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빗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끼는 중세 영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토끼목에 속하는 포유류를 통칭하는 말이다. 토끼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으로 분포하며, 굴을 파거나 은신처를 만들어 생활한다. 토끼는 초식 동물로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을 섭취하며, 번식력이 높다. 토끼는 인간에게 식량, 모피, 실험 동물, 애완동물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으며, 다산, 행운, 속도 등의 상징으로 문화, 설화, 민속 등에 등장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야생 토끼가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식동물 - 대왕판다
대왕판다는 곰과에 속하며, 검은색과 흰색 털을 가진 포유류로, 대나무를 주식으로 하며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보호 노력을 통해 개체 수가 증가하여 멸종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초식동물 - 초식 동물
초식 동물은 식물, 조류, 광합성 세균과 같은 자가영양생물을 주로 섭취하는 동물로, 곤충의 초식은 식물에 변화를 일으키며, 초식의 진화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고, 식물과의 상호 작용은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토끼과 - 아마미검은토끼
아마미검은토끼는 일본 아마미 군도의 아마미오섬과 도쿠노시마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토끼로, 짧은 귀와 뒷다리, 굵은 체형을 가지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일본 정부에서 보호하고 있다. - 토끼과 - 안남줄무늬토끼
- 동물 향명 - 맹금류
맹금류는 날카로운 발톱과 부리를 가진 사나운 새를 통칭하며,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서 뛰어난 시력과 비행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수리, 매, 독수리, 올빼미 등이 대표적이고,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동물 향명 - 돌고래
돌고래는 이빨고래류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의 총칭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높은 지능과 사회성을 가지지만,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래빗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Leporinae Trouessart, 1880 |
과 | 토끼과 |
아과 | 우사기아과 (Leporinae) |
화석 범위 | 에오세 후기 – 홀로세 (5500만년 전 – 현재) |
속 | 아마미검은멧토끼속 (Pentalagus) 강토끼속 (Bunolagus) 줄무늬토끼속 (Nesolagus) 멕시코토끼속 (Romerolagus) 피그미토끼속 (Brachylagus) 솜꼬리토끼속 (Sylvilagus) 굴토끼속 (Oryctolagus) 분뇨로토끼속 (Poelagus) |
제외 | 산토끼속 (Lepus)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류강 |
목 | 토끼목 |
특징 | |
몸 크기 | 다양함 |
분포 지역 | 전 세계 (일부 섬 및 남극 대륙 제외) |
먹이 | 초식 |
기타 | |
참고 | 우사기 노우사기 |
2. 용어 및 어원
"토끼"라는 단어는 중세 영어 라벳/rabetenm ("토끼의 새끼")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왈론어 로베트/robètewa에서 차용된 것이다. 이 단어는 다시 프랑스어나 중세 네덜란드어 로버/robbedum ("토끼")의 지소사이며, 그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138] 18세기까지 사용된 어른 토끼를 지칭하는 용어는 "코니"였으며, "토끼"는 한때 어린 동물을 가리키는 용어였다.[1] "키트" 또는 "새끼"라는 용어가 어린 토끼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2][3] "버니"는 1680년대에 스코틀랜드에서 토끼와 다람쥐를 지칭하는 용어인 "번"의 지소사로 사용되었다.[4]
"코니"는 라틴어 용어인 ''cuniculus''에서 파생되었으며,[1] 토끼를 지칭하며, 히스파니아에서 기원전 1세기부터 사용되었다. "cuniculus"라는 단어는 켈트어족에서 "개"를 의미하는 단어의 지소사 형태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5]
토끼 무리는 "콜로니"[6], "둥지" 또는 "워렌"[9]으로 알려져 있지만, "워렌"은 토끼가 사는 곳을 더 일반적으로 지칭한다.[7] 한 번의 교미로 태어난 아기 토끼 무리는 "리터"[8]라고 하며, 함께 사는 애완 토끼 무리는 때때로 " herd(무리)"라고 불린다.[9]
수컷 토끼는 "벅"이라고 불리며, 이는 "수염소" 또는 "수컷 사슴"을 의미하는 고대 영어 또는 ''''에서 파생되었다.[10] 암컷은 고대 영어 에서 파생된 "도"라고 불리며, ("젖을 빨다")과 관련이 있다.[11]
3. 분류 및 진화
토끼와 산토끼는 1912년까지 설치류목(설치류)으로 분류되었지만, 그 후 토끼목(여기에는 피카도 포함)으로 이동했다.[12] 1945년 이후, 설치류와 토끼류를 모두 포함하는 글리레스 분지군에 대한 지지가 있었지만,[12] 두 그룹은 분류학에서 항상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2000년대의 화석,[13] DNA,[14] 및 레트로트랜스포존[40] 연구는 이 분지군에 대한 지지를 굳건히 했다. 고생물학 및 분자 생물학 연구에 따르면 설치류와 토끼류는 분기 진화를 통해 제3기 초기에 갈라졌다.[15]
토끼는 토끼목으로, 앞니가 두 쌍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이는 앞니가 한 쌍만 있는 설치류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또 다른 차이점은 토끼의 경우 모든 이빨이 계속 자라는 반면, 대부분의 설치류는 앞니만 계속 자란다는 것이다. 칼 폰 린네는 원래 토끼와 설치류를 Glires라는 한 과로 묶었지만, 이후 많은 유사성이 수렴 진화의 결과라는 과학적 합의에 따라 분리되었다. DNA 분석과 공통 조상의 발견은 이들이 공통 계통을 공유한다는 견해를 뒷받침했으며, 따라서 토끼와 설치류는 현재 종종 Glires라는 클레이드 또는 상위목으로 함께 묶인다.[39][40]
토끼의 후두개는 삼킬 때를 제외하고는 연구개 위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토끼는 강제적 비호흡을 한다.[38]
토끼와 산토끼의 가장 오래된 조상은 현재의 몽골 지역에서 5천 5백만 년 전에 살았다.[37]
현재 생존하는 70종 이상의 토끼과(Leporidae) 종은 11개의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산토끼인 ''레푸스''이다. ''레푸스''에는 32종의 현존하는 종이 있다. 이 분기도는 핵 및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분석을 기반으로 한 Matthee et al., 2004에서 가져온 것이다.[16]
3. 1. 토끼과 (Leporidae)
토끼목 '''토끼과'''는 다음과 같은 속으로 분류된다.[17]
굴토끼를 가축화한 애완 토끼는 모피용, 육용, 애완용 등 다양하게 이용된다. 애완용으로 품종 개량된 것은 집토끼라고 불리며, 네덜란드 드워프나 롭 이어, 렉스, 재패니즈 화이트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17] 실험 동물로도 사용되지만, 동물 실험의 윤리적 문제와 결과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동물 실험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216]
일본의 오쿠노시마, 마에지마, 뉴질랜드, 호주에서는 야생으로 풀려난 애완 토끼가 야생화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호주에서는 야생화된 토끼가 생태계와 농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메이지 시대에는 토끼 사육이 유행하여 가격이 폭등하고 암거래가 성행하여 정부가 단속하기도 했다.
미국 토끼 사육자 협회(ARBA)는 세계 최대 규모의 토끼 협회로, 순혈종 보호를 위해 품종별 기준을 정하고 품평회를 개최한다.
3. 2. 산토끼와의 차이점
"토끼"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Lepus'' 속을 제외한 모든 토끼과 종에 사용되며, 해당 속의 구성원은 산토끼 또는 잭토끼로 알려져 있다. ''Lepus'' 종은 조숙성으로, 털이 있고 시야가 좋은 상태로 비교적 성숙하게 태어나 야외에서 활동하는 반면, 토끼 종은 미성숙성으로, 굴과 덮인 둥지에서 털 없이 눈이 먼 상태로 태어난다. 산토끼는 일반적으로 토끼보다 크고 임신 기간이 더 길다.
산토끼와 일부 토끼는 주로 번식기에 상호 작용하면서, 개방된 초원 지역에서 비교적 단독 생활을 한다.[18] 일부 토끼 종은 포식당할 기회를 줄이기 위해 함께 무리를 이루고,[19] 유럽토끼는 굴에서 큰 사회 집단을 형성하며,[20] 이 굴들은 함께 묶여서 굴 군집을 형성한다. 산토끼의 굴 파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해당 속의 어린 구성원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8] 자신의 굴을 파지 않는 많은 토끼 종은 다른 동물의 굴을 사용한다.[21][22]
토끼와 산토끼는 역사적으로 같은 장소를 차지하지 않았으며, 비교적 최근에 동소성이 되었다. 역사적 기록은 토끼와 산토끼, 특히 유럽산토끼와 유럽토끼 또는 목화꼬리토끼 사이의 적대적 관계를 묘사하지만, 1956년 이후의 과학 문헌에서는 토끼와 산토끼 사이의 공격성이나 부당한 경쟁에 대한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동일한 서식지에 나타날 때 토끼와 산토끼는 유사한 식단으로 공존할 수 있다. 산토끼는 자원을 통제하기 위해 다른 산토끼 종을 해당 지역에서 몰아내지만, 영토는 소유하지 않는다.[18] 포식자를 만났을 때, 산토끼는 그들을 앞질러 도망치는 반면, 더 작고 다리가 긴 산토끼의 빠른 속도에 도달할 수 없는 토끼는 은신처를 찾으려고 한다.[19]
유럽토끼의 후손은 일반적으로 가축으로 사육되고 애완동물로 길러지는 반면, 산토끼는 가축화된 적이 없다. 벨기에 산토끼로 알려진 품종은 실제로 산토끼를 닮도록 선택적으로 사육된 애완 토끼이며,[23] 원래 플레미쉬 자이언트 토끼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24] 산토끼와 토끼 종의 일반적인 이름도 혼동될 수 있다. "잭토끼"는 산토끼를 지칭하고, 수염산토끼는 토끼이다.[25]
4. 생물학
==== 형태 ====
토끼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속도와 민첩성을 사용하므로, 뒷다리 뼈가 크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휴식 시에는 척행을 하지만, 달릴 때는 발가락으로 서서 지행 자세를 취한다.[41] 토끼는 강한 발톱을 사용하여 굴을 파고 (이빨과 함께) 방어한다.[42] 앞발은 각각 네 개의 발가락과 발톱을 가지고 있다. 뒷발은 각각 네 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다 (발톱은 없다).[43]
오뤽톨라구스 쿠니쿨루스/Oryctologus cuniculusla
대부분의 야생 토끼는 (특히 산토끼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둥글고 알 모양의 몸을 가지고 있다. 야생 토끼의 부드러운 털은 애구티 색상(또는 드물게 흑색을 띰)으로, 위장에 도움이 된다. 꼬리토끼 종을 제외한 토끼의 꼬리는 위쪽은 어둡고 아래쪽은 흰색이다. 꼬리토끼는 꼬리 윗부분이 흰색이다.[44]
토끼는 두개골 내 눈의 위치와 각막의 크기 때문에 거의 360도를 포괄하는 파노라마 시야를 가지고 있다.[45] 그러나 코의 윗부분에 사각지대가 있으며, 이 때문에 토끼는 입 아래를 볼 수 없어 먹이를 파악하기 위해 입술과 수염에 의존한다. 눈을 깜빡이는 횟수는 시간당 2~4회이다.[39]
==== 귀 ====
토끼목 내에서 귀는 포식자를 감지하고 피하는 데 사용된다. 토끼과에서 귀는 일반적으로 너비보다 길고, 다른 포유류에 비해 비교적 길다.
앨런의 규칙에 따르면, 추운 기후에 적응한 온혈 동물은 따뜻한 기후에 적응한 유사한 동물보다 사지와 부속지가 짧고 두껍다. 이 규칙은 원래 북미의 다양한 기후에서 ''토끼'' 종의 귀 길이를 비교하여 도출되었다. 이후 연구에 따르면 이 규칙은 특히 귀에 대해 토끼과에서 여전히 유효하며, 토끼와 산토끼의 귀 표면적은 따뜻한 기후에서 확대된다. 귀는 체온 조절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외이, 중이, 내이 근육이 서로 협응하는 방식 때문에 포식자를 감지하는 데 중요한 구조이다. 귀 근육은 또한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균형과 움직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개는 토끼의 바깥 귀로 알려져 있다. 토끼의 핀나는 신체 표면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귀가 30°C 이상의 온도에서 열 분산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이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따뜻한 기후의 토끼가 더 긴 핀나를 갖게 된다. 또 다른 이론은 귀가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토끼의 시력을 돕고 안정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 장치 역할을 한다는 것이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산토끼에서만 관찰되었다. 바깥 귀의 나머지 부분은 고막 또는 고막으로 이어지는 구부러진 관으로 되어 있다.
토끼 두개골 뒤의 바깥쪽 고막에 의해 분리된 중이에는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의 세 개의 뼈가 있으며, 이들을 통틀어 이소골이라고 하며, 내이에 도달하기 전에 소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이소골은 소리 에너지를 위한 내이에 대한 장벽 역할을 한다.
내림프액이라고 하는 내이 액체는 소리 에너지를 받는다. 에너지를 받은 후. 내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이소골에서 나오는 음파를 사용하는 달팽이관과 움직임에 대한 토끼의 위치를 관리하는 전정 기관. 달팽이관 내의 기저막에는 뇌로 신경 신호를 보내 다양한 음파 주파수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감각 털 구조가 있습니다. 전정 기관 내의 세 개의 반고리관은 각운동 감지를 돕는다.
혈관 네트워크와 동정맥 단락을 포함하는 핀나는 체온 조절을 돕는다. 토끼의 최적 체온은 38.5-40.0°C 정도이다. 만약 체온이 이 최적 온도를 초과하거나 미치지 못하면, 토끼는 항상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토끼는 땀샘이 거의 없거나 없기 때문에, 혈관이 풍부한 귀를 통과하는 혈류량을 변화시켜 체온 항상성을 유지한다. 토끼는 또한 forms라고 알려진 땅의 움푹 파인 곳에서 휴식을 취하여 체온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짐승과 비교하여 특징으로는 귓바퀴가 큰 것을 들 수 있다. 토끼목 내에서는 귓바퀴가 그다지 발달하지 않은 종도 다른 포유강의 분류군과 비교하면 귓바퀴 비율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소리나 바람 쪽으로 귀의 정면이 향하도록 귓바퀴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모세 혈관이 비쳐 보이는 이 큰 귓바퀴를 바람에 쐬어 체온 조절에 활용한다고도 한다.
==== 눈 ====
눈은 머리 윗부분 측면에 있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야간이나 박명 박모시의 활동에 적합하다. 코에는 세로로 갈라진 틈이 있으며, 윗부분의 피부를 움직여 콧구멍을 열고 닫을 수 있다.
==== 이빨 ====
앞니는 발달하여 평생 자란다. 예전에는 이 앞니의 특징으로 쥐와 같은 설치류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 위턱 앞니의 뒷면에 쐐기 모양의 앞니가 있는 것을 토끼목으로 독립된 목 분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설치류와 근연의 종이다). 치열은 (순서대로 앞니·송곳니·작은 어금니·큰 어금니, 상하는 상악과 하악)로, 총 28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
==== 다리 ====
토끼 뒷다리의 해부학은 다른 육상 포유류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토끼의 특수한 형태의 이동에 기여한다. 뒷다리 뼈는 긴 뼈( 넙다리뼈, 정강뼈, 종아리뼈, 발가락뼈)와 짧은 뼈(발목뼈)로 구성된다. 이 뼈들은 태아 발달 중 연골내 골화를 통해 생성된다.[46] 대부분의 육상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넙다리뼈의 둥근 머리는 엉덩이뼈인 비구와 관절을 이룬다. 넙다리뼈는 정강뼈와 관절을 이루지만, 정강뼈에 유착된 종아리뼈와는 관절을 이루지 않는다. 정강뼈와 종아리뼈는 흔히 발이라고 불리는 발의 발목뼈와 관절을 이룬다.[46] 토끼의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길다. 이것은 토끼가 뛰어다니는 형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뒷다리가 길수록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목화 꼬리 토끼보다 다리가 더 긴 산토끼는 훨씬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46] 뒷발에는 네 개의 긴 발가락이 있어 지상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뛰어다닐 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갈퀴가 있다.[47] 토끼는 지상보행을 하는 대부분의 다른 동물과 달리 발에 발바닥 패드가 없다. 대신 거친 압축 털이 보호 역할을 한다.[48]
토끼는 최대의 힘, 기동성, 가속력을 낼 수 있도록 근육질의 뒷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뒷다리는 발, 허벅지, 다리,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토끼의 뒷다리는 과장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훨씬 길고 더 많은 힘을 낼 수 있으며,[50] 앞다리는 도약 후 착지의 충격을 흡수하는 브레이크와 같은 역할을 한다.[49] 뒷다리에서 발생하는 힘은 경골과 비골의 융합이라는 구조적 해부학과 근육적 특징에 의해 발생한다.[50]
세포 수준에서 뼈의 생성과 제거는 뒷다리 근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근육의 작용 압력은 힘을 생성하고, 이 힘은 골격 구조를 통해 분산된다. 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적어 힘을 덜 내는 토끼는 뼈 희소화로 인해 골다공증에 더 취약하다.[51] 토끼의 경우 근육 섬유가 많을수록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커진다. 예를 들어, 산토끼는 면화꼬리토끼보다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더 크다. 토끼 뒷다리의 근육은 햄스트링, 대퇴사두근, 배굴근, 또는 저굴근의 네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대퇴사두근은 점프 시 힘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육을 보완하는 햄스트링은 짧은 시간 동안의 동작을 돕는다. 이 근육들은 저굴근과 배굴근과 마찬가지로 서로 작용하여 힘과 관련된 동작을 생성하는 데 기여한다.[52]
다른 짐승과 비교하여, 많은 종의 토끼 발바닥에는 족구(肉球)가 없고, 두껍고 부드러운 체모가 자라 있다. 앞다리보다 뒷다리가 길어 도약 주행에 적합하다. 앞다리의 손가락은 5개, 뒷다리의 발가락은 4개이며, 손가락과 발가락에는 발톱이 발달한다.
==== 생태 ====
토끼는 포식자의 먹이 동물이다. 예를 들어 지중해 유럽에서 토끼는 붉은여우, 오소리, 이베리아스라소니의 주요 먹이다.[98] 포식 위험을 피하고 지하에서 이동하기 위해 토끼는 인간에 비해 감각이 뛰어나며 주변 환경을 끊임없이 인식한다. 잠재적인 위협에 직면하면 토끼는 얼어붙어 관찰한 다음 뒷발로 땅을 쿵쿵 울려 굴에 있는 다른 토끼에게 경고할 수 있다. 토끼는 시야가 매우 넓으며, 그중 상당 부분이 머리 위를 스캔하는 데 할애된다.[99] 토끼의 눈에는 중심와가 없지만, 망막 중앙에 막대 세포와 원뿔 세포의 밀도가 가장 높은 수평선인 "시각선"이 있다. 이를 통해 머리를 거의 돌리지 않고 수평선을 스캔할 수 있다.[100][101]
토끼는 일부 종에서는 굴을 파고 빽빽한 은신처로 도약하여 포식으로부터 살아남는다.[49][19] 토끼의 강한 이빨은 싸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물 수 있게 해준다.[102]
스트레스에 매우 약하며, 끊임없이 주변을 경계한다. 뼈가 부서지기 쉽고 약하다는 약점도 있다.
천적은 뱀, 여우, 족제비를 비롯한 소~중형 육식수, 맹금류, 사람, 까마귀이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시속 60~80km로 달릴 수 있으며, 움직임이 빠르다.
성대를 가지고 있지 않아 좀처럼 울지 않지만, 대신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것은 발달한 뒷다리를 땅에 강하게 내리치는 스탬핑으로, 그 주된 동기는 천적이 접근했을 때 동료에게 경계를 촉구하기 위함이지만, 불쾌한 감정을 표현할 때도 이 행동을 한다.
기록상 가장 오래 산 토끼는 태즈메이니아에 사는 사육된 유럽 토끼로 18세에 사망했다.[103] 야생 토끼의 수명은 훨씬 짧다. 예를 들어 동부 면꼬리토끼의 평균 수명은 약 1년에서 5년이다.[104][105] 다양한 토끼 종은 사육 상태에서 4년에서 13년까지 산 것으로 기록되었다.[106][107][108][109]
초원, 반사막 지대, 설원, 숲, 습지 등에 서식한다. 굴토끼는 땅속에 복잡한 굴을 파서 집단으로 생활한다. 영역 의식은 비교적 강하며, 턱 아래의 냄새샘을 비벼 냄새를 묻혀 영역을 주장한다. 산토끼는 굴에서 생활하지 않는다.
토끼의 침에는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얼굴을 앞발로 덮는 듯이 쓰다듬거나 귀를 쓰다듬는 행동을 볼 수 있는데, 앞발에 미리 묻혀둔 자신의 침을 해당 부위에 전체적으로 묻혀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특징적인 긴 귀로 대표되는 것처럼 뛰어난 청력을 가진 반면, 시력은 떨어지며, 음식을 먹을 때 안전성을 확인할 경우, 시각보다 후각을 활용한다.
==== 식성 ====
토끼는 엄격한 초식 동물이며,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 주로 셀룰로스 형태에 적합하다.[19][25] 토끼는 일반적으로 잠에서 깨어나 굴에서 나오면 풀을 뜯어 먹고, 깨어있는 시간 동안 채소와 기타 식물을 섭취한다. 토끼는 나무 잎과 과일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자연 식물이 부족한 애완 토끼의 경우 과일과 섬유질이 적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화하기 쉬운 음식은 위장관에서 처리되어 일반적인 배설물로 배출된다. 소화하기 어려운 섬유질에서 영양분을 얻기 위해 토끼는 맹장(위장관의 일부)에서 섬유질을 발효시킨 다음 내용물을 맹장 영양분으로 배출하며, 이를 재섭취한다(맹장 영양 섭취). 맹장 영양분은 소장에서 흡수되어 영양분을 사용한다.[68] 부드러운 맹장 영양분은 보통 지하 굴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섭취된다.
토끼는 구토를 할 수 없으며,[69] 따라서 장내에 축적물이 발생하면(종종 섬유질이 부족한 식단으로 인해),[70] 장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71]
당근과 같은 뿌리채소를 먹는다는 이미지가 있지만, 당분 함량이 높아 자연 상태에서는 먹지 않는다. 사육 환경에서는 소량만 제공된다[201]。 주로 먹는 것은 티모시, 알팔파 등의 건초인데, 티모시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사람이 있어, 때때로 사육 시 문제가 된다.
가끔 등을 둥글게 말아 항문에 직접 입을 대고 오물거리는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식분 행동」이라고 하며, 소화되지 않은 식물 섬유 등을 포함한 변을 다시 먹어 소화와 영양 재흡수를 촉진하는 행위이므로 이상 행동이 아니다.
==== 번식 ====
성체 수컷 생식계는 대부분의 포유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세르톨리 세포가 포함된 세정관 구획과 라이디히 세포가 포함된 부강 구획이 있다.[72] 라이디히 세포는 테스토스테론을 생성하여 성욕[72]을 유지하고 생식 결절 및 음경과 같은 이차 성징을 만든다. 세르톨리 세포는 뮐러관을 흡수하는 항뮐러관 호르몬의 생성을 유발한다. 성체 수컷 토끼에서 음경의 포피는 원통형이며 생후 2개월부터 배출될 수 있다.[73] 음낭은 음경의 측면에 위치하며 고환을 보호하는 부고환 지방 패드를 포함한다. 10주에서 14주 사이에 고환이 내려오고 골반강으로 들어가서 체온을 조절할 수 있다.[73] 또한 고환과 같은 이차 성징은 복잡하며 많은 화합물을 분비한다. 이 화합물에는 과당, 구연산, 미네랄 및 독특하게 많은 양의 카탈라아제가 포함되며,[72] 이 모든 것이 토끼 정액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구연산은 응집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74] 다량의 카탈라아제는 조기 정자 활성화를 방지한다.[75]
성체 암컷 생식기는 이분되어 배아가 자궁 사이에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한다.[76] 암컷의 요도와 질은 단일 요생식기 구멍이 있는 요생식기동으로 열린다.[77] 두 개의 자궁 경관은 두 개의 자궁 경관과 통신하여 하나의 질관을 형성한다. 이분된 것 외에도 암컷 토끼는 발정 주기를 거치지 않으므로 교미가 유도 배란을 유발한다.[73]
암컷 토끼는 평균적으로 생후 3~8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평생 언제든지 임신할 수 있다. 난자와 정자 생산은 3년 후에 감소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72] ''Oryctolagus''속과 같은 일부 종은 6세에 생식을 완전히 중단한다. 교미하는 동안 수컷 토끼는 뒤에서 암컷의 음경을 삽입하고 사정할 때까지 빠르게 골반을 밀어 넣은 다음 암컷에서 뒤로 떨어진다. 교미는 20~40초만 지속된다.[78]
토끼의 임신 기간은 짧으며 27~30일이다.[19] 임신 기간이 길어지면 일반적으로 새끼가 적게 태어나고, 임신 기간이 짧아지면 새끼가 많이 태어난다. 한 번에 태어나는 새끼의 수는 종에 따라 1~12마리이다. 출생 후 수컷의 유일한 역할은 다른 토끼로부터 새끼를 보호하는 것이고, 어미는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새끼를 둥지에 남겨두고 24시간마다 돌아와서 젖을 먹인다.[19] 암컷은 다음 날 일찍 다시 임신할 수 있다.[73]
교미 후 암컷은 출산 전에 굴을 파거나 둥지를 준비하기 시작한다. 출산 3일에서 몇 시간 전에 일련의 호르몬 변화가 둥지 구조를 준비하게 한다. 암컷은 먼저 구조를 위해 풀을 모으고, 출산 직전에 프로락틴이 증가하면 털갈이를 유발하여 둥지를 줄 지어 신생아 새끼에게 단열을 제공한다.[79]
토끼의 배아 사망률은 높으며 감염, 외상, 영양 불량 및 환경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은 출생률이 필요하다.[73] 토끼 임신의 절반 이상이 유산되어 배아가 어미의 몸에 흡수되며, 비타민 결핍은 집토끼의 유산의 주요 원인이다.
일부 야생종은 곤충 등도 먹는다고 한다. 애완 토끼의 경우, 야외의 개미 등도 핥아 먹는다.
태생. 고양이 등과 마찬가지로, 교미에 의해 배란이 유발되는 교미 배란 동물이다. 임신 기간은 최장이 눈토끼의 약 50일이며, 많은 종은 30~40일이다. 한 번의 출산에 1~6마리(혹은 그 이상)를 출산한다.
굴토끼는 연중 번식 동물(번식기를 갖지 않는 동물)로 분류되어, 연중 번식이 가능하며[199][200], 다산으로 번식력이 높은 동물이다. 산토끼는 봄부터 가을까지, 장기적인 완만한 번식기를 가지고 있다.
==== 천적 및 생존 전략 ====
토끼는 포식자의 먹이 동물이다. 예를 들어 지중해 유럽에서 토끼는 붉은 여우, 오소리, 이베리아스라소니의 주요 먹이다.[98] 포식 위험을 피하고 지하에서 이동하기 위해 토끼는 인간에 비해 감각이 뛰어나며 주변 환경을 끊임없이 인식한다. 잠재적인 위협에 직면하면 토끼는 얼어붙어 관찰한 다음 뒷발로 땅을 쿵쿵 울려 굴에 있는 다른 토끼에게 경고할 수 있다. 토끼는 시야가 매우 넓으며, 그중 상당 부분이 머리 위를 스캔하는 데 할애된다.[99] 토끼의 눈에는 중심와가 없지만, 망막 중앙에 막대 세포와 원뿔 세포의 밀도가 가장 높은 수평선인 "시각선"이 있다. 이를 통해 머리를 거의 돌리지 않고 수평선을 스캔할 수 있다.[100][101]
토끼는 일부 종에서는 굴을 파고 빽빽한 은신처로 도약하여 포식으로부터 살아남는다.[49][19] 토끼의 강한 이빨은 싸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물 수 있게 해준다.[102]
스트레스에 매우 약하며, 끊임없이 주변을 경계한다. 뼈가 부서지기 쉽고 약하다는 약점도 있다.
천적은 뱀, 여우, 족제비를 비롯한 소~중형 육식수, 맹금류, 사람, 까마귀이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시속 60~80km로 달릴 수 있으며, 움직임이 빠르다.
성대를 가지고 있지 않아 좀처럼 울지 않지만, 대신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것은 발달한 뒷다리를 땅에 강하게 내리치는 스탬핑으로, 그 주된 동기는 천적이 접근했을 때 동료에게 경계를 촉구하기 위함이지만, 불쾌한 감정을 표현할 때도 이 행동을 한다.
==== 질병 ====
토끼는 ''보르데텔라 브론키세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와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같은 흔한 병원균에 의한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142][85] 또한, 믹소마증과 토끼 출혈열을 유발하는 칼리시바이러스도 주의해야 한다. 믹소마증은 야생 토끼보다 애완 토끼에게 더 위험하다.[86] 촌충(예: ''테니아 시리알리스''(Taenia serialis)), 벼룩, 진드기, 콕시디아 종, ''엔세팔리토준 쿠니쿨리''(Encephalitozoon cuniculi),[87] ''톡소플라스마 곤디''(Toxoplasma gondii)와 같은 기생충에도 감염될 수 있다.[88][89] 건초, 풀과 같은 고섬유질 공급원이 부족하면 위장 정체가 발생할 수 있다.[90] 토끼와 산토끼는 광견병에 거의 감염되지 않으며, 사람에게 광견병을 전파하지 않는다.[91]
토끼 출혈열 (RHD)은 토끼 출혈열 바이러스(RHDV)에 의해 발생하며, 특히 2형(RHDV2)이 전염성이 강하다.[92] 1984년 독일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으로 수입된 앙고라 토끼에서 처음 발견되어 한국, 이탈리아, 유럽 등으로 확산되었다. 1988년부터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으나, RHDV는 유럽 토끼 종에만 영향을 미쳐 발병은 드물었다.[93] RHDV2는 2010년 프랑스에서 처음 발견된 후[94] 유럽, 캐나다,[95] 호주,[96] 미국으로 확산되었다.[97][92]
4. 1. 형태
토끼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속도와 민첩성을 사용하므로, 뒷다리 뼈가 크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휴식 시에는 척행을 하지만, 달릴 때는 발가락으로 서서 지행 자세를 취한다.[41] 토끼는 강한 발톱을 사용하여 굴을 파고 (이빨과 함께) 방어한다.[42] 앞발은 각각 네 개의 발가락과 발톱을 가지고 있다. 뒷발은 각각 네 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다 (발톱은 없다).[43]대부분의 야생 토끼는 (특히 산토끼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둥글고 알 모양의 몸을 가지고 있다. 야생 토끼의 부드러운 털은 애구티 색상(또는 드물게 흑색을 띰)으로, 위장에 도움이 된다. 꼬리토끼 종을 제외한 토끼의 꼬리는 위쪽은 어둡고 아래쪽은 흰색이다. 꼬리토끼는 꼬리 윗부분이 흰색이다.[44]
토끼는 두개골 내 눈의 위치와 각막의 크기 때문에 거의 360도를 포괄하는 파노라마 시야를 가지고 있다.[45] 그러나 코의 윗부분에 사각지대가 있으며, 이 때문에 토끼는 입 아래를 볼 수 없어 먹이를 파악하기 위해 입술과 수염에 의존한다. 눈을 깜빡이는 횟수는 시간당 2~4회이다.[39]
=== 귀 ===
토끼목 내에서 귀는 포식자를 감지하고 피하는 데 사용된다. 토끼과에서 귀는 일반적으로 너비보다 길고, 다른 포유류에 비해 비교적 길다.
앨런의 규칙에 따르면, 추운 기후에 적응한 온혈 동물은 따뜻한 기후에 적응한 유사한 동물보다 사지와 부속지가 짧고 두껍다. 이 규칙은 원래 북미의 다양한 기후에서 ''토끼'' 종의 귀 길이를 비교하여 도출되었다. 이후 연구에 따르면 이 규칙은 특히 귀에 대해 토끼과에서 여전히 유효하며, 토끼와 산토끼의 귀 표면적은 따뜻한 기후에서 확대된다. 귀는 체온 조절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외이, 중이, 내이 근육이 서로 협응하는 방식 때문에 포식자를 감지하는 데 중요한 구조이다. 귀 근육은 또한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균형과 움직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개는 토끼의 바깥 귀로 알려져 있다. 토끼의 핀나는 신체 표면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귀가 30°C 이상의 온도에서 열 분산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이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따뜻한 기후의 토끼가 더 긴 핀나를 갖게 된다. 또 다른 이론은 귀가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토끼의 시력을 돕고 안정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 장치 역할을 한다는 것이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산토끼에서만 관찰되었다. 바깥 귀의 나머지 부분은 고막 또는 고막으로 이어지는 구부러진 관으로 되어 있다.
토끼 두개골 뒤의 바깥쪽 고막에 의해 분리된 중이에는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의 세 개의 뼈가 있으며, 이들을 통틀어 이소골이라고 하며, 내이에 도달하기 전에 소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이소골은 소리 에너지를 위한 내이에 대한 장벽 역할을 한다.
내림프액이라고 하는 내이 액체는 소리 에너지를 받는다. 에너지를 받은 후. 내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이소골에서 나오는 음파를 사용하는 달팽이관과 움직임에 대한 토끼의 위치를 관리하는 전정 기관. 달팽이관 내의 기저막에는 뇌로 신경 신호를 보내 다양한 음파 주파수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감각 털 구조가 있습니다. 전정 기관 내의 세 개의 반고리관은 각운동 감지를 돕는다.
혈관 네트워크와 동정맥 단락을 포함하는 핀나는 체온 조절을 돕는다. 토끼의 최적 체온은 38.5-40.0°C 정도이다. 만약 체온이 이 최적 온도를 초과하거나 미치지 못하면, 토끼는 항상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토끼는 땀샘이 거의 없거나 없기 때문에, 혈관이 풍부한 귀를 통과하는 혈류량을 변화시켜 체온 항상성을 유지한다. 토끼는 또한 forms라고 알려진 땅의 움푹 파인 곳에서 휴식을 취하여 체온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짐승과 비교하여 특징으로는 귓바퀴가 큰 것을 들 수 있다. 토끼목 내에서는 귓바퀴가 그다지 발달하지 않은 종도 다른 포유강의 분류군과 비교하면 귓바퀴 비율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소리나 바람 쪽으로 귀의 정면이 향하도록 귓바퀴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모세 혈관이 비쳐 보이는 이 큰 귓바퀴를 바람에 쐬어 체온 조절에 활용한다고도 한다.
=== 눈 ===
눈은 머리 윗부분 측면에 있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야간이나 박명 박모시의 활동에 적합하다. 코에는 세로로 갈라진 틈이 있으며, 윗부분의 피부를 움직여 콧구멍을 열고 닫을 수 있다.
=== 이빨 ===
앞니는 발달하여 평생 자란다. 예전에는 이 앞니의 특징으로 쥐와 같은 설치류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 위턱 앞니의 뒷면에 쐐기 모양의 앞니가 있는 것을 토끼목으로 독립된 목 분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설치류와 근연의 종이다). 치열은 (순서대로 앞니·송곳니·작은 어금니·큰 어금니, 상하는 상악과 하악)로, 총 28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
=== 다리 ===
토끼 뒷다리의 해부학은 다른 육상 포유류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토끼의 특수한 형태의 이동에 기여한다. 뒷다리 뼈는 긴 뼈( 넙다리뼈, 정강뼈, 종아리뼈, 발가락뼈)와 짧은 뼈(발목뼈)로 구성된다. 이 뼈들은 태아 발달 중 연골내 골화를 통해 생성된다.[46] 대부분의 육상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넙다리뼈의 둥근 머리는 엉덩이뼈인 비구와 관절을 이룬다. 넙다리뼈는 정강뼈와 관절을 이루지만, 정강뼈에 유착된 종아리뼈와는 관절을 이루지 않는다. 정강뼈와 종아리뼈는 흔히 발이라고 불리는 발의 발목뼈와 관절을 이룬다.[46] 토끼의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길다. 이것은 토끼가 뛰어다니는 형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뒷다리가 길수록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목화 꼬리 토끼보다 다리가 더 긴 산토끼는 훨씬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46] 뒷발에는 네 개의 긴 발가락이 있어 지상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뛰어다닐 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갈퀴가 있다.[47] 토끼는 지상보행을 하는 대부분의 다른 동물과 달리 발에 발바닥 패드가 없다. 대신 거친 압축 털이 보호 역할을 한다.[48]
토끼는 최대의 힘, 기동성, 가속력을 낼 수 있도록 근육질의 뒷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뒷다리는 발, 허벅지, 다리,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토끼의 뒷다리는 과장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훨씬 길고 더 많은 힘을 낼 수 있으며,[50] 앞다리는 도약 후 착지의 충격을 흡수하는 브레이크와 같은 역할을 한다.[49] 뒷다리에서 발생하는 힘은 경골과 비골의 융합이라는 구조적 해부학과 근육적 특징에 의해 발생한다.[50]
세포 수준에서 뼈의 생성과 제거는 뒷다리 근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근육의 작용 압력은 힘을 생성하고, 이 힘은 골격 구조를 통해 분산된다. 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적어 힘을 덜 내는 토끼는 뼈 희소화로 인해 골다공증에 더 취약하다.[51] 토끼의 경우 근육 섬유가 많을수록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커진다. 예를 들어, 산토끼는 면화꼬리토끼보다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더 크다. 토끼 뒷다리의 근육은 햄스트링, 대퇴사두근, 배굴근, 또는 저굴근의 네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대퇴사두근은 점프 시 힘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육을 보완하는 햄스트링은 짧은 시간 동안의 동작을 돕는다. 이 근육들은 저굴근과 배굴근과 마찬가지로 서로 작용하여 힘과 관련된 동작을 생성하는 데 기여한다.[52]
다른 짐승과 비교하여, 많은 종의 토끼 발바닥에는 족구(肉球)가 없고, 두껍고 부드러운 체모가 자라 있다. 앞다리보다 뒷다리가 길어 도약 주행에 적합하다. 앞다리의 손가락은 5개, 뒷다리의 발가락은 4개이며, 손가락과 발가락에는 발톱이 발달한다.
4. 1. 1. 귀
토끼목 내에서 귀는 포식자를 감지하고 피하는 데 사용된다. 토끼과에서 귀는 일반적으로 너비보다 길고, 다른 포유류에 비해 비교적 길다.앨런의 규칙에 따르면, 추운 기후에 적응한 온혈 동물은 따뜻한 기후에 적응한 유사한 동물보다 사지와 부속지가 짧고 두껍다. 이 규칙은 원래 북미의 다양한 기후에서 ''토끼'' 종의 귀 길이를 비교하여 도출되었다. 이후 연구에 따르면 이 규칙은 특히 귀에 대해 토끼과에서 여전히 유효하며, 토끼와 산토끼의 귀 표면적은 따뜻한 기후에서 확대된다. 귀는 체온 조절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외이, 중이, 내이 근육이 서로 협응하는 방식 때문에 포식자를 감지하는 데 중요한 구조이다. 귀 근육은 또한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균형과 움직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개는 토끼의 바깥 귀로 알려져 있다. 토끼의 핀나는 신체 표면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귀가 30°C 이상의 온도에서 열 분산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이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따뜻한 기후의 토끼가 더 긴 핀나를 갖게 된다. 또 다른 이론은 귀가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토끼의 시력을 돕고 안정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 장치 역할을 한다는 것이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산토끼에서만 관찰되었다. 바깥 귀의 나머지 부분은 고막 또는 고막으로 이어지는 구부러진 관으로 되어 있다.
토끼 두개골 뒤의 바깥쪽 고막에 의해 분리된 중이에는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의 세 개의 뼈가 있으며, 이들을 통틀어 이소골이라고 하며, 내이에 도달하기 전에 소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이소골은 소리 에너지를 위한 내이에 대한 장벽 역할을 한다.
내림프액이라고 하는 내이 액체는 소리 에너지를 받는다. 에너지를 받은 후. 내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이소골에서 나오는 음파를 사용하는 달팽이관과 움직임에 대한 토끼의 위치를 관리하는 전정 기관. 달팽이관 내의 기저막에는 뇌로 신경 신호를 보내 다양한 음파 주파수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감각 털 구조가 있습니다. 전정 기관 내의 세 개의 반고리관은 각운동 감지를 돕는다.
혈관 네트워크와 동정맥 단락을 포함하는 핀나는 체온 조절을 돕는다. 토끼의 최적 체온은 38.5-40.0°C 정도이다. 만약 체온이 이 최적 온도를 초과하거나 미치지 못하면, 토끼는 항상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토끼는 땀샘이 거의 없거나 없기 때문에, 혈관이 풍부한 귀를 통과하는 혈류량을 변화시켜 체온 항상성을 유지한다. 토끼는 또한 forms라고 알려진 땅의 움푹 파인 곳에서 휴식을 취하여 체온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짐승과 비교하여 특징으로는 귓바퀴가 큰 것을 들 수 있다. 토끼목 내에서는 귓바퀴가 그다지 발달하지 않은 종도 다른 포유강의 분류군과 비교하면 귓바퀴 비율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소리나 바람 쪽으로 귀의 정면이 향하도록 귓바퀴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모세 혈관이 비쳐 보이는 이 큰 귓바퀴를 바람에 쐬어 체온 조절에 활용한다고도 한다.
4. 1. 2. 눈
눈은 머리 윗부분 측면에 있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야간이나 박명 박모시의 활동에 적합하다. 코에는 세로로 갈라진 틈이 있으며, 윗부분의 피부를 움직여 콧구멍을 열고 닫을 수 있다.4. 1. 3. 이빨
앞니는 발달하여 평생 자란다. 예전에는 이 앞니의 특징으로 쥐와 같은 설치류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 위턱 앞니의 뒷면에 쐐기 모양의 앞니가 있는 것을 토끼목으로 독립된 목 분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설치류와 근연의 종이다). 치열은 (순서대로 앞니·송곳니·작은 어금니·큰 어금니, 상하는 상악과 하악)로, 총 28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4. 1. 4. 다리
토끼 뒷다리의 해부학은 다른 육상 포유류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토끼의 특수한 형태의 이동에 기여한다. 뒷다리 뼈는 긴 뼈( 넙다리뼈, 정강뼈, 종아리뼈, 발가락뼈)와 짧은 뼈(발목뼈)로 구성된다. 이 뼈들은 태아 발달 중 연골내 골화를 통해 생성된다.[46] 대부분의 육상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넙다리뼈의 둥근 머리는 엉덩이뼈인 비구와 관절을 이룬다. 넙다리뼈는 정강뼈와 관절을 이루지만, 정강뼈에 유착된 종아리뼈와는 관절을 이루지 않는다. 정강뼈와 종아리뼈는 흔히 발이라고 불리는 발의 발목뼈와 관절을 이룬다.[46] 토끼의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길다. 이것은 토끼가 뛰어다니는 형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뒷다리가 길수록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목화 꼬리 토끼보다 다리가 더 긴 산토끼는 훨씬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46] 뒷발에는 네 개의 긴 발가락이 있어 지상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뛰어다닐 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갈퀴가 있다.[47] 토끼는 지상보행을 하는 대부분의 다른 동물과 달리 발에 발바닥 패드가 없다. 대신 거친 압축 털이 보호 역할을 한다.[48]
토끼는 최대의 힘, 기동성, 가속력을 낼 수 있도록 근육질의 뒷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뒷다리는 발, 허벅지, 다리,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토끼의 뒷다리는 과장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훨씬 길고 더 많은 힘을 낼 수 있으며,[50] 앞다리는 도약 후 착지의 충격을 흡수하는 브레이크와 같은 역할을 한다.[49] 뒷다리에서 발생하는 힘은 경골과 비골의 융합이라는 구조적 해부학과 근육적 특징에 의해 발생한다.[50]
세포 수준에서 뼈의 생성과 제거는 뒷다리 근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근육의 작용 압력은 힘을 생성하고, 이 힘은 골격 구조를 통해 분산된다. 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적어 힘을 덜 내는 토끼는 뼈 희소화로 인해 골다공증에 더 취약하다.[51] 토끼의 경우 근육 섬유가 많을수록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커진다. 예를 들어, 산토끼는 면화꼬리토끼보다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더 크다. 토끼 뒷다리의 근육은 햄스트링, 대퇴사두근, 배굴근, 또는 저굴근의 네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대퇴사두근은 점프 시 힘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육을 보완하는 햄스트링은 짧은 시간 동안의 동작을 돕는다. 이 근육들은 저굴근과 배굴근과 마찬가지로 서로 작용하여 힘과 관련된 동작을 생성하는 데 기여한다.[52]
다른 짐승과 비교하여, 많은 종의 토끼 발바닥에는 족구(肉球)가 없고, 두껍고 부드러운 체모가 자라 있다. 앞다리보다 뒷다리가 길어 도약 주행에 적합하다. 앞다리의 손가락은 5개, 뒷다리의 발가락은 4개이며, 손가락과 발가락에는 발톱이 발달한다.
4. 2. 생태
토끼는 포식자의 먹이 동물이다. 예를 들어 지중해 유럽에서 토끼는 붉은여우, 오소리, 이베리아스라소니의 주요 먹이다.[98] 포식 위험을 피하고 지하에서 이동하기 위해 토끼는 인간에 비해 감각이 뛰어나며 주변 환경을 끊임없이 인식한다. 잠재적인 위협에 직면하면 토끼는 얼어붙어 관찰한 다음 뒷발로 땅을 쿵쿵 울려 굴에 있는 다른 토끼에게 경고할 수 있다. 토끼는 시야가 매우 넓으며, 그중 상당 부분이 머리 위를 스캔하는 데 할애된다.[99] 토끼의 눈에는 중심와가 없지만, 망막 중앙에 막대 세포와 원뿔 세포의 밀도가 가장 높은 수평선인 "시각선"이 있다. 이를 통해 머리를 거의 돌리지 않고 수평선을 스캔할 수 있다.[100][101]토끼는 일부 종에서는 굴을 파고 빽빽한 은신처로 도약하여 포식으로부터 살아남는다.[49][19] 토끼의 강한 이빨은 싸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물 수 있게 해준다.[102]
스트레스에 매우 약하며, 끊임없이 주변을 경계한다. 뼈가 부서지기 쉽고 약하다는 약점도 있다.
천적은 뱀, 여우, 족제비를 비롯한 소~중형 육식수, 맹금류, 사람, 까마귀이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시속 60~80km로 달릴 수 있으며, 움직임이 빠르다.
성대를 가지고 있지 않아 좀처럼 울지 않지만, 대신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것은 발달한 뒷다리를 땅에 강하게 내리치는 스탬핑으로, 그 주된 동기는 천적이 접근했을 때 동료에게 경계를 촉구하기 위함이지만, 불쾌한 감정을 표현할 때도 이 행동을 한다.
기록상 가장 오래 산 토끼는 태즈메이니아에 사는 사육된 유럽 토끼로 18세에 사망했다.[103] 야생 토끼의 수명은 훨씬 짧다. 예를 들어 동부 면꼬리토끼의 평균 수명은 약 1년에서 5년이다.[104][105] 다양한 토끼 종은 사육 상태에서 4년에서 13년까지 산 것으로 기록되었다.[106][107][108][109]
초원, 반사막 지대, 설원, 숲, 습지 등에 서식한다. 굴토끼는 땅속에 복잡한 굴을 파서 집단으로 생활한다. 영역 의식은 비교적 강하며, 턱 아래의 냄새샘을 비벼 냄새를 묻혀 영역을 주장한다. 산토끼는 굴에서 생활하지 않는다.
토끼의 침에는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얼굴을 앞발로 덮는 듯이 쓰다듬거나 귀를 쓰다듬는 행동을 볼 수 있는데, 앞발에 미리 묻혀둔 자신의 침을 해당 부위에 전체적으로 묻혀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특징적인 긴 귀로 대표되는 것처럼 뛰어난 청력을 가진 반면, 시력은 떨어지며, 음식을 먹을 때 안전성을 확인할 경우, 시각보다 후각을 활용한다.
'''식성'''
토끼는 엄격한 초식 동물이며,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 주로 셀룰로스 형태에 적합하다.[19][25] 토끼는 일반적으로 잠에서 깨어나 굴에서 나오면 풀을 뜯어 먹고, 깨어있는 시간 동안 채소와 기타 식물을 섭취한다. 토끼는 나무 잎과 과일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자연 식물이 부족한 애완 토끼의 경우 과일과 섬유질이 적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화하기 쉬운 음식은 위장관에서 처리되어 일반적인 배설물로 배출된다. 소화하기 어려운 섬유질에서 영양분을 얻기 위해 토끼는 맹장(위장관의 일부)에서 섬유질을 발효시킨 다음 내용물을 맹장 영양분으로 배출하며, 이를 재섭취한다(맹장 영양 섭취). 맹장 영양분은 소장에서 흡수되어 영양분을 사용한다.[68] 부드러운 맹장 영양분은 보통 지하 굴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섭취된다.
토끼는 구토를 할 수 없으며,[69] 따라서 장내에 축적물이 발생하면(종종 섬유질이 부족한 식단으로 인해),[70] 장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71]
당근과 같은 뿌리채소를 먹는다는 이미지가 있지만, 당분 함량이 높아 자연 상태에서는 먹지 않는다. 사육 환경에서는 소량만 제공된다[201]。 주로 먹는 것은 티모시, 알팔파 등의 건초인데, 티모시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사람이 있어, 때때로 사육 시 문제가 된다.
가끔 등을 둥글게 말아 항문에 직접 입을 대고 오물거리는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식분 행동」이라고 하며, 소화되지 않은 식물 섬유 등을 포함한 변을 다시 먹어 소화와 영양 재흡수를 촉진하는 행위이므로 이상 행동이 아니다.
'''번식'''
성체 수컷 생식계는 대부분의 포유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세르톨리 세포가 포함된 세정관 구획과 라이디히 세포가 포함된 부강 구획이 있다.[72] 라이디히 세포는 테스토스테론을 생성하여 성욕[72]을 유지하고 생식 결절 및 음경과 같은 이차 성징을 만든다. 세르톨리 세포는 뮐러관을 흡수하는 항뮐러관 호르몬의 생성을 유발한다. 성체 수컷 토끼에서 음경의 포피는 원통형이며 생후 2개월부터 배출될 수 있다.[73] 음낭은 음경의 측면에 위치하며 고환을 보호하는 부고환 지방 패드를 포함한다. 10주에서 14주 사이에 고환이 내려오고 골반강으로 들어가서 체온을 조절할 수 있다.[73] 또한 고환과 같은 이차 성징은 복잡하며 많은 화합물을 분비한다. 이 화합물에는 과당, 구연산, 미네랄 및 독특하게 많은 양의 카탈라아제가 포함되며,[72] 이 모든 것이 토끼 정액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구연산은 응집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74] 다량의 카탈라아제는 조기 정자 활성화를 방지한다.[75]
성체 암컷 생식기는 이분되어 배아가 자궁 사이에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한다.[76] 암컷의 요도와 질은 단일 요생식기 구멍이 있는 요생식기동으로 열린다.[77] 두 개의 자궁 경관은 두 개의 자궁 경관과 통신하여 하나의 질관을 형성한다. 이분된 것 외에도 암컷 토끼는 발정 주기를 거치지 않으므로 교미가 유도 배란을 유발한다.[73]
암컷 토끼는 평균적으로 생후 3~8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평생 언제든지 임신할 수 있다. 난자와 정자 생산은 3년 후에 감소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72] ''Oryctolagus''속과 같은 일부 종은 6세에 생식을 완전히 중단한다. 교미하는 동안 수컷 토끼는 뒤에서 암컷의 음경을 삽입하고 사정할 때까지 빠르게 골반을 밀어 넣은 다음 암컷에서 뒤로 떨어진다. 교미는 20~40초만 지속된다.[78]
토끼의 임신 기간은 짧으며 27~30일이다.[19] 임신 기간이 길어지면 일반적으로 새끼가 적게 태어나고, 임신 기간이 짧아지면 새끼가 많이 태어난다. 한 번에 태어나는 새끼의 수는 종에 따라 1~12마리이다. 출생 후 수컷의 유일한 역할은 다른 토끼로부터 새끼를 보호하는 것이고, 어미는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새끼를 둥지에 남겨두고 24시간마다 돌아와서 젖을 먹인다.[19] 암컷은 다음 날 일찍 다시 임신할 수 있다.[73]
교미 후 암컷은 출산 전에 굴을 파거나 둥지를 준비하기 시작한다. 출산 3일에서 몇 시간 전에 일련의 호르몬 변화가 둥지 구조를 준비하게 한다. 암컷은 먼저 구조를 위해 풀을 모으고, 출산 직전에 프로락틴이 증가하면 털갈이를 유발하여 둥지를 줄 지어 신생아 새끼에게 단열을 제공한다.[79]
토끼의 배아 사망률은 높으며 감염, 외상, 영양 불량 및 환경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은 출생률이 필요하다.[73] 토끼 임신의 절반 이상이 유산되어 배아가 어미의 몸에 흡수되며, 비타민 결핍은 집토끼의 유산의 주요 원인이다.
일부 야생종은 곤충 등도 먹는다고 한다. 애완 토끼의 경우, 야외의 개미 등도 핥아 먹는다.
태생. 고양이 등과 마찬가지로, 교미에 의해 배란이 유발되는 교미 배란 동물이다. 임신 기간은 최장이 눈토끼의 약 50일이며, 많은 종은 30~40일이다. 한 번의 출산에 1~6마리(혹은 그 이상)를 출산한다.
굴토끼는 연중 번식 동물(번식기를 갖지 않는 동물)로 분류되어, 연중 번식이 가능하며[199][200], 다산으로 번식력이 높은 동물이다. 산토끼는 봄부터 가을까지, 장기적인 완만한 번식기를 가지고 있다.
4. 2. 1. 식성
토끼는 엄격한 초식 동물이며,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 주로 셀룰로스 형태에 적합하다.[19][25] 토끼는 일반적으로 잠에서 깨어나 굴에서 나오면 풀을 뜯어 먹고, 깨어있는 시간 동안 채소와 기타 식물을 섭취한다. 토끼는 나무 잎과 과일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자연 식물이 부족한 애완 토끼의 경우 과일과 섬유질이 적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소화하기 쉬운 음식은 위장관에서 처리되어 일반적인 배설물로 배출된다. 소화하기 어려운 섬유질에서 영양분을 얻기 위해 토끼는 맹장(위장관의 일부)에서 섬유질을 발효시킨 다음 내용물을 맹장 영양분으로 배출하며, 이를 재섭취한다(맹장 영양 섭취). 맹장 영양분은 소장에서 흡수되어 영양분을 사용한다.[68] 부드러운 맹장 영양분은 보통 지하 굴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섭취된다.
토끼는 구토를 할 수 없으며,[69] 따라서 장내에 축적물이 발생하면(종종 섬유질이 부족한 식단으로 인해),[70] 장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71]
당근과 같은 뿌리채소를 먹는다는 이미지가 있지만, 당분 함량이 높아 자연 상태에서는 먹지 않는다. 사육 환경에서는 소량만 제공된다[201]。 주로 먹는 것은 티모시, 알팔파 등의 건초인데, 티모시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사람이 있어, 때때로 사육 시 문제가 된다.
가끔 등을 둥글게 말아 항문에 직접 입을 대고 오물거리는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식분 행동」이라고 하며, 소화되지 않은 식물 섬유 등을 포함한 변을 다시 먹어 소화와 영양 재흡수를 촉진하는 행위이므로 이상 행동이 아니다.
4. 2. 2. 번식
성체 수컷 생식계는 대부분의 포유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세르톨리 세포가 포함된 세정관 구획과 라이디히 세포가 포함된 부강 구획이 있다.[72] 라이디히 세포는 테스토스테론을 생성하여 성욕[72]을 유지하고 생식 결절 및 음경과 같은 이차 성징을 만든다. 세르톨리 세포는 뮐러관을 흡수하는 항뮐러관 호르몬의 생성을 유발한다. 성체 수컷 토끼에서 음경의 포피는 원통형이며 생후 2개월부터 배출될 수 있다.[73] 음낭은 음경의 측면에 위치하며 고환을 보호하는 부고환 지방 패드를 포함한다. 10주에서 14주 사이에 고환이 내려오고 골반강으로 들어가서 체온을 조절할 수 있다.[73] 또한 고환과 같은 이차 성징은 복잡하며 많은 화합물을 분비한다. 이 화합물에는 과당, 구연산, 미네랄 및 독특하게 많은 양의 카탈라아제가 포함되며,[72] 이 모든 것이 토끼 정액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구연산은 응집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74] 다량의 카탈라아제는 조기 정자 활성화를 방지한다.[75]
성체 암컷 생식기는 이분되어 배아가 자궁 사이에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한다.[76] 암컷의 요도와 질은 단일 요생식기 구멍이 있는 요생식기동으로 열린다.[77] 두 개의 자궁 경관은 두 개의 자궁 경관과 통신하여 하나의 질관을 형성한다. 이분된 것 외에도 암컷 토끼는 발정 주기를 거치지 않으므로 교미가 유도 배란을 유발한다.[73]
암컷 토끼는 평균적으로 생후 3~8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평생 언제든지 임신할 수 있다. 난자와 정자 생산은 3년 후에 감소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72] ''Oryctolagus''속과 같은 일부 종은 6세에 생식을 완전히 중단한다. 교미하는 동안 수컷 토끼는 뒤에서 암컷의 음경을 삽입하고 사정할 때까지 빠르게 골반을 밀어 넣은 다음 암컷에서 뒤로 떨어진다. 교미는 20~40초만 지속된다.[78]
토끼의 임신 기간은 짧으며 27~30일이다.[19] 임신 기간이 길어지면 일반적으로 새끼가 적게 태어나고, 임신 기간이 짧아지면 새끼가 많이 태어난다. 한 번에 태어나는 새끼의 수는 종에 따라 1~12마리이다. 출생 후 수컷의 유일한 역할은 다른 토끼로부터 새끼를 보호하는 것이고, 어미는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새끼를 둥지에 남겨두고 24시간마다 돌아와서 젖을 먹인다.[19] 암컷은 다음 날 일찍 다시 임신할 수 있다.[73]
교미 후 암컷은 출산 전에 굴을 파거나 둥지를 준비하기 시작한다. 출산 3일에서 몇 시간 전에 일련의 호르몬 변화가 둥지 구조를 준비하게 한다. 암컷은 먼저 구조를 위해 풀을 모으고, 출산 직전에 프로락틴이 증가하면 털갈이를 유발하여 둥지를 줄 지어 신생아 새끼에게 단열을 제공한다.[79]
토끼의 배아 사망률은 높으며 감염, 외상, 영양 불량 및 환경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은 출생률이 필요하다.[73] 토끼 임신의 절반 이상이 유산되어 배아가 어미의 몸에 흡수되며, 비타민 결핍은 집토끼의 유산의 주요 원인이다.
4. 2. 3. 천적 및 생존 전략
토끼는 포식자의 먹이 동물이다. 예를 들어 지중해 유럽에서 토끼는 붉은 여우, 오소리, 이베리아스라소니의 주요 먹이다.[98] 포식 위험을 피하고 지하에서 이동하기 위해 토끼는 인간에 비해 감각이 뛰어나며 주변 환경을 끊임없이 인식한다. 잠재적인 위협에 직면하면 토끼는 얼어붙어 관찰한 다음 뒷발로 땅을 쿵쿵 울려 굴에 있는 다른 토끼에게 경고할 수 있다. 토끼는 시야가 매우 넓으며, 그중 상당 부분이 머리 위를 스캔하는 데 할애된다.[99] 토끼의 눈에는 중심와가 없지만, 망막 중앙에 막대 세포와 원뿔 세포의 밀도가 가장 높은 수평선인 "시각선"이 있다. 이를 통해 머리를 거의 돌리지 않고 수평선을 스캔할 수 있다.[100][101]토끼는 일부 종에서는 굴을 파고 빽빽한 은신처로 도약하여 포식으로부터 살아남는다.[49][19] 토끼의 강한 이빨은 싸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물 수 있게 해준다.[102]
스트레스에 매우 약하며, 끊임없이 주변을 경계한다. 뼈가 부서지기 쉽고 약하다는 약점도 있다.
천적은 뱀, 여우, 족제비를 비롯한 소~중형 육식수, 맹금류, 사람, 까마귀이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시속 60~80km로 달릴 수 있으며, 움직임이 빠르다.
성대를 가지고 있지 않아 좀처럼 울지 않지만, 대신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것은 발달한 뒷다리를 땅에 강하게 내리치는 스탬핑으로, 그 주된 동기는 천적이 접근했을 때 동료에게 경계를 촉구하기 위함이지만, 불쾌한 감정을 표현할 때도 이 행동을 한다.
4. 3. 질병
토끼는 ''보르데텔라 브론키세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와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같은 흔한 병원균에 의한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142][85] 또한, 믹소마증과 토끼 출혈열을 유발하는 칼리시바이러스도 주의해야 한다. 믹소마증은 야생 토끼보다 애완 토끼에게 더 위험하다.[86] 촌충(예: ''테니아 시리알리스''(Taenia serialis)), 벼룩, 진드기, 콕시디아 종, ''엔세팔리토준 쿠니쿨리''(Encephalitozoon cuniculi),[87] ''톡소플라스마 곤디''(Toxoplasma gondii)와 같은 기생충에도 감염될 수 있다.[88][89] 건초, 풀과 같은 고섬유질 공급원이 부족하면 위장 정체가 발생할 수 있다.[90] 토끼와 산토끼는 광견병에 거의 감염되지 않으며, 사람에게 광견병을 전파하지 않는다.[91]토끼 출혈열 (RHD)은 토끼 출혈열 바이러스(RHDV)에 의해 발생하며, 특히 2형(RHDV2)이 전염성이 강하다.[92] 1984년 독일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으로 수입된 앙고라 토끼에서 처음 발견되어 한국, 이탈리아, 유럽 등으로 확산되었다. 1988년부터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으나, RHDV는 유럽 토끼 종에만 영향을 미쳐 발병은 드물었다.[93] RHDV2는 2010년 프랑스에서 처음 발견된 후[94] 유럽, 캐나다,[95] 호주,[96] 미국으로 확산되었다.[97][92]
5. 분포
토끼는 숲, 스텝, 고원, 사막[110], 늪[111]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화산토끼(''Romerolagus diazi'')와 같이 특정 서식 환경을 요구하는 종은 분포가 제한적이기도 하다.[112] 종에 따라 행동 양식이 다르며, 다른 동물의 굴을 사용하거나 굴에 둥지를 만들어 집단 또는 군집 생활을 한다. 특히 유럽 토끼는 '워렌'이라고 불리는 광범위한 굴 네트워크에서 생활한다.[113]
토끼는 북아메리카, 남서 유럽, 동남아시아, 수마트라, 일본의 일부 섬,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 유라시아 대부분 지역에는 자연적으로 서식하지 않으며, 이곳에는 여러 종의 토끼가 존재한다.[114] 2003년 중국의 집토끼 연구에서는 "중국 토끼는 유럽에서 도입되었으며 유전적 다양성이 매우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174]
토끼는 대교환의 일환으로 비교적 최근에 남아메리카에 진입했다.[114] 남아메리카 남방계 지역 대부분에는 19세기 말 유럽 토끼가 도입되기 전까지 토끼가 없었다.[44][116]
남극 대륙과 일부 섬을 제외한 전 세계 육지에 분포하며, 애완동물로 유입된 개체도 많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마다가스카르 섬에는 원래 서식하지 않았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정착민 토머스 오스틴이 사냥용으로 들여온 24마리의 토끼가 환경에 적응하여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02]
일본에서는 각지의 조몬 시대 조개더미에서 토끼 뼈가 출토되고, 고지키의 「이나바의 흰 토끼」 등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상당수의 토끼가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회색이나 갈색 등의 털색을 가지며, 적설지대에서는 겨울에 흰색 털로 바뀌는 일본 토끼는 일본 고유종이다. 멸종 위기종이자 국가 특별 천연기념물인 아마미 검은 토끼는 세계적으로 아마미 제도 일부에만 서식한다.
6. 이용
인간은 최소한 최후 빙기부터 토끼를 식량으로 사냥해 왔으며,[132] 야생 토끼와 산토끼는 여전히 사냥감으로 고기의 용도로 사냥되고 있다.[133] 사냥은 훈련된 매의 도움을 받거나,[134] 족제비,[135] 개(일반적인 사냥 견종은 비글)[136], 올가미[137], 소총 및 기타 총기를 이용한다.[136] 잡힌 토끼는 머리 뒤쪽에 날카로운 타격을 가해 처치할 수 있으며, 이 관행에서 '래빗 펀치'라는 용어가 유래되었다.[138][139]
야생 토끼류는 전 세계 토끼고기 소비의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가축으로 사육되고 사육되는 유럽 토끼(''Oryctolagus cuniculus'')의 가축화된 후손(이를 토끼 사육이라고 함)은 연간 약 2억 톤의 토끼고기 생산량을 차지한다.[140]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2억 마리의 토끼가 고기를 위해 도살된다.[141] 1994년, 토끼고기 1인당 소비량이 가장 높은 국가는 몰타(8.89 kg), 이탈리아(5.71 kg), 키프로스(4.37 kg)였다. 토끼고기 최대 생산국은 중국, 러시아, 이탈리아(특히 베네토)[142], 프랑스, 스페인이다.[143]
영국에서는 신선한 토끼가 정육점과 시장에서 판매되며, 일부 슈퍼마켓에서는 냉동 토끼고기를 판매한다. 런던의 보로 마켓을 포함한 농부 시장에서도 판매된다.[146] 토끼고기는 모로코 요리의 특징이며, "서빙하기 몇 분 전에 건포도와 구운 아몬드를 추가하여" 타진에 요리된다.[147] 중국에서는 토끼고기가 사천 요리에서 특히 인기가 있는데, 찐 토끼, 매운 깍둑썰기 토끼, 바비큐 스타일 토끼, 심지어 매운 토끼 머리까지 있으며, 이는 ''매운 오리 목''과 비교된다.[140]
토끼를 식용으로 섭취하는 것과 관련된 감염성 질환은 야생 토끼병('토끼 열'이라고도 함)이며, 감염된 토끼로부터 감염될 수 있다.[150] 야생 토끼병의 2차 매개체에는 잡힌 토끼의 털에서 발견될 수 있는 진드기와 파리 물린 자국이 있다.[150]
6. 1. 사냥
인간은 최소한 최후 빙기부터 토끼를 식량으로 사냥해 왔으며,[132] 야생 토끼와 산토끼는 여전히 사냥감으로 고기의 용도로 사냥되고 있다.[133] 사냥은 훈련된 매의 도움을 받거나,[134] 족제비,[135] 개(일반적인 사냥 견종은 비글)[136], 올가미[137], 소총 및 기타 총기를 이용한다.[136] 잡힌 토끼는 머리 뒤쪽에 날카로운 타격을 가해 처치할 수 있으며, 이 관행에서 '래빗 펀치'라는 용어가 유래되었다.[138][139]야생 토끼류는 전 세계 토끼고기 소비의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가축으로 사육되고 사육되는 유럽 토끼(''Oryctolagus cuniculus'')의 가축화된 후손(이를 토끼 사육이라고 함)은 연간 약 2억 톤의 토끼고기 생산량을 차지한다.[140]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2억 마리의 토끼가 고기를 위해 도살된다.[141] 1994년, 토끼고기 1인당 소비량이 가장 높은 국가는 몰타(8.89 kg), 이탈리아(5.71 kg), 키프로스(4.37 kg)였다. 토끼고기 최대 생산국은 중국, 러시아, 이탈리아(특히 베네토)[142], 프랑스, 스페인이다.[143]
영국에서는 신선한 토끼가 정육점과 시장에서 판매되며, 일부 슈퍼마켓에서는 냉동 토끼고기를 판매한다. 런던의 보로 마켓을 포함한 농부 시장에서도 판매된다.[146] 토끼고기는 모로코 요리의 특징이며, "서빙하기 몇 분 전에 건포도와 구운 아몬드를 추가하여" 타진에 요리된다.[147] 중국에서는 토끼고기가 사천 요리에서 특히 인기가 있는데, 찐 토끼, 매운 깍둑썰기 토끼, 바비큐 스타일 토끼, 심지어 매운 토끼 머리까지 있으며, 이는 ''매운 오리 목''과 비교된다.[140]
토끼를 식용으로 섭취하는 것과 관련된 감염성 질환은 야생 토끼병('토끼 열'이라고도 함)이며, 감염된 토끼로부터 감염될 수 있다.[150] 야생 토끼병의 2차 매개체에는 잡힌 토끼의 털에서 발견될 수 있는 진드기와 파리 물린 자국이 있다.[150]
6. 2. 식용
인간은 최소한 최후 빙기부터 토끼를 식량으로 사냥해 왔으며,[132] 야생 토끼와 산토끼는 여전히 사냥감으로 고기의 용도로 사냥되고 있다.[133] 사냥은 훈련된 매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지며,[134] 족제비[135] 또는 개 (일반적인 사냥 견종은 비글)[136], 그리고 올가미[137], 소총 및 기타 총기를 이용한다.[136] 잡힌 토끼는 머리 뒤쪽에 날카로운 타격을 가해 처치할 수 있으며, 이 관행에서 '래빗 펀치'라는 용어가 유래되었다.[138][139] 고대 시대, 맘모스 등의 대형 사냥감이 줄어들면서, 토끼를 비롯한 작고 날렵한 동물은 인류에게 중요한 사냥감이 되었다. 네안데르탈인은 이러한 작은 사냥감을 잡는 데 적응하지 못해 멸망했다는 설이 있다.[204]야생 토끼류는 전 세계 토끼고기 소비의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가축으로 사육되고 사육되는 유럽 토끼(''Oryctolagus cuniculus'')의 가축화된 후손(이를 토끼 사육이라고 함)은 연간 약 2억 톤의 토끼고기 생산량을 차지한다.[140]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2억 마리의 토끼가 고기를 위해 도살된다.[141] 1994년, 토끼고기 1인당 소비량이 가장 높은 국가는 8.89kg의 몰타, 5.71kg의 이탈리아, 4.37kg의 키프로스였다. 토끼고기 최대 생산국은 중국, 러시아, 이탈리아(특히 베네토[142]), 프랑스, 스페인이다.[143]
토끼는 부드러운 식육이 된다. 토끼의 안심 스테이크라는 요리도 있지만, 한 마리의 안심 부위는 가리비 조개 관자 정도의 크기밖에 안 되어 여러 마리 분의 안심 고기를 사용하게 된다. 다진 고기로 만들면 점착성이 높기 때문에 소시지나 프레스 햄에 결착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유대교에서는 토끼는 "깨끗하지 않은 동물", 즉 비코셔 (כָּשֵׁר, Kāšēr)로 간주되어, 먹어서는 안 되는 동물로 정해져 있다. 일본에서도 일부 지역(사이타마현・군마현 등)에서 임산부가 토끼 고기를 먹는 것을 금기시하는 견해가 있다.[211]
6. 3. 모피
인간은 최후 빙기부터 토끼를 식량으로 사냥해 왔으며,[132] 야생 토끼와 산토끼는 여전히 사냥감으로 고기의 용도로 사냥되고 있다.[133] 가정 토끼는 고기 외에도 의류용 모직[36] 및 털[153], 질소 함량이 높은 거름, 단백질이 풍부한 우유로 사용된다.[154] 생산 산업은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가정 토끼 품종(예: 앙고라 토끼)을 개발했다.[33]수렵이나 양식으로 얻은 토끼의 모피는 의류용품으로도 이용되어 왔다. 방한용으로 전 세계에서 그 모피가 사용되어 왔으며, 일종의 장식용으로도 사용된다. 1986년 프랑스에서 연간 생산된 토끼 가죽 수는 7천만 개에 달했으며, 이는 같은 시기에 생산된 2,500만 개의 밍크 모피와 비교된다. 그러나 토끼 털은 전체적으로 토끼고기 생산의 부산물인 반면, 밍크는 주로 모피 생산을 위해 사육된다.[155]
모피로 사용되는 것 외에 털이 긴 토끼의 털을 양모처럼 깎아서 직물용 섬유로 이용하는 것도 이루어져 왔다. 아시아 원산의 앙고라산양이나 앙고라토끼를 사용한 모헤어가 알려져 있으며, 유럽에서는 앙고라 토끼/Angora rabbit영어라는 섬유 이용 전용 품종도 만들어졌다. 일본에서도 메이지 시대부터 태평양 전쟁 시대에 걸쳐 군수용 모피를 생산할 목적으로 토끼 사육이 활발해져 일본 앙고라종이라는 품종이 만들어졌다.
모피만을 목적으로 한 품종은 드물며 렉스나 앙고라 토끼 정도이다. 그 외는, 정육 목적의 부산물이며, 털의 길이가 겨울 외에는 드문드문해지는 털갈이로 인해 털이나 모피로서의 질은 높지 않다[212]。
서양에서는 토끼의 발이나 꼬리는 행운의 상징으로 박제되어 사용된다.
6. 4. 실험동물
가축화된 유럽 토끼(집토끼)는 드레이즈 시험 등에서 실험 동물로 널리 사용된다.[213][214]6. 5. 애완동물
토끼, 특히 유럽 토끼(''Oryctolagus cuniculus'') 종은 오랫동안 가축화되어 왔다. 유럽 토끼는 적어도 기원전 1세기부터 고대 로마에서 가축으로 널리 사육되었으며,[26] 선택적 육종은 중세 시대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토끼 품종을 만들어 냈다. 19세기 초부터는 많은 품종이 애완동물로도 사육된다.[26] 일부 유럽 토끼의 계통은 동물 실험과 같은 뉴질랜드 화이트 연구 대상으로 특별히 사육되었다.[27]가축으로서 유럽 토끼는 고기와 토끼털을 위해 사육된다. 초기 품종은 중요한 고기 공급원이었고,[28][29] 야생 토끼보다 더 어린 나이에 더 크게 자라도록 개량되었다.[30] 현대의 가축 토끼는 드워프 토끼에서 플레미쉬 자이언트 토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를 갖는다.[31][32] 렉스 토끼[33]의 털은 다양한 털 색상과 패턴을 가지며, 일부는 염색을 통해 만들어진다.[34] 앙고라 토끼 품종과 같이 털을 위해 사육되는 경우도 있다.[35]
토끼는 초식동물이며 포식당하는 측이기 때문에 집에서 기르는 경우에도 그 본능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방의 눈에 띄는 곳에 나타나지 않고 커튼 뒤, 책상 밑, 방 구석 등에 자리를 잡는 경우가 많다. 토끼는 섬세한 생물이기도 하여, 스트레스를 느낄 때 드물게 자신의 체모를 뽑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토끼의 앞니는 계속 자라기 때문에 실내의 코드를 갉아먹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가전제품의 코드는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책, 다다미, 목재 가구 등을 갉아 먹기도 한다.
토끼는 깨끗한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제대로 훈련시키면 특정 장소에서 배설을 하게 된다. 구석에서 숨을 수 있는 곳에 배설 장소를 두어야 한다.
토끼의 평균 체온은 38–40℃로 꽤 고온까지가 정상 범위이다. 39℃대의 체온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체온이 너무 올라가는 경우에는 귀를 물로 살짝 적셔 수건으로 전신을 감싼 다음 아이스 보틀 등으로 식히고, 반대로 체온이 37.7℃ 이하인 경우에는 따뜻한 천으로 전신을 감싸 핫팩 등으로 그 위를 따뜻하게 한다.
토끼의 수명은 5–11년(드물게 그 이상)이며, 네덜란드 드워프에서 최고 13세의 기록이 있다. 기네스 기록은 18세 10개월이다. 심박수는 130–325/분, 호흡수는 32–60/분, 전 혈액량은 57–65 mL/kg, 혈압은 90–130 / 60–90 mmHg이다. 식물 소비량은 5–100 g/일(개체의 크기에 따라 다름), 음수 소비량은 5–10 ml/일・100 g/일(혹은 그 이상), 위장관 통과 시간은 4-5시간이다.
7. 문화
토끼는 학자들에 의해 종종 다산,[156] 성(性) 및 봄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역사를 통틀어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157] 18세기 말까지 토끼와 산토끼가 자웅동체라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었고, 이는 토끼를 "성적으로 이상한" 존재로 보는 시각에 기여했을 수 있다.[158] 부활절 토끼는 독일 민속에서 유래하여 미국과 이후 세계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간 인물로, 초기 모습에 비해 역할이 부드러워진 산타클로스와 유사하다.[159]
토끼는 방어 수단이 거의 없는 먹이 동물의 역할 때문에 민간 설화와 현대 어린이 이야기에서 취약함과 순수함을 연상시키며, 토끼는 공감 가는 캐릭터로 등장하여 젊은 세대와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특별한 상징적 묘사는 수십 년 전 애완 토끼가 대중화된 이후인 1930년대에 들어서야 인기를 얻었다.[156] 또한, 그 이후로 동정적인 묘사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워터쉽 다운''[160][161]과 아리엘 도르프만의 작품과 같은 문학 작품에서도 등장한다.[162] 다산의 상징으로 명성이 높은 토끼는 플레이보이 토끼에서처럼 순수함과 성을 병치한다.[163] 토끼는 또한 에너자이저 토끼와 듀라셀 토끼가 대표하는 유쾌함과 끈기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164]
토끼는 서식지가 넓고 주행성이며 번식률도 높아 사람들의 눈에 띄기 쉬워 친근하며, 의인화되어 동화나 설화의 모티프로서 사용되고 있다. 만화나 마스코트 등의 캐릭터로 등장한다. 피터 래빗의 작가 비아트릭스 포터는 자신이 기르던 토끼를 상세하게 데생, 스케치하고 해부학적으로도 연구하여 그렸다.
서양, 동양을 막론하고 어린이용품을 취급하는 기업의 마스코트나 심볼 마크에 토끼를 사용하고 있다.[217]
7. 1. 상징
7. 1. 1. 달의 상징
일본에서 본 달 표면의 무늬는 옛날부터 떡을 찧는 토끼로 보였기 때문에, 일본에는 예로부터 토끼가 달에 산다는 설화가 불교・도교 설화 또는 민간 설화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예를 들어, 불교적 설화를 많이 소재로 삼는 『今昔物語集(고금물어집)』 제5권 제13화 「세 마리의 짐승이 보살의 길을 행하고, 토끼가 몸을 불사르는 이야기」에는 捨身慈悲(사신자비), 滅私献身(멸사헌신)의 상징으로서 토끼가 묘사된다.
헤이안 시대 말기에 원형이 성립되었다고 하며, 에도 시대에는 널리 읽혔던 『고금물어집』에 채록된 이 불교 설화는, 석존의 전생 에피소드를 모은 오래된 인도 이야기 자타카나 중국의 『대당서역기』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인다. 이 불교 설화가 언제 일본에 전해져 각지에 퍼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나라 시대 이전에 만들어진 호류지 옥충주자의 좌대 그림 뒤의 수미산 그림에서는, 제석천궁의 오른쪽에 달(안에 아마 토끼나 두꺼비)과, 왼쪽에 새빨간 태양(안에 세 발 달린 까마귀)이 이미 그려져 있다. 또한, 그 무렵에 만들어졌다고 하는 추궁사 천수국수장에도, 달을 의미하는 원 안에, 불로불사의 약 항아리와 월계수 가지와 함께 토끼가 자수되어 있다. 또한, 중국에서 유래한 도교의 신선 사상에서, 달은 서왕모라는 선인이 다스리는 세계이며, 그곳에서는 영원히 마르지 않는 나무(월계수) 아래에서 불로불사의 약을 토끼가 만들고 있다고 하며, 그곳을 방문한 미녀가 로 변해 달에 머물게 되었다는 설화가 있다[218]。
헤이안 시대의 『엔기시키(연희식)』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 해의 정기이다. 흰 토끼, 달의 정기이다」라는 기술이 이미 보이며, 토끼는 달의 상징으로서 위정자나 일본의 사찰에서도 인식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금오옥토(금오옥토)」라는 말이 있지만,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까지는, 태양과 달, 즉 온 우주를 천황이 통치한다는 의식 하에, 조정의 특별 의식 때에는 일월을 나타내는 깃발을 반드시 세우는 것으로 하고 있었다. 이 깃발에는 금오와 옥토가 각각 태양과 달의 상징으로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219]。또한, 『속일본기』 덴표 4년(732년) 정월의 조에 「御大極殿受朝.天皇始服冕服」이라고 있다.
이러한 달의 상징으로서의 토끼는, 불교・도교적 배경을 가진 의장에 그치지 않고, 일본의 소박한 민간 신사에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 중국, 인도, 아이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각지에 전해지는 「해를 쏘는 신화」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일본에서도 각지에서 호사제(오비샤, 오코나이 등이라고도 한다)라고 불리는 활 신사가 민간에서 행해졌다. 현재에도, 시가현이나 토네강 하류역의 이바라키현 남부에서 지바현 등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지만 태양을 흉내 낸 과녁과 달을 흉내 낸 과녁을 준비하여, 태양을 흉내 낸 과녁만을, 활로 쏘아 맞추는 행사이다. 태양의 과녁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가 그려져 있고, 달의 과녁에는 토끼가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토끼는 달의 화신이며 신성한 심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불교 세계에서는 헌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이는 불교 설화집 자타카(자타카/jātakasa) 안에, 토끼가 몸을 불에 던져 선인에게 보시하는 이야기(사사자타카: 사사자타카/sasajātakasa)가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달의 상징에서 언급한 것처럼, 달 표면의 무늬를 토끼로 비유하는 것도 여기서 유래한다.
7. 1. 2. 다산과 풍요의 상징
앵글로-색슨의 다산과 풍요를 관장하는 봄의 여신 에오스트레/Ēostre영어는 그 화신 또는 사자가 토끼이다.토끼는 겨울에 잃어버린 생명이 부활하여 풀과 나무가 싹을 틔우고 꽃이 피는 재생의 봄의 상징이다. 달걀은 우주의 근원적 상징이며, 우주는 달걀에서 태어나 껍데기의 윗부분이 하늘이 되고 아랫부분이 땅이 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림 등에서도 여신은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토끼를 동반한 모습으로 그려지며, 이 토끼가 착한 아이들에게 달걀을 가져다준다고 한다. 달걀 쪽은 그림에 나타나지 않지만, 토끼와 달걀의 관계에 대해, 이 토끼는 여신이 겨울에 날개가 얼어붙은 새를 토끼로 바꾼 것이므로, 특별히 새처럼 달걀을 낳을 수 있다는 이야기나, 토끼가 봄 색깔로 칠해진 예쁜 달걀을 선물하자 여신이 매우 기뻐하며 모두에게 나눠주라고 명령했다는 이야기, 토끼가 아이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닭의 알을 정원에 숨겨 찾게 하려고 하자, 그 뒷모습을 아이들에게 들켜버렸다는 이야기 등이 전해진다. 서양에서는 현재도 봄 축제의 날 행사로, 아이들이나 초대받은 손님들이 미리 초대한 주인이 숨겨둔 정원의 달걀 찾기를 하기도 한다고 한다.
비슷한 이야기는 오스타라(Ostera), 아스타르테(Astarte), 이슈타르(Ischtar), 이난나(Inanna) 등의 여신 이름으로 유럽 각지의 신화 전설에 있으며, 거슬러 올라가면 그리스의 아프로디테나 로마의 비너스 등에도 통하며,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로마 등에서는 봄 축제에 달걀에 색을 칠해 먹는 습관이 이미 있었다고 한다. 나중에, 기독교가 들어왔을 때, 그리스도의 부활과 봄을 축하하는 여신 신앙이 "생명에 대한 희망"이라는 공통점에서 결합하여, 에오스트레(Eostre)는 부활절 (Easter)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이러한 경위로, 기독교회에서 행해지는 부활절(이스터)에서는, 생명과 부활의 상징을 달걀과 토끼에게서 찾아, 이스터 에그나 이스터 버니의 이름으로 행사에 상징 모티프로 등장시킨다. 그러나, 정교회에서는 이스터 에그뿐이며, 이교의 여신과 색짙게 결합하는 이스터 버니 쪽은 배제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 세계에서는 이솝 이야기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등에 등장하는 토끼처럼, 질서에서 벗어난 존재를 나타내는 역할을 부여받아, 허둥대는 사람, 게으름뱅이, 이계로 유혹하는 자, 트릭스터로 묘사되는 경우도 많다.
[[File:Brazilian playmates at Campus Party Brasil 2009 (2).jpg|130px|thumb|바니걸]
천적이 많은 굴토끼는 살아남기 위해 발정기를 없애고 연중 생식 행위가 가능하다[220]。
연중 발정하고 있는 짐승은 사람과 토끼(굴토끼) 정도라는 이미지에서, 성적 유혹의 상징으로 토끼가 선택되었고, 어른들의 세계의 디즈니랜드라는 컨셉을 목표로 한 미국의 고급 나이트클럽인 플레이보이 클럽의 웨이트리스의 정식 코스튬으로, "바니걸"이, 1960년에 채택되어, 카지노나 바 등에서 여성 코스튬으로 널리 채택되었다. 성인 잡지 『PLAYBOY』에서도, 연동하여 1960년부터 수컷 토끼의 머리를 디자인한 "래빗 헤드"가 캐릭터로 사용되고 있다[221]。
래빗풋(토끼 발)이라는 액막이 부적이, 1940-1960년대에 미국의 히치하이커들 사이에서 국지적으로 유행했다고 한다. 그 기원은 켈트의 일족이 몸에 지니고 있던 행운의 부적이며, 토끼의 번식력을 신성시했던 일족이, 토끼의 남근을 상징하는 토끼 발의 미라를 몸에 지니고 번영을 빌었던 것이라고 전해진다.
이처럼 예로부터 토끼는 다산 풍요·번영의 상징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여성과 어린이와 관련이 깊은 동물이며, 1960년대 무렵부터 남성 성인용 캐릭터로도 사용되었다.
오늘날 일본에서는 묘월이 4월의 봄인 것, 달맞이를 하는 것이 현재 가을인 것으로부터, 이미지로는 봄과 가을 모두 연결되어 있다. 하이쿠에서는, 들토끼나 눈토끼는 겨울의 계절어(季語)로 여겨진다.
7. 1. 3. 속도의 상징
움직임이 빠른 것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멧토끼는 천적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시속 60~80km 정도의 속도로 달릴 수 있다. 인간의 경우,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보유자라도 시속으로 환산하면 40km에도 미치지 못한다(게다가 최고 속도가 나오는 것은 찰나일 뿐)는 것을 감안하면, 토끼가 얼마나 준족인지 알 수 있다(굴토끼의 경우에는 숨을 굴을 준비해두기 때문에 그만큼 빠른 속도로 도망치는 능력이 발달하지 않아 시속 35km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토끼는 기계나 설비의 고속 동작을 나타내는 심볼로 사용되고 있다. ''헨리 드레이퍼스 심볼 소스북(Henry Dreyfuss Symbols Sourcebook)''(1972년) 시점에서 이미 탈것의 변속 기구 디자인으로 확립되어 있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222] 설비류에 사용되는 도상을 정하는 ISO 7000에 따르면, 동작 속도를 빠른 순서대로 토끼[223], 거북이[224], 달팽이[225]의 실루엣을 사용하여 나타내게 된다.[226] JIS 규격도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건설 기계의 변속 기구 조작에는 토끼와 거북이 그림이 그려져 있다.[227] 이 외에도, 재봉틀의 속도 조절로도 토끼와 거북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닛산 자동차의 브랜드 "닷선"의 "닷" 부분에 관해서, 관계자의 이니셜과 함께 빨리 달리는 것에 비유하는 "탈토(脫兎)"가 유래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철도에서도, 긴키 닛폰 철도가 쇼와 30년대에 등장시킨 긴테츠 6800계 전동차 등의 고가속 통근 전철에 "래빗카"라고 명명했고, 현재에도 간사이의 철도 팬을 중심으로 널리 침투해 있다.
7. 2. 설화 및 민속
### 한국토끼는 중국 신화, 베트남, 일본, 한국 신화에도 등장하지만, 이들 지역에서는 토끼가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었다. 한국 신화에서 일본과 마찬가지로 토끼는 달에 살면서 떡을 만든다 ("떡" 한국어).[178]
### 일본
일본에서 본 달 표면의 무늬는 옛날부터 떡을 찧는 토끼로 보였기 때문에, 일본에는 옛날부터 토끼가 달에 산다는 설화가 불교・도교 설화 또는 민간 설화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예를 들어, 불교적 설화를 많이 소재로 삼는 『今昔物語集(고금물어집)』 제5권 제13화 「세 마리의 짐승이 보살의 길을 행하고, 토끼가 몸을 불사르는 이야기」에는 다음과 같은 捨身慈悲(사신자비), 滅私献身(멸사헌신)의 상징으로서 토끼가 묘사된다.
이상이, 「지금은 옛날, 天竺에 토끼·여우·원숭이, 세 마리의 짐승이 있어, 함께 진실된 마음을 내어 보살의 길을 행했다」로 시작하여, 「모든 사람이, 달을 볼 때마다 이 토끼의 일을 떠올려야 한다」로 끝나는 설화의 줄거리이다.
헤이안 시대 말기에 원형이 성립되었다고 하며, 에도 시대에는 널리 읽혔던 『고금물어집』에 채록된 이 불교 설화는, 석존의 전생 에피소드를 모은 오래된 인도 이야기 자타카나 중국의 『대당서역기』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인다. 이 불교 설화가 언제 일본에 전해져 각지에 퍼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나라 시대 이전에 만들어진 호류지 옥충주자의 좌대 그림 뒤의 수미산 그림에서는, 제석천궁의 오른쪽에 달(안에 아마 토끼나 두꺼비)과, 왼쪽에 새빨간 태양(안에 세 발 달린 까마귀)이 이미 그려져 있다. 또한, 그 무렵에 만들어졌다고 하는 추궁사 천수국수장에도, 달을 의미하는 원 안에, 불로불사의 약 항아리와 월계수 가지와 함께 토끼가 자수되어 있다. 또한, 중국에서 유래한 도교의 신선 사상에서, 달은 서왕모라는 선인이 다스리는 세계이며, 그곳에서는 영원히 마르지 않는 나무(월계수) 아래에서 불로불사의 약을 토끼가 만들고 있다고 하며, 그곳을 방문한 미녀가 로 변해 달에 머물게 되었다는 설화가 있다[218]。
헤이안 시대의 『엔기시키(연희식)』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 해의 정기이다. 흰 토끼, 달의 정기이다」라는 기술이 이미 보이며, 토끼는 달의 상징으로서 위정자나 일본의 사찰에서도 인식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금오옥토(금오옥토)」라는 말이 있지만,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까지는, 태양과 달, 즉 온 우주를 천황이 통치한다는 의식 하에, 조정의 특별 의식 때에는 일월을 나타내는 깃발을 반드시 세우는 것으로 하고 있었다. 이 깃발에는 금오와 옥토가 각각 태양과 달의 상징으로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219]。또한, 『속일본기』 덴표 4년(732년) 정월의 조에 「御大極殿受朝.天皇始服冕服」이라고 있다. 이 해 정월에 쇼무 천황은 대극전에서 조하를 받았지만, 천황이 「곤면(곤면)」이라는 예복을 착용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라는 내용이지만, 이후, 천황의 예복이 되는 이 곤면(변)에는, 붉은 바탕의 옷의 왼쪽 어깨 부분에 금실의 원(그 안에 검은 까마귀), 오른쪽 어깨 부분에 은실의 원(그 안에 토끼와 전서)을 수놓았다. 중국 황제가 검은 바탕에 왼쪽 어깨에 달, 오른쪽 어깨에 태양의 예복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의 영향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달의 상징으로서의 토끼는, 불교・도교적 배경을 가진 의장에 그치지 않고, 일본의 소박한 민간 신사에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 중국, 인도, 아이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각지에 전해지는 「해를 쏘는 신화」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원래라면, 하나여야 할 태양의 수가 너무 많아져서 맹서 대한발이 되어, 곤경에 처한 인간들은 지혜를 짜내어, 너무 많아진 가짜 태양을 쏘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도 각지에서 호사제(오비샤, 오코나이 등이라고도 한다)라고 불리는 활 신사가 민간에서 행해졌다. 현재에도, 시가현이나 토네강 하류역의 이바라키현 남부에서 지바현 등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지만 태양을 흉내 낸 과녁과 달을 흉내 낸 과녁을 준비하여, 태양을 흉내 낸 과녁만을, 활로 쏘아 맞추는 행사이다. 태양의 과녁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가 그려져 있고, 달의 과녁에는 토끼가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토끼는 달의 화신이며 신성한 심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토끼를 "산의 신"과 동일시하거나 "산의 신의 사자(신사)" 또는 탈것으로 여기는 전승도 일본 각지에서 널리 나타난다.
시가현 다카시마군에서는 산의 신 제삿날에 산의 신은 하얀 토끼를 타고 산을 돈다, 산의 신은 흰 토끼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여겨지며, 교토부 아타고군에서는 씨족신 미와 신사 경내에 모셔진 산의 신의 2월 제삿날에는 흰 토끼가 벼 씨앗을 뿌리고, 11월 제삿날에는 흰 토끼가 벼 이삭을 줍는다고 하여, 흰 토끼는 절대로 잡아서는 안 된다고 여겨진다. 또한, 후쿠이현 미카타군에서는 토끼는 산의 신의 사자로 여겨져 산의 신 제삿날에 산에 들어가는 것을 금하는 것과 함께 전해지고 있다.
또한, 후쿠시마현에서는 아즈마산의 경사면의 눈 녹는 모양(녹아 남은 눈이 하얗게 있는 부분)을 흰 토끼의 모습으로 비유하여, "눈토끼" 또는 "씨앗 뿌리는 토끼"라고 부르며, 이를 모내기 씨앗 뿌리는 신호로 삼았다. 후쿠시마시에는 "아즈마야마 아래의 잔설이 토끼 모양으로 보일 때가 되면 늦서리의 걱정이 없다"라는 날씨 속담도 있으며, 또한 가뭄 때 솔개에게 잡혀간 토끼가 산의 신이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토끼가 각지에서 산의 신과 동일시되어 온 것은, 인간이 사는 마을과 신이나 동물이 있는 산을 가볍게 오가는 것에서 경계를 넘는 존재로서의 숭배, 다산으로 번식력이 풍부한 것에서 풍요를 관장하는 의미, 그리고 동일본의 멧토끼는 겨울에는 털가죽이 새하얗게 변하는 것에서 흰 동물을 신성시하는 생각(백조 등을 신성시하는 옛날부터의 백색에 대한 신앙), 서일본의 멧토끼는 하얗지는 않지만 돌연변이로 하얗게 된 동물을 상서로운 징조로 여기는 생각(흰 뱀, 흰 사슴, 흰 거북 등이 조정에 헌상된 예 등에도 보이는 희귀한 백색에 대한 신앙) 등 다양한 배경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츠쿠요미노미코토(풍산 기원)나 오오아나무치노미코토(오오쿠니누시노미코토), 미케츠카미(오곡 풍요) 등을 제신으로 하는 사찰에서는 그 제신의 성격으로 인해 토끼를 신의 사자로 삼는 곳도 많다. 『고지키』에는 오오쿠니누시노미코토에게 구원받는 토끼의 이야기로 "이나바의 흰 토끼"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토끼는 도교・음양사상의 영향을 받은 십이지의 생초 중 하나이기도 하며, "묘(卯)"로 역시 방위도 나타내 왔다(다만 동남아시아에서는 고양이가 대신한다).
신토 세계에서는 신의 사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오사카의 스미요시타이샤, 사이타마의 쓰키진자, 교토의 오카자키 신사 등의 신사로 알려져 있다. 쓰키진자나 오카자키 신사에는 고마이누가 아닌 고마토끼가 있다.
분류:토끼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
와라베우타로 "토끼 토끼 뭘 보고 뛰니 보름달을 보고 뛰지"(성립 연도, 작사, 작곡 불명)라고 예로부터 불려 왔으며, 토끼는 옛날이야기에도 자주 등장하는 친근한 동물이었다. 일본의 옛날이야기로는, 토끼가 기지를 발휘하여 악의 상징인 너구리를 벌하는 "까치산" 형의 설화가 잘 알려져 있으며, 그곳에서 토끼는 지혜로운 존재, 혹은 악을 징벌하는 존재로 존재하고 있다. 다만, 토끼의 현명함이 때로는 교활함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까치산"의 후일담이라고 할 수 있는 『부모의 원수를 갚는 복고 북소리』(호세이도 키사니 작)에서는, 토끼는 과거 자신이 손을 댄 너구리의 자식에게 원수로 쫓기고 있다.
한편, "너구리와 토끼와 여우의 떡 나누기"라는 민화에서는, 토끼는 너구리와 함께, 교활한 여우에게 속는 역할로 등장한다.
서양의 이솝 이야기를 원형으로 하여 메이지 시대 이후에 널리 퍼진 "토끼와 거북이" 설화에서는, 특기 분야에서 상대를 얕보다가 패배한 어리석은 자로 묘사된다.
그 외에도, 달에 대한 민간 신앙과의 관련성 때문인지, 그 사랑스러운 모습을 디자인한 것은 예로부터 순산, 여성과 아이의 수호신으로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향토 완구 외에도 다양한 도구의 의장에 사용되었다. 또한, 요곡(노)에서 『죽생도』(치쿠부지마)에서 "달이 바다 위에 떠오르고 토끼도 파도를 달리네 재미있는 섬의 풍경이여"라고 불린 것 등으로부터, 에도 시대에는 파도 위를 뛰는 토끼가 상서로운 문양으로 서민들의 옷 문양이나 건축 의장에 사용되었다.
### 서양
토끼는 교활함을 이용하여 적을 속이는 트릭스터 원형으로 민간 설화에 자주 등장한다. 중앙 아프리카에서는 흔한 토끼(''칼룰루'')가 트릭스터로 묘사되며,[165] 아즈텍 신화에서는 오메토치틀리 또는 두 마리 토끼가 이끄는 센존 토토친으로 알려진 400마리의 토끼 신들의 무리가 풍요, 축제, 술 취함을 나타냈다.[166] 아메리카 대륙의 토끼는 신화적 상징에서 다양성을 보였다. 아즈텍 신화에서 그들은 또한 달과 연관되었으며,[166] 아니시나베 전통 신념에서는 오지브웨를 비롯한 일부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믿는, 나나보조 또는 위대한 토끼[167]는 세계 창조와 관련된 중요한 신이다.[168] 더 일반적으로 토끼 발은 부적으로 가지고 다니며, 보호와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진다. 이러한 믿음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며, 가장 초기의 사용은 유럽에서 기원전 600년경으로 기록되었다.[169]
토끼는 종교적 상징으로도 등장했다. 불교, 기독교, 유대교는 "세 마리 토끼" (또는 "세 마리 산토끼")라고 불리는 고대 원형 모티프와 관련이 있다. 그 의미는 "평화와 평온"[179]에서 삼위일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180] 삼자 기호는 또한 문장학에도 나타난다.[181] 유대교 민간 설화에서 토끼는 비겁함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현대 이스라엘 구어 히브리어에서도 사용된다. 원래 히브리어 단어 (shfanim, שפנים)는 바위너구리를 지칭하지만, 북유럽에는 바위너구리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초기 영어 번역에서는 이 단어를 "토끼"로 해석했다.[182]
7. 2. 1. 한국
토끼는 중국 신화, 베트남, 일본, 한국 신화에도 등장하지만, 이들 지역에서는 토끼가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었다. 한국 신화에서 일본과 마찬가지로 토끼는 달에 살면서 떡을 만든다 ("떡" 한국어).[178]7. 2. 2. 일본
일본에서 본 달 표면의 무늬는 옛날부터 떡을 찧는 토끼로 보였기 때문에, 일본에는 옛날부터 토끼가 달에 산다는 설화가 불교・도교 설화 또는 민간 설화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예를 들어, 불교적 설화를 많이 소재로 삼는 『今昔物語集(고금물어집)』 제5권 제13화 「세 마리의 짐승이 보살의 길을 행하고, 토끼가 몸을 불사르는 이야기」에는 다음과 같은 捨身慈悲(사신자비), 滅私献身(멸사헌신)의 상징으로서 토끼가 묘사된다.
이상이, 「지금은 옛날, 天竺에 토끼·여우·원숭이, 세 마리의 짐승이 있어, 함께 진실된 마음을 내어 보살의 길을 행했다」로 시작하여, 「모든 사람이, 달을 볼 때마다 이 토끼의 일을 떠올려야 한다」로 끝나는 설화의 줄거리이다.
헤이안 시대 말기에 원형이 성립되었다고 하며, 에도 시대에는 널리 읽혔던 『고금물어집』에 채록된 이 불교 설화는, 석존의 전생 에피소드를 모은 오래된 인도 이야기 자타카나 중국의 『대당서역기』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인다. 이 불교 설화가 언제 일본에 전해져 각지에 퍼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나라 시대 이전에 만들어진 호류지 옥충주자의 좌대 그림 뒤의 수미산 그림에서는, 제석천궁의 오른쪽에 달(안에 아마 토끼나 두꺼비)과, 왼쪽에 새빨간 태양(안에 세 발 달린 까마귀)이 이미 그려져 있다. 또한, 그 무렵에 만들어졌다고 하는 추궁사 천수국수장에도, 달을 의미하는 원 안에, 불로불사의 약 항아리와 월계수 가지와 함께 토끼가 자수되어 있다. 또한, 중국에서 유래한 도교의 신선 사상에서, 달은 서왕모라는 선인이 다스리는 세계이며, 그곳에서는 영원히 마르지 않는 나무(월계수) 아래에서 불로불사의 약을 토끼가 만들고 있다고 하며, 그곳을 방문한 미녀가 로 변해 달에 머물게 되었다는 설화가 있다[218]。
헤이안 시대의 『엔기시키(연희식)』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 해의 정기이다. 흰 토끼, 달의 정기이다」라는 기술이 이미 보이며, 토끼는 달의 상징으로서 위정자나 일본의 사찰에서도 인식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금오옥토(금오옥토)」라는 말이 있지만,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까지는, 태양과 달, 즉 온 우주를 천황이 통치한다는 의식 하에, 조정의 특별 의식 때에는 일월을 나타내는 깃발을 반드시 세우는 것으로 하고 있었다. 이 깃발에는 금오와 옥토가 각각 태양과 달의 상징으로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219]。또한, 『속일본기』 덴표 4년(732년) 정월의 조에 「御大極殿受朝.天皇始服冕服」이라고 있다. 이 해 정월에 쇼무 천황은 대극전에서 조하를 받았지만, 천황이 「곤면(곤면)」이라는 예복을 착용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라는 내용이지만, 이후, 천황의 예복이 되는 이 곤면(변)에는, 붉은 바탕의 옷의 왼쪽 어깨 부분에 금실의 원(그 안에 검은 까마귀), 오른쪽 어깨 부분에 은실의 원(그 안에 토끼와 전서)을 수놓았다. 중국 황제가 검은 바탕에 왼쪽 어깨에 달, 오른쪽 어깨에 태양의 예복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의 영향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달의 상징으로서의 토끼는, 불교・도교적 배경을 가진 의장에 그치지 않고, 일본의 소박한 민간 신사에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 중국, 인도, 아이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각지에 전해지는 「해를 쏘는 신화」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원래라면, 하나여야 할 태양의 수가 너무 많아져서 맹서 대한발이 되어, 곤경에 처한 인간들은 지혜를 짜내어, 너무 많아진 가짜 태양을 쏘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도 각지에서 호사제(오비샤, 오코나이 등이라고도 한다)라고 불리는 활 신사가 민간에서 행해졌다. 현재에도, 시가현이나 토네강 하류역의 이바라키현 남부에서 지바현 등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지만 태양을 흉내 낸 과녁과 달을 흉내 낸 과녁을 준비하여, 태양을 흉내 낸 과녁만을, 활로 쏘아 맞추는 행사이다. 태양의 과녁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가 그려져 있고, 달의 과녁에는 토끼가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토끼는 달의 화신이며 신성한 심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토끼를 "산의 신"과 동일시하거나 "산의 신의 사자(신사)" 또는 탈것으로 여기는 전승도 일본 각지에서 널리 나타난다.
시가현 다카시마군에서는 산의 신 제삿날에 산의 신은 하얀 토끼를 타고 산을 돈다, 산의 신은 흰 토끼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여겨지며, 교토부 아타고군에서는 씨족신 미와 신사 경내에 모셔진 산의 신의 2월 제삿날에는 흰 토끼가 벼 씨앗을 뿌리고, 11월 제삿날에는 흰 토끼가 벼 이삭을 줍는다고 하여, 흰 토끼는 절대로 잡아서는 안 된다고 여겨진다. 또한, 후쿠이현 미카타군에서는 토끼는 산의 신의 사자로 여겨져 산의 신 제삿날에 산에 들어가는 것을 금하는 것과 함께 전해지고 있다.
또한, 후쿠시마현에서는 아즈마산의 경사면의 눈 녹는 모양(녹아 남은 눈이 하얗게 있는 부분)을 흰 토끼의 모습으로 비유하여, "눈토끼" 또는 "씨앗 뿌리는 토끼"라고 부르며, 이를 모내기 씨앗 뿌리는 신호로 삼았다. 후쿠시마시에는 "아즈마야마 아래의 잔설이 토끼 모양으로 보일 때가 되면 늦서리의 걱정이 없다"라는 날씨 속담도 있으며, 또한 가뭄 때 솔개에게 잡혀간 토끼가 산의 신이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토끼가 각지에서 산의 신과 동일시되어 온 것은, 인간이 사는 마을과 신이나 동물이 있는 산을 가볍게 오가는 것에서 경계를 넘는 존재로서의 숭배, 다산으로 번식력이 풍부한 것에서 풍요를 관장하는 의미, 그리고 동일본의 멧토끼는 겨울에는 털가죽이 새하얗게 변하는 것에서 흰 동물을 신성시하는 생각(백조 등을 신성시하는 옛날부터의 백색에 대한 신앙), 서일본의 멧토끼는 하얗지는 않지만 돌연변이로 하얗게 된 동물을 상서로운 징조로 여기는 생각(흰 뱀, 흰 사슴, 흰 거북 등이 조정에 헌상된 예 등에도 보이는 희귀한 백색에 대한 신앙) 등 다양한 배경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츠쿠요미노미코토(풍산 기원)나 오오아나무치노미코토(오오쿠니누시노미코토), 미케츠카미(오곡 풍요) 등을 제신으로 하는 사찰에서는 그 제신의 성격으로 인해 토끼를 신의 사자로 삼는 곳도 많다. 『고지키』에는 오오쿠니누시노미코토에게 구원받는 토끼의 이야기로 "이나바의 흰 토끼"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토끼는 도교・음양사상의 영향을 받은 십이지의 생초 중 하나이기도 하며, "묘(卯)"로 역시 방위도 나타내 왔다(다만 동남아시아에서는 고양이가 대신한다).
신토 세계에서는 신의 사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오사카의 스미요시타이샤, 사이타마의 쓰키진자, 교토의 오카자키 신사 등의 신사로 알려져 있다. 쓰키진자나 오카자키 신사에는 고마이누가 아닌 고마토끼가 있다.
분류:토끼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
와라베우타로 "토끼 토끼 뭘 보고 뛰니 보름달을 보고 뛰지"(성립 연도, 작사, 작곡 불명)라고 예로부터 불려 왔으며, 토끼는 옛날이야기에도 자주 등장하는 친근한 동물이었다. 일본의 옛날이야기로는, 토끼가 기지를 발휘하여 악의 상징인 너구리를 벌하는 "까치산" 형의 설화가 잘 알려져 있으며, 그곳에서 토끼는 지혜로운 존재, 혹은 악을 징벌하는 존재로 존재하고 있다. 다만, 토끼의 현명함이 때로는 교활함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까치산"의 후일담이라고 할 수 있는 『부모의 원수를 갚는 복고 북소리』(호세이도 키사니 작)에서는, 토끼는 과거 자신이 손을 댄 너구리의 자식에게 원수로 쫓기고 있다.
한편, "너구리와 토끼와 여우의 떡 나누기"라는 민화에서는, 토끼는 너구리와 함께, 교활한 여우에게 속는 역할로 등장한다.
서양의 이솝 이야기를 원형으로 하여 메이지 시대 이후에 널리 퍼진 "토끼와 거북이" 설화에서는, 특기 분야에서 상대를 얕보다가 패배한 어리석은 자로 묘사된다.
그 외에도, 달에 대한 민간 신앙과의 관련성 때문인지, 그 사랑스러운 모습을 디자인한 것은 예로부터 순산, 여성과 아이의 수호신으로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향토 완구 외에도 다양한 도구의 의장에 사용되었다. 또한, 요곡(노)에서 『죽생도』(치쿠부지마)에서 "달이 바다 위에 떠오르고 토끼도 파도를 달리네 재미있는 섬의 풍경이여"라고 불린 것 등으로부터, 에도 시대에는 파도 위를 뛰는 토끼가 상서로운 문양으로 서민들의 옷 문양이나 건축 의장에 사용되었다.
토끼의 일본어에서의 수량사는, 과거 1羽(와), 2羽(와)와 같이 새와 동일하게 "羽(와)"를 사용했다. 이러한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육식(獸肉食)이 금지되었던 시대에, 두 발로 서 있는 모습이 조류로 보이기 때문에, "토끼는 짐승이 아니라 새다"라고 간주하여 먹었다는 설[234]。
- 마찬가지로 육식이 금지되었던 시대에, "토끼는 우(鵜)(가마우지)와 사기(鷺)(백로)로 나눌 수 있으므로 새다"라고 억지를 부려 먹었다는 설.
- 사냥감은 귀를 묶어 가지고 다니며, 한 줌으로 쥐는 것을 一把(이치와), 二把(니와)라고 세었던 것에서 훗날 羽(와)로 이어진다는 설.
- 치바 도쿠지(千葉徳爾)는 '수렵 전승(狩猟伝承)'(1975)에서, 산기슭에 설치한 그물에 토끼를 몰아넣는 수렵법이, 새의 수렵과 공통점이 있었기 때문에, "羽"로 세었다는 설을 소개하고 있다.
'羽'는 포유류가 아닌 조류를 세는 수량사이며, '頭(마리)'는 사람보다 큰 동물, '匹(마리)'는 사람보다 작은 동물에게 사용한다는 경향을 볼 때, 토끼는 '匹'로 세는 것이 자연스러우며, 'NHK 방송의 말 핸드북(NHK放送のことばハンドブック)'에서는 (문학이나 식용으로 취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살아있는 토끼는 "匹"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고 있다. 애완용 토끼는 일상적으로 "匹" 또는 "羽"를 사용하지만, 상거래에서는 "頭"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동물 전반에 대해, 동물의 크기로 구분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頭(마리)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조류나 작은 곤충도, 一頭(한 마리) 二頭(두 마리)라고 센다), NHK의 뉴스에서도 생물학적인 화제로 보도하는 경우에는, "아마미오섬에 서식하는 검은 토끼는 ~ 현재는 불과 600頭(마리)만 확인되고 있을 뿐이다"와 같이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7. 2. 3. 서양
토끼는 교활함을 이용하여 적을 속이는 트릭스터 원형으로 민간 설화에 자주 등장한다. 중앙 아프리카에서는 흔한 토끼(''칼룰루'')가 트릭스터로 묘사되며,[165] 아즈텍 신화에서는 오메토치틀리 또는 두 마리 토끼가 이끄는 센존 토토친으로 알려진 400마리의 토끼 신들의 무리가 풍요, 축제, 술 취함을 나타냈다.[166] 아메리카 대륙의 토끼는 신화적 상징에서 다양성을 보였다. 아즈텍 신화에서 그들은 또한 달과 연관되었으며,[166] 아니시나베 전통 신념에서는 오지브웨를 비롯한 일부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믿는, 나나보조 또는 위대한 토끼[167]는 세계 창조와 관련된 중요한 신이다.[168] 더 일반적으로 토끼 발은 부적으로 가지고 다니며, 보호와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진다. 이러한 믿음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며, 가장 초기의 사용은 유럽에서 기원전 600년경으로 기록되었다.[169]토끼는 종교적 상징으로도 등장했다. 불교, 기독교, 유대교는 "세 마리 토끼" (또는 "세 마리 산토끼")라고 불리는 고대 원형 모티프와 관련이 있다. 그 의미는 "평화와 평온"[179]에서 삼위일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180] 삼자 기호는 또한 문장학에도 나타난다.[181] 유대교 민간 설화에서 토끼는 비겁함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현대 이스라엘 구어 히브리어에서도 사용된다. 원래 히브리어 단어 (shfanim, שפנים)는 바위너구리를 지칭하지만, 북유럽에는 바위너구리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초기 영어 번역에서는 이 단어를 "토끼"로 해석했다.[182]
7. 3. 현대 문화
교활한 동물로서의 토끼는 미국 대중 문화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브레어 래빗(아프리카계 미국 민간 설화[183]와 이후 디즈니 애니메이션[184]에서), 벅스 버니(워너 브라더스의 만화 캐릭터)[185] 등이 있다.
의인화된 토끼는 영화와 문학 작품에 등장했으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하얀 토끼와 3월의 토끼 캐릭터), ''워터십 다운''(영화와 텔레비전 각색 포함), 로버트 로손의 ''래빗 힐'', 비아트릭스 포터의 ''피터 래빗'' 이야기가 있다. 1920년대에는 ''오스왈드 더 럭키 래빗''이 인기 있는 만화 캐릭터였다.[186]
영국 도싯의 포틀랜드 섬에서는 토끼가 불운하다고 여겨지며, 섬의 노인들 앞에서 토끼의 이름을 말하면 언짢은 일이 생길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지역 채석 산업 초창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토끼가 굴을 파는 경향이 있어 벽이 약해지고 무너지면 부상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오늘날 지역 문화에서는 토끼를 언급해야 할 경우, 불운을 초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긴 귀" 또는 "지하 양고기"라고 부르기도 한다.[187]
영국과 북미의 다른 지역에서는 "Rabbit rabbit rabbit"이 매달 첫날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토끼"라는 단어를 큰 소리로 말하거나 반복하는 부적 또는 행운의 부적 미신의 한 변형이다. 그렇게 하면 그 달 동안 행운을 보장한다고 믿기 때문이다.[188]
"토끼 검사"는 1949년에 처음 사용된 용어로, 인간의 임신을 감지하는 초기 진단 도구인 프리드먼 검사를 지칭한다. 검사 대상 토끼가 여성이 임신했을 경우 죽는다는 것은 흔한 오해이다. 이로 인해 "토끼가 죽었다"라는 문구가 양성 임신 테스트의 완곡 어구로 사용되었다.[189]
많은 현대 어린이 이야기와 만화에서는 토끼가 당근을 특히 좋아한다고 묘사하는데, 이는 1934년 로맨틱 코미디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에서 클라크 게이블이 연기한 피터 웨인 캐릭터를 본떠 당근을 먹는 벅스 버니의 인기에 힘입은 바가 크다.[190] 이는 야생 토끼가 다른 식물보다 당근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 당근은 당분이 많고 과도한 섭취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191] 이로 인해 일부 애완 토끼 주인들은 이러한 잘못된 인식에 근거하여 당근 위주의 식단을 먹이기도 한다.[192][193]
토끼는 서식지가 넓고 주행성이며 번식률도 높아 사람들의 눈에 띄기 쉬워 친근하며, 의인화되어 동화나 설화의 모티프로서 사용되고 있다. 피터 래빗의 작가 비아트릭스 포터는 자신이 기르던 토끼를 상세하게 데생, 스케치하고 해부학적으로도 연구하여 그렸다. 서양, 동양을 막론하고 어린이용품을 취급하는 기업의 마스코트나 심볼 마크에 토끼를 사용하고 있다.[217]
8. 환경 문제
토끼, 특히 유럽 토끼는 인간에 의해 야생으로 유입되었을 때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되어 왔다.[19] 식욕과 번식률로 인해 야생화된 토끼의 피해는 농업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토끼 개체수를 통제하기 위해 가스 살포(굴 훈증)[121], 방어벽(울타리)[122], 사격, 올가미, 그리고 족제비 사냥[123][124] 등이 사용되어 왔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점액종증과 칼리시 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이다.[126] 유럽에서는 가축 토끼를 대규모로 사육하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통해 점액종증과 칼리시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127] 호주의 토끼와 뉴질랜드의 토끼는 심각한 해충으로 간주되어 토지 소유자는 법적으로 토끼를 통제해야 할 의무가 있다.[128][129]
토끼는 불이 붙어 산불을 확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의 효율성과 관련성에 대해서는 불에 탄 토끼가 몇 미터 정도 움직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산림 전문가들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다.[130][131] 불을 확산시키는 토끼에 대한 지식은 이 주제에 대한 알려진 과학적 조사가 없기 때문에 일화에 근거한다.[131]
참조
[1]
어원사전
coney
2024-09-17
[2]
학술지
Growth of suckled rabbit kits depending on litter size at birth
[3]
학술지
Multiple complex congenital malformations in a rabbit kit (Oryctolagus cuniculi)
[4]
어원사전
bunny
2024-10-21
[5]
학술지
"Cuniculus' 'Rabbit' — A Celtic Etymology"
http://www.continuit[...]
2002
[6]
서적
An Exaltation of Larks: The Ultimate Edition
Penguin Books
1993-11-01
[7]
웹사이트
Warren Definition & Meaning
https://www.britanni[...]
2024-10-07
[8]
뉴스
Breeding and Reproduction of Rabbits
https://www.merckvet[...]
2024-10-07
[9]
웹사이트
Common Questions: What Do You Call a Group of...?
http://www.npwrc.usg[...]
U.S. Geological Survey Northern Prairie Wildlife Research Center
2018-02-26
[10]
웹사이트
Buck
https://www.dictiona[...]
Random House, Inc.
2024-10-06
[11]
웹사이트
Doe
https://www.dictiona[...]
2024-10-06
[12]
인용
Classification of Rodents
https://link.springe[...]
Springer US
2024-09-16
[13]
학술지
Stem Lagomorpha and the antiquity of Glires
2005-02
[14]
학술지
Parallel adaptive radiations in two major clades of placental mammals
2001-02
[15]
학술지
Rodent Phylogeny and a Timescale for the Evolution of Glires: Evidence from an Extensive Taxon Sampling Using Three Nuclear Genes
https://academic.oup[...]
2002-07-01
[16]
학술지
A Molecular Supermatrix of the Rabbits and Hares (Leporidae) Allows for the Identification of Five Intercontinental Exchanges During the Miocene
2004
[17]
간행물
MSW3 Hoffmann
[18]
인용
Cape Hare Lepus capensis Linnaeus, 1758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9-16
[19]
인용
Rabbits and Hare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10-09
[20]
학술지
Description of the nursery burrow of the Mexican cottontail rabbit Sylvilagus cunicularius under seminatural conditions
http://link.springer[...]
2014-01
[21]
웹사이트
Desert Cottontail (''Sylvilagus audubonii'')
http://tpwd.texas.go[...]
[22]
서적
Rabbits, hares, and pikas :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1990
[23]
학술지
Belgian Hare, A Misleading Misnomer
https://www.jstor.or[...]
1916
[24]
간행물
DomesticRabbitsWhitman
[25]
인용
Lagomorpha Diet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11-13
[26]
학술지
Rabbits and the Specious Origins of Domestication
http://qmro.qmul.ac.[...]
[27]
학술지
Rabbit as an animal model for experimental research
2012
[28]
서적
Issues on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Australian Society for the Study of Labour History/Leftbank Press
2014
[29]
학술지
Rabbit meat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te of knowledge and future perspectives
2018
[30]
인용
Meat Production
http://www.cabidigit[...]
CABI
2024-05-23
[31]
웹사이트
"Oryctolagus cuniculus"
https://animaldivers[...]
2024-05-21
[32]
학술지
Heterochrony within species: craniofacial growth in giant, standard, and dwarf rabbits
1997-02
[33]
인용
Rabbit Breeds
http://www.cabidigit[...]
CABI
2024-05-14
[34]
서적
Stories Rabbits Tell
https://archive.org/[...]
Lantern Books
2003
[35]
서적
Proper Care of Rabbits
https://books.google[...]
TFH Publications, Incorporated
1995
[36]
Citation
Angora Wool Production
http://www.cabidigit[...]
CABI
2022-05-11
[37]
Cite journal
Stem Lagomorpha and the antiquity of Glires
2005-02-18
[38]
Cite journal
Rabbit respiratory system: clinical anatomy, physiology and disease
2011-05
[39]
Cite book
Ferrets, Rabbits, and Rodents: Clinical Medicine and Surgery
2020
[40]
Cite journal
Evolutionary history of 7SL RNA-derived SINEs in Supraprimates
2007-04
[41]
Cite journal
Rabbit hindlimb kinematics and ground contact kinetics during the stance phase of gait
2022-06-17
[42]
cite journal
Sex differences in human-directed social behavior in pet rabbits
2016-09
[43]
cite web
Deformed claws in a rabbit, after traumatic fractures
http://www.medirabbi[...]
MediRabbit
[44]
cite encyclopedia
rabbit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45]
Citation
Models in Ophthalmology and Vision Research
Elsevier
1994
[46]
Cite book
Practical anatomy of the rabbit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Press
1910
[47]
뉴스
Descrip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abbits – All Other Pets – Merck Veterinary Manual
https://www.merckvet[...]
2018-05-11
[48]
웹사이트
Rabbit Anatomy
http://www.exoticpet[...]
2018-05-11
[49]
Citation
Lagomorpha Locomotion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
[50]
Cite book
Rabbits: the animal answer guid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51]
cite journal
Muscle action, bone rarefaction and bone formation
1958-05
[52]
cite journal
Skeletal muscle architecture of the rabbit hindlimb: Functional implications of muscle design
1989-01
[53]
Citation
Eastern Cottontail Sylvilagus floridanus (J. A. Allen, 1890)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
[54]
cite journal
The influence of Physical conditions in the genesis of species
http://people.wku.ed[...]
[55]
Cite journal
Allen's Rule in North American Rabbits (Sylvilagus) and Hares (Lepus) Is an Exception, Not a Rule
https://www.jstor.or[...]
1986
[56]
웹사이트
Black-tailed Jackrabbit - Lepus californicus
https://fieldguide.m[...]
Montana Natural Heritage Program and Montana Fish, Wildlife and Parks
2024-09-24
[57]
Cite journal
The rabbit ear as a temperature sensor
1971-08-01
[58]
Cite journal
Single Unit Responses of Rabbit Ear-Muscles to Postural and Accelerative Stimulation
1971
[59]
Cite journal
Lateral Ear Canal Resection and Ablation in Pet Rabbits
http://www.ivis.org/[...]
2006
[60]
Cite journal
Rabbit Ears: A Structural Look: ...injury or disease, can send your rabbit into a spin
https://rabbit.org/j[...]
2018
[61]
Cite journal
Acclimatization of Thermoregulation in the Desert Cottontail, Sylvilagus audubonii
1973-08-31
[62]
cite book
Rabbit production in hot climates
CIHEAM
[63]
Cite journal
Environmental heat stress in rabbits: implications and ameliorations
https://link.springe[...]
2022-01
[64]
Cite journal
Seasonal variation in behavioral thermoregulation and predator avoidance in a small mammal
http://academic.oup.[...]
2017-09-01
[65]
Cite journal
Approach to Rabbit Respiratory Disease
https://www.vin.com/[...]
2012
[66]
Cite journal
Rabbit Respiratory System: Clinical Anatomy, Physiology and Disease
[67]
Cite journal
Morphological Study of Rabbit Lung, Bronchial Tree, and Pulmonary Vessels Using Corrosion Cast Technique
https://www.research[...]
2015
[68]
Cite book
Ferrets, Rabbits, and Rodents: Clinical Medicine and Surgery
2020
[69]
cite book
The Experimental Animal in Biomedical Research: Care, Husbandry, and Well-Being-An Overview by Species, Volume 2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5-03-13
[70]
웹사이트
The Digestive System of the Rabbit
http://articles.exte[...]
2011-11-04
[71]
웹사이트
Living with a House Rabbit
http://rabbitsintheh[...]
2017-09-21
[72]
논문
The rabbit as a model for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studies
[73]
웹사이트
Rabbit Reproduction Basics
https://lafeber.com/[...]
2014-05-05
[74]
논문
Composition of Rabbit Semen and the Origin of Several Constituents
https://academic.oup[...]
1978-03-01
[75]
논문
High Catalase Content of Rabbit Semen Appears to be Inherited
https://onlinelibrar[...]
2000-09-10
[76]
서적
The Biology of the Laboratory Rabbit
1974
[77]
서적
Rabbit Production, 10th Edition
https://books.google[...]
CABI
2022-04-29
[78]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Mating Process for Breeding Rabbits
http://florida4h.org[...]
2019-04-12
[79]
논문
Stress reactivity near birth affects nest building timing and offspring number and survival in the European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2021
[80]
논문
The rabbit: a diurnal or a nocturnal animal?
[81]
논문
40 Winks?
2011-07
[82]
논문
Sleep—wakefulness rhythms in the rabbit
1986-05
[83]
논문
Behavioral, neuroendocrine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of the circadian biology of male and female rabbits
2020
[84]
웹사이트
The Rabbit Eye: A Complete Guide
https://rabbit.org/h[...]
Rabbit.Org Foundation
2024-09-17
[85]
서적
Australia's War Against Rabbits
http://www.publish.c[...]
CSIRO Publishing
[86]
논문
Viral skin diseases of the rabbit
2013
[87]
논문
''Encephalitozoon cuniculi'' in pet rabbits: diagnosis and optimal management
2014
[88]
웹사이트
Parasites of Rabbits
http://www.exoticpet[...]
2013-04-08
[89]
웹사이트
Internal Parasites of Rabbits
http://netvet.wustl.[...]
2013-04-08
[90]
웹사이트
GastroIntestinal Stasis, The Silent Killer
http://www.bio.miami[...]
2017-09-21
[91]
웹사이트
Rabies: Other Wild Animal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11-15
[92]
웹사이트
Rabbit hemorrhagic disease
https://www.avma.org[...]
2022-08-07
[93]
논문
Rabbit haemorrhagic disease (RHD) and rabbit haemorrhagic disease virus (RHDV): a review
2012-02-10
[94]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rabbit hemorrhagic disease virus (RHDV) and new RHDV2 virus antigenicity, using specific virus-like particles
2015-09-24
[95]
논문
Incursions of rabbit haemorrhagic disease virus 2 in Canada—Clinical, molecular an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https://onlinelibrar[...]
2021-07
[96]
논문
Sustained Impact of RHDV2 on Wild Rabbit Populations across Australia Eight Years after Its Initial Detection
2023-05-12
[97]
웹사이트
Deadly rabbit disease confirmed in Thurston County; vets urge vaccination
https://agr.wa.gov/a[...]
2020-09-25
[98]
논문
Niche relations among three sympatric Mediterranean carnivores
http://www.uam.es/pe[...]
[99]
서적
Behavior of Exotic Pets
https://books.google[...]
Wiley Blackwell
[100]
논문
The primate fovea: Structure, function and development
https://www.scienced[...]
2018-09-01
[101]
논문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Awake Rabbits Allows Identification of the Visual Streak, a Comparison with Histology
https://tvst.arvojou[...]
2020-04-23
[102]
서적
Stories Rabbits Tell: A Natural And Cultural History of A Misunderstood Creature
https://books.google[...]
Lantern Books
[103]
서적
Guinness World Records 2014
https://archive.org/[...]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104]
웹사이트
Cottontail rabbit
https://www.in.gov/d[...]
2021-01-29
[105]
서적
Longevity Records
https://www.demogr.m[...]
Odense University Press
2000
[106]
웹사이트
AnAge entry for ''Brachylagus idahoensis''
https://genomics.sen[...]
Human Ageing Genomic Resources
2024-10-08
[107]
서적
Longevity of Mammals in Captivity; from the Living Collections of the World
Kleine Senckenberg-Reihe 48
[108]
웹사이트
AnAge entry for ''Oryctolagus cuniculus''
https://genomics.sen[...]
Human Ageing Genomic Resources
2024-10-08
[109]
논문
Variation in actuarial senescence does not reflect life span variation across mammals
2019-09-13
[110]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Lagomorphs in Response to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013-04-03
[111]
웹사이트
Sylvilagus aquaticus (swamp rabbit)
http://animaldiversi[...]
2013-05-27
[112]
간행물
Lagomorpha Life History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11-13
[113]
논문
The ec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wild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1940-11
[114]
논문
Mammalian Evolution and the Great American Interchange
https://www.jstor.or[...]
1982
[115]
서적
Neotropical Rainforest Mammals: A Field Guid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6]
논문
Lack of evidence of significant impact of European rabbits on Patagonian forest regeneration
https://link.springe[...]
2023-08
[117]
논문
Animals and man in space. A chronology and annotated bibliography through the year 1960
https://archive.org/[...]
2024-09-10
[118]
논문
Scent marking by the male domestic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is stimulated by an object's novelty and its specific visual or tactile characteristics
https://www.scienced[...]
2010-03-05
[119]
웹사이트
Scent glands
https://rabbitwelfar[...]
2024-09-10
[120]
논문
Scent marking, dominance and serum testosterone levels in male domestic rabbits
https://linkinghub.e[...]
2008-06
[121]
웹사이트
Rabbit control: fumigation
https://www.agric.wa[...]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2021-09-25
[122]
논문
History of the state vermin barrier fences, formerly known as rabbit proof fences
https://library.dpir[...]
2023-05-03
[123]
논문
The use of ferrets (Mustela furo) in the study and management of the European wild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1984-12-01
[124]
서적
Managing Vertebrate Pests: Rabbits
Australian Govt. Pub. Service
1995
[125]
서적
Managing Vertebrate Pests: Rabbits
Australian Govt. Pub. Service
1995
[126]
웹사이트
Biological control of rabbits
https://www.csiro.au[...]
2024-10-09
[127]
논문
Viral skin diseases of the rabbit
2013
[128]
웹사이트
Feral animals in Australia — Invasive species
http://www.environme[...]
Environment.gov.au
2010-08-30
[129]
웹사이트
Rabbits — The role of government — Te Ara Encyclopedia of New Zealand
http://www.teara.gov[...]
Teara.govt.nz
2010-08-30
[130]
뉴스
"Es cierto": Experto confirma que conejos y otros animales en llamas sí pueden propagar incendios
https://www.biobioch[...]
2023-02-23
[131]
뉴스
Experto forestal: "Los conejos no son un agente significativo de propagación de incendios"
https://www.eldescon[...]
2023-02-23
[132]
서적
Modelling Human-Environment Interactions in and beyond Prehistoric Europe. Themes in Contemporary Archaeolog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33]
서적
A Dictionary of Food and Nutrition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134]
논문
Natural Selection
Geographical Magazine Ltd.
2012-07
[135]
논문
The Ferret as an Aid to Winter Rabbit Studies
https://www.jstor.or[...]
1947
[136]
논문
Fall's Forgotten Hunt
2008-10
[137]
논문
Snare a Rabbit
2020-06
[138]
문서
rabbit
2024-09-17
[139]
서적
Dictionary of Sports and Games Terminology
https://books.google[...]
McFarland
[140]
뉴스
French Rabbit Heads: The Newest Delicacy in Chinese Cuisine
https://blogs.wsj.co[...]
The Wall Street Journal Blog
2014-06-13
[141]
웹사이트
FAOSTAT
http://www.fao.org/f[...]
2019-10-25
[14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143]
웹사이트
FAO – The Rabbit – Husbandry, health and production.
http://www.fao.org/d[...]
2015-04-23
[144]
논문
A single introduction of wild rabbits triggered the biological invasion of Australia
2022-08-30
[145]
뉴스
Rabbit meat disappearing from consumers' tables as farmers struggle with spiralling costs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4-20
[146]
서적
The Borough Market Cookbook: Recipes and stories from a year at the market
https://books.google[...]
Hodder & Stoughton
2018-10-04
[147]
서적
Traditional Moroccan Cooking, Recipes from Fez
Serif, London
[148]
웹사이트
Rabbit: From Farm to Table
http://www.fsis.usda[...]
2006-01-12
[149]
웹사이트
Signs and Symptoms of Tularemia
https://www.cdc.gov/[...]
2023-05-15
[150]
논문
Seasonal Incidence of Tularaemia and Sources of Infection
https://www.jstor.or[...]
1927
[151]
웹사이트
Tularemia (Rabbit fever)
http://health.utah.g[...]
Health.utah.gov
2003-06-16
[152]
서적
Francisella tularensis (Tularemia) In J. E. Bennett, R. Dolin, & M. J. Blaser (Eds.), Mandell, Douglas, and Bennett's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Churchill Livingstone
2014
[153]
웹사이트
China, Where American Mink Gets Glamour
https://apps.fas.usd[...]
2007
[154]
서적
Rabbit Biotechnology: Rabbit Genomics, Transgenesis, Cloning and Model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06-01
[155]
서적
The rabbit husbandry, health and productio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986
[156]
논문
Our Bunnies, Ourselves
https://link.gale.co[...]
2024-03-31
[157]
웹사이트
The Symbolism of Rabbits and Hares
http://www.endicott-[...]
Endicott Studio
2005
[158]
논문
Rosalind, the Hare, and the Hyena In Shakespeare's "As You Like It"
https://www.jstor.or[...]
1985
[159]
서적
The Cute and the Cool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5-13
[160]
서적
Masterplots II: Juvenile and Young Adult Fiction Series
Salem Press, Inc.
[161]
뉴스
Male Chauvinist Rabbits
https://www.nytimes.[...]
1974-06-30
[162]
논문
REBELLIOUS RABBITS: CHILDHOOD TRAUMA AND THE EMERGENCE OF THE UNCANNY IN TWO SOUTHERN CONE TEXTS
2013
[163]
뉴스
The Erotic Rabbits of Easter
https://slate.com/hu[...]
2016-04-05
[164]
서적
Advertising and Popular Culture
https://books.google[...]
SAGE
1996-01-23
[165]
서적
The Power of Animals: An Ethnography
[166]
서적
The Gods and Symbols of Ancient Mexico and the Maya: An Illustrated Dictionary of Mesoamerican Religion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167]
웹사이트
Nanabozho (Nanabush, Nanabosho, Wenebojo, Nanapush, Manabus)
http://www.native-la[...]
[168]
서적
Handbook of Indians of Canada
http://faculty.maria[...]
1913
[169]
서적
Lucifer Ascending: The Occult in Folklore and Popular Cultur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4-01-01
[170]
논문
China's Mid-Autumn Day
https://www.jstor.or[...]
2006
[171]
논문
Ming Festival Symbols
https://www.jstor.or[...]
1953
[172]
논문
Chinese Zodiac Culture and the Rhetorical Construction of ''A Shu B'', ''C''
https://s-space.snu.[...]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9-04-30
[173]
간행물
The sexagesimal cycle, from China to Southeast Asia
https://hal.archives[...]
[174]
논문
Origin of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in China: evidence from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sequence analysis
https://pubmed.ncbi.[...]
2003-04
[175]
웹사이트
Year of the Cat OR Year of the Rabbit?
http://www.nwasianwe[...]
2011-02-03
[176]
웹사이트
Object Lesson: Rabbit Pounding the Elixir of Life Under the Moon
https://noma.org/obj[...]
2021-01-30
[177]
서적
Moon Lore
https://books.google[...]
S. Sonnenschein
1885
[178]
웹사이트
Here Comes a Rabbit
https://www.nfm.go.k[...]
2024-09-24
[179]
웹사이트
The Three Rabbits in China
http://www.threerabb[...]
2012-04-25
[180]
서적
Animal Symbolism in Ecclesiastical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H. Holt
1896
[181]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https://books.google[...]
Bonanza Books
1978
[182]
뉴스
Word of the Day Shafan: Don't Turn Yourself Into a Hyrax!
https://www.haaretz.[...]
2013-06-13
[183]
서적
The Trickster Comes West: Pan-African Influence in Early Black Diasporan Narratives
https://books.google[...]
Univ. Press of Mississippi
[184]
서적
Brer Rabbit, Uncle Remus, and the 'Cornfield Journalist': The Tale of Joel Chandler Harris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00
[185]
서적
Bugs Bunny: 50 Years and Only One Grey Hare
https://archive.org/[...]
Henry Holt
[186]
서적
Walt Before Mickey: Disney's Early Years, 1919–1928
https://books.google[...]
Univ. Press of Mississippi
2012-09-04
[187]
웹사이트
Wallace and Gromit spook island
http://news.bbc.co.u[...]
2005-10-07
[188]
웹사이트
On the 1st Of The Month Say "Rabbit Rabbit" for Good luck!
https://www.farmersa[...]
2023-04-27
[189]
간행물
The Assay of Gonadotropic Extracts in the Post-Partum Rabbit11
https://doi.org/10.1[...]
1939-05-01
[190]
서적
Screening the Nonhuman: Representations of Animal Others in the Media
Lexington Books
[191]
뉴스
Think you know what bunnies and bears eat? Their diets may surprise you.
https://www.washingt[...]
2024-03-10
[192]
간행물
Rabbit welfare: determining priority welfare issues for pet rabbits using a modified Delphi method
2019
[193]
서적
Screening the Nonhuman: Representations of Animal Others in the Media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6-04-27
[194]
웹사이트
subfamily Leporinae Trouessart 1880 (rabbit)
http://paleodb.org/c[...]
fossilworks
2019-05-19
[195]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196]
문서
兎・兔(うさぎ)とは? 意味や使い方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97]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ティービーエス・ブリタニカ]]
[198]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ティービーエス・ブリタニカ]]
[199]
웹사이트
繁殖 ウサギについて
http://iwasakiah.com[...]
岩崎動物病院
2017-10-25
[200]
웹사이트
2.ウサギの生理・解剖
http://epc-vet.com/a[...]
エキゾチックペットクリニック
2017-10-25
[201]
뉴스
Evidence of rabbits in UK in Roman times, say academics
https://www.bbc.com/[...]
BBC
[202]
웹사이트
24匹が8億匹に! ウサギで豪大陸を侵略した英国人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雑誌)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
2021-05-03
[203]
웹사이트
A Hare and a Leg of Lamb
http://www.cleveland[...]
クリーブランド美術館
2019-05-19
[204]
뉴스
ネアンデルタール人、兎が狩れず絶滅?
https://natgeo.nikke[...]
2016-06-13
[205]
문서
ウサギを一羽、二羽と数えるのはなぜか。 | レファレンス協同データベース
https://crd.ndl.go.j[...]
[206]
문서
ウサギ文化史と養兎の世界 | 探検コム
https://tanken.com/r[...]
[207]
서적
秋田たべもの民俗誌
[[秋田魁新報|秋田魁新報社]]
[208]
뉴스
ヒキ肉に原料名を 農林省ウサギ入りで通達
1969-09-05
[209]
문서
さらに雌雄を区別する場合には雄のノウサギをLièvre、雌のノウサギはアズ (Hase) と呼ぶ。
[210]
서적
2012
[211]
서적
11日本の民俗 埼玉
"[[第一法規]]"
[212]
웹사이트
Ch17
https://www.fao.org/[...]
"[[国際連合食糧農業機関]]"
2024-05-09
[213]
웹사이트
化粧品の動物実験とは
http://www.usagi-o-s[...]
2020-09-18
[214]
웹사이트
美しさのために失明させられるウサギたち
https://www.hsi.org/[...]
2020-09-18
[215]
학술지
明治の兎バブル(石井信之名誉教授記念特集号)
https://www.agulin.a[...]
"[[青山学院大学]]・[[青山学院女子短期大学|女子短期大学]]"
2013-03-01
[216]
웹사이트
動物を犠牲にしない代替法
http://www.usagi-o-s[...]
2020-09-18
[217]
문서
例えば、フランスのベビー&キッズ向け木製玩具メーカー[http://www.janod.com/ JANOD](ジャノー)や、日本のベビー&キッズ&マタニティ服飾雑貨販売メーカー[[西松屋]]など。
[218]
문서
"[[嫦娥]]を参照。"
[219]
문서
『[[続日本紀]]』[[大宝 (日本)|大宝]]元年(701年)正月乙亥朔の条に「天皇御大極殿受朝。其儀、於正門樹烏形幢。左 日像、青竜、朱雀幡。右 月像、玄武、白虎幡。」とある。[[文武天皇]]は大極殿で朝賀の挨拶を受け、その儀式では、正門に烏の形をした幢(どう)を立て、左側に日像(じつぞう)、青龍、朱雀の幡(ばん)を立て、右側に月像(げつぞう)、玄武、白虎の幡を立てたというものであった。烏の形をした銅製の飾りのついた長い棒のようなものを立て、その左側に、太陽を表す円盤に三本足の鳥を描いたものをつけた長い棒のようなもの、青龍を描いた板をつけた長い棒のようなもの、朱雀を描いた板をつけた長い棒のようなものの計三本を立て、右側には、月を表す円盤にウサギを描いたものをつけた長い棒のようなもの、玄武を描いた板をつけた長い棒のようなもの、白虎を描いた板をつけた長い棒のようなものの計三本、全部で七本の棒を立てたのである。
[220]
문서
一方ノウサギの発情期は春先から秋であり、発情の始まった3月頃のオスのウサギが落ち着かなくなる様を指して「[[三月ウサギ]]」というイギリスのことわざが生まれた。
[221]
문서
ウサギには“快活で、遊び心や茶目っ気がある”というイメージから、「ユーモラスであり、セクシーさの象徴」としてウサギをマスコットに選んだと、マークをデザインしたデザイナーは語っている{{要出典|date=2017年10月}}。
[222]
웹사이트
ISO 7000:2810
https://www.iso.or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23-06-09
[223]
웹사이트
ISO 7000:2810
https://www.iso.or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23-06-09
[224]
웹사이트
ISO 7000:2811
https://www.iso.or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23-06-09
[225]
웹사이트
ISO 7000:2812
https://www.iso.or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23-06-09
[226]
웹사이트
ISO 7000 Graphical symbols for use on equipment
https://www.iso.or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23-06-09
[227]
방송
有吉弘行のダレトク!?
2014-05-13
[228]
웹사이트
昭和20年代/250余年のあゆみ(歴史)
https://www.ssp.co.j[...]
エスエス製薬
2017-10-25
[229]
웹사이트
協会の活動・事業内容・組織図
http://www.zennichi.[...]
"[[公益社団法人]] [[全日本不動産協会]]"
2017-10-25
[230]
문서
Harvnb|East|2007|p=66
[231]
뉴스
ウサギは寂しいと死んじゃうって本当?「ウソ。ただし12時間以上絶食で胃腸の動きが停滞」
https://woman.mynavi[...]
マイナビウーマン
2013-09-17
[232]
뉴스
うさぎは寂しいと死ぬって本当?なぜそう言われるようになったの?/毎日雑学
https://ddnavi.com/s[...]
"[[ダ・ヴィンチ (雑誌)|ダ・ヴィンチ]]ニュース"
2021-01-03
[233]
웹사이트
ウサギは寂しいと死んじゃう・・・というのは都市伝説?!むしろ構われすぎる方が嫌い?
https://fundo.jp/328[...]
2021-06-06
[234]
웹사이트
知っているとカッコイイ♡ ウサギを「1羽」と数えるのは正しい?
https://oggi.jp/6504[...]
2024-07-14
[235]
웹사이트
兎に角(とにかく)- 語源由来辞典
https://gogen-yurai.[...]
Lookvise.Inc
2017-10-25
[236]
위키문헌
孫子兵法#九地第十一
[237]
웹사이트
兎角|生活の中の仏教用語|読むページ
http://www.otani.ac.[...]
"[[大谷大学]]"
2017-10-25
[238]
위키문헌
戰國策/卷11
[239]
위키문헌
史記/卷092
[240]
위키문헌
韓非子/內儲說下六微
[241]
위키문헌
韓非子/五蠹
[242]
문서
Harvnb|飯野|2010
[243]
웹사이트
カランコエ 月兎耳
https://www.shuminoe[...]
NHK出版
2022-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