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틴어의 역사는 라틴족이 사용했던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탈리아어족에 속한다.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민중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현대 라틴어로 발전해 왔다. 음운 변화를 겪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고, 로망스어군을 형성하는 등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라틴어는 고대 이탈리아 라티움 지역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로마 공화국과 로마 제국의 성장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간 언어이다. 그 역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내용 없음)
2. 역사
가장 초기 형태인 상고 라틴어는 기원전 75년 이전까지 사용되었으며, 인도유럽어족에서 분화된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이 시기의 라틴어는 주로 비문 등을 통해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2세기까지는 고전 라틴어가 발달하였는데, 이는 키케로, 베르길리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등 유명 작가들의 문학 작품을 통해 정제된 형태로 나타났으며, 라틴 문학의 황금기와 백은기를 이루었다. 고전 라틴어는 후대 라틴어의 모범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일반 대중이 일상에서 사용한 언어는 민중 라틴어였다. 이는 고전 라틴어와는 어휘, 문법, 발음 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로마 제국 각지에서 다양한 방언으로 분화하였다. 이 민중 라틴어가 오늘날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 여러 로망스어군 언어들의 직접적인 조상이 되었다.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중세 시대에는 중세 라틴어가 서유럽의 학문, 종교, 행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지역과 작가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였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고전 시대의 순수한 라틴어를 되살리려는 인문주의자들의 노력으로 르네상스 라틴어와 신 라틴어가 등장하여 학술과 문학의 언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라틴어는 더 이상 일상적인 모어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교회 라틴어로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공식 언어로 남아있으며, 학술 용어, 특히 생물학 분류 등 과학 분야의 명명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각 시대별 라틴어의 구체적인 특징과 변화 과정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기원
라틴어라는 이름은 기원전 10세기경 이탈리아 라티움 지역에 정착한 라티니(Latini)라는 부족 집단과 이들이 사용했던 방언에서 유래했다.[3]
라틴어는 이탈리아어파에 속하며, 이는 인도유럽어족의 켄툼(Centum) 하위 어군을 형성한다. 이 어군에는 게르만어파, 켈트어파, 그리스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들이 포함된다. 라틴어의 초기 음운 및 문법적 특징은 상고 라틴어 시기에 구체적으로 나타난다.[4][5]
가장 오래된 라틴어 기록 중 하나는 기원전 7세기의 프라에네스테 섬유 비문으로, "Manios med fhefhaked Numasioi|마니우스 메드 페파케드 누마시오이la"(마니우스가 누메리우스를 위해 나를 만들었다)라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6]
2. 1. 1. 상고 라틴어
'''상고 라틴어'''(Latina archaicala), 또는 '''초기 라틴어'''(Early Latin영어)는 고전 라틴어 이전의 라틴어로, 기원전 75년 이전의 시기를 가리킨다. 이 시기의 라틴어는 이탈리아어파에 속하며, 이는 다시 인도유럽어족의 켄툼어파에 포함된다.
상고 라틴어의 음운론적 특징 중 하나는 인도-유럽어의 모음이 강세 음절에서 대체로 보존된다는 점이다.[29] 예를 들어, 인도-유럽어의 슈와 (*ə*)는 라틴어에서 'a'로 나타나, 인도-유럽어 ''*pəter''는 라틴어 ''pater''la가 된다. 이중모음 역시 초기 라틴어에는 존재했으나, 고전 라틴어로 가면서 단모음화되는 경향을 보인다(예: ''oi'' > ''oe'', ''ei'' > ''ē'' > ''ī'').[30]
다른 음운상의 특징으로는 명사 등의 격 어미에서 ''-os''와 ''-om'' 형태가 사용된 점이다. 이는 후기 라틴어에서 각각 ''-us''와 ''-um''으로 변화한다. 또한 고전 라틴어에서는 모음 사이에 위치한 /s/가 /r/로 바뀌는 음운 변화(rhotacism)가 흔히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명사의 격 변화에서도 관찰되는데, 초기 고전 라틴어의 ''honos, honoris''가 고전 라틴어에서는 ''honor, honoris''("명예")로 변화한 것이 그 예이다. 일부 오래된 라틴어 문헌에서는 이러한 위치에 /s/가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발견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카르멘 아르발레의 기록에서 라레스를 lasesla로 표기한 사례가 있다.
문법적으로는 인도유럽조어가 가진 8개의 격 중에서 라틴어에는 6개의 격[31] 이 남아있다. 인도-유럽어의 처격( locativusla )은 일부 지명이나 특정 명사의 격변화 형태 속에 흔적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로마( ''Roma''la )의 처격은 Romaela이며, '집'을 뜻하는 ''domus''la의 처격은 domīla이다. 구격( instrumentalisla )은 부사를 만드는 어미 ''-ē''의 형태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32]
상고 라틴어 단계의 기록은 대부분 비문 형태로 남아 있으며, 이는 로마 왕정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텍스트 조각부터 기원전 75년경 로마 공화국 말기의 기록 언어까지 포함한다.
2. 2. 고전 라틴어
'''고전 라틴어'''는 고대 로마에서 라틴 문학의 고전으로 여겨지는 작품들에서 사용된 라틴어의 형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라틴 문학의 황금 시대(기원전 1세기 ~ 기원후 1세기 초)와 백은 시대(기원후 1, 2세기)에 걸쳐 사용된 라틴어를 지칭한다.[7]
고전 라틴어는 초기 라틴어를 바탕으로 아티카 그리스어를 모델 삼아 매우 정제되고 양식화된 문학 언어로 발전했다. 이는 상류층의 세련된 구어를 기반으로 한 글쓰기 언어였다. 고전 라틴어는 어미 형태 변화(예: 초기 '-om', '-os' → '-um', '-us')나 어휘 의미 확장 등 여러 면에서 초기 라틴어 문학(예: 대 카토, 플라우투스 등의 작품)과 차이를 보인다.[7] 또한, 고대 그리스어의 고저 악센트와 달리 강세 악센트로 발음하는 특징이 있다.[33]
한편, 로마의 일반 대중이 일상적으로 사용했던 구어 라틴어는 민중 라틴어라고 부른다. 민중 라틴어는 고전 라틴어와 어휘, 문법 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발음 면에서도 달라졌다.
2. 2. 1. 황금 시대
'''라틴 문학의 황금 시대'''(Latinitas aurea|라티니타스 아우레아la)는 대략 기원전 75년부터 기원후 14년까지의 기간을 가리킨다. 이 시기는 로마 공화정이 몰락하고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통치하던 시대와 거의 일치한다.[7]
많은 고전 연구가들은 이 시기를 라틴 문학의 정점으로 평가한다. 이 시기에 사용된 고전 라틴어는 매우 세련되고 양식화된 문학 언어로, 후대 작가들이 따라야 할 이상적인 규범으로 여겨졌다.[7] 고전 라틴어는 황금 시대뿐만 아니라 이후 기원후 1, 2세기에 해당하는 라틴 문학의 백은 시대까지 이어졌다.
고전 라틴어는 초기 라틴어와는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예를 들어, 초기 라틴어에서 사용되던 어미 '-om'과 '-os'가 '-um'과 '-us'로 변화하였으며, 단어의 의미가 확장되는 등 어휘 면에서도 변화가 있었다.[7][33]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쓴 ''갈리아 전기''는 이러한 황금 시대 고전 라틴어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다.
2. 2. 2. 백은 시대
로마 제국 문학사에서 '''백은 시대'''(또는 '''은세기''')는 라틴 문학의 황금기 바로 다음 시기인 서기 1세기와 2세기를 가리킨다. 이 시대의 문학은 전통적으로 황금 시대의 작품들보다 다소 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받기도 했으며, 표현 방식이 기교적이고 장식적인 경향(매너리즘)을 보였다.
백은 시대는 크게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서기 1세기 후반으로, 문학적으로 급진적인 실험이 이루어졌던 시기이다. 두 번째는 서기 2세기로, 새롭게 신고전주의 경향이 나타난 시기이다.
특히 네로 황제와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다스리던 시기에는 소 세네카, 루카누스, 스타티우스와 같은 문인들이 활동했다. 이들은 기존과는 다른 독특한 문학 양식을 추구했으며, 이러한 시도는 후대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았다.
2. 3. 민중 라틴어
'''민중 라틴어'''(sermo vulgaris|세르모 불가리스la)는 고대 로마의 일반 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던 라틴어의 구어체 형태를 가리킨다. 이는 문학 작품 등에 사용된 정제된 고전 라틴어와는 차이가 있었다. 모든 언어가 그렇듯, 당시 라틴어도 글쓰기에 사용되는 문어체와 실제 대화에서 사용되는 구어체 사이에 어휘나 문법적인 차이가 존재했다.[8]
민중 라틴어는 시간이 흐르면서 계속 변화했으며, 일부 특징은 로마 제국 후기에 나타나기도 했지만, 어떤 특징들은 그보다 훨씬 이전부터 구어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민중 라틴어는 문어가 아닌 구어였기 때문에, 당시 라틴어 사용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말했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음성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자들은 후기 라틴 시대 문법학자들이 남긴 기록(특정 표현을 오류로 지적하는 내용 등), 라틴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문법 오류나 비고전적 용법, 빈돌란다 등에서 발견된 밀랍 서판 기록, 그리고 로망스어군 언어들과의 비교 언어학적 방법 등을 통해 민중 라틴어의 모습을 재구성한다.[10]
민중 라틴어는 고전 라틴어와 비교했을 때 어휘, 문법,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발음 면에서도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구어체 라틴어는 로마 제국 각지에서 점차 여러 방언으로 갈라졌으며, 이후 로망스어군 언어들(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의 직접적인 모태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틴어가 모국어로 사용되던 시기에는 문어체 라틴어와 구어체 라틴어 사이에 "넘을 수 없는 격차"가 있었던 것은 아니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하나의 언어였다는 점에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일치한다.[9]
2. 3. 1. 로망스어군
'''로망스어군'''은 인도유럽어족의 주요 분파로, 로마 제국의 언어였던 라틴어에서 파생된 모든 언어를 포함한다. 로망스어군은 전 세계적으로 7억 명 이상의 모국어 화자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그리고 세계 곳곳의 작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모든 로망스어는 로마 제국의 군인, 정착민, 노예들의 언어였던 민중 라틴어(속 라틴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로마 지식인들의 언어와 상당히 달랐다. 기원전 200년에서 서기 100년 사이에, 로마 제국의 확장과 로마의 행정 및 교육 정책으로 인해 민중 라틴어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흑해 서해안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배적인 통속 언어가 되었다.
제국의 쇠퇴와 5세기의 붕괴 및 분열 동안, 민중 라틴어는 각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하기 시작했고, 결국 수십 개의 뚜렷한 언어로 분화되었다. 15세기 이후 스페인 제국, 포르투갈 제국, 프랑스 식민 제국이 건설한 해외 제국은 이러한 언어를 다른 대륙으로 전파했으며, 현재 모든 로망스어 화자의 약 3분의 2가 유럽 외 지역에 있다.
로마 이전 언어와 이후 침략의 다양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모든 로망스어의 음운론, 형태론, 어휘, 그리고 통사론은 주로 민중 라틴어에서 파생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어군은 다른 인도유럽어 분파와 구별되는 많은 언어학적 특징을 공유한다.
2. 4. 중세 라틴어
'''중세 라틴어'''는 중세 시대에 문학 및 행정 목적으로 사용된 라틴어를 말한다. 당시에는 지역 간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에, 개별 작가들 사이에서 라틴어 사용 방식에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개별성은 다양한 문법 오류와 속 라틴어 또는 지역 방언에서 단어를 빌려 쓰는 형태로 나타났다. 일부 중세 라틴어는 라틴어와 로망스어의 중간적인 특징을 보이기도 했고, 다른 일부는 고전 라틴어에 더 가까운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다양한 스타일은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국가와 새로운 제국이 등장하고, 초기 대학교들이 새로운 스타일의 라틴어를 강제하면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이후 르네상스 라틴어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2. 5. 르네상스 라틴어와 신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는 유럽 르네상스 시대인 14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사용된 라틴어를 지칭하며, 특히 인문주의 운동 과정에서 발전된 독특한 문체가 특징이다. '''신 라틴어'''는 중세 이후 르네상스 시대에 형성된 기준에 따라 쓰인 라틴어를 가리키는 현대적인 용어이다.[11][12] 라틴어가 이 시기 유럽 문화 및 과학 발전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에, 신 라틴어 연구는 최근 수십 년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3]
''아드 폰테스''(Ad fontes, 근원으로)는 인문주의자들의 주요 구호였으며, 이들은 라틴어에서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수 세기 동안 축적된 중세 라틴어의 어휘와 문체를 제거하고자 했다. 고전 시대의 라틴 문학, 특히 산문은 키케로, 시는 베르길리우스를 라틴어 문체의 이상적인 기준으로 삼았다. 또한 시퀀스와 같은 강세 기반의 운율을 버리고, 로마 시대 라틴 시에 사용되었던 그리스 운율 형식을 부활시키려 했다. 인문주의자들은 방대한 중세 라틴 문학을 '고딕'이라 비난했는데, 이는 당시 모욕적인 표현이었으며, 오직 로마 시대의 고대 라틴어만이 "진정한 라틴어"라고 믿었다.
인문주의자들은 중세 시대에 발전된 라틴어 철자법 개혁에도 힘썼다. 예를 들어, 중세 필사자들이 종종 ''ae'' 대신 ''e''로 표기했던 것과 달리, 고전 라틴어에서 ''ae''가 나타나는 모든 곳에 완전한 철자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t''와 ''c''의 구별에도 중세 라틴어 작가들보다 더 엄격했다. 이는 구개음화로 두 글자의 발음이 비슷해져 중세 필사자들이 예를 들어 ''etiam'' 대신 ''eciam''으로 쓰곤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혁은 필체에도 영향을 미쳤다. 인문주의자들은 현대 소문자 서체의 기원이 된 카롤링거 소문자에서 파생된 필체를 사용했으며, 중세의 블랙레터 필체 사용을 피했다. 에라스무스는 더 나아가 당시의 전통적인 라틴어 발음 대신 자신이 재구성한 고전 라틴어 발음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라틴어를 개혁하려는 인문주의자들의 시도는 교육 분야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학교에서는 인문주의적 철자법을 가르쳤고, 주로 고전 시대의 작품 위주로 학습하며 후대의 라틴 문학은 배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인문주의 라틴어는 우아한 문어체였으나, 어휘 정화와 고전 용법 고수로 인해 법, 의학, 과학, 현대 정치 등 새로운 개념을 다루는 데는 어려움이 따랐다. 그럼에도 실제 사용에서는 신조어가 계속 만들어졌다. 실용적인 언어로서 고전 어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4][15]
인문주의자들의 문학 작품, 특히 시는 고전 작품을 모방하는 파스티슈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 시기 작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현대 학자들은 작품 속 상호텍스트성을 간과하고 단순히 고전 작가 모방으로 치부하거나, 후원이나 공식 행사를 위한 시를 현대적 창작 관점에서 평가절하하기도 한다.[16]
라틴어는 16세기와 17세기에도 교육, 학문, 행정,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었다. 그러나 1650년경부터 점차 각국의 자국어에 밀려 사용 범위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최소 1800년대까지는 중요한 언어였으며, 20세기 중반까지도 교육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현대의 학술 및 기술 명명법, 예를 들어 동물학 및 식물학의 분류 체계나 국제 과학 어휘 등은 신 라틴어 어휘를 광범위하게 차용하고 있다. 이러한 용례에서 신 라틴어는 주로 새로운 용어를 만드는 데 활용된다. 하지만 산문이나 시와 같이 완전한 표현 수단으로서의 신 라틴어는 그 이후의 현대 라틴어와는 구별되기도 한다.
2. 6. 현대 라틴어
'''교회 라틴어'''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공식 문서나 전례 등에 사용된 라틴어를 가리키는 말이다. 특정 시기에는 성직자들의 설교에도 사용되었다. 교회 라틴어는 하나의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후기 라틴 시대에는 후기 라틴어의 특징을, 중세 시대에는 중세 라틴어의 특징을 보였으며, 이러한 흐름은 현대까지 이어진다.
초기 후기 라틴 시대에 교회는 일반 라틴어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정확하고 품위 있는, 단순하고 꾸밈없는 언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시점부터 교회 라틴어는 각 시대의 주요 라틴어 스타일 안에서도 구별되는 하위 스타일로 여겨질 수 있다. 신 라틴어 시대의 작가들은 고전 라틴어를 최고의 모범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현대 교회 라틴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지난 100년 동안 교회 내에서 라틴어 사용이 줄어든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교회 안팎에서 라틴어 사용을 지지하고 실제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단체를 조직하기도 했다.
3. 음운 변화
3. 1. 모음
원시 이탈리아어는 초기 원시 인도유럽어의 모음 체계, 즉 10개의 단순 모음(*i, *e, *a, *o, *u, *ī, *ē, *ā, *ō, *ū*)과 대부분의 이중모음(PIE '*eu'가 '*ou'로 변한 것 제외)을 물려받았다.
이후 고대 라틴어로 발전하면서 단어의 첫 음절에 강세가 놓이는 규칙이 생겼다. 이 강세 규칙은 모음 체계에 큰 영향을 미쳐, 강세가 없는 음절의 단모음들은 약화되거나 탈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장모음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으나, 단어 끝 음절과 같은 특정 위치에서는 짧아지기도 했다.[17]
3. 1. 1. 단모음
원시 이탈리아어는 초기 원시 인도유럽어의 단순 모음 10개(*i, *e, *a, *o, *u, *ī, *ē, *ā, *ō, *ū*)를 모두 계승했다.
원시 이탈리아어와 고대 라틴어는 단어의 첫 음절에 강세가 있었는데, 이로 인해 첫 음절이 아닌 음절에서는 많은 단모음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결국에는 탈락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장모음은 마지막 음절에서 단축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아래 표는 라틴어에서 원시 이탈리아어 모음이 어떻게 발달했는지를 보여준다.[17]
초기 | 중간 | 최종 | ||||||||||
---|---|---|---|---|---|---|---|---|---|---|---|---|
원시 이탈리아어 | +r | +l pinguis | +순음 (/p, b, f, m/) | +v (/w/) | +기타 | +자음 하나 | +자음군 | 절대적 최종 | ||||
자음 하나 | 자음군 | s | m, n | 기타 | ||||||||
i | i | e | i? | ʏ (중간 소리) | u | e > i | i | i | e | i | e | e |
e | e | o > u | e | |||||||||
a | a | o > u | ||||||||||
o | o | o > u | o | u | ||||||||
u | u | u | u | |||||||||
ī | ī | i | ī? | |||||||||
ē | ē | e | ē? | |||||||||
ā | ā | a | a, ā | |||||||||
ō | ō | o | ō | |||||||||
ū | ū | u | ū? | |||||||||
ei | ī | |||||||||||
ai | ae | ī | ||||||||||
oi | ū, oe | ū | ī | |||||||||
au | au | ū | ||||||||||
ou | ū |
3. 1. 2. 이중모음
원시 이탈리아어의 이중모음은 고대 라틴어로 발전하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었다.[17]- 원시 이탈리아어의 이중모음 ei는 고대 라틴어에서 장모음 ī(/iː/)로 바뀌었다.
- ai는 단어 첫 음절에서는 ae로 남았지만, 단어 중간이나 마지막 음절에서는 장모음 ī(/iː/)로 변화했다.
- oi는 첫 음절에서 ū(/uː/) 또는 oe로, 중간 음절에서는 ū(/uː/)로, 마지막 음절에서는 ī(/iː/)로 변화하는 등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바뀌었다.
- au는 첫 음절에서는 그대로 au로 유지되었으나, 중간이나 마지막 음절에서는 장모음 ū(/uː/)가 되었다.
- ou는 고대 라틴어에서 장모음 ū(/uː/)로 변화했다.
3. 2. 자음
라틴어의 자음 체계는 인도유럽조어에서 원시 이탈리아어를 거치면서 복잡하고 체계적인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는 라틴어의 음운 구조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후대 로망스어군 언어들의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주요 변화 과정으로는 인도유럽조어의 유성 유기음(''bʰ, dʰ, gʰ, gʷʰ'')이 특정 환경에서 무성음화되거나 마찰음으로 변하는 현상, 연구개 순음 계열 자음(''kʷ, gʷ'' 등)의 처리 방식, 그리고 모음 사이의 's'가 'r'로 바뀌는 R-음화(rhotacism) 등이 있다.[28] 또한, 특정 자음군에서 발생하는 탈락과 동화 작용 역시 라틴어 자음 체계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러한 음운 변화들은 라틴어 단어의 다양한 형태 변화(굴절)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3. 2. 1. 유기음
인도유럽조어(PIE)의 유성 유기음 ''*bʰ, *dʰ, *gʰ, *gʷʰ''는 초기에는 단어 시작 위치에서 무성음화되고, 이후 모든 위치에서 마찰음화되어 원시 이탈리아어에서 무성음/유성음 마찰음 쌍, 즉 ''f'' ~ ''β'', ''θ'' ~ ''ð'', ''χ'' ~ ''ɣ'', ''χʷ'' ~ ''ɣʷ''가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25] 이 마찰음들은 단어 시작 위치에서는 무성음이었으나, 모음과 다른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라틴어에서의 후속 변화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모든 이탈리아어파 언어에서 단어 시작 위치의 무성 마찰음 ''f, θ, χʷ''는 모두 ''f''로 합쳐졌으며, ''χ''는 유음 앞에서 ''g''가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h''로 약화되었다. 따라서 라틴어에서 단어 시작 위치의 PIE ''*bʰ, *dʰ, *gʰ, *gʷʰ''의 일반적인 결과는 각각 ''f, f, h, f''이다.
- PIE ''*bʰér-e-'' "운반하다" > ''ferō''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beirid'' "운반한다", 영어 ''bear'', 산스크리트어 ''bhárati'')
- PIE ''*bʰréh₂tēr'' "형제" > ''*bʰrā́tēr'' > ''frāter''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bráthair'', 산스크리트어 ''bhrā́tar-'', 그리스어 ''phrā́tēr'' "혈족의 일원")
- PIE ''*dʰeh₁-'' "놓다, 위치시키다" > *''dʰh₁-k-'' > *''θaki-'' > ''faciō'' "하다, 만들다" (비교: 웨일스어 ''dodi'', 영어 ''do'', 그리스어 ''títhēmi'' "나는 놓는다", 산스크리트어 ''dádhāti'' 그는 놓는다")
- PIE ''*dʰwṓr'' "문" > ''θwor-'' > *''forā'' > ''forēs'' (복수) "문들" (비교: 웨일스어 ''dôr'', 그리스어 ''thurā'', 산스크리트어 ''dvā́ra-'' (복수))
- PIE ''*gʰabʰ-'' "붙잡다, 잡다" > *''χaβ-ē-'' > ''habeō'' "가지다"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gaibid'' "잡다", 고대 영어 ''gifan'' "주다", 폴란드어 ''gabać'' "붙잡다")
- PIE ''*ǵʰaidos'' "염소" > *''χaidos'' > ''haedus'' "새끼 염소" (비교: 고대 영어 ''gāt'' "염소", 폴란드어 ''zając'' "토끼", 산스크리트어 ''háyas'' "말")
- PIE ''*ǵʰh₂ens'' "거위" > *''χans-'' > ''(h)ānser''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géiss'' "백조", 독일어 ''Gans'', 그리스어 ''khḗn'', 산스크리트어 ''haṃsá-'')
- PIE ''*gʰlh₂dʰ-rós'' "빛나는, 매끄러운" > *''χlaðros'' > *''glabrus'' > ''glaber'' "매끄러운" (비교: 폴란드어 ''gładki'' "매끄러운", 고대 영어 ''glæd'' "밝은, 기쁜")
- PIE ''*gʷʰen-dʰ-'' "치다, 죽이다" > *''χʷ(e)nð-'' > ''fendō'' (비교: 웨일스어 ''gwanu'' "찌르다", 고대 고지 독일어 ''gundo'' "전투", 산스크리트어 ''hánti'' "(그는) 친다, 죽인다", ''-ghna'' "살인자(복합어에 사용됨)")
- PIE ''*gʷʰerm-'' "따뜻한" > *''χʷormo-'' > ''formus'' (비교: 고대 프로이센어 ''gorme'' "열", 그리스어 ''thermós'', 산스크리트어 ''gharmá-'' "열")
단어 내부의 ''*-bʰ-, *-dʰ-, *-gʰ-, *-gʷʰ-''는 원시 이탈리아어에서 ''β, ð, ɣ, ɣʷ''로 발전했다. 오스크-움브리아어에서는 이 소리들이 ''β''로 합쳐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라틴어에서는 마찰음이 파열음이나 다른 소리로 변화하여 각각 ''b, d ~ b, g ~ h, g ~ v ~ gu''가 되었다.
- ''*-bʰ-''는 일관되게 ''b''가 되었다.
- PIE ''*bʰébʰrus'' "비버" > *''feβro'' > 고대 라틴어 ''feber'' > ''fiber''
- ''*-dʰ-''는 일반적으로 ''d''가 되었지만, ''r'' 또는 ''u'' 앞이나 ''l'' 뒤에서는 ''b''가 되었다.
- PIE ''*bʰeidʰ-'' "설득당하다" > *''feiðe'' > ''fīdō'' "나는 믿는다" (비교: 고대 영어 ''bīdan'' "기다리다", 그리스어 ''peíthō'' "나는 믿는다")
- PIE ''*medʰi-o-'' "중간" > *''meðio-'' > ''medius''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mide'', 고트어 ''midjis'', 산스크리트어 ''mádhya-'')
- PIE ''*krei(H)-dʰrom'' "체, 거름틀" > *''kreiðrom'' > ''crībrum'' "체" (비교: 고대 영어 ''hrīder'' "체")
- PIE *''h₁rudʰ-ró-'' "빨간" > ''*ruðro-'' > ''ruber'' (비교: 고대 러시아어 ''rodrŭ'', 그리스어 ''eruthrós'', 산스크리트어 ''rudhirá-'')
- PIE ''*sth̥₂-dʰlom'' > ''*staðlom'' > ''stabulum'' "거처" (비교: 독일어 ''Stadel'')
- PIE ''*werh₁-dʰh₁-o-'' "단어" > *''werðo-'' > ''verbum'' (비교: 영어 ''word'', 리투아니아어 ''var̃das'')
- ''*-gʰ-''는 모음 사이에서는 ''h'' [ɦ]가 되고, 다른 위치에서는 ''g''가 되었다.
- PIE ''*weǵʰ-'' "운반하다" > *''weɣ-e/o'' > ''vehō'' (비교: 그리스어 ''okhéomai'' "나는 탄다", 고대 영어 ''wegan'' "운반하다", 산스크리트어 ''váhati'' "(그는) 몰다")
- PIE ''*dʰi-n-ǵʰ-'' "모양을 만들다" > *''θinɣ-e/o'' > ''fingō''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ding'' "세우다, 건설하다", 고트어 ''digan'' "형성하다, 모양을 만들다")
- ''*-gʷʰ-''는 ''n'' 뒤에서는 ''gu'', 모음 사이에서는 ''v'', 다른 자음 옆에서는 ''g''가 되었다. 같은 어근 ''*snigʷʰ-'' "눈"에서 세 가지 변화를 모두 볼 수 있다 (비교: 아일랜드어 ''snigid'' "눈이 내린다", 그리스어 ''nípha'').
- PIE ''*snei-gʷʰ-e/o'' > *''sninɣʷ-e/o'' (''n''-삽입 포함) > ''ninguit'' "눈이 내린다"
- PIE ''*snigʷʰ-ós'' > *''sniɣʷos'' > 속격 단수 ''nivis'' "눈의"
- PIE ''*snigʷʰ-s'' > *''sniɣʷs'' > 주격 단수 ''nix'' (즉, /nig-s/) "눈"
- 다른 예: PIE ''*h₁le(n)gʷʰu-'' > ''*h₁legʷʰu-'' > *''leɣʷus'' > *''leɣʷis'' (''i''-어간으로 재구성) > ''levis'' "가벼운" (비교: 웨일스어 ''llaw'' "작은, 낮은", 그리스어 ''elakhús'' "작은", 산스크리트어 ''laghú-'', ''raghú-'' "빠른, 가벼운, 작은")
3. 2. 2. 연구개 순음
인도유럽조어(PIE)의 연구개 순음 계열 자음들(*gʷ, *kʷ 등)은 라틴어에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었다.- '''*gʷ'''는 대부분의 경우 v(/w/ 발음)로 변했지만, 비음(n, m) 뒤나 다른 자음 옆에서는 gu로 나타났다.[24]
- * PIE *gʷih₃wos → *ɣʷīwos → ''vīvus'' "살아있는"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biu, beo, 리투아니아어 gývas, 산스크리트어 jīvá- "살아있는")
- * PIE *gʷm̥i̯e/o- "오다" → *ɣʷen-je/o → ''veniō'' (비교: 영어 come, 그리스어 baínō "나는 간다", 아베스타어 ǰamaiti "그는 간다", 산스크리트어 gam- "가다")
- * PIE *gʷr̥h₂us "무거운" → *ɣʷraus → ''grāvis'' (비교: 그리스어 barús, 고트어 kaúrus, 산스크리트어 gurú-')
- * PIE *h₃engʷ- → *onɣʷ-en → ''unguen'' "연고"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imb "버터", 고지 독일어 ancho "버터", 산스크리트어 añjana- "도포, 연고")
- * PIE *n̥gʷén- "(부어오른) 림프선" → *enɣʷen → ''inguen'' "사타구니 부스럼; 사타구니" (비교: 그리스어 adḗn 속격 adénos "림프선", 고지 독일어 ankweiz "농포")
- '''*kʷ'''는 모음 앞에서는 qu로 유지되었으나, 자음 앞이나 u 옆에서는 c(/k/ 발음)로 축약되었다.[24]
- * PIE *kʷetwóres, 중성 *kʷetwṓr "넷" → ''quattuor''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cethair, 리투아니아어 keturì, 산스크리트어 catvā́r-')
- * PIE *leikʷ- (현재형 *li-né-kʷ-') "남겨두다" → *linkʷ-e/o- : *likʷ-ē- → ''linquō'' "남긴다" : ''liceō'' "허용된다; 판매용이다" (비교: 그리스어 leípō, limpánō, 산스크리트어 riṇákti, 고트어 leiƕan "빌려주다")
- * PIE *nokʷts "밤" → ''nox'', 속격 단수 ''noctis''
- * PIE *sekʷ- "따르다" → ''sequor''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sechem, 그리스어 hépomai, 산스크리트어 sácate)
- '''*p...kʷ''' 연속은 '''*kʷ...kʷ'''로 동화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켈트어와 공유하는 변화이다.
- * PIE *pekʷō "나는 요리한다" → *kʷekʷō → ''coquō'' (비교: ''coquīna'', ''cocīnā'' "주방" vs. ''popīna'' "선술집" < 오스칸어, 여기에서 *kʷ > p; 폴란드어 piekę "나는 굽는다", 산스크리트어 pacati "요리한다")
- * PIE *pénkʷe "다섯" → ''quīnque'' (비교: 고대 아일랜드어 cóic, 그리스어 pénte, 산스크리트어 páñca-')
- * PIE *pérkʷus "참나무" → ''quercus'' (비교: 트렌티노어 porca "전나무", 펀자브어 pargāī "호른참나무", 고트어 faírƕus "세계", faírgun- "산"[26])
- 구개음화된 연구개 순음 계열('''*ḱw, *ǵw, *ǵʰw''')은 일반 연구개 순음 계열('''*kʷ, *gʷ, *gʷʰ''')과 동일하게 발전했다.[24]
- * PIE *dn̥ǵʰwéh₂[27] "혀" → *dn̥ɣwā → *denɣʷā → 고대 라틴어 ''dingua'' → ''lingua''
- * PIE *éḱwos "말" → *ekʷos → 고대 라틴어 ''equos'' → ''ecus'' → ''equus''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속격 단수 ''equī''에서 동화됨; 비교: 산스크리트어 aśva-는 -kʷ-가 아닌 -ḱw-를 나타냄)
- * PIE *ǵʰweh₁ro- "야생 동물" → *χʷero- → ''ferus'' (비교: 그리스어 thḗr, 레스보스어 phḗr, 리투아니아어 žvėrìs)
- * PIE *mreǵʰus "짧은" → *mreɣu- → *mreɣʷi- (i-어간으로 재구성됨) → ''brevis'' (비교: 고대 영어 myrge "간략하게", 영어 merry, 그리스어 brakhús, 아베스타어 mǝrǝzu-', 산스크리트어 múhu "갑자기")
3. 2. 3. S-음화 현상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모음 사이에 위치한 ''s''는 원시 이탈리아어 후기에 [z]로 유성음화되었으며, 라틴어와 움브리아어에서는 이것이 다시 ''r''로 바뀌는 변화를 겪었다. 이를 R-음화(rhotacism)라고 부른다. 초기 고대 라틴어 문헌에는 여전히 모음 사이의 ''s'' [z]가 나타나기도 한다. 키케로는 파피리우스 크라수스라는 인물이 기원전 339년에 공식적으로 자신의 이름을 파피시우스(Papisius)에서 파피리우스(Papirius)로 바꾸었다고 언급했는데[28], 이는 R-음화가 대략 이 시기에 일어났음을 보여준다.이 변화로 인해 라틴어 단어의 형태가 바뀌는 과정(굴절)에서 ''s''와 ''r''이 번갈아 나타나는 교호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 ''est'' "그는 있다" → 미래형 ''erit'' "그는 있을 것이다"
- ''flōs'' "꽃" → 속격 ''flōris''
- ''mūs'' "쥐" → 복수 ''mūrēs''
다른 단어에서도 R-음화 현상을 찾아볼 수 있다.
- 원시 이탈리아어 ''*a(j)os'', ''a(j)esem'' > ''*aes'', ''aezem'' > ''aes'', ''aerem'' "청동". 하지만 형용사 형태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 ''*a(j)es-inos'' > ''*aeznos'' > ''aēnus'' "청동의"로 변화했다.
- 원시 이탈리아어 ''*ausōs'', ''ausōsem'' > ''*auzōs'', ''auzōzem'' > ''aurōra'' "새벽" (어미 변화가 있었으며, 영어 ''east'', 아이올리스 그리스어 ''aúōs'', 산스크리트어 ''uṣā́s''와 비교해볼 수 있다).
- 원시 이탈리아어 ''*swesōr'' > ''*swozōr'' > ''soror'' "자매" (고대 영어 ''sweostor'', 산스크리트어 ''svásar''와 비교해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r'' 소리 앞에서는 이화 작용(dissimilation)이 일어나, 모음 사이의 ''sr'' [zr]이 ''br''로 바뀌기도 했다. 이는 중간 단계로 ''*ðr''을 거쳤을 가능성이 있다.
- 원시 이탈리아어 ''*keras-rom'' > ''*kerazrom'' ~ ''*keraðrom'' > ''cerebrum'' "두개골, 뇌" (그리스어 ''kéras'' "뿔"과 비교).
- 원시 이탈리아어 ''*swesr-īnos'' > ''*swezrīnos'' ~ ''*sweðrīnos'' > ''sobrīnus'' "이모/고모 쪽의 사촌".
3. 2. 4. 탈락
무성 자음 앞에서 파열음 + /s/의 조합에서 파열음이 탈락했다.- 원시 이탈리아어 ''*subs-teneō'' > 라틴어 ''susteneō'' "떠받치다"
''dexter'' (<''*deksiteros'')와 같이 생략된 단어는 이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ex-''로 시작하는 단어나 ''ob-''과 같은 전치사는 종종 파열음을 복원했다.
유성 자음 앞에서 /s/가 탈락하며 보상적 장음화가 일어났다.
- 원시 이탈리아어 ''*is-dem'' > 라틴어 ''īdem'' "같은"
/s/를 포함하는 자음군은 또한 유성 자음 앞에서 탈락했으며, 역시 보상적 장음화가 일어났다.
- 원시 이탈리아어 ''*eks-dowkō'' > ''*es-dowkō'' > 라틴어 ''ēdūcō'' "끌어내다"
3. 2. 5. 동화
dl, ld, nl, ln, rl, ls'의 연속은 'll'이 되었다:- 원시 이탈리아어 '*sed-lā' > 라틴어 'sella' "좌석"
- 원시 이탈리아어 '*saldō' > 라틴어 'sallō' "소금"
- 원시 이탈리아어 '*korōnelā' > '*korōnlā' > 라틴어 'corōlla' "화환" ('corōnā' "왕관"의 축소형)
- 원시 이탈리아어 '*kolnis' > 라틴어 'collis' "언덕"
- 원시 이탈리아어 '*agrolos' > '*agrlos' > '*agerlos' > 라틴어 'agellus' "작은 밭" ('ager' "밭"의 축소형)
- 원시 이탈리아어 '*wel-esi' > '*welsi' > 라틴어 'velle' "원하다"
'agellus'에서 보듯이, 이 동화는 동음 탈락 후에 발생했다.
'rs'의 원래 시퀀스 (즉, 다른 출처나 동음 탈락에서 파생되지 않음)는 'rr'이 되었다:
- 원시 이탈리아어 '*feresi' > '*fersi' > 라틴어 'ferre' "운반하다"
'nr'의 시퀀스는 'rr'이 되었다:
- 원시 이탈리아어 'in-regō' > 라틴어 'irrigō' "어떤 장소로 물을 대다"
순음 파열음과 비음의 시퀀스는 각각 'mm'과 'mn'이 되었다:
- 원시 이탈리아어 '*supmos' > 라틴어 'summus' "최고, 꼭대기"
- 원시 이탈리아어 '*swepnos' > 라틴어 'somnus' "수면"
3. 2. 6. 기타
/k/는 /g/로 변했다가(/n/ 앞에서는 아마도 나중에 [ŋn]을 거쳐) /n/이 되었다. 단어 시작 부분의 /g/(그 기원이 무엇이든)는 나중에 종종 생략되기도 했다.- 인도유럽조어 ''*deḱnós'' > *''degnos'' > dignus|디그누스la "가치 있는"
- 초기 라틴어 gnōscō|그노스코la > nōscō|노스코la "이해하다"
기원전 3세기 후반에는 긴 모음 뒤에 오는 단어 끝의 /d/가 사라졌다.
초기 라틴어의 ''*dw-'' (고대 라틴어에서는 ''du-''로 나타남)는 ''b-''로 변했는데, 이는 인도유럽조어에 ''*b''로 시작하는 단어가 부족했던 것을 보완하는 역할을 했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서적
The Latin langu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87
[4]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s
Routledge
[5]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s
Routledge
[6]
웹사이트
http://www.ruf.rice.[...]
Rice University
[7]
서적
Vox Latin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What is Neo-Latin?
https://web.archive.[...]
2016-10-09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간행물
Reconstructing phonological change: duration and syllable structure in Latin vowel reduction
https://www.cambridg[...]
2012-12
[18]
문서
[19]
문서
[20]
서적
The Laws of Indo-European
https://archive.org/[...]
John Benjamins
[21]
간행물
Initial ''*mo-'' in Latin and Italic
[22]
문서
[23]
서적
Laws and Rules in Indo‐Europea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5-10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서적
[31]
문서
[32]
문서
[3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