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는 1960년대 경제 개발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로 건설이 시작되어, 현재 국토의 주요 간선 교통망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67년 경인고속도로 지정 및 1970년 경부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71년 고속국도노선지정령 제정을 통해 노선 번호 체계가 확립되었다. 이후 1980~90년대 고속도로망 확충, 2000년대 이후 노선 번호 체계 개편 및 고속도로망 고도화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확장 및 정비되었다. 고속도로는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 그리고 민간 기업에 의해 관리되며, 나들목, 분기점, 요금소, 휴게소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차량 통행 제한 및 이륜차 통행 금지 등의 규정을 적용받으며, 2014년 도로법 개정으로 고속국도법이 폐지되어 도로법의 적용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
---|---|
개요 | |
명칭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다른 명칭 | 고속국도 (高速國道) |
지도 | |
관리 | |
관리 주체 |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민자 구간 제외) |
노선 | |
총 연장 | 5,135km (2023년 12월 31일 기준) |
노선 번호 체계 | 남북 축: 짝수 번호 동서 축: 홀수 번호 순환 노선: 10번 단위 지선: 본선 번호 + 'x' |
역사 | |
최초 개통 | 경부고속도로 (1970년 7월 7일) |
시설 | |
차로 수 | 4차로 이상 (일부 구간은 2차로) |
제한 속도 | 최저: 50km/h 최고: 100 ~ 120km/h (노선 및 구간별 상이) |
주요 시설 | 나들목 (IC) 분기점 (JC) 휴게소 졸음 쉼터 터널 교량 |
법규 | |
관련 법규 | 도로법 유료도로법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
통행료 | 한국도로공사 관리 구간은 거리비례 요금제, 민자 구간은 사업자별 상이 |
기타 | |
특징 | 대한민국 주요 도시 연결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 교통 체증 해소 및 물류 효율 증대 기여 |
2. 연혁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는 1960년대 후반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1967년 9월 2일, 대통령령으로 2급국도 제95호선 서울인천선이 지정되었고,[15] 1968년 1월 20일에는 2급국도 제97호선 서울수원선이 지정되었다.[16] 1969년 4월 8일에는 2급국도 제97호선 서울수원선이 삭제되고 1급국도 제1-1호선 서울부산선이 신설되었으며,[17] 1970년 4월 21일에는 1급국도 제1-3호선 서울전주선이 신설되었다.[18]
1971년 8월 31일,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이 폐지되고[19] '고속국도노선지정령'이 제정되면서[20] 고속도로 노선 번호가 건설 순서대로 부여되기 시작했다. 1972년 6월 1일부터는 삼륜 자동차와 250cc 이상 이륜 자동차[11]의 고속도로 통행이 금지되었다(백색 오토바이 등 긴급 자동차로 지정된 이륜 자동차는 제외).[12] 1973년과 1975년에는 각각 호남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0년대부터는 고속도로망 확충이 본격화되었다. 1981년 11월 7일, 88올림픽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여러 고속도로의 노선명이 변경되었다.[25] 이후 중부선, 서울외곽순환선, 대전남부순환선, 중앙선, 서해안선, 제2경인선 등이 신설되었다. 1994년에는 고속도로 요금 지불 방식이 변경되었고, 1995년에는 구간별 이용 시간 제한이 시행되었다.
2001년 8월 25일, 고속도로 노선번호 부여 방식이 간선축은 2자리, 보조축은 3자리 숫자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39] 이후에도 고속도로망은 지속적으로 확장 및 개선되었다. 2008년, 2013년, 2018년 등 여러 차례에 걸쳐 노선 신설, 변경, 통합이 이루어졌다.
2014년 7월 15일, 도로법 전면개정으로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이 폐지되었고,[48]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고속국도 노선이 지정되었다.[49] 이후 광주대구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강진광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등 여러 노선이 변경 및 신설되었다. 2020년 9월 1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8]
2. 1. 고속도로 건설 초기 (1960년대 ~ 1970년대)
1967년 9월 2일, 대통령령으로 2급국도 제95호선 서울인천선이 지정되었다.[15] 1968년 1월 20일에는 2급국도 제97호선 서울수원선이 지정되었고,[16] 같은 해 2월 1일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수원IC 구간이 착공되어 12월 21일에 개통되었다. 1968년 5월 1일에는 경인고속도로가 착공되어 같은 해 12월 21일 서울-가좌IC 구간이 개통되었다.1969년 4월 8일, 2급국도 제97호선 서울수원선이 삭제되고 1급국도 제1-1호선 서울부산선이 신설되었다.[17] 1970년 4월 21일에는 1급국도 제1-3호선 서울전주선이 신설되었으며,[18] 같은 해 7월 7일에는 경부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1년 8월 31일,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이 폐지되고[19] '고속국도노선지정령'이 제정되었다.[20] 이에 따라 고속도로 노선 번호가 건설 순서대로 부여되기 시작했다. 당시 지정된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번호 | 노선명 | 비고 |
---|---|---|
제1호선 | 경부고속도로 (서울 ~ 부산선) | 구 1급국도 제1-1호선 |
제2호선 | 경인고속도로 (서울 ~ 인천선) | 구 2급국도 제95호선 |
제3호선 | 호남고속도로 (서울 ~ 순천선) | 구 1급국도 제1-3호선 |
제4호선 | 영동고속도로 (서울 ~ 원주선) | 신설 |
1972년 6월 1일부터는 삼륜 자동차와 250cc 이상 이륜 자동차[11]의 고속도로 통행이 금지되었다(백색 오토바이 등 긴급 자동차로 지정된 이륜 자동차는 제외).[12]
1973년 11월 14일에는 호남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1975년 10월 14일에는 영동고속도로와 동해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 2. 고속도로망 확충기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한민국 고속도로망은 새로운 확충기를 맞이했다.- 1981년 11월 7일, 제3호의2 대전-순천선 지선의 기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에서 경상북도 달성군 옥포면으로 연장하고 제9호선 88올림픽고속도로로 변경하였다.[25] 이와 함께 여러 고속도로의 노선명이 변경되었다.
노선번호 | 기존 노선명 | 변경된 노선명 |
---|---|---|
제1호선 | 서울 ~ 부산선 | 경부고속도로 (경부선) |
제2호선 | 서울 ~ 인천선 | 경인고속도로 (경인선) |
제3호선 | 대전 ~ 순천선 | 호남고속도로 (호남선) |
제3호의2호선 | 대전 ~ 순천선의 지선 | 제9호선 88올림픽고속도로 (88올림픽선) |
제4호선 | 수원 ~ 강릉선 | 영동고속도로 (영동선) |
제5호선 | 속초 ~ 삼척선 | 동해고속도로 (동해선) |
제6호선 | 부산 ~ 순천선 | 남해고속도로 (남해선) |
제8호선 | 언양 ~ 울산선 | 울산고속도로 (울산선) |
제9호선 | 부산 ~ 마산선 | 제6호의2호선 남해고속도로지선 (남해선의 지선) |
- 1984년 6월 28일, 구마고속도로의 이현 분기점 ~ 팔달교 구간을 분리하여 제7호의2 구마고속도로지선을 신설하였다.[26]
- 1985년 5월 29일, 제10호선 중부선이 신설되었다.[27]
- 1985년 9월 12일, 경인고속도로 기점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에서 '서울특별시 강서구 신월동'으로 단축하였다.[28]
- 1987년 10월 5일, 서울 요금소가 서울특별시 강남구 (현 서초구) 양재동 (현재 서울 만남의 광장)에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현 서울요금소로 이전되었다. (판교 요금소 영업 중지 후 임시 무료 개방)
- 1988년 1월 14일, 3개 노선이 신설되었다.[29]
노선번호명 | 노선명 | 기점 | 종점 |
---|---|---|---|
제11호선 | 판교 ~ 구리선 |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
제12호선 | 신갈 ~ 반월선 | 경기도 용인군 기흥읍 |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
제13호선 | 대전남부순환선 | 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원내동 | 충청남도 대덕군 동면 |
- 1989년 10월 20일, 제14호선 중앙선이 신설되었다.[30]
- 1991년 7월 25일, 2개 노선이 신설되고 1개 노선이 변경되었다.[31]
노선번호명 | 노선명 | 기점 | 종점 | 비고 | ||||
---|---|---|---|---|---|---|---|---|
변경 전 | 변경 후 | 변경 전 | 변경 후 | 변경 전 | 변경 후 | 변경 전 | 변경 후 | |
제10호선 | 중부선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 |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 노선 단축 | ||
제11호선 | 제101호선 | 판교 ~ 구리선 | 서울외곽순환선 |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 경기도 남양주군 퇴계원면 | 노선 변경 | |
제11호선 | 서해안선 |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 노선 신설 | ||||
제15호선 | 제2경인선 |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 인천직할시 남동구 서창동 | 노선 신설 |
- 1992년 4월 29일, 6개 노선이 신설되고 2개 노선 노선명이 변경되었으며, 1개 노선이 연장되고 10개 노선의 기·종점이 변경되었다.[32]
- 1993년 9월 27일, 제20호선 수도권신공항선이 신설되었다.[33]
- 1994년 9월 1일, 고속도로 요금 지불 방식이 기존 이용 구간 지정 선불 발권 방식에서 출발지 무지정 발권 후 도착지 후불 정산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1995년 1월 1일, 출발지 무지정 발권 후 도착지 후발 정산 방식 변경 후 일부 부정 이용객이 발견되어 구간별 이용 시간 제한이 시행되었다. (100km 미만 구간 4시간 이내 출차, 100km 이상 구간 24시간 이내 출차)
-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도농복합시가 출범함에 따라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되었다.[34]
- 1996년 7월 1일, 4개 노선이 신설되고 1개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1개 노선이 변경되고 2개 노선이 폐지되었다. 또한 16개 노선이 변경되었다.[35]
- 1997년 8월 27일, 8개 노선이 신설되고 1개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수도권신공항선이 인천국제공항선으로 변경되고 3개 노선이 변경되었다. 구미 ~ 옥포선은 중부내륙선에 통합되었다.[36]
- 1999년 8월 31일, 제28호선 부산 ~ 울산선이 신설되었다.[38]
2. 3. 노선 번호 체계 개편 및 고속도로망 고도화 (2000년대 이후)
2001년 8월 25일, 고속도로 노선번호 부여 방식이 지정 순서에서 간선축은 2자리 숫자, 보조축은 3자리 숫자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순환선은 해당 특별시·광역시 우편번호에 맞춰 X00번대로 표기되었고, 동일 연장선상에 있으나 분할되어 있는 고속도로 노선은 통합되었다. 다만, 경부고속도로는 그 상징성을 감안하여 1번으로 유지되었다.[39]2000년대 이후, 고속도로망은 더욱 고도화되었다. 2002년 12월 5일에는 3개 노선이 신설되고 4개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1개 노선의 명칭이 변경되고 경부고속도로 노선이 단축되었다.[40] 2004년 11월 3일에는 3개 노선이 신설되고 동해고속도로 경유지에 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 구간이 추가되었다.[41] 2008년 1월 3일에는 6개 노선이 신설되고 4개 노선의 번호가 변경되었으며, 8개 노선이 변경되었다.[42]
2008년 11월 17일에는 2개 노선이 신설되고 마산외곽고속도로가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변경되었으며, 2개 노선이 변경되었다.[43] 2009년 12월 21일에는 제30호선 당진상주고속도로 종점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으로 연장되고 노선명이 당진영덕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44]
2010년 12월 20일에는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구간으로 하는 제600호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신설되었다.[45] 2012년 12월 27일에는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구간으로 하는 제14호 함양울산고속도로가 신설되었고, 통합 창원시 출범으로 기점, 종점 및 주요 경유지가 조정되었다.[46]
2013년 11월 5일에는 4개 노선이 신설되었다.[47] 2014년 7월 15일에는 도로법 전면개정으로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이 폐지되었고,[48]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고속국도 노선이 지정되었다.[49]
2015년 12월 22일에는 제12호선 88올림픽고속도로 기점이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보촌리'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으로 연장되고 노선명이 광주대구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50] 2016년 10월 19일에는 제19호선 구리포천고속도로 기점이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에서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장죽리'로 연장되고 제29호선 세종포천고속도로로 변경되었으며, 2개 노선이 연장되었다.[51]
2017년 7월 11일에는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현산리 ~ 광주광역시 서구 벽진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255호선 강진광주고속도로 (강진 ~ 광주선)으로,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부곡리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선(파주 ~ 양주)으로 지정하였다.[52] 2017년 12월 1일에는 경인고속도로 기점이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서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으로 단축되었다.[53]
2018년 1월 12일에는 3개 노선이 신설되고 2개 노선이 통합되었다.[54] 2018년 10월 1일에는 익산포항고속도로를 새만금포항고속도로로, 익산포항고속도로지선을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1개 노선 신설 및 1개 노선이 분할되었다.[55]
2019년 5월 8일에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 시흥시 정왕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선(시화MTV구간)'으로 지정, 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선(화성 ~ 광주) 종점을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에서 '경기도 여주시 산북면 용담리'로 연장해 '수도권제2순환선(화성 ~ 여주)'으로 변경하였다.[56] 2019년 10월 11일에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 ~ 경기도 안성시 금강면 장죽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29호선 '세종포천선(세종 ~ 안성)'으로 지정,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공북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292호선 '세종포천고속도로 오송지선'으로 지정하였다.[57]
2020년 9월 1일에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명칭 변경하였고,[58] 2020년 11월 13일에는 제32호선 아산청주고속도로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에서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로 연장하였다.[59]
2021년 9월 7일에는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지선(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 양주시 회암동) 구간을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양주 ~ 포천 구간으로 편입, 평택시흥고속도로의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쌍송리 ~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구간을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화성 ~ 안산 구간으로 중복 지정하였다.[60]
2022년 2월 7일에는 제30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서산영덕고속도로로 변경하였다.[61] 2023년 2월 10일에는 제25호선 호남선과 논산~천안선을 고시상으로만 호남선으로 통합하고 논산~천안선을 고시상에서 삭제, 제32호선 아산~청주선의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서 당진시 송악읍으로 연장하고 당진~청주선으로 명칭 변경, 제301호선 상주~영천선의 기종점을 서로 바꾸어 영천~상주선으로 명칭 변경하였다.[62]
2023년 9월 20일에는 제32호선 당진청주고속도로 아산 나들목~천안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4년 2월 7일에는 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조안 나들목~소흘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4년 12월 10일에는 제17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 부여구룡 나들목~현덕 분기점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3. 노선 번호 부여 체계
대구부산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