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교 전쟁은 종교적 신념이나 목적을 명분으로 발생하는 전쟁 또는 분쟁을 의미한다. 종교 전쟁의 정의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전쟁의 동기를 종교로만 한정하기 어렵다는 비판도 있다. 종교 전쟁은 크게 서로 다른 종교 간의 전쟁과 정치 권력과 종교 간의 갈등으로 나뉘며, 역사적으로 십자군 전쟁, 프랑스 종교 전쟁, 30년 전쟁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현대에는 중동 전쟁, 팔레스타인 분쟁, 나이지리아 분쟁 등이 종교적 요소와 민족적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종교 전쟁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전쟁 - 키토스 전쟁
키토스 전쟁은 115년부터 117년까지 로마 제국 내 여러 지역에서 일어난 유대인들의 반란으로, 유대 속주 총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로마 제국 내 유대인, 그리스인, 로마인 간의 갈등과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의 여파로 발생하여 로마의 진압으로 마무리되었다. - 종교전쟁 - 아랍-동로마 전쟁
아랍-동로마 전쟁은 7세기부터 11세기까지 아랍 칼리파국과 동로마 제국 간에 벌어진 일련의 군사적 충돌로, 비잔티움 제국의 쇠퇴와 이슬람 세계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유형별 전쟁 - 소모전
소모전은 상대의 군사력과 전쟁 수행 능력을 파괴하는 전략으로, 기습전이나 병력 집중을 통한 전투는 포함되지 않으며 자원이 풍부한 쪽이 유리하다. - 유형별 전쟁 - 대공전
- 종교 활동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종교 활동 - 탁발
탁발은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여러 종교에서 수행 또는 생계 방식으로 여겨져 왔으며, 가톨릭의 탁발 수도회, 개신교의 순회 설교자 파송, 이슬람의 구걸 전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현대 사회의 사회적 약자 지원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종교전쟁 | |
|---|---|
| 개요 | |
| 유형 | 종교적 동기 또는 종교적 목표를 가진 전쟁 |
| 원인 | 종교적 교리 차이 종교적 권력 투쟁 종교적 편견 및 차별 종교적 극단주의 |
| 특징 | |
| 명분 | 신성한 목적 달성, 신의 뜻을 따름 |
| 갈등 강도 | 극심한 폭력과 파괴 동반 가능 |
| 지속성 | 장기간 지속되는 경향 |
| 참여 주체 | 종교 집단, 국가, 민족 등 다양한 주체 참여 |
| 역사적 예시 | |
| 고대 | 모세의 가나안 정복 전쟁 마카베오 전쟁 |
| 중세 | 십자군 전쟁 알비 십자군 보스니아 십자군 북방 십자군 레콩키스타 후스 전쟁 성 사바 전쟁 |
| 근세/근대 | 위그노 전쟁 30년 전쟁 청교도 혁명 제2차 수단 내전 보신 전쟁 크리마 전쟁 |
| 현대 | 나이지리아 종교 폭동 아일랜드 분쟁 보스니아 전쟁 코소보 전쟁 시리아 내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관련 분쟁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전쟁 |
| 논쟁 | |
| 정의 | 종교적 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해석에 따라 논쟁 존재 |
| 현대 전쟁 | 종교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음 |
| 관련 개념 | |
| 관련 개념 | 지하드 성전 종교 갈등 종교 박해 |
2. 정의 및 개념
종교 전쟁은 종교상의 문제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전쟁이나 분쟁을 말한다. 근본 원인이 신념에 깊이 뿌리박혀 있다는 점이 다른 전쟁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종교 전쟁'이라는 용어의 정의와 전쟁에 종교를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논란의 대상이다. 이는 '종교'라는 단어 자체가 모호하고, 전쟁 발발의 원인이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종교"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종교"를 다른, 더 가능성 있는 동기 부여 차원(사회적, 정치적, 경제적)으로부터 분리할 방법이 없으므로, 어떠한 폭력 사태도 "종교적"이라고 명명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9]
윌리엄 T. 캐버노는 저서 ''종교적 폭력의 신화''(2009)에서 "종교"라는 개념 자체가 최근에 발명된 현대 서구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종교적 폭력" 또는 "종교 전쟁"이라는 개념이,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종교적 이념의 참여자로서 사람과 분쟁에 시대착오적으로 꼬리표를 붙이기 위해 부적절하게 사용된다고 주장한다.[12]
많은 무력 충돌은 두 명의 왕위 계승 경쟁자가 서로 대립하는 종교를 대표할 때 동시에 왕위 계승 전쟁이자 종교 전쟁일 수 있다.[8] 3명의 앙리 전쟁과 프랑스 종교 전쟁 동안의 앙리 4세의 프랑스 왕위 계승, 독일의 종교 개혁 동안의 헤센 전쟁과 율리히 왕위 계승 전쟁, 그리고 영국과 아일랜드의 종교 개혁 동안의 자코바이트 봉기(윌리엄파–자코바이트 전쟁 포함)가 그 예시이다.
이슬람에서는 성스러운 의미에서 전쟁을 지하드라고 부른다. 지하드는 소 지하드와 대 지하드로 나뉜다. 소 지하드는 생명의 위협이나 이슬람 박해에 대항하는 등 부정한 권력에 대항해 싸우는 것을 의미하며, 대 지하드는 선행과 신앙인으로서의 의무 이행, 자기 자신과의 싸움(금주, 금연 등)을 뜻하는 정신적 수행을 의미한다. 그러나 IS 등 극단주의 단체가 테러를 저질러 이슬람 성전의 본래 의미가 왜곡되기도 한다.
2. 1. 종교 전쟁의 유형
종교 전쟁은 주로 다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서로 다른 종교 간, 종파 간의 전쟁'''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모두의 성지인 예루살렘을 둘러싸고 여러 번 반복된 전쟁이나, 기독교의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사이에서 일어난 위그노 전쟁 등 서로 다른 종교 간의 가르침 등의 차이로 인해 일어나는 전쟁을 말한다.
- '''정치 대 종교의 전쟁'''
이 유형은 다시 정치 측이 정치적 사정으로 종교 측의 신교의 자유를 탄압하는 것(일반적으로 종교 탄압이라고 부름)으로 인해 일어나는 것과, 종교 측이 종교상의 사상이나 이념을 정치 측에 간섭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으로 나뉜다. 전자의 예로는 시마바라의 난이 있고, 후자의 예로는 오다 노부나가와 히에이 산 엔랴쿠지, 이시야마 혼간지와의 싸움, 혁명 세력과 종교 세력의 싸움 등이 있다. 어느 쪽이든 대부분 종교 측이 무너지는 결과가 되지만, 정치 측은 종교 측이 처음부터 승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거나, 사후의 내세에서 신의 가르침에 맞는 등의 신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
2. 2. 종교 전쟁의 특징
종교 전쟁은 신념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다른 전쟁보다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장기화되는 경향이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7] 종교 전쟁은 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서로 다른 종교 간, 종파 간의 전쟁: 서로 다른 종교 간의 가르침 등의 차이로 인해 일어나는 전쟁이다.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모두의 성지인 예루살렘을 둘러싸고 여러 번 반복된 전쟁이나, 기독교의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사이에서 일어난 위그노 전쟁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정치 대 종교의 전쟁: 이 유형은 다시 정치 세력이 종교 세력의 신앙의 자유를 탄압(일반적으로 종교적 박해라고 부름)하여 일어나는 경우와, 종교 세력이 종교적 사상이나 이념을 정치에 간섭하여 일어나는 경우로 나뉜다. 전자의 예로는 시마바라의 난이 있으며, 후자의 예로는 오다 노부나가와 히에이 산 엔랴쿠지, 이시야마 혼간지와의 싸움, 혁명 세력과 종교 세력의 싸움 등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종교 세력이 무너지지만, 종교 세력은 처음부터 승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거나 사후의 내세에서 신의 가르침에 맞는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치 세력이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교 전쟁의 교훈과 반성을 통해 서유럽에서는 정치와 종교의 분리 원칙이 추진되었으며, 한국이나 미국에서는 신앙의 자유와 정교분리 원칙이 헌법에 명문화되었다.
3. 역사
칼레비 홀스티(Kalervi Holsti)의 연구(1991)에 따르면, 1648년부터 1989년까지의 전쟁 중 종교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비율은 시기에 따라 변화했다. 1648~1714년에는 14%, 1715~1814년에는 11%, 1815~1914년에는 10%였으며, 1918~1941년과 1945~1989년에는 0%였다. '민족/종교 통일'이나 '미개척지'는 1815~1914년 기간 동안 6%, 1918~1941년 기간 동안 17%, 1945~1989년 기간 동안 12%의 주요 원인이었다.
찰스 필립스(Charles Phillips)와 앨런 액설로드(Alan Axelrod)의 ''전쟁 백과사전''(1997)에서는 세계 역사상 1763건의 주요 전쟁 중 121건(약 7%)이 "종교 전쟁"으로 분류되었다.[21][4]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종교적 관점보다는 주권적 이익을 위한 전쟁으로 설명되기도 한다.[22] 일부 논평가들은 이 1763건 중 123건(7%)만이 종교적 동기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주장하지만,[23][24][25] 앤드루 홀트(Andrew Holt, 2018)는 이 주장이 실제 ''전쟁 백과사전''에 기록된 121건과 약간 다르다고 지적한다.[21]
고든 마텔(Gordon Martel)이 편집한 ''전쟁 백과사전''은 명백한 종교적 행위를 포함하는 전쟁을 기준으로, 전체 전쟁의 6%만이 종교 전쟁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결론 내린다.[26]
3. 1. 고대 ~ 중세
초기 제국은 지배 엘리트의 단일 신(예: 바빌론 제국의 마르두크, 아시리아 제국의 아수르 등)을 섬기거나, 황제 숭배에서 통치자를 직접 신격화하는 방식으로 일신교에 가깝게 묘사될 수 있었다.[27] 반면 "성전"이라는 개념은 일신교의 발달과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27]고전 고대 시대 동안, 그리스-로마 세계는 특정 속성과 관심 분야를 가진 판테온을 가지고 있었다. 아레스는 전쟁을 의인화했다. 그는 전쟁에 나서는 군대로부터 가끔 희생을 받았지만, "아레스 숭배"는 매우 제한적이었다.[28] 그러나 스파르타에서는 청년 부대마다 포베움에서 의례적인 전투를 벌이기 전에 에니알리오스에게 제물을 바쳤다.[29]
한스 M. 바르스타드(2008)는 고대 그리스의 전쟁과 종교에 대한 이러한 태도가 고대 이스라엘과 유다의 그것과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리스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달리, 성전은 고대 이스라엘 사회에 스며들었다."[30] 또한, 만프레트 바이퍼트의 선구적인 연구 "»Heiliger Krieg« in Israel und Assyrien"(1972) 이후, 학자들은 (일신교적인) 히브리 성서의 성전 개념과 다른 (다신교적인) 고대 근동 전쟁 전통을 비교해 "구문론과 이념에서 많은 [놀라운] 유사점"을 발견했다.[30]
십자군 시대 동안, 신의 이름으로 싸운 일부 십자군은 그리스도의 군인, 즉 ''Milites Christi''로 인정받았다.[34]
십자군은 11세기 말부터 13세기까지 감행된 초기 이슬람 정복에 대항한 일련의 군사 원정이었다. 원래 십자군의 목표는 예루살렘과 성지를 무슬림으로부터 탈환하고, 무슬림 셀주크 왕조의 소아시아와 유럽 본토로의 확장에 맞서 싸우고 있던 포위된 기독교 비잔틴 제국에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후, 알비 십자군, 북방 십자군과 같은 종교적 이유나, 아라곤 십자군과 같은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다른 목표를 향한 십자군이 시작되었다. 1095년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교황 우르바노 2세는 전쟁의 수준을 ''bellum iustum'' ( "정당한 전쟁")에서 ''bellum sacrum'' ("성전")으로 격상시켰다.[35]
그리스 고대 시대에, 델포이의 범헬레니즘 신전 (아폴론 신전에 피티아 (신탁)가 있었다)을 둘러싸고 4번(또는 5번)의 전쟁이 벌어졌는데, 이는 신 아폴론 앞에서 신성 모독적인 행위를 저질렀다고 여겨지는 인물이나 국가들을 상대로 한 것이었다.[45] 다음과 같은 전쟁들이 구분된다.
- 제1차 신성 전쟁 (기원전 595–585년)
- 제2차 신성 전쟁 (기원전 449–448년)
- 제3차 신성 전쟁 (기원전 356–346년)
- 제4차 신성 전쟁 (기원전 339–338년)
- 제5차 신성 전쟁 (기원전 281–280년)
짐 브래드버리(2004)는 ''레콩키스타''의 교전국들이 모두 종교에 의해 동등하게 동기 부여된 것은 아니며, 한편으로는 '세속 통치자'와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에서 온 기독교 군사 기사단(예: 템플 기사단, 구호 기사단, 튜턴 기사단) 또는 이베리아 내부에서 설립된 기사단(예: 산티아고 기사단, 알칸타라 기사단, 칼라트라바 기사단)을 구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기사단]은 일부 세속적인 상대보다 종교 전쟁에 더 헌신적이었고, 무슬림과의 협상을 반대했으며, 무슬림 포로의 참수와 같은 습격과 잔혹 행위까지 저질렀다."
후스 전쟁 (1419–1434)을 일으킨 다양한 요인들의 상대적인 중요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코코넨 & 선델(2017)은 1419년 8월 19일 보헤미아 국왕 바츨라프 4세의 죽음이 그의 형식적인 상속자인 지기스문트(당시 독일, 헝가리, 크로아티아 국왕)에 대한 후스파 반란을 촉발한 사건으로, 본질적으로 왕위 계승 전쟁으로 만들었다고 주장했다.[7] 놀란(2006)은 종교를 여러 가지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꼽았으며, 후스파의 동기를 "교리적일 뿐만 아니라 '민족주의적'이고 헌법적"으로 요약하고, 전쟁을 야기한 일련의 문제들을 제시했다. 즉, 얀 후스의 재판 및 처형(1415)은 "분쟁을 유발"했고, 프라하 창문 투척 사건(1419년 7월 30일)은 "분쟁을 시작"했으며, "바츨라프 국왕이 사망한 직후, 창문 투척 사건 직후(즉, 1419년 8월 19일 이후) 전투가 시작되었다."
3. 2. 근세 ~ 현대
이슬람에서는 성스러운 의미에서 전쟁을 말하며, 이를 지하드라고 부른다. 지하드는 소 지하드와 대 지하드로 나뉜다. 소 지하드는 생명의 위협이나 이슬람 박해에 대항하는 등 부정한 권력에 맞서 싸우는 것을 의미한다. 대 지하드는 선행과 신앙인으로서의 의무 이행, 자기 자신과의 싸움(금주, 금연 등)을 포함하는 정신적 수행을 뜻한다. 그러나 IS 등 극단주의 단체가 테러를 통해 이슬람 성전의 본래 의미를 왜곡하기도 한다.[7]16세기 프랑스에서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위그노가 주도) 사이에 프랑스 종교 전쟁이 벌어졌다. 17세기 전반에는 독일, 스칸디나비아 (주로 스웨덴) 및 폴란드가 30년 전쟁 동안 종교 전쟁으로 고통받았다. 가톨릭 국가인 프랑스는 정치적인 이유로 프로테스탄트 편을 들기도 했다.[57][58]

그리스 독립 전쟁(1821–1829)은 초기 단계에서 기독교인과 무슬림 간의 종교 전쟁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1822년 1월 15일에 발표된 그리스 독립 선언은 종교적 및 민족주의적 용어를 섞어 오스만 제국에 대한 무장 반란을 정당화했다.[61]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에서 이란 이슬람 공화국은 지하드 서사를 사용하여 군대를 동원하고 종교 전쟁으로 묘사했다.[97][98] 반면, 사담 후세인이 이끄는 바트당 이라크는 페르시아-아랍 역사적 적대감, 이라크 중심의 아랍 민족주의를 내세웠다.[97]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 국가 사이의 중동 전쟁 및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과의 분쟁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인 예루살렘, 헤브론 등의 귀속 문제로 인해 종교 전쟁의 색채가 강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2018년 우크라이나 정교회가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독립하며 발생한 종교적 대립이 배경 중 하나로 여겨진다.
4. 현대의 종교 분쟁
이슬람에서는 성스러운 의미에서 전쟁을 지하드라고 부른다. 지하드는 크게 소 지하드와 대 지하드로 나뉜다. 소 지하드는 생명의 위협이나 이슬람 박해 등 부정한 권력에 맞서 싸우는 것을 의미하며, 대 지하드는 선행, 신앙적 의무 이행, 자기 자신과의 싸움 등 정신적 수행을 뜻한다. 그러나 IS와 같은 극단주의 단체가 테러를 저지르면서 이슬람 성전의 본래 의미가 왜곡되기도 한다.[38]
현대에도 종교 분쟁은 여러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유대교와 이슬람교 간의 종교적 갈등이 민족 분쟁과 결합된 복잡한 분쟁이다. 1929년 팔레스타인 폭동과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등을 거치며 수많은 팔레스타인 난민이 발생했다.
- '''나이지리아 분쟁''': 기독교와 이슬람교 간의 종교 갈등이 민족 갈등과 겹쳐져 폭동과 학살 등 유혈 사태로 이어졌다.
-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쟁''': 영국령 인도 제국이 힌두교 중심의 인도 자치령과 이슬람교 중심의 파키스탄 자치령으로 분할되면서 종교 갈등이 격화되어 대규모 폭력 사태와 인구 이동이 발생했다.
- '''중국 내 소수민족 문제''': 둥간 반란 (1862–1877), 판타이 반란 등 후이족과 관련된 분쟁,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 위구르족과 후이족 간의 갈등 등 종교적 요인이 작용하는 분쟁이 존재한다.
- '''레바논 내전''': 수니파, 기독교 레바논인, 시아파, 드루즈 등 다양한 종파 간의 갈등이 내전으로 이어졌다.
- '''이란-이라크 전쟁''': 이란 이슬람 공화국은 이 전쟁을 종교 전쟁으로 규정하고 지하드의 명분을 활용하여 군대를 동원했다.[97][98]
- '''유고슬라비아 전쟁''': 크로아티아 전쟁과 보스니아 전쟁은 정교회, 가톨릭, 이슬람교 간의 종교 전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01][102]
4. 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은 유대인과 팔레스타인인 간의 민족 분쟁으로 볼 수 있지만, 양측 모두 종교적 요소를 강조하며 종교 전쟁으로 간주하기도 한다.[68] 1929년 통곡의 벽에서 기도하는 유대인에 대한 무슬림과 유대인 팔레스타인 간의 종교적 긴장은 1929년 팔레스타인 폭동, 헤브론 및 사페드 학살로 이어졌다.[68]

1947년,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를 분할하라는 유엔의 결정은 이스라엘과 요르단의 건국으로 이어졌으며, 요르단은 위임 통치의 서안 지구 부분을 합병했다. 그 이후로 이 지역은 아랍-이스라엘 분쟁으로 고통받아 왔다. 1948년 팔레스타인 엑소더스는 '나크바'(النكبة|나크바ar)[69]로도 알려져 있으며, 약 711,000~726,000명의 팔레스타인인이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과 그에 앞선 내전 동안 집에서 도망치거나 추방되었다.[70] 정확한 난민 수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UNRWA에 등록된 팔레스타인 난민과 그들의 정착되지 않은 후손의 수는 430만 명이 넘는다.[71][72] 유대인과 팔레스타인 모두 이 땅에 대한 민족적, 역사적 주장을 하며, 유대인은 종교적 주장도 한다.[73]

역사학자 베니 모리스에 따르면, 아랍의 관점에서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은 "영토에 대한 민족주의적 전쟁만큼, 아니 그 이상으로 종교 전쟁"이었다.[74]
4. 2. 나이지리아 분쟁
나이지리아의 민족 간 갈등은 종종 종교적 요소를 동반한다.[80] 1953년과 1960년대 북부에서 이보족을 대상으로 한 폭동은 종교 갈등으로 촉발되었다고 한다. 1966년 북부에서 이보족을 대상으로 한 폭동은 남부에서 무슬림이 부당하게 대우받는다는 라디오 보도에 의해 촉발되었다고 한다.[80]1980년대에는 두 종교 간의 경계 지역인 남부 카두나주의 카판찬에서 기독교인과 무슬림 간에 심각한 충돌이 발생했다.
2010년 조스 폭동에서는 조스 인근에서 무슬림 목축업자와 기독교 농민 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82] 관리들은 무슬림 갱단이 밤에 습격하여 500명이 학살되었다고 추정했다.[83]
4. 3. 기타 분쟁
-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쟁은 1947년 영국령 인도 제국이 해체되면서 인도의 분할로 인도 자치령과 파키스탄 자치령으로 분할되며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최대 1,250만 명의 사람들이 이산되었으며, 사망자 수는 수십만 명에서 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77] 인도는 힌두교 다수의 세속 공화국으로, 파키스탄은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는 이슬람 공화국으로 설립되었다.[78][79]
- 중국 내 소수민족 문제: 둥간 반란 (1862–1877)과 판타이 반란 (1856–1873)은 후이족에 의해 일어났으며, 인종적 적대감과 계급 투쟁에 의해 촉발되었다.[90] 1936년, 셩스차이가 2만 명의 카자흐족을 신장에서 칭하이로 추방한 후, 마부팡 장군이 이끄는 후이족은 동족 무슬림인 카자흐족을 학살하여 135명만 남았다.[91][92]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위구르족과 후이족 간의 긴장이 존재한다.[93]
- 레바논 내전: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이어진 레바논 내전은 수니파, 기독교 레바논인, 시아파, 드루즈 등 종교적 노선을 따라 전개되었다.
- 이란-이라크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에서 이란 이슬람 공화국은 이 분쟁을 종교 전쟁으로 묘사했으며,[97] 군대를 모집, 동원, 동기 부여하기 위해 ''지하드''의 서사를 사용했다.[97][98]
- 유고슬라비아 전쟁: 크로아티아 전쟁 (1991-1995)과 보스니아 전쟁 (1992-1995)은 구 유고슬라비아의 정교회, 가톨릭, 이슬람교 인구 사이의 종교 전쟁으로 여겨진다.[101][102]
5. 종교 전쟁의 교훈과 과제
종교 전쟁은 종교적 신념의 차이가 극단적인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종교 간의 대화와 이해, 관용의 정신이 필요하며, 정치와 종교의 분리 원칙을 확립하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 또한, 종교적 극단주의를 경계하고, 평화로운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슬람에서는 성스러운 의미의 전쟁을 지하드라고 부르며, 이는 소 지하드와 대 지하드로 나뉜다. 소 지하드는 생명의 위협이나 이슬람 박해에 맞서는 등 부정한 권력에 대항하는 싸움을, 대 지하드는 선행과 신앙적 의무 이행, 자기 자신과의 싸움 등 정신적 수행을 의미한다. 그러나 IS와 같은 극단주의 단체의 테러로 인해 이슬람 성전의 본래 의미가 왜곡되기도 한다.[39]
한국은 종교 간의 화합과 평화를 증진하고, 국제사회의 분쟁 해결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종교 간의 대화와 이해를 증진하고, 종교적 극단주의에 반대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Exposing Myths about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IVP Books
2012
[2]
서적
50 Great Myths of Religion
Wiley-Blackwell
2013
[3]
서적
The General History of the Later War
https://books.google[...]
1763
[4]
서적
Encyclopedia of Wars (Vol.3)
Facts on File
2004
[5]
서적
The Great Big Book of Horrible Things
W.W. Norton & Company
2011
[6]
웹사이트
Religion and the 100 Worst Atrocities in History
https://apholt.com/2[...]
2023-01-02
[7]
서적
War and Religion after Westphalia, 1648–1713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22-03-12
[8]
서적
The Balance of Power
Palgrave Macmillan
2022-03-10
[9]
서적
50 Great Myths of Religion
Wiley-Blackwell
2013
[10]
서적
The Territories of Science and Relig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11]
서적
Before Religion: A History of a Modern Concept
Yale University Press
2013
[12]
서적
The Myth of Religious Violence : Secular Ideology and the Roots of Modern Conflict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3]
웹사이트
History of Zionism: A Handbook and Dictionary
https://www.questia.[...]
[14]
서적
Judaism - Introductory Profiles
https://rpl.hds.harv[...]
Harvard University
2015
[15]
서적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
[16]
서적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Religion: four lectures delivered at the Royal institution, with two essays, On false analogies, and The philosophy of mythology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873
[17]
웹사이트
The Imperial Law and the Buddhist Law
http://www.nanzan-u.[...]
2010-05-28
[18]
서적
Buddhism and the State in Sixteenth-Century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19]
서적
Explaining Northern Ireland: Broken Images.
Blackwell
1995
[20]
서적
Peacemaking and the Challenge of Violence in World Religions
Wiley-Blackwell
2015-06-22
[21]
웹사이트
Counting "Religious Wars" in the Encyclopedia of Wars
https://apholt.com/2[...]
2019-10-11
[22]
문서
Encyclopedia of Wars
Facts on File
2004-11-01
[23]
서적
An Atheist Defends Religion : Why Humanity is Better Off with Religion than Without It
Alpha Books.
2009
[24]
서적
The Irrational Atheist: Dissecting the Unholy Trinity of Dawkins, Harris, and Hitchens
BenBella Books
2008
[25]
웹사이트
Is Religion the Cause of Most Wars?
http://www.huffingto[...]
2015-02-12
[26]
문서
The Encyclopedia of War
2012-01-17
[27]
문서
God Against The Gods: The History of the War Between Monotheism and Polytheism
Penguin
2005
[28]
문서
Greek Religion
[29]
문서
Here each company of youths sacrifices a puppy to Enyalius, holding that the most valiant of tame animals is an acceptable victim to the most valiant of the gods. I know of no other Greeks who are accustomed to sacrifice puppies except the people of Colophon; these too sacrifice a puppy, a black bitch, to the Wayside Goddess.
[30]
서적
History and the Hebrew Bible: Studies in Ancient Israelite and Ancient Near Eastern Historiography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022-03-21
[31]
서적
The First Crusade: The Chronicle of Fulcher of Chartres and Other Source Material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09-10
[32]
웹사이트
Conflicts of Ideology in Christian and Muslim Holy War
https://www.binghamt[...]
Binghamton University
2016-06-02
[33]
웹사이트
Timeline for the Crusades and Christian Holy War
http://www.usna.edu/[...]
2016-06-02
[34]
문서
The Crusade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5]
웹사이트
Christian Jihad: The Crusades and Killing in the Name of Christ
http://www.cbn.com/s[...]
Cbn.com
2014-10-20
[36]
서적
Hinduism and the Ethics of Warfare in South Asi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37]
서적
Hinduism and the Ethics of Warfare in South Asi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8]
문서
Muhammad at Medina
William M. Watt
[39]
문서
Holy War in Judaism: The Fall and Rise of a Controversial Idea
[40]
웹사이트
Holy War Idea in the Hebrew Bible
http://www.usc.edu/s[...]
USC
2016-06-02
[41]
간행물
War in the Hebrew Bible and Contemporary Parallels
http://wordandworld.[...]
Luther Seminary
1995
[42]
서적
Handbook on the Pentateuch: Genesis, Exodus, Leviticus, Numbers, Deuteronomy
https://books.google[...]
Baker Books
2005
[43]
서적
Number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2
[44]
서적
Holy War in Ancient Israel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6
[45]
문서
Delphi
Encarta Encyclopaedia Winkler Prins
[46]
문서
A History of the Franks
Gregory of Tours, Pantianos Classics
1916
[47]
서적
1016: The Danish Conquest of England
"{{GBurl|kXGaAwAAQBA[...]
Books on Demand
2014
[48]
문서
kruistochten
"Encarta Winkler Prins Encyclopaedia (1993–2002).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49]
문서
Bellum sacrum Ecclesiae militantis contra Turcum
Léonard de Vaux
1685
[50]
문서
The Making of the West: Peoples and Cultures: A Concise History: Volume I: To 1740
Lynn Hunt, R. Po-chia Hsia, Thomas R. Martin, Barbara H. Rosenwein, and Bonnie Smith, Bedford/St. Martin's
2007
[51]
문서
A General History of the Christian Era: The Papacy and the Empire
Guggenberger, Anthony, B. Herder
1913
[52]
문서
hussieten
"Encarta Winkler Prins Encyclopaedia (1993–2002).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53]
문서
Sigismund [Duitse Rijk]
"Encarta Winkler Prins Encyclopaedia (1993–2002).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54]
문서
"Japan. §5.2 De introductie van de vastelandsbeschaving"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1993–2002).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55]
서적
The Popular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Harvest House Publishers
[56]
문서
Tolteken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1993–2002).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57]
웹사이트
The General History of the Later War
https://books.google[...]
Israel Mauduit, John Entick
2020-02-17
[58]
웹사이트
The Wars of Relig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8-06-14
[59]
문서
The Ethiopians: A History
Richard Pankhurst, Blackwell
2001
[60]
문서
Somalia: Nation in Search of a State
David D. Laitin and Said S. Samatar, Westview Press
1987
[61]
웹사이트
Greek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s://en.wikisourc[...]
2022-03-18
[62]
서적
The Life of Alexander Lycurgus, Archbishop of the Cyclades
https://books.google[...]
Rivingtons
1877
[63]
서적
Classical Greece: Ancient Histories and Modern Archaeolog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64]
간행물
In search of a lost time
https://journals.ope[...]
2008
[65]
웹사이트
The Druze of Israel: Hope for Arab-Jewish Collaboration
https://www.huffpost[...]
2015-10-08
[66]
뉴스
Samaritans form bridge of peace between Israelis and Palestinians
https://www.ft.com/c[...]
2016-04-22
[67]
웹사이트
Muslim Arab Bedouins serve as Jewish state's gatekeepers
https://english.alar[...]
2013-04-24
[68]
서적
One Palestine, Complete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Books
[69]
뉴스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www.badil.org[...]
Cleveland, William L., Westview Press
2004
[70]
서적
The Palestinians
Minority Rights Group Report no 24
[71]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and Palestinian Refugees
http://www.unrwa.org[...]
Unrwa.org
2014-10-20
[72]
서적
The Consequences of Counterterrorism
Russell Sage Foundation
2015-10-12
[73]
서적
Palestine: Peace Not Apartheid
Simon & Schuster
[74]
서적
1948: A History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Yale University Press
[75]
간행물
The Jihad That Wasn't
https://azure.org.il[...]
[76]
간행물
Review: A War to Start All Wars: Will Israel Ever Seal the Victory of 1948?
https://www.foreigna[...]
2008-09-01
[77]
문서
Harvnb
[78]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 Religious Composition
http://www.censusind[...]
Censusindia.gov.in
2014-10-20
[79]
웹사이트
http://www.statpak.g[...]
[80]
서적
Genocide: truth, memory, and representation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09-03
[81]
웹사이트
Refworld - Chronology for Ibo in Nigeria
http://www.unhcr.org[...]
2014-10-20
[82]
웹사이트
Nigeria violence: Muslim-Christian clashes kill hundreds
http://www.csmonitor[...]
CSMonitor.com
2010-05-16
[83]
뉴스
500 butchered in Nigeria killing fields
http://www.timesonli[...]
2010-04-30
[84]
웹사이트
http://www.war-stori[...]
[85]
문서
Moyar
[86]
웹사이트
The Religious Crisis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2007-08-21
[87]
문서
Tucker
[88]
문서
Maclear
[89]
웹사이트
The Situation In South Vietnam - SNIE 53-2-63
http://www.mtholyoke[...]
The Pentagon Papers, Gravel Edition, Volume 2
2007-08-21
[90]
문서
John Alexander Selbie, Louis Herbert Gray
[91]
서적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ume 277
https://books.googl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2010-06-28
[92]
서적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umes 276-278
https://books.googl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2010-06-28
[93]
서적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0-06-28
[94]
서적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0-06-28
[95]
웹사이트
Uyghur Muslim Ethnic Separatism in Xinjiang, China
http://www.apcss.org[...]
Asia-Pacific Center for Security Studies
2010-06-28
[96]
서적
Nationalism and ethnoregional identities in Chin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1-11
[97]
간행물
War and Religion: The Iran−Iraq War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4-18
[98]
웹사이트
Iran-Iraq War
https://www.youtube.[...]
2022-04-18
[99]
서적
After Such Knowledge, What Forgiveness?: My Encounters With Kurdist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100]
웹사이트
The Crimes of Saddam Hussein – 1988 The Anfal Campaign
https://www.pbs.org/[...]
PBS Frontline
2022-04-18
[101]
서적
Religion in the Post-Yugoslav Context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5-07-01
[102]
서적
Freedom of Religion and Belief: A World Repor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03]
문서
"In hoc signo vinces: religious symbolism in the Balkan wars 1991–1995."
[104]
서적
God Is Not Great: How Religion Poisons Everything
Atlantic Books
2022-05-28
[105]
서적
Rasprave o nacionalnom identitetu Bošnjaka – Zbornik radova
2009
[106]
간행물
Religious Freedom and Control in Independent Sloven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07]
웹사이트
Sudan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2016-01-10
[108]
웹사이트
PBS Frontline: "Civil war was sparked in 1983 when the military regime tried to impose sharia law as part of its overall policy to "Islamicize" all of Sudan."
https://www.pbs.org/[...]
Pbs.org
2012-04-04
[109]
뉴스
Sudan at War With Itself
https://web.archive.[...]
[110]
서적
Political Islam, World Politics and Europe
Routledge
2008
[111]
웹사이트
~師範! Emacsとviって使わないといけないんですか!?~
https://ascii.jp/ele[...]
アスキー・メディアワークス
2010-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