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초음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료 초음파는 인체에 고주파 음파를 전달하여 반사되는 음파를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탐촉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된 초음파의 시간과 진폭을 분석하여 내부 구조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A, B, M, 도플러 모드 등 다양한 영상 모드를 통해 장기, 혈류의 움직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근육, 연조직, 뼈 표면의 영상에 효과적이다. 진단 및 치료에 널리 사용되며, 산부인과, 심장내과, 소화기내과, 비뇨기과, 근골격계, 혈관외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초음파 조영술, 탄성 영상, 고강도 집속 초음파 등 기술 발전을 통해 진단 및 치료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료 초음파 - 지방흡입술
지방흡입술은 캐뉼라를 사용하여 특정 부위의 지방을 제거하여 신체 윤곽을 개선하는 수술적 시술로, 습식 및 팽윤 기술 개발로 발전해 미용 및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부작용 및 합병증 위험과 지방 재분포 가능성을 인지해야 한다. - 의료 초음파 - 심초음파검사
심초음파 검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영상화하는 검사로, 심근 경색, 심장 판막 질환, 심부전 등 다양한 심장 질환 진단에 활용되며, 경흉부, 경식도, 스트레스 심초음파 등 여러 방법이 존재하고 인공지능 연구도 진행 중이다. - 의학 영상 - 자기공명영상
자기공명영상(MRI)은 강한 자기장과 라디오파를 사용하여 인체 내부를 영상화하는 기술로, 수소 원자핵의 자기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신체 조직의 이완 시간 차이를 통해 영상을 얻으며, 다양한 부위의 질환 진단에 활용되지만 검사 시간이 길고 비용이 높으며 금속성 물질에 의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 의학 영상 - 조영제
조영제는 의료 영상 촬영에서 내부 장기나 혈관을 돋보이게 하는 의약품으로, 투여 경로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검사에 사용되지만 알레르기 반응, 신장 손상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의료 초음파 | |
---|---|
의료 초음파 개요 | |
![]() | |
기타 명칭 | 초음파 검사 초음파 촬영 초음파 영상 |
로마자 표기 | ulteurasonogeurapi, US echo |
관련 의학 분야 | 영상의학과 산부인과 심장혈관외과 소화기내과 비뇨기과 신경과 근골격계 |
분류 | |
ICD-10 | B?4 |
ICD-9 | 88.7 |
OPS301 | 3-03...3-05 |
MeSH ID | D014463 |
의료 초음파 원리 | |
기본 원리 | 음향 반향을 이용한 영상 획득 |
물리학적 기초 | 초음파의 반사, 굴절, 산란 등을 이용 |
의료 초음파 종류 | |
진단 초음파 | 신체 내부 구조 및 혈류 속도 영상화 |
치료 초음파 | 고강도 집속 초음파(HIFU) 등을 이용한 치료 |
의료 초음파 적용 분야 | |
산부인과 | 태아 발달 상태 확인, 자궁 및 난소 질환 진단 |
심장혈관외과 | 심장 기능 평가, 혈관 질환 진단 |
소화기내과 | 간, 담낭, 췌장 등 복부 장기 질환 진단 |
비뇨기과 | 신장, 방광, 전립선 질환 진단 |
근골격계 | 근육, 인대, 힘줄 등 질환 진단 |
신경과 | 뇌혈류 속도 측정, 말초 신경 질환 진단 |
의료 초음파 장비 | |
구성 요소 | 초음파 탐촉자 본체 장치 영상 표시 장치 |
종류 | 휴대용 초음파 고정형 초음파 3D/4D 초음파 |
초음파 검사의 이점 | |
장점 | 실시간 영상 획득 가능 방사선 노출 없음 비교적 저렴한 비용 이동성 |
초음파 검사의 제한 사항 | |
단점 |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 뼈나 공기 등은 투과가 어려움 비만 환자의 경우 영상 품질 저하 가능성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초음파 탐촉자 도플러 초음파 조영 증강 초음파 탄성 초음파 |
2. 원리
의료 초음파 영상은 기본적으로 소리, 즉 초음파가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반향(echo)을 이용하는 원리이다. 탐촉자(프로브)라는 기구를 몸에 대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이 음파는 몸 속으로 전파된다. 몸 안에는 다양한 조직과 장기가 있는데, 초음파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조직의 경계면을 만날 때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계속 나아간다.[56] 이때 반사되는 정도는 두 조직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음향 임피던스는 매질이 음파에 대해 갖는 저항값으로, 이 차이가 클수록 더 많은 초음파가 반사되어 영상에서 밝게 나타나고, 차이가 작으면 반사가 적어 어둡게 보인다. 예를 들어, 단단한 뼈나 공기는 주변 조직과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초음파를 대부분 반사시킨다.
탐촉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몸 속에서 반사되어 돌아온 초음파를 수신하는 역할도 한다. 탐촉자 내부에는 압전 소자가 있어 전기 신호를 초음파로 변환하여 내보내고, 반대로 돌아온 초음파를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의료용 초음파는 보통 1~18 MHz 범위의 주파수를 사용하는데,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져 더 세밀한 영상을 얻을 수 있지만(높은 해상도), 몸 속 깊이 침투하기는 어렵다. 반대로 낮은 주파수(3–5 MHz)는 깊은 곳까지 도달할 수 있지만 영상의 해상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진다.[54] 또한 초음파는 몸 속을 통과하면서 에너지를 잃게 되는데(음향 감쇠), 이 때문에 너무 깊은 곳은 관찰하기 어렵다.
초음파 기기는 반사된 초음파가 탐촉자까지 돌아오는 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반사가 일어난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조직 내에서 초음파의 속도(v)를 일정하다고 가정하면(일반적으로 1540 m/s), 탐촉자에서 반사 지점까지의 거리(L)는 다음 수식으로 구할 수 있다:
: (여기서 t는 초음파가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
이렇게 계산된 거리 정보와 반사된 초음파의 강도(세기) 정보를 조합하여, 컴퓨터는 각 지점의 밝기를 결정하고 이를 모니터에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한다. 현대의 초음파 기기는 여러 개의 압전 소자를 배열하여 빔 형성 기술을 통해 초음파 빔의 방향과 초점을 정밀하게 제어하며, 이를 통해 더 선명한 실시간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피부와 탐촉자 사이에는 공기층이 없도록 젤을 바르는데, 이는 공기가 초음파를 거의 전부 반사시켜 몸 속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57]
초음파 검사는 실시간으로 내부 구조를 볼 수 있고, 휴대가 가능하며, 방사선 노출 위험이 없고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영상의 질이 달라지고, 환자의 체형이나 검사 부위(특히 뼈나 공기가 많은 부위)에 따라 영상 획득이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9] 또한, 초음파의 세기가 너무 강하면 조직에 열을 발생시키거나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안전한 범위 내(약 0.1 W/cm² 이하)에서 사용된다.[145]
움직이는 혈액이나 조직의 경우,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는 혈류의 상태나 심장의 움직임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초음파 영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DICOM 표준 형식으로 저장되고 전송된다.
2. 1. 영상의 종류
의료 초음파 영상은 검사 목적과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현 방식을 영상 모드(mode)라고 부르며, 각 모드는 고유한 정보 처리 방식과 영상 특징을 가진다. 이를 통해 신체 내부 구조의 형태, 움직임, 혈류 상태 등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진단에 활용한다.[58]주로 사용되는 영상 모드는 다음과 같다.
2. 1. 1. A 모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A 모드(Amplitude mode, 진폭 모드)와 B 모드(Brightness mode, 밝기 모드)가 기본적인 방식이다. 초음파는 직진성이 뛰어나 음향 임피던스가 다른 두 물질 사이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데, 이 반사파가 수신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바탕으로 물질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A 모드 영상은 이렇게 계산된 물질까지의 거리를 가로축에 두고, 반사된 에코(echo)의 진폭을 세로축에 표시한 그래프이다. 원리적으로는 중요하지만, A 모드는 실제 임상 검사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 1. 2. B 모드
B 모드(Brightness mode)는 의료 초음파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영상 표시 방식이다. 이는 반사되어 돌아온 초음파 신호의 강도(진폭)를 화면 위의 점의 밝기(휘도)로 변환하여 나타내는 원리를 사용한다. 즉, 강한 신호는 밝은 점으로, 약한 신호는 어두운 점으로 표시된다.하나의 초음파 탐촉자에서 나온 빔은 탐촉자와 직선상의 조직 정보만을 얻을 수 있어 1차원적인 정보만 표시하지만(A 모드), 여러 방향으로 초음파 빔을 빠르게 보내고 그 반사 신호들을 조합하면 신체의 2차원 단면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영상은 실시간으로 장기의 구조, 형태, 움직임 등을 관찰할 수 있게 해주어 진단에 매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라고 하면 대부분 이 B 모드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심장 초음파 검사는 B 모드를 이용하여 심장의 구조, 심장 판막의 움직임, 심근의 수축력, 심방과 심실의 크기 등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2. 1. 3. M 모드
M 모드(Motion mode)는 초음파 단면상의 특정 직선 지점에 주목하여, 그 지점에서 음파가 반사되는 신호의 시간적 변화를 영상으로 나타내는 검사 방식이다. 즉, 움직이는 구조물의 시간적 변화를 기록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심장 판막이나 심근의 움직임처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부위를 관찰하는 데 유용하며, 이러한 특징 때문에 도플러 초음파와 함께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많이 활용된다.2. 1. 4. 도플러 영상

도플러 효과는 반사된 음파의 주파수 변화를 이용하여 대상 물체가 초음파 탐촉자(프로브)에 가까워지는지 또는 멀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이를 영상으로 나타내는 기술이다.[58][61] 특정 위치에서 초음파 빔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혈류와 같은 구조물의 속도와 방향을 평가할 수 있다.
도플러 영상 기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 스펙트럼 도플러 (도플러 모드): 특정 지점(샘플 볼륨)에서의 시간에 따른 혈류 속도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동맥 내 혈류나 심장 판막을 통과하는 혈류의 속도와 방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컬러 도플러: B 모드 영상 위에 특정 영역 내 혈류의 평균 속도와 방향을 색상으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탐촉자로 다가오는 혈류는 붉은색 계열로, 멀어지는 혈류는 푸른색 계열로 나타낸다. 이는 물리학에서 적색편이가 멀어짐을, 청색편이가 가까워짐을 나타내는 것과는 반대이다. 컬러 도플러는 혈류의 전반적인 분포와 방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 파워 도플러 (Power Doppler): 혈류의 방향 정보 없이 혈류의 존재 유무와 강도만을 색상으로 표시한다. 컬러 도플러보다 미세하거나 느린 혈류를 감지하는 데 더 민감하지만, 혈류 방향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제조사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이중 초음파 (Duplex ultrasonography): 회색조의 B-모드 영상과 컬러 도플러 또는 스펙트럼 도플러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해부학적 구조와 혈류 정보를 함께 평가할 수 있다.[62]
도플러 초음파는 다양한 의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 도플러 심장 초음파: 심장 검사에 사용되며, 혈류의 방향과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한다.[63] 이를 통해 심장 판막의 기능 평가(협착 또는 역류), 심장 내 비정상적인 혈류(단락), 심박출량 계산, 심장 이완 기능 평가(E/A 비율[64]) 등이 가능하다. 필요시 기체 충전 미세 기포 조영제를 사용하여 영상의 질을 높이기도 한다.
- 경두개 도플러 (Transcranial Doppler, TCD) 및 경두개 컬러 도플러 (Transcranial Color Doppler, TCCD): 두개골을 통해 뇌 혈관 내 혈류 속도를 측정한다. 색전증, 협착증, 동맥류 파열로 인한 지주막하 출혈 후 발생하는 혈관 연축 등의 진단에 유용하다.
- 도플러 태아 모니터: 산전 관리 중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태아 심박수를 감지하는 휴대용 기기이다. 일부 모델은 분당 심박수(BPM)를 표시하기도 하며, 이 사용법을 '도플러 청진'이라고도 부른다. 이는 전통적인 태아 청진기와 유사한 정보를 제공한다.
3. 탐촉자의 종류
대상물에 '''탐촉자(프로브)'''(probe)를 대고 초음파를 발생시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로 처리한다.[142] 초음파 탐촉자는 검사 부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주파수를 가진다. 개발 초기에는 음파를 한 방향으로만 발사했지만, 이후 개선되어 부채꼴 모양으로 음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의 단면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주요 탐촉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리니어형
:체표에 접촉시키는 부분이 평면이며, 이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여러 개의 평행한 초음파 빔을 발생시킨다. 초음파 빔의 발사점을 평면상에서 이동시키며 주사하는 방식이다. 섹터형에 비해 체표에 가까운 부분을 넓게 탐색할 수 있어, 주로 체표 근처의 혈관, 근육, 유선, 갑상선 등을 검사하는 데 사용된다.
;섹터형
:체표에 접촉시키는 부분이 리니어형보다 작고 좁다. 접촉 부분의 한 점에서 각도를 바꿔가며 초음파 빔을 부채꼴 모양으로 방사한다. 따라서 초음파 빔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다. 체표 가까운 부분은 좁게 탐색되지만, 몸 속 깊은 곳은 넓은 범위를 탐색할 수 있다. 접촉면이 좁아도 되므로 갈비뼈 사이처럼 좁은 공간을 통해 초음파를 보내야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주로 심장 초음파 검사와 같이 흉강 내 장기 검사에 사용된다. 산부인과에서 사용되는 질초음파 검사도 탐촉자가 작은 섹터형의 특징을 활용한다.
;컨벡스형
:체표에 접촉시키는 부분이 완만한 볼록면 형태이다. 이 때문에 리니어형보다 울퉁불퉁한 체표면에도 잘 밀착된다. 접촉면이 넓지 않아도 체표에서 멀어질수록 초음파 빔이 넓게 퍼져나가 깊은 곳의 넓은 범위를 탐색할 수 있다. 주로 복부 초음파 검사에 사용된다.
4. 장점 및 단점
모든 영상 기법과 마찬가지로, 의료 초음파 검사 역시 긍정적인 속성과 부정적인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4. 1. 장점
모든 영상 기법과 마찬가지로, 의료 초음파 검사 역시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시간 영상 제공: 초음파는 장기의 움직임이나 혈류 등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기록 작성이 가능하다. 또한, 초음파 영상을 보면서 생검이나 주사 등의 시술을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어 다른 영상 진단법에 비해 편리하다.
- 우수한 연조직 영상: 근육, 연조직, 그리고 뼈 표면의 영상을 매우 선명하게 얻을 수 있으며, 특히 고체와 액체로 채워진 공간 사이의 경계면을 잘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장기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연조직의 기계적 특성 변화를 영상화하는 데에도 유용하다.[107]
- 높은 안전성: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이 거의 없어 안전하게 반복 검사가 가능하다. 지침에 따라 사용하면 장기적인 부작용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검사 중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도 거의 없다.
- 휴대성 및 접근성: 초음파 장비는 다른 영상 장비에 비해 크기가 작고 이동이 용이하여 환자가 있는 곳 어디든 직접 가서 검사할 수 있다(병상 검사). 장비가 비교적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등 다른 검사 방식에 비해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환자의 접근성이 높다.
- 높은 공간 해상도: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다른 영상 진단법보다 공간 해상도가 더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초음파는 액체나 고체 성질의 조직은 잘 통과하지만, 기체는 잘 통과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내부 장기처럼 액체나 연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관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4. 2. 단점
모든 영상 기법과 마찬가지로, 의료 초음파 검사 역시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제한된 시야: 초음파는 특정 조직을 투과하는 데 한계가 있다.
- * 뼈는 음파를 잘 반사하여 투과가 어렵다. 예를 들어, 단단한 두개골은 음향 임피던스 차이가 커서 대부분의 음파를 반사시키므로, 성인 뇌의 내부를 초음파로 자세히 관찰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다. 기본적으로 초음파는 액체와 고체를 잘 통과하지만, 뼈 표면에서는 강하게 반사되어 표면 관찰에 주로 이용된다.
- * 공기 역시 초음파 전달을 방해한다. 변환기와 검사 대상 장기 사이에 가스가 있으면 음파가 대부분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영상 품질이 크게 저하된다. 예를 들어, 위나 장 속의 가스는 췌장과 같은 장기를 선명하게 보기 어렵게 만든다.[108] 폐와 같이 공기가 많은 장기나 소화기관 내부 관찰 능력은 상대적으로 낮다.
- 환자 요인에 따른 영상 품질 저하: 환자의 신체 조건, 특히 비만은 초음파 영상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 초음파의 투과 깊이는 사용하는 주파수에 따라 제한된다. 따라서 신체 깊숙이 위치한 장기는 관찰하기 어려울 수 있다.
- * 특히 비만 환자의 경우, 두꺼운 피하 지방층이 음파를 약화시켜 영상의 선명도와 진단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해상도가 낮은 저주파수 변환기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 사용자 의존성: 초음파 검사는 검사자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한다. 정확하고 질 좋은 영상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검사자의 충분한 기술과 경험이 필수적이다.
5. 인체에 미치는 영향
초음파 영상은 암 발병이나 유전자 파괴와 같은 위험을 야기하는 이온 방출(Ionizing radiation)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전한 영상기법으로 알려져 있다[109]. 세계 보건 기구(WHO) 역시 진단 초음파를 "신체의 대부분에 대한 임상적으로 관련된 정보를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매우 유연한 영상 검사 방식"이라고 평가한다[110].
그러나 초음파 에너지는 인체에 잠재적인 생리학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첫째, 초음파는 체내에서 염증 반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연부조직을 통과하면서 분자 간 마찰을 일으켜 조직을 약간 가열할 수 있다. 셋째, 기계적 압력파를 전달하여 조직 속 이온의 흐름이나 세포 활동에 영향을 주어 미세한 기포(Microscopic bubble)를 발생시키거나 세포 조직을 왜곡시킬 수도 있다.
특히 초음파의 강도가 높을 경우, 조직 가열 효과가 커지거나 공동화(cavita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공동화 현상은 초음파로 인해 체액이나 조직 내에 작은 가스 주머니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약 0.1 W/cm 정도의 세기까지는 초음파에 의한 가열 효과가 문제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145], 약 10 W/cm 이상의 강한 초음파는 에너지 자체로 세포를 파괴할 수도 있다[144]. 다만, 현대의 진단용 초음파 장비는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는 강도에서 공동화 현상이 실제로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물리적 효과로 인한 장기적인 영향이 있는지는 아직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임신한 포유류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에서는 태아에게 유해성이 관찰된 연구가 있다.
태아에 대한 진단 초음파 검사 역시 일반적으로 임신 중에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의료 전문가들은 유효한 의학적 필요성이 있을 때만 검사를 시행하고, ALARP(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가장 낮은 수준) 원칙에 따라 필요한 진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낮은 초음파 노출 설정을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111]. 또한, 의학적 목적이 아닌 단순 "기념 태아 비디오" 제작 등을 위한 초음파 장비의 홍보, 판매 또는 임대는 강력히 권장되지 않는다[21][112].
지금까지 발표된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했을 때, 진단용 초음파 검사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는 명확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2000년에 발표된 여러 초음파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해한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신경 발달과 같은 장기적인 실질적 결과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113].
일부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영향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예일 의과대학의 2006년 연구에서는 초음파의 장기간 또는 빈번한 사용과 생쥐의 비정상적인 신경 세포 이동 사이에 작지만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114]. 같은 해 발표된 다른 연구에서는 초음파 노출이 쥐 태아의 뇌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이 정신 지체, 유아기 뇌전증, 난독증, 자폐증 양상, 조현증과 같은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167]. 그러나 이러한 동물 실험 결과가 인간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 없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에서는 왼손잡이와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들이 있다. 2001년 스웨덴에서 수행된 연구[115]에서는 초음파 노출과 남자아이의 왼손잡이 비율 증가(유전적 요인이 아닌 경우 뇌 문제의 지표로 간주되기도 함) 및 언어 지연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116][117]. 이 결과는 후속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지만[118], 8,865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이후의 대규모 연구에서는 태내 초음파 노출과 출생 후 오른손잡이가 아닌 것(왼손잡이 또는 양손잡이) 사이에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다시 관찰되었다[119][168].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 초음파가 인체, 특히 태아에게 심각한 해를 끼친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 그러나 조직 가열, 공동화 현상과 같은 물리적 영향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일부 동물 실험 및 특정 관찰 연구에서 잠재적 영향에 대한 가능성이 제기된 만큼, 의학적 필요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6. 용도
초음파 검사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환자가 얻는 이익이 잠재적 위험보다 크다고 여겨진다. 의학 분야에서 의료 진단과 치료용 초음파 시술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생검 안내나 체액 배액 등 중재적 시술에도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사가 검사를 수행하고, 방사선 전문의나 심장 전문의(심장 초음파 검사의 경우) 등이 판독한다.[10] 초음파는 신체의 연조직을 영상화하는 데 효과적이며, 검사 부위에 따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한다.[10]
안과와 시력 측정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A-스캔 초음파 생체 계측법(A-스캔)은 눈의 길이를 측정하여 인공 수정체 도수 결정 등에 사용되고, B-스캔 초음파 검사(B-스캔)는 눈과 안와의 단면 영상을 제공하여 다양한 눈 질환의 진단 및 관리에 도움을 준다.
검사 시에는 초음파가 잘 전달되도록 신체 표면에 검사용 젤리를 바르고, 초음파를 방출하는 기기인 프로브(탐촉자)를 대고 진행한다. 일부 검사에서는 장기가 잘 보이도록 금식이 필요할 수 있다.[140]
6. 1. 산부인과
산과용 초음파는 어떤 조건이 산모와 태아에게 유해한지를 확인하는 데 이용된다. 건강관리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을 진단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이 초음파 영상 검사의 위험보다 훨씬 큰 것으로 판단한다. Cochrane Review에 따르면, 조기 임신 기간(24주 이전)에 주기적인 초음파 진단이 임신 기간 판단, 다태 임신과 임상학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태아 기형을 조기에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임신 기간 동안 산과 진료에 정기적으로 사용되는데, 초음파 영상을 이용해 다음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 임신 기간 확인
- 태아의 생존 및 발달 상태 확인
- 태아 위치 확인
- 자궁 경부와 관련한 태반 위치의 확인
- 배아의 수 확인 (다태 임신 여부 확인)
- 주요 신체적 이상 유무 확인 (기형 진단)
- 태아의 성장 판단
- 태아의 움직임과 심장박동 확인
- 태아의 성별 판단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기념용 비디오 및 사진 기록을 위해 병원에서 이용하는 것과 같은 초음파 영상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질 내에서 초음파 기기를 접근시켜 자궁·난소 등의 여성 생식기를 평가하기도 한다.
6. 2. 심장내과
심장 초음파 검사는 일반적으로 심장 전문의가 판독한다.[10] 이 검사는 몸 표면(체표)에서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심장과 대혈관의 상태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심장 내부(심강)를 더 자세히 관찰해야 할 경우에는, 식도를 통해 초음파 기구를 삽입하는 경식도 심장 초음파 검사가 체표 검사보다 더 선명한 영상을 제공한다.6. 3. 소화기내과
체표면에서 접근하는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간, 담낭, 췌장, 비장, 신장 등 복부 내 주요 장기의 상태를 평가한다. 또한 위, 대장, 충수와 같은 소화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6. 4. 비뇨기과

비뇨기과에서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환자의 방광에 남아있는 체액(잔뇨)의 양을 확인하는 것이 일상적이다. 골반 초음파 검사를 통해 여성의 경우 자궁과 난소 또는 방광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방광, 전립선, 고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고환 초음파 검사는 부고환염과 고환 꼬임과 같이 응급 처치가 필요한 질환을 신속하게 감별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젊은 남성에게서 발견될 수 있는 고환암과 상대적으로 덜 위험한 양성 고환 덩어리(정계 정맥류 또는 음낭 수종)를 구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고환암은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완치 가능성이 높고 건강과 생식 능력을 보존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골반 초음파 검사는 신체 외부에서 탐촉자를 대고 검사하는 방법과, 체내로 기구를 삽입하여 검사하는 내부 검사 방법이 있다. 내부 검사는 여성의 경우 질을 통해, 남성의 경우 직장을 통해 이루어진다. 골반 바닥 초음파 영상은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고 다른 골반 장기와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줌으로써, 골반 장기 탈출증, 이중 실금(대소변 실금), 배변 장애 등과 관련된 증상을 가진 환자의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초음파는 신장 결석이나 신장 내 미세 결정(신석증)을 진단하는 데에도 활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더 높은 주파수의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결석을 분쇄하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41]
신장학 분야에서도 신장 초음파 검사는 신장 관련 질환의 진단과 관리에 필수적인 도구로 여겨진다. 신장은 초음파로 비교적 쉽게 검사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병리학적 변화를 초음파 영상을 통해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 증상이 있는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며, 신장 조직 검사나 낭종 배액술 등 신장 관련 시술을 시행할 때 실시간 영상 유도 장치로도 활용된다.[52] 기본적인 B-모드 영상 외에도 조영 증강 초음파(CEUS), 탄성 초음파, 다른 영상 기법과의 융합 영상 등 새로운 초음파 기술들이 신장 질환 진단에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신장 초음파만으로는 진단에 한계가 있을 수 있어, 필요한 경우 CT나 MRI과 같은 다른 영상 검사를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52]
6. 5. 근골격계
근골격계 초음파는 힘줄, 근육, 신경, 인대, 연조직 덩어리 및 뼈 표면을 검사하는 데 사용된다.[44] 이를 통해 인대 염좌, 근육 염좌, 관절 병변 등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특히 12세 이하 환자의 손목, 팔꿈치, 어깨 골절을 감지하는 데 있어 X선 영상의 대안 또는 보충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기도 한다.[45] (골절 초음파 검사)정량적 초음파 기법은 근골격계 검사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소아의 근병증 질환 진단,[46][47] 성인의 제지방량 추정,[48] 그리고 근감소증이 있는 노인의 근육 질(조직 구성) 평가[49][50][51] 등에 이용된다.
또한, 초음파는 초음파 유도 고관절 주사와 같이 근육이나 관절 주사 시술 시 바늘을 정확한 위치로 유도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체표면에서 접근하여 근육이나 힘줄 등의 형태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부분까지 진단할 수 있다.
6. 6. 혈관외과
몸 표면에서 기기를 이용하여 복강 내의 대동맥, 대정맥이나 팔다리의 동맥, 정맥 상태를 평가한다. 특히 경동맥이나 다리의 동맥 및 정맥에 발생할 수 있는 협착(좁아짐), 폐쇄(막힘), 혈전(피떡) 등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6. 7. 응급의학과
응급의학 분야에서는 외상 환자의 치명적인 장기 손상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기 위해 FAST(Focused Assessment with Sonography for Trauma, 외상 집중 초음파 평가) 검사를 활용한다. 이 검사는 심낭, 좌우 늑간, 모리슨와, 더글라스와, 비장 주변 등 6곳을 빠르게 초음파로 검사하여 복강 내 출혈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검사 결과 나타난 출혈 소견을 점수화하여 개복 수술의 필요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6. 8. 기타
초음파 검사는 의학 분야에서 의료 진단과 치료용 초음파 시술에 널리 사용된다. 초음파는 생검과 같은 시술을 할 때 길잡이 역할을 하거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몸속의 액체를 뽑아내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사가 검사를 수행하고, 방사선 전문의나 심장 전문의(심장 초음파 검사의 경우)가 판독한다. 초음파 검사는 신체의 연조직을 영상화하는 데 효과적이다.[10]근육, 힘줄, 고환, 유방, 갑상선, 부갑상선 및 신생아의 뇌와 같이 몸 표면에 가까운 구조는 높은 주파수(7~18 MHz)를 사용하여 더 정밀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더 나은 선형(축) 및 수평(측면) 각도 해상도를 제공한다. 반면, 간이나 신장처럼 몸속 깊은 곳에 있는 구조는 낮은 주파수(1~6 MHz)를 사용하여 검사하는데, 이는 조직 깊숙이 초음파가 도달하게 하는 대신 축 및 측면 해상도는 다소 낮아진다.
또한, 초음파는 정맥 내 혈관 접근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정맥 내 혈관 접근은 혈액 샘플 채취나 수액 투여 등을 위한 일반적인 의료 절차이지만, 비만, 이전의 채혈이나 약물 사용으로 인한 정맥 손상 등으로 적합한 정맥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음파를 사용하면 정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카테터를 삽입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때는 주로 10~15 MHz 주파수의 선형 변환기를 사용하며, 피부 표면에서 1.5cm 이내에 있는 정맥을 대상으로 한다. 정맥 카테터 삽입을 위한 초음파 기술 교육은 대부분의 초음파 교육 프로그램에서 제공된다.
경부 초음파 검사는 목 부위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몸 표면에서 접근하여 갑상선, 부갑상선, 경동맥, 경정맥 등의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7. 그 밖의 초음파 영상 기법
기존의 기본적인 초음파 영상 기술 외에도,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거나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영상 기법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 '''조영 증강 초음파''': 환부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일반 초음파 영상에서 잘 보이지 않는 조직의 영상을 얻는 기술이다.[169]
- '''초음파 분자 영상''': 특정 분자나 종양 내 모세혈관 등에 미세기포와 같은 표지자를 부착시켜 특정 부위를 영상화하는 기술이다.[170]
- '''탄성 영상''': 외부에서 힘을 가하거나 초음파 자체의 힘(음향 복사력)을 이용하여 조직의 단단한 정도(탄성 계수)를 측정하고 영상화하는 기술이다.[171][172] 암 진단 등에 활용된다.[171]
- '''초음파 압축 영상''': 혈관의 압축 정도를 통해 혈전 유무를 진단하는 기술로, 주로 심부정맥 혈전증 진단에 사용된다.[173]
7. 1. 조영 증강 초음파(Contrast-enhanced ultrasound, CEUS)
의료 초음파용 조영제는 1968년 레이먼드 그라미악(Raymond Gramiak) 박사가 발견하여 조영 증강 초음파(Contrast-enhanced ultrasound, CEUS)로 명명된 기술에 사용된다. 이 조영제는 캡슐화된 기체 마이크로버블[65] 제제로, 혈액의 반향성을 증가시켜 초음파 영상의 질을 높인다.[66] 이 조영 의료 영상 방식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며,[67] 특히 미국에서는 심장 초음파 검사에,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초음파 방사선학 분야에서 활용된다.마이크로버블 기반 조영제는 초음파 검사 중 환자의 혈류에 정맥 주사로 투여된다. 마이크로버블은 크기 때문에 혈관 내에 머무르며 간질액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초음파 조영제는 순수하게 혈관 내에 존재하여, 장기의 미세 혈관을 의료 진단 목적으로 영상화하는 데 이상적인 제제가 된다. 조영 증강 초음파 검사의 대표적인 임상적 용도는 건강한 생물학적 조직보다 더 빠른 조영제 섭취(혈액 순환 내 마이크로버블 농도의 역학)를 보이는 고혈관성 전이 종양을 감지하는 것이다.[68] 다른 임상 적용 분야로는 심근 경색 후 심장 근육의 수축성을 시각화하기 위해 좌심실의 윤곽을 개선하는 심장 초음파 검사가 있다. 또한, 항암제 치료에 대한 초기 환자 반응을 식별하기 위해 관류의 정량적 측정(혈류의 상대적 측정)[69]이 등장했으며(2011년 나탈리 라소(Nathalie Lassau) 박사의 방법론 및 임상 연구[71]), 이를 통해 최상의 종양학적 치료 옵션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72]

의료 조영 초음파의 종양학적 실무에서는 2010년 니콜라 로그냉(Nicolas Rognin) 박사가 발명한 '혈관 서명의 파라미터 영상'[73] 기술이 사용된다.[74] 이 방법은 의심스러운 종양(악성 종양 대 양성 종양)을 장기에서 특징짓는 데 도움을 주는 암 보조 진단 도구로 고안되었다. 이 방법은 환자 검사 중에 실시간으로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인 초음파 조영 영상의 시간 순서를 분석하기 위해 의료 계산 과학을 기반으로 한다.[75][76] 종양의 각 픽셀에 대해 두 가지 연속적인 신호 처리 단계가 적용된다.
# 혈관 서명 계산: 종양 주변의 건강한 조직과 비교한 조영제 섭취 차이를 계산한다.
# 혈관 서명 분류: 계산된 혈관 서명의 자동 패턴 인식을 통해 다음 4가지 색상 중 하나로 코딩된 고유한 매개변수로 분류한다.
#* 녹색: 지속적인 과강화 (건강한 조직보다 높은 조영제 섭취)
#* 파란색: 지속적인 저강화 (건강한 조직보다 낮은 조영제 섭취)
#* 빨간색: 빠른 과강화 (건강한 조직보다 빠른 조영제 섭취)
#* 노란색: 빠른 저강화 (건강한 조직보다 늦은 조영제 섭취)
각 픽셀에서 신호 처리가 완료되면, 파라미터의 색상 공간 지도가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된다. 이는 종양의 모든 혈관 정보를 '파라미터 영상'이라고 하는 단일 이미지로 요약하여 보여준다(임상적 예시로 보도 기사의 마지막 그림[77] 참조). 이 파라미터 영상은 종양의 지배적인 색상을 기반으로 임상의가 해석한다. 빨간색은 악성 종양(암 위험)을 시사하며, 녹색 또는 노란색은 양성 종양일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악성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임상의는 일반적으로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생검을 처방하거나 CT 스캔 검사를 시행한다. 양성 종양 가능성이 높은 경우, 몇 달 후 조영 초음파 검사로 추적 관찰만 필요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주요 임상적 이점은 양성 종양에 대한 불필요한 전신 생검(침습적 시술의 위험)이나 환자를 X-선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CT 스캔 검사를 피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혈관 서명의 파라미터 영상 방법은 간의 종양 특징을 평가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78] 암 검진 상황에서 이 방법은 유방암[79]이나 전립선암과 같은 다른 장기에도 잠재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7. 2. 탄성 초음파(Ultrasound elastography)
초음파 탄성영상술은 조직에 힘을 가했을 때 변형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조직의 탄성, 즉 단단한 정도를 평가하고 이를 영상으로 나타내는 기술이다.[171][90][91] 외부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거나 초음파 자체의 힘(음향 복사력)을 이용하여 조직의 변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성 계수를 계산하여 영상화한다.[171][172]이 기술은 특정 장기나 조직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이는 건강한 조직과 병든 조직이 탄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91] 예를 들어, 암 종양은 주변의 정상 조직보다 더 단단한(탄성이 높은) 경향이 있어 암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171][92][93] 또한 간섬유화가 진행된 간은 건강한 간보다 더 뻣뻣하므로, 간 질환의 진단 및 진행 정도 평가에도 이용된다.[92][93]
다양한 방식의 초음파 탄성영상술 기법들이 개발되어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으며,[91] 그중 하나인 음향 복사력 임펄스 영상은 별도의 외부 장치 없이 초음파 빔 자체의 힘을 이용하여 탄성 영상을 얻는 방식이다.[172]
7. 3. 초음파 분자 영상(Ultrasound molecular imaging)
초음파 분자 영상은 특정 분자나 종양 내 모세혈관 등에 미세기포를 부착하여 종양을 영상화하는 기술이다.[170]현재 초음파 조영제의 미래는 분자 영상에 있으며, 암 검진에서 악성 종양의 가장 초기 단계를 발견하는 데 잠재적인 임상 적용이 기대된다. 분자 초음파(또는 초음파 분자 영상)는 1997년 알렉산더 클리바노프 박사가 처음 설계한 표적화된 마이크로버블을 사용한다.[80][81] 이러한 표적화된 마이크로버블은 종양 미세혈관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거나 부착되는데, 이는 생체 분자 암 발현(악성 종양에서 혈관 신생[82][83] 또는 염증[84] 동안 발생하는 특정 생체 분자의 과발현)을 표적으로 한다. 그 결과, 혈액 순환에 주입된 후 몇 분 안에 표적화된 마이크로버블이 악성 종양에 축적되어 고유한 초음파 조영 영상에서 종양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2013년, 전립선암에 대한 최초의 탐색적 임상 시험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헤셀 비크스트라 박사에 의해 완료되었다.[85]
분자 초음파에서는 음향 방사력 기술(전단파 탄성 영상에도 사용됨)이 표적화된 마이크로버블을 미세혈관 벽으로 물리적으로 밀어내기 위해 적용되며, 이는 1999년 폴 데이턴 박사에 의해 처음 시연되었다.[86] 이를 통해 악성 종양에 대한 결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표적화된 마이크로버블은 종양 미세혈관의 내표면에 발현된 암 생체 분자와 더 직접적인 접촉을 하게 된다. 과학적 전임상 연구 단계에서 음향 방사력 기술은 임상 초음파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으로 구현되었으며, 2D[87] 및 3D[88][89] 영상 모드에서 ''생체 내'' 검증을 거쳤다.
7. 4. 고강도 집속 초음파(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고강도 집속 초음파'''(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HIFUeng) 장치는 표적 부위에 체외에서 정밀하게 초음파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장치이다. 이는 전립선암, 자궁 근종, 유방암 등에 대한 최소 침습적 치료법으로 활용된다.[146] HIFU는 고강도의 초음파를 암 조직에 집중시켜 초점 부위의 온도를 80°C 가까이 높여 암세포를 응고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또한, 본태성 진전 치료에도 사용되는데, MRI 유도 하에 두개골을 통해 뇌의 특정 부위(시상 복내측핵)에 HIFU를 조사하여 응고시키는 방법이다. 이 치료법은 2019년부터 한국에서 보험 적용 대상이 되었다. 초음파는 조사 부위를 진동시키는 기계적 작용과 가열과 같은 열적 작용을 동시에 일으킨다. 초음파의 주파수와 강도에 따라 이 효과는 달라지며, 조사 강도를 높이면 기계적 및 열적 작용이 모두 강해진다. HIFU는 이러한 기계적 작용과 열적 작용을 이용하여 특정 부위를 정밀하게 응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8. 한국의 의료 현실과 초음파 검사
(내용 없음)
9. 역사
1880년 프랑스 물리학자 피에르 퀴리가 압전 효과를 발견하면서, 초음파를 산업적으로 의도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1940년, 미국의 음향 물리학자 플로이드 파이어스톤은 금속 주조품의 내부 결함을 감지하기 위해 최초의 초음파 반사 영상 장치인 수퍼소닉 리플렉토스코프(Supersonic Reflectoscope)를 고안했다. 1941년, 오스트리아의 신경과 의사 카를 테오 두식은 그의 형제이자 물리학자인 프리드리히와 협력하여 초음파를 사용하여 인체 영상을 최초로 구현한 것으로 보이며, 사람의 뇌실을 윤곽화했다.[126][127]
초음파 에너지는 1940년대 후반, 미국 해군 의학 연구소 소속의 조지 루드비히 박사(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의해 의료 목적으로 인체에 처음 적용되었다.[128][129] 영국 출신 물리학자 존 와일드(1914–2009)는 1949년 초음파를 사용하여 장 조직의 두께를 평가했으며, "의료 초음파의 아버지"로 묘사되기도 한다.[130]
이후 여러 국가에서 동시에 발전이 이루어졌지만, 1961년 오스트레일리아 보건부의 데이비드 로빈슨과 조지 코소프의 연구를 통해 최초의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수조 초음파 스캐너가 개발되었다.[131] 1963년 Meyerdirk & Wright는 최초의 상업용 휴대형 관절형 암 컴파운드 접촉 B-모드 스캐너 생산을 시작하여 초음파를 의료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참조
[1]
논문
Basic physics of ultrasound imaging
2007-05
[2]
서적
Fundamentals of Medical Ultrasonics
https://hal.science/[...]
CRC Press
[3]
서적
The Gale Encyclopedia of Medicine
[4]
서적
Foundations of Biomedical Ultrasoun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EFSUMB Course Book
https://hal.archives[...]
EFSUMB
[6]
논문
B-flow Ultrasonography of Peripheral Vascular Diseases
2005
[7]
논문
B-Flow Imaging of the Hepatic Vasculature: Correlation with Color Doppler Sonography
2007-06
[8]
논문
Ultrasound Use in Urinary Stones: Adapting Old Technology for a Modern-Day Disease
2017-04
[9]
문서
[10]
논문
Mechanical and Biological Effects of Ultrasound: A Review of Present Knowledge
2017-06
[11]
논문
IVUS-based imaging modalities for tissue characterizati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2011-02
[12]
논문
Ultrasound Guidelines: Emergency, Point-of-Care and Clinical Ultrasound Guidelines in Medicine
2017-05
[13]
논문
Ultrasound of focal liver lesions
2001-09
[14]
논문
Pocket-Sized Versus Conventional Ultrasound for Detecting Fatty Infiltration of the Liver
2020-01
[15]
논문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a pocket-size ultrasound device in assessing liver steatosis
2024-06
[16]
논문
Fetal Biometry: Vertical Calvarial Diameter and Calvarial Volume
[17]
웹사이트
3D BPD Correction
http://hcp.obgyn.net[...]
2011-07-14
[18]
웹사이트
Pelvic / Gynaecology Ultrasound (including transvaginal)
https://www.bmus.org[...]
2023-12-20
[19]
논문
Safety of Diagnostic Ultrasound in Obstetrics
1970-05
[20]
논문
A short history of sonography in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13
[21]
웹사이트
Avoid Fetal "Keepsake" Images, Heartbeat Monitors
https://www.fda.gov/[...]
U.S. Government
2017-09-11
[22]
웹사이트
Clinical Safety Statements
http://www.efsumb.or[...]
[23]
웹사이트
Applications » Uscom
https://www.uscom.co[...]
[24]
논문
Thyroid and parathyroid ultrasound
2011-03
[25]
논문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ic studies of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in neonates
1991-03
[26]
논문
International evidence-based guidelines on Point of Care Ultrasound (POCUS) for critically ill neonates and children issued by the POCUS Working Group of the European Society of Paediatric and Neonatal Intensive Care (ESPNIC)
2020-02-24
[27]
논문
Lung Ultrasonography Score to Evaluate Oxygenation and Surfactant Need in Neonates Treated With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https://pubmed.ncbi.[...]
2015-08
[28]
논문
Lung Ultrasound Score for Prediction of Surfactant Administration in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Failure
https://pubmed.ncbi.[...]
2024-08-09
[29]
웹사이트
UpToDate
https://www.uptodate[...]
2019-07-23
[30]
웹사이트
Lung Ultrasound Simulator
https://lus.mstech.e[...]
2021-09-30
[31]
서적
Lung Ultrasound in the Critically Ill: The BLUE Protocol
Springer
[32]
논문
Sonographic diagnosis of pneumothorax
2012
[33]
논문
Pulmonary Edema Assessed by Ultrasound: Impact in Cardiology and Intensive Care Practice
2016
[34]
논문
The use of lung ultrasound image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ulmonary and cardiac interstitial pathology
2017-06
[35]
논문
International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point-of-care lung ultrasound
2012-04
[36]
논문
Thoracic ultrasound for pleural effus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a narrative review from diagnosis to treatment
2017-12
[37]
논문
Real-time endobronchial ultrasound 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for sampling mediastinal lymph nodes
[38]
논문
Point-of-care lung ultrasound during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2021-08-01
[39]
논문
S68 National COVID point of care lung ultrasound evaluation (society for acute medicine with the intensive care society)
2021-11-01
[40]
논문
The Diagnostic Accuracy and Prognostic Value of Lung ultrasound in Suspected COVID-19 a retrospective service evaluation.
2022
[41]
논문
Sonography of the female pelvic floor:clinical indications and techniques
http://www.pelviperi[...]
2007-08-07
[42]
서적
Glenn's Urologic Surger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1-07-01
[43]
논문
Ultrasound evaluation of the penis
2018-07-23
[44]
서적
Ultrasound of the Shoulder
https://web.archive.[...]
Master Medical Books
2013
[45]
논문
Ultrasound in the diagnosis of fractures in children
2000-11
[46]
논문
Ultrasound in the Assessment of Myopathic Disorders
2016-04-01
[47]
논문
Quantitative ultrasound: measurement considerations for the assessment of muscular dystrophy and sarcopenia
2014-01-01
[48]
논문
Validity of ultrasound prediction equations for total and regional muscularity in middle-aged and older men and women
2015-02-01
[49]
논문
It is not just muscle mass: a review of muscle quality, composition and metabolism during ageing as determinants of muscle function and mobility in later life
2014-01-01
[50]
논문
Echo intensity obtained from ultrasonography images reflecting muscle strength in elderly men
2013-01-01
[51]
논문
Diagnostic ultrasound estimates of muscle mass and muscle quality discriminate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sarcopenia
2015-01-01
[52]
논문
Ultrasonography of the Kidney: A Pictorial Review
2015-12-23
[53]
서적
Ultrasound Biomicroscopy of the Eye
Springer
[54]
논문
Resolution in ultrasound imaging
https://linkinghub.e[...]
2011-10
[55]
논문
Ultrasound physical principles in today's technology
2014-02
[56]
웹사이트
EP2542914A1 - System and method for using orthogonally-coded active source signals for reflected signal analysis
https://patents.goog[...]
European Patent Office
2024-03-06
[57]
서적
Basic physics of ultrasound imaging
https://apps.who.int[...]
Diagnostic Imaging and Laboratory Technology - World Health Organisation
2021-10-02
[58]
논문
An Adaptive Low-Complexity Abnormality Detection Scheme for Wearable Ultrasonography
https://doi.org/10.1[...]
2019-08
[59]
서적
Diagnostic Ultrasound Imaging: Inside Out
Academic Press
2004
[60]
서적
Cardiac anesthesia: principles and clinical practic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1]
서적
L'Investigation vasculaire par ultrasonographie doppler
Masson
[62]
논문
Imaging modalities to diagnose carotid artery stenosis: progress and prospect.
2019-05-28
[63]
웹사이트
Echocardiogram
https://medlineplus.[...]
2017-12-15
[64]
간행물
The Prevalence Of Diastolic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Referred For Echocardiographic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http://www.bioline.o[...]
2004-01
[65]
논문
Characteristics of SonoVue™
[66]
논문
Echocardiography of the Aortic Root
[67]
웹사이트
CEUS Around the World – The International Contrast Ultrasound Society (ICUS)
http://www.icus-soci[...]
2013-10-27
[68]
논문
Guidelines and Good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Contrast Enhanced Ultrasound (CEUS) in the Liver – Update 2012
[69]
논문
The EFSUMB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on the Clinical Practice of Contrast Enhanced Ultrasound (CEUS): Update 2011 on non-hepatic applications
[70]
논문
Quantitative contrast-enhanced ultrasound imaging: A review of sources of variability
[71]
논문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Early Evaluation of Response to Bevacizumab Therapy at Dynamic Contrast-enhanced US with Quantification—Preliminary Results
[72]
논문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ed with sorafenib: Early detection of treatment response and major adverse events by contrast-enhanced US
[73]
논문
Parametric imaging for characterizing focal liver lesions in contrast-enhanced ultrasound
[74]
웹사이트
Parametric images based on dynamic behavior over time
http://patentscope.w[...]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75]
논문
Perfusion Quantification in Contrast-Enhanced Ultrasound (CEUS) – Ready for Research Projects and Routine Clinical Use
[76]
논문
Interactive visual analysis of contrast-enhanced ultrasound data based on small neighborhood statistics
[77]
뉴스
Contrast US processing tool shows malignant liver lesions
http://www.auntminni[...]
AuntMinnie.com
2010
[78]
논문
Differentiation of Focal Liver Lesions: Usefulness of Parametric Imaging with Contrast-enhanced US
[79]
논문
Diagnostic Value of Contrast-Enhanced Ultrasound Parametric Imaging in Breast Tumors
[80]
논문
Targeting of ultrasound contrast material. An in vitro feasibility study
[81]
논문
Targeted delivery of gas-filled microspheres, contrast agents for ultrasound imaging
[82]
논문
BR55: A lipopeptide-based VEGFR2-targeted ultrasound contrast agent for molecular imaging of angiogenesis
[83]
논문
Targeted Contrast-Enhanced Ultrasound Imaging of Tumor Angiogenesis with Contrast Microbubbles Conjugated to Integrin-Binding Knottin Peptides
[84]
논문
Molecular imaging with contrast ultrasound and targeted microbubbles
[85]
간행물
BR55 in Prostate Cancer: an Exploratory Clinical Trial
[86]
논문
Acoustic radiation force in vivo: A mechanism to assist targeting of microbubbles
[87]
논문
Effects of Acoustic Radiation Force on the Binding Efficiency of BR55, a VEGFR2-Specific Ultrasound Contrast Agent
[88]
논문
An In Vivo Validation of the Application of Acoustic Radiation Force to Enhance the Diagnostic Utility of Molecular Imaging Using 3-D Ultrasound
[89]
논문
Molecular Ultrasound Imaging Enhancement by Volumic Acoustic Radiation Force (VARF): Pre-clinical in vivo Validation in a Murine Tumor Model
http://wmis2013.omni[...]
[90]
논문
Medical ultrasound: imaging of soft tissue strain and elasticity
[91]
논문
Overview of elastography–an emerging branch of medical imaging
[92]
논문
Elastography: A quantitative method for imaging the elasticity of biological tissues
[93]
논문
Corrigendum: Imaging the elastic properties of tissue: The 20 year perspective
[94]
논문
Safe and effective percutaneous ethanol injection therapy of 200 thyroid cysts
2020-06-18
[95]
논문
Percutaneous Ethanol Injection for Benign Cystic and Mixed Thyroid Nodules
2018-06
[96]
논문
Ultrasou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Injections of the Hip and Groin
2017-12-16
[97]
논문
Compression ultrasonography for diagnostic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deep vein thrombosis: Prospective cohort study
[98]
논문
Noninvasive Diagnosis of Deep Venous Thrombosis
[99]
논문
Limitations of compression ultrasound for the detection of symptomless postoperative deep vein thrombosis
[100]
논문
Ultrasound of paediatric appendicitis and its secondary sonographic signs: providing a more meaningful finding
2016-03
[101]
논문
Panoramic Ultrasound
https://www.research[...]
2010-04
[102]
논문
Multiparametric ultrasound versus multiparametric MRI to diagnose prostate cancer (CADMUS): a prospective, multicentre, paired-cohort, confirmatory study
https://discovery.uc[...]
2022-03
[103]
논문
A Method for Characterization of Tissue Elastic Properties Combining Ultrasonic Computed Tomography With Elastography
2010-03
[104]
논문
In vivo Breast Sound-Speed Imaging with Ultrasound Tomography
2009-10
[105]
논문
Compilation of empirical ultrasonic properties of mammalian tissues. II
1980-07
[106]
논문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empirical ultrasonic properties of mammalian tissues
1978-08
[107]
논문
Acoustic radiation force impulse imaging: in vivo demonstration of clinical feasibility
[108]
논문
Accuracy of Lung Ultrasonography in the Diagnosis of Pneumonia in Adults
2017-02
[109]
논문
Ultrasound safety: What are the issues?
[110]
서적
Training in diagnostic ultrasound : essentials, principles and standards : report of a WHO study group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111]
웹사이트
Official Statement
https://www.aium.org[...]
2020-05-19
[112]
웹사이트
Keepsake fetal ultrasounds (November 01, 2010)
http://contemporaryo[...]
2010-11
[113]
논문
Ultrasound screening in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cost-effectiveness and women's views
[114]
논문
Prenatal exposure to ultrasound waves impacts neuronal migration in mice
[115]
논문
Sinistrality—a side-effect of prenatal sonography: A comparative study of young men
[116]
논문
Routine ultrasonography in utero and subsequent handedness and neurological development
[117]
논문
Routine ultrasound screening in pregnancy and the children's subsequent handedness
[118]
논문
Handedness in the Helsinki Ultrasound Trial
[119]
논문
Ultrasound in pregnancy and non-right handedness: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120]
문서
Legislation
http://www.ardms.org[...]
[121]
웹사이트
Medical Technologist Certification & Degree Programs
https://www.medicalt[...]
2020-05-19
[122]
서적
Doppler in Obstetrics
2014-12-04
[123]
문서
MTP and PCPNDT Initiatives Report
http://jskvrc.gov.in[...]
Government of India
2011
[124]
문서
IMPLEMENTATION OF THE PCPNDT ACT IN INDIA – Perspectives and Challenges
https://web.archive.[...]
Public Health Foundation of India, Supported by United Nations FPA
2010
[125]
웹사이트
THE PRE-NATAL DIAGNOSTIC TECHNIQUES (REGULATION AND PREVENTION OF MISUSE) ACT, 1994
http://mohfw.nic.in/[...]
1994-09-20
[126]
논문
The origin of echocardiography
[127]
문서
Medical Imaging
ABC-CLIO
2010
[12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IUM
http://www.aium.org/[...]
2005-11-15
[12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Ultrasound: A collection of recollections, articles, interviews and images
http://www.obgyn.net[...]
www.obgyn.net
2006-05-11
[130]
논문
John Wild
[131]
웹사이트
Australian Ultrasound Innovation
https://www.asum.com[...]
[132]
Q
Q29581634
[133]
서적
Looking at the Unborn: Historical aspects of obstetric ultrasound
https://archive.org/[...]
History of Modern Biomedicine Research Group
[134]
논문
Investigation of Abdominal Masses by Pulsed Ultrasound
[135]
논문
The Use of Ultrasonic Reflectoscope for the Continuous Recording of the Movements of Heart Walls
[136]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http://www.ob-ultras[...]
ob-ultrasound.net
2007-08-26
[137]
논문
D. Eugene Strandness, Jr, MD, 1928–2002
2002
[138]
서적
Medical Imaging Past Present and Future: 2 ARRT category A continuing education credits are available by way of an online post test at XRayCeRT.com
https://books.google[...]
XRayCeRT
[139]
웹사이트
Ultrasound Equipment Market Size, Share & Covid-19 Impact Analisys
https://www.fortuneb[...]
2022-04-17
[140]
웹사이트
超音波(エコー)検査
https://www.nagoya-1[...]
日本赤十字社愛知医療センター名古屋第一病院
2024-03-19
[141]
웹사이트
がんの検査について 超音波(エコー)検査とは
https://ganjoho.jp/p[...]
がん情報サービス
2024-03-19
[142]
문서
[143]
문서
[144]
서적
MEの基礎知識と安全管理(改訂第4版)
南江堂
2002-04-20
[145]
서적
MEの基礎知識と安全管理(改訂第4版)
南江堂
2002-04-20
[146]
논문
超音波とマイクロバブルによる血管透過性亢進に基づくEPR効果促進への期待
https://doi.org/10.2[...]
[147]
논문
2008-08
[148]
논문
[149]
논문
2001-09
[150]
논문
2015-12-10
[151]
논문
2016-06
[152]
논문
2016-03-10
[153]
논문
2019-02-07
[154]
논문
2013-04-17
[155]
논문
2006-08-01
[156]
논문
2019-01-23
[157]
논문
2017-01-03
[158]
논문
2011-01-05
[159]
논문
リピッドバブルと超音波によるセラノスティクスと遺伝子・核酸デリバリー
https://doi.org/10.2[...]
[160]
웹사이트
超音波映像装置・検査装置
http://www.hitachi-p[...]
[161]
간행물
超音波映像装置
http://www.iri-tokyo[...]
[162]
논문
2007-01-22
[163]
논문
2008-12-08
[164]
논문
2015-09-21
[165]
논문
2008-08
[166]
논문
[167]
저널
Prenatal exposure to ultrasound waves impacts neuronal migration in mice
http://www.pnas.org/[...]
[168]
저널
Ultrasound in pregnancy and non-right handedness: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169]
문서
Microbubbles in medical imaging: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170]
문서
Effects of Acoustic Radiation Force on the Binding Efficiency of BR55, a VEGFR2-Specific Ultrasound Contrast Agent
[171]
문서
Accuracy of liver stiffness measurement for the diagnosis of cirrh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172]
문서
초음파 의료 영상에서 비집속 송신을 이용한 고속 음향 복사력 임펄스 영상법
[173]
문서
Compression ultrasonography for diagnostic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deep vein thrombosis: Prospective cohort stud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