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문화는 고조선 시대부터 시작되어 삼국 시대, 고려, 조선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유교는 한국인의 윤리 의식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추석, 설날 등의 명절과 판소리, 한복, 한식 등 다양한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다. 현대에는 문학, 언론, 대중문화가 발달했으며, 특히 K-pop, 드라마, 영화 등 한류 콘텐츠는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은 게임, 음주 문화, 건축,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징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화 - 한류월드
한류월드는 경기도 고양시 장항동 일대에 조성될 계획인 대규모 한류 콘텐츠 복합단지이지만, 명칭 변경과 사업 지연으로 K팝 공연장, 상업시설 등 일부 시설 건설에만 진척을 보이며, 자금 조달 문제 등으로 대부분의 초기 계획이 실현되지 못하고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문화 - 갑질
갑질은 한국 사회의 수직적 문화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되어 상하 관계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열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가하는 부당한 행위를 뜻하며,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는 여러 사례와 불매운동, 정부의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사회 문제로 남아있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기업 문화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문화 | |
|---|---|
| 대한민국의 문화 | |
| 개요 | |
| 언어 | 한국어 |
| 문자 | 한글 |
| 종교 | 종교 |
| 민족 | 한민족 |
| 전통문화 | |
| 미술 | 한국 미술 |
| 건축 | 한국 건축 |
| 음악 | 한국 음악 |
| 음식 | 한국 요리 |
| 의복 | 한복 |
| 무술 | 한국 무술 |
| 놀이 | 한국의 놀이 |
| 예절범절 | 한국의 예절 |
| 현대 문화 | |
| 대중 매체 | 대한민국의 대중 매체 |
| 영화 | 한국 영화 |
| 텔레비전 | 텔레비전 드라마 |
| 만화 | 만화 |
| 웹툰 | 웹툰 |
| 음악 | K-POP |
| 스포츠 | 대한민국의 스포츠 |
| 게임 |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
| 패션 | 한류 패션 |
| 상징 | |
| 국가 | 대한민국 |
| 국기 | 태극기 |
| 국가 | 애국가 |
| 국화 | 무궁화 |
| 국조 | 까치 |
| 수도 | 서울특별시 |
| 관련항목 | |
| 문화유산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
| 한류 | 한류 |
| 북한의 문화 | 북한의 문화 |
| 한국의 문화 | 한국의 문화 |
| 기타 | |
| 관련 틀 | 틀:한국의 문화 틀:대한민국의 상징 |
2. 역사
대한민국의 문화는 고조선 시대부터 시작되어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을 거치며 발전했다. 각 시대의 정치, 사회, 종교적 특성이 문화에 반영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에는 유교 문화가 깊이 뿌리내려 현재까지도 한국인의 의식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문화 말살 정책으로 인해 전통문화가 억압받았으나, 광복 이후 민족문화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조선시대의 지배적인 이념이었던 유교는 현대 한국 사회에도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효, 충, 예의 등의 가치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윤리 의식의 근간을 이룬다.
3. 전통 문화
추석은 한가위라고도 하며, 한국 사회의 농경 시대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인들에게 가장 큰 명절 중 하나로 여겨진다.[17] 역사가들은 추석이 2000년 전에 시작되었으며, 원래는 베 짜기 경연 대회를 개최하는 축제였다고 믿고 있다.[18] 추석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어 축제가 끝날 때까지 업무가 중단된다.[19] 이 명절은 음력 8월 15일에 열린다.[19][20] 한국 민족의 조상들을 기리는 날이며 풍성한 농사를 지은 것에 감사하는 시간으로 활용된다. 추석은 3일 동안 진행되며 가족과 함께 전통 음식을 먹고 전통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18] 송편은 이 기간 동안 전통적으로 먹으며 속을 채운 떡이다.[17]
설날은 음력 1월 1일로, 떡국을 먹고 윷놀이 등의 전통 놀이를 즐긴다.
판소리는 조선 시대(1392–1897)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한국의 전통 음악 예술의 한 형태이다.[13][14] "판"은 사람들이 모이는 열린 공간을 의미하고 "소리"는 소리를 의미한다.[15][14][13] 판소리 공연은 소리꾼과 고수로 구성되며, 소리꾼은 수년간의 훈련을 요하는 특수한 기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노래하고, 고수는 이야기가 흘러가도록 돕고 소리꾼을 돕기 위해 장단을 친다.[13][15] 관객들도 공연에 참여하여 소리꾼을 응원하도록 권장된다.
판소리의 목적은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었는데, 대부분의 이야기는 시작부터 끝까지 3시간에서 8~9시간에 이른다. 관객들에게 공연되는 다섯 가지 전통 이야기가 있지만, 판소리가 주로 구전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역사 속에서 많은 이야기가 유실되었다. 각 이야기에는 효, 사랑, 또는 개인의 "한"을 풀어내는 슬픔에 관한 주제가 담겨 있다. "한"은 슬픔, 후회, 또는 분노와 관련된, 사람 안에 있는 부정적인 감정이다.[16]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상으로, 아름다운 색감과 곡선미를 자랑한다.
한국 음식, 또는 한식은 주식(밥, 면 등)과 부식(반찬)의 뚜렷한 구분, 다양한 조리법, 동물성 및 식물성 제품의 균형 잡힌 배합, 발효 식품이 특징이다.[30] 한국인들은 또한 "음식은 최고의 약이다"라는 격언에 따라 음식과 약이 같은 기원을 공유한다고 믿어 왔다.[30]
발효 식품은 한국 요리의 핵심이다. 이 음식들은 주로 "장"이라고 불린다. 여기에는 간장, 된장, 고추장이 포함된다. 파, 마늘, 고추 또한 한국 요리의 기본이다.[31]
'''김치'''는 대한민국 대표 음식 중 하나로, 보통 반찬으로 먹는다. 밥과 1~3가지 반찬(김치, 더 구체적으로 배추)이 제공된다.[32] 김치는 재료뿐만 아니라 특별한 발효 과정을 거쳐 맛, 질감, 품질, 건강 기능을 더하는 발효 생성물로 인해 독특한 발효된 맛을 낸다.[32]
'''순두부찌개'''는 매운 한국식 두부찌개로 묘사할 수 있다. 일반적인 찌개와 달리 걸쭉하고 무겁지 않다. 액젓, 마늘, 파, 버섯으로 간을 하여 깊은 감칠맛을 낸다.[33]
'''비빔밥'''은 다양한 채소와 계란이 들어간 매우 화려한 음식으로, 고추장을 넣어 비벼 먹으면 처음과는 전혀 다른 식감을 낸다.[34] 비빔밥은 보통 고기와 함께 제공되지만, 많은 한국인들은 이 간단한 밥에 단백질 공급원으로 계란만 넣어 비빔밥을 먹는다.[35]
'''떡볶이''' 또한 대한민국에서 매우 인기 있는 음식(길거리 음식)이다. 역사적으로 떡볶이는 귀족과 왕족이 먹는 고급 음식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50년대 한국 전쟁 이후 밀가루 떡을 어묵과 채소를 고추장 소스에 끓여 만든 다른 종류의 음식으로 변모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즐겨 먹는 국민 간식이 되었다.[36]
'''부대찌개'''는 한국 전쟁 중에 유래된 한국의 인기 있는 찌개이다. 기본은 멸치, 다시마, 고추장(한국 고추장)을 함께 우려내어 만드는 순두부나 김치찌개와 같은 많은 전통적인 매운 한국 찌개와 유사하다. 그러나 다른 재료들이 부대찌개를 다른 찌개와 차별화시킨다.[37] 이 찌개에는 스팸, 구운 콩, 핫도그, 라면 사리에 파를 얹어 제공된다.[37]
3. 1. 유교 문화
유교는 조선시대의 지배적인 이념이었으며, 현대 한국 사회에도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효, 충, 예의 등의 가치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윤리 의식의 근간을 이룬다.
3. 2. 명절
추석은 한가위라고도 하며, 한국 사회의 농경 시대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인들에게 가장 큰 명절 중 하나로 여겨진다.[17] 역사가들은 추석이 2000년 전에 시작되었으며, 원래는 베 짜기 경연 대회를 개최하는 축제였다고 믿고 있다.[18] 추석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어 축제가 끝날 때까지 업무가 중단된다.[19]
이 명절은 음력 8월 15일에 열린다.[19][20] 한국 민족의 조상들을 기리는 날이며 풍성한 농사를 지은 것에 감사하는 시간으로 활용된다. 추석은 3일 동안 진행되며 가족과 함께 전통 음식을 먹고 전통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18] 송편은 이 기간 동안 전통적으로 먹으며 속을 채운 떡이다.[17]
설날은 음력 1월 1일로, 떡국을 먹고 윷놀이 등의 전통 놀이를 즐긴다.
3. 3. 판소리
판소리는 조선 시대(1392–1897)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한국의 전통 음악 예술의 한 형태이다.[13][14] "판"은 사람들이 모이는 열린 공간을 의미하고 "소리"는 소리를 의미한다.[15][14][13] 판소리 공연은 소리꾼과 고수로 구성되며, 소리꾼은 수년간의 훈련을 요하는 특수한 기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노래하고, 고수는 이야기가 흘러가도록 돕고 소리꾼을 돕기 위해 장단을 친다.[13][15] 관객들도 공연에 참여하여 소리꾼을 응원하도록 권장된다.
판소리의 목적은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었는데, 대부분의 이야기는 시작부터 끝까지 3시간에서 8~9시간에 이른다. 관객들에게 공연되는 다섯 가지 전통 이야기가 있지만, 판소리가 주로 구전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역사 속에서 많은 이야기가 유실되었다. 각 이야기에는 효, 사랑, 또는 개인의 "한"을 풀어내는 슬픔에 관한 주제가 담겨 있다. "한"은 슬픔, 후회, 또는 분노와 관련된, 사람 안에 있는 부정적인 감정이다.[16]
3. 4.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상으로, 아름다운 색감과 곡선미를 자랑한다.
3. 5. 음식 문화
한국 음식, 또는 한식은 주식(밥, 면 등)과 부식(반찬)의 뚜렷한 구분, 다양한 조리법, 동물성 및 식물성 제품의 균형 잡힌 배합, 발효 식품이 특징이다.[30] 한국인들은 또한 "음식은 최고의 약이다"라는 격언에 따라 음식과 약이 같은 기원을 공유한다고 믿어 왔다.[30]
발효 식품은 한국 요리의 핵심이다. 이 음식들은 주로 "장"이라고 불린다. 여기에는 간장, 된장, 고추장이 포함된다. 파, 마늘, 고추 또한 한국 요리의 기본이다.[31]
'''김치'''는 대한민국 대표 음식 중 하나로, 보통 반찬으로 먹는다. 밥과 1~3가지 반찬(김치, 더 구체적으로 배추)이 제공된다.[32] 김치는 재료뿐만 아니라 특별한 발효 과정을 거쳐 맛, 질감, 품질, 건강 기능을 더하는 발효 생성물로 인해 독특한 발효된 맛을 낸다.[32]
'''순두부찌개'''는 매운 한국식 두부찌개로 묘사할 수 있다. 일반적인 찌개와 달리 걸쭉하고 무겁지 않다. 액젓, 마늘, 파, 버섯으로 간을 하여 깊은 감칠맛을 낸다.[33]
'''비빔밥'''은 다양한 채소와 계란이 들어간 매우 화려한 음식으로, 고추장을 넣어 비벼 먹으면 처음과는 전혀 다른 식감을 낸다.[34] 비빔밥은 보통 고기와 함께 제공되지만, 많은 한국인들은 이 간단한 밥에 단백질 공급원으로 계란만 넣어 비빔밥을 먹는다.[35]
'''떡볶이''' 또한 대한민국에서 매우 인기 있는 음식(길거리 음식)이다. 역사적으로 떡볶이는 귀족과 왕족이 먹는 고급 음식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50년대 한국 전쟁 이후 밀가루 떡을 어묵과 채소를 고추장 소스에 끓여 만든 다른 종류의 음식으로 변모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즐겨 먹는 국민 간식이 되었다.[36]
'''부대찌개'''는 한국 전쟁 중에 유래된 한국의 인기 있는 찌개이다. 기본은 멸치, 다시마, 고추장(한국 고추장)을 함께 우려내어 만드는 순두부나 김치찌개와 같은 많은 전통적인 매운 한국 찌개와 유사하다. 그러나 다른 재료들이 부대찌개를 다른 찌개와 차별화시킨다.[37] 이 찌개에는 스팸, 구운 콩, 핫도그, 라면 사리에 파를 얹어 제공된다.[37]
4. 현대 문화
4. 1. 문학
한국 문학은 고전 중국 문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중국 서예 또한 1,000년 이상 널리 사용되었다.[6] 현대 문학은 조선의 4대 국왕 세종대왕이 창제하고 반포한 한글의 발달과 연관되는데, 1443년 한글 반포는 양반에서 평민, 여성들을 포함한 일반 대중에게 문해력을 확산시키기 위한 움직임이었다.[6] 한글 창제 이전에는 일반적인 텍스트가 한자였으며,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부유한 집안 출신만이 한자를 배울 수 있었다. 한자는 한국어로 말하는 단어의 전체 의미를 포착하기 어려웠지만,[7] 한글은 19세기 후반에 들어서야 한국 문학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여 한국 문학이 크게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현대 시에서는 20세기 초 에즈라 파운드와 T. S. 엘리엇과 같은 초기 미국 모더니스트의 번역에서 상징주의와 현대 시 방법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대한민국 초창기에는 애국적인 작품들이 매우 성공했으며, 서정시는 1970년대부터 주류를 이루었다. 현대 대한민국에서 시는 작품 출판 수와 일반인들의 글쓰기 측면에서 모두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다.
4. 2. 언론
대한민국에는 10개의 주요 신문과 4개의 주요 방송사가 있다. 주요 일간 신문으로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가 있다. 한겨레는 진보 성향의 신문이다. KBS, MBC, SBS, 그리고 YTN이 주요 TV 채널이며, EBS는 학생 및 성인 교육에 사용된다.그 외의 잡지로는 ''K Scene Magazine'', ''중앙일보'', 연합뉴스, 그리고 ''오마이뉴스''가 있다. ''The Korea Times'', ''The Korea Herald'', 그리고 'PRKorea Times'는 외국인을 위한 영자 신문이다.

4. 3. 대중문화
K-pop과 대한민국의 영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등 한국의 대중문화는 한류를 이끌며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K-POP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전역에 많은 한국 팝스타와 그룹들이 알려져 있다. 케이팝은 종종 젊은 연예인들을 특징으로 한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조용필과 같은 당대 유명 음악가들이 등장했다. 그는 신시사이저 등 다양한 소스를 활용했으며, 록 음악을 대중화시킨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38] 한국 팝 음악의 대중화는 유튜브 및 기타 비디오 스트리밍 소스를 포함한 많은 소스에서 비롯되었다. 소셜 미디어의 성장으로 케이팝이 아시아 밖으로 확장되는 데 도움이 되었다.[38]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은 한국 대중 음악의 전환점을 만들었다. 이들은 1990년대 미국 대중 음악 장르의 요소를 통합하고, 랩, 소울, 록앤롤, 테크노, 펑크, 하드코어, 심지어 뽕짝과 같은 장르를 창의적으로 혼합하는 등 혁신적인 음악의 혼성화를 기반으로 했다. '구절에서는 랩만 사용하고, 역동적인 춤 동작으로 팝 스타일로 코러스를 부르는' 독특한 음악 형식을 발명했다. 그들은 한국 랩이 어떻게 들릴지 보여주었으며, 결과적으로 서태지와 아이들은 케이팝의 범위를 확장했다.[39]
2002년 보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양국 간의 엔터테인먼트 수입 및 수출을 제한했던 장벽이 무너진 후 일본에서 돌파구를 마련한 최초의 한국 팝스타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녀는 친선대사로 임명되었으며, 그 이후 일본과 한국 간의 좋은 관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전통적인 한국 팝 음악, 즉 트로트도 있다. 태진아, 나훈아, 송대관을 포함한 많은 인기 가수들이 주로 50대, 60대 이상의 나이든 한국인들에게 어필한다. 그러나 트로트는 최근 젊은 세미 트로트 스타인 장윤정이 "어머나"로 히트하면서 부활했다.
드라마한국 텔레비전, 특히 한국인들이 "드라마"라고 부르고 다른 곳에서는 ''K-드라마''라고 불리는 짧은 형식의 극적인 미니시리즈는 한국 외 지역에서 매우 인기를 얻고 있다. 드라마는 아시아 및 기타 지역에서 문화 수출의 선두 주자였다. 이러한 추세는 한국 스타들을 유명하게 만들었고, 한국 대중문화의 이미지와 위상을 크게 높였다. 한국 드라마의 한류가 생겨난 예시로 1997년 중국 중앙 텔레비전 방송국(CCTV)이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인 ''사랑이 뭐길래''를 방영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50]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여 CCTV는 1998년에 이 프로그램을 재방송했고, 중국 텔레비전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1999년, 대만과 중국에서 또 다른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인 ''별은 내 가슴에''가 큰 히트를 쳤다. 그 이후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1990년대에 미디어 자유화가 시작된 홍콩, 대만,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국가의 텔레비전 채널에서 빠르게 방송 시간을 차지했다.[50]
드라마는 다양한 이야기를 보여주지만, 수출 드라마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로맨스 (''이브의 모든 것'', ''가을동화'', ''겨울연가'', ''아가씨를 부탁해'', ''천국의 계단'', ''풀 하우스'', ''내 이름은 김삼순'', ''궁'', ''마이 걸'', ''꽃보다 남자'', ''찬란한 유산'', ''미남이시네요'', ''넌 내게 반했어'', ''시크릿 가든'', ''드림하이'')와 역사 판타지 드라마 (''대장금'', ''해신'', ''주몽'', ''성균관 스캔들'')이다. 한국은 또한 최초의 블록버스터 첩보 드라마인 ''아이리스''를 방영했다.
영화

대한민국의 영화의 인기는 1999년 영화 ''쉬리''의 성공 이후 상승했다. 대한민국은 영화관이 연간 최소 73일 동안 한국 영화를 상영하도록 요구하는 스크린 쿼터제 덕분에 할리우드 영화가 국내 시장에서 지배적인 점유율을 누리지 못하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쉬리''는 한국 영화 역사상 최초로 서울에서만 200만 장 이상의 티켓을 판매한 영화였다. 또한 일본 박스 오피스에서만 1,400만 달러를 벌어들여 ''매트릭스''와 ''스타워즈''와 같은 흥행작들을 넘어섰다. ''쉬리''의 성공은 더 큰 예산의 다른 한국 영화에 동기를 부여했다. 개봉 당시 ''쉬리''는 580만 명의 관객을 모았는데, 이는 할리우드 영화 ''타이타닉''의 국내 극장 관객 수를 능가하는 기록이었다.[42]
2000년에는 ''공동경비구역 JSA''가 큰 성공을 거두며 ''쉬리''가 세운 기준을 넘어섰다. 이듬해에는 ''친구''가 같은 성공을 거두었다. 2001년에는 로맨틱 코미디 ''엽기적인 그녀''가 동시 상영된 ''반지의 제왕''과 ''해리 포터''를 제쳤다. ''공동경비구역 JSA''의 감독 박찬욱은 이후 한국과 해외에서 많은 인기 영화를 연출했으며, 특히 ''올드보이''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최소한의 대사로 관객에게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유명한 또 다른 존경받는 영화 제작자인 김기덕은 특히 ''빈집''과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으로 유명하다. 2004년 현재, 새로운 영화들이 계속해서 기록을 경신하고 있으며, 많은 한국 영화들이 할리우드 영화보다 더 큰 인기를 얻고 있다.[42] ''실미도''와 ''태극기 휘날리며''는 (''태극기'') 한국 인구의 거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1,000만 명 이상이 관람했다.[43] 사회 풍자 및 괴수 영화 ''괴물''(2006)은 한국 박스 오피스 기록을 경신했으며 미국에서 180만 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44]
2016년, 연상호 감독의 ''부산행''은 대한민국에서 좀비 영화의 새로운 하위 장르를 만들었다. ''쉬리''(1999)를 모델로 한 한국 좀비 블록버스터 영화가 되면서[46] ''부산행''은 전 세계적으로 9,310만 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47]
2020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대한민국의 경제적 불평등 상황을 묘사하며,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 등 4개 부문을 수상하여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최초의 비영어 영화가 되었다.
많은 한국 영화는 분단 및 통일이라는 독특한 상황을 반영한다.
애니메이션심슨 가족은 대한민국 하청 제작의 가장 유명한 사례이지만, 다른 많은 인기 있는 영어권 애니메이션 시리즈 (퓨쳐라마, 킹 오브 더 힐, 아바타: 아앙의 전설, 패밀리 가이)도 기본적인 애니메이션, 동화, 채색 작업이 대한민국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일본의 애니메이션에도 대한민국이 일부 협력하고 소규모로 기여한 바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전문적이지만, 반드시 한국적인 분위기나 방식을 따르지는 않는다.
최근,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는 대한민국의 가장 인기 있는 문화 수출품 중 하나가 되어 전 세계 120개국에 수출되었다.[51] 이 작은 파란 펭귄은 1,500개의 파생 상품을 가지고 있으며, 테마파크에도 뽀로로 구역이 있다. 뽀로로는 한국인들이 뽀통령("뽀통령")이라고 부를 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서울산업진흥원에 따르면, 뽀로로는 올해 380억 원의 글로벌 매출을 올릴 것이며, 이 브랜드의 가치는 아이코닉스(뽀로로 제작사) 등에게 3,893억 원의 가치를 지닌다.[52]
만화 및 웹툰한국어에서 '만화'(만화/만화한국어)라는 용어는 만화()에서 유래되었으며, 단순히 '만화'를 의미하지만, 한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만화를 지칭하며, 일부 만화는 북한에서 나오기도 한다.
4. 3. 1. K-POP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전역에 많은 한국 팝스타와 그룹들이 알려져 있다. 케이팝은 종종 젊은 연예인들을 특징으로 한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조용필과 같은 당대 유명 음악가들이 등장했다. 그는 신시사이저 등 다양한 소스를 활용했으며, 록 음악을 대중화시킨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38] 한국 팝 음악의 대중화는 유튜브 및 기타 비디오 스트리밍 소스를 포함한 많은 소스에서 비롯되었다. 소셜 미디어의 성장으로 케이팝이 아시아 밖으로 확장되는 데 도움이 되었다.[38]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은 한국 대중 음악의 전환점을 만들었다. 이들은 1990년대 미국 대중 음악 장르의 요소를 통합하고, 랩, 소울, 록앤롤, 테크노, 펑크, 하드코어, 심지어 뽕짝과 같은 장르를 창의적으로 혼합하는 등 혁신적인 음악의 혼성화를 기반으로 했다. '구절에서는 랩만 사용하고, 역동적인 춤 동작으로 팝 스타일로 코러스를 부르는' 독특한 음악 형식을 발명했다. 그들은 한국 랩이 어떻게 들릴지 보여주었으며, 결과적으로 서태지와 아이들은 케이팝의 범위를 확장했다.[39]
2002년 보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양국 간의 엔터테인먼트 수입 및 수출을 제한했던 장벽이 무너진 후 일본에서 돌파구를 마련한 최초의 한국 팝스타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녀는 친선대사로 임명되었으며, 그 이후 일본과 한국 간의 좋은 관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전통적인 한국 팝 음악, 즉 트로트도 있다. 태진아, 나훈아, 송대관을 포함한 많은 인기 가수들이 주로 50대, 60대 이상의 나이든 한국인들에게 어필한다. 그러나 트로트는 최근 젊은 세미 트로트 스타인 장윤정이 "어머나"로 히트하면서 부활했다.
4. 3. 2. 드라마
한국 텔레비전, 특히 한국인들이 "드라마"라고 부르고 다른 곳에서는 ''K-드라마''라고 불리는 짧은 형식의 극적인 미니시리즈는 한국 외 지역에서 매우 인기를 얻고 있다. 드라마는 아시아 및 기타 지역에서 문화 수출의 선두 주자였다. 이러한 추세는 한국 스타들을 유명하게 만들었고, 한국 대중문화의 이미지와 위상을 크게 높였다. 한국 드라마의 한류가 생겨난 예시로 1997년 중국 중앙 텔레비전 방송국(CCTV)이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인 ''사랑이 뭐길래''를 방영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50]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여 CCTV는 1998년에 이 프로그램을 재방송했고, 중국 텔레비전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1999년, 대만과 중국에서 또 다른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인 ''별은 내 가슴에''가 큰 히트를 쳤다. 그 이후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1990년대에 미디어 자유화가 시작된 홍콩, 대만,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국가의 텔레비전 채널에서 빠르게 방송 시간을 차지했다.[50]드라마는 다양한 이야기를 보여주지만, 수출 드라마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로맨스 (''이브의 모든 것'', ''가을동화'', ''겨울연가'', ''아가씨를 부탁해'', ''천국의 계단'', ''풀 하우스'', ''내 이름은 김삼순'', ''궁'', ''마이 걸'', ''꽃보다 남자'', ''찬란한 유산'', ''미남이시네요'', ''넌 내게 반했어'', ''시크릿 가든'', ''드림하이'')와 역사 판타지 드라마 (''대장금'', ''해신'', ''주몽'', ''성균관 스캔들'')이다. 한국은 또한 최초의 블록버스터 첩보 드라마인 ''아이리스''를 방영했다.
4. 3. 3. 영화
대한민국의 영화의 인기는 1999년 영화 ''쉬리''의 성공 이후 상승했다. 대한민국은 영화관이 연간 최소 73일 동안 한국 영화를 상영하도록 요구하는 스크린 쿼터제 덕분에 할리우드 영화가 국내 시장에서 지배적인 점유율을 누리지 못하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쉬리''는 한국 영화 역사상 최초로 서울에서만 200만 장 이상의 티켓을 판매한 영화였다. 또한 일본 박스 오피스에서만 1,400만 달러를 벌어들여 ''매트릭스''와 ''스타워즈''와 같은 흥행작들을 넘어섰다. ''쉬리''의 성공은 더 큰 예산의 다른 한국 영화에 동기를 부여했다. 개봉 당시 ''쉬리''는 580만 명의 관객을 모았는데, 이는 할리우드 영화 ''타이타닉''의 국내 극장 관객 수를 능가하는 기록이었다.[42]
2000년에는 ''공동경비구역 JSA''가 큰 성공을 거두며 ''쉬리''가 세운 기준을 넘어섰다. 이듬해에는 ''친구''가 같은 성공을 거두었다. 2001년에는 로맨틱 코미디 ''엽기적인 그녀''가 동시 상영된 ''반지의 제왕''과 ''해리 포터''를 제쳤다. ''공동경비구역 JSA''의 감독 박찬욱은 이후 한국과 해외에서 많은 인기 영화를 연출했으며, 특히 ''올드보이''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최소한의 대사로 관객에게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유명한 또 다른 존경받는 영화 제작자인 김기덕은 특히 ''빈집''과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으로 유명하다. 2004년 현재, 새로운 영화들이 계속해서 기록을 경신하고 있으며, 많은 한국 영화들이 할리우드 영화보다 더 큰 인기를 얻고 있다.[42] ''실미도''와 ''태극기 휘날리며''는 (''태극기'') 한국 인구의 거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1,000만 명 이상이 관람했다.[43] 사회 풍자 및 괴수 영화 ''괴물''(2006)은 한국 박스 오피스 기록을 경신했으며 미국에서 180만 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44]
2016년, 연상호 감독의 ''부산행''은 대한민국에서 좀비 영화의 새로운 하위 장르를 만들었다. ''쉬리''(1999)를 모델로 한 한국 좀비 블록버스터 영화가 되면서[46] ''부산행''은 전 세계적으로 9,310만 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47]
2020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대한민국의 경제적 불평등 상황을 묘사하며,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 등 4개 부문을 수상하여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최초의 비영어 영화가 되었다.
많은 한국 영화는 분단 및 통일이라는 독특한 상황을 반영한다.
4. 3. 4.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은 대한민국 하청 제작의 가장 유명한 사례이지만, 다른 많은 인기 있는 영어권 애니메이션 시리즈 (퓨쳐라마, 킹 오브 더 힐, 아바타: 아앙의 전설, 패밀리 가이)도 기본적인 애니메이션, 동화, 채색 작업이 대한민국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일본의 애니메이션에도 대한민국이 일부 협력하고 소규모로 기여한 바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전문적이지만, 반드시 한국적인 분위기나 방식을 따르지는 않는다.최근,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는 대한민국의 가장 인기 있는 문화 수출품 중 하나가 되어 전 세계 120개국에 수출되었다.[51] 이 작은 파란 펭귄은 1,500개의 파생 상품을 가지고 있으며, 테마파크에도 뽀로로 구역이 있다. 뽀로로는 한국인들이 뽀통령("뽀통령")이라고 부를 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서울산업진흥원에 따르면, 뽀로로는 올해 380억 원의 글로벌 매출을 올릴 것이며, 이 브랜드의 가치는 아이코닉스(뽀로로 제작사) 등에게 3,893억 원의 가치를 지닌다.[52]
4. 3. 5. 만화 및 웹툰
한국어에서 '만화'(만화/만화한국어)라는 용어는 만화()에서 유래되었으며, 단순히 '만화'를 의미하지만, 한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만화를 지칭하며, 일부 만화는 북한에서 나오기도 한다.4. 4. 비디오 게임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게임 강국으로, 온라인 게임, e스포츠, PC방 문화 등이 발달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그라운드', '스타크래프트' 등은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게임이다.
4. 5. 음주 문화
한국의 음주 문화는 사교적인 성격을 띤다. 술자리에서는 다양한 술 게임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술 게임은 대학교 오리엔테이션에서 시작되어 평생에 걸쳐 계속된다. 술 게임을 할 때는 한국의 대표적인 술인 소주를 사용하며, 소주와 맥주를 섞어 "소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소"는 소주를, "맥"은 맥주를 의미한다.5. 건축
한국 건축은 자연주의적 경향, 단순성, 그리고 형태의 경제성이 특징이다. 날카로운 각, 강한 선, 가파른 면, 화려한 색상은 모두 지양되며, 일반적으로 조용한 분위기를 연출한다.[23] 대한민국의 주거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주거 문서를 참고하라.
6. 기술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IT 강국으로, 반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삼성(Samsung)과 LG(LG)는 대한민국의 주요 기업이다. 대한민국 국민의 약 98%가 휴대폰을 소유하고 있으며, 전화 및 문자 메시지 외에도 실시간 TV 시청, 웹사이트 열람, 온라인 게임 상태 확인 등에 사용한다. 많은 한국 휴대폰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통해 TV 방송을 지원하며, 현재 7개의 TV 채널을 제공한다. 100만 대 이상의 DMB 폰이 판매되었으며, KT(KT) 및 SK텔레콤과 같은 통신 사업자는 주요 도시의 많은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LG(LG Electronics)가 주최하는 문자 메시지 대회인 LG 모바일 월드컵에서 우승했다.[24]
참조
[1]
논문
Hallyu 2.0: The New Korean Wave in the Creative Industry
2012-09
[2]
뉴스
'Korean Wave' of pop culture sweeps across Asia
http://edition.cnn.c[...]
2018-02-05
[3]
논문
The Global Impact of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Hallyu Unbound ed. by Valentina Marinescu (review)
2015
[4]
뉴스
Surfing the Korean Wave: How K-pop is taking over the world {{!}} The McGill Tribune
http://www.mcgilltri[...]
2018-02-05
[5]
학위논문
Korean Wave as Cultural Imperialism: A study of K-pop Reception in Vietnam
2016
[6]
서적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
[7]
웹사이트
zKorean - History of Hangul Part II
http://zkorean.com/h[...]
2019-11-03
[8]
뉴스
In Korea, coffee shops just keep on multiplying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10-12-19
[9]
웹사이트
Coaching Deco
http://elle.atzine.c[...]
2009-01-01
[10]
뉴스
Coffice
https://archive.nyti[...]
2010-09-10
[11]
뉴스
S. Korea Doesn't Find It Easy To Block Japanese Culture
https://www.csmonito[...]
1996-10-29
[12]
뉴스
South Korea Opens the Gates to Pop Culture From Japan
https://www.nytimes.[...]
2000-07-03
[13]
웹사이트
What is Pansori?
https://pansoriethno[...]
2019-11-04
[14]
웹사이트
UNESCO - Pansori epic chant
https://ich.unesco.o[...]
UNESCO
2019-11-04
[15]
웹사이트
P'ansori {{!}} Korean music
https://www.britanni[...]
2019-11-04
[16]
웹사이트
What is Han?
https://www.hyunjinm[...]
2019-11-04
[17]
웹사이트
Chuseok: Korean Thanksgiving Day
https://asiasociety.[...]
2023-11-21
[18]
웹사이트
Chuseok - A Korean Thanksgiving - Chuseok 2024
https://chuseok.org/[...]
2023-11-21
[19]
웹사이트
Korea Information - Life
https://www.koreancu[...]
2023-11-21
[20]
서적
Holiday Symbols and Customs
Omnigraphics, Incorporated
2015
[21]
뉴스
Korean New Year 2023: Check history, significance and dates here
https://economictime[...]
2023-11-29
[22]
웹사이트
Seollal, Korean Lunar New Year
https://asiasociety.[...]
2023-11-29
[23]
웹사이트
Korean architecture
https://www.britanni[...]
[24]
뉴스
Rule of Thumbs: Koreans Reign in Texting World
https://www.nytimes.[...]
2010-01-28
[25]
웹사이트
South Korea: gaming market size 2006-2023
https://www.statista[...]
2022-12-28
[26]
서적
Salem Press Encyclopedia
2015-01-01
[27]
뉴스
South Korea: Video Games' Crazed Capital
2007-03-27
[28]
간행물
Hanging Out at the PC Bang
2007-11-01
[29]
웹사이트
South Korea's Infatuation With Computer Gaming Culture
https://www.thoughtc[...]
2022-12-28
[30]
웹인용
Food
https://www.korea.ne[...]
2023-11-15
[31]
서적
Cuisine, Colonialism and Cold War: Food in Twentieth-Century Korea
Reaktion Books
2013
[32]
서적
Korean Functional Foods
2018
[33]
뉴스
The D-Constructed Cook: Soondubu Jjigae
https://www.thedartm[...]
2021-04-05
[34]
논문
Aesthetics of Korean foods: The symbol of Korean culture
2016-09
[35]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bibimbap, Korea's famous rice dish
https://www.national[...]
2023-11-15
[36]
뉴스
"[Korea travels] Tteokbokki: The Korean soul food 500 years in the making"
https://english.hani[...]
2022-03-06
[37]
웹사이트
Budae Jjigae: The Korean Soup Born Out of Necessity
https://www.going.co[...]
2023-11-15
[38]
서적
K-Pop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9]
서적
The Globalization Reader
Wiley
2012
[40]
서적
The Korean Wave
2014
[41]
서적
The Korean Wave
2014
[42]
웹사이트
Korean Movie Reviews for 2009
http://www.koreanfil[...]
2019-11-16
[43]
웹사이트
Korean Movie Reviews for 2003: Save the Green Planet, Memories of Murder, A Tale of Two Sisters, Oldboy, Silmido, and more
http://www.koreanfil[...]
2019-11-16
[44]
웹사이트
The Host - Box Office Mojo
https://www.boxoffic[...]
2019-11-16
[45]
논문
Representation of the National Trauma in Train to Busan: Based on a Semiotic Approach
2020-11-17
[46]
서적
The Spaces and Places of Horror
Vernon Press
2020
[47]
서적
Rediscovering Korean Cinema
https://www.fulcru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9
[48]
논문
'Train to Busan' movie : a reflection of social problems in South Korea
2019
[49]
간행물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Film Train to Busan: A Scenario for the Future of Modern Society
https://www.ceeol.co[...]
2019
[50]
서적
The Globalization Reader
Wiley
2012
[51]
웹사이트
The Secret of Pororo reaching 389 Billion Success (3890억원 갑부 뽀로로, 성공 비결 알려준다)
http://www.hankyung.[...]
Hankyoung Economics (한국경제)
2012-03-04
[52]
뉴스
Korean animation : Of penguins and politics Pororo the penguin could be the next Teletubbies
http://www.economist[...]
2012-06-01
[53]
웹사이트
카카오웹툰 - KAKAO WEBTOON
https://webtoon.kaka[...]
2022-12-28
[54]
웹사이트
Korean Culture Past and Present
https://linguasia.co[...]
2021-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