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보물 (2010년대 전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보물 (2010년대 전반)은 선사시대부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건축, 회화, 조각, 공예, 전적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유산을 다룬다. 2010년대 전반에는 건축, 회화, 조각, 공예, 전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유물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은 이러한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는 대한민국 정부가 지정한 보물 중 1호부터 100호까지의 문화재 목록으로, 석탑, 불상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정보를 담고 있으며, 문화유산 보존 및 관리에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국보 (2020년대)
    2020년대 대한민국의 국보는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이순신 장검,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등 과학, 불교, 회화,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재를 포함하며, 2021년 문화재 일련번호 폐지로 국보 제336호가 마지막 일련번호 국보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보물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보물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대한민국의 보물 (2010년대 전반)

2. 선사시대

선사시대의 유적과 유물은 한반도에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문자가 사용되기 이전까지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하위 섹션에서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에 대한 내용이 모두 없으므로, 이 문장 외에 추가적인 내용은 작성하지 않음)

2. 1. 구석기 시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구석기 시대와 관련된 유물이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2. 2. 신석기 시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신석기 시대'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내용을 생성할 수 없다는 결과를 출력합니다.

2. 3. 청동기 시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청동기 시대와 관련된 유물이나 유적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다. 따라서 '청동기 시대'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역사시대

역사시대는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의 시기로, 한국사에서는 고조선,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으로 이어진다.

고조선은 한국 최초의 국가로,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성립되었다.

삼국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각자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킨 시기이다.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농경문 청동기가 있다.

고려불교를 국교로 삼아 숭상하였으며, 청자, 금속활자 등 독창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조선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은 국가였다.

대한제국조선 말기에 수립된 황제 국가로, 고종이 1897년 황제로 즉위하면서 성립되었다.

대한민국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많은 문화유산이 훼손되거나 소실되었으나, 꾸준한 복원 노력과 새로운 문화유산 발굴을 통해 문화 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3. 1. 고조선

高朝鮮중국어은 한국 최초의 국가로,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성립되었다. 관련 유물로는 비파형 동검, 미송리식 토기 등이 있다.

3. 2. 삼국시대

삼국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각자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킨 시기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불교 문화가 크게 융성하였다.

삼국시대 주요 보물
명칭지정 번호지정일비고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제1844호2014년 12월 31일신라의 금속 공예 기술
농경문 청동기제1823호2014년 5월 9일농경 장면 묘사
부여 사택지적비제1845호2014년 12월 31일백제 귀족의 불교 귀의 내용


3. 2. 1. 고구려

고구려는 강인한 기상과 뛰어난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광활한 영토를 경영하였다. 고구려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광개토대왕릉비, 안악 3호분 벽화 등이 있다.

3. 2. 2. 백제

부여 사택지적비백제의 귀족 출신인 사택지적이 노년에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인생의 덧없음을 한탄하고 불교에 귀의하는 내용을 담은 비석이다.

3. 2. 3. 신라

신라는 화려한 금속 공예 기술과 불교 문화를 꽃피웠다. 신라의 유물은 불교 관련 유물이 많으며, 정교하고 섬세한 공예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전해진다.

3. 3. 통일신라



분류:대한민국의 보물

3. 4. 고려

요약에 따르면,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아 숭상하였으며, 청자, 금속활자 등 독창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고려청자, 팔만대장경, 직지심체요절 등이 있다.

제시된 자료에 고려시대에 제작된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 유물
종류명칭지정 번호비고
불화묘법연화경 권4~7보물 제766-2호[1]
불상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보물 제1633호
불상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634호
불상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635호
불상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제1636호
불상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 제1637호
불화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보물 제1638호
불화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보물 제1639호
불화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보물 제1640호
불화상주 남장사 감로왕도보물 제1641호
불화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보물 제1642호
불화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보물 제1643호
불화예천 용문사 천불도보물 제1644호
범종안동 광흥사 동종보물 제1645호
불경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보물 제1646호
목판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보물 제1647호
석비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보물 제1648호
불상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보물 제1649호
불상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보물 제1650호
서예대혜보각선사서보물 제1662호
불경묘법연화경 권3~4, 5~7보물 제1164-2호
불경초조본 불정최승다라니경보물 제1836호
불경초조본 불설문수사리일백팔명범찬보물 제1837호
불경초조본 법원주림 권82보물 제1838호
불경초조본 불설일체여래금강삼업최상비밀대교왕경 권4보물 제1839호


3. 5. 조선

조선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건국되었으며, 500년 동안 왕조를 이어오면서 다양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조선시대에는 왕실, 유교, 불교,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보물들이 지정되었다.

2010년 4월 23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된 통영 측우대국립중앙과학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과학기술과 관련된 유물이다.

3. 5. 1. 왕실 문화

조선 왕실은 위엄과 권위를 상징하는 다양한 유물을 제작했다.

조선 왕실 관련 유물
유물 종류대표 유물설명
조선의 어필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효종어필 칠언시, 숙종어필 칠언시,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 영조어필-숙빈최씨소령묘갈문원고, 영조어필-읍궁진장첩, 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 정조어필-제문상정사, 정조어필-시국제입장제생조선 왕실의 왕이나 왕비가 직접 쓴 글씨
공신녹권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공신에게 발급된 문서


3. 5. 2. 유교 문화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가치관을 반영한 건축물과 서적이 많이 만들어졌다.

조선시대 유교 관련 보물
번호명칭지정일
보물 제592-2호허목 전서 함취당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592-3호허목 전서 애군우국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592-4호허목 전서 한간문 등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078-2호한호 필적-석봉진적첩2010년 1월 4일
보물 제1078-3호한호 필적-석봉한호해서첩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22호서거정 필적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23호성수침 필적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24호양사언 초서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25-1호황기로 초서-이군옥시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25-2호황기로 초서-차운시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26호김현성 필적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27호인목왕후 어필 칠언시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28호효종어필 칠언시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30호숙종어필 칠언시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31-1호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31-2호영조어필-숙빈최씨소령묘갈문원고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31-3호영조어필-읍궁진장첩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32-1호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32-2호정조어필-제문상정사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32-3호정조어필-시국제입장제생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57호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2010년 8월 25일
보물 제1659호천자문2010년 8월 25일
보물 제1664호풍아익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67호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68호이지정 초서 취영구절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69호조문수 필적 위심수재서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0호조속 초서 창강필적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1호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2-1호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2-2호송준길 행초 서증손병하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3호이하진 필적 천금물전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4호박세당 필적 서계유묵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5호박태유 필적 백석유묵첩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6호윤순 필적 고시서축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7-1호이광사 행서 화기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7-2호이광사 필적 원교법첩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8호송문흠 예서 경재잠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79호이인상 전서 원령필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80호강세황 행초 표암유채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81호이한진 전예 경산전팔쌍절첩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82호유한지 예서 기원첩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83-1호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83-2호정약용 필적 하피첩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84호신위 해서 천자문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85-1호김정희 해서 묵소거사자찬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685-2호김정희 예서대련 호고연경2010년 10월 25일
보물 제1815호홍가신 청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2014년 1월 20일
보물 제1825호의성 만취당2014년 6월 5일
보물 제1835호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2014년 10월 20일


3. 5. 3. 불교 문화

조선시대에는 억불숭유 정책으로 인해 불교가 쇠퇴하였으나, 민간 신앙으로 명맥을 유지하며 사찰 건축, 불화, 불상 등 불교 유산이 꾸준히 제작되었다.

3. 5. 4. 과학 기술



2010년 4월 23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된 통영 측우대국립중앙과학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과학기술과 관련된 유물이다.

3. 6. 대한제국

大韓帝國중국어조선 말기에 수립된 황제 국가로, 고종이 1897년 황제로 즉위하면서 성립되었다. 대한제국은 근대화를 추진하였으나, 1910년 일본에 의해 강제 병합되면서 멸망하였다.

이 시기에는 석조전, 환구단 등 서양식 건축물이 건립되었으며, 근대적인 문물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일본의 간섭과 침략으로 인해 대한제국의 자주적인 근대화 노력은 좌절되었다.

3. 7.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많은 문화유산이 훼손되거나 소실되었으나, 꾸준한 복원 노력과 새로운 문화유산 발굴을 통해 문화 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2010년~2014년 지정된 대한민국의 보물
번호명칭지정일
592-2호허목 전서 함취당2010년 10월 25일
592-3호허목 전서 애군우국2010년 10월 25일
592-4호허목 전서 한간문 등2010년 10월 25일
766-2호묘법연화경 권4~72010년 10월 25일
1078-2호한호 필적-석봉진적첩2010년 1월 4일
1078-3호한호 필적-석봉한호해서첩2010년 1월 4일
1622호서거정 필적2010년 1월 4일
1623호성수침 필적2010년 1월 4일
1624호양사언 초서2010년 1월 4일
1625-1호황기로 초서-이군옥시2010년 1월 4일
1625-2호황기로 초서-차운시2010년 1월 4일
1626호김현성 필적2010년 1월 4일
1627호인목왕후 어필 칠언시2010년 1월 4일
1628호효종어필 칠언시2010년 1월 4일
1629-1호신한첩 - 신한첩 건2010년 1월 4일
1629-2호신한첩 - 신한첩 곤2010년 1월 4일
1630호숙종어필 칠언시2010년 1월 4일
1631-1호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2010년 1월 4일
1631-2호영조어필-숙빈최씨소령묘갈문원고2010년 1월 4일
1631-3호영조어필-읍궁진장첩2010년 1월 4일
1632-1호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2010년 1월 4일
1632-2호정조어필-제문상정사2010년 1월 4일
1632-3호정조어필-시국제입장제생2010년 1월 4일
1633호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2010년 2월 24일
1634호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2010년 2월 24일
1635호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2010년 2월 24일
1636호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2010년 2월 24일
1637호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10년 2월 24일
1638호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2010년 2월 24일
1639호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2010년 2월 24일
1640호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2010년 2월 24일
1641호상주 남장사 감로왕도2010년 2월 24일
1642호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2010년 2월 24일
1643호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2010년 2월 24일
1644호예천 용문사 천불도2010년 2월 24일
1645호안동 광흥사 동종2010년 2월 24일
1646호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2010년 2월 24일
1647호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2010년 2월 24일
1648호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2010년 2월 24일
1649호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2010년 4월 23일
1650호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2010년 4월 23일
1651호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2010년 4월 23일
1652호통영 측우대2010년 4월 23일
1653호자비도량참법집해2010년 6월 28일
1654호신편산학계몽2010년 6월 28일
1655호노자권재구의2010년 6월 28일
1656호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2010년 7월 5일
1657호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2010년 8월 25일
1658호재조본 유가사지론 권422010년 8월 25일
1659호천자문2010년 8월 25일
1660호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2010년 8월 25일
1661호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전적2010년 8월 25일
1662호대혜보각선사서2010년 10월 25일
1663호대승기신론의기 권상, 하2010년 10월 25일
1664호풍아익2010년 10월 25일
1665호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2010년 10월 25일
1666호봉화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2010년 10월 25일
1667호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2010년 10월 25일
1668호이지정 초서 취영구절2010년 10월 25일
1669호조문수 필적 위심수재서2010년 10월 25일
1670호조속 초서 창강필적2010년 10월 25일
1671호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2010년 10월 25일
1672-1호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2010년 10월 25일
1672-2호송준길 행초 서증손병하2010년 10월 25일
1673호이하진 필적 천금물전2010년 10월 25일
1674호박세당 필적 서계유묵2010년 10월 25일
1675호박태유 필적 백석유묵첩2010년 10월 25일
1676호윤순 필적 고시서축2010년 10월 25일
1677-1호이광사 행서 화기2010년 10월 25일
1677-2호이광사 필적 원교법첩2010년 10월 25일
1678호송문흠 예서 경재잠2010년 10월 25일
1679호이인상 전서 원령필2010년 10월 25일
1680호강세황 행초 표암유채2010년 10월 25일
1681호이한진 전예 경산전팔쌍절첩2010년 10월 25일
1682호유한지 예서 기원첩2010년 10월 25일
1683-1호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2010년 10월 25일
1683-2호정약용 필적 하피첩2010년 10월 25일
1684호신위 해서 천자문2010년 10월 25일
1685-1호김정희 해서 묵소거사자찬2010년 10월 25일
1685-2호김정희 예서대련 호고연경2010년 10월 25일
1686호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10년 12월 21일
1687호진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2010년 12월 21일
1688호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2010년 12월 21일
1689호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010년 12월 21일
1690호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10년 12월 21일
1691호함양 법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10년 12월 21일
1692호통영 안정사 영산회괘불도2010년 12월 21일
1693호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2010년 12월 21일
1694호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2010년 12월 21일
1695호하동 쌍계사 괘불도2010년 12월 21일
1696호하동 쌍계사 감로왕도2010년 12월 21일
1697호합천 해인사 감로왕도2010년 12월 21일
1698호진주 삼선암 동종2010년 12월 21일
1699호통영 안정사 동종2010년 12월 21일
1700호거창 고견사 동종2010년 12월 21일
1701호하동 쌍계사 동종2010년 12월 21일
1164-2호묘법연화경 권3~4, 5~72014년 1월 20일
1811호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2014년 1월 20일
1812호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전적2014년 1월 20일
1813호대구 용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2014년 1월 20일
1814호대구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2014년 1월 20일
1815호홍가신 청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2014년 1월 20일
1816호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2014년 3월 11일
1817호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2014년 3월 11일
1818호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2014년 3월 11일
1819호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2014년 3월 11일
1820호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2014년 3월 11일
1821호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014년 3월 11일
1822호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014년 3월 11일
1823호농경문 청동기2014년 5월 9일
1824호기장 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2014년 5월 9일
1825호의성 만취당2014년 6월 5일
1826호양산 통도사 영산전2014년 6월 5일
1827호양산 통도사 대광명전2014년 6월 5일
1828호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2014년 7월 2일
1829호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2014년 7월 2일
1830호분청사기 상감 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2014년 7월 2일
1831호의성 대곡사 대웅전2014년 7월 3일
1832호인제 봉정암 오층석탑2014년 7월 3일
1833호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2014년 9월 11일
1834호나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 삼존상 및 소조십육나한좌상2014년 9월 11일
1835호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2014년 10월 20일
1836호초조본 불정최승다라니경2014년 10월 20일
1837호초조본 불설문수사리일백팔명범찬2014년 10월 20일
1838호초조본 법원주림 권822014년 10월 20일
1839호초조본 불설일체여래금강삼업최상비밀대교왕경 권42014년 10월 20일
1840호청송 보광사 극락전2014년 12월 17일
1841호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2014년 12월 31일
1842호익산 관음사 목조보살입상2014년 12월 31일
1843호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2014년 12월 31일
1844호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2014년 12월 31일
1845호부여 사택지적비2014년 12월 31일
1846호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82014년 12월 31일
1847호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42014년 12월 31일
1848호목우자수심결(언해)2014년 12월 31일
1849호남해 용문사 대웅전2014년 12월 29일
1850호대구 파계사 원통전2014년 12월 29일


4. 종류별 문화유산

2010년대 전반에 걸쳐 지정된 대한민국의 보물은 건축, 회화, 조각, 공예, 전적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유산을 포괄한다. 이 시기에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귀중한 유물들이 보물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2010년대 전반 보물로 지정된 주요 문화유산
분야주요 내용
건축의성 만취당, 양산 통도사 영산전 등 사찰, 서원, 민가 건축물
회화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 등 불교 회화 및 초상화
조각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등 불상 조각
공예농경문 청동기, 분청사기 상감 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 등 청동기, 도자기 유물
전적허목 전서 함취당, 묘법연화경 권4~7 등 고문서, 서책, 목판


4. 1. 건축

한국의 건축 문화유산은 궁궐, 사찰, 서원, 향교, 민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각 건축물은 시대적 특징과 기능을 반영하고 있다. 다음은 2010년대 전반에 보물로 지정된 건축물 중 일부이다.

2010년대 전반 보물로 지정된 건축물(일부)
번호명칭지정일
1825호의성 만취당2014년 6월 5일
1826호양산 통도사 영산전2014년 6월 5일
1827호양산 통도사 대광명전2014년 6월 5일
1831호의성 대곡사 대웅전2014년 7월 3일
1832호인제 봉정암 오층석탑2014년 7월 3일
1840호청송 보광사 극락전2014년 12월 17일
1849호남해 용문사 대웅전2014년 12월 29일
1850호대구 파계사 원통전2014년 12월 29일


4. 2. 회화

(단체)지정일참조1638호--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경북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산 12 수다사수다사2010년 2월 24일[1]1639호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대구 동구 팔공산로201길 41, 동화사 (도학동)동화사2010년 2월 24일1640호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경북 문경시 산북면 김용길 372, 김용사 (김용리)김룡사2010년 2월 24일1641호--상주 남장사 감로왕도경북 상주시 남장1길 259-22, 남장사 (남장동)남장사2010년 2월 24일1642호--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봉정사 (태장리)봉정사2010년 2월 24일1643호--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봉정사 (태장리)봉정사2010년 2월 24일1644호--예천 용문사 천불도경북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용문사 (내지리)용문사2010년 2월 24일1651호--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 갑사 (중장리)갑사2010년 4월 23일1692호--통영 안정사 영산회괘불도경남 통영시 광도면 안정1길 363, 안정사 (안정리)안정사2010년 12월 21일1693호--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경남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옥천사 (북평리)옥천사2010년 12월 21일1694호--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경남 고성군 하이면 와룡2길 248-28, 운흥사 (와룡리)운흥사2010년 12월 21일1695호--하동 쌍계사 괘불도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쌍계사2010년 12월 21일1696호--하동 쌍계사 감로왕도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쌍계사2010년 12월 21일1697호--합천 해인사 감로왕도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해인사2010년 12월 21일1816호--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경남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 관룡사길 171.2014년 3월 11일1817호--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2014년 3월 11일






4. 3. 조각

한국의 조각은 불교의 영향을 크게 받아 불상, 석탑, 석등, 부도 등 불교 관련 유물이 주를 이룬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식으로 제작되었으며, 각 시대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2010년대 전반에 지정된 조각 분야 보물은 다음과 같다.

2010년대 전반에 지정된 조각 분야 보물
번호명칭지정일
1633호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2010년 2월 24일
1634호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2010년 2월 24일
1635호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2010년 2월 24일
1636호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2010년 2월 24일
1637호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10년 2월 24일
1649호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2010년 4월 23일
1660호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2010년 8월 25일
1666호봉화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2010년 10월 25일
1686호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10년 12월 21일
1687호진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2010년 12월 21일
1688호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2010년 12월 21일
1689호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010년 12월 21일
1690호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10년 12월 21일
1691호함양 법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2010년 12월 21일
1811호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2014년 1월 20일
1813호대구 용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2014년 1월 20일
1814호대구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2014년 1월 20일
1818호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2014년 3월 11일
1819호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2014년 3월 11일
1820호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2014년 3월 11일
1821호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014년 3월 11일
1822호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2014년 3월 11일
1824호기장 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2014년 5월 9일
1828호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2014년 7월 2일
1829호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2014년 7월 2일
1833호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2014년 9월 11일
1834호나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 삼존상 및 소조십육나한좌상2014년 9월 11일
1841호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2014년 12월 31일
1842호익산 관음사 목조보살입상2014년 12월 31일
1843호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2014년 12월 31일


4. 4. 공예

다음은 대한민국의 보물 중 공예 분야 유물 목록이다.

2010년 ~ 2014년 지정된 대한민국의 보물 (공예)
번호명칭지정일
1823호농경문 청동기2014년 5월 9일
1830호분청사기 상감 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2014년 7월 2일
1844호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2014년 12월 31일


4. 5. 전적

한국의 전적은 고문서, 서책, 목판 등 다양한 형태로 전해지며, 역사, 문화, 사상, 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담고 있다. 다음은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된 전적의 일부이다.

번호사진명칭소재지관리자(단체)지정일참조
592-2호허목 전서 함취당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박물관고려대학교박물관2010년 10월 25일
592-3호허목 전서 애군우국부산 남구남화진2010년 10월 25일
592-4호허목 전서 한간문 등서울 성북구이정용2010년 10월 25일
766-2호묘법연화경 권4~7경기 성남시 분당구 쇳골북로32번길 6, 304동 104호 (금곡동,하이츠빌리지아파트)김소현2010년 10월 25일
1078-2호
한호 필적-석봉진적첩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월 4일
1078-3호한호 필적-석봉한호해서첩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신문로2가,서울역사박물관)서울역사박물관2010년 1월 4일
1622호서거정 필적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 (상갈동)경기도박물관2010년 1월 4일
1623호성수침 필적대전 유성구 노은동길 100, 대전선사박물관 (노은동,대전선사박물관)대전선사박물관2010년 1월 4일
1624호양사언 초서서울 마포구 백범로 35, 서강대학교박물관 (신수동,서강대학교)서강대학교박물관2010년 1월 4일
1625-1호황기로 초서-이군옥시강원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 오죽헌시립박물관 (죽헌동)오죽헌시립박물관2010년 1월 4일
1625-2호황기로 초서-차운시서울 종로구 견지동 93 동산방 화랑박우홍2010년 1월 4일
1626호김현성 필적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월 4일
1627호인목왕후 어필 칠언시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사 (칠장리)칠장사2010년 1월 4일
1628호효종어필 칠언시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월 4일
1629-1호신한첩 - 신한첩 건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 (명암동,국립청주박물관)국립청주박물관2010년 1월 4일, 2017년 10월 31일 보물 1947호로 재지정
1629-2호신한첩 - 신한첩 곤대구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동산도서관 (신당동,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2010년 1월 4일, 2017년 10월 31일 보물 1947호로 재지정
1630호숙종어필 칠언시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 (상갈동)경기도박물관2010년 1월 4일
1631-1호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운중동)한국학중앙연구원2010년 1월 4일
1631-2호영조어필-숙빈최씨소령묘갈문원고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운중동)한국학중앙연구원2010년 1월 4일
1631-3호
영조어필-읍궁진장첩경기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5, 수원역사박물관 (이의동,수원역사박물관)수원박물관2010년 1월 4일
1632-1호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진주성)국립진주박물관2010년 1월 4일
1632-2호
정조어필-제문상정사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월 4일
1632-3호정조어필-시국제입장제생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운중동)한국학중앙연구원2010년 1월 4일
1646호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 (견지동,광교빌딩)불교중앙박물관2010년 2월 24일
1647호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65-1 심원사심원사2010년 2월 24일
1653호자비도량참법집해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천동,청주고인쇄박물관)청주고인쇄박물관2010년 6월 28일
1654호신편산학계몽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천동,청주고인쇄박물관)청주고인쇄박물관2010년 6월 28일
1655호노자권재구의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천동,청주고인쇄박물관)청주고인쇄박물관2010년 6월 28일
1657호--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국립고궁박물관2010년 8월 25일
1658호재조본 유가사지론 권42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로 115-22, 원각사 (탄현동)원각사2010년 8월 25일
1659호천자문경기 성남시김자현2010년 8월 25일
1662호
대혜보각선사서
대혜보각선사서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국립고궁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63호대승기신론의기 권상, 하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국립고궁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64호풍아익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기양사(岐陽祠)백인순2010년 10월 25일
1665호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서울 강남구 언주로 827, 코리아나화장박물관 (신사동,코리아나아트센타)코리아나 화장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67호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대흥사 (구림리)대흥사2010년 10월 25일
1668호이지정 초서 취영구절서울 강남구조창현2010년 10월 25일
1669호조문수 필적 위심수재서서울 강남구조창현2010년 10월 25일
1670호조속 초서 창강필적서울 종로구안백순2010년 10월 25일
1671호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72-1호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2010년 10월 25일
1672-2호송준길 행초 서증손병하대전 유성구 노은동길 100, 대전선사박물관 (노은동,대전선사박물관)대전선사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73호이하진 필적 천금물전경기 안산시 상록구 성호로 131-0 (성호(이익)기념관)성호(이익)기념관2010년 10월 25일
1674호박세당 필적 서계유묵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운중동)한국학중앙연구원2010년 10월 25일
1675호
박태유 필적 백석유묵첩경기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5, 수원박물관 (이의동,수원역사박물관)수원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76호윤순 필적 고시서축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77-1호이광사 행서 화기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77-2호이광사 필적 원교법첩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78호송문흠 예서 경재잠서울 종로구안백순2010년 10월 25일
1679호이인상 전서 원령필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80호강세황 행초 표암유채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 (상갈동)경기도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81호이한진 전예 경산전팔쌍절첩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국립고궁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82호
유한지 예서 기원첩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북16길 11 (월영동,경남대학교)경남대학교2010년 10월 25일
1683-1호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서울 송파구윤홍식2010년 10월 25일
1683-2호정약용 필적 하피첩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국립고궁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84호신위 해서 천자문서울 서초구신광현2010년 10월 25일
1685-1호
김정희 해서 묵소거사자찬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2010년 10월 25일
1685-2호김정희 예서대련 호고연경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삼성미술관 리움2010년 10월 25일
1815호홍가신 청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충남 아산시 염치읍 만전당길 120번길 3-20번지.2014년 1월 20일
1164-2호묘법연화경 권3~4, 5~7서울 성북구 보문사길 20 (보문동3가)대한불교조계종 보문사2014년 1월 20일
1835호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경북 고령군 덕곡면 노리 377번지정연동2014년 10월 20일
1836호초조본 불정최승다라니경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 152길 53 호림박물관성보문화재단2014년 10월 20일
1837호초조본 불설문수사리일백팔명범찬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 152길 53 호림박물관성보문화재단2014년 10월 20일
1838호초조본 법원주림 권82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 152길 53 호림박물관성보문화재단2014년 10월 20일
1839호초조본 불설일체여래금강삼업최상비밀대교왕경 권4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 152길 53 호림박물관성보문화재단2014년 10월 20일
1846호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8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 152길 53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2014년 12월 31일
1847호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4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 152길 53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2014년 12월 31일
1848호목우자수심결(언해)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4가 한신휴아파트 116동 401호임홍재2014년 12월 31일


5. 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은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화재청은 문화유산 보존, 관리, 활용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며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정비한다. 민간단체와 개인도 문화유산 지킴이 활동, 문화유산 관련 교육 및 홍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에 참여하고 있다.

6. 결론

대한민국의 유형문화 유산은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소중한 자산이다. 이러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것은 현재 세대의 책임이자 미래 세대에 대한 의무이다. 문화유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통해 문화유산의 가치를 높이고, 문화유산을 통해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