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통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론 통제는 정부나 권력 기관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고 정보를 통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전쟁, 정치적 목적, 사회적 안정 등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역사적 사례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 당시의 언론 통제,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검열 등이 있으며,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국가 안보, 계약 협상, 납치 사건 등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언론 통제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언론 통제는 법률 및 제도를 통해 시행되며, 인터넷 검열 또한 그 한 형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적 억압 - 숙청
숙청은 특정 조직이나 지역에서 개인이나 집단을 제거하는 행위로, 좁게는 독재 국가 등에서 반대파 제거를 위한 폭력 행위를, 넓게는 조직 내에서 사회적 지위 박탈, 해고 등의 행위를 포함하며, 주로 체제 유지를 위해 발생한다. - 정치적 억압 -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는 특정 정치 성향의 문화예술인들을 정부 지원에서 배제하기 위해 작성된 목록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가진 예술가들이 검열과 통제를 받아 표현의 자유를 침해받은 민주주의 훼손 사건으로 평가된다. - 검열 - 사상의 자유
사상의 자유는 사고, 신념, 양심의 자유를 보장하는 기본권으로 표현과 종교의 자유의 기반이 되며 국제인권법과 여러 국가 헌법에서 보장되지만 억압의 역사를 지니고, 정치적 의견 표현의 자유를 포함하며, 범위와 한계에 대한 논의와 뇌 영상 기술로 인한 억압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 검열 - 매체 편향
매체 편향은 뉴스 보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패턴을 설명하는 가설로, 광고 편향, 내용 편향, 당파적 편향 등 여러 유형이 존재하며, 광고주, 독자 선호도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여 사회적 불평등 심화, 정치적 극단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 대중 매체 - 인터뷰
인터뷰는 취업, 심리학, 마케팅, 저널리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 수집 및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상호작용 방식으로, 각 분야별 특징과 목적은 다르지만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보 교환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대중 매체 - 대중조작
대중조작은 물리적 힘 없이 군중의 참여, 통제, 영향력 행사를 통해 특정 목표를 달성하는 행위로, 선전, 권위, 장소 선정, 전달 방식 등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정치, 종교, 소셜 미디어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며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여론 조작의 위험성과 윤리적 문제가 논의된다.
언론통제 | |
---|---|
언론 통제 | |
개념 | 정부나 특정 집단이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고 정보 유통을 제한하는 행위 |
목적 | 정권 유지 사회 불안 조성 방지 특정 집단의 이익 보호 |
수단 | 검열 언론사 통폐합 허위 정보 유포 언론인 탄압 |
유형 | |
직접적 통제 | 검열: 정부가 언론 보도 내용을 사전에 검열하여 불리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행위 언론사 통폐합: 정부가 언론사를 강제로 합병하거나 폐쇄하여 언론의 다양성을 훼손하는 행위 언론인 탄압: 정부가 비판적인 언론인을 해고, 구속, 협박하는 행위 |
간접적 통제 | 보도 지침: 정부가 언론사에 특정 내용의 보도를 지시하거나 유도하는 행위 광고 통제: 정부가 특정 언론사에 광고를 몰아주거나 끊어 언론사의 재정을 압박하는 행위 허위 정보 유포: 정부가 허위 정보를 유포하여 여론을 조작하는 행위 |
경제적 통제 | 언론사 소유 규제: 특정 기업이나 개인이 언론사를 소유하는 것을 제한하여 언론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제도 광고 시장 경쟁 촉진: 언론사들이 광고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광고 시장의 경쟁을 촉진하는 정책 공적 자금 지원: 정부가 언론사에 공적 자금을 지원하여 언론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제도 |
기술적 통제 | 인터넷 검열: 정부가 인터넷상의 특정 웹사이트나 게시물을 차단하는 행위 소셜 미디어 통제: 정부가 소셜 미디어상의 특정 계정을 차단하거나 게시물을 삭제하는 행위 |
사례 | |
대한민국 |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 언론 기본법 제정, 보도 지침, 언론인 해직 등 참여정부 시절: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인터넷 게시글 삭제 이명박 정부 시절: 미디어법 개정 논란, KBS 정연주 사장 해임 박근혜 정부 시절: 세월호 침몰 사고 보도 통제, 최순실 국정농단 보도 축소 시도 |
중국 | 만리방화벽: 인터넷 검열 시스템을 통해 해외 웹사이트 접속 차단 언론사 통제: 신화통신 등 국영 언론사를 통해 정부의 입장을 홍보 소셜 미디어 검열: 웨이보, 위챗 등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정부에 비판적인 게시물 삭제 |
북한 | 모든 언론사 국영 운영: 조선중앙통신 등 국영 언론사를 통해 김씨 일가 우상화 해외 방송 청취 금지: 해외 라디오 방송 청취 및 TV 시청 금지 인터넷 통제: 일반 주민의 인터넷 접속 차단 |
러시아 | 러시아 정부는 자국 언론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하여 반정부적인 시각을 가진 언론에 대한 압력이 증가하고 있음. 러시아 정부는 가짜 뉴스 유포를 방지한다는 명목으로 언론에 대한 검열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음. |
문제점 | |
민주주의 훼손 | 언론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근간이며, 언론 통제는 시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하고 민주주의를 훼손함 |
사회 발전 저해 | 언론 통제는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억압하고 사회 발전을 저해함 |
국제 사회 비판 | 언론 통제는 국제 사회로부터 비판을 받으며 국가 이미지를 실추시킴 |
해결 방안 | |
언론 자유 보장 | 언론의 자유를 헌법에 명시하고 언론 통제 관련 법률 폐지 |
언론 독립성 확보 | 언론사 소유 규제 강화, 광고 시장 경쟁 촉진, 공적 자금 지원 확대 |
시민 사회 역할 강화 | 시민들이 언론 감시 활동에 참여하고 언론 관련 법률 제정에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지원 |
관련 법률 | |
대한민국 | 헌법 제21조: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 보장 언론자유법: 언론의 자유와 독립 보장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인터넷 검열 규정 |
국제법 | 세계 인권 선언 제19조: 표현의 자유 보장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 표현의 자유 보장 |
2. 역사적 사례
언론 통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국가 | 시기 | 내용 |
---|---|---|
6.25 전쟁 기간과 제1공화국 정권 말기, 제4공화국부터 제5공화국까지 | 대통령과 국가 원수 정권에 의해 언론 통제가 시행되었다.[1] | |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시기 | 대동아공영권을 명분으로 언론 통제가 시행되었다. | |
나치즘 시기 | 독일 파시즘에 의해 언론 통제가 시행되었다. | |
이탈리아 파시즘 시기 | 이탈리아 파시즘에 의해 언론 통제가 시행되었다. | |
1990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전 | 언론 통제가 시행되었다. | |
1991년 냉전 종식 이전 | 언론 통제가 시행되었다. |
언론 통제의 예시로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무기가 투하되는 동안 남부 일본에 대한 언론 금지령,[1] 페르시아만 전쟁 동안 이라크에서 독립적인 언론 보도가 부족했던 점 등이 있다.[2]
에도 시대 일본에서는 출판에 신고가 필요했고, 이를 위반하면 처벌을 받았다. 예를 들어, 1855년 가나자키 루분의 『안세이 견문록』을 발행한 판원과 공저자인 잇푸안 에이주는 수쇄 처분을 받았다 (루분은 무명이었기 때문에 필화를 면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는 출판법, 신문지법 등에 의해 검열이 이루어졌다. 공산주의·무정부주의 선전·선동, 천황 비판, 일본 식민지(조선, 대만 등) 독립 운동 선동, 인공 임신 중절 방법 소개 등은 금지되었다. 요새 지대나 군항 등의 지리 기술, 사진 등도 발행 금지 대상이었다. 전시 체제 하 일본에서는 정보국, 특별고등경찰을 중심으로 출판법, 신문지법, 국가총동원법 등에 근거한 언론 통제가 이루어졌다 (안녕 질서 문란 관련 발금 명령 권자는 내무 대신).
1939년 제정된 영화법은 국가(군) 의향에 따른 작품 제작, 제작 편수, 영화 관계자 전원 "기능 심사" 등을 의무화했고, 각본 등 제작 단계 검열도 가능하게 했다.
1930년대부터 전시 중까지 일본은 언론 통제가 가장 강화된 시기였지만, 공권력에 의한 통제뿐 아니라 "민의" 영향력도 컸다. 특히 도시 관공리, 교원, 회사원 등으로 대표되는 투서 계급(신중간층)이나 소비자 시민 같은 "투서 계급"이 주체가 되어 검열 당국에 오락 등 언론 통제가 느슨하다고 비판·규제 요구를 하는 경우가 잦았다.[23][24][25][26][27]
전후 연극 담당 검열관은 직을 떠날 때 도호 극장 지배인에게 "이제부터 검열이 없어지므로, 지금까지 우리가 제한했던 이상의 일반 대중의 비판이 제대로 올 것입니다. 그러니 공부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악곡에 대해 일부 과격한 층은 신문, 텔레비전 방송국에 항의 투서나 트윗을 하지만, 다수 사람이 오락으로 향유하는 상황이 드물지 않다.[27]
미국은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서 검열 금지를 명시하고 있다. 이는 의회와 대통령 모두 준수해야 한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지만, 미국 국가안보국이 "에셜론"을 이용하여 전 세계 전기 통신 내용을 감청(=도청)하고 있다고 한다. 2013년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로 프리즘 (감시 프로그램)(PRISM) 존재가 밝혀졌다.
미국에는 상부 검열은 없지만 코드(code)라고 불리는 보도 자율 규제가 있다. 미국에서는 강제적인 방법이 아니라, 대중 의식에 직접 호소하는 "유도형"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제들이 특정 종교관이나 윤리관 등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지적(예: 인공 임신 중절 반대 등)이 있다. 대형 매스미디어 독점 자본이라는 점과, 항상 명예 훼손 등 소송에 휘말릴 위험을 안고 있다는 사정도 있다. 또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측 미디어 리터러시(정보 평가·식별 능력) 문제도 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검열국은 신문과 라디오 방송국에 풍선 폭탄의 목격이나 폭발에 대한 보도를 하지 말 것을 요청했고, 이들은 이에 따랐다.[3] 이는 일본이 향후 작전을 계획할 때 풍선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3] 그 결과, 일본은 와이오밍에 떨어진 폭탄 중 폭발에 실패한 단 하나의 폭탄에 대한 운명만 알게 되었다.[3] 일본은 6개월도 채 안 되어 모든 발사를 중단했다.[3] 미국의 언론 통제는 풍선 폭탄으로 인한 첫 사망자가 발생한 후 해제되어 대중에게 경고를 주도록 했지만, 위협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사망을 막을 수도 있었다.[3] 영국 선박 RMS ''랑카스트리아''가 전쟁 중 침몰하여 4,000명 이상이 사망한 소식은 민간인 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자발적으로 억제되었지만, 해외에 알려진 후에는 공개되었다.2. 2. 일본 점령기 연합군 최고사령부 (GHQ)
연합군 최고사령부(SCAP)는 일본 항복 이후 7년 동안 정치적, 경제적 통제를 가했을 뿐만 아니라, SCAP 산하 민간 검열 부대(CCD)를 통해 모든 일본 언론을 엄격하게 통제했다.[22] CCD는 모든 형태의 언론에서 총 31개의 주제를 금지했다.[22]금지된 주제는 다음과 같다:
- SCAP에 대한 비판 (개인 및 조직)
- 전쟁 전후의 연합국 정책에 대한 비판
- 모든 형태의 제국주의 선전
- 전쟁 범죄자 옹호
- "비민주적인" 형태의 정부에 대한 찬양 (SCAP 자체에 대한 찬양은 허용)
-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
- 암시장 활동
- 연합국 외교 관계에 대한 공개적인 논의 (소련-미국 관계)
CCD 검열법 중 일부는 SCAP 말기에 상당히 완화되었지만,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와 같은 일부 주제는 점령이 끝나는 1952년까지 금기시되었다.[22]
일본국 헌법에서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명시했지만, 프레스 코드 등 GHQ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한 언론 통제·탄압은 점령 해제까지 이루어졌다.[22]
2. 3. 냉전 시대
6.25 전쟁 기간과 정권 말기 제1공화국, 제4공화국부터 제5공화국까지 대통령을 비롯한 국가 원수 정권에 의해 언론통제가 시행되었다.[1]2. 4.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국가보안법에 의해 법적으로 공산주의를 선전하거나 공산주의 운동을 지지하는 언론은 금지되어 있다.[21] 또한 친일재산법에 의거하여 공산주의 및 친일에 한정하여 언론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2. 4. 1. 과거
6.25 전쟁 기간과 정권 말기 제1공화국, 제4공화국부터 제5공화국까지 대통령 국가 원수 정권에 의해 언론통제가 이루어졌다.대한민국의 인터넷에서는 이전부터 친북·종북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롭게 할 가능성이 있는 게시물은 금지되어 왔지만, 이명박 정부 이후에는 친일적인 게시물에 대해서도 인터넷 검열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가 친일적인 발언을 하는 웹사이트와 블로그를 강제 삭제하거나 접속을 금지하며 언론 통제를 하고 있다.[40] 반복적으로 같은 문장을 게재한 사용자에게는 강제적인 이용 해지 조치를 취하는 등, 친일적인 언론을 발언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엄격한 언론 통제를 하고 있다.[41]
2. 4. 2. 현대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는 출판법, 신문지법 등에 의해 검열이 이루어졌다. 공산주의, 무정부주의 선전·선동, 천황 비판, 일본 식민지(조선, 대만 등) 독립 운동 선동, 인공 임신 중절 방법 소개 등은 금지되었다. 전시 체제 하 일본에서는 정보국, 특별고등경찰을 중심으로 언론 통제가 이루어졌다.[22]1939년 영화법 제정으로 국가(군) 의향에 따른 작품 제작, 제작 편수, 영화 관계자 전원 "기능 심사" 등이 의무화되었고, 각본 등 제작 단계 검열도 가능해졌다.
1930년대부터 전시 중까지 일본은 언론 통제가 가장 강화된 시기였지만, 공권력에 의한 통제뿐 아니라 "민의" 영향력도 컸다. 특히 도시 관공리, 교원, 회사원 등으로 대표되는 투서 계급(신중간층)이나 소비자 시민 같은 "투서 계급"이 주체가 되어 검열 당국에 오락 등 언론 통제가 느슨하다고 비판·규제 요구를 하는 경우가 잦았다.[23][24][25][26][27]
일본국 헌법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명시했지만, 프레스 코드 등 GHQ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한 언론 통제·탄압은 점령 해제까지 이루어졌다.
이후 일본에서는 헌법상 언론 자유가 보장되지만, 보도 기관의 자율 규제 형태 "국화 탭", "학 탭" 등 언론 금기(보도할 수 없는 것)가 적지 않으며, 교과서 검정, 유해 도서 지정, 음란물 반포죄, BPO 등 사실상 검열에 가깝다는 논란을 낳는 문제도 있다.[28][29][30]
대한민국의 인터넷에서는 이명박 정부 이후 친일 게시물에 대한 인터넷 검열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기관 방송통신위원회가 친일적 발언을 하는 웹사이트, 블로그를 강제 삭제하거나 접속을 금지하며 언론 통제를 한다.[40] 반복적으로 같은 문장을 게재한 사용자에게는 강제 이용 해지 조치를 취하는 등, 친일 언론 발언 사용자에게 매우 엄격한 언론 통제를 하고 있다.[41]
3. 현대의 사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로동당에 의해 언론의 자유를 행사하는 행위가 관련법에 의해 처벌된다.[41] 중국에서는 중국공산당에 의해 언론의 자유를 행사하는 행위가 관련법에 의해 처벌된다.[41] 쿠바에서는 쿠바공산당에 의해 출판과 방송 매체가 관련법에 의해 처벌된다.[41]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이슬람에 의해 언론 및 출판 행위가 처벌된다.[4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제재로, 유럽 연합(EU)은 러시아 공영 글로벌 미디어 RT와 러시아 정부 소유 미디어 스푸트니크의 방송 및 배포를 금지했다.[12]
대한민국의 인터넷에서는 친북·종북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롭게 할 가능성이 있는 게시물은 금지되어 왔지만, 이명박 정부 이후 친일적인 게시물에 대해서도 인터넷 검열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가 친일적인 발언을 하는 웹사이트와 블로그를 강제 삭제하거나 접속을 금지하며 언론 통제를 하고 있다.[40] 반복적으로 같은 문장을 게재한 사용자에게는 강제적인 이용 해지 조치를 취하는 등, 친일적인 언론을 발언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엄격한 언론 통제를 하고 있다.[41]
일본의 경우, 에도 시대에는 출판에 신고가 필요했고, 이를 위반한 자는 처벌을 받았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출판법, 신문지법 등에 의해 검열이 이루어졌다. 공산주의·무정부주의 선전·선동, 천황 비판, 일본 식민지 (조선·대만 등) 독립 운동 선동 등은 금지되었다. 전시 체제 하 일본에서는 정보국이나 특별고등경찰을 중심으로 언론 통제가 이루어졌다. 일본국 헌법에서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명시했지만, 프레스 코드 등 GHQ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한 언론 통제·탄압은 점령 해제까지 이루어졌다. 그 후 일본에서는 헌법상 언론 자유가 보장되어 있지만, 보도 기관의 자율 규제 형태인 "국화 탭"이나 "학 탭" 등 언론 금기가 존재한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언론 자유가 존재하지 않으며, 반정부 언론은 엄격하게 단속되고 있다. 외국 언론에 대한 억압도 있으며, 1964년 "중일 쌍방의 신문 기자 교환에 관한 메모"가 체결되었고, 1968년 "중일 관계 정치 3원칙"이 확인되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외국 언론이 잇따라 중국에서 추방되었고, 일본 보도 기관도 용공적인 아사히 신문을 제외하고 모두 추방되었다. 인터넷 검열도 심하며, 구글(Google)은 이에 반발하여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철수했다.[36]
미국은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서 검열 금지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국가안보국이 "에셜론"을 이용하여 전 세계 전기 통신 내용을 감청하고 있다고 하며, 2013년 에드워드 스노든 폭로로 프리즘 (감시 프로그램)(PRISM) 존재가 밝혀졌다. 미국에는 상부 검열은 없지만 코드(code)라고 불리는 보도 자율 규제가 있다.
국가 | 내용 |
---|---|
대한민국 | 국가보안법 및 친일재산법에 의거, 공산주의 및 친일에 한정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언론 자유도가 세계 최악 |
중화인민공화국 | 국가 비판 및 이에 해당하는 행위에만 한정되지 않는 검열 시스템으로 만리 방화벽이 있다. 단, 홍콩 및 마카오를 제외한 중국 본토에 한정. |
싱가포르 | |
인도네시아 | [http://www.news.janjan.jp/world/0709/0709170504/1.php (인터넷 신문 JanJan)개혁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씨 명예훼손] |
베트남 | |
캄보디아 | |
미얀마 | |
타이 | 불경죄에 해당하는 행위에 한정 |
파키스탄 | |
아프가니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북한 수준의 언론 자유도 |
이란 | 반 국교에 해당하는 행위에 한정 |
시리아 | |
사우디 아라비아 | 불경죄 및 반 국교에 해당하는 행위에 한정 |
아랍에미리트 | 정당 결성에 한정 |
이스라엘 | |
독일 | 헌법에 따라 나치 긍정 표현에 한정한다. |
프랑스 | 사이비 종교에 한정한다. 또한 1998년부터 미성년자를 묘사하는 모든 표현물을 아동 포르노로 금지했다.( 프랑스 법원, 성인 애니메이션을 아동 포르노로 인정) |
폴란드 | |
벨라루스 | |
러시아 |
3. 1. 납치 사건 보도 통제
1956년 7월 4일, 뉴욕주 내소 카운티에서 피터 와인버거라는 생후 32일 된 아기가 납치되어 2000USD의 몸값을 요구받았다. 납치범은 요구가 충족되면 와인버거를 "안전하고 행복하게" 돌려보내겠다고 약속했다.[4] 경찰은 납치범이 와인버거의 집 근처 모퉁이에서 돈을 회수하도록 조치하고, 교환 전에 납치범이 피터에게 해를 가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언론 통제를 요청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욕 데일리 뉴스''는 납치 사건을 보도하여 와인버거의 집에 언론의 주목을 집중시켰고[4][5], 납치범이 몸값을 회수하지 못하게 했다. 납치범은 이후 고속도로 출구 근처의 수풀에 와인버거를 버렸다. 와인버거는 한 달 뒤에 발견되었으며, 영아 노출로 사망했다.[6][7]2008년 캐나다 언론인 멜리사 펑의 납치 사건은 그녀의 안전한 귀환을 위해 언론 통제를 받았다. 모든 언론 매체가 이에 협조하여 캐나다 대중은 펑의 운명을 알지 못했다.[9]
2008년, 당시 영국 왕위 계승 서열 3위였던 해리 왕자가 아프가니스탄에서 현역 복무를 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의 안전을 위해 영국 언론에서 보도 통제되었다. 그는 언론 통제가 외국 언론에 의해 깨진 후 조기 귀국했다.[10]
2009년 6월 22일, ''뉴욕 타임스'' 기자 데이비드 로드가 탈레반에게서 탈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 그가 납치되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로드와 두 명의 아프간 동료가 탈레반에게 억류된 7개월 동안, 《타임스》는 이 정보를 비밀로 유지했기 때문이다. 기자의 안전을 우려하여 《타임스》는 다른 주요 뉴스 기관에도 같은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다. NPR은 로드의 동료들의 요청에 따라 납치 사건을 보도하지 않은 수십 개의 뉴스 매체 중 하나였다. 포인터 연구소에서 언론인들에게 윤리를 가르치는 켈리 맥브라이드는 언론 통제에 "정말 놀랐다"고 말하며, "40개의 국제 뉴스 기관이 대중에게 무엇을 말하지 않기로 동의했는지 궁금"하여 약간 불안하다고 NPR의 멜리사 블록에게 말했다. 맥브라이드는 언론 통제가 뉴스 기관의 신뢰도를 해칠 수 있다고 말하며, "대중에게 분명히 관심 있는 일에 대해 완전한 언론 통제를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우리의 신뢰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11]
3. 2. 계약 협상 보도 통제
1956년 7월 4일, 뉴욕주 내소 카운티에서 피터 와인버거라는 생후 32일 된 아기가 납치되어 2000USD의 몸값을 요구받았다. 경찰은 납치범이 와인버거의 집 근처 모퉁이에서 돈을 회수하도록 조치하고, 교환 전에 납치범이 피터에게 해를 가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언론 통제를 요청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욕 데일리 뉴스''는 납치 사건을 보도하여 와인버거의 집에 언론의 주목을 집중시켰고[4][5], 납치범이 몸값을 회수하지 못하게 했다. 납치범은 이후 고속도로 출구 근처의 수풀에 와인버거를 버렸다. 와인버거는 한 달 뒤에 발견되었으며, 영아 노출로 사망했다.[6][7]2005년 뉴욕시 교통 파업 동안에는 분쟁 양측 간의 보다 효과적인 계약 협상을 위해 언론 통제가 사용되었다.[8]
2008년 캐나다 언론인 멜리사 펑의 납치 사건은 그녀의 안전한 귀환을 위해 언론 통제를 받았다. 모든 언론 매체가 이에 협조하여 캐나다 대중은 펑의 운명을 알지 못했다.[9]
2008년, 당시 영국 왕위 계승 서열 3위였던 해리 왕자가 아프가니스탄에서 현역 복무를 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의 안전을 위해 영국 언론에서 보도 통제되었다. 그는 언론 통제가 외국 언론에 의해 깨진 후 조기 귀국했다.[10]
2009년 6월 22일, ''뉴욕 타임스'' 기자 데이비드 로드가 탈레반에게서 탈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 그가 납치되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로드와 두 명의 아프간 동료가 탈레반에게 억류된 7개월 동안, 《타임스》는 이 정보를 비밀로 유지했기 때문이다. 기자의 안전을 우려하여 《타임스》는 다른 주요 뉴스 기관에도 같은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다. NPR은 로드의 동료들의 요청에 따라 납치 사건을 보도하지 않은 수십 개의 뉴스 매체 중 하나였다. 포인터 연구소에서 언론인들에게 윤리를 가르치는 켈리 맥브라이드는 언론 통제에 "정말 놀랐다"고 말한다. "저는 약간 불안합니다. 왜냐하면 40개의 국제 뉴스 기관이 대중에게 무엇을 말하지 않기로 동의했는지 궁금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NPR의 멜리사 블록에게 말한다. 맥브라이드는 언론 통제가 뉴스 기관의 신뢰도를 해칠 수 있다고 말한다. "저는 대중에게 분명히 관심 있는 일에 대해 완전한 언론 통제를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우리의 신뢰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라고 그녀는 말한다.[11]
3. 3. 군사 작전 보도 통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무기가 투하될 때 일본 남부에 대한 언론 금지령[1], 페르시아만 전쟁 때 이라크에서 독립적인 언론 보도가 부족했던 점[2]은 언론 통제의 예시이다.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검열국은 신문과 라디오 방송국에 풍선 폭탄 목격이나 폭발에 대한 보도를 하지 말 것을 요청했고, 이들은 이에 따랐다. 이는 일본이 향후 작전을 계획할 때 풍선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그 결과, 일본은 와이오밍에 떨어진 폭탄 중 폭발에 실패한 단 하나의 폭탄에 대한 운명만 알게 되었다. 일본은 6개월도 채 안 되어 모든 발사를 중단했다. 미국의 언론 통제는 풍선 폭탄으로 인한 첫 사망자가 발생한 후 해제되어 대중에게 경고했지만, 위협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사망을 막을 수도 있었다.[3] 영국 선박 RMS ''랑카스트리아''가 전쟁 중 침몰하여 4,000명 이상이 사망한 소식은 민간인 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자발적으로 억제되었지만, 해외에 알려진 후에는 공개되었다.
2008년, 당시 영국 왕위 계승 서열 3위였던 해리 왕자가 아프가니스탄에서 현역 복무 중이라는 사실은 그의 안전을 위해 영국 언론에서 보도 통제되었다. 그는 언론 통제가 외국 언론에 의해 깨진 후 조기 귀국했다.[1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미국 본토 공습이나 풍선 폭탄 등 자국이 큰 피해를 본 작전에 대해 자국민을 침울하게 만들 우려가 있어 언론 등에 보도 통제가 시행되었다.
3. 4. 축구에서의 언론 통제 (Silenzio Stampa)
축구에서 언론 통제는 이탈리아어 표현인 silenzio stampa|실렌치오 스탐파it(문자 그대로 '언론 침묵')로도 불린다. 이는 축구 클럽이나 국가대표팀, 선수들이 중요한 토너먼트 기간 중이나 클럽이 언론이 클럽과 그들의 활동을 객관적으로 묘사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때 인터뷰를 거부하거나 언론과 협력하지 않는 것을 특별히 지칭한다. 'silenzio stampa'라는 표현은 1982년 FIFA 월드컵 당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언론에 떠도는 소문과 사실이 아닌 이야기에 대응하여 언론 통제를 시행하면서 생겨났다.[14][15]3. 5. 유럽 연합 (EU)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제재로, 유럽 연합(EU)은 러시아 공영 글로벌 미디어 RT와 러시아 정부 소유 미디어 스푸트니크의 방송 및 배포를 금지했다.[12] 이들 미디어의 트위터 계정 게시물도 더 이상 볼 수 없다.
디지털 서비스법(DSA)의 "허위 정보 대응" 및 "위기 상황 대응"과 같은 개념을 통해 유럽 위원회가 소셜 네트워크, 검색 엔진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강력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13] 실제로 EU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러시아 언론의 EU 내 보도를 제한했다.
3. 6. 기타 국가
에도 시대 일본에서는 출판에 신고가 필요했고, 이를 위반한 자는 처벌을 받았다. 예를 들어, 1855년 가나자키 루분의 『안세이 견문록』을 발행한 판원과 공저자 잇푸안 에이주는 수쇄를 받았다 (다만, 루분은 무명이었기 때문에 필화를 면했다).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는 출판법, 신문지법 등에 의해 검열이 이루어졌다. 공산주의·무정부주의 선전·선동, 천황 비판, 일본 식민지 (조선·대만 등) 독립 운동 선동, 인공 임신 중절 방법 소개 등은 금지되었다. 요새 지대나 군항 등의 지리 기술, 사진 등도 발행 금지 대상이었다. 전시 체제 하 일본에서는 출판법, 신문지법, 국가총동원법 등을 근거로 정보국이나 특별고등경찰을 중심으로 언론 통제가 이루어졌다 (안녕 질서 문란 관련 발금 명령 권자는 내무 대신).
영화 관련은 관람에 제공되는 것이 검열 대상이었고, 1917년 (다이쇼 6년) "활동사진흥행 취체 규칙" (경시청령 제12호), 1922년 (다이쇼 11년) 7월 경시청령 15호, 1925년 (다이쇼 14년) 3월 내무성령 10호를 거쳐 내용 외에도 상영 시간 상한 및 상영 기간이 정해졌다. 전시 체제 하 1939년 (쇼와 14년)에는 더 구속력이 강한 "영화법"이 제정되어, 국가(군) 의향에 따른 작품 제작, 제작 편수, 영화 관계자 전원 "기능 심사" 등이 의무화되었고, 각본 등 제작 단계에서의 검열도 가능해졌다.
1930년대부터 전시 중까지 일본에서는 언론 통제가 가장 강화된 시대였지만, 공권력에 의한 통제는 의외로 수동적이었고, "민의" 영향력도 컸다는 점이 지적된다[22] . 특히, 도시부 관공리, 교원, 회사원 등에 대표되는 투서 계급 (신중간층)이나 소비자 시민과 같은 "투서 계급"이 주체가 되어, 오히려 검열 당국에 오락 등 언론 통제가 느슨하다고 비판·규제 요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23][24][25][26][27] .
전후, 연극 담당 검열관은 직을 떠날 때 도호 극장 지배인에게 "이제부터 검열이 없어지므로, 지금까지 우리가 제한했던 이상 일반 대중 비판이 제대로 올 것입니다. 그러니 공부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악곡에 대해 일부 과격한 층은 신문이나 텔레비전 방송국에 항의 투서나 트윗을 하지만, 다수 사람이 오락으로 향유하고 있는 상황이 드물지 않다[27] .
일본국 헌법에서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명시했지만, 프레스 코드 등 GHQ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한 언론 통제·탄압은 점령 해제까지 이루어졌다.
그 후 일본에서는 헌법상 언론 자유가 보장되어 있지만, 보도 기관 자율 규제 형태 "국화 탭"이나 "학 탭" 등 언론 금기 (보도할 수 없는 것)가 적지 않게 있으며, 이 외에도 교과서 검정이나 유해 도서 지정, 음란물 반포죄, BPO 등 사실상 검열에 가깝다는 논란을 안고 있는 문제도 존재한다. 20세기 말부터 클레임이 증가한 텔레비전 업계에서는 탭과 자율 규제에 얽매여 위축에 빠져갔다[28][29][30] .
공안 경찰이나 공안 조사청은 헌법 위반·위법 정보 수집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하여, 그 폐지를 요구하는 정당이나 개인도 있다[31] .
2000년대에는 우익을 중심으로 인권 옹호 법안이 언론 통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논란을 불렀고, 2010년대에는 좌익을 중심으로 특정 비밀 보호법 등이 언론 통제가 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아동 포르노법 개정안에 담겨 있던, 실사를 동반하지 않은 창작물 규제 및 아동 포르노 단순 소지 처벌에 대해서도 "인권 침해와 표현의 자유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수사 당국 자의적 수사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일본 공산당 등은 "신중해야 한다"고 했다[32] . 그 후, 2014년 6월 법 개정으로 아동 포르노법에 단순 소지 금지가 담겼지만, 창작물 규제로 이어지는 부칙은 법안에서 삭제되었다[33] .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언론 자유가 존재하지 않으며, 반정부 언론은 엄격하게 단속되고 있다.
외국 언론에 대한 억압도 있으며, 1964년 "중일 쌍방의 신문 기자 교환에 관한 메모" (별칭: 중일 기자 교환 협정)이 체결되었고, 1968년 "중일 관계 정치 3원칙"이 확인되었다. "중일 관계 정치 3원칙"이란 "1. 중국을 적대시하지 않는다, 2. 두 개의 중국 입장에 서지 않는다, 3. 중일 국교 정상화를 방해하지 않는다"이며, 중일 기자가 기자 교환을 할 때 지켜야 할 원칙으로 여겨졌다[34]. 당시 베이징에 상주 기자를 두고 있던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마이니치 신문, NHK 등은 이 문서를 승인했다. 산케이 신문은 이 협정에 반발하여, 산하 후지 TV을 포함해 특파원을 모두 철수시켰다[35] .
"중일 쌍방 신문 기자 교환에 관한 메모"는 중일 국교 정상화 후 1973년 폐지되었고, 그 후 체결된 "중일 양국 정부 간 기자 교환에 관한 교환 공문"은 보도를 규제하는 조항을 포함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공문을 가지고 보도 기관 국외 퇴거를 요구할 수 없다.
"중일 쌍방 신문 기자 교환에 관한 메모" 및 그 후 "중일 양국 정부 간 기자 교환에 관한 교환 공문"은 국가 간 약속이며 특정 회사가 협정을 체결하거나 체결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실제로 앞서 언급한 산케이 신문사도 "중일 양국 정부 간 기자 교환에 관한 교환 공문"에 기초하여 1998년 베이징에서 중국 총국을 부활시켰다.
첩보 활동 등 명확한 적대 행위가 발각된 경우 외에는 거의 실행된 적이 없지만, 협정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주권 국가는 기자 체류 허가를 취소하고 국외로 추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외국 언론이 잇따라 중국에서 추방되었고, 일본 보도 기관도 용공적인 아사히 신문을 제외하고 모두 추방되었다. 그 후, 다른 일본 보도 각사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재입국을 허가받았다.
인터넷 검열도 심하며, 구글(Google)은 이에 반발하여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철수했다[36] .
2011년 1월 중국 기자 협회 당조 서기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최근 경제와 사람들의 생활과 관련된 허위 보도가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37] . 또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인터넷상 활동 감시를 강화하는 가운데, 전문가로 구성된 사이버 군대를 결성하여 여론을 조작하고, 선전을 세계에 확산시키고 있다[38] .
미국은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서 검열 금지를 명시하고 있다. 이는 의회와 대통령 모두 준수해야 한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미국 국가안보국이 "에셜론"을 이용하여 전 세계 전기 통신 내용을 감청(=도청)하고 있다고 한다. 2013년 에드워드 스노든 폭로로 프리즘 (감시 프로그램)(PRISM) 존재가 밝혀졌다.
미국에는 상부 검열은 없지만 코드(code)라고 불리는 보도 자율 규제가 있다. 미국에서는 강제적 방법이 아니라, 대중 의식에 직접 호소하는 "유도형"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제들이 특정 종교관이나 윤리관 등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예: 인공 임신 중절 반대 등). 대형 매스미디어가 독점 자본이라는 점과, 항상 명예 훼손 등 소송에 휘말릴 위험을 안고 있다는 사정도 있다. 또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측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를 평가·식별하는 능력) 문제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 미국 본토 공습이나 풍선 폭탄 등 자국이 큰 피해를 입은 작전에 대해 자국민을 침울하게 만들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언론 등에 보도 통제가 시행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러시아 제재 일환으로, 러시아 공영 세계 미디어인 RT와 러시아 정부계 미디어인 스푸트니크에 대해 EU권 내 방송 및 배포를 금지했다.[39] 이 미디어 트위터 계정 게시물도 열람할 수 없게 되었다.
대한민국의 인터넷에서는 종래부터 친북·종북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롭게 할 가능성이 있는 게시물은 금지되어 왔지만, 이명박 정부 이후 친일적 게시물에 대해서도 인터넷 검열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가 친일적 발언을 하는 웹사이트와 블로그를 강제 삭제하거나 접속을 금지하며 언론 통제를 하고 있다.[40] 반복적으로 같은 문장을 게재한 사용자에게는 강제적 이용 해지 조치를 취하는 등, 친일적 언론을 발언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엄격한 언론 통제를 하고 있다.[41]
국가 | 내용 |
---|---|
오스트레일리아 | 2010년부터 입국 시 포르노 소지 여부에 대해 신고해야 한다. |
EU | 디지털 서비스법(Digital Services Act, DSA)은 "허위 정보 대응" 및 "위기 상황 대응"과 같은 개념을 사용하여 유럽 위원회가 SNS와 검색 엔진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강권"을 발동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실제로 EU에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계 미디어 EU 내 보도가 규제되었다. |
독일 | 헌법에 따라 나치 긍정 표현에 한정한다. |
프랑스 | 사이비 종교에 한정한다. 또한 1998년부터 미성년자를 묘사하는 모든 표현물을 아동 포르노로 금지했다.( 프랑스 법원, 성인 애니메이션을 아동 포르노로 인정) |
폴란드 | |
벨라루스 | |
러시아 | |
짐바브웨 | 비밀 경찰에 의한 감시와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폭력 |
리비아 | [http://www.hrw.org/ja/news/2009/12/1 (NPO 휴먼 라이츠 워치) 리비아: 억압은 계속되지만, 인권 상황이 조금 진전] |
수단 | [http://www.mofa.go.jp/mofaj/area/sudan/kankei.html (외무성) 수단 개황] |
이집트 | 종교 정당 활동에 한함 |
에리트레아 | |
미국 | 애국자법에 근거하여 보이지 않는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
캐나다 | 판결 이후, 성적 표현을 포함하는 서적은 학술서나 문제를 제기하는 보고서라도 금지되어 있다. |
3. 6. 1. 현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로동당에 의해 언론의 자유를 행사하는 행위가 관련법에 의해 처벌된다.
- 중국에서는 중국공산당에 의해 언론의 자유를 행사하는 행위가 관련법에 의해 처벌된다.
- 쿠바에서는 쿠바공산당에 의해 출판과 방송매체가 관련법에 의해 처벌된다.
-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이슬람에 의해 언론 및 출판행위가 처벌된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국가에 의한 언론 통제가 행해지고 있거나, 행해질 수 있다. 국가가 언론 통제에 직접 관여하지 않더라도, 여당의 유력 정치가가 개인적으로 많은 미디어 기업의 경영권을 장악하거나, 혹은 미디어 경영자와 결탁하여 언론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부패에 의한 경우가 있다.[21]
독일에서는 히틀러를 예찬하거나, 나치스의 의장이나 출판물을 유포하는 것은 대중 선동죄(독일 형법 제130조)로 위법이다. 이는 "싸우는 민주주의"(민주주의를 부정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민주주의)라고 불린다.
미국 등 자유주의 국가에서도 전시 또는 국가 기밀에 관해서는 행정 명령 제12065호(국가 안전 보장 정보)에 의해 미국 합중국 정보 안전 보장 감독국 등에 의한 정보의 기밀화가 당연하게 행해진다.
대한민국에서는 국가보안법에 의해, 법적으로 공산주의의 선전이나 공산주의 운동을 지지하는 언론은 금지되어 있다.
국가 | 내용 |
---|---|
일본 | #일본의 경우 참조 |
대한민국 | 국가보안법 및 친일재산법에 의거, 공산주의 및 친일에 한정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언론 자유도가 세계 최악 |
중화인민공화국 | 국가 비판 및 이에 해당하는 행위에만 한정되지 않는 검열 시스템으로 만리 방화벽이 있다. 단, 홍콩 및 마카오를 제외한 중국 본토에 한정. |
싱가포르 | |
인도네시아 | [http://www.news.janjan.jp/world/0709/0709170504/1.php (인터넷 신문 JanJan)개혁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씨 명예훼손] |
베트남 | |
캄보디아 | |
미얀마 | |
타이 | 불경죄에 해당하는 행위에 한정 |
파키스탄 | |
아프가니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북한 수준의 언론 자유도 |
이란 | 반 국교에 해당하는 행위에 한정 |
시리아 | |
사우디 아라비아 | 불경죄 및 반 국교에 해당하는 행위에 한정 |
아랍에미리트 | 정당 결성에 한정 |
이스라엘 |
4. 언론 통제와 관련된 법률 및 제도
언론 통제와 관련된 법률 및 제도는 다음과 같이 여러 국가에서 나타난다.
- 대한민국: 국가보안법에 의해 공산주의 선전이나 운동을 지지하는 언론이 법적으로 금지된다.[21] 이명박 정부 이후에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친일적인 웹사이트와 블로그를 강제 삭제하거나 접속을 금지하는 등 인터넷 검열을 시행하고 있다.[40] 반복적으로 친일적인 게시물을 올리는 사용자에게는 강제 이용 해지 조치가 취해진다.[4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로동당에 의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고 관련법으로 처벌한다. 언론 자유도가 세계 최악으로 평가받는다.
- 중화인민공화국: 중국공산당에 의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고 관련법으로 처벌한다. 만리 방화벽이라는 검열 시스템을 통해 국가 비판 등을 통제한다. 단, 홍콩과 마카오는 제외된다.
- 일본: 에도 시대에는 출판에 신고가 필요했고,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출판법, 신문지법 등으로 검열이 이루어졌다.[21] 공산주의, 무정부주의 선전, 천황 비판, 식민지 독립 운동 선동 등이 금지되었다. 전시 체제에는 정보국과 특별고등경찰을 중심으로 언론 통제가 강화되었다. 일본국 헌법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보도 기관의 자율 규제 형태로 여러 금기 사항이 존재한다.
- 기타 국가:
- 쿠바: 쿠바공산당에 의해 출판과 방송 매체가 관련법에 의해 처벌된다.
- 사우디아라비아: 이슬람에 의해 언론 및 출판 행위가 처벌된다.
- 독일: 독일 파시즘에 의한 언론 통제가 있었으며, 현재는 나치 찬양이나 관련 출판물 유포가 대중 선동죄로 처벌된다.
- 이탈리아: 이탈리아 파시즘에 의한 언론 통제가 있었다.
- 동독: 1990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전까지 언론 통제가 있었다.
- 소련: 1991년 냉전 종식 이전까지 언론 통제가 있었다.
- 미국: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서 검열을 금지하지만, 미국 국가안보국이 에셜론을 통해 통신 내용을 감청한다는 의혹이 있다.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로 프리즘 (감시 프로그램)의 존재가 밝혀지기도 했다.
- EU: 디지털 서비스법(DSA)을 통해 허위 정보 대응 등을 명목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수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계 미디어의 EU 내 보도가 규제되기도 했다.[39]
참조
[1]
웹사이트
Prejudice haunts atomic bomb survivors
http://www.nci.org/0[...]
2001-05-08
[2]
뉴스
US war dead media blackout lift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4-06
[3]
서적
War & Press Freedom: The Problem of Prerogative Power –
Language Arts & Disciplines
[4]
웹사이트
Weinberger Kidnapping
https://www.fbi.gov/[...]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22-04-10
[5]
웹사이트
Crime of the Century: The Kidnapping of Peter Weinberger
https://home.heinonl[...]
2021-11-10
[6]
웹사이트
Weinberger Kidnapping
https://www.fbi.gov/[...]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22-04-10
[7]
웹사이트
From the archives: Detective leads probe in LI's kidnapping of the century
https://www.newsday.[...]
2021-11-10
[8]
뉴스
'Media Blackout'
http://www.nysun.com[...]
NYSun.com
2005-12-27
[9]
뉴스
News blackouts necessary when lives at risk: military boss
https://www.thestar.[...]
Toronto Star
2022-11-09
[10]
뉴스
How the Prince Harry blackout was broken
https://www.telegrap[...]
2011-09-09
[11]
뉴스
Reporter's Escape From Taliban Spurs Ethics Debate
https://www.npr.org/[...]
NPR.org
2009-06-23
[12]
웹사이트
メディアフォーカス
https://www.nhk.or.j[...]
2023-05-10
[13]
웹사이트
テック企業のコンテンツ規制を強化、EUが合意した「デジタルサービス法」の狙いと懸念
https://wired.jp/art[...]
2023-06-16
[14]
뉴스
Italians kick up a stink
http://observer.guar[...]
2007-04-25
[15]
뉴스
The silent right of militant millionaires
http://football.guar[...]
2007-04-25
[16]
문서
言論統制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
문서
小学館『日本大百科全書』の「言論統制」の項目
http://100.yahoo.co.[...]
[18]
웹사이트
JR東日本による言論弾圧に関する質問主意書:質問本文:参議院
https://www.sangiin.[...]
2024-01-13
[19]
웹사이트
焦点:大統領選控えるロシア、ハッカー攻撃で言論統制強化の懸念
https://jp.reuters.c[...]
2023-08-26
[20]
웹사이트
権利章典 - 言論の自由 |About THE USA|アメリカンセンターJAPAN
https://americancent[...]
駐日アメリカ合衆国大使館
2023-12-06
[21]
웹사이트
汚職
https://kotobank.jp/[...]
2023-08-26
[22]
문서
軍部の検閲より怖かった「戦前のツイ民」投書階級の猛威 「日本精神」を掲げて、自粛を強要 (4ページ目) | PRESIDENT Online(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
https://president.jp[...]
[23]
웹사이트
井上寿一の近代史の扉:直接行動の事件史 時代の潮流は変わらず
https://mainichi.jp/[...]
2023-06-18
[24]
웹사이트
戦争を煽ったのは誰だったのか? 民意が生んだ娯楽統制と戦争への道(井上 寿一)
https://gendai.ismed[...]
2023-06-15
[25]
웹사이트
コロナ禍でわかった、日本人が患う「管理されたい病」の重症度
https://diamond.jp/a[...]
2023-06-15
[26]
웹사이트
まさに現代の自粛警察 戦時下の「投書階級」と重なる姿
https://wedge.ismedi[...]
2023-06-15
[27]
웹사이트
戦時下の検閲を支えたのは「市民の声」だった?当局を動かす投書の力(金子 龍司)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3-12-07
[28]
문서
ハリセンにおでん芸…令和のテレビから消えた物 ドラマ『不適切にもほどがある!』を契機に考える | 週刊女性PRIME | 東洋経済オンライン
https://toyokeizai.n[...]
[29]
문서
実はこんなにあった、テレビの「タブー」と「自主規制」(週刊現代) | 現代ビジネス | 講談社(1/2)
https://gendai.media[...]
[30]
문서
テレビが「面白くない」のには理由がある 現役番組制作会社スタッフ匿名座談会 | AERA dot. | 東洋経済オンライン
https://toyokeizai.n[...]
[31]
문서
「日本共産党 2009年 総選挙政策」の「25 司法・警察」
https://www.jcp.or.j[...]
[32]
문서
「児童買春、児童ポルノに係る行為等の処罰及び児童の保護等に関する法律改正に関する公開質問状への回答」
https://www.jcp.or.j[...]
[33]
웹사이트
児童ポルノ禁止法が改正へ 漫画、アニメは対象外
https://www.huffingt[...]
ハフィントンポスト
2016-11-28
[34]
웹사이트
政治三原則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08-26
[35]
문서
唸声日本/産経新聞・斎藤勉編集局長、大いに語る
http://datefile.iza.[...]
iZa
2007-09-24
[36]
웹사이트
Googleが中国撤退を発表、サービスは香港のサーバーから継続
https://internet.wat[...]
2021-04-25
[37]
뉴스
"中国は虚偽報道が多すぎる」、中国記者協会幹部が苦言―SP華字紙
https://www.recordch[...]
[38]
웹사이트
中国政府、世論を操作するために数百万人を雇用
https://jp.bitterwin[...]
2019-01-29
[39]
웹사이트
メディアフォーカス
https://www.nhk.or.j[...]
2023-05-10
[40]
뉴스
방통심의위 "친일 찬양 사이트 제제한다"
http://www.mt.co.kr/[...]
マネートゥデイ
2012-08-31
[41]
뉴스
"독도는 일본땅" 인터넷 친일 게시글 삭제
http://news.mk.co.kr[...]
毎日経済
2012-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