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꽃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라꽃은 국가를 상징하는 꽃으로, 꽃뿐만 아니라 농작물, 수목, 풀, 은화식물 등 다양한 식물이 지정될 수 있다. 국화는 법률, 의회 의결, 칙령, 국민 투표, 관습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선정되며, 왕실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각 나라마다 국화는 다르며,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다양한 대륙에서 고유한 국화를 지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화는 무궁화이며, 일본은 벚꽃과 국화가, 미국은 장미, 멕시코는 다알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킹 프로테아를 국화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의 상징 - 국기
국기는 군기에서 시작하여 상징성을 가지게 되었고, 18세기 말부터 국기 게양의 일반화와 함께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자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국기를 제정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디자인과 상징을 지닌 국기들이 존재하며, 각 국의 역사, 문화, 그리고 정치적 이념을 반영하고 있다. - 나라의 상징 - 국경일
국경일은 대한민국 법률에 의해 제정된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의 다섯 기념일로, 역사적 사건이나 민족적 가치를 기념하며 제헌절을 제외하고는 공휴일로 지정되어 국가 정체성을 되새기는 사회·문화적 행사이다. - 꽃 - 무궁화
무궁화는 한국의 국화로 여겨지는 낙엽 관목으로, 여름 동안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강한 생명력을 지닌 역사적으로 중요한 식물이다. - 꽃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나라꽃 | |
---|---|
나라꽃 정보 | |
정의 | 각 나라를 상징하는 꽃 |
의미 | 민족정신 고취 국가 이미지 제고 |
지정 방식 | 법률, 국민적 합의, 상징적 의미 부여 등 |
나라꽃 (国花) | |
정의 | 특정 국가를 상징하는 꽃 |
지정 | 법률, 국민적 합의, 역사적 의미 부여 등 |
역할 | 국가 이미지 홍보 외교적 상징 문화적 표현 |
특징 | 아름다움 고유한 의미 국가의 역사와 문화 반영 |
2. 국화의 정의와 선정 기준
국화는 한 국가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꽃이다. 여기서 '꽃'이라는 표현을 쓰기는 하지만, 꼭 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곡식, 나무, 풀, 심지어 은화식물(포자식물)도 국화로 지정될 수 있다. 다만, 나라에 따라서는 국수나 국과를 따로 정하고, 국화는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국화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반영하며,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많은 국가에서 국화는 역사적 사건, 전설, 신화와 관련되어 국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세계 각국은 자국의 역사, 문화, 환경에 맞는 다양한 국화를 지정하고 있다.
국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선정된다. 법률이나 칙령으로 정해지기도 하고, 국민 투표나 역사적 사건, 관습에 의해 정해지기도 한다. 영국의 장미(튜더 로즈)처럼 왕실의 상징으로 사용되던 것이 국화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국화는 공적인 절차 없이 관습적으로 정해진 것이며, 법으로 제정된 경우는 드물다. 일본의 경우 법으로 정해진 국화는 없지만, 국민에게 널리 사랑받는 벚꽃과 황실 문양인 국화가 사실상 국화로 여겨진다.
국화 선정에는 여러 기준이 적용된다. 그 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인지, 아니면 외래종인지, 단일 종인지 복수 종인지, 원예 품종의 경우 꽃 색깔을 특정하는지 등 다양한 기준이 있다. 아일랜드의 샤무록처럼 특정 종이 아닌 세 잎 클로버 모양의 상징적인 외형으로 지정하는 경우도 있다.
국화는 동전, 지폐, 여권, 우표 등에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일부 국가에서는 국화를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에 신고하여 관리하기도 한다.[46]
3. 국화의 역사와 문화
국가 상징은 반드시 꽃에 한정되지 않으며, 농작물, 수목, 풀, 은화식물이 지정되기도 한다. 국가에 따라서는 국수나 국과로 지정하고, 국화는 따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유럽에서는 화훼가 많지만, 유럽 이외 지역에서는 적다. 그 나라의 원산지이거나 널리 보이는 것과도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외래종이 지정되는 경우가 많다. 지정 범위도 단일 종을 지정하거나, 복수 종을 지정하기도 한다. 원예 식물의 경우에는 꽃 색깔까지 특정하거나, 대략적으로 속(屬) 레벨로 지정하기도 한다. 아일랜드의 샤무록처럼 특정 종이 아닌, 세 잎 클로버 형 잎을 가진 식물로 지정하는 경우도 있다.
국화 선정 방법은 각국에 따라 다르며, 법률이나 의회 의결, 칙령이나 정령, 국민 투표, 고사나 전설, 오랜 관습, 왕실 상징 등으로 정해진다. 영국의 장미(튜더 로즈)처럼 왕실 엠블럼으로 선정된 것이 유명하다. 현재 국화의 대부분은 공적인 절차나 법적 뒷받침이 없는 관습적인 것이며, 성문법에 근거해 지정, 제정하는 예는 드물다. 일본은 법정 국화가 없으며, 국민에게 사랑받는 벚꽃이나 황실 문양인 국화가 사실상 국화로 취급된다.[46] 대한민국의 국화는 무궁화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국화는 함박꽃나무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따로 정해지지 않았다.
국화는 동전, 지폐, 여권, 우표 등의 디자인에 사용되므로, 남용을 막기 위해 일부 국가는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에 신고하여 관리한다.
4. 각국의 국화
국가 국화 국가 국화 과테말라 리카스테난스 그리스 향제비꽃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로테아 네덜란드 튤립 네팔 만병초 뉴질랜드 회화나무 대한민국 무궁화 도미니카 공화국 마호가니 독일 수레국화 덴마크 토끼풀 라오스 플루메리아 러시아 캐모마일 레바논 레바논시다(백향목) 루마니아 백장미 마다가스카르 부채잎 파초 말레이시아 부상화 멕시코 다알리아 모나코 카네이션 미국 장미[44][45] 미얀마 사라수 바티칸 나팔나리 베네수엘라 타베비아 베트남 연꽃 벨기에 아잘레아 볼리비아 꽃고비 불가리아 장미 브라질 카틀레야 사우디아라비아 대추야자 스리랑카 연꽃 스위스 에델바이스 스페인 오렌지꽃 시리아 아네모네 싱가포르 난 아르메니아 아네모네 아르헨티나 피토라카 아일랜드 흰 클로버 아프가니스탄 튤립 영국 장미 예멘 커피나무 오스트레일리아 아카시아 오스트리아 에델바이스 우루과이 에리스리나 에스토니아 수레국화 에티오피아 칼라디움 이란 튤립 이스라엘 올리브 이집트 수련 이탈리아 데이지 인도 양귀비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재스민, 난초, 라플레시아 일본 공식적인 나라꽃은 없으며 국화가 황실을 상징한다.[4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함박꽃나무 중화민국 매화 체코 타리아 칠레 동백꽃 카메룬 수련 캄보디아 수련 캐나다 사탕단풍 콜롬비아 카틀레야 쿠바 진저 태국 라차프륵 튀르키예 튤립 튀니지 재스민 파나마 파나마초 파키스탄 수선화 페루 깐뚜따(cantuta) 포르투갈 라벤듈라 폴란드 팬지 프랑스 아이리스 핀란드 은방울꽃 필리핀 재스민 중화인민공화국 따로 정해지지 않았다.
4. 1. 아시아
국가 | 국화 | 그림 | 비고 | |
---|---|---|---|---|
대한민국 | 무궁화 | -- | 국장은 이 꽃을 토대로 디자인되었다. 애국가에도 이 꽃의 이름이 등장한다. | |
일본 | 벚꽃 | -- | 일반적으로 국화를 상징하는 꽃으로 이야기되고 동전이나 우표의 의장으로 채택되어 왔지만 법정은 아니다. | |
국화 | -- | -- 국화는 국가보다 황실의 상징으로서의 의미가 강하다.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자두 | -- | ||
목련(백목련) | ||||
중화인민공화국 | 중국 대륙 | 없음 | 현재 국화 선정 중. 후보는 모란 외에 매화도 거론되고 있지만, 과거 몇 차례 국민 투표를 실시했을 때 모란과 매화가 항상 1위, 2위를 차지했다. 최근에는 국기의 오성기를 상징할 수 있도록 모란·매화·국화·연꽃·난초 5개의 꽃을 모두 중국 국화로 하자는 의견도 있다.[8] | |
인도 | 연꽃 | -- | ||
국수 인도보리수 | -- | |||
말레이시아 | 붕가라야 | -- |
4. 2. 유럽
영국의 국화는 장미이며, 이는 튜더 왕조의 문장에서 유래되었다.[44][45]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는 각각 다른 종류의 장미 또는 다른 꽃을 상징으로 사용한다.프랑스는 공식적으로 지정된 국화는 없지만, 아이리스는 프랑스 왕실의 상징이었다. 또한 수레국화, 데이지, 개양귀비는 프랑스 삼색기를 상징하는 꽃으로 여겨진다.
독일의 국화는 수레국화이다. 수레국화는 역사적으로 프로이센 왕국의 상징이었으며, 현재 독일의 통일과 자유를 상징한다.
네덜란드의 국화는 튤립이다. 튤립은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이며,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꽃이다.
4. 3. 아메리카
미국의 국화는 장미로, 1986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지정하였다.[44][45] 미국의 여러 주에서도 주를 상징하는 꽃을 지정하고 있다. 멕시코의 국화는 다알리아이다. 브라질의 국화는 카틀레야이다.나라 | 국화 | 이미지 | 비고 |
---|---|---|---|
아르헨티나 | |||
우루과이 | 세이보 Erythrina crista-galli | -- | |
에콰도르 | 장미 | -- | |
추키라과 Chuquiraga jussieui | -- | 국화과의 일종. | |
리카스테 스키네리 Lycaste skinneri | -- | ||
국수 아카키나노키 Cinchona pubescens | ![]() | 말라리아 치료제 키니네의 원료. | |
가이아나 | 빅토리아 아마조니카 Victoria amazonica | -- | |
콜롬비아 | 카틀레야 트리아나에 Cattleya trianae | -- | 카틀레야의 일종. |
커피나무[36] Coffea arabica | -- | ||
수리남 | 파야로비 Ixora macrothyrsa | 파야로비(Faja lobi)는 현지어로 격렬한 사랑을 의미. 꼭두서니과 산자고속의 일종. | |
칠레 | 코피우에(라파게리아) Lapageria rosea | -- | 백합목 능소화과. |
세이보 Erythrina crista-galli | -- | ||
파라과이 | 반마츠리 Brunfelsia hopeana | -- | 가지과의 일종. |
타베부이아 아르겐테아 Tabebuia aurea | -- | ||
시계꽃 Passiflora | -- | 열매는 패션프루트로 거래. | |
브라질 | 국수 브라질나무 Caesalpinia echinata | -- | 브라질 국명의 유래가 된 염료, 蘇芳(브라질린)을 생산하는 나무. 1978년 12월 7일 법률 제6607호로 국수로 지정. |
역사 이페 아마렐로 Yellow ipe | -- | 이페 아마렐로(Ipe-amarelo)는 포르투갈어로 노란색 이페라는 의미. 능소화과 중 노란 꽃을 피우는 7종을 지칭. 이들을 국화로 하는 법안이 1950년대 국회에 제출되었으나 성립되지 않음. | |
이페 Handroanthus impetiginosus | -- | 분홍색 꽃을 피워 근연종과 구별하여 이페 로조(Ipê-rozo), 이페 로사(Ipê-rosa)라고도 함.[39] 타히보라는 약용 식물로도 알려짐. | |
카틀레야 Cattleya, Laelia purpurata 등 | -- | 브라질산 카틀레야속과 그 근연종. 종소명까지 정해지지는 않음. | |
프랑스령 기아나 | 서양수련 Nymphaea alba | -- | -- 방패 하단에 3송이. |
베네수엘라 | 국수 옐로우 트럼펫 트리 Handroanthus chrysanthus | -- | |
타베부이아 팔리다 Tabebuia pallida | -- | ||
플로르 데 마요 Cattleya mossiae | -- | 플로르 데 마요(Flor de Mayo)는 스페인어로 5월의 꽃(메이플라워)이라는 의미. 카틀레야의 일종. | |
카타세툼 필리에이텀 Catasetum pileatum | -- | ||
페루 | 해바라기 Helianthus annuus | -- | |
칸투아 Cantua buxifolia | -- | 꽃고비과의 일종. 현지에서 "마법의 꽃", "잉카의 성스러운 꽃" 등으로 불림. | |
볼리비아 |
4. 4.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나라꽃은 프로테아인데, 그 중에서도 킹 프로테아(Protea cynaroide)이다. 프로테아는 독특하고 강렬한 인상을 주는 꽃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상징한다.[44] 이집트의 나라꽃은 수련이다. 수련은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신성하게 여겨졌으며, 나일 강과 이집트 문명을 상징한다.[45]나라 | 나라꽃 | 이미지 | 비고 |
---|---|---|---|
알제리 | 장미 | -- | |
에티오피아 | 칼라(아르마릴리스) | -- | |
이집트 | 수련 | -- | |
가나 | 대추야자 | -- | |
가봉 | 불꽃나무 | -- | |
코트디부아르 | 야자나무 | ![]() | |
콩고 | 마호가니 | -- | 센단과의 1속. 이미지는 7종 중 하나인 Khaya senegalensis이다. |
시에라리온 | 기니 오일 팜 | -- | |
글로리오사 로스차일디아나 | -- | ||
수단 | 히비스커스 | -- | |
적도 기니 | 목화 | -- | |
세네갈 | 국수 바오밥나무 | -- | |
튀니지 | 미모사 | ---- | 정식으로 지정된 국화. 종으로는 은엽아카시아, 베일리 아카시아 등이 있다. |
큰꽃자스민 | ![]() | 자스민의 일종. 공인된 국화는 아니지만 국민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2010-11년 혁명도 이 꽃의 이름을 따서 불렸다. | |
나이지리아 | 코스투스 스펙타빌리스 | ![]() | 생강목칸나과의 일종. 동남아시아 원산의 외래종. |
나미비아 | 웰위치아(기상천외, 사막 만년청) | ![]() | |
보츠와나 | 수수 | ![]() | |
마다가스카르 | 포인세티아 | -- | |
국수여행자나무 |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킹 프로테아 | -- | |
모리셔스 | 트로체티아 | 아욱과의 일종. 마스카렌 제도 고유종. | |
모로코 | 장미 | -- | |
리비아 | 석류 | -- | |
라이베리아 | 후추 | -- |
4. 5.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의 나라꽃은 Acacia pycnantha영어이며, 아카시아의 일종이다.[41][42] 오스트레일리아의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꽃으로, 오스트레일리아의 개척 정신을 상징한다.
뉴질랜드의 나라꽃은 코와이(회화나무, ''Sophora microphylla'')이다. 코와이(kowhai)는 마오리어로 노란색을 의미한다. 콩과의 일종으로 표준 일본명은 하마미엔쥬이다. 뉴질랜드 원주민인 마오리족에게 신성하게 여겨지는 꽃으로, 뉴질랜드의 자연과 문화를 상징한다.
5. 참고사항
국가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꽃, 즉 국화를 지정하여 국가의 상징으로 삼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나라가 국화를 지정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본은 공식적인 나라꽃이 없으며, 황실을 상징하는 꽃으로 국화가 사용된다.[46] 중화인민공화국 또한 공식적으로 지정된 나라꽃이 없다.
국화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또한 국화에 대한 인식과 활용 방식은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국가 | 나라꽃 |
---|---|
과테말라 | 리카스테난스 |
그리스 | 향제비꽃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프로테아 |
네덜란드 | 튤립 |
네팔 | 만병초 |
뉴질랜드 | 회화나무 |
대한민국 | 무궁화 |
도미니카 공화국 | 마호가니 |
독일 | 수레국화 |
덴마크 | 토끼풀 |
라오스 | 플루메리아 |
러시아 | 캐모마일 |
레바논 | 레바논시다(백향목) |
루마니아 | 백장미 |
마다가스카르 | 부채잎 파초 |
말레이시아 | 부상화 |
멕시코 | 다알리아 |
모나코 | 카네이션 |
미국 | 장미[44][45] |
미얀마 | 사라수 |
바티칸 | 나팔나리 |
베네수엘라 | 타베비아 |
베트남 | 연꽃 |
벨기에 | 아잘레아 |
볼리비아 | 꽃고비 |
불가리아 | 장미 |
브라질 | 카틀레야 |
사우디아라비아 | 대추야자 |
스리랑카 | 연꽃 |
스위스 | 에델바이스 |
스페인 | 오렌지꽃 |
시리아 | 아네모네 |
싱가포르 | 난 |
아르메니아 | 아네모네 |
아르헨티나 | 피토라카 |
아일랜드 | 흰 클로버 |
아프가니스탄 | 튤립 |
영국 | 장미 |
예멘 | 커피나무 |
오스트레일리아 | 아카시아 |
오스트리아 | 에델바이스 |
우루과이 | 에리스리나 |
에스토니아 | 수레국화 |
에티오피아 | 칼라디움 |
이란 | 튤립 |
이스라엘 | 올리브 |
이집트 | 수련 |
이탈리아 | 데이지 |
인도 | 양귀비 |
인도네시아 | 보르네오 재스민, 난초, 라플레시아 |
일본 | 공식적인 나라꽃이 없으며 국화가 황실을 상징.[46]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 함박꽃나무 |
중화민국 | 매화 |
체코 | 타리아 |
칠레 | 동백꽃 |
카메룬 | 수련 |
캄보디아 | 수련 |
캐나다 | 사탕단풍 |
콜롬비아 | 카틀레야 |
쿠바 | 진저 |
태국 | 라차프륵 |
튀르키예 | 튤립 |
튀니지 | 재스민 |
파나마 | 파나마초 |
파키스탄 | 수선화 |
페루 | 깐뚜따(cantuta) |
포르투갈 | 라벤듈라 |
폴란드 | 팬지 |
프랑스 | 아이리스 |
핀란드 | 은방울꽃 |
필리핀 | 재스민 |
중화인민공화국 | 따로 정해지지 않았다. |
참조
[1]
문서
妻鹿(1990)
[2]
웹사이트
Keputusan Presiden No. 4 Tahun 1993 Tentang:Satwa Dan Bunga Nasional
http://www.proxsis.c[...]
2013-01-07
[3]
문서
妻鹿(1990)
[4]
웹사이트
ROYAL DECREE on Designation of Animals and Plants as National Symbols of the Kingdom of Cambodia
http://www.forestry.[...]
Forestry Administration of Cambodia
2012-12-19
[5]
문서
北朝鮮には国花以上の政治的な意味を持つ花として指導者の名を冠した[[金日成花]]、[[金正日花]]という花卉がある。
[6]
문서
[[セイヨウスモモ|プルーン]]、[[アンズ]]、[[アーモンド]]、[[ジャスミン]]など。
[7]
문서
妻鹿(1990)
[8]
웹사이트
中國的國花是牡丹?告訴你這是一個錯誤的認識
https://kknews.cc/zh[...]
2012-12-11
[9]
문서
8月の第2日曜日は「[[メロン]]の日」と定められているが、メロンは国花とはみなされていない模様。
[10]
문서
トルクメニスタンの国旗には[[オリーブの枝]]が記されているが、これは同国が[[国際連合]]から「[[永世中立国]]」に認定されたのを記念する形で設けられたものであり、同国の国花には定められていない。
[11]
문서
妻鹿(1990)
[12]
웹사이트
小学館デジタル大辞泉「国花」
https://dictionary.g[...]
2012-12-22
[13]
문서
これらの他に[[日本国政府]]を表す意味で花と[[葉]]を図案化した[[桐紋|桐花紋]]を用いる[[政府機関]]があるが、[[桐]]の花そのものを国花として扱うことはない。
[1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Bangladesh – Chapter I
http://www.pmo.gov.b[...]
2012-12-19
[15]
서적
図説熱帯植物集成
廣川書店
1969
[16]
문서
妻鹿(1990)
[17]
문서
[[1997年]]に{{Flagicon|ZAI}} [[ザイール]]から現国名に変更。
[18]
URL
https://es.ucoin.net[...]
[19]
문서
その他バラ Rose、[[ツツジ属|アザレア]] ''Rhododendron simsii'' cv、シクラメン ''Cyclamen persicum''なども国花とされるがどれもデージーのような根拠がない。
[20]
문서
イタリア語のMargherita(マルゲリータ)は[[マーガレット (植物)|マーガレット]]も指すが、むしろヨーロッパに自生し古くから馴染みのあるデージーを指す。余談だがイタリア国旗と同じ配色を特徴とする[[ピッツァ]]、マルゲリータも彼女に因む。
[21]
문서
妻鹿(1990)
[22]
문서
妻鹿(1990)
[23]
문서
妻鹿(1990)
[24]
문서
妻鹿(1990)
[25]
웹사이트
Danish Nature Agency
http://www.naturstyr[...]
2012-09-12
[26]
문서
巷説によると、即位の直前ヴィルヘルムは[[ナポレオン3世]]を戦いで破っており、その際幼少の頃若くして亡くなった母后[[ルイーゼ・フォン・メクレンブルク=シュトレーリッツ|ルイーゼ]]との思い出([[ナポレオン1世|ナポレオン]]軍に[[ベルリン]]を追われ、そこからの逃亡の途上ルイーゼがヴィルヘルムの頭にこの花で編んだ冠を被せ、この花が咲き乱れる畑に静かに隠れるように諭したことがあったとされる)を追憶したので選ばれたこととされている。しかし公的には、花色が当時のプロシア軍服と同じ色だったから、と、なっている。また当時の作家[[テオドール・フォンターネ]]は、単にヴィルヘルムの個人的嗜好によるものとしている。
[27]
문서
矢車菊がシンボルになったのは大量に犠牲者がでた第一次世界大戦の後であり、退役軍人や戦争の犠牲者や孤児を象徴するものだった。2次大戦戦勝記念日の祭日のときは、フランス語版Googleのトップページには矢車菊の花がついている。矢車菊の花がフランスを表していることがあり、スポーツでも国を代表する選手たちは矢車菊のマークを付けていることが多い。
[28]
문서
フランスではフランス菊の事をマーガレットと呼ぶ。
[29]
웹사이트
National Rose Garden
https://nationalrose[...]
[30]
문서
妻鹿(1990)
[31]
웹사이트
National Flower
http://www.gov.vc/to[...]
[32]
웹사이트
Facts about the Soufriere Tree
http://www.vincytoro[...]
[33]
웹사이트
the national flowers
http://web.stlucia.g[...]
[34]
서적
世界木材図鑑
産調出版
2006
[35]
웹사이트
El Madroño, Arbol Nacional - Nicaragua Educa
https://nicaraguaedu[...]
2019-05-23
[36]
문서
妻鹿(1990)
[37]
문서
妻鹿(1990)
[38]
문서
妻鹿(1990)
[39]
서적
トロピカル・ガーデニング・マニュアル 日本で育つ熱帯花木植栽事典
アボック社
1998-05-10
[40]
서적
知の遊びコレクション 樹木
https://books.google[...]
新樹社
2007
[41]
웹사이트
Australia's Floral Emblem
https://www.anbg.gov[...]
Australian National Botanic Gardens
2012-12-19
[42]
문서
妻鹿(1990)
[43]
간행물
在日本ミクロネシア連邦大使館 ミクロネシア連邦概況
http://www.micronesi[...]
[4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7-06-29
[45]
웹사이트
National Flower of United States - Fresh from the Grower
http://www.growerflo[...]
[4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