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세계 박람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세계 박람회는 2012년 대한민국 여수시에서 개최된 등록 박람회이다. "살아있는 바다와 숨쉬는 연안"을 주제로 104개국과 10개 국제기구가 참가했으며, 해양 보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조하는 "여수선언"이 채택되었다. 박람회 이후 시설은 엑스포 해양공원으로 활용되며, K-POP 콘서트와 다양한 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세계 박람회 - 1993년 세계 박람회
1993년 대전에서 개최된 세계 박람회는 개발도상국 최초의 공인 엑스포로, ‘새로운 도약에의 길’이라는 주제 아래 과학 기술 대중화에 기여하며 대전의 과학 도시 이미지를 확립하고 지역 발전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운영 미숙 등의 문제점도 남겼다.
2012년 세계 박람회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엑스포 2012 여수 |
다른 이름 | 2012 여수 세계 박람회 여수 엑스포 여수 국제 박람회 |
로마자 표기 | Yeosu Segye Bangnamhoe |
영문 표기 | Expo 2012 Yeosu Korea |
종류 | 인정 박람회 (Specialized Expo) |
박람회 종류 (BIE 분류) | Category 3 |
주제 | 살아있는 바다, 숨쉬는 연안 |
기간 | 2012년 5월 12일 ~ 2012년 8월 12일 |
장소 | 전라남도 여수시 |
면적 | 271만m² |
조직 위원장 | 강동석 |
마스코트 | 여니, 수니 |
참가국 | 105개국 |
방문객 수 | 8,203,956명 |
이전 엑스포 | 엑스포 2008 |
이전 개최 도시 | 사라고사 |
다음 엑스포 | 엑스포 2017 |
다음 개최 도시 | 아스타나 |
이전 인정 박람회 | 엑스포 2010 |
이전 인정 박람회 개최 도시 | 상하이 |
다음 인정 박람회 | 엑스포 2015 |
다음 인정 박람회 개최 도시 | 밀라노 |
이전 원예 박람회 | 엑스포 2006 |
이전 원예 박람회 개최 도시 | 치앙마이 |
다음 원예 박람회 | 엑스포 2016 |
다음 원예 박람회 개최 도시 | 안탈리아 |
유사 박람회 | 엑스포 2012 |
승인 날짜 | 2007년 11월 26일 |
2. 개최 배경
2012년 여수 세계 박람회는 '살아있는 바다, 숨쉬는 연안(The Living Ocean and Coast영어)'이라는 주제로 2012년 5월 12일부터 8월 12일까지 93일간 전라남도 여수시 신항 일대에서 개최되었다. 강동석 조직위원장의 지휘 아래, 105개 국가와 10개의 국제기구가 참가하여 해양 환경 보존과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모았다.[99] 박람회장은 174만m2 규모로 조성되었으며, 전시 구역은 25만m2였다. 주제관, 국제관, 한국관, 해양생물관 등 다양한 전시 시설과 함께
2. 1. 1차 유치 시도 (2010년 세계박람회)
1996년 1월 9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회 해양개발위원회에서 '해양엑스포 개최 검토'가 처음으로 포함되면서 엑스포 유치 시도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9월 전라남도는 2010년 엑스포 개최를 국가정책으로 채택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했고, 1997년 5월 광양시에서 열린 '제2회 바다의 날' 행사에서 김영삼 대통령은 '2010년 해양엑스포를 전남에 유치하겠다'고 공식 선언하면서 엑스포 유치는 가시화되었다.[40]1997년 9월 전라남도는 '2010 해양엑스포 개최 기본구상안'을 정부에 제출하였는데,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해양을 주제로 하는 등록박람회를 개최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해양수산부는 7개 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해 최고 점수를 획득한 지역을 후보지로 결정하겠다는 방침을 정했고, 여수시, 완도군, 목포시, 신안군이 유치 경쟁을 벌였다. 1999년 3월 전남 3개 지역에 대한 심사 결과, 여수시가 2010년 해양 엑스포 개최 후보지로 결정되었다.
1999년 6월 14일 국무회의에서 '2010년 세계해양엑스포' 개최 및 유치추진 계획안이 의결되었고, 공식 명칭은 '2010년 세계해양엑스포'에서 '2010년 세계박람회'로 변경되었다. 2000년 5월 세계박람회 기본계획 II가 새로 마련되었고, 개최 후보지는 여수시의 신항지구로 바뀌었다. 2001년 5월 2일 국무총리 명의로 '2010년 세계박람회 유치신청서'를 BIE에 제출하면서 유치전이 시작되었다.[40]
2002년 3월 BIE 실사단이 여수를 방문해 실사를 진행하였으나, 같은 해 12월 모나코에서 열린 제132차 BIE 총회에서 2010년 세계박람회 개최지는 중국 상하이로 결정되면서 유치에 실패하였다.[40] 당초 계획에서는 “새로운 공동체를 위한 바다와 육지의 만남”을 주제로 내세웠다.[41][42]
2. 2. 2차 유치 시도 (2012년 세계박람회)
2002년 12월 9일 전라남도와 여수시는 '2010년 세계박람회 유치 실패에 따른 전남동부권 현안 사업'을 정부에 건의하였다. 엑스포 유치 실패로 인한 지역의 패배의식을 빠르게 극복하기 위해 빠른 재도전과 개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었다. 최초 2015년 등록박람회 유치를 희망했지만, 2005년 일본 아이치와 2010년 중국 상하이에서 이미 박람회가 개최되어 동아시아 연속 개최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있어 2010년으로 변경하였다.[100] 2002년 12월 14일 여수에서 '2012 세계박람회 범시민추진위원회'가 발족되었고, 12월 26일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와 김대중 대통령에게 유치 재추진을 건의하였다.[100] 2003년 2월 16일 전라남도는 2012년 인정박람회 여수 유치를 공식 발표하면서 재도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100] 2004년 3월 24일 이헌재 재정경제부 겸 부총리는 '2012년 세계박람회 여수 유치를 국가사업으로 추진할 의사가 있다'고 밝혀 처음으로 공식화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14일 국무회의에서 '2012년 세계박람회 여수 유치'를 국가 계획으로 확정하면서 재도전이 공식화되었다.[100]2005년 3월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유치추진기획단을 설치, 운영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제138차 BIE 총회에서 2012년 세계박람회의 여수 유치 의사를 공식 선언하였다. 2006년 2월 해양수산부는 부지조성사업 협약을 체결하여 개최지역 전시관 조성공사를 2009년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이는 한국의 유치 의사를 전 세계에 전달하기 위함이었다.[100]
2005년 5월 22일 정부는 BIE 본부에 공식 유치 신청서를 제출하였고, 2006년 5월 '2012여수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유치위원회는 사절단 등을 통해 총 55개 국가에 유치전을 펼쳤다. 2007년 9월 13일에는 제2차 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이 개최되어 앨빈 토플러, 무하마드 유누스 그라민뱅크 총재 등 세계 석학들의 참석으로 지구촌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마침내 2007년 11월 27일 제142차 BIE 총회에서 여수가 '2012년 세계박람회' 개최 지역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얻게 된다.[100]
3. 개최지 결정 과정
2007년 11월 26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42차 BIE 총회에서 회원국 투표를 통해 개최지가 결정되었다.[6] 1차 투표에서 대한민국 여수, 모로코 탕헤르, 폴란드 브로츠와프가 경쟁했으며, 2차 투표에서 여수가 탕헤르를 77:63으로 꺾고 개최지로 선정되었다.[6]
개최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BIE 회원국 투표의 3분의 2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각 투표 라운드에서 가장 적은 표를 얻은 도시는 탈락하고, 나머지 도시들 간에 추가 투표가 진행된다.
4. 주제
2012여수세계박람회의 공식 주제는 '살아있는 바다와 숨쉬는 연안: 자원의 다양성과 지속가능한 활동'이었다.[32] 이는 해양 오염, 생태계 파괴, 해수면 상승 등 전 지구적 해양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인류의 생존과 관련된 바다의 미래상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45]
1993년 유엔 해양법 협약 발효 이후, 해양은 자원, 식량, 공간, 환경 등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다. 그러나 산업 활동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어족 자원이 감소하는 등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적인 영향을 미친다.[1]
이러한 배경에서 여수세계박람회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소주제를 제시했다.
- 연안 개발과 보전: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개발과 보전의 균형을 이루는 새로운 협력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인류는 천연자원 이용과 개발로 인한 환경 훼손을 경험했으며, 화석 연료 기반 경제에서 벗어나 사람과 환경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1]
- 새로운 자원 기술: 해양 기술의 진보와 미래 전망을 보여주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다. 자원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해양 산업 육성을 통해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한다.[1]
- 창조적인 해양 활동: 문화와 예술을 통해 바다와 인류의 관계를 보여주고, 새로운 이상을 제시한다. 교육과 오락(에듀테인먼트)을 통해 바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고취시킨다.[1]
이 소주제들은 기후 및 환경, 해양 생물, 해양 산업 및 기술, 해양 도시와 해양 문명, 해양 예술 등 6개의 주제 그룹으로 발전되었다.
5. 참가 규모 및 국가
2012 여수 세계 박람회에는 총 104개국과 10개의 국제기구가 참가하였다.[46]
대륙별 | 나라 수 | 나라 이름 |
---|---|---|
유럽 | 20 | 우크라이나,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 스위스, 독일, 스페인, 카자흐스탄, 루마니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타지키스탄, 벨기에, 이탈리아, 덴마크, 프랑스, 러시아, 리투아니아, 모나코, 아르메니아, 스웨덴, 투르크메니스탄 |
아메리카 | 20 | 파나마, 가이아나,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도미니카 공화국, 페루, 온두라스, 파라과이, 니카라과, 콜롬비아, 에콰도르, 미국, 수리남,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앤티가바부다, 세인트키츠네비스, 그레나다, 도미니카 연방, 멕시코 |
아시아&오세아니아 | 31 | 일본, 태국, 캄보디아, 바누아투, 베트남, 네팔, 중국, 솔로몬 제도, 라오스, 몰디브, 몽골, 파키스탄, 마셜 제도, 인도, 피지, 브루나이, 동티모르, 사모아, 파푸아뉴기니, 투발루, 스리랑카, 싱가포르, 팔라우,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나우루, 키리바시, 통가, 말레이시아, 호주, 필리핀 |
아프리카 | 26 | 리비아, 이집트, 세이셸, 코트디부아르, 알제리, 앙골라, 튀니지, 가나, 나이지리아, 모리타니, 탄자니아, 말리, 세네갈, 부르키나파소, 가봉, 케냐, 콩고민주공화국, 수단, 우간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기니, 에리트레아, 르완다, 코모로 |
중동 | 6 |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UAE, 카타르, 이스라엘 |
국제 기구 | 10 | OECD, IPCC, PEMSEA, CBD 사무국, UN, IOC, GEF, FAO, WFP, IMO |
계 | 104개국, 10개 국제기구 |
6. 전시관
2012년 여수 세계 박람회에는 다양한 전시관이 설치되어 관람객들에게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 '''주제 관련 전시관:''' 여수세계박람회의 주제를 담은 전시관으로, 한국관, 주제관, 해양 베스트관, 수족관, 해양생물관, 기후환경관, 해양문명도시관, 해양산업기술관 등이 있었다.
- '''국가 및 기관 관련 전시관:''' 각 국가 및 기관의 특색을 보여주는 전시관으로, 국제관, 한국관, 지자체관, 국제기구관, 국제박람회기구관 등이 있었다.
- '''국제관:''' 참가국들이 자국의 전시를 기획하고 개최하는 공간으로, 4개의 건물(A, B, C, D)로 구성되었다. 특히 D관에는 중국,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의 전시관이 밀집해 있었다.
- '''한국관:''' '한국인의 바다정신과 해양역량'을 주제로, 한국의 해양 역사를 보여주었다.
- '''기업관:''' 현대자동차관, 삼성관, SK텔레콤관, LG관, GS칼텍스 에너지 필드, 롯데관, 포스코관, 대우조선 해양로봇관 등이 있었다.
- '''기타 시설:'''
- '''빅오''': 해상분수와 스크린을 이용한 빅오쇼(Big-O Show)가 열리는 행사 공간이다.
- '''엑스포 디지털 갤러리''': 국제관 사이에 위치한 갤러리로, 천장에 설치된 거대한 LED 화면을 통해 다양한 영상이 상영되었다.
- '''스카이 타워''': 엑스포 부지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로, 전망대에서는 행사장의 전경을 볼 수 있었다.
- 그 외에도 엑스포홀, 전통예능무대, 텐트극장, 에너지파크, 연안 어업 체험장·해조류 서식지 등이 있었다.
일본관은 동일본대지진을 주제로 한 전시를 선보여 박람회국제사무국의 우수 전시관상 동상을 수상했다.[21]
국제관에 참여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 | 개별관 유무 | 건물 | 비고 | BIE 수상 |
---|---|---|---|---|
Antigua and Barbuda|앤티가 바부다영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가봉한국어 | -- | D[10] | 창의적 전시 Image:Med 1.png금상[16] | |
가이아나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그레나다한국어 | -- | A[9] | 몰리네 수중 조각 공원과 그레나다의 요트 시설을 선보임[19] | |
니카라과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도미니카 공화국한국어 | -- | A[9] | ||
도미니카 연방한국어 | -- | A[9] | ||
리투아니아한국어 | -- | B[10] | 발트해 근처에서 발견된 호박 전시 | 창의적 전시 Image:Med 2.png은상[30] |
말레이시아한국어 | -- | D[10] | ||
Monaco|모나코영어 | -- | A[10] | 모나코 왕족의 지중해 보호 노력을 소개[21] | |
멕시코한국어 | -- | B[10] |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된 비디오 상영 | 창의적 전시 Image:Med 3.png동상[30] |
모로코한국어 | -- | B[10] | 2002 월드컵과 관련된 비디오 상영 | |
방글라데시한국어 | -- | D[10] | ||
벨기에한국어 | -- | B[10] | 입구에서 쿠키 제공, 초콜릿을 이용한 성형수술 시연, 회전목마처럼 디자인된 주요 국립 건물 전시 | |
브루나이한국어 | -- | D[10] | 브루나이 전시는 숲과 암초의 연관성을 고려하고 대형 수족관을 포함[14] | |
세인트루시아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한국어 | -- | D | 창의적 전시 Image:Med 2.png은상[16] | |
솔로몬 제도한국어 | -- | C[10] | 4D 체험, 전시에 대한 자세한 설명 | 주제 개발 Image:Med 1.png금상[22] |
수리남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스리랑카한국어 | -- | A[10] | 다양한 보석 조각상 전시, 종교 체험실 설치 | |
스웨덴한국어 | -- | A[10] | 아이디어의 군도는 스웨덴의 혁신을 보여줌[21] | |
Suisse|스위스프랑스어 | -- | A[10] | 근원. 당신의 손 안에 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50만 명의 방문객이 방문[27] | 창의적 전시 Image:Med 1.png금상[28] |
스페인한국어 | -- | B[10] | 서로 다른 수심의 바닷물과 관련된 비디오 상영, 심해에서 채취한 샘플 전시 | |
싱가포르한국어 | -- | D[10] | 역설-도시: 계약의 도시라는 제목으로 생태적으로 민감한 도시 디자인을 시연[20] | 주제 개발 Image:Med 2.png은상[26] |
아랍에미리트한국어 | -- | C[10] | 수중 멸종 위기종 그림이 있는 배경을 이용한 사진 촬영, 방문객이 직접 물고기 만들기 허용 | 창의적 전시 Image:Med 2.png은상[31] |
아르메니아한국어 | -- | A[9] | 아르메니아관은 정보의 바다에 초점을 맞춰 차세대 과학 혁신을 탐구하는 플랫폼이 될 WORLDLAB 개념을 소개[11] | |
Argentina|아르헨티나es | -- | B[10] | 음악 연주 및 탱고 공연 | |
아이티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알제리한국어 | -- | C[10] | 사하라 사막과 관련된 비디오 상영 | |
앙골라한국어 | -- | A[10] | 진동 의자, 바람 등이 포함된 비디오 상영, 전통 악기를 사용한 콘서트 공연 | |
에콰도르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오스트레일리아한국어 | -- | D[10][12] | 원주민 예술, 현대 오스트레일리아, 해안 생활을 다룬 3부 구성 전시[13] | 창의적 전시 Image:Med 3.png동상[31] |
우간다한국어 | -- | B[10] | 다양한 목각 조각 전시 | |
우크라이나한국어 | -- | A[10] | 착시 영화를 사용하여 수중 환경 전시 | 주제 개발 Image:Med 2.png은상[30] |
이탈리아한국어 | -- | B[10] | 2015 밀라노 엑스포 소개 | |
이스라엘한국어 | -- | B[10] | 영감의 바다는 대부분 예술 설치 작품[20] | |
이집트한국어 | -- | A[10] | 축소된 피라미드와 가상 왕관 전시 | |
인도한국어 | -- | A[10] | 저온 담수화 기술 시연 | |
인도네시아한국어 | -- | D[10] | 인도네시아 해양 생물 다양성을 선보이며, 희귀한 실라칸스 표본을 전시하고 마스코트로 사용 | |
일본한국어 | -- | D[10] | 일본관은 한 소년이 일본의 2011년 도호쿠 대지진을 극복하는 이야기에 초점을 맞춤[21] | |
China|중국중국어 | -- | D[10] | 창의적 전시 Image:Med 1.png금상[31] | |
카자흐스탄한국어 | -- | B[10] | 사진 촬영 후 메모 작성, 사진과 함께 방문객에게 이메일 발송, 다양한 공연 후 비디오 상영 | |
카타르한국어 | -- | C[10] | 카타르관은 해양 전통과 해양 환경 보존 노력을 설명[23] | |
콜롬비아한국어 | -- | A[9] | 콜롬비아 해양: 해안에서 해안까지의 약속. | |
콩고 민주 공화국한국어 | -- | B[10] | 목각 마스크 전시 | |
타지키스탄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태국한국어 | -- | D[10] | 다양성의 섬 – 연결의 바다라는 슬로건으로 산호를 출발점으로 삼아 국가의 생물 다양성을 보여줌[30] | 창의적 전시 Image:Med 1.png 및 주제 개발 Image:Med 1.png금상[30] |
투르크메니스탄한국어 | -- | B[10] | 현재 건설 중인 여행 지역 소개, 전통 모자 전시 | |
튀니지한국어 | -- | A[10] | 물고기 모양 갈대 공예품 전시, 미술 작품 전시 | |
터키한국어 | -- | A[10] | "터키: 바다와 대륙을 연결하는 문명의 땅"이라는 주제[29] | |
파나마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파라과이한국어 | -- | A[9] | 물이 태어나는 땅이라는 제목으로 파라과이의 수로를 살펴봄[21] | |
파키스탄한국어 | -- | A[10] | 파키스탄 유물이 담긴 3D 홀로그램 비디오 상영 | |
파푸아뉴기니한국어 | -- | D | 창의적 전시 Image:Med 3.png동상[16] | |
프랑스한국어 | -- | B[10] | 벽에 내장된 모래시계 전시, 많은 로봇 물고기가 있는 수족관 전시 Jessiko[15] | |
핀란드한국어 | -- | B[10] | ||
필리핀한국어 | -- | D[10] |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 | D[10] | 버락 오바마와 힐러리 클린턴을 비롯한 많은 미국인들이 바다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영상[20] | |
베트남한국어 | -- | D[10] | 주제 개발 Image:Med 3.png동상[30] | |
사우디아라비아한국어 | -- | A[10] | 방문객에게 자석 선물, 모니터와 카메라를 이용한 전통 의상 가상 체험 허용 | |
Deutschland|독일de | -- | A[10] | "SEAVOLUTION"이라는 제목의 독일관은 해양 및 해안 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17] | |
덴마크한국어 | -- | B[10] | 레고 전시 | |
Россия|러시아ru | -- | B[10] | 러시아 전시는 바다와 인간, 과거에서 미래로의 길이라는 슬로건[24] |
6. 1. 주제 관련 전시관
총 1개의 건물에서 연면적 5309m2에 1800m2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한국관의 주제는 ‘한국인의 바다정신과 해양역량’으로, 디오라마와 돔 영상을 사용하였다.여수세계박람회의 가장 중심에 있는 박물관으로 총 4개의 건물과 그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브릿지를 통해 대서양 공동관, 태평양 공동관, 인도양 공동관과 46개국의 전시관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 전시관 D관에는 중국관, 미국관, 일본관 등 주요 국가들이 밀집되어 있어 엑스포에서 가장 관람객을 많이 모은 전시관으로 꼽히고 있다.
총 1개의 건물에서 연면적 6000m2에 1800m2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주제관의 주제는 ‘해양가치와 미래비전’으로, 학술행사와 퍼포먼스를 포함한 전시관으로 구성되었다. 해양베스트관이라고도 불린다.
- 주제관
- 해양 베스트관
- 수족관
- 해양생물관
- 기후환경관
- 해양문명도시관
- 해양산업기술관
- 빅오(Big-O)
- 엑스포 디지털 갤러리
- 스카이타워
- 에너지파크
- 연안 어업 체험장·해조류 서식지
6. 2. 국가 및 기관 관련 전시관
2012 여수 세계 박람회에는 다양한 국가 및 기관의 전시관이 마련되었다.국제관국제관은 전시 공간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했으며, 참가국들이 자국의 전시를 기획하고 개최하는 공간이었다. 총 4개의 건물(A, B, C, D)로 구성되었으며, 각 건물에는 여러 전시실이 마련되었다. 특히 D관에는 중국,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의 전시관이 밀집해 있어 가장 많은 관람객이 방문했다.
국가 | 개별관 유무 | 건물 | 비고 | BIE 수상 |
---|---|---|---|---|
Antigua and Barbuda|앤티가 바부다영어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가봉한국어 | -- | D[10] | 창의적 전시 Image:Med 1.png금상[16] | |
가이아나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그레나다한국어 | -- | A[9] | 몰리네 수중 조각 공원과 그레나다의 요트 시설을 선보임[19] | |
니카라과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도미니카 공화국한국어 | -- | A[9] | ||
도미니카 연방한국어 | -- | A[9] | ||
리투아니아한국어 | -- | B[10] | 발트해 근처에서 발견된 호박 전시 | 창의적 전시 Image:Med 2.png은상[30] |
말레이시아한국어 | -- | D[10] | ||
Monaco|모나코영어 | -- | A[10] | 모나코 왕족의 지중해 보호 노력을 소개[21] | |
멕시코한국어 | -- | B[10] |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된 비디오 상영 | 창의적 전시 Image:Med 3.png동상[30] |
모로코한국어 | -- | B[10] | 2002 월드컵과 관련된 비디오 상영 | |
방글라데시한국어 | -- | D[10] | ||
벨기에한국어 | -- | B[10] | 입구에서 쿠키 제공, 초콜릿을 이용한 성형수술 시연, 회전목마처럼 디자인된 주요 국립 건물 전시 | |
브루나이한국어 | -- | D[10] | 브루나이 전시는 숲과 암초의 연관성을 고려하고 대형 수족관을 포함[14] | |
세인트루시아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한국어 | -- | D | 창의적 전시 Image:Med 2.png은상[16] | |
솔로몬 제도한국어 | -- | C[10] | 4D 체험, 전시에 대한 자세한 설명 | 주제 개발 Image:Med 1.png금상[22] |
수리남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스리랑카한국어 | -- | A[10] | 다양한 보석 조각상 전시, 종교 체험실 설치 | |
스웨덴한국어 | -- | A[10] | 아이디어의 군도는 스웨덴의 혁신을 보여줌[21] | |
Suisse|스위스프랑스어 | -- | A[10] | 근원. 당신의 손 안에 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50만 명의 방문객이 방문[27] | 창의적 전시 Image:Med 1.png금상[28] |
스페인한국어 | -- | B[10] | 서로 다른 수심의 바닷물과 관련된 비디오 상영, 심해에서 채취한 샘플 전시 | |
싱가포르한국어 | -- | D[10] | 역설-도시: 계약의 도시라는 제목으로 생태적으로 민감한 도시 디자인을 시연[20] | 주제 개발 Image:Med 2.png은상[26] |
아랍에미리트한국어 | -- | C[10] | 수중 멸종 위기종 그림이 있는 배경을 이용한 사진 촬영, 방문객이 직접 물고기 만들기 허용 | 창의적 전시 Image:Med 2.png은상[31] |
아르메니아한국어 | -- | A[9] | 아르메니아관은 정보의 바다에 초점을 맞춰 차세대 과학 혁신을 탐구하는 플랫폼이 될 WORLDLAB 개념을 소개[11] | |
Argentina|아르헨티나es | -- | B[10] | 음악 연주 및 탱고 공연 | |
아이티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알제리한국어 | -- | C[10] | 사하라 사막과 관련된 비디오 상영 | |
앙골라한국어 | -- | A[10] | 진동 의자, 바람 등이 포함된 비디오 상영, 전통 악기를 사용한 콘서트 공연 | |
에콰도르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오스트레일리아한국어 | -- | D[10][12] | 원주민 예술, 현대 오스트레일리아, 해안 생활을 다룬 3부 구성 전시[13] | 창의적 전시 Image:Med 3.png동상[31] |
우간다한국어 | -- | B[10] | 다양한 목각 조각 전시 | |
우크라이나한국어 | -- | A[10] | 착시 영화를 사용하여 수중 환경 전시 | 주제 개발 Image:Med 2.png은상[30] |
이탈리아한국어 | -- | B[10] | 2015 밀라노 엑스포 소개 | |
이스라엘한국어 | -- | B[10] | 영감의 바다는 대부분 예술 설치 작품[20] | |
이집트한국어 | -- | A[10] | 축소된 피라미드와 가상 왕관 전시 | |
인도한국어 | -- | A[10] | 저온 담수화 기술 시연 | |
인도네시아한국어 | -- | D[10] | 인도네시아 해양 생물 다양성을 선보이며, 희귀한 실라칸스 표본을 전시하고 마스코트로 사용 | |
일본한국어 | -- | D[10] | 일본관은 한 소년이 일본의 2011년 도호쿠 대지진을 극복하는 이야기에 초점을 맞춤[21] | |
China|중국중국어 | -- | D[10] | 창의적 전시 Image:Med 1.png금상[31] | |
카자흐스탄한국어 | -- | B[10] | 사진 촬영 후 메모 작성, 사진과 함께 방문객에게 이메일 발송, 다양한 공연 후 비디오 상영 | |
카타르한국어 | -- | C[10] | 카타르관은 해양 전통과 해양 환경 보존 노력을 설명[23] | |
콜롬비아한국어 | -- | A[9] | 콜롬비아 해양: 해안에서 해안까지의 약속. | |
콩고 민주 공화국한국어 | -- | B[10] | 목각 마스크 전시 | |
타지키스탄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태국한국어 | -- | D[10] | 다양성의 섬 – 연결의 바다라는 슬로건으로 산호를 출발점으로 삼아 국가의 생물 다양성을 보여줌[30] | 창의적 전시 Image:Med 1.png 및 주제 개발 Image:Med 1.png금상[30] |
투르크메니스탄한국어 | -- | B[10] | 현재 건설 중인 여행 지역 소개, 전통 모자 전시 | |
튀니지한국어 | -- | A[10] | 물고기 모양 갈대 공예품 전시, 미술 작품 전시 | |
터키한국어 | -- | A[10] | "터키: 바다와 대륙을 연결하는 문명의 땅"이라는 주제[29] | |
파나마한국어 | -- | A[9] | 대서양 공동관(서쪽)의 일부 | |
파라과이한국어 | -- | A[9] | 물이 태어나는 땅이라는 제목으로 파라과이의 수로를 살펴봄[21] | |
파키스탄한국어 | -- | A[10] | 파키스탄 유물이 담긴 3D 홀로그램 비디오 상영 | |
파푸아뉴기니한국어 | -- | D | 창의적 전시 Image:Med 3.png동상[16] | |
프랑스한국어 | -- | B[10] | 벽에 내장된 모래시계 전시, 많은 로봇 물고기가 있는 수족관 전시 Jessiko[15] | |
핀란드한국어 | -- | B[10] | ||
필리핀한국어 | -- | D[10] |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 | D[10] | 버락 오바마와 힐러리 클린턴을 비롯한 많은 미국인들이 바다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영상[20] | |
베트남한국어 | -- | D[10] | 주제 개발 Image:Med 3.png동상[30] | |
사우디아라비아한국어 | -- | A[10] | 방문객에게 자석 선물, 모니터와 카메라를 이용한 전통 의상 가상 체험 허용 | |
Deutschland|독일de | -- | A[10] | "SEAVOLUTION"이라는 제목의 독일관은 해양 및 해안 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17] | |
덴마크한국어 | -- | B[10] | 레고 전시 | |
Россия|러시아ru | -- | B[10] | 러시아 전시는 바다와 인간, 과거에서 미래로의 길이라는 슬로건[24] |
- 공동관: A관(오세아니아), B관(태평양), C관(인도양)은 각 지역 국가들의 공동 전시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한국관한국관은 '한국인의 바다정신과 해양역량'을 주제로, 디오라마와 돔 영상을 통해 한국의 해양 역사를 보여주었다. 전통 한국 건축 양식과 색채로 꾸며졌으며, 조선, 해운, 해양 기술 등 한국의 해양 분야 성과를 전시했다.
기타 전시관
- 지자체관
- 국제기구관
- 국제박람회기구관 (엑스포의 엑스포)
일본관일본관은 국제관 1층 D구역(태평양 구역)에 약 1000㎡ 규모로 설치되었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가 출품 실무를 담당했으며, 동일본대지진을 주제로 한 전시로 변경되었다. 쓰나미 피해와 부흥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상영, 해양연구개발기구의 잠수 조사선 및 시추선 소개, 미래 환경 친화적 수송선 모델 전시 등이 이루어졌다. 박람회 폐막 직전 박람회국제사무국의 우수 전시관상 시상식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6. 3. 기업관
6. 4. 기타 시설
- '''빅오(Big-O)'''는 거대한 바다(Big Ocean)에서 유래한 단어로, 수변의 해양공원이다. 해상분수와 스크린을 이용한 빅오쇼(Big-O Show)가 열리는 행사 공간이다.
- '''엑스포 디지털 갤러리(Expo Digital Gallery)'''는 국제관 사이에 위치해 있던 갤러리로, 천장 아래쪽에 설치된 거대한 LED 화면이었다.[10][34] 가로 218m, 세로 30m의 직사각형 LED 화면으로, 60인치 TV 6,324대에 해당하는 크기였다.[34] 보행자들이 거대한 화면 아래를 지나갈 때, LED 화면에는 다양한 애니메이션이 재생되었다. 스마트폰을 소지한 방문객들은 사진을 찍고 메시지를 추가하여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전송할 수 있었다.[34]
- '''스카이 타워'''는 두 개의 시멘트 저장 탑을 개조한 것으로, 엑스포 부지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다. 전망대에서는 행사장의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엑스포의 음향 상징인 복스 마리스(Vox Maris)라는 파이프 오르간이 포함되어 있는데, 매일 엑스포 개장과 폐장 시 연주되었으며, 정기 공연에도 사용되었다. 스카이 타워 내부에는 새로운 한국 기술을 이용하여 해수에서 담수를 생산하는 시설과 해양 생물의 장면을 보여주는 파노라마 영화관이 있다. 스카이 타워는 2012년 세계 박람회의 4대 주요 명소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 엑스포홀
- 전통예능무대
- 텐트극장
- 에너지파크
- 연안 어업 체험장·해조류 서식지
7. 마스코트와 심볼
2012년 세계 박람회의 마스코트는 어류의 먹이자원이며 바다와 연안을 지켜주는 생명의 근원인 해양생물(플랑크톤)을 모티브로 한 '여니와 수니'이다. '여니'는 '열다'는 의미를, '수니'는 '물', '우수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여'와 '수'를 사용해 엑스포 개최지의 인지도를 높였다. 짙은 푸른색은 심해의 무한한 자원을 표현하며, 머리 부분의 촉수는 해양생물의 촉수를 형상화하여 박람회를 찾은 모든 이들과 교감하고 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으로 변화 가능하다.[4]
심볼 마크는 여수세계박람회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유기적인 형태(빨강은 생태계, 파랑은 바다, 초록은 환경을 의미)를 단순하게 추상화하여 '살아있는 바다와 연안'이라는 주제를 상징화하였다.[5] 또한 전체적인 원 모양은 지구를 의미하며, 그 안에 속한 동적인 3개의 모티브를 통하여 지구의 미래지향적인 의미를 나타냈다.
7. 1. 마스코트
2012년 세계 박람회의 마스코트인 ‘여니와 수니’는 어류의 먹이자원이며 바다와 연안을 지켜주는 생명의 근원인 해양생물(플랑크톤)을 모티브로 하였다. 바다의 아름다운 빛깔을 마스코트의 머리 색에 담았으며, 특히 짙은 푸른색은 심해의 무한한 자원을 표현했다. 머리 부분의 촉수는 해양생물의 촉수로 박람회를 찾은 모든 이들과 교감하고 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으로 변화 가능한 형태로 표현하였다.[4]‘여니와 수니’는 '여'와 '수'를 사용해 엑스포 개최지의 인지도를 높이는 동시에, ‘여니’는 ‘연다’는 이미지로 2012 여수 세계 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알리며, ‘수니’는 ‘물’, ‘우수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7. 2. 심볼
심볼 마크는 여수세계박람회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상징체로서 EI(Expo identity)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다. 2012 여수세계박람회 심볼 마크는 유기적인 형태(빨강은 생태계, 파랑은 바다, 초록은 환경을 의미함)를 단순하게 추상화하여, 2012 여수세계박람회의 주제인 '살아있는 바다와 연안'을 상징화하였다.[5] 또한 전체적인 원의 모양은 지구를 의미하며, 그 안에 속한 동적인 3개의 모티브를 통하여 지구의 미래지향적인 의미를 나타냈다.8. K-POP 콘서트
2012 여수세계박람회장에서는 K팝 인기 가수들의 콘서트가 다수 개최되었다. 5월 11일 개막식에는 박람회 주제가인 '바다가 기억하는 이야기'[54]를 부른 아이유와 남성 그룹 빅뱅, 여성 그룹 투애니원이 출연하였다.[55]
6월부터 8월까지 박람회장에서는 '세계박람회 팝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주요 출연 가수는 다음과 같다.[56]
구분 | 참여 가수 |
---|---|
남성 아이돌 그룹 | 투에임, 비원에이포, 인피니트, 샤이니, 유키스, 투피엠, 엑소-K, 슈퍼주니어, 제국의아이들, 엠블랙 |
여성 아이돌 그룹 | 소녀시대, 원더걸스, 에이핑크, 미스에이, 에프엑스, 시스타, 애프터스쿨, 달샤벳 |
록 밴드 | YB(윤도현 밴드), 자우림, 씨엔블루, FT아일랜드 |
솔로 가수 | 비(RAIN), 세븐, 싸이, 아이유 |
9. 교통
세계 박람회 개최에 맞춰 주변 지역에서는 다양한 교통 시설의 건설 및 개량이 다수 이루어졌다. 항공, 철도, 도로, 버스, 선박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이 확충되었다. 특히, KTX 직통 운행이 시작되어 서울 (용산역 기준) - 여수 간 소요 시간이 5시간대에서 3시간대로 단축되었다.[60][61]
9. 1. 항공
여수공항을 통해 여수-김포국제공항, 여수-제주국제공항 간 노선이 운항되었다.9. 2. 철도
한국철도공사(KORAIL) 전라선 여수엑스포역은 엑스포 개최에 맞춰 이전 및 개칭되었으며, 구 역사 부지는 엑스포 행사장에 포함되었다.[60][61]전라선 복선 전철화 및 고속화 사업으로 KTX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1년 10월 5일 개량 공사가 완료되어 KTX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2년 5월 1일에는 고속화 사업이 완료되어 전라선 내 KTX 최고 속도가 시속 150km에서 230km로 빨라졌다.
서울 (용산역 기준) - 여수 간 소요 시간은 KTX 운행 개시로 5시간대에서 3시간대로 단축되었다. 엑스포 기간에는 서울역 발착 KTX도 운행되었다.
9. 3. 도로
순천-완주 고속도로는 2011년 4월 29일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부산와 영암군을 잇는 남해고속도로는 2012년 4월 27일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순천시와 여수시를 잇는 (국도 17호선 일부)가 2012년 4월 12일에 완공되었다.[62][63] 여수시와 광양시를 잇는 이순신대교는 2012년 5월 10일 임시 개통되었고, 2013년에 정식 개통되었다.9. 4. 버스
개최 기간 중에는 여수시내 주요 지점에 설치된 정류소를 순회하는 무료 셔틀버스가 임시 운행되었고, 일반 시내버스 노선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다.[40] 행사장 정문 앞에는 시외버스 임시 정류소가 설치되어 운행되었다.9. 5. 선박
세계 박람회 개최에 맞춰 8만 톤급 대형 크루즈선이 접안 가능한 크루즈 부두가 신설되었다.[64][65] 선박을 이용하여 행사장에 출입하는 입장객의 승선 및 출입국 수속을 위해 제2게이트에 직결되는 여객선 터미널도 신설되었다.JR큐슈고속선은 하카타항 - 여수항 간에 고속선 비틀을 격일로 총 29회 왕복 운항했다(소요시간 3시간 45분).[66] 또한, 여수시와 자매도시 관계인 사가현 가라쓰시에서는 비틀 전세선이 총 6회 왕복 운항되었다(소요시간 3시간 25분).[67]
10. 여수선언
2012년 세계 박람회 폐막일인 8월 12일, '여수선언 포럼'에서 채택된 '여수선언'은 해양 보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과 실행 가능한 조치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35] 이 선언은 해양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과 실행 가능한 조치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엑스포 기간 중 채택되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국제 사회의 지지를 받았다.
'여수선언 포럼'은 2012년 세계 박람회 조직위원회와 국제박람회기구(BIE)가 주최하였으며, 로셀타레스 BIE 사무총장, 반기문 UN 사무총장, 김황식 대한민국 국무총리 등이 참석하였다. 만국박람회 조직위원회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유엔환경계획(UNEP) 등 국제기구 전문가들이 참여한 위원회를 설치하고, 2010년부터 회의를 거듭하며 여수선언의 내용을 논의하였다.
여수선언은 총 1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74][75]
- 서문: 2012년 세계 박람회 주제의 목표 존중, 유엔 기후변화협약 및 생물다양성협약 등 해양과 생태계 보호 관련 협약 준수, 해양 문제 인식 제고 및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 강조.
- 본문: 해양과 해저, 지역해, 연안, 섬 관련 문제 우선 처리, 해적 행위 및 납치 등 불법 행위 근절 노력, 해양 자원 관리, 쓰나미 등 자연재해 대응 해양 관측 시스템 증강 등을 세계 각국에 요청.
11. 사후 활용
2012년 세계 박람회 시설 중 주제관, 국제관, 엑스포홀, 한국관, 아쿠아리움, 빅오, 스카이타워, 엑스포디지털갤러리는 영구 시설로 보존되어 '엑스포 해양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아쿠아리움은 한화그룹이 인수하여 '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로 운영하고 있다.[86] 한국관 건물은 2012여수세계박람회재단 본부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박람회 부지의 민간 매각은 난항을 겪었다. 한국 정부는 박람회 폐막 직후 한국관과 엑스포홀을 제외한 부지의 95%를 민간에 매각하여 차입금을 상환할 계획이었으나, 2012년과 2013년 두 차례의 공모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입찰이 없어 매각에 실패했다.[87][88] 2014년 9월까지 진행된 3차 매각 공모 역시 무산될 위기에 처했으며, 유지비로 인해 연간 약 12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89]
2015년 5월, 해양수산부는 기존의 일괄 매각 방침을 변경하여 임대(리스)를 허용하고, 차입금 상환 시한을 2025년으로 연장하는 계획 변경안을 발표했다.[90] 이에 따라 박람회장 부지 활용은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oreign press in Korea for the Yeosu Expo
http://www.dynamic-k[...]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2-10-03
[2]
웹사이트
Expo 2012 Yeosu Korea - Theme
http://eng.expo2012.[...]
2014-12-02
[3]
뉴스
[여기는 여수엑스포] 전시콘텐츠 호평 속 흥행엔 '빨간불'
http://www.kookje.co[...]
2018-04-12
[4]
뉴스
[전남] 여수세계박람회 마스코드 여니와 수니
http://www.newscj.co[...]
2010-08-23
[5]
웹사이트
여수엑스포, 엠블럼과 마스코트는 어떤 의미?
http://www.ytn.co.kr[...]
2012-05-06
[6]
웹사이트
IK-Journal
http://www.investkor[...]
Investkorea.org
2012-05-17
[7]
웹사이트
Korea Pavilion
http://eng.expo2012.[...]
EXPO 2012 YEOSU KOREA
2012-10-23
[8]
웹사이트
국제관 (International Pavilions)
http://www.expo2012.[...]
EXPO 2012 YEOSU KOREA
2012-10-12
[9]
웹사이트
Everyday Miracle [Korea] Yeosu Expo 2012 - Atlantic Ocean Joint Pavilion (West)
http://ditautomo.blo[...]
2012-06-26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Pavilion - Map
http://eng.expo2012.[...]
[11]
웹사이트
Armenian Pavilion at the World Expo 2012 Yeosu: a Unique Concept of the WORLDLAB as Philosophy of New Thinking
http://www.prweb.com[...]
[12]
웹사이트
Where We Are {{pipe}} Australian Pavilion
http://www.australia[...]
[13]
웹사이트
Design {{pipe}} Australia Pavilion
http://www.australia[...]
[14]
웹사이트
Brunei joins World Expo 2012 in S Korea {{pipe}} The Brunei Times
http://www.bt.com.bn[...]
[15]
웹사이트
Robot Swim of France showed off a shoal of self-moving robot fishes
http://itersnews.com[...]
[16]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po award for creative display Seychelles takes Silver at Yeosu International Expo - ...
http://www.eturbonew[...]
[17]
웹사이트
Pavilion tour and exhibits - German Pavilion Expo 2012 Yeosu Korea - SEAVOLUTION
http://www.expo2012-[...]
[18]
웹사이트
German Pavilion Expo 2012 Yeosu Korea - SEAVOLUTION
http://www.expo2012-[...]
[19]
웹사이트
Grenada creating a buzz at Korean Expo
http://www.gov.gd/eg[...]
[20]
논문
Sinking and swimming at the Yeosu expo: Public diplomacy and nation branding in South Korea, 2012
2012
[21]
웹사이트
Country pavilions show world of coasts at Yeosu expo - Yahoo! News Philippines
http://ph.news.yahoo[...]
[22]
웹사이트
Welcome to Oman News Official Website
http://www.omannews.[...]
[23]
웹사이트
Qatar's seafaring tradition to be shown in Korea
http://www.qatarpavi[...]
[24]
웹사이트
Russian Exposition Identity - World exhibition EXPO-2012, 12 may - 12 august 2012, Yeosu
http://expo2012korea[...]
[25]
웹사이트
Russia to display innovative designs, devices at EXPO-2012, 12 may - 12 august 2012, Yeosu
http://expo2012korea[...]
[26]
웹사이트
Singapore Pavilion wins Silver Award for Theme Development at EXPO 2012 Yeosu Korea
http://app.mewr.gov.[...]
[27]
웹사이트
Gold Award for the Swiss Pavilion at Expo 2012 Yeosu
http://www.swissemba[...]
[28]
웹사이트
Trunz Water Systems AG - Expo 2012 Yeosu Korea
http://www.trunzwate[...]
[29]
웹사이트
Yeony and Suny: Turkey pavilion
http://expo2012-yeos[...]
[30]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AND BEYOND: Philippine Pavilion at the Yeosu Korea International Expo
http://thephilippine[...]
[31]
웹사이트
Award-winning Australian Pavilion! {{pipe}} Australian Pavilion
http://www.australia[...]
[32]
웹사이트
Expo 2012 Yeosu Korea
http://english.cntv.[...]
2012-06-10
[33]
웹사이트
Aquarium
http://eng.expo2012.[...]
EXPO 2012 YEOSU KOREA
2012-10-23
[34]
웹사이트
Thematic Facilities
http://eng.expo2012.[...]
EXPO 2012 YEOSU KOREA
2012-10-20
[35]
웹사이트
2012 Yeosu
https://www.bie-pari[...]
2023-05-08
[36]
웹사이트
The Yeosu Project: Summary
http://eng.expo2012.[...]
2012-07-14
[37]
웹사이트
"Big O" central feature at Yeosu Expo 2012 designed by ECA2 depends on Medialon show control
http://www.inparkmag[...]
2014-11-05
[38]
웹사이트
해상무대에서 보는 멀티미디어쇼
http://www.expo2012.[...]
EXPO 2012 YEOSU KOREA
2012-10-10
[39]
문서
“EXPO”のハングル表記である“엑스포”の読み方は「エクスポ」で、日本語読みの「エキスポ」とは微妙に異なっている。しかし、日本語の説明文では「エキスポ」と表記されることが多いので、本文でも「エキスポ」に統一している。
[40]
웹사이트
2012여수세계박람회유치 추진과정 및 향후 과제
http://cafe453.daum.[...]
[41]
뉴스
〈総合〉2010年万博 麗水と上海の一騎討ち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2002-11-15
[42]
뉴스
새로운 공동체를 위한 바다와 땅의 만남
http://www.ohmynews.[...]
OhmyNews
2002-11-28
[43]
웹사이트
ビジョン・目標
http://jpn.expo2012.[...]
[44]
뉴스
来場客動員に苦しむ「麗水エキスポ」
http://www.sangyo-ti[...]
商業施設新聞
2012-06-05
[45]
서적
2012年麗水国際博覧会 日本公式参加記録
日本貿易振興機構
2012
[46]
웹사이트
公式参加国・国際機関
http://jpn.expo2012.[...]
[47]
뉴스
津波・復興 韓国で関心
朝日新聞
2012-07-03
[48]
웹사이트
2012年麗水(ヨス)国際博覧会(EXPO 2012 YEOSU KOREA)へのジェトロの取り組み・展示
http://www.jetro.go.[...]
[49]
웹사이트
BIE褒賞(パビリオンプライズ)で日本館が「銅賞」を受賞
http://www.jetro.go.[...]
[50]
뉴스
麗水万博の日本館に銅賞 震災復興表現で
https://web.archive.[...]
47NEWS
2012-08-11
[51]
웹사이트
「イルボン(日本)」に沸いた麗水万博・ジャパンデー
http://www.jetro.go.[...]
[52]
웹사이트
2012年麗水(ヨス)国際博覧会における展示物について
https://www.mofa.go.[...]
[53]
웹사이트
東日本大震災復興イベント「日本元気祭」を開催します。~2012麗水国際博覧会日本館認定行催事~
http://www.meti.go.j[...]
[54]
Youtube
IU (아이유) - 바다가 기억하는 얘기 (Memories Of The Sea) Official MV
https://www.youtube.[...]
[55]
뉴스
麗水万博で開幕式 光と水のショー=海との共存探る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2-05-11
[56]
웹사이트
万博ポップフェスティバル
http://jpn.expo2012.[...]
[57]
뉴스
少女時代 ソヒョン、2012麗水国際博覧会の国連館広報大使に任命
https://news.kstyle.[...]
Kstyle
2012-05-03
[58]
뉴스
少女時代のソヒョン、きょう麗水万博訪問
http://www.wowkorea.[...]
WoW!Korea
2012-06-20
[59]
블로그
麗水万博(Yeosu EXPO) SNSD SeoHyun Mini Fansign meeting @ UN pavilion
http://hirapara.sees[...]
ぱらしで
2012-06-20
[60]
뉴스
「低速?」全羅線KTX、来年5月から速度引き上げ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1-08-23
[61]
블로그
【韓国】【鉄道】全羅線の高速化...麗水エキスポへ便利に#転送 YTNニュース
https://yamacyan77.s[...]
やまちゃんの日記
2012-05-09
[62]
웹사이트
麗水がさらに近くなる
http://japanese.kore[...]
[63]
블로그
여수-순천 자동차전용도로 개통!
http://blog.daum.net[...]
[64]
웹사이트
麗水光陽港 一般現況
http://ygpa.or.kr/jp[...]
[65]
웹사이트
約5ヵ月後に迫った麗水エキスポ
http://japanese.kore[...]
2011-12-06
[66]
웹사이트
「福岡-麗水」航路のご案内
http://www.jrbeetle.[...]
[67]
웹사이트
唐津港発着「JR高速船ビートル」「ニューかめりあ」で行く麗水世界博覧会ツアーの参加者を募集します
http://www.karatsu-c[...]
[68]
웹사이트
美しい麗水近海を背景に、高級観光宿泊施設が相次いで建設
http://www.investkor[...]
2012-03-12
[69]
문서
麗水万博ハンドブック(日本語版)
http://jpn.expo2012.[...]
[70]
블로그
KTX乗れば博覧会場 目の前に・・・寺刹体験など観光客 手招き
http://blog.livedoor[...]
ハンギョレ・サランバン
2012-03-30
[71]
뉴스
『人の少ない麗水万博、待たずに見られるのはいいけれど・・・=韓国』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2-05-15
[72]
블로그
『先週の麗水万博 <ヨス?>』
https://web.archive.[...]
minaQのつぶやき
2012-07-11
[73]
블로그
『声だけ騒がしかった海上ホテル結局‘霧散’』
https://web.archive.[...]
minaQのつぶやき
2012-07-12
[74]
웹사이트
麗水宣言 概要
http://jpn.expo2012.[...]
[75]
뉴스
『麗水万博が閉幕 宣言文発表=海洋保護など求める』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2-08-12
[76]
블로그
『麗水(ヨス)万博 その見どころはあるニカ?』
https://web.archive.[...]
minaQのつぶやき
2012-05-13
[77]
뉴스
麗水EXPO、超低調スタート K‐POP投入で「海外からの集客」狙う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12-05-20
[78]
뉴스
『折り返し迎えた麗水万博 入場者数は目標の半分』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2-06-26
[79]
웹사이트
『入場券値下げ案を発表…インバウンド促進策も』
http://jpn.expo2012.[...]
2012-06-25
[80]
뉴스
麗水万博チケット購入を…防衛事業庁が赤字企業にまで圧迫(1)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2-07-19
[81]
뉴스
麗水(ヨス)エキスポ、すでに入場券‘バーゲン処理’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新聞
2012-07-17
[82]
블로그
『万博無料券58万枚...?お金を出して見ただけ馬鹿?』
https://web.archive.[...]
minaQのつぶやき
2012-07-30
[83]
뉴스
『麗水万博 1日入場者数が27万人=過去最多更新』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2-07-30
[84]
뉴스
『麗水万博の1日入場者数27万5千人 市民無料入場で』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2-07-31
[85]
뉴스
『麗水万博 入場者数820万3956人を記録』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2-08-13
[86]
웹사이트
アクアプラネット紹介
http://www.hanwhares[...]
[87]
뉴스
『麗水万博の施設、またお払い箱に?(1)』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3-03-25
[88]
뉴스
『麗水万博の施設、またお払い箱に?(2)』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3-03-25
[89]
방송
韓国 アジア大会 盛況の裏側で…
http://www.tv-tokyo.[...]
ワールドビジネスサテライト
2014-10-02
[90]
뉴스
여수세계박람회장 '사후활용안' 확정(종합)
https://www.mk.co.kr[...]
연합뉴스
2015-05-27
[91]
뉴스
麗水世界博「北朝鮮は不参加の見通し」=組織委員長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2-05-09
[92]
간행물
韓国・麗水万博に行ってみた
アジアの雑誌
2012-09
[93]
뉴스
『麗水世界博へ行こう』
http://www.mindan.or[...]
民団新聞
2012-05-09
[94]
뉴스
麗水万博 一番乗りは30代の日本人男性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2-05-12
[95]
뉴스
幕を上げた麗水万博、一番乗りは日本人“エキスポマニア”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2-05-14
[96]
방송
万博おばあちゃん 韓国・麗水万博も皆勤賞
http://www.nagoyatv.[...]
メーテレ
2012-08-23
[97]
뉴스
「万博おばさん」が麗水万博に挑戦 皆勤めざす
http://japanese.chin[...]
中国網日本語版(チャイナネット)
2012-05-15
[98]
뉴스
麗水万博 韓国・全羅南道 麗しい港町に技術の粋
http://tabi.chunichi[...]
中日新聞
2012-02-24
[99]
웹인용
'여수세계박람회 준비현황
http://expo2012.or.k[...]
2011-08-19
[100]
웹사이트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 공식보고서
http://expo2012.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