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은 도쿄 지하철의 노선으로, 1972년 계획되어 2008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와코시역에서 시부야역까지 11.9km 구간을 운행하며, 도부 도조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도큐 도요코선, 소테츠선 등과 상호 직통 운행을 한다. 급행과 각역 정차 등 다양한 운행 형태를 가지며, 여성 전용칸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사이타마 신도시 교통 이나선
사이타마 신도시 교통 이나선은 일본 사이타마현을 운행하는 신교통 시스템 노선으로, AGT 시스템을 채택하여 1990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12.7km의 노선 길이를 가지고 있다. - 198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릴 메트로
릴 메트로는 프랑스 릴 도시권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완전 자동 운전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2개 노선으로 운영되며, 고무차륜 시스템을 통해 소음 감소와 승차감 향상을 도모하고 릴 도시권의 대중교통을 담당한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은 메구로역에서 아카바네이와부치역을 잇는 도쿄 메트로 운영 노선으로, 직결 운행과 첨단 기술 적용, 그리고 시나가와역 연장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은 와코시역에서 신키바역을 잇는 도쿄 메트로의 노선으로, 세이부 유라쿠초선 및 도부 도조 본선과 직결 운행하며 도쿄 도심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망을 구성하고 있고, 1974년 개통 이후 단계적인 연장을 거쳐 1988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0년대 중반 개통을 목표로 지선 연장이 추진 중이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 선 |
다른 이름 | F 호선, 13호선 후쿠토신 선 |
노선 색상 | 갈색 (#9c5e31) |
노선 기호 | F |
노선 번호 | 13호선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노선 시스템 | 도쿄 지하철 |
노선 상태 | 운행 중 |
노선 지역 | 도쿄 |
기점 | 와코시 역 |
종점 | 시부야 역 |
역 수 | 16개 |
개통 | 1994년 12월 7일 (유라쿠초 신선으로) |
재개통 | 2008년 6월 14일 (후쿠토신 선으로) |
소유자 | 도쿄 지하철 |
운영자 | 도쿄 메트로 |
차량 기지 | 와코 검차구 와코 검차구 신키바 분실 고테사시 차량 기지 (세이부 차량) 무사시가오카 차량 기지 (세이부 차량) 신린코엔 검수구 (도부 차량) 모토스미요시 검차구 (도큐, 요코하마 고속 철도 차량) 가시와다이 차량 센터 (소테츠 차량) |
노선 길이 | 20.2 km |
궤간 | 1,067 mm (협궤)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
최대 경사 | 40‰ (신주쿠산초메 → 히가시신주쿠, B선) |
최소 곡선 반지름 | 160.4 m (신주쿠산초메 → 기타산도, A선) |
폐색 방식 | 차내 신호 폐색식 |
보안 장치 | 신 CS-ATC, ATO |
최고 속도 | 80 km/h |
일일 승객 수 | 363,654명 |
운행 차량 | |
지도 정보 |
2. 역사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선과 일부 역사가 중복된다.
- 1972년 3월 1일: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도시 고속 철도 제13호선(시키 - 와코시 - 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 신주쿠)이 추가되었다.[35][52]
- 1983년 6월 24일: 유라쿠초 선으로서 영단 나리마스 역(현재: 지하철 나리마스 역) ~ 고타케무카이하라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87년 8월 25일: 유라쿠초 선으로서 와코 시 역 ~ 영단 나리마스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94년 12월 7일: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신선'''으로서 고타케무카이하라 역 ~ 이케부쿠로 역(개통 당시에는 신선 이케부쿠로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08년 6월 14일: 이케부쿠로 역 ~ 시부야 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센카와 역, 가나메초 역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 2013년 3월 16일: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과 직결 운행을 개시하였다.[163]
- 2023년 3월 18일: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을 통해 소테츠 본선과의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20]

''후쿠토신''은 일본어로 "부도심"을 의미하며, 후쿠토신선은 이케부쿠로, 신주쿠, 시부야를 연결한다. 개통 전에는 JR 동일본만이 이 3개 지역을 연결하는 철도 서비스(야마노테선, 사이쿄선, 쇼난 신주쿠 라인)를 제공했다. 이 노선은 혼잡 완화 및 도쿄 북서부, 남서부, 중앙 지역 간 편리한 직통 운행을 위해 구상되었다.
후쿠토신선은 1972년 시키에서 신주쿠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처음 계획되었고, 시나가와와 하네다 공항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있었다. 1985년, 교통성 제2위원회는 시부야에서 종착하도록 제안했다. 원래 계획 노선 북쪽 끝 부분은 도부 도조 선 개선과 유라쿠초 선 직통 운행 시작으로 불필요하게 되었다.
1999년 5월, 신주쿠산초메와 메이지진구마에 사이에 '신센다가야' 역(기타산도로 개명)을 추가하는 계획이 포함되었다.[15]
고타케무카이하라 역에서 이케부쿠로 역까지 유라쿠초 선과 평행하게 별도 선로로 달리는 3.2km 구간은 1994년에 운행을 시작했다. 이 구간은 처음에는 유라쿠초 신선|有楽町新線일본어으로 알려졌으며 중간 정차 없이 운행되었다.
신주쿠, 시부야 지구를 조시가야, 신주쿠산초메, 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를 경유하여 연결하는 최신 구간은 2008년 6월 14일에 운행을 시작하여 후쿠토신선을 공식적으로 완성했다.[16] 유라쿠초 신선에서 제외되었던 센카와와 가나메초로의 운행도 같은 날 시작되었다.
개통 초기 며칠 동안 기술적 문제로 최대 30분까지 운행이 지연되었다.[17]
2010년 3월 6일부터 특급 열차가 주말 및 공휴일에 메이지진구마에 역에 정차하기 시작했다.[18]
2012년 9월 10일부터 10량 편성 5050-4000계 열차가 후쿠토신선에서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세이부 이케부쿠로 선(세이부 유라쿠초 선 경유) 및 도부 도조 선까지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19]
2. 1. 계획 및 건설
도쿄 지하철 13호선은 1972년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사이타마현 시키에서 신주쿠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처음 제안되었다.[35] 1985년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는 종점을 시부야로 변경했다.[36]시키 - 와코 시 구간은 도부 도조 선 복복선화, 와코 시 - 고타케무카이하라 구간은 유라쿠초 선, 고타케무카이하라 - 이케부쿠로 구간은 유라쿠초 선 신선으로 각각 개통되었다. 유라쿠초선 신선은 '유라쿠초선(신선)' 또는 '신선'으로 안내되었고, 종착역인 이케부쿠로역은 '신선 이케부쿠로'로 불렸다.
1977년 고타케무카이하라 - 이케부쿠로 구간은 복복선 공사 계획 변경 인가를 받아 상하 2단 터널 구조로 건설되었다.[37][38] 상단 유라쿠초 선은 1983년, 하단 13호선(현재 부도심선)은 1985년 완공되었다.[37][38] 1994년 12월 7일, 13호선 고타케무카이하라 - 이케부쿠로 구간은 유라쿠초선 신선으로 먼저 개통되었다.[37] 이 구간은 센카와, 가나메초 역을 통과하고, 이케부쿠로역은 '신선 이케부쿠로역'으로 불렸다.[38][39]
1975년 이케부쿠로 - 시부야 구간 면허 신청은 보류되었으나, 1998년 정부의 긴급 경제 대책으로 건설 예산이 확보되었다.[42] 1999년 1월 25일, 이케부쿠로 - 시부야 구간 제1종 철도 사업 면허를 취득하고,[42] 2001년 6월 15일 건설이 시작되었다.[42]
자시가야 - 시부야 구간은 메이지 대로 바로 아래를 통과하며, 역 실드 공법과 개착 공법으로 건설되었다.[45] 히가시신주쿠역은 2단 구조, 신주쿠산초메역에는 회차용 인상선이 설치되었다.[46] 메이지진구마에 - 시부야 간 복선 실드는 복합 원형 복선 실드를 채용하여 비용을 절감했다.[45]
2007년 1월 24일, 13호선 노선명이 '부도심선'으로 발표되었고,[65] 2008년 6월 14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유라쿠초선 신선은 부도심선에 편입되었고, '신선 이케부쿠로역'은 '이케부쿠로역'으로 변경되었으며, 센카와, 가나메초 역 영업이 시작되었다.
개통 이후 이용객 수가 증가하여 2013년에는 흑자 노선으로 전환되었다.[48] 2013년 3월 16일부터 도큐 도요코 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고,[80][84][81][82][83] 2023년 3월 18일부터 도큐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소테츠 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92][50]
날짜 | 내용 |
---|---|
1972년 3월 1일 | 도시 교통 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도시 고속 철도 제13호선(시키 - 와코시 - 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 신주쿠) 추가.[35][52] |
1983년 6월 24일 | 영단 나리마스(현 지하철 나리마스) - 이케부쿠로 간 개업.[55] |
1985년 7월 11일 | 운수 정책 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 시키에서 시부야에 이르는 노선으로 변경.[42] |
1994년 12월 7일 | 고타케무코하라 - 이케부쿠로(신선 이케부쿠로) 간을 유라쿠초선의 복복선(유라쿠초선 신선)으로 개업. 센카와, 가나메초 역은 통과.[38] |
2008년 6월 14일 | 부도심선 이케부쿠로 - 시부야 간 개업.[68] 유라쿠초선 고타케무코하라 - 이케부쿠로(신선 이케부쿠로) 간을 부도심선에 편입, 신선 이케부쿠로역 명칭 종료. 도부 도조선, 세이부 유라쿠초 선 경유 세이부 이케부쿠로 선과 상호 직통 운전 개시.[68] |
2013년 3월 16일 | 도큐 도요코 선, 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 선과 상호 직통 운전 개시.[80][84][81][82][83] |
2023년 3월 18일 | 도큐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선과 상호 직통 운전 개시.[92][50] |
2. 2. 유라쿠초 신선 (고타케무카이하라-이케부쿠로)
1994년 12월 7일에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선 신선'''(東京地下鉄有楽町線新線|도쿄치카테쓰유라쿠초센신센일본어)이 고타케무카이하라 역에서 이케부쿠로역(신선 이케부쿠로 역)까지 개통되었다. 노선 명칭은 유라쿠초 신선, 또는 신선이라고 줄여서 불렀다.열차는 신선 이케부쿠로 역에서 출발하여, 유라쿠초 선의 와코 시까지 운행하거나, 도조 선과 직결 운행하여 시키까지, 또는 세이부 유라쿠초 선 및 세이부 이케부쿠로 선과 직결 운행하여 기요세 역 및 고테사시 역까지 운행하였다.
이케부쿠로역의 경우 유라쿠초 선과 구분을 위해 “신선 이케부쿠로 역”, 또는 “이케부쿠로 역(신선)”이라고 칭했다. 고타케무카이하라 역과 이케부쿠로 역 구간에는 중간 정차역이 없었다. 역 번호 및 기호는 유라쿠초 선과 동일하게 'Y-번호'로 표기했다. 예를 들어 유라쿠초 선 이케부쿠로역의 기호가 Y-09일 때, 신선 이케부쿠로 역의 기호도 Y-09이었다.
2008년 6월 14일 이케부쿠로 역에서 시부야 역까지 개통되고, 센카와 역, 가나메초 역이 영업을 개시함으로써 지금의 형태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고타케무카이하라 - 이케부쿠로 간은 유라쿠초선과의 일체 건설에 의한 비용 절감, 연선 주민에 대한 배려, 도로 점유 수속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유라쿠초선과 동시에 건설했다.[37][38] 이 구간은 수속상 유라쿠초선의 복복선부로 취급되었다.[31]
1977년 9월, 고타케무카이하라 - 이케부쿠로 간을 복복선으로 하는 공사 계획 변경 인가를 받아 건설 공사에 착수했다.[37][38] 용지 절약을 위해 이 구간은 4선 병렬이 아닌 상하 2단 터널 구조로 건설되었다.[37][38] 상단부의 유라쿠초선은 1983년 6월에 개업했고, 제13호선(현재의 부도심선)이 되는 하단부는 1985년 8월에 이케부쿠로역(신선 이케부쿠로역, 현재의 부도심선 이케부쿠로역) 완공으로 모든 지하 구조물 구축을 완료했다.[37][38]
이후 유라쿠초선 이케부쿠로 이서의 혼잡 완화를 위해 제13호선 고타케무카이하라 - 이케부쿠로 간을 선행 개업하기로 결정, 1992년 5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하단 터널 내 청소, 누수 처리, 연결 송수관 설치, 신선 이케부쿠로역에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설치 및 출입구 구축, 전기 공사 등을 실시하여 1994년 12월 7일 유라쿠초선 신선으로 개업했다.[37] 개업 당시 센카와역과 가나메초역은 미개업 상태로 모든 열차가 통과했으며, 제13호선의 이케부쿠로역은 안내상 '신선 이케부쿠로역'으로 불렸다.[38][39] 이때부터 노선도와 이케부쿠로역 안내 표지판에 갈색 라인 컬러가 사용되었다.
이 구간은 고타케무카이하라 - 신선 이케부쿠로 간을 논스톱으로 운행하며, 유라쿠초선 본선보다 2분 짧은 4분 만에 주행했다.[40] 운전 횟수는 아침 혼잡 시간대에 시간당 6회(약 10분 간격), 평일 낮 및 토요일, 공휴일에는 시간당 4회(약 15분 간격)였다.[40] 영업 거리는 2.96 km이며, 최소 곡선 반경은 240 m, 최대 경사는 35‰이다.[37]
2. 3. 전 구간 개통 및 직결 운행
1972년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사이타마현 시키에서 신주쿠를 잇는 노선으로 처음 제안되었던 도쿄 13호선은, 1985년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 이케부쿠로 이남의 종점을 시부야로 변경하였다.시키 역에서 와코 시 역 구간은 도부 도조 선의 복복선화로, 와코 시 역 ~ 고타케무카이하라 역 구간은 유라쿠초 선으로, 고타케무카이하라 역 ~ 이케부쿠로 역(신선 이케부쿠로 역) 구간은 유라쿠초 신선으로 각각 개통되었다(단, 센카와 역과 가나메초 역은 미개통).
2008년 6월 14일, 이케부쿠로 ~ 시부야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동시에 센카와 역과 가나메초 역도 영업을 개시하였다. 고타케무카이하라 ~ 이케부쿠로 구간은 사실상 유라쿠초 선의 일부가 되었으며, '유라쿠초 신선' 또는 '신선'으로 안내되었다.
2013년 3월 16일부터는 고타케무카이하라 역에서 도부 도조 선(유라쿠초 신선 경유)·세이부 이케부쿠로 선(세이부 유라쿠초 선 경유), 시부야 역에서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 선과의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162]
2023년 3월 18일부터 개정된 시간표에 따라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을 통해 소테츠 본선과의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20] 이 운행으로 대부분의 특급 열차는 소테츠 이즈미노선의 쇼난다이역까지 도요코선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3. 운행 형태
와코시역에서 도부 도조선에, 고타케무카이하라역에서 세이부 유라쿠초선을 경유하여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 상호 직결 운전을 하고 있으며, 시부야역에서부터는 거의 모든 열차가 도큐 도요코선・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에 직결 운전하여, 운전 계통도 완전히 일체화되어 있다.[27] 본 노선을 포함한 철도 6사업자(도부 철도・세이부 철도・도쿄 지하철・도큐 전철・요코하마 고속철도・소테쓰)에 의한 상호 직결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어, 사이타마현 서부의 오가와마치・가와고에시(도부 도조선), 한노시・도코로자와시(세이부선)의 각 방면에서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도큐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야마토시・에비나시・후지사와시(소테츠선)까지 광역 철도망을 형성하고 있다.[27]
도부 도조선 오가와마치역 -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주카가이역 간 및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한노역 - 모토마치·주카가이역 간의 각각에 대해, 낮 시간대에 본 노선을 경유하여 각 선내를 특별 요금 불필요의 최속달(부도심선 내는 급행 운전)로 운행되는 열차에 대해서는 「F라이너」의 애칭이 붙어있다.[27] 또한, 토요일, 공휴일에는 세이부치치부역 - 모토마치·주카가이역 간에서 유료 좌석 지정 열차 「S-TRAIN」이 운행된다.[27]
부도심선의 급행, 통근 급행은 전 열차가 10량 편성, 각역 정차는 대부분 8량 편성이다. 10량 편성과 8량 편성에서는 정차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역의 시각표, 발차 표지판, 접근 방송에서는 열차의 편성 량수도 안내되고 있다. 또한, 상호 운행처인 시부야역에서 도큐 도요코선, 도큐선 경유로 소테츠선 (도큐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경유 소테츠 본선, 이즈미노선), 고타케무코하라역에서 세이부선 (세이부 유라쿠초선 경유 이케부쿠로선), 와코시역에서 도부 도조선 내에서 종별이 바뀌는 열차가 다수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운행처 노선 내의 종별도 안내된다.
부도심선의 종착역인 시부야역에서는 와코시 발의 막차를 제외하고 모든 열차가 도큐 도요코선으로 상호 운행한다.[93] 그중 대다수의 열차는 도요코선의 종착역인 요코하마역에서 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주카가이역, 또는 히요시역에서 도큐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본선, 이즈미노선을 경유하여 쇼난다이역 (아침, 저녁은 에비나역)까지 상호 운행한다. 또한, 도요코선, 미나토미라이선에는 부도심선으로 상호 운행하지 않는 열차(시부야역 회차)가 종일 다수 설정되어 있다.
낮 시간대에는 30분 주기의 패턴 다이어그램으로 운행되고 있다. 그 사이에 급행이 15분 간격으로 2개, 각역 정차는 간격 불규칙으로 5개가 있으며, 이 중 1개는 이케부쿠로역에서 도요코선 방면으로 회차한다.
낮 시간대의 운행 패턴은 아래 표와 같다. 참고로 와코시 - 고타케무코하라의 선로 공용 구간을 달리는 유라쿠초선의 열차도 기재한다.
노선명 | 운행 본수 | 도부 도조선 세이부선 방면 |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 도큐 도요코선 | 미나토 미라이선 | 비고 | ||||||||||||||
---|---|---|---|---|---|---|---|---|---|---|---|---|---|---|---|---|---|---|---|---|
역명 \ 종별 | 와코시 | … | 고타케무코하라 | … | 이케부쿠로 | … | 시부야 | … | 히요시 | … | 요코하마 | … | 모토마치 ・ 차이나타운 | |||||||
급행 (F 라이너) | 2개 | ←신린코엔 | colspan="8" style="background:pink;" | | colspan="8" style="background:orange;" | | 세이부선·도부선 내(F 라이너) 쾌속 급행 도큐선·미나토미라이선 내(F 라이너) 특급 | |||||||||||||||
2개 | ←고테사시 | colspan="6" style="background:pink;" | | colspan="8" style="background:orange;" | | |||||||||||||||||
각역 정차 (소테츠선 직통 계통) | 1개 | ←가와고에시 | colspan="8" style="background:lightblue;" | | colspan="3" style="background:pink;" | | 쇼난다이→ | 도큐선 내 급행 | ||||||||||||||
1개 | colspan="2" style="text-align:right" | | colspan="8" style="background:lightblue;" | | colspan="3" style="background:pink;" | | 쇼난다이→ | ||||||||||||||||
각역 정차 (미나토미라이선 직통 계통) | 2개 | colspan="2" style="text-align:right" | | colspan="8" style="background:lightblue;" | | colspan="8" style="background:pink;" | | 도큐선·미나토미라이선 내 급행 | |||||||||||||||
2개 | colspan="2" style="text-align:right" | | colspan="16" style="background:lightblue;" |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 | |||||||||||||||||
2개 | ←시키 | colspan="14" style="background:lightblue;" | | ||||||||||||||||||
2개 | colspan="7" style="text-align:right" | | colspan="11" style="background:lightblue;" | | ||||||||||||||||||
유라쿠초선 각역 정차 | 2개 | ←가와고에시 | colspan="4" style="background:#c1a470;" | | 신키바→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 |||||||||||||||
4개 | colspan="2" style="text-align:right" | | colspan="4" style="background:#c1a470;" | | 신키바→ |
2013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부터, 시부야역에서 도큐 도요코선과 도요코선의 종점인 요코하마역에서 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으로 직통 운전을 시작하여 모토마치·차이나타운역까지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
부도심선의 시부야 측에서는 시부야 출발 와코시행 2편 또는 4편(이른 아침 첫차 1편 외 평일 저녁 각역 정차 1편, 토요일/공휴일 저녁 이후 각역 정차 2편과 급행 1편)과 와코시 출발 시부야행 막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도큐 도요코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한다.[100] 낮 시간대에는 부도심선 내 급행은 도요코선 내에서 특급으로, 부도심선 내 각역 정차 중 1시간에 4편은 도요코선 내에서 급행으로 운행한다. 한편, 도요코선에서 각역 정차 8편 중 1시간에 2편이 이케부쿠로행, 2편이 시부야역 발착(부도심선으로 직통하지 않음)으로 운행된다.
도요코선 내에서 특급·통근 특급으로 운행되는 열차는 요코하마역 및 모토마치·차이나타운역 발착으로 각 회사의 10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토요일/공휴일에 1편만 특급 요코하마행이 설정되어 있다(요코하마역에는 2번선에 도착하여 1번선에 정차 중인 각역 정차 모토마치·차이나타운행과 연결).
도요코선 내에서 급행으로 운행되는 열차는 모토마치·차이나타운역 발착 열차와 소테쓰선 직통 열차가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무사시코스기역·기쿠나역 발착 열차도 설정되어 있다.
도요코선 내에서 각역 정차로 운행되는 열차는 모토마치·차이나타운역 발착이 중심이지만, 일부 열차는 무사시코스기역·모토스미요시역·기쿠나역 및 요코하마역 발착으로 운행된다.
2023년 3월 18일 도큐 신요코하마선・소테츠 신요코하마선 전선 개통에 따라 소테츠선과의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50] 평일 아침 혼잡 시간대의 도심 방면 행과 저녁 혼잡 시간대의 소테츠선 방면 행은 최대 매시 4편, 혼잡 시간대의 반대 방향은 매시 3편, 평일 낮 및 토요일, 공휴일에는 매시 2편 정도가 운행된다. 대부분은 소테츠 이즈미노선・쇼난다이역을 발착역으로 하며, 부도심선 내 신주쿠 산초메역・이케부쿠로역・와코 시역에서 회차하는 것 외에, 도부 도조선으로 운행하는 열차도 운행된다. 이른 아침의 도심 방면 행과 야간의 소테츠 방면 행에는 소테츠 본선・에비나역을 잇는 열차가 운행된다.
소테츠선 직통 열차는 전 열차가 도큐선 내를 급행으로,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운용은 도큐 전철 또는 사가미 철도의 차량으로 한정된다. 세이부 철도와 직통하는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
부도심선에서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부도심선 내의 현재 정차역은 "역 목록"을 참조. S-TRAIN을 포함하여 당 노선 내에서도 속달 운전을 하는 우등 열차 종류가 일본의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3종류 운행되고 있다.
2017년 3월 25일부터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 운행을 시작한 좌석 지정 열차이다.[98]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중화가이역 - 세이부 지치부선 세이부 지치부역 구간에서 운행된다. 승차 시 좌석 지정권이 필요하며, 중간에 시부야역, 신주쿠산초메역, 이케부쿠로역에 정차한다(그 외 승무원 교대를 위해 고타케무카이하라역에 운전 정차) 그러나 부도심선 내에서만 이용 가능한 좌석 지정권은 발행되지 않는다. 또한, 이케부쿠로역에서의 승차는 불가능하다. 일본의 지하철 노선 내에서 좌석 지정 열차의 운행은 지하철 16호선에서 운행되는 "특급 로망스카" 이후 2번째 사례이다.
평일에는 유라쿠초선 직통(도요스역 발착)이 되며, 부도심선으로는 운행하지 않는다.
도쿄 지하철 노선에서 도자이선의 쾌속에 이어 두 번째로 지하철 노선 내 무료 급행 열차로, 와코시역 - 시부야역 간 전 노선에서 급행 운전을 실시하며, 모든 열차가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정기 열차 시간표에서는 히가시신주쿠역에서 대부분의 급행이 각역 정차를 추월한다. 그 때문에, 남행은 신주쿠 산초메역에서 바로 뒤의 각역 정차 (토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내 급행)에, 북행은 이케부쿠로역에서 마찬가지로 바로 뒤의 각역 정차에 연결된다. 유라쿠초선과의 환승역인 코타케무코하라역에서는, 도부 토조선 방면 발착의 급행과 와코시 발착의 각역 정차 (유라쿠초선 직통)·그 바로 뒤의 세이부선 방면 발착의 각역 정차 (유라쿠초선 직통), 또는 세이부선 방면 발착의 급행 (세이부선 내에서는 정기 열차에서는 급행 이외의 종별)과 도부 토조선 방면의 각역 정차 (유라쿠초선 직통)가 연결된다. 또한, 시부야역에서는 토요코선 방면은 세이부선 발 열차와 이케부쿠로 발의 모토마치·주카가이역행이, 토조선 발 열차가 시부야역 시발의 모토마치·주카가이역행과, 와코시 방면은 토조선 직통 열차가 이케부쿠로행과 연결된다. 낮 시간대에는 시부야역에서 앞의 토요코선 내는 "특급"으로, 세이부선 직통 열차는 코타케무코하라에서 "쾌속 급행"으로, 도부 토조선 직통 열차는 와코시에서 "쾌속 급행"[103]이 된다. 이 조합의 열차 종별로 운행되는 열차는 '''F라이너'''라는 애칭이 붙는다.[107][104]
이케부쿠로역 - 시부야역 간 소요 시간은, 급행·통근 급행이 사이쿄선·쇼난 신주쿠 라인과 동등한 11분이다. 아침과 밤에 와코시 발착이 있는 외에는 도부 토조선 또는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에 직통 운전을 하고 있으며, 모든 열차가 도큐 토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에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
도부 토조선 직통 열차는 주로 신린코엔역 발착으로 운행되며, 일부는 가와고에시역·오가와마치역 발착도 운행되고 있다. 가와고에시역 발착 열차는 와코시역에서 종별을 "보통"으로, 신린코엔역 발착 열차는 "보통" "급행" "쾌속 급행",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만 운행되는 오가와마치 발착 열차는 "급행" "쾌속 급행" 중 하나로 변경한다. 낮 시간대에는 북행·남행 모두 코타케무코하라역에서 와코시역 - 유라쿠초선 신키바역 간의 각역 정차에 연락한다.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직통은 주로 고테사시역 발착이 운행되고 있지만, 일부 열차는 호야역·기요세역, 샤쿠지이코엔역, 한노역에서도 운행되고 있다. 코타케무코하라역에서 종별을 "각역 정차" "준급" "쾌속" "쾌속 급행"(쾌속 급행은 2013년 3월부터[105]) 중 하나로 변경한다.[106] 낮 시간대에는 북행·남행 모두 코타케무코하라역에서 도부 토조선 가와고에시역 - 유라쿠초선 신키바역 간의 각역 정차에 연락한다.
도큐 토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직통 열차는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2개의 기쿠나역 발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모토마치·주카가이역 발착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시부야역에서 종별을 "특급" "통근 특급" "급행" 중 하나로 변경한다. 소테쓰선 직통 열차는 에비나역 발의 오가와마치행이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1개 설정되어 있으며, 소테쓰선 내는 특급, 도큐선 내는 급행, 도부선 내는 쾌속 급행으로 운행된다.
또한, 부도심선 내 발착으로 와코시역 발착이 설정되어 있다.
2016년 3월 26일의 시간표 개정부터 메이지진구마에역이 평일·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을 불문하고 급행의 정차역이 되었으며, 아울러 도부 토조선에서 급행 또는 세이부선 내에서 쾌속 급행, 부도심선 내에서 급행, 도큐 토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내에서 특급의 조합이 되는 열차에 한해 "F라이너"라는 애칭이 부여되고 있다.[107]
또한 메이지진구마에역에 정차함으로써, 연속 정차가 없는 종별 (도에이 지하철 신주쿠선의 급행 등이 있다)이 아닌 외에, 도쿄 메트로 다른 노선과 연결하는 모든 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이 외에도, 2023년 3월의 시간표 개정으로 "F라이너"의 도부선 내 종별이 "급행"에서 "쾌속 급행"으로 격상되었다.
(2016년 3월 31일 이케부쿠로역)
평일 아침과 저녁 러시 시간대에 운행된다. 와코시역 - 고타케무코하라역 구간은 각 역에 정차하고, 고타케무코하라역 - 시부야역 구간은 통과 운전을 한다. 차량 및 역의 종별 표시에서는 "통근 급행" 또는 "통급"으로 안내되지만, 북행 고타케무코하라역 - 와코시역 구간은 모든 열차가 와코시역까지 각 역에 정차하기 때문에, 그 구간에서는 각역 정차로 안내된다. 또한 아침에 몇 편, 도조선 내에서 우등 운전을 하는 열차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 취지를 안내한다. 모든 열차가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급행과 마찬가지로 히가시신주쿠역에서 각역 정차를 추월한다.
기본적으로 주황색에 검은색 문자로 표시된다.
고타케무코하라역 - 시부야역 간의 정차역은 기본적으로 급행과 같다. 이 때문에 세이부선 직통 열차는 운행 시간대에 관계없이 모두 급행 또는 각역 정차로 운전된다. 또한, 메이지진구마에역에의 정차는 급행보다 늦은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부터 이루어졌으며, 이 이전에는 일시적으로 급행과 정차역의 차이가 있었다(휴일: 2010년 이후, 평일: 2016년 이후). 이 기간에 한해, 세이부선 직통 통근 급행도 운행되고 있다.
도부 도조선 내의 종별은 보통이 중심이며, 일부 열차는 쾌속 급행 및 급행이 되는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가와고에시역(보통만) · 신린코엔역 발착이 존재한다.
도큐 도요코선 · 미나토미라이선 직통은 대다수의 열차가 모토마치·주카가이역 발착으로 운전되며, 시부야역에서 특급 · 통근 특급 · 급행 중 어느 하나로 종별이 바뀌지만, 급행의 일부 열차는 무사시코스기역 · 기쿠나역 · 요코하마역 발이 설정되어 있다. 소테츠선 직통에 대해서는 에비나역(발만) · 쇼난다이역 · 니시야역(발만) 발착이 설정되어 있다. 소테츠선 내는 특급 · 통근 특급 · 각역 정차로 운전되며, 도큐선 내에서는 급행으로 운전된다. 쇼난다이역 발 1편은 소테츠 차량으로 운전되며, 그 외의 열차는 도큐 차량으로 운전된다.
각역정차(各駅停車)는 현재 역 및 차량의 종류 표시에서도 안내된다. 이케부쿠로역 - 시부야역 간 소요 시간은 야마노테선과 동등한 16분이다. 기본적으로 도쿄 메트로 차량, 도큐 차량, 요코하마 고속 철도 차량의 8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도큐 도요코선으로 직통하지 않거나 시부야역에서 종류가 변경되는 일부 열차는 각 회사의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내 급행 통과역의 유효 길이는 8량이라, 도요코선 내 각역정차 열차는 필연적으로 8량이 된다). 차량 편성은 열차 시각표에 따라 결정되며, 역의 시간표에서 숫자가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열차가 8량 편성이다(단, 검사에 따른 차량 부족이나 열차 지연의 경우 8량 편성 운용을 10량 편성으로 대신 운행하는 경우가 있다). 개통 당시부터 모든 열차가 히가시신주쿠역에서 대피선에 들어갔지만, 통과선 측의 벽이 철거됨에 따라 2015년 5월 30일부터 급행・통근 급행의 통과 대기를 하지 않는 열차는 히가시신주쿠역에서도 본선에 입선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도요코선 내에서 급행이 되는 열차가 히가시신주쿠역에서 급행(도요코선 내 특급)・통근 급행의 통과 대기를 한다. 도요코선 내에서 각역정차가 되는 열차는 낮 시간 외에도 통과 대기하는 열차가 있지만, 대부분 부도심선 내는 시부야역(대부분 도요코선 자유가오카역까지)・고타케무코하라역까지 선행한다.
낮 시간대의 각역정차는 도요코선 내에서 급행이 되는 열차가 와코시 발착 4편(본선 계통・소테츠선 직통 계통 각 2편), 부도심선 내에서 모토마치・주카가이까지 각역정차가 되는 이케부쿠로역 - 모토마치・주카가이역 간 운전이 2편, 와코시역 발착 2편, 세이부선 직통이 2편 운행된다. 도요코선 내에서 급행이 되는 열차는 앞서 언급한 대로 히가시신주쿠에서 통과 대기를 하며, 이케부쿠로 발착은 시부야역에서 도요코선 방면은 세이부선에서 오는 특급과, 와코시 방면은 도조선 직통의 급행과 연결된다.
2017년 3월 25일의 시간표 개정부터,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내에서 급행이 되는 열차 중 히가시신주쿠역에서 S-TRAIN만 통과 대기를 하는 열차가 설정되었다. 이 경우, 요금 불필요 열차로서 시부야역・고타케무코하라역까지 먼저 도착한다.
기본적으로 와코시역・이케부쿠로역 발착으로 도큐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직통과, 미나토미라이선・도큐 도요코선 - 부도심선 -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직통으로 운전되지만, 아침과 저녁을 중심으로 신주쿠 산초메역 발착 도큐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직통, 와코시보다 먼 도부 도조선으로 직통하는 열차도 있다. 그 외, 고타케무코하라발 모토마치・주카가이행이 아침 일찍 1편, 부도심선 내에서만 운행하는 시부야발 와코시행이 평일 2편, 토요일과 일요일은 급행 1편[109]과 각역정차 3편, 와코시 시발 시부야행 막차 열차가 매일 1편, 센가와발 무사시코스기행이 평일 1편, 모토마치・주카가이행이 평일 1편 설정되어 있다.[110]
도부 도조선 직통은 시키역(평일 한정)을 중심으로 일부 열차는 가와고에시역・신린코엔역 발착으로 운전된다. 와코시역에서는, 도조선 내 급행으로 운전하는 평일의 1왕복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종류를 "각정(各停)"에서 "보통(普通)"으로 변경한다. 8량 편성은 모두 시키역 발착으로 운전된다.
세이부선 직통은 호야역・샤쿠지이코엔역(일부 열차는 기요세역・도코로자와역・고테사시역・한노역) 발착으로 운전된다. 낮에는 샤쿠지이코엔역 발착이 설정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8량 편성으로 운전되지만, 일부는 10량 편성으로 운전된다. 고타케무코하라역에서 종류를 쾌속급행・쾌속・준급으로 변경하는 열차가 존재하며,[111] 부도심선을 사이에 두고 세이부선 내 준급,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내 급행 등으로 양쪽 끝에서 우등 운전을 하는 열차도 존재한다. 도요코선 내 급행이기 때문에, 히가시신주쿠역에서 통과 대기를 한다.
도큐 도요코선 직통은, 낮에는 모토마치・주카가이역 발착으로 운행되지만, 아침과 저녁을 중심으로 무사시코스기역・모토스미요시역(막차 한정), 기쿠나역과 요코하마역 종착 열차도 존재한다. 일부 열차는 시부야역에서 종류를 급행・특급・통근 특급으로 변경한다. 홈 유효 길이의 관계상, 도요코선 내 각역정차가 되는 열차는 모두 8량 편성으로 운전되며, 도부 차량, 세이부 차량의 운용은 없다.
종류 색상은 기본적으로 파란색이나 흑백으로 표기되지만, 역이나 차량에 따라 다르다.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은 직결 운행 노선을 포함하여 부도심선 또는 유라쿠초선에서 어떠한 운행 장애가 발생하면 그 영향을 받기 쉽고 운행 형태가 크게 바뀐다.
운행 장애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이 전환된다.
- 부도심선은 원맨 운전이라는 운행 시스템의 사정상, 와코시역 - 고타케무코하라역 - 센카와역 구간은 유라쿠초선만 감편 운전이 되며, 센카와역 - 도큐 도요코선 방면 간에서 회차 운전을 모든 열차 각역 정차로 운행하는 형태로 변경된다(통근 급행과 급행은 열차 운행의 혼란이 안정될 때까지 운행 중지).
- 직결 운행 노선인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내는 10량 편성으로 각역 정차 운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10량 편성의 차량은 열차 운행의 혼란이 안정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해당 노선 내의 대피 가능한 역에 유치하거나 모토스미요시 차량기지에 입고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도부 도조선 및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으로의 환승은 이케부쿠로역에서, 고타케무코하라역 - 와코시역 간으로의 환승은 요초역 또는 센카와역에서 한다. 8량 편성은 그대로 운행을 계속하거나 운행 간격을 조정한다.
- 직결 운행 노선인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내 또는 도부 도조선 내에서 운행 장애가 발생하여, 그 열차 운행의 혼란이 본 노선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일단 직통 운전을 중단한다. 이 경우, 세이부선 직통 또는 도부 도조선 직통 열차만 급행은 이케부쿠로역 또는 와코시역 - 도큐 도요코선 방면 간, 각역 정차는 이케부쿠로역이나 센카와역에서 회차 운전을 한다.
부도심선에서는 평일 첫차부터 오전 9시 30분까지 모든 열차의 와코시역 쪽 선두 차량(1호차)이 여성 전용차가 된다. 또한, 소아, 장애인, 그 보호자 및 개호자는 성별에 관계없이 여성 전용차에 탑승할 수 있다. 부도심선 내 설정 구간은 다음과 같다.[126]
- A선(시부야 방면): 전 구간 (오전 9시 30분으로 설정 종료)
- B선(와코시 방면): 시부야역 → 이케부쿠로역 간 (이케부쿠로역 도착 또는 오전 9시 30분으로 설정 종료)
10량 편성 및 8량 편성에서 여성 전용차가 되는 차량의 정차 위치가 다른 역에는 10량 편성의 여성 전용차 승차 위치에 핑크색 스티커를 부착하고, 8량 편성에는 녹색 스티커를 부착하고 있다. 10량 편성 및 8량 편성의 1호차 정차 위치가 동일한 역은 승차 목표가 핑크색이다.
4. 노선 정보
후쿠토신선은 도쿄에서 가장 깊은 지하철 노선으로, 평균 깊이는 27m이다.[3] 신주쿠산초메역에서는 마루노우치선 아래, 신주쿠선 위를 지나며 깊이는 15m이고, 신주쿠선 터널과의 간격은 단 11cm에 불과하다.[3] 가장 깊은 구간은 바로 인접한 히가시신주쿠역으로, 노선이 35m까지 내려간다.[3]
이 노선은 도자이선에 이어 급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번째 도쿄 메트로 노선이다. 후쿠토신선은 노선 전체에서 급행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도쿄 메트로에서 처음이다. 급행 열차는 히가시신주쿠역에서 각역정차 열차를 통과한다. 각역정차 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직통 운전은 도부 도조 본선의 가와고에시역과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의 한노역까지 이루어졌다. 2013년 3월 16일부터 도큐 도요코선이 시부야 종점을 공유하게 되었고, 그 이후 직통 운행은 도요코선을 경유하여 미나토미라이선으로 운행되어 요코하마의 모토마치·주카가이역에서 종착한다.[4]
이케부쿠로역과 시부야역 사이 구간이 개통된 이후, 후쿠토신선은 스크린도어가 역 플랫폼에 설치되어 원맨 운전 지하철 노선으로 운행된다.[6] 2015년 3월 28일부터 원맨 운전은 와코시역까지 연장되었다.[7]
대부분의 도쿄 메트로 노선과 마찬가지로, 후쿠토신선의 첫 번째 객차는 출근 시간 전후에 "여성 전용칸"으로 지정된다. 이 시간 동안에는 여성, 초등학교 연령 이하의 어린이, 신체적 장애인 승객(및 그들의 보호자)만 첫 번째 객차에 탑승할 수 있다.[8]
- 급행 및 통근 급행 열차는 "●" 표시가 있는 역에 정차하고 "|" 표시가 있는 역은 통과한다.
- 각역 정차 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번호 | 역 | 일본어 | 거리 (km) | 통근 급행 | 급행 F 라이너 | S-Train | 환승 | 소재지 | ||
---|---|---|---|---|---|---|---|---|---|---|
역간 | F-01에서 | |||||||||
↑ 직통 운전 방면 도부 도조 본선 ↑ | ||||||||||
F-01 | 와코시 | 和光市 | – | 0.0 | ● | ● | 세이부 유라쿠초 선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Y-01) (같은 선로) | 와코시 | |
F-02 | 지하철 나리마스 | 地下鉄成増 | 2.2 | 2.2 | ● | |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Y-02) (같은 선로) | 이타바시구 | 도쿄도 | |
F-03 | 지하철 아카쓰카 | 地下鉄赤塚 | 1.4 | 3.6 | ● | |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Y-03) (같은 선로) | 네리마구 | ||
F-04 | 헤이와다이 | 平和台 | 1.8 | 5.4 | ● | |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Y-04) (같은 선로) | |||
F-05 | 히카와다이 | 氷川台 | 1.4 | 6.8 | ● | |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Y-05) (같은 선로) | |||
-- 세이부 유라쿠초 선을 경유한 직통 운행 | 한노시 방면 -- 세이부 이케부쿠로 선 경유 및 세이부 지치부 방면 -- 세이부 지치부 선 경유 | |||||||||
F-06 | 고타케무카이하라 | 小竹向原 | 1.5 | 8.3 | ● | ● | |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Y-06) (같은 선로) | ||
F-07 | 센카와 | 千川 | 1.1 | 9.4 | | | | | |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Y-07) | 도시마구 | |
F-08 | 가나메초 | 要町 | 1.0 | 10.4 | | | | | |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Y-08) | ||
F-09 | 이케부쿠로 | 池袋 | 0.9 | 11.3 | ● |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YellowGreen"| |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 (M-25) | ||
F-10 | 조시가야 | 雑司が谷 | 1.8 | 13.1 | | | | | | | 도덴 아라카와선 (기시보진마에) | ||
F-11 | 니시와세다 | 西早稲田 | 1.5 | 14.6 | | | | | | | 신주쿠구 | ||
F-12 | 히가시신주쿠 | 東新宿 | 0.9 | 15.5 | | | | | | | 도에이 오에도선 (E-02) | ||
F-13 | 신주쿠산초메 | 新宿三丁目 | 1.1 | 16.6 | ● | ● | ● |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 (M-09) | ||
F-14 | 기타산도 | 北参道 | 1.4 | 18.0 | | | | | | | 시부야구 | ||
F-15 | 메이지진구마에 (하라주쿠) | 明治神宮前 | 1.2 | 19.2 | | | ● | | |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C-03) | ||
F-16 | 시부야 | 渋谷 | 1.0 | 20.2 | ● | ● | ● | 도큐 도요코선 | ||
↓ 직통 운전 |
여객 안내상으로는 와코시역 - 시부야역 간의 노선으로 취급되고 있으며[27], 와코시역 - 이케부쿠로역 간은 유라쿠초선과 완전히 동일한 구간이다. 고타케무카이하라역 - 이케부쿠로역 간은 별도의 선로가 부설되어 있다. 와코시역 - 고타케무카이하라역 간은 유라쿠초선과 선로를 공유하고 있다.[28][29]
와코시역에서 도부 도조선에, 고타케무카이하라역에서 세이부 유라쿠초선을 경유하여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 상호 직결 운전을 하고 있으며, 시부야역에서부터는 거의 모든 열차가 도큐 도요코선・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에 직결 운전한다.
- 노선 거리 (영업 킬로): 11.9 km[22]
- 궤간: 1,067 mm[22]
- 역 수: 11개 역 (기점 및 종점역 포함)[22]
- 복선 구간: 전 노선
- 전철화 구간: 전 노선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22]
- 폐색 방식: 속도 제어식 (신CS-ATC)・ATO (전 노선)
- 열차 무선 방식: 유도 무선 (IR) 방식, 디지털 공간파 무선 방식 (D-SR) 방식
- 최고 속도: 80 km/h[22]
- 평균 속도: 급행 49.0 km/h・각역 정차 40.2 km/h (고타케무카이하라역 - 시부야역 간)
- 표정 속도: 급행 43.9 km/h・각역 정차 31.9 km/h (고타케무카이하라역 - 시부야역 간)
- 전 노선 소요 시간: 급행 16분 15초・각역 정차 22분 25초 (고타케무카이하라역 - 시부야역 간)
- 차량 사업소: 와코 검차구・와코 검차구 신키바 분실
- 공장: 아야세 공장 (지요다선 내)
- 최급 구배: 40 ‰[23] (신주쿠산초메 → 히가시신주쿠・B선만[23])
이케부쿠로 - 시부야 간 건설에 소요된 건설 비용은 총 2404억엔 (소비세 제외)이다.[30]
5. 역 목록
F라이너
東武東上本線|도부 도조 본선일본어 (직통 운전)
東武東上本線|도부 도조 본선일본어 (나리마스)
東武東上本線|도부 도조 본선일본어 (시모아카쓰카)
세이부 유라쿠초선 (직통 운전)
東京メトロ有楽町線|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일본어 (Y-09) (신키바 방면)
JR 동일본 야마노테 선
JR 동일본 사이쿄 선
JR 동일본 쇼난 신주쿠 라인
東武東上本線|도부 도조 본선일본어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도에이 신주쿠선 (S-02)
JR 동일본 야마노테 선 (하라주쿠)
도큐 덴엔토시선
東京メトロ半蔵門線|도쿄 메트로 한조몬선일본어
東京メトロ銀座線|도쿄 메트로 긴자선일본어 (G-01)
JR 동일본 야마노테 선
JR 동일본 사이쿄 선
JR 동일본 쇼난 신주쿠 라인
게이오 이노카시라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