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평 윤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평 윤씨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번성한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윤관이 여진 정벌에서 공을 세웠고, 조선 시대에는 많은 문과 급제자와 왕비를 배출하며 명문 가문으로 자리 잡았다. 세조의 정비 정희왕후,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 중종의 왕비 장경왕후와 문정왕후 등 왕실과의 인척 관계를 통해 권력을 강화했으며, 16개의 분파로 나뉘어 전국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주요 유적으로는 파평 용연, 파주 윤관 장군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평 윤씨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파평 윤씨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파평 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파평 윤씨
한자 표기坡平尹氏
나라한국
관향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시조윤신달(尹莘達)
중시조윤관(尹瓘)
집성촌
지역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경상북도 예천군·구미시
충청북도 청주시 미원면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황해도 송화군·황주군·신천군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남양주시 월산리
주요 인물
인물윤언이
윤인첨
윤보
윤계종
희비 윤씨
윤승순
윤호
윤곤
윤번
윤사분
정희왕후
장경왕후
문정왕후
윤사흔
윤사로
윤호
윤필상
정현왕후
윤여필
윤지임
윤인경
윤의립
윤임
윤원로
윤원형
윤황
윤강
윤선거
윤증
윤지완
윤동도
윤동섬
윤봉길
윤동주
윤증현
윤여준
윤석금
윤형주
윤장현
윤종원
윤호중
윤석중
윤기중
윤방부
윤석열
통계
년도2015
인구770,932명

2. 중시조

중시조 윤관


5세손인 '''윤관'''은 1074년(고려 문종 28년) 문과에 급제하여 선종 때 합문지후와 좌사낭중을 지냈다. 1107년(예종 2) 여진 정벌의 원수가 되어 부원수인 오연총과 함께 17만 대군을 이끌고 동북면으로 출전하여 함주, 영주 등에 9성을 쌓아 여진을 평정하였다. 이 공으로 추충좌리평융척지진국공신에 책록되고, 영평현 개국백에 봉해졌으며, 수태보 문하시중 판병부사 상주국 감수국사에 이르렀다.[1]

3. 역사

고려 말, 조선 초 윤승례(尹承禮), 윤곤(尹坤) 등의 활약으로 가문의 기반을 다졌다. 조선시대에는 왕비 5명, 상신 11명을 배출하며 명문가로 자리 잡았다.[2]

5세손인 윤관(尹瓘)은 1074년(고려 문종(文宗) 28년) 문과에 급제하여 선종 때 합문지후(閤門祗候)와 좌사낭중(左司郎中)을 지냈다. 1107년(예종 2) 여진 정벌의 원수가 되어 부원수인 오연총과 함께 17만 대군을 이끌고 동북면으로 출전하여 함주(咸州), 영주(英州) 등에 9성을 쌓아 여진을 평정하였다. 이 공으로 추충좌리평융척지진국공신(推忠佐理平戎拓地鎭國功臣)에 책록되고, 영평현(鈴平縣) 개국백(開國伯)에 봉해졌으며, 수태보(守太保)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병부사(判兵部事) 상주국(上柱國) 감수국사에 이르렀다.[1]

14대손 윤승례가 고려 말기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다. 윤승례의 아들인 윤번의 딸이 세조비 정희왕후가 되면서, 윤번의 맏아들인 윤사분(尹士昐)과 셋째 아들인 윤사흔(尹士昕)이 우의정에 올랐고, 차남인 윤사윤(尹士昀)은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윤사윤의 손자인 윤여필(尹汝弼)의 딸이 중종의 제1계비인 장경왕후이고, 그녀의 오빠가 윤임(尹任)이다. 장경왕후 사후 윤사흔의 증손인 윤지임(尹之任)의 딸이 제2계비로 책봉되어 문정왕후(文定王后)가 되었다. 문정왕후의 아들이 제13대 왕 명종이 되면서, 문정왕후의 동생인 윤원형(尹元衡)은 영의정을 역임하였다.[2]

윤승례의 형인 윤승순(尹承順)의 아들인 윤곤(尹坤)은 이방원을 도와 좌명공신에 책록되고 우참찬을 지냈다. 윤곤의 손자인 윤호(尹濠)는 딸이 성종비 정현왕후(貞顯王后)가 되자 국구(國舅)로서 영원부원군(鈴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윤곤의 증손인 윤필상(尹弼商)은 성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

4. 분파

파평 윤씨는 크게 16개 파로 나뉜다.

윤관을 시조로 하는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 6세: 윤언인(尹彦仁)
  • 7세: 윤덕첨(尹德瞻)
  • 8세: 윤위(尹威) - 남원백파(南原伯派)
  • 6세: 윤언식(尹彦植)
  • 7세: 윤평수(尹平壽)
  • 8세: 윤종문(尹宗文)
  • 9세: 윤은형(尹殷衡) - 덕산군파(德山君派)
  • 6세: 윤언이(尹彦頤)
  • 7세: 윤인첨(尹麟瞻) - 문정공파(文定公派)
  • 7세: 윤자고(尹子固)
  • 8세: 윤인직(尹仁直) - 신녕군파(新寧君派)
  • 7세: 윤돈신(尹惇信)
  • 8세: 윤상계(尹商季)
  • 9세: 윤복원(尹復元)
  • 10세: 윤순(尹純)
  • 11세: 윤보(尹珤)
  • 12세: 윤안적(尹安𥡦) - 대언공파(代言公派)
  • 12세: 윤중조(尹中珇) - 봉록군파(奉祿君派)
  • 12세: 윤안숙(尹安淑)
  • 13세: 윤리(尹莅) - 판서공파(判書公派)
  • 14세: 윤혁(尹赫) - 야성군파(野城君派)
  • 13세: 윤척(尹陟)
  • 14세: 윤승휴(尹承休) - 전의공파(典儀公派)
  • 14세: 윤승순(尹承順)
  • 15세: 윤곤(尹坤) - 소정공파(昭靖公派)
  • 15세: 윤목(尹穆) - 원평군파(原平君派)
  • 15세: 윤향(尹向) - 소도공파(昭度公派)
  • 14세: 윤승례(尹承禮) - 판도공파(版圖公派)
  • 15세: 윤번(尹璠) - 정정공파(貞靖公派)
  • 12세: 윤암(尹諳) - 소부공파(少府公派)
  • 12세: 윤안비(尹安庇) - 태위공파(太尉公派)


남원 윤씨, 함안 윤씨 등은 파평 윤씨에서 분관된 성씨이다.

4. 1. 주요 분파 상세

파평 윤씨는 조선시대에 많은 인물을 배출했으며, 현재도 16개의 주요 분파로 나뉘어 있다.

  • '''윤관(尹瓘)의 5세손'''
  • * 6세 윤언인(尹彦仁)
  • ** 7세 윤덕첨(尹德瞻)

'''8세 윤위(尹威) - 남원백파(南原伯派)'''
* 9세 윤극민(尹克敏)
** '''10세 윤돈(尹敦) - 함안백파(咸安伯派)'''

  • * 6세 윤언식(尹彦植)
  • ** 7세 윤평수(尹平壽)

8세 윤종문(尹宗文)
* '''9세 윤은형(尹殷衡) - 덕산군파(德山君派)'''

  • * 6세 윤언이(尹彦頤)
  • ** '''7세 윤인첨(尹麟瞻) - 문정공파(文定公派)'''
  • ** 7세 윤자고(尹子固)

'''8세 윤인직(尹仁直) - 신녕군파(新寧君派)'''

  • ** 7세 윤돈신(尹惇信)

8세 윤상계(尹商季)
* 9세 윤복원(尹復元)
** 10세 윤순(尹純)
*** 11세 윤보(尹珤)
'''12세 윤안적(尹安𥡦) - 대언공파(代言公派)'''
* 13세 낭장공 윤리(尹釐)
** 14세 윤탁(尹鐸) - 복야공파
*** 15세 한림공 윤길(尹吉)
* 13세 시령공 윤보(尹輔)
** 14세 윤취(尹就) - 밀직공파
** 14세 윤장(尹將) - 사재공파
'''12세 윤중조(尹中珇) - 봉록군파(奉祿君派)'''
12세 윤안숙(尹安淑)
* '''13세 윤리(尹莅) - 판서공파(判書公派)'''
** '''14세 윤혁(尹赫) - 야성군파(野城君派)'''
* 13세 윤척(尹陟)
** '''14세 윤승휴(尹承休) - 전의공파(典儀公派)'''
** 14세 윤승순(尹承順)
*** '''15세 윤곤(尹坤) - 소정공파(昭靖公派)'''
16세 윤희이(尹希夷) - 상호군공파(上護軍公派)
* 17세 첨추공 윤리(尹利)
* 17세 재령공 윤정(尹貞)
* 17세 병절공 윤선(尹善)
* 17세 좌랑공 윤신(尹信)
*** 16세 윤희제(尹希齊) - 한성공파(漢城公派)
17세 윤경(尹坰) - 배천공파(白川公派)
17세 윤은(尹垠) - 참의공파(參議公派)=구방파(九房派)
* 18세 충경공 윤사로(尹師路)
* 18세 집의공 윤사석(尹師晳)
* 18세 군수공 윤사유(尹師有)
* 18세 참의공 윤사화(尹師華)
* 18세 사정공 윤사공(尹師貢)
* 18세 통례공 윤사하(尹師夏)
* 18세 사직공 윤사건(尹師騫)
* 18세 호군공 윤사연(尹師淵)
* 18세 어모공 윤사맹(尹師孟)
17세 윤배(尹培) - 장령공파(掌令公派)
17세 윤훈(尹壎) - 목사공파(牧使公派)
*** 16세 윤삼산(尹三山) - 영천부원군파(鈴川府院君派)
17세 상호군 윤오(尹塢)
17세 주부공 윤당(尹塘)
17세 평정공 윤호(尹壕)
17세 참판공 윤해(尹垓)
17세 정호공 윤탄(尹坦)
17세 동추공 윤파(尹坡)
** '''15세 윤목(尹穆) - 원평군파(原平君派)'''
** '''15세 윤향(尹向) - 소도공파(昭度公派)'''
* '''14세 윤승례(尹承禮) - 판도공파(版圖公派)'''
** 15세 윤규(尹珪) - 제학공파(提學公派)
*** 16세 군수공 윤환(尹煥)
*** 16세 공간공 윤형(尹炯)
*** 16세 직장공 윤희(尹熺)
** 15세 윤보로(尹普老) - 부윤공파(府尹公派)
*** 16세 참판공 윤수미(尹須彌)
*** 16세 영상공 윤태산(尹太山)
** 15세 윤번(尹璠) - 정정공파(貞靖公派)
*** 16세 이정공 윤사분(尹士昐)
*** 16세 성안공 윤사윤(尹士昀)
*** 16세 양평공 윤사흔(尹士昕)
*** '''12세 윤암(尹諳) - 소부공파(少府公派)'''
13세 영윤공 윤주보(尹周輔) [장방파]
13세 파평군 윤해(尹侅) [이방파]
*** '''12세 윤안비(尹安庇) - 태위공파(太尉公派)'''

4. 1. 1. 문정공파

윤관의 넷째 아들 윤언이(尹彦頤)의 셋째 아들인 윤인첨(尹麟瞻)을 파조로 한다. 윤인첨은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예부시랑에 이르렀으며, 이자겸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추충좌리공신(推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문정(文定)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

문정공파의 주요 인물로는 윤인첨의 6세손인 윤승례(尹承禮)가 있다. 윤승례는 조선 태조의 딸인 숙신옹주와 혼인하여 왕실과 인연을 맺었고,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윤승례의 아들 윤곤(尹坤)은 세종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소정(昭靖)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윤곤의 후손들은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내며 명문가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하였다.[1]

문정공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1]

29세
36세
30세
37세
31세
38세
32세
39세
33세
40세
34세
41세
35세
42세
36세
43세
37세
44세
38세
45세
39세
46세
40세
47세
口방(邦)여(汝)상(相)口섭(燮)치(致)
口종(宗)
口석(錫)
병(秉)
원(源)
口훈(勳)
口식(植)
재(在)
지(志)
口병(炳)
口곤(坤)
규(奎)
종(鍾)
口종(踵)
口영(永)
수(洙)


4. 1. 2. 소부공파

소부공파(少府公派)의 파조는 윤암(尹諳)이다.

소부공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

20세
32세
21세
33세
22세
34세
23세
35세
24세
36세
25세
37세
26세
38세
27세
39세
28세
40세
29세
41세
30세
42세
31세
43세
32세
44세
33세
45세
34세
46세
35세
47세
36세
48세
37세
49세
38세
50세
39세
51세
40세
52세
41세
53세
42세
54세
43세
55세
44세
56세
45세
57세
46세
58세
47세
59세
48세
60세
口효(孝)석(錫)·진(鎭)口수(洙)·口한(漢)상(相)·식(植)口희(熙)재(在)口용(鎔)영(泳)口표(杓)형(炯)口원(垣)현(鉉)口태(泰)동(東)口현(炫)중(重)口용(鏞)승(承)口오(梧)주(炷)口균(均)성(成)口호(浩)병(柄)口섭(燮)교(敎)口수(銖)여(汝)口기(棋)


4. 1. 3. 태위공파

태위공파(太尉公派)의 파조는 윤안비(尹安庇)이다.

태위공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

19세
31세
20세
32세
21세
33세
22세
34세
23세
35세
24세
36세
25세
37세
26세
38세
27세
39세
28세
40세
29세
41세
30세
42세
31세
43세
32세
44세
33세
45세
34세
46세
35세
47세
36세
48세
37세
49세
38세
50세
태(泰)口식(植)병(炳)口기(基)
口균(均)
종(鍾)
진(鎭)
口영(永)
口수(洙)
동(東)
상(相)
口묵(默)
口환(煥)
용(用)
성(星)
口석(錫)
口현(鉉)
제(濟)
도(渡)
口주(柱)
口근(根)
광(光)
희(熙)
口재(在)
口선(先)
동(銅)
선(善)
口영(永)
口주(注)
주(株)
보(保)
口경(炅)
口형(炯)
봉(奉)
성(聖)
口호(鎬)
口용(鏞)


5. 항렬자

파평 윤씨 각 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 항렬자는 이름에 쓰이는 글자로, 세대(世代)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 문정공파 (文定公派) (시조로 1세, 파조로 1세)

29세
36세
30세
37세
31세
38세
32세
39세
33세
40세
34세
41세
35세
42세
36세
43세
37세
44세
38세
45세
39세
46세
40세
47세
口방(邦)여(汝)상(相)口섭(燮)치(致)
口종(宗)
口석(錫)
병(秉)
원(源)
口훈(勳)
口식(植)
재(在)
지(志)
口병(炳)
口곤(坤)
규(奎)
종(鍾)
口종(踵)
口영(永)
수(洙)


  • 소부공파 (少府公派) (시조로 1세, 파조로 1세)

20세
32세
21세
33세
22세
34세
23세
35세
24세
36세
25세
37세
26세
38세
27세
39세
28세
40세
29세
41세
30세
42세
31세
43세
32세
44세
33세
45세
34세
46세
35세
47세
36세
48세
37세
49세
38세
50세
39세
51세
40세
52세
41세
53세
42세
54세
43세
55세
44세
56세
45세
57세
46세
58세
47세
59세
48세
60세
口효(孝)석(錫)
진(鎭)
口수(洙)
口한(漢)
상(相)
식(植)
口희(熙)재(在)口용(鎔)영(泳)口표(杓)형(炯)口원(垣)현(鉉)口태(泰)동(東)口현(炫)중(重)口용(鏞)승(承)口오(梧)주(炷)口균(均)성(成)口호(浩)병(柄)口섭(燮)교(敎)口수(銖)여(汝)口기(棋)


  • 태위공파 (太尉公派) (시조로 1세, 파조로 1세)

19세
31세
20세
32세
21세
33세
22세
34세
23세
35세
24세
36세
25세
37세
26세
38세
27세
39세
28세
40세
29세
41세
30세
42세
31세
43세
32세
44세
33세
45세
34세
46세
35세
47세
36세
48세
37세
49세
38세
50세
태(泰)口식(植)병(炳)口기(基)
口균(均)
종(鍾)
진(鎭)
口영(永)
口수(洙)
동(東)
상(相)
口묵(默)
口환(煥)
용(用)
성(星)
口석(錫)
口현(鉉)
제(濟)
도(渡)
口주(柱)
口근(根)
광(光)
희(熙)
口재(在)
口선(先)
동(銅)
선(善)
口영(泳)
口주(注)
주(株)
보(保)
口경(炅)
口형(炯)
봉(奉)
성(聖)
口호(鎬)
口용(鏞)


6. 인물

7. 왕실과의 인척 관계

8. 집성촌


9. 유적지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권96, 열전9 https://terms.naver.[...]
[2]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52> 윤씨·파평윤씨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