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질 요리는 브라질의 역사, 원주민, 포르투갈, 아프리카의 영향으로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식재료와 지역별 특색을 가지고 있다. 주요 식재료로는 카사바, 콩, 쌀, 육류, 해산물, 채소, 과일 등이 있으며, 팜유, 코코넛 밀크, 카샤사도 널리 사용된다. 브라질의 식사 문화는 아침, 점심, 저녁, 간식으로 구성되며, 각 지역과 계층에 따라 다양한 음식과 식사 방식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쌀과 콩, 슈하스쿠, 피카냐, 파로파, 비페 아 카발루, 페이조아다, 무케카 등이 있으며, 카샤사, 카이피리냐, 과라나, 커피 등 다양한 음료와 디저트도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질 요리 - 폴렌타
폴렌타는 옥수수 가루를 끓여 만든 이탈리아 요리로, 고대 로마 시대 곡물 죽에서 유래하여 옥수수가 주재료가 되었으며, 이탈리아 북부에서 주식으로 여겨지다 이탈리아 전역과 브라질로 퍼져 다양한 조리법으로 사랑받고 있다. - 브라질 요리 - 고이아바다
고이아바다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구아바 열매를 주재료로 하여 설탕, 레몬즙 등을 첨가하여 만든 다양한 질감의 디저트이며, 빵이나 크래커와 함께 먹거나 브라질에서는 치즈와 함께, 포르투갈에서는 케이크 속 재료로 사용되는 등 지역별로 다양한 이름과 활용법을 가진다.
브라질 요리 |
---|
2. 역사적 배경
브라질에는 "국가적 브라질 요리"라고 할 만한 단일 요리는 없지만, 다양한 지역별 전통과 대표적인 요리들이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각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기원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바이아주 요리는 아프리카, 토착, 포르투갈 요리가 혼합된 영향을 많이 받았다. 고추와 팜유가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 북부 지역에서는 숲과 담수 하천이 풍부하여 생선, 과일, 카사바를 주식으로 한다. 남부 지역에서는 히우그란지두술주를 중심으로 축산업이 발달하여 육류 기반 음식이 많고, 아르헨티나 및 우루과이와 공유하는 가우초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슈하스코는 이 지역의 전통 음식이다.
2. 1. 원주민의 영향
북부 지역은 원주민의 영향을 많이 받아, 카사바, 얌, 땅콩, 야자 열매, 열대 과일을 주식으로 하는 식문화가 발달했다. 아마존 분지의 원주민과 포르투갈인의 혼혈 후손들이 이 지역의 주요 거주민이다.북부 지역의 대표적인 요리로는 마니소바(조리한 카사바 잎과 돼지고기로 만든 요리), 바타파 파라엔시(마른 새우와 덴데기름을 넣어 만든 요리), 시스카보키뉴(투쿠망, 코알류 치즈, 플랜틴 튀김 등을 넣은 햄버거), 아사이 나 치젤라(아사이를 얼려 스무디처럼 갈아 만든 빙과), 타카카(투쿠피, 마른 새우, 파라크레스를 넣은 요리), 파투 누 투쿠피(오리고기, 투쿠피, 파라크레스를 넣은 요리), 피라루쿠 지 카자카(피라루쿠, 파로파, 올리브, 달걀, 비나그레치로 만든 요리), 피카지뉴 지 자카레(악어고기로 만든 요리) 등이 있다. 카루루는 말린 새우, 오크라, 양파, 토마토, 고수, 덴데유를 함께 넣어 만든 요리이다.

2. 2. 포르투갈의 영향
16세기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는 브라질 요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포르투갈인들은 밀, 쌀, 돼지고기, 소고기, 유제품, 와인 등을 브라질에 도입했다.남부 지방과 남동부 지방의 식문화는 포르투갈을 비롯한 유럽계 이민자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남부 지방에서는 쇠고기와 유제품을 이용한 음식이 발달했으며, 밀, 포도 등 유럽에서 들여온 온대 작물이 재배된다. 남동부 지방에서는 옥수수, 돼지고기, 미나스 치즈를 비롯한 유제품 등이 풍부하게 쓰인다.
상파울루에서는 유럽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다양한 요리를 볼 수 있다.
2. 3. 아프리카의 영향
브라질 북동부 지방, 특히 바이아 해안 지역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이루어진 아프리카 노예 무역으로 인해 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아프리카인들은 덴데기름(붉은 팜유), 코코넛밀크, 오크라, 고추를 비롯한 각종 향신료 등을 브라질에 전파했다.
- '''아카라제''': 동부 반죽을 덴데기름(붉은 팜유)에 튀긴 음식이다.[12]
- '''바타파''': 빵, 새우, 코코넛밀크, 땅콩, 덴데기름(붉은 팜유)으로 만든 요리이다.[12]
- '''모케카 바이아나''': 생선이나 새우 등 해산물과 토마토를 넣어 만든 요리이다. 이스피리투산투식 모케카 카피샤바와 달리 덴데기름(붉은 팜유)과 피망, 코코넛밀크가 들어간다.[12]
- '''카루루''': 오크라 요리이다.[12]
이처럼 아프리카에서 유래한 식재료와 조리법은 브라질 요리에 독특한 풍미를 더하며, 특히 바이아 지역의 요리는 아프리카, 원주민, 포르투갈 요리가 융합된 아프로 바이아 요리로 유명하다.
3. 주요 식재료
브라질 요리는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침 식사는 "카페 다 마냥(café da manhãpt)"(아침의 커피)으로 불리며, 과일, 빵·케이크, 버터, 런천미트, 치즈, 커피, 우유, 주스 등을 먹는다. 흔히 먹는 빵으로는 팡 지 포르마(식빵), 팡 프란세스(프랑스빵), 바게치(바게트), 팡 시리우(시리아빵) 등이 있다. 지역에 따라 팡 나 샤파(빵에 버터, 마가린, 카투피리(헤케이장) 등을 발라 구운 것), 시스 카보키뉴(빵에 투쿠망 등 소를 넣은 샌드위치) 등을 먹기도 한다. 브로아 등의 옥수수빵, 팡 지 케이주나 시파 등의 치즈빵, 아보아도르 등 비스킷·쿠키도 흔하다. 볼루 지 홀루(롤케이크)나 쿠카(슈트로이젤쿠헨) 등 여러 케이크도 흔한 아침 메뉴이다. 지역에 따라 베이주(타피오카 팬케이크), 볼루 지 쿠스쿠스(쿠스쿠스 케이크) 등을 먹기도 한다.
링구이사 등 소시지나 살라미, 프레준투(햄) 등 훈제·염지 가공육(런천미트), 카르니 세카나 카르니 지 소우 등 마른고기, 달걀 프라이 등을 빵 사이에 끼워 먹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 아호스 카헤테이루(마른고기를 넣어 조리한 쌀밥)를 아침에 먹는 경우도 있다. 카나스트라 치즈 등 미나스 치즈는 브라질 전역에서 유명하며, 북동부 지역에서는 코알류 치즈를 즐겨 먹는다.
빵에 잼이나 젤레, 콩포트 등 과일 프리저브를 곁들이거나, 생과나 구운 과일을 먹기도 한다. 구아바, 망고, 멜론, 오렌지, 수박, 코코넛, 파인애플, 파파야 등이 흔히 먹는 과일이다. 구아바, 아세롤라, 오렌지, 캐슈, 파인애플, 패션프루트 등을 갈아 생과일 주스로 마시거나, 코코넛워터를 마시기도 한다.
커피는 드립 커피를 블랙으로 마시거나, 우유를 넣은 카페 콩 레이치(밀크 커피)나 핑가두, 메지아, 코르타두 등을 마신다. 카푸치노도 흔하며, 에스프레소 음료를 파는 커피집도 늘고 있다. 차는 전통적인 아침 음료가 아니지만, 커피 대신 마시기도 한다. 테레레(차가운 마테 음료)를 마시는 지역도 있다.
경식은 "란시(lanchept)"라 부르며, "란쇼네치(lanchonetept)"라 불리는 경식 가게에서 사 먹는 경우가 많다. 굽거나 튀긴 짭짤한 경식인 "사우가지뉴(salgadinhopt)"는 이스피하, 임파나다, 코시냐, 키비, 파스테우 등이 있으며, 고기나 치즈, 카투피리(헤케이장) 등의 소가 들어 있다. 핫도그나 햄버거·샌드위치도 흔한 경식이다.
중서부 지방의 식문화는 판타나우 습지 지역의 원주민 요리 및 아프리카계, 포르투갈계, 이탈리아계, 시리아계 이민자 음식의 영향을 받았다. 주요 향토 식재료는 페키, 망가바, 구아바, 캐슈 등 열대 과일, 카사바와 플랜틴, 옥수수 등 토착 주식 작물, 파쿠, 피라냐, 카라신, 붉은꼬리메기 등 민물생선, 아르마딜로나 악어(앨리게이터), 맥 등 사냥 고기가 있다. 시파나 소파 파라구아이아 등 파라과이 음식, 사우테냐 등 볼리비아 음식도 흔히 볼 수 있다.
저녁 식사는 수프, 샌드위치, 샐러드, 파스타, 피자 등으로 가볍게 먹는 경우가 많다. 국물 요리는 소파(sopapt), 카우두(caldopt), 크레미(cremept) 등으로 나뉘며, 지역에 따라 모코토, 바카 아톨라다, 칸지키냐 등 여러 전통 수프가 존재한다.
샐러드는 상추·양상추, 야자심, 오이, 올리브, 카사바·아라카차, 토마토·방울토마토, 피망·파프리카 등 채소와 오렌지, 자두 등 과일을 넣어 만든다. 닭고기를 넣은 살피캉 등의 샐러드도 있으며, 캔참치를 넣어 참치 샐러드를 만들기도 한다. 오레가노, 바질, 파슬리 등 허브가 쓰이기도 한다.
3. 1. 곡물
Arroz e feijãopt이라 불리는 쌀밥과 콩 요리는 브라질 식단의 기본이며, 브라질의 대표적인 가정식이다. 쌀은 브라질 사람들의 주식으로, 백미나 현미 쌀밥에 페이장(검정거북콩 스튜)을 곁들인 아호스 이 페이장은 브라질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음식으로 여겨진다.[8][9] 콩 요리인 페이장은 보통 스튜처럼 조리하지만, 페이장 트로페이루처럼 국물 없이 조리하기도 한다. 고기 등 부재료를 넣은 것은 페이조아다라 부르며, 역시 쌀밥과 함께 먹는다.브라질에서는 쌀과 콩 외에도 파스타(스파게티, 라자냐, 뇨키, 라멘, 비풍 등), 파스타 샐러드, 감자 또는 카사바를 사용한 다양한 요리, 폴렌타를 쌀 대신 섭취하기도 한다. 또한 녹색 완두콩, 병아리콩, 검은 눈 완두콩, 잠두, 버터 빈, 대두, 렌즈콩, 모야시, 아즈키 등 다양한 콩과 식물을 섭취한다.

페이장(feijão)이라고 불리는 콩은 매일 먹으며, 다양한 모양과 색깔, 크기의 것들이 있다. 흑두(feijão preto)를 브라질인이 가장 사랑하는 콩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시장에서는 흑두뿐만 아니라, 빨강, 흰색, 갈색, 그리고 분홍색 콩을 판매하고 있다.
아호스 브라질레이루 (''arroz brasileiro'')라고 불리는 브라질 쌀은 태국 쌀과 마찬가지로 인디카 쌀이며, 잘게 썬 아주 소량의 마늘을 기름에 살짝 볶은 후, 냄비에 넣어 물로 끓인다. 마늘 외에 양파, 잘게 썬 토마토, 얇게 썬 검은 올리브를 추가하는 요리사도 있다. 뚜껑을 덮지 않고 끓이다가 끓어오르면 상태를 보고 필요하면 물을 더 넣은 후 뚜껑을 덮는다. 제대로 조리되면 쌀은 부드럽고 끈적거리지 않는다.
파로파(''farofa'') 또는 파리냐 데 만지오카 (''farinha de mandioca'': 간단히 파리냐라고도 함)라고 불리는 카사바 가루는 버터를 두른 빵 부스러기에 가까워질 때까지 버터로 살짝 볶아 부식으로 한다. 삶은 달걀이나 건포도 등을 더해 변화를 주기도 한다. 요키(Yoki)라는 식품 회사가 봉지 포장된 파로파를 제조하고 있다.
3. 2. 육류
브라질은 다양한 육류를 활용한 요리가 발달했다. 특히 쇠고기는 슈하스쿠와 같이 꼬치에 꿰어 굽는 요리나, 스테이크 형태로 많이 소비된다. 피카냐나 아우카트라 등 다양한 쇠고기 부위를 구워 먹으며, 달걀 프라이를 올린 비피 아 카발루나 빵가루를 입혀 튀긴 비피 아 밀라네자 등이 대표적이다.[12]
남부 지방에서는 축산업의 오랜 전통과 독일 이민의 영향으로 붉은 고기가 현지 요리의 기본을 이룬다. 슈하스쿠는 브라질 남부에서 유래된 바비큐(아르헨티나 또는 우루과이의 아사도)를 뜻하며, 특별히 제작된 ''슈하스케이라''(churrasqueira)에서 조리된다. 휴대용 ''슈하스케이라''는 그릴 지지대가 있지만, 많은 브라질 ''슈하스케이라''는 그릴이 없고 숯불 위 꼬치만 있다. 또는 고기를 지지대에 올려놓거나 땅에 박아 숯불(히우그란지두술주에서는 나무도 사용될 수 있음)로 구운 커다란 금속 또는 나무 꼬치에 굽기도 한다. 가우초들은 유목민이었고 땅에서 생활했기 때문에 음식을 보존할 방법이 없었고, 소를 잡은 후 즉시 고기를 구워먹었다. 이러한 스타일은 현대식 슈하스카리아에 영감을 주었다.[13][14]

돼지고기는 남동부 지방에서 특히 많이 소비되며,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전통 요리에 자주 사용된다. 닭고기 또한 브라질 전역에서 널리 소비되는 육류이며, 갈리냐다와 같이 쌀과 함께 조리하는 요리나, 영계를 통째로 굽는 갈레투 등의 형태로 소비된다.[10]


3. 3. 해산물
브라질은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해산물이 풍부하며, 대구, 새우, 조개 등이 요리에 많이 사용된다.[29] 특히 북동부 지방에서는 해산물 요리가 발달했는데, 모케카 바이아나는 생선이나 새우 등 해산물과 토마토를 넣어 만든 요리로, 덴데기름(붉은 팜유)과 피망, 코코넛밀크가 들어가 이스피리투산투식 모케카 카피샤바와는 다른 풍미를 낸다.[20] 바타파는 빵, 새우, 코코넛밀크, 땅콩, 덴데기름(붉은 팜유)으로 만든 요리이며, 보보 지 카마랑은 카사바와 새우로 만든 요리이다. 아카라제는 동부 반죽을 덴데기름(붉은 팜유)에 튀긴 음식으로, 바타파와 카루루를 채워 길거리 음식으로도 즐겨 먹는다.[29]북부 지방에서는 카루루가 대표적인 해산물 요리인데, 말린 새우, 오크라, 양파, 토마토, 고수와 덴데유(팜유의 과육에서 채취한 기름)를 함께 넣어 만든다. 마른 새우는 "카마랑 세쿠(camarão seco)"라고 불리며 다양한 크기로 북부 지방 요리에 사용된다. 조리 전에는 냉수에 하룻밤 담가두며, 이때 사용한 물은 버린다. 바칼라우(bacalhau)라고 불리는 대구는 포르투갈에서 유래된 식재료로, 전채 요리, 수프, 메인 요리, 구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소금을 제거하고 사용하기 위해 껍질과 뼈를 제거하고 찬물에 1시간마다 물을 갈아주면서 3~4시간 담가둔다.
3. 4. 채소 및 과일
토마토는 여러 소스와 퓌레의 주재료이며, 조림 요리에도 사용된다. 양파와 마늘은 브라질 요리에서 빠질 수 없는 채소이다. 오크라는 브라질 북부와 남동부 지역에서, 야자심은 샐러드 등에, 케일은 페이조아다나 투투 지 페이장에 곁들여 먹는 등 다양한 채소가 요리에 사용된다.망고, 파파야, 구아바, 아사이, 코코넛 등 열대 과일은 브라질 요리의 중요한 재료이다. 코코넛은 "코쿠(côcopt)"라고 불리며, 디저트나 과자뿐만 아니라 수프, 전채 요리, 조류 요리, 생선 요리, 조개 요리 등에도 사용된다. 덜 익은 녹색 코코넛(côco verdept), 노란색 또는 갈색으로 익은 코코넛(côco amarelopt), 녹색 코코넛의 버터처럼 부드러운 과육(côco de águapt), 코코넛을 갈아 놓은 것(côco raladopt)도 사용된다. 안에 고인 약간 짭짤한 액체(água de côcopt)도 마실 수 있다. 리몽(limão)이라고 불리는 레몬은 녹색이며 작고 매우 시큼하며, 일본의 유자, 카보스, 스다치와 비슷하게 사용한다. 바나나는 브라질에서도 생산량이 많아 수출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소비된다. 과거에는 바나나 튀김이나 구운 고구마와 비슷한 식감인 찐 바나나 등 주식으로도 사용되었던 조리용 품종과 달콤한 생식용 품종이 모두 많아, 간식이나 부식으로 현재에도 섭취되고 있다.
3. 5. 기타
아제이트 지 덴데(azeite de dendê)라고 불리는 팜유는 브라질 북부에서 자라는 아브라야자야자에서 추출한 기름이다. 바이아 요리 및 아프리카-브라질 요리에서 주로 사용되며, 독특한 맛과 선명한 오렌지색을 요리에 더한다. 다른 기름으로 대체하기는 어려우며, 브라질 수입 식재료를 취급하는 가게에서 구할 수 있다.[20]4. 식사 문화
브라질의 식사 문화는 지역과 사회 계층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루 세 끼를 먹는다.
- 아침 식사는 "카페 다 마냥(café da manhãpt)"이라 부르며, 과일, 빵·케이크, 버터, 런천미트, 치즈, 커피, 우유, 주스 등을 먹는다.[1]
- 점심 식사는 '알모수'라 부르며, 오전 11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 하루 중 가장 든든하게 먹는다.[1] 쌀밥과 페이장(콩 요리), 고기 또는 생선 요리, 샐러드와 후식 등으로 구성된다.[1]
- 저녁 식사는 수프, 샌드위치, 샐러드, 파스타, 피자 등 가벼운 음식으로 이루어진다.
- 경식은 "란시(lanchept)"라 부르며, "란쇼네치(lanchonetept)"라 불리는 경식 가게에서 사 먹는 경우가 많다.
4. 1. 아침
아침 식사는 "아침의 커피"라는 뜻의 "카페 다 마냥(café da manhãpt)"이라고 부르며, 과일, 빵·케이크, 버터, 런천미트, 치즈, 커피, 우유, 주스 등을 먹는다.[1]흔히 먹는 빵으로는 팡 지 포르마(식빵), 팡 프란세스(프랑스빵), 바게치(바게트), 팡 시리우(시리아빵) 등이 있다. 지역에 따라 빵에 버터나 마가린, 카투피리(헤케이장) 등을 발라 구운 팡 나 샤파, 빵에 투쿠망 등 소를 넣은 샌드위치인 시스 카보키뉴 등을 먹기도 한다.[1] 브로아 등의 옥수수빵, 팡 지 케이주나 시파 등의 치즈빵, 아보아도르 등 비스킷·쿠키도 흔히 볼 수 있다.[1] 볼루 지 홀루(롤케이크)나 쿠카(슈트로이젤쿠헨) 등 여러 케이크도 흔한 아침 메뉴이다.[1] 지역에 따라 소를 넣거나 넣지 않은 베이주(타피오카 팬케이크), 볼루 지 쿠스쿠스(쿠스쿠스 케이크) 등을 아침 식사로 먹기도 한다.[1]
아침에 링구이사 등 소시지나 살라미, 프레준투(햄) 등 여러 가지 훈제·염지 가공육(런천미트), 카르니 세카나 카르니 지 소우 등 마른고기, 달걀 프라이 등을 빵 사이에 끼워 먹기도 한다.[1] 지역에 따라 마른고기를 넣어 조리한 아호스 카헤테이루 등 쌀밥을 아침에 먹는 경우도 있다.[1] 카나스트라 치즈 등 미나스 치즈는 브라질 전역에서 유명하며, 북동부 지역에서는 코알류 치즈를 즐겨 먹는다.[1]
빵에 잼이나 젤레, 콩포트 등 과일 프리저브를 곁들이기도 하며, 생과나 구운 과일을 먹기도 한다.[1] 구아바, 망고, 멜론, 오렌지, 수박, 코코넛, 파인애플, 파파야 등이 흔히 먹는 과일이다.[1] 구아바, 아세롤라, 오렌지, 캐슈, 파인애플, 패션프루트 등을 갈아 생과일 주스로 마시기도 한다.[1] 코코넛워터도 흔한 과일 음료이다.[1]
커피는 드립 커피를 블랙으로 마시기도 하고, 우유를 넣은 카페 콩 레이치(밀크 커피)나 핑가두, 메지아, 코르타두 등을 마시기도 한다.[1] 카푸치노도 흔한 커피 음료이며, 에스프레소 음료를 파는 커피집도 늘고 있다.[1] 차는 전통적인 아침 음료가 아니지만, 커피 대신 마시기도 한다.[1] 아침에 전통적으로 테레레(차가운 마테 음료)를 마시는 지역도 있다.[1]
4. 2. 점심
점심 식사는 '알모수'라고 불리며, 하루 중 가장 든든하게 먹는 식사이다. 보통 오전 11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 이루어진다.[1] 브라질의 점심 식사는 쌀밥과 페이장(콩 요리), 고기 또는 생선 요리, 샐러드와 후식 등으로 구성된다.[1]
브라질인의 주식은 쌀이다. 백미나 현미 쌀밥에 페이장(검정거북콩 스튜)을 곁들인 아호스 이 페이장은 가장 기본적인 음식으로 여겨진다.[1] 리소토나 파스타(스파게티, 탈리에리니, 라사냐 등)를 먹기도 하며, 야키소바나 비풍 등 아시아식 국수 요리도 흔하다.[1] 스시나 포케 등의 쌀밥 요리도 흔하다.[1] 콩 요리인 페이장은 보통 스튜처럼 조리하지만, 페이장 트로페이루처럼 국물 없이 조리하기도 한다.[1] 고기 등 부재료를 넣은 것은 페이조아다라 부르며, 역시 쌀밥과 함께 먹는다.[1]
주요리는 스테이크가 대표적이다. 피카냐나 아우카트라 등 여러 가지 쇠고기 부위를 구워 먹으며, 달걀 프라이를 올린 비피 아 카발루나 빵가루를 입혀 튀긴 비피 아 밀라네자, 크림소스를 사용한 이스트로고노피 지 카르니, 치즈를 사용한 비피 아 파르메지아나 등을 흔히 볼 수 있다.[1] 생선과 해산물 요리는 지역에 따라 조리법과 식용 빈도가 다르다.[1] 세비체와 스시 등 날생선 요리도 흔히 볼 수 있다.[1]
부식으로는 흔히 비나그레치 등 샐러드류를 곁들인다.[1] 쿠스쿠스나 퀴노아, 매시트 포테이토나 앙구, 감자튀김 등도 흔한 부식이다.[1] 구운 파인애플 등 과일을 곁들이기도 한다.[1]
후식으로는 다양한 "도시(docept)"를 먹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도시 지 레이치, 베이지뉴, 브리가데이루, 사구, 카주지뉴, 코카다, 킨징, 파베, 페 지 몰레키, 호메우 이 줄리에타 등이 있다.[1] 푸징 지 레이치 콘덴사두 등 푸딩과 볼루 지 홀루 등 케이크도 흔히 먹는 후식이다.[1] 초콜릿과 과일 등을 넣은 피자 도시(단 피자)나 스시 도시(단 초밥)를 후식으로 먹기도 하며, 아사이 나 치젤라나 아이스크림 등 차가운 후식을 먹기도 한다.[1]
4. 3. 저녁
저녁 식사는 수프, 샌드위치, 샐러드, 파스타, 피자 등 가벼운 음식으로 이루어진다.국물 요리는 일반적인 수프를 뜻하는 소파(sopapt), 콩소메와 유사한 카우두(caldopt), 포타주와 비슷한 크레미(cremept) 등으로 나뉘며, 지역에 따라 모코토, 바카 아톨라다, 칸지키냐 등 여러 가지 전통 수프가 있다.
샐러드는 상추, 양상추, 야자심, 오이, 올리브, 카사바, 아라카차, 토마토, 방울토마토, 피망, 파프리카 등 여러 가지 채소와 때로는 오렌지, 자두 등 과일을 넣어 만든다. 닭고기를 넣은 살피캉 등의 샐러드도 있으며, 캔참치를 넣어 참치 샐러드를 만들기도 한다. 오레가노, 바질, 파슬리 등 허브가 쓰이기도 한다.
대부분의 브라질 사람들에게 '장타르'(jantarpt)는 가벼운 식사이며, 밤에 식사를 하는 사람들도 있다. 주로 샌드위치, 수프, 샐러드, 파스타, 햄버거, 핫도그, 피자 또는 점심 식사 음식을 다시 먹는 경우가 많다.
4. 4. 경식
경식은 "란시(lanchept)"라 부르며, "란쇼네치(lanchonetept)"라 불리는 경식 가게에서 사 먹는 경우가 많다. 굽거나 튀긴 짭짤한 경식인 "사우가지뉴(salgadinhopt)"에는 이스피하, 임파나다, 코시냐, 키비, 파스테우 등이 있으며, 고기나 치즈, 카투피리(헤케이장) 등의 소를 넣은 것을 고를 수 있다. 그 외에도 핫도그나 햄버거, 샌드위치가 흔한 경식이다.브라질에서 햄버거는 "암부르게르(hambúrguerpt)" 또는 "시스살라다(X-saladapt)" 등 "시스(Xpt)"가 들어간 이름으로도 흔히 불린다. 이는 영어 "치즈버거(cheeseburger영어)"의 "치즈(cheese영어)"가 변한 것이다. 이중음자 "ch"는 영어에서 파찰음 로 발음되지만 포르투갈어에서는 마찰음 로 발음되며, 포르투갈어에는 장·단모음 구분이 없고, 음소배열제약에 따라 낱말 끝의 치찰음은 모두 무성음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영어 "치즈 "가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시스 "가 된다. 이는 포르투갈어 알파벳 "Xpt"를 부르는 이름과 발음이 같다. 치즈와 고기 패티, 채소가 들어간 일반적인 햄버거는 "시스살라다(X-saladapt)"라 불리며, 달걀 프라이가 추가된 것은 "시스에그(X-eggpt)", 베이컨을 넣은 것은 "시스베이콩(X-baconpt)" 등으로 부른다. "시스투두(X-tudopt)"도 흔한 햄버거 메뉴인데, 포르투갈어 "투두(tudopt)"는 "모든 것"을 뜻하며, "시스투두"는 달걀과 베이컨 등 모든 것이 추가된 햄버거를 가리킨다. 피카냐 등 스테이크를 넣은 햄버거도 흔하다.
브라질에서 핫도그는 "카쇼후켄치(cachorro-quentept)"라 불리는데, 이는 "강아지"를 뜻하는 "카쇼후(cachorropt)"와 "뜨겁다"를 뜻하는 "켄치(quentept)"를 붙인 말로, 영어 "핫도그"의 직역이다. 일반적인 핫도그용 소시지인 프랑크푸르트 소시지 등 사우시샤 외에도 링구이사 등의 소시지가 쓰이기도 한다. 토핑으로는 다진 고기, 바삭바삭하게 튀긴 베이컨, 비나그레치나 콜슬로, 으깬 감자, 막대 감자, 체더, 모차렐라, 파르미자노 등 치즈, 카투피리(헤케이장) 등을 올리고, 케첩, 마요네즈, 머스터드 등 소스를 뿌려 먹는다.
5. 지역별 요리
브라질은 광대한 영토만큼 지역별로 특색 있는 요리가 발달했다. 바이아주 요리는 아프리카, 토착, 포르투갈 요리가 혼합된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고추와 고추를 넣은 소스, 팜유를 많이 사용한다. 북부 지역은 숲과 담수 하천이 풍부하여 생선, 과일, 카사바(카사바로 만든 가루 포함)가 주식이다. 남부 히우그란지두술주는 축산업이 발달하여 육류를 많이 사용하며, 이웃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와 공유하는 가우초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슈하스쿠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바비큐 요리이다.
5. 1. 북부
북부 지방의 식문화는 원주민 및 포르투갈계 이민자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아마존 등 열대 우림에서 나는 카사바, 파라크레스 등 식물과, 골리앗메기, 공작농어, 파쿠, 피라냐, 피라루쿠 등 아마존강 지류에서 나는 민물생선이 여러 요리에 쓰인다. 브라질너트 등을 넣어 만든 쿠키, 타피오카나 카사바가루, 바나나 등으로 만든 포리지, 새우나 게, 생선, 파라크레스 등을 넣어 만든 사우가두(salgadopt), 쿠푸아수나 바쿠리 등 열대 과일로 만든 도시(docept) 등도 흔한 북부 음식이다. 대표적인 음식은 다음과 같다.- 마니소바: 마니바(조리한 카사바 잎)와 돼지고기로 만든 요리이다.
- 바타파 파라엔시: 마른 새우와 덴데기름(붉은 팜유)을 넣어 만든 요리이다. 땅콩, 캐슈너트, 생강, 푸바 등이 들어간 바이아식 바타파와 차이가 있다.
- 시스카보키뉴: 투쿠망과 코알류 치즈, 플랜틴 튀김 등을 넣어 만든 햄버거이다.
- 아사이 나 치젤라: 아사이를 얼려 스무디처럼 갈아 만든 빙과이다. 북부 지역에서는 달콤한 후식으로 먹지 않고, 식사 때 생선튀김이나 카르니 지 소우 등 짭조름한 음식과 먹는다.
- 타카카: 투쿠피(카사바 즙을 발효해 만든 노란 국물), 마른 새우, 파라크레스 등을 넣어 만든 요리이다.
- 파투 누 투쿠피: 오리고기와 투쿠피, 파라크레스 등을 넣어 만든 요리이다.
- 피라루쿠 지 카자카: 피라루쿠와 파로파, 올리브, 달걀, 비나그레치로 만든 요리이다.
- 피카지뉴 지 자카레: 악어(앨리게이터)고기로 만든 요리이다.
5. 2. 북동부
북동부 지방의 식문화는 원주민, 포르투갈계, 아프리카계 이민자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특히 페르남부쿠와 바이아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식민지 시기 이전부터 원주민들이 재배하던 채소, 쇠고기, 양고기, 생선, 해산물 등이 풍부하며, 북동부 지역의 향토 식재료로는 코알류 치즈, 카르니 지 소우, 만테이가 다 테하, 하파두라 등이 있다.[20]
- 주요 음식
음식명 | 설명 |
---|---|
마리아이자베우 | 카르니 지 소우를 넣어 만든 쌀밥 요리 |
모케카 바이아나 | 생선이나 새우 등 해산물과 토마토를 넣어 만든 요리. 이스피리투산투식 모케카 카피샤바와 달리 덴데기름(붉은 팜유), 피망, 코코넛밀크가 들어간다. |
뭉군자 | 칸지카옥수수로 만든 후식 |
바이앙 지 도이스 | 동부를 넣어 만든 쌀밥 요리 |
바타파 | 빵, 새우, 코코넛밀크, 땅콩, 덴데기름(붉은 팜유)으로 만든 요리 |
보보 지 카마랑 | 카사바와 새우로 만든 요리 |
볼루 지 홀루 | 고이아바다를 넣어 만든 롤케이크 |
부샤다 | 콩팥과 간 등의 양 내장 고기 요리 |
세킬류 | 카사바녹말로 만든 쿠키 |
아카라제 | 동부 반죽을 덴데기름(붉은 팜유)에 튀긴 음식 |
아호스 지 쿠샤 | 로젤, 참깨, 마른새우, 카사바가루, 베리고추를 넣어 만든 쿠샤 소스를 곁들인 쌀밥 요리 |
아후마지뉴 | 동부 페이장, 파로파, 비나그레치를 곁들인 마른고기 요리 |
이스콘지지뉴 | 마른고기와 카사바 퓌레로 만든 요리 |
카루루 | 오크라 요리 |
칸지카 | 옥수수, 우유나 코코넛밀크, 설탕, 계피로 만든 요리 |
파로파 | 구운 카사바가루 요리 |
파모냐 | 사탕옥수수 요리 |
파소카 | 카사바가루와 마른고기로 만든 요리 |
파소카 지 아멘도잉 | 땅콩, 카사바가루, 설탕을 넣어 만든 후식 |
알라고아스, 세아라, 세르지페, 바이아, 파라이바, 피아우이, 페르남부쿠, 마라냥, 히우그란데두노르치는 북동부로 정의된다. 이 지역은 방목이 이루어지는 건조한 내륙부에서 비옥한 해안 평야까지 있으며, 사탕수수와 카카오가 중요한 농작물이다. 바이아 주에서는 아프리카계의 영향을 받은 아프로 바이아 요리가 유명하다. 현지 식재료를 활용하여 아프리카, 인도, 포르투갈 요리를 융합한 것이다. 바타파와 무케카가 유명하며, 둘 다 어패류와 팜유를 사용한다. 해안 지역에서는 생선, 조개, 열대 과일을 많이 사용한다. 건조한 내륙부에서는 육포, 쌀, 콩류, 염소, 카사바, 옥수수 가루가 사용된다.
'''아제이트 데 덴데''' (azeite de dendê)라고 불리는 팜유는 브라질 북부에서 자라는 아브라야자야자에서 추출한 기름이다. 바이아 요리 및 아프리카-브라질 요리에서 주로 사용되며, 독특한 맛과 선명한 오렌지색을 요리에 더한다.
5. 3. 중서부
판타나우 습지 지역의 원주민 요리 및 아프리카계, 포르투갈계, 이탈리아계, 시리아계 이민자 음식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주요 향토 식재료는 다음과 같다.- 페키, 망가바, 구아바, 캐슈 등 열대 과일
- 카사바, 플랜틴, 옥수수 등 토착 주식 작물
- 파쿠, 피라냐, 카라신, 붉은꼬리메기 등 민물생선
- 아르마딜로, 악어(앨리게이터), 맥 등 사냥 고기
시파, 소파 파라구아이아 등 파라과이 음식, 사우테냐 등 볼리비아 음식도 흔히 볼 수 있다.
고이아스 주에서는 페키가 많이 사용되며, 특히 "아호스 콩 페키" (페키를 넣고 요리한 쌀밥)와 파스텔 속재료 등에 쓰인다. 이 주에서는 밤과 야자수를 흔하게 볼 수 있으며, 닭고기와 쌀을 섞은 갈리냐다도 매우 인기 있다. 마투 그로수 주와 마투 그로수 두 술 주는 인접 국가 및 판타나우 지역의 영향을 받았다.
고이아스, 마투그로수, 마투그로수두술 각 주와 연방구를 '''중서부'''라고 한다. 이 지역은 주로 건조한 사바나와 초원, 북부의 숲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타나우라고 불리는 사냥과 낚시 명소가 있다. 광대한 목초지에서 공급되는 쇠고기와 돼지고기, 그리고 생선이 메뉴의 중심이며, 콩, 쌀, 옥수수, 카사바도 즐겨 먹는다.
대표적인 음식은 다음과 같다.
- 마카항 보이아데이루: 카르니 지 소우를 넣은 파스타 요리
- 슈하스쿠 판타네이루: 땅바닥 불구덩이 위에서 굽는 슈하스쿠(바비큐)
- 아호스 콩 페키: 페키를 넣어 지은 쌀밥
- 임파당 고이아누: 닭고기, 링구이사, 옥수수 등을 넣어 만든 임파다(파이)
- 푸훈두: 파파야와 하파두라를 넣어 만든 후식
5. 4. 남동부
남동부 지방의 식문화는 원주민 및 유럽(포르투갈, 이탈리아, 독일)계, 아시아(일본, 레바논, 시리아)계, 아프리카계 등 이민자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옥수수, 오크라, 케일 등 채소와,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등의 육류, 미나스 치즈를 비롯한 유제품 등이 풍부하게 쓰인다. 팡 지 케이주(치즈 빵)을 비롯해 아보아도르, 세킬류, 호스카 등 여러 가지 전통 과자류도 발달했다.대표적인 음식은 다음과 같다.
- 갈레투: 구운 영계(닭고기) 요리이다.
- 갈리냐다: 닭고기를 넣어 지은 쌀밥 요리이다.
- 모케카 카피샤바: 생선이나 새우 등 해산물과 토마토를 넣어 만든 요리이다. 바이아식 모케카 바이아나와 달리 덴데기름(붉은 팜유)과 피망, 코코넛밀크를 쓰지 않으며, 안나토를 넣어 색을 낸다.
- 볼리뉴 지 바칼랴우: 바칼랴우(염대구)로 만들어 튀긴 크로켓 또는 어묵이다.
- 비라두: 페이장을 파리냐 등 부재료와 볶아 만든 요리이다. 비라두 아 파울리스타는 쌀밥, 볶은 케일, 바나나 튀김, 포크 촙 등과 함께 낸다.
- 앙구: 푸바(옥수수가루)로 만든 폴렌타와 비슷한 음식이다.
- 쿠스쿠스 파울리스타: 새우, 달걀, 채소 등을 넣어 만든 쿠스쿠스 요리이다.
- 토르타 카피샤바: 바칼랴우(염대구)와 다른 해산물, 야자심 등으로 만든 요리이다.
- 투투 지 페이장: 페이장을 파리냐 등 부재료와 볶은 다음 퓌레해 만든 요리다. 투투 아 미네이라는 쌀밥, 볶은 케일, 포크 촙이나 링구이사 등과 함께 먹는다.
- 파스테우: 치즈나 쇠고기 등의 소를 넣어 튀긴 덤플링이다.
- 팡 지 케이주: 포우빌류 아제두(발효한 카사바녹말)와 치즈 반죽으로 만든 비스킷이다.
- 페이장 트로페이루: 페이장을 파리냐, 마늘, 양파, 돼지 껍데기, 링구이사, 달걀 등 부재료와 볶아 만든 요리이다.
- 페이조아다: 검정거북콩 등 콩에 고기 등 부재료를 넣고 오래 삶은 요리이다.
- 필레 아 오즈바우두 아라냐: 필레 미뇽이나 서로인 스테이크에 튀긴 마늘을 올린 요리이다.

리우데자네이루, 상파울루, 이스피리투 산투, 미나스제라이스에서는 특히 수요일이나 토요일 점심으로 페이조아다가 인기가 많다.[8][9] 또한 '피카디뉴'(문자 그대로, 다진 고기)와 밥과 콩도 자주 먹는다. 리우데자네이루에서는 '페이조아다' 외에도 구운 소고기 필레, 밥과 콩, 파로파, 튀긴 마늘, 튀긴 감자('바타타스 포르투게사')를 곁들인 요리가 인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필레 아 오스발두 아라냐'라고 불린다.
에스피리투산투, 상파울루, 미나스제라이스, 리우데자네이루 각 주는 남동부로 정의된다.
미나스제라이스 주에서는 옥수수, 돼지고기, 콩류, 그리고 현지에서 생산되는 부드러운 치즈가 주요 식재료이다. 리우데자네이루와 상파울루에서는, 바이아 주의 향토 요리이며, 콩과 고기를 함께 끓여 만드는 페이조아다 콤플레타가 유명하며, 수요일과 토요일 점심에 제공된다. 또한, 아호스 이 페이장(쌀과 콩 요리)도 자주 먹는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콩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며, 리우에서는 검은콩, 상파울루에서는 붉은콩과 흰콩, 미나스제라이스에서는 검은콩이나 붉은콩을 먹는다. 상파울루의 유명한 요리로는 비라두 아 파울리스타가 있다. 이는 쌀과 카사바 가루를 묻힌 콩, 삶은 양배추, 그리고 돼지고기 모듬이다.
5. 5. 남부
남부 지방의 식문화는 독일,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폴란드 등 유럽계 이민자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오랜 낙농·축산 역사로 쇠고기와 유제품을 이용한 음식이 발달했으며, 기후가 비교적 서늘해 밀, 포도 등 유럽에서 들여온 온대 작물이 재배된다.[12]- 바헤아두: 쇠고기를 스튜해 만든 요리이다.
- 사구: 타피오카 펄과 포도주로 만든 후식이다.
- 슈하스쿠: 쇠고기 등을 꼬치에 꿰어 굽는 브라질식 바비큐이다.
- 아호스 카헤테이루: 마른고기를 넣어 만든 쌀밥 요리이다.
- 카페 콜로니아우: 빵·케이크·비스킷, 고기·소시지·런천미트, 치즈 등으로 구성된 식사이다.
- 쿠카: 슈트로이젤쿠헨과 비슷한 케이크이다.
- 하지시: 와인 식초 드레싱을 곁들인 치커리 샐러드이다.
히우그란지두술주 요리의 가장 전형적인 요리는 슈하스쿠, 마테차, 아호스 카헤테이루, 튀긴 폴렌타, 갈레토, 쿠카, 사구 등이 있다.[15][16]
산타카타리나, 파라나, 히우그란데두술 주는 남부로 정의된다.
가우초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햇볕에 말리거나 소금에 절인 건조육과 슈하스쿠라고 불리는 구운 고기 요리를 만들어냈는데, 이것들은 남부의 유명한 요리이다. 유럽에서 온 이주민이 많아 밀가루를 중심으로 한 식생활이 정착되었고, 와인, 상추 등의 잎채소와 유제품을 브라질인의 식생활에 소개했다.
6. 대표적인 요리
브라질 요리는 다양성과 품질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상파울루시는 인정받는 레스토랑과 바로 인해 세계 7대 주요 미식 목적지로 선정되기도 했다.[29]
- '''쌀과 콩'''은 매우 인기 있는 요리로, 식탁의 기본으로 여겨진다.
- '''비페 아 카발루'''(Bife a cavalo): 스테이크 위에 달걀을 얹고 감자튀김을 곁들인 요리이다.
- '''비페 아 파르메지아나pt'''(Bife à parmegiana): 튀긴 스테이크에 파르메산 치즈와 오레가노 등의 향신료를 더한 토마토 소스를 얹은 요리이다. 브라질에서 발명되었지만, 브라질에서는 이탈리아 요리로 간주되기도 한다.
- '''투투 데 페이장pt'''(Tutu de feijão):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전통 요리로, 삶은 콩을 볶아 카사바 또는 옥수수 가루로 걸쭉하게 만든다.
- '''아로스 카레테이로'''(Arroz carreteiro): 브라질 남부 지역의 전통 요리로, 잘게 썬 쇠고기와 건조육 등을 쌀과 함께 볶은 요리이다.
- '''갈린야다'''(Galinhada): 상파울루, 미나스제라이스, 고이아스 주의 전통 요리로, 닭고기와 쌀을 사프란으로 양념한 요리이다.
- '''바헤아두pt'''(Barreado): 파라나 주의 전통 요리로, 점토 냄비에 쇠고기, 베이컨, 토마토, 양파, 커민 등을 넣고 12~18시간 동안 천천히 조리한 스튜이다.[26][27]
- '''피자''': 브라질에서는 100가지 이상의 다양한 맛을 낼 수 있으며, 초콜릿, 바나나, 시나몬, 구아바 등 단맛이 나는 피자도 있다.
- '''카쇼루 켄치'''(Cachorro-quente): 핫도그의 브라질 버전으로, 케첩, 겨자, 마요네즈 외에도 감자튀김, 파르메산 치즈, 옥수수, 완두콩, 올리브, 메추라기알 등 다양한 재료를 추가한다.
- '''미스토 켄치'''(Misto-quente): 구운 햄과 치즈 샌드위치이다.
- '''앙구'''(Angu): 브라질 남부와 브라질 남동부에서 주로 먹는 폴렌타와 비슷한 음식이다.
- '''아로스 콤 페키'''(Arroz com pequi): 브라질 중서부 요리의 상징으로, 페키로 양념한 쌀 요리이다.
- '''쿠스쿠스 브랑코'''(Cuscuz branco): 코코넛 밀크와 설탕으로 조리한 타피오카 디저트이다.
- '''아사이''', '''쿠푸아수''', '''캐럼볼라''' 등 아마존 열대 우림의 열대 과일들은 스무디나 신선한 과일로 소비된다.
- '''피냐웅'''(Pinhão): 브라질 남부 고지대의 나무인 ''아라우카리아 앙구스티폴리아''의 잣으로, 겨울철 간식으로 먹는다.
- '''리소토'''(Risoto): 닭고기, 새우 등 해산물이나 다른 단백질로 요리한 쌀 요리이다.
- '''모르타델라 샌드위치'''(Sanduíche de mortadela): 상파울루에서 흔한 샌드위치이다.
- '''브라질 너트 케이크'''(Bolo de castanha-do-brasil): 아마존 지역에서 흔한 케이크이다.[28]
- '''브로아'''(Broa): 펜넬이 들어간 옥수수빵이다.
- '''피랑'''(Pirão): 생선 육수에 카사바를 넣은 죽과 같은 요리이다.[29]
- '''에스트로고노피'''(Estrogonofe) - 브라질식 비프 스트로가노프
- '''파스텔'''(Pastel) - 브라질식 튀김 만두 혹은 브라질식 튀김 춘권
- '''에스피하'''(Esfiha 또는 Esfira) - 빵의 일종.
- '''아호스 콩 페이장'''(Arroz con feijao) - 콩을 섞어 지은 브라질식 밥.
- '''프란고 콩 키아보'''(Frango com quiabo) - 닭고기와 오크라 볶음.








6. 1. 페이조아다
'''페이조아다'''는 검은콩과 다양한 부위의 돼지고기를 함께 끓여 만든 스튜이다. 브라질의 국민 음식으로 여겨진다.[29] 300년 이상 전부터 검은콩, 돼지고기, 카사바를 사용하였다. 아프리카에서 데려온 노예에게 먹일 수 있는 돼지의 귀나 발, 꼬리, 콩에 카사바 가루와 같은 저렴한 식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시작이다. 그 이후 브라질의 모든 지역에서 먹게 되었으며, 100가지 이상의 조리법이 있다.6. 2. 슈하스쿠
슈하스쿠(Churrasco)는 브라질 남부의 주요 요리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브라질의 다른 지역에서도 슈하스쿠를 받아들여 다른 조리법을 만들었다.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다양한 종류의 고기를 꼬치에 꿰어 숯불에 구운 요리로, 슈하스쿠 전문 레스토랑은 슈하스카리아이다. 가우초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햇볕에 말리거나 소금에 절인 건조육과 슈하스쿠라고 불리는 구운 고기 요리를 만들어냈는데, 이것들은 남부의 유명한 요리이다.[26]6. 3. 무케카
Moquecapt는 생선, 새우 등 해산물과 토마토, 양파, 고추 등을 팜유와 코코넛 밀크에 넣어 끓인 스튜이다.[29] 브라질 북동부 지역, 특히 바이아 주에서는 아프리카계의 영향을 받은 아프로 바이아 요리가 유명한데, 현지 식재료를 활용하여 아프리카, 인도, 포르투갈 요리를 융합한 것이 특징이며, 무케카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요리 중 하나이다.6. 4. 빵 데 케이주
'''빵 데 케이주'''(문자 그대로 "치즈 빵")는 마니옥 가루, 계란, 우유, 미나스 치즈로 만든 작고 부드러운 롤빵으로, 전형적인 브라질 간식이다.[21][22] 구멍가게에서 완제품으로 구매하거나, 슈퍼마켓에서 냉동 상태로 구매하여 바로 구워 먹을 수 있으며, 글루텐이 없다.7. 음료
브라질에서는 과일 주스를 즐겨 마시며, 사탕수수 즙이나 스위스 레모네이드 등도 흔한 음료이다. 마테 음료인 시마항, 테레레를 마시기도 한다.
7. 1. 카샤사
사탕수수를 증류하여 만든 브라질 고유의 술이다.[36] 카이피리냐의 주재료로 사용된다.[36] 비공식적으로 ''카나'', ''카니냐'', ''핑가''라고도 불린다.[36]7. 2. 카이피리냐
카샤사를 베이스로, 라임 주스와 설탕을 넣어 만든 칵테일이다.[36]
7. 3. 과라나

과라나는 아마존 지역에서 자라는 과라나 씨앗으로 만든 카페인 함유 탄산음료이다.[1]
7. 4. 커피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커피 생산국이며, 커피는 브라질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료이다. 카페 콩 레이치, 핑가두, 메지아 등 밀크 커피나 카페 카리오카 등 블랙 커피를 즐겨 마신다.8. 디저트
브라질은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아 달콤한 디저트 문화가 발달했다. 포르투갈인들이 브라질로 이민 오면서 설탕의 맛과 재배 방법을 전파했고, 이는 브라질의 다양한 열대 과일과 결합하여 독특한 디저트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40]
브라질에는 브리가데이루, 코카다, 베이징유, 로미우 이 줄리에타 등 다양한 종류의 사탕 과자가 있다. 또한, 파소카, 라파두라, 페 데 몰레케와 같이 땅콩을 주재료로 한 디저트도 인기가 많다.[40]
아사이, 쿠푸아수, 망고, 파파야, 코코아, 캐슈, 구아바, 오렌지, 패션프루트, 파인애플, 호그 플럼 등 지역에서 흔히 나는 과일은 주스, 초콜릿, 아이스 팝,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디저트의 재료로 활용된다.[40]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디저트들이 존재한다.
- ''파베''(Pavê)
- ''Cuca (bolo)|쿠카pt'' : 브라질 남부 지역에서 흔히 먹는 독일식 케이크.
- ''네가 말루카''(Nega maluca) : 초콜릿 케이크
- ''파웅 데 메우''(꿀케이크): 생강 빵과 유사하며, 보통 녹인 초콜릿으로 덮여 있음.
- ''롤 케이크''(Bolo de rolo): 롤 빵케이크, 녹인 구아바로 감싼 얇은 반죽.
- ''볼루 지 세노우라''(Bolo de cenoura): 당근 케이크
- ''볼루 프레스티지우''(Bolo prestígio)
- ''볼루 지 푸바''(Bolo de fubá): 옥수수 가루 케이크
- ''볼루 지 밀류''(Bolo de milho): 브라질 스타일의 옥수수 케이크
- ''볼루 지 마라쿠자''(Bolo de maracujá): 패션프루트 케이크
- ''볼루 지 만디오카''(Bolo de mandioca): 카사바 케이크
- ''볼루 지 케이주''(Bolo de queijo): 문자 그대로 "치즈 케이크"
- ''볼루 지 란자'' (Bolo de laranja): 오렌지 케이크
- ''볼루 지 바나나'' (Bolo de banana): 시나몬을 뿌린 바나나 케이크
- 볼루 수자 레앙pt
- 볼루 마르타 호샤pt
- 볼루 지 노이바pt
- '''베이징유''' (코코넛 "트러플"에 정향)
- '''카주징유''' (땅콩과 캐슈넛 "트러플")
- '''푸딩 지 레이치''' : 연유를 베이스로 한 크렘 카라멜
- '''두세 지 레이치'''
- '''고이아바다'''
- '''올류 지 소그라'''
- '''페 지 몰레케''' : 땅콩과 설탕 카라멜로 만듦
- '''사구'''
- '''무스 지 마라쿠자'''
- '''케이자딩야'''
- '''크레메 지 파파야'''
- '''마리아-몰레'''
- '''파모냐'''
- '''라파두라'''
- '''쿠라우'''
- '''칸지카'''
- Torta holandesapt
- "아사이 나 티젤라"
- ''푸딩 지 파웅''
- '''만자르 브랑쿠''' (캐러멜 덮개와 말린 자두를 곁들인 코코넛 푸딩)
- '''아호스-도세''' (쌀 푸딩)
- '''토르타 지 리망''' : 크림 라임 맛 필링을 채운 쇼트크러스트 페이스트리
- '''브리가데라웅'''
- '''도세 지 바나나''' 또는 ''바나나다''
- '''파포-지-안조'''
- 아보카도 크림
- '''비스코이투 지 폴빌류'''
- '''볼리뉴 지 추바'''
- 무화과, 파파야, 망고, 오렌지, 유자, 배, 복숭아, 호박, 고구마 등 과자




8. 1. 브리가데이루

브리가데이루는 브라질식 초콜릿 사탕으로, 브라질에서 가장 대표적인 디저트로 여겨진다. 연유, 버터, 코코아 가루로 만든 트러플의 일종이다.[40]
8. 2. 코카다

코카다는 코코넛으로 만든 과자이다.[40] 브라질에는 브리가데이루 (초콜릿 퍼지 볼), 코카다, 베이징유 (코코넛 트러플과 정향) 및 로미우 이 줄리에타 (구아바 잼과 함께 치즈, 고이아바다로 알려짐) 와 같은 다양한 사탕이 있다.[40]
8. 3. 킨징
킨징은 달걀 노른자, 설탕, 코코넛을 넣어 만든 커스터드 디저트이다.[1]참조
[1]
서적
The Food and Culture Around the World Handbook
Prentice Hall
[2]
간행물
Way of Life
http://encarta.msn.c[...]
MSN
2008-06-08
[3]
서적
A History of Brazil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Centenário da imigração japonesa - NOTÍCIAS - Imigrantes japoneses ajudaram a 'revolucionar' agricultura brasileira
http://g1.globo.com/[...]
[5]
웹사이트
Centenário da imigração japonesa - NOTÍCIAS - Imigrantes transformaram cidade paulista em grande produtora de ovos
http://g1.globo.com/[...]
[6]
웹사이트
Feijoada: The Brazilian national dish
http://www.braziltra[...]
braziltravelguide.com
[7]
문서
História da Alimentação no Brasil
Editora USP/Itatiaia
[8]
웹사이트
A feijoada não é invenção brasileira
http://super.abril.c[...]
Superinteressante
2017-06-27
[9]
웹사이트
O Carapuceiro (jornal)
http://basilio.funda[...]
Fundaj
2017-06-27
[10]
웹사이트
Governo ES - Culinária Capixaba
https://www.es.gov.b[...]
2022-05-06
[11]
웹사이트
How To Make Moqueca Capixaba - Brazilian Fish Stew Recipe
https://foodandroad.[...]
2022-05-06
[12]
서적
Brazil's Beef Production and Its Efficiency : A Comparative Study of Scale Economies – 1–19
[13]
문서
Churrasco
http://cantinhodochu[...]
[14]
웹사이트
What Is a Churrascaria?
http://www.wisegeek.[...]
WiseGeek
2014-02-27
[15]
문서
10 pratos típicos da culinária gaúcha
https://revistasabor[...]
[16]
문서
Noite Gaúcha: Comidas típicas do Rio Grande do Sul
https://casalabordo.[...]
[17]
문서
Como a agricultura familiar gaúcha está segurando uma geração no campo
https://forbes.com.b[...]
[18]
문서
Vinícolas do RS celebram crescimento nas exportações de vinhos e espumantes
https://g1.globo.com[...]
[19]
문서
Veja o passo a passo e aprenda a fazer chimia de figo
https://g1.globo.com[...]
[20]
웹사이트
Brazilian Black-Eyed Pea and Shrimp Fritters – Acarajé
http://southamerican[...]
About.com
2012-05-17
[21]
문서
Site americano lista 24 comidas brasileiras para provar antes de morrer
https://www.terra.co[...]
[22]
문서
Quibe e esfiha são o emblema da integração de sírios e libaneses ao país
https://www1.folha.u[...]
[23]
문서
Da coxa-creme à de jaca: conheça histórias sobre a coxinha e sabores diferentes
https://www.otempo.c[...]
[24]
문서
Coxinha, rissole e croquete: Rogério Holanda ensina massa base de salgados
https://receitas.ban[...]
[25]
문서
Novo hábito? Cueca virada a R$ 1 vira febre entre os campo-grandenses no Centro
https://midiamax.uol[...]
[26]
문서
Barreado
https://barreado.com[...]
[27]
웹사이트
Barreado: The Famous Typical Dish of Paraná State!
https://traveltopara[...]
2009-11-24
[28]
서적
A World of Cake
https://books.google[...]
Storey Publishing, LLC
[29]
웹사이트
Pirão ! Traditional Porridge From Brazil
https://www.tasteatl[...]
2022-10-04
[30]
문서
Dois queijos brasileiros estão entre os 50 melhores do mundo em plataforma internacional
https://www.cnnbrasi[...]
[31]
문서
Catupiry: 107 anos de história e sucesso absoluto nas cozinhas brasileiras
https://www.cnnbrasi[...]
[32]
문서
Queijos típicos do Brasil: conheça 7 que você deve experimentar
https://globorural.g[...]
[33]
서적
Na Gira Do Exu - Invoking the Spirits of Brazilian Quimbanda
https://books.google[...]
Nzo Quimbanda Exu Ventania
2015-02-03
[34]
서적
Alcohol and Temperance in Modern History: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2-03
[35]
서적
Moon Brazil
https://books.google[...]
Avalon Travel Publishing
2015-02-03
[36]
서적
Oxford Essential Portugues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5-02-03
[37]
서적
Recife and Northeast Brazil Footprint Focus Guide: Includes Olinda, Fortaleza, Penedo, Pipa, Souza, Fernando de Noronha
https://books.google[...]
Footprint Handbooks
2015-02-03
[38]
뉴스
Aprenda a receita do ES de milkshake de limonada suíça
http://g1.globo.com/[...]
2016-11-05
[39]
서적
Insight Guides: Brazil
https://books.google[...]
APA
2015-02-03
[40]
서적
Açúcar. Uma Sociologia do Doce, com Receitas de Bolos e Doces do Nordeste do Brasil
Companhia das Letras
1997
[41]
웹사이트
Bolo Souza Leão: DNA 100% pernambucano
https://www.folhape.[...]
2024-06-09
[42]
웹사이트
Jaboatão: Bolo Souza Leão e outras delícias da gastronomia da cidade
https://jc.ne10.uol.[...]
2024-06-09
[43]
웹사이트
Souza Leão: o bolo que é conhecido como o ‘rei dos bolos’
https://g1.globo.com[...]
2024-06-09
[44]
웹사이트
Torta Marta Rocha {{!}} Dias Lopes
https://veja.abril.c[...]
2024-06-09
[45]
웹사이트
1ª Miss Brasil, Martha Rocha virou nome de torta em Curitiba; conheça história por trás da homenagem
https://g1.globo.com[...]
2024-06-09
[46]
웹사이트
'É De Casa': confeitaria mais antiga de Curitiba é destaque no programa com curiosidades sobre o bolo Martha Rocha
https://redeglobo.gl[...]
2023-08-19
[47]
웹사이트
Com massa escura de frutas e vinho, bolo de noiva é típico de Pernambuco
https://g1.globo.com[...]
2024-06-09
[48]
웹사이트
Bolo de noiva, prestes a virar Patrimônio Cultural Imaterial de Pernambuco, é tema de live
https://www.folhape.[...]
2024-06-09
[49]
웹사이트
Bolo de Noiva vai virar Patrimônio Cultural Imaterial do Estado
https://www.diariode[...]
2024-06-09
[50]
웹사이트
Vegetarian Restaurants in Brazil
http://www.happycow.[...]
2011-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