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경원선의 경우, 2012년 11월 20일 한국 측 구간이 신탄리역에서 북쪽으로 약 5km 연장되어 백마고지역이 개통되었다. 2015년 8월에는 민통선 이북의 월정리역까지 추가 연장 공사가 시작되어 2017년 준공을 목표로 했으나, 2016년 6월 공사가 중단되어 개통 시기는 미정이다. 북한 측과의 연결은 북측의 승인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2024년 1월,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한국과의 대결 자세를 분명히 하며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남북 간 연계 차단 조치를 지시했다. 이후 북한은 동해북부선 등에서 철도 선로를 철거하는 움직임을 보였고,[145] 같은 해 10월 15일에는 한국을 “적대국가”로 북한 헌법에 명기함에 따라 북측 구간의 철도 선로를 폭파하는 조치를 단행했다.[146] 이는 남북 화해와 협력의 상징이었던 철도 연결 노력이 다시 중단되고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6. 분단 극복을 위한 노력
군사분계선(MDL)을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각각 2km씩 설정된 비무장 지대(DMZ)는 1953년 정전협정[134] 이후 지속되어 온 한반도 분단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본래 군사적 충돌 방지를 위한 완충 지대로 구상되었으나, 실제로는 남북 양측의 군사 시설과 무장 병력이 상주하는[153] 군사적 긴장의 최전선이 되었다. DMZ 내에는 남측의 대성동과 북측의 기정동 등 민간인 거주 지역도 존재한다.
이처럼 군사적 대치가 첨예한 DMZ의 존재는 한반도의 불안정한 정전 상태를 드러내는 동시에, 남북 간의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적인 관계를 구축하며 궁극적으로 분단을 극복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한다. 과거 남북은 남북정상회담 등을 통한 대화와 협상, 개성공단 운영이나 금강산 관광, 철도 연결과 같은 경제 협력 및 사회문화 교류를 통해 분단 극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남북 관계는 부침을 거듭했으며, 특히 2024년 들어 북한은 남측을 '적대적 국가'로 규정하고 대결 자세를 강화했다.[135] 북한은 DMZ 내에서 군사 활동을 강화하며[136] 긴장을 고조시켰고, 이는 어렵게 이어져 온 분단 극복 노력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고 있다.
6. 1. 남북 대화와 협상
군사분계선(MDL)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각각 2km씩 떨어져 설정된 비무장 지대(DMZ)는 1953년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만들어졌다.[134] 본래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지대였으나, 1963년부터 북측이 요새와 진지, 철책 등을 구축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중무장 지대로 변모했다.[153] 현재 DMZ 내부에는 남북 양측의 전방 감시 초소(GP)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무장한 군인들이 상시 주둔하며 대치하고 있다. 남측은 이들을 '민정경찰'(DMZ Police), 북측은 '민경대'(民警隊)라 칭한다.DMZ 내에는 민간인이 거주하는 마을도 존재하는데, 남측의 대성동과 북측의 기정동이 대표적이다.
정전협정 체결 이후에도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은 지속되었으며, 대화와 협상을 통한 긴장 완화 노력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2024년 들어 북한은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고 대결 자세를 강화했다.[135] 같은 해 4월부터는 DMZ 내에서 새로운 지뢰 매설, 전술 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추정되는 구조물 설치 등 군사적 활동을 활발히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지뢰 폭발 사고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작업 인원이 군사분계선을 넘어와 남측의 경고 사격을 받는 등[136]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북한의 움직임은 남북 간 대화 채널의 부재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6. 2. 경제 협력과 교류 확대
분단 이후 군사분계선을 넘나들던 경의선, 경원선, 금강산전기철도, 동해북부선 등 4개의 철도는 운행이 중단되었다.[143][144] 이 중 금강산전기철도는 사실상 폐선되었고, 동해북부선은 남측 구간이 서류상 재개업했으나 실제 운행 없이 1967년까지 전 구간이 폐지되었다. 경의선과 경원선은 남북으로 분단된 상태로 남게 되었다. 폐선된 노반 흔적은 위성사진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143][144]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교류 협력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면서, 단절된 철도 연결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한반도의 주요 대동맥이었던 경의선 연결 복원 사업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었다. 남측 경의선은 2001년 임진강역까지, 2002년 민통선을 넘어 군사분계선 인근 도라산역까지 연장되었고, 2003년부터 북측 개성까지 연결하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2000년대 들어 개성공단 조성이 본격화되고 북측 금강산 지역에서 현대아산 주도의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면서 남북 간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해졌다. 개성공단 운영을 위해 남측에서 북측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1948년 북측의 일방적인 단전 조치 이후 처음으로 남측에서 북측으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진 의미 있는 진전이었다.[147] 또한, 개성공단과 남측을 잇는 전화 회선이 설치되었고, 2005년에는 남북 이산가족 상봉 지원을 위해 대한적십자사(서울)와 조선적십자회(평양)를 잇는 광케이블이 설치되어 북측에서도 제한적이나마 고속 인터넷 이용이 가능해졌다.[148]
이러한 교류 확대 분위기 속에서 동해안의 동해선(동해북부선·령동선·동해남부선 연결) 철도 연결 공사도 함께 진행되었다. 마침내 2007년 5월 17일, 경의선은 56년 만에, 동해선은 57년 만에 군사분계선을 넘는 열차 시운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남북 화해와 협력의 상징적인 성과였으나, 북한 군부의 소극적인 태도와 이후 경색된 남북 관계로 인해 정기적인 운행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경원선의 경우, 2012년 남측 구간이 백마고지역까지 연장되었고, 2015년 월정리역까지 추가 연장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2016년 중단되어 개통 시기는 불투명한 상태이다.
그러나 2024년 들어 북한은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며 대결 자세를 노골화했다.[135]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남측과의 모든 연계를 단절하라고 지시했고, 그 직후 동해북부선 등에서 선로를 철거하는 등 과거 합의를 뒤집는 움직임을 보였다.[145] 급기야 2024년 10월 15일, 북한은 헌법에 남한을 '적대국가'로 명기한 데 이어, 일방적으로 남북 연결 철도 선로를 폭파하는 도발을 감행했다.[146] 이는 과거 남북 정상이 합의하고 오랜 기간 노력해 온 경제 협력과 교류의 성과를 스스로 부정하고 파괴하는 행위로, 한반도 평화와 남북 관계 개선에 큰 장애를 초래했다.
7. 관련 작품
한반도 비무장 지대와 남북 분단의 현실은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이러한 작품들은 분단의 아픔을 다루거나, 비무장 지대를 배경으로 한 사건들을 그리며 평화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Demilitarized Zone: Image of the Day
http://earthobservat[...]
NASA Earth Observatory
2003-07-28
[2]
잡지
The world's most dangerous borders
https://foreignpolic[...]
2011-06-24
[3]
서적
The Law of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 Case Study of the Russian Federation
Google Books
[4]
뉴스
Korea's no-man's-land
http://www.salon.com[...]
1999-02-03
[5]
뉴스
DMZ sixth-graders become graduates
http://www.stripes.c[...]
2008-02-19
[6]
뉴스
Santa mobbed by students during visit to Joint Security Area
http://www.army.mil/[...]
army.mil.com -The Official U.S. Army Website
[7]
뉴스
Why the Korean Peninsula Keeps Land Mines
https://blogs.wsj.co[...]
2014-09-24
[8]
뉴스
North and South Korea begin removing landmines along fortified DMZ
https://www.telegrap[...]
2018-10-01
[9]
웹사이트
Panmunjon
http://imcom.korea.a[...]
army.mil.com
[10]
웹사이트
General revisits deadly 1984 Thanksgiving firefight at DMZ
http://www.stripes.c[...]
[11]
웹사이트
For defectors, life can be lonely
https://www.csmonito[...]
1986-05-05
[12]
뉴스
South Korea to revamp DMZ towers
http://www.stripes.c[...]
2009-10-22
[13]
뉴스
Koreas agree to break ground on inter-Korean railroad
http://www.kait8.com[...]
[14]
잡지
Korea's No-man's-land
http://www.salon.com[...]
1999-02-03
[15]
잡지
Korea's DMZ: Dangerous Divide
2003-07-01
[16]
웹사이트
Day trip to the DMZ: A look inside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http://imcom.korea.a[...]
IMCOM-Korea Region Public Affairs Office, US Army
[17]
뉴스
CNN.com – Korea's DMZ: 'Scariest place on Earth'
http://edition.cnn.c[...]
2002-02-20
[18]
웹사이트
개성에 '구멍탄' 5만장 배달했습니다
http://economy.ohmyn[...]
[19]
웹사이트
North Korea: Chronology of Provocations, 1950 – 2003
https://fas.org/man/[...]
[20]
서적
Scenes from an Unfinished War: Low intensity conflict in Korea 1966–1969
Diane Publishing Co
[21]
웹사이트
Scenes from an Unfinished War: Low-Intensity Conflict in Korea, 1966–1968
http://cgsc.leavenwo[...]
Cgsc.leavenworth.army.mil
[22]
웹사이트
Minutes of Washington Special Actions Group Meeting, Washington, 25 August 1976, 10:30 a.m.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US Department of State
1976-08-25
[23]
뉴스
S. Korea raided North with captured agents in 1967
https://www.koreatim[...]
2011-02-07
[24]
서적
Almost Home
Xulon Press
[25]
웹사이트
Tunnels under the DMZ
http://www.korean-wa[...]
[26]
서적
Seoul
Lonely Planet
[27]
웹사이트
The Fourth Infiltration Tunnel
http://www.panmunjom[...]
Panmunjom Travel Center
[28]
서적
Terveisiä pahan akselilta: Arkea ja politiikkaa maailman suljetuimmissa valtioissa
Atena
[29]
웹사이트
DMZ: Demilitarized Zone
http://koreakonsult.[...]
Korea Konsult
[30]
웹사이트
New York Times, 1999
http://www.korean-wa[...]
Korean-war.com
[31]
뉴스
Tear Down the Korean Wall
http://www.kimsoft.c[...]
DPRK UN Mission
1999-12-03
[32]
뉴스
Where Most See Ramparts, North Korea Imagines a Wall
http://partners.nyti[...]
1999-12-08
[33]
웹사이트
Welcome to North Korea: A film by Peter Tetteroo for KRO Television
http://www.filmakers[...]
[34]
뉴스
North Korea asks South to tear down imaginary wall
https://www.reuters.[...]
2007-12-31
[35]
뉴스
Koreas begin clearing landmines from heavily fortified border
https://www.bbc.com/[...]
2018-10-01
[36]
웹사이트
Korea Border Area
http://www.qsl.net/a[...]
2017-03-12
[37]
뉴스
North Korea Blocks Defections Across DMZ
https://www.nytimes.[...]
1982-05-20
[38]
뉴스
South Korean Movie Unlocks Door on a Once-Secret Past
https://www.nytimes.[...]
2014-02-15
[39]
뉴스
The Growing Danger of Great-Power Conflict
https://www.economis[...]
2018-01-25
[40]
뉴스
Koreas Switch off Loudspeakers
http://news.bbc.co.u[...]
BBC
2004-06-15
[41]
뉴스
South Korea Accuses the North After Land Mines Maim Two Soldiers in DMZ
https://www.nytimes.[...]
2015-08-10
[42]
뉴스
South Korea condemns North over land mine blast, vows retaliation
https://www.reuters.[...]
2015-08-10
[43]
뉴스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rade Fire Across Border, Seoul Says
https://www.nytimes.[...]
2015-08-21
[44]
뉴스
South Korea turns off propaganda as Koreas reach deal
http://www.bostonher[...]
2015-08-25
[45]
뉴스
South Korea Punishes Kim Jong Un With K-Pop for Nuclear Test
https://www.bloomber[...]
2016-01-07
[46]
뉴스
South Korea to upgrade national stereo defence system for US$16m
https://www.theregis[...]
2016-04-15
[47]
웹사이트
The No-Tech Tactics of North Korea's Most Wanted Defector
https://www.bloomber[...]
2014-06-05
[48]
웹사이트
Korea's Balloon War
http://www.ips-dc.or[...]
2014-11-06
[49]
웹사이트
Communist Korean War Leaflets
http://www.psywarrio[...]
2006-01-05
[50]
뉴스
South Korea stops blasting propaganda along DMZ as summit looms
https://www.cnn.com/[...]
[51]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Dismantle Loudspeakers Blaring Propaganda On The DMZ : The Two-Way
https://www.npr.org/[...]
NPR
2018-05-01
[52]
뉴스
South Korea faces a decision over leaflets as ties warm with the North
https://www.pri.org/[...]
[53]
뉴스
South Korean police stop protesters releasing balloons to the North, as ties thaw
https://www.telegrap[...]
2018-05-05
[54]
간행물
Agreemen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Historic Panmunjom Declaration in the Military Domain
https://www.ncnk.org[...]
2018
[55]
웹사이트
DMZ – Terminology
http://tourdmz.com/e[...]
[56]
웹사이트
DMZ: The Forbidden Land Glimpsed through Barbed Wire Fences
http://www.koreana.o[...]
[57]
웹사이트
A map of the study site presenting the location of Military Demarcation Line(MDL), Southern Limit Line(SLL) and Civilian Control Line(CCL). Civilian Control Zone is located between SLL and CCL. Border Line(BL) is designated within 25km from CCL
https://www.research[...]
[58]
웹사이트
FindLaw Legal Blogs
http://news.findlaw.[...]
[59]
웹사이트
South Korea to Respond to Illegal Fishing with Force
http://www.maritime-[...]
[60]
웹사이트
Han River crackdown – FiskerForum
http://www.fiskerfor[...]
2016-06-13
[61]
웹사이트
S. Korea shares nautical charts of Han River estuary with N. Korea
http://english.hani.[...]
2019-01-31
[62]
웹사이트
Koreas to open Han River estuary to civilian ships in April
https://en.yna.co.kr[...]
2019-01-30
[63]
웹사이트
.
http://english.hani.[...]
[64]
서적
The DMZ: Dividing the Two Koreas
2011
[65]
웹사이트
휴전선이 찢어놓은 궁예의 야망
http://leekihwan.kha[...]
2014-10-27
[66]
뉴스
Last train to Kaesong as Korean relations cool
http://news.scotsman[...]
News.Scotman.Com
2008-11-28
[67]
웹사이트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Kaesong office reopens
http://english.hani.[...]
Englishhani
2009-09-07
[68]
뉴스
ROK woman tourist shot dead at DPRK resort
http://www.chinadail[...]
2008-07-12
[69]
뉴스
N Korea steps up row with South
http://news.bbc.co.u[...]
BBC
2008-08-03
[70]
뉴스
North Korea 'to seize property at Kumgang resort'
http://news.bbc.co.u[...]
BBC
2010-04-23
[71]
웹사이트
Korail
http://www.letskorai[...]
2017-07-08
[72]
뉴스
Koreas to reconnect roads, rail, U.S. concerned over easing sanctions
https://www.reuters.[...]
2018-10-15
[73]
뉴스
First train in a decade departs South Korea for North Korea
https://www.telegrap[...]
2018-11-30
[74]
웹사이트
Koreas Survey Railway Tracks Cut Since the Korean War
https://www.voanews.[...]
2018-11-30
[75]
웹사이트
South Korean train starts joint survey of North Korean railways
https://www.koreatim[...]
2018-11-30
[76]
웹사이트
[Newsmaker] Koreas in consultations for joint road inspection
http://www.koreahera[...]
2018-12-05
[77]
웹사이트
Joint Inspection of N. Korea's Eastern Rail Line Begins l KBS WORLD Radio
http://world.kbs.co.[...]
[78]
뉴스
How wildlife is thriving in the Korean peninsula's demilitarised zone
https://www.theguard[...]
2012-04-13
[79]
웹사이트
Case Study
https://web.archive.[...]
[80]
논문
Negotiating conservation and competition: national parks and 'victory-over-communism' diplomacy in South Korea
2023
[81]
웹사이트
Animals Living in the DMZ
https://artsandcultu[...]
[82]
웹사이트
South Korean fox crossed into North Korea, Seoul says
https://www.upi.com/[...]
2016-02-01
[83]
뉴스
Rare Asiatic Black Bear spotted in DMZ
https://www.bbc.com/[...]
2019-05-10
[84]
뉴스
Korea's DMZ: The thin green line
http://edition.cnn.c[...]
CNN
2003-08-22
[85]
간행물
KOREAN DEMILITARIZED ZONE: PEACE AND NATURE PARK
International Journal on World Peace
2007-12
[86]
간행물
Possible occurrence of a Gray Whale off Korea in 2015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18
[87]
웹사이트
Korean 'Tigerman' Prowls the DMZ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Korean News
[88]
뉴스
Ted Turner: Turn Korean DMZ into peace park
https://www.usatoday[...]
2005-11-18
[89]
웹사이트
Nomination of Korea DMZ Biosphere Reserve
ftp://ftp.unesco.org[...]
[90]
뉴스
Seoul to seek UNESCO Biosphere Reserve status for DMZ
http://www.hani.co.k[...]
[91]
뉴스
Biosphere reserve status for the DMZ is urgent
https://koreajoongan[...]
2012-08-14
[92]
웹사이트
Koreas Continue Tension-Easing Talks as the North Criticizes US
https://www.voanews.[...]
[93]
뉴스
2 Koreas to destroy 22 front-line guard posts by November
https://www.apnews.c[...]
2018-10-26
[94]
뉴스
2 Koreas to destroy 22 front-line guard posts by November
[95]
뉴스
(LEAD) Two Koreas, UNC wrap up JSA disarmament
http://english.yonha[...]
2018-10-25
[96]
뉴스
2 Koreas to destroy 11 front-line guard posts by November
https://web.archive.[...]
2018-10-26
[97]
뉴스
North and South Korea agree to scrap 22 guard posts at border next...
https://www.reuters.[...]
[98]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Historic Panmunjom Declaration in the Military Domain
https://www.ncnk.org[...]
[99]
뉴스
North and South Korea begin destroying border guard posts
https://www.channeln[...]
[100]
웹사이트
South and North Korea begin trial dismantlement of guard posts surrounding DMZ
http://english.hani.[...]
[101]
뉴스
In latest trust-building step, North and South Korean military finish withdrawal from front-line guard posts
https://www.latimes.[...]
2018-11-11
[102]
뉴스
North, South dismantle 22 guard posts along border
https://www.sfchroni[...]
2018-11-10
[103]
웹사이트
Koreas begin destroying 20 front-line guard posts
http://www.koreahera[...]
2018-11-11
[104]
뉴스
North and South Korea begin destroying border guard posts
https://www.rappler.[...]
[105]
웹사이트
South Korea destroys guard posts along border with North Korea | The Star
https://www.thestar.[...]
2018-11-15
[106]
웹사이트
South Korea Dismantles Guard Posts with Dynamite, Excavators
https://www.military[...]
2018-11-16
[107]
웹사이트
North Korea detonates DMZ guard posts at southern border
https://abc11.com/47[...]
2018-11-21
[108]
뉴스
South Korea releases video of North Korea blowing up 10 guard posts in DMZ
https://www.independ[...]
2018-11-21
[109]
웹사이트
[Video] N. Korea destroys 10 DMZ guard posts
http://www.koreahera[...]
2018-11-20
[110]
뉴스
Koreas halt all 'hostile' military acts near border
http://english.yonha[...]
2018-11-01
[111]
뉴스
Two Koreas end military drills, begin operation of no-fly zone near MDL: MND
https://www.nknews.o[...]
2018-10-31
[112]
뉴스
(2nd LD) Koreas connect road inside heavily fortified DMZ
https://en.yna.co.kr[...]
2018-11-21
[113]
웹사이트
South, North Korea connect border road through DMZ
https://www.aa.com.t[...]
[114]
웹사이트
After 14 years, a road to unite the Koreas and recover the remains of the fallen
http://www.asianews.[...]
[115]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join roads after 14 years
https://www.yahoo.co[...]
2018-11-23
[116]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join roads after 14 years
https://www.cairnspo[...]
[117]
뉴스
North and South Korea begin removing landmines along fortified DMZ
https://www.telegrap[...]
2018-10-01
[118]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begin removing mines along DMZ
https://www.cbsnews.[...]
2018-10-01
[119]
웹사이트
In 19 days, land mines are cleared from JSA
http://koreajoongang[...]
2018-10-19
[120]
웹사이트
Two Koreas finish landmine cleanup in JSA. What's next?
https://www.koreatim[...]
2018-10-19
[121]
웹사이트
Two Koreas complete demining and on path to make JSA arms-free – Pulse by Maeil Business News Korea
https://pulsenews.co[...]
[122]
웹사이트
South Korea finds likely war remains during border demining – ABC News
https://abcnews.go.c[...]
[123]
웹사이트
South Korea finds likely war remains during border demining
https://www.dailyher[...]
2018-10-25
[124]
웹사이트
Koreas complete work on removing some guard posts, land mines in DMZ
https://eng.belta.by[...]
2018-11-30
[125]
뉴스
Koreas to complete work to remove some guard posts, land mines in DMZ
https://en.yna.co.kr[...]
2018-11-30
[126]
웹사이트
Troops cross North-South Korea Demilitarized Zone in peace for 1st time ever
https://www.cbsnews.[...]
2018-12-12
[127]
뉴스
North and South Korean soldiers enter each other's territory
https://economictime[...]
2018-12-12
[128]
웹사이트
President Trump becomes 1st president to step inside North Korea ahead of meeting with Kim Jong Un
https://abcnews.go.c[...]
[129]
웹사이트
Trump takes 20 steps into North Korea, making history as first sitting US leader to enter hermit nation
https://www.cnn.com/[...]
2019-06-29
[130]
웹사이트
Talks to reopen after Trump-Kim meeting – 9News
https://www.9news.co[...]
2019-06-30
[131]
뉴스
Trump's press secretary bruised after jostling with North Korea security over media, report says
https://www.washingt[...]
2019-06-30
[132]
웹사이트
World youth participate in Korea’s peace pilgrimage to DMZ
https://www.vaticann[...]
Vatican News
2019-08-19
[133]
간행물
Archbishop calls for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The Catholic Post
2022-09-01
[134]
웹사이트
非武装地帯と分断された南北朝鮮の運命
http://shiten.agi.or[...]
公益財団法人アジア成長研究所
[135]
웹사이트
北朝鮮「韓国は同族にあらず」対南政策転換の真意とは
https://www3.nhk.or.[...]
NHK
2024-02-26
[136]
웹사이트
非武装地帯に地雷を埋設する北朝鮮軍、相次ぐ爆発で数十人死傷…死地に立たされる北の軍人たち
https://www.chosunon[...]
朝鮮日報
2024-06-19
[137]
웹사이트
韓国における民族分断と観光
https://hamada.u-shi[...]
島根県立大学
[138]
웹사이트
비무장지대(DMZ)
http://m.ecotiger.co[...]
에코타임스
2019-09-27
[139]
뉴스
南北軍事境界は「絶滅危惧種」の楽園 自然が手付かずのまま
https://www.bbc.com/[...]
[140]
뉴스
朝鮮半島・非武装地帯周辺ルポ/南北間に壁 地雷207万個
https://mainichi.jp/[...]
2019-09-11
[141]
웹사이트
非武装地帯への軍進出警告 北朝鮮「前線を要塞化」
https://www.nikkei.c[...]
2020-06-16
[142]
웹사이트
長い分断が作り出した「異質感」 朝鮮半島の非武装地帯を歩いた:朝日新聞GLOBE+
https://globe.asahi.[...]
2023-08-30
[143]
Google Map
京元線の路盤跡
https://www.google.c[...]
[144]
Google Map
金剛山電気鉄道の路盤跡
https://www.google.c[...]
[145]
웹사이트
北朝鮮 南北つなぐ東海線鉄道の線路を撤去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4-06-15
[146]
웹사이트
北朝鮮 韓国とつながる道路と鉄道の爆破 国営メディアで発表
https://www3.nhk.or.[...]
NHK NEWS WEB
2024-10-18
[147]
웹사이트
韓国電力公社 会社紹介 沿革より
http://www.kepco.co.[...]
[148]
웹사이트
평양서도 서울처럼‘고속 인터넷’씽씽~
https://www.hani.co.[...]
ハンギョレ
2024-08-19
[149]
웹사이트
한국 방송 표준
[150]
간행물
韓国の戦時即応体制
2007-03
[151]
뉴스
휴전선 155마일, 맞나요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5-05-05
[152]
웹인용
비무장지대
https://terms.naver.[...]
2019-11-13
[153]
뉴스
GOP와 GP는 뭐가 다르죠? 지뢰폭발사고 용어풀이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5-08-10
[154]
뉴스
DMZ는 사람엔 금단의 땅 … 2716종 동식물들엔 천국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08-10-28
[155]
뉴스
DMZ 서부 지역 55년 만에 베일벗다
http://www.donga.com[...]
동아닷컴
2008-11-14
[156]
뉴스
‘한반도 가로축’ DMZ일대 곳곳 토막 ‘생태계 분단’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8-27
[157]
웹인용
국립생태원
http://www.nie.re.kr[...]
2019-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