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 항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책 항공사는 특정 국가를 상징하며 정부가 지정한 항공사를 의미한다. 국적 항공사가 해당 국가의 국적을 가진 모든 항공사를 포괄하는 것과 달리, 국책 항공사는 국가의 상징(국명, 국기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받은 항공사를 지칭한다. 국책 항공사는 정부 소유 여부와는 관계없이 지정될 수 있으며, 과거에는 정부의 지원과 보호를 받으며 국제선 운항권을 우선적으로 배분받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항공 규제 완화와 자유화 추세에 따라 단일 국책 항공사의 개념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 국책 항공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대한항공, 일본항공, 에어 프랑스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책 항공사 - 일본항공
일본항공은 1951년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국적 항공사로, 경영 위기와 회사 정리법 신청 후 민영화되었으며, 현재는 원월드 회원사로서 최신 기종을 도입하여 국제선 및 국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고객 편의성 증대에 힘쓰고 있다. - 국책 항공사 - 중국국제항공
중국국제항공은 1988년 설립되어 중국항공총공사 등과의 합병을 거쳐 에어차이나가 되었으며, 스타얼라이언스에 가입하여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영 항공사이다. - 항공 - 항공기
항공기는 공기보다 가볍거나 무거운 기체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동력 또는 무동력 비행체로, 비행 원리, 동력 유무, 탑승 인원,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현대 사회의 필수적인 운송 수단으로 친환경 항공기 개발이 진행 중이다. - 항공 - 시차증
시차증은 여러 시간대 이동으로 생체리듬이 깨지면서 수면 장애, 소화 불량, 두통, 피로 등을 유발하는 현상이며, 빛 노출 조절, 멜라토닌 복용 등으로 관리하고 조울증 재발 및 자살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대만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 대만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국책 항공사 | |
---|---|
개요 | |
유형 | 항공사 또는 해운 회사 |
정의 | 특정 국가와 연관되어 국가를 대표하는 운송 회사 |
다른 이름 | 국적 항공사 국책 항공사 |
특징 | |
지위 | 정부 소유 또는 정부 지원을 받는 경우가 많음 국가의 상징적인 존재로 여겨짐 |
역할 | 국가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관광 산업을 진흥하는 역할 국제적인 사업을 수행하며 국가의 위상을 높임 |
역사 | 과거에는 대부분 정부 소유였으나, 현재는 민영화되는 추세 일부 국가는 자국 항공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 |
예시 | |
항공사 | 대한항공 (대한민국) 에어프랑스 (프랑스) 루프트한자 (독일) 브리티시 에어웨이즈 (영국) 일본항공 (일본) 중국국제항공 (중국) 에어 캐나다 (캐나다) |
해운 회사 | USOcean.com (미국) |
참고 | |
관련 용어 | 국적 항공사 국책 항공사 본국 항공사 |
추가 정보 | 일부 항공사는 국적 항공사 지위를 얻기 위해 노력 국적 항공사 지위는 국가의 상징성 및 경제적 이익과 관련됨 |
2. 국적기와의 차이점
국적기는 특정 국가의 국적을 가진 모든 항공사를 지칭하는 반면, 국책 항공사는 해당 국가를 대표하는 상징(국기, 국가명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특별히 허가한 항공사를 의미한다. 대한항공은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영문 명칭 'Korea'와 태극 도안을 독점적으로 사용하여 국책 항공사로 인정받지만, 아시아나항공은 국적기이지만 국책 항공사는 아니다. 일본항공(JAL)은 'Japan'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일본의 국책 항공사로 기능한다. 국책 항공사는 민영화 여부와 관계없이 지정될 수 있다.
다음은 각 국가 및 지역별 국책 항공사를 현재 국가 소유권 현황, 민영화 여부 등과 함께 나열한 것이다.
3. 역사적 배경
"국적 항공사(flag carrier)"라는 용어는 상업 항공 초기에 각국 정부가 항공사 운영에 필요한 높은 자본 비용 때문에 국영 항공사를 설립하여 운영하던 시대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모든 국적 항공사가 정부 소유였던 것은 아니다. 팬암(Pan Am), TWA, 캐세이퍼시픽(Cathay Pacific), UTA 프랑스항공(Union de Transports Aériens), 캐나다 퍼시픽 항공(Canadian Pacific Air Lines), 올림픽 항공(Olympic Airlines)은 모두 민간 소유였지만,[7] "주요 국적 항공사"[8]로 여겨졌고, 자국의 해외 진출을 보여주는 상징이 되기도 했다.[9][10]
당시 항공 산업은 엄격하게 규제되어 항공 운항권이 종종 정부 간 협상을 통해 결정되었고, 항공사들이 개방된 시장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했다. 양자 항공 운송 협정은 버뮤다 I 및 버뮤다 II 협정과 유사하게 현지에 등록된 항공사에만 권리를 부여하도록 규정하여, 일부 국가들은 외국과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항공사 설립을 서두르게 되었다. 이스라엘(Israel)의 엘알(El Al)[11]이나 레바논(Lebanon)의 미들 이스트 항공(Middle East Airlines)[12]과 같이 민족주의적 이유나 국가 경제, 특히 관광 부문 지원을 위해 국적 항공사를 설립하기도 했다.[13]
많은 경우 정부는 보조금 및 기타 재정적 인센티브를 통해 국적 항공사의 성장을 직접 지원했다. 다른 현지 등록 항공사 형태의 경쟁사 설립은 직접적인 경쟁을 피하기 위해 금지되거나 엄격하게 규제되었다.[14] 민간 항공사의 설립이 허용되어도, 국적 항공사는 특히 국내 또는 국제 시장에 대한 항공 운항권 배분에서 우선순위를 부여받았다.[15]
20세기 말부터 항공 산업은 항공 규제 완화와 자유화가 진행되면서, 여러 항공사가 국제 노선을 운항하는 경우가 많아졌다.[17] 특히 미국(United States)과 유럽 연합(European Union)에서 개방된 하늘(freedoms of the air)이 확대되었고 개방 항공(Open Skies) 협정이 체결되었다.[18] 이러한 협정은 국가가 국제 노선을 운항하는 여러 항공사를 지정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여 단일 "국적 항공사"가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19]
4. 주요 국가의 국책 항공사
국가 또는 지역 항공사 현재 국가 소유권 세부 정보 과거 국가 소유권 세부 정보 아프가니스탄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국가 소유[20] 알바니아 에어 알바니아 알브콘트롤(Albcontrol) (10%) 소수 지분 국가 소유[21] 알제리 에어 알제리 국가 소유 앙골라 TAAG 앙골라 항공 과반수 지분 아르헨티나 아에롤리네아스 아르헨티나스 국가 소유 아루바 아루바 항공[22] 없음 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 항공 없음 1992년까지 국가 소유.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항공 없음 – 루프트한자 소유 2008년 12월 5일까지 국가 소유.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항공 국가 소유[23] 바하마 바하마스에어 국가 소유 바레인 걸프에어 국가 소유 방글라데시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주식회사 2007년 7월 23일까지 국가 소유. 벨라루스 벨라비아 국가 소유 벨기에 브뤼셀 항공 없음 – 루프트한자 소유 원래 형태(SN 브뤼셀 항공)에서는 국가 소유. 부탄 드룩 에어 없음 볼리비아 볼리비아나 데 아비아시온 국가 소유 보츠와나 에어 보츠와나 국가 소유 브루나이 로열 브루나이 항공 국가 소유 불가리아 불가리아 에어 소수 지분 국가 소유 (0.01%) 부르키나파소 에어 부르키나 국가 소유[24] 캄보디아 캄보디아 앙코르 에어 과반수 지분 (51%) 카메룬 카메어-코 국가 소유[25] 캐나다 에어 캐나다 캐나다 정부 소수 지분 국가 소유 (약 6.4%)[26] 1989년 민영화될 때까지 국가 소유. 카보베르데 TACV 과반수 지분 (90%)[27] 케이맨 제도 케이맨 에어웨이즈 국가 소유 칠레 LATAM 칠레 없음 1989년 9월까지 국가 소유. 중화인민공화국 중국국제항공 과반수 지분 (51.7%): 중국국가항공지주(CNAHC)을 통해 40.98%, 중국국가항공공사(CNACG)을 통해 10.72% 2004년까지 국가 소유. 콜롬비아 아비앙카 없음 코스타리카 아비앙카 코스타리카[28]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항공 과반수 지분 (98%) 쿠바 쿠바나 데 아비아시온 국가 소유[29] 키프로스 키프로스 항공[30] 없음 – 몰타에 본사를 둔 SJC 그룹이 40% 소유[31] 콩고민주공화국 콩고 에어웨이즈 국가 소유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스칸디나비아 항공 합작 투자 지부티 에어 지부티 합작 투자 도미니카 공화국 아라젯 없음 이집트 이집트에어 국가 소유 적도 기니 세이바 인터컨티넨탈[32] 국가 소유 에리트레아 에리트레아 항공 국가 소유 에스와티니 에스와티니 에어[33]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항공 국가 소유 페로 제도 애틀랜틱 에어웨이즈 피지 피지 에어웨이즈 과반수 지분 (51%) 핀란드 핀에어 과반수 지분 (55.8%) 프랑스 에어 프랑스 소수 지분 (18%)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에어 타히티 누이 과반수 지분 조지아 조지아 항공 없음 독일 루프트한자 없음 1994년까지 국가 소유; 나머지 정부 지분은 1997년 매각. 그리스 이지안 항공 그린란드 에어 그린란드 국가 소유[37] 건지 오리그니 국가 소유 홍콩 캐세이퍼시픽 소수 지분 (홍콩 정부 6.08%) + 에어 차이나를 통해 28.17%[38]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에어 없음 – 아이슬란드에어 그룹 소유[39] 인도 에어 인디아 없음 – 타타 그룹과 싱가포르 항공 소유[40] 2021년 11월까지 국가 소유.[41][42] 인도네시아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과반수 지분 (60.54%)[43] 2011년 2월까지 국가 소유.[44] 이란 이란 항공 국가 소유 이라크 이라크 항공 아일랜드 에어 링구스 없음 – 국제항공그룹 소유 2006년 9월까지 국가 소유. 이스라엘 엘알 소수 지분 (~1.1%) 2004년 6월까지 국가 소유. 이탈리아 ITA 항공[45] 국가 소유, 2021년 10월 15일부터 알이탈리아 계승[46][47][48] 코트디부아르 에어 코트디부아르 소수 지분 (49%)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카리브 항공 각각 소수 지분 (16%), 과반수 지분 (84%)[49][50][51] 일본 일본항공 없음 1987년까지 국가 소유.[52][53] 요르단 로열 요르단 항공 카자흐스탄 에어 아스타나 과반수 지분 (51%) 케냐 케냐 항공 소수 지분 (29.8%) 키리바시 에어 키리바티 쿠웨이트 쿠웨이트 항공 국가 소유 라오스 라오 항공 국가 소유 라트비아 에어 발틱 과반수 지분 (80.05%) 레바논 미들 이스트 항공 과반수 지분 (99%) 리비아 아프리키야 항공 및 리비아 항공 모두 국가 소유 룩셈부르크 룩스에어 과반수 지분 (73.86%) 마카오 에어 마카오 소수 지분 (5%) 마다가스카르 마다가스카르 항공 과반수 지분 말라위 말라위 항공 과반수 지분 (51%)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항공 카자나 나시오날을 통한 국가 소유 몰디브 말디비안 몰타 KM 몰타 항공[54] 과반수 지분 마셜 제도 에어 마셜 아일랜드[55] 모리타니 모리타니아 항공 국가 소유 모리셔스 에어 모리셔스 멕시코 아에로멕시코 없음 2007년까지 국가 소유. 몽골 MIAT 몽골 항공 국가 소유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 항공[56] 국가 소유[57] 모로코 로열 에어 마록 국가 소유 모잠비크 LAM 모잠비크 항공 국가 소유 미얀마 미얀마 국영 항공 국가 소유 나우루 나우루 항공 국가 소유 네팔 네팔 항공 국가 소유 네덜란드 KLM 소수 지분 (14%) 누벨칼레도니 에어칼린 과반수 지분 (99%)[58] 뉴질랜드 에어 뉴질랜드 과반수 지분 (53%) 1989년까지 국가 소유, 2001년 부분적으로 재국유화.[59][60][6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려항공 국가 소유 오만 오만 항공 과반수 지분 파키스탄 파키스탄 국제항공 국가 소유 파나마 코파 항공 없음 파푸아뉴기니 에어 뉴기니 파라과이 LATAM 파라과이[62] 페루 LATAM 페루[63] 필리핀 필리핀 항공 폴란드 LOT 폴란드 항공 국가 소유 포르투갈 TAP 포르투갈 항공 과반수 지분 (72%) [64] 카타르 카타르 항공 국가 소유 레위니옹 에어 오스트랄 루마니아 타롬 과반수 지분 (97.22%) 러시아 아에로플로트 과반수 지분 (51%) 르완다 르완다에어 국가 소유 사모아 사모아 항공 국가 소유 상투메 프린시페 STP 항공[65] 없음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 항공 과반수 지분 세네갈 에어 세네갈 세르비아 에어 세르비아 과반수 지분 (51%) 세이셸 에어 세이셸 국가 소유 (100%)[66] 솔로몬 제도 솔로몬 항공 국가 소유 싱가포르 싱가포르 항공 테마섹 홀딩스를 통해 과반수 지분 (54.5%))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항공 국가 소유 대한민국 대한항공 없음 – 한진 소유[67] 1969년까지 국가 소유.[68][69][70] 스페인 이베리아 항공 없음 – 국제항공그룹 소유 스리랑카 스리랑카 항공 완전 국영 수단 수단 항공 완전 국영 수리남 수리남 에어웨이즈 완전 국영 스위스 스위스 국제항공 민영 루프트한자 그룹 자회사 시리아 시리아 항공 완전 국영 탄자니아 완전 국영 태국 타이 항공 반관반민 (47.86%) 2020년 경영 파탄 후 일부 민영화 트리니다드 토바고 캐리비안 항공 3개국 합작 사업 트리니다드 토바고 정부 84%, 자메이카 정부 16% 자메이카 가이아나 튀니지 튀니지에어 반관반민 터키 터키항공 반관반민 (49%)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항공 완전 국영 우간다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영국 영국항공 민영 1987년. 현재는 IAG 자회사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항공 반관반민 베네수엘라 콘비아사 항공 완전 국영 베트남 베트남 항공 반관반민 (86.2%) 바누아투 바누아투 항공 예멘 예메니아 반관반민 짐바브웨 에어 짐바브웨 완전 국영
4. 1. 아시아
대한항공과 고려항공은 각각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책 항공사이다. 일본항공(일본), 중국국제항공(중화인민공화국), 캐세이퍼시픽 항공(홍콩)도 해당 국가 및 지역의 주요 항공사이다. 싱가포르 항공 역시 주요 국책 항공사 중 하나이다.
이들 항공사의 소유 구조는 다음과 같다:
국가 및 지역 | 항공사 | 소유 현황 | 비고 |
---|---|---|---|
대한민국 | 대한항공 | 민영 | 1969년까지 국가 소유[68][69][70] |
일본 | 일본항공 | 민영 | 1987년까지 국가 소유[52][53] |
중화인민공화국 | 중국국제항공 | 국영 | 2004년까지 국가 소유, 현재 과반수 지분(51.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고려항공 | 국영 | |
홍콩 | 캐세이퍼시픽 항공 | 민영 | 홍콩 정부 지분 6.08%, 에어 차이나 통해 28.17% 추가 소유[38] |
중화민국 | 중화항공 | 국영 | |
싱가포르 | 싱가포르 항공 | 국영 | 테마섹 홀딩스를 통해 과반수 지분 (54.5%) 소유 |
이 외에도 MIAT 몽골 항공, 필리핀 항공, 베트남 항공, 타이 항공, 말레이시아 항공 등이 아시아 지역의 주요 국책 항공사로 꼽힌다.
4. 1. 1. 대한민국
대한항공은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Korea'라는 영문 명칭과 태극 도안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대한민국의 국책 항공사이다.[68][69][70] 1969년까지 국가 소유였으나, 현재는 한진(Hanjin)이 소유한 민영 항공사이다.4. 1.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려항공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영 항공사이다.4. 1. 3. 일본
일본항공은 국명(Japan)을 표기하고 있다.[52][53] 1987년까지 국가 소유였다.4. 1. 4. 중화인민공화국
중국국제항공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영 항공사이다. 2004년까지 국가 소유였으며, 현재는 CNAHC를 통해 40.98%, CNACG를 통해 10.72%를 보유하여 과반수 지분(51.7%)을 가지고 있다.4. 1. 5. 홍콩
캐세이퍼시픽은 홍콩의 국책 항공사 역할을 하고 있지만, 민영 항공사이다. 홍콩 정부는 캐세이퍼시픽의 지분 6.08%를 소유하고 있으며, 에어 차이나를 통해 28.17%의 지분을 추가로 소유하고 있다.[38]4. 1. 6. 중화민국
의 국책 항공사는 중화항공이며, 국영 항공사이다.4. 1. 7. 기타 아시아 국가
싱가포르 항공은 테마섹 홀딩스를 통해 과반수 지분(54.5%)을 보유하고 있는 국책 항공사이다. MIAT 몽골 항공은 국가 소유의 국책 항공사이다. 필리핀 항공은 필리핀의 국책 항공사이다. 베트남 항공은 베트남의 국책 항공사로, 국가가 과반수 지분(86.2%)을 소유하고 있다. 타이 항공은 2020년 경영 파탄 후 일부 민영화되어 현재 국가가 47.86%의 지분을 소유한 태국의 국책 항공사이다. 말레이시아 항공은 카자나 나시오날을 통해 국가가 소유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의 국책 항공사이다.국가 | 항공사 | 소유 현황 |
---|---|---|
싱가포르 | 싱가포르 항공 | 테마섹 홀딩스를 통한 과반수 지분(54.5%) 소유 |
몽골 | MIAT 몽골 항공 | 국가 소유 |
필리핀 | 필리핀 항공 | 민영 |
베트남 | 베트남 항공 | 국가가 과반수 지분(86.2%) 소유 |
태국 | 타이 항공 | 국가가 과반수 지분(47.86%) 소유 (2020년 일부 민영화)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 항공 | 카자나 나시오날을 통한 국가 소유 |
4. 2. 유럽
유럽의 국책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국가 | 항공사 | 현재 국가 소유권 | 비고 |
---|---|---|---|
러시아 | 아에로플로트 | 과반수 지분 (51%) | |
프랑스 | 에어 프랑스 | 소수 지분 (18%) | |
영국 | 영국항공 | 없음 | 1987년 민영화, 현재는 국제항공그룹(International Airlines Group) 소유. |
독일 | 루프트한자 | 없음 | 1994년까지 국가 소유, 1997년 잔여 지분 매각. 2020년 루프트한자 그룹(Lufthansa Group) 소수 지분(20.05%) 인수,[34][35] 2022년 매각.[36] |
네덜란드 | KLM | 소수 지분 (14%) | |
이탈리아 | ITA 항공 | 국가 소유[46][47][48] | 2021년 10월 15일부터 알이탈리아(Alitalia) 계승. |
핀란드 | 핀에어 | 과반수 지분 (55.8%) | |
폴란드 | LOT 폴란드 항공 | 국가 소유 | |
튀르키예 | 터키항공 | 과반수 지분 (49%) | 튀르키예는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있는 국가로, 양쪽 모두에 해당될 수 있다. |
4. 3. 아메리카
국가 | 항공사 | 현재 정부 소유 현황 | 민영화 연도 및 비고 |
---|---|---|---|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항공 | 국가 소유 | |
캐나다 | 에어 캐나다 | 캐나다 정부(Government of Canada) 소수 지분 (약 6.4%)[26] | 1989년 민영화 |
칠레 | LATAM 칠레 | 없음 | 1989년 9월까지 국가 소유 |
멕시코 | 아에로멕시코 | 없음 | 2007년까지 국가 소유 |
브라질 | LATAM 브라질 | 민영 |
4. 4. 오세아니아
국가 또는 지역 | 항공사 | 현재 국가 소유권 세부 정보 | 과거 국가 소유권 세부 정보 |
---|---|---|---|
오스트레일리아 | 콴타스 항공(Qantas) | 없음 | 1992년까지 국가 소유. |
뉴질랜드 | 에어 뉴질랜드(Air New Zealand) | 과반수 지분 (53%) | 1989년까지 국가 소유, 2001년 부분적으로 재국유화.[59][60][61] |
에어칼린(Aircalin) | 과반수 지분 (99%)[58] | ||
파푸아뉴기니 | 에어 뉴기니(Air Niugini) | ||
피지 | 피지 에어웨이즈(Fiji Airways) | 과반수 지분 (51%) | |
솔로몬 제도 | 솔로몬 항공(Solomon Airlines) | 국가 소유 | |
바누아투 | 바누아투 항공(Air Vanuatu) | ||
사모아 | 사모아 항공(Samoa Airways) | 국가 소유 | |
키리바시 | 에어 키리바티(Air Kiribati) | ||
나우루 | 나우루 항공(Nauru Airlines) | 국가 소유 | |
마셜 제도 | 에어 마셜 아일랜드(Air Marshall Islands)[55] |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에어 타히티 누이(Air Tahiti Nui) | 과반수 지분 |
4. 5. 아프리카
아프리카 지역의 국책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국가 | 항공사 | 현재 국가 소유권 | 비고 |
---|---|---|---|
에티오피아 | 에티오피아 항공 | 국가 소유 | |
이집트 | 이집트에어 | 국가 소유 | |
알제리 | 에어 알제리(Air Algérie) | 국가 소유 | |
앙골라 | TAAG 앙골라 항공(TAAG Angola Airlines) | 과반수 지분 | |
보츠와나 | 에어 보츠와나(Air Botswana) | 국가 소유 | |
부르키나파소 | 에어 부르키나(Air Burkina)[24] | 국가 소유 | |
카메룬 | 카메어-코(Camair-Co)[25] | 국가 소유 | |
카보베르데 | TACV(TACV) | 과반수 지분 (90%)[27] | |
콩고민주공화국 | 콩고 에어웨이즈(Congo Airways) | 국가 소유 | |
적도 기니 | 세이바 인터컨티넨탈(CEIBA Intercontinental)[32] | 국가 소유 | |
에리트레아 | 에리트레아 항공(Eritrean Airlines) | 국가 소유 | |
에스와티니 | 에스와티니 에어(Eswatini Air)[33] | ||
코트디부아르 | 에어 코트디부아르(Air Côte d'Ivoire) | 소수 지분 (49%) | |
리비아 | 아프리키야 항공(Afriqiyah Airways) | 국가 소유 | |
리비아 | 리비아 항공(Libyan Airlines) | 국가 소유 | |
마다가스카르 | 마다가스카르 항공(Madagascar Airlines) | 과반수 지분 | |
말라위 | Malawi Airlines) | 과반수 지분 (51%) | |
모리타니 | 모리타니아 항공(Mauritania Airlines) | 국가 소유 | |
모리셔스 | 에어 모리셔스(Air Mauritius) | ||
모로코 | 로열 에어 마록(Royal Air Maroc) | 국가 소유 | |
모잠비크 | LAM 모잠비크 항공(LAM Mozambique Airlines) | 국가 소유 | |
르완다 | 르완다에어(RwandAir) | 국가 소유 | |
세네갈 | 에어 세네갈(Air Senegal) | ||
세이셸 | 에어 세이셸(Air Seychelles) | 국가 소유 (100%)[66]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항공(South African Airways) | 국가 소유 |
4. 6. 중동
إيران للطيران|이란 항공ar, الخطوط الجوية القطرية|카타르 항공ar, الخطوط الجوي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사우디아 항공ar, אל על|엘알 이스라엘 항공he 등 중동 지역의 국책 항공사들은 해당 국가의 정부 소유로 운영되거나, 국가 경제 및 관광 산업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국가 | 항공사 | 현재 국가 소유권 세부 정보 | 비고 |
---|---|---|---|
이란 | 이란 항공 | 국가 소유 | |
이스라엘 | 엘알 이스라엘 항공 | 소수 지분 (~1.1%) | 2004년 6월까지 국가 소유 |
카타르 | 카타르 항공 | 국가 소유 | |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 항공 | 과반수 지분 |
5. 과거 존재했던 국책 항공사
국가 | 항공사 | 비고 |
---|---|---|
일본 제국 | 대일본항공 | 1945년 8월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고 연합국에 의해 일본 국적기의 모든 항공 활동이 중단됨에 따라 해산되었다. |
미국 시정하의 오키나와 | 남서항공 | 1972년 5월 본토 반환에 따라 류큐 정부가 소멸하고 일본의 항공법이 적용됨에 따라 류큐 정부의 플래그 캐리어로서의 지위를 상실하였다. 이후 일본항공의 지역 자회사가 되었고, 1993년 일본 트랜스오션항공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 |
만주국 | 만주항공 | 1945년 8월 동맹국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고, 그에 따라 만주국이 소멸했기 때문에 해산되었다. |
중화민국 | 민항운수공사 | 항공 사고 등으로 경영 악화에 빠져 1975년 운항을 중단했다. |
중국 | 중국민항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직속의 민간 항공 행정 기구 중국민용항공총국이 직접 운항했지만, 1988년 민간 항공 부문을 분사하여 중국국제항공 등을 신설하고, 현재는 항공 행정 관할에 전념하고 있다. |
베트남 공화국 | 에어 베트남 | 남베트남이 베트남 전쟁에서 패배하여 소멸했기 때문에, 그 혼란 속에서 사라졌다. 남은 기재는 사회주의 정권의 국영 베트남항공에서 사용되었다. |
영국 | 영국해외항공 | 장거리 국제선을 담당하는 영국의 플래그 캐리어로서, 팬 아메리칸 월드 항공, 에어 프랑스 등과 함께 알려져 있었다.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을 담당하는 영국유럽항공과 합병하여 현재의 브리티시 에어웨이즈가 되었다. |
벨기에 | 사베나 벨기에항공프랑스어 | 국영 항공사로서 구 식민지 등에 대한 불경제적인 노선을 운항해야 했던 등의 이유로 적자 체질이 계속되어, 2001년에 도산했다. 일부 노선과 기재, 직원은 자회사 델타 에어 트랜스포트가 "SN 브뤼셀 항공"(현재의 브뤼셀 항공)으로 개명하여 인수했다. |
스위스 | 스위스항공 | 사베나 벨기에 항공과 자본 제휴를 맺고 있었지만, 함께 도산하는 형태로 2001년에 도산했다. 이후 자회사 크로스에어가 스위스 인터내셔널 에어라인즈로 사명을 변경하는 형태로 영업을 인수했다. |
동독 | 루프트한자 독일항공 | 전부터 존재했던 루프트한자 독일항공의 후계를 자칭했지만, 서독 측의 동명 기업에 소송에서 패했기 때문에, 1963년 인터플루크가 사업을 인계받았다. |
인터플루크 | 동독이 독일 연방 공화국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1991년에 해산되었고, 승무원과 노선은 루프트한자 독일항공이, 기체는 독일 공군 및 아에로플로트 러시아항공이 각각 인계받았다. |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항공 | 민간 투자자 그룹이 1995년에 설립하여 1998년 운항을 시작했다. 2005년 오스트리아 항공 자회사가 되었지만 2007년에 도산했다. 사업과 직원 일부는 시글 에어가 인계받았지만, 동사도 2009년에 사업을 중단하고 도산했다. |
팬 아메리칸 월드 항공영어[92][93] | 미국 항공사 중 유일하게 전 세계에 노선을 가지고, 보잉 707, 보잉 747을 일찍 도입하는 등 미국의 선진성과 번영의 상징, 세계 국제선 항공사의 선두주자였다. 그러나 고비용 체질의 개혁이 진행되기 전에 항공 자유화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경영이 악화되어 1991년에 도산했다. | |
브라질 | 바리그 브라질 항공pt[94] | 한때 남미 최대 규모의 항공사, 스타 얼라이언스의 일원이었으며, 일본과 유럽에도 취항했지만, 저비용 항공사의 등장으로 2005년에 파산하여 저비용 항공사 골 항공에 인수되었다. |
페루 | 아에로페루 | 1996년 10월 2일에 발생한 추락 사고의 영향으로 실적이 악화되어 1999년에 운항이 중단되었다. |
나이지리아 항공영어 | 국영 항공사였지만, 2003년에 경영 악화로 파산했다. | |
소말리아 | 소말리아 항공so | 1990년의 소말리아 내전 발발로 경영 파탄에 이르렀다. |
헝가리 | 말레브 헝가리 항공[95][96] | 2012년 2월에 모든 노선의 운항을 중단하고, 그 후 파산했다. 동사의 소멸 이후로는 저비용 항공사인 위즈에어가 동국 유일의 정기 항공사가 되고 있다. |
슬로베니아 | 아드리아 항공[97] | 2019년 9월 30일에 도산[98]. 슬로베니아 경제 개발 장관은 신회사가 설립될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
이탈리아 | 알이탈리아 항공 | 경영 위기에 따른 국유화로 ITA 항공에 계승되었다. |
남예멘 | 민주 예멘 항공 | 남북 통일과 함께 예메니아와 합병. |
6. 같이 보기
항공사 목록
항공 동맹
참조
[1]
뉴스
The slow death of the flag carrier: Could state-owned airlines become a thing of the past?
https://www.telegrap[...]
2019-03-17
[2]
웹사이트
Palestinian Airlines: The Homeless Flag Carrier
https://airlinegeeks[...]
2018-05-25
[3]
웹사이트
Interview: CEO aims to make Virgin Atlantic UK's second flag carrier
https://atwonline.co[...]
2019-05-24
[4]
웹사이트
flag carrier definition
http://www.businessd[...]
Businessdictionary.com
[5]
웹사이트
List of U.S. Flag Air Carriers
https://www.dartmout[...]
[6]
웹사이트
USOcean.com – U.S. Flag Carrier
http://www.usocean.c[...]
[7]
간행물
Airline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Coast Aire Publication
[8]
웹사이트
flag airline definition
http://www.macmillan[...]
MacMillan Dictionary
[9]
간행물
Airways Abroad; The Story of American World Air Routes
Smithsonian History of Aviation Series
[10]
간행물
Empires of the Sky; The Politics, Contests and Cartels of World Airlines
Hodder and Stoughton
[11]
간행물
To the Skies: The El Al Story
Bantam Books
[12]
간행물
Empires of the Sky; The Politics, Contests and Cartels of World Airlines
Hodder and Stoughton
[13]
간행물
Wherever Green Is Worn: The Story of the Irish Diaspora
Palgrave Macmillan
[14]
간행물
Air transport liberalisation and traffic growth in tourism-dependent economies: A case-history of some US-Caribbean markets
Journal of Air Transport Management 14
[15]
간행물
Rebels and Reformers of the Airways
Airlife England
[16]
간행물
Government birds: air transport and the state in Western Europ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7]
간행물
Emerging Patterns in Intercontinental Air Linkages and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Route Allocation Policy
Transportation Journal, Vol. 34, No. 4 (SUMMER 1995)
[18]
웹사이트
Open Skies Partners
https://2009-2017.st[...]
U.S. State Department
[19]
간행물
The Future of the Open Skies Agreements after the ECJ judgements – Legal and Economic Aspects
GRIN Verlag
[20]
뉴스
Biden admin relies on Taliban-controlled airline to help Afghans flee Afghanistan
https://www.nbcnews.[...]
2022-06-08
[21]
웹사이트
Avioni i parë i "Air Albania" ulet në Rinas, Rama: Nisi një epokë e re
http://top-channel.t[...]
Top Channel
2018-09-14
[22]
웹사이트
The World's Shortest International Jet Flight? Aruba Airlines Launches 8-Minute Flight To Punto Fijo
https://airwaysmag.c[...]
Airways Magazine
2018-05-19
[23]
웹사이트
Azerbaijan Airlines AZAL Airline Profile {{!}} CAPA
https://centreforavi[...]
[24]
웹사이트
Air Burkina prend son envol avec le gouvernement burkinabè
https://www.voaafriq[...]
2017-05-28
[25]
웹사이트
À propos de la companie (french)
https://www.camair-c[...]
[26]
웹사이트
Canadian Taxpayers Now Own Part of Air Canada
https://ca.travelpul[...]
[27]
웹사이트
About Cabo Verde Airlines
https://www.caboverd[...]
[28]
웹사이트
Avianca Costa Rica Airline Profile - CAPA - Centre for Aviation
https://centreforavi[...]
[29]
웹사이트
The Cuban Civil Aviation after the Revolution of 1959
http://www.urrib2000[...]
[30]
웹사이트
Cyprus Airways opens partner office in the UK
https://www.travelda[...]
Travel Daily News
2021-09-29
[31]
웹사이트
Cyprus Airways confirms acquisition by SJC Group
https://centreforavi[...]
Centre for Aviation
2021-07-01
[32]
보도자료
Equatorial Guinea Airline Inaugurates Service To Europe
https://www.prnewswi[...]
[33]
웹사이트
Eswatini Air:Who We Are
https://www.eswatini[...]
[34]
웹사이트
Shareholder structure of Lufthansa Group
https://investor-rel[...]
[35]
뉴스
Lufthansa-Aktionäre stimmen Staatseinstieg zu
https://www.faz.ne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FAZ)
2020-06-25
[36]
웹사이트
760 Millionen: Bund mit Gewinn bei Lufthansa ausgestiegen
https://www.zdf.de/u[...]
2022-09-14
[37]
웹사이트
Our history {{!}} Air Greenland
https://airgreenland[...]
2024-06-02
[38]
웹사이트
【國泰資本重組】香港政府斥273億元救國泰 若實行認股權變第四大股東 - 香港經濟日報 - 即時新聞頻道 - 金融經濟
https://inews.hket.c[...]
2020-06-09
[39]
웹사이트
20 largest shareholders as of 08.09.2021
https://www.icelanda[...]
2021-09-09
[40]
뉴스
Air India-Vistara merger takes off: Fleets of both airlines to formally combine today – All you need to know
https://www.financia[...]
2024-11-12
[41]
뉴스
Air India: Struggling national carrier sold to Tata Sons
https://www.bbc.com/[...]
2021-10-08
[42]
웹사이트
Sentiments and business: What Air India acquisition means for Tatas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21-10-08
[43]
웹사이트
Indonesia Stock Exchange
http://www.idx.co.id[...]
2019-12-21
[44]
웹사이트
Mengapa IPO Garuda buntung?
https://www.beritasa[...]
2011-02-21
[45]
웹사이트
Homepage
https://www.itaspa.c[...]
[46]
웹사이트
Alitalia, ultimo volo: Ora tocca a Ita. Tutti i dossier aperti dal marchio a MilleMiglia
https://www.corriere[...]
2021-10-13
[47]
웹사이트
'Old' Alitalia set for last flight after 75 years - English
https://www.ansa.it/[...]
2021-10-14
[48]
뉴스
What to know about Europe's newest airline
https://www.cnn.com/[...]
2021-10-08
[49]
웹사이트
IFC Successfully Concludes Public-Private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of Jamaica and Caribbean Airlines for the Privatization of Air Jamaica
https://ifcpressrele[...]
2024-05-22
[50]
웹사이트
Jamaica secures 16 per cent stake in Caribbean Airlines
https://jamaica-glea[...]
2010-04-29
[51]
웹사이트
Caribbean Airlines to be Jamaica's exclusive national carrier
https://jamaica-glea[...]
2010-02-12
[52]
웹사이트
Japan Airlines Company, Ltd.
http://www.fundingun[...]
fundinguniverse.com
2009-09-06
[53]
웹사이트
History of JAL 1981–1990
http://www.jal.com/e[...]
Japan Airlines
2009-09-06
[54]
뉴스
New airline replacing Air Malta to fly on March 31, 2024
https://timesofmalta[...]
2023-10-02
[55]
웹사이트
AMI
https://airmarshalli[...]
2021-06-01
[56]
웹사이트
Air Montenegro prvi let
https://airmontenegr[...]
2021-06-01
[57]
웹사이트
Predstavljeno rukovodstvo, ciljevi i planovi "ToMontenegro"
http://www.gov.me/cl[...]
Government of Montenegro
2021-03-02
[58]
웹사이트
New Caledonia's Aircalin to end A330-200 ops in late 3Q19
https://www.ch-aviat[...]
[59]
뉴스
Government bailout of Air NZ complete
http://www.nzherald.[...]
2002-01-18
[60]
웹사이트
History - About Air New Zealand
https://www.airnewze[...]
Air New Zealand Singapore
[61]
웹사이트
Air New Zealand History
http://www.airnz.co.[...]
Air New Zealand
[62]
웹사이트
LATAM Airlines Paraguay - CAPA - Centre for Aviation
https://centreforavi[...]
[63]
웹사이트
LATAM Airlines Peru Airline Profile - CAPA - Centre for Aviation
https://centreforavi[...]
[64]
웹사이트
Estado fica com 72,5% da TAP e assume controlo
https://www.publico.[...]
2020-07-02
[65]
뉴스
Sao Tome and Principe connected again
https://www.timesaer[...]
2022-05-05
[66]
웹사이트
Etihad divests full stake in Air Seychelles
https://www.thenatio[...]
2021-05-01
[67]
웹사이트
Korean Air info on Hanjin corporate website
https://www.hanjinka[...]
Hanjin KAL Corporation
2022-06-28
[68]
뉴스
Korean Air turns 50 with eye on growth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9-03-05
[69]
웹사이트
History & Awards
https://www.koreanai[...]
[70]
웹사이트
KOREAN AIR 50 YEARS HISTORY
https://kr.img.news.[...]
Korean Air
[71]
웹사이트
Aero Dili launches flights to Singapore’s Changi airport
https://www.business[...]
[72]
웹사이트
Conviasa - El Placer de Volar
http://www.conviasa.[...]
[73]
웹사이트
Palestinian Airlines: The Homeless Flag Carrier
https://airlinegeeks[...]
2019-06-12
[74]
웹사이트
Interview: CEO aims to make Virgin Atlantic UK's second flag carrier
https://atwonline.co[...]
2019-06-12
[75]
웹사이트
The slow death of the flag carrier: Could state-owned airlines become a thing of the past?
https://www.telegrap[...]
2021-04-18
[76]
웹사이트
flag carrier definition
http://www.businessd[...]
Businessdictionary.com
2009-05-22
[77]
웹사이트
List of U.S. Flag Air Carriers
https://www.dartmout[...]
2019-06-12
[78]
웹사이트
USOcean.com – U.S. Flag Carrier
http://www.usocean.c[...]
2019-06-12
[79]
웹사이트
flag airline definition
http://www.macmillan[...]
MacMillan Dictionary
2012-12-09
[80]
뉴스
Airline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Coast Aire Publication
[81]
뉴스
Airways Abroad; The Story of American World Air Routes
Smithsonian History of Aviation Series
[82]
뉴스
Empires of the Sky; The Politics, Contests and Cartels of World Airlines
Hodder and Stoughton
[83]
뉴스
Empires of the Sky; The Politics, Contests and Cartels of World Airlines
Hodder and Stoughton
[84]
뉴스
To the Skies: The El Al Story
Bantam Books
[85]
뉴스
Wherever Green Is Worn: The Story of the Irish Diaspora
Palgrave Macmillan
[86]
뉴스
Air transport liberalisation and traffic growth in tourism-dependent economies: A case-history of some US-Caribbean markets
Journal of Air Transport Management 14
[87]
뉴스
Rebels and Reformers of the Airways
Airlife England
[88]
뉴스
Government birds: air transport and the state in Western Europ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89]
뉴스
Emerging Patterns in Intercontinental Air Linkages and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Route Allocation Policy
Transportation Journal, Vol. 34, No. 4 (SUMMER 1995)
[90]
웹사이트
Open Skies Partners
https://2009-2017.st[...]
U.S. State Department
2012-12-06
[91]
뉴스
The Future of the Open Skies Agreements after the ECJ judgements – Legal and Economic Aspects
GRIN Verlag
[92]
서적
エアライン 世界を変えた航空業界
早川書房
[93]
서적
ブリティッシュ・エアウェイズの経営 民営化・国際展開とアエロポリティクス1981-2000
中央書院
[94]
서적
エアライン年鑑 2009-2010
イカロス出版
[95]
웹사이트
ワンワールド
http://ja.oneworld.c[...]
[96]
웹사이트
amadeus
http://www.amadeus.c[...]
[97]
웹사이트
Adria Airways files for bankruptcy of the company
https://www.adria.si[...]
2019-10-01
[98]
웹사이트
Replacing collapsed Adria could take 'a few months': minister
https://www.flightgl[...]
2019-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