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는 1960년대 경제 개발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로 건설이 시작되어, 현재 국토의 주요 간선 교통망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67년 경인고속도로 지정 및 1970년 경부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71년 고속국도노선지정령 제정을 통해 노선 번호 체계가 확립되었다. 이후 1980~90년대 고속도로망 확충, 2000년대 이후 노선 번호 체계 개편 및 고속도로망 고도화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확장 및 정비되었다. 고속도로는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 그리고 민간 기업에 의해 관리되며, 나들목, 분기점, 요금소, 휴게소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차량 통행 제한 및 이륜차 통행 금지 등의 규정을 적용받으며, 2014년 도로법 개정으로 고속국도법이 폐지되어 도로법의 적용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개요
명칭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다른 명칭고속국도 (高速國道)
지도
관리
관리 주체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민자 구간 제외)
노선
총 연장5,135km (2023년 12월 31일 기준)
노선 번호 체계남북 축: 짝수 번호
동서 축: 홀수 번호
순환 노선: 10번 단위
지선: 본선 번호 + 'x'
역사
최초 개통경부고속도로 (1970년 7월 7일)
시설
차로 수4차로 이상 (일부 구간은 2차로)
제한 속도최저: 50km/h
최고: 100 ~ 120km/h (노선 및 구간별 상이)
주요 시설나들목 (IC)
분기점 (JC)
휴게소
졸음 쉼터
터널
교량
법규
관련 법규도로법
유료도로법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통행료한국도로공사 관리 구간은 거리비례 요금제, 민자 구간은 사업자별 상이
기타
특징대한민국 주요 도시 연결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
교통 체증 해소 및 물류 효율 증대 기여

2. 연혁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는 1960년대 후반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1967년 9월 2일, 대통령령으로 2급국도 제95호선 서울인천선이 지정되었고,[15] 1968년 1월 20일에는 2급국도 제97호선 서울수원선이 지정되었다.[16] 1969년 4월 8일에는 2급국도 제97호선 서울수원선이 삭제되고 1급국도 제1-1호선 서울부산선이 신설되었으며,[17] 1970년 4월 21일에는 1급국도 제1-3호선 서울전주선이 신설되었다.[18]

1971년 8월 31일,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이 폐지되고[19] '고속국도노선지정령'이 제정되면서[20] 고속도로 노선 번호가 건설 순서대로 부여되기 시작했다. 1972년 6월 1일부터는 삼륜 자동차와 250cc 이상 이륜 자동차[11]의 고속도로 통행이 금지되었다(백색 오토바이 등 긴급 자동차로 지정된 이륜 자동차는 제외).[12] 1973년과 1975년에는 각각 호남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0년대부터는 고속도로망 확충이 본격화되었다. 1981년 11월 7일, 88올림픽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여러 고속도로의 노선명이 변경되었다.[25] 이후 중부선, 서울외곽순환선, 대전남부순환선, 중앙선, 서해안선, 제2경인선 등이 신설되었다. 1994년에는 고속도로 요금 지불 방식이 변경되었고, 1995년에는 구간별 이용 시간 제한이 시행되었다.

2001년 8월 25일, 고속도로 노선번호 부여 방식이 간선축은 2자리, 보조축은 3자리 숫자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39] 이후에도 고속도로망은 지속적으로 확장 및 개선되었다. 2008년, 2013년, 2018년 등 여러 차례에 걸쳐 노선 신설, 변경, 통합이 이루어졌다.

2014년 7월 15일, 도로법 전면개정으로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이 폐지되었고,[48]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고속국도 노선이 지정되었다.[49] 이후 광주대구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강진광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등 여러 노선이 변경 및 신설되었다. 2020년 9월 1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8]

2. 1. 고속도로 건설 초기 (1960년대 ~ 1970년대)

1967년 9월 2일, 대통령령으로 2급국도 제95호선 서울인천선이 지정되었다.[15] 1968년 1월 20일에는 2급국도 제97호선 서울수원선이 지정되었고,[16] 같은 해 2월 1일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수원IC 구간이 착공되어 12월 21일에 개통되었다. 1968년 5월 1일에는 경인고속도로가 착공되어 같은 해 12월 21일 서울-가좌IC 구간이 개통되었다.

1969년 4월 8일, 2급국도 제97호선 서울수원선이 삭제되고 1급국도 제1-1호선 서울부산선이 신설되었다.[17] 1970년 4월 21일에는 1급국도 제1-3호선 서울전주선이 신설되었으며,[18] 같은 해 7월 7일에는 경부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1년 8월 31일,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이 폐지되고[19] '고속국도노선지정령'이 제정되었다.[20] 이에 따라 고속도로 노선 번호가 건설 순서대로 부여되기 시작했다. 당시 지정된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번호노선명비고
제1호선경부고속도로 (서울 ~ 부산선)구 1급국도 제1-1호선
제2호선경인고속도로 (서울 ~ 인천선)구 2급국도 제95호선
제3호선호남고속도로 (서울 ~ 순천선)구 1급국도 제1-3호선
제4호선영동고속도로 (서울 ~ 원주선)신설



1972년 6월 1일부터는 삼륜 자동차와 250cc 이상 이륜 자동차[11]의 고속도로 통행이 금지되었다(백색 오토바이 등 긴급 자동차로 지정된 이륜 자동차는 제외).[12]

1973년 11월 14일에는 호남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1975년 10월 14일에는 영동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 2. 고속도로망 확충기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한민국 고속도로망은 새로운 확충기를 맞이했다.

  • 1981년 11월 7일, 제3호의2 대전-순천선 지선의 기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에서 경상북도 달성군 옥포면으로 연장하고 제9호선 88올림픽고속도로로 변경하였다.[25] 이와 함께 여러 고속도로의 노선명이 변경되었다.

1981년 고속도로 노선명 변경 내역[25]
노선번호기존 노선명변경된 노선명
제1호선서울 ~ 부산선경부고속도로 (경부선)
제2호선서울 ~ 인천선경인고속도로 (경인선)
제3호선대전 ~ 순천선호남고속도로 (호남선)
제3호의2호선대전 ~ 순천선의 지선제9호선 88올림픽고속도로 (88올림픽선)
제4호선수원 ~ 강릉선영동고속도로 (영동선)
제5호선속초 ~ 삼척선동해고속도로 (동해선)
제6호선부산 ~ 순천선남해고속도로 (남해선)
제8호선언양 ~ 울산선울산고속도로 (울산선)
제9호선부산 ~ 마산선제6호의2호선 남해고속도로지선 (남해선의 지선)


  • 1984년 6월 28일, 구마고속도로이현 분기점 ~ 팔달교 구간을 분리하여 제7호의2 구마고속도로지선을 신설하였다.[26]
  • 1985년 5월 29일, 제10호선 중부선이 신설되었다.[27]
  • 1985년 9월 12일, 경인고속도로 기점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에서 '서울특별시 강서구 신월동'으로 단축하였다.[28]
  • 1987년 10월 5일, 서울 요금소가 서울특별시 강남구 (현 서초구) 양재동 (현재 서울 만남의 광장)에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현 서울요금소로 이전되었다. (판교 요금소 영업 중지 후 임시 무료 개방)
  • 1988년 1월 14일, 3개 노선이 신설되었다.[29]

노선번호명노선명기점종점
제11호선판교 ~ 구리선경기도 성남시 삼평동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제12호선신갈 ~ 반월선경기도 용인군 기흥읍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제13호선대전남부순환선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원내동충청남도 대덕군 동면


  • 1989년 10월 20일, 제14호선 중앙선이 신설되었다.[30]
  • 1991년 7월 25일, 2개 노선이 신설되고 1개 노선이 변경되었다.[31]

노선번호명노선명기점종점비고
변경 전변경 후변경 전변경 후변경 전변경 후변경 전변경 후
제10호선중부선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노선 단축
제11호선제101호선판교 ~ 구리선서울외곽순환선경기도 성남시 삼평동경기도 구리시 인창동경기도 남양주군 퇴계원면노선 변경
제11호선서해안선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노선 신설
제15호선제2경인선경기도 안양시 석수동인천직할시 남동구 서창동노선 신설


  • 1992년 4월 29일, 6개 노선이 신설되고 2개 노선 노선명이 변경되었으며, 1개 노선이 연장되고 10개 노선의 기·종점이 변경되었다.[32]
  • 1993년 9월 27일, 제20호선 수도권신공항선이 신설되었다.[33]
  • 1994년 9월 1일, 고속도로 요금 지불 방식이 기존 이용 구간 지정 선불 발권 방식에서 출발지 무지정 발권 후 도착지 후불 정산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1995년 1월 1일, 출발지 무지정 발권 후 도착지 후발 정산 방식 변경 후 일부 부정 이용객이 발견되어 구간별 이용 시간 제한이 시행되었다. (100km 미만 구간 4시간 이내 출차, 100km 이상 구간 24시간 이내 출차)
  •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도농복합시가 출범함에 따라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되었다.[34]
  • 1996년 7월 1일, 4개 노선이 신설되고 1개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1개 노선이 변경되고 2개 노선이 폐지되었다. 또한 16개 노선이 변경되었다.[35]
  • 1997년 8월 27일, 8개 노선이 신설되고 1개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수도권신공항선이 인천국제공항선으로 변경되고 3개 노선이 변경되었다. 구미 ~ 옥포선은 중부내륙선에 통합되었다.[36]
  • 1999년 8월 31일, 제28호선 부산 ~ 울산선이 신설되었다.[38]

2. 3. 노선 번호 체계 개편 및 고속도로망 고도화 (2000년대 이후)

2001년 8월 25일, 고속도로 노선번호 부여 방식이 지정 순서에서 간선축은 2자리 숫자, 보조축은 3자리 숫자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순환선은 해당 특별시·광역시 우편번호에 맞춰 X00번대로 표기되었고, 동일 연장선상에 있으나 분할되어 있는 고속도로 노선은 통합되었다. 다만, 경부고속도로는 그 상징성을 감안하여 1번으로 유지되었다.[39]

2000년대 이후, 고속도로망은 더욱 고도화되었다. 2002년 12월 5일에는 3개 노선이 신설되고 4개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1개 노선의 명칭이 변경되고 경부고속도로 노선이 단축되었다.[40] 2004년 11월 3일에는 3개 노선이 신설되고 동해고속도로 경유지에 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 구간이 추가되었다.[41] 2008년 1월 3일에는 6개 노선이 신설되고 4개 노선의 번호가 변경되었으며, 8개 노선이 변경되었다.[42]

2008년 11월 17일에는 2개 노선이 신설되고 마산외곽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변경되었으며, 2개 노선이 변경되었다.[43] 2009년 12월 21일에는 제30호선 당진상주고속도로 종점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으로 연장되고 노선명이 당진영덕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44]

2010년 12월 20일에는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구간으로 하는 제600호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신설되었다.[45] 2012년 12월 27일에는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구간으로 하는 제14호 함양울산고속도로가 신설되었고, 통합 창원시 출범으로 기점, 종점 및 주요 경유지가 조정되었다.[46]

2013년 11월 5일에는 4개 노선이 신설되었다.[47] 2014년 7월 15일에는 도로법 전면개정으로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이 폐지되었고,[48]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고속국도 노선이 지정되었다.[49]

2015년 12월 22일에는 제12호선 88올림픽고속도로 기점이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보촌리'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으로 연장되고 노선명이 광주대구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50] 2016년 10월 19일에는 제19호선 구리포천고속도로 기점이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에서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장죽리'로 연장되고 제29호선 세종포천고속도로로 변경되었으며, 2개 노선이 연장되었다.[51]

2017년 7월 11일에는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현산리 ~ 광주광역시 서구 벽진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255호선 강진광주고속도로 (강진 ~ 광주선)으로,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부곡리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선(파주 ~ 양주)으로 지정하였다.[52] 2017년 12월 1일에는 경인고속도로 기점이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서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으로 단축되었다.[53]

2018년 1월 12일에는 3개 노선이 신설되고 2개 노선이 통합되었다.[54] 2018년 10월 1일에는 익산포항고속도로를 새만금포항고속도로로, 익산포항고속도로지선을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1개 노선 신설 및 1개 노선이 분할되었다.[55]

2019년 5월 8일에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 시흥시 정왕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선(시화MTV구간)'으로 지정, 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선(화성 ~ 광주) 종점을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에서 '경기도 여주시 산북면 용담리'로 연장해 '수도권제2순환선(화성 ~ 여주)'으로 변경하였다.[56] 2019년 10월 11일에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 ~ 경기도 안성시 금강면 장죽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29호선 '세종포천선(세종 ~ 안성)'으로 지정,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공북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292호선 '세종포천고속도로 오송지선'으로 지정하였다.[57]

2020년 9월 1일에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명칭 변경하였고,[58] 2020년 11월 13일에는 제32호선 아산청주고속도로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에서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로 연장하였다.[59]

2021년 9월 7일에는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지선(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 양주시 회암동) 구간을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양주 ~ 포천 구간으로 편입, 평택시흥고속도로의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쌍송리 ~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구간을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화성 ~ 안산 구간으로 중복 지정하였다.[60]

2022년 2월 7일에는 제30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서산영덕고속도로로 변경하였다.[61] 2023년 2월 10일에는 제25호선 호남선논산~천안선을 고시상으로만 호남선으로 통합하고 논산~천안선을 고시상에서 삭제, 제32호선 아산~청주선의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에서 당진시 송악읍으로 연장하고 당진~청주선으로 명칭 변경, 제301호선 상주~영천선의 기종점을 서로 바꾸어 영천~상주선으로 명칭 변경하였다.[62]

2023년 9월 20일에는 제32호선 당진청주고속도로 아산 나들목~천안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4년 2월 7일에는 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조안 나들목~소흘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4년 12월 10일에는 제17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 부여구룡 나들목~현덕 분기점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3. 노선 번호 부여 체계

대구부산고속도로부산광역시사상구강원특별자치도춘천시388.1km60서울양양고속도로서울특별시강동구강원특별자치도양양군150.2km65부산울산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부산광역시해운대구경상북도영덕군131.8km강원특별자치도삼척시강원특별자치도속초시122.6km100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경기도성남시128.0km102남해고속도로제1지선경상남도함안군경상남도창원시17.9km104남해고속도로제2지선경상남도김해시부산광역시사상구20.6km105남해고속도로제3지선경상남도창원시경상남도김해시15.3km110제2경인고속도로인천광역시중구경기도성남시70.0km120경인고속도로인천광역시서구서울특별시양천구13.4km130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인천광역시중구경기도고양시36.5km151서천공주고속도로충청남도서천군충청남도공주시61.4km153평택시흥고속도로경기도평택시경기도시흥시40.3km171오산화성고속도로경기도오산시경기도화성시2.5km용인서울고속도로경기도용인시서울특별시강남구22.9km202익산포항고속도로 지선경상북도포항시24.0km251호남고속도로 지선충청남도논산시대전광역시대덕구54.0km253고창담양고속도로전라북도고창군전라남도담양군42.5km255강진광주고속도로전라남도강진군광주광역시서구51.1km300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대전광역시유성구대전광역시동구20.9km301상주영천고속도로경상북도상주시경상북도영천시93.9km400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경기도화성시경기도광주시62.9km인천광역시중구경기도김포시28.5km경기도포천시경기도양평군46.5km451중부내륙고속도로 지선대구광역시달성군대구광역시북구30.0km500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광주광역시광산구전라남도장성군10.3km551중앙고속도로 지선경상남도김해시경상남도양산시18.1km600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경상남도김해시부산광역시기장군48.8km700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대구광역시달서구대구광역시동구32.4km


3. 1. 2001년 이전 노선 체계

대한민국에 처음으로 고속도로 노선을 지정할 때는 '''도로법'''에 고속도로에 대한 규정이 없었기 때문에 일반국도의 전신이 되는 1급국도와 2급국도로 지정했다. 그러다 1970년 8월 10일 도로법이 개정되면서 1급국도와 2급국도를 통합해 일반국도로 규정하고, 고속국도를 일반국도의 상위도로로 규정하면서[63] 이에 대한 노선 지정에 대한 내용을 담은 대통령령인 고속국도노선지정령이 1971년 8월 31일에 제정되었다.[20]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고속도로에 일반국도와 다른 독자적인 번호를 부여하게 되었는데, 당시 고속도로 노선 번호 순서는 건설 순위(노선 지정 순서)를 기준으로 하여 부여되었다.[21] 이와 같은 부여 방식은 2001년 고속국도노선지정령이 전부 개정될 때까지 시행되었다.

2001년 이전에 이루어진 노선 변경 및 신설 사항은 연혁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노선번호노선명기점종점최초 지정일비고
1경부고속도로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1969년 4월 8일
2경인고속도로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1967년 9월 2일
3호남고속도로대전광역시 대덕구 신대동전라남도 순천시 서면1970년 4월 21일지금의 호남고속도로지선 구간 포함
3의2광주외곽고속도로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1997년 8월 27일지금의 고창담양고속도로의 일부
4영동고속도로경기도 용인시 기흥읍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1971년 8월 31일
5동해고속도로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교동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지흥동1973년 8월 23일
6남해고속도로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전라남도 순천시 서면1971년 12월 8일지금의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구간 포함
6의2남해고속도로제2지선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1978년 6월 22일
6의3마산외곽고속도로경상남도 창원시 동읍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1997년 8월 27일지금의 남해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의 일부
7구마고속도로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경상남도 마산시 회원구 내서읍1976년 3월 19일지금의 중부내륙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의 일부
8울산고속도로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면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1978년 6월 22일
988올림픽고속도로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1978년 6월 22일지금의 광주대구고속도로
10중부고속도로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1985년 5월 29일
10의2제2중부고속도로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경기도 이천시 마장면1997년 8월 27일
101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1988년 1월 14일지금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11서해안고속도로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1991년 7월 25일지금의 제2경인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의 일부
12신갈 ~ 안산고속도로경기도 용인시 기흥읍경기도 안산시 양상동1988년 1월 14일지금의 영동고속도로의 일부
13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1988년 1월 14일
14중앙고속도로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석사동1989년 10월 20일
15제2경인고속도로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1991년 7월 25일
16서울 ~ 안산고속도로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1992년 4월 29일지금의 서해안고속도로의 일부
17대전 ~ 통영고속도로대전광역시 동구 대별동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1992년 4월 29일지금의 통영대전고속도로
18중부내륙고속도로경기도 여주군 가남면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1992년 4월 29일
19부산 ~ 대구고속도로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1992년 4월 29일지금의 중앙고속도로의 일부
19의2부산 ~ 대구고속도로지선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1992년 4월 29일지금의 중앙고속도로지선
20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경기도 고양시 강매동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1993년 9월 27일
21천안 ~ 논산고속도로충청남도 천안시 목천면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1996년 7월 1일지금의 논산천안고속도로
22대전 ~ 당진고속도로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1996년 7월 1일지금의 서산영덕고속도로의 일부
23청주 ~ 상주고속도로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1996년 7월 1일지금의 서산영덕고속도로의 일부
24평택 ~ 음성고속도로경기도 평택시 청북면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1997년 8월 27일지금의 평택제천고속도로의 일부
25공주 ~ 서천고속도로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1997년 8월 27일지금의 서천공주고속도로
26익산 ~ 장수고속도로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1997년 8월 27일지금의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익산~완주)의 일부
27김천 ~ 포항고속도로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연일읍1997년 8월 27일
27의2김천 ~ 포항고속도로지선대구광역시 동구 도동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1997년 8월 27일
28부산 ~ 울산고속도로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1999년 8월 31일지금의 동해고속도로의 일부


3. 2. 2001년 고속도로 노선번호 체계 개편

2001년, 대한민국 정부는 기존 고속도로 노선 번호 부여 방식을 전면 개편하였다. 이전까지는 노선 지정 순서에 따라 번호를 매겼으나, 이는 고속도로망 확충에 따라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새로운 체계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속도로 노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정된 노선 번호 부여 방식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

이러한 개편을 통해 서해안고속도로 일부 구간(인천 ~ 안산), 신갈 ~ 안산 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등 여러 노선이 통합되었다.

다음 표는 2001년 변경된 노선 번호 순서대로, 새롭게 부여되거나 노선이 변경 및 통합된 고속도로 노선 목록을 보여준다.[1]

2001년 기준 고속도로 노선 변경 내역
변경 전변경 후비고
노선번호노선명구간노선번호노선명기점종점
1경부고속도로한남대교 남단 ~ 구서동 종점경부고속도로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6남해고속도로덕천동 종점 ~ 순천 나들목남해고속도로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전라남도 순천시 서면지금의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구간 포함
988올림픽고속도로옥포 분기점 ~ 고서 분기점88올림픽고속도로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지금의 광주대구고속도로
3의2광주외곽고속도로장성 분기점 ~ 대덕 분기점고창담양고속도로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노선 연장 및 노선명 변경
11서해안고속도로목포 나들목 ~ 안산 분기점rowspan="2" |서해안고속도로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노선 통합 및 분할
16서울 ~ 안산고속도로금천 나들목 ~ 안산 분기점
8울산고속도로언양 분기점 ~ 울산 나들목울산고속도로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25공주 ~ 서천고속도로서공주 분기점 ~ 동서천 나들목서천공주고속도로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노선명 변경
26익산 ~ 장수고속도로익산 분기점 ~ 장수 분기점rowspan="3" |익산포항고속도로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경상북도 포항시 연일읍노선 통합 및 분할
지금의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익산 ~ 완주)새만금포항고속도로의 일부
27김천 ~ 포항고속도로화산 분기점 ~ 포항 나들목
27의2김천 ~ 포항고속도로지선도동 분기점 ~ 화산 분기점
27김천 ~ 포항고속도로봉산 분기점 ~ 화산 분기점김천영천고속도로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노선 분할
3호남고속도로순천 나들목 ~ 논산 분기점rowspan="2" |호남고속도로전라남도 순천시 서면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노선 분할
21천안 ~ 논산고속도로천안 분기점 ~ 논산 분기점논산천안고속도로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충청남도 천안시 목천면노선명 변경
22대전 ~ 당진고속도로유성 분기점 ~ 당진 분기점rowspan="2" |당진상주고속도로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노선 통합 및 노선 연장
지금의 서산영덕고속도로의 일부
23청주 ~ 상주고속도로청주 분기점 ~ 상주 분기점
17대전통영고속도로산내 분기점 ~ 통영 나들목rowspan="2" |대전통영고속도로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대전광역시 대덕구지금의 통영대전고속도로
10중부고속도로하남 분기점 ~ 남이 분기점중부고속도로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10의2제2중부고속도로산곡 분기점 ~ 마장 분기점제2중부고속도로경기도 이천시 마장면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24평택 ~ 음성고속도로서평택 분기점 ~ 대소 분기점평택음성고속도로경기도 평택시 청북면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지금의 평택제천고속도로의 일부
7구마고속도로현풍 분기점 ~ 내서 분기점rowspan="2" |중부내륙고속도로경상남도 마산시 내서읍경기도 양평군 옥천면노선 통합 및 노선 연장
18중부내륙고속도로여주 분기점 ~ 현풍 분기점
11서해안고속도로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rowspan="3" |영동고속도로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강원도 강릉시 성산면노선 통합
12신갈 ~ 안산고속도로신갈 분기점 ~ 안산 분기점
4영동고속도로신갈 분기점 ~ 강릉 분기점
19부산 ~ 대구고속도로삼락 나들목 ~ 동대구 분기점rowspan="2" |중앙고속도로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강원도 춘천시 동내면노선 통합
14중앙고속도로금호 분기점 ~ 춘천종점
28부산 ~ 울산고속도로부산기점 ~ 울산 분기점rowspan="2" |동해고속도로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강원도 속초시노선 통합 및 노선 연장
5동해고속도로속초 나들목 ~ 동해 나들목
101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판교 분기점 ~ 판교 분기점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지금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6의3마산외곽고속도로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마산외곽고속도로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경상남도 창원시 동읍지금의 남해고속도로의 일부
6의2남해고속도로제2지선사상 나들목 ~ 냉정 분기점남해고속도로제2지선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11서해안고속도로서창 분기점 ~ 능해 나들목rowspan="2" |제2경인고속도로인천광역시 중구경기도 안양시 석수동노선 통합
15제2경인고속도로삼막 나들목 ~ 서창 분기점
2경인고속도로신월 나들목 ~ 인천 나들목경인고속도로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20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북로 분기점 ~ 용유/무의 나들목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경기도 고양시 강매동
3호남고속도로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 회덕 분기점호남고속도로지선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대전광역시 대덕구 신대동노선 분할
13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서대전 분기점 ~ 비룡 분기점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
7구마고속도로금호 분기점 ~ 현풍 분기점구마고속도로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노선 분할
지금의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19의2부산 ~ 대구고속도로지선대동 분기점 ~ 양산 분기점중앙고속도로지선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노선명 변경


4. 노선 목록

노선
번호
노선명시점종점길이[65]비고
경부고속도로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양재 나들목)
416.1km
rowspan=2 |남해고속도로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
(서영암 나들목)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성산리
(해룡 나들목)
106.8km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동산리
(서순천 나들목)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덕천 나들목)
166.3km
rowspan=2 |무안광주고속도로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무안공항 나들목)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운수 나들목)
41.3kmrowspan=2 |
광주대구고속도로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문흥 분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
(옥포 분기점)
176.0km
함양울산고속도로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삼정리
(울주 분기점)
144.49km
서해안고속도로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
(죽림 분기점)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금천 나들목)
336.6km
울산고속도로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동부리
(언양 분기점)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울산 나들목)
14.3km
rowspan=2 |익산평택고속도로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익산 분기점)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현덕 분기점)132.0kmrowspan=2 |
평택파주고속도로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안화리
(오성 나들목)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117.9km
rowspan=3 |새만금포항고속도로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55.1km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월강리
(장수 분기점)
36.5km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
(팔공산 요금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련리
(포항 나들목)
69.4km
rowspan=2 |호남고속도로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동산리
(서순천 나들목)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논산 분기점)
194.2kmrowspan=2 |
논산천안고속도로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논산 분기점)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응원리
(천안 분기점)
82.0km
순천완주고속도로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복성리
(동순천 나들목)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용진읍 용흥리
(완주 분기점)
117.8km
rowspan=3 |세종포천고속도로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장죽리55.86km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장죽리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남구리 나들목)
71.1km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남구리 나들목)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
(신북 나들목)
50.6km
서산영덕고속도로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남산리
(영덕 나들목)
330.8km
당진청주고속도로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전대리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장대리
(오창 분기점)
55.9km
rowspan=2 |통영대전고속도로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동달리
(통영 나들목)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
(비룡 분기점)
215.3kmrowspan=2 |
중부고속도로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석실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석곡동
(남이 분기점)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하남 분기점)
117.2km
제2중부고속도로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표교리
(마장 분기점)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산곡 분기점)
31.1km
평택제천고속도로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고잔리
(서평택 분기점)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
(제천 분기점)
127.4km
중부내륙고속도로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
(내서 분기점)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
(양평 나들목)
301.7km
영동고속도로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송암리
(강릉 분기점)
234.4km
광주원주고속도로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늑현리
(경기광주 분기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가현동
(원주 분기점)
57.0km
중앙고속도로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삼락 나들목)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석사동
(춘천 나들목)
388.1km
서울양양고속도로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강일 나들목)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범부리
(양양 분기점)
150.2km
rowspan=2 |동해고속도로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상직리131.8km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
(근덕 나들목)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노학동
(속초 나들목)
122.6km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판교 분기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판교 분기점)
128.0km
남해고속도로의제1지선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산인 분기점)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용강리
(창원 분기점)
17.9km
남해고속도로의제2지선경상남도 김해시 부곡동
(냉정 분기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사상 나들목)
20.6km
남해고속도로의제3지선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신항 교차로)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
(진례 분기점)
15.3km
제2경인고속도로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공항신도시 분기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여수대로 나들목)
70.0km
경인고속도로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
(서인천 나들목)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신월 나들목)
13.4km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인천국제공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매동
(북로 분기점)
36.5km
서천공주고속도로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
(동서천 나들목)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방문리
(서공주 분기점)
61.4km
평택시흥고속도로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고잔리
(서평택 분기점)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군자 분기점)
40.3km
rowspan=2 |오산화성고속도로경기도 오산시 서랑동
(서오산 분기점)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안녕 나들목)
2.5kmrowspan=2 |
용인서울고속도로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흥덕 나들목)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헌릉 나들목)
22.9km
style="background-color: #FCC;" |익산평택고속도로의지선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현덕 분기점)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포승 분기점)5.7km
style="background-color: #FCC;" |새만금포항고속도로의지선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현내리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한리24.0km
새만금포항고속도로의지선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익산 분기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
(상관 분기점)
24.5km
호남고속도로의지선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논산 분기점)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대동54.0km
고창담양고속도로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수면 예지리
(고창 분기점)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 운암리42.5km
style="background-color: #FCC;" |강진광주고속도로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현산리광주광역시 서구 벽진동51.1km
style="background-color: #FCC;" |세종포천고속도로의오송지선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공북리6.21km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서대전 분기점)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
(비룡 분기점)
20.9km
영천상주고속도로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리
(영천 분기점)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낙동 분기점)
93.9km
rowspan=8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쌍송리
(마도 분기점)
경기도 여주시 산북면 용담리82.27km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쌍송리
(마도 분기점)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남안산 분기점)
13.5km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남안산 분기점)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시화 나들목)
2.4km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3가
(남항 교차로)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도사리
(서김포통진 나들목)
28.5km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흥신리
(서김포통진 나들목)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부곡리25.4km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부곡리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양주 나들목)
24.8km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양주 나들목)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
(소흘 분기점)
6.0km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
(소흘 분기점)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
(양평 나들목)
46.5km
중부내륙고속도로의지선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지리
(현풍 분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
(금호 분기점)
30.0km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치동
(남광산 나들목)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분향리
(남장성 분기점)
10.3km
중앙고속도로의지선경상남도 김해시 안동
(김해 분기점)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
(양산 분기점)
18.1km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우동리
(진영 분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화전리
(기장 분기점)
48.8km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달서 나들목)
대구광역시 동구 상매동
(율암 요금소)
32.91km



민간투자사업(수익형 민자사업)으로 건설된 고속도로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따라 도로 준공과 동시에 해당 시설의 소유권은 국가에 귀속된다. 그리고 도로 건설에 참여한 사업시행자에게 일정 기간의 시설관리운영권을 인정하고,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협약에서 정한 기간 동안 임차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즉, 민자사업으로 건설된 고속도로는 건설 추진 당시 맺은 실시협약에 따라 정한 기간 동안 운임을 징수하며, 징수 기간이 만료되면 국가로 귀속된 후 고속도로 관리 권한을 대행하는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임을 징수하게 된다.

운영 기업노선운영 구간설립일
노선번호노선명시점종점
경기고속도로평택파주 |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rowspan=3| 2003년 12월 30일
오산화성 |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rowspan=6| 수도권제2순환 | 화성 분기점 | 동탄 분기점
경기동서순환도로마도 분기점 | 화성 분기점 | 2016년 5월 16일
포천화도고속도로소흘 분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 2016년 12월 20일
인천김포고속도로서김포통진 나들목 | 2006년 12월 18일
화성광주고속도로동탄 분기점 | 곤지암 분기점 | 2012년 12월 26일
서울북부고속도로양주 나들목 | 소흘 분기점 |rowspan=2| 2007년 10월 30일
세종포천 | 남구리 나들목 | 신북 나들목
경수고속도로용인서울 | 흥덕 나들목 | 헌릉 나들목 | 2003년 12월 23일
부산신항제2배후도로남해제3지선 | 신항 교차로 | 진례 분기점 | 2008년 3월 3일
부산울산고속도로동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 울산 분기점 | 2006년 5월 4일
상주영천고속도로영천상주 | 영천 분기점 | 낙동 분기점| 2006년 12월 18일
서부내륙고속도로익산평택 | 익산 분기점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삼정리 |rowspan=2| 2015년 12월
익산평택지선 |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서울문산고속도로|rowspan=5| 평택파주 | 북로 분기점 | 내포 나들목 |rowspan=2| 2007년 12월 21일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수도권서부고속도로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rowspan=2| 2006년 12월 18일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서서울고속도로남광명 분기점 | 88 분기점 | 2008년 8월 29일
서울고속도로수도권제1순환 | 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 | 2000년 5월 16일
서울춘천고속도로서울양양 | 강일 나들목 | 춘천 분기점 | 2002년 11월 8일
신공항하이웨이인천국제공항 | 용유/무의 나들목 | 북로 분기점 | 1995년 12월 6일
신대구부산고속도로중앙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 1999년 12월 8일
옥산오창고속도로당진청주 | 옥산 분기점 | 오창 분기점 | 2009년 6월 22일
인천대교|rowspan=3| 제2경인 | 공항신도시 분기점 | 학익 분기점 |rowspan=2| 1999년 12월 23일
연수 분기점 | 송도 나들목
제2경인연결고속도로삼막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 2007년 7월 26일
제2서해안고속도로평택시흥 | 서평택 분기점 | 군자 분기점 |rowspan=2| 2006년 12월 6일
수도권제2순환 | 마도 분기점 | 시화 분기점
제2영동고속도로광주원주 | 경기광주 분기점 | 원주 분기점 | 2007년 5월 2일
천안논산고속도로논산천안 | 논산 분기점 | 천안 분기점 | 1997년 7월 22일

5. 운영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는 《도로법》에 따라 관리되며, 국토교통부장관이 관리청이다. 그러나 《도로법》 제112조에 의거, 한국도로공사가 국토교통부장관의 권한을 대행하여 고속도로를 관리할 수 있다.[1]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는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1970~80년대에 건설된 고속도로는 당시 기술력의 한계로 인해 현재의 고속도로 선형보다 좋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까지 꾸준히 선형 개량 공사를 통해 개선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폐도되는 구간도 발생하고 있다. 폐도된 구간은 연장이 짧거나 부지가 협소한 경우 휴게소, 졸음쉼터, 자재보관소 등의 시설물 부지로 활용되기도 하며, 연장이 긴 경우 지방자치단체에 도로 관리권을 이관해 일반도로로 변경하여 인근 지역의 도로 교통 개선에 기여하기도 한다. 또한 과거에는 고속도로 노선으로 지정되어 건설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고속도로 요건을 갖추지 못하게 되거나 지방자치단체로 관리권이 이관되어 노선이 폐지된 경우도 있다.

'''하이패스'''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에서 사용되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이다. 고속도로 요금소에서 하이패스 차로까지 파란색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하지만, 민간 기업이 관리하는 노선도 있다.

중앙고속도로 횡성 나들목 요금소 하이패스 전용 차로

5. 1. 민간투자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수익형 민자사업)으로 건설된 고속도로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따라 도로 준공과 동시에 해당 시설의 소유권은 국가에 귀속된다.[1] 그리고 도로 건설에 참여한 사업시행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시설관리운영권을 인정하고,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협약에서 정한 기간 동안 임차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1] 즉, 민자사업으로 건설된 고속도로는 건설 추진 당시 맺은 실시협약에 따라 정해진 기간 동안 운임을 징수하며, 징수 기간이 만료되면 국가로 귀속된 후 고속도로 관리 권한을 대행하는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임을 징수하게 된다.[1]

다음은 민자고속도로 노선 및 대한민국에서 민자사업으로 고속도로를 건설하고 운영 중인 기업 및 민간투자고속도로 노선 목록이다.

운영 기업노선운영 구간설립일
노선번호노선명시점종점
경기고속도로평택파주오성 나들목봉담 나들목2003년 12월 30일
오산화성서오산 분기점안녕 나들목
rowspan=6|수도권제2순환화성 분기점동탄 분기점
경기동서순환도로수도권제2순환마도 분기점화성 분기점2016년 5월 16일
포천화도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소흘 분기점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2016년 12월 20일
인천김포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남항 교차로서김포통진 나들목2006년 12월 18일
화성광주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동탄 분기점곤지암 분기점2012년 12월 26일
서울북부고속도로세종포천양주 나들목소흘 분기점2007년 10월 30일
세종포천남구리 나들목신북 나들목
경수고속도로용인서울흥덕 나들목헌릉 나들목2003년 12월 23일
부산신항제2배후도로남해제3지선신항 교차로진례 분기점2008년 3월 3일
부산울산고속도로동해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울산 분기점2006년 5월 4일
상주영천고속도로영천상주영천 분기점낙동 분기점2006년 12월 18일
서부내륙고속도로익산평택익산 분기점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삼정리2015년 12월
익산평택지선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희곡리
서울문산고속도로rowspan=5|평택파주북로 분기점내포 나들목2007년 12월 21일
평택파주남고양 나들목봉대산 분기점
수도권서부고속도로평택파주봉담 나들목남광명 분기점2006년 12월 18일
평택파주남광명 분기점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서서울고속도로평택파주남광명 분기점88 분기점2008년 8월 29일
서울고속도로수도권제1순환퇴계원 나들목일산 나들목2000년 5월 16일
서울춘천고속도로서울양양강일 나들목춘천 분기점2002년 11월 8일
신공항하이웨이인천국제공항용유/무의 나들목북로 분기점1995년 12월 6일
신대구부산고속도로중앙대동 분기점동대구 분기점1999년 12월 8일
옥산오창고속도로당진청주옥산 분기점오창 분기점2009년 6월 22일
인천대교rowspan=3|제2경인공항신도시 분기점학익 분기점1999년 12월 23일
제2경인연수 분기점송도 나들목
제2경인연결고속도로제2경인삼막 나들목여수대로 나들목2007년 7월 26일
제2서해안고속도로평택시흥서평택 분기점군자 분기점2006년 12월 6일
수도권제2순환마도 분기점시화 분기점
제2영동고속도로광주원주경기광주 분기점원주 분기점2007년 5월 2일
천안논산고속도로논산천안논산 분기점천안 분기점1997년 7월 22일


6. 과거의 고속도로

다음은 과거 고속도로였으나 현재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구간들이다.

6. 1. 지정 해제된 고속도로

김천영천고속도로와 서울양평고속도로는 지정 해제된 고속도로이다.

6. 2. 고속도로 이설로 폐도된 구간을 재활용하는 경우

주어진 원본 소스에 고속도로 이설로 폐도된 구간을 재활용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은 비워 둡니다.

7. 고속도로 시설물



지역정류장 이름 및 위치이용 노선 및 비고
수도권신갈BS (경부고속도로 수원신갈 나들목서울 요금소 사이)서울남부 ↔ 탕정 시외버스
죽전BS (경부고속도로 수원신갈 나들목서울 요금소 사이)관광버스, 일부 학교 통학버스
김포 요금소경기순환버스 8407번, 8906번, 9008번
양주 요금소경기순환버스 8109번, 8906번
구리 요금소경기순환버스 11번, 100번, 1001번, 1200번, 2000번, 7007번, 8012번, 8109번, 8401번, 8409번
청계 요금소경기순환버스 333번, 1009번, 1650번, 2007번, 3330번, 3500번, 7007-1번, 8106번, 8401번, 8409번
시흥 요금소경기순환버스 3200번, 8106번, 8407번, 8906번
불암산 요금소경기순환버스 8109번, 8401번, 8409번
경기순환버스는 경기도 도시 간 연결성 개선, 혼잡 지역인 서울을 지나지 않고 경기도 지역 간 연결을 위해 2010년 8월 23일 신설되었다. 의정부, 양주 (덕정역), 구리 (돌다리), 성남 (분당), 안양 (안양역, 범계역), 군포 (산본역, 금정역), 의왕, 수원, 부천 (중동), 고양 (일산) 등 주요 4개 정류장만 정차, 약 20~30분 배차, 급행버스 형태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한다. 한국도로공사는 청계, 시흥, 성남, 구리, 양주, 김포, 불암산 톨게이트에 버스정류장을 설치하여 순환버스 간 환승 가능하다.
수도권
ex-허브
가천대역 (성남 요금소송파 나들목 사이)경기순환버스, 직행좌석버스, 일부 시외버스
동천역 (죽전BS 부산 방면)전세버스 등
충청권황간BS (추풍령 나들목황간 나들목 사이)서울 ↔ 구미 고속버스 일부
영남권양산BS (경부고속도로 양산 분기점양산 나들목 사이)부산 ↔ 경주, 대구 일반 완행 고속버스
석계BS (경부고속도로 양산 나들목통도사 하이패스 나들목 사이)부산 ↔ 경주, 대구 일반 완행 고속버스
구 톨게이트BS (폐쇄된 언양 나들목 부지)울산 ~ 김해국제공항 리무진 버스
범서천상BS (울산고속도로 언양 분기점울산 분기점 사이)울산 1703번, 1713번, 1723번 버스
호남권봉산BS (광주대구고속도로 담양 분기점 내)담양 311번 버스
비아BS (호남고속도로 광산 나들목북광산 나들목 사이)서울호남 ↔ 광주 고속버스 중간 하차



'''하이패스'''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에서 사용되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이다. 고속도로 요금소에서 하이패스 차로까지 파란색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8. 통행 제한

일반도로와 같이 총중량 40톤 이상의 차량이나 축하중 10톤 이상 차량의 통행이 제한된다. 한국도로공사에서 언급하는 통행 제한 차량은 높이가 4.2m를 초과하는 차량(적재물 포함), 길이가 16.7m를 초과하는 차량(적재물 포함), 폭이 2.5m를 초과하는 차량(적재물 포함) 등은 고속도로의 통행이 제한되며, 적재불량차량(편중적재, 적재함 개방, 스페어 타이어 고정 불량, 덮개를 씌우지 않았거나 묶지 않아 결속상태가 불량한 차량, 적재함 청소상태 불량, 액체 적재물 방류차량, 견인시 사고 차량 파손품 유포 우려가 있는 차량, 기타 적재 불량으로 인하여 적재물 낙하 우려가 있는 차량)도 고속도로의 통행이 제한된다. 이외에도 최고속도제한이 100km/h인 경우 정상운행속도가 50km/h 미만(최고속도제한이 110km/h인 경우 60km/h 미만)인 차량과 이상 기후 시(적설량 10cm 이상 또는 영하 20℃ 이하) 연결 화물 차량(풀카, 트레일러 등) 기타 도로관리청이 도로의 구조보전과 운행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행 제한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차량이다.[69]

일반도로가 아닌 고속도로에서 통행이 제한되는 차량은 《고속국도법》제9조의 제1항 부분에는 '누구든지 고속국도에 자동차를 사용하는 이외의 방법으로 통행하거나 출입하지 못한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어 자동차를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는 통행을 할 수 없다.[70] 이는 보행자와 《자동차관리법》제3조(자동차의 종류)의 제1항에서 자동차에 해당되지 않는 차량(자전거, 농기계 등)을 말한다.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입구에 있는 표지판, "자동차 전용, 이륜차 통행 금지"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입구에 있는 자동차 전용 및 이륜차 통행 금지 표지판


1972년 6월 1일부터 대한민국에서는 경찰 오토바이를 제외한 모든 오토바이는 배기량에 관계없이 고속도로 운행이 금지되었다.[2][3]

1992년 3월 15일부터는 경찰 오토바이를 제외한 모든 오토바이는 자동차 전용으로 지정된 특정 도로에서도 통행이 금지되었다.[4][5][6][7] 이러한 도로는 흰색 자동차 실루엣이 있는 파란색 원형 표지판으로 표시된다.

참조

[1] 문서 Abandoned
[2] 뉴스 Prohibit the driving on Expressways for Three-wheeled Vehicles and Motorcycles http://newslibrary.n[...] Dong-a Ilbo 1972-05-23
[3] 뉴스 Prohibit the driving on Expressways for Three-wheeled Vehicles etc http://newslibrary.n[...] Maeil Business Newspaper 1972-05-24
[4] 법령 South Korea Road Traffic Act http://www.law.go.kr[...] Revised for December 14, 1991, Enforced from to March 15, 1992
[5] 법령 South Korea Road Traffic Act http://www.law.go.kr[...] Revised for May 31, 2005 and April 28, 2006, Enforced from to June 1st 2006
[6] 법령 South Korea Road Traffic Act http://www.law.go.kr[...] Revised for June 8, 2011, Enforced from to December 9, 2011
[7] 법령 South Korea Road Traffic Act https://www.law.go.k[...]
[8] 문서 二輪車
[9] 간행물 한국도로공사 20년사 한국도로공사
[10] 뉴스 大阪朝日新聞 中鮮版 1939-06-16
[11] 문서 日本の自動二輪車に該当する。
[12] 뉴스 『3輪車・オートバイ高速道通禁』 http://dna.naver.com[...] 東亜日報 1972-05-23
[13] 법령 大韓民国道路交通法 http://www.law.go.kr[...]
[14] 웹사이트 http://www.ex.co.kr/[...]
[15] 법령 대통령령 제3202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http://law.go.kr/lsI[...] 1967-09-02
[16] 법령 대통령령 제3336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http://law.go.kr/lsI[...] 1967-12-30
[17] 법령 대통령령 제3872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http://law.go.kr/lsI[...] 1969-04-08
[18] 법령 대통령령 제4965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http://law.go.kr/lsI[...] 1970-04-21
[19] 법령 대통령령 제5771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 http://law.go.kr/lsI[...] 1971-08-31
[20] 법령 대통령령 제5770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law.go.kr/lsI[...] 1971-08-31
[21] 법령 대통령령 제58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12-08
[22] 법령 대통령령 제6821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law.go.kr/lsI[...] 1973-08-23
[23] 법령 대통령령 제8031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6-03-19
[24] 법령 대통령령 제905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8-06-22
[25] 법령 대통령령 제10625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7-11-07
[26] 법령 대통령령 제1144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4-06-28
[27] 법령 대통령령 제11700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5-05-29
[28] 법령 대통령령 제11763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5-09-12
[29] 법령 대통령령 제12377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8-01-14
[30] 법령 대통령령 제128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9-10-20
[31] 법령 대통령령 제13433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1-07-25
[32] 법령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2-04-29
[33] 법령 대통령령 제13983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3-09-27
[34] 법령 대통령령 제1448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4-12-31
[35] 법령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36] 법률 대통령령 제154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7-08-27
[37] 문서 기존 제24호선 구미 ~ 옥포선 구간을 통합
[38] 법률 대통령령 제16545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9-08-31
[39] 법률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40] 법률 대통령령 제17794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2-12-05
[41] 법률 대통령령 제1857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4-11-03
[42] 법률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01-03
[43] 법률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44] 법률 대통령령 제2189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9-12-21
[45] 법률 대통령령 제22537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10-12-20
[46] 법률 대통령령 제24267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12-12-27
[47] 법률 대통령령 제24834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13-11-05
[48] 법률 대통령령 제2545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14-07-14
[4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5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981호 http://gwanbo.mois.g[...] 2015-12-22
[5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684호 http://gwanbo.mois.g[...] 2016-10-19
[5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65호 http://gwanbo.mois.g[...] 2017-07-11
[5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776호 http://gwanbo.mois.g[...] 2017-12-01
[5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18호 http://gwanbo.mois.g[...] 2018-01-12
[5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578호 http://gwanbo.mois.g[...] 2018-09-27
[5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210호 http://gwanbo.mois.g[...] 2019-05-08
[5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50호 http://gwanbo.mois.g[...] 2019-10-11
[5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29호 http://gwanbo.mois.g[...] 2020-06-04
[5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813호 https://gwanbo.mois.[...] 2020-11-13
[6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066호 https://gwanbo.go.kr[...] 2021-09-07
[61] 간행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65호 http://m.molit.go.kr[...] 2022-02-07
[62] 간행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77호 https://gwanbo.go.kr[...] 2023-02-10
[63] 법률 법률 제2232호 도로법 http://www.law.go.kr[...] 1970-08-10
[6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65] 문서 10m 단위에서 반올림
[66] 문서 국도대체우회도로나 왕복 4차로 이상으로 개량된 구간 중에서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된 구간 등
[67] 법률 대통령령 제25456호 도로법 시행령 http://www.law.go.kr[...] 2014-07-14
[68] 문서 단, [[인천대교]]는 파란띠와 초록띠를 혼용한다.
[69] 웹사이트 운행제한차량 http://www.ex.co.kr/[...] 2011-05-26
[70] 법률 법률 제8976호 고속국도법 http://www.law.go.kr[...] 2008-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