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티마 칼리파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티마 칼리파국은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909년 북아프리카에서 건국되어 1171년 멸망할 때까지 존속한 시아파 이슬람 왕조이다. 파티마 왕조는 이스마일파를 국교로 삼았으며, 이집트를 정복하고 카이로를 수도로 삼아 전성기를 누렸다. 알 무이즈와 알 아지즈 시대에 이집트, 시리아, 북아프리카, 시칠리아 등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며 지중해와 인도양에서 활발한 무역을 펼쳤다. 그러나 11세기 알 하킴의 치세에 종교적 박해와 기행으로 쇠퇴하기 시작했고, 11세기 말 십자군의 침입과 내분으로 인해 약화되었다. 1171년 살라딘에 의해 멸망하고 아이유브 왕조가 들어섰다. 파티마 왕조는 이슬람 예술과 건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포용하는 다원적인 사회를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시아파 - 이드리스 토후국
    이드리스 토후국은 8세기 후반 모로코에 건국되어 이슬람화와 아랍 문화 확산에 기여했으나, 10세기 초 멸망한 이슬람 왕조이다.
  • 파티마 칼리파국 - 알아즈하르 모스크
    알아즈하르 모스크는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한 이슬람 사원으로, 파티마 왕조 시대에 건설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확장 및 개보수를 거듭했고, 교육기관으로서 위상을 회복하여 현재까지 이슬람 세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파티마 칼리파국 - 알아즈하르 대학교
    알 아즈하르 대학교는 970년 파티마 왕조 시대 카이로의 알 아즈하르 모스크에 부속된 마드라사로 시작하여 이슬람 학문 중심으로 성장, 현대에는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어 종교 연구와 교육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이스마일파 - 환생
    환생은 죽음 이후 영혼, 정신, 의식 등이 다시 태어난다는 믿음으로, 힌두교, 불교 등 주요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도 나타난다.
  • 이스마일파 - 카르마트파
    카르마트파는 티베트 불교 까귀파의 한 분파로, 활불로 여겨지는 카르마파가 정신적 지도자이며, 12세기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종파이나 겔룩파의 탄압을 받기도 했고, 현재 17대 카르마파가 분열되어 논란이 있다.
파티마 칼리파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파티마 칼리파국
파티마 칼리파국의 발전 과정
기본 정보
일반 명칭파티마 칼리파국
정부 형태세습 칼리파국
종교이스마일파 시아파 이슬람
통화디나르, 디르함
공용어아랍어
베르베르어
콥트어
역사
시작아글라브 왕조 전복 (909년)
주요 사건이집트 정복 및 카이로 건설 (969년)
종료살라딘에 의해 폐지 (1171년 9월 17일)
수도
통치자
초대 칼리파압둘라 알-마흐디 빌라 (909년–934년)
마지막 칼리파알-아디드 (1160년–1171년)
직책칼리파
면적
969년4,100,000
선행 국가
후계 국가

2. 명칭

الدولة الفاطمية|앗 다울라툴 파티미야ar 또는 ٱلْخِلَافَة ٱلْفَاطِمِيَّة|알킬라파툴 파티미야ar 등으로 불리는 파티마 칼리파국은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의 이름에서 유래했다.[14][6][7] 파티마 왕조 통치자들은 스스로를 시아파 초대 이맘 알리와 파티마의 후손이라고 여겼으며, 이를 통해 무함마드의 혈통을 주장하며 정당성을 확보했다. 왕조의 공식 명칭인 "파티미위"(فَاطِمِيّ|파티미위ar)는 아랍어로 "파티마"를 뜻하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이다.

파티마 왕조는 알리의 혈통을 강조하며 스스로를 '알리 왕조'(al-dawla al-alawiya|알 다울라 알 알라위야ar)라고 칭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수니파 기록에서는 왕조의 창시자인 압둘라 알마흐디 빌라의 이름 중 일부인 '우바이드 알라'를 따서 "우바이드 왕조"(Banu Ubayd|바누 우바이드ar)라고 불렀다.

언어별 명칭[129][130]
아랍어الدولة الفاطمية|앗 다울라툴 파티미야ar
ٱلْخِلَافَة ٱلْفَاطِمِيَّة|알킬라파툴 파티미야ar
الفَاطِمِيُّونَ|알파티미윤ar
فَاطِمِيّ|파티미위ar
페르시아어خلافت فاطمیان|할로파트 파티미얀fa
فاطمیان|파티미얀fa
영어Fatimid Caliphate (파티미드 캘러페이트)
Fatimid Dynasty (파티미드 다이너스티)
Fatimid Empire (파티미드 엠파이어)
한자綠衣大食|녹의대식중국어
한국어파티마 칼리파국, 파티마 왕조, 파티마 제국


3. 역사

8세기 후반 시아파의 자파르 알사디크가 사망한 후, 그의 장자 이스마일의 이맘 계승을 지지하는 이스마일파가 파티마 칼리파국의 기원이 되었다.[83] 9세기 후반, 이스마일의 아들 무함마드가 은둔 이맘이자 마흐디로서 재림할 것이라는 교리가 확산되면서 이스마일파는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쳤다.[84]

899년, 우바이드 알라는 자신이 이맘이자 마흐디라고 선언하며 이스마일파 운동의 지도자가 되었다.[85] 그는 시리아를 떠나 북아프리카에서 활동하던 아부 압둘라와 협력하여 베르베르인의 지지를 얻어 군사력을 조직, 909년 아글라브 왕조를 멸망시키고 파티마 왕조를 건국했다.[87][88] 우바이드 알라는 왕조 건설 후 아부 압둘라를 숙청하고 독재 권력을 확립, 튀니스 남쪽에 마흐디야를 건설하여 시아파 국가의 지배를 강화했다.[86]

3. 1. 건국 이전의 배경

시아파우마이야 왕조 및 아바스 왕조와 같은 수니파 칼리파들을 '찬탈자'로 여겨 격렬하게 반대했다. 대신에, 그들은 오직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를 통해 이어져 내려온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후손들만이 무슬림 공동체를 이끌 수 있다고 믿었다. 이것은 나중에 그들의 추종자들이 지상에서 하나님의 진정한 대표자라고 여긴 후세인 이븐 알리를 통해 "이맘"이라는 형태로 새롭게 나타났다.[121] 동시에, 당시 이슬람 세계에서는 진정한 이슬람의 정의와 전통을 회복하고 종말의 시대에 나타난다는 "마흐디mahdī, (올바르게 이끄는 자)" 및 "카임qāʾim, (일어서는 자)"의 출현에 관한 종말론적인 예언이 널리 퍼져 있었는데, 민중들은 이 인물이 시아파이자 알리의 후손일 것으로 여겼다.[122] 이후 이 믿음은 시아파들 사이에서 그들 신앙의 핵심적인 교리가 되었고, 죽거나 처형당한 몇몇 시아파 지도자들에게 적용되었다. 그들의 추종자들은 이들이 은둔 생활을 하고 있으며, 약속된 날에 반드시 돌아오거나 부활할 것이라고 믿었다.[123]

이러한 전통은 6번째 이맘인 자파르 알 사디크의 계승 문제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알 사디크는 아들 이스마일 이븐 자파르를 자신의 후계자로 임명했지만, 그는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했으며 765년 알 사디크가 임종을 맞이할 때 그의 후계자 자리는 공석으로 놓여져 있었다. 대부분은 알 사디크의 아들 무사 알 카짐을 새로운 이맘으로 추대하면서, 874년에 11대 이맘의 후계자(12대 이맘)가 자취를 감춘 이후 언젠가 그가 마흐디로서 돌아올 것을 기대했다. 그러나 몇몇 추종자들은 이를 거부하고 심지어 이스마일 이븐 자파르가 사망했다는 것을 믿지 않았으며, 그나 그의 후손들을 또 다른 마흐디로 여겨 그의 귀환을 고대하게 되었다. 전자는 훗날 "12이맘파"로 알려지게 되었으며,[124][125] 후자는 "7이맘파"라고 불리게 되었다. 7번째 이맘의 정확한 신원은 논란이 되었지만, 대체로 9세기 후반까지는 이스마일의 아들이자 알 사디크의 손자인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로 여겨졌다. 파티마 칼리파국을 건국한 세력은 이 중에서도 7이맘파를 추종하는 집단이었는데, 이들은 이스마일의 이름을 따서 "'''이스마일파'''"라고 칭해졌다.[126][127][128] 아바스 왕조의 시아파에 대한 가혹한 박해로 이스마일파의 이맘들은 은둔 생활을 해야만 했으며 이들의 생애는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특히 하룬 알 라시드(786~809)의 통치 기간 동안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이 사망한 이후 초기 이스마일파의 행적은 더더욱 모호해졌다.[129]

9세기 말, 이스마일파는 비밀 선교 조직망 "다와(daʿwa)"를 통해 세력을 확장했다. 파티마 왕조는 이 이스마일파의 이맘을 자처하며 등장했다.

3. 2. 건국과 발전

909년, 이스마일파 지도자 우바이드 알라 마흐디 빌라가 북아프리카에서 아글라브 왕조를 무너뜨리고 파티마 칼리파국을 건국했다.[87] 우바이드 알라는 스스로를 칼리프이자 마흐디(구세주)로 선포했다.[85][86] 파티마 왕조는 이프리키야(현재의 튀니지)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마그레브(북아프리카 서부)와 시칠리아를 정복했다.[90]

파티마 왕조 건국 이전, 이스마일파는 시아파의 한 분파로, 8세기 후반 자파르 알사디크가 사망한 후 그의 장자 이스마일의 이맘 계승을 지지하는 그룹에서 시작되었다.[83] 9세기 후반, 이스마일의 아들 무함마드가 은둔 이맘이자 마흐디로서 재림할 것이라는 교리가 확산되면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쳤다.[84]

899년, 우바이드 알라는 자신이 이맘이자 마흐디라고 선언하며 이스마일파 운동의 지도자가 되었다.[85] 그는 시리아를 떠나 북아프리카에서 활동하던 아부 압둘라와 협력하여 베르베르인의 지지를 얻어 군사력을 조직, 909년 아글라브 왕조를 멸망시키고 파티마 왕조를 건국했다.[87][88]

우바이드 알라는 왕조 건설 후 아부 압둘라를 숙청하고 독재 권력을 확립, 튀니스 남쪽에 마흐디야를 건설하여 시아파 국가의 지배를 강화했다.[86] 초기에는 동방 진출을 꾀하여 이집트 원정을 시도했으나 아바스 왕조에 의해 격퇴되었다.[89] 이후 내정 강화와 마그레브 방면으로 진출, 시칠리아 섬에 해군 기지를 설치하는 등 세력을 확장했다.[90] 그러나 수니파 주민들의 반감과 하와리즈파의 저항에 직면하기도 했다.[91][92]

3. 3. 전성기

969년 6월, 제4대 칼리프 무이즈는 이흐시드 왕조의 내부 붕괴를 틈타 시칠리아 출신 장군 자우하르가 이끄는 원정군을 알렉산드리아로 파견했다.[93] 자우하르는 거의 저항을 받지 않고 이집트를 지배하에 두었으며, 칼리프의 이집트 이전을 맞춰 이집트의 수도 푸스타트 북쪽에 신도 카이로("승리의 도시")를 건설했다.[94]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는 이흐시드 왕조의 판도를 계승하여 예루살렘을 포함한 남부 시리아 지방까지 지배를 넓혔다.[95] 또한 메카를 포함한 아라비아 반도 서부의 히자즈 지방까지 보호하에 두었다.[96] 무이즈와 그의 아들 아지즈의 치세가 파티마 왕조의 최전성기였다.[92][97]

이집트 정복 당시, 파티마 왕조는 이흐시드 왕조 이래의 지배층의 재산을 보장하고 강압적인 이스마일파의 강요를 피하여 다수파인 수니파와의 융화를 꾀했다.[98] 978년에는 무이즈가 건설한 알 아즈하르 모스크에 이스마일파의 최고 교육 기관이 되는 알 아즈하르 학원이 개강되었고,[99] 카이로에서 이스마일파의 교리를 배운 교선원들은 파티마 왕조의 판도에 머무르지 않고 이슬람 세계 각지에 흩어져 이스마일파를 포교했다.[100]

3. 4. 쇠퇴와 멸망

11세기에 들어서면서, 알 하킴의 치세는 종교적 박해와 기행으로 점철되어 여러 논란을 야기했다.[104] 이후 칼리프의 권위는 약화되었고, 군벌 출신 와지르(재상)들이 실권을 장악했다.[104]

같은 시기, 셀주크 투르크와 제1차 십자군이 시리아 지방으로 쳐들어오면서 예루살렘을 비롯한 대부분의 시리아 지역이 파티마 왕조의 지배에서 벗어났다.[105] 히자즈의 종주권 또한 셀주크 투르크에게 빼앗겼으며,[105] 12세기에 이르러 파티마 왕조는 이집트만을 지배하는 데 그쳤다.

12세기 후반, 어린 나이의 칼리프가 즉위하고, 재상 자리를 둘러싼 군인들의 다툼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면서 정치는 더욱 혼란스러워졌다.[106] 파티마 왕조의 쇠퇴를 틈타 장기 왕조와 예루살렘 왕국 등의 십자군 국가가 이집트에 침입과 개입을 시도했다.[106]

1163년, 파티마 왕조 내 권력 다툼이 벌어지자, 누르 앗 딘은 부하인 쿠르드족 장군 시르쿠를 이집트로 파견했다.[106] 1164년 시르쿠는 카이로에 입성했지만,[106] 아모리 1세의 개입으로 시리아로 철수했다. 1169년, 시르쿠는 예루살렘 왕국 군대를 몰아내고 카이로에 입성했다.[107]

1168년 칼리프는 수니파인 시르쿠를 재상으로 임명했으나, 시르쿠는 3월 23일 급사했고, 그의 조카 살라딘이 재상직을 이었다.[108][109] 살라딘은 파티마 왕조의 흑인 노예병 군단을 격파하고, 칼리프 궁정에서 권세를 누리던 흑인 환관을 살해하여 정권을 장악했다.[110] 그는 자신의 친족과 맘루크에게 이크타를 주고, 이스마일파 법관(카디)을 추방하고 수니파 법관으로 교체하는 등 체제 변환을 추진했다.[110] 1171년, 마지막 칼리프가 사망하자, 살라딘은 이집트가 아바스 왕조 칼리프의 종주권을 인정한다고 선언했고, 파티마 왕조는 멸망했다.[110]

파티마 왕조 대신 살라딘의 수니파 왕조인 아이유브 왕조가 이집트를 지배하게 되었고, 곧 시리아로 세력을 확장했다.

3. 5. 파티마 왕조의 분열

파티마 왕조는 시아파의 분파인 이스마일파 운동의 지도자로서 권력을 잡았다. 이들은 이슬람 메시아의 도래를 주장하며, 9세기 말부터 활동을 시작했다.[15] 파티마 왕조의 기원은 9세기 말 이전에는 불분명하다.[15]

파티마 통치자들은 아랍 출신이었으며, 창시자인 이스마일파 시아파 칼리프 압둘라 알-마흐디 빌라가 그 시작이었다.[15] 칼리프의 설립은 파티마의 대의에 일찍 개종하여 초기 군대를 구성한 쁘띠 카빌리 출신의 쿠타마 베르베르족에 의해 이루어졌다.

파티마 왕조 건국 이전, 이프리키야를 포함한 마그레브 지역은 아글라브 왕조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893년, 다이|ar 아부 압달라 알-쉬이는 알제리 북서부의 밀라시 근처의 Ikjan에 정착하여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15] 그러나 지역 세력의 반발로 인해 타즈루트로 이동하여 세력을 확장했다.[15]

아글라브 왕조 멸망 당시 아부 압달라의 원정과 전투 지도


902년, 아부 압달라는 밀라를 공격하여 점령함으로써 북아프리카에서 아글라브 왕조 권위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15] 아글라브 왕조는 반격에 나섰으나 실패하고, 이후 아부 압달라는 세력을 더욱 확장하여 909년에는 카이루안을 점령하고 파티마 왕조를 건국했다.[15]

아부 압달라는 아글라브 왕조의 통치 체제를 대부분 물려받았다.[15] 그는 새로운 이스마일 시아 정권을 세우고, 서쪽으로 군대를 이끌어 압둘라 알-마흐디 빌라를 라카다로 데려왔다. 910년 1월 15일, 압둘라는 칼리프를 선언하고 al-Mahdī|알마흐디ar라는 왕호를 사용했다.[15] 그러나 알마흐디는 곧 아부 압달라와 갈등을 빚었고, 결국 아부 압달라는 제거되었다. 알마흐디는 추종자들의 종말론적 기대를 억제하고 반율법주의 경향을 제재했다.[15]

파티마 왕조의 목표는 바그다드였으나, 이집트 침공 실패와 내부 불안정으로 인해 지연되었다.[15] 이프리키야에서 파티마 왕조의 실질적인 권력 기반은 쿠타마 군인과 산하자 베르베르족에 한정되었다.[15]

파티마 칼리프 알마흐디 빌라가 12세기 ''마드리드 스카일리체스''에 그려진 불가리아의 시메온 1세의 사절을 접견하는 모습.


마호디아 (마흐디야)에 있는 알카임의 궁전에서 가져온 모자이크 바닥 조각, 마흐디아 박물관 전시


912년, 알마흐디는 새로운 수도 알마흐디야 건설을 시작하여 921년에 완공했다.[15] 이로써 칼리프와 쿠타마 군대는 안전한 기반을 확보했다.[15]

파티마 왕조는 시칠리아 영토를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시칠리아 정복을 통해 물려받았다.[15] 902년에 타오르미나가 정복되었으나, 967년까지 저항이 계속되었다.[15] 파티마 왕조는 이븐 쿠르후브의 반란을 진압하고 시칠리아 지배권을 확립했다.[15]

10세기 동안 파티마 왕조는 서부 마그레브 지배권을 두고 우마이야 왕조와 경쟁했다.[15]

알 무스탄시르 사망 이후, 파티마 왕조는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 '''니자리파''': 알 무스탄시르의 장남 니자르를 지지하는 세력으로, 아사신으로 알려진 암살단을 조직하여 활동했다.
  • '''무스탈리파''': 알 무스탄시르의 차남 알 무스탈리를 지지하는 세력으로, 파티마 칼리파국의 주류 세력이었다.
  • '''타이비파''': 알 아미르의 아들 알 타이브를 지지하는 파벌로, 예멘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 '''하피지파''': 알 하피즈를 지지하는 세력으로, 파티마 칼리파국의 주류 세력이었다.

3. 5. 1. 니자리파

알 무스탄시르 사후, 그의 장남 니자르를 지지하는 세력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카이로의 파티마 칼리파국과 결별하고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이들은 "아사신"으로 알려진 암살단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3. 5. 2. 무스탈리파

알 무스탄시르 빌라의 차남 알 무스탈리를 지지하는 세력으로, 파티마 칼리파국의 주류 세력이었다.

3. 5. 3. 타이비파

알 아미르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알 타이브를 지지하는 파벌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알 하피즈가 칼리프 지위를 계승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이들은 예멘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3. 5. 4. 하피지파

알 하피즈를 지지하는 세력은 파티마 칼리파국의 주류 세력이었다.

4. 사회

파티마 왕조 사회는 여러 종교와 민족이 함께 어울려 사는 다원적인 모습이었다. 이스마일파가 나라의 공식 종교였지만, 수니파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교인 등 다양한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많았다.[160][161] 이들은 종교세인 지즈야를 내야 했지만, 파티마 왕조는 대체로 다른 종교에 대해 너그러운 태도를 보였다.[160][162][163]

알-아자르 모스크 (카이로) 970년에서 972년 사이에 파티마 왕조가 건설


파티마 왕조는 능력 있는 사람을 관리로 뽑았는데, 종교는 따지지 않았다. 그래서 시아파뿐만 아니라 수니파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인도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137] 하지만 알 하킴 시대에는 콥트교도를 심하게 박해하는 등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137][164][165][166]

파티마 왕조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시아파 이맘인 알리를 통해 자신들의 정통성을 내세웠다.[14][6][7] 수니파 자료에서는 파티마 왕조를 우바이드 왕조라고 부르기도 한다.

파티마 칼리파국은 칼리프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권적인 국가 체제였다.[111][112] 칼리프는 시아파 이스마일파의 이맘으로서 종교적인 권위까지 가지고 있었다.[95][100] 디완이라는 행정 관청을 통해 세금을 걷고 군인들에게 봉급을 지급했다. 초기에는 유대교기독교 출신 개종자들이 재상(와지르)으로 임명되었지만, 11세기 후반부터는 군인 출신 유력자들이 이 자리를 차지했다. 군대는 베르베르인, 흑인, 그리스인, 슬라브인, 투르크인 등 다양한 출신으로 구성되었으며,[95] 이들은 서로 대립하며 파티마 칼리파국의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4. 1. 종교

파티마 왕조 사회는 매우 다원적이었다. 시아파의 한 분파인 이스마일파가 국교이자 칼리파 궁정의 공식 종교였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니파를 믿거나 기독교, 유대교등 다른 종교를 믿었다.[160][161]

969년 자우하르는 이집트 침공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이집트는 이크시드 왕조의 지배하에 있었는데, 이들은 형식적으로는 아바스 왕조에 충성을 맹세했다.[131] 알 무이즈는 정복 후 자우하르에게 새로운 수도인 카이로를 건설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36]

당대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파티마 왕조는 종교에 상관없이 능력 위주로 관리를 선발했다. 수니파와 같은 이슬람의 다른 분파나 기독교, 유대교 신자들도 고위 관직에 오를 수 있었다.[137]

그러나 알 하킴은 콥트교도를 비롯한 기독교인들을 심하게 박해했다.[164][165][166] 그는 교회를 폐쇄하고 파괴했으며, 강제 개종을 시도했다.[167][168][169] 1009년에는 성묘교회마저 파괴했다.[149]

4. 1. 1. 이스마일파

파티마 시대에 지어진 알 아즈하르 모스크의 내부 모습. 화려하게 장식된 미흐라브가 눈에 띈다.


파티마 칼리파국의 인구 중 실제로 이스마일파를 믿었던 비율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들은 항상 소수였다.[160] 역사 기록에 따르면 알 아지즈 통치 기간 이집트에서는 이스마일파 개종자들이 많이 보고되었지만, 알 하킴 통치 중반에는 이러한 경향이 크게 줄었다.[160] 파티마 국가는 위계 조직을 통해 이스마일파 선교 활동(da'wa)을 추진했다. 파티마 이맘-칼리파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계자로서, 국가의 유일한 정치적 통치자이자 종교 지도자였다. 그 다음으로는 "다이 알 두아트(dā'ī l-du'āt, 최고의 선교사)"가 있었다.[160] 이 교리에 새로 입문한 사람들은 카이로 궁전 안 특별한 홀에서 열리는 "마잘리스 알 히크마(majālis al-ḥikma, 지혜의 회의)"에 참석하여 새로운 종교인으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이 행사는 이스마일파로 개종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비밀이었다.[160] 파티마 왕조는 카이로의 알 아즈하르 모스크에서 열리는 강연을 통해 이집트 방문객들에게도 이스마일파 교리를 전파했으며, 이곳은 교수와 학생들 주최로 매년 강연이 열리는 지식 센터가 되었다.[140] 파티마 왕조 국경 너머에서는, 수많은 선교사들이 이프리키야나 이집트의 파티마 지도부와 연락을 유지했지만, 칼리파 체제 설립 이전처럼 선교사 모집은 항상 비밀리에 이루어졌다.[160] 국외의 일부 선교사 공동체는 가끔 카이로를 방문했으며, 그중에는 알 하킴 통치 기간에 두각을 나타낸 알 키르마니 같은 인물도 있었다.[160]

이스마일파의 통합은 파티마 칼리파국 설립 후 몇 차례 분열을 겪으며 약화되었다(설립 이전 카르마트파 이탈 제외). 칼리파 알 하킴의 신성을 믿었던 드루즈교도들은 이집트 등지에서 탄압을 받았지만, 레바논 산맥에서 은신처를 찾았다.[160] 칼리파 알 무스탄시르 사후, 후계자 분쟁으로 알 무스탈리를 지지한 무스탈리파와 달리 장남 니자르 알 무스탄시르를 지지한 니자리파는 파티마 본국과 관계를 완전히 끊고 적대적으로 변했다. 니자리파는 파티마 국경 내에서는 억압되었으나 주로 이란, 이라크, 시리아 일부 지역에서 활동을 이어갔다.[160] 칼리파 알 아미르 사후, 그의 사촌 알 하피즈는 알 아미르의 어린 아들 알 타이브를 무시하고 자신이 새로운 이맘-칼리파임을 선언하여 이스마일파를 다시 분열시켰다. 카이로에서 알 하피즈를 인정한 이들은 알 하피즈 분파( 하피지파)로, 이 승계에 반대하고 알 타이브의 정통성을 지지한 이들은 알 타이브 분파(타이비파)로 알려졌다. 이 분열은 예멘에서 파티마 칼리파국의 지지 세력을 잃는 결과를 초래했다.[160]

4. 1. 2. 수니파

파티마 왕조 사회는 매우 다원적이었다. 비록 시아파의 한 분파였던 이스마일파가 국교이자 칼리파 궁정의 공식적인 종교였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른 종교나 분파를 믿었다. 무슬림 인구 대부분은 수니파였으며, 전체 인구로 보았을 때는 대부분이 기독교였다.[160] 유대인은 더 작은 소수 공동체를 이루었다.[161]

이집트 역시 대부분의 무슬림들이 수니파였으며, 파티마 시대 내내 이러한 추세는 변화하지 않았다. 파티마 당국은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자우하르의 정복 이후에야 시아파의 종교 의식에 있어 새롭게 변화를 도입하려 했다.[137] 하나피파, 샤피이, 한발리파, 말리키파가 집단적으로 스스로를 수니파의 일원이라고 생각하기 시작한 것도 이 시대에 이르러서였는데, 이는 시아파가 내세우는 보편주의를 훼손한 것이었다.

당대 서유럽의 국가들과 달리, 파티마 왕조의 관리 선발은 종교에 상관없이 세습이 아닌 능력주의를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수니파와 같은 이슬람의 다른 여러 분파들의 구성원들은 시아파만큼이나 정부의 주요 직책에 임명될 가능성이 높았다.

4. 1. 3. 기독교

파티마 왕조 시대 이집트 인구의 상당수는 기독교인이었다. 이들은 주로 콥트 정교회와 멜키트교 신자들이었다.[160] 파티마 왕조는 이들 기독교인에게 비교적 관용적인 정책을 펼쳤다.[162][163][160] 물론, 이슬람 세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기독교인들은 종교세인 지즈야를 납부해야 했다.[160]

당시 서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파티마 왕조는 능력 위주로 관리를 선발했으며, 종교는 중요하지 않았다. 그래서 기독교인을 포함한 비무슬림도 고위 관직에 오를 수 있었다.[137]

하지만, 알 하킴 시대에는 예외적으로 기독교인에 대한 탄압이 있었다.[137] 그는 교회를 폐쇄하고 파괴했으며, 강제 개종을 시도했다.[167][168][169] 1009년에는 성묘교회가 파괴되기도 하였다.[164][165][166]

오른쪽


파티마 시대 기독교 인구 비율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시골 지역에 더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173][160] 콥트교가 가장 큰 세력이었고, 멜키트교가 그 뒤를 이었다.[160]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초에는 아르메니아인들이 이집트로 이주하면서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도 자리를 잡았다.[160] 기독교 수도원들은 시골에 흩어져 있었으며, 와디 알 나트룬과 같은 곳은 콥트 수도원 중심지였다.[160]

기독교 공동체, 특히 콥트교도 중에는 부유한 귀족 계급이 있었고, 이들은 교회와 지역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했다.[160] 키릴 2세 시기(1078~1092)에는 총대주교청이 알렉산드리아에서 푸스타트로 옮겨졌다.[153][160] 공중교회와 머큐리우스 교회는 총대주교의 거점이 되었고, 14세기에는 하렛 주웨일라 성모 마리아 교회로 옮겨졌다.[160][172]

4. 1. 4. 유대교

오른쪽


파티마 왕조의 지배 아래 있던 영토 전역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으며, 어느 정도 자치권을 누렸다.[175] 기독교도들과 무슬림들에 비하면 소수이지만, 그들의 역사는 게니자 문서 덕분에 비교적 잘 기록되어 있다.[161] 게니자 문서에 따르면, 파티마 왕조 내 유대인 공동체는 랍비파와 카라임파로 나뉘어져 있었다.[161]

11세기 후반까지 유대인 공동체의 가장 강력한 수장은 예루살렘예시바 지도자(가온)였는데, 그는 이 지역의 판사와 다른 유대인 공동체 관리들을 임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파티마 칼리파들은 공식적으로 예루살렘의 가온들에게 공동체의 대표자로서의 책임을 부과했다.[174][175] 그러나 1100년까지 이집트의 유대인들은 푸스타트에서 "유대인의 우두머리" 또는 "나기드"로 알려진 새로운 지위를 확립했다. 수도에 거주했던 이 관료들은 파티마 왕조와의 거래에서 유대인 공동체의 수장이자 대표로 추후 인정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이 지역에 대한 예루살렘 가온의 영향력 상실과 더불어, 바드르 알 자말리가 이 시기에 추구했던 중앙집권적인 정치 체제에 유대인 공동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74][175] (이미 이것은 콥트 총대주교령이 푸스타트로 이전되는 결과를 낳았다)

파티마 왕조는 유대인들에게 관용을 베풀었으며, 야쿠브 이븐 킬리스와 같은 유대인 출신 개종자를 고위 관직에 등용하기도 했다.[143]

4. 2. 언어

العربية|아랍어|ar가 주요 언어였으며, 행정 및 문학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콥트어는 콥트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종교 언어로 사용되었다. 베르베르어는 북아프리카베르베르인들 사이에서 사용되었다.[160]

5. 경제

파티마 왕조는 농업, 수공업, 상업을 기반으로 번영을 누렸다. 특히 대외무역이 매우 발달했는데, 말리 왕국, 송가이 왕국과 같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 콜라 열매, 노예 등을 구매하고 암염 등을 판매했다. 또한 남유럽 국가들과도 활발히 교역하여 금, 향료, 대추야자, 직물, 특산물 등을 판매하고 목재, 무기류, 철, 양털, 치즈 등을 수입했다. 동로마 제국, 북아프리카, 알안달루스, 누비아, 서아프리카, 이탈리아 도시국가들, 인도 아대륙의 여러 왕조들과도 무역을 했다. 파티마 왕조의 공식 통화는 디나르였는데, 거의 100%에 가까운 순금으로 만들어져 신용도가 높았다. 이집트 남부 누비아의 금광과 서아프리카 지역으로부터의 금 수입 덕분에 순금 동전 주조가 가능했다. 무역과 상업의 발달로 막대한 부를 축적한 계층이 나타났는데, 한 크리스트교 부자는 5년 간 전 국민을 먹여 살릴 재산을 기부했고, 와지르 야쿠브 이븐 킬리스는 3천만 디나르의 재산을 남겼다고 한다. 이들은 문화, 예술, 학문을 후원하여 파티마 왕조의 문화 번영에 기여했다.[176]

농업은 상업에 비해 뒤처졌지만, 지중해 연안과 나일강 유역의 비옥한 토지 덕분에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 보리, 야채, 아마, 사탕수수, 염료식물, 목화 등이 재배되었다. 그러나 나일강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잦아 농촌 지역에서는 기근이 자주 발생했다.[176]

카이로에서는 비단, 직물 제품이, 푸스타트와 알렉산드리아에서는 유리 공예품이 유명했다. 금속 및 가죽 공예품, 상아 조각품 등도 생산되었다. 중세 유럽처럼 파티마 왕조에서도 수공업 조합(길드)이 만들어져 특정 제품에 대한 독점체제를 유지했다.[176]

파티마 왕조의 세금 제도에 관해서 자세히 알려진 바는 없으나, 토지세를 비롯한 각종 세금들이 농민들에게 부과되었으며 콥트파 기독교도들에게는 인두세(지즈야)가 추가되었다. 영토 확장 후 다른 기독교도(동방 정교회, 서방 카톨릭)들도 인두세를 부과받았다. 당시 파티마 왕조의 세금은 일정량으로 정해져 있었으며 변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고 전해진다.[176]

6. 군사

파티마 왕조의 군대는 여러 민족으로 구성되었다. 초기에는 쿠타마 베르베르 부족민들이 군대의 주축이었다.[131] 이들은 파티마 왕조가 이집트로 진군할 때 함께 이동했으며, 이프리키야가 파티마 왕조의 지배에서 벗어난 이후에도 군대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131]

10세기 후반, 파티마 왕조가 시리아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군대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알 아지즈와 알 하킴의 통치 기간 동안, 파티마 왕조는 튀르크인들을 대거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이후에는 아프리카계 흑인(누비아인)이나 아르메니아인과 같은 다른 민족들도 군대에 합류했다.[155] 그리하여 시리아 방면에서 필요한 강력한 기병대를 육성하고자 다양한 민족 출신의 병사들을 통합하여 동부군(마샤리카)을 창설했다.

파티마 왕조 군대는 민족에 따라 병종이 구분되었다.

민족병종
베르베르족경기병경보병
튀르크족궁기병 또는 중기병(맘루크)
아프리카계 흑인, 시리아인, 아랍인중장보병과 궁병



이러한 군대 체계는 파티마 칼리파국이 멸망한 이후에도 수 세기 동안 이집트에서 유지되었다.

파티마 왕조는 위협받는 지역의 방어에 군사력을 집중하여 이를 격퇴했다. 10세기 중반, 동로마 제국니키포로스 2세 포카스의 지휘 아래 크레타 이슬람 토후국을 멸망시키고 시리아의 여러 도시를 정복했다. 그러나 파티마 왕조의 등장으로 동로마 제국의 확장은 저지되었다. 967년, 동로마 제국은 파티마 왕조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

제1차 십자군 원정 당시, 파티마 왕조는 예루살렘 왕국과 대립했다. 1099년 아스칼론 전투에서 파티마 군대는 십자군에게 패배했다. 이후 이탈리아 해양 공화국의 도움을 받은 십자군은 레반트 해안 지역의 대부분을 점령했고, 파티마 왕조는 함대의 도움으로 티레, 아스칼론, 가자 등의 도시만을 지킬 수 있었다.

7. 문화

오른쪽


파티마 왕조는 정교한 예술로 유명했다. 파티마 시대는 이슬람 예술과 건축의 역사에서 중요한데, 이 시대는 이슬람 양식의 발전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위해 충분한 유물들이 남아 있는 초기 이슬람 왕조들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182] 파티마 예술의 양식적인 다양성은 이 시기 지중해 세계의 더 광범위한 문화적 환경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했다.[182] 그들 장식 예술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생동감있는 형상적 모티프의 사용과 아랍어 비문에 새겨진 각진 꽃으로 장식된 쿠픽 문자 등이다.[182] 가장 잘 알려진 예술 형태 중에는 광택자기의 한 종류와 단단한 암석 석영을 깎아서 만든 크리스탈 공예도 있다. 파티마 왕조는 또한 아마포 직물 산업과 티라즈 생산을 대대적으로 후원했다. 다양한 사치품들의 광대한 컬렉션이 한때 칼리파 궁전 내부를 수놓았지만, 그것들의 예는 오늘날까지 거의 남아있지 않다.[182]

파티마 건축의 많은 흔적들은 오늘날 이집트와 튀니지, 특히 이전 수도인 알 마흐디야와 알 카히라(카이로)에 있다. 마흐디야에서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건축물은 마흐디야 대모스크이다.[183] 카이로에서는 알 아즈하르 모스크 및 알 하킴 모스크, 알 아크마르 모스크, 세이이다 루카야 마슈하드, 알 살리 탈라이 모스크 등이 특히 유명하다.[184] 알 아즈하르 대학교가 위치했던 알 아즈하르 모스크는 "아즈 자흐라(الزاهرةar, 유명한 자)"라고 불렸던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를 기념하기 위해 그렇게 명명되었다.[185] 카이로에는 두 개의 파티마 궁전이 있었는데, 칸 엘 칼릴리 근처의 반 알 카스라인 지역에 위치했다. 바드르 알 자말리가 재건한 카이로 성벽의 일부, 그리고 성문도 오늘날 남아 있다.

8. 역대 칼리프

(المهدي|알 마흐디ar)스스로를 마흐디라 칭하며 이스마일파에서 카르마트파가 분리되었다. 아글라브 왕조를 무너뜨리고 파티마 칼리파국을 건국, 마그레브시칠리아로 영토를 확장했다.2934년 3월 4일 ~ 946년 5월 17일알 카임 비암르 알라
(القائم بأمر الله|알 카임 비암르 알라ar)아부 야지드의 카와리지파 반란으로 수도 알 마흐디야만 남았다.3946년 5월 17일 ~ 953년 3월 18일알 만수르 비 나스르 알라
(المنصور بنصر الله|알 만수르 빈 나스르 알라ar)아부 야지드의 반란을 진압하고 이탈리아 남부에서 동로마 제국과 전쟁을 재개했다.4953년 3월 19일 ~ 975년 12월 18일알 무이즈 일 딘 알라
(المعز لدين الله|알 무이즈 일 딘 알라ar)자우하르 장군이 마그레브 대부분과 이집트를 정복했다. 수도를 카이로로 이전했다.5975년 12월 18일 ~ 996년 10월 13일알 아지즈 빌라
(العزيز بالله|알 아지즈 빌라ar)시리아 대부분을 지배하고 알레포를 두고 동로마 제국과 전쟁을 벌였다.[186]6966년 10월 14일 ~ 1021년 2월 13일 (실종)알 하킴 비암르 알라
(الحاكم بأمر الله|알 하킴 비암르 알라ar)동로마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이후 실종되었다.71021년 2월 13일 ~ 1036년 6월 13일알 자히르 일 이자즈 딘 알라
(الظاهر لإعزاز دين الله|알 자히르 일 이자즈 딘 알라ar)파티마 왕조를 정상화했다.81036년 6월 13일 ~ 1094년 12월 29일/1095년 1월 6일[191][192][193][194]알 무스탄시르
(المستنصر بالله|알 무스탄시르ar)파티마 칼리파 중 가장 오랫동안 통치했다. 나시르 앗 다울라 이븐 함단에 의해 왕조가 붕괴될 위기에 처했으나, 바드르 알 자말리가 질서를 회복했다.91094년 12월 29일/1095년 1월 6일[195][196] ~ 1101년알 무스탈리 빌라
(المستعلي بالله|알 무스탈리 빌라ar)알 아프달 샤한샤에 의해 즉위했다. 니자르의 반란과 죽음으로 무스탈리파 및 니자리파로 분열되었다. 십자군 전쟁이 발발했다.101101년 ~ 1130년 10월 8일알 아미르 비 아캄 알라
(الآمر بأحكام الله|알 아미르 비 아캄 알라ar)레반트 해안 도시들이 십자군에 점진적으로 함락되었다.111132년 1월 23일 ~ 1149년 10월 8일알 하피즈 일 딘 알라
(الحافظ لدين الله|알 하피즈 일 딘 알라ar)무스탈리파가 하피지파와 타이비파로 분열되었다.121149년 ~ 1154년알 자피르 비암르 알라
(الظافر بأمر الله|알 자피르 비암르 알라ar)파티마 왕조 종말의 시작을 알렸다.131154년 ~ 1160년알 파이즈 비 나스르 알라
(الفائز بيناصر الله|알 파이즈 비 나스르 알라ar)탈라이 이븐 루지크의 꼭두각시였다. 간질 발작으로 사망했다.141160년 ~ 1171년알 아디드 일 딘 알라
(العاضد لدين الله|알 아디드 일 딘 알라ar)시르쿠가 카이로에 입성하면서 사실상 파티마 왕조가 멸망했다.


9. 파티마 왕조 가계도



§ 후계자로 지목되었지만 즉위하지 못했던 황족들을 나타낸다.
-- 파티마 칼리파와 통치 년도를 보여준다. (칼리파명은 '''볼드체'''로 표시)


파티마 왕조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이 왕조는 딸과 그녀의 남편 알리 즉, 최초의 시아파 이맘을 통해 무함마드의 후손임을 정당화했으며, 이는 왕조의 이름인 ''fāṭimiyy'' (فَاطِمِيّ|translit=파티미ar)의 유래가 되었다.[14][6][7]

이 왕조는 자신들의 알리드 혈통을 강조하며, 스스로를 단순히 '알리드 왕조' (al-dawla al-alawiyya|translit=알 다울라 알 알라위야ar)라고 명명했지만,[14] 많은 적대적인 수니파 자료에서는 그들을 최초의 파티마 칼리프의 이름인 우바이드 알라의 축소형인 우바이드 왕조(Banu Ubayd|translit=바누 우바이드ar)로만 언급한다.[14]

파티마 칼리파들은 카이로의 동부 파티마 궁전 남쪽에 위치한 ''투르바트 아즈-자'파란''("사프란 묘")이라고 불리는 묘지에 묻혔으며, 현재는 칸 엘-칼릴리 시장이 들어서 있다.[49][50] 알-무이즈가 수도를 카이로로 옮겼을 때, 초기 이프리키야의 파티마 칼리파들의 유해도 이곳으로 옮겨졌다.[51] 그러나 1385년 맘루크의 아미르 자하르카스 알-칼릴리에 의해 묘소는 완전히 철거되었고, 새로운 상인 건물을 짓기 위한 부지가 되었다(이 건물은 현재 시장의 이름이 되었다).[52][53] 철거 과정에서 자하르카스는 파티마 왕가의 유해를 도시 동쪽 쓰레기 언덕에 버리게 함으로써 훼손한 것으로 알려졌다.[49]

참조

[1] 논문 East-West Orientation of Historical Empires http://jwsr.pitt.edu[...] 2016-09-12
[2] 논문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http://www.escholars[...] 2019-07-01
[3] 문서 Daftary, 1990, pp. 144–273, 615–59; Canard, "Fatimids", pp. 850–62
[4] 서적 Ibn Khaldun: The Birth of History and the Past of the Third World https://books.google[...] Verso 2022-10-20
[5] 웹사이트 Governance and Pluralism under the Fatimids (909–996 CE) https://www.iis.ac.u[...]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2022-03-12
[6] 서적 African Foreign Policy and Diplomacy from Antiquity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21-05-03
[7] 서적 An Atlas of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E. Arnold 2021-05-03
[8]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Cultures and Daily Life: Africa https://books.google[...] Gale 2021-05-03
[9] 서적 Algeri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of the Army 2021-05-03
[10] 서적 Abbasid Belles Lett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5-24
[11] 서적 History of Islam Rough Guides 2003
[12]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W. W. Norton & Co., Inc.
[13] 서적 Metalwork in Medieval Islamic Ar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5-08-13
[14] 서적 History of The Arabs Palgrave Macmillan
[15] 서적 The Aghlabids and their Neighbors: Art and Material Culture in Ninth-Century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Brill
[16] 웹사이트 Rock Crystal Ewer from the Keir Collection {{!}} DMA Content Management System https://cms.dma.org/[...] 2024-07-20
[17] 서적 Where Three Worlds Met: Sicily in the Early Medieval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2-04-14
[18]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19]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Brill
[20] 논문 Sabra Al-Mansuriyya And Her Neighbor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Eleventh Century: Investigations Into Stucco Decoration 2009-00-00
[21] 논문 Cairo, a Millennial http://www.saudiaram[...] 2007-08-09
[2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Middle East Westview Press
[23] 서적 Social Fabrics: Inscribed Textiles from Medieval Egyptian Tombs https://www.academia[...] 2024-02-08
[24] 서적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London : Thames and Hudson 1999
[25] 서적 The World of the Fatimids Aga Khan Museum;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Hirmer
[26]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The First Hundred Years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19-02-26
[27] 서적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Page Publishing Inc 2019-02-26
[28] 논문 The Nile: Its Role in the Fortunes and Misfortunes of the Fatimid Dynasty During its Rule of Egypt (969–1171) https://eprints.mdx.[...] 2019-12-02
[29] 논문 Talking Hats: What Documents and Textiles Can Tell Us about Each Other https://www.research[...] 2023-07-14
[30] 서적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London : Thames and Hudson 1999
[31] 논문 Painting in the Fatimid Period: A Reconsideration 2022-10-00
[32]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Edinburgh University Press
[33] 문서 All this [...] and has been variously explained as eccentricity amounting to madness—the verdict of Yahya al-Antaki, who had it from al-Hakim's physician. Such a diagnosis, at such a distance in time and in the absence of any agreed definition of insanity, is unacceptable except as a confession of bafflement, a bafflement which al-Antaki observed in the faithful when they explained his actions as the product of the inscrutable inspiration of the Imam. But it has contributed to the black legend of a murderous maniac which was recounted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by Stanley Lane-Poole in his ''History of Egypt in the Middle Ages''. Since then the effort has gone into finding more plausible explanations in the political and religious circumstances in which al-Hakim took charge of the dynasty's fortunes.
[34] 논문 Droit et messianisme chez les Fatimides de l'an 1000 https://shs.hal.scie[...] 2023-04-27
[35]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Edinburgh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Edinburgh University Press
[37] 서적 A History of Palestine, 634–109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9-23
[38] 학술지 The Turkoman Defeat at Cairo https://www.jstor.or[...] 2022-04-07
[3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5,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4-14
[40] 서적 al Juyushi: A Vision of the Fatemiyeen Graphico Printing Ltd 2002
[41] 웹사이트 Smithsonian Institution https://ids.si.edu/i[...] 2024-02-08
[42] 서적 Men-at-arms series 171 – Saladin and the saracens https://www.ghazali.[...] Osprey publishing 2024-03-09
[43] 서적 It has been said that the Alid rulers of Egypt became fearful when they saw the strength and power of the Saljuq state, that it had gained control of Syrian lands as far as Gaza, leaving no buffer state between the Saljuqs and Egypt to protect them, and that Aqsis had entered Egypt and blockaded it. They therefore sent to the Franks to invite them to invade Syria, to conquer it and separate them and the [other] Muslims, but God knows best.
[44] 서적 A Tale of Two Factions: Myth, Memory, and Identity in Ottoman Egypt and Yeme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8-04-02
[45] 학술지 The symbolism of the Arab flag in modern Arab states: between commonality and uniqueness*: The Symbolism of the Arab Flag https://onlinelibrar[...] 2023-08-08
[46]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47] 서적 Isla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Backgrounds, Development, and Fall of the Arab Empire https://books.google[...] Allyn and Bacon 2020-11-11
[48] 서적 Women and the Fatimids in the World of Islam
[49] 서적 Aspects of the Egyptian Society in the Fatimid Period Peeters Publishers
[50] 웹사이트 Khan al-Khalili https://islamicart.m[...] 2022-03-11
[51] 서적 The World of the Fatimids Aga Khan Museum;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Hirmer
[52] 서적 Le Khan al-Khalili et ses environs: Un centre commercial et artisanal au Caire du XIIIe au XXe siècle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53] 서적 Islamic Monuments in Cairo: The Practical Guide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54] 서적 The World of the Fatimids Aga Khan Museum;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Hirmer
[55] 서적 The World of the Fatimids Aga Khan Museum;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Hirmer
[56] 학술지 Dhimmīs in Fatimid Egypt: A View from the Islamic West 2015
[57] 학술지 Medieval Sunni historians on Fatimid policy and non-Muslim influence 2019
[58] 학술지 Rebuilding the Temple: Constantine Monomachus and the Holy Sepulchre 1989-03
[59] 서적 A History of Medieval Isla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08
[60] 서적 Heresy and the Politics of Community: The Jews of the Fatimid Caliphat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0-11-08
[61] 서적 The Cave Church of Paul the Hermit at the Monastery of St. Pau Yale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Coptic Papacy in Islamic Egypt (641–1517)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63] 서적 Asian and African Studies, Volume 22 Jerusalem Academic Press
[64] 서적 The Druze between Palestine and Israel 1947–49 Springer
[65] 백과사전 The Druze http://www.sacredtri[...]
[66] 서적 The History and Religious Heritage of Old Cairo: Its Fortress, Churches, Synagogue, and Mosque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22-03-14
[67] 서적 Egypt and Syria in the Fatimid, Ayyubid and Mamluk Eras IV: Proceedings of the 9th and 10th International Colloquium Organized at the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in May 2000 and May 2001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68] 서적 Jewish Self-Government in Medieval Egypt: The Origins of the Office of the Head of the Jews, ca. 1065–1126 Princeton University Press
[69] 학술지 Jews and the Fāṭimid Caliphate 2021
[70] 문서 al-Mahdiyya
[71] 백과사전 Ṣabra or al-Manṣūriyya 2024-09-01
[72] 서적 The Fatimids: 1 – The Rise of a Muslim Empire https://books.google[...] I.B. Tauris (in association with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73] 백과사전 al-Ḳāhira 2024-09-01
[74] 논문 Petrography of Islamic pottery from Fustat 1990
[75] 백과사전 Fāṭimid art and architecture Brill
[76] 서적 Architecture of the Islamic West: North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70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2-03-12
[77] 서적 Islamic Architecture in Cairo: An Introduction Brill
[78] 서적 The Fatimids and their Traditions of Learning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and I.B. Tauris
[79] 서적 The Tribes and Castes of Bombay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80] 서적 The Bohras https://books.google[...] Vikas Pub. House
[81] 서적 Mullahs on the Mainfra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08-12
[82] 서적 The Isma'ilis: Their History and Doctrin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8-12
[83] 서적 私市 (2002)
[84] 서적 私市 (2002)
[85] 서적 ヒッティ (1983)
[86] 서적 私市 (2002)
[87] 서적 私市 (2002)
[88] 서적 私市 (2002)
[89] 서적 私市 (2002)
[90] 서적 私市 (2002)
[91] 서적 私市 (2002)
[92] 서적 私市 (2002)
[93] 서적 私市 (2002)
[94] 서적 私市 (2002)
[95] 서적 三浦 (2002)
[96] 서적 ヒッティ (1983)
[97] 서적 ヒッティ (1983)
[98] 서적 三浦 (2002)
[99] 서적 ヒッティ (1983)
[100] 서적 ルイス (2001)
[101] 서적 ホーラーニー (2003)
[102] 서적 三浦 (2002)
[103] 서적 私市 (2002)
[104] 서적 三浦 (2002)
[105] 서적 三浦 (2002)
[106] 서적 三浦 (2002)
[107] 서적 世界の都市の物語10 カイロ 文藝春秋社 1992-10-20
[108] 서적 三浦 (2002)
[109] 서적 ヒッティ (1983)
[110] 서적 三浦 (2002)
[111] 서적 三浦 (2002)
[112] 서적 ルイス (2001)
[113] 서적 三浦 (2002)
[114] 서적 ヒッティ (1983)
[115] 서적 私市 (2002)
[116] 서적 ヒッティ (1983)
[117] 서적 西アジア史 1:アラブ 山川出版社 2002
[118] 서적 Daftary, 1990
[119] 서적 Ibn Khaldun: The Birth of History and the Past of the Third World https://books.google[...] Verso 1984
[120] 웹사이트 Governance and Pluralism under the Fatimids (909–996 CE) https://web.archive.[...]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2022-03-12
[121] 서적 African Foreign Policy and Diplomacy from Antiquity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
[122] 서적 An Atlas of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E. Arnold 1958
[123]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Cultures and Daily Life: Africa https://books.google[...] Gale 2009
[124] 서적 Algeri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of the Army 1979
[125] 서적 Abbasid Belles Lett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26] 서적 History of Islam https://archive.org/[...] Rough Guides 2003
[127]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Inc 2011
[128] 서적 Metalwork in Medieval Islamic Ar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83
[129] 웹사이트 아랍 제국의 삼국 시대, 흑의대식·백의대식·녹의대식 https://k.sina.cn/ar[...]
[130] 웹사이트 우리 모두 백의대식, 흑의대식, 녹의대식을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대식(大食)이란 무엇인가? https://www.163.com/[...]
[131] 서적 The Aghlabids and their Neighbors: Art and Material Culture in Ninth-Century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Brill 2017
[132] 서적 Where Three Worlds Met: Sicily in the Early Medieval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7
[133]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134]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2012
[135] 저널 Sabra Al-Mansuriyya And Her Neighbor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Eleventh Century: Investigations Into Stucco Decoration 2009
[136] 저널 Cairo, a Millennial https://web.archive.[...] 2007-08-09
[13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2002
[138] 서적 Social Fabrics: Inscribed Textiles from Medieval Egyptian Tombs https://www.academia[...] 2021-01-01
[139] 서적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London : Thames and Hudson 1999
[140] 서적 The World of the Fatimids Aga Khan Museum;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Hirmer 2018
[14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The First Hundred Years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19-02-26
[142] 서적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Page Publishing Inc 2019-02-26
[143] 저널 The Nile: Its Role in the Fortunes and Misfortunes of the Fatimid Dynasty During its Rule of Egypt (969–1171) https://eprints.mdx.[...] 2015-01-01
[144] 저널 Talking Hats: What Documents and Textiles Can Tell Us about Each Other https://www.research[...] 2023-07-14
[145] 서적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London : Thames and Hudson 1999-01-01
[146] 저널 Painting in the Fatimid Period: A Reconsideration 2022-10-01
[147]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48] 서적 Egypt in the Middle Ages
[149] 저널 Droit et messianisme chez les Fatimides de l'an 1000 https://shs.hal.scie[...] 2022-01-01
[150]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51] 서적 A History of Palestine, 634–109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01-01
[152] 저널 The Turkoman Defeat at Cairo https://www.jstor.or[...] 1906-01-01
[15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5,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4] 서적 al Juyushi: A Vision of the Fatemiyeen Graphico Printing Ltd 2002-01-01
[155] 서적 The Aga Khans The Bodley Head 1970-01-01
[156] 서적 The Assassins: a Radical Sect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157] 백과사전 Ḥasan-e Ṣabbāḥ https://www.britann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서적
[159]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60] 서적 The World of the Fatimids Aga Khan Museum;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Hirmer
[161] 서적 The World of the Fatimids Aga Khan Museum;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Hirmer
[162] 저널 Dhimmīs in Fatimid Egypt: A View from the Islamic West 2015-01-01
[163] 저널 Medieval Sunni historians on Fatimid policy and non-Muslim influence 2019-01-01
[164] 저널 Rebuilding the Temple: Constantine Monomachus and the Holy Sepulchre 1989-03-01
[165] 서적 A History of Medieval Islam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6] 서적 Heresy and the Politics of Community: The Jews of the Fatimid Caliphat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67] 서적 The Cave Church of Paul the Hermit at the Monastery of St. Pau Yale University Press
[168] 서적 The Coptic Papacy in Islamic Egypt (641–1517)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169] 서적 Asian and African Studies, Volume 22 Jerusalem Academic Press
[170] 서적 The Druze between Palestine and Israel 1947–49 Springer
[171] 백과사전 The Druze http://www.sacredtri[...]
[172] 서적 The History and Religious Heritage of Old Cairo: Its Fortress, Churches, Synagogue, and Mosque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73] 서적 Egypt and Syria in the Fatimid, Ayyubid and Mamluk Eras IV: Proceedings of the 9th and 10th International Colloquium Organized at the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in May 2000 and May 2001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174] 서적 Jewish Self-Government in Medieval Egypt: The Origins of the Office of the Head of the Jews, ca. 1065–1126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5] 저널 Jews and the Fāṭimid Caliphate 2021-01-01
[176] 블로그 파티마 왕조의 역사 https://blog.naver.c[...]
[177] 백과사전 al-Mahdiyya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2017-04-24
[178] 백과사전 Ṣabra or al-Manṣūriyya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2017-04-24
[179] 서적 The Fatimids: 1 - The Rise of a Muslim Empire https://books.google[...] I.B. Tauris (in association with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180] 백과사전 al-Ḳāhira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2017-04-24
[181] 논문 Petrography of Islamic pottery from Fustat 1990
[182] 백과사전 Fāṭimid art and architecture Brill
[183] 서적 Architecture of the Islamic West: North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70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84] 서적 Islamic Architecture in Cairo: An Introduction E.J. Brill
[185] 서적 The Fatimids and their Traditions of Learning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and I.B. Tauris
[186] 백과사전 al-ʿAzīz Biʾllāh EI2
[187]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Arab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Macmillan Education UK 2002
[188]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Fatamid Caliphate https://archive.org/[...] 1923
[189] 웹인용 MÜSTA'LÎ-BİLLÂH el-FÂTIMÎ -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190] 웹인용 MUSTANSIR BILLAH I (427-487/1036-1095), 18TH IMAM http://ismaili.net/h[...] 2022-02-13
[191] 웹인용 MÜSTA'LÎ-BİLLÂH el-FÂTIMÎ -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192] 웹인용 MUSTANSIR BILLAH I (427-487/1036-1095), 18TH IMAM http://ismaili.net/h[...] 2022-02-13
[193] 웹인용 MÜSTA'LÎ-BİLLÂH el-FÂTIMÎ -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194] 웹인용 MUSTANSIR BILLAH I (427-487/1036-1095), 18TH IMAM http://ismaili.net/h[...] 2022-02-15
[195] 웹인용 MÜSTA'LÎ-BİLLÂH el-FÂTIMÎ -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196] 웹인용 MUSTANSIR BILLAH I (427-487/1036-1095), 18TH IMAM http://ismaili.net/h[...] 2022-02-15
[197] 서적 The Ismā'īlīs: Their History and Doctrines Cambridge Univ.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