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바다거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바다거북(Caretta caretta)은 바다거북과에 속하는 바다거북의 한 종이다. 붉은바다거북은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큰 머리와 붉은 갈색 등갑을 특징으로 한다. 분류학적으로는 1758년 칼 폰 린네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다른 바다거북과의 잡종 형성이 보고되기도 한다. 붉은바다거북은 잡식성으로, 다양한 해양 생물을 섭취하며, 17~33세에 번식을 시작한다. 붉은바다거북은 인간의 활동, 어업, 해양 오염,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파충류 - 쿠바악어
쿠바악어는 쿠바의 특정 지역에만 서식하며 밝은 색과 특이한 비늘, 강력한 다리를 가진 악어로, 무리 사냥과 지능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잡종화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쿠바의 파충류 - 아메리카악어
아메리카악어는 크로커다일과에 속하는 파충류로,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플로리다 남부에 분포하며, 최대 6.5m까지 성장하고 어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을 먹는 최상위 포식자이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파나마의 파충류 - 왕뱀
왕뱀은 남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하며 몸통으로 먹이를 조여 죽이는 대형 뱀으로, 다양한 아종과 변이를 보이며 애완동물로 인기가 높지만, 포획과 생태계 교란으로 위협받기도 한다. - 파나마의 파충류 - 안경카이만
안경카이만은 눈 사이 융기 때문에 안경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이만속 악어의 일종으로, 신세계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고,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 감소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개체수를 유지한다. - 니카라과의 파충류 - 왕뱀
왕뱀은 남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하며 몸통으로 먹이를 조여 죽이는 대형 뱀으로, 다양한 아종과 변이를 보이며 애완동물로 인기가 높지만, 포획과 생태계 교란으로 위협받기도 한다. - 니카라과의 파충류 - 안경카이만
안경카이만은 눈 사이 융기 때문에 안경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이만속 악어의 일종으로, 신세계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고,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 감소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개체수를 유지한다.
붉은바다거북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retta caretta (Linnaeus, 1758) |
영명 | Loggerhead |
영명 (전체) | Loggerhead sea turtle |
영명 (축약) | Loggerhead turtle |
분포 지역 | 전 세계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거북목 |
아목 | 무궁아목 |
과 | 바다거북과 |
아과 | 아카우미가메아과 |
속 | 아카우미가메속 (Caretta) |
종 | 붉은바다거북 (C. caretta) |
형태 | |
크기 | 약 90 cm |
무게 | 약 135 kg (최대 450 kg) |
보존 상태 | |
IUCN | 취약종 (VU) |
CITES | 부록 I |
종 동의어 | |
속 동의어 |
2. 분류
붉은바다거북은 현존하는 모든 바다거북(장수거북 제외)을 포함하는 바다거북과에 속한다. 아종 분류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대부분의 저자는 이를 단일 다형성 종으로 간주한다.
1994년에 발표된 종 내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산란지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계통이 포함되었고(조지아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산란지가 전혀 다른 계통이 단일 계통군을 구성하는 결과(오만과 브라질)가 나타났다.[42] 이 때문에 희망봉이나 마젤란 해협을 경유하여 대양 간에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2]
2. 1. 명칭
칼 폰 린네는 1758년에 붉은바다거북에게 처음으로 ''Testudo caretta''라는 이명을 부여했다. 그 후 2세기 동안 35개의 다른 이름이 등장했으며, 1873년 레온하르트 슈테예너가 처음으로 ''Caretta caretta''라는 조합을 도입했다. 영어 일반명인 "loggerhead"는 이 동물의 큰 머리를 가리킨다.2. 2. 진화
현대의 바다거북은 백악기에 단일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장수거북을 제외한 모든 바다거북과 마찬가지로 붉은바다거북은 고대 과 바다거북과에 속하며 약 4천만 년 전에 나타났다. 현존하는 6종의 바다거북과 종 중에서 붉은바다거북은 켐프 바다거북, 올리브 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과 더 가깝고 납작머리거북 및 푸른바다거북과는 더 멀다.약 300만 년 전, 플리오세 동안 중앙 아메리카가 바다에서 솟아오르면서 대서양과 인도-태평양 사이의 해류가 효과적으로 차단되었다. 해류의 우회는 지구가 빙하기에 접어들면서 기후 변화를 초래했다. 희망봉 주변의 냉수 용승과 케이프혼에서의 수온 감소는 이주하는 거북에게 냉수 장벽을 형성했다. 그 결과 붉은바다거북의 대서양과 태평양 개체군이 완전히 분리되었다.
붉은바다거북의 뚜렷한 개체군은 고유한 특징과 유전적 차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지중해 붉은바다거북은 평균적으로 대서양 붉은바다거북보다 작다.
2. 3. 잡종
분자 유전학은 붉은바다거북과 켐프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 간의 잡종 형성을 확인했다.[51] 자연 잡종 형성 정도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2세대 잡종이 보고되었으며, 일부 잡종은 생식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1] 2013년 6월에는 일본 아마미오섬에서 붉은바다거북과 매부리거북의 특징을 함께 가진 속간 잡종이 산란한 것이 확인되었다.[51] 이는 일본 바다거북 협의회와 같은 NPO 법인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종 보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알려졌다.3. 형태
붉은바다거북은 딱딱한 등딱지를 가진 거북이 가운데 가장 큰 종으로, 평균 80kg에서 200kg이며, 길이는 70cm에서 95cm에 이른다.[5] 최대 개체는 무게 545kg, 길이 213cm에 달했다. 머리와 등갑은 노란빛이 도는 주황색에서 붉은 갈색까지 다양하며, 복갑은 보통 밝은 노란색이다. 목이나 옆구리는 위쪽은 갈색, 바닥쪽은 노란색을 띤다.
붉은바다거북의 등딱지는 등갑과 복갑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등갑은 더 큰 판 또는 인판으로 더 나뉜다. 일반적으로 11개 또는 12쌍의 가장자리 인판이 등갑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다섯 개의 척추 인판이 등갑의 정중선을 따라 내려오고, 다섯 쌍의 늑골 인판이 이를 경계로 한다. 목덜미 인판은 머리 기저부에 위치한다. 등갑은 껍질의 다리를 형성하는 세 쌍의 가장자리 인판을 통해 복갑과 연결된다. 복갑은 쌍을 이루는 목판, 어깨, 가슴, 복부, 넙적다리 및 항문 인판을 특징으로 한다. 붉은바다거북은 머리나 지느러미 모양의 발을 등딱지 안으로 완전히 숨길 수 없지만, 등딱지는 훌륭한 보호 구실을 한다.
붉은바다거북의 성적 이형성은 성체에서만 나타난다. 수컷은 암컷보다 꼬리와 발톱이 길고, 배딱지는 짧으며, 등딱지는 더 넓고 평평하다. 수컷은 암컷보다 머리가 더 넓다. 새끼 붉은바다거북은 겉모습만으로 성별을 구분하기 어렵지만, 해부, 복강경 검사, 조직학적 검사 및 방사선 면역 분석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바다거북은 눈물샘이 발달하여 과도하게 섭취한 염분을 배출하며, 이를 통해 체내 삼투압 평형을 유지한다. 육지에서는 과도한 소금 배설로 인해 거북이 울고 있다는 잘못된 인상을 준다. ''Caretta caretta'' 눈물에는 요소 함량이 높다.[6]
두개골은 구개 정중선에서 만나는 상악골을 가지고 있어 다른 바다거북과 가장 쉽게 구별된다.[7][8] 눈 뒤의 두개골 부분도 광범위한 턱 근육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크고 둥글다.[8]
갑장은 65.4 - 105.3 cm이다. (이는 상륙한 암컷의 측정값이며, 수컷은 상륙하지 않아 포획이나 측정이 어렵다)[47]。 해역별 갑장(cm) 내역은 다음과 같다.
해역 | 갑장(cm) |
---|---|
지중해 | 65.4 - 79.4 |
북태평양 | 83.2 - 85.6 |
인도양 | 87.6 - 93.6 |
남태평양 | 88.7 |
대서양 | 87.7 - 105.3 |
[47]
체중은 70 - 180kg이다.[41] 등갑은 편평하며, 약간 앞에서 가장 넓고 위에서 보면 하트형이다.[42][43] 일반적인 각질 갑판이나 비늘의 수는 개체 변이가 심하고 식별 형태로서 안정되어 있지 않다.[42][43]。 목갑판과 제1늑갑판은 접한다.[43]。 늑갑판은 좌우로 5장씩이지만,[42] 4장씩인 개체나 좌우 비대칭인 경우도 있다.[41][43]。 등갑에는 3개씩 줄무늬의 융기(키일)가 있지만, 성장에 따라 소실된다.[43]。 등갑의 색채는 적갈색이나 갈색이다.[41]。 가장자리 갑판은 좌우에 3장씩이며,[42][43] 작은 구멍은 없다. 복갑의 색채는 옅은 황색이다.[40][41]。
머리는 대형이다.[40][41] 영어 명칭 loggerhead는 "멍청하게 큰 머리, 바보 머리"라는 의미이다. 전액판은 좌우에 2장씩이며, 그 사이에 비늘이 있는 개체도 있다.[42][43]。 눈 뒤쪽 판은 3장이다.[42][43]。 아래턱을 덮는 비늘(아래턱 비늘판)은, 여러 개로 나뉜다.[42]。 앞다리는 다른 종에 비해 짧고, 발톱이 2개이다.[42]。 부화 직후의 유체는 전신이 흑갈색이다.[40]。 수컷 성체는 앞다리 발톱이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고, 꼬리가 길다.[41]
4. 분포
붉은바다거북은 여러 종의 바다거북 중에서 가장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 지중해에서 서식한다.[40] 대한민국 연안, 동중국해, 동해에서도 발견된다.
주요 산란지는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오만, 그리스, 튀르키예, 일본,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이다.[44] 산란지는 쿠로시오 해류,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 브라질 해류, 멕시코 만류, 모잠비크 해류와 같은 난류 연안(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 일본,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플로리다 반도)에 주로 분포하며, 다른 종과 달리 온대 지역까지 번식지가 확장되었다.[44]
북태평양 개체군은 주로 일본 연안에서 번식하지만,[40] 제주도에서 산란한 예도 있다.[44] 일본 열도에서는 미야기현 야마모토정, 노토 반도 이남에서 번식하며,[44] 지바현 구주쿠리 해안의 시라카미강 하구 부근이 주요 산란지 중 북방 한계에 가깝다.[45][46] 연간 100회 이상 산란하는 주요 산란지로는 엔슈나다, 와카야마현 남부, 니치난 해안, 야쿠시마 등이 있다.[41]
미국에서 산란한 개체군은 아조레스 제도까지, 일본에서 산란한 개체군은 멕시코 캘리포니아 반도 앞바다까지 부화 후 회유한다.[41] 일본 산란 개체군은 성장 후 다시 일본 근해로 회유하는 것이 표식, 발신기 조사, 분자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41]
5. 생태
붉은바다거북은 생애 초기에 특히 많은 포식자를 가진다. 알과 새끼는 유령게, 빈모류, 일부 딱정벌레, 살파리 유충, 일부 개미, 살파리, 뱀, 갈매기, 까마귀, 주머니쥐, 곰, 쥐, 아르마딜로, 족제비, 스컹크, 코요테와 같은 개과, 딩고, 호주 붉은 여우, 자칼 및 들개, 아메리카너구리, 길고양이, 멧돼지, 그리고 인간에게 잡아먹힌다. 둥지에서 바다로 이동하는 동안 부화한 새끼는 파리목 유충, 게, 두꺼비, 도마뱀, 뱀, 군함조와 같은 바닷새, 그리고 기타 다양한 조류와 포유류에게 잡아먹힌다. 바다에서 어린 붉은바다거북은 게, 잉꼬고기, 곰치 등 다양한 물고기에게 잡아먹힌다. 성체는 몸집이 커서 공격받는 일이 드물지만, 큰 상어, 물개, 범고래에게 잡아먹힐 수 있다. 둥지를 트는 암컷은 살파리, 들개, 인간에게 공격받으며, 염습지 모기도 둥지를 트는 암컷을 괴롭힐 수 있다.
19세기 호주에서는 영국 정착민이 들여온 붉은여우(Vulpes vulpes)로 인해 붉은바다거북 개체수가 크게 줄었다. 1970년대 동부 호주의 한 해안 지역에서는 거북이 알의 최대 95%가 여우에게 잡아먹혔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여우를 없애기 위한 노력으로 이러한 영향이 감소했지만, 개체군이 완전히 회복되기까지는 2020년까지 걸릴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국 남동부 해안에서는 너구리(Procyon lotor)가 둥지를 파괴하는 가장 큰 원인이다. 플로리다의 일부 해변에서는 한 시즌에 산란된 알 덩어리의 거의 100%가 너구리에게 잡아먹히기도 했다. 이는 도시 환경에서 너구리 개체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와이어 메쉬로 둥지를 덮어 보호하는 노력을 통해 너구리의 붉은바다거북 알 포식을 크게 줄였다.
전 세계적으로 둥지를 트는 암컷의 최대 40%가 상어의 공격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는 상처를 입었다.
붉은바다거북은 온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해양에 서식한다. 육상에서는 앞발과 뒷발을 교대로 움직여 이동한다.
동물성 경향이 강한 잡식성으로, 조개류, 갑각류 등을 먹는다. 위 내용물 조사 결과 소데가이, 고둥 등의 복족강, 대왕조개 등의 이매패강, 갑오징어류 등의 두족류, 삿갓조개나 바다이끼류, 십각목 등의 갑각류, 성게류 등의 극피동물, 해면동물, 어류, 푸른 해파리, 동종의 유체, 다시마 등의 해조, 거머리말 등의 해초가 발견되었다. 앞발을 사용하여 해저의 모래 진흙을 휘저어, 나온 먹이를 포식한다. 수심이 깊은 환경에서는 부유성 먹이를, 연안에서는 저생 무척추 동물을 먹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과 부화 직후 유체의 포식자는 왕도마뱀과, 개속, 곰속, 멧돼지속, 시궁쥐, 몽구스류, 사향고양이속, 고양이, 쇠백로속이나 흰꼬리수리속, 솔개속, 갈매기속, 매속 등의 조류, 상어속, 만새기속, 백상아리 등의 어류(상어류는 성체까지)가 있다. 개미, 게, 까마귀속, 여우속, 아메리카너구리 등도 알과 부화 직후 유체를 잡아먹는다.
번식 양식은 난생이며, 자세한 내용은 #번식 섹션에서 설명한다.
5. 1. 서식지
붉은바다거북은 알을 낳을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뭍으로 올라오지 않으며, 수컷들은 평생을 외해나 연안 부근에서 지낸다. 갓 부화한 새끼는 해초 밀집 지역에서 성장기를 보내는데, 대서양 북서쪽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나이에 따라 선호하는 서식지가 다르다. 어릴수록 얕고 연안에 가까운 곳에서 자주 발견된다.번식기가 아닐 때는 주로 수온이 13.3°C~28°C인 지역에 분포하며, 번식기에는 암컷들이 주로 27°C~28°C인 곳에서 관찰된다.
붉은바다거북 새끼들이 성장기에 크게 의존하는 갈조류(Sargassum) 해조 밀집 지역은 따개비, 게와 물고기 유생, 히드로충 , 참치 같은 대형 어류 등 다양한 해양 생물종이 의존하는 곳이다.
5. 2. 습성
자연 상태와 수족관에서 자라는 붉은바다거북은 모두 낮에 더 활발하게 활동한다. 수족관의 붉은바다거북은 낮에 주로 헤엄을 치거나 밑바닥에서 휴식을 취한다. 붉은바다거북은 하루의 85% 정도를 물속에서 보내며, 보통 한 번 잠수하면 15-30분 정도 버틸 수 있지만 최대 4시간까지 물속에 머물 수 있다.새끼와 다 자란 붉은바다거북은 수영 방법이 다르다. 새끼는 뒷다리를 몸 옆에 붙인 채 앞다리만으로 헤엄친다. 자라면서 차차 뒷다리도 사용하여 양쪽 다리를 번갈아 가며 휘저어 수영하며, 만 1세가 되면 이 수영 방법에 완전히 의존한다.
수온은 붉은바다거북의 활동성에 영향을 준다. 수온이 13°C에서 15°C 사이가 되면 행동이 느려지며, 10°C로 내려가면 거의 기절 상태가 된다. 다 자란 붉은바다거북보다 새끼가 더 차가운 수온에 잘 견디는데, 새끼는 수온이 9°C 이하로 내려가기 전까지는 기절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붉은바다거북은 알맞은 수온을 찾아 이동한다. 수온이 올라가면 붉은바다거북의 물질대사와 심장 박동수가 증가한다.
붉은바다거북은 암컷끼리 공격적인 성향을 자주 보이는데, 이는 다른 해양 척추동물에서는 매우 드문 현상이다. 수족관에서 사육되는 붉은바다거북에게서도 관찰되며, 먹이나 영역을 지키기 위해 공격성을 띠는 것으로 생각된다.
5. 3. 먹이
붉은바다거북은 잡식성 동물이다. 주로 땅바닥에 사는 복족류, 이매패류, 갑각류와 같은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넓은 바다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해파리, 떠다니는 연체동물, 오징어, 날치 등을 먹는다. 붉은바다거북은 크고 강력한 턱으로 먹이를 씹는다.5. 4. 번식
붉은바다거북은 다른 바다거북들과 마찬가지로 먹이가 있는 곳에서 번식을 준비한다. 암컷 붉은바다거북은 미국 남동부와 호주에서는 28~33세, 남아프리카에서는 17~30세에 처음으로 번식한다. 지중해, 오만, 일본, 브라질에서는 첫 번식 연령이 알려져 있지 않다. 둥지를 트는 붉은바다거북의 등딱지 길이는 개체마다 차이가 커서, 등딱지 길이는 성적 성숙의 신뢰할 수 있는 지표가 되지 못한다. 야생에서 추정되는 최대 수명은 47~67년이다.번식 양식은 난생이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5월부터 8월까지 해안의 초원이나 모래 해변 경계 주변에 지름 20센티미터, 깊이 60센티미터의 구멍을 파서, 한 번에 70~150개의 알을 1년에 1~5회에 걸쳐 낳는다. 산란 둥지는 앞발로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비교적 움푹한 곳(보디 피트)을 파고, 모래를 몇 번 긁어낸 후 뒷발로 산란용 깊은 구멍을 파기도 한다. 주로 격년으로 번식하지만, 매년 번식하는 개체도 있다. 알은 50~80일 후에 부화한다. 부화한 유체는 모래 표면 온도가 낮아진 것을 통해 밤이 된 것을 감지하고, 지표면에 나타나 바다로 들어간다. 붉은바다거북은 생후 13~47년 만에 성숙한다. 2012년 현재 실제 나이가 명확한 최장수 개체는 62세로, 1950년에 히와사 중학교에서 부화하여 히와사 바다거북 박물관 카렛타에서 사육되고 있다.
5. 5. 천적
붉은바다거북은 특히 어린 시절에 많은 천적을 가지고 있다. 알과 새끼는 유령게, 빈모류, 일부 딱정벌레, 살파리 유충, 일부 개미, 살파리, 뱀, 갈매기, 까마귀, 주머니쥐, 곰, 쥐, 아르마딜로, 족제비, 스컹크, 코요테와 같은 개과, 딩고, 호주 붉은 여우, 자칼 및 들개, 아메리카너구리, 길고양이, 멧돼지, 그리고 인간에게 잡아먹힌다. 둥지를 떠나 바다로 가는 동안, 부화한 새끼들은 파리목 유충, 게, 두꺼비, 도마뱀, 뱀, 군함조와 같은 바닷새, 그리고 기타 다양한 조류와 포유류에게 잡아먹힌다. 바다에서 어린 붉은바다거북은 게, 잉꼬고기, 곰치 등 다양한 물고기에게 잡아먹힌다. 성체는 몸집이 커서 공격받는 일이 드물지만, 큰 상어, 물개, 범고래에게 잡아먹힐 수 있다.6. 인간과의 관계
붉은바다거북은 호안 공사로 인한 산란지 파괴, 어업으로 인한 혼획, 해양 오염, 식용을 위한 사냥과 채집 등으로 인해 생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38] 200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200,000마리가 혼획된 것으로 추정된다.[48]
미국에서는 해안가에 사는 사람들이 버린 잔반으로 인해 아메리카너구리가 늘어나면서 붉은바다거북의 알과 어린 개체가 잡아먹히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48] 금속 울타리로 막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산란 둥지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재질에 따라 붉은바다거북의 위치 감각을 교란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48]
붉은바다거북은 1975년 워싱턴 조약 발효 당시에는 CITES 부속서 II에, 1977년에는 CITES 부속서 I에, 1981년에는 바다거북과 단위로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었다.[37]
인도양 북동부, 인도양 북서부, 남태평양 개체군은 등급이며, 대서양 북동부 개체군은 등급이다. 인도양 남동부, 인도양 남서부 개체군은 등급이고, 대서양 북서부, 대서양 남서부, 지중해 개체군 및 북태평양 개체군은 등급이다.
일본의 경우, 어업(특히 자망)에 의한 혼획, 인공 구조물로 인한 모래 유실 및 번식지 파괴 등이 붉은바다거북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야쿠시마에서는 메이지 시대부터 1970년대까지 합법적으로 채집이 이루어졌으며, 1970년대 미야자키현에서는 산란 둥지의 85%가 도굴되기도 했다.[48] 1990년 - 1997년에는 상륙 및 산란 개체 수가 급감했지만, 남큐슈에서는 이후 증가 추세에 있으며 1990년 무렵보다 상륙 및 산란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다. 도카이 지방이나 기이 반도, 시코쿠에서는 증가 비율이 작고, 가모다 해안이나 히와사 오하마 해안처럼 회복 경향이 보이지 않는 해안도 있다. 이전에는 세토 내해에서 채식을 하고 있었지만, 어업 활동 등으로 인해 분포하지 않게 되었다. 고베시스마구에서 다루미구·벳푸만 등의 번식지는 매립으로 인해 사라졌다.
한편, 일본에서는 시민들에 의한 보호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륙 및 산란 개체 수의 모니터링 조사도 이루어지고 있다. 도쿠시마현가이후군미나미정과 시즈오카현오마에자키시의 산란지 및 상륙 개체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44] 각 도도부현의 조례에 의해 2005년 구마모토현, 2007년 도쿠시마현, 2010년 아이치현의 지정 희귀 야생 동식물종으로 지정되어 있다.[44]
일본 내 최대 산란지로 꼽히는 야쿠시마에서는 1990년의 산란 개체 수는 약 1,500마리, 1997년 - 1999년의 산란 개체 수는 300 - 400마리로 추정된다.[41] 2012년 일본 상륙 개체 수는 25,947회이며, 일본에서 산란하는 암컷의 생존 개체 수는 약 10,000마리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는 붉은바다거북이 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6. 1. 위협
붉은바다거북은 한때 고기와 알을 얻기 위해 집중적으로 사냥되었지만, 현재는 법으로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멕시코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붉은바다거북의 알이 거래되고 있다. 붉은바다거북 알을 섭취하면 ''녹농균'', ''세라티아 마르세센스''와 같은 유해 박테리아와 생물 농축을 통해 축적되는 독성 금속으로 인해 심각한 질병에 걸릴 수 있다.바다에서는 주낙, 자망 등 어획 도구에 걸려 다치거나 질식하여 죽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해파리 등 먹이로 착각하여 삼키는 문제도 발생한다. 플라스틱 섭취는 장 폐색, 영양 흡수 감소, 영양실조, 질식, 궤양, 기아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 더불어 폴리염화 바이페닐 등 독성 화합물이 방출되어 체내에 축적될 수 있으며, 이는 알 껍질이 얇아지거나 조직 손상,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인공 조명은 암컷의 산란을 방해하고, 갓 부화한 새끼들이 바다를 찾는 데 혼란을 준다. 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성비 불균형도 심각한 문제이다.
호안 공사 등으로 산란지가 파괴되고, 어업으로 인한 혼획, 해양 오염, 알을 포함한 식용 및 밀렵 등으로 인해 생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38]


다음은 붉은바다거북에게 영향을 주는 위협 요인과 그 영향을 정리한 표이다.
위협 요인 | 영향 |
---|---|
어업 (주낙, 자망 등) | 혼획으로 인한 부상 및 질식사 |
해양 오염 (플라스틱 등) | 먹이로 오인하여 섭취, 소화 장애, 독성 물질 축적 |
인공 조명 | 산란 방해, 새끼 거북의 방향 감각 상실 |
서식지 파괴 (개발 등) | 산란 장소 감소, 서식지 질 저하 |
지구 온난화 | 성비 불균형, 산란 패턴 변화 |
포식자 증가 | 알과 새끼의 생존율 감소 |
식용 및 밀렵 | 개체수 감소 |
국립 해양 어업청(NMFS), 국립 해양 대기청(NOAA),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USFWS), 미국 내무부는 2011년 10월 24일부터 4개 개체군 구획(북서 대서양, 남 대서양, 동남 인도-태평양, 남서 인도양)을 위협종으로, 5개 개체군(지중해, 북 인도양, 북태평양, 북동 대서양, 남태평양)을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했다.[25]
일본에서는 어업(특히 자망)에 의한 혼획, 인공 구조물로 인한 모래 유실 및 번식지 파괴, 알 이식 및 어린 개체 방류 등이 붉은바다거북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6. 2. 보존 노력
붉은바다거북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멸종 위기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상업적인 국제 거래가 금지되어 있다.미국에서는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과 국립 해양 대기청(NOAA)이 붉은바다거북을 멸종 위기 종 보호법에 따라 위협받는 종으로 분류한다. 호주의 환경 보호 및 생물 다양성 보존법 1999와 퀸즐랜드의 자연 보존법 1992에 따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동성 야생 동물 종의 보존에 관한 협약은 아프리카 대서양 연안, 인도양, 동남아시아에서 붉은바다거북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시민들에 의한 보호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륙·산란 개체 수의 모니터링 조사도 이루어지고 있다. 도쿠시마현미나미정과 시즈오카현오마에자키시의 산란지 및 상륙 개체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44]
이 외에도, 그리스의 ARCHELON은 붉은바다거북 보존을 위해 활동하고 있으며, 해양 연구 재단은 오만에서 붉은바다거북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6. 3. 신앙의 대상
시즈오카현 오마에자키시는 「오마에자키의 바다거북 및 그 산란지」가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정도로 붉은바다거북과 관계가 깊은 지역이다. 어업 관계자들은 붉은바다거북을 풍어와 풍요의 상징으로 숭배하여, 죽은 붉은바다거북을 제사지내는 「거북 묘」가 시내 각지에 실제로 존재한다.[49] 시내의 빵집에서는 정월 장식으로 붉은바다거북을 본뜬 커다란 만주를 만들어 상서로운 물건으로 사용했는데, 이를 본 시민들이 판매를 요청하여 「거북 만주」로 판매하게 되었다.[50]
참조
[1]
간행물
Caretta caretta
2017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Loggerhead Turtle (Caretta caretta)
http://www.nmfs.noaa[...]
NOAA
2017-02-22
[4]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Sea Turtles: Loggerhead Sea Turtle – Sea Turtle Conservancy
https://conserveturt[...]
2019-05-29
[5]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Enfield, Middlesex : Guinness Superlatives
[6]
논문
Comparison of Electrolyte Composition and Crystallization Patterns in Bird and Reptile Tears
2020
[7]
논문
Misidentifications of Sea Turtles in the East Pacific: Caretta caretta and Lepidochelys olivacea
[8]
논문
The head and neck anatomy of sea turtles (Cryptodira: Chelonioidea) and skull shape in Testudines
2012
[9]
문서
Coral Sea
http://www.eoearth.o[...]
Encyclopedia of Earth
2011
[10]
잡지
Tartarughe dell'Adriatico
https://ambiente.reg[...]
Regione Emilia Romagna
2014
[11]
웹사이트
Caretta caretta/Kiparissia – Application of Management Plan for Caretta caretta in southern Kyparissia Bay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7-11-18
[12]
논문
Loggerhead turtle (Caretta caretta (L.)) in Co. Wexford
[13]
웹사이트
Rare turtle found in Donegal doing swimmingly in new aquarium home – Donegal Daily
https://www.donegald[...]
2019-03-13
[14]
논문
First Photographic Evidence of a Loggerhead Sea Turtle (Caretta caretta) in British Columbia
https://repository.l[...]
2018-03-01
[15]
웹사이트
ADW: Caretta caretta: INFORMATION
https://animaldivers[...]
Animaldiversity.org
2006-10-07
[16]
웹사이트
Loggerhead (Caretta caretta)
https://www.reptiles[...]
[17]
학위논문
Health assessment and hatching success of two Western Australian loggerhead turtle (Caretta caretta) populations
http://researchrepos[...]
Murdoch University
[18]
학위논문
Cascading effects of predator removal on the ecology of sea turtle nesting beaches
http://etd.fcla.edu/[...]
University of Idaho
[19]
웹사이트
Don't Tread On Me
http://conservationm[...]
Conserv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2008-09-27
[20]
뉴스
The Infinitesimal Life Aboard Sea Turtles
https://www.hakaimag[...]
2020-07-15
[21]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loggerhead turtle (Caretta caretta) movement patterns and Mediterranean currents
2007
[22]
논문
Sex ratio of hatchling loggerhead sea turtles: data and estimates from a 5-year study
[23]
뉴스
Coal-fired plant project threatens endangered sea turtles on Turkey's Mediterranean shores
http://bianet.org/en[...]
2020-06-15
[24]
논문
Environmental effects on growth, reproduction, and life-history traits of loggerhead turtles
http://fulir.irb.hr/[...]
[25]
뉴스
Endangered and Threatened Species; Determination of Nine Distinct Population Segments of Loggerhead Sea Turtles as Endangered or Threatened
https://www.federalr[...]
2011-09-22
[26]
뉴스
Fisheries Off West Coast States; the Highly Migratory Species Fishery; Closure
https://www.federalr[...]
2014-07-25
[27]
뉴스
Fisheries Off West Coast States; the Highly Migratory Species Fishery; Closure
https://www.federalr[...]
2015-06-03
[28]
뉴스
Fisheries Off West Coast States; the Highly Migratory Species Fishery; Closure
https://www.federalr[...]
2016-06-03
[29]
뉴스
Endangered and Threatened Species: Critical Habitat for the Northwest Atlantic Ocean Loggerhead Sea Turtle Distinct Population Segment (DPS) and Determination Regarding Critical Habitat for the North Pacific Ocean Loggerhead DPS
https://www.federalr[...]
2014-07-10
[30]
뉴스
Endangered and Threatened Wildlife and Plants; Designation of Critical Habitat for the Northwest Atlantic Ocean Distinct Population Segment of the Loggerhead Sea Turtle
https://www.federalr[...]
2014-07-10
[31]
뉴스
Western Pacific Pelagic Fisheries; Hawaii-Based Shallow-set Longline Fishery; Court Order
https://www.federalr[...]
2011-03-11
[32]
뉴스
International Fisheries Regulations; Fisheries in the Western Pacific; Pelagic Fisheries; Hawaii-based Shallow-set Longline Fishery
https://www.federalr[...]
2009-12-10
[33]
뉴스
Western Pacific Pelagic Fisheries; Closure of the Hawaii Shallow-Set Pelagic Longline Fishery Due To Reaching the Annual Limit on Sea Turtle Interactions
https://www.federalr[...]
2011-11-25
[34]
뉴스
Western Pacific Pelagic Fisheries; Revised Limits on Sea Turtle Interactions in the Hawaii Shallow-Set Longline Fishery
https://www.federalr[...]
2012-10-04
[35]
문서
[36]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020-02-26
[37]
간행물
Caretta caretta
https://www.speciesp[...]
UNEP
2020
[38]
논문
Caretta caretta
https://doi.org/10.2[...]
2017
[39]
서적
Turtles of the World: Annotated Checklist and Atlas of Taxonomy, Synonymy,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8th Ed.)
2017
[40]
서적
アカウミガメ
株式会社ぎょうせい
2014
[41]
서적
アカウミガメ
講談社
2000
[42]
서적
進化 - 分類と系統」「形態 - 機能と構造
東京大学出版会
2012
[43]
서적
アカウミガメ
水産庁
1994
[44]
서적
第5章 繁殖生態 交尾と産卵
講談社
2012
[45]
뉴스
生物多様性の宝庫 九十九里浜はいま
https://www.jawan.jp[...]
日本湿地ネットワーク
2015-08-30
[46]
웹사이트
千葉県におけるアカウミガメの産卵状況等について
https://www.bdcchiba[...]
2024-01-31
[47]
서적
生活史 - 成長と生活場所
東京大学出版会
2012
[48]
서적
保全 - 絶滅危惧種を守る
東京大学出版会
2012
[49]
간행물
広報おまえざき No.087
http://www.city.omae[...]
御前崎市広報
2011-07
[50]
웹사이트
亀まんじゅう物語
http://www.kamemanjy[...]
かめや本店
2019-04-03
[51]
뉴스
交雑ウミガメ産卵、国内初確認…タイマイの特徴
http://www.yomiuri.c[...]
2013-06-30
[52]
저널 인용
Caretta caretta
http://oldredlist.iu[...]
IUCN
2017-12-27
[53]
CBD-CHM KOREA CITES
Caretta caretta (Linnaeus, 1758) 붉은바다거북
[5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widecast.[...]
2008-08-05
[55]
웨이백
http://www.fws.gov/b[...]
200805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등딱지에 ‘지름 21cm 골절’ 붉은바다거북, 제주 해수욕장서 구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