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주국의 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국의 경제는 1930년대 일본 제국에 의해 계획되고 운영되었다. 만주국은 소련의 계획 경제를 참고하여 국가 통제를 강화하고, 중공업을 육성하는 경제 계획을 추진했다. 일본은 만주국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여 동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산업 지역으로 성장시켰으며, 주요 산업으로는 광업, 농업, 중공업 등이 있었다. 만주국의 경제 모델은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 경제 발전에도 기여했다. 하지만, 만주국은 일본의 식민 지배와 자원 수탈의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민족 차별 정책으로 인한 갈등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국의 경제 - 만주국 위안
    만주국 위안은 만주국에서 사용된 통화로, 만주 중앙 은행에서 발행되었으며, 초기에는 은본위제를 채택했으나 일본 엔에 고정 환율로 연동되었고, 만주국 해산 후 동북 유통권으로 대체되었다.
만주국의 경제
개요
국가만주국
존속 기간1932년 3월 1일 ~ 1945년 8월 18일
정치 체제입헌군주제, 일당 독재
수도신징 (장춘)
공용어중국어, 일본어, 몽골어
통화만주국 위안
통계
면적1,300,000 km² (1932년)
인구30,000,000명 (1932년)
43,233,954명 (1940년)
경제 지표
GDP (명목)불명
1인당 GDP (명목)불명
산업
주요 산업농업
광업
제조업
농업콩, 밀, 쌀, 옥수수, 수수
광업석탄, 철광석, 마그네슘, 금
제조업철강, 기계, 화학제품, 식품 가공
교통
철도만주국 철도
도로만주국 도로
항공만주항공
대외 무역
주요 수출품콩, 석탄, 철광석
주요 수입품기계, 화학제품, 섬유
주요 교역국일본, 독일, 미국
기타
관련 항목만주국
관동주
남만주 철도 주식회사
만주 중앙은행

2. 역사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어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그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

3. 만주국의 경제

일본 제국의 통제 하에 있던 만주국의 경제는 국가 주도의 계획 경제 체제를 특징으로 한다.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 인원들이 참여한 '만주 경제 조사회'는 '만주국 경제 건설 요강'을 통해 경제 정책의 기본 방향을 설정했다. 이는 통제 없는 자본주의의 폐해를 막고 국가적 통제를 통해 자본 효율을 높인다는 명분 아래, 당시 세계 대공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성장하던 소련의 계획 경제 모델을 일부 참고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금속, 석유, 무기 등 전략 물자는 만주국 정부나 만철이 출자한 특수 법인이 독점하고, 다른 산업에서도 특정 기업에 독점권을 부여하는 '일업일사주의'를 채택하여 기존 재벌의 참여를 배제했다.

경제 기반 마련을 위해 1932년 만주 중앙 은행이 설립되어 다양한 화폐를 만주 원으로 통일시켰다. 일본은 만주국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했는데, 민간 및 정부 투자를 합쳐 1938년에는 17.15억(당시 약 1.7158000000000002억파운드)에 달했고, 1941년에는 50억이 재투자되었다. 이러한 투자는 주로 중공업 육성에 집중되었다.

1936년 10월, 일본 육군은 만주국의 경제적 자립과 군수 산업 육성을 목표로 총액 26억 규모의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계획은 광공업 생산 중심으로 수정되었고 투자액도 약 50억으로 증액되었다. 이로 인해 만주국은 자급자족 경제 구축보다는 일본의 전쟁 수행을 위한 원자재 공급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었다. 같은 해 아이카와 요시스케가 이끄는 일본 산업이 본사를 신징으로 옮겨 만주 중공업 개발 주식회사로 재편되었고, 이 회사는 만주국 내 중공업과 광업 투자를 총괄하며 일본의 경제적 통제를 심화시켰다.

일본의 집중적인 투자 결과, 만주국은 동아시아에서 일본 본토와 소련 다음으로 큰 산업 지역으로 부상했다. 풍부한 자원과 빠르게 건설된 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고도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이는 철저히 일본의 통제하에 이루어졌으며 주요 산업과 기술, 행정직은 일본인들이 장악했다. 외국 사업가들 사이에서는 만주국을 '일본주국("Japanachukuo")'이라고 부를 정도였다. 1945년까지 일본이 만주국에 투자한 총액은 110억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만주국의 국가 주도 경제 개발 모델은 이후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 과정과 비교되기도 한다. 특히 만주국 군관학교 출신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만주국의 경제 시스템을 경험하고 이를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한국의 경제 개발 모델에 적용했다는 평가가 있다.[2] 1960년대 국가 주도의 경공업 육성과 1970년대 중공업 중심의 계획 경제 정책 추진 과정에서 1930년대 만주국의 경험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된다.[2]

3. 1. 만주국 경제 계획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 인원들이 참여한 '만주 경제 조사회'가 마련한 '만주국 경제 건설 요강'에서 만주국 경제 계획의 기본 방침이 정해졌다. 이 요강은 통제 없는 자본주의 경제의 폐단을 막고 국가적 통제를 통해 자본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당시 세계 대공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중공업 생산량을 늘리고 있던 소련의 계획 경제 모델을 지향하였다.

금속, 석유, 무기 등 전략 물자는 만주국과 만철이 주로 출자해 설립한 특수 법인이 독점하도록 했으며,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일업일사주의'를 채택하여 재벌의 참여를 배제했다. 이는 스탈린의 5개년 경제 개발 계획과 국가 주도 공업화 모델을 따른 것으로, 국가가 중공업 위주의 집중 투자를 유도하고 경제 질서를 통제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1932년에는 만주 중앙 은행을 설립하여 만주 내 여러 종류의 통화를 만주국 원으로 일원화했다.

1930년대 후반, 일본 육군은 만주국의 경제적 자립과 군수 산업의 대규모 개발을 목표로 삼았다. 1936년 10월 탕강자 회의에서는 군수 산업 확립, 농업 자원 증산, 산업 개발 시설 정비 등 20개 분야를 중점 개발 대상으로 정하고, 총액 26억을 투자하는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을 결정했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계획은 큰 변화를 맞았다. 4월부터 시작된 계획은 광공업 생산 중심으로 수정되었고, 투자 예정액은 약 50억으로 대폭 증액되었다. 이로 인해 만주국의 자급자족 경제 확립은 어려워졌으며, 일본에 대한 원자재 공급 기지로서의 성격이 강해졌다. 같은 해, 아이카와 요시스케가 이끄는 일본 산업 (닛산)이 본사를 신징으로 옮겨 만주 중공업 개발로 재편되었고, 이 회사는 만주국 내 중공업 및 광업 투자를 총괄하는 지주 회사 역할을 수행하며 산업 통제를 강화했다.

일본의 투자는 민간 및 중앙 정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국가 주도의 계획 경제는 만주국이 풍부한 자원과 집중 투자된 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빠르게 경제 성장을 이루는 기반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3. 2.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 인원들이 참여한 '만주 경제 조사회'는 '만주국 경제 건설 요강'을 통해 만주국 경제 정책의 기본 방향을 설정했다. '요강'에 따르면 "무통제적인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의 폐해를 고려하여 국가적 통제를 가미하고 자본의 효과를 활용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이는 당시 세계 대공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중공업 생산을 늘리던 소련의 계획 경제 모델을 참고한 것이었다.[1] 금속, 석유, 무기와 같은 전략 물자는 만주국과 만철이 주로 출자하여 설립한 특수 법인이 독점하도록 했으며,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특정 산업에 하나의 기업만 참여시키는 '일업일사주의(一業一社主義)'를 채택하여 재벌의 진입을 제한했다.[1] 또한 1932년에는 만주 중앙 은행을 설립하여 만주 내 다양한 화폐를 만주 원으로 통일시켰다.[1]

1930년대 후반, 일본 육군은 만주국 내 자립 경제 구축과 대규모 군수 산업 개발을 목표로 삼았다. 1936년 10월, 탕강자(湯崗子) 회의를 통해 군수 산업 확립, 농산 자원 증산, 산업 개발 시설 정비 등 20개 분야를 중점 개발 목표로 설정하고, 총액 26억을 투자하는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을 확정했다.[1][2]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4월부터 시작된 이 계획은 큰 수정을 거쳤다. 특히 광공업 생산 중심으로 투자가 집중되면서 예정 투자액은 약 50억으로 대폭 증액되었다.[1][3] 이로 인해 만주국의 자급자족 경제 확립은 어려워졌고, 일본에 원자재를 공급하는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었다.[1] 같은 해, 아이카와 요시스케가 이끄는 일본 산업이 본사를 신징으로 이전하여 만주 중공업 개발 주식회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만주국 내 중공업 및 광업 분야의 지주 회사로서 관련 투자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1][4]

이 시기 만주국의 주요 산업을 이끌었던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기업명주요 사업
동화 자동차 공업 주식회사승용차 및 트럭 제조
만주 비행기 제조 주식회사 (하얼빈)엔진 및 항공기 제조 (1938년 만주 항공에서 독립)
봉천 병기창남부식 자동 권총 등 무기 제조
쇼와 제강소 (안산)제철 (1913년 안산 제철소로 설립, 1933년 개명)
만주 공작 기계공작 기계 제조
봉천 조병소무기 제조
만주 항공 주식회사항공 운송
만주 중앙 은행국영 중앙 은행
남만주철도 (만철)철도 운영 및 관련 사업


3. 3. 주요 산업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는 '만주국 경제 건설 요강'을 통해 만주국 경제 정책의 기본 방향을 설정했다. 이는 통제 없는 자본주의의 폐해를 막고 국가 주도의 계획 경제를 지향하는 것으로, 당시 세계 대공황의 영향을 받지 않던 소련의 모델을 참고했다. 이에 따라 금속, 석유, 무기 등 전략 물자는 만주국과 만철이 출자한 특수 법인이 독점하고, 다른 산업에서도 특정 기업에 독점권을 부여하는 '일업일사주의'를 채택하여 재벌의 진출을 제한했다. 경제 기반 마련을 위해 1932년 만주 중앙 은행을 설립하여 만주 원으로 화폐를 통일했다.

1930년대 후반, 일본 육군은 만주국의 자립 경제 구축과 군수 산업 육성을 목표로 1936년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총 26억 규모의 이 계획은 군수 산업, 농업 증산, 산업 시설 확충 등 20개 분야를 중점 개발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 발발로 계획은 광공업 생산 중심으로 수정되고 투자액도 약 50억으로 증액되면서, 만주국은 일본의 전쟁 수행을 위한 원자재 공급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었다.

같은 해, 아야카와 요시스케가 이끄는 일본 산업 (닛산)이 본사를 신징으로 이전하여 만주 중공업 개발 주식회사로 재편되었다. 이 회사는 만주국 내 중공업과 광업 분야 전반에 대한 투자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지주 회사 역할을 수행하며 일본의 경제적 통제를 심화시켰다. 이러한 일본 자본의 강력한 지배 구조 때문에 외국에서는 만주국을 '일본주국("Japanachukuo")'이라고 비꼬아 부르기도 했다. 아야카와는 미국 등 외국 자본 유치를 시도했으나 관동군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포드제너럴 모터스 등 일부 외국 기업의 활동은 제한적이었다.

만주국의 주요 산업은 농업, 광업, 중공업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상대적으로 경공업 분야의 성장은 더뎠다. 주요 공업 지대는 펑톈(현재 선양)과 다롄 주변에 형성되었고, 안산, 푸순, 푸신 등지도 중요한 공업 도시였다. 동해 방면으로는 조선 북부의 웅기, 청진, 나진 항구가 활용되었다.

섬네일는 만주국 산업 개발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일본의 투자로 설립되거나 운영된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만주국의 주요 기업
기업명주요 사업
동화 자동차 공업 주식회사자동차 및 트럭 제조
만주 비행기 제조 주식회사항공기 엔진 및 항공기 제조 (하얼빈 소재)
쇼와 제강소철강 생산 (안산 소재, 구 안산 제철소)
만주 공작 기계공작 기계 제조
봉천 조병소남부식 자동 권총 등 무기 제조
만주 항공 주식회사항공 운송
만주 중앙 은행국영 중앙 은행
남만주철도 (만철)철도 운영 및 관련 산업 전반



만주국의 대외 무역은 일본에 크게 의존했으며, 주요 수출품은 대두(콩) 및 그 가공품, 석탄, 등이었다. 주요 수입품은 면직물, 곡물 가루, 선철, 공업 원료 등이었다. 주요 교역 상대국은 중화민국과 일본이었고, 소련과도 일부 교역이 이루어졌다. 자유 무역 지역으로는 치치하얼, 하얼빈, 훈춘이, 자유 항으로는 잉커우, 안둥, 다롄, 뤼순이 운영되었다.

3. 3. 1. 농업

만주국 병합은 일본에게 본토나 다른 점령지에서는 얻기 힘든 넓은 농업 적합지를 제공했다. 만주 지역은 일부 도시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농업 중심이었으며, 인구의 85%가 농업에 종사했다.

주요 농업 지역은 남부 평원이었으며, 농부들은 다양한 작물을 생산했다. 만주 농장들은 전통적인 경작 방식을 사용하며 윤작을 자주 시행했다. 주요 작물은 수수, , 옥수수(전체 작물의 70% 차지), (80%), (35%) 등이었다.

이 외에도 알팔파, 사과, 살구, , 배추, 목화, 오이, 사료 작물, 마늘, 거대 , , , 호프, 견과, 양파, 양귀비(아편 생산용), 복숭아, , 땅콩, , 피마자, 호밀, 참깨, 사탕무, 고구마, 백리향, 담배 등이 대량으로 생산되었다. 아무르강 유역(만주 측)에서는 꿀 약 1.8ton이 수집되기도 했다.

수수와 옥수수로는 보드카, 사케, 맥주, 간장, 식초 등 다양한 술과 조미료를 만들었다. 하얼빈에는 현대적인 제분 공장이 있어 다른 지역의 전통적인 제분소와 차별화되었다.

가장 집약적인 농업은 랴오둥만에서 북서쪽으로 150km에서 250km에 이르는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1934년 기준 총 경작 면적은 약 120000km2에서 160000km2에 달했다. 1934년 주요 작물 재배 비율은 다음과 같다.

콩은 만주국의 가장 중요한 작물이었다.[1] 1908년 영국으로 처음 수출되었으며, 콩의 경제적 중요성은 남만주철도 회사의 역할에 크게 힘입었다. 남만주철도는 다롄 항구를 통해 해외, 특히 중국 본토와 일본으로 콩을 직접 수출하는 길을 열었다. 만주국 내에는 다양한 콩 가공 공장이 존재했다. 그러나 1933년에서 1934년 사이 콩 재배 면적은 4000km2 이상 감소했고, 생산량도 400만~600만 톤에서 384만 톤으로 줄어들었다.

일본은 만주산 콩을 활용하기 위한 산업을 발전시켰다. 연평균 150만 톤의 콩이 생산되었으며, 그중 절반은 유럽으로 수출되었다. 비료용 기름 짜고 남은 찌꺼기와 식용 콩은 일본으로 보내졌고, 나머지 식물 부위는 셀룰로스 공장에서 사용되었다.

만주국은 연간 약 120ton의 중간 품질 목화를 생산했다.

만주국의 양귀비 수확


아편 생산을 위한 양귀비 재배도 이루어졌다. 1932년 11월, 미쓰이 재벌은 현지 아편 사용을 줄인다는 명목 하에 양귀비 재배에 대한 국가 독점을 시행했다. 주요 재배 지역은 열하성과 지린성 북서부로 지정되었다. 1934-35년 재배 면적은 약 480km2로 추정되었으며, 수확량은 km2당 1.1ton이었다. 하지만 높은 수익성 때문에 불법 재배가 성행하여 효과적인 통제는 어려웠다.

만주국은 생산성이 높은 지역으로, 자급자족 농가나 대규모 농장에서 많은 가축을 사육했다. 일본인 전문가들은 생산량 증대를 위해 외래종 돼지, , 등을 도입했으며, 이들 가축은 우유, 고기, 가죽, 양모 등을 생산하는 데 이용되었다.

누에 사육과 야생 실크(Tussah silk) 생산도 중요한 산업이었다. 일반 누에는 뽕나무 잎을 먹여 키웠고, 야생 누에는 신갈나무 등 참나무 잎을 먹여 Tussah 실크를 생산했다. 생산된 실크는 염색 과정을 거쳐 유럽과 미국으로 수출되거나 원자재 형태로 보내졌다. 고치 상태의 누에는 중국과 일본으로 보내지기도 했다. Tussah 실크 생산은 주로 개평과 안동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일반 누에 사육은 관동주, 남만주철도 지역, 조선 등지에서 이루어졌다.

아래 표는 에이커당 부셸 단위(면화는 킬로그램)로 주요 작물의 생산성을 비교한 것이다.

국가옥수수사탕수수감자면화 포대 (kg)
중국6716211987168
일본68252236139199
인도291115--80
소련47101516128188
미국-142522108177



간도(옌지) 지역에서는 한국인들이 대규모로 을 재배했다.

3. 3. 2. 광업

만주국의 가장 중요한 광물 자원은 푸순과 푸신에 매장된 석탄이었다. 푸순과 푸신에는 유성 점판암과 편암 매장지 또한 존재했다. 다싱안링산맥아무르강 유역에는 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었다. 그 외 주요 광물로는 석면, 안티몬, 보크사이트, 칼라이스, 구리, , 석회석, 마그네사이트, 망간, 황철석, 대리석, 소금, 탄산나트륨, , 유황, 타르, 주석, 텅스텐, 아연 등이 있었다.

=== 석탄 ===

푸순 탄광


푸순의 노천 탄광


주요 탄전은 랴오닝성의 푸순에 있었으며, 그 규모는 약 15km x 3km에 달했다. 선양(당시 무크덴)에서 32km 떨어진 푸순 탄광은 역청탄 매장량이 7억~10억 톤에 달했으며, 노천 채탄 방식과 일반 채탄 방식으로 채굴되었다. 만주국 전체의 역청탄 매장량은 30억 톤으로 추정되었고, 대부분 랴오닝성에 집중되었으며 나머지는 지린성, 헤이룽장성, 싱안성, 러허성에 분포했다. 무연탄 매장량은 2억 톤, 갈탄 매장량은 5050만 톤으로 추정되었다.

푸순 외에도 옌타이에 탄전이 있었고(1923년~1924년 생산량 100만 톤), 번시후와 신타이에서도 탄광이 운영되었다. 다른 주요 탄광으로는 랴오닝성의 시안, 지린성의 물링, 러허성의 롄펑 등이 있었다.

석탄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1907년~1908년에는 200만 톤 미만이었으나, 1919년~1920년에는 370만 톤, 1924년~1929년에는 554만 톤으로 증가했다. 1925년 남만주 철도 회사(만철)는 국경역 만저우리에서 25km 떨어진 차라이노르 탄광 개발에 투자하여 29만 톤을 채굴했다. 1930년 만주국 전체 생산량은 1,000만 톤을 넘어섰고, 1934년에는 총생산량이 800만 톤에 달했다. 이는 국내 소비 증가와 수출 증대에 따른 것이었다. 1941년에는 2,000만 톤을 생산했으며, 당시 추정된 총 매장량은 200억 톤에 달했다.

1934년~1936년 주요 성별 석탄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

지역생산량 (톤)
헤이룽장성405,000
러허성458,000
지린성267,000
랴오닝성(펑톈성)10,656,000



일본은 산업용 석탄 가스화 설비를 건설하여 석탄 자원을 활용했다.

=== 철 ===

미국 지질학자 포스터 페인에 따르면 동아시아 철광석 매장량의 약 70%가 만주 연안 지역에 위치했으며, 1944년 추정 매장량은 20억~25억 톤에 달했다. 이는 당시 독일의 매장량(7억 2100만 톤)을 크게 상회하는 규모였다. 주요 철광석은 60%의 철 함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순 남쪽 안산 인근의 다른 광상은 평균 40%의 철 함량을 보였다.

주요 철광산은 랴오닝성 안산 인근의 타쿠산, 샨 파이 샹 산맥, 먀오얼커우, 퉁피엔타오 등지에 있었다. 1931년~1932년 철광석 생산량은 100만 톤이었다. 1934년에는 저품질 적철광 95만 톤이 생산되었고, 먀오얼커우 광산에서도 23만 5천 톤의 적철광이 생산되었다. 퉁피엔타오 지역에는 1억 톤의 고품질 철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철 생산 및 가공은 주로 안산 제철소(1913년 설립, 1933년 쇼와 제강소로 개명)와 번시후(펀시후)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1933년 이 두 공장의 총 철 생산량은 43만 톤이었다. 안산 제철소는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1941년에는 철 175만 톤과 강철 100만 톤을 생산했으며, 1942년에는 생산량이 철 360만 톤으로 증가했다. 번시후 공장은 50만 톤, 퉁피엔타오 공장은 80만 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었다. "중국 지질 조사 특별 보고서"(1945)에 따르면, 만주와 점령된 중국에서 일본의 철 생산량은 10만 1천 톤에서 17만 5천 톤으로 73% 증가했다고 언급되었다.

만주국은 철강 가공을 위해 일본으로부터 고철(스크랩)을 수입하는 동시에, 미완성 강철 제품을 일본으로 수출하여 일본의 철강 산업을 뒷받침했다.

=== 석유 ===

만주국은 석유 자원이 빈약하여, 푸순과 푸신 지역의 셰일 및 편암에서 주로 석유를 추출했다. 푸순에서는 1941년에 100만 톤의 셰일 오일을 생산했다. 러허성의 탄광 지대에서도 소량의 석유가 채굴되었다. 일본은 만주국 내에 정유 공장을 운영하여 추출된 자원을 처리했다.

=== 보크사이트 및 알루미늄 ===

주요 보크사이트 공급원은 랴오닝성의 명반석 매장지였다. 옌타이, 번시후 등지의 보크사이트와 명반석 매장량은 금속 함량 55% 기준으로 약 2,530만 톤으로 추정되었으며, 이후 1억 2천만 톤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만철은 이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1932년 푸순과 도쿄에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36년부터 1938년 사이에 "만주 경금속 협회"를 설립하여 알루미늄 생산을 본격화했다. 정제 공정에는 푸순 탄광의 전력, 염산, 염화 칼륨 등이 사용되었다. 알루미늄 생산량은 1938년 5,000톤에서 1942년 30,000톤으로 급증했다.

=== 기타 광물 ===


  • '''구리, 납, 아연:''' 1936년 구리 생산량은 100톤이었으나 1943년에는 500톤으로 증가했다. 납 생산량은 1,223톤, 아연 생산량은 398톤이었다.
  • '''마그네사이트:''' 츠차오와 누이시산 북서쪽의 마그네사이트 광산은 1913년에 개발되었으며, 추정 매장량은 136억 톤에 달했다. 안둥-무크덴 철도 100km 연장을 통해 개발이 촉진되었으며, 1941년에는 3개의 시설에서 세계 생산량의 24%를 처리했다.
  • '''기타:''' 이 외에도 강에서 을 채취했으며, 염호에서 소금을 얻었다. 안티몬 매장량도 상당했다. 소량의 망간도 산출되었다.


=== 일본의 통제와 자원 개발 ===

만주국의 광업 개발은 일본의 강력한 통제 하에 이루어졌다.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가 주도한 '만주국 경제 건설 강요'는 금속, 석유 등 전략 물자를 만주국과 만철이 출자한 특수 법인이 독점하도록 규정했다. 이는 소련식 계획 경제를 모방하여 국가적 통제를 강화하고 재벌의 영향력을 배제하려는 의도였다.

1936년에는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이 수립되어 군수 산업 육성과 자원 개발에 총액 26억 엔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계획은 광공업 생산 중심으로 대폭 수정되었고 투자액도 약 50억 엔으로 증액되었다. 이로 인해 만주국은 자급자족 경제 확립보다는 일본에 원자재를 공급하는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해졌다.

같은 해 아야카와 요시스케가 이끄는 일본 산업이 본사를 신징으로 이전하여 만주 중공업 개발로 재편되었다. 이 회사는 만주국 내 중공업 및 광업에 대한 지주 회사로서 투자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며 일본의 자원 수탈을 뒷받침했다. 아야카와는 투자 기회를 미국 등 외국에도 개방하려 했으나, 외세 개입을 꺼린 관동군에 의해 거절되었다. 이러한 일본 자본의 독점적 지배 구조는 '일본주국(Japanachukuo)'이라는 비판적 별칭을 낳기도 했다.

주요 광공업 관련 기업으로는 안산 제철소(쇼와 제강소), 만주 비행기 제조, 봉천 조병소 등이 일본의 투자로 설립되거나 운영되었다.

3. 3. 3. 중공업

1933년 관동군과 만주철도조사부 인원들이 모여 구성한 '만주 경제 조사회'는 '만주국 경제 건설 요강'을 통해 만주국 경제의 기본 방침을 정했다. 이 요강은 통제 없는 자본주의의 폐단을 지적하며 국가적 통제를 강화하고 자본의 효율적 활용을 강조했다. 특히 당시 세계 대공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중공업 생산량을 늘리던 소련계획 경제 모델을 지향했다.[3] 금속, 석유, 무기 등 전략 물자는 만주국과 만철이 주로 출자해 설립한 특수 법인에 독점 생산을 맡겼으며, 다른 산업에서도 '일업일사주의'를 내세워 특정 기업에 독점권을 부여하고 재벌의 참여는 배제했다.

1930년대 후반, 일본 육군은 만주국 내 자립 경제 확립과 군수 산업의 대규모 개발을 목표로 삼았다. 1936년 10월 '탕강자 회의'에서는 군수 산업 확립, 농산 자원 증산, 산업 개발 시설 정비 등 20개 분야를 중점 개발 목표로 설정하고, 총액 26억을 투자하는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을 결정했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계획은 대폭 수정되어, 광공업 생산 중심으로 투자 예정액이 약 50억으로 증액되었다. 이로 인해 만주국 경제의 자급자족 목표는 달성하기 어려워졌고, 일본에 원자재를 공급하는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해졌다.

같은 해인 1937년, 아야카와 요시스케가 이끄는 일본 산업 (닛산)이 본사를 만주국 수도 신징으로 이전하여 만주 중공업 개발 주식회사가 되었다. 이 회사는 만주국 내 중공업 및 광업 분야의 지주 회사로서 관련 투자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일본은 이 회사 설립에 7.58억을 투입하며 만주국 중공업 및 광업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안산의 쇼와 제강소는 만주국 중공업의 핵심 시설 중 하나였다.


일본의 개입 이전 만주 지역의 유일한 현대적 산업 시설은 군벌 장학량(장쭤린의 아들) 소유의 무크덴 병기창 정도였다. 일본은 식민 통치하에서 호시노 나오키 등의 주도로 소련의 5개년 계획을 모방한 두 차례의 5개년 계획을 시행하며 산업 개발을 추진했다. 주요 목표는 일본 군대에 원자재와 완제품을 공급하는 것이었다.

만주국의 주요 산업 중심지는 펑톈(현재의 선양)–다롄 지역이었으며, 안산, 사허커우, 뤼순, 푸순, 푸신 등 여러 도시에도 산업 시설이 들어섰다. 또한 동해 방면 교역을 위해 조선 북부의 항구인 웅기, 청진, 나진을 이용하기도 했다.

주요 생산 품목은 항공기, 자동차 및 트럭, 기관차 등 운송 수단을 비롯하여 철강, 광산 장비, 탄약과 같은 중공업 제품, 공작 기계, 전기 장치, 화학 제품, 시멘트, 비료, 다이너마이트 등 다양했다. 특히 석탄, 철강, 시멘트 생산량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1932년부터 1935년 사이 석탄 생산량은 연간 1500만ton의 코크스탄, 시멘트 생산량은 당시 일본 전체 생산량의 10%에 달했으며, 철강 생산량은 연간 45만ton을 기록했다.

일본의 막대한 투자를 바탕으로 만주국은 동아시아에서 일본 본토와 소련 다음가는 제3의 산업 지역으로 부상했다. 1938년 일본의 만주국 투자액은 17.15억 (당시 약 1.7158000000000002억파운드)에 달했으며, 1941년에는 50억이 재투자되었다. 1945년까지 일본이 만주국에 투자한 총액은 110억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산업 발전 과정에서 독일 기업과의 기술 협력도 이루어졌다. 도쿄의 니폰 루르기 고시 K.K.(日本ルルギ合同会社일본어)는 독일 메탈게젤샤프트-루르기(Metallgesellschaft-Lurgi Frankfurt am Main A.G.de)의 라이선스를 받아 푸순(만주) 셰일 공장 등 여러 산업 설비를 만주국에 건설했다.

만주국의 중공업을 이끈 주요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만주국의 주요 중공업 관련 기업
기업명주요 사업
동화 자동차 공업 주식회사 (同和自動車工業株式会社일본어)자동차, 트럭 제조
만주 비행기 제조 주식회사 (満州飛行機製造株式会社일본어)항공기 엔진, 항공기 제조 (하얼빈 소재, 1938년 만주 항공에서 독립)
쇼와 제강소 (昭和製鋼所일본어)철강 생산 (안산 소재, 1913년 설립된 안산 제철소를 1933년 개명)
만주 공작 기계 (満州工作機械일본어)공작 기계 제조
봉천 조병소 (奉天造兵所일본어) / 무크덴 병기창무기 제조 (남부식 자동 권총 등)
만주 중공업 개발 주식회사 (満州重工業開発株式会社일본어)중공업, 광업 투자 및 관리 (지주 회사)
남만주철도 (만철, 南満州鉄道일본어)철도 운영 및 관련 산업 (기관차 제조 및 수리 등)



섬네일는 만주국 산업의 동맥 역할을 했다.]]

만주국의 산업은 철저히 일본의 통제하에 있었으며, 외국 사업가들 사이에서는 만주국을 '일본주국("Japanachukuo")'이라고 부를 정도였다. 주요 산업은 만철과 만주 중공업 개발과 같은 일본계 특수 법인들이 독점했으며, 중요한 기술 및 행정직은 대부분 일본인들이 차지했다. 아야카와 요시스케는 미국 등 외국 자본의 투자 유치를 제안했으나, 외세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한 관동군에 의해 거부되었다. 다만, 포드, 제너럴 모터스 등 일부 미국 기업과 영국 기업들이 만주국 내에서 영업 활동을 하기도 했으나, 이는 일본의 전반적인 경제 지배 구조하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3. 3. 4. 경공업

만주국의 산업 개발은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가 수립한 '만주국 경제 건설 강요'에 따라 국가 통제가 강조되는 계획 경제 방식으로 추진되었다.[1] 초기에는 금속, 석유, 무기 등 전략 물자 생산에 집중하며 특수 법인에 독점권을 부여하고 재벌의 진출을 제한하는 '일업일사주의'를 채택했다.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에는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이 광공업 생산 증대에 초점을 맞추도록 수정되면서, 만주국은 일본의 원재료 공급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러한 중공업 및 군수 산업 중심의 개발 정책 속에서 방직, 제분, 제당 등 전통적인 경공업 분야의 발전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만주국의 주요 공업 지대인 펑톈과 다롄 주변에서는 중화학 공업 제품 외에도 리큐어, 맥주, 가공식품 등 일부 소비재 생산이 이루어졌다.

주요 농산물인 대두(콩)는 만주국의 핵심 수출품이었으며,[1] 일본 자본은 콩을 활용한 가공 산업을 발전시켰다. 생산된 콩의 일부는 식용으로 가공되어 일본으로 보내졌고, 나머지는 비료용 원유 페이스트나 셀룰로스 공장의 원료로 사용되었다. 수입품 중에는 면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를 활용한 방직 산업의 구체적인 발전 양상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전반적으로 만주국 경제는 일본 자본의 강력한 통제하에 있었으며, 외국에서는 만주국을 '일본주국("Japanachukuo")'이라 부를 정도로 일본의 경제적 지배가 심화되었다. 만철과 만주 중공업 개발 같은 일본계 특수 법인이 주요 산업을 독점하는 구조 속에서 경공업은 일본의 필요와 중공업 우선 정책의 틀 안에서 제한적으로 성장하는 데 그쳤다. 비록 포드제너럴 모터스 같은 일부 외국 기업들이 활동하기도 했으나, 만주국 내 소비 시장을 위한 경공업 육성은 주요 정책 목표가 아니었다.

3. 4. 인프라

일본의 만주국 인프라 투자는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가 주도한 '만주 경제 건설 강요'에서 기본 방침이 정해졌다. 이 계획은 자본주의의 폐해를 막는다는 명분 아래 국가 통제를 강화하고, 당시 세계 대공황의 영향을 받지 않던 소련식 계획 경제를 일부 도입하려 했다. 금속, 석유, 무기 등 전략 물자는 만주국 정부와 만철이 출자한 특수 법인에 독점권을 부여했으며,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일업일사주의'를 내세워 기존 재벌의 진입을 막고 일본의 통제력을 강화했다.

경제 시스템 정비의 일환으로 1932년에는 만주 중앙 은행이 설립되어 만주 내 다양한 화폐를 만주 원으로 일원화했다.

1936년 10월, 일본 육군은 만주국의 자립 경제 확립과 군수 산업 육성을 목표로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농업 자원 증산, 산업 개발 시설 정비 등 20개 분야에 총액 26억을 투자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계획은 대폭 수정되어, 광공업 생산 중심으로 투자액이 약 50억까지 증액되었다. 이로 인해 만주국의 자립 경제 건설은 어려워졌고, 일본을 위한 원자재 공급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커졌다.

같은 해인 1937년, 아야카와 요시스케가 이끄는 일본 산업이 본사를 신징(현 창춘시)으로 옮겨 만주 중공업 개발로 재편되었다. 만주 중공업 개발은 만주 내 중공업과 광업 분야의 지주회사로서 관련 투자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며 일본 자본의 독점 구조를 공고히 했다. 아야카와는 투자 기회를 미국 등 외국 자본에도 개방하려 했으나, 외세의 영향력을 경계한 관동군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는 과거 메이지 시대에드워드 헨리 해리먼의 남만주철도 경영 참여를 막았던 경험이 반영된 것으로, 만주국 경영 전반에 걸쳐 일본의 독점적 이익 추구가 우선시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국 초기에는 포드, 제너럴 모터스 등 미국 기업과 홍콩 상하이 은행, P&O 등 영국 기업을 비롯한 일부 외국 기업들이 만주 내에 지점을 설치하고 영업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일본의 대규모 투자 아래 도로와 철로 건설, 수풍댐을 포함한 수력 발전 시설 확충 등 주요 인프라 정비가 이루어졌다. 주요 공업 중심지로는 펑톈(현 선양시), 다롄 등이 있었으며, 안산, 푸순, 푸신 등도 주요 산업 도시로 기능했다.

일본의 투자로 설립된 주요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기업명주요 사업
도와 자동차 공업 주식회사자동차 및 트럭 제조
만주 비행기 제조 주식회사 (하얼빈)엔진 및 항공기 제조 (1938년 만주 항공에서 분리)
봉천 병기창남부식 자동 권총 등 무기 제조
쇼와 제강소제철 (안산 제철소(1913년 설립)를 개명, 1933년)
만주 공작 기계공작 기계 제조
봉천 조병소병기 제조
만주 항공 주식회사항공 운송
만주 중앙 은행중앙 은행 (국영)
남만주철도 (만철)철도 운영 및 관련 산업 투자


3. 4. 1. 철도

만주국의 철도망은 일본의 경제적, 군사적 통제 하에 급속히 확장되었다.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것은 남만주철도주식회사(통칭 '만철')였다. 만철은 단순한 철도 운영 회사를 넘어, 푸순 탄광, 안산 제철소, 다롄 및 뤼순 항구 등 만주국의 주요 산업 시설과 인프라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고 직접 운영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는 캐나다 태평양 철도의 운영 방식과 유사한 측면이 있었다. 만철의 자금은 대부분 일본 정부가 제공했으며, 일부는 일본, 중국, 만주의 민간 투자자로부터 조달되었다.

남만주철도


일본은 만주국 건국 이후 철도 건설에 박차를 가했다. 1935년 기준으로 만주국 내 철도 총 연장은 8500km에 달했다. 이 중 약 80%는 명목상 '국영 철도'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일본의 통제 하에 있었고, 만철이 직접 소유한 노선은 1100km, 기존의 러시아 제국이 건설했던 중국동청철도(북만주 철도)는 1760km를 차지했다. 주요 노선으로는 만철 노선 외에도 러시아가 건설하고 일본이 장악한 중국동청철도와 베이징-무순 철도가 있었으며, 무순과 하얼빈이 철도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러한 철도망 확장은 만주국 내 자원 수송과 산업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지만, 근본적으로는 일본의 경제적 이익과 군사적 목적에 복무하는 성격이 강했다.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가 주도하여 수립한 '만주국 경제 건설 강요'는 철도를 포함한 인프라를 통해 만주를 일본의 통제 하에 두려는 의도를 명확히 보여준다. 특히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에는 만주를 일본의 원자재 공급 기지 및 병참 기지로 활용하려는 목적이 더욱 강화되면서, 철도는 일본의 대륙 침략을 위한 핵심 동맥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3. 4. 2. 도로

도로 8500km가 건설되었다.

3. 4. 3. 항만

만주국의 주요 공업 중심지이자 교통의 요지로는 펑톈(현 선양시)과 함께 다롄, 뤼순 등이 있었다.[1] 이 도시들은 만주국의 산업 생산과 물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항만 시설을 갖춘 다롄과 뤼순은 대외 무역의 관문으로 기능했다.

만주국의 대일 무역액은 1931년 이후 수출액이 수입액을 넘어서는 구조였는데, 주요 수출품인 대두 제품(전체 수출액의 절반에서 3분의 2 차지), 석탄, (각각 약 10% 차지) 등이 이들 항구를 통해 일본으로 운송되었다.[1] 일본은 만철과 만주 중공업 개발 등 특수 법인을 통해 만주국 주요 산업을 독점하며[1]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데 주력했으며, 이러한 경제 구조 속에서 항만은 일본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핵심 시설로 활용되었다. 당시 외국 실업가들 사이에서는 만주국을 '일본주국("Japanachukuo")'이라 부를 정도로 일본의 영향력은 절대적이었다.[1]

또한, 동해 방면으로는 조선 북부의 항구인 웅기항, 청진항, 나진항이 만주국의 수출 창구로 이용되기도 했다.[1] 이는 만주국의 자원을 일본 본토나 다른 지역으로 효율적으로 운송하기 위한 조치였다.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 만주국 경제는 군수 산업 중심으로 재편되었고, 일본에 대한 원재료 공급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었다.[1] 이러한 과정에서 다롄, 뤼순 등 주요 항만은 일본의 전쟁 수행을 위한 물자 수송 및 병력 이동의 거점으로 활용되었으며, 일본의 대륙 침략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3. 4. 4. 수력 발전

수풍댐은 만주국과 한반도 사이의 국경인 압록강에 건설되었다.


만주국 시기 대부분의 전력은 수력 발전을 통해 공급되었다. 일본쑹화강압록강 유역에 주요 수력 발전소를 건설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수풍댐이다.

1945년 8월 소련의 침공 당시, 일본군은 논강과 요하에 위치한 발전소를 보호하려 했다.

수력 발전 외에도 가스, 석유, 벙커유, 석탄 등이 보조적인 전력원으로 사용되었다.

3. 5. 대외 무역

만주국의 대외 무역은 초기부터 일본의 영향력이 강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본 경제에 대한 종속성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1920년대 만주의 주요 수출품은 농산물이었다. 1925년에는 곡물 수출이 전체의 88%를 차지했으며, 나머지는 목재였다. 1929년에는 미국으로의 대두 판매가 부진해지면서 독일이 주요 구매자로 부상했다. 1923년 통계에 따르면 총 수출량 4,423,000톤 중 대두가 50%, 석탄이 30%를 차지했다.

1933년 일본의 기록에 따르면, 만주국의 수출액은 수입액을 초과했다. 주요 수출품으로는 석탄(10%)과 의 비중이 커졌으며, 그 외 돼지, 수수, 땅콩 등 농산물도 일부 수출되었다. 주요 수입품은 면화, 밀가루, , 미가공 원료 및 공업 완제품이었다. 당시 주요 교역 상대는 중화민국일본이었고, 일부 물품은 소련으로도 수출되었다.

1939년에 이르러 대외 무역 규모는 26억 5,084만 만주국 위안으로 크게 증가했다. 여전히 일본이 압도적인 1위 교역 상대국이었으며, 그 외 미국, 중화민국, 독일 등과도 교역이 이루어졌다.

만주국의 주요 무역 거점은 다음과 같았다.

구분주요 도시교역 대상 및 목적
토지 구역치치하얼, 하얼빈, 훈춘, 룽징소련과의 철도 교환
자유 항구잉커우(뉴좡), 안둥, 다롄(다이렌), 뤼순영국, 미국, 독일 등 외국 회사와의 교환



또한 동해 방면으로는 조선 북부의 웅기, 청진, 나진 항구가 만주국 상품의 수출 창구로 이용되었다.

만주국의 대일 무역은 1931년 기준으로 수출액이 수입액을 넘어섰다. 일본의 만주국 투자는 주로 대두 관련 제품에 집중되었으며(전체 투자의 절반에서 3분의 2), 석탄에도 각각 약 10%가 투자되었다.

만주국 내에서는 일본인의 경제적 진출이 매우 활발하여, 외국 기업가들 사이에서 만주국을 '일본주국(Japanachukuo)'이라고 부를 정도였다. 남만주철도(만철)나 만주 중공업 개발과 같이 일본 자본이 전액 출자하거나 지배하는 특수 법인들이 국내 주요 산업을 독점하는 구조였다. 만주 중공업 개발을 이끈 아야카와 요시스케는 투자 기회를 미국 등 외국에도 개방할 것을 주장했으나, 외국 자본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한 관동군에 의해 거절당했다. 이는 메이지 시대 에드워드 헨리 해리먼의 만철 경영 참여를 저지했던 경험이 반영된 것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주국 건국 초기에는 포드, 제너럴 모터스(GM) 등 미국 기업과 홍콩 상하이 은행(HSBC), P&O 등 영국 기업을 비롯한 여러 외국 대기업들이 만주 내에 지점을 설치하고 영업 활동을 벌였다. 특히 포드와 GM은 만주국 승용차 시장에서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기도 했다.

3. 6. 금융

만주국 100 위안


1932년 이전 만주 지역의 경제는 다양한 화폐가 통용되어 혼란스러운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을 정리하고 일본의 경제적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1932년 만주 중앙 은행이 설립되었다. 만주 중앙 은행은 만주국 내에서 사용되던 여러 종류의 통화만주국 위안으로 일원화하여 발행하였다. 이 새로운 화폐는 당시 일본 엔과 동일한 가치를 갖도록 설정되어 금융 시스템의 안정화를 가져왔지만, 이는 만주국 경제가 일본에 더욱 종속되는 결과를 낳았다.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 주도로 '만주국 경제 건설 강요'가 수립되어 만주국 경제 정책의 기본 방향이 설정되었다. 이는 자본주의의 폐해를 방지한다는 명분 하에 국가가 경제를 강력하게 통제하는 계획 경제 체제를 지향했으며, 당시 세계 대공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성과를 내던 소련의 경제 모델을 참고한 것이었다. 초기 정책은 금속, 석유, 무기와 같은 전략 물자 생산을 특수 법인에게 독점시키고, 특정 산업 분야에서는 하나의 기업만 운영을 허용하는 '일업일사주의'를 채택하여 기존 재벌의 진입을 제한하고자 했다.

일본은 만주국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했다. 민간 및 정부 투자를 합한 금액은 1938년에 17.15억 (당시 1억 7,158만 영국 파운드)에 달했으며, 1941년에는 재투자된 금액이 50억에 이르렀다. 특히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은 만주국을 병참 기지화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했다. 1936년 10월 결정된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은 전쟁 발발 후 군수 산업 육성을 중심으로 투자 예정액이 약 50억으로 대폭 증액되었다. 이로 인해 만주국은 자립 경제 구축보다는 일본의 전쟁 수행에 필요한 원자재 공급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같은 해 아야카와 요시스케가 이끄는 일본 산업이 본사를 신징으로 이전하여 만주 중공업 개발이 되었고, 만주국 내 중공업과 광업 투자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며 일본의 경제적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

만주국의 금융 및 주요 산업은 사실상 일본 자본에 의해 완전히 장악되었다. 당시 외국의 사업가들 사이에서는 만주국을 '일본주국("Japanachukuo")'이라고 비꼬아 부를 정도였으며, 만철이나 만주 중공업 개발과 같은 일본계 특수 법인들이 주요 산업을 독점했다. 아야카와 요시스케는 투자 기회를 미국 등 외국에도 분산할 것을 제안했으나, 외국의 영향력 확대를 꺼린 관동군에 의해 거절되었다. 이는 만주국 경제 운영에서 일본의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포드제너럴 모터스 같은 미국 기업, 홍콩 상하이 은행과 P&O 같은 영국 기업 등 일부 외국 대기업들이 만주국 내에 지점을 설치하고 영업 활동을 하기도 했지만, 경제 전반에 걸친 일본의 통제력은 여전히 강력했다.

4. 만주국의 사회와 문화

(내용 없음)

4. 1. 인구 구성

1933년 당시 만주국의 인구는 약 3,538만 명으로 집계되었다.[4] 이는 당시 일본 제국의 주요 지역 인구와 비교했을 때 상당한 규모였다. 다음은 1933년 기준 일본 제국 내 주요 지역의 인구 및 1인당 GDP 비교표이다.[4]

1933년 일본 제국 내 주요 지역 인구 및 1인당 GDP[4]
지역인구1인당 GDP
일본 내지69,254,0002835USD
조선22,890,000990USD
만주국35,386,0001600USD
대만5,212,4261836USD



1945년 당시 일제가 건설한 만주국 철도 노선도


5. 만주국의 유산

만주국일본 제국의 괴뢰국으로서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그 경제 구조와 운영 방식은 이후 동아시아, 특히 한국중국의 역사에 복합적인 영향을 남겼다. 일본의 주도 아래 계획 경제 요소를 도입하여 중공업 중심으로 육성된 만주국의 산업 기반과 국가 통제 시스템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당 지역의 경제 발전에 일정 부분 기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은 본질적으로 일본 제국의 군사적, 경제적 필요에 따른 것이었으며, 자원 수탈과 특정 산업에 편중된 기형적 경제 구조라는 명확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만주국 경제는 일본 자본, 특히 만철과 같은 특정 기업에 의해 강력하게 통제되었고, 이는 만주 지역의 자립적인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만주국의 경제적 유산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가지며, 이후 한국과 중국의 경제사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다.

5. 1.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

만주국은 소련의 5개년 경제개발 계획과 같은 국가 주도 공업 국가 모델을 참고하여 경제 계획을 수립했다. 이는 자본주의의 폐해를 막기 위해 재벌을 배제하고 국가가 경제를 주도하며 계획하는 방식이었다. 국가는 중공업 위주의 집중 투자를 유도하고 경제 질서를 국가 통제하에 두는 계획 경제를 지향했다. 그 결과 만주국의 경제는 상당한 성장을 이루었다.

만주국일제의 경제 실험장과 같은 성격을 띠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해방 이후 한국 경제사의 한강의 기적과 연관이 있다는 시각이 존재한다. 만주국에서 군 복무 경험이 있는 박정희 전 대통령은 이곳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경제 발전을 주도했다는 평가가 있다. 실제로 1960년대 대한민국 정부는 국가 주도로 자국 기업을 보호하고 경공업을 육성하여 물자 부족을 해소하고 내수 경제를 활성화했으며, 1970년대에는 국가 주도로 중공업 육성 정책을 강력히 추진했다. 이는 만주국의 국가 주도 경제 모델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이처럼 1930년대 만주국의 국가 주도 경제 개발 경험이 1960년대 이후 한국 경제의 압축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2]

5. 2. 중국 경제에 미친 영향

일제 패망 후 다시 벌어진 국공내전에서 초기에 크게 패한 마오쩌둥의 중국 공산당 군대는 만주국이 있던 둥베이 지역으로 피신했다.[8] 당시 국민정부를 이끌던 장제스는 둥베이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동북은 조선, 소련, 몽고와 인접한 지역이다. 중공이 이곳을 점령했다 하는 날에는 저들이 말하는 양쯔강 이북의 해방구와 연합해 우리를 공략할 게 분명하다. (...) 우리가 동북을 장악하면 상황이 달라진다."라고 말하며 이 지역의 확보가 국공내전의 승패를 가를 것이라 판단했다.[8] 장제스는 만주 지역으로 도망친 공산당 군대를 추격했으나, 공산당은 이곳에서 전력을 재정비하고 반격에 나서 결국 국공내전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했다.[9]

마오쩌둥. 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초대 주석으로, 만주국과 중국 공산당의 관계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훗날 마오쩌둥은 일본 정치인들과의 대화에서 일본 제국의 침략이 결과적으로 중국 공산당의 승리에 영향을 미쳤다는 취지의 발언을 남기기도 했다. 그는 "만약 일본의 대륙침략이 없었다면 우리는 국공합작이 있을 수 없고, 우리는 발전할 수 없고 최후 승리를 이룰 수 없었을 것입니다."라고 언급했는데,[10] 이는 일본의 침략으로 국민당이 혼란을 겪는 사이 공산당이 세력을 키울 시간을 벌었고, 특히 국민당의 통제력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만주 지역이 공산당에게 중요한 후방 기지이자 재기의 발판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만주국 시기 일본의 투자로 건설된 산업 시설과 인프라는 이후 중국 경제 발전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일제가 패망하면서 남겨둔 군수공장, 남만주철도를 포함한 철도망, 발전소 등은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 이러한 산업 기반은 소련을 통해 중국 공산당에 인수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초기 경제 발전, 특히 둥베이 지역의 중공업 육성에 큰 기여를 했다. 장제스 역시 중국 본토에 비해 중공업이 발달하고 철도 부설량이 많았던 만주 지역의 경제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 바 있다.

5. 3. 부정적 유산

만주국 경제에 대한 일본의 개입과 통제는 건국 초기부터 명확했다. 1933년 관동군과 만철 조사부 인사들로 구성된 '만주 경제 조사회'는 '만주국 경제 건설 강요'를 통해 경제 정책의 기본 방향을 설정했다.[1] 이 계획은 '무통제적인 자본주의의 폐해를 감안하여 필요한 국가적 통제를 더한다'는 명분 아래, 당시 세계 대공황의 영향을 덜 받으며 중공업 성장을 이루던 소련식 계획 경제 모델을 일부 도입했다.[1] 이는 표면적으로 효율적인 자본 활용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일본의 통제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었다. 금속, 석유, 무기와 같은 전략 물자 생산은 만주국 정부나 만철이 주도적으로 출자한 특수 법인에 독점적으로 맡겨졌고,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일업일사주의' 원칙을 적용하여 소수 기업의 독점을 용인하며 기존 재벌의 영향력을 배제하고자 했다.[1]

경제 통제의 일환으로 1932년에는 만주 중앙 은행이 설립되어, 만주 내에서 혼용되던 여러 종류의 통화를 만주 원으로 일원화했다.[2]

1930년대 후반, 일본 육군은 만주국 경제의 자립과 군수 산업 육성을 목표로 더욱 노골적인 개입에 나섰다. 1936년 10월 탕강자 회의에서는 군수 산업 확립, 농업 자원 증산, 산업 개발 시설 정비 등을 포함한 20개 중점 분야를 선정하고, 총 26억 규모의 투자를 결정하는 '만주 산업 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3]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상황은 급변했다. 4월부터 시작된 5개년 계획은 광공업 생산 중심으로 대폭 수정되었고, 투자 예정액은 약 50억까지 증액되었다.[3] 만주국의 자급자족 경제 확립이라는 초기 목표는 사실상 폐기되었고, 일본의 전쟁 수행을 위한 원재료 공급 기지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었다.[3] 같은 해, 아야카와 요시스케가 이끌던 닛산 콘체른은 본사를 신징(현 창춘)으로 옮겨 만주 중공업 개발로 재편되었고, 만주 내 중공업 및 광업 분야 투자를 총괄하는 지주 회사 역할을 수행하며 일본 자본의 영향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4]

만주국의 공업은 주로 교통 요충지인 펑톈(현 선양)과 다롄 주변에 집중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석유 정제, 석탄 채굴, 대두 가공, 철도 부품, 무기, 항공기, 주류, 가공식품 등 다양한 제품이 생산되었다.[5] 그 외에도 안산, 사허커우, 뤼순, 푸순, 푸신 등이 주요 공업 도시로 기능했다.[5] 또한, 동해 방면으로는 북한 지역의 웅기(현 선봉), 청진, 나진 항구가 만주국 상품의 수출 창구로 활용되었다.[5]

만주국의 대일 무역은 1931년 이후 수출액이 수입액을 초과하는 구조였으나, 그 내용을 보면 기형적인 측면이 강했다. 수출액의 절반에서 3분의 2가 대두 및 그 가공품에 집중되었고, 석탄이 각각 약 10%를 차지하는 등[6] 특정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이는 만주국 경제가 일본의 필요에 따라 특정 자원을 공급하는 데 치중되었음을 보여준다. 수입품은 주로 면직물, 곡물 가루, 선철, 공업 원료 등이었다.[6] 주요 교역 상대국은 중화민국과 일본이었으며, 소련으로도 일부 수출이 이루어졌다.[6]

당시 외국 사업가들 사이에서 만주국이 '일본주국("Japanachukuo")'[7]이라고 불릴 정도로 일본인의 진출과 영향력 확대는 노골적이었다. 일본이 전액 출자한 만철과 만주 중공업 개발이 지배하는 특수 법인들이 만주국 내 주요 산업을 사실상 독점했다.[7] 만주 중공업 개발을 이끈 아야카와 요시스케는 투자 기회를 미국 등 외국 자본에도 개방할 것을 주장했으나, 만주에 대한 외국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한 관동군에 의해 거부되었다.[7] 이는 메이지 시대에드워드 헨리 해리먼의 만철 경영 참여를 저지했던 경험이 만주국 경영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국 초기에는 포드, 제너럴 모터스(GM) 등 미국 자동차 기업과 홍콩 상하이 은행, P&O 등 영국 기업을 비롯한 여러 외국 기업들이 만주 내에 지점을 설치하고 영업 활동을 벌였으며, 특히 포드와 GM은 승용차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기도 했다.[8]

일본 자본의 주도 하에 만주국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업들이 설립되어 운영되었다.

기업명주요 사업
도와 자동차 공업 주식회사자동차 및 트럭 제조
만주 비행기 제조 주식회사 (하얼빈)엔진 및 항공기 제조 (1938년 만주 항공에서 분리 독립)
봉천 병기창남부식 자동 권총 등 무기 제조
안산 제철소 (1913년 설립) / 쇼와 제강소 (1933년 개명)제철
만주 공작 기계공작 기계 제조
봉천 조병소병기 제조
만주 항공 주식회사항공 운수
만주 중앙 은행국영 중앙 은행
남만주철도 (만철)철도 운영 및 관련 사업 (사실상 만주국 경제 전반에 영향력 행사)


참조

[1] 서적 The Making of Japanese Manchuria, 1904-1932 2001
[2] 웹인용 "30년대 만주국 경험이 60년대 압축 성장에 영향" https://www.chosun.c[...] 2020-10-10
[3] 웹인용 폴 케네디, 「강대국의 흥망」 https://www.cia.gov/[...]
[4] 웹인용 maddison-project-database-2018 https://www.rug.nl/g[...]
[5] 웹인용 100년 전 세계는 왜 만주를 주목했나 http://www.hani.co.k[...] 2020-10-10
[6] 웹인용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0-10-10
[7] 웹인용 "미국, 1942년부터 한국신탁통치 계획" 美 현대사 연구가 문헌 발굴 https://www.joongang[...] 2020-10-10
[8] 웹인용 만주서 ‘사면초가’에 빠진 중공…기댈 곳은 북한뿐이었다 http://www.hani.co.k[...] 2020-10-10
[9] 웹인용 중국 근현대사 3부작 ① 고통과 광기의 시대, 1840~1976 아편전쟁에서 모택동까지 http://www.cfe.org/2[...] 2020-10-10
[10] 웹인용 "[기고] 중국 전승절과 역사도용(歷史盜用)" https://www.joongang[...] 2020-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