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카 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카 요리는 객가인의 전통 요리로, 중국 요리 스타일을 따르면서도 독특한 질감을 강조하고 보존 육류와 채소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찜, 조림, 구운 육류 등 '질감 있는' 음식과 절인 채소를 곁들인 요리가 대표적이며, 홍콩에서는 해산물과 채소를 활용한 요리가 발달했다. 하카 요리는 지역에 따라 둥장 요리, 공난 요리, 민시 요리, 타이완 하카 요리로 나뉘며, 닭고기 소금구이, 찹쌀을 채운 오리, 뢰차 등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최근에는 건강식으로의 가능성과 세계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인도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인도 차이니즈 요리나 파키스탄 차이니즈 요리와 융합된 형태로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카 요리 - 뇽테우푸
    뇽테우푸는 객가인들이 만두피 대신 두부에 다진 돼지고기, 새우 등을 채워 만든 음식에서 유래되었으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국물 요리 형태로 즐겨 먹고, 락사 그레이비, 카레 소스 등 다양한 소스와 함께 제공되며 지역별로 여러 변형이 있다.
하카 요리
개요
쑤안판쯔 (算盘子), 유명한 하카 요리
쑤안판쯔 (算盘子), 유명한 하카 요리
종류중국 요리
지역하카
명칭
중국어 간체客家菜
중국어 병음Kèjiā cài
하카어Hak-ka chhài
광동어 예일Haak3 gaa1 coi3
포자어Kheh-lâng-chhài
다른 이름커런차이 (客人菜)
특징
짜고, 기름지고, 향기로움
조리법찌기, 굽기, 볶기
주요 재료돼지고기, 소금, 발효된 두부, 말린 무, 차
주요 요리
고기옌지둔지 (酿豆腐)
봉즈자 (封肉)
산쨘로우 (三层肉)
구로우 (扣肉)
아포지 (阿婆焢)
샤오어 (烧鹅)
바이췌치 (白切鸡)
채소니우피차이 (牛皮菜)
쑤안판쯔 (算盘子)
반자이 (粄仔)
차오반탸오 (炒粄条)
차오미판 (炒米饭)
주펀 (猪粉)
모치 (麻糍)
기타차 (茶): 우롱차, 보이차, 레이차

2. 역사적 배경

하카 요리는 진(秦)나라 때부터 화북(華北)에서 화남(華南)으로 여러 차례 대규모 집단 이동을 해 온 하카 민족의 음식이다. 이들은 광둥성 동부, 홍콩의 신제(新界), 장시성 남부, 푸젠성 서부의 산지와 구릉 지대를 중심으로 생활해왔다. 또한 쓰촨성, 광시 좡족 자치구 등으로 이주하거나,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바다를 건너 이주한 사람들도 많아, 이 광범위한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먹어온 요리가 하카 요리이다.

하카인들은 주로 산간 지역에서 생활하며 닭, 오리, 돼지 등 가축을 기르고, 야생 동물, 죽순, 산나물, 버섯, 민물고기, 개구리 등을 식재료로 활용했다. 과 그 가공품, 고구마를 주식으로 하고, 조림과 찜을 중심으로 한 소박한 요리를 반찬으로 먹는 음식 습관을 형성했다.[7] 잦은 이주로 인해 휴대와 보존이 간편한 절임 음식, 건어물, 훈제를 자주 이용했다. 을 절인 "산차이"와 말린 "메이차이간"이 대표적이다. 노동으로 땀을 많이 흘려 염분 보충을 위해 기름지고, 짜고, 진한 맛의 음식이 많으며, 고추, 생강, 술, 간장을 양념으로 사용했다. 반면, 수프는 담백하게 만들기도 한다.

하카 요리는 스스로 먹기 위해 준비하는 소박한 요리로, 식당에서 먹어도 서민적이고 경제적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돌 찜, 대나무 찜, 소금 찜 등 다양한 찜 요리가 발달했으며, 재료를 칼이나 막대기로 두드려 잘게 으깨는 요리도 많다. 절구로 찧은 찹쌀은 중국 대륙에서는 "츠바", 대만에서는 "마슈"라고 부른다. 하카 요리는 공통적인 조리법과 재료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주변 요리나 식재료의 영향을 받아 지역별 차이를 보인다. 광둥성 동부의 '''둥장 요리'''(동강 요리), 장시성 남부 및 광둥성 북부의 '''간난 요리'''(감남 요리), 푸젠성 서부의 '''민시 요리'''(민서 요리), 대만의 '''타이완 하카 요리'''(대만 객가 요리)로 나눌 수 있으며, 쓰촨성의 하카 요리,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동남아시아의 하카 요리도 존재한다.

2. 1. 이주와 정착

하카는 진(秦)나라 때부터 화북(華北)에서 화남(華南)으로 여러 차례 대규모 집단 이동을 해 온 민족이다. 이들은 광둥성 동부, 홍콩의 신제(新界), 장시성 남부, 푸젠성 서부의 산지와 구릉 지대를 중심으로 생활해왔다. 또한 쓰촨성, 광시 좡족 자치구 등으로 이주하거나,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바다를 건너 이주한 사람들도 많다.

2. 2. 음식 문화 형성

하카는 진나라 때 화북에서 화남으로 대규모 집단 이동을 해 온 민족으로, 광둥성 동부, 장시성 남부, 푸젠성 서부 산지와 구릉을 중심으로 생활하고 있다. 또한 쓰촨성, 광시 좡족 자치구 등으로 이주했으며,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에 바다를 건너 이주한 사람들도 많다. 이 광범위한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먹어 왔던 음식이 하카 요리이다.

객가(하카) 사람들이 가장 집중되어 있는 광둥성, 장시성, 푸젠성에 걸쳐 산간 부에서의 생활은 닭, 오리, 돼지 등 가금, 가축을 기르면서, 산의 산물인 야생 동물과 죽순, 산채, 버섯, 민물고기, 개구리 등을 이용하여 화남에서 재배에 적합한 쌀 및 그 가공품을 주식으로 하고, 조림과 찜을 중심으로 한 소박한 요리를 반찬으로 먹는 음식 습관을 형성했다.

떠도는 생활이 잦았으므로, 휴대나 보존이 간편한 야채 절임, 건어물, 훈제를 자주 이용하게 되었다. 갓을 절인 산채나 잘 말린 매채간이 자주 요리에 사용되었고, 마른 감자, 말린 무 등 외에도 돼지나 건육을 먹는 지역도 있었다.[7] 일하면서 흘린 땀으로 염분을 보충하여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름지고, 짜고, 진한 맛을 가진 음식이 많다. 맛을 내기 위해 고추, 생강, 술, 간장을 많이 사용한다. 한편, 수프 등은 매우 시원하게 만든 것도 있다. 기본적으로 스스로 먹기 위해서 준비하는 소박한 요리로 전해져 왔기 때문에, 가게에서 먹어도 서민적이고, 경제적인 요리라는 이미지도 있다. 조리법으로는 돌에 찌는 것, 대나무 찜, 소금을 쳐서 찌는 찜 등 다채로운 찜을 사용하는 요리가 있다.

이러한 하카 요리에 공통되는 조리법, 소재의 특징이 있는 한편 주변의 요리나 유통하고 있는 식재의 영향을 받아 지역마다 차이가 나서 각지의 명물 요리에도 차이가 있다. 주로 성 단위 지역으로 나누어 광둥성 동부의 둥장 요리, 강서성 남부나 광둥성 북부의 공난 요리, 푸젠성 서부의 민시 요리, 대만의 타이완 하카 요리로 나누어 취급할 수 있다. 이외에, 쓰촨 성의 하카 요리 등도 있다.

3. 특징

하카 요리는 진(秦)나라 때부터 화북(華北)에서 화남(華南)으로 이주해 온 하카족이 먹던 음식이다. 이들은 광둥성 동부, 장시성 남부, 푸젠성 서부 산지에 주로 살았으며, 쓰촨성, 광시 좡족 자치구,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지로도 퍼져나갔다.

하카인들은 산간 지역에서 , 오리, 돼지를 기르고, 죽순, 산나물, 버섯, 민물고기, 개구리 등을 채취하여 쌀과 함께 먹었다. 조림과 찜 요리가 발달했으며, 유랑 생활 때문에 절임, 건어물, 훈제 등을 자주 활용했다.[7] 을 절인 '산차이'나 말린 '메이차이간'이 대표적이며, 말린 고구마, 무, 죽순, 돼지고기, 멧밭쥐 고기 등도 먹었다.

노동으로 땀을 많이 흘려 염분 보충을 위해 기름지고, 짜고, 진한 맛이 특징이다. 고추, 생강, 술, 간장을 많이 쓰고, 수프는 담백하게 만들기도 한다. 소박하고 서민적인 요리라는 인식이 강하며, 돌찜, 대나무찜, 소금찜 등 다양한 찜 요리가 발달했다. 재료를 칼이나 막대기로 두드려 으깨는 요리가 많고, 절구로 찧은 찹쌀도 즐겨 먹는다. (중국 대륙에서는 "츠바", 대만에서는 "마슈"라고 부른다.)

하카 요리는 지역별로도 차이가 있는데, 광둥성 동부의 '''둥장 요리'''(東江料理), 장시성 남부와 광둥성 북부의 '''간난 요리'''(贛南料理), 푸젠성 서부의 '''민시 요리'''(閩西料理), 대만의 '''타이완 하카 요리'''(臺灣客家料理) 등으로 나뉜다. 쓰촨성이나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동남아시아 지역에도 독특한 하카 요리가 있다.

객가 요리는 음식의 질감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보존 육류와 채소를 많이 사용한다. 찜, 조림, 구이 요리가 발달했고, 고기를 부드럽게 익혀 감칠맛을 살리는 기술이 뛰어나다.

홍콩의 하카인들은 해산물 요리를 즐겨 먹었고, 채소를 많이 사용하며 양념을 적게 쓰는 경향이 있다. 내장 요리인 돼지 곱창 튀김과 소금 구이 닭고기, 분채 등이 대표적이다.[3]

레이차는 채소와 콩을 섞은 독특한 비건 요리로, 객가-호포 가족 사이에서 유명하며, 말레이시아 등 다문화 국가에서도 인기가 있다.

찐빵은 객가인에게 인기 있는 간식으로 찹쌀로 만들며 단맛과 짠맛 두가지가 있다.

대만에는 다른 전통적인 대만 요리도 포함하는 하카 요리가 있으며, 대표적인 요리는 다음과 같다.

요리이미지설명
주산알(Abacus seeds)--타피오카와 참마 반죽으로 만든 주판알 모양의 음식. 다진 고기, 말린 새우, 버섯 등을 넣어 볶아 먹는다.
쇠고기 미트볼 수프상추와 쇠고기 미트볼을 넣은 맑은 국.
동강 소금구이 치킨
닭을 소금에 묻어 굽거나 찌는 요리. 둥장 강 지역에서 유래했다.
찹쌀을 채운 오리뼈를 제거한 통오리에 찹쌀을 채워 넣은 요리.
발효 두부를 곁들인 돼지고기 튀김절인 돼지고기를 튀기고 목이버섯과 함께 조린 음력 설 요리.
키우 뉴육
절인 겨자 잎이나 참마, 토란과 함께 요리한 돼지고기.
뢰차(Lei cha)
여러 종류의 차 잎, 땅콩, 박하 잎, 참깨, 녹두 등을 갈아 만든 가루를 쌀, 채소와 함께 먹는 음식.
용타우푸(Yong Tau Foo)100px다진 고기, 염장 생선, 허브를 채운 두부를 튀기거나 조린 요리. 가지, 표고버섯, 여주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찐 찹쌀 떡


4. 지역별 요리

하카 요리는 진(秦)나라 시대부터 화북(華北)에서 화남(華南)으로 여러 차례 대규모 이동을 해 온 하카인들이 광둥성 동부, 장시성 남부, 푸젠성 서부 등 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한 음식 문화이다. 이들은 닭, 오리, 돼지 등을 기르고, 야생 동물, 죽순, 산나물, 버섯, 민물고기 등을 활용하여 쌀을 주식으로 하는 소박한 요리를 발전시켰다. 또한, 유랑 생활로 인해 절임 음식, 건어물, 훈제 등을 자주 이용하며, 노동으로 인한 염분 보충을 위해 기름지고, 짜고, 진한 맛을 내는 특징이 있다.[7]

하카 요리는 지역별로 다양한 특색을 보이는데,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둥장 요리(東江料理): 광둥성 동부 둥장(東江) 유역의 요리로, 홍콩, 대만, 동남아시아 등지로 이주한 하카인들의 고향 음식이다. 광둥 요리의 한 갈래로 취급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매건구육(梅干扣肉), 양두부(釀豆腐), 염구계(鹽焗雞) 등이 있다.
  • 간난 요리(贛南料理): 장시성 남부 요리로, 장시 요리와 후난 요리의 매운 양념이 더해져 더욱 진한 맛을 낸다. 간저우 샤오차오위, 삼배계(산베이지) 등이 대표적이다.
  • 민시 요리(閩西料理): 푸젠성 서부 요리로, 푸젠 요리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른 지역 하카 요리와 달리 생선회를 먹기도 한다. 차이간커우러우, 홍먼거우러우 등이 대표적이다.
  • 타이완 하카 요리(臺灣客家料理): 대만의 하카 요리로, 둥장 요리 메뉴 외에도 대만 특유의 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가 있다. 객가 소초, 장쓰차오다창 등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쓰촨성의 하카 요리,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동남아시아에서 변형된 하카 요리 등이 있다.

요리명(영어)이미지정체자간체자병음하카어설명
주산알(Abacus seeds)--算盤子算盘子suànpánzǐ타피오카와 참마로 만든 반죽을 주판알 모양으로 잘라 조리한 음식. 겉은 부드럽고 속은 쫄깃하다. 다진 닭고기나 돼지고기, 말린 새우, 버섯, 기타 채소를 넣어 볶고 간장, 소금, 설탕 등으로 간을 한다.
쇠고기 미트볼 수프牛肉丸湯牛肉丸汤níuròuwán tāng상추와 쇠고기 미트볼을 넣은 맑은 국.
동강 소금구이 치킨東江鹽焗雞东江盐焗鸡dōngjiāng yánjú jī닭을 소금물에 요리하거나, 찜이나 오븐에 굽기 전에 소금 혼합물로 덮어 조리한다. "동강"은 광둥성 동부 둥장 강을 의미한다.
찹쌀을 채운 오리糯米鴨糯米鸭nuòmǐ yā통오리의 뼈를 제거하고 양념한 찹쌀로 속을 채운 요리.
발효 두부를 곁들인 돼지고기 튀김음력 설에 즐겨 먹는 요리. 절인 돼지고기를 튀긴 후 물과 목이버섯으로 조린다.
키우 뉴육扣肉扣肉kòu ròu절인 겨자 잎을 곁들인 돼지고기찜 또는 참마/토란과 함께 요리한 돼지고기찜.
뢰차(Lei cha)擂茶擂茶lèi chá녹차, 땅콩, 박하, 참깨, 녹두 등 여러 종류의 차 잎과 허브를 빻아 가루로 만든 후 음료로 섞거나 쌀, 채소, 두부, 절인 등과 함께 먹는 식이 요법.
용타우푸(Yong Tau Foo)100px釀豆腐酿豆腐niàng dòufǔ다진 고기, 염장 생선, 허브를 채운 두부 큐브를 튀기거나 조린 요리. 가지, 표고버섯, 여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변형 요리도 있다.
찐 찹쌀 떡粢粑粢粑qĭ bá


4. 1. 둥장 요리 (東江料理)

둥장 요리(東江料理)는 중국 광둥성의 둥장(東江) 유역의 후이저우나 상류의 메이저우 주변 요리를 말한다. 이 지역은 홍콩, 대만, 동남아시아로 이주한 하카 출신들의 고향이며, 가장 널리 알려진 하카 요리의 계통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둥장 요리만을 하카 요리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 둥장 요리는 광둥성 내의 요리라는 점에서 8대 차이지방에서는 광둥 요리의 한 유파로 취급받고 있다. 기본적으로 고추는 장식 정도로만 사용한다.

;주요 요리

  • 매건구육(梅干扣肉, ): 돼지고기와 절임 채소를 찐 요리이다. 삼겹살을 삶아 간장과 설탕을 바른 후 살짝 구워 8mm 정도로 썰고, 말린 설리홍(zh) 절임인 "매건채"("매건채"의 차용 표기)를 물에 불려 간장과 설탕을 뿌린 후, 냄비에 함께 찐다.

  • 양두부(釀豆腐, ): 속을 채운 두부이다. 연회에 반드시 나오는 유명한 하카 요리이다. "양"은 "를 넣다"라는 의미의 객가어 동사이며, 잘게 썬 고기 소를 삼각형으로 썬 두부 사이에 끼워 넣은 요리이다. 찌기만 하는 경우도 있고, 찐 후에 채소와 볶는 경우도 있다. 남송 말기, 원나라의 침입으로 화남으로 피난한 하카인이 밀가루를 구할 수 없는 이 땅에서, 춘절에 필요한 교자피 대신 두부를 사용한 것이 시작이라는 속설이 있다. 여주에 고기를 채운 "양고과"도 있다. 이 요리는 말레이시아에서는 오뎅과 같은 조림으로, 태국에서는 더 나아가 면 요리처럼 변형되었다.

홍콩의 양두부

  • 염구계(鹽焗雞, ): 닭고기 소금찜이다. 청나라 시대에 귀선현(현 혜주시 후이양구)의 제염 노동자가 점심으로 가져온 닭고기 조림을 종이에 싸서 소금 산에 놓아두었더니, 뜨겁게 달궈진 소금의 풍미가 닭고기에 잘 배어 맛있어진 데서 이 기법이 전해졌다는 설이 있다[8]。 객가함계(하커함카이)라고도 한다.

홍콩의 염구계

  • 황주계(黃酒雞, ): 닭고기 노주 조림이다. 전통적으로 춘절이나 산후 회복을 위해 만들어지는 요리로, 임신한 사람이 있는 가정에서는 그 집의 시어머니가 미리 찹쌀, 술떡, 술을 넣어 "객가 황노주"를 양조하여 산후를 위해 준비한다.
  • 초계주(醋雞酒, ): 닭고기 쌀술 조림이다. 위를 흰 쌀술로 만든 것이다.
  • 산채저독탕(酸菜猪肚湯, ): 설리홍 등의 절임 채소와 돼지 위 수프이다.
  • 애초수육탕(艾草瘦肉湯, ): 잎과 돼지고기 수프이다.
  • 청돈계(淸燉雞): 닭고기 물 끓임
  • 압보소채(鴨甫燒菜): 오리 말린 고기와 배추 찜이다.
  • 전양단각(煎釀蛋角, ): 계란말이 교자
  • 나복반(蘿蔔粄, ):
  • 애반(艾粄, ):
  • 엄면(淹麵, ): 어장 비빔 국수이다. 메이저우에서 아침 식사로 자주 먹는다.
  • 분차이 (盆菜, ): 큰 냄비에 새우, 돼지고기, 닭고기, 표고버섯, 채소 등의 조리된 음식을 담아 내는 둥관 객가의 행사 음식이다.

4. 2. 공난 요리 (贛南料理)

장시성 남부의 향토 요리이며, 간저우시 요리가 유명하다. 원래 맛이 진한 하카 요리에 장시 요리와 후난 요리의 매운 양념이 더해져 더욱 진해졌다. 이 때문에 장시 요리의 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광둥성 북부나 후난성의 하카 요리도 양념 면에서 이 계통에 포함될 수 있다.

; 주요 요리

  • 간저우 샤오차오위 - 시고 매운 양념의 초어 등을 튀겨 조린 요리이다.
  • 삼배계 (산베이지) - 간장, 미림, 라드로 조린 닭고기이다.
  • 위빙 - 초어 등을 이용한 어묵풍 요리이다.
  • 위자오 - 초어 등을 방망이로 얇게 펴서 고기를 넣은 삶은 교자이다.
  • 차이자오즈 - 절인 채소를 쌀가루로 만든 피로 감싼 교자이다.
  • 취안서우지 - 간저우의 닭고기와 표고버섯 조림이다.
  • 류랑지 - 삶은 닭고기에 내장 소스를 곁들인 요리이다.
  • 신펑지 - 신펑현의 찐 닭고기에 내장 앙금을 얹은 요리이다.
  • 차오둥포 - 돼지 대창과 신 김치의 볶음 요리이다.
  • 추궈즈 - 쌀뜨물을 발효시켜 만든 신맛이 강한 액체에 담가 만든 신 김치이다.
  • 윈피엔 - 찹쌀가루와 식용 색소로 붉은색과 흰색 또는 녹색과 흰색의 소용돌이 무늬를 낸 튀긴 떡이다.

4. 3. 민시 요리 (閩西料理)

중국어로 "閩西菜"(Mǐnxī cài, 멘시 추이hak)라고 한다. 푸젠성 서부의 룽옌 주변 지역에서 먹는 향토 요리이다. 특히 팅저우는 다양한 요리가 있으며, 많은 요리사를 배출한 것으로 유명하다. 민난 지방의 장저우에 속하는 화안 현과 난징 현에서도 민시 요리의 계통을 먹고 있다. 산나물을 사용한 소박한 요리이지만, 푸저우 요리나 민난 요리의 영향을 받은 요리가 있으며, 닝밍 현과 칭류 현에는 잉어의 생선회가 있는 등, 다른 지역의 하카 요리와 다른 점도 있다. 푸젠 요리의 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간은 둥장 요리와 간난 요리의 중간 정도이며, 고추로 매운맛을 내기도 한다.

;주요 요리

  • 차이간커우러우 - 을 말린 채소와 돼지 삼겹살 찜 요리이다. 둥장 요리의 "메이차이커우러우"와 유사하다.
  • 홍먼거우러우 - 개고기 간장 조림이다.
  • 바이잔거우러우 - 개고기 찜 요리이다.
  • 줘먼터우(솬주우핀) - 벌집위나 창자 등 소 내장을 이용한 샤브샤브 요리이다. 롄청 현의 명물 요리이다.
  • 홍구둔파이구 - 붉은젖버섯류(''Russula vinosa'')와 돼지 갈비를 함께 끓인 수프이다.
  • 장지 - 닭고기를 생강과 함께 쪄낸 요리이다.
  • 차오위성 - 닝화 현, 칭류 현에서 즐겨 먹는 잉어 생선회이다.
  • 지우차이바오 - 가루 반죽에 썬 부추나 말린 고기를 넣어 만든 부추 만두이다.
  • 바이잔허톈지 - 장팅 현의 허톈지를 소금 소스와 곁들여 먹는 찜닭 요리이다.
  • 진쓰더우푸간 - 팅저우의 눌린 두부와 표고버섯, 죽순을 가늘게 썰어 볶은 요리이다.
  • 다쥐안 - 으깬 두부에 무, 돼지고기, 죽순을 썰어 넣고, 고구마 가루를 넣어 원통형으로 쪄낸 요리이다. 썰어서 참기름이나 간장을 찍어 먹는다.
  • 장팅지창몐 - 손으로 늘인 우동이다. 위구르 요리라그만처럼 한 가닥의 긴 면을 손으로 늘리면서 삶는다.
  • 부투 - 토끼를 쌀로 훈제한 요리이다. 토끼를 해체하여 삶고, 소스에 담근 후, 쌀을 깔아 놓은 냄비 위에서 훈제한다.
  • 죽통파이구 - 돼지 갈비와 무를 대나무 통에 넣고 찐 요리이다.
  • 유먼스린 - 두꺼비를 튀겨 쪄낸 요리이다.
  • 상항 위바이 - 상항 현의 민물고기로 만든 어묵이다. 기름에 튀기거나, "샤오 위바이"로 조리하여 먹는다.
  • 파오야자오 - 융딩 현 샤양의 명물로, 오리 발을 삶아 신맛이 나는 소스에 담근 것이다.
  • 융딩 쇠고기 완자 - 융딩 현의 쇠고기 완자이다.
  • 파반 - 붉게 물들인 메벼 가루를 찻잔에 쪄낸 떡이다.

4. 4. 타이완 하카 요리 (臺灣客家料理)

대만에서는 가오슝시, 먀오리현, 신주현, 타오위안시 등에 하카인(객가인)이 많으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하카 요리점도 많이 존재한다. 원래는 메이저우시 주변의 쓰셴(四縣)이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이주해 온 하카인이 많기 때문에 둥장 요리(東江料理)의 메뉴도 일반적이지만, 그뿐만 아니라 대만 특유의 하카 요리도 있다. 대만에서는 말린 오징어나 말린 새우와 같은 건어물뿐만 아니라 신선한 해산물도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대만 특산 파인애플, 대만에서 자주 먹는 바질, 면선과 같은 밀가루를 사용한 소재 등도 사용한다.

중국어로 "臺灣客家菜"(Táiwān Kèjiā cài, 객가어: Tòi-vân Hak-kâ-tshoi)라고 한다.

; 주요 요리

  • 메이농 반탸오 - "재래미"(멥쌀)로 만든 우동. 볶거나 국물에 넣는다.
  • 객가 소초 - 불린 말린 오징어, 말린 두부, 파, 표고버섯, 고추 등을 볶은 요리. 대만 하카 요리 중 잘 알려져 있다.
  • 가오리차이펑 - 양배추 조림.
  • 둥과펑 - 동과 조림.
  • 차오예롄 - 타이완가가부타의 잎자루 볶음.
  • 차오셴주러우 -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 볶음.
  • 셴둥과정러우 - 소금에 절인 동과와 돼지고기 찜.
  • 장쓰차오다창 - 돼지 대창 초간장 볶음 생강 풍미.
  • 셴단쿠과 - 여주와 소금에 절인 오리 알 볶음.
  • 아공차이 - 민물새우, 중국털게를 넣은 달걀 부침.
  • 헤이더우주지아오 - 검은콩과 돼지족 조림.
  • 펑리차오무얼 - 파인애플과 목이버섯과 내장 볶음.
  • 화생두부 - 오키나와현의 지마미 두부와 비슷한 땅콩으로 만든 두부. 앙금이나 간장 소스에 찍어 먹는다.
  • 푸차이러우피엔탕 - 짠 채소와 돼지고기 수프.


하카 요리는 다른 대만 민족과 마찬가지로 다른 전통적인 대만 요리도 포함한다. 하카 요리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요리는 다음과 같다.

요리명(영어)이미지정체자간체자병음하카어설명
주산알(Abacus seeds)--算盤子算盘子suànpánzǐ타피오카와 참마로 만든 반죽으로 만들어져, 주판알 모양으로 잘라 조리하면 겉은 부드럽고 속은 쫄깃하다. 다진 닭고기나 돼지고기, 말린 새우, 버섯, 기타 채소를 넣어 조리할 수 있다. 볶아서 간장, 소금, 설탕, 때로는 쌀술이나 식초로 간을 한다.
쇠고기 미트볼 수프牛肉丸湯牛肉丸汤níuròuwán tāng상추와 쇠고기 미트볼을 넣은 단순하고 맑은 국물이다.
동강 소금구이 치킨東江鹽焗雞东江盐焗鸡dōngjiāng yánjú jī이 요리는 원래 뜨거운 소금 더미에서 구웠지만, 많은 현대 식당에서는 단순히 소금물에 요리하거나, 찜이나 오븐에서 굽기 전에 소금 혼합물로 덮는다. "동강"은 하카족의 중심지인 동부 광둥성을 가로지르는 둥장 강을 의미한다.
찹쌀을 채운 오리糯米鴨糯米鸭nuòmǐ yā새의 형태를 유지한 채 통오리에서 뼈를 제거하고, 속을 양념한 찹쌀로 채웁니다.
발효 두부를 곁들인 돼지고기 튀김이것은 준비 과정이 두 단계로 이루어지는 인기 있는 음력 설 요리이다. 절인 돼지고기는 수분을 제거하여 보존하기 위해 튀깁니다. 그런 다음 물과 목이버섯으로 조립니다. 통조림 수프와 하카족의 동등한 요리이다.
키우 뉴육扣肉扣肉kòu ròu키우 뉴육에는 두 가지 버전이 있다. 가장 흔한 것은 절인 겨자 잎을 곁들인 얇게 썬 돼지고기이다. 두꺼운 삼겹살 조각과 각 조각 사이에 절인 겨자 잎 층을 넣고 간장설탕으로 만든 진한 소스에 요리하여 제공한다. 다른 버전은 참마 또는 토란과 함께 요리한다. 일반적으로 지방과 살코기가 층을 이루는 삼겹살을 사용한다. 참마와 돼지고기를 얕게 튀겨 갈색으로 만든 다음 오향 분과 황색 미주로 찐다.
뢰차(Lei cha)擂茶擂茶lèi chá여러 종류의 차 잎(보통 녹차), 땅콩, 박하 잎, 참깨, 녹두 및 기타 허브를 빻거나 갈아 고운 가루로 만든 다음 음료로 섞거나 쌀 및 기타 채식 반찬(예: 채소, 두부 및 절인 )과 함께 섭취하는 식이 요법이다.
용타우푸(Yong Tau Foo)100px釀豆腐酿豆腐niàng dòufǔ하카족 기원이 깊은 인기 있는 요리 중 하나로, 다진 고기(보통 돼지고기), 염장 생선 및 허브를 채운 두부 큐브로 구성되며, 황갈색이 될 때까지 튀기거나 조릴 수 있다. 가지, 표고버섯, 여주와 같은 다양한 부속물을 사용한 변형 요리도 있으며, 동일한 고기 페이스트로 채워져 있다. 전통적으로, 응이옹 테우 푸는 쓴 멜론과 표고버섯 변형과 함께 맑은 노란색 콩 스튜로 제공된다. 음식 가판대에서 더 흔하게 볼 수 있는 현대적인 변형은 어묵 페이스트만으로 두부를 채워 만듭니다. 이 버전에서는 튀긴 부레 조각과 오크라에서 고추에 이르기까지 두부를 대체하기 위해 부속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눈에 띈다.
찐 찹쌀 떡粢粑粢粑qĭ bá


5. 대표적인 요리

객가 요리는 음식의 질감에 중점을 두는 특징이 있다. 보존 육류를 특징적으로 사용하며, 찜, 조림, 구운 육류 등 '질감 있는' 음식들이 핵심을 이룬다.[3] 절인 채소를 곁들인 돼지고기찜과 같은 요리에 보존 채소가 흔히 사용된다.[3]

홍콩의 객가 요리는 채소를 풍부하게 사용하고, 양념을 적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3] 돼지 곱창 튀김, 소금 구이 닭고기, 분채 등이 대표적인 요리이다.[3] 레이차는 채소와 콩을 조합한 비건 요리로, 객가-호포 가족 사이에서 유명하다. 찐빵은 객가인에게 인기 있는 간식으로, 찹쌀로 만들며 단맛과 짠맛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카 요리는 다른 대만 민족의 전통 요리도 포함하며, 대표적인 요리는 다음과 같다.

요리명(영어)이미지요리명(한자)설명
주산알(Abacus seeds)--算盤子 (산반자)타피오카와 참마로 만든 반죽을 주판알 모양으로 잘라 조리한다. 겉은 부드럽고 속은 쫄깃하며, 다진 고기, 말린 새우, 버섯 등을 넣어 볶아 만든다.
쇠고기 미트볼 수프牛肉丸湯 (우육환탕)상추와 쇠고기 미트볼을 넣은 맑은 국물 요리이다.
동강 소금구이 치킨東江鹽焗雞 (동강염국계)닭고기를 뜨거운 소금에 굽거나, 소금물에 요리하거나, 소금 혼합물로 덮어 굽는 요리이다. "동강"은 둥장 강을 의미한다.
찹쌀을 채운 오리糯米鴨 (나미압)뼈를 제거한 통오리에 양념한 찹쌀을 채워 만든다.
발효 두부를 곁들인 돼지고기 튀김절인 돼지고기를 튀긴 후, 물과 목이버섯으로 조리는 음력 설 요리이다.
키우 뉴육扣肉 (구육)절인 겨자 잎을 곁들인 돼지고기 요리이다. 삼겹살과 절인 겨자 잎을 층층이 쌓고 간장설탕으로 만든 소스에 요리한다. 참마 또는 토란과 함께 요리하는 버전도 있다.
뢰차(Lei cha)擂茶 (뢰차)녹차, 땅콩, 박하, 참깨, 녹두 등을 갈아 만든 가루를 음료로 섞거나 쌀, 채소, 두부, 절인 와 함께 먹는 요리이다.
용타우푸(Yong Tau Foo)100px釀豆腐 (양두부)다진 고기, 염장 생선, 허브를 채운 두부를 튀기거나 조린 요리이다. 가지, 표고버섯, 여주 등을 사용한 변형 요리도 있다.
찐 찹쌀 떡粢粑 (자파)


6. 현대적 의의와 전망

현대 사회에서 하카 요리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우선, 건강식으로서의 가능성이 돋보인다. 전통적인 하카 요리는 보존 식품을 많이 활용하지만, 찜, 조림, 구운 고기 등 다양한 조리법을 통해 '식감'을 살린 음식이 주를 이룬다. 특히, 梅菜|메이차이중국어와 같은 보존 채소는 찜 요리에 풍미를 더한다.[3] 홍콩에서는 해산물을 활용한 요리가 발달했으며, 채소를 풍부하게 사용하고 양념을 적게 쓰는 현대적인 경향을 보인다. 擂茶|레이차중국어는 채소와 콩을 주재료로 하는 건강식으로, 다문화 국가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세계화와 더불어 하카 요리는 퓨전 요리의 형태로도 발전하고 있다. 인도,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하카 요리'라는 이름으로 인도식 중국 요리가 인기를 얻고 있다.[4] 이는 하카족 출신 식당 주인들이 많기 때문이지만, 실제 하카 요리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캐나다 토론토에서도 인도-파키스탄-중국 요리를 맛볼 수 있는데,[4] 이는 남아시아 출신 중국인들의 이주와 관련이 있다.[5] 말레이시아에서는 "양두부"가 동강 요리와 비슷한 두부 요리와 오뎅과 같이 다양한 재료를 국물에 조린 형태로 변형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6. 1. 건강식으로서의 가능성

객가 요리는 객가 고유의 요리 방식과 중식 요리 스타일을 가지고 있지만, 객가 밖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객가 요리는 음식의 질감에 중점을 두는데, 보존 육류가 특징적이지만 찜, 조림, 구운 육류 등 객가인의 입맛을 돋우는 '질감 있는' 음식들이 핵심이다. 보존 채소(梅菜|메이차이중국어)는 절인 채소를 곁들인 돼지고기찜, 소금에 절인 채소를 곁들인 돼지고기 조림과 같은 찜 요리와 조림 요리에 흔히 사용된다.[3] 객가 음식의 원료는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 것에 따라 요리법이 달라지는 다른 모든 중국 지역 요리의 원료와 다르지 않다. 객가 요리는 겉으로는 단순하지만 맛있다고 묘사될 수 있으며, 고기를 굳히지 않고 완전히 익히고 고기의 단백질 맛(감칠맛)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는 기술이 있다.

홍콩의 항만 및 항구 지역에 정착한 객가인은 해산물 요리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홍콩의 객가 요리는 비싼 육류의 비중이 적으며, 대신 채소를 풍부하게 사용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실용적이고 단순한 객가 요리는 양념을 적게 하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홍콩의 현대 객가 요리는 내장을 선호하며, 그 예로는 돼지 곱창 튀김(炸大腸|zhá dà cháng|자다창중국어)이 있다. 다른 요리로는 보존 두부와 대표적인 요리인 소금 구이 닭고기(鹽焗雞|yán jú jī|옌쥐지중국어)가 있다. 또 다른 특선 요리로는 분채(盆菜|pén cài|펀차이중국어)가 있다.[3]

단백질 공급원으로서의 고기 외에도 레이차(擂茶|léi chá|레이차중국어)라고 불리는 독특한 비건 요리가 있다. 이 요리는 채소와 콩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모든 객가인에게 특별한 것은 아니지만, 객가-호포 가족 사이에서는 확실히 유명하다. 이 채소 기반의 쌀 차 요리는 말레이시아와 같은 일부 다문화 국가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찐빵(茶果|차궈중국어)은 객가인에게 인기 있는 간식이다. 주로 찹쌀로 만들며 단맛과 짠맛 옵션이 있다. 단맛 버전은 단맛을 낸 동부 콩 페이스트 또는 땅콩으로 구성된다. 짠맛 버전은 절인 무로 구성된다.

6. 2. 세계화와 퓨전 요리

인도, 파키스탄 및 남아시아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현지에서 "하카 요리"라고 불리는 요리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실제로는 인도 차이니즈 요리와 파키스탄 차이니즈 요리의 변형이다. 이 요리를 제공하는 식당 주인들이 하카족 출신이기 때문에 "하카 요리"라고 불리지만, 실제 하카 요리와는 다르다.[4] 대표적인 요리로는 '칠리 치킨'과 '둥베이(동북) 차우 면/하카 누들'이 있으며, 파코라와 같은 남아시아 요리도 함께 제공된다. 이 요리 스타일은 현지에서 매우 인기가 높아 하카 요리의 대표로 오인되기도 하지만, 실제 하카 요리는 이 지역에서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남아시아 이외 지역에서는 인도-파키스탄-중국 요리를 주로 캐나다 토론토에서 맛볼 수 있다.[4] 많은 남아시아 출신 중국인들이 토론토로 이주하여 식당을 열었고, 대부분 할랄 음식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토론토에서 "하카 차이니즈 푸드"는 일반적으로 하카 요리가 아닌 인도-중국 요리를 의미한다.[5]

말레이시아에서는 "양두부"가 널리 알려져 있는데, 동강 요리와 비슷한 두부에 돼지고기 소를 채운 형태와 오뎅과 같이 다양한 재료를 국물에 조린 형태로 변형된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면 요리는 현지 조미료를 사용하여 진한 맛을 내는 경우가 많다.

6. 3. 한국에서의 하카 요리

인도, 파키스탄 및 상당한 남아시아 인구가 있는 다른 지역에서는 현지에서 "하카 요리"로 알려진 것이 있는데, 이러한 중국식 요리의 변형은 실제로는 대부분 인도 차이니즈 요리와 파키스탄 차이니즈 요리이다. 인도와 파키스탄 지역에서 이 요리를 제공하는 식당 주인들 중 많은 수가 하카족 출신이기 때문에 "하카 요리"라고 불린다.[4] 전형적인 요리로는 '칠리 치킨'과 '둥베이(동북) 차우 면/하카 누들'(진짜 동북 중국 요리의 인도식 변형)이 있으며, 이 식당에서는 파코라와 같은 전통적인 남아시아 요리도 제공한다. 이 지역에서 매우 인기가 높기 때문에 이 요리 스타일은 종종 하카 요리의 전반적인 대표로 오인되지만, 실제 하카 요리 스타일은 이러한 지역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남아시아 이외 지역에서 인도-파키스탄-중국 요리를 즐길 수 있는 주요 장소는 캐나다 토론토이다.[4]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식당을 열기로 선택한 많은 수의 남아시아 출신 중국인들이 있고, 대부분이 할랄이기 때문이다. 토론토에서 "하카 차이니즈 푸드"는 일반적으로 하카 요리가 아닌 인도-중국 요리를 지칭한다.[5]

참조

[1] 서적 The Hakka Cookbook: Chinese Soul Food from Around the Worl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웹사이트 First Hong Kong Inventor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www.heritagem[...]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dvisory Committee,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Hong Kong 2014-06-17
[3] 서적 World Food Hong Kong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Publishing
[4] 웹인용 Lunch Lesson: Getting schooled on Hakka Indian cuisine at Yueh Tung https://torontolife.[...] 2021-04-01
[5] 웹인용 Hakka food combines the best of South Asian and Indian cooking https://www.toronto.[...] 2021-04-01
[6] 웹사이트 "เอี้ยวฮิน" ร้านอาหารแคะ เจ้าสุดท้าย? http://www.manager.c[...] 2013-06-14
[7] 문서 古進 編,『客家人』,p174
[8] 문서 楊競文,『客家風味美食』,p3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