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냉면은 메밀, 밀가루 또는 녹말가루로 만든 국수에 고명을 얹고 차가운 국물이나 양념장을 곁들여 먹는 음식이다. 고려 시대 평양에서 유래되었으며, 조선 시대 문헌에도 등장한다. 냉면은 평양냉면, 함흥냉면, 진주냉면 등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물냉면과 비빔냉면으로 구분된다. 한국 전쟁 이후 남북한 전역에서 대중화되었으며, 쫄면, 밀면 등 다양한 변형 음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냉면 - 밀면
밀면은 밀가루와 녹말로 만든 면에 새콤달콤한 양념을 사용하는 부산 향토 음식으로, 한국 전쟁 피난민, 함흥 출신 모녀, 진주 밀국수 냉면 등 다양한 기원설이 있지만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며, 평양냉면과 달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제주도에서도 맛볼 수 있으나 부산 밀면과는 차이가 있다. - 냉면 - 모리오카 레이멘
모리오카 레이멘은 재일 한국인 양용철이 함흥냉면을 기반으로 개발하여 모리오카시의 명물이 된 음식으로, 쫄깃한 면과 맑은 육수, 깍두기 등의 고명이 특징이며 한국 냉면과는 차이가 있다. - 메밀 요리 - 메밀차
메밀차는 볶은 메밀을 뜨거운 물에 우려낸 차로, 루틴 성분이 풍부하여 모세혈관 강화, 고혈압 예방, 항산화 효과, 기력 회복, 소화 촉진, 간 건강 및 숙취 해소에 도움을 준다. - 메밀 요리 - 막국수
막국수는 메밀가루로 만든 면을 주재료로 하는 한국의 국수 요리로, 냉면과 유사하지만 메밀가루 함량이 높고 채소를 많이 사용하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강원도 지역의 향토 음식으로 알려져 지역 문화를 대표한다. - 조선 요리 - 불고기
불고기는 얇게 썬 쇠고기를 간장 양념에 재워 굽거나 끓여 먹는 한국의 대표 음식이며, 고구려 시대 맥적에서 유래되어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 조선 요리 - 건진국수
밀가루와 콩가루로 만든 면을 삶아 찬물에 헹궈 먹는 건진국수는 고려 말에서 조선 시대에 등장하여 안동 지역에서 즐겨 먹던 국수 요리이지만, 현재는 전문으로 하는 곳을 찾기 힘들다.
냉면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남한) | 냉면 |
명칭 (북한) | 랭면 |
로마자 표기 (남한) | naengmyeon |
로마자 표기 (북한) | raengmyeon |
![]() | |
종류 | 국수 |
기원 | 한반도 북부 (평양 및 함흥) |
조리 정보 | |
주재료 | 메밀, 감자, 고구마 전분으로 만든 국수 |
종류 | 물냉면, 비빔냉면, 회냉면 |
1인분 | 100g |
열량 | 110kcal |
기타 | |
관련 링크 | CJ 제일제당의 냉면 이야기 |
2. 역사
고려 시대 평양의 찬샘골(현 동대원구역 랭천동) 주막집에 얹혀 살던 달세라는 사위가 메밀 반죽을 국수틀에 눌러 뺀 것을 물에 삶아서 찬물에 헹군 다음 동치미 국물에 말아 먹은 음식이 그 시작이며, 이것이 곡수(穀水)라 불렸다.[41] 달세네 "찬곡수"가 평양성 안까지 퍼져 훗날 "평양냉면"으로 알려졌다.[41]
냉면은 크게 물 냉면과 비빔 냉면으로 나뉜다. 물 냉면은 쇠고기, 닭고기(식용) 또는 동치미 국물로 만든 차가운 육수를 사용하며, 비빔 냉면은 고추장을 기본으로 한 매운 양념에 비벼 먹는다. 비빔 냉면에는 물냉면에 사용되는 육수나 삶은 면수를 곁들이기도 하는데, 이는 뜨겁거나 차갑게 제공될 수 있다. 고명으로는 삶은 계란(식용)이나 얇게 썬 오이를 올리는 경우가 많다.[8]
조선 시대 문헌 가운데는 1643년에 장선징이 장유의 시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계곡집》에 "냉면(冷麵)"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1849년에 쓰인 《동국세시기》에서는 냉면을 동짓달(음력 11월) 시식으로 소개한다.[42]
1896년 문헌인 《규곤요람》은 냉면에 대해 "싱거운 무 김치국에다 화청(和淸)해서 국수를 말고 돼지고기를 잘 삶아 넣고 배, 밤과 복숭아를 얇게 저며 넣고 잣을 떨어 나니라."라고 기록되었다. 1800년대 말의 《시의전서》는 "냉면(冷麪)"과 "장국냉면" 조리법을 언급한다.
대한제국 시기 고종 황제는 냉면을 좋아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덕수궁 대한문 밖의 국숫집에서 배달하여 편육과 배, 잣을 얹어 먹었다고 한다.[43]
19세기 문헌인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냉면은 조선 시대부터 만들어졌다.[6] 원래 대한민국 북부 지방, 특히 평양과 함흥에서 즐겨 먹던 음식이었으나,[7] 한국 전쟁 이후 남북한 전역에서 널리 대중화되었다.[6]
냉면은 톡 쏘는 맛의 차가운 육수에 채 썬 오이, 얇게 썬 배, 얇고 넓적하게 썬 단무지, 삶은 달걀이나 차게 식힌 편육 등을 넣어 큰 놋그릇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그릇에 담아 낸다. 매운 겨자 소스 (또는 겨자 기름)와 식초를 곁들여 먹는 경우가 많다. 전통적으로는 긴 면발은 장수와 건강을 상징했기 때문에 자르지 않고 먹었다. 그러나 식당에서는 보통 먹기 전에 면을 자를지 물어보고, 가위로 면을 잘라준다.
냉면은 조선 왕조 시대에 존재했다. 기원은 현재의 북한에 있으며, 평양과 함경남도함흥이 본고장이다.[16][17] 한국 측에는,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했을 때 남쪽으로 피난 온 북쪽 출신자들을 통해 본격적으로 보급되었다고 알려져 있다.[18] 원래는 추운 겨울에 따뜻한 온돌방 안에서 먹는 음식으로, 1849년에 쓰인 『동국세시기』의 음력 11월 항목에, 관서 지방(여기에서는 평양을 포함한 평안도)의 명물로서 "겨울철 음식으로, 메밀국수에 무 김치나 배추 김치를 넣고, 그 위에 돼지고기를 얹은 것을 냉면이라고 한다. 또한 메밀국수에 잡채, 배, 쇠고기, 참기름, 간장을 넣고 섞은 것을 골동면이라고 한다"는 기술이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여름 음식으로 인식되어, 대중 식당은 여름 동안만 판매하지만,[20] 냉면 전문점은 겨울에도 판매한다.[19]
3. 종류
평양냉면은 평양에서 유래했으며, 주로 메밀과 쇠고기 또는 꿩 육수를 사용한다.[8] 동치미 국물을 섞거나 얇게 썬 무(한국)를 넣기도 한다. 전라남도에서는 물 냉면에 고추장을 섞어 먹기도 하는데, 이는 비빔 냉면에 육수를 추가하는 것과 비슷하다.
회 냉면은 함흥에서 유래했으며, 양념한 생선 (회(음식), 주로 가오리)을 고추장 등과 함께 비벼 먹는다.[9] 함흥 냉면의 면은 감자나 고구마 전분으로 만들어 평양냉면보다 쫄깃하다. 가오리 외에 명태를 사용한 "명태회냉면"도 있다.
이 외에도 열무 김치와 함께 먹는 열무 냉면,[18] 칡가루를 재료로 한 '''칡냉면''',[18][25] 메밀가루만으로 만든 '''메밀냉면''',[18][25] 녹차를 넣어 만든 '''녹차냉면''',[18][25] 도토리 가루로 만든 '''도토리냉면''' 등 다양한 종류의 냉면이 있다.
한국식 중화 요리에는 땅콩 버터와 겨자를 곁들인 중국 냉면이 있다.[10]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는 "조선 냉면"(s=朝鲜冷面|p=Cháoxiǎn lěng miàn|labels=no중국어) 또는 "동북 냉면"(s=东北冷面|p=Dōngběi lěng miàn|labels=no중국어)으로 불리는 냉면이 인기 있으며,[11][12] 지역에 따라 다양한 조리법이 존재한다.[13] 일본 도호쿠 지방에는 한국 이민자들에 의해 소개된 모리오카 레이멘이 일본 향토 요리로 자리 잡았다.
부산을 중심으로 하는 경상남도 지방에서는 밀가루를 사용한 '''밀면'''이 명물로 꼽힌다.[31] 대한민국의 중화 요리 음식점에서는 중화풍으로 어레인지한 '''중국냉면'''을 제공하고 있다.[32] 냉면에서 파생된 요리로는 분식점이나 패스트푸드점에서 제공되는 '''쫄면'''이 있다.[34]
3. 1. 국물 유무에 따른 분류
냉면은 국물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물냉면과 비빔냉면으로 분류된다.
물냉면은 평양에서 유래한 냉면이다.[8] 주로 메밀과 쇠고기 또는 꿩 육수로 만들어진다. 동치미 국물을 섞어 사용하기도 하며, 얇게 썬 무 조각을 넣어 요리한다. 식초, 겨자 기름 (대부분의 식당에서 요청 시 제공), 설탕을 취향에 따라 먹기 전에 첨가한다.
함흥에서 유래한 비빔냉면은 고추장, 식초, 참기름, 설탕 등을 섞어 만든 매운 양념으로 면을 비벼, 고기, 삶은 계란, 오이 채 등을 고명으로 얹어 제공하며, 먹기 전에 잘 비벼 먹는다. 일반적으로 함흥냉면으로 알려진 것은 양념에 버무린 생선회(회)를 얹은 회냉면으로, 생선회는 홍어 (간재미가 많은 편)・가자미・명태 등이 사용된다.[9]
3. 2. 재료에 따른 분류
냉면은 크게 물 냉면과 비빔 냉면으로 나뉜다. 물 냉면은 쇠고기, 닭고기(식용), 동치미 국물 등을 우려낸 차가운 육수를 사용하며, 비빔 냉면은 고추장을 기본으로 한 매운 양념에 비벼 먹는다. 비빔 냉면에는 물냉면에 사용되는 육수나 삶은 면수를 곁들이기도 하는데, 이는 뜨겁거나 차갑게 제공될 수 있다. 고명으로는 삶은 계란(식용)이나 얇게 썬 오이를 올리는 경우가 많다.[8]
평양에서 유래한 평양냉면은 주로 메밀과 쇠고기 또는 꿩 육수를 사용한다.[8] 동치미 국물을 섞거나 얇게 썬 무(한국)를 넣기도 한다. 전라남도에서는 물 냉면에 고추장을 섞어 먹기도 하는데, 이는 비빔 냉면에 육수를 추가하는 것과 비슷하다.
함흥에서 유래한 회 냉면은 양념한 생선 (회(음식), 주로 가오리)을 고추장 등과 함께 비벼 먹는다.[9] 함흥 냉면의 면은 감자나 고구마 전분으로 만들어 평양냉면보다 쫄깃하다. 가오리 외에 명태를 사용한 "명태회냉면"도 있다.
이 외에도 열무 잎으로 만든 열무 김치와 함께 먹는 열무 냉면,[18] 칡가루를 재료로 한 '''칡냉면''',[18][25] 메밀가루만으로 만든 '''메밀냉면''',[18][25] 녹차를 넣어 만든 '''녹차냉면''',[18][25] 도토리 가루로 만든 '''도토리냉면''' 등 다양한 종류의 냉면이 있다.
한국식 중화 요리에는 땅콩 버터와 겨자를 곁들인 중국 냉면이 있다.[10]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는 "조선 냉면"(s=朝鲜冷面|p=Cháoxiǎn lěng miàn|labels=no중국어) 또는 "동북 냉면"(s=东北冷面|p=Dōngběi lěng miàn|labels=no중국어)으로 불리는 냉면이 인기 있으며,[11][12] 지역에 따라 다양한 조리법이 존재한다.[13] 일본 도호쿠 지방에는 한국 이민자들에 의해 소개된 모리오카 레이멘이 일본 향토 요리로 자리 잡았다.
인스턴트 냉면도 판매되며, 육수와 겨자 기름이 함께 포장되어 있다.
3. 3. 지역별 냉면
3. 4. 변형 및 퓨전 냉면
4. 만들기
메밀가루나 밀가루, 또는 칡, 감자, 고구마 등의 녹말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국수에 고명을 얹고 찬 국물이나 양념장을 곁들여 먹는다. 현대에는 가위로 국수를 자르지만, 과거에는 긴 국수가 긴 수명을 상징했기 때문에 국수를 자르지 않았다.[44]
5. 기타
대한민국의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에서 박명수와 제시카(전 소녀시대 멤버)가 부른, 음식 이름을 딴 "냉면"이라는 곡은 큰 인기를 얻으며 호평을 받았다.[14]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은 문재인에게 평양식 ''랭면''(냉면)을 선물했다.[15]
평양의 옥류관은 유명한 냉면 전문점이다. 한국 신문 보도에 따르면, 옥류관은 평양 냉면의 전당으로 하루에 1만 명이 방문하며,[26][27]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방문하는 등 해외 여행객이나 요인이 찾는 유명한 곳이다. 2007년 9월 개조 공사를 시작하여 2008년 4월 15일 김일성 생일에 새롭게 문을 열었다.[28] 동아일보는 옥류관 냉면이 "한국보다 면이 1.5배 정도 굵고, 면과 국물의 색깔이 황토색"이며 "국물은 진한 닭고기 냄새를 풍기며, 마치 삼계탕을 차갑게 한 듯한 느낌"이라고 보도했다.[27] 서울 합정 근처에는 옥류관에서 수련한 경험이 있는 탈북자가 운영하는 북한 음식점 "동무밥상"이 있는데, 2018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옥류관 냉면이 한국에서 주목받으면서 함께 화제가 되었다.[29] 함흥의 대표적인 냉면 전문점으로는 "신흥관"이 있다.[27][30]
참조
[1]
웹사이트
mul-naengmyeon
http://www.hansik.or[...]
2017-05-16
[2]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07-30
[2]
보도자료
주요 한식명 로마자 표기 및 표준 번역 확정안 공지
http://www.korean.go[...]
2014-05-02
[3]
웹사이트
Here's why you want to go to K-Town for cold noodles, even in the middle of winter
https://www.latimes.[...]
2015-12-29
[4]
웹사이트
Behind Story
https://www.cj.co.kr[...]
[5]
웹사이트
Korean recipes: Naengmyeon (냉면)
https://www.korea.ne[...]
[6]
백과사전
냉면
https://terms.naver.[...]
[7]
웹사이트
[Weekender] Pyongyang vs. Hamhung: Naengmyeons of Korea
http://www.koreahera[...]
2018-04-20
[8]
웹사이트
Pyongyang naengmyeon
https://archive.toda[...]
2013-01-29
[9]
웹사이트
Hamhung naengmyeon
https://archive.toda[...]
2013-01-29
[10]
뉴스
[박정배의 한식의 탄생] 중국엔 없는 '한국형 中食'… 땅콩소스·겨자 넣은 냉면
http://news.chosun.c[...]
2017-07-26
[11]
웹사이트
Eating in Changchun, Local Delicacy and Snacks, Ginseng Soup, Korean Food in Changchun
https://www.chinaexp[...]
[12]
웹사이트
东北大冷面的做法_东北大冷面怎么做_我爱馋猫的菜谱_美食天下
https://home.meishic[...]
[13]
웹사이트
为了一碗冷面,东三省吵起来了
https://m.huxiu.com/[...]
2020-08-13
[14]
뉴스
Naengmyeon wins award
http://www.newsen.co[...]
[15]
웹사이트
'Cold noodles are peace symbol': summit to savour for euphoric Koreans
https://www.theguard[...]
2018-04-28
[16]
뉴스
평양냉면과 함흥냉면의 본산
2001-08-03
[17]
뉴스
평양냉면 vs 함흥냉면! 뭐가 다르지?
2001-07-04
[18]
웹사이트
冷麺 メニュー説明 韓国グルメ・レストラン
http://www.seoulnavi[...]
ソウルナビ
[19]
웹사이트
韓国の麺類 その2 冷麺の歴史
http://world.kbs.co.[...]
韓国放送公社 (KBS)
2008-07-01
[20]
문서
일본における「冷やし中華はじめました」と同様に、「冷麺開始」というのぼりなどが店頭に出される。
[21]
웹사이트
〈コラム〉かき氷・あんパン・プデチゲ…近現代史が残した “贈り物”=韓国(1)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3-04-19
[22]
웹사이트
UNESCO - Pyongyang Raengmyon custom
https://ich.unesco.o[...]
[23]
웹사이트
【BOOK】サムギョプサルから韓国現代史が見えるというが…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3-03-19
[24]
위키피디아
냉면
[25]
웹사이트
韓国の麺類 その1 夏の名物冷麺
http://world.kbs.co.[...]
韓国放送公社(KBS)
2008-06-24
[26]
뉴스
冷麺の殿堂―玉流館(平壌)
http://www1.korea-np[...]
朝鮮新報
2000-06-05
[27]
학술지
冷麺…同じようだが
http://www.altasia.o[...]
東亜日報社
2001-07
[28]
뉴스
玉流館がリニューアル 15日から営業再開
http://www1.korea-np[...]
朝鮮新報
2008-04-18
[29]
뉴스
ソウルで食べる平壌冷麺 玉流館のレシピで作られる絶品冷麺を食べてみた
https://www.koreawor[...]
2020-02-22
[30]
뉴스
【グルメ】ゴムのように硬い、甘酸っぱい咸興冷麺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01-08-21
[31]
웹사이트
釜山の名物料理「ミルミョン」
http://www.pusannavi[...]
プサンナビ
2004-08-12
[32]
웹사이트
中国冷麺食べ歩き!【2006年】
https://www.seoulnav[...]
ソウルナビ
2006-08-22
[33]
뉴스
중국에도 없는 중국냉면, 누가 만들어 언제부터 먹었을까
https://www.hani.co.[...]
ハンギョレ新聞
2021-06-10
[34]
웹사이트
チョルミョン
http://www.seoulnavi[...]
ソウルナビ
2000-05-14
[35]
위키피디아
쫄면
[36]
웹사이트
〈100年を結ぶ物語・・・人々の闘いの軌跡…①〉 元祖 平壌冷麺屋四代㊤
http://korea-np.co.j[...]
조선신보
2010-08-02
[37]
웹사이트
〈100年を結ぶ物語・・・人々の闘いの軌跡…②〉 元祖 平壌冷麺屋四代㊦
http://korea-np.co.j[...]
조선신보
2010-08-02
[38]
웹사이트
NIKKEI STYLE グルメクラブ 食べ物新日本奇行classic 第9回 いわゆる冷やし中華「(1) 冷やし中華、冷麺、冷やしラーメン…どう呼びますか?」
https://style.nikkei[...]
[39]
웹사이트
吉林省 グルメ
http://www.peoplesch[...]
인민중국
[40]
뉴스
兰州拉面入选“中国十大面条” 网友称实至名归
http://www.chinanews[...]
2013-07-08
[41]
뉴스
유래를 통하여 보는 평양랭면
http://www.kcna.co.j[...]
2021-11-02
[42]
서적
동국세시기
http://jsg.aks.ac.kr[...]
2020-09-21
[43]
뉴스
유래를 통하여 보는 평양랭면
http://www.idomin.co[...]
2007-05-17
[44]
뉴스
[길위에서의생각](60) 캄보디아(7) - ‘평양랭면’ 소회(所懷)
http://www.gnynews.c[...]
2010-06-04
[45]
뉴스
MBC스페셜, 냉면에 녹여낸 재일동포의 애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8-21
[46]
뉴스
한국 냉면이 연길 냉면에 밀린 까닭
http://www.hani.co.k[...]
2020-11-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식약처, 배달음식점 66곳 적발…소비기한 지난 제품 등 판매
[친절한 경제] "외식하기 겁나네"…미국 수출도 꺾인 'K푸드'
“삼겹살 1인분이 2만원대”…긴 폭염에 펄펄 끓는 ‘외식물가’
“폭염·폭우에 고삐 풀린 ‘외식물가’ 어쩌나”
[자막뉴스] 무서워서 먹겠나…냉면·삼계탕값 또 올랐다
서울폭염에 냉면·삼계탕값 또 인상…유명식당 기본삼계탕 2만 원
인천공항서 가장 맛있는 음식은?
'기준치 50배' 대장균 검출…서울시, 여름철 음식점 점검
“파리를 쫓을 무렵이면 냉면값 오른다지” [.txt]
"1인 손님은 기다리는 게 규칙"…어느 냉면집의 황당한 룰
당신을 위한 평양냉면 한그릇 [이종건의 함께 먹고 삽시다]
폭염에 입맛 없다면···냉면·비빔면·막국수·메밀소바, 간편하게 먹는 면류 총출동
“면사랑, 오뚜기에 납품해도 된다”…중기부, 1심 판결 수용
“9990원 반값 수박 맛보세요”…롯데마트, 여름 먹거리 할인대전
'만만한 메뉴가 없다'…삼겹살 · 김밥 · 비빔밥 또 올라
BTS 진 “'핸썸가이즈' 만큼 마음 편한 곳 없어” | JTBC 뉴스
냉면 한 그릇 2만 원?…천정부지 오르는 외식 물가
서울 김치찌개 백반 평균 8천500원…냉면·비빔밥도 올라
‘서민 음식의 배신’…자장면 7500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