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일보에 대한 비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일보에 대한 비판은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 군사독재 시절 정권과의 유착, 편향적 보도, 왜곡 및 오보, 신뢰성 및 공정성 논란, 북한 관련 보도, 반대 운동, 범죄 조장 기사 논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제기되어 왔다. 특히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과 관련된 비판은 사주 방응모의 친일 행각, 일본 제국 찬양 기사 게재 등을 근거로 하며, 이에 대한 해명과 반론이 존재한다. 또한, 군사독재 시절 정권 옹호, 편향적 보도, 왜곡 및 오보 등은 신뢰도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반대 운동과 비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

조선일보는 일제강점기, 특히 1930년대 후반부터 노골적인 친일 행위를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조선일보는 조일동화주의를 지지하는 대정실업친목회 회장 예종석의 명의로 1920년 1월 발행 허가를 받았다. 3·1 운동 직후인 1920년대에는 노골적인 친일 보도를 하지 않았지만, 1930년대부터 동아일보와 함께 대표적인 친일 신문이 되었다는 견해가 있다.[1] 방응모 사장의 친일 행각도 이러한 비판의 주요 근거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해 조선일보와 우호적인 학자들은 어쩔 수 없이 친일 기사가 게재되었으며, 초기에는 민족지로서의 면모도 있었다고 반론한다. 창간 초기에는 민족지도자들과 독립운동가들에 의해 창간되어 일제에 비판적이고 민족의 독립을 지지하는 성격을 띠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방응모 사장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친일적 색채를 보였고, 일본과 일본 천황을 찬양하는 사설, 일본 제국주의를 응원하고 침략 전쟁을 미화하는 광고를 싣기도 했다. 자매지인 조광을 통해 내선일체,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추축국의 군국주의를 옹호하는 등 친일적이고 반민족적인 행각을 지속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2. 1. 방응모 사장 시절의 친일 행적

방응모일제강점기 말기 조선일보 사장으로서 매국 행위를 한 기록이 있다.[1] 1935년 친일 잡지 《조광》을 창간하였고, 1940년대부터 조광에 집중적으로 친일 논설을 기고하고 시국 강연에 참여하여 전쟁 지원을 독려했다. 애국금차회(1937),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1938), 임전대책협외희(1941), 조선임전보국단(1941) 등 대표적인 친일 단체에 가담하기도 했다.

2010년 12월, 방응모 관계자들 및 조선일보측은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을 취소해달라며 법원에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받았다. 법원은 "1944년 조선항공업 창립발기인으로 활동한 부분에 대해 친일행위로 판단한 부분을 취소하지만 나머지 활동에 대해서는 친일 행위로 인정된다."라고 판결했다. 방응모는 1933년 조선일보 사장으로 취임해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 조선임전보국단 이사 등으로 활동하며 친일활동을 벌였으며, 1937년 경성방송국 시국강연에서 일본제국이 극동평화를 확립시킬 것이라는 내용의 강연을 하고, 1938년 조선총독부의 언론통제정책에 협조하기 위해 조직된 조선춘추회의 발기인 겸 간사로 활동하기도 했다.[2]

2. 2. 일본 제국 찬양

조선일보는 1930년대 후반부터 일왕 부처의 사진을 신년사에 싣고, 일제의 침략 전쟁을 미화하는 등 일본 제국을 찬양하는 기사를 게재했다.[1]

1940년 1월 1일 조간 1면 머릿기사 ‘천황폐하(天皇陛下)의 어위덕(御威德)’, 천황의 사진, 제호 위에 게재된 일장기

  • 1936년부터 1940년까지 매년 1월 1일 일본 제국 천황 부처의 사진과 친일 성향의 신년사를 1면 머릿기사로 게재하였다. 특히, 1940년 1월 1일에는 일본 천황이 군복을 입고 칼을 찬 사진을 싣고, 용 그림과 '황기 2600년'이라는 문구를 추가했다. 신년사에는 "우리는 대일본 제국의 신민으로서 천황폐하께 충성을 다하겠습니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3]
  • 1937년 12월 7일부터 12월 14일까지 중국을 침략한 일본군을 '아군'으로 칭하며 '아군의 승승장구'라는 제목의 기사를 4차례 1면 머릿기사로 실었다.[4]
  • 1938년 1월 1일 중일전쟁 기사의 참고 그림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였다.[5]
  • 1939년 4월 29일 사설에서 쇼와 천황의 생일(천장가절)을 축하하며 충성을 다짐했다.[6]
  • 사설을 통해 학도병 징집을 촉구하고, 일본 제국에 황국신민된 감격과 감사에 넘쳐서 식민 의무를 다할 것을 촉구했다.[4][7]
  • 1939년 이봉창의 일왕 폭탄 투척 사건을 비난하며 이봉창을 질 나쁜 테러범으로 묘사했다.[7]
  • 1940년 9월 24일자 자매지 조광 사설에서는 일장기, 나치 독일 하켄크로이츠,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국기를 게재하고 이들 간의 군국주의 삼국동맹을 "인류 역사상 획기적 대사건"이라고 극찬했다.[4]
  • 소년조선일보 '학습페-지(페이지) 국어연구'란에는 일본어 학습 자료가 지속적으로 실렸고,[8] 1937년 9월 5일 '지성!'란에는 제생원(현재의 고아원) 어린이들이 품팔아 모은 돈을 일본군 위문금으로 보낸 것을 칭찬하는 기사를 실었다.[9]

2. 3. 자매지 '조광'의 친일 행적

萬海 韓龍雲|만해 한용운중국어은 '붓이 꺾여 모든 일이 끝났다'는 시로 한탄했으며, 광복 이후 복간되자 白凡 金九|백범 김구중국어는 '뜻이 있는 자는 끝내 이룬다'고 친필 휘호를 보냈다는 내용의 기사가 2004년 6월 3일 조선일보에 실렸다.[14]

2. 4. 해명 및 반론

조선일보는 일제의 탄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친일 기사를 게재했으며, 민족지로서의 면모도 있었다고 주장한다.[1] 조선일보 측은 일제가 언론 탄압을 강화하고 제작에 깊이 관여했기 때문에 친일 기사를 쓸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한다.[10] 만약 조선일보가 친일 신문이었다면 당시 조선인들에게 외면받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1] 조선일보는 조선총독부가 언론사에 '편집에 관한 희망 및 주의사항'이라는 문서를 보내 활자 오식까지 문제 삼았다고 주장했다.

방우영은 1988년 12월 13일 "우리가 친일을 했다면 어떻게 기사가 압수되고 정간과 폐간까지 당했겠느냐"라고 발언했다.[12] 2004년 8월 9일 자 조선일보 기사에서는 "가혹한 법령 아래선 민족적 정신이나 감정을 은은하게나마 자구 간에 나타나게 하는 것밖에 달리 방법이 없었고 1939년 총독부가‘검열지침에 관한 주의사항’ 문건에서 조선일보에는 내선일체 및 융화에 관한 기사가 극히 적다고 지적할 정도로 그 협력은 최소한의 방어였다."라고 주장했다.[13]

이연 교수는 조선일보 기고문에서 1920년 창간부터 1940년 8월 폐간까지 현존하는 6,626호 중 항일 기사가 총 14,489건에 달한다고 주장한다. 하루 평균 2~3개의 항일 기사를 보도한 셈이며 이는 전체의 90%에 이른다. 이연 교수는 당시 조선일보가 민족 투쟁에 대한 기사를 많이 실었으며 일본의 식민지 통치에 대해서도 비난적이거나 중립적인 기사가 90% 이상이라고 하였다. 또한 조선일보의 압수 기사가 88,063회, 삭제 471회, 4회에 걸친 무기 정간 240일에 달한다며 실증적 근거 없이 일방적으로 매도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6]

하지만 이연 교수의 주장에 대한 반론도 있다. 김동민 교수는 중립적인 기사까지 반일 기사로 분류하는 것은 학자적 양심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조선일보가 친일적이거나 단순 사실 보도일 때도 압수 처분을 받은 적이 있으며, 조선일보가 '소요', '폭동' 등의 단어를 사용한 것을 중립적으로 분류한 것에 대해 항일 독립군을 비적이라고 써도 항일 기사가 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17]

압수된 기사의 수는 많지만, 이를 근거로 조선일보가 친일 신문이 아니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도 있다. 1924년부터 1925년 사이 90건의 기사가 총독부에 압수되었는데, 이는 박헌영 등 사회주의 성향 기자들의 기사 때문인 경우가 많았고, 이들이 조선일보에서 활동한 기간은 1년이 채 되지 않는다.

1924년 11월 21일 자 조선일보 기사(압수됨)는 "언제나 투쟁이란 다수자가 승리를 얻는 것이다. 사회의 절대 다수를 점한 무산계급의 단결된 조직만 완성하면 최후 승리는 다반사일 것이다."라고 보도했다. "(조선은 현상 타개를 필요로 하는데) 요체는 정치적인 제국주의와 경제적인 자본주의를 합리적인 제도로 바꾸는 데 있는데 이에는 반드시 적로(러시아)의 세세혁신운동과 그 보조는 일치하는 것이다." (1925년 9월 8일 자 조선일보 기사(압수됨))라는 기사 때문에 조선일보는 정간을 당하게 된다.

결국 1925년 9월 박헌영 등 사회주의 성향 기자 17명은 강제 해고되었으며, 이를 두고 경영진이 총독부의 압력에 굴복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송병준이 경영하던 3년 6개월 동안 82건의 기사가 압수된 것에 비해, 방응모가 경영하던 8년 동안은 압수 건수가 그보다 적었다. 이를 두고 일제강점기 후반에 친일 신문이 되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견해가 있다.[4]

2. 5. 해명에 대한 비판

조선일보는 자신들의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에 대해, 일제의 탄압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친일 기사를 게재했다고 해명했다.[10] 또한, 만약 조선일보가 친일 언론이었다면 당시 조선인들에게 외면받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1]

1988년 12월 13일 방우영은 "우리가 친일을 했다면 어떻게 기사가 압수되고 정간과 폐간까지 당했겠느냐"[12]라고 발언했다. 2004년 8월 9일자 조선일보 기사에서는 "가혹한 법령 아래선 민족적 정신이나 감정을 은은하게나마 자구 간에 나타나게 하는 것밖에 달리 방법이 없었고 1939년 총독부가 ‘검열지침에 관한 주의사항’ 문건에서 조선일보에는 내선일체 및 융화에 관한 기사가 극히 적다고 지적할 정도로 그 협력은 최소한의 방어였다."[13]라고 주장했다.

이연 교수는 조선일보 기고문에서 1920년 창간부터 1940년 8월 폐간까지 현존 보관 분 6,626호 중 항일 기사가 총 14,489건에 달한다고 주장하며, 이는 하루 평균 2~3개의 항일 기사를 보도한 것이며 전체의 90%에 이른다고 했다. 또한 압수 기사가 88,063회, 삭제 471회, 4회에 걸친 무기정간 240일에 달한다고 주장했다.[16]

그러나 이러한 해명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김동민 교수(한일장신대·언론학)는 이연 교수의 항일 기사 비율 분석에 대해 "중립적 기사까지 반일적 기사라고 분류하는 통계로 친일지가 아니었다는 주장은 학자적 양심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17] 또한, 압수된 기사의 수가 많다는 것이 반드시 친일 신문이 아니었다는 증거는 아니라는 지적이 있다. 1924년부터 1925년 사이 90건의 기사가 총독부에 압수되었는데, 이는 박헌영 등 사회주의 성향의 기자들이 쓴 기사 때문인 경우가 많았고, 이들이 조선일보에서 활약한 기간은 1년이 채 되지 않는다.

1925년 9월, 박헌영 등 사회주의 성향 기자 17명은 강제 해고되었는데, 이를 두고 경영진이 총독부의 압력에 굴복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송병준이 경영하던 3년 6개월 동안 82건의 기사가 압수된 것에 비해, 방응모가 경영하던 8년 동안은 압수 건수가 그보다 적었다. 이를 두고 일제강점기 후반에 친일신문이 되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견해가 있다.[4]

2. 6. 신년사, 압수 기사 수, 폐간 논쟁

일본 천황의 사진(또는 일본 천황 부처의 사진)을 신년 초에 게재하는 것은 1937년부터 1940년까지 해마다 있었다.[19] 언론학자 정진석 교수가 편찬한 '일제시대 민족지 압수기사 모음'에 따르면 1937년 이후 압수기사는 1937년 1건, 1938년 7건, 1939년 5건이며, 어떤 기사였는지는 알 수 없다.[19] 1940년 8월 조선일보는 폐간되었다. 이를 두고 '강제적 폐간'과 '순응적 폐간' 주장이 대립한다.

3. 군사독재 시절 정권과의 유착

조선일보는 박정희, 전두환 정권 시절 독재 정권을 옹호하고 민주화 운동을 폄훼하는 보도를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조선일보는 노무현 당시 민주당 대변인에 대한 허위 기사를 보도했고, 이에 노무현은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했다. 이후 조선일보는 노무현에게 화해를 제의하여 소송이 취하되었으나, 2002년 4월 10일 주간조선에서 이와 관련된 내용을 왜곡하여 보도했다가 정정보도를 내기도 했다.[113][114][115]

2010년 2월에는 이명박 대통령의 세종시 관련 발언을 박근혜 겨냥 발언으로 왜곡 보도하여 정치권의 비판을 받았다.[131]

3. 1. 박정희 정권 시절

1991년 9월 17일, 조선일보는 "고졸 변호사-상당한 재산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당시 민주당 대변인이던 노무현에 관해 "한때 부산요트클럽 회장으로 개인요트를 소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13] 노무현은 "요트를 취미로 탄 적은 있지만 20만~30만짜리 소형 스포츠용이었고 부산요트협회장은 맡은 적이 없다"는 해명자료를 냈으나 조선일보는 이를 실어주지 않았다.[113] 오히려 1991년 10월 6일 주간조선에 "밀착취재 : 통합 야당 대변인 노무현 의원, 과연 상당한 재산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113]

이에 노무현은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고 1992년 12월 1심에서 승소하여 위자료 2000만 판결을 받았다.[113][114] 이후 조선일보 측은 노무현에게 화해를 제의했고, 노무현은 제의를 받아들여 소송을 취하했다.[113][114] 2002년 4월 10일 발간된 주간조선의 기사에서 당시 주간조선 기자의 발언을 인용하여 "(주간조선 측이) 1심에서 패한 후 항소를 했다. 그러나 노 후보 측에서 화해하자는 연락이 와 화해를 하게 됐다"라고 보도했으나,[115] 이는 사실과 달랐다. 당시 화해는 조선일보사가 노 후보 측에 제의해 이뤄진 것이었고, 같은 날 조선일보에 정정보도를 냈다.[115]

3. 2. 전두환 정권 시절

2010년 2월 이명박이 세종시와 관련해서 "일 잘하는 사람을 밀고 싶다"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서 조선일보는 박근혜를 겨냥한 발언이라며 1면 머릿기사로 보도했다. 이에 대해 친박계 송광호 의원은 "어제 정우택 충북지사의 업무보고가 있은 뒤 이 대통령이 '나는 일을 잘 해 앞서 가는 사람을 도와주고 싶다. 자치단체장이 지나치게 정치적으로 나서는 것 같다'고 말한 것인데, 언론에서 앞뒤를 자르고 당내 갈등으로 소개하고 있다"며 조선일보를 비난하였고, 안상수도 "그 보도로 인해 당내 큰 혼란이 일어났다"며 "언론은 이 대통령의 발언을 잘못 이해하고 왜곡보도하는 일이 없도록 극히 신중해야 할 것"이라며 조선일보의 보도를 지적하였다.[131]

3. 3. 반론

조선일보 측은 독재에 항거하고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33]

  • 1960년 4·19 혁명 당시, 4월 19일 석간 1면에 "전(全) 대학생이 총궐기"란 제목의 기사를 싣고, 2면 사설에 "학생들의 평화적 시위를 방해하지 말라"는 내용을 실어, 4·19 혁명을 국민적 차원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다.[4]
  •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제목과 사설에서 군부의 공식 용어인 '혁명' 대신 '쿠데타'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독자들이 군부의 불법행동이라는 숨은 뜻을 읽게 하려고 노력했다.[33]
  •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5월 21일 기사에서 광주의 비극을 전하기 위해 노력했다.[33]
  • 유신을 지지하는 기사가 실린 것에 대해, 계엄령하에서 유신을 지지하는 기사만이 지면에 살아남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4]
  • 1987년 6월 항쟁 당시, 6월 10일에는 노태우 민정당 대통령 후보 선출과 함께 왼쪽 상단에 같은 날 태평로 성공회 대성당에서 열린 '호헌철폐 국민대회'와 도심 곳곳의 시위를 나란히 실었고, 6월 12일 1면에는 명동성당에서의 시위 사진을 6단으로 게재했으며, 이날 시작된 최석채·김준엽의 대담 기사에서 '개헌 논의 재개하라'는 제목을 달았다. 6월 20일 3면에는 '비상조치-유혈사태 막아야 한다'는 제목으로 각계 원로들의 긴급 제언을 실었다.[4]

4. 편향적 보도

조선일보는 자본 편향적이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34]

4. 1. 혼맥 카르텔

조선일보 일가가 태평양그룹, 영풍그룹과 혼맥을 맺고 있어 기사의 공공성이 흔들릴 수 있으며, 족벌신문들이 지나친 자본 편향적인 보도 성향을 보이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34]

4. 2. 기여입학제 옹호

2008년 5월 7일 "대학 등록금 부담 더는 다양한 방법 마련을"이란 제목의 사설에서 등록금 문제의 해결책으로 기여입학제를 제시하였다. 이는 친재벌 성향이라는 비난이 있다.[35]

4. 3. 재벌 갑질 논란에 대한 소극적 보도

2014년에 발생한 대한항공(한진)가 갑질 사건에 대해서도 최소한으로 보도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TV조선은 한진가 갑질 사건에 대해 관련 리포트를 4꼭지만 보도했다. 이는 같은 기간 JTBC가 21꼭지로 보도한 것에 비하면 5배나 적은 수치이다.

이러한 TV조선의 소극적 보도에 대해 일각에서는 한진그룹(대한항공)이 TV조선의 지분을 약 10% 정도 가진 주요 주주이기 때문에 소극적 보도를 하고 있다며 비판하였다.

5. 전쟁 및 폭력 옹호

손석춘조선일보1937년 7월 19일자부터 일본군을 '아군' 또는 '황군'으로 부르고, 같은 해 8월 12일자 사설에서 일본 제국주의 전쟁을 위한 "국방헌금" 및 "군대위문금" 납부를 촉구했다고 비판했다.[1] 박노자2004년 2월 8일 조선일보 사설을 언급하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인들에게 일장기를 휘날리며 죽으라고 강요했던 언론이 이제 와서 이라크 땅에 일장기 옆에 태극기를 꽂아야 한다고 주장한다고 비판했다.[36] 조선일보는 광주민주화운동, 6월 항쟁, 한미 쇠고기 협상 내용에 대한 반대 시위 등 시위의 폭력성을 부각했다는 비판을 받는다.[56]

5. 1. 일본 제국주의 전쟁 옹호

조선일보는 1937년 12월 7일부터 12월 14일까지 중국을 침략한 일본군에 대한 기사를 '아군의 승승장구'라는 제목으로 4차례 1면 머릿기사로 실었다. 그 이전에도 일본군을 '아군', '황군'으로 불렀다.[4] 언론학자 손석춘은 조선일보가 1937년 7월 19일자부터 일본군을 '아군' 또는 '황군'으로 부른 사실을 지적하며, 같은 해 8월 12일 자 사설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 전쟁을 위한 "국방헌금" 및 "군대위문금" 납부를 촉구하였다고 비판했다.[1]

5. 2. 이라크 전쟁 파병 찬성

박노자2004년 2월 8일 조선일보 사설에서, 조선일보가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인들에게 일장기를 휘날리며 죽으라고 강요했던 언론이 이제와서 이라크 땅에 일장기 옆에 태극기를 꽂아야 한다고 주장한다고 비판했다.[36]

당시 조선일보 사설은 다음과 같다.

파병안에 대해서도 이제는 국회가 단안을 내릴 때가 됐다. 자위대 선발대 파병을 막 시작한 일본에선 최근 여론조사에서 파병 찬성이 반대를 앞섰고, 일장기가 이라크 사막 캠프에 휘날리는 모습에 자긍심을 느끼고 있다고 외신은 일본 분위기를 전하고 있다. 미국의 도널드 럼스펠드 국방장관은 7일 독일 뮌헨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한국군의 이라크 파병을 50여 년 전 미국군의 한국 파병에 비유하기도 했다. 우리의 추가 파병은 민주 헌법 제정을 시작한 이라크의 새 출발을 돕는 것이다. 이라크에서는 이미 20여 개국 군대가 활동 중이다. 국제 사회에 대한 파병 약속을 지키지 못할 때 나라의 신인도와 이익은 계량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될 것이다.[36]

5. 3. 시위의 폭력성 부각

조선일보는 광주민주화운동, 6월 항쟁, 한미 쇠고기 협상 내용에 대한 반대 시위 등 각종 시위에 대해 폭력성만을 강조하였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56]

2008년 6월 24일, 조선일보는 "촛불 900명, 보수 20명에 '죽이겠다' 협박"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57] 그러나 이는 시위대가 보수단체에게 욕설 및 협박을 하게 된 원인, 즉 보수단체가 1인 시위를 하던 여성을 집단 폭행한 사건을 누락한 왜곡보도라는 비판이 있다.[58] 또한, 조선일보는 보수단체의 폭행을 방관하는 경찰에 대해 항의하는 시위대의 사진을 1면에 실으면서도, 정황 설명 없이 "경찰 둘러싼 시위대"라는 캡션만을 달아 시위대가 이유 없이 경찰을 억류한 것처럼 묘사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59]

2010년 5월 10일부터 조선일보는 '광우병 촛불 그 후 2년'이라는 제목의 특집기사를 3일간 연속 보도하였다. 이 기사에는 당시 시위 참가자들과의 인터뷰가 실렸으나, 인터뷰 당사자들은 인터뷰 내용이 자신들의 의도와는 반대로 왜곡되었다고 주장했다.[60][61][62]

6. 왜곡 및 오보

조선일보는 사실 관계를 왜곡하거나 오보를 내는 경우가 많다는 비판을 받는다.

2008년 8월, 법원은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안진걸 조직팀장의 보석을 허가했고, 그는 보석으로 풀려났다.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판사 한 명을 집중적으로 비난했다.[37][38] 임지봉 서강대 법대 교수는 판사의 독립적인 판단을 위축시켜 재판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는 사법권 독립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39]

2008년 프레시안, 오마이뉴스 등은 조선일보가 리만 브라더스의 파산 신청 2주 전에 리만 브라더스 인수를 촉구하는 칼럼을 쓴 것을 비판하였다.[43]


  • 2008년 8월 7일 칼럼에서 송희영 조선일보 논설실장은 "희생은 피할 수 없을 것이고, 수업료를 치르는 셈 쳐야 한다"라고 했다.[44]
  • 2008년 8월 27일 칼럼에서 조선일보 김기훈 차장 대우는 "인수 후 경영 정상화에 성공하면 전리품은 엄청나다"라며 '인수해야 한다'는 쪽에 무게를 두었다.
  • 2008년 9월 4일 사설 "산은의 리먼브라더스 인수는 철저한 손익 계산 위에서"에서 리먼 인수의 찬반론을 제시하면서 "끝까지 책임을 지겠다는 자신이 섰다면 해볼 만한 투자"라고 적극적으로 인수를 권했다.[4]


조선일보는 2009년 1월 9일 자 신문 1면과 5면에서 언론 중 가장 먼저 미네르바의 실명을 보도했다. 이는 무죄추정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전문대 학력을 강조하는 학벌주의적 태도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109]

6. 1. 히딩크 감독 비난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을 4강에 진출시킨 히딩크 감독에 대하여, FIFA 월드컵 이전에는 그를 비난하는 기사를 실었다. 이에 대해 '히딩크 때리기'를 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40][41]

6. 2. 경제 위기 부정

1997년 11월 21일 대한민국 정부는 외환위기로 인해 IMF 구제금융을 요청했다. 그 이전까지 조선일보는 경제 위기가 아니라는 기사를 지속적으로 보도했다. 이에 대해 경제정치 논리로 본 것이라는 비판이 있다.[42]

날짜기사 제목 및 내용
1997년 3월 8일"한국경제 위기 아니다" - 캉드쉬 IMF총재 인터뷰
1997년 9월 4일"증시, 위기 아니다" - 최운열 서강대 교수
1997년 9월 11일"한국 외환위기 아니다" - 주한 외국금융기관장 30명 설문 (경제, 단기 불안…중장기 전망은 밝아)
1997년 9월 18일"한국경제 위기 아니다" - 캉드쉬 IMF총재 인터뷰
1997년 11월 3일"증시 불안 일시적, 경제 비관할 것 없다”- 남덕우 전 국무총리 시론
1997년 11월 10일"외국의 한국경제 때리기" 사설: "일부 언론들의 부정확한 보도나 과장 또는 왜곡된 경제분석이 현재의 어려운 경제국면을 타개하는 데 적지 않은 장애가 될 수 있다는 현실 또한 가벼이 봐서는 안될 것이다. … 근거도 없이 외환보유고가 바닥났다거나 불확실한 외채통계를 함부로 인용하거나 한국의 은행들이 금방이라도 연쇄파산할 것처럼 대서특필하는 것은 언론자유의 차원을 넘는 것이다."


6. 3. 최장집 교수 관련 왜곡 보도

1998년 10월, 월간조선 11월호에 최장집 교수의 연구에 대한 기사가 실리면서 '최장집 사상논쟁'이 시작되었다. 월간조선은 해당 호 표지 헤드라인에 "최장집의 충격적 한국전쟁관 「6·25는 김일성의 역사적 결단」"이라는 문구를 실었다.[45] 이후 조선일보에도 관련 기사가 많이 실렸다.

조선일보는 최장집 교수의 논문을 '김일성 주장을 복사한 궤변'으로 규정하거나, '최 교수식 사관이 민족적 위기'라는 주장을 담은 기사를 보도했다. 또한, '공인은 검증되어야 한다'며 최 교수에 대한 검증을 요구하는 기사를 싣기도 했다. '독일에선 더 가혹하다', '좌익이었던 내가 봐도 문제다'라는 주장을 담은 해외 기고를 싣기도 했다.

딴지일보, 미디어오늘, 한겨레21 등 다른 언론에서는 조선일보월간조선의 보도에 대한 최장집 교수의 반박문을 싣거나, 조선일보의 최장집 교수 관련 보도에 대한 모니터 보고서를 발표하며 조선일보의 보도 행태를 비판했다.

6. 4. 전교조, 공무원 노조, 파업 등에 대한 부정적 보도

1989년 전교조 결성 당시, 교원 노조는 불법이었다. 조선일보는 사설과 칼럼을 통해 전교조에 대한 학부모들의 우려를 전달하고, 학교가 싸움판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46][47] 이러한 보도는 교원 노조 설립의 정당성에 대한 논의보다는 사상 논쟁으로 몰아가고, 형식적 법치주의만을 강조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사상의 자유결사의 자유를 침해하는 법률 자체의 문제점을 간과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2008년에는 조선일보교육청이 전교조에 지원금을 지급한 사실을 보도하면서, 다른 교원 노조에 비해 조합원 1인당 지원액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단체만 지원금을 받는 것처럼 부각했다는 비판을 받았다.[48] 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이러한 보도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2009년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민주공무원노동조합, 법원공무원노조가 통합하여 민주노총 가입을 결정하자, 조선일보는 이를 경계하는 사설을 연이어 게재했다.[49][50] 조선일보는 공무원 노조가 정부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공무원 노조의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절독 운동을 비판했다. 이러한 사설은 다른 언론으로부터 투정과 악담이라는 평가를 받았다.[51]

2008년 기륭전자 파업 보도에서는 노조의 파업으로 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을 보도했으나, 이후 정정 및 반론 보도를 통해 사실과 다름을 인정했다.[52][53][54][55] 이는 조선일보의 반노조적 편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6. 5. 독립기념관 비난

2003년 8월 10일 독립기념관 측은 조선일보의 친일행적이 확인됨에 따라 1987년 개관 이래로 계속 전시되어 오던 조선일보 윤전기 전시를 중단하고, 그 자리에 하와이에서 한국인들의 신문을 발간하는 데 쓰인 윤전기로 대체 전시하였다. 전시 중단 5일 뒤, 조선일보는 〈국민 발길 돌리는 독립기념관〉이라는 기사를 통해 독립기념관 측을 비난하였다.[63]

2007년 8월 14일에는 〈그때 그 전시물- 교통불편... 독립기념관 '손님 뚝'〉이라는 기사에서 전시물 교체의 부진, 관람객 수 감소, 국고보조금 증액, 교통편 미비 등을 근거로 독립기념관을 비난하였다.[63]

이에 2007년 8월 18일 독립기념관 측은 전시물 교체가 진행 중인 점, 관람객 수치 추산이 잘못되었다는 점, 국고보조금 증액은 사업 진행에 따른 일시적인 증액이라는 점, 천안 시내에서 독립기념관으로 가는 교통편은 개관 당시부터 있었다는 점을 들며 조선일보 측의 주장을 반박하였다.[63][64]

이러한 보도 행태가 조선일보 윤전기 전시 중단에서 비롯되었다는 견해가 있다.[63][64]

6. 6. 천안함 관련 오보

조선일보는 천안함 사건과 관련하여 오보를 내거나 무리한 추측 보도를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2010년 5월 21일 '<중, 과감한 조치로 ‘북한의 인질’에서 벗어나라>' 기사에서 인용된 글은 한 게시판에 올라온 네티즌의 글로 드러났다. 북한이 인간어뢰를 사용하고 있다는 추측 보도를 하였는데, LA타임스는 "제임스 본드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라며 조롱했다.[66][67] 5월 25일에는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통신 내역을 보도했지만 이 역시 오보로 드러났다.[68][69]

2012년 1월 17일자 1면에서 김정남이 일본 도쿄신문의 고미 요지 편집위원과 지난 7년 동안 주고받은 전자우편 대화록을 월간조선이 입수했다며 김정남의 발언을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김정남이) 천안함 침몰 사건에 대해서는 “북한 입장에서는 서해 5도 지역이 교전지역이라는 이미지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핵, 선군정치 모두 정당성이 부여되는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고미 요지 편집위원은 김정남으로부터 받은 이메일에 천안함에 관한 발언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고, 결국 조선일보는 오보였음을 인정했다.[90][100][101]

6. 7. 기타 오보 및 왜곡 보도 사례


  • 2007년 5월 10일, 전 청와대 비서관 강태영의 딸이 서울체고에 부정 편입한 혐의가 있다는 오보를 냈다.[70]
  • 2003년 3월 5일 자 기사에서 반대운동에 대해 보도하며, 실제로는 책을 불태운 것이 아니라 단돈 10원에 책을 고물상에 팔았음에도[75] 이문열의 책에 대해 화형식을 열었다고 잘못 서술하였다.[74]
  • 2011년 1월 17일, 참여정부 당시 6세 미만 영유아에 대해 입원비를 지원했더니 과잉 입원 현상이 나타나 2년 만에 폐기되었다고 보도했으나, 건강보험 하나로 시민회의는 조선일보가 잘못된 논거를 제시하며 왜곡 보도를 했다고 주장했다.[76]
  • 미군 장갑차에 의한 여중생 압사 사건 당시 단순보도조차 제대로 하지 않았으며, 이후 '원만한 처리'와 '한미동맹'만을 맹목적으로 강조하였다.[77]
  • 2005년 12월 8일, "황교수 물고 늘어지고 PD수첩 편들고···민주노동당 도대체 왜"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민주노동당 장애인위원회가 황우석 교수의 연구와 관련하여 정책위원회에 반발했다고 보도했으나, 이는 모두 사실이 아니었으며 오보를 인정했다.[79][80]
  • 2009년 12월 17일, 연기자 양미경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오보를 냈으나, 동명이인인 가수 양수경의 동생이 지병으로 사망한 것이 와전되어 생긴 오보로 확인되었다.[81][82]
  • 2011년 8월, "EBS 인기 강사의 황당한 근현대사 강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대부분의 강의가 반한(反韓) 친북(親北)적 입장으로 일관돼 있다"고 공정언론시민연대를 인용해 보도했다.[83]
  • 2012년 4월 3일, 디지털조선일보의 보도에 대해 서울중앙지법은 버지니아 대학교 이승헌 교수에게 상당액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조선닷컴(디지털조선일보)에 정정보도문을 게재하라고 판결했다.[85]
  • 2011년 12월 17일, 서기호 판사가 조선일보로부터 비난받은 한 국사교사에게 응원 메시지를 보낸 사실을 보도하면서, 서기호 판사가 박삼봉 서울북부지방법원장으로부터 구두경고를 받았다고 보도했으나,[86] 서기호 판사는 경고받은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87][88]
  • 2012년 1월 11일, 학교폭력이 사회적으로 커다란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시기에 <“나는 일진이었다. 런던 金으로 속죄하겠다”>라는 인터뷰 기사에서 신종훈 선수가 중학교 시절 이른바 ‘일진’이었다고 보도했으나, 신종훈 선수 측은 조선일보가 대부분 거짓말로 기사를 꾸몄다고 주장했다.[89][90]
  • 2009년 3월 11일, "물관리 비상 상황… 국가적 결단 필요"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으나, 이상돈 중앙대 법대 교수는 이 기사를 고의성 허위기사라며 비난했다.[92]
  • 2010년 5월 20일, "'스마트폰 도청 위험' 청와대 지급 보류"라는 제목의 기사를 단독 보도했으나, 실제 시연에 사용된 스마트폰은 아이폰이 아니었으며, 아이폰은 그러한 도청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95][96][97][98]
  • 2012년 1월 17일, 김정남이 일본 <도쿄신문>과 주고받은 전자우편 대화록을 <월간조선>이 입수했다며 이를 토대로 김정남의 발언을 보도했으나, 김정남과 전자우편을 주고받은 당사자는 자신이 김정남으로부터 받은 이메일의 어디에도 천안함에 관한 발언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90][100][101]
  • 2012년 9월, 나주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성폭행 사건의 피의자 사진을 공개하였으나, 일반인의 사진으로 드러났다.[102]
  • 2012년 10월 12일, 박근혜 캠프에 합류한 김준용 전 전국노동자협의회 사무차장이 고 전태일 열사의 동료”라고 보도했으나, 전태일 재단은 김준용은 전태일 열사의 동료가 아니라는 반박 보도자료를 냈다.[103][104]
  • 김정은의 연인으로 알려졌던 현송월이 "총살당했다"고 보도했다가 평창올림픽을 전후하여 남한을 방문하여 건재한 것이 확인되어 논란이 있었다.[105]
  • 미국 국방부는 2019년 11월 21일, "한미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 협상에서 한국이 미국의 방위비 분담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주한미군 1개 여단을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조선일보 단독 기사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며 기사 취소를 요구했다.[106]
  • 1998년 8월 31일, 국제면에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여사가 자신의 남편인 빌 클린턴 대통령을 폭행했다는 기사를 미국의 주간지 위클리 월드 뉴스 기사에서 인용하여 보도했다. 위클리 월드 뉴스는 신뢰성이 없으며 그저 재미로 보는 우스개 주간지인데, 그런 언급 없이 인용한 것은 독자들을 우롱하는 일이라는 지적이 있었다.[108]

7. 신뢰성 및 공정성 논란

조선일보는 2002년과 2003년 ABC협회 조사에서 발행부수를 5만 6000여 부 부풀려 수치를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142] PD저널에 따르면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지국 중 98%가 신문고시를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7. 1. 신뢰도 조사 결과

2009년 '시사IN' 조사에서 '가장 불신하는 매체'로 조선일보가 34.2%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현직기자가 가장 신뢰하는 언론' 순위에서는 조선일보(2.4%)가 한겨레(15.4%), MBC(14.3%), KBS(11.2%), 경향신문(8.7%), 한국일보(4%)보다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142]

2018년 '시사IN' 조사에서는 '가장 불신하는 매체'로 조선일보가 25%, TV조선이 12.8%로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이는 조선일보 계열 매체가 전체 불신 비율의 약 40%를 차지하는 셈이다. 2017년 같은 조사에서도 조선일보는 불신하는 매체 2위(20.7%), TV조선은 4위(7%)로 신뢰도가 낮았는데, 2018년에는 불신도가 더 높아졌다.[142]

2019년 '시사IN' 조사에서 조선일보는 24%로 2년 연속 '가장 불신하는 매체' 1위를 기록했다. TV조선은 7%로 KBS(10.9%)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는 연예인 장자연씨 사망 사건과 조선일보의 연관성, 코리아나호텔 사장 방용훈씨의 아내 이미란씨 자살 사건 등이 재조명되고, 조선일보 손녀의 갑질 논란 등 악재가 이어진 결과로 보인다. 한편, 조선일보는 국내 최대 언론사임에도 '가장 신뢰하는 프로그램'이나 '가장 신뢰하는 언론인'을 배출하지 못했다.[143]

2018년 옥스퍼드대학교 부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Digital News Report 2018' 매체 신뢰도 조사에서 JTBC가 1위를 차지했고, TV조선은 최하위를 기록했다. 조선일보는 14개 언론사 중 14위를 기록하여, 조선일보 계열이 한국에서 매우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144]

2019년 같은 연구소의 'Digital News Report 2019' 조사(한국언론진흥재단 공동연구)에서는 14개 언론사 중 TV조선이 13위, 조선일보가 14위를 차지하여, 조선일보 계열이 2년 연속 최하위 신뢰도를 기록했다.[145]

7. 2. 지역 차별 발언 논란

TV조선의 예능 프로그램 '아내의 맛'에서 전라도를 비하하는 '전라디언'이라는 자막을 사용해 크게 논란이 되었다. '전라디언'이라는 표현은 극우 성향 사이트인 '일간베스트 저장소'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명백히 지역을 비하하는 의도가 담긴 용어이다.[146] '일간베스트 저장소'는 극우 성향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 비하 발언, 특정 계층에 대한 혐오 발언, 고인에 대한 명예훼손, 여성 연예인들을 대상으로 한 성희롱 등을 일삼는 사이트이므로, 이러한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했다는 점이 비판 여론을 거세게 만들었다.[146] 현재 방송심의 규정상 특정 지역을 비하하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규정 위반이며,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은 3개 조항을 통해 지역 비하 금지를 규정하고 있다.[146]

이에 TV조선 측은 해당 용어가 '일간베스트 저장소'에서 사용되는 용어인지 인지하지 못했으며, 신중하게 방송을 살피겠다고 공식 사과하였다.[146]

7. 3. 공정거래 관련 논란

2001년 4월 17일 조선일보는 1면 기사에서 "신문고시 헌소"라는 제목의 기사를 싣고, 5면에서 "헌변, 신문고시 헌소방침"라는 해설기사를 실었다. 같은 해 4월 18일에는 "신문규제 헌소로 가리자"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헌법재판소의 판단에 맡겨지기 전에 잘못된 신문고시를 철회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주장했다.[147][148] 그러나 2002년 헌법재판소는 신문고시 위헌소송에 대해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합헌 판결을 내리면서, "신문구독자에게 1년간 제공할 수 있는 무가지 및 경품 범위를 유료 신문대금의 20% 이하로 제한한 신문고시 조항은 신문업계의 과당경쟁을 완화하고 독자들의 신문선택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침해되는 사익에 비해 공익이 크다"고 판시했다.

2003년 4월 17일 조선일보는 6면 기사 "정부, 신문시장개입파장"에서 "신문고시는 시행 초기부터 언론자유 침해 논란이 일었으며 2001년 8월에는 헌변이 위헌 여부에 대한 헌법소원을 내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미 소송이 종결되어 전원 합헌 판결이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일보는 헌법소원이 제기되었다는 사실만 언급하여 신문고시를 폄하하려 했다는 지적이 있다.[4]

2006년 8월 10일 공정거래위원회는 '과도한 신문 경품 및 공짜 신문 안 주고 안 받기' 캠페인을 벌이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2006년 8월 12일 조선일보는 "신문 골탕 먹이기가 공정위 본업인가"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모든 상품에 홍보용 견본이 있듯이 신문도 판촉과 배달 차질 대비용으로 무료 홍보지를 제공한다. 공정위는 이를 뻔히 알면서도 '신문 경품, 공짜신문 안 주고 안 받기'라는 이름을 붙여 국민에게 '모든 판촉물과 홍보지가 불법'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신문은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한 상품이므로, 엄정한 경쟁 질서를 지키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4]

신문판매고시는 신문 구독자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연간 유료 신문 대금(18만원)의 20%(3만 6000원)을 초과하는 액수의 공짜 신문이나 경품을 제공하는 행위를 불공정거래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민주언론시민연합2008년 5월 서울 지역 지국 40곳을 대상으로 신문고시 위반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선일보의 위반율이 97.5%에 달했다고 발표했다.[149]

7. 4. KBS, 신문법 관련 논란

2008년 10월 17일 조선일보는 "NHK는 구조조정 수신료 인하, KBS는 수신료 인상 구상중"이라는 사설에서 "NHK는 구조조정하고 수신료를 인하하는데 비해 KBS는 구조조정은 외면하면서 수신료를 인상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KBS는 10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NHK 수신료 인하가 2012년 이후에 적용되는 점, NHK 수신료가 인하되더라도 연간 19만 원으로 KBS 수신료의 6.3배인 점, 누적 적자 계산 오류, 인건비 등 계산에서 수치 누락 등을 지적하며 조선일보 사설의 문제점을 반박했다.[150]

2005년 5월 10일 문화관광부는 편집위원회와 편집 규약을 만들거나 연평균 광고지면이 50%를 넘지 않는 신문에 신문발전기금을 우선 지원하도록 하는 내용의 신문법 시행령안을 발표했다. 조선일보는 이에 반발하며 5월 11일 사설을 통해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 이 안대로라면 정부가 “기금을 받고 싶은 신문사는 편집위·편집 규약을 만들고 광고도 50% 아래로 줄이라”고 사실상 강요하고 나서는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

>

> 모법에서 포기한 것을 시행령에다 집어넣는 것은 법 체계의 기본을 무시한 것이다. 더구나 이 같은 개정안을 여야 합의로 통과시켰던 국회의 권위를 짓밟는 것이고, 상대를 속이는 정치적 사술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 언론을 향한 이 정권의 원념과 집념이 섬뜩할 정도다.

민언련과[152] 조선일보반대시민연대는[153] 시행령안이 모법의 취지를 잘 반영하고 있고, 편집위원회는 편집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이며, 광고보다 기사가 많은 신문을 지원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견해를 밝히며 조선일보 사설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2009년 7월 21일 '신문과 대기업의 지상파 방송 진출을 원천 금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내용의 보도도 오보로 드러났다.[154]

8. 북한 관련 보도

조선일보는 북한 관련 보도에서 오보를 내거나 과장된 보도를 하는 경우가 많다는 비판을 받는다. 주요 오보 사례는 다음과 같다.

8. 1. 김일성 피격설 오보

1986년 11월 16일 김일성 피격설을 1면 기사로 다루었다. 이후 김일성이 사망한 것으로 단정짓고, 11월 18일에는 신문의 전체 12면 중 7면을 관련 기사로 할애하며, '세계적 특종'이라고 자화자찬했다. 같은 날 김일성이 평양공항에서 외국 손님을 맞이하는 장면이 북한 텔레비전에 나오면서 오보임이 밝혀졌다.[4]

8. 2. 김정일 본처 탈출설 오보

1996년 2월 조선일보는 김정일의 본처가 망명한 것으로 보도했으나, 이후 안기부에 의해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155] 조선일보는 "북한주민들의 탈북사태를 막기위해 국경경비를 강화하고 사회주의 혁명사상을 고취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정작 집안식구들이 탈출하는 어이없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성혜림 일가의 탈북사건은 북한체제의 위기지수가 어느정도에 이르고 있는지를 드라마틱하게 보여주고 있다."라고 보도했다.[155]

8. 3. 월드컵 해적방송 오보

2010년 6월 13일 조선일보는 월드컵 중계권이 없는 북한이 남아공 월드컵 개막전을 무단으로 중계하였다며 이른바 '해적방송' 논란을 제기하였다.[156] 미국의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6월 15일 아시아방송연맹(ABU)의 확인을 토대로, "북한의 방송이 해적 방송이 아니라 국제축구연맹(FIFA)과 합의를 거친 합법적인 방송이라는 사실"이라고 보도하면서 오보임이 드러났다.[157]

9. 조선일보 반대 운동

조선일보에 대한 비판은 오래전부터 존재했기에, 반대 운동의 정확한 시작 시점을 특정하기는 어렵다. 조선일보 측은 반대 운동이 2000년부터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지만,[4] 오마이뉴스1998년에 조선일보의 '최장집 교수 왜곡보도' 사건이 반대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고 보도했다.[158]

이후 조선일보에 대한 반대 운동은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9. 1. 안티조선운동

2000년부터 안티조선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8월 7일 지식인 154명은 '조선일보에 대한 기고와 인터뷰 거부'를 선언하였다. 이에 대해 8월 10일 조선일보 측은 시사저널을 통해 "조선일보 거부는 권력적이고 반지성적이며 전체주의적인 발상"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159]

……첫째, 자유 민주 사회에서 언론의 기본적인 사명은 권력에 대한 감시와 견제이다. 그런데 선언문은 조선일보 거부의 주요 이유로 조선일보가 정부를 공격한다는 사실을 들고 있다. 정부를 비난하는 언론을 거부하겠다는 발상은 권력을 가진 자나 할 수 있는 것 아닌가.한국어

둘째, 우리나라는 자유 민주주의 사회로 다양한 견해를 가질 자유가 있다. 지식인이라는 사람들이 자기와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조선일보의 존재를 부인하며 이를 집단적인 행동을 통해 표출하는 것은 반지성적이고 전체주의적인 발상이다.|2000년 8월 10일 조선일보사(시사저널 565호)한국어

9월 28일에는 MBC 100분 토론에서 '안티조선일보운동! 언론자유침해인가, 소비자운동인가'라는 제목으로 안티조선운동에 관해 토론이 있기도 했다.[4]

9. 2. 영화계, 종교계의 비판

1998년 오마이뉴스의 기사에 따르면, 조선일보 반대운동은 조선일보의 '최장집 교수 왜곡보도' 사건을 계기로 촉발되었다. 월간조선 11월호가 최장집 교수의 사상문제를 거론하고, 이어서 조선일보가 최 교수의 저작 중 극히 일부 표현을 문제삼아 시대착오적인 마녀사냥을 주도한 것에 반발해 평범한 시민들이 들고일어남으로써 안티 조선의 불씨가 붙기 시작했다.[158]

한국영화제작가협회스크린쿼터와 관련한 조선일보의 보도 행태를 비난하며 취재 거부를 결의했다.[160] 2006년 2월 27일, 영화감독 모임인 디렉터스 컷은 '조선일보에 보내는 감독들의 경고문'이라는 성명서에서, 박찬욱 감독과 영화계에 대한 일방적인 매도와 명예 훼손에 대해 즉각 사과하고 객관적인 언론의 책무를 성실히 다할 것을 촉구했다.[4]

2007년 10월 5일, 조계종 총무원은 조선일보가 불교 음해왜곡보도, 종교편향 왜곡보도, 선정보도를 한다며, 전국 2300여 개의 소속 사찰에 조선일보 구독거부 방침을 공식 지시하고 구독거부 운동을 시작했다.[161] 10월 30일 조선일보 방상훈 사장과 강천석 주필, 김창기 편집국장이 총무원장 지관 스님을 찾아 정중히 사과하고 재발방지를 다짐했으며, 11월 2일 조계종 총무원은 조선일보에 대한 구독거부운동을 철회하는 공식입장을 발표하였다.[162]

9. 3. 조중동 구독거부 및 광고중단운동

한미쇠고기 협상 논란과 관련하여 2008년 구독거부 및 광고주 운동이 급격히 확산되었다. 그해 8월에 대한민국 검찰은 광고중단운동을 벌인 네티즌을 대거 기소하였다.[163]

2009년 9월 23일 민주노총, 미디어행동, 언소주는 '조중동 절독운동'을 함께 하기로 선언하였다.[164]

9. 4. 기타 비판


  • 2000년 5월 30일, 소설가 황석영은 공개강좌에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는 응하지 않겠다고 했으며, 한겨레 7월 20일자 특별기고문에서 자신의 작품이 동인문학상 심사대상이 되는 것을 거부한다고 밝히며 조선일보를 비난하였다.[165]
  • 유시민2002년 8월 31일 출간된 그의 저서에서 노무현과 조선일보의 대립을 대한민국 내 구체제의 존치 여부를 건 싸움이라고 표현했다.
  • 2004년 10월 1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조선일보 친일·반민족 행위에 대한 민간법정(재판장 이덕우 변호사)'은 피고인 조선일보(명예회장 방우영, 사장 방상훈)에 대해 유죄를 선고했다.[166]

10. 범죄 조장 기사 논란

조선일보는 2006년 8월 3일 '나쁜 남자'라는 기사를 실어 큰 논란과 비난을 받았다. 특히 이 기사는 범죄 수법을 자세하게 묘사하여 민언련의 큰 비난을 받았다. 민언련 측은 "'나쁜 남자'라는 기사가 범죄 수법을 과도하고 자세하게 묘사하여 청소년에게 범죄를 부추긴다"며 항의하였다.[167]

11. '조선일보에 대한 비난'에 대한 비난

조선일보에 대한 비난이 지나치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문화일보의 이신우 논설위원은 2004년 4월 28일자 문화일보 칼럼에서 조선일보 몰아내기 움직임이 인민 재판 수준으로 비이성적인 행태가 심각하며, 그것이 우리 사회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증거라고 하였다.[168][169]

조선일보는 2003년 7월 30일 "돈을 주면 청계천에서 M16 소총도 구할 수 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내보냈다.[170] 2003년 8월, KBS의 미디어포커스는 이 기사에 대해 허위·과장 보도라고 비난했다. 2009년 5월 21일 경찰청은 군용 총기류를 밀반입해 유통시킨 일당을 검거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날, 조선일보는 '"조선일보 오보했다" KBS의 황당비난 다시 도마에'라는 기사를 통해 2003년 8월 KBS 방영분은 황당한 비난이었다고 비판했다.

참조

[1] 서적 한국 공론장의 구조변동 2005
[2] 뉴스 법원 "방응모 전 조선일보 사장, 친일파 맞다" http://media.daum.ne[...] 뉴시스 2010-12-22
[3] 웹사이트 아! 천황폐하! http://www.realcjd.n[...] 2008-06-05
[4] 뉴스 조선, 역사왜곡한 '사외보'대량배포 http://www.hani.co.k[...] 한겨레 2001-08-29
[5] 뉴스 "조·중·동 왜곡 보도를 한 눈에"… '리얼 조중동'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6-09
[6] 뉴스 '야쿠자나 할 일' 그렇다 vs 아니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1-08-14
[7] 뉴스 조선일보 친일부역 기사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1-08-29
[8] 뉴스 안티조선 자료전 "이게 사실이냐" 분노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4-03
[9] 뉴스 '무적황군 이모저모'에서 '주먹대장' 부시까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10-08
[10] 뉴스 만물상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2001-08-01
[11] 뉴스 흔들리지 않는 언론의 사명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4-08-09
[12] 웹사이트 최장집 교수 사상검증한 조선일보를 검증한다 http://neo.urimodu.c[...] 1998-12
[13] 뉴스 일장기와 일왕부부로 뒤덮인 '슬픈 1면'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4-08-09
[14] 뉴스 '조선일보 역사 읽기' 책은…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4-06-03
[15] 뉴스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문자보급운동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4-08-09
[16] 뉴스 《조선일보》2001-08-18 06면. 이연교수,안재준씨 (조선일보) 기고문 http://www.hani.co.k[...] 한겨레
[17] 뉴스 조선, 역사왜곡한 '사외보'대량배포 http://hani.co.kr/se[...] 한겨레 2001-08-29
[18] 뉴스 (조선) 1940년 폐간의 진실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10-09
[19] 서적 일제시대 민족언론 압수기사 모음 LG상남언론재단 1998
[20] 뉴스 역사왜곡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1-07-31
[21] 뉴스 "조선·동아는 당국 비방하는 신문"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5-06-27
[22] 뉴스 조선일보 폐간에 ‘잔치’ 벌인 당사자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3-08-24
[23] 뉴스 (언론권력) 5·16 쿠데타 정당화 앞장 http://www.hani.co.k[...] 한겨레 2001-04-04
[24] 서적 한국대중매체사 인물과 사상사 2007
[25] 뉴스 은폐·왜곡·자기부정... <조선>의 창간 88주년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3-06
[26] 웹사이트 친한나라당 : <조선일보>가 편애한 대통령들 http://www.realcjd.n[...] 2008-06-06
[27] 웹사이트 딱 16-17쪽 http://joase.org/boo[...]
[28] 뉴스 김대중 조선일보 고문의 잘못 쏜 총알 http://www.dailyseop[...] 데일리 서프라이즈 2006-12-26
[29] 뉴스 은폐·왜곡·자기부정... <조선>의 창간 88주년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3-06
[30] 웹사이트 친독재 : "신중을 거듭했던 군의 노고를 우리는 잊지 않는다" http://www.realcjd.n[...] 2008-06-05
[31] 뉴스 20년을 버텨온 거짓말, 낱낱이 밝힌다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1999-05-20
[32] 뉴스 (언론권력) 5.6공 안보상업주의 '굽은 펜' http://www.hani.co.k[...] 한겨레 2001-04-06
[33] 뉴스 건국 60년… 역사의 현장마다 조선일보가 있었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3-04
[34] 뉴스 "은둔기업? 정/재계 아우르는 화려한 혼맥" =https://www.thebell[...] the bell 2018-08-14
[35] 웹사이트 조선일보식 등록금 해법, '부자 신문' 답다 http://www.realcjd.n[...] 2008-06-05
[36] 서적 당신들의 대한민국 02 한겨레출판 2006
[37] 뉴스 불법시위 두둔한 판사, 법복 벗고 시위 나가는 게 낫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8-13
[38] 뉴스 판사가 법정의 존엄(尊嚴)을 이 정도로 취급하니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8-14
[39] 뉴스 “법복 벗어라”, 판사 훈계하는 조선일보 http://news.kbs.co.k[...] KBS 2008-08-23
[40] 웹사이트 딱 28-29쪽 http://joase.org/boo[...]
[41] 뉴스 '딱'은 조선일보를 끊는 소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2-09-10
[42] 뉴스 진짜 위기땐 위기 아니라던 그들이 무슨 염치로 http://www.korea.kr/[...] 대한민국 정책포털 2007-03-14
[43] 뉴스 "<조선> 불과 2주 전에 \"산은, 리먼 인수하라\" 권유"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9-16
[44] 뉴스 "<조선일보>의 '월가 사냥' 부채질"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08-08-27
[45] 뉴스 진성호 조선일보 기자 "최장집 미안해요"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4-10-04
[46] 뉴스 反정부 불법시위 벌여온 전교조에 교육청, 올해도 49억 지원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2008-08-15
[47] 뉴스 한교조·자유교조 1인당 지원금, 전교조의 41배와 20배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9-17
[48] 뉴스 (사설) 공무원노조, 전교조가 넘어진 길 그대로 쫓아가나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9-09-22
[49] 뉴스 (사설) 공무원노조 불법쟁의 하면 국민도 세금 내지 않을 것 http://issue.chosun.[...] 조선일보 2009-09-23
[50] 뉴스 공무원 단결에 심기 불편한 보수신문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9-24
[51] 뉴스 조선일보, "공무원 노조 '조중동' 절독은 궤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09-24
[52] 뉴스 (판)뻔뻔스러운 기륭전자 기자회견 http://news.khan.co.[...] 경향닷컴 2008-10-29
[53] 뉴스 기륭전자vs블로거, 미디어vs블로그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08-11-24
[54] 뉴스 (정정 및 반론보도문) 본지 8월 22일자 A11면 '기륭전자에선 무슨 일이' 제하의 기사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10-24
[55] 뉴스 기륭전자에선 무슨 일이 (정정내용 있음)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10-24
[56] 뉴스 조선, 80년 광주때도 ‘일탈행위’만 부각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6-30
[57] 뉴스 "'촛불 900명', '보수 20명'에 "죽이겠다" 협박"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9-10
[58] 뉴스 “진보-보수 충돌로 폭력을 호도하지 말라”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8-06-25
[59] 뉴스 (조선), 보수단체 여성 집단구타 일절 보도 안해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6-24
[60] 뉴스 우희종 서울대교수 "광우병 촛불시위 조선일보 기사, 짜깁기" 맹비난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10-05-11
[61] 뉴스 조선일보 ‘촛불 2년 보도’ 인터뷰 당사자들 “짜깁기” 반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5-12
[62] 뉴스 "소설가 뺨치는 <조선일보>의 작문 실력, 명불허전" http://pressian.com/[...] 프레시안 2010-05-12
[63] 간행물 독립기념관의 공식 반론자료 '조선일보 보도에 대한 입장' http://www.independe[...] 독립기념관 2007-08-18
[64] 뉴스 심규상, 광복절마다 독립기념관 공격하는 <조선>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7-08-15
[66] 뉴스 "北 인간어뢰 조심하라" 해군 올초 통보받았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4-22
[67] 뉴스 James Bond theories arise in Korean ship sinking http://articles.lati[...] LA 타임스 2010-04-26
[68] 뉴스 박연수 대위 "함장님, 어뢰 같은데요", 최원일 함장 "응, 나도 그렇게 느꼈어"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5-25
[69] 뉴스 천안함 침몰 당시 대화록, "사실 아니다" http://news.nate.com[...] 투데이코리아 2010-05-25
[70] 웹사이트 전청와대비서관 딸 부정편입 혐의 http://www.chosun.co[...] 2007-05-10
[71] 뉴스 강태영 전 청와대 비서관 딸 부정편입 의혹 논란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7-05-10
[72] 웹사이트 비리입학? 천재의 탄생이었을 뿐! http://sisatoday.com[...] 2007-05-11
[73] 웹사이트 한국 최고의 반전 !!! http://todayhumor.co[...] 오늘의유머 2010-06-26
[74] 뉴스 (안티조선) 시위-욕설-저주-인터넷비방…무차별 선동 http://comdev.chosun[...] 조선일보 2003-03-05
[75] 뉴스 "생일마저 왜곡 편파로 도배한 조선일보"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3-03-07
[76] 뉴스 "무상의료 때문에 과잉 입원?…<조선>, 거짓선동 멈춰라!"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1-02-16
[77] 뉴스 조선일보 “여중생 잊어라” 강요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3-06-18
[78] 뉴스 궤도차에 숨진 여중생 미군부대서 추모행사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79] 뉴스 조선일보 ‘작문’하고 ‘정정보도’않고 버티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5-12-16
[80] 뉴스 황교수 물고 늘어지고 PD수첩 편들고... 민노당 도대체 왜?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2005-12-08
[81] 뉴스 탤런트 양미경 자살 소동, 원인은 가수 양수경 동생 양미경씨 사망 때문 - 2009년 12월 17일 일간스포츠 http://isplus.joins.[...]
[82] 뉴스 바로잡습니다 - 탤런트 양미경씨 관련 보도는 사실무근 - 조선일보 2009년 12월 17일 http://news.chosun.c[...]
[83] 뉴스 EBS 인기 강사의 황당한 근현대사 강의 http://news.nate.com[...] 조선일보 2011-08
[84] 뉴스 황당한 근현대사 인강? "최태성 샘을 응원합니다"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1-08
[85] 뉴스 법원 "천안함 이승헌 발언, 조선이 의도적 왜곡"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3-02
[86] 뉴스 김성민, 김형원, 법원장 경고 받은 서기호 판사 또… '나꼼수 문제' 낸 교사에 "버티면 이겨"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12-17
[87] 뉴스 서기호 판사 "쫄 필요 없다" vs 조선 "법원장 경고 받고도"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12-17
[88] 뉴스 북부지법원장, 'SNS심의 비난' 서기호 판사에 우려 표명 http://www.lawtimes.[...] 법률신문 2011-12-16
[89] 뉴스 “나는 일진이었다” 조선일보 왜곡보도 논란 http://www.mediatoda[...] 미디어 오늘 2012-01-13
[90] 뉴스 김정남은 천안함 얘기 안했다…‘조선’ 대형 오보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2-01-19
[91] 뉴스 "물관리 비상 상황… 국가적 결단 필요"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03-11
[92] 뉴스 일등신문 <조선일보>가 '고의성 허위기사'라니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09-03-23
[93] 뉴스 이상돈 교수의 비난에 대한 <조선일보> 기자 반론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09-03-24
[94] 뉴스 조선 ‘바닥 드러낸 임하댐’ 사진 논란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3-18
[95] 뉴스 (단독) "스마트폰 도청 위험" 청와대 지급 보류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0-05-20
[96] 뉴스 ‘아이폰 도청’ 오보 소동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0-05-20
[97] 뉴스 <조선> '아이폰 도청' 오보...지경부 "아이폰 시연 안 해"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5-20
[98] 뉴스 지경부 도청시연회.."아이폰 아닌 옴니아2였다"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0-05-20
[99] 뉴스 천안함은 북한 도발? "김정남 조선일보 보도는 거짓"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2-01-19
[100] 뉴스 조선일보 ‘김정남 천안함 언급’ 보도, 김정남 이메일엔 없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2-01-19
[101] 뉴스 "<바로잡습니다> 日기자의 김정남 관련 책에 '천안함' 언급 없어"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1-19
[102] 웹인용 조선일보, 나주 성폭행 피의자 얼굴을…1면 사진 오보 http://news.khan.co.[...] 2012-09-02
[103] 뉴스 전태일 동료가 박근혜 캠프에?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2-10-12
[104] 뉴스 전태일 동료가 박근혜 캠프에? “만난 적도 없는 사이”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2-10-12
[105] 웹사이트 https://www.pdjourna[...]
[106] 웹사이트 http://news.imaeil.c[...]
[107] 뉴스 클린턴, 힐러리에 맞아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1998-08-31
[108] 뉴스 조선일보에 이의 있다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1998-09-04
[109] 뉴스 ‘미네르바’ 체포·구속 보도… 사생활침해·이중잣대 논란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1-14
[110] 웹사이트 딱 24-25쪽 http://joase.org/boo[...]
[111] 뉴스 한겨레 2001-08-28
[112] 서적 한국대중매체사 인물과 사상사 2007
[113] 뉴스 “그런 의도 아니다” 불구 결국 보도는 ‘그런 의도’ http://www.dailyseop[...] 데일리 서프라이즈 2007-09-20
[114] 뉴스 (초점) 91년 주간조선의 ‘노무현 재산관련 보도’ http://weekly.chosun[...] 주간조선 2002-04-18
[115] 뉴스 91년 ‘노무현재산’소송 조선일보가 화해 제의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2-04-10
[116] 뉴스 "<조선일보>, '노 대통령 기사' 두 번 정정보도한 사연"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7-17
[117] 뉴스 盧대통령, 측근비리 수사발표 다음날 불만표시 “검찰 두 번은 갈아 마셨겠지만…”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2004-01-12
[118] 뉴스 "<정정 보도>"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2005-02-19
[119] 뉴스 憲裁 소수의견 공개하기로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4-05-13
[120] 뉴스 조선 ‘헌재 소수의견 공개’ 오보 파문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4-05-19
[121] 뉴스 "'노 대통령에 쓴소리'는 아전인수 해석"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08-16
[122] 뉴스 金祐銓광복회장, 대통령 면전서 '쓴소리'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4-08-16
[123] 뉴스 (바로잡습니다) 2005년 8월 9일자 조선만평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6-12-16
[124] 뉴스 황우석 교수 '옆'에 정부는 없었다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5-12-06
[125] 뉴스 청와대, 초기부터 황교수 전폭지원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5-12-16
[126] 뉴스 조선일보의 친일(親日) 편향이 갈수록 가관이다 http://www.dailyseop[...] 데일리 서프라이즈 2006-07-13
[127] 뉴스 네티즌, '20촌 놀이' 유행 http://media.daum.ne[...] 스포츠 서울 2006-09-25
[128] 뉴스 '20촌 친척'에게 특혜를? http://media.daum.ne[...] 쿠키뉴스 2006-08-29
[129] 뉴스 "'노란 점퍼'의 진실" http://www.realcjd.n[...] 리얼조중동 2008-06-19
[130] 뉴스 (사설) 연재소설이 야해서 신문 끊는다는 청와대 (정정내용 있음)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7-11-09
[131] 뉴스 한나라당 "박근혜의 오해는 <조선일보> 왜곡보도 때문"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10-02-12
[132] 웹사이트 "수능 성적 공개…조전혁 의원·안병만 장관 법적 책임 져야" http://www.pressian.[...]
[133] 뉴스 (사설) 학부모 속여온 평준화의 실상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10-13
[134] 뉴스 쉬쉬 35년… '가짜 평준화'에 속았다 조선일보
[135] 뉴스 수능성적 공개+일제고사 교육 서열화 불꽃 논쟁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9-10-14
[136] 뉴스 수능성적 공개 “조선일보 제정신인가?”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09-10-13
[137] 뉴스 '가짜 평준화'에 속았다? 제 얼굴에 침뱉는 언론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9-10-15
[138] 문서
[139] 뉴스 수능 성적 공개한 조·중·동, 순위 오류는 '나 몰라라'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140] 뉴스 (알려왔습니다) 본지 10월 14일자 강남구 일반고의 수능성적 비교 기사 조선일보 2009-11-06
[141] 뉴스 'MBC 100분 토론' 안티조선 논쟁에 대하여 http://english.ohmyn[...] 오마이뉴스 2000-09-29
[142] 웹사이트 http://www.mediatoda[...]
[143] 웹사이트 https://news.v.daum.[...]
[144] 웹사이트 http://www.topstarne[...]
[145] 웹사이트 https://m.post.naver[...]
[146] 웹사이트 http://www.mediaus.c[...]
[147] 웹사이트 신문고시 합헌판결은 왜 언급하지 않나 http://www.realcjd.n[...] 2008-06-07
[148] 뉴스 불법 저지르고 큰소리치는 (조선)·(동아) http://www.realcjd.n[...] 리얼조중동 2008-06-27
[149] 뉴스 조선일보 ‘딱걸린 현장’…상품권에 무료구독까지 http://news.khan.co.[...] 경향닷컴 2008-06-12
[150] 뉴스 "<조선>에 발끈한 KBS NHK 수신료 6배 비싼데..."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10-21
[151] 뉴스 "(사설) 법에서 뺀 독소조항 시행령에 살려놓다니"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5-05-11
[152] 뉴스 민언련 "조중동, 신문법시행령 비난 '타성'에 젖었다" http://www1.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5-13
[153] 웹사이트 신문법 시행령안에 대한 조선일보의 억지 http://www.antichosu[...] 조선일보반대시민연대 2005-05-29
[154] 뉴스 한나라당 "<조선일보> 보도는 오보"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09-07-21
[155] 뉴스 핵심계층 동요… 위기상황 극명히 드러내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1996-02-14
[156] 뉴스 北, 월드컵 개막전 '해적방송'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6-13
[157] 뉴스 北 '해적방송' 오보 국내언론, 아니면 말고?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10-06-16
[158] 뉴스 조선일보의 '안티조선'관련 보도에 대한 논평 http://acro.or.kr/bb[...] 민주언론시민연합 2004-07-08
[159] 뉴스 조선일보, '조선일보 거부'에 대한 공식 입장 밝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0-08-18
[160] 뉴스 영화감독들도 조선일보 비난 나서 http://hanimovie.cin[...] 한겨레 2006-02-27
[161] 뉴스 조선일보 구독거부 나선 불교계 “정론지이길 거부” http://www.dailyseop[...] 데일리 서프라이즈 2007-10-10
[162] 뉴스 불교계 '조선일보 구독거부' 한 달도 안돼 철회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7-11-02
[163] 뉴스 '광고주 압박' 카페 운영자 전원 처벌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8-30
[164] 뉴스 민주노총, 조선일보에 '맞짱' 선언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09-09-23
[165] 뉴스 황석영은 조선일보의 기피작가인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2-11-14
[166] 뉴스 “조선일보는 역사의 이름으로 유죄”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4-10-20
[167] 웹사이트 이젠 신문도 '19금' 달고 팔아야 하나? http://www.ohmynews.[...]
[168] 뉴스 (시론) 매스컴 감상법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4-04-28
[169] 뉴스 "조선일보 비난, 인민재판 수준 도달"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4-04-28
[170] 뉴스 "조선일보 오보했다" KBS의 황당비난 다시 도마에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